KR102073837B1 - 특정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특정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837B1
KR102073837B1 KR1020170177420A KR20170177420A KR102073837B1 KR 102073837 B1 KR102073837 B1 KR 102073837B1 KR 1020170177420 A KR1020170177420 A KR 1020170177420A KR 20170177420 A KR20170177420 A KR 20170177420A KR 102073837 B1 KR102073837 B1 KR 102073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volume
ob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660A (ko
Inventor
서미자
정아름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하늘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하늘호수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하늘호수
Priority to KR1020170177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8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에 대하여 DPPH 라디칼 소거활성실험 (실험예 1-1); ABTS 라디칼 양이온 소거능 저해활성 측정실험 (실험예 1-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측정 실험 (실험예 2); MTT assay에 의한 세포 생존율 측정실험 (실험예 3); 질소 산화물(Nitric oxide) 측정실험 (실험예 4) 등을 통하여 항산화활성 및 피부노화억제활성 등을 확인하여 항산화 및 피부노화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특정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A specific preparation method for preparing a distilled extract comprising extract of Schisandra chinensis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특정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1. Toxic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on the skin. Matsumura Y., H.N. Ananthaswamy. Toxicol. Appl. Pharmacol. Mar 15;195(3), 298-308, 2004
[문헌 2] Enhanced elastin and fibrillin gene expression in chronically photodamaged skin. Bernstein E. F., Y. Q. Chen., K. Tamai, K. J. Shepley, K.S. Resnik, H. Zhang, R. Tuan, A. Mauviel and J. Uitto. J. Inverst. Dermatol. 103(2), 182-186, 1994
[문헌 3] Skin aging andphotoaging:anoverview.Gilchrest B. A. J Am Acad Dermatol. Sep;21 (3Pt2): 610-613,1989
[문헌 4] The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Harman D. Antioxidants & Redox Signaling. October.5(5), 557-561,2003
[문헌 5] Experimental study about the effect of several herbs on collagen synthesis. Yoon J. E., Kim N.K., Hwang C. Y., Jo E. H., Park M. C. J.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3(3), 33-41,2010
[문헌 6] Effect of Water Extract in Frui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CCI4 Toxicity. Lee J.S.,Lee S.W. Korean J. DIETARY CULTURE 5(2), 1990
[문헌 7] A study on Making jelly with omija extract, Kim J.E.,Jeon H.J. KOREAN J. SOC. FOOD SCI.6(3),1990
[문헌 8] Studies on Antioxidative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Seed Etract, Choi. H. S., Beik. K. Y., Kim. J. B. J.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8(4)908-905,2012
[문헌 9] 한국 공개특허 10-2013-0087938호
[문헌 10] 한국 공개특허 제2002-0037968 호
[문헌 11] 한국 공개특허 10-2015-0067597 호
사람의 피부는 직접 외부와 접하는 신체의 가장 외각 부분이기 때문에 끊임없이 산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곳이다. 노화의 내적 요인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신체의 가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며 면역세포와 피부세포의 기능과 활성이 저하되어 몸에 필요한 면역단?b질과 필수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어 생기는 내인성노화가 있으며 외부인자로는 공해, 바람, 온도 등의 오염물질과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가 있다. 이러한 노화가 나타나면서 피부 세포의 손상, 색소침착, 주름증가, 탄력감소, 피부의 건조 상태 증가가 나타날 뿐 아니라 피부 주요성분들의 직접적인 기능을 손실시켜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 등으로 이어진다(1-4).
최근 식물유래 천연 성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인체에 부작용과 해가 적은 생리활성 물질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각종 생약 및 식용 식물 추출물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한방 천연물을 이용한 의약품 및 바이오, 화장품의 개발이 잇따르고 있다.
최근 들어, 미백, 노화방지, 피부개선, 항암 및 항균 등 복합 기능성을 가진 화장료로써 한약재는 제품 유형과 제형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이용되어지고 있으며, 화장품에 천연물을 직접 이용한 것은 1973년 아모레 퍼시픽이 인삼을 주원료로 한 진생상미라는 제품을 선보인 것이 원조라 할 수 있고 이 후 산삼, 홍삼, 감초, 녹두, 흑두한란, 단풍잎, 대나무, 닥나무, 주목(朱木), 귤나무, 오가피, 야자수, 생강, 영지버섯, 녹차, 우엉, 뽕나무 등 다양한 식물자원으로부터 효능 성분을 추출하여 화장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소재개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세계 화장품 시장 규모 05년 약 2,500억불에서 매년 10%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단순미용에서 질병치료 개념으로 진화, 고기능 다기능성으로 확대, 한방화장품 시대로 변화고 있는 상황이며, 천연 기능성 소재의 세계시장 규모는 연간 판매액 150억 달러에 달하며 최근 매년 평균 1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피부 천연물 소재의 개발 시 세계적으로 연간 1조 원~2조 원의 매출과 매출의 20 ~ 50%의 순이익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미자( Schisandra chinenesis B.)는 목련과(Magnoliaceae)에 속하는 낙엽덩굴성 목본으로서, 오미자 및 그 동속식물의 과실을 오미자라 하고, 오미자 성분으로 데옥시쉬잔드린(deoxyschizandrin), 쉬잔드린(schizandrin), 세스퀴카렌(sesquicarene) 등의 정유 성분 등의 성분이 알려진 바 있다 (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p 471-473, 1998).
황금(( Scutellariae Radix)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한 다년생 본초인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의 뿌리를 거피하여 건조한 것으로 성분으로 바이칼레인(baicalein), 바이칼린(baicalin), 우고닌(wogonin), 우고노시드(wogonoside) 등의 성분이 알려진 바 있다 (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p 864-865, 1998).
목향 ( Inula helenium L..)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그 뿌리를 목향이라고 지칭하며, 이눌린(inulin), 알란토락톤(alantolactone), 알란틱산(alantonic acid), 알란톨(alantol), 담마란디에닐 아세테이트 (dammaradienyl acetate)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구충작용, 항균작용 등의 효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보섭외 1인, 영림출판사, p1056-1057, 1998년).
고본 ( Ligusticum tenuissimum KITAG .)은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그 근경 및 뿌리를 고본이라고 지칭하며, 크니딜리드 (cnidilide), 3-부틸(butyl) 프탈리드(phthalide) 등의 정유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진균 작용 등의 효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보섭외 1인, 영림출판사, p428-429, 1998년).
당귀 (Angelica sinensis O.)은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그 뿌리를 당귀라고 지칭하며, 프탈산(phthalic aic), 리구스틸리드(ligustilide), 부틸리덴(butylidene), 프탈리드(phthalide), 크니딜리드(cnidilide), 세스퀴테르펜류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자궁수축작용, 이뇨작용, 항균작용 등의 효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보섭외 1인, 영림출판사, p407-408, 1998년).
천궁은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천궁(Cnidium officinale) 및 동속식물의 근경으로서, 그 성분으로는 크니딜리드(Cnidilide), 리구스틸리리드(ligustilide), 네오크니딜리드(neocnidilide), 부틸프탈리드(butylphthalide), 세다노닉산(sedanonic acid) 등을 함유하고, 자궁수축작용, 진경작용, 항균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418-419, 1998).
감초는 콩과 (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감초 (Glycyrrhiza urlaensis FISCH) 의 뿌리 및 근경을 칭하는 것으로 글리시리진(gycyrrhizin), 리퀴리티게닌(liquiritigenin), 리퀴리틴(liquiritin) 등의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해독작용, 진해거담작용, 위액분비억제각용, 간보호작용 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보섭외,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684-687, 1998).
다시마(Laminaria)는 갈조류 해양식물로서, 길이 1.5∼3.5m, 너비 25∼40cm으로 큰 바닷말이며 2∼4년생인 엽체(葉體)는 포자세대(胞子世代)로서 겉보기에는 줄기·잎·뿌리의 구분이 뚜렷하다. 잎은 띠 모양으로 길고 가운데 부분보다 약간 아래쪽이 가장 넓으며, 다시마속 식물은 태평양 연안에 20여 종이 자라고 있으며 10m 이상의 큰 종류도 있는데, 주요 종으로는 참다시마(L.japonica)·오호츠크다시마(L.ochotensis)·애기다시마(L.religiosa) 등이 있다. 옛날부터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중국에서 식용해왔다.[네이버 지식백과] 다시마 (두산백과)
박하 ( Mentha arvensis L var piperascens MALINV )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그 전초 또는 잎을 박하라고 지칭하며, 멘톨(menthol), 멘톤(menthone), 캄펜(camphene), 리모넨(limonene) 등의 정유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진통, 진경작용 등의 효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보섭외 1인, 영림출판사, p851-852, 1998년).
황해쑥 ( Artemisia argyi L.)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그 잎을 애엽(쑥)이라고 지칭하며, 시네올(cineole), 테르핀(terpen)-4-올(ol), 카료필렌(beta-caryophyllene), 리나룰(linalool), 아테미시아 알톨(artemisia alcohol), 등의 정유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균작용, 진해거담작용 등의 효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보섭외 1인, 영림출판사, p1014-1016, 1998년).
두송(Juniperus communis L.)은 향나무속(Juniperus)dp 속하는 상록 침엽 교목으로서 그 열매를 두송실이라고 지칭하며, 열매는 잎보다 짧으며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지름 7-12 mm로서 이듬해 10월에 익는다. 동합된 실편은 끝이 3개로 갈라지며 밑부분에 9개의 포가 있다. 종자는 3-4개씩이고 달걀모양이며 길이 6.5mm로서 갈색이고 지점(脂點)이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두송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어성초는 삼백초과(Saururaceae)에 속하는 약모밀 (Houttuynia cordata THUNB)의 전초로서, 알려진 성분으로는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 decanoyl actaldehyde), 피넨(pinene), 리날룰 (linalool), 캄펜(camphene), 리모넨(limonene), 코르다린(cordarine), 퀘르시트린(quercitrin), 퀘르세틴(quercetin),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등을 함유하고, 항균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및 이뇨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바 있다 (정보섭 외 1인, 향약 대사전, 영림사, pp.812~813, 1998년).
인삼( Panax ginseng C.A Meyer )은 한국특산의 다년생 초본으로서, 6년이사왼 수삼을 세척하고 여러번의 찌는 과정 및 건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가공인삼을 홍삼이라 칭하며 진세노시드(ginsenosde) Rb1, Rc, Rg1 등의 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디올)) 및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트리올))로 분류되는 적어도 13종 이상의 진세노사이드(사포닌), 파낙시놀(panaxynol)등의 증류오일, 유기산 및 에스테르, 스테롤, 질소화합물, 엽산 등의 비타민, 효소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중추신경조정, 내분비, 물질 대사 조정 등의 매우 다양한 효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보섭외 1인, 영림출판사, p440-443, 1998년).
밤(Chestnut)은 참나무과(Fagaceae)에 속한 낙엽교목으로서, 밤나무의 과실을 율자(栗子)라 하여 식품으로 사용하고, 그 성분으로는 단백질, 전분, 지방, 탄수화물, 무기성분, 비타민, 리파제(lipase) 등의 성분이 알려져 있으며, 그 잎을 율엽(栗葉)이라 하고, 그 꽃을 율화(栗花)라 하며, 밤의 외과피를 율각(栗殼); 밤의 내과피를 율부(栗)라고 하며, 주로, 설사, 혈변, 천식, 골절상 등에 민간에서 사용되어 왔다 (정보섭외, 도해향약대사전, p806-808, 영림사, 1998년).
갈근은 콩과 (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 만경식물인 칡 (Pueraria thunbergiana BENTH)의 괴경을 칭하는 것으로 푸에라린(puerarin), 푸에라린 자일로스 (puerarin xylose), 디이드진(daidzein), 시토스테롤 (sitosterol) 등의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혈류증가작용, 진경작용, 해열작용 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보섭외,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704-706, 1998).
한편 솔잎은 소나무(Pine needle)는 소나무과(Pinaceae)에 속하는 목본인 pinus yunnanensis (운남송), pinus sylvestris L. (장자송), Pinus bungeana Zucc (백피송), Pinus koraienesis Sieb(홍송), Pinus armandi (화산송) 등의 소나무 잎을 사용한다.(박종희 한약백과사전, 신일상사, p484-485, 1992년).
한편, 한국 공개특허 10-2013-0087938호 (2013년08월07일 공개)에는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내용; 한국 공개특허 2002-0037968 호 (2002년05월23일 공개)에는 오미자 종자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가 개시되고; 한국 공개특허 10-2015-0067597 호 (2015년06월18일 공개)에는 오미자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항산화 및 면역 활성 증진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등이 개시된 바가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의 어디에도 특정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의 항산화 및 피부노화 질환에 대한 치료효과에 대하여 언급되거나 개시된 바는 없다.
본원 발명자들은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추출물에 대하여 DPPH 라디칼 소거활성실험 (실험예 1-1); ABTS 라디칼 양이온 소거능 저해활성 측정실험 (실험예 1-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측정 실험 (실험예 2); MTT assay에 의한 세포 생존율 측정실험 ( 실험예 3); 질소 산화물(Nitric oxide) 측정실험 ( 실험예 4) 등을 통하여 항산화활성 및 피부노화억제활성 등을 확인하여 항산화활성, 피부 염증성 질환 및 피부노화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로 유용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 1차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건조 상태의 오미자에 오미자 중량 1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배 부피의 증류수에 넣고 6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에서 30분 내지 12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6시간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 1단계; 제 1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하고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에서 농축 건조하는 2단계를 포함하는 오미자 함유 증류수 열수 추출물(DWHS)을 얻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차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건조 상태의 오미자에 오미자 중량 대비 1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배 부피의 증류수에 넣고 15 내지 55℃,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에서 1시간 내지 12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초음파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 1단계; 제 1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하고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에서 농축 건조하는 2단계를 포함하는 오미자 함유 증류수 초음파 추출 추출물 (DWUS)을 얻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차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오미자, 쑥, 다시마, 두송열매, 박하, 당귀, 어성초, 고본, 인삼, 목향, 황금, 감초, 갈근, 천궁, 솔잎 및 밤껍질(속껍질)로 구성된 생약조합, 바람직하게는, 오미자 30 내지 60 중량부, 쑥 5 내지 20 중량부, 다시마 5 내지 20 중량부, 두송열매 1 내지 5 중량부, 박하 1 내지 3 중량부, 당귀 1 내지 5 중량부, 어성초 1 내지 5 중량부, 고본 1 내지 3 중량부, 인삼 1 내지 3 중량부, 목향 1 내지 3 중량부, 황금 1 내지 5 중량부, 감초 1 내지 5 중량부, 갈근 1 내지 5 중량부, 천궁 1 내지 5 중량부 솔잎 1 내지 5 중량부, 밤껍질 1 내지 3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오미자 40 내지 50 중량부, 쑥 8 내지 15 중량부, 다시마 8 내지 15 중량부, 두송열매 1 내지 3 중량부, 박하 1 내지 2 중량부, 당귀 1 내지 3 중량부, 어성초 1 내지 3 중량부, 고본 1 내지 2 중량부, 인삼 1 내지 2 중량부, 목향 1 내지 2 중량부, 황금 1 내지 3 중량부, 감초 1 내지 3 중량부, 갈근 1 내지 3 중량부(2), 천궁 1 내지 3 중량부, 솔잎 1 내지 3 중량부, 밤껍질 1 내지 2 중량부로 구성된 생약조합을 18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5℃에서 20일 내지 60일, 바람직하게는, 30일 내지 90일간 자연건조하여 건조된 생약조합을 얻는 제 1단계; 전통 항아리에서 제 1단계의 건조된 생약조합을 부직포 주머니에 취합해 제 1차 생약조합 부피의 1 내지 50배 부피(v/v),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배 부피(v/v)의 정제수를 가하고 18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28℃에서 1일 내지 14일, 바람직하게는, 5일 내지 10일간 발효시켜 생약조합 발효물을 얻는 제 2단계; 제 2단계의 발효된 생약조합 발효물을 진공저온농축기기에 넣어 생약조합 발효물 부피의 1 내지 50배 부피(v/v),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배 부피(v/v)의 물을 가하고 7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5시간 내지 12시간동안 증류추출하여 제 1차 증류 추출물(SK)을 얻는 제 3단계; 제 3단계의 제 1차 증류 추출물(SK)에 추가 오미자를 제 1차 증류 추출물 부피대비 1 내지 10%(w/v),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w/v)를 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오미자 중량 대비 1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배 부피의 증류수에 넣고 6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에서 30분 내지 12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6시간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 4단계; 제 4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하고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에서 농축 건조하는 5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오미자 함유 하늘호수 증류수 열수 추출물 (SKHS)을 얻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차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오미자, 쑥, 다시마, 두송열매, 박하, 당귀, 어성초, 고본, 인삼, 목향, 황금, 감초, 갈근, 천궁, 솔잎 및 밤껍질(속껍질)로 구성된 생약조합, 바람직하게는, 오미자 30 내지 60 중량부, 쑥 5 내지 20 중량부, 다시마 5 내지 20 중량부, 두송열매 1 내지 5 중량부, 박하 1 내지 3 중량부, 당귀 1 내지 5 중량부, 어성초 1 내지 5 중량부, 고본 1 내지 3 중량부, 인삼 1 내지 3 중량부, 목향 1 내지 3 중량부, 황금 1 내지 5 중량부, 감초 1 내지 5 중량부, 갈근 1 내지 5 중량부, 천궁 1 내지 5 중량부 솔잎 1 내지 5 중량부, 밤껍질 1 내지 3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오미자 40 내지 50 중량부, 쑥 8 내지 15 중량부, 다시마 8 내지 15 중량부, 두송열매 1 내지 3 중량부, 박하 1 내지 2 중량부, 당귀 1 내지 3 중량부, 어성초 1 내지 3 중량부, 고본 1 내지 2 중량부, 인삼 1 내지 2 중량부, 목향 1 내지 2 중량부, 황금 1 내지 3 중량부, 감초 1 내지 3 중량부, 갈근 1 내지 3 중량부(2), 천궁 1 내지 3 중량부, 솔잎 1 내지 3 중량부, 밤껍질 1 내지 2 중량부로 구성된 생약조합을 18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5℃에서 20일 내지 60일, 바람직하게는, 30일 내지 90일간 자연건조하여 건조된 생약조합을 얻는 제 1단계; 전통 항아리에서 제 1단계의 건조된 생약 조합을 부직포 주머니에 취합해 제 1차 생약조합 부피의 1 내지 50배 부피(v/v),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배 부피(v/v)의 정제수를 가하고 18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28℃에서 1일 내지 14일, 바람직하게는, 5일 내지 10일간 발효시켜 생약조합 발효물을 얻는 제 2단계; 제 2단계의 발효된 생약조합 발효물을 진공저온농축기기에 넣어 생약조합 발효물 부피의 1 내지 50배 부피(v/v),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배 부피(v/v)의 물을 가하고 7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5시간 내지 12시간동안 증류추출하여 제 1차 증류 추출물(SK)을 얻는 제 3단계; 제 3단계의 제 1차 증류 추출물(SK)에 추가 오미자를 제 1차 증류 추출물 부피대비 1 내지 10%(w/v),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w/v)를 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오미자 중량 대비 1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배 부피의 증류수에 넣고 15 내지 55℃,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에서 1시간 내지 12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초음파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 4단계; 제 4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하고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에서 농축 건조하는 5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오미자 함유 초음파 증류 추출물 (SKUS)을 얻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차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오미자, 쑥, 다시마, 두송열매, 박하, 당귀, 어성초, 고본, 인삼, 목향, 황금, 감초, 갈근, 천궁, 솔잎 및 밤껍질(속껍질)로 구성된 생약조합, 바람직하게는, 오미자 30 내지 60 중량부, 쑥 5 내지 20 중량부, 다시마 5 내지 20 중량부, 두송열매 1 내지 5 중량부, 박하 1 내지 3 중량부, 당귀 1 내지 5 중량부, 어성초 1 내지 5 중량부, 고본 1 내지 3 중량부, 인삼 1 내지 3 중량부, 목향 1 내지 3 중량부, 황금 1 내지 5 중량부, 감초 1 내지 5 중량부, 갈근 1 내지 5 중량부, 천궁 1 내지 5 중량부 솔잎 1 내지 5 중량부, 밤껍질 1 내지 3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오미자 40 내지 50 중량부, 쑥 8 내지 15 중량부, 다시마 8 내지 15 중량부, 두송열매 1 내지 3 중량부, 박하 1 내지 2 중량부, 당귀 1 내지 3 중량부, 어성초 1 내지 3 중량부, 고본 1 내지 2 중량부, 인삼 1 내지 2 중량부, 목향 1 내지 2 중량부, 황금 1 내지 3 중량부, 감초 1 내지 3 중량부, 갈근 1 내지 3 중량부(2), 천궁 1 내지 3 중량부, 솔잎 1 내지 3 중량부, 밤껍질 1 내지 2 중량부로 구성된 생약조합을 18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5℃에서 20일 내지 60일, 바람직하게는, 30일 내지 90일간 자연건조하여 건조된 생약조합을 얻는 제 1단계; 전통 항아리에서 제 1단계의 건조된 생약조합을 부직포 주머니에 취합해 생약조합 부피의 1 내지 50배 부피(v/v),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배 부피(v/v)의 정제수를 가하고 18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28℃에서 1일 내지 14일, 바람직하게는, 5일 내지 10일간 발효시켜 생약조합 발효물을 얻는 제 2단계; 제 2단계의 발효된 생약조합 발효물을 진공저온농축기기에 넣어 생약조합 발효물 부피의 1 내지 50배 부피(v/v),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배 부피(v/v)의 물을 가하고 7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5시간 내지 12시간동안 증류추출하여 제 1차 증류 추출물(SK)을 얻는 제 3단계; 제 3단계의 제 1차 증류 추출물(SK)에 추가 오미자를 제 1차 증류 추출물 부피대비 1 내지 10%(w/v),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w/v)를 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오미자 중량 대비 1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배 부피의 증류수에 넣고 6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 내지 10시간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 4단계; 제 4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하고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에서 증류추출물(SK)을 증발시키고 남은 잔사를 농축 및 건조하는 제 5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오미자함유 하늘호수 증류 잔사 추출물(하늘호수+ 4.5%, SKHS45)을 얻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실시예 1-5, 하늘호수+ 4.5%)
또한, 본 발명의 제 6차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오미자, 쑥, 다시마, 두송열매, 박하, 당귀, 어성초, 고본, 인삼, 목향, 황금, 감초, 갈근, 천궁, 솔잎 및 밤껍질(속껍질)로 구성된 생약조합, 바람직하게는, 오미자 30 내지 60 중량부, 쑥 5 내지 20 중량부, 다시마 5 내지 20 중량부, 두송열매 1 내지 5 중량부, 박하 1 내지 3 중량부, 당귀 1 내지 5 중량부, 어성초 1 내지 5 중량부, 고본 1 내지 3 중량부, 인삼 1 내지 3 중량부, 목향 1 내지 3 중량부, 황금 1 내지 5 중량부, 감초 1 내지 5 중량부, 갈근 1 내지 5 중량부, 천궁 1 내지 5 중량부 솔잎 1 내지 5 중량부, 밤껍질 1 내지 3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오미자 40 내지 50 중량부, 쑥 8 내지 15 중량부, 다시마 8 내지 15 중량부, 두송열매 1 내지 3 중량부, 박하 1 내지 2 중량부, 당귀 1 내지 3 중량부, 어성초 1 내지 3 중량부, 고본 1 내지 2 중량부, 인삼 1 내지 2 중량부, 목향 1 내지 2 중량부, 황금 1 내지 3 중량부, 감초 1 내지 3 중량부, 갈근 1 내지 3 중량부(2), 천궁 1 내지 3 중량부, 솔잎 1 내지 3 중량부, 밤껍질 1 내지 2 중량부로 구성된 생약조합을 18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5℃에서 20일 내지 60일, 바람직하게는, 30일 내지 90일간 자연건조하여 건조된 생약조합을 얻는 제 1단계; 전통 항아리에서 제 1단계의 건조된 생약조합을 부직포 주머니에 취합해 생약조합 부피의 1 내지 50배 부피(v/v),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배 부피(v/v)의 정제수를 가하고 18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28℃에서 1일 내지 14일, 바람직하게는, 5일 내지 10일간 발효시켜 생약조합 발효물을 얻는 제 2단계; 제 2단계의 발효된 생약조합 발효물을 진공저온농축기기에 넣어 생약조합 발효물 부피의 1 내지 50배 부피(v/v),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배 부피(v/v)의 물을 가하고 7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5시간 내지 12시간동안 증류추출하여 제 1차 증류 추출물(SK)을 얻는 제 3단계; 제 3단계의 제 1차 증류 추출물(SK)에 추가 오미자를 제 1차 증류 추출물 부피대비 1 내지 10%(w/v),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w/v)를 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오미자 중량 대비 1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배 부피의 증류수에 넣고 6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 내지 10시간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 4단계; 제 4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하고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에서 증류추출물(SK)을 2차 증발시켜 증발된 수증기를 모아 초고속 진공 저온 증류 추출기를 이용하여 농축시켜 얻은 제 2차 증류물을 회수하는 제 5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오미자함유 하늘호수 증류 증류물 추출물(하늘호수+ 4.5%, SKHS45-1))을 얻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활성, 피부 염증성 질환 및 피부노화의 치료 및 예방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활성, 피부 염증성 질환 및 피부노화의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피부 염증성 질환"은 염증성 피부염, 건선증, 상처, 아토피성 피부염증질환, 두드러기 ,알레르기, 홍조, 또는 붉은반점, 바람직하게는, 염증성 피부염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증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피부노화"는 주름살, 기미, 주근깨,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피부암, 바람직하게는, 주름살 또는 기미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활성, 피부 염증성 질환 및 피부노화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가 오미자“는 제 1차 증류 추출물(sk) 부피대비 1 내지 10%(w/v),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w/v),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w/v)를 추가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구체적으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함수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에탄올 가용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은 염증성 피부염, 건선증, 상처, 아토피성 질환, 바람직하게는 건선증, 상처, 아토피성 질환, 염증성 피부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토피성 질환 또는 염증성 피부염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추출물에 대하여 DPPH 라디칼 소거활성실험 (실험예 1-1); ABTS 라디칼 양이온 소거능 저해활성 측정실험 (실험예 1-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측정 실험 (실험예 2); MTT assay에 의한 세포 생존율 측정실험 (실험예 3); 질소 산화물(Nitric oxide) 측정실험 (실험예 4) 등을 통하여 항산화활성, 피부 염증성 질환 및 피부노화억제활성 등을 확인하여 항산화 및 피부노화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시료들은 오랫동안 생약 및 식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들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으며, 피부 첩포 시험에서 무자극 시료임이 입증되었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특정 효과를 갖는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 중량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에 대하여 DPPH 라디칼 소거활성실험 (실험예 1-1); ABTS 라디칼 양이온 소거능 저해활성 측정실험 (실험예 1-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측정 실험 (실험예 2); MTT assay에 의한 세포 생존율 측정실험 (실험예 3); 질소 산화물(Nitric oxide) 측정실험 (실험예 4) 등을 통하여 항산화활성 및 피부노화억제활성 등을 확인하여 항산화 및 피부노화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시료의 오미자 함량별 세포 독성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
도 2은 오미자 함량별 염증효과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SK(하늘호수) 증류 추출물의 제조
오미자 (13,500g), 쑥 (3,000g), 다시마 (3,000g), 두송열매 (600g), 박하 (300g), 당귀 (600g), 어성초 (600g), 고본 (300g), 인삼 (300g), 목향 (300g), 황금 (600g), 감초 (300), 갈근 (600g), 천궁, (600g) 솔잎 (600g), 밤껍질(속껍질)300g)을 반 응달(22~25℃)에서 1달 이상 자연 건조하여 시료를 건조하였다.
전통 항아리에서 상기한 건조시료들을 한 개의 부직포 주머니에 취합해 26~28℃에서 정제수 40L 를 부어 7일간 발효시켰다.
발효된 원료혼합물(상기 16개 원료)을 진공저온농축기기(COSMOS660.경서E&P)에 넣어 물 40 L를 투입하여 100℃에서 8시간동안 증류추출하여 20L의 증류 추출물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 시료에 사용하였다(이하, “SK"라 함).
실시예 1. 오미자 첨가 증류 추출물의 제조
상기 참고예 1에서 얻은 SK( 하늘호수 ) 증류 추출물 또는 일반 증류수에 각각 오미자 1, 3, 5% 함량(1g/100mL, 3/100mL, 5g/100mL)으로 첨가하여 열수추출(DM-3000, 대한메디안)과 초음파추출기(wiseclean, 대한과학)를 이용하여 초음파 추출로 진행하였고 각 추출물 효능 및 각 비율별의 염증 관련하여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추출하였다.
오미자 함량별 혼합하여 열수추출물은 20배량의 하늘호수 증류수, 일반증류수에 넣고 3시간 동안 90℃에서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No. 2 여과지 (Whatman,Kent, UK)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농축기(N-1110, EYELA)로 40℃ 온도에서 정제수를 증발시킨 후 4℃에 냉장 보관하여 하기 실험예 시료로 사용하였다.(표 1 내지 2 참조)
1-1. 증류수 열수 추출 추출물( DWHS1 , DWHS3 , DWHS5 ) 증류 추출물의 제조
오미자 함량별(오미자 1, 3, ,5% 함량(1g, 3g, 5g /100mL당) 혼합하여 오미자 중량 대비 20배량의 일반증류수에 넣고 3시간 동안 90℃에서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No. 2 여과지 (Whatman,Kent, UK)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농축기(N-1110, EYELA)로 40℃ 온도에서 정제수를 증발시켜 오미자 함량별(1, 3, 5%) 함량 증류수 열수 추출 추출물을 각각 얻고 (각각 DWHS1, DWHS3, DWHS5라 함) 이를 4℃에 냉장 보관하여 하기 실험예 시료로 사용하였다.
1-2. 증류수 초음파 추출 추출물( DWUS1 , DWUS3 , DWUS5 ) 증류 추출물의 제조
오미자 함량별(1g, 3g, 5g /100mL당) 혼합하여 오미자 중량 대비 20배량의 일반증류수에 넣고 2시간 동안 25-35℃에서 초음파 추출기(wiseclean, 대한과학)로 초음파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No. 2 여과지 (Whatman,Kent, UK)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농축기(N-1110, EYELA)로 40℃ 온도에서 정제수를 증발시켜 오미자 함량별(1, 3, 5%) 함량 증류수 초음파 추출 추출물을 각각 얻고 (각각 DWUS1, DWUS3, DWUS5라 함) 이를 4℃에 냉장 보관하여 하기 실험예 시료로 사용하였다.
1-3. 하늘호수 증류수 열수 추출물 ( SKHS1 , SKHS3 , SKHS5 ) 증류 추출물의 제조
오미자 함량별(1g, 3g, 5g /100mL당) 혼합하여 오미자 중량 대비 20배량의 참고예 1의 하늘호수 증류수에 넣고 3시간 동안 90℃에서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No. 2 여과지 (Whatman,Kent, UK)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농축기(N-1110, EYELA)로 40℃ 온도에서 정제수를 증발시켜 오미자 함량별(1, 3, 5%) 함량 하늘호수 증류수 열수 추출물을 각각 얻고 (각각 SKHS1, SKHS3, SKHS5라 함) 이를 4℃에 냉장 보관하여 하기 실험예 시료로 사용하였다.
1-4. 하늘호수 증류수 초음파 추출 추출물(SKUS1, SKUS3, SKUS5) 의 제조
오미자 함량별(오미자 1, 3, 5% 함량(1g, 3g, 5g /100mL당)혼합하여 오미자 중량 대비 20배량의 참고예 1의 하늘호수 증류수에 넣고 2시간 동안 25-35℃에서 초음파 추출기(wiseclean, 대한과학)로 초음파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No. 2 여과지 (Whatman,Kent, UK)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농축기(N-1110, EYELA)로 40℃ 온도에서 정제수를 증발시켜 오미자 함량별(1, 3, 5%) 함량 하늘호수 증류수 초음파 추출 추출물을 각각 얻고 (각각 SKUS1, SKUS3, SKUS5라 함) 이를 4℃에 냉장 보관하여 하기 실험예 시료로 사용하였다.
1-5. 하늘호수 추출물(하늘호수+ 4.5%) 의 제조
참고예 1의 하늘호수 증류수에 오미자 함량이 4.5% (4.5g/100mL당) 혼합하여 90℃에서 7시간 동안 가열하여 얻은 추출물을 No. 2 여과지 (Whatman,Kent, UK)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농축기(N-1110, EYELA)로 40℃ 온도에서 하늘호수(SK)액을 증발시켜고 남은 잔사를 농축하여 이를 4℃에 냉장 보관하여 하기 실험예 시료로 사용하였다.(각 SKHS45라 함)
1-6. SKH45의 증류물의 제조
참고예 1의 하늘호수 증류수에 오미자 함량이 4.5% (4.5g/100mL당) 혼합하여 90℃에서 7시간 동안 가열하여 얻은 추출물을 No. 2 여과지 (Whatman,Kent, UK)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농축기(N-1110, EYELA)로 40℃ 온도에서 하늘호수(SK)액을 2차 증발시켜 그 증발된 수증기를 모아 초고속 진공 저온 증류 추출기(DM-3000, 대한메디안)를 이용하여 농축시켜 얻은 증류물(SKHS45-1)을 모아 샘플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7127852412-pat00001
추출방법 및 오미자 함량별 시료 분류
NO 시료명 NO 샘플명
1 증류수 (DW) 9 하늘+열+3% (SKHS3)
2 하늘호수 (SK) 10 하늘+초+3% (SKUS3)
3 증류수+열+1% (DWHS1) 11 증류수+열+5% (DWHS5)
4 증류수+초+1% (DWUS1) 12 증류수+초+5% (DWUS5)
5 하늘+열+1% (SKHS1) 13 하늘+열+5% (DWHS5)
6 하늘+초+1% (SKUS1) 14 하늘+초+5% (SKUS5)
7 증류수+열+3% (DWHS3) 15 하늘호수+ 4.5% (SKHS45)
8 증류수+초+3% (DWUS3) 16 하늘호수+4.5%를 증류액 (SKHS45-1)
실험예 1. 항산화 효과 확인
1-1. 전자 공여능 (electron donating ability) 측정
상기 실시예 시료의 전자공여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26, 1199-1120.)
오미자 함량별 추출물의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D9132, Sigma Aldrich)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즉, 96-well plate에 에탄올에 녹인 1.5×10-4 M DPPH 용액 90 μL와 시료 10 μL를 첨가한 후 10분간 반응을 시킨 다음 microplate reader(spectraMax M5, Molecular Devices )로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농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DPPH 용액대신 에탄올을 첨가한 시료의 흡광도를 blank로 하였으며 메탄올을 넣은 것을 대조구로 하였다.
[수학식 1]
DPPH radical 소거활성(%)
= (1-10분후 측정한 시료의 흡광도변화×100/대조구의흡광도)
본 실험결과, 표 3과 같이 DPPH 측정하여 IC50 확인 결과 우리가 비타민C로 알고 있는 Ascorbic Acid를 대조구로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 Ascorbic Acid의 경우 9.7ppm에서 항산화 소거능을 보였으며, 혼합물 중 오미자 4.5% 하늘호수 증류액과 하늘호수 5% 열수 추출물과 5% 열수 증류액에서 210.3, 235.7, 239.2ppm 으로 높은 소거능이 나타났고, 특히 하늘호수에서 제조한 증류수와 하늘호수 증류액에 4.5% 오미자 첨가한 것은 다른 추출액보다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결과
시료 EC50 (ppm)
증류수 -
하늘호수  -
증류수+열+1% 1305
증류수+초+1% -
하늘+열+1% 381.3
하늘+초+1% -
증류수+열+3% 553.1
증류수+초+3% -
하늘+열+3% 6944
하늘+초+3% -
증류수+열+5% 239.2
증류수+초+5% -
하늘+열+5% 235.7
하늘+초+5% -
하늘+4.5 210.3
하늘호수+4.5%를 증류액 (SKHS45-1) 332.4
Ascorbic acid 9.7
1-2. ABTS 라디칼 양이온 소거능 저해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시료의 ABTS 라디칼 양이온 탈색화(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법에 의한 항산화 효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Roterta, R., P. Nicoletta, P. Anna, P. Ananth, Y. Min and R.E. Catherine.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Radic . Biol . Med . 26, 1231-1237.)
7mM의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A3219, Sigma Aldrich) 와 2.4mM potassium persulfate 용액(216224, Sigma Aldrich) 을 혼합하여 4시간 동안 방치하여 ABTs+를 형성시킨 후 이 용액을 734㎚에서 흡광값이 0.7~0.8이 되도록 몰 흡광계수(=3.6×104M-1-1)를 이용하여 에탄올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ABTs용액(A3219, Sigma Aldrich) 225㎕에 시료 25㎕에 가한 후, Multimicroplate reader-SpectraMax M5(Molecular Devices, USA)를 사용하여 734㎚에서 흡광도 값를 측정하였다. positive control로는 BHA(025-07615, Wako) 와 ascorbic acid(A5960, Sigma Aldrich) 를 사용하였고, 흡광도가 50% 감소할 때 나타나는 시료의 radical 소거능(IC50)으로 표시 하였으며 각 실험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2]
Figure 112017127852412-pat00002
표 4에서 나타난 것처럼 증류수에서 1%오미자 함량에 열수 추출한 것이 105.5ppm에서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고 또한 하늘호수 추출물에 오미자 함량별로 넣은것이 증류수보다 하늘호수 추출물에서 추출한 것이 전반적으로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다. 그러나 오미자의 함량이 많다고해서 소거능이 높은 것은 아니므로 함량을 줄이고 초음파보다는 열수 추출하는 것이 소거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ABTS radical 소거활성 결과
시료 EC50 (ppm)
증류수 -
하늘호수 4386
증류수+열+1% 105.5
증류수+초+1% 498.1
하늘+열+1% 390.2
하늘+초+1% 582.7
증류수+열+3% 413.1
증류수+초+3% 410.4
하늘+열+3% 357.8
하늘+초+3% 497.3
증류수+열+5% 367
증류수+초+5% 600.1
하늘+열+5% 342.5
하늘+초+5% 481.8
하늘+4.5 321
하늘호수+4.5%를 증류액 (SKHS45-1) 332
Ascorbic acid 7.8
실험예 2. 함량확인실험
상기 실시예 시료의 총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변형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1- 1.총 폴리페놀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의 측정은 20 μL의 추출물 96-well microtiter plate에 분주한 후, 1 N Folin-Ciocalteu 시약(F9252, Sigma Aldrich) 을 넣고 실온에서 3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10% sodium carbonate 용액(223530, Sigma Aldrich) 을 80 μL 가하여 1시간 반응시킨 후, 765 nm에서 흡광도(Infinite M 200, Tecan, Austria)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0-200 μg/mL의 갈산(G7384, Sigma Aldrich)를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고 시료 1g당 gallic acid의 함량(GAE)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표 5과 같다. 총 폴리페놀은 하늘호수 증류액에서도 오미자를 넣지 않아도 높은 폴리페놀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열수 추출물보다는 초음파 추출물에서 높은 폴리페놀이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오미자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하늘호수증류 추출물보다는 증류수에서 추출하는 것이 많은 폴리페놀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결과
Samples 100mg Ga/ml
증류수 -
하늘호수 12.1398
증류수+열+1% 10.885
증류수+초+1% 12.413
하늘+열+1% 11.762
하늘+초+1% 0.6131
증류수+열+3% 10.131
증류수+초+3% 13.026
하늘+열+3% 9.329
하늘+초+3% 7.933
증류수+열+5% 7.122
증류수+초+5% 13.432
하늘+열+5% 3.613
하늘+초+5% 6.103
하늘+4.5 11.904
하늘호수+4.5%를 증류액(SKHS45-1) 0.066
1-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측정은 추출물 100 μL와 에탄올(ethanol) 400 μL를 섞은 후, 500 μL 2% 염화 알루미늄(aluminum chloride)용액(237078, Sigma Aldrich) 을 첨가하여 1시간 반응시킨 후, 4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기기(spectraMax M5, Molecular Devices)로 측정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0-250 μg/mL의 농도의 퀘르세틴(quercetin) 용액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시료 1g 당 퀘르세틴(quercetin)의 함량(QE)으로 표시하였다.
각 시료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catechin equivalents로 환산한 결과는 표 6와 같다. 총 페놀과 비슷하게 하늘호수 증류액에서도 높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냈고, 총 페놀과 달리 초음파 추출물보다는 열을 가하는 열수 추출물에서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냈고 특히나 하늘호수에서 가공한 증류수에 4.5%오미자를 첨가한 추출물에서 269.63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오미자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총 플라보이드 함량이 증가하는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총 폴라보노이드 함량 결과
Samples 100mg Ga/ml
증류수 -
하늘호수 95.72861
증류수+열+1% 80.27139
증류수+초+1% 46.44444
하늘+열+1% 123.8449
하늘+초+1% 97.94421
증류수+열+3% 165.1404
증류수+초+3% 79.41844
하늘+열+3% 221.6331
하늘+초+3% 132.3433
증류수+열+5% 233.4496
증류수+초+5% 105.4232
하늘+열+5% 232.1598
하늘+초+5% 164.6203
하늘+4.5 75.32009
하늘호수+4.5%를 증류액 (SKHS45-1) 269.6378
실험예 3. MTT assay에 의한 세포 생존율 측정
세포 생존률 측정은 Carmichael 등의 방법[3]에 따라 측정하였다(Carmichael, J., W. G. DeGraff, A. F. Gazdar, J. D. Minna, and J. B. Mitchell.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 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RAW 264.7 세포(한국세포주 은행, KCLB.No 40071) 는 penicillin-streptomycin 100 unit/ml과 10% fetal bovine serum (Gibco, MD, USA)이 함유된 Duble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 MD, USA) 배지를 사용하여 37°C, 5% CO2 incubator(nu-4750G, NUAIRE) 에서 배양하였으며, 2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을 실시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을 위해 RAW 264.7 세포를 2×105 cells/ml로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추출물을 농도별(78, 156, 312, 625, 1,250, 2,500 μg/ml)로 처리 후 37°C,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CellTiter 96 aqueous non-radioactive cell proliferation assay reagent (Promega, WI, USA)를 첨가한 후, 37°C, 5% CO2 incubator에서 4시간 반응시켜 microplate reader(spectraMax M5, Molecular Devices) 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 모든 추출물을 농도별(312.5, 625, 1,250, 2,500 μg/ml)로 측정하였다. 특히 1,250ppm에서 특이적으로 증류수에 오미자 함량이 3%에서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나 차후 추가적인 실험을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모든 샘플에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 참조)
실험예 4. 질소 산화물(Nitric oxide)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시료의 nitric oxide(NO)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량에 대한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Yang JH et al.,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thylacetate fraction of Cliona celata,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011, 33(2), 373-379).
Nitrite 농도를 Griess 반응법을 기반으로 하여 분석하여 NO 생성 지표로 사용하였다. 세포를 배양하였던 상등액 100 μL나 sodium nitrite 표준액 0-10 μM (G296A, Promega)을 동일한 용량의 Griess 용액 0.1% N-(1-naphythyl) 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G295A, Promega) 와 5% HCl용액으로 1% sulfanilamide(G294A, Promega) 을 제조한 용액과 1:1로 혼합한 후 20분간 실온에 방치 후 Multimicroplate reader-SpectraMax M5(Molecular Devices, USA)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시료의 NO 생성 억제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그 중 가장 높은 농도인 2,500 ppm의 결과를 보면 23.02 μM의 NO를 발현한 control군보다 시료들은 낮은 NO를 발현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샘플에서 염증 반응효과가 있었는데 하늘호수 증류추출물의 열수에 오미자 함량 5%에서 7.8μM 나타났고, 오미자 3%에 초음파 추출물이 7.9μM로 나타남에 따라 컨트롤과 비슷한 수준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하늘호수 증류추출물 역시 8.81μM로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증류수에 오미자를 첨가하는것 보다는 하늘호수추출물에 오미자를 첨가하는 것이 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2 참조)
1.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 혼합물 중 오미자 4.5%에 하늘호수 증류액과 증류수와 하늘호수 증류액 5%에서 열수추출물에서 210.3, 235.7, 239.2ppm 으로 높은 소거능이 나타났고 특히 하늘호수에서 제조한 증류수와 하늘호수 증류액에 4.5% 오미자 첨가한것은 다른 추출액보다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는것을 확인할수 있었고 ABTS radical 소거활성 측정 결과 증류수에서 1%오미자 함량에 열수 추출한것이 105.5ppm에서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고 또한 하늘호수 추출물에 오미자 함량별로 넣은것이 증류수보다 하늘호수 추출물에서 추출한것이 전반적으로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다.
2. 총 폴리페놀 함량은 하늘호수 증류액에서도 오미자를 넣지 않아도 높은 폴리페놀을 가지는것을 확인할수 있었고 열수 추출물보다는 초음파 추출물에서 높은 폴리페놀이 나타나는것을 확인 되었다. 또한 오미자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하늘호수증류 추출물보다는 증류수에서 추출하는것이 많은 폴리페놀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3.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 함량 측정 결과 각 시료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catechin equivalents로 환산한 결과는 표4와 같다. 총 페놀과 비슷하게 하늘호수 증류액에서도 높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냈고, 총 페놀과 달리 초음파 추출물보다는 열을 가하는 열수 추출물에서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냈고 특히나 하늘호수에서 가공한 증류수에 4.5%오미자를 첨가한 추출물에서 269.63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오미자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총 플라보이드 함량이 증가하는것을 확인 할수 있었다.
4. 세포 생존률 분석 결과 특히 1,250ppm에서 특이적으로 증류수에 오미자 함량이 3%에서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나 차후 추가적인 실험을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모든 샘플에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염증효과를 보기 위한 산화질소(Nitric oxide, NO) 분석 결과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시료의 NO 생성 억제를 측정한 결과 2,500 ppm의 결과를 보면 23.02 μM의 NO를 발현한 control군보다 시료들은 낮은 NO를 발현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샘플에서 염증 반응효과가 있었는데 하늘호수 증류추출물의 열수에 오미자 함량 5%에서 7.8μM 나타났고, 오미자 3%에 초음파 추출물이 7.9μM로 나타남에 따라 컨트롤과 비슷한 수준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하늘호수 증류추출물 역시 8.81μM로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증류수에 오미자를 첨가하는 것 보다는 하늘호수추출물에 오미자를 첨가하는것이 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통계처리
실험 결과는 3회 반복 측정 후 평균 ± SD로 나타내었다. 통계분석은 SAS program (SAS Institue, Cary, NC, USA)을 이용하여 분석한 후 Duncan의 다중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크림, 맛사지크림, 로션, 스킨로션, 에센스, 팩, 클렌징폼의 제형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크림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112017127852412-pat00003
제형예 2. 맛사지크림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용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112017127852412-pat00004
제형예 3. 로션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112017127852412-pat00005
제형예 4. 스킨로션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Figure 112017127852412-pat00006
제형예 5. 에센스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Figure 112017127852412-pat00007
제형예 6. 팩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112017127852412-pat00008
제형예 7. 클렌징폼 조성물
수상과 오일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 검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112017127852412-pat00009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오미자 30 내지 60 중량부, 쑥 5 내지 20 중량부, 다시마 5 내지 20 중량부, 두송열매 1 내지 5 중량부, 박하 1 내지 3 중량부, 당귀 1 내지 5 중량부, 어성초 1 내지 5 중량부, 고본 1 내지 3 중량부, 인삼 1 내지 3 중량부, 목향 1 내지 3 중량부, 황금 1 내지 5 중량부, 감초 1 내지 5 중량부, 갈근 1 내지 5 중량부, 천궁 1 내지 5 중량부 솔잎 1 내지 5 중량부, 밤껍질 1 내지 3 중량부로 구성된 생약조합을 18 내지 35℃에서 20일 내지 60일간 자연 건조하여 건조된 생약조합을 얻는 제 1단계; 전통 항아리에서 제 1단계의 건조된 생약조합을 부직포 주머니에 취합해 제 1차 생약조합 부피의 1 내지 50배 부피(v/v)의 정제수를 가하고 18 내지 45℃에서 1일 내지 14일간 발효시켜 생약조합 발효물을 얻는 제 2단계; 제 2단계의 발효된 생약조합 발효물을 진공저온농축기기에 넣어 생약조합 발효물 부피의 1 내지 50배 부피(v/v)의 물을 가하고 70 내지 120℃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동안 증류추출 하여 제 1차 증류 추출물(SK)을 얻는 제 3단계; 제 3단계의 제 1차 증류 추출물(SK)에 추가 오미자를 제 1차 증류 추출물 부피대비 1 내지 10%(w/v)를 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오미자 중량 대비 1 내지 100배 부피의 증류수에 넣고 60 내지 110℃에서 30분 내지 12시간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 4단계; 제 4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하고 20 내지 60℃에서 농축 건조하는 5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오미자 함유 증류수 열수 추출물 (SKHS)을 얻는 제조방법.
  4. 오미자 30 내지 60 중량부, 쑥 5 내지 20 중량부, 다시마 5 내지 20 중량부, 두송열매 1 내지 5 중량부, 박하 1 내지 3 중량부, 당귀 1 내지 5 중량부, 어성초 1 내지 5 중량부, 고본 1 내지 3 중량부, 인삼 1 내지 3 중량부, 목향 1 내지 3 중량부, 황금 1 내지 5 중량부, 감초 1 내지 5 중량부, 갈근 1 내지 5 중량부, 천궁 1 내지 5 중량부 솔잎 1 내지 5 중량부, 밤껍질 1 내지 3 중량부로 구성된 생약조합을 18 내지 35℃에서 20일 내지 60일간 자연 건조하여 건조된 생약조합을 얻는 제 1단계; 전통 항아리에서 제 1단계의 건조된 생약 조합을 부직포 주머니에 취합해 제 1차 생약조합 부피의 1 내지 50배 부피(v/v)의 정제수를 가하고 18 내지 45℃에서 1일 내지 14일간 발효시켜 생약조합 발효물을 얻는 제 2단계; 제 2단계의 발효된 생약조합 발효물을 진공저온농축기기에 넣어 생약조합 발효물 부피의 1 내지 50배 부피(v/v)의 물을 가하고 70 내지 120℃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동안 증류 추출하여 제 1차 증류 추출물(SK)을 얻는 제 3단계; 제 3단계의 제 1차 증류 추출물(SK)에 추가 오미자를 제 1차 증류 추출물 부피대비 1 내지 10%(w/v)를 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오미자 중량 대비 1 내지 100배 부피의 증류수에 넣고 15 내지 55℃에서 1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초음파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 4단계; 제 4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하고 20 내지 60℃에서 농축 건조하는 5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오미자 함유 초음파 증류 추출물 (SKUS)을 얻는 제조방법.
  5. 오미자 30 내지 60 중량부, 쑥 5 내지 20 중량부, 다시마 5 내지 20 중량부, 두송열매 1 내지 5 중량부, 박하 1 내지 3 중량부, 당귀 1 내지 5 중량부, 어성초 1 내지 5 중량부, 고본 1 내지 3 중량부, 인삼 1 내지 3 중량부, 목향 1 내지 3 중량부, 황금 1 내지 5 중량부, 감초 1 내지 5 중량부, 갈근 1 내지 5 중량부, 천궁 1 내지 5 중량부 솔잎 1 내지 5 중량부, 밤껍질 1 내지 3 중량부로 구성된 생약조합을 18 내지 35℃에서 20일 내지 60일간 자연 건조하여 건조된 생약조합을 얻는 제 1단계; 전통 항아리에서 제 1단계의 건조된 생약조합을 부직포 주머니에 취합해 생약조합 부피의 1 내지 50배 부피(v/v)의 정제수를 가하고 18 내지 45℃에서 1일 내지 14일간 발효시켜 생약조합 발효물을 얻는 제 2단계; 제 2단계의 발효된 생약조합 발효물을 진공저온농축기기에 넣어 생약조합 발효물 부피의 1 내지 50배 부피(v/v)의 물을 가하고 70 내지 120℃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증류 추출하여 제 1차 증류 추출물(SK)을 얻는 제 3단계; 제 3단계의 제 1차 증류 추출물(SK)에 추가 오미자를 제 1차 증류 추출물 부피대비 1 내지 10%(w/v)를 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오미자 중량 대비 1 내지 100배부피의 증류수에 넣고 60 내지 110℃에서 30분 내지 24시간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 4단계; 제 4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하고 20 내지 60℃에서 증류추출물(SK)을 증발시키고 남은 잔사를 농축 및 건조하는 제 5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오미자함유 증류 잔사 추출물(SKHS45)을 얻는 제조방법.
  6. 오미자 30 내지 60 중량부, 쑥 5 내지 20 중량부, 다시마 5 내지 20 중량부, 두송열매 1 내지 5 중량부, 박하 1 내지 3 중량부, 당귀 1 내지 5 중량부, 어성초 1 내지 5 중량부, 고본 1 내지 3 중량부, 인삼 1 내지 3 중량부, 목향 1 내지 3 중량부, 황금 1 내지 5 중량부, 감초 1 내지 5 중량부, 갈근 1 내지 5 중량부, 천궁 1 내지 5 중량부 솔잎 1 내지 5 중량부, 밤껍질 1 내지 3 중량부로 구성된 생약조합을 18 내지 35℃에서 20일 내지 60일간 자연 건조하여 건조된 생약조합을 얻는 제 1단계; 전통 항아리에서 제 1단계의 건조된 생약조합을 부직포 주머니에 취합해 생약조합 부피의 1 내지 50배 부피(v/v)의 정제수를 가하고 18 내지 45℃에서 1일 내지 14일간 발효시켜 생약조합 발효물을 얻는 제 2단계; 제 2단계의 발효된 생약조합 발효물을 진공저온농축기기에 넣어 생약조합 발효물 부피의 1 내지 50배 부피(v/v)의 물을 가하고 70 내지 120℃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증류 추출하여 제 1차 증류 추출물(SK)을 얻는 제 3단계; 제 3단계의 제 1차 증류 추출물(SK)에 추가 오미자를 제 1차 증류 추출물 부피대비 1 내지 10%(w/v)를 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오미자 중량 대비 1 내지 100배 부피의 증류수에 넣고 60 내지 110℃에서 30분 내지 24시간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 4단계; 제 4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하고 20 내지 60℃에서 증류추출물(SK)을 2차 증발시켜 증발된 수증기를 모아 초고속 진공 저온 증류 추출기를 이용하여 농축시켜 얻은 제 2차 증류물을 회수하는 제 5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오미자함유 증류 증류물 추출물(SKHS45-1)을 얻는 제조방법.
  7. 제 3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
  8. 제 3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염, 건선증, 상처, 아토피성 피부염증질환, 두드러기, 알레르기, 홍조, 또는 붉은 반점으로 부터 선택된 피부 염증성 질환 의 치료 및 예방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9. 삭제
  10. 제 3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염, 건선증, 상처, 아토피성 피부염증 질환, 두드러기, 알레르기, 홍조, 또는 붉은 반점으로 부터 선택된 피부 염증성 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177420A 2017-12-21 2017-12-21 특정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KR102073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420A KR102073837B1 (ko) 2017-12-21 2017-12-21 특정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420A KR102073837B1 (ko) 2017-12-21 2017-12-21 특정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660A KR20190075660A (ko) 2019-07-01
KR102073837B1 true KR102073837B1 (ko) 2020-02-05

Family

ID=67255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420A KR102073837B1 (ko) 2017-12-21 2017-12-21 특정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713B1 (ko) * 2019-12-23 2021-11-17 주식회사 에스엘씨 수면 크림 화장료 및 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107B1 (ko) * 2004-01-12 2006-03-24 주식회사 생그린 피부노화방지 효능을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550A (ko) * 2008-03-12 2009-09-16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30008823A (ko) * 2011-07-13 2013-01-23 (주)그린주의 천연 약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산화성 및 항염증성 의약 조성물
KR101367423B1 (ko) * 2011-12-29 2014-02-2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15414A (ko) * 2014-04-04 2015-10-1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미자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상처치유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660A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739B1 (ko)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090055309A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0316A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33043B1 (ko) 비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170136378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6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73837B1 (ko) 특정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KR101799155B1 (ko) 한방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KR20190020946A (ko)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00058331A (ko)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170136911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48252B1 (ko) 인진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류코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99858B1 (ko) 한방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3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00000112A (ko) 피부염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KR102381251B1 (ko) 비파엽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피부 보습용, 피부 여드름 개선용 또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