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577A - 광학계 구동장치, 광학계 위치제어장치 및 위치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광학계 구동장치, 광학계 위치제어장치 및 위치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577A
KR20200056577A KR1020180140420A KR20180140420A KR20200056577A KR 20200056577 A KR20200056577 A KR 20200056577A KR 1020180140420 A KR1020180140420 A KR 1020180140420A KR 20180140420 A KR20180140420 A KR 20180140420A KR 20200056577 A KR20200056577 A KR 20200056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signal
magnet
magnets
optica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4925B1 (ko
Inventor
박철순
손정민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주) filed Critical 자화전자(주)
Priority to KR1020180140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925B1/ko
Priority to US16/357,847 priority patent/US11029374B2/en
Priority to CN201910298528.4A priority patent/CN111190279B/zh
Priority to CN202110895147.1A priority patent/CN113552714A/zh
Priority to CN201920503412.5U priority patent/CN210142238U/zh
Priority to DE112019002925.8T priority patent/DE112019002925T5/de
Priority to PCT/KR2019/006523 priority patent/WO2020101135A1/ko
Publication of KR20200056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925B1/ko
Priority to US17/242,789 priority patent/US2021024746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1Scanning systems with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ng means, e.g. raster or XY scan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all device and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 G01R33/072Constructional adaptation of the sensor to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광학계 구동장치는 광축과 수직한 제1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제1캐리어; 렌즈 방향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광학계가 구비되며, 상기 제1캐리어에 수용되어 상기 제1캐리어를 기준으로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방향 모두에 수직한 제2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제2캐리어; 상기 제2캐리어에 구비되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 개 마그네트; 상기 복수 개 마그네트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 홀센서; 및 상기 복수 개 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제2캐리어의 현재 위치에 대한 신호인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위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학계 구동장치, 광학계 위치제어장치 및 위치제어방법 {APPARATUS FOR OPERATING OPTICAL-REFLECTO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OPTICAL-REFLECTOR}
본 발명은 광학계 구동장치, 광학계 위치제어장치 및 위치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이동 변위를 가지는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홀 센서를 이용하여 광학계의 위치를 더욱 정밀하게 구동 내지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 사용자 환경 등의 변화에 따라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모바일 단말)에는 통신을 위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능이 통합적으로 구현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 중 하나로 사용자의 손떨림 등을 보정하여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촬영되도록 하는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를 들 수 있다.
OIS는 손떨림 등의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렌즈 또는 렌즈가 장착된 캐리어를 보정 이동시켜 선명한 화질이 생성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렌즈가 장착된 캐리어의 위치(렌즈의 위치를 표상함)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홀 센서 등과 같은 센서가 적용된다.
홀센서는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하여 캐리어 등에 부착된 마그네트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그 자기력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로서, 마그네트와의 이격 거리(자기력의 크기 차이)에 따라 차등적인 크기의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홀센서가 자기력을 감지하는 대상인 마그네트는 홀센서와 대면하는 방향의 자극이 2극으로 이루어진 마그네트가 이용된다. 이와 같은 마그네트를 이용하는 경우 홀센서는 N극과 S극 모두의 자기력을 감지할 수 있어 감지 영역이 확장됨은 물론, 마그네트 즉, 마그네트가 구비된 캐리어의 방향성까지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공간 활용도 등을 높이기 위하여 렌즈 전단에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광학계를 구비시키고 이 광학계를 광축(Z축)과 수직한 2축(X축 및 Y축)의 조합된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에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계가 장착되는 캐리어(20)에 2극 마그네트(30)가 구비되며, 이 2극 마그네트(30)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홀센서(40)가 적용되고 있다. 도 1(a)에 도시된 홀센서(40)는 X축 방향의 회전 이동(Y축과 X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대응되는 방향의 회전 이동)을 감지하는 홀센서이다.
Y축 방향의 회전 이동(Z축과 Y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대응되는 방향의 회전 이동)이 없는 경우 홀센서(40)는 도 1 (b)와 같이 초기위치(default)를 기준으로 캐리어(20)의 이동 크기, 방향에 따라 일대일로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종래 장치의 경우 조합된 2축 방향으로 캐리어(20)가 회전 이동하므로 3차원적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X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 이동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출력되는 홀센서의 값이 일대일로 그 동일성을 유지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Y축 회전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Y축 회전 이동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도 1(c) 참조).
또한, 종래 장치의 홀센서(40)는 2극 마그네트의 각 자극에서 들어가고 나오는 자기력 모두를 복합적으로 감지하게 되므로 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물리적 이동이 발생하면 그 이동에 예민하게 반응하게 되므로 캐리어(20)의 X축 방향 회전 이동을 감지하는 홀센서의 신호에 요동(fluctuation)이나 편이(shift)가 크게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장치의 경우 X축 방향 이동이 Y축 방향의 이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므로 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캐리어(20)의 정확한 위치를 정밀하게 생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나아가 Y축 방향의 이동 크기이나 방향 등에 따라 홀센서(40)의 신호를 보정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한다고 하여도 Y축을 기준으로 한 이동의 크기, 방향 등은 동적(動的)으로 변화되므로 보정 알고리즘 적용 자체가 상당히 어려움은 물론, 적용된다고 하여도 연산 프로세싱에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손 떨림 현상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OIS를 구현하기가 상당히 어려워진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대면하는 면이 단극인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 및 이 마그네트의 자기력을 감지하며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 개 홀센서를 기반으로 각 홀센서가 출력하는 신호 값의 간단한 연산을 통하여 회전 이동하는 캐리어의 이동 크기와 이동 방향을 정밀하게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광학계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광학계 구동장치 및 광학계 위치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광학계 구동장치는 광축과 수직한 제1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제1캐리어; 렌즈 방향으로 빛 경로를 변경시키는 광학계가 구비되며, 상기 제1캐리어에 수용되어 상기 제1캐리어를 기준으로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방향 모두에 수직한 제2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제2캐리어; 상기 제2캐리어에 구비되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 개 마그네트; 상기 복수 개 마그네트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 홀센서; 및 상기 복수 개 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제2캐리어의 현재 위치에 대한 신호인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위치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제2캐리어에 구비되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 개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복수 개 홀센서는 상기 복수 개 마그네트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복수 개 마그네트는 상기 제2캐리어에 구비되는 제1마그네트; 및 상기 제2캐리어에 구비되되, 상기 제2캐리어의 회전 이동 시, 상기 제1마그네트의 이동 변위와 반대되는 이동 변위를 가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복수 개 홀센서는 상기 제1마그네트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1홀센서; 및 상기 제2마그네트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2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복수 개 홀센서와 대면하는 면이 단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제1 및 제2마그네트는 상기 제1 및 제2홀센서와 대면하는 면이 동일 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위치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신호의 뺄셈 연산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상기 제1 및 제2마그네트는 상기 제1 및 제2홀센서와 대면하는 면이 서로 다른 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위치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신호의 합산 연산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제1 및 제2홀센서는 상기 제1 및 제2마그네트 각각에서 회전 이동 변위가 상대적으로 큰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학계 위치제어장치는 광축과 수직한 제1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제1캐리어, 렌즈 방향으로 빛 경로를 변경시키는 광학계가 구비되며 상기 제1캐리어에 수용되어 상기 제1캐리어를 기준으로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방향 모두에 수직한 제2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제2캐리어, 상기 제2캐리어에 구비되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마그네트와, 상기 제1 및 제2마그네트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마그네트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홀센서와 대면하는 면이 단극으로 이루어지는 광학계 구동장치에 구비되어 광학계의 위치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 및 제2홀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제1 및 제2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제2캐리어의 현재 위치에 대한 신호인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생성된 위치신호에 대응되는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상기 제2캐리어를 회전 이동시키는 구동코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신호생성부는 상기 제1 및 제2홀센서가 대면하는 제1 및 제2마그네트가 동일 극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신호의 뺄셈 연산을 통하여 상기 위치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홀센서와 대면하는 제1 및 제2마그네트가 서로 다른 극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신호의 합산 연산을 통하여 상기 위치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제2마그네트는 상기 제2캐리어에 구비되되, 상기 제2캐리어의 회전 이동 시, 상기 제1마그네트의 이동 변위와 반대되는 이동 변위를 가지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학계 위치제어방법은 렌즈 전단에 구비되며 빛을 상기 렌즈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광학계가 탑재된 캐리어에 구비되되, 상기 캐리어를 중심으로 상호 반대되는 면에 구비된 복수 개 마그네트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신호를 복수 개 홀센서로부터 검출하는 신호검출단계; 상기 복수 개 홀센서 각각과 대면하는 상기 복수 개 마그네트의 자극이 동일한 경우 상기 신호를 합산 연산하고,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를 뺄셈 연산하여 상기 캐리어의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위치신호생성단계; 및 상기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복수 개 홀센서 모두가 단극 마그네트의 자기력을 감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광학계(반사계)가 3차원으로 회전 이동하더라도 홀센서 신호가 교란되거나 편이되는 현상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마그네트의 서로 다른 이동 변위를 복수 개 홀 센서가 각각 감지하도록 하고 이들 신호를 더하거나 빼는 간단한 연산만으로도 홀센서의 감지 영역과 분해능을 확장 내지 강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산 결과 값의 부호 체계를 통하여 광학계의 방향성 또한,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손떨림 등에 따른 광학계의 위치 보정을 더욱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간단한 물리적 구성과 알고리즘만으로 광학계의 위치를 특정하고 특정된 위치를 기반으로 광학계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어 손떨림에 의한 위치 보정 기능의 응답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광학계 구동장치의 구조 및 종래 광학계 구동장치에 적용된 홀센서의 출력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학계 구동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캐리어 및 제2캐리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광학계 구동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 및 7은 복수 개 홀센서의 출력 신호와 이 출력 신호를 연산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광학계 위치제어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위치제어장치에서 수행되는 광학계의 위치제어방법에 대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학계 구동장치(100)(이하 '구동장치'라 지칭한다)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캐리어(130) 및 제2캐리어(12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동장치(100)는 제1캐리어(130), 제2캐리어(120), 마그네트(150), 홀센서(160) 및 위치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홀센서(160)는 홀 효과를 이용하여 마그네트와의 거리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소자 내지 유닛이며, 종래 장치에도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구동드라이버는 이 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코일에 적절한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피드백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I/O부, 메모리, CPU 등으로 이루어진다.
홀센서와 구동드라이버는 독립된 개별 부품의 형태로 회로기판(50) 등에 탑재될 수도 있으나, 홀센서과 구동드라이버는 하나의 칩 형태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위치제어부(160)는 이러한 구동드라이버를 의미하는 구성으로서 도면에는 SOC(System On Chip) 등을 통하여 복수 개의 홀 센서 중 하나 이상의 홀센서와 함께 하나의 칩(chip) 내지 모듈의 형태로 구현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이하 설명에서, 홀센서와 위치제어부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지칭된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100)는 수직 길이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렌즈(300)의 전단에 배치되며, 피사체의 빛(light) 경로를 광학계(121)를 통하여 변경(반사, 굴절 등)시켜 렌즈(300) 방향으로 유입시키는 장치에 해당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동장치(100)는 광학계(121)에 의하여 빛의 경로를 굴절시켜 렌즈(300) 측으로 빛이 유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어, 렌즈(300) 자체를 휴대 단말의 두께 방향으로 설치하지 않고 길이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어 휴대 단말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아 휴대 단말의 소형화 내지 슬림화 등에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계(121)는 도 2에 도시된 예를 기준으로 구동장치(100)에서 빛이 유입되는 케이스(110)의 개방구 방향 즉, Y축 방향 전면을 향하는 방향에 설치된다.
도 2에서 외계에서 들어오는 빛의 경로가 Z1이며, 이 빛(Z1)이 광학계(121)에 의하여 굴절 내지 반사되어 렌즈(300)로 유입되는 빛의 경로가 Z이다. 이하 설명에서 Z축을 광축 내지 광축 방향이라 지칭하며 광축과 수직을 이루는 하나의 축을 Y축으로, 광축 및 Y축과 모두 수직을 이루는 축을 X축으로 지칭한다.
빛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광학계(121)는 미러(mirror) 또는 프리즘(prism) 중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외계에서 유입되는 빛을 광축 방향으로 반사 또는 변경시킬 수 있는 다양한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미러 또는 프리즘은 광학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리(glass) 재질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렌즈(300) 아래쪽으로는 빛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CCD, CMOS 등과 같은 촬상소자가 구비될 수 있으며, 특정 대역의 빛 신호를 차단하거나 투과시키는 필터가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렌즈 자체를 광축(Z)와 수직한 두 방향 즉, Y축 방향(제1방향) 및 X축 방향(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렌즈(300) 전단에 위치하며, 빛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광학계(121)를 Y축 방향(제1방향) 및 X축 방향(제2방향)으로 회전 이동시켜 OIS를 구현하는 기술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Y축 방향이 제1방향으로, X축 방향이 제2방향으로 지칭되나, 이는 단순히 지칭하는 용어를 상대적으로 구분하는 것일 뿐, X축 방향이 제1방향이며 Y축 방향이 제2방향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방향은 X축 또는 Y축 방향 중 하나이며, 제2방향은 X축 또는 Y축 방향 중 제1방향이 아닌 다른 하나의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캐리어(130)는 하우징(140)에 수용되어 Y축 방향(제1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제1캐리어(130)가 회전 이동하는 이동체라면 이와 상응하는 관점에서 하우징(140)은 고정체에 해당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캐리어(120)는 제1캐리어(130)에 수용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제1캐리어(130)를 기준으로 X축 방향(제2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점에서 제1캐리어(130)는 회전 이동하는 제2캐리어(120)를 기준으로 할 때, 고정체에 해당한다.
제1캐리어(130)가 Y축 방향(Y축과 Z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대응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경우 제2캐리어(120)는 제1캐리어(130)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제2캐리어(120) 또한, 제1캐리어(130)와 함께 회전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X축 방향(X축과 Y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손떨림을 보정하는 구동이 이루어지면 제2캐리어(120)는 제1캐리어(130)를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즉, 제1캐리어(130)가 회전 이동하는 경우 제2캐리어(120)도 함께 회전 이동하나 제2캐리어(120)가 회전 이동하더라도 제1캐리어(130)는 제2캐리어(120)의 회전 이동에 의하여 회전 이동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광학계(121)는 제2캐리어(120)에 구비되므로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은 메커니즘에 의하여 Y축 방향의 손떨림을 보정하는 경우 제1캐리어(130) 및 제2캐리어(120)가 회전이동하게 되므로 제2캐리어(120)에 구비된 광학계(121) 또한, Y축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어 Y축 방향의 손떨림이 보정된다.
나아가, X축 방향의 손떨림을 보정하는 경우 제2캐리어(120)만 제1캐리어(130)를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므로 제2캐리어(120)에 구비된 광학계(121)가 X축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어 X축 방향의 손떨림이 보정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0) 후면(Y축 방향 기준)에는 FPCB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로기판(50)이 위치한다. 이 회로기판(50)에는 제1캐리어(130)를 구동하기 위한 제3구동코일(55), 제2캐리어(120)를 구동하기 위한 제1구동코일(51) 및/또는 제2구동코일(52)이 탑재되며, 제1캐리어(130) 및 제2캐리어(12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홀센서(160)와 구동 드라이브(위치제어부)(160)가 탑재된다.
회로기판(50)에 구비된 제3구동코일(55)에 적절한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인가되면 제1캐리어(130)에 구비된 제3마그네트(155)와 제3구동코일(55) 사이에 자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발생된 자기력에 의하여 제3마그네트(155)가 구비된 제1캐리어(130)가 회전 이동하게 된다.
제1캐리어(130)와 하우징(140) 사이에는 복수 개의 제2볼(170-2)이 구비된다. 제1캐리어(130)는 제2볼(170-2)의 이동(moving), 구름(rolling) 및 점접촉(point contact) 등에 의한 최소화된 마찰력으로 하우징(140)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므로 제1캐리어(130)의 회전 이동이 더욱 유연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소음 감소, 구동력 최소화 및 구동 정밀성 향상 등을 구현할 수 있다.
하우징(140)과 제1캐리어(130) 사이의 이격을 적절한 거리만큼 유지시키고 제1캐리어(130)의 회전 이동이 더욱 효과적으로 가이딩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볼(170-2)은 하우징(140) 또는 제1캐리어(130)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레일(111, 121)에 일정 부분이 수용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140)에 구비되는 본 발명의 제2요크(57)는 제2볼(170-2)을 사이에 두고 제1캐리어(130)에 구비된 제3마그네트(155)와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제2요크(57)는 제1캐리어(130)에 구비된 제3마그네트(155)에 인력을 발생시켜 제3마그네트(155)가 구비된 제1캐리어(130)가 하우징(14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제1캐리어(130)와 제2볼(170-2) 사이의 점접촉 등은 물론, 하우징(140)과 제2볼(170-2) 사이의 점접촉 등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캐리어(120)에는 제1마그네트(150-1) 및/또는 제2마그네트(150-2)가 구비되며, 하우징(140)에는 이들 마그네트 각각과 대면하는 제1구동코일(51) 및/또는 제2구동코일(52)이 구비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홀센서(160-1) 및 제2홀센서(160-2)는 제1마그네트(150-1) 및 제2마그네트(150-2)와의 자기력 크기(거리 내지 위치에 대응)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현재 광학계(121)의 정확한 위치를 정밀하게 감지한다.
홀센서(160-1, 160-2)가 자기력을 감지하는 제1마그네트(150-1) 및/또는 제2마그네트(150-2)는 제1구동코일(51) 및/또는 제2구동코일(52)로부터 자기력을 받는 구동용 마그네트일 수 있으며,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2캐리어(120)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센싱용 마그네트일 수 있다.
제1홀센서(160-1) 및 제2홀센서(160-2)가 제1마그네트(150-1) 및 제2마그네트(150-2)의 위치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면 본 발명의 위치제어부(160)는 이들 신호에 대응하는 방향과 크기의 전원이 제1구동코일(51) 및 제2구동코일(52)에 인가되도록 피드백 제어하여 제2캐리어(120)를 손떨림에 대응하는 역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X축 방향의 손떨림을 보정한다.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캐리어(130)와 제2캐리어(120) 사이에는 복수 개의 제1볼(170-1)이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레일(122, 132)에 일정 부분 수용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캐리어(130) 등에 구비되는 요크(131)는 제1볼(170-1)을 사이에 두고 제2캐리어(120)에 구비된 제1마그네트(150-1) 및/또는 제2마그네트(150-2)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이들 마그네트(150-1, 150-2)에 인력을 발생시켜 제2캐리어(120)가 제1캐리어(1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제1캐리어(130)와 제1볼(170-1) 사이의 점접촉 등은 물론, 제2캐리어(120)과 제1볼(170-1) 사이의 점접촉 등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구동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동장치(1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캐리어(130)가 회전 이동하는 구조를 통하여 광학계(121)가 Y축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며, 제2캐리어(120)의 회전 이동을 통하여 광학계(121)가 X축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제2캐리어(120)가 X축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위치제어부(160)가 손떨림 등을 보정하는 적절한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제1구동코일(51) 및 제2구동코일(52)에 인가되도록 제어하면 제2캐리어(120)가 도 5의 가운데 화살표 방향과 같이 회전 이동함으로써 손떨림 등을 보정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마그네트(150-1)는 제2캐리어(120)에 구비되며, 제2마그네트(150-2)도 제2캐리어(120)에 구비되나, 제1마그네트(150-1)가 구비된 위치와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1홀센서(160-1)는 제1마그네트(150-1)와 대면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1마그네트(150-1)의 위치에 대응되는 신호인 제1신호를 출력하며, 제2홀센서(160-2)는 제2마그네트(150-2)와 대면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2마그네트(150-2)의 위치에 대응되는 신호인 제2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마그네트(150-1, 150-2)가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면, 제2캐리어(120)가 이동하는 경우 제1마그네트(150-1)와 제2마그네트(150-2)는 서로 다른 이동 경로 내지 서로 다른 회전 각도를 가지게 되므로 제1 및 제2홀센서(160-1, 160-2)는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제1마그네트(150-1)와 제2마그네트(150-2)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복수 개 마그네트일 수도 있으나, 하나의 단일 마그네트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홀센서(160)를 위치시켜도 상술된 내용과 동일한 결과를 가지므로 제1마그네트(150-1)와 제2마그네트(150-2)는 하나의 단일 마그네트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종래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홀센서가 2극 착자된 마그네트의 자기력을 감지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홀센서는 N극 및 S극에서 자기력이 들어가고 나가는 모든 방향을 복합적으로 감지하므로 제1캐리어(130)의 회전 이동에 따라, 제2캐리어(120)에 구비된 마그네트(150)의 자기력이 3차원적으로 변화하게 되어 신호 교란이 더욱 크게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홀센서(160)와 대면하는 면이 2극이 아닌 단극 마그네트가 적용된다. 단극 마그네트를 홀센서(160)와 대면시키는 경우 홀센서(160)는 단극(single pole)에서 발생되는 특정 극성의 자기력 크기 값만 감지하게 되므로 3차원적 위치 변화에 따른 신호 교란이 상당 부분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 개 홀센서(160-1, 160-2) 각각이 자신에 대응하는 마그네트(150)의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면 본 발명의 위치제어부(160)는 이들 신호를 연산하여 제2캐리어(12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신호인 위치신호를 생성한다.
홀센서(160)가 단극 마그네트의 자기력을 감지하도록 구성하면, 2극 마그네트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감지 영역이 좁아지는 단점이 일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각 홀센서(160)의 신호 특징이 상호 강화 내지 부각되도록 하는 간단한 연산을 수행하면 감지 영역을 확장시키고 감지 신호 크기를 키울 수 있어 감지 영역이 좁아지는 등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마그네트(150-2)를 제2캐리어(120)에 구비시키되,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마그네트(150-1)의 이동 변위와 반대되는 이동 변위를 가지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각 홀센서(160-1, 160-2)가 서로 상반된 특징을 가지는 시계열적 신호를 출력하므로 이들 신호를 연산하는 경우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감지 크기 등을 더욱 강화사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캐리어(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마그네트(150-1)와 제2마그네트(150-2)는 모두 제2캐리어(12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2캐리어(120)의 회전 이동과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이동한다.
제1캐리어(1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면, 제1마그네트(150-1)는 제1홀센서(160-1)와 더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2마그네트(150-2)는 이와 반대로 제2홀센서(160-2)와 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1캐리어(130)가 일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경우 제1홀센서(160-1)와 제2홀센서(160-2) 중 어느 하나는 신호 값이 커지는 특성을 가지며 나머지 하나는 신호 값이 작아지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나아가 제1 및 제2마그네트(150-1, 150-2)와 제1 및 제2홀센서(160-1, 160-2)를 상호 대칭적 관계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면 홀센서 신호의 커지고 작아지는 특성이 상호 정비례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홀센서들의 신호를 연산하고 연산된 결과를 광학계(121) 구동 제어에 활용함으로써, 광학계(121)의 X축 방향 위치별 충분한 크기의 홀센서 신호를 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 그 방향성까지 정확히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7은 복수 개 홀센서의 출력 신호와 이 출력 신호를 연산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홀센서(160-1)와 대면하는 제1마그네트(150-1)의 극과 제2홀센서(160-2)와 대면하는 제2마그네트(150-2)의 극(N)이 동일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제2캐리어(120)의 기준 위치(default)를 기준으로 제2캐리어(12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 제1홀센서(160-1)의 출력값인 제1신호(f(a))과 제2홀센서(160-2)의 출력값인 제2신호(f(b))는 도 6(b)와 같은 형태가 된다. 홀센서의 출력 신호는 마그네트와 홀센서 사이의 거리와 일차함수 관계를 가지므로 제1신호와 제2신호는 서로 반비례하는 관계가 성립된다.
그러므로 제1신호(f(a)와 제2신호(f(b))의 뺄셈 연산을 이용하면 도 6(c)와 같이 감지 크기가 “b-a”에서 “2b”로 강화되어 제2캐리어(120)의 회전 이동을 더욱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신호(f(a)와 제2신호(f(b))의 뺄셈 연산을 이용하면 도 6(c)와 같이 양수 영역과 음수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신호 체계의 위치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 제2캐리어(120)의 회전 방향 또한,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제1마그네트(150-1) 및 제2마그네트(150-2)의 회전 이동 변위가 클수록 홀센서(160-1, 160-2)가 출력하는 신호의 변화 값이 커지므로 홀센서(160-1, 160-2))가 감지하는 신호의 분해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마그네트(150-1) 및 제2마그네트(150-2)는 제2캐리어(120)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제2캐리어(120)에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홀센서가 감지하는 신호의 분해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6(a) 및 7(a)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홀센서(160-1) 및 제2홀센서(160-2)는 제1마그네트(150-1) 및 제2마그네트(150-2)의 중심에서 편위(D)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7은 제1홀센서(160-1)와 대면하는 제1마그네트(150-1)의 극과 제2홀센서(160-2)와 대면하는 제2마그네트(150-2)의 극이 서로 반대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f(a))는 양의 값을 가지며, 제2신호(f(b))는 음의 값을 가지게 된다.그러므로 제1신호(f(a)와 제2신호(f(b))의 덧셈 연산을 이용하면 도 7(c)와 같이 “b-a”에서 “2b”로 확장된 감지 크기를 가짐은 물론, 양수 및 음수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신호 체계의 위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위치제어장치(2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위치제어장치(200)에서 수행되는 광학계의 위치제어방법에 대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광학계(121)의 회전 이동을 구동하는 카메라 액추에이터에 대한 실시예라면,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위치제어장치(200)는 앞서 설명된 구동드라이버에 해당하는 장치로서 카메라 액추에이터에 탑재될 수 있는 일 장치 내지 모듈에 대한 실시예에 해당한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위치제어장치(200)는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한 구동장치(100)의 위치제어부(160)과 동일한 구성에 해당한다. 또한, 도 8에는 본 발명의 위치제어장치(200)가 홀센서(160)과 독립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의 칩이나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위치제어장치(200)는 홀센서(160)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위치제어장치(200)의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제어장치(200)는 입력부(210), 신호생성부(220), DB부(230) 및 구동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1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홀센서(160-1) 및 제2홀센서(160-2)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S910) 인터페이스에 해당하는 구성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입력부(210)는 3개 이상의 복수 개 홀센서(160-n)로부터 신호를 입력(S910)받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위치제어부(160)는 이들 복수 개 신호 전체 또는 선택된 조합의 복수 개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210)로부터 제1신호 및 제2신호가 입력되면(S910) 본 발명의 신호생성부(220)는 이들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연산하여 제2캐리어(12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신호인 위치신호를 생성한다(S950).
본 발명의 DB부(230)에는 홀센서, 구동코일(51, 52) 등의 스펙 정보를 기초로 홀센서가 출력하는 전기 신호값(code 값)과 구동코일(51, 52)로 전달되는 전원의 크기 및 방향에 대한 제어값 정보가 상호 연계된 룩업 테이블 등과 같은 DB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S900).
본 발명의 구동제어부(240)는 신호생성부(220)에서 위치신호가 생성되면 DB부(230)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access and read)하여 이 위치신호에 대응되는 제어값 정보를 선별한다(S960).
이와 같이 제어값 정보가 선별되면 본 발명의 구동제어부(240)는 이 제어값 정보에 해당하는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해당하는 구동코일(51, 52)로 인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광학계(121)의 손떨림에 의한 위치가 보정된다(S970).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호생성부(220)는 제1홀센서(160-1) 및 제2홀센서(160-2)가 대면하는 제1마그네트(150-1) 및 제2마그네트(150-2)가 동일 극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의 뺄셈 연산을 통하여 상기 위치신호를 생성한다(S930).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1홀센서(160-1) 및 제2홀센서(160-2)와 대면하는 제1마그네트(150-1) 및 제2마그네트(150-2)가 서로 다른 극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 발명의 신호생성부(220)는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의 합산 연산을 통하여 상기 위치신호를 생성한다(S940).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 발명의 구동장치
110 : 케이스 120 : 제2캐리어
130 : 제1캐리어 140 : 하우징
150 : 마그네트 150-1 : 제1마그네트
150-2 : 제2마그네트(150-2) 160 : 홀센서(위치제어부)
160-1 : 제1홀센서 160-2: 제2홀센서
170-1 : 제1볼 170-2 : 제2볼
51 : 제1구동코일 52 : 제2구동코일
55 : 제3구동코일
200 : 본 발명의 위치제어장치
210 : 입력부 220 : 신호생성부
230 : DB부 240 : 구동제어부

Claims (12)

  1. 광축과 수직한 제1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제1캐리어;
    렌즈 방향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광학계가 구비되며, 상기 제1캐리어에 수용되어 상기 제1캐리어를 기준으로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방향 모두에 수직한 제2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제2캐리어;
    상기 제2캐리어에 구비되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 개 마그네트;
    상기 복수 개 마그네트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 홀센서; 및
    상기 복수 개 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제2캐리어의 현재 위치에 대한 신호인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위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 마그네트는,
    상기 제2캐리어에 구비되는 제1마그네트; 및
    상기 제2캐리어에 구비되되, 상기 제2캐리어의 회전 이동 시, 상기 제1마그네트의 이동 변위와 반대되는 이동 변위를 가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 홀센서는,
    상기 제1마그네트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1홀센서; 및
    상기 제2마그네트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2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복수 개 홀센서와 대면하는 면이 단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구동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마그네트는,
    상기 제1 및 제2홀센서와 대면하는 면이 동일 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신호의 뺄셈 연산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구동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마그네트는,
    상기 제1 및 제2홀센서와 대면하는 면이 서로 다른 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신호의 합산 연산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구동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홀센서는,
    상기 제1 및 제2마그네트 각각에서 회전 이동 변위가 상대적으로 큰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구동장치.
  7. 광축과 수직한 제1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제1캐리어, 렌즈 방향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광학계가 구비되며 상기 제1캐리어에 수용되어 상기 제1캐리어를 기준으로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방향 모두에 수직한 제2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제2캐리어, 상기 제2캐리어에 구비되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마그네트와, 상기 제1 및 제2마그네트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마그네트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홀센서와 대면하는 면이 단극으로 이루어지는 광학계 구동장치에 구비되어 광학계의 위치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 및 제2홀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제1 및 제2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제2캐리어의 현재 위치에 대한 신호인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위치제어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위치신호에 대응되는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상기 제2캐리어를 회전 이동시키는 구동코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위치제어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생성부는,
    상기 제1 및 제2홀센서가 대면하는 제1 및 제2마그네트가 동일 극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신호의 뺄셈 연산을 통하여 상기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위치제어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생성부는,
    상기 제1 및 제2홀센서와 대면하는 제1 및 제2마그네트가 서로 다른 극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신호의 합산 연산을 통하여 상기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위치제어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그네트는,
    상기 제2캐리어에 구비되되, 상기 제2캐리어의 회전 이동 시, 상기 제1마그네트의 이동 변위와 반대되는 이동 변위를 가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위치제어장치.
  12. 렌즈 전단에 구비되며 빛을 상기 렌즈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광학계가 탑재된 캐리어에 구비되되, 상기 캐리어를 중심으로 상호 반대되는 면에 구비된 복수 개 마그네트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복수 개 홀센서로부터 검출하는 신호검출단계;
    상기 복수 개 홀센서 각각과 대면하는 상기 복수 개 마그네트의 자극이 동일한 경우 상기 신호를 뺄셈 연산하고,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를 덧셈 연산하여 상기 캐리어의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위치신호생성단계; 및
    상기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위치제어방법.
KR1020180140420A 2018-11-15 2018-11-15 광학계 구동장치, 광학계 위치제어장치 및 위치제어방법 KR102184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420A KR102184925B1 (ko) 2018-11-15 2018-11-15 광학계 구동장치, 광학계 위치제어장치 및 위치제어방법
US16/357,847 US11029374B2 (en) 2018-11-15 2019-03-19 Apparatus for operating optical-reflecto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optical-reflector
CN201910298528.4A CN111190279B (zh) 2018-11-15 2019-04-15 用于操作光学反射器的设备以及控制其位置的设备和方法
CN202110895147.1A CN113552714A (zh) 2018-11-15 2019-04-15 操作光学反射器的设备以及控制光学反射器的位置的设备
CN201920503412.5U CN210142238U (zh) 2018-11-15 2019-04-15 用于操作光学反射器的设备以及控制其位置的设备
DE112019002925.8T DE112019002925T5 (de) 2018-11-15 2019-05-30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optischen Reflektors un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Position eines optischen Reflektors
PCT/KR2019/006523 WO2020101135A1 (ko) 2018-11-15 2019-05-30 광학계 구동장치, 광학계 위치제어장치 및 위치제어방법
US17/242,789 US20210247469A1 (en) 2018-11-15 2021-04-28 Apparatus for operating optical-reflecto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optical-refl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420A KR102184925B1 (ko) 2018-11-15 2018-11-15 광학계 구동장치, 광학계 위치제어장치 및 위치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428A Division KR102194457B1 (ko) 2020-09-02 2020-09-02 광학계 구동장치 및 광학계 위치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577A true KR20200056577A (ko) 2020-05-25
KR102184925B1 KR102184925B1 (ko) 2020-12-01

Family

ID=6972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420A KR102184925B1 (ko) 2018-11-15 2018-11-15 광학계 구동장치, 광학계 위치제어장치 및 위치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029374B2 (ko)
KR (1) KR102184925B1 (ko)
CN (3) CN210142238U (ko)
DE (1) DE112019002925T5 (ko)
WO (1) WO20201011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366A1 (ko) * 2021-03-31 2022-10-06 자화전자 주식회사 이원구조의 줌 구동 액추에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925B1 (ko) * 2018-11-15 2020-12-01 자화전자(주) 광학계 구동장치, 광학계 위치제어장치 및 위치제어방법
KR102357533B1 (ko) 2019-04-30 2022-02-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10044646A (ko) * 2019-10-15 2021-04-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프리즘 구동 장치
US11860445B2 (en) * 2020-09-22 2024-01-02 Jahwa Electronics Co., Ltd. Actuator for driving refl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228A (ko) * 2017-02-23 2018-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80120894A (ko) * 2017-04-28 2018-11-07 자화전자(주) 다축 구조의 반사계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1484A2 (en) * 1994-10-06 1996-04-18 Philips Electronics N.V. Actuator comprising a rotatable magnet body; actuator unit comprising the actuator and a control system; magneto-optical device comprising the actuator, and scanner comprising the actuator
JP2000200437A (ja) * 1999-01-06 2000-07-18 Asahi Optical Co Ltd 偏向ミラ―の回動位置検出装置および光情報記録再生ヘッド
CA2664676A1 (en) * 2006-09-29 2008-04-10 Inphase Technologies, Inc. Magnetic field position feedback for holographic storage scanner
KR101575630B1 (ko) * 2009-03-17 201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떨림 보정장치
US9042042B2 (en) * 2009-11-18 2015-05-26 Nidec Sankyo Corporation Lens drive device
KR101777350B1 (ko) * 2011-03-14 2017-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요소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위치 조정 장치
CN104995556A (zh) * 2013-09-30 2015-10-21 爱斯尼克电子有限公司 具有自动调焦及补正手颤功能的便携式设备用相机促动器
US10168545B2 (en) * 2014-10-16 2019-01-01 Tdk Taiwan Corp. Optical image stabilizer with improved magnetic disposition
WO2016124253A1 (en) * 2015-02-06 2016-08-11 Optotune Ag Optical device for enhancing resolution of an image
TWI560483B (en) * 2015-04-08 2016-12-01 Tdk Taiwan Corp Lens driving apparatus with closed-loop anti-shake structure
KR20170138672A (ko) * 2016-06-08 2017-12-18 (주)알비케이이엠디 조립성이 향상된 ois 카메라 모듈
KR101862228B1 (ko) * 2016-10-05 2018-05-30 자화전자(주) Ois를 위한 반사계 구동장치
KR102166942B1 (ko) * 2017-02-20 2020-10-16 자화전자(주) 다축 구조의 ois용 반사계 구동장치
KR102350710B1 (ko) * 2017-02-25 2022-01-14 자화전자(주) 줌렌즈용 자동초점 조절장치
KR102184925B1 (ko) * 2018-11-15 2020-12-01 자화전자(주) 광학계 구동장치, 광학계 위치제어장치 및 위치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228A (ko) * 2017-02-23 2018-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80120894A (ko) * 2017-04-28 2018-11-07 자화전자(주) 다축 구조의 반사계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366A1 (ko) * 2021-03-31 2022-10-06 자화전자 주식회사 이원구조의 줌 구동 액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1135A1 (ko) 2020-05-22
US11029374B2 (en) 2021-06-08
CN210142238U (zh) 2020-03-13
CN111190279B (zh) 2021-10-22
US20210247469A1 (en) 2021-08-12
US20200158793A1 (en) 2020-05-21
DE112019002925T5 (de) 2021-04-01
CN113552714A (zh) 2021-10-26
KR102184925B1 (ko) 2020-12-01
CN111190279A (zh)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582B1 (ko) 다축 구조의 반사계 구동장치
CN111190279B (zh) 用于操作光学反射器的设备以及控制其位置的设备和方法
KR102166942B1 (ko) 다축 구조의 ois용 반사계 구동장치
CN111045276B (zh) 相机模块和便携式电子装置
CN113568248B (zh) 透镜驱动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摄像机模块和光学设备
KR20190092803A (ko) 카메라 모듈
KR102365701B1 (ko) 카메라 모듈
US20180095293A1 (en) Apparatus for driving optical-reflector
KR101862228B1 (ko) Ois를 위한 반사계 구동장치
KR20210043982A (ko) 조리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10000069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160093299A (ko) 모바일 장치
KR20240125534A (ko) 줌 구동 액추에이터
KR20190134144A (ko) 각도 조절용 액추에이터
KR102194457B1 (ko) 광학계 구동장치 및 광학계 위치제어장치
KR102423689B1 (ko) 메모리 유닛이 구비된 광학계 구동장치
KR20180097469A (ko) Ois를 위한 반사계 구동장치
JP2018072429A (ja) 電子機器および撮像装置
US20220070379A1 (en) Optical Member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230008403A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KR102565566B1 (ko) 이원구조의 줌 구동 액추에이터
KR20230140031A (ko)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KR20220046820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26717A (ko) 연속줌 액추에이터
KR20220150577A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