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138B1 -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Phytoestrogenbio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Phytoestrogenbio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138B1
KR102465138B1 KR1020210020063A KR20210020063A KR102465138B1 KR 102465138 B1 KR102465138 B1 KR 102465138B1 KR 1020210020063 A KR1020210020063 A KR 1020210020063A KR 20210020063 A KR20210020063 A KR 20210020063A KR 102465138 B1 KR102465138 B1 KR 102465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skin
medicinal plant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6785A (ko
Inventor
이해연
김종래
이종욱
손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엘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엘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엘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210020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138B1/ko
Publication of KR20220116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마, 당귀, 산수유, 알팔파 및 인디안구스베리 등의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은 식물성 에스트로겐 성분 중 하나인 엘라그산 뿐 아니라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증가시키며, 항산화 효과,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 및 히알루론산 생성 증가를 통한 피부 개선 효과가 탁월하여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Phytoestrogenbio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ixed fermented extract of medicinal plants (Phytoestrogenbiom)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약용식물 혼합물의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노화 및 피부 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노화는 자연노화와 광노화로 나눈다. 피부는 노화됨에 따라 얇고, 건조해지며 주름지게 된다. 노화된 피부에서는 정상적인 표피 분화는 일어나지만, 각질형성세포의 분열감소로 얇아지게 되며, 진피 또한 결합조직의 감소로 얇아지게 된다. 반복적인 자외선 노출은 피부의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MMPs는 피부의 콜라겐 분해를 촉진시켜 피부의 주름을 형성하게 된다. 여성의 경우, 폐경기 이후에 가속화되는 피부 노화는 에스트로겐과 같은 호르몬의 결핍이 영향을 준다. 에스트로겐의 결핍은 자연노화뿐 아니라, 자외선 등 환경에 의한 피부 노화도 가속화 시켜 에스트로겐의 보충 및 유지가 피부 건강 및 항노화에 중요한 열쇠가 된다.
에스트로겐을 보충하는 방법으로는 여성 호르몬을 보충하는 보충 요법 및 식물성 에스트로겐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호르몬 보충요법은 폐경 초기의 혈관 운동성 증상과 정신적, 심리적 증상을 완화시키고, 생식기 및 피부의 위축을 예방하며, 골과 심혈관계를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호르몬 보충요법은 심장질환과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이 2002년 미국 국립보건원에서 나왔으며,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을 장기간 병용할 경우 유방암의 발병 위험이 큰 폭으로 증가한다는 연구(JAMA, 2010;304(15):1684-92)등이 나오면서 효용성 논란이 있다. 이에 반해 식물성 에스트로겐을 이용하면 유방암 등의 부작용이 없고 간단하게 섭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식물성 에스트로겐은 식물에서 유래된 성분들로 내분비계 내에서는 생성되지 않고 식물성 에스트로겐 식물들을 섭취하여 얻어지게 된다. 식물성 에스트로겐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비스테로이드성 화합물들로서 Estradiol (17-β-estradiol)과 비슷한 구조를 가져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결합하여, 에스트로겐에 대하여 작용제 또는 길항제로서 작용한다(Yildiz F (2005), ISBN 978-1-57444-508-4) 식물성 에스트로겐은 과일과 채소 등 500여종의 식물에 존재하며(이선행 (2015) ISSN 2287-9463), 크게 isoflavones, Flavanones, Flavonoids, Plant sterols, Coumestans, Stibens, lignans, 계열들의 물질들로 분류된다(Michelle Mostrom, ISBN:978-0-12- 382032-7). Daidzein, Genistein과 같은 isoflavone 계열의 물질은 주로 콩류에 있고, Secoisolariciresinol과 같은 lignans 계열의 물질들은 아마씨, 콩류, 옥수수, 과일, 채소에 있으며, Coumestrol과 같은 coumestans 계열의 물질들은 주로 발아 단계의 식물에 있다. 그 외 Ellagic acid와 같은 polyphenol 계열의 물질들은 석류 및 딸기 등에 존재한다(P Moutsatsou, Hormones, 2007, 6(3): 173-193) 식물성 에스트로겐은 갱년기, 골다공증 및 피부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피부 개선 관련해서는 식물성 에스트로겐 중 하나인 이소플라본이 많이 함유된 대두가 피부에서 MMPs의 합성을 억제하고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Varani J.,2000, J. Invest Dermatol, 114: 480-486).
피부는 외부 위해 요인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ultraviolet, UV)은 피부에 직접 전달되는 위해 요인으로, 파장의 길이에 따라 UVA (320-400 nm), UVB (290-320 nm), UVC (200-290 nm)로 구분된다. UVA와 UVB는 DNA를 직접적으로 손상시키거나, 활성산소종을 생성시켜 피부의 탄력저하, 주름 생성 등의 피부노화를 가속화 시킨다. 특히, 피부 표피에 존재하는 각질형성세포는 자외선에 노출되면 수분을 세포 내로 수송하는 aquaporin 3 단백질과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을 생성하는 효소인 HAS2 (hyaluronan synthase 2)의 발현이 감소되어 피부건조가 야기된다. 히알루론산은 고점도성, 보습성을 지닌 수용성 다당류로, 피부 조직의 수분 보유, 세포 성장 인자 및 영양성분의 저장과 확산에 관여한다.
피부 히알루론산을 증대시키는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4470호에 한약재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이 공개된 바 있다. 이는 숙지황, 황기, 녹차, 작약, 산수유, 갈근, 오미자, 당귀, 천궁, 계피, 대회향 및 돈태반 추출물을 발효시켜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동물성 성분인 돈태반 추출물을 사용하여 히알루론산 증대 효과를 달성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동물 보호 및 환경적 관점에서 동물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기피하고, 안전한 제품 및 건강한 성분을 찾는 소비자가 많아지면서, 천연 식물성 원료를 사용하여 피부 히알루론산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447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약용식물 혼합물의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식물성 에스트로겐 함량을 증가시키고 항산화 및 히알루론산 생성 증가를 통한 항노화 및 피부 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대상체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히알루론산 생성 증가를 통한 항노화 및 피부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항산화 및 히알루론산 생성 증가를 통한 항노화 및 피부 개선 용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승마, 당귀, 산수유, 알팔파 및 인디안구스베리로 이루어진 약용식물 혼합물의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승마(Cimicifugae Rhizoma)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Komarov), 촛대승마(Cimicifuga simplex Wormskjord), 눈빛승마(Cimicifuga dahurica Maximowicz) 또는 황새승마(Cimicifuga foetida Linne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뿌리줄기이다. 중국에서는 승마를 대삼엽승마로, 눈빛승마를 흥안승마로, 황새승마를 승마라고 한다. 일본에는 촛대승마 및 기타 동속 식물의 뿌리줄기를 쓴다. 한방에서는 발표투발(發表透發), 청열해독(淸熱解毒), 승거양기(升擧陽氣), 치풍열두통(治風熱頭痛)등의 본초학적 효능을 가지고 있다. 주요 성분으로는 isoferulic acid, ferulic acid, caffeic acid, 27-deoxyactein, cimicifugoside H-1 등이 있다. 승마는 항염증, 암세포 증식 저해작용, 교세포 활성 억제작용, 위염 및 위궤양 억제작용, 신경세포 보호작용, 골다공증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는 참당귀 (Angelicae gigias Nakai (산형과 Umbelliferae))가 기원식물로서 당귀의 뿌리를 약용부위로 사용한다. 한방에서 당귀는 보혈활혈(補血活血), 조경지통(調經止痛), 윤장통변(潤腸通便)의 효능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약효를 가진다. 혈허위황(血虛萎黃) 하여 양혈, 보혈작용이 있고 따라서 헐혀, 기혈부화에 의한 월경부조(月經不調)에 숙지황, 백작약, 천궁등과 함께 활용하는 부인과 조경의 요약이다. 헐허, 혈어, 혈한에 의한 여러 통증을 제거시킬 수 있으며 보혈활혈하고 탁독소종(托毒消腫)하여 외과의 상용약으로 쓰인다. 보혈하고 윤장통변하는 효능이 있으므로 나이가 들어 몸이 약해지거나 부녀의 산후가 생기는 혈허, 장조변비(腸燥便秘)에 육종용, 생수오, 화마인, 흑미자등의 윤장약을 가하여 쓴다. 주요 성분으로는 decusin, decusinol. nodakenin, demethylsuberosine 등이 있다. 당귀는 전뇌허혈에서의 보호 효능 및 신경교세포 활성화가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항동맥경화작용과 항혈소판 응집작용 등 심혈관계 효과 및 골다공증예방효과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산수유(Corni Fructus)는 산수유나무 Cornus officinalis Siebold et Zuccarini (층층나무과 Cornaceae))가 기원식물로서 약용부위는 씨를 제거한 잘 익은 열매를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이 약의 약성은 산(酸), 미온(微溫)하며 간, 신장으로 들어가 보익간신(補益肝腎), 수렴고삽(收斂固澁)의 효능을 갖는다고 하였다. 주요 성분으로는 loganin, morroniside, Betulinic acid, Gallic acid 등을 가지고 있으며, 혈소판응집억제, 혈관억제 작용 및 호흡기계 질환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알팔파(Medicago sativa L.)는 국내에서는 자주개자리로 불리며,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속씨식물로, 미국, 캐나다, 프랑스, 중동, 남아프리카 등 수많은 나라에서 중요한 여물 작물로 경작되었다. 주요 성분으로는 apigenin, luteolin, coumesterol, saponin 등을 가지고 있으며, 피부 개선 및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주는 효능 등이 알려져 있다.
인디안구스베리(Phyllanthus emblica L.)는 엠블리카 오피시날(Emblica officinalis Gaertn) 또는 암라(Amla)라고도 하며 각 지방 또는 언어에 따라 고유의 명칭을 가지고 있다. 네팔을 비롯한 남부 아시아와 말레이시아 지역을 포함하는 동남아시아 지역 및 중부 남부 등 넓은 지역에 걸쳐 자생하는 식물로서 gallic acid, quercetin, Ellagic acid 등의 성분을 가지고 있다. 효능은 항산화, 항종양, 항염증 활성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은 승마, 당귀, 산수유, 알팔파 및 인디안구스베리를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에 의해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혼합 추출물을 발효하여 발효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승마 10 내지 30 중량%, 당귀 10 내지 30 중량%, 산수유 10 내지 30 중량%, 알팔파 10 내지 30 중량%, 인디안구스베리 1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 원물을 동량비(w/w)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로는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용매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용매는 1 : 10(w/w) 내지 1 : 30(w/w)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으나, 비율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 방법으로는 초음파 추출, 열 추출, 냉침 추출 및 환류 냉각 추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1회 또는 다수 회 반복하여 추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온도는 40 내지 80℃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시간도 12 내지 36시간 동안의 추출시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효(fermentation)란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작용을 통해 천연물 원재료를 유용하게 변화시키는 것을 뜻한다. 여기서 유용한 변화는 원재료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유효성분으로 전환하거나, 원재료에 존재하던 유효성분을 증가시키는 등의 변화를 의미하는데, 천연물 내의 유효성분은 일반적으로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등의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함량 증가는 피부에 유효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혼합 추출물의 발효에 의한 유효성분 증가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효능을 비교하여 증대된 피부 개선 효과를 입증하였다.
상기 혼합 발효추출물은 혼합 추출물에 105 내지 108 cells/ml의 일정의 농도로 발효군를 접종하고, pH 5 내지 8, 온도 40 내지 80℃, 습도 60 내지 80% 로 유지하면서, 조건에 따라 24 내지 120시간 동안 배양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발효균으로 락토바실러스균(Lactobacillus)을 사용하며, 락토바실러스균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생성된 발효 산물 내에 남아있는 균체는 오토클레이브와 같은 가압멸균 조건에서 전부 멸균시킨다. 상기 발효물을 여과하여 혼합 발효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발효에 의해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및 식물성 에스트로겐 성분인 엘라그산 함량이 증가하고, 항산화 활성이 증가한다. 상기 항산화 활성으로는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을 확인하였다.
일 구현예에서 엘라그산 함량의 경우, 발효 전 추출물(승마, 당귀, 산수유, 알팔파 및 인디안구스베리로 이루어진 약용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은 1 내지 10 mg/100g,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mg/100g, 더 바람직하게는 4±0.4 mg/100g의 엘라그산을 함유하는 것이고, 상기 발효에 의해 얻어진 본 발명의 약용식물 혼합물의 발효추출물은 5 내지 50 mg/100g,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mg/100g, 더 바람직하게는 17±2 mg/100g의 엘라그산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승마, 당귀, 산수유, 알팔파 및 인디안구스베리로 이루어진 약용식물 혼합물의 발효추출물이 피부 히알루론산 생성을 촉진하는 용도를 갖는다는 놀라운 사실을 밝혀내었다.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은 고점도성, 보습성, 생체 적합성의 특징을 지닌 수용성 다당류의 생체 고분자 물질이다. 피부 내 히알루론산의 감소는 피부를 건조하게 할 뿐만 아니라, 피부 볼륨을 위축시켜 피부의 주름 증가, 탄력 감소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약용식물들의 항산화 용도는 많이 알려져 있지만, 피부 내 히알루론산 생성을 촉진시키는 용도는 항산화 용도와는 상이한 새로운 용도이다. 피부 내 히알루론산의 함량은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hyaluronic acid synthase)에 의한 생합성과, 히알루론산 분해 효소(hyaluronidase)에 의한 분해에 의해 조절된다. 기존 약용식물들의 히알루론산 분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는 연구된 바 있지만, 피부 주름 개선과, 볼륨 및 탄력의 유의한 증가를 위해서는 단지 히알루론산 분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피부 내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활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자들이 밝혀낸 바에 따르면, 승마, 당귀, 산수유, 알팔파 및 인디안구스베리로 이루어진 약용식물 혼합물의 발효추출물은 피부 히알루론산 생성을 촉진하는 활성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서,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피부 각질세포에서의 히알루론산 생성량을 100%로 하였을 때, 본 발명의 승마, 당귀, 산수유, 알팔파 및 인디안구스베리로 이루어진 약용식물 혼합물의 발효추출물을 처리한 피부 각질세포에서의 히알루론산 생성량은 110% 이상, 115% 이상, 120% 이상, 125% 이상, 130% 이상, 135% 이상, 140% 이상, 145% 이상, 또는 150% 이상이다.
상기 히알루론산 생성 효능에 더하여,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자극에 의한 피부각질세포에서의 세포 손상을 억제하는 효능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이용된 혼합 추출물 및 혼합 발효추출물을 100배 희석한 시료는 인간각질세포(human keratinocyte cell line, HaCaT)를 이용한 실험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평가한 HaCaT의 자외선에 의한 손상 억제 활성은 UVB를 이용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이의 자극은 UVA 또는 UVA와 UVB 혼합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이외에 용해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비타민, 향료 또는 안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용액, 유탁액, 현탁액, 겔, 로션, 크림, 페이스트,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발효수,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영양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헤어토닉, 헤어샴푸, 린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바디클렌즈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에는 약용식물 발효추출물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석류씨 오일과 같은 천연 성분 함유 조성물,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스핑고 지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된다.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시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니드 에테르 설페이드,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눌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및 부탄 또는 디메틸 에티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겔 또는 크림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전술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화장품은 미스트, 세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유연수, 유액, 아스트리젠트, 토너,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와 같은 기초화장품;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부머, 톤업 크림, 컨실러, 파운데이션, BB크림, CC크림, 틴티드 모이스처라이저, 파우더, 압축파우더, 하이라이터, 셰이딩, 블러셔, 아이브로우, 아아라이너, 아이셰도우, 마스카라, 루즈, 립스틱, 립글로스, 립틴트, 립밤과 같은 색조화장품; 선크림, 선오일, 선로션, 선팩트와 같은 선스크린 제품; 모발 트리트먼트제, 모발클리닉제, 모발영양제, 모발케어제, 모발세정제, 샴푸, 린스,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로션, 헤어젤, 헤어팩, 헤어크림, 헤어에센스, 헤어파우더, 헤어스프레이, 헤어오일, 헤어스타일링제, 염색후처리제, 펌제와 같은 헤어제품; 및 바디로션, 바디에센스, 바디미스트, 바디세정제, 입욕제와 같은 바디제품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기재된 모든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한국, 중국, 미국, 유럽, 일본 등의 관련 법규, 규범 (예를 들어, 화장품 안전 기준 등에 관한 규정(한국), 화장품 안전 기술 규범(중국), 식품공전(한국), 식품첨가물공전(한국), 건강기능식품공전(한국)) 등에서 규정한 최대사용치를 초과하지 않는다. 즉,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또는 퍼스널 케어용 조성물은 각국의 관련 법규, 규범에서 허용되는 함량 한도로 본 발명에 따른 성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당귀, 알팔파, 산수유 및 인디안구스베리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약용식물 발효추출물은,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엘라그산의 함량 및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증가 시키며, 항산화 활성의 증대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 및 히알루론산 생성 증가를 통한 피부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인간 유래 피부각질세포인 HaCaT에서 UVB 자극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자외선의 자극은 세포에 UVB를 10 mJ로 직접 조사하였으며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 및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을 100배 희석하여 투여한 결과이다. Student's t-test에 의하여 유의성 검토를 하였다(*, p < 0.05 vs 대조구).
도 2는 인간 유래 피부각질세포인 HaCaT에서 UVB 자극 후 생성되는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세포에 UVB를 20 mJ로 직접 조사한 후 6시간 동안의 생성량을 비교 하였으며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 및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을 100배 희석하여 투여한 결과이다. Student's t-test에 의하여 유의성 검토를 하였다(*, p < 0.05 vs 대조구).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양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으로 고지된 수준의 기술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실시예
<비교예 1> 승마, 당귀, 알팔파, 산수유 및 인디안구스베리 혼합 약용식물 추출물 제조
본 비교예에서는 승마, 당귀, 알팔파, 산수유 및 인디안구스베리로 구성된 약용식물 혼합물을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승마 당귀, 알팔파, 산수유 및 인디안구스베리를 정량한 뒤 수세하고 여기에 20배량의 증류수를 가한 후, 냉각 콘덴서를 장착하여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막은 상태에서 24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여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승마, 당귀, 알팔파, 산수유 및 인디안구스베리 혼합 약용식물 발효추출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을 이용하여 발효를 수행하였다.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을 가열 멸균된 용기에 1/3 수준으로 채우고 121℃에서 20분 동안 멸균을 실시하였다. 상기 가압 멸균한 추출물에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brevis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를 106 ~ 107 cell/mL 농도로 1 ~ 5%(w/w) 접종하고 pH 6 ~ 8, 온도 30 ~ 40℃ 및 습도 60 ~ 80%를 유지하며 24 ~ 120시간 배양하여 발효하였다. 상기 발효물을 여과하여 약용식물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식물성 에스트로겐 성분인 엘라그산의 함량 비교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 및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에 함유된 엘라그산의 함량을 비교하기 위해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준 용액 제조를 위해 표준물질 적정량을 메탄올로 용해하여 0.5 mg/mL 가 되게 녹여 표준원액으로 하였다. 상기 용액을 진탕하여 녹인 후 메탄올로 희석하여 표준용액으로 하였다. 시험용액 제조를 위해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 및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 각 0.5g을 정밀히 칭량하여 적당한 용기에 넣고 메탄올 40 mL로 용해 후 1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였다. 상기 용액을 0.22 ~ 0.45 μm PTFE 또는 PVDF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조건으로서, 검출기는 자외부흡광광도계(측정파장 370 nm)를 사용하였고, 칼럼은 안지름 4 ~ 6 mm, 길이 15 ~ 25 cm인 스테인레스강관에 5 ~ 10 μm 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프용 옥타데실릴실리카겔을 충전하였다. 칼럼온도는 40℃ 부근의 일정 온도이며, 이동상으로 이동상 A 및 이동상 B를 가지고 단계적 또는 농도기울기적으로 제어하였다. 이동상 A는 0.85% 인산 : 메탄올 = 6 : 4 이고 이동상 B는 메탄올이었다. 실험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엘라그산 함량
(mg/100g)
함량 평균
(mg/100g)
비교예 1-1 4.1 4.1
비교예 1-2 4.2
비교예 1-3 3.9
실시예 1-1 17.2 17.0
실시예 1-2 16.9
실시예 1-3 17.0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이 비교예 1의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에 비해 엘라그산의 함량이 약 4.15배로써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총 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96 well plate에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 또는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 10 μL를 넣고, 0.2M Folin-Ciocalteu reagent 90 μL과 혼합하고 25℃에서 5분간 방치하였다. 10% sodium carbonate 용액 100 μL과 25℃에서 30분 반응시키고,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검량선으로 gallic acid를 0 ~ 4 mg/mL 농도로 확인하였으며, 총 페놀의 표준 함량은 GAE (gallic acid equivalent, μg/mL)로 계산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96 well plate에 화장수 10 μL과 0.25% NaNO2 90 μL를 넣고, 1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2% AlCl3·6H2O를 50 μL 넣고 1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1N NaOH 50 μL을 넣고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검량선은 catechin을 0 ~ 4 mg/mL 농도로 검량선을 확인하였으며, 시료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CE (catechin equivalent, μg/mL)로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측정항목 비교예 1 실시예 1 발효 후 증가율
총 페놀 함량
(GAE, mg/mL)
1.38±0.02 2.83±0.11 205.3%로 증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CE, mg/mL)
0.85±0.03 1.54±0.03 181.1%로 증가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이 비교예 1의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에 비해 총 페놀 함량은 205.3%,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81.1%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의 발효에 따른 자외선 보호 활성 평가 비교
3-1. UVB 자극에 의한 피부각질세포 손상 억제 활성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 및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로, 인간유래 피부각질세포인 HaCaT 세포에서의 자외선 자극에 따른 보호 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HaCaT 세포는 10% FBS를 함유한 DMEM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자외선 자극은 5 x 104 cells/mL로 96 well plate에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기로 UVB (10 mJ/cm2)를 조사하였다. 자외선 자극 직후, 100배 희석한 시료를 배지와 함께 첨가하고, 24시간 배양 후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MTT assay는 MTT solution (5 mg/mL in PBS)을 FBS가 무첨가된 DMEM에 10% 농도로 희석하여, 30분간 세포를 배양시키고, 생성된 formazan crystal을 DMEM에 녹여 흡광도(590 nm)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자외선 자극을 실시하면 세포생존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샘플 처리량 10 μL 기준으로, 비교예 1인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은 대조구 대비 8%로 보호활성이 거의 없는데 반해, 실시예 1인 약용식물 발효추출물의 시료는 90%로 높은 보호활성을 나타내었다.
3-2. UVB 자극에 의한 피부각질세포의 히알루론산 생성 활성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 및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로, 인간유래 피부각질세포인 HaCaT 세포에서의 자외선 자극 후 히알루론산 생성 활성을 평가하였다. HaCaT 세포는 10% FBS를 함유한 DMEM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자외선 자극은 5 x 104 cells/mL로 96 well plate에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기로 UVB (20 mJ/cm2)를 조사하였다. 자외선 자극 직후, 100배 희석한 시료를 FBS가 함유되지 않은 DMEM배지와 함께 처리하였다. 6시간 배양 후 배지를 e-tube로 옮겨서 14,000 rpm에서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을 ELISA kit로 측정하였다.
시료 무처리군을 음성대조군으로 하고, 시료로서 1.25 μL 및 2.5 μL 처리군을 실험군으로 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는 All-trans-retinoic acid (ATRA, sigma) 1 μM을 사용하였다.
시료 무처리구에서 히알루론산 생성량을 100%로 하여 히알루론산 생성량을 계산한 결과, 양성대조군에서는 110%로 확인되었고, 비교예 1인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에서는 107%, 100%로 확인되었으며, 실시예 1인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에서는 113%, 126%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실시예 1인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에서는 113%, 126%로 발효에 의해 히알루론산 생성 활성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실험예 4> 약용식물 발효 혼합 추출물의 발효에 따른 항산화 활성 비교
4-1. DPPH 라디칼 소거능
DPPH (2,2-Diphenyl-1 picrylhydrazyl)는 안정한 라디칼로, 이의 소거능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DPPH를 99.9% 에탄올에 4 wt%로 녹인 후 DW에 1:1로 희석하고, 0.4 μm syringe filter로 여과 하였다. 제조된 DPPH solution을 96 well plate에 190 μL 넣고, 100배 희석한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 및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을 각 10 μL 씩 넣어 20분간 반응한 후,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대조구의 흡광도 값을 100%로 하고, 감소한 흡광도 값으로 소거능을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는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측정 비교예 1 실시예 1 발효 후 증가율
DPPH 라디칼 소거능
(%)
43.3±10.7 81.7±5.4 188.7%로 증가
상기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비교예 1인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에서 43.3%, 실시예 1인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은 81.7%로 발효에 따른 라디칼 소거능이 188.7% 수준으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4-2 CUPRAC 활성 비교
CUPRAC (cupric ion reducing antioxidant capacity)은 구리이온을 환원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10 mM CuCl2, 75 mM neocuproine을 에탄올에 녹인 용액을 준비하고, 실험 직전에 1:1로 혼합 및 DW에 100배로 희석하였다. 제조된 시약을 96 well plate에 190 μL 넣고,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 및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을 각 10 μL 씩 넣어 3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검량선은 ascorbic acid를 0 ~ 0.5 mg/mL 농도에서 확인하였으며,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 및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의 환원력은 ascorbic acid equivalent (ASE, mg/mL)로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는 아래 표4에 나타내었다.
측정 비교예 1 실시예 1 발효 후 증가율
환원력
(ASE, mg/mL)
3.35±0.08 5.92±0.04 176.8%로 증가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구리이온 환원력은 비교예 1인 약용식물 혼합 추출물은 3.35 mg/mL ASE로, 실시예 1인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은 5.92 mg/mL로 확인되어, 발효에 따른 환원력이 176.8% 수준으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재는 본 발명을 예시한 것일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발효화장수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이 포함된 화장수를 하기 표 5와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
인디안구스베리 등 5종 발효 추출물 1.0
석류씨 오일 0.2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0.1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재 미량
정제수 잔량
<제조예 2> 로션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이 포함된 로션을 하기 표 6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
인디안구스베리 등 5종 발효 추출물 1.0
석류씨 오일 0.2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2.0
솔비단 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 파라핀 10.0
소르비단 스테아레이트 2.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스테아린산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프로필렌글리콜 4.0
카르복시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3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제조예 3> 크림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이 포함된 크림을 하기 표 7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
인디안구스베리 등 5종 발효 추출물 1.0
석류씨 오일 0.2
스테아린산 2.0
세틸알콜 2.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단모소스테아레이트 0.5
솔비단세스퀴올레이트 0.5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왁스 1.0
유동파라핀스 3.0
스쿠알란 3.0
카프릴릭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부틸렌글리콜 5.0
글리세린 2.5
트리에탄올 아민 0.5
정제수 잔량
<제조예 4> 에센스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이 포함된 에센스를 하기 표 8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
인디안구스베리 등 5종 발효 추출물 1.0
석류씨 오일 0.2
시토스테롤 2.0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세라마이드 1.0
스테아레스-4 1.5
콜레스테롤 2.0
디세틸포스페이트 0.5
농글리세린 5.0
마카다미아 오일 2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산탄검 0.3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열거된 제조예 이외에도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제형에 따라 실시예 1에 따른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이 포함된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명확히 이해할 것이다.

Claims (8)

  1. 승마, 당귀, 산수유, 알팔파 및 인디안구스베리로 이루어진 약용식물 혼합물의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용식물 혼합물이 승마 10 내지 30 중량%, 당귀 10 내지 30 중량%, 산수유 10 내지 30 중량%, 알팔파 10 내지 30 중량% 및 인디안구스베리 1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용식물 혼합물의 발효추출물은 약용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유산균주를 접종하여 발효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용식물 혼합물의 발효추출물은 발효하기 전의 약용식물 혼합물의 추출물과 비교하여 식물성 에스트로겐 함량이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용도, 히알루론산 생성 용도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 용도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석류씨 오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기초화장품, 색조화장품, 선스크린 제품, 헤어제품 및 바디제품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장품.
KR1020210020063A 2021-02-15 2021-02-15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Phytoestrogenbio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65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063A KR102465138B1 (ko) 2021-02-15 2021-02-15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Phytoestrogenbio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063A KR102465138B1 (ko) 2021-02-15 2021-02-15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Phytoestrogenbio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785A KR20220116785A (ko) 2022-08-23
KR102465138B1 true KR102465138B1 (ko) 2022-11-09

Family

ID=83092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063A KR102465138B1 (ko) 2021-02-15 2021-02-15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Phytoestrogenbio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467B1 (ko) 2023-05-04 2023-11-23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주개자리씨 유래 당단백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2310A (ja) 2002-11-08 2006-04-13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トング アムラ(別名フィランタスエンブリカ)抽出物の経口投与による日光に誘発される(sun−induced)損傷からの皮膚の保護方法
JP2010229111A (ja) 2009-03-27 2010-10-14 Shiseido Co Ltd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302B1 (ko) * 2005-05-09 2007-03-26 주식회사한일양행 석류 씨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1319984B1 (ko) * 2011-06-17 2013-10-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킨 산수유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40025737A (ko) * 2012-08-22 2014-03-05 코웨이 주식회사 산성 이온수를 이용한 새싹 발효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로써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21752B1 (ko) * 2014-05-09 2015-05-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41927B1 (ko) 2019-07-24 2019-11-07 윤석호 한약재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2310A (ja) 2002-11-08 2006-04-13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トング アムラ(別名フィランタスエンブリカ)抽出物の経口投与による日光に誘発される(sun−induced)損傷からの皮膚の保護方法
JP2010229111A (ja) 2009-03-27 2010-10-14 Shiseido Co Ltd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785A (ko)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9811B2 (ja) 皮膚外用剤
KR101207557B1 (ko) 백합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86225B1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52363B1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CN107412031A (zh) 含有橘皮素的皮肤外用剂组合物
KR201701375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10078672A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65138B1 (ko)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Phytoestrogenbio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8984A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05050662B (zh) 翅果南星属(Laserpitium siler L.)精油抗皮肤老化的征兆和作为抗氧化剂的美容用途
KR101753306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2498980B1 (ko)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10121775A (ko) 금꿩의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57790B1 (ko) 황숙종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6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10122448A (ko)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6055A (ko) 나도개감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8536A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19723B1 (ko) 황금연꽃바나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