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4788A - 모바일 단말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4788A
KR20200054788A KR1020180138505A KR20180138505A KR20200054788A KR 20200054788 A KR20200054788 A KR 20200054788A KR 1020180138505 A KR1020180138505 A KR 1020180138505A KR 20180138505 A KR20180138505 A KR 20180138505A KR 20200054788 A KR20200054788 A KR 20200054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management unit
applica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나얀
Original Assignee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8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4788A/ko
Publication of KR20200054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의 다양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각각의 어플케이션으로부터 쇼핑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계하는 중계부; 중계된 쇼핑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쇼핑 데이터의 요청을 처리하고, 처리 결과의 응답을 중계부로 출력하여 쇼핑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부; 어플리케이션 정보, 상품 정보,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관리하고, 서비스 관리부로부터 정보 제공 요청을 입력받고, 대응되는 정보를 조회하여 서비스 관리부에 응답 출력하는 정보부; 서비스 관리부로부터 상품 주문 요청을 입력받고, 입력된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이 주문된 것으로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서비스 관리부에 응답 출력하는 주문부; 서비스 관리부로부터 상품 결제 요청을 입력받고, 수신된 상품 결제 정보를 제휴된 결제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 처리를 요청하고, 처리 결과를 서비스 관리부에 응답 출력하는 결제부; 및 서비스 관리부로부터 사용자 알림을 요청받고, 요청된 알림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고, 전송 결과를 서비스 관리부에 응답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to Offline shopping service using apllication platform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쇼핑 서비스의 제공 기술로서, 모바일 단말의 다양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플랫폼으로 이용하여 온라인 상품의 주문 및 오프라인 매장 수령을 포함하는 O2O(Online to Offline)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쇼핑(e-commerce)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쇼핑하는 비중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의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온라인 쇼핑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옴니채널(omni-channel) 쇼핑에 의해, 사용자는 온라인, 오프라인을 제약없이 넘나 들며 상품 구매 전에 가격 비교 및 검색 등을 미리 해본 후, 상품을 구매한다. 또한,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에 의해, 사용자는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한 후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즉시 수령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바일 단말로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제작 및 배포하고, 모바일 단말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설치해야 한다.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O2O 쇼핑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서비스 인프라를 구축해야만 하는 제한 조건이 있어서 사업의 진입 장벽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수를 늘리려면 사용자의 다운로드를 유도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등의 막대한 마케팅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607397(2016.03.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에 기 설치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플랫폼들을 수용하고, 각 플랫폼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자들에게 온라인 상품의 조회, 주문, 결제 및 오프라인 수령을 포함하는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장치는 모바일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수령하기 위해 가까운 매장 검색, 키워드 검색 및 최근 이용 매장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오프라인 수령의 선택 서비스를 모바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각각의 상기 어플케이션으로부터 쇼핑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계하는 중계부; 중계된 상기 쇼핑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쇼핑 데이터의 요청을 처리하고, 처리 결과의 응답을 상기 중계부로 출력하여 상기 쇼핑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부; 어플리케이션 정보, 상품 정보,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부터 정보 제공 요청을 입력받고, 대응되는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서비스 관리부에 상기 응답으로써 출력하는 정보부;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부터 상품 주문 요청을 입력받고, 입력된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이 주문된 것으로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관리부에 상기 응답으로써 출력하는 주문부;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부터 상품 결제 요청을 입력받고, 수신된 상품 결제 정보를 제휴된 결제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 처리를 요청하고,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관리부에 상기 응답으로써 출력하는 결제부; 및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부터 사용자 알림을 요청받고, 요청된 알림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고, 전송 결과를 상기 서비스 관리부에 상기 응답으로써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계부는, 다양한 플랫품의 상기 어플리케이션과의 통신을 위해, 상기 중계 처리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쇼핑 데이터를 표준 스펙의 중계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쇼핑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 출력한다.
상기 중계부는,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부터 상기 응답을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응답을 상기 중계 통신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API로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기 저장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API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쇼핑 데이터의 요청을 직접 처리하거나 상기 요청에 대응되는 상기 마스터 관리부, 상기 주문부, 상기 결제 관리부 및 상기 알림부로 분배하여 출력한다.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사용자의 오프라인 수령을 위해,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의해, 상기 마스터 관리부로부터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위치에서 가까운 순으로 검색된 오프라인 매장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키워드로 검색된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가 최근 상품을 수령한 오프라인 매장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응답으로써 출력한다.
상기 정보부는, 상기 조회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정의된 정책에 따라 변경한다.
상기 정보부는, 상기 조회된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되는 컨텐츠로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정보를 상기 응답으로써 출력한다.
상기 주문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 모바일 키오스크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입력된 상품 주문 요청을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POS(Point Of Sale)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POS 단말로부터 주문 성공 여부의 상기 처리 결과를 수신한다.
상기 주문이 성공될 경우, 상기 POS 단말에는 사용자의 방문 예약 정보가 기록된다.
상기 알림부는, 상기 마스터 관리부에 정의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함을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감지할 때마다,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부터 요청된 알림 정보를 메시지 전송 서버로 전송하여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고, 메시지 전송 서버로부터 상기 처리 결과를 수신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장치가 모바일 단말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각각의 상기 어플케이션으로부터 쇼핑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 결과의 응답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하는 것으로 중계하는 단계; 중계된 상기 쇼핑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쇼핑 데이터의 요청을 처리하고, 처리 결과의 응답을 상기 중계를 위해 출력하여 상기 쇼핑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 정보, 상품 정보,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관리하고, 중계된 상기 쇼핑 데이터의 정보 제공 요청을 입력받고, 대응되는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중계를 위안 응답으로써, 조회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중계된 상기 쇼핑 데이터의 상품 주문 요청을 입력받고, 입력된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이 주문된 것으로 처리하고, 상기 중계를 위한 응답으로써 주문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중계된 상기 쇼핑 데이터의 상품 결제 요청을 입력받고, 입력된 상품 결제 정보를 제휴된 결제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 처리를 요청하고, 상기 중계를 위한 응답으로써 결제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및 중계된 상기 쇼핑 데이터의 사용자 알림을 요청받고, 요청된 알림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응답으로써 전송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자는 전용의 O2O 어플리케이션의 시스템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 없이 기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자와 업무 제휴하여 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를 고객으로 하여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업 진입의 장벽을 낮출 수 있다.
또한, O2O 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여 직접 수령할 수 있고, 온라인 상품화가 어려운 오프라인 매장을 O2O 쇼핑 서비스의 판매자로 신규 진입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O2O 쇼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O2O 쇼핑 서버의 개략적 내부 구성 및 데이터 흐름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O2O 쇼핑 서버가 어플리케이션으로 O2O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스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사용자가 상품을 수령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선택을 수신하는 개략적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O2O 쇼핑 서버가 어플리케이션의 상품 주문 정보를 매장 POS 단말로 전송하여 주문 처리하는 프로세스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의 O2O 쇼핑 서버가 어플리케이션의 상품 결제 정보를 PG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 처리하는 프로세스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1의 O2O 쇼핑 서버가 알림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메시지 서버를 통해 알림 처리하는 프로세스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O2O 쇼핑 서비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O2O 쇼핑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2O 쇼핑 시스템(100)은 복수의 모바일 단말(110) 및 O2O 쇼핑 서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 단말(110)은 기 설치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111, 113)을 이용하여 O2O 쇼핑 서버(150)로부터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111, 113)은 메시지 서비스(예 : 카카오 톡, 네이트 온 등)가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메시지 기반의 SNS 어플리케이션(예 : 페이스 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텀블러 등)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또한, O2O 쇼핑 서비스는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온라인 상품을 구매하고, 구매된 상품을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여 직접 수령하는 서비스이다. 만약, 상기 온라인 상품이 오프라인 매장이 보유한 상품일 경우라 가정하면, 어플리케이션(111, 113)은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주문하는 모바일 키오스크에 해당된다. 즉, 사용자는 전국의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111, 113)을 통해 해당 매장의 상품을 조회 및 검색하여 구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2O 쇼핑 서버(150)는 모바일 단말(110)의 각 어플리케이션(111, 113)을 상대로 O2O 상품 컨텐츠를 제공하여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한다.
O2O 쇼핑 서버(150)는 중계부(151), 서비스 관리부(152), 정보부(153), 주문부(154), 결제부(155) 및 알림부(1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O2O 쇼핑 서버(150)는 저장 매체, 메모리(예 : RAM)와 프로세서로 구성된 컴퓨팅 단말(예 : PC, 스마트 단말 등)에 해당된다. 각 구성부(151~156)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의 형태로 저장 매체에 설치될 수 있고, 실행된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로딩되어 프로세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O2O 쇼핑 서버(150)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111, 113)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각종 어플리케이션(111, 113)의 플랫폼을 수용하여 개방적/통합적 환경의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차별성이 있다.
상기 차별성에 의해, 본 발명의 O2O 쇼핑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는 O2O 쇼핑 서비스의 플랫폼 제공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예 : 옥션, G마켓, 11번가 등)을 제작하여 배포할 필요성이 없다. 또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배포를 홍보하기 위해 사용자 보장을 제공하는 마케팅 비용을 들일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110)에 기 설치된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111, 113)을 O2O 쇼핑 서비스의 플랫폼으로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메신저 서비스의 서비스 사업자와 제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111, 113)의 모바일 사용자들을 O2O 쇼핑의 잠재 고객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O2O 쇼핑 서버(150)의 개략적 내부 구성 및 데이터 흐름의 예시도이다.
도 2의 어플리케이션(210)은 도 1의 각 플랫폼별 어플리케이션(111, 113)에 해당한다. 어플리케이션(210)은 메신저 기반의 온라인 쇼핑을 위한 API(211) 함수를 제공한다. API를 통해 어플리케이션(210)은 사용자의 O2O 쇼핑 서비스와 관련된 요청을 전송하고, 당해 요청의 결과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상기 중계부(151)는 특정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는 다양한 플랫폼의 어플리케이션(210)을 상대로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API(211)와 통신하는 표준 스펙(예 : Standard Spec.)의 중계 통신(251)을 갖는다. 상기 중계 통신(251)은 Java가 제공하는 RestFull 함수이다. 즉, RestFull의 중계 통신(251)은 어플리케이션(210)의 API(211) 함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중계부(151)는 특정 어플리케이션(210)에 종속되지 않는 상기 "개방적/통합적 환경의 O2O 쇼핑 서비스"를 각 어플리케이션(210)에 제공할 수 있다.
중계부(251)는 API(211)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서비스 관리부(152)로 바이패스(bypass) 처리하고, 서비스 관리부(152)로부터 상기 바이패스 데이터의 처리 결과에 해당되는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여 API(211)로 전송하는 것으로 중계 처리한다.
상기 서비스 관리부(152)는 중계부(151)로부터 바이패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의 요청에 따라 정보부(153), 주문부(154), 결제부(155) 및 알림부(156)로 상기 요청의 처리를 분배한다. 즉, 상기 처리 분배는 서비스 관리부(152)가 정보부(153), 주문부(154), 결제부(155) 및 알림부(156)로 해당 요청의 데이터를 전송하여 처리를 요청하는 것으로 라우팅 처리에 해당한다.
먼저, 서비스 관리부(152)는 상기 요청이 정보 제공의 요청일 경우, 정보부(153)로 정보 제공의 처리를 요청하고, 정보 처리 결과의 응답을 정보부(153)로부터 수신한다. 서비스 관리부(152)는 상기 요청이 상품 주문의 요청일 경우, 주문부(154)로 상품 주문의 처리를 요청하고, 주문 처리 결과의 응답을 정보부(153)로부터 수신한다. 서비스 관리부(152)는 상기 요청이 상품 결제의 요청일 경우, 결제부(155)로 상품 결제의 처리를 요청하고, 결제 처리 결과의 응답을 결제부(155)로부터 수신한다. 서비스 관리부(152)는 사용자 알림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알림부(156)로 알림 처리를 요청하고, 알림 처리 결과의 응답을 결제부(155)로부터 수신한다.
다음으로, 서비스 관리부(152)는 정보부(153), 주문부(154), 결제부(155) 및 알림부(156)에 의해 라우팅 처리된 결과의 응답을 중계부(151)로 전송한다. 그러면, 중계부(151)는 중계 통신(251)을 통해 API(211)로 당해 처리 결과의 응답을 전송하여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정보부(153), 주문부(154), 결제부(155) 및 알림부(156)에 의해 수행되는 각각의 라우팅 처리를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O2O 쇼핑 서버(150)가 어플리케이션(210)으로 O2O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스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모바일 단말(110)에서 사용자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21)을 통해 상품을 조회, 검색하고, 질문하고, 구매하고, 결제하는 등의 다양한 쇼핑 행위를 한다. 이때, 각각의 쇼핑 행위에 대해 정보의 입력, 조회, 수정 및 삭제를 수반하는 정보 관리의 처리를 요청하는 쇼핑 데이터가 API(211)로부터 중계 통신(251)으로 상방향 전송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어플리케이션(210)이 중계부(151)로 쇼핑 데이터를 전송하여 처리 요청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중계부(151)는 어플리케이션(210)으로부터 쇼핑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데이터 처리를 요청받는다(S301). 중계부(151)는 서비스 관리부(152)로 쇼핑 데이터를 바이패싱하여 정보 처리를 요청한다(S302).
서비스 관리부(152)는 중계부(151)로부터 입력받은 정보 처리의 요청 데이터를 정보부(153)로 출력하여 상기 정보 관리의 처리를 요청한다(S303).
상기 정보부(153)는 정보 관리를 위해 어플리케이션 정보, 상품 정보,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미리 저장한다. 서비스 관리부(152)의 요청에 의해 정보의 read/write가 발생한다. 정보 관리를 위해 DB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정보부(153)는 서비스 관리부(152)로부터 입력받은 요청에 따라 정보 관리의 처리를 수행하고 처리 결과의 응답을 생성한다. 처리 결과는 어플리케이션(210)에서 출력되는 상품 콘텐츠의 응답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정보부(153)는 생성된 응답을 서비스 관리부(152), 중계부(151)를 거쳐서 어플리케이션(210)으로 전송한다(S305). 어플리케이션(210) 은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품 A를 선택하여 요청할 경우, 정보부(153)는 수신된 요청의 상품 A를 키로 하여 상품 정보를 조회하고, 조회 결과로서 어플리케이션(210)의 화면에 표시되는 상품 컨텐츠를 생성한다. 정보부(153)가 생성된 상품 컨텐츠를 응답으로써 리턴하면, 서비스 관리부(152), 중계부(151)를 거쳐서 어플리케이션(210)으로 당해 응답이 전송되어 어플리케이션(210)의 화면에 출력된다.
여기서, 정보부(153)는 괸리되는 정보를 각 어플리케이션(210)별로 정의된 서비스 정책에 따른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S304). 서비스 관리자는 어플리케이션(210)별로 고유한 서비스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어플리케이션(210)마다 서비스 수수료가 달라서 특정 어플리케이션(210)에만 특정 상품을 독점 공급하는 서비스 정책이 있을 수 있다. 각 어플리케이션(210)마다 할인 쿠폰을 다르게 제공하거나 동일 상품에 대해 가격을 다르게 적용하는 서비스 정책도 가능하다. 즉, 상기 서비스 정책은 어플리케이션(210)마다 다양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그러면, 정보부(153)는 각 어플리케이션(210)의 서비스 정책을 참조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210)에 특화된 처리 결과, 콘텐츠를 응답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사용자가 상품을 수령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선택을 수신하는 개략적 순서도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O2O 쇼핑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오프라인 매장 선택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는 사용자의 쇼핑 행위이다. 사용자는 오프라인 매장을 선택하여 그 선택된 매장이 재고로 보유하는 상품을 조회하거나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주문 상품에 대해 특정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 수령 매장으로 선택해야만 한다.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210)에서 상품의 방문 수령을 위해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요청하면, O2O 쇼핑 서버(150)의 서비스 관리부(152)가 중계부(151)를 통해 해당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S401).
서비스 관리부(152)는 정보부(303)로 당해 요청을 라우팅 출력하고, 정보부(303)가 상기 요청을 수신하여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검색한다(S402).
이때, 상기 요청 정보는 가까운 매장, 키워드 검색 매장, 사용자의 최근 이용 매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까운 매장의 경우, 어플리케이션(210)에서 수집된 모바일 단말(11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요청 정보에 포함된다. 상기 키워드 검색 매장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하는 상품, 주소, 지하철 역 등의 키워드가 상기 요청 정보에 포함된다. 또한, 사용자 선택 또는 디폴트 선택에 의해 사용자의 최근 이용 매장의 선택 정보가 상기 요청 정보에 포함된다.
정보부(153)는 가까운 매장, 키워드 검색 매장, 사용자의 최근 이용 매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대응되는 오프라인 매장을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의 컨텐츠를 생성하여 응답한다(S403).
정보부의 응답에 의해, 해당 응답의 컨텐츠는 어플리케이션(210)으로 전송되어 화면에 표시된 후, 사용자가 방문 수령을 위해 선택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택 정보가 O2O 쇼핑 서버(150)에 수신된다(S404).
도 5는 도 1의 O2O 쇼핑 서버(150)가 어플리케이션(210)의 상품 주문 정보를 매장 POS 단말(500)로 전송하여 주문 처리하는 프로세스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상기의 O2O 쇼핑 시스템(100)은 각 오프라인 매장이 보유한 매장 POS 단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매장 POS 단말(500)은 사용자의 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상품이 수령되는 매장임을 통보받는데 이용된다.
모바일 단말(110)에서 사용자는 도 3과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상품을 조회하는 과정에서 상품의 주문을 요청한다. 상품의 주문 요청은 중계부(151)를 통해 서비스 관리부(152)로 바이패스된다. 설명의 편의상, 중계부(151)의 중계 처리를 도 5에서 생략한다.
서비스 관리부(152)는 중계부(151)를 통해 바이패스되는 상품의 주문 요청을 입력받는다(S501). 서비스 관리부(152)는 수신된 주문 처리의 요청 데이터를 주문부(154)로 출력하여 상기 상품의 주문 처리를 요청한다(S502).
상기 주문부(154)는 서비스 관리부(152)로부터 입력받은 주문 요청에 따라 주문된 상품 정보, 매장 방문 시각 등의 주문 정보를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 POS 단말(500)로 전송하여 주문 처리를 요청하고, 주문 처리의 결과를 매장 포스 단말(500)로부터 수신한다(S503). 주문이 성공되면, 성공된 주문 결과의 응답이 주문부(154)로부터 서비스 관리부(152) 및 중계부(151)를 통해 어플리케이션(210)으로 전송되는 것으로 주문 처리가 완료된다(S504). 매장 POS 단말(500)에는 수신된 사용자의 상기 주문 정보가 기록된다.
도 6은 도 1의 O2O 쇼핑 서버(150)가 어플리케이션(210)의 결제 정보를 PG 서버(600)로 전송하여 결제 처리하는 프로세스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상기의 O2O 쇼핑 시스템(100)은 PG 서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G 서버(600)는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제 방식(예 : 계좌 이체, 카드 결제, 휴대폰 결제 등)에 따라 결제 처리하는데 이용된다.
모바일 단말(110)에서 사용자는 도 5와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상품을 주문한 후, 성공된 주문의 결제를 요청한다. 상품의 결제 요청은 중계부(151)를 통해 서비스 관리부(152)로 바이패스된다. 설명의 편의상, 중계부(151)의 중계 처리를 도 5에서 생략한다.
서비스 관리부(152)는 중계부(151)를 통해 바이패스되는 상품의 결제 요청을 입력받는다(S601). 서비스 관리부(152)는 수신된 결제 처리의 요청 데이터를 결제부(155)로 출력하여 상기 상품의 결제 처리를 요청한다(S602).
상기 결제부(155)는 서비스 관리부(152)로부터 입력받은 결제 요청에 따라 상품 정보, 결제자 정보, 결제받는 자 정보 등의 결제 정보를 PG 서버(600)로 전송하여 결제 처리를 요청하고, 결제 처리의 결과를 PG 서버(600)로부터 수신한다(S603). 결제가 성공되면, 성공된 결제 결과의 응답이 결제부(155)로부터 서비스 관리부(152) 및 중계부(151)를 통해 어플리케이션(210)으로 전송되는 것으로 결제 처리가 완료된다(S604). 이때, 서비스 정책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 결과의 사용자 알림이 도 7의 프로세스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O2O 쇼핑 서버(150)가 알림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메시지 서버(700)를 통해 알림 처리하는 프로세스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상기의 O2O 쇼핑 시스템(100)은 메시지 서버(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서버(700)는 L.Message 기반의 사용자 알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알림 방식(예 : 알림톡, SMS/MMS, 이메일 등)에 따라 알림 처리하는데 이용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에 알림 방식에 따른 알림 주소를 미리 등록해 둘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과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처리되는 과정에서, 서비스 정책에 정의된 알림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모바일 단말(110)의 사용자는 사용자 알림 정보를 수신한다.
서비스 관리부(152)는 정보부(153)에 기 정의된 알림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할 때마다 대응되는 상기 알림 방식에 따른 사용자 알림 요청을 알림부(156)로 출력한다(S701).
알림부(156)는 서비스 관리부(152)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알림 요청의 알림 정보를 메시지 서버(700)로 전송하여 알림 처리를 요청한다(S702).
메시지 서버(700)는 전송받은 알림 정보를 상기 알림 방식의 주소로 전송한다(S703). 사용자는 미리 등록해 둔 상기 알림 주소로 알림 정보를 수신한다.
알림부는 메시지 서버(700)의 처리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과를 서비스 관리부(152)로 응답 출력한다(S704).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O2O 쇼핑 서비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1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210)에서 제휴된 본 발명의 O2O 서비스를 선택한다. 그러면, 어플리케이션(210)의 메신저 서비스 서버가 웰컴 인사를 어플리케이션(210)으로 전송하여 화면에 웰컴 인사가 출력된다(S810).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210)에서 상품 수령 매장의 선택을 요청하고, O2O 쇼핑 서버(150)로부터 상기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수신하고, 상품을 방문 수령할 오프라인 매장을 선택한다(S820).
사용자는 메뉴 선택을 하여 상품을 조회 및 검색하고, O2O 쇼핑 서버(150)는 상기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대응되는 상품 정보를 어플리케이션(210)으로 전송한다(S830). 이때, 카테고리 퀵 리플라이 방식으로 메뉴 카테고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품 콘텐츠의 케로셀 방식으로 상품이 화면에 표시될 ㅅ 있다. 물론, 다양한 화면 UI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품의 조회 후, 사용자는 원하는 상품을 장바구니에 넣으면, O2O 쇼핑 서버(15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장바구니에 상품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 결과를 어플리케이션(210)에 전송한다(S840).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보관된 상품의 주문을 요청하면, O2O 쇼핑 서버(150)는 상기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품 주문을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어플리케이션(210)으로 전송한다(S850).
사용자가 주문 성공된 상품의 결제를 요청하면, O2O 쇼핑 서버(150)는 상기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품 결제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어플리케이션(210)으로 전송한다(S860).
여기서, O2O 쇼핑 서버(150)는 기 정의된 사용자의 알림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알림을 처리하고, 처리된 사용자 알림의 알림 정보가 사용자의 알림 주소로 통보된다(S870).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시스템 110 : 모바일 단말
151 : 중계부 152 : 서비스 관리부
153 : 정보부 154 : 주문부
155 : 결제부 156 : 알림부

Claims (20)

  1. 모바일 단말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어플케이션으로부터 쇼핑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계하는 중계부;
    중계된 상기 쇼핑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쇼핑 데이터의 요청을 처리하고, 처리 결과의 응답을 상기 중계부로 출력하여 상기 쇼핑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부;
    어플리케이션 정보, 상품 정보,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부터 정보 제공 요청을 입력받고, 대응되는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서비스 관리부에 상기 응답으로써 출력하는 정보부;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부터 상품 주문 요청을 입력받고, 입력된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이 주문된 것으로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관리부에 상기 응답으로써 출력하는 주문부;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부터 상품 결제 요청을 입력받고, 수신된 상품 결제 정보를 제휴된 결제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 처리를 요청하고, 처리 결과를 상기 서비스 관리부에 상기 응답으로써 출력하는 결제부; 및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부터 사용자 알림을 요청받고, 요청된 알림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고, 전송 결과를 상기 서비스 관리부에 상기 응답으로써 출력하는 알림부
    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는,
    다양한 플랫품의 상기 어플리케이션과의 통신을 위해, 상기 중계 처리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쇼핑 데이터를 표준 스펙의 중계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쇼핑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는,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부터 상기 응답을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응답을 상기 중계 통신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API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기 저장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API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쇼핑 데이터의 요청을 직접 처리하거나 상기 요청에 대응되는 상기 마스터 관리부, 상기 주문부, 상기 결제 관리부 및 상기 알림부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사용자의 오프라인 수령을 위해,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의해, 상기 마스터 관리부로부터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위치에서 가까운 순으로 검색된 오프라인 매장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키워드로 검색된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가 최근 상품을 수령한 오프라인 매장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응답으로써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부는,
    상기 조회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정의된 정책에 따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부는,
    상기 조회된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되는 컨텐츠로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정보를 상기 응답으로써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 모바일 키오스크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입력된 상품 주문 요청을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POS(Point Of Sale)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POS 단말로부터 주문 성공 여부의 상기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이 성공될 경우,
    상기 POS 단말에는 사용자의 방문 예약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마스터 관리부에 정의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함을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감지할 때마다,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부터 요청된 알림 정보를 메시지 전송 서버로 전송하여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고, 메시지 전송 서버로부터 상기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장치가 모바일 단말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어플케이션으로부터 쇼핑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 결과의 응답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하는 것으로 중계하는 단계;
    중계된 상기 쇼핑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쇼핑 데이터의 요청을 처리하고, 처리 결과의 응답을 상기 중계를 위해 출력하여 상기 쇼핑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 정보, 상품 정보,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관리하고, 중계된 상기 쇼핑 데이터의 정보 제공 요청을 입력받고, 대응되는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중계를 위안 응답으로써, 조회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중계된 상기 쇼핑 데이터의 상품 주문 요청을 입력받고, 입력된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이 주문된 것으로 처리하고, 상기 중계를 위한 응답으로써 주문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중계된 상기 쇼핑 데이터의 상품 결제 요청을 입력받고, 입력된 상품 결제 정보를 제휴된 결제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 처리를 요청하고, 상기 중계를 위한 응답으로써 결제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및
    중계된 상기 쇼핑 데이터의 사용자 알림을 요청받고, 요청된 알림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응답으로써 전송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하는 단계는,
    다양한 플랫품의 상기 어플리케이션과의 통신을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API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쇼핑 데이터를 표준 스펙의 중계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쇼핑 데이터를 상기 쇼핑 서비스의 관리를 위해 중계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하는 단계는,
    상기 쇼핑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응답을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응답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API로 중계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API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쇼핑 데이터의 요청을 직접 처리하거나 상기 요청에 대응되는 응답의 정보를 출력하는 각 단계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오프라인 수령을 위해,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의해, 상기 조회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위치에서 가까운 순으로 검색된 오프라인 매장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키워드로 검색된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가 최근 상품을 수령한 오프라인 매장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응답으로써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조회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정의된 정책에 따라 변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조회된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되는 컨텐츠로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정보를 상기 응답으로써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 모바일 키오스크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입력된 상품 주문 요청을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POS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POS 단말로부터 주문 성공 여부의 상기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이 성공될 경우,
    상기 POS 단말에는 사용자의 방문 예약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관리되는 알림 이벤트가 발생함을 상기 관리하는 단계에서 감지될 때마다, 요청된 알림 정보를 메시지 전송 서버로 전송하여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고, 메시지 전송 서버로부터 상기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0138505A 2018-11-12 2018-11-12 모바일 단말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054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505A KR20200054788A (ko) 2018-11-12 2018-11-12 모바일 단말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505A KR20200054788A (ko) 2018-11-12 2018-11-12 모바일 단말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788A true KR20200054788A (ko) 2020-05-20

Family

ID=70919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505A KR20200054788A (ko) 2018-11-12 2018-11-12 모바일 단말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478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397B1 (ko) 2014-10-21 2016-03-30 이정욱 소셜 플랫폼을 통한 주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397B1 (ko) 2014-10-21 2016-03-30 이정욱 소셜 플랫폼을 통한 주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7824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コンテンツ表示方法、記録媒体、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808265B1 (ko) 빈자리 안내 및 예약 서비스 시스템
US20060106674A1 (en) Mobile shopping method and application
KR20100003102A (ko) 개인 맞춤형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138396A (ko) 사용자 기반 주문형 독립쇼핑몰을 제공하는 통합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페이백 서비스 방법
KR20160113568A (ko) 실시간 대화를 기반으로 한 트랜잭션 처리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20090049265A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오프라인매장의 거래 중개 시스템 및방법
JP2019053495A (ja) 生成装置、生成方法及び生成プログラム
KR101542571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추천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KR101458374B1 (ko) 마케팅 캠페인 채널을 통한 소셜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 인지 기반 웹 메시징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4788A (ko) 모바일 단말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o2o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33693B1 (ko) 다양한 컨텐츠 마케팅 제작을 구비한 온라인 마케팅광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20351273A1 (en) Integrated smart shopping cart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and operating plurality of online shopping mall carts
JP6976372B2 (ja) 生成装置、生成方法及び生成プログラム
KR20110035571A (ko) 위젯을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403722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electronic searches with a platform for fulfilling consumer requests
KR101731954B1 (ko) 통신 모듈 임대의 중개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20170024175A (ko) 실시간으로 모바일 할인정보를 동적으로 재구성하는 방법
KR20200064212A (ko)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012132A (ko) 모바일 배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626811B1 (ko) 검색 엔진을 이용한 물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87187A (ko) 결제 서비스 시스템
KR102279060B1 (ko) 온라인 판매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10099141A (ko) 무선 전자상거래 중계시스템 및 방법
RU2754083C2 (ru) Способ проведения платежной транзак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истем мгновенного обмена сообщениями и файл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