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880A -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880A
KR20200053880A KR1020180137335A KR20180137335A KR20200053880A KR 20200053880 A KR20200053880 A KR 20200053880A KR 1020180137335 A KR1020180137335 A KR 1020180137335A KR 20180137335 A KR20180137335 A KR 20180137335A KR 20200053880 A KR20200053880 A KR 20200053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ignal
signal output
output unit
hul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4085B1 (ko
Inventor
신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7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0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브라켓을 이용하여 벨과 릴레이 박스를 측벽에 고정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는, 일면에 도어가 설치되며, 내부에 전화기를 구비하는 하우징; 하우징을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 부재;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신호 출력부; 및 사운드 신호 출력부를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 {Apparatus for calling in floater}
본 발명은 전화기와 같은 통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부유식 구조물에 구비되는 통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관실, 조정실, 엔진 룸 등 선박을 운항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각 장소에는 선내의 상호 통신을 위한 전화기가 구비된다. 선박의 운항과 관련하여 긴박한 상황이 발생하면, 이 전화기를 통해 당직자, 해당 작업자 등과 연락하여 선박에 발생된 긴박한 상황을 처리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10948호 (공개일: 2013.01.30.)
선내에 구비되는 전화기는 텔레폰 부스(telephone booth) 내에 설치되며, 텔레폰 부스의 상부에는 벨(bell)과 릴레이 박스(relay box)가 설치된다.
그런데 선박이 운항중일 때 벨과 릴레이 박스로 인해 텔레폰 부스에 상당히 심한 진동이 가해질 수 있으며, 텔레폰 부스에 장기간 진동이 가해질 경우 전화기 등 장비의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브라켓(bracket)을 이용하여 벨과 릴레이 박스를 측벽에 고정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의 일 면(aspect)은, 일면에 도어가 설치되며, 내부에 전화기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 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신호 출력부; 및 상기 사운드 신호 출력부를 상기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운드 신호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사운드 신호 출력부와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를 개별적으로 상기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키거나, 상기 사운드 신호 출력부와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를 평판에 결합시킨 후 상기 평판을 상기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켜 상기 사운드 신호 출력부와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를 통합적으로 상기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브라켓(bracket)을 이용하여 상기 사운드 신호 출력부를 상기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는 소음이 기준값 이상인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에 구비되는 사운드 신호 출력부와 전원 공급 제어부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에 구비되는 사운드 신호 출력부와 전원 공급 제어부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텔레폰 부스(telephone booth)의 상부에 설치되는 벨(bell)과 릴레이 박스(relay box)를 측벽에 고정시키는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통화 장치(100)는 부유식 구조물의 엔진 룸(Engine Room)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하우징(housing; 110), 도어(door; 120), 제1 고정 부재(130),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 전원 공급 제어부(150) 및 제2 고정 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비어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비어 있는 공간 상에는 전화기(111)가 구비된다. 즉, 하우징(110)은 텔레폰 부스(telephone booth)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이 텔레폰 부스의 형태로 형성되면, 사용자는 신체 일부(예를 들어, 상반신)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진입시켜 전화기(111)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가 있다.
하우징(110)의 정면에는 도어(120)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이 도어(120)를 개방시켜 하우징(11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도어(120)의 전면에는 도어 창(1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창(121)은 사용자가 내용물(예를 들어, 전화기(111))의 존재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소재(예를 들어,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120)의 전면에 도어 창(121)이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도어(120)의 전면에는 도어 개폐용 손잡이(122)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120) 상에 도어 개폐용 손잡이(122)가 형성되면, 사용자는 도어(120)를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130)는 하우징(110)을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1 고정 부재(130)는 브라켓(bracket)을 이용하여 하우징(110)을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부재(130)는 사용자의 상반신이 하우징(11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을 측벽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130)는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하우징(11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측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고정 부재(130)는 하우징(110)의 좌측과 우측을 각각 측벽에 고정시키거나, 하우징(110)의 상부와 하부 중 어느 한 부분을 측벽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는 상대방으로부터 사용자에게 전화가 왔음을 알려주기 위해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는 타종을 통해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벨(bell)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부유식 구조물의 엔진 룸에 설치될 수 있다. 엔진 룸은 부유식 구조물에서 기관실을 형성하는 구역으로, 엔진, 발전기, 보일러, 각종 펌프, 전기 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어, 부유식 구조물이 운항중일 때 소음이 매우 크다. 그래서 상대방으로부터 사용자에게 전화가 왔을 때,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화기의 벨소리만으로는 전화가 왔다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없다.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는 이를 위해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화기의 벨소리와 연동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여 전화 수신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전원 공급 제어부(150)는 전기적 스위치 장치로서,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원 공급 제어부(150)는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와 함께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릴레이 박스(relay box)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은 평상시 전원 공급 제어부(150)로 공급된다. 그런데 전화기(111)로 전화가 오게 되면(즉, 접점이 발생하면), 전원 공급 제어부(150)는 이 전원을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로 공급한다. 그러면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여, 전화 수신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제2 고정 부재(160)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와 전원 공급 제어부(150)를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2 고정 부재(160)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와 전원 공급 제어부(150)를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와 전원 공급 제어부(150)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선체의 측벽에 고정되지 않는다. 그런데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의 수시 작동에 따라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에 의한 진동이 장기간에 걸쳐 하우징(110)에 가해질 경우, 하우징(110)이나 하우징(110) 내에 구비되는 전화기(120) 등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측면을 참작하여 브라켓을 이용하여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와 전원 공급 제어부(150)를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킨다.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와 전원 공급 제어부(150)를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키면,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의 수시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선체의 측벽에서 일부 흡수함으로써, 하우징(110)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에 따라 선체의 측벽에 대해 하우징(110)의 결속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160)는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와 전원 공급 제어부(150)를 별개로 하여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고정 부재(160)는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와 전원 공급 제어부(150)를 일체로 하여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에 구비되는 사운드 신호 출력부와 전원 공급 제어부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에 구비되는 사운드 신호 출력부와 전원 공급 제어부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고정 부재(160)는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와 전원 공급 제어부(150)를 개별적으로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160)는 이를 위해 제a 부재(161)와 제b 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a 부재(161)는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의 후면과 선체의 측벽에 결합되는 것이다. 제a 부재(161)는 브라켓으로 구현되어, 볼팅(bolting) 등을 통해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의 후면과 선체의 측벽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b 부재(162)는 전원 공급 제어부(150)의 후면과 선체의 측벽에 결합되는 것이다. 제b 부재(162)는 제a 부재(162)와 마찬가지로 브라켓으로 구현되어, 볼팅 등을 통해 전원 공급 제어부(150)의 후면과 선체의 측벽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고정 부재(160)는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와 전원 공급 제어부(150)를 통합적으로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160)는 이를 위해 판 부재(163)와 제c 부재(164)를 포함할 수 있다.
판 부재(163)는 평판 형태의 것으로서, 일면을 통해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와 전원 공급 제어부(150)에 결합되는 것이다.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와 전원 공급 제어부(150)는 볼팅 등을 통해 판 부재(163)의 일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c 부재(164)는 판 부재(163)의 후면과 선체의 측벽에 결합되는 것이다. 제c 부재(164)는 브라켓으로 구현되어, 볼팅 등을 통해 판 부재(163)의 후면과 선체의 측벽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운드 신호 출력부(140)와 전원 공급 제어부(150)를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통화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통화 장치(100)는 부유식 구조물, 일례로 엔진 룸에 설치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선박 뿐만 아니라, 육상 플랜트(plant) 진동이 심한 구역의 텔레폰 부스에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통화 장치(100)는 전화번호 표시 패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화번호 표시 패널은 부유식 구조물 내에서 상대방과의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일면에 전화 번호(예를 들어, 내선 번호)가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전화번호 표시 패널은 메탈 포토(metal photo) 방식, 레이저 프린팅 방식 등을 이용하여 일면에 전화 번호가 인쇄된 평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전화번호 표시 패널은 전화기(111)와 함께 하우징(110) 내에 탑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화번호 표시 패널은 하우징(110)의 측면이나 도어(120)의 일면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통화 장치 111: 전화기
120: 도어 121: 도어 창
122: 도어 개폐용 손잡이 130: 제1 고정 부재
140: 사운드 신호 출력부 150: 전원 공급 제어부
160: 제2 고정 부재

Claims (4)

  1. 일면에 도어가 설치되며, 내부에 전화기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 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신호 출력부; 및
    상기 사운드 신호 출력부를 상기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운드 신호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사운드 신호 출력부와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를 개별적으로 상기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키거나, 상기 사운드 신호 출력부와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를 평판에 결합시킨 후 상기 평판을 상기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켜 상기 사운드 신호 출력부와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를 통합적으로 상기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브라켓(bracket)을 이용하여 상기 사운드 신호 출력부를 상기 선체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장치는 소음이 기준값 이상인 구역에 설치되는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
KR1020180137335A 2018-11-09 2018-11-09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 KR102404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335A KR102404085B1 (ko) 2018-11-09 2018-11-09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335A KR102404085B1 (ko) 2018-11-09 2018-11-09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880A true KR20200053880A (ko) 2020-05-19
KR102404085B1 KR102404085B1 (ko) 2022-05-30

Family

ID=7091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335A KR102404085B1 (ko) 2018-11-09 2018-11-09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0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1467A (ja) * 2001-03-07 2002-09-20 Shizuoka Oki Denki Kk 沿線電話機
KR20130010948A (ko) 2011-07-20 2013-0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내 경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선박용 전화기
KR20160109257A (ko) * 2015-03-10 2016-09-21 주식회사 인터엠 인터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1467A (ja) * 2001-03-07 2002-09-20 Shizuoka Oki Denki Kk 沿線電話機
KR20130010948A (ko) 2011-07-20 2013-0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내 경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선박용 전화기
KR20160109257A (ko) * 2015-03-10 2016-09-21 주식회사 인터엠 인터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blog.daum.net/qlightkr/7260838 (2008.10.10.) 1부.* *
https://www.guardiantelecom.com/wp-content/uploads/2018/05/sec02_exp_tel_psg-8.2.3d.pdf (2018.05.31.)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085B1 (ko) 202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6969B2 (en) Handheld device
KR20060051960A (ko) 액정표시장치
JP2006262262A (ja) 電気音響変換器の取付構造
EP2675140B1 (en) Electronic device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JP6057807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
KR20200053880A (ko) 부유식 구조물의 통화 장치
JP4687904B2 (ja) 折畳み型携帯電話端末
US10341474B1 (en) Mobile device
KR100813692B1 (ko) 휴대 단말기
JPH08296335A (ja) アクティブ防音フード装置
CN108494904B (zh) 电子组件及电子设备
KR20160109257A (ko) 인터콤
JP2007201789A (ja) 携帯電子機器
JP6216269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
JP2001230841A (ja) 携帯端末
KR20070044194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공명 구조
JP6301584B2 (ja) 音響素子を内蔵した電子機器
JP2007165561A (ja) 携帯端末装置
JP2006157199A (ja) スライド型携帯端末
EP1876419B1 (en) Watertight navigation device
JP6874613B2 (ja) 電子機器
EP1098497B1 (en) Acoustic echo suppression mechanism for a portable radio apparatus
JP2024072186A (ja) 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628768B1 (ko) 보조 엘시디 및 스피커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5260429A (ja) 表示モジュールおよび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