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343A - 섭취시 측두엽 Cp6 부위에서 AT 지표(absolute theta power spectrum)과 두정엽 Cp2 부위에서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을 감소시켜 두뇌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특성을 갖는 매실의 달콤함, 칼리만시의 쌉사름함과 시트러스 풍미가 어우러진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 조성물 - Google Patents

섭취시 측두엽 Cp6 부위에서 AT 지표(absolute theta power spectrum)과 두정엽 Cp2 부위에서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을 감소시켜 두뇌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특성을 갖는 매실의 달콤함, 칼리만시의 쌉사름함과 시트러스 풍미가 어우러진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343A
KR20200055343A KR1020180138892A KR20180138892A KR20200055343A KR 20200055343 A KR20200055343 A KR 20200055343A KR 1020180138892 A KR1020180138892 A KR 1020180138892A KR 20180138892 A KR20180138892 A KR 20180138892A KR 20200055343 A KR20200055343 A KR 20200055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pectrum
flavor
during
site
l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희
김민주
송지은
손하라라잔 칸다사미
Original Assignee
최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연희 filed Critical 최연희
Priority to KR1020180138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5343A/ko
Publication of KR20200055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0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tea flavour or tea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섭취시 인간의 측두엽 Cp6 부위에서 AT 지표(absolute theta power spectrum)과 두정엽 Cp2 부위에서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을 감소시켜 두뇌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매실의 달콤함, 칼리만시의 쌉사름함과 시트러스 풍미가 어우러진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달콤함을 주는 maltol과 vanillin, 그리고 복숭아의 lactone 풍미를 전하는 gamma-undecalactone 등의 원료가 어울어져 매실의 달콤함, 칼라만시의 쌉싸름함, 진피 정유의 프레시한 시트러스 향취가 나는 플래버 조합향료를 흡입시 측두엽 Cp6 부위에서 AT 지표(absolute theta power spectrum)과 두정엽 Cp2 부위에서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을 감소시켜 두뇌의 긴장이 완화되는 특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섭취시 측두엽 Cp6 부위에서 AT 지표(absolute theta power spectrum)과 두정엽 Cp2 부위에서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을 감소시켜 두뇌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특성을 갖는 매실의 달콤함, 칼리만시의 쌉사름함과 시트러스 풍미가 어우러진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 조성물 {Ume Tea Flavor Composition for Psychological Stability by Reducing 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at the Cp6 Site of Temporal Lobe and Cp2 Site of Parietal Lobe}
본 발명은 섭취시 측두엽 Cp6 부위에서 AT 지표(absolute theta power spectrum)과 두정엽 Cp2 부위에서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을 감소시켜 두뇌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특성을 갖는 매실의 달콤함, 칼리만시의 쌉사름함과 시트러스 풍미의 조합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말톨(maltol)과 바닐린(vanillin) 등의 달콤함과 감마 운데카락톤(gamma-undecalactone)과 감마 데카락톤(gamma-decalactone) 등의 복숭아 풍미, 시트랄(citral)과 오렌지(orange) 등의 칼라만시 풍미에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과일 풍미와 박하 등의 시트러스 민트 풍미의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품향료는 식물 향료, 합성 향료, 기타 조합에 필요한 부원료를 사용하여 향미(플래버, flavor)를 조합 또는 제조한 것을 말한다. 특히 식품향료의 조합에는 기초원료에 조화제, 변조제, 보조제 등을 첨가하고 전체 향료의 고정성을 가지도록 고정제를 사용하여 향미를 조합한다. 즉, 향미의 용도에 따라 원료의 선택, 조합, 제조방법이 달라진다.
식품향료는 수용성 향료(essense), 유용성 향료(oil soluble flavor), 유화 향료(emulsifiable flavor), 분말 향료(powdered flavor)로 나뉜다. 수용성 향료는 용제인 주정으로 생산된 에센스(essense), 프로필렌 글리콜을 사용한 것을 향미라고 하고, 이러한 계통의 용제를 사용하여 생산된 것을 수용성 향료라고 한다.
유용성 향료는 기름으로 조합된 합을 유용성 향료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내열성, 고정성과 향취의 강도가 좋아 가열식품에 주로 사용된다. 유용성 향료로 조합시에는 용제인 프로필렌 글리콜을 사용하여 각종 합성향료와 천연향료를 주원료로 하여 향기성분 20% 전후로 조합하고 용제인 프로필렌 글리콜을 80-90% 사용하여 상품의 전체 향취를 맞춘다.
유화 향료는 가능한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한 것을 말한다. 특히 유화향료에는 오렌지, 파인애플 등이 주로 제조된다.
분말 향료는 유화향료에 피막보호제를 첨가하고, 전체 수분량 그리고 고형분의 함량 등을 조절하여 혼합한 후 분무건조기로 순간적으로 건조하여 제품화한 것이다. 건조된 분말향료는 구상의 미립자 형태로, 이 미립자는 수분에 의해 코팅된 피막이 파열되면서 향기를 발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분말향료의 제품에는 피막제 즉 부형제로서 텍스트린이 주로 사용된다.
식품향료에는 성분조성에 따라 주향제, 촉향제, 정향제, 보조제로 나뉠 수 있다. 주향제는 향기 전체의 분위기를 살리는 주체이다. 촉향제는 휘발성이 높고, 확산성이 강하며, 강력란 흡인력이 특징이다. 정향제는 보류제라고도 하며 향의 지속성을 유지하는데 작용을 한다. 보조제는 주향제를 완성시키기 위해 첨가, 보조해주는 역할을 하는 원료들이다. 이들은 조합제와 변조제(원료를 발효 또는 화학적 변화를 꾀한 것)로 나눈다.
식품향료의 특징은 한 가지 식품에 다양한 향료개발이 가능한데 과일향료의 경우 사과향, 포도향, 배향, 망고향, 파인애플향, 옥수수향, 바나나향, 레몬향, 메론향 등으로 개발되어 있다. 사과향도 풋사과향, 잘 익은 사과향으로 나눌 수 있고, 풋 사과향도 홍옥, 후지, 국광 등 사과종별로도 분류가 가능하다. 현재 사용 중에 있는 식품 합성향료는 약 2,000~3,000 종류가 있지만 이 중 사용빈도가 높은 것은 300~400여 종이다.
(긴장완화용 베타카로틴 혼합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서 조 등(2017)은 긴장완화용 베타카로틴 혼합조성물을 개발하고 이의 뇌파를 측정하였는데 우측 측두엽에서 ASA(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의 감소를, 중앙 두정엽, 좌측 두정엽, 우측 두정엽, 좌측 후두엽 및 우측 후두엽에서 RA(Relative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를, 좌측 측두엽에서 RFA(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를, 중앙 두정엽에서 RSA(Relative Slow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를 유도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특허문헌 1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과는 전혀 다르고 또 이들 조성물로 인한 뇌파 차이도 발견되었기에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시음시 두뇌의 쾌적성을 증진시키는 민들레 혼합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서 김 등(2018)은 민들레 혼합 추출액이 시음시에 좌측 전전두엽, 우측 전두엽, 좌측 후두엽, 우측 후두엽, 중앙 후두엽, 우측 두정엽, 중앙 두정엽 및 좌측 두정엽에서 RFA(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와 중앙 전전두엽에서 ASEF(Spectral edge frequency 50% of alpha spectrum band)의 증가를 유도하여 두뇌의 쾌적성을 증진시키는 효능에 대해 보고하였다 (김성수, 김민주, 칸다사미 손하라라잔, 김성문. 시음시 두뇌의 쾌적성을 증진시키는 민들레 혼합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용도. 대한민국특허 10-1847375). 본 발명과 특허문헌 05와는 조성물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지고 인체적용 방법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기에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집중력 강화 및 심리적 안정용 매실차 조성물 및 이의 용도)은 시음시 우측 전전두엽에서 AA(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및 ASA(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를, 좌측 전두엽에서 RLB(Relative Low Beta Power Spectrum) 및 RST(Ratio of SMR to Theta)의 감소를, 우측 전두엽 및 좌측 측두엽에서 ASEF(Spectral edge frequency 50% of alpha spectrum band)의 감소를 유도하는 매실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과는 조성물에 있어서 차이가 클 뿐만 아니라 인체 적용방법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에서 이와 서(2011)는 파출리 오일, 프랭킨센스 오일, 샌들우드 오일로 이루어진 향료 조성물은 알파파를 증가시키고, 베타파를 감소시켜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이은주, 서형제. 2012.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효과를 갖는 향료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0-201100050499).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에서 차이가 있으며, 또한 이들 조성물로 인한 뇌파 차이도 발견되었기에 상이하다고 판단된다. (진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서 최와 이(2011)는 진범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범 향취를 재현한 조합향료를 만들었는데 이에 함유된 조성물은 cis-3-hexenol, linalool, terpineol, nerol, alpha-ionone, geraniol, phenylethyl alcohol, beta-caryophyllene, coriander oil, thyme oil, angelica oil, myrrhe resinoid, copahu balsam oil, olibanum resinoid, bergamot oil, target oil, ginger oil, patchouli oil, vertiver oil, isocyclo citral, stemon, 2-methyl pyrazine, camphene, viridine, benzyl benzoate 이었고, 이 조성물은 EEG 검사시 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AA) 과 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AT)를 감소시켜 뇌에 각성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고하였다 (최연희, 이세미. 진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0-2011-0093066). 본 특허의 조성물에서는 진범(Aconitum psedo-laeve var. erectum NAKAI) 향료가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기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된다.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갖는 향료조성물)에서 홍 등(2006)은 산달우드 오일, 세다우드 오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라벤더 오일, 일랑일랑 오일 및 인삼향을 함유하는 복합물은 뇌 우반구의 알파파를 증가시켜 스트레스 완화효과와 쾌감 및 진정감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홍연주, 전병배, 서형제. 2006.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갖는 향료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0-2006-0030871). 특허문헌 03에서 사용된 복합조성물은 본 특허의 조성물과는 상이하였으며, 또한 이로 인한 뇌파 변화 역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맨틱한 감정을 일으키는 향료 조성물)에서 전과 서(2007)는 네롤리 오일과 일랑일랑 오일의 복합향은 알파파에 대한 베타파의 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병배, 서형제. 2007. 로맨틱한 감정을 일으키는 향료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0-2007-0118380). 특허문헌 02에서 사용된 조성물은 본 특허의 조성물과는 상이하였으며, 이로 인한 뇌파 결과 역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섭취시 측두엽 Cp6 부위에서 AT 지표(absolute theta power spectrum)과 두정엽 Cp2 부위에서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을 감소시켜 두뇌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특성을 갖는 매실의 달콤함, 칼리만시의 쌉사름함과 시트러스 풍미의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1) 다양한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를 이용하여 우메 티 풍미를 갖는 플래버 조합향료 조성물을 만드는 단계, (2) 조합향료 조성물의 선호도 조사 단계, (3) 조합향료 조성물의 뇌파분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합향료 조성물은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에틸 부티레이트(ethyl butyrate), 시트로네롤(citronellol),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벤즈 알데히드(benzaldehyde), 감마-운데카락톤(gamma-undecalactone), 감마-데카락톤(gamma-decalactone), 말톨(maltol), 바닐린(vanillin), 1,4-시네올(1,4-cineol), 리날룰(linalool), 알파-터피네올(alpha-terpineol), 시트랄(citral), 오렌지 오일(orange oil), 진피 정유, 2-메틸 부티레이트(2-methyl butyrate),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발효 주정(95%), 트리아세틴(triacetine)으로 구성된 것으로 매실의 달콤함, 칼리만시의 쌉사름함과 시트러스 풍미를 특징으로 하는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에 관한 것이다.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 조합향료를 흡입시에는 측두엽 Cp6 부위에서 AT 지표(absolute theta power spectrum)과 두정엽 Cp2 부위에서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을 감소되어 두뇌의 긴장이 완화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매실의 달콤함, 칼리만시의 쌉사름함과 시트러스 풍미를 갖는 조합향료는 섭취시 측두엽 Cp6 부위에서 AT 지표(absolute theta power spectrum)과 두정엽 Cp2 부위에서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을 감소시켜 두뇌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뇌를 편안하게 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을 위한 다양한 향 산업제품을 개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국제 10-20 뇌파검사 시스템의 전극 부착 부위를 나타낸다.
도 2는 뇌파 검사를 위해 검사용 캡을 쓴 피험자의 사진이다.
이하, 발명의 내용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적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시료 확보
본 발명의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에틸 부티레이트(ethyl butyrate), 시트로네롤(citronellol),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벤즈 알데히드(benzaldehyde), 감마-운데카락톤(gamma-undecalactone), 감마-데카락톤(gamma-decalactone), 말톨(maltol), 바닐린(vanillin), 1,4-시네올(1,4-cineol), 리날룰(linalool), 알파-터피네올(alpha-terpineol), 시트랄(citral), 오렌지 오일(orange oil), 2-메틸 부티레이트(2-methyl butyrate),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트리아세틴(triacetine)은 모두 페마 넘버(FEMA Number)가 명확하게 명기된 시료를 국내의 원료공급업체로부터 구입하였다. 진피 오일은 초임계이산화탄소 유체 추출법으로 추출하였다. 시료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유체 추출장치(ISA-SCCO-S-050-500, ILSHIN, Korea)에 진피 100 g을 추출조의 시료용기에 넣고 액체 이산화탄소의 압력과 온도를 각각 400 bar와 50oC에서 정유를 추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참당귀 시료의 추출 압력과 온도는 선행연구(압력, 200, 300, 400 bar; 온도 40, 50, 60oC)를 통해 가장 높은 회수율을 나타내었던 조건에 따른 것이다. 최적 온도, 압력 조건에서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1 시간동안 흘려주면서 정유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정유는 무수황산나트륨이 담겨 있는 삼각깔대기에 통과시켜 수분과 불순물을 제거시켰으며, 수집된 정유는 향취분석, 성분분석, 뇌파분석시까지 4oC의 냉장고에서 보관하였다. 일반적으로 수증기증류법으로 추출된 진피오일의 경우 약간은 herbal하고 camporus하면서도 citrus한 느낌이 났던 반면 초임계이산화탄소 유체 추출법으로 추출된 오일의 경우에는 맑고 깔끔한 당귀와 진피의 향취가 특징이었다.
실시예 2.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 조합향료 개발
본 발명의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 조합향료는 매실의 달콤함, 칼리만시의 쌉사름함과 시트러스 풍미를 갖는 것으로 이와 같은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에틸 부티레이트(ethyl butyrate), 시트로네롤(citronellol),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벤즈 알데히드(benzaldehyde), 감마-운데카락톤(gamma-undecalactone), 감마-데카락톤(gamma-decalactone), 말톨(maltol), 바닐린(vanillin), 1,4-시네올(1,4-cineol), 리날룰(linalool), 알파-터피네올(alpha-terpineol), 시트랄(citral), 오렌지 오일(orange oil), 2-메틸 부티레이트(2-methyl butyrate), 발효 주정(95%), 트리아세틴(triacetine)을 하기의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총 8종을 개발하였다.
신규의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 향료 개발을 위한 조성물과 조성비
향료 성분 FEMA No. 조합향료 1 조합향료 2 조합향료 3 조합향료 4 조합향료 5 조합향료 6 조합향료 7 조합향료 8
1 Ethyl acetate 2414 0.25 0.25 0.5 0.5 1.0 1.0 2.0 2.0
2 Ethyl butyrate 2427 0.25 0.25 0.5 0.5 1.0 1.0 2.0 2.0
3 Citronellol 2309 0.25 0.25 0.5 0.5 1.0 1.0 2.0 2.0
4 Benzyl alcohol 2137 0.1 0.1 0.1 0.2 0.2 0.2 0.5 0.5
5 Benzaldehyde 2127 0.25 0.25 0.5 0.5 1.0 1.0 2.0 2.0
6 gamma-Undecalactone 3091 0.25 0.25 0.5 0.5 1.0 1.0 2.0 2.0
7 gamma-Decalactone 2360 0.25 0.25 0.5 0.5 1.0 1.0 2.0 2.0
8 Maltol 2656 0.1 0.2 0.3 0.4 0.5 0.6 0.7 0.8
9 Vanillin 3107 0.1 0.25 0.5 1.0 2.0 4.0 8.0 16.0
10 1,4-cineol 3658 0.1 0.1 0.2 0.2 0.4 0.4 0.8 0.8
11 Linalool 2635 5.0 1.0 0.5 0.1 0.0 0.0 0.0 0.0
12 alpha-Terpineol 3045 10.0 7.5 5.0 0.25 0.02 0.0 0.0 0.0
13 Citral 2303 1.0 2.0 3.0 4.0 5.0 6.0 7.0 8.0
14 Orange oil 2825 1.0 1.0 1.0 1.0 1.0 1.0 1.0 1.0
15 진피 정유추출물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16 2-methyl butyric acid 2695 0.25 0.25 0.5 0.5 1.0 1.0 2.0 2.0
17 Propylene glycol 2940 0.25 0.25 0.5 0.5 1.0 1.0 2.0 2.0
18 발효주정 (95%) 2419 65.55 75.80 80.35 86.3 81.58 78.75 65.95 56.85
19 Triacetine 2007 15.0 10.0 5.0 2.5 1.25 1.0 0.0 0.0
함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3.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 향료 조성물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조사
본 실시예 2에서 조합된 조합향료 8개의 선호도 조사를 10대-30대의 일반 소비자 50명에게 조합향료 8을 2 mL 정도 들이키게 한 후 입에서 가글링을 하게 한 후 버리도록 하였다. 가장 선호하는 조합향료에 10점, 가장 비 선호하는 조합향료에 0을 주도록 하였다. 선호도 결과를 바탕으로 평균값을 구하였고, 이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우메 티 드링크 향취 조성물 8종에 대한 선호도 조사결과, 10대-30대의 소비자들은 조합향료 3의 조성물을 가장 좋아하였다(선호도 평균 8.3). 선호도가 가장 낮았던 것은 조합향료 8로 선호도가 2.4이었다.
조합향료 8종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소비자 선호도 조합향료 1 조합향료 2 조합향료 3 조합향료 4 조합향료 5 조합.향료 6 조합향료 7 조합향료
8
평균값 5.7 6.5 8.3 4.2 3.7 4.8 5.1 2.4
실시예 4.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 조합향료 3이 인간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3을 통하여 소비자선호도가 가장 높았던 조합향료 3을 섭취시 인간의 뇌 활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기 위하여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를 측정하였다. 뇌파측정은 최대한 잡음이 혼입되지 않은 온도 23oC, 습도 50%가 유지되는 32.4 m2 크기의 실험실에서 남녀 각각 10명씩 총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본 실시예 4에서 뇌파측정을 위해 사용한 뇌파측정기기는 QEEG-32 System (LAXTHA Inc. Korea)이었으며, 피험자의 뇌파신호 측정은 LAXTHA의 데이터 수집 장비 및 분석프로그램(Telescan)을 이용하였다. 피험자들에게 10~20 국제표준 전극 부착법을 이용하여 8개의 접지전극을 뇌파전용 Electro-Gel(Electro-Cap Internationals, Inc. U.S.A.)을 사용하여 좌측과 우측 전전두엽 (Fp1, Fp2), 좌측과 우측 전두엽 (F3, F4), 좌측과 우측 측두엽 (T3, T4), 좌측과 우측 두정엽 (P3, P4) 부분에 부착하고 오른쪽과 왼쪽 귓볼 뒷부분에도 각각 하나씩의 전극(CovidienTM)을 부착하였다 (도 4). 종이컵에 담겨 있는 물을 빨대를 이용하여 섭취하게 한 후(대조구) 뇌파를 45초간 측정하였고, 피험자의 알파 뇌파가 안정화된 것을 확인 한 후 종이컵에 담겨 있는 우메 티 플래버를 빨대를 이용하여 섭취하게 한 후(대조구) 뇌파를 45초간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 4에서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 조합향료 3에 대한 뇌파측정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 처리는 피험자의 뇌파신호 중 대표적인 30초간의 뇌파신호만을 추출하여 뇌파일괄처리 프로그램(batch processing)으로 수행한 후, 통계분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SPSS(SPSS 18.0 version)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수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료 흡입 전(무자극)과 흡입 중(향자극)에 얻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뇌파지표의 종류는 표 3에, 그리고 각각의 뇌파 지표의 의미는 표 4에 나타내었다.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뇌파지표의 종류
No. 분석 지표 뇌파분석 지표2.3의 전체 이름 파장대(Hz)
1 AT 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4~8
2 AA 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8~13
3 AB Absolute Beta Power Spectrum 13~30
4 AG 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30~50
5 AFA Absolute Fast Alpha Power Spectrum 11~13
6 ASA 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 8~11
7 ALB 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 12~15
8 AMB Absolute Mid Beta Power Spectrum 15~20
9 AHB 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 20~30
10 RT Relative Theta Power Spectrum (4~8) / (4~50)
11 RA Relative Alpha Power Spectrum (8~13) / (4~50)
12 RB Relative Beta Power Spectrum (13~30) / (4~50)
13 RG Relative Gamma Power Spectrum (30~50) / (4~50)
14 RFA 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 (11~13) / (4~50)
15 RSA Relative Slow Alpha Power Spectrum (8~11) / (4~50)
16 RLB Relative Low Beta Power Spectrum (12~15) / (4~50)
17 RMB Relative Mid Beta Power Spectrum (15~20) / (4~50)
18 RHB Relative High Beta Power Spectrum (20~30) / (4~50)
19 RST Ratio of SMR to Theta (12~15) / (4~8)
20 RMT Ratio of Mid Beta to Theta (15~20) / (4~8)
21 RSMT Ratio of (SMR~Mid Beta) to Theta (12~20) / (4~8)
22 RAHB Ratio of Alpha to High Beta (8~13) / (20~30)
23 SEF50 Spectral Edge Frequency 50% 4~50
24 SEF90 Spectral Edge Frequency 90% 4~50
25 ASEF Spectral Edge Frequency 50% of Alpha Spectrum Band 8~13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뇌파 지표의 의미
No. 분석 지표 의미
1 AT Theta파의 절대파워 (명상, 졸릴때)
2 AA Alpha파의 절대파워 (이완, 안정)
3 AB Beta파의 절대파워 (긴장, 각성, 활성, 인지작용)
4 AG Gamma파의 절대파워 (고도의 인지작용 또는 불안, 흥분)
5 AFA Fast alpha파의 절대파워 (편안하면서 몰입, 창의력)
6 ASA Slow alpha파의 절대파워 (이완)
7 ALB Low beta파의 절대파워, SMR파라고도 함 (주의나 경계)
8 AMB Mid beta파의 절대파워 (집중, 주의)
9 AHB High beta파의 절대파워 (스트레스, 정신부하, 긴장)
10 RT 전체 중 theta파의 비율
11 RA 전체 중 alpha파의 비율
12 RB 전체 중 beta파의 비율
13 RG 전체 중 gamma파의 비율
14 RFA 전체에서 fast alpha파의 비율
15 RSA 전체에서 slow alpha파의 비율
16 RLB 전체에서 low beta파의 비율
17 RMB 전체에서 mid beta파의 비율
18 RHB 전체에서 high beta파의 비율
19 RST 전체 중 SMR파에서 theta파의 비율
20 RMT 전체 중 mid beta파에서 theta파의 비율
21 RSMT SMR~mid beta파/theta파 (뇌파집중지표)
22 RAHB Alpha파/high beta파 (안정 및 이완도)
23 SEF50 Median Frequency 뇌 활성도 (뇌파각성)
24 SEF90 Median Frequency 뇌 활성도 (정신부하, 스트레스)
25 ASEF Alpha파의 SEF50 (쾌적성: fast alpha파가 많음)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았던 조합향료 3이 인간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25개의 지표 중 AT 파워 스펙트럼과 AG 파워 스펙트럼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p<0.05) 이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조합향료 3을 섭취하였을 때 뇌파를 측정한 결과, 전극부착 부위인 측두엽 Cp6 부위에서 AT(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파워 스펙트럼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표 5). 일반적으로 세타파는 4-8 Hz의 주파수 영역을 갖는 서파로 정서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나 수면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주로 나타나는 뇌파로 휴식을 취할 때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타파는 정신을 집중하여 두뇌 내부의 정보를 활용할 때, 눈감고 심상 또는 공상을 할 때, 깊은 명상에 몰입하였을 때, 논리적 사고 문제 풀이에 집중하였을 때, 창의적 정신 활동에 집중할 때, 집중하면서 설명을 듣고 사고 활동으로 이어질 때, 초학습 능력의 상태일 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이사은. 2011. 라임향과 클로브향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본 실시예 4에서 우메 티 플래버 조합향료 3은 AT 파워 스펙트럼을 감소시켰으므로 두뇌의 긴장이 완화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메 티 드링크 조합향료 3 섭식 후 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변화
AT (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Site Inhalation N Mean SD t-test p
Fp1 Before 20 200.5076 293.4147 1.5812 0.1303
During 20 122.8705 130.7739
Fp2 Before 20 184.6657 288.3876 1.3154 0.2040
During 20 122.0650 150.4300
F3 Before 20 224.9785 299.1529 1.7294 0.1000
During 20 138.4226 144.4177
F4 Before 20 211.6484 288.4088 1.4762 0.1563
During 20 141.7603 155.5102
T3 Before 20 205.6099 301.2960 1.5114 0.1472
During 20 130.4938 149.7125
T4 Before 20 215.1856 306.5453 1.7623 0.0941
During 20 127.5389 143.2657
P3 Before 20 200.2709 289.6485 1.3544 0.1915
During 20 135.4258 151.5976
P4 Before 20 232.0350 300.3194 1.6970 0.1060
During 20 147.3576 151.0239
O1 Before 20 231.0907 319.1156 1.0798 0.2937
During 20 161.6742 219.6797
O2 Before 20 229.9867 285.1390 1.3186 0.2030
During 20 166.7897 155.4814
F7 Before 20 209.0363 297.0288 1.3836 0.1825
During 20 139.6109 149.0662
F8 Before 20 194.1551 332.3522 0.7500 0.4625
During 20 157.0246 275.4059
T7 Before 20 201.5844 286.6774 1.4228 0.1710
During 20 133.8952 150.4264
T8 Before 20 232.5584 288.2454 1.7667 0.0933
During 20 144.7878 146.5645
P7 Before 20 198.0999 289.2172 1.3773 0.1844
During 20 132.5305 153.2243
P8 Before 20 217.1911 286.8367 1.4512 0.1630
During 20 145.8466 152.5854
Afz Before 20 217.1409 293.5905 1.3583 0.1903
During 20 148.9211 142.8331
Cz Before 20 235.8922 323.9252 0.8455 0.4083
During 20 193.7101 272.0199
Fz Before 20 215.3368 325.1717 0.9544 0.3518
During 20 168.0954 273.2693
Pz Before 20 233.8284 301.3810 1.6557 0.1142
During 20 152.0485 157.0103
Fpz Before 20 199.7891 271.2233 1.5657 0.1339
During 20 132.2724 152.9896
Oz Before 20 215.1425 338.0740 1.0241 0.3187
During 20 162.4774 271.1269
Af3 Before 20 203.8788 282.0425 1.3832 0.1826
During 20 138.2214 142.6588
Af4 Before 20 217.5936 323.8134 0.8846 0.3874
During 20 173.9864 270.1321
Fc1 Before 20 211.1639 290.3226 1.5110 0.1472
During 20 139.2852 154.1940
Fc2 Before 20 220.6225 330.3868 0.8692 0.3956
During 20 177.1991 268.5837
Fc5 Before 20 226.0797 324.0473 0.9446 0.3567
During 20 179.0884 268.2098
Fc6 Before 20 222.4258 304.4308 1.6167 0.1224
During 20 141.9091 155.7190
Cp1 Before 20 122.1997 191.2595 1.5481 0.1381
During 20 88.7216 129.0220
Cp2 Before 20 290.1580 291.8098 1.7104 0.1035
During 20 200.2779 128.5708
Cp5 Before 20 189.2477 300.8321 1.2336 0.2324
During 20 126.9369 151.8796
Cp6 Before 20 166.0729 188.1124 2.1332 0.0462
During 20 118.5771 138.8841
Fp1/Af3 : left prefrontal, Fp2/Af4 : Right prefrontal, Fpz/Afz : Central prefrontal, F3/F7/Fc1/Fc5 : Left frontal, F4/F8/Fc2/Fc6 : Right frontal, Fz : Central frontal, T3/T7/Cp5 : Left tomporal, T4/T8/Cp6 : Right temporal, P3/P7/Cp1 : Left parietal, P4/P8/Cp2 : Right parietal, Cz/Pz : Central parietal, O1: Left occipital, O2: Right occipital, Oz : Central occipital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조합향료 3을 섭취 후 뇌파를 측정한 결과, 두정엽 Cp2 부위에서 AG 지표가 감소하였다. 감마파는 주파수 30-50 Hz에 해당하는 두뇌 활동 파 중에서 가장 속파에 속하며 정서적으로 더욱 초조한 상태나 추리, 판단 등 고도의 인지작용시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합향료 3의 흡입으로 AG 지표가 감소하였다는 것은 뇌가 초조한 상태로부터 벗어나 편안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메 티 드링크 조합향료 3 섭식 후 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변화
AG (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Site Inhalation N Mean SD t-test p
Fp1 Before 20 256.9435 404.4461 1.7871 0.0899
During 20 155.8354 273.9601
Fp2 Before 20 125.4306 180.5025 0.4610 0.6500
During 20 111.7062 137.5503
F3 Before 20 208.2657 262.3375 -0.3607 0.7223
During 20 230.2250 365.1190
F4 Before 20 153.0031 193.2862 0.0464 0.9635
During 20 150.7100 211.4618
T3 Before 20 187.3331 273.7574 -0.1501 0.8823
During 20 193.8206 257.7959
T4 Before 20 135.5953 181.5014 -0.5270 0.6043
During 20 164.2798 265.7304
P3 Before 20 157.7463 232.0410 1.3004 0.2090
During 20 105.2333 110.5042
P4 Before 20 232.4430 342.7468 1.6804 0.1092
During 20 127.9971 123.0596
O1 Before 20 124.8578 131.2621 -1.1288 0.2730
During 20 162.3385 223.3516
O2 Before 20 177.6024 242.7154 0.6972 0.4941
During 20 150.5800 142.5487
F7 Before 20 191.7093 278.9783 0.6329 0.5343
During 20 173.5577 243.1040
F8 Before 20 104.3364 139.3006 0.2707 0.7896
During 20 100.7985 133.6936
T7 Before 20 155.5473 207.3521 1.5585 0.1356
During 20 108.3680 119.4026
T8 Before 20 150.0459 170.3993 -0.9512 0.3534
During 20 180.7020 245.0979
P7 Before 20 168.8495 251.0686 0.8689 0.3957
During 20 126.1115 156.8250
P8 Before 20 182.9474 246.7573 0.7692 0.4512
During 20 155.8438 169.7938
Afz Before 20 243.8557 308.4050 1.7710 0.0926
During 20 162.7248 162.0558
Cz Before 20 133.9125 126.5814 -1.2234 0.2361
During 20 215.8034 294.2447
Fz Before 20 157.1488 174.6884 -0.1484 0.8836
During 20 162.7259 204.6671
Pz Before 20 125.6493 175.0540 0.3692 0.7161
During 20 114.3272 111.4227
Fpz Before 20 181.8024 273.2228 0.9976 0.3310
During 20 132.5738 175.8457
Oz Before 20 91.7471 117.1519 -1.1427 0.2674
During 20 109.7338 133.6167
Af3 Before 20 239.0534 320.0864 -0.3729 0.7133
During 20 259.7721 371.0644
Af4 Before 20 139.0950 208.6057 0.4573 0.6527
During 20 122.1668 139.4183
Fc1 Before 20 222.8414 354.7706 1.6811 0.1091
During 20 135.6496 177.5601
Fc2 Before 20 155.3306 253.3627 -0.0166 0.9869
During 20 156.1040 162.0967
Fc5 Before 20 122.6263 150.6347 0.0958 0.9247
During 20 121.2238 136.3382
Fc6 Before 20 169.1146 242.3906 1.2684 0.2200
During 20 119.9645 132.4757
Cp1 Before 20 124.1966 181.5328 -0.7825 0.4436
During 20 153.8853 276.4216
Cp2 Before 20 302.5646 308.5498 2.2062 0.0399
During 20 172.1071 106.4985
Cp5 Before 20 111.5548 124.1374 -1.0162 0.3223
During 20 158.4185 206.4408
Cp6 Before 20 263.1993 380.7132 1.7032 0.1048
During 20 203.0229 324.6066
Fp1/Af3 : left prefrontal, Fp2/Af4 : Right prefrontal, Fpz/Afz : Central prefrontal, F3/F7/Fc1/Fc5 : Left frontal, F4/F8/Fc2/Fc6 : Right frontal, Fz : Central frontal, T3/T7/Cp5 : Left tomporal, T4/T8/Cp6 : Right temporal, P3/P7/Cp1 : Left parietal, P4/P8/Cp2 : Right parietal, Cz/Pz : Central parietal, O1: Left occipital, O2: Right occipital, Oz : Central occipital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명확하게 나타난바와 같이 조합향료 3은 섭취하였을 때 측두엽 Cp6 부위에서 AT 지표를 감소시키고, 또 두정엽 Cp2 부위에서 AG 지표를 감소시켜 긴장, 불안, 스트레스로부터 뇌를 편안하게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2)

  1. 에틸 아세테이트(중량비 0.5%), 에틸 부티레이트(0.5%), 시트로네롤(0.5%), 벤질 알코올(0.1%), 벤즈 알데히드(0.5%), 감마-운데카락톤(0.5%), 감마-데카락톤(0.5%), 말톨(0.3%), 바닐린(0.5%), 1,4-시네올(0.2%), 리날룰(0.5%), 알파-터피네올(5.0%), 시트랄(3.0%), 오렌지 오일(1.0%), 진피 정유(0.05%), 2-메틸 부티레이트(0.5%), 프로필렌 글리콜(0.5%), 발효 주정(80.35%), 트리아세틴(5.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메 티 플래버 조합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를 이용한 뇌파분석시 측두엽 Cp6 부위에서 AT 지표를 감소시키고, 또 두정엽 Cp2 부위에서 AG 지표를 감소시켜 긴장, 불안, 스트레스로부터 뇌를 편안하게 해주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
KR1020180138892A 2018-11-13 2018-11-13 섭취시 측두엽 Cp6 부위에서 AT 지표(absolute theta power spectrum)과 두정엽 Cp2 부위에서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을 감소시켜 두뇌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특성을 갖는 매실의 달콤함, 칼리만시의 쌉사름함과 시트러스 풍미가 어우러진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 조성물 KR20200055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892A KR20200055343A (ko) 2018-11-13 2018-11-13 섭취시 측두엽 Cp6 부위에서 AT 지표(absolute theta power spectrum)과 두정엽 Cp2 부위에서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을 감소시켜 두뇌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특성을 갖는 매실의 달콤함, 칼리만시의 쌉사름함과 시트러스 풍미가 어우러진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892A KR20200055343A (ko) 2018-11-13 2018-11-13 섭취시 측두엽 Cp6 부위에서 AT 지표(absolute theta power spectrum)과 두정엽 Cp2 부위에서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을 감소시켜 두뇌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특성을 갖는 매실의 달콤함, 칼리만시의 쌉사름함과 시트러스 풍미가 어우러진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343A true KR20200055343A (ko) 2020-05-21

Family

ID=7091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892A KR20200055343A (ko) 2018-11-13 2018-11-13 섭취시 측두엽 Cp6 부위에서 AT 지표(absolute theta power spectrum)과 두정엽 Cp2 부위에서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을 감소시켜 두뇌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특성을 갖는 매실의 달콤함, 칼리만시의 쌉사름함과 시트러스 풍미가 어우러진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534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871A (ko) 2006-03-14 2006-04-11 홍호명 폐비닐을 이용한 파레트의 제조방법 및 그 파레트
KR20070118380A (ko) 2006-06-12 2007-12-17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수평배관을 이용한 감/가압 조절에 의한 토양과 지하수의 유류 및 유기물 오염의 동시 지중정화방법
KR20110050499A (ko) 2008-10-24 2011-05-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871A (ko) 2006-03-14 2006-04-11 홍호명 폐비닐을 이용한 파레트의 제조방법 및 그 파레트
KR20070118380A (ko) 2006-06-12 2007-12-17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수평배관을 이용한 감/가압 조절에 의한 토양과 지하수의 유류 및 유기물 오염의 동시 지중정화방법
KR20110050499A (ko) 2008-10-24 2011-05-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긴장완화용 베타카로틴 혼합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서 조 등(2017)은 긴장완화용 베타카로틴 혼합조성물을 개발하고 이의 뇌파를 측정하였는데 우측 측두엽에서 ASA(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의 감소를, 중앙 두정엽, 좌측 두정엽, 우측 두정엽, 좌측 후두엽 및 우측 후두엽에서 RA(Relative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를, 좌측 측두엽에서 RFA(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를, 중앙 두정엽에서 RSA(Relative Slow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를 유도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특허문헌 1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과는 전혀 다르고 또 이들 조성물로 인한 뇌파 차이도 발견되었기에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시음시 두뇌의 쾌적성을 증진시키는 민들레 혼합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서 김 등(2018)은 민들레 혼합 추출액이 시음시에 좌측 전전두엽, 우측 전두엽, 좌측 후두엽, 우측 후두엽, 중앙 후두엽, 우측 두정엽, 중앙 두정엽 및 좌측 두정엽에서 RFA(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와 중앙 전전두엽에서 ASEF(Spectral edge frequency 50% of alpha spectrum band)의 증가를 유도하여 두뇌의 쾌적성을 증진시키는 효능에 대해 보고하였다 (김성수, 김민주, 칸다사미 손하라라잔, 김성문. 시음시 두뇌의 쾌적성을 증진시키는 민들레 혼합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용도. 대한민국특허 10-1847375). 본 발명과 특허문헌 05와는 조성물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지고 인체적용 방법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기에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진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서 최와 이(2011)는 진범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범 향취를 재현한 조합향료를 만들었는데 이에 함유된 조성물은 cis-3-hexenol, linalool, terpineol, nerol, alpha-ionone, geraniol, phenylethyl alcohol, beta-caryophyllene, coriander oil, thyme oil, angelica oil, myrrhe resinoid, copahu balsam oil, olibanum resinoid, bergamot oil, target oil, ginger oil, patchouli oil, vertiver oil, isocyclo citral, stemon, 2-methyl pyrazine, camphene, viridine, benzyl benzoate 이었고, 이 조성물은 EEG 검사시 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AA) 과 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AT)를 감소시켜 뇌에 각성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고하였다 (최연희, 이세미. 진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0-2011-0093066). 본 특허의 조성물에서는 진범(Aconitum psedo-laeve var. erectum NAKAI) 향료가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기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된다.
(집중력 강화 및 심리적 안정용 매실차 조성물 및 이의 용도)은 시음시 우측 전전두엽에서 AA(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및 ASA(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의 증가를, 좌측 전두엽에서 RLB(Relative Low Beta Power Spectrum) 및 RST(Ratio of SMR to Theta)의 감소를, 우측 전두엽 및 좌측 측두엽에서 ASEF(Spectral edge frequency 50% of alpha spectrum band)의 감소를 유도하는 매실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과는 조성물에 있어서 차이가 클 뿐만 아니라 인체 적용방법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977B1 (ko) 뇌파 지표 rsmt, rb, rmt, afa를 증가시키는 편백나무, 측백나무, 구상나무 혼합 향료 조성물
KR102151761B1 (ko) 두뇌의 긴장을 완화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쿠아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10129134A (zh) 一种具有抑菌功效成分的香氛用香精及其制备方法
Zhang et al. Basic sensory properties of essential oils from aromatic plants and their applications: A critical review
KR20200055339A (ko) 시트러스의 쌉싸름함, 칼라만시의 달콤함, 국내산 박하 오일의 시트러스 민트 향이 복합적으로 어울어져 달콤하면서도 시트러스 민트 풍미를 나타내면서 섭취시 전두엽 Fp2 부위에서 RSMT 지표를 증가시켜 정신집중 효과를 나타내는 플래버 조합향료 조성물
KR101714543B1 (ko) 오미자 정유 및 참당귀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리적 안정 및 스트레스 완화용 향료 조성물
KR102055499B1 (ko) 감국꽃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파에서 상대적 세타파는 감소시키고 상대적 알파파는 증가시키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ho et al. Fragrant chemicals in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 of Magnolia kobus DC. Flower buds increase the concentration state of brain function
KR20220090742A (ko) 아로마테라피 효과가 있는 발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JP2002265977A (ja) 交感神経活性化香料組成物
KR20200055343A (ko) 섭취시 측두엽 Cp6 부위에서 AT 지표(absolute theta power spectrum)과 두정엽 Cp2 부위에서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을 감소시켜 두뇌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특성을 갖는 매실의 달콤함, 칼리만시의 쌉사름함과 시트러스 풍미가 어우러진 우메 티 드링크 플래버 조성물
KR101533673B1 (ko) 치자꽃생체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N111423937A (zh) 一种沉香无火香薰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151758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로마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60957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딥 포레스트 믹스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60958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트로피칼 패션 플라워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60960B1 (ko) 두뇌를 쾌적하고 편안하게 하는 센슈얼 루미너스 플라워 향취의 향료 조성물
KR102340205B1 (ko) 두뇌의 집중력을 높이고 각성을 증가시키는 우디 향취의 향료조성물
KR101355307B1 (ko) 진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313255B1 (ko) 어수리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어수리 천연정유를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
KR102363321B1 (ko) 두뇌의 쾌적 및 활발한 각성상태로 만들어주는 그린 시트러스 향취의 조합향료
KR101593383B1 (ko) 노간주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200055335A (ko) 흡입시 전두엽에서 AB 지표(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AMB 지표(absolute mid-beta power spectrum), AHB 지표(absolute high-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측두엽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와 후두엽에서 RSMT 지표(ratio of (SMR-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켜 두뇌를 집중시키면서도 진정시키는 특성을 갖는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취의 조합향료 조성물
KR102369379B1 (ko) 스트레스 완화용 그루망 플로랄 향취의 향료조성물
KR101538417B1 (ko) 천궁 정유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향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