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360A - 프레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360A
KR20200053360A KR1020180136890A KR20180136890A KR20200053360A KR 20200053360 A KR20200053360 A KR 20200053360A KR 1020180136890 A KR1020180136890 A KR 1020180136890A KR 20180136890 A KR20180136890 A KR 20180136890A KR 20200053360 A KR20200053360 A KR 20200053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body
link member
panel
h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4506B1 (ko
Inventor
구하경
Original Assignee
구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하경 filed Critical 구하경
Priority to KR1020180136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5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본체의 측면 또는 모서리에 소정 크기의 요입홈을 형성하고, 프레임과 결합하는 링크부재의 머리부를 상기 요입홈에 삽입하며, 링 형상의 머리부를 관통하며서 본체의 상면과 하면에 체결되는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를 본체에 고정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체결나사 및 링크부재 등을 통한 프레임의 연결이 간편하여 프레임 조립체의 제작, 설치 및 유지 비용이 상당히 감소할 뿐 아니라 다양한 실시예로 확장할 수 있는 프레임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레임 연결장치{Frame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다수의 프레임을 연결 및 고정하여 프레임 조립체를 완성할 수 있는 프레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 부피를 갖는 본체의 측면 또는 모서리에 요입홈을 형성하고, 프레임과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요입홈에 삽입하여 체결나사로 고정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체결나사 등을 통한 조립이 간편하여 제작, 설치 및 유지 비용이 상당히 감소할 뿐 아니라 다양한 실시예로 확장할 수 있는 프레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책상이나 걸상 또는 그 이외 진열장 등의 철제 가구들의 골격을 구성하는 프레임은 주로 각형 또는 원형의 형강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형강을 이용한 프레임들은 세로대 또는 가로대를 상호 교차방향으로 배치하여 하중 또는 외력 등의 작용에 대해 저항하면서 원 형상을 유지한다.
이러한 프레임에서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세로대와 가로대 사이의 결합을 위해 필수적으로 연결구조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결구조는 통상 용접방식, 예를 들어 책상의 경우를 보면 다리를 구성하는 세로대와 그 세로대에 교차방향으로 연결되는 가로대의 접속부분을 용접하였다.
그런데 이렇게 접속부분을 용접하면, 그 용접 부분이 거칠어서 외관상 미려하지 못해 후 가공, 즉 그라이딩 작업을 통해 마무리하여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특허등록 제10-1101395호에서는 철제 사무용 책상의 프레임을 용접 등으로 연결고정시키지 않고, 연결구를 사용하여 고정볼트로 고정연결시킬 수 있는 사무용 책상의 프레임 연결구를 소개하였다.
그러나 상기 프레임 연결구는 연결구 제조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1395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0508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본체의 측면 또는 모서리에 소정 크기의 요입홈을 형성하고, 프레임과 결합하는 링크부재의 머리부를 상기 요입홈에 삽입하며, 링 형상의 머리부를 관통하며서 본체의 상면과 하면에 체결되는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를 본체에 고정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체결나사 및 링크부재 등을 통한 조립이 간편하여 제작, 설치 및 유지 비용이 상당히 감소할 뿐 아니라 프레임 조립체를 다양한 실시예로 확장할 수 있는 프레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장치는, 측면과 상하면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소정 너비의 요입홈;
링 형상의 머리부가 상기 요입홈을 통해 본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에서 연장되는 몸체부가 소정 길이의 프레임과 연결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머리부를 관통하고, 상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장치는, 측면을 갖고, 내부가 중공되어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는 본체; 체결나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을 차단하는 상면패널 및 하면패널; 상기 본체 측면의 모서리가 내부로 들어가면서 상기 모서리와 접하는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요입홈; 상기 요입홈이 형성되면서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ㄴ"자 형상의 절곡바; 링 형상의 머리부가 상기 요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절곡바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머리부에서 연장되는 몸체부가 소정 길이의 프레임과 연결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머리부를 관통하고, 상하단부가 상기 상면패널과 하면패널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장치는, 테두리부에 체결공이 형성되는 상면패널 및 하면패널; 상하단부가 상기 상면패널과 하면패널의 체결공에 체결되고, 상기 상면패널과 하면패널이 소정 거리 이격되어 연결 및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나사; 및 상기 상면패널과 하면패널 사이에 구비되고, 링 형상의 머리부에 상기 체결나사가 관통하며, 상기 머리부의 일측에는 소정 길이의 프레임과 연결되는 몸체부가 형성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정 부피를 갖는 본체의 측면 또는 모서리에 소정 크기의 요입홈을 형성하고, 프레임과 결합하는 링크부재의 머리부를 상기 요입홈에 삽입하며, 링 형상의 머리부를 관통하며서 본체의 상면과 하면에 체결되는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를 본체에 고정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할 뿐 아니라 체결나사 등을 통한 조립이 간편하여 제작, 설치 및 유지 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장치는 하나의 본체에 다수의 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고, 다수의 프레임을 다양한 방향 또는 경사각으로 연결 및 고정하여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 조립체를 간단하고 쉽게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분해도 및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분해도 및 횡단면도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장치가 프레임과 연결되는 사용상태도 및 프레임 연결장치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장치(100)는, 측면(11)과 상하면(12)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측면(11)에 형성되는 소정 너비의 요입홈(11a); 링 형상의 머리부(21)가 상기 요입홈(11a)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21)에서 연장되는 몸체부(22)가 소정 길이의 프레임(1)과 연결되는 링크부재(20); 및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상기 머리부(21)를 관통하고, 상하단부가 상기 본체(10)의 상하면(12)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체결나사(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측면(11)과 상하면(12)을 갖는 육면체 또는 원통으로 형성될 수 있고, 측면(11)과 상하면(12)에 의해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것으로, 본체(10)의 측면(11)에는 소정 너비의 요입홈(11a)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형상은 육면체 또는 원통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4개의 측면(11)과 상하면(12)으로 이루어진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입홈(11a)은 레이저, 펀칭, 절삭, 보링 또는 프레스 가공 등에 본체(10)에 형성되는 것으로, 본체(10)의 측면(11)뿐 아니라 본체(10)의 상면 또는/및 하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입홈(11a)에는 프레임(1)과 본체(10)를 연결하는 소정 길이의 링크부재(20)가 구비되는데, 상기 링크부재(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11a)에 삽입되는 머리부(21); 및 상기 머리부(21)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고, 프레임(1)과 연결되는 몸체부(22);를 포함한다. 상기 머리부(21)는 요입홈(11a)에 삽입되어 본체(10)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22)는 본체(10) 외측으로 돌출되어 프레임(1)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2)는 프레임(1)과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프레임(1)과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결합방식으로 프레임(1)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20)는 머리부(21)가 요입홈(11a)으로 삽입되어 본체(10) 내부에 위치하며, 본체(10)에 체결되는 체결나사(30)에 의해 본체(1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링크부재(20)는 몸체부(22)가 본체(10) 타측면의 요입홈(11a)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삽입 관통한 후 본체(10) 일측면의 요입홈(11a)을 통해 본체(1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20)는 본체(10)의 일측면, 상면 또는 하면이 개방될 경우에는 경방된 본체(10)의 일측면, 상면 또는 하면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삽입된 후 머리부(21)가 본체(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요입홈(11a)의 상하측으로 본체(10)의 상하면(12)에는 체결나사(30)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나사(30)는 본체(10) 내부에 위치하는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를 관통하면서 일단부 또는 양단부가 본체(10)의 상면(12) 또는/및 하면(12)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나사(30)는 몸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양단부 또는 일단부에 나산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나사(30)는 하부가 본체(10) 상면의 체결공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본체(10) 내부의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를 관통한 후 본체(10) 하면의 체결공에 체결되며, 상기 링크부재(20)가 체결나사(30)에 의해 본체(10)의 요입홈(11a)에서 빠지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가 4개의 측면(11)과 상하면(12)으로 구성되는 육면체로 형성될 경우, 4개의 측면(11)에 요입홈(11a)을 형성하고, 4개의 요입홈(11a)에 링크부재(20)가 각각 구비되어 4개의 체결나사(30)에 의해 본체(10)에서 빠지지 않도록 지지됨으로써, 각각 다른 방향에서 구비되고 회전 가능한 링크부재(20)에 의해 다수의 프레임(1)을 하나의 본체(10)에 쉽게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20)는 체결나사(30)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프레임(1)의 일단부가 본체(10)의 위치와 소정 각 어긋나더라도 링크부재(20)를 프레임 방향으로 돌려 쉽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프레임(1)은 소정 길이를 갖는 바(bar), 지지대(50), 봉, 배관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일 수 있다.
또한, 요입홈(11a) 및 링크부재(20)는 상기 본체(10)의 측면(11) 뿐 아니라 본체(10)의 상면(12) 및/또는 하면(12)에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다수의 프레임(1)을 하나의 본체(10)에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다수의 프레임(1)에 의해 프레임 조립체를 쉽게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예로, 상기 본체(10)가 육면체로 형성될 경우, 본체(10)의 상하면(12)과, 전후 좌우 측면(11)에 요입홈(11a)과 링크부재(20)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본체(10)에 적어도 6개의 프레임(1)을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요입홈(11a)을 본체(10)의 상하면(12)에 더 형성하고, 상기 상하면(12)의 요입홈에 링크부재(20)를 구비한 후 2개의 측면(11)에 체결되는 체결나사(30)로 링크부재(20)가 빠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체(10)의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의 적어도 6개의 프레임(1)을 하나의 본체(10)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요입홈(11a)은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적어도 2개의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가 상기 요입홈(11a) 내부에서 상하로 적층될 수 있다.
다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장치(100)는, 측면(11)과 상하면(12)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측면(11) 모서리와 상기 모서리와 접하는 2개의 측면(11)에 형성되는 요입홈(11a); 링 형상의 머리부(21)가 상기 요입홈(11a)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21)에서 연장되는 몸체부(22)가 소정 길이의 프레임(1)과 연결되는 링크부재(20); 및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상기 머리부(21)를 관통하고, 상하단부가 상기 본체(10)의 상하면(12)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체결나사(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4개의 측면(11)과 상하면(12)을 갖는 육면체로 형성되고, 측면(11) 모서리와 상기 모서리와 접하는 2개의 측면(11)에 상기 요입홈(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를 상기 요입홈(11a)에 삽입하며, 상기 본체(10) 상하면(12)의 체결공에 상하단부가 체결되는 체결나사(30)가 상기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를 관통함으로써 링크부재(20)가 본체(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즉, 상기 링크부재(20)를 측면(11) 모서리에 형성함으로써 링크부재(20)의 회전범위가 더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요입홈(11a)을 본체(10)의 측면(11)/상하면(12) 내부와 모서리에 형성할 경우에는 하나의 본체(10)에 적어도 10개의 프레임(1)을 연결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요입홈(11a)은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적어도 2개의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가 하나의 상기 요입홈(11a) 내부에서 상하로 적층할 수 잇으며, 이 경우 본체(10)에 연결될 수 있는 프레임(1)의 개수는 더 늘어나게 된다.
다음,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장치(100)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장치(100)는, 측면(11)이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상하면이 개방되는 본체(10); 체결나사(3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본체(10)의 상하면(12)을 차단하는 상면패널(13) 및 하면패널(14); 상기 본체(10) 측면(11)의 모서리와 상기 모서리와 접하는 2개의 측면(11)에 형성되는 요입홈(11a); 및 본체(10) 내부에서 상기 체결나사(30)가 관통하는 링 형상의 머리부(21)와, 상기 머리부(21)에서 연장되는 몸체부(22)가 본체(10) 외부에서 소정 길이의 프레임(1)과 연결되는 링크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요입홈(11a)이 본체(10)의 모서리와 상기 모서리에 접하는 2개의 측면(11)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는 상하면(12)이 개방되고, 개방된 본체(10)의 상하면(12)은 소정 너비의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에 의해 차단된다. 이때 상기 링크부재(20)는 상기 요입홈(11a)으로 머리부(21)가 삽입되거나 몸체부(22)가 본체(10)의 개방된 상하면(12)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삽입된 후 요입홈(11a)을 통해 본체(1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은 소정 길이의 체결나사(30)에 의해 본체(10)의 개방된 상하면(12)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나사(30)는 본체(10) 내부에 위치하는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를 관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면패널(13) 및/또는 하면패널(14)에는 소정 너비의 요입홈(1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요입홈(11a)에는 링크부재(20)가 구비되며, 상기 링크부재(20)는 본체(10) 측면(11)에 체결되는 체결나사(30)에 의해 본체(10)에서 빠지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살시예에 있어서, 측면(11)을 갖고 내부가 중공되어 상하면이 개방되는 본체(10); 체결나사(3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본체(10)의 상하면(12)을 차단하는 상면패널(13) 및 하면패널(14); 상기 본체(10) 측면(11)의 모서리가 내부로 들어가면서 상기 모서리와 접하는 2개의 측면(11)에 형성되는 요입홈(11a); 상기 요입홈(11a)이 형성되면서 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ㄴ"자 형상의 절곡바(11b); 링 형상의 머리부(21)가 상기 요입홈(11a)에 삽입되어 상기 절곡바(11b)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머리부(21)에서 연장되는 몸체부(22)가 소정 길이의 프레임(1)과 연결되는 링크부재(20); 및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상기 머리부(21)를 관통하고, 상하단부가 상기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지지대(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가 중공되어 상하면(12)이 개방된 관 형상 또는 중공의 사각 바로 형성되고, 측면(11)에 의해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며, 개방된 상하면은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에 의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은 소정 길이의 체결나사(30)에 의해 연결되고, 본체(10)의 개방된 상면과 하면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본체(10)는 측면(11)을 갖는 중공의 사각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면패널(13) 및 하면패널(14)은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상하면에 체결나사(30)의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측면(11) 모서리가 소정 두께의 지그로 프레스 가공에 의해 본체(10) 내부로 밀려 들어가면서 상기 모서리와 접하는 2개의 측면(11)에 요입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11a)이 형성되면서 본체(10) 내부에 "ㄴ"자 형상의 절곡바(1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20)는 머리부(21)가 본체(10) 내부의 절곡바(11b)에 의해 차단 및 지지되고,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소정 길이의 지지대(50)에 의해 본체(10)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50)는 본체(10) 내부에서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를 관통하고, 상하단부가 상기 본체(10)의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에 지지되어 고정된다. 즉,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가 요입홈(11a)에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21)는 본체(10) 내부에서 소정 길이의 지지대(50)가 끼워지며, 상기 지지대(50)는 본체(10)의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에 의해 본체(10) 내부에서 고정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20)는 본체(10)의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을 연결 및 고정하는 체결나사(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나사(30)가 본체(10)의 상하면에 구비되는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에 체결되면서 본체(10) 내부에 위치하는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를 관통하고, 이로 인해 링크부재(20)가 체결나사(30)에 지지되어 본체(1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절곡바(11b)는 본체(10)의 측면(11) 모서리가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지그로 프레스 가공되어 모서리와 접하는 2개의 면에 요입홈(11a)이 형성되면서 본체(10) 내부에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를 지지하면서 절곡바(11b) 내측으로 관통하는 지지대(50) 또는 체결나사(3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절곡바의 형상은 "ㄴ"자, 반원 또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와 마주하는 일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재의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장치(100)는, 적어도 2개의 요입홈(11a)이 서로 대각으로 마주하는 본체(10)의 측면(11) 모서리에 형성되어 적어도 2개의 절곡바(11b)가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서로 대각으로 마주하고, 상기 상면패널(13) 또는/및 하면패널(14)에는 상기 링크부재(20)의 몸체부(22)가 관통하는 관통홈(13a,1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20)는 머리부(21)가 본체(10) 내부에서 상기 절곡바(11b)에 지지되면서 상기 관통홈(13a,14a)에 걸려 차단되고, 몸체부(22)가 상기 관통홈(13a,14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에 적어도 2개의 요입홈(11a)이 서로 대각으로 마주하는 본체(10)의 측면(11) 모서리에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11a)이 형성되면서 적어도 2개의 절곡바(11b)가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서로 대각으로 마주하게 된다. 즉,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본체(10)의 측면(11) 모서리를 소정 두께를 갖는 지그로 프레스 가공하고, 이로 인해 상기 모서리와 접하는 측면(11)이 본체(10) 내부로 밀려 들어가 대각으로 마주하는 2개의 절곡바(11b)가 본체(10) 내부에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체(10) 측면(11)의 4개의 모서리를 상기 지그로 프레스 가공하고, 이로 인해 본체(10) 내부의 모서리에 4개의 절곡바(11b)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를 개방된 상면에서 바라보면 4개의 모서리에 "ㄴ"자 형상의 절곡바(11b)가 형성되고, 본체(10) 내부의 중앙부에는 상기 절곡바(11b) 사이에 "+"자 형상의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하면을 차단하는 상면패널(13) 및/또는 하면패널(14)에 소정 너비의 관통홈(13a,14a)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홈(13a,14a)은 본체(10)의 측면(11)에 형성되는 요입홈(11a)과 동일 유사한 것으로, 레이져, 펀칭, 절삭 등의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20)의 몸체부(22)가 상기 관통홈(13a,14a)에 관통되고, 상기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는 본체(10) 내부에 위치하며, 몸체부(22)는 관통홈(13a,14a)을 관통하여 본체(10)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관통홈(13a,14a)은 상기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가 관통하지 못하는 너비로 형성된다.
상기 링크부재(20)는 본체(10) 내부에서 상기 절곡바(11b) 사이에 위치하고, 이로 인해 머리부(21)의 후단부가 절곡바(11b)에 의해 지지되어 흔들리지 않으며, 절곡바(11b)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절곡바(11b)가 본체(10)의 측면(11) 4개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본체(10) 내부에 "+"자 형상의 통로가 형성되고, 머리부(21)가 "+"자 형상의 통로 중앙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면패널(13) 또는/및 하면패널(14)에 상기 관통홈(13a,14a)이 "l" 또는 "ㅡ"로 형성될 경우 상기 링크부재(20)가 관통홈(13a,14a)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상기 절곡바(11b)의 상하부에 소정 두께의 지지판(4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40)은 상기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가 절곡바(11b)에 긁히거나 걸리지 않도록 하면서 절곡바(11b)와 상면패널(13) 또는 하면패널(14)과의 거리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 지지판(40)의 내부에는 상기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하는 지지홈(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홈(41)은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가 접촉하는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져 내주연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가 상기 지지판(40)과 상하면패널(13,14)에 차단되어 본체(10) 내부에서 지지되고,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40)의 지지홈(41)에 안착되어 흔들리거나 이동하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는 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소정 길이의 지지대(50)를 머리부(21)에 관통시킨 후 용접작업에 의해 상기 지지대(50)를 머리부(21)에 고정하며, 이로 이해 머리부(21)가 관통홈(13a,14a)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입홈(11a)은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적어도 2개의 링크부재(20)가 상기 요입홈(11a)에 상하로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장치(100)는 4개의 측면(11)을 갖는 본체(10)의 모서리에 4개의 요입홈(11a)이 형성되고,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에 2개의 관통홈(13a,14a)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11a)과 관통홈(13a,14a)에 링크부재(20)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적어도 6개의 프레임(1)을 하나의 본체(10)에 연결 및 결합할 수 있고, 프레임(1)을 다양한 각도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프레임 조립체를 쉽게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장치(100)는, 테두리부에 체결공(13b,14b)이 형성되고, 소정 높이 이격되어 상하로 마주하는 상면패널(13) 및 하면패널(14); 상기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13b,14b)의 위치에 링 형상의 머리부(21)가 위치하며, 상기 머리부(21)에서 연장되는 몸체부(22)가 소정 길이의 프레임(1)과 연결되는 링크부재(20); 및 상하단부가 상기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의 체결공(13b,14b)에 체결되고, 상기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를 관통하는 체결나사(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면패널(13) 및 하면패널(14)은 대략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 또는 다각형의 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의 데두리부에는 체결공(13b,14b)이 다수 형성되고, 소정길이의 체결나사(30)가 상기 체결공(13b,14b)에 체결됨으로써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 사이에는 링크부재(20)가 구비되고, 상기 링크부재(20)의 머리부(21)는 상기 체결나사(30)가 관통하게 된다. 즉, 상기 링크부재(20)는 체결나사(30)에 의해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 사이에 고정되고, 동시에 체결나사(30)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이 체결나사(30)에 의해 연결 고정되고, 상기 링크부재(20)는 머리부(21)를 관통하면서 상기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에 지지되는 지지대(50)에 의해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장치(100)는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 사이에 다수의 링크부재(20)가 구비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프레임(1)이 상기 링크부재(20)에 연결 및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면패널(13) 및 하면패널(14)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13c,14c); 상기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 사이에서 상기 링크부재(20)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고, 체결공(15b)이 테두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나사(30)가 관통하며, 링크부재(20) 방향으로 갈수록 반경이 점점 커지는 제2 관통공(15a)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보강패널(15); 및 구 형상의 머리부(21')가 상기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 내부에서 상하로 마주하면서 상기 제2 관통공(15a)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고, 머리부(21')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는 몸체부(22')가 상기 제1 관통공(13c,14c) 및 제2 관통공(15a)을 관통하여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보조링크부재(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원판 형상의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 사이에 원주방향(테두리)으로 다수의 링크부재(20)가 구비되고, 이에 더하여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링크부재(2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보조링크부재(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의 중앙부에는 제1 관통공(13c,14c)이 형성되고, 보조링크부재(20')는 상기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 사이에 머리부(21')가 위치하며, 보조링크부재(20')의 몸체부(22')가 상기 제1 관통공(13c,14c)을 통해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 사이에서 링크부재(20)의 상하부에는 소정 두께를 갖는 보강패널(15)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패널(15)의 중앙부에는 상기 보조링크부재(20')의 머리부(21')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면서 몸체부(22')가 관통되도록 하는 제2 관통공(15a)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패널(15)은 테두리부에 체결공(15b)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을 연결 및 고정하는 체결나사(30)가 체결되거나 관통됨으로써, 상기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 사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관통공(13c,14c)은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넓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공(15a)은 중심축이 상기 제1 관통공(13c,14c)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위치되면서 보조링크부재(20')의 머리부(21')가 접촉하는 일면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게 형성된다.
상기 보강패널(15)은 상면패널(13) 또는/및 하면패널(14)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하면패널과 상호 반대면이 밀착는 것으로, 이로 인해 상기 제1 관통공(13c,14c)과 제2 관통공(15a)의 내경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점점 확대된다.
즉, 상기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 사이에서 링크부재(20)의 상하부에 2개의 보강패널(15)이 각각 구비되고, 제1 관통공(13c,14c)과 제2 관통공(15a)으로 인해 개방되는 통로 단면이 대략 모래시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보조링크부재(20')의 머리부(21')가 제2 관통구(15a)의 위치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몸체부(22')가 제2 관통구(15a)와 제1 관통구(13c,14c)를 관통하여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회전 반경이 확대된다.
상기 보조링크부재(20')의 머리부(21')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 사이에서 서로 맞대어 있으면서 제2 관통공(15a)에 지지됨으로써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20)와 보강패널(15) 사이에는 소정 두께의 고무패킹 또는 와셔(16)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의 원주방향으로 구비되는 링크부재(20)와 상면패널(13)과 하면패널(14)의 중앙부에서 상기 링크부재(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보조링크부재(20')에 의해 각기 다른 방향에서 다수의 프레임(1)을 연결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 도 11은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장치(100)가 프레임(1)과 연결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링크부재(20)의 몸체부(22)가 프레임(1)과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데, 상기 프레임(1)은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상기 몸체부(22)와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내부에 형성되는 별도의 연결구가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20) 또는 보조링크부재(20')의 몸체부(22)에 체결되는 너트(2); 및 상기 몸체부(22)에 체결되고, 프레임(1) 내부에 삽입되며, 너트(2)의 조임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20)와 프레임(1)의 결합을 돕는 고정구(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60)는, 상기 몸체부(22)에 끼워지고 선단부에 사선으로 절단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며, 너트(2)의 조임에 의해 몸체부(22)에서 전진하는 제1 고정구(61); 및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게 절단되는 제2 경사면이 후단부에 형성되고, 선단부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22)에 체결 및 고정하는 제2 고정구(6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구(60)는 내부가 중공된 제1 고정구(61) 및 제2 고정구(62)로 분리 결합되고, 상기 제1 고정구(61)는 내경이 링크부재(22) 몸체부(22) 반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몸체부(22)가 내부로 관통되고, 상기 제2 고정구(62)는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링크부재(20)의 몸체부(22)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구(61)의 선단부는 사선으로 절단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제2 고정구(62)의 후단부는 사선으로 절단되어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2)에 체결된 고정구(60)를 내부가 중공되는 프레임(1)에 삽입하고, 몸체부(22)에서 고정구(60)의 후미에 체결되는 너트(2)를 조일 경우, 상기 너트(2)의 조임에 의해 상기 제1 고정구(61)가 몸체부(22) 선단부 방향으로 전지하며, 상기 제1 고정구(60)의 전진에 의해 상호 밀착되어 있던 제1 고정구(61)의 제1 경사면과 제2 고정구(62)의 제2 경사면이 서로 어긋나면서 제1 고정구(61)가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고 벌어져 상기 고정구(60)의 전체 반경이 확대되며, 이로 인해 반경이 확대되는 고정구(60)가 프레임(1)의 내주연을 가압하여 링크부재(20)와 프레임(1)이 결합 및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몸체부(22)에 끼워진 제1 고정구(61)의 내경은 몸체부(22)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너트(2)의 조임시 제2 고정구(62) 방향으로 전진하고, 제2 경사면에 지지되어 일측방향으로 밀리면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고정구(60)가 프레임(1) 내부에 삽입되고, 너트(2)의 조임에 의해 고정구(60)의 반경이 확장되면서 프레임(1) 내부를 가압하며, 이로 인해 프레임(1)과 링크부재(20)가 단단히 연결 및 고정된다.
또한, 링크부재(20)와 연결되는 상기 프레임(1)의 내주연에는 길이방향의 고정돌기(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구(62)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돌기(1a)에 대응하는 고정홈(62a)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구(60)가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돌기(1a)가 고정홈(62a)에 끼워져 고정구(60)가 프레임(1) 내부로 회전되지 않으면서 쉽게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너트(2)의 조임에 의해 고정구(60)가 프레임(1) 내부에서 이동할 때에서 회전되지 않으면서 제1 고정구(61)가 쉽게 벌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60)는 연결되는 프레임(1)의 형상 또는 프레임(1)의 내경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예로 상기 프레임(1)의 내경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고정구(60)의 제1 고정구(61) 및 제2 고정구(62)가 상기 프레임(1)의 내경보다 조금 작은 너비의 단면을 갖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장치(1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을 쉽게 연결할 수 있어 프레임 조립체의 조립이 간편하고, 특히 프레임을 다양한 각도에서 연결 및 고정할 수 있어 다양한 실시예로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프레임 2 : 너트
10 : 본체 11 : 측면
11a : 요입홈 13 : 상면패널
14 : 하면패널 13a, 14a : 관통홈
20 : 링크부재 20' : 보조링크부재
30 : 체결나사 40 : 지지판
50 : 지지대 60 : 고정구
61 : 제1 고정구 62 : 제2 고정구
100 : 프레임 연결장치

Claims (11)

  1. 측면과 상하면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소정 너비의 요입홈;
    링 형상의 머리부가 상기 요입홈을 통해 본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에서 연장되는 몸체부가 소정 길이의 프레임과 연결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머리부를 관통하고, 상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상하면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장치.
  2. 측면과 상하면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 모서리와 상기 모서리와 접하는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요입홈;
    링 형상의 머리부가 상기 요입홈을 통해 본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에서 연장되는 몸체부가 소정 길이의 프레임과 연결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머리부를 관통하고, 상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장치.
  3. 측면을 갖고, 내부가 중공되어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는 본체;
    체결나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을 차단하는 상면패널 및 하면패널;
    상기 본체 측면의 모서리가 내부로 들어가면서 상기 모서리와 접하는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요입홈;
    상기 요입홈이 형성되면서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ㄴ"자 형상의 절곡바;
    링 형상의 머리부가 상기 요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절곡바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머리부에서 연장되는 몸체부가 소정 길이의 프레임과 연결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머리부를 관통하고, 상하단부가 상기 상면패널과 하면패널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은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적어도 2개의 링크부재의 머리부가 상기 요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패널 또는 하면패널에는 소정 너비로 개구되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적어도 2개의 요입홈이 서로 대각으로 마주하는 측면 모서리에 형성되어 적어도 2개의 상기 절곡바가 상기 본체 내부에서 서로 대각으로 마주하며,
    상기 관통홈에 상기 링크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링크부재는 머리부가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절곡바에 의해 지지되며, 몸체부는 상기 관통홈을 통해 본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에 구비되는 상기 링크부재는 머리부가 링 또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머리부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 및 지지되는 지지홈을 갖는 소정 두께의 지지판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절곡바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장치.
  7. 테두리부에 체결공이 형성되는 상면패널 및 하면패널;
    상하단부가 상기 상면패널과 하면패널의 체결공에 체결되고, 상기 상면패널과 하면패널이 소정 거리 이격되어 연결 및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나사; 및
    상기 상면패널과 하면패널 사이에 구비되고, 링 형상의 머리부에 상기 체결나사가 관통하며, 상기 머리부의 일측에는 소정 길이의 프레임과 연결되는 몸체부가 형성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패널 및 하면패널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
    상기 상면패널과 하면패널 사이에서 상기 링크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나사가 관통하는 체결공이 테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재 방향으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는 제2 관통공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보강패널; 및
    머리부가 상기 상면패널과 하면패널 내부에서 서로 마주하면서 상기 제2 관통공에 위치하고, 머리부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는 몸체부가 상기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면패널과 하면패널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보조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링크부재는 머리부가 구 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관통공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 관통공은 상면패널과 하면패널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반경이 더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보조링크부재의 몸체부가 회전되는 반경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의 몸체부에 체결되는 너트; 및
    상기 몸체부에 체결되고,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며, 너트의 조임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와 프래임의 결합을 돕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몸체부에 끼워지고, 사선으로 절단되는 제1 경사면이 선단부에 형성되며, 너트의 조임에 따라 몸체부에서 전진하는 제1 고정구; 및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이 후단부에 형성되고, 선단부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에 체결 및 고정되는 제2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가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너트의 조임에 의해 상기 제1 고정구가 몸체부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 고정구의 이동에 의해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어긋나면서 벌어져 상기 고정구의 전체 반경이 확대되고, 고정구의 반경이 확대되면서 상기 프레임의 내주연을 가압하여 링크부재와 프레임이 결합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제2 고정구의 외주연에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장치.
KR1020180136890A 2018-11-08 2018-11-08 프레임 연결장치 KR102184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890A KR102184506B1 (ko) 2018-11-08 2018-11-08 프레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890A KR102184506B1 (ko) 2018-11-08 2018-11-08 프레임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360A true KR20200053360A (ko) 2020-05-18
KR102184506B1 KR102184506B1 (ko) 2020-11-30

Family

ID=7091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890A KR102184506B1 (ko) 2018-11-08 2018-11-08 프레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50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7809A (ja) * 1998-07-06 2000-01-18 Harada Kogyo Kk 手摺り用ジョイント
KR200283207Y1 (ko) * 2002-05-06 2002-07-26 주식회사 알크리텍 파레트 랙
KR101101395B1 (ko) 2011-01-26 2012-01-02 주식회사 애니퍼스 사무용책상의 프레임 연결구
KR20160050893A (ko) 2014-10-31 2016-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접착 페이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US20160234457A1 (en) * 2014-06-12 2016-08-11 Shenzhen Tcl New Technology Co., Ltd Television base and flatscreen television
KR20170012948A (ko) * 2015-07-27 2017-02-06 김용래 조립식 프레임 구조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7809A (ja) * 1998-07-06 2000-01-18 Harada Kogyo Kk 手摺り用ジョイント
KR200283207Y1 (ko) * 2002-05-06 2002-07-26 주식회사 알크리텍 파레트 랙
KR101101395B1 (ko) 2011-01-26 2012-01-02 주식회사 애니퍼스 사무용책상의 프레임 연결구
US20160234457A1 (en) * 2014-06-12 2016-08-11 Shenzhen Tcl New Technology Co., Ltd Television base and flatscreen television
KR20160050893A (ko) 2014-10-31 2016-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접착 페이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KR20170012948A (ko) * 2015-07-27 2017-02-06 김용래 조립식 프레임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506B1 (ko) 202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5571A (en) Structural frame assembly
KR102286870B1 (ko)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의 관 연결장치
KR102120456B1 (ko)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JP3202842U (ja) 振れ止め金具
KR20200053360A (ko) 프레임 연결장치
JP6623946B2 (ja) 太陽光発電パネル用固定具
KR102059723B1 (ko) 철제 가구용 프레임 및 프레임 조립체
CN111246776A (zh) 一种铁制家具用框架以及框架装配体
KR102173966B1 (ko) 식탁
US20030152421A1 (en) Table corner strengthener
KR200489569Y1 (ko) 가구 프레임용 파이프의 결합구조
KR20190037758A (ko) 철제 가구용 프레임 및 프레임 조립체
KR101900054B1 (ko) 가구용 프레임시스템
JP2021134537A (ja) 筋かい金具
KR101876192B1 (ko) 프레임 연결구
KR200347308Y1 (ko) 보강부재를 갖는 기둥폼
JP3353674B2 (ja) パネル
JP5759926B2 (ja) 接合金物
KR102046454B1 (ko) 커넥터 및 그것을 이용한 골격 구조물
WO2020085405A1 (ja) 天板付什器
JP2008184840A (ja) フェンス
KR102343106B1 (ko) 가구용 금속재 프레임 체결 구조
JP6954758B2 (ja) 床パネル固定具
JP2023067376A (ja) 三脚連結固定具及び三脚の連結固定方法
JP2019065668A (ja) 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