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839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839A
KR20200053839A KR1020180137224A KR20180137224A KR20200053839A KR 20200053839 A KR20200053839 A KR 20200053839A KR 1020180137224 A KR1020180137224 A KR 1020180137224A KR 20180137224 A KR20180137224 A KR 20180137224A KR 20200053839 A KR20200053839 A KR 20200053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space
cabinet
outlet
fa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6114B1 (ko
Inventor
최우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7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114B1/ko
Priority to US17/292,325 priority patent/US20210400853A1/en
Priority to PCT/KR2019/013994 priority patent/WO2020096237A1/ko
Publication of KR20200053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72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2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 G02F1/133385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with cooling means, e.g. f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제1 냉각공간 및 제2 냉각공간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제1 냉각공간으로 상기 캐비닛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제1 입구, 상기 제2 냉각공간으로 상기 캐비닛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제2 입구, 상기 제2 냉각공간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 냉각공간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제1 팬, 및 상기 제1 냉각공간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제1 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문자, 도형 등의 데이터 정보 및 영상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고휘도, 고해상도, 대형화, 고효율, 저전력 등의 요구는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야외에 광고 등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고휘도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실외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높은 휘도를 내기 때문에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실외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태양광에 직접 노출되는 경우 패널의 표면온도가 상승하여 열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백라이트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백라이트 유닛은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열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시키기 위한 방열 구조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를 냉각시키기 위한 방열 구조는 자연 대류 또는 강제 대류를 이용하거나, 냉장고나 공기조화기 등에 사용되는 열교환 장치를 이용한다.
그러나, 자연대류는 발열 부품의 냉각이 충분하지 않고, 강제대류는 열교환 효율이 좋지 않으며, 열교환 장치는 시스템이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한 개의 팬으로 두 개의 분리된 공간을 동시에 냉각할 수 있는 방열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팬에 의해 고속으로 유입된 공기와 내부 기압 강하로 인하여 흡입된 공기로 냉각하는 방열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냉각을 위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수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제1 냉각공간 및 제2 냉각공간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제1 냉각공간으로 상기 캐비닛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제1 입구, 상기 제2 냉각공간으로 상기 캐비닛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제2 입구, 상기 제2 냉각공간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 냉각공간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제1 팬, 및 상기 제1 냉각공간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제1 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 냉각공간에 배치되는 발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팬은 상기 제1 출구를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팬은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 입구에 배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제3 냉각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3 냉각공간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제2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냉각공간은 상기 제2 냉각공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냉각공간은 상기 제2 냉각공간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냉각공간의 출구와 상기 제3 냉각공간의 출구는 상기 캐비닛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팬과 상기 제2 팬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제1 냉각공간과 상기 제2 냉각공간을 구획하는 내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벽은 상기 제2 냉각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 냉각공간으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제2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팬은 상기 제2 출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벽은, 상기 제1 냉각공간의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의 넓이가 작아지도록, 상기 제1 냉각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출구는 상기 제1 냉각공간의 상기 단면의 넓이가 가장 작은 부분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제1 냉각공간의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의 넓이가 작아지도록, 상기 제1 냉각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팬은 상기 제1 냉각공간의 상기 단면의 넓이가 가장 작은 부분에서 상기 제1 냉각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1 출구는 상기 캐비닛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제1 입구 또는 상기 제1 출구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측면에 마련되는 제1 보조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벽은 상기 제1 냉각공간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2 냉각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제2 보조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캐비닛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냉각공간,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캐비닛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제1 냉각공간으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냉각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냉각공간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냉각공간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냉각공간의 출구를 향하여 상기 제2 냉각공간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냉각공간을 둘러싸는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상기 제1 냉각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은 상기 제1 냉각공간의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의 넓이가 가장 작은 부분에서 상기 제1 냉각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한 개의 팬으로 두 개의 분리된 공간을 동시에 냉각할 수 있어 낮은 비용으로 높은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팬에 의해 고속으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내부의 기압이 떨어져 흡입구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추가적으로 유입되는 방열 구조를 가지므로, 높은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 부품들이 배치된 공간을 다른 공간과 분리하여 냉각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수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캐비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캐비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캐비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캐비닛을 도시한 정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캐비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캐비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캐비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정보, 자료, 데이터 등을 문자, 도형, 그래프, 영상 등으로 표시하여 주는 장치로서, TV, PC, 모바일, 디지털 사이니지(singage) 등이 디스플레이 장치(1)로 구현될 수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휘도, 박형화, 대형화되고 있어,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열 구조도 더욱 효율적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지지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스탠드(미도시)를 통해 바닥 위에 설치되거나, 또는 행어(미도시) 등을 통해 벽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액정 패널(Liquid crystal panel)이나, 기판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증착하여 형성된 OLED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새로운 패널로서 기판에 무기 발광 소자를 실장하고 무기 발광 소자 자체를 그대로 픽셀로 사용하는 마이크로 엘이디 패널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엘이디 패널은 백라이트가 필요 없으며 베젤부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컴팩트화 및 박형화가 가능하고, 휘도, 해상도, 소비 전력,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마이크로 엘이디 패널은 웨이퍼에서 무기 발광 소자를 픽업하여 기판에 전사하는 공정 이외에 다른 복잡한 공정이 필요 없어서 소비자의 주문에 맞추어 다양한 해상도 및 사이즈로 제작이 가능하며, 단위 모듈들을 서로 조립함으로써 대형 화면을 구현하기 용이하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열화를 막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냉각이 필요하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후면에 백라이트 유닛이 배치된 경우 백라이트 유닛에 대한 냉각이 필요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40)와, 디스플레이 패널(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보드(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보드(30)와 전원 공급 장치(40) 등은 열 발생이 많은 부품들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발열 부품들에 대해서는 많은 열을 방열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0) 또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캐비닛(10)은 제1 냉각공간(110) 및 제2 냉각공간(120)을 포함한다. 제1 냉각공간(110)과 제2 냉각공간(120)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보드(30) 및 전원 공급 장치(40)와 같은 부품들은 제1 냉각공간(110)과 격리된 제2 냉각공간(120)에 배치된다.
제1 냉각공간(110)에는 기타 다른 부품이나 장치들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제1 냉각공간(110)은 디스플레이 패널(20) 또는 백라이트 유닛 만을 냉각하기 위한 공간이다. 제1 냉각공간(110)은 캐비닛(10)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제1 입구(111)와 캐비닛(10)의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제1 출구(112)를 포함한다. 제1 입구(111)와 제1 출구(112)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입구(111)와 제1 출구(112)는 캐비닛(10)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보드(30) 및 전원 공급 장치(40)와 같은 부품 또는 장치들은 냉각을 위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 또는 수분에 취약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보드(30) 및 전원 공급 장치(40)와 같은 부품들은 발열 부품이므로 많은 양의 열을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어 보드(30) 및 전원 공급 장치(40)와 같은 발열체가 배치된 제2 냉각공간(120)은 캐비닛(10)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제2 입구(121)에 먼지 및 수분 등을 걸러낼 수 있는 필터(123)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2 냉각공간(120)을 강제 대류 시킬 수 있는 팬(130)을 포함할 수 있다. 팬(130)은 제2 냉각공간(120)의 내부의 공기를 제1 냉각공간(110)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팬(130)의 회전으로 인해 제2 입구(121)를 통해 제2 냉각공간(120)으로 캐비닛(10)의 외부의 찬 공기가 유입된다. 제2 입구(121)를 통해 들어온 공기는 발열체(30, 40)와 디스플레이 패널(20)을 냉각시킨 후 팬(130)에 의해 제1 냉각공간(110)으로 배출된다.
캐비닛(10)은 제1 냉각공간(110)과 제2 냉각공간(120)을 구획하도록 구성된 내벽(140)을 포함한다. 내벽(140)은 제1 냉각공간(110)과 제2 냉각공간(120)이 상하로 배치되도록 캐비닛(10)의 내부에서 좌우로 연장될 수 있다. 내벽(140)은 제1 냉각공간(110)과 제2 냉각공간(120)이 좌우로 배치되도록 캐비닛(10)의 내부에서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내벽(140)은 필요에 따라 경사지거나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벽(140)은 제2 냉각공간(120)으로부터 제1 냉각공간(110)으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제2 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냉각공간(120)의 내부의 공기를 제1 냉각공간(110)으로 배출시키는 팬(130)은 내벽(140)에 형성된 제2 출구(12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입구(121)는 캐비닛(10)의 어느 면에든 마련될 수 있다. 보다 넓은 제2 입구(121)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2 입구(121)는 캐비닛(10)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냉각공간(120)은 복수개의 제2 입구(121)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체(30, 40)들은 제2 입구(121)와 제2 출구(12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팬(130)은 제1 냉각공간(110)의 제1 출구(112)를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벽(140)에 형성된 제2 출구(122)는 제1 냉각공간(110)의 제1 출구(112)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내벽(140)은 제1 냉각공간(110)의 제1 입구(111)로부터 제1 출구(112)를 향하여 내려가는 계단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계단의 수직면에 제2 출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복수의 팬(13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벽(140)은 복수의 계단을 포함할 수 있고, 각 계단의 수직면에 제2 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팬(130)은 각각의 제2 출구(122)에 배치되어 제1 냉각공간(110)의 제1 출구(112)를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팬(130)은 제2 출구(122)를 통하여 제1 냉각공간(110)에 고속으로 공기를 유입시킨다. 이에 따라, 제1 냉각공간(110) 내부의 공기의 유동 속도가 빨라지고, 제1 냉각공간 내부의 압력이 떨어진다. 그리하여, 제1 냉각공간(110)의 제1 입구(111)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팬(130)은 공기를 원심력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내보내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팬(130)은 공기를 축 방향으로 내보내는 축류팬을 포함할 수도 있다. 원심팬은 두께가 얇은 캐비닛(10)에 배치하기에 바람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캐비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캐비닛(11)은 제1 냉각공간(110), 제2 냉각공간(120)에 더하여 제3 냉각공간(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냉각공간(230)은 제1 냉각공간(1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3 냉각공간(230)은 캐비닛(11)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제3 입구(231)와 캐비닛(11)의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제3 출구(232)를 포함한다.
제1 입구(111)와 제1 출구(112)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입구(111)와 제1 출구(112)는 캐비닛(11)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입구(231)와 제3 출구(232)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입구(231)와 제3 출구(232)는 캐비닛(11)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냉각공간(110)은 제2 냉각공간(1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3 냉각공간(230)은 제2 냉각공간(120)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11)은 제1 냉각공간(110)과 제2 냉각공간을 구획하도록 구성된 제1 내벽(140)과 제2 냉각공간(120)과 제3 냉각공간(230)을 구획하도록 구성된 제2 내벽(141)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2 냉각공간(120)의 내부의 공기를 제1 냉각공간(110)으로 배출하는 제1 팬(130)과 제2 냉각공간(120)의 내부의 공기를 제3 냉각공간(230)으로 배출하는 제2 팬(1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벽(140)은 제2 냉각공간(120)으로부터 제1 냉각공간(110)으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제2 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벽은 제2 냉각공간(120)으로부터 제3 냉각공간(230)으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제4 출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130)은 제1 내벽(140)에 형성된 제2 출구(12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팬(131)은 제2 내벽(141)에 형성된 제4 출구(124)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팬(130)은 제1 냉각공간(110)의 제1 출구(112)를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팬(131)은 제3 냉각공간(230)의 제3 출구(232)를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내벽(140)에 형성된 제2 출구(122)는 제1 냉각공간(110)의 제1 출구(112)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벽(141)에 형성된 제4 출구(124)는 제3 냉각공간(230)의 제3 출구(232)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벽(140)은 제1 냉각공간(110)의 제1 입구(111)로부터 제1 출구(112)를 향하여 내려가는 계단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계단의 수직면에 제2 출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벽(141)은 제3 냉각공간(230)의 제3 입구(231)로부터 제3 출구(232)를 향하여 내려가는 계단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계단의 수직면에 제4 출구(1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냉각공간(230)은 제1 냉각공간(110)과 좌우 및 상하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냉각공간(110)의 제1 입구(111)와 제3 냉각공간(230)의 제3 입구(231)는 캐비닛(11)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냉각공간(110)의 제1 출구(112)와 제3 냉각공간(230)의 제3 출구(232)는 캐비닛(11)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팬(130)과 제2 팬(131)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 냉각공간(110)과 제3 냉각공간(230)은 상하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입구(111)와 제3 입구(231)는 캐비닛(11)의 같은 측면에 마련될 수 있고, 제1 출구(112)와 제3 출구(232)는 캐비닛(11)의 또 다른 같은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팬(130)과 제2 팬(131)은 같은 방향을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내벽(140)에 배치되는 복수의 팬과 제2 내벽(141)에 배치되는 복수의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벽(140)은 복수의 계단을 포함할 수 있고, 각 계단의 수직면에 제2 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벽(141)은 복수의 계단을 포함할 수 있고, 각 계단의 수직면에 제4 출구(12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팬은 각각의 제2 출구(122) 및 제4 출구(124)에 배치되어 제1 냉각공간(110)의 제1 출구(112) 및 제3 냉각공간(230)의 제3 출구(232)를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냉각공간 및 제3 냉각공간(23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된 복수의 냉각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2 냉각공간(12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된 또 다른 냉각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4에 도시된 제2 냉각공간(120)이 두 개의 분할된 서브 냉각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냉각공간의 내부의 공기는 제1 팬(130)에 의하여 제1 냉각공간(110)으로 배출되고, 제2 서브 냉각공간의 내부의 공기는 제2 팬에 의하여 제3 냉각공간(230)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캐비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캐비닛(12)은 제1 냉각공간(110)의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한 수직한 단면의 넓이가 작아지도록 제1 냉각공간(110)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면(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공간(110)을 둘러싸는 면 중 제1 입구(111)와 제1 출구(112)가 마련된 면 이외의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250)이 제1 냉각공간(110)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팬(130)은 제1 냉각공간(110)의 단면의 넓이가 가장 작은 부분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팬(130)은 제1 냉각공간(110)의 단면의 넓이가 가장 작은 부분에서 제1 냉각공간(110)으로 공기를 불어 넣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공기의 유동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넓이가 줄어든 부분에서 공기의 유동속도가 빨라진다. 제1 냉각공간(110)의 단면의 넓이가 줄어든 부분에서 팬(130)이 제1 냉각공간(110)에 공기를 고속으로 불어 넣게 되면, 제1 냉각공간(110) 내부의 압력을 더욱 효율적으로 떨어뜨릴 수 있고, 이로써 제1 냉각공간(110)에는 제1 입구(111)를 통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캐비닛(12)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캐비닛(12)은 제1 냉각공간(110)과 제2 냉각공간(120)을 구획하도록 구성된 내벽(240)을 포함한다. 내벽(240)도 제1 냉각공간(110)을 둘러싸는 면 중 하나이다. 내벽(240)은 제1 냉각공간(110)의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의 넓이가 작아지도록 제1 냉각공간(110)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내벽(240)은 제2 냉각공간(120)으로부터 제1 냉각공간(110)으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제2 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출구(122)는 제1 냉각공간(110)의 단면의 넓이가 가장 작은 부분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출구(122)는 내벽(240)이 제1 냉각공간(110)의 내측으로 가장 돌출된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냉각공간(120)의 내부의 공기를 제1 냉각공간(110)으로 배출시키는 팬(130)은 내벽(240)에 형성된 제2 출구(12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캐비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캐비닛(13)은 제1 냉각공간(110)으로 캐비닛(13)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제1 입구(111)와 제1 냉각공간(110)의 내부의 공기가 캐비닛(13)의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된 제1 출구(112)를 포함한다. 제1 입구(111)와 제2 출구(122)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입구(111)와 제1 출구(112)는 캐비닛(13)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3)은 제1 냉각공간(110)을 둘러싸는 면 중 제1 입구(111) 또는 제1 출구(112)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마련되는 제1 보조입구(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입구(113)는 제1 입구(11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13)은 제1 보조입구(113)를 통하여 제1 냉각공간(11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제1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는 제1 보조입구(11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는 제1 보조입구(113)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제1 냉각공간의 제1 출구(112)를 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캐비닛(13)은 제1 냉각공간(110)과 제2 냉각공간(120)을 구획하도록 구성된 내벽(140)을 포함한다. 내벽(140)은 제2 냉각공간(120)으로부터 제1 냉각공간(110)으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제2 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벽(140)은 제1 냉각공간(110)의 내부의 공기가 제2 냉각공간(120)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제2 보조입구(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조입구(221)는 제2 출구와 제1 냉각공간(110)의 제1 출구(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13)은 제2 보조입구(221)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는 제2 출구(122)로부터 나온 공기가 제2 보조입구(221)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제1 출구(112)로 빠져 나가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 부재는 제2 보조입구(221)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2 출구(122)로부터 나오는 공기에 의해 방해 받지 않도록 해준다. 제2 보조입구(221)에는 먼지 및 수분 등을 걸러낼 수 있는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캐비닛(13)은 복수의 제1 보조입구(113) 또는 복수의 제2 보조입구(2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설명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10, 11, 12, 13 : 캐비닛
20 : 디스플레이 패널 30 : 제어 보드
40 : 전원 공급 장치 110 : 제1 냉각공간
120 : 제2 냉각공간 130, 131 : 팬
140, 141, 240 : 내벽 250 : 볼록면

Claims (20)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제1 냉각공간 및 제2 냉각공간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제1 냉각공간으로 상기 캐비닛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제1 입구;
    상기 제2 냉각공간으로 상기 캐비닛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제2 입구;
    상기 제2 냉각공간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 냉각공간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제1 팬; 및
    상기 제1 냉각공간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제1 출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공간에 배치되는 발열체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팬은 상기 제1 출구를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팬은 원심팬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구에 배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제3 냉각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3 냉각공간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제2 팬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공간은 상기 제2 냉각공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냉각공간은 상기 제2 냉각공간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공간의 출구와 상기 제3 냉각공간의 출구는 상기 캐비닛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팬과 상기 제2 팬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제1 냉각공간과 상기 제2 냉각공간을 구획하는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벽은 상기 제2 냉각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 냉각공간으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제2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팬은 상기 제2 출구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은, 상기 제1 냉각공간의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의 넓이가 작아지도록, 상기 제1 냉각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출구는 상기 제1 냉각공간의 상기 단면의 넓이가 가장 작은 부분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제1 냉각공간의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의 넓이가 작아지도록, 상기 제1 냉각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팬은 상기 제1 냉각공간의 상기 단면의 넓이가 가장 작은 부분에서 상기 제1 냉각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1 출구는 상기 캐비닛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제1 입구 또는 상기 제1 출구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측면에 마련되는 제1 보조입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은 상기 제1 냉각공간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2 냉각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제2 보조입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캐비닛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냉각공간;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캐비닛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제1 냉각공간으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냉각공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냉각공간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냉각공간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팬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냉각공간의 출구를 향하여 상기 제2 냉각공간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냉각공간을 둘러싸는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상기 제1 냉각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은 상기 제1 냉각공간의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의 넓이가 가장 작은 부분에서 상기 제1 냉각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137224A 2018-11-09 2018-11-09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46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224A KR102646114B1 (ko) 2018-11-09 2018-11-09 디스플레이 장치
US17/292,325 US20210400853A1 (en) 2018-11-09 2019-10-23 Display device
PCT/KR2019/013994 WO2020096237A1 (ko) 2018-11-09 2019-10-23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224A KR102646114B1 (ko) 2018-11-09 2018-11-09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839A true KR20200053839A (ko) 2020-05-19
KR102646114B1 KR102646114B1 (ko) 2024-03-12

Family

ID=7061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224A KR102646114B1 (ko) 2018-11-09 2018-11-09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400853A1 (ko)
KR (1) KR102646114B1 (ko)
WO (1) WO20200962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0315A1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엠알케이 냉각 효율을 높인 고휘도용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4054B2 (en) * 2021-08-23 2023-08-2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an unit for providing improved airflow within display assembli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2932A1 (en) * 2007-03-09 2008-09-18 Peng Yun Display cabinet for light emitting diode lights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6754A (ja) * 2000-06-19 2002-01-11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装置の放熱構造
JP2002026555A (ja) * 2000-07-04 2002-01-25 Sony Corp 電子装置における放熱機構
TWM244718U (en) * 2003-08-22 2004-09-21 Hon Hai Prec Ind Co Ltd Heat dissipating device employing air duct
TWI268526B (en) * 2003-12-05 2006-12-11 Au Optronics Corp Plasma display
KR101273592B1 (ko) * 2007-01-08 2013-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패널형 디스플레이장치
KR20080069073A (ko) * 2007-01-22 2008-07-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4516582B2 (ja) * 2007-05-15 2010-08-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KR101456975B1 (ko) * 2007-09-27 2014-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각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JP2013218257A (ja) * 2012-03-16 2013-10-24 Panasonic Corp 電子機器
KR102094887B1 (ko) * 2013-07-08 2020-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및 그 구동방법
KR102132340B1 (ko) * 2015-12-10 2020-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CN110573949A (zh) * 2017-03-29 2019-12-13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照明装置以及显示装置
US10969615B2 (en) * 2018-07-04 2021-04-06 Dynascan Technology Corp. Electronic display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2932A1 (en) * 2007-03-09 2008-09-18 Peng Yun Display cabinet for light emitting diode lights and method of 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0315A1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엠알케이 냉각 효율을 높인 고휘도용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6237A1 (ko) 2020-05-14
KR102646114B1 (ko) 2024-03-12
US20210400853A1 (en)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02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consistent temperature gradient across an electronic display
KR102262912B1 (ko) 표시장치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3393222B1 (en) Display device
CN110431925B (zh) 显示装置
US8400608B2 (en) Display apparatus
US11262817B2 (en) Display device
US9173325B2 (en) Heat exchanger for back to back electronic displays
US7995342B2 (en) Display device
KR101456975B1 (ko) 냉각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305840B1 (ko) 디스플레이장치
EP1408476B1 (en) Light emission display arrangements
EP2169653A1 (en) Display device
EP2169451A2 (en) Display device
KR100747849B1 (ko)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 및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냉각장치
JP2004133457A (ja) パネルディスプレイおよびタイルドディスプレイ
US20180199450A1 (en) Display device
WO2013182733A1 (en) Information display and a method for cooling an information display
US20120255713A1 (en) Cooling System Equipped with an Advection-Type Fan
KR202000538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2169452A1 (en) Display device
US8208256B2 (en) Display device
KR201901271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394063B2 (en) Display apparatus
EP1408475A1 (en) Light emission display arrangements
KR20220141424A (ko) 냉각 효율을 높인 고휘도용 양면 사이니지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