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722A - 전기, 전자 기기 냉각용 열전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전자 기기 냉각용 열전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722A
KR20200052722A KR1020180136068A KR20180136068A KR20200052722A KR 20200052722 A KR20200052722 A KR 20200052722A KR 1020180136068 A KR1020180136068 A KR 1020180136068A KR 20180136068 A KR20180136068 A KR 20180136068A KR 20200052722 A KR20200052722 A KR 20200052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fluid
storage unit
heating element
fluid storage
ga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웨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웨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웨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136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2722A/ko
Priority to JP2020542078A priority patent/JP2021512270A/ja
Priority to PCT/KR2019/014893 priority patent/WO2020096320A1/ko
Publication of KR20200052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2Fillings or auxiliary member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selected or arranged to facilitate heating or cooling
    • H01L23/427Cooling by change of state, e.g. use of heat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체상에 설치되고 상기 발열체가 발생시키는 열을 흡수 전달하는 열전도 장치에 있어서, 본체를 형성하고 중공상이며 내부가 진공상태인 하우징 바디, 발열체와 면접촉을 하도록 구비되며, 작동유체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작동유체 저장부 및 상기 작동유체 저장부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사이에 구비되어 기화된 작동유체가 제트류를 형성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기체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정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전자 기기 냉각용 열전도 시스템 {Heat conduction system for electric and electronic apparatus cooling}
본 발명은 발열부품 냉각용 열전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그 예로 반도체 칩이나 LED와 같은 발열 기구에 설치되어, 발열 기구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최소한의 부피로도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발열부품 냉각용 열전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 및 조명기기를 설계할 때에 가장 염려되는 문제 중의 하나는 그 구동 중에 전자부품들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악영향을 미쳐 전자기기 또는 조명기기의 성능을 저해하는 것이다.
예컨대, 컴퓨터 및 이동통신 등의 전자 기기에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전자부품, 즉, 패키징된 반도체칩들이 장착되며, 이러한 반도체칩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발생하는 열이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반도체칩 자체는 물론 주변부품들에까지 영향을 미쳐 전자기기 전체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마찬가지로, LED 조명기기의 경우에도 그 사용중에 LED칩으로부터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발생하는 열이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LED칩은 물론 주변부품들까지 영향을 미쳐 LED 조명기기 전체의 성능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전자기기 및 조명기기의 사용 중에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시키기 위한 열전도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최근의 전자기기 및 조명기기가 소형화 및 경량화됨에 따라 기기 내부에 내장되는 전자부품들이 고집적화됨으로 인해 단위 체적당 발생하는 열이 더욱 증가함으로써 반도체칩 및 LED칩과 같은 전자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열전도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3952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화된 작동유체로 하여금 발열체의 열을 신속하게 냉각시키는 열전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시스템은 발열체상에 설치되고 상기 발열체가 발생시키는 열을 흡수 전달하는 열전도 장치에 있어서, 본체를 형성하고 중공상이며 내부가 진공상태인 하우징 바디, 발열체와 면접촉을 하도록 구비되며, 작동유체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작동유체 저장부 및 상기 작동유체 저장부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사이에 구비되어 기화된 작동유체가 제트류를 형성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기체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정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유체 저장부는, 제 1 단면적을 가지며, 액상의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원반 형태의 제 1 저장부 및 제 2 단면적을 가지며, 기화된 작동유체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유체 저장부는 상기 작동유체를 함침할 수 있는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는 유연성 및 열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체 배출부는 상기 작동유체 저장부에서 증발된 기체상의 작동유체 부피에 따라, 상기 기체상의 작동유체가 제트류를 형성하여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체 배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의 직경을 갖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의 직경은 20 마이크론 내지 100 마이크론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저장부는 상기 하우징 바디 내부에서 재응축된 작동유체가 상기 작동유체 저장부로 안내될 수 있게, 적어도 일부가 음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체 배출부는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체 배출부와 상기 작동유체 저장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기화된 작동유체가 외부로 유출 (Leak) 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공 형상의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정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 구비되며, 상기 발열체의 전면을 향하여 공기 유동을 공급하는 공기 유동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정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칩이나 LED 조명등과 같은 다량의 열이 발생하는 발열체상에 설치되어서, 발열체로부터 발생된 열을 흡수한 작동유체가 기화되고 제트류를 형성하여 방열 장치 내에서 빠르게 순환됨으로써 발열체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의 제 2 격벽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 (100) 는 하우징 바디 (10), 작동유체 저장부 (20), 작동유체 주입구 (30), 격벽 (40), 기체 배출부 (50) 및 하우징 커버 (6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 (100) 는 발열체 (H) 상에 설치되고 발열체 (H) 가 발생시키는 열을 흡수할 수 있다.
발열체 (H) 예로는 CPU, 파워트랜지스터, LED, 통신기기의 RF모듈, 자동차 배터리 등의 전자부품이 있으며, 발열체 (H) 의 종류나 형상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장치 (100) 의 크기와 형상은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 (10) 는 본체를 형성하고 중공상이며 내부가 진공상태일 수 있다.
하우징 바디 (10) 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해동, 스테인레스 스틸, 저탄소강, 알루미늄 등의 전도성이 큰 금속재질이나 또는 고온 저항성이 높고, 내부식성이 높은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 바디 (10) 는 0.3mm ~ 0.6mm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경제성, 제작 용이성, 고온에 의한 충진물의 팽창에 따른 파손 위험 예방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 바디 (10) 는, 저면에 발열체 (H) 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그루브를 포함하고, 발열체 (H) 와 접촉됨으로써 열을 전도받을 수 있다.
따라서, 발열체 (H) 와의 접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향상된 열 전도성을 가진다.
작동유체 저장부 (20) 는 하우징 바디 (10) 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변화를 통해 열을 흡수하는 매체인 작동유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유체는 냉각시키고자 하는 발열체 (H) 의 작동온도 범위에서 비등점을 갖는 물, 알코올 등 비열용량이 큰 액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유체 저장부 (20) 는 작동유체를 함침할 수 있는 구조체(미도시)를 포함하고, 이러한 구조체는 유연성 및 열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구조체는 그물망 또는 편조선 형태일 수 있으며, 작동유체 저장부 (20) 의 내측이자 하우징 바디 (10) 의 내부 바닥 상에 열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체는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 (100) 의 방열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단면적을 넓혀 함침할 수 있는 작동유체의 양을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유체 저장부 (20) 는, 작동유체가 발열체 (H) 의 열을 흡수하고 증발하는 공간인 증발부를 포함하여, 증발된 작동유체를 일시적으로 보유하여 후술할 제트류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유체 저장부 (20) 는 하우징 바디 (10) 의 내측에 형성된 실린더 형상일 수 있으며, 발열체 (H) 의 형상 및/또는 하우징 바디 (10) 의 형상에 따라 반구체 형상(도 2 참조)과 같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작동유체 주입구 (30) 는 하우징 바디 (10) 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작동유체 저장부 (20) 내부로 작동유체를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유체 주입구 (30) 는 작동유체 저장부 (20) 와 연결될 수 있으며, 작동유체 저장부 (20) 의 형성위치에 대응되도록 하우징 바디 (10) 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격벽 (40) 은 하우징 바디 (10) 의 내측에서 작동유체 저장부 (20) 를 포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격벽 (40) 은 하우징 바디 (10) 내부를 작동유체 저장부 (20) 와 그 외의 공간인 확산부로 구분할 수 있고, 확산부의 부피는 작동유체 저장부 (20) 의 부피보다 클 수 있다.
이로써, 증발된 작동유체가 확산부로 이동되었을 때, 작동유체 저장부 (20) 와 확산부의 압력이 동일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격벽 (40) 과 하우징 바디 (10) 사이에는 작동유체가 흐르는 갭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격벽 (40) 은 작동유체 저장부 (20) 를 포위하는 형상이면 충분하고 도 2 에서와 같이 돔 또는 반구형상을 갖는 쉘로 형성될 수 있다.
기체 배출부 (50) 은 격벽 (40) 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체 배출부 (50) 은, 작동유체 저장부 (20) 에서 증발된 기체상의 작동유체 부피에 따라, 기체상의 작동유체가 제트류를 형성하여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체 배출부 (50) 은 발열체 (H) 의 발열량에 근거한 방열 장치 (100) 의 냉각 용량 및/또는 작동유체의 포화증기압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유체를 증류수라고 가정하고, 100W의 LED를 냉각하는데 있어서, 작동유체 저장부 (20) 의 온도가 60℃, 작동유체 저장부 (20) 이외의 공간인 확산부의 온도가 45℃라면, 증류수의 포화증기압은 60℃에서 20kPa, 45℃에서 10kPa이므로, 작동유체 저장부 (20) 와 확산부 사이에 10kPa의 압력차이가 형성된다.
10kPa의 압력은 1/2*작동유체 저장부 (20) 의 밀도*유동속도^2이므로, 작동유체 저장부 (20) 의 밀도(증류수의 밀도)는 60℃에서 130g/m^3 이므로, 수증기(증발된 증류수)는 400m/s의 유동속도를 가진다.
여기서, 수증기의 초당 체적 배출량은 기체 배출부 (50) 의 면적*유동속도이므로, 결정된 유동속도(400m/s)에 따라, 기체 배출부 (50) 의 면적을 설정하여 수증기의 초당 체적 배출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체 배출부 (50) 에서 배출되는 수증기의 초당 체적 배출량을 기체 배출부 (50) 의 면적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속도의 제트류를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방열 장치 내에서 빠르게 순환됨으로써 발열체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기체 배출부 (50) 의 형상 및/또는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발열체 (H) 의 발열량에 따라 제트류 형성을 위해 변형실시 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 (60) 는 하우징 바디 (10) 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 바디 (10) 내부에서 재응축된 작동유체가 중력에 의해 작동유체 저장부 (20) 로 안내될 수 있게, 적어도 일부가 음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 (100) 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하우징 바디 (10) 는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발열체 (H) 의 열은 하우징 바디 (10) 의 저면을 따라 전도되고, 작동유체 저장부 (20) 내의 작동유체가 흡열반을 통해 증발된다.
이로써, 작동유체 저장부 (20) 내에 작동유체의 포화증기(포화증기압 도달)가 형성된다.
이 때, 확산부는 작동유체 저장부 (20) 에 비해 압력이 낮으므로, 기체 배출부 (50) 을 통해 증발된 작동유체는 확산부를 향해 단열 팽창된다.
단열 팽창된 작동유체는 확산부내에서 상승하면서 다시 외기의 낮은 온도에 의해 응축되고, 응축된 작동유체는 하우징 커버 (60) 와 하우징 바디 (10) 의 내면을 따라 다시 작동유체 저장부 (20) 로 복귀된다(격벽 (40) 과 하우징 바디 (10) 사이의 갭부를 통해 복귀).
이 과정에서 냉각된 작동유체는 하우징 커버 (60) 를 포함한 하우징 바디 (10) 의 상부를 냉각시키고, 방열 장치 (100) 상하부의 온도차를 형성함으로써 방열 장치 (100) 의 외벽을 통한 열전도 냉각을 형성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의 방열 장치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의 격벽 (421, 423, 425) 은 작동유체를 포위하도록 구비되는 제 1 격벽 (421), 일단이 제 1 격벽 (421) 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제 3 격벽 (425) 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증발된 작동유체가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제 2 격벽 (423) 및 제 1 격벽 (421) 및 제 2 격벽 (423) 을 통하여 이동된 작동유체의 증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 배출부 (52) 를 포함하는 제 3 격벽 (425) 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격벽 (425) 는 황동소결체로 구비될 수 있다.
제 3 격벽 (425) 는 구형의 주석합금 황동소결체 분말을 금속 금형에 넣고 약 700˚C 에서 압력을 가하여 소결처리하여 제조될 수 있다.
황동소결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 3 격벽 (425) 는 황동 뿐만 아니라 스테인리스 스틸, 니켈,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 분말로 이루어지는 소결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격벽 (425) 의 재료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를 든 것이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소결체를 형성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상기 제 3 격벽 (425) 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기체 배출부 (52) 의 직경은 20 마이크론 내지 100 마이크론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 배출부 (52) 의 평균 직경은 50 마이크론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 배출부 (52) 의 각각의 직경은 서로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 배출부 (52) 의 각각의 직경이 일정 범위 내로 구비됨과 함께, 서로 상이하게 구비되는 이유는 하기와 같다.
발열체의 열부하에 따라 증발이 일어나는 부위의 온도가 응축이 일어나는 부위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응축이 일어나는 부분의 온도 또한 주위공기 (Room temperature) 에 따라 변하게 된다.
포화증기 압력 차이에 의해 작동유체가 증발된 기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 배출부 (52) 을 관통하기 때문에, 기체 배출부 (52) 의 직경은 작동유체가 증발된 기체의 속도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 배출부 (52) 의 각각의 직경이 서로 상이하게 구비됨으로 인하여, 외부 요인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의 작동 유체 저장부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는 본체를 형성하고 중공상이며 내부가 진공상태인 하우징 바디 (22), 발열체 (H) 와 면접촉을 하도록 구비되며, 작동유체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작동유체 저장부 (423) 및 상기 작동유체 저장부 (423) 와 상기 하우징 바디 (22) 의 사이에 구비되어 기화된 작동유체가 제트류를 형성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기체 배출부 (425) 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유체 저장부는 (423) 는 상기 작동유체를 함침할 수 있는 구조체 (421) 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는 유연성 및 열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체 (421) 뿐만 아니라, 작동유체 저장부 (423) 전체가 유연성 및 열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체 배출부 (425) 는 상기 작동유체 저장부에서 증발된 기체상의 작동유체 부피에 따라, 상기 기체상의 작동유체가 제트류를 형성하여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체상의 작동유체가 제트류를 형성하여 빠르게 배출됨으로 인하여 빠르게 하우징 바디 (22) 내를 순환하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열을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기체 배출부 (425) 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의 직경을 갖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개구부의 직경은 20 마이크론 내지 100 마이크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 배출부에 구비된 개구부의 직경이 일정 범위 내로 구비됨과 함께, 서로 상이하게 구비되는 이유는 하기와 같다.
발열체의 열부하에 따라 증발이 일어나는 부위의 온도가 응축이 일어나는 부위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응축이 일어나는 부분의 온도 또한 주위공기 (Room temperature) 에 따라 변하게 된다.
포화증기 압력 차이에 의해 작동유체가 증발된 기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 배출부 (425) 를 관통하기 때문에, 기체 배출부 (425) 의 직경은 작동유체가 증발된 기체의 속도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 배출부 (425) 의 각각의 직경이 서로 상이하게 구비됨으로 인하여, 외부 요인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한편, 기체 배출부 (425) 는 전도성 다공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기체 배출부 (425) 는 황동소결체로 구비될 수 있다.
기체 배출부 (425) 는 구형의 주석합금 황동소결체 분말을 금속 금형에 넣고 약 700˚C 에서 압력을 가하여 소결처리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기체 배출부 (425) 는 황동 뿐만 아니라 스테인리스 스틸, 니켈,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 분말로 이루어지는 소결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기체 배출부 (425) 의 재료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를 든 것이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소결체를 형성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의 방열 장치는 상기 기체 배출부 (425) 와 상기 작동유체 저장부 (423) 의 사이에 구비되어 기화된 작동유체가 외부로 유출 (Leak) 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공 형상의 실링부재 (S)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동유체 저장부 (423) 의 내부는 작동 유체가 고온에 의해 기화되고, 기체 배출부 (425) 를 통하여 제트류가 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외부에 기체상의 작동유체가 유출되는 것이 필수적으로 방지되어야 한다.
만약, 작동유체 저장부 (423) 과 기체 배출부 (425) 를 직접 면접촉시킬 경우, 작동유체 저장부 (423) 의 끝단의 표면의 러프니스 (Roughness) 때문에 기화된 작동유체가 유출된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재 (S) 로 인하여 기체상의 작동 유체가 기체 배출부 (425) 를 통하여 배출되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한편,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체 저장부 (423) 는 제 1 단면적을 가지며, 액상의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원반 형태의 제 1 저장부 및 제 2 단면적을 가지며, 기화된 작동유체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저장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저장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면의 직경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저장부의 하부의 단면은 제 1 직경 (D1) 을 갖도록 구비되고, 제 2 저장부의 상부의 단면은 제 3 직경 (D3) 를 갖도록 구비되며, 제 2 저장부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단면은 제 2 직경 (D2) 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 직경 (D1) 내지 제 3 직경 (D3) 사이에는 하기와 같은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1) D1 > D2
2) D3 > D2
즉, 제 1 직경 (D1) 과 제 3 직경 (D3) 는 제 2 직경 (D2) 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기화된 작동유체가 보다 빠른 속도로 작동유체 저장부 (423) 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는 상기 하우징 (81) 의 일 면에 구비되며, 상기 발열체의 전면을 향하여 공기 유동을 공급하는 공기 유동 공급부 (90) 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공기 유동 공급부 (90) 는 하우징 (81) 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발열되는 발열체 (H) 의 전면을 향하여 공기 유동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종래의 발열체의 방열 시스템에 있어서, 발열체 (H) 의 후면을 이용하여 방열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발열체 (H) 의 전면은 빛이 방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 부분의 방열에 있어서는 전혀 개시나 교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 장치는 상기 공기 유동 공급부 (90) 가 발열체 (H) 의 전면을 향하여 공기 유동을 공급하도록 구비되어, 발열체 (H) 의 전면에 가열된 공기를 이동시켜, 발열체 (H) 의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00 : 방열 장치
10 : 하우징 바디
20 : 작동유체 저장부
30 : 작동유체 주입구
40 : 격벽
50 : 기체 배출부
60 : 하우징 커버
90 : 공기 유동 공급부

Claims (10)

  1. 발열체상에 설치되고 상기 발열체가 발생시키는 열을 흡수 전달하는 열전도 장치에 있어서,
    본체를 형성하고 중공상이며 내부가 진공상태인 하우징 바디;
    발열체와 면접촉을 하도록 구비되며, 작동유체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작동유체 저장부; 및
    상기 작동유체 저장부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사이에 구비되어 기화된 작동유체가 제트류를 형성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기체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정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 저장부는,
    제 1 단면적을 가지며, 액상의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원반 형태의 제 1 저장부; 및
    제 2 단면적을 가지며, 기화된 작동유체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 저장부는,
    상기 작동유체를 함침할 수 있는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는 유연성 및 열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배출부는,
    상기 작동유체 저장부에서 증발된 기체상의 작동유체 부피에 따라,
    상기 기체상의 작동유체가 제트류를 형성하여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배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의 직경을 갖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의 직경은 20 마이크론 내지 100 마이크론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장부는 상기 하우징 바디 내부에서 재응축된 작동유체가 상기 작동유체 저장부로 안내될 수 있게, 적어도 일부가 음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배출부는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배출부와 상기 작동유체 저장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기화된 작동유체가 외부로 유출 (Leak) 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공 형상의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정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 구비되며, 상기 발열체의 전면을 향하여 공기 유동을 공급하는 공기 유동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정도 장치.
KR1020180136068A 2018-11-07 2018-11-07 전기, 전자 기기 냉각용 열전도 시스템 KR2020005272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068A KR20200052722A (ko) 2018-11-07 2018-11-07 전기, 전자 기기 냉각용 열전도 시스템
JP2020542078A JP2021512270A (ja) 2018-11-07 2019-11-05 電気、電子機器冷却用熱伝導システム
PCT/KR2019/014893 WO2020096320A1 (ko) 2018-11-07 2019-11-05 전기, 전자 기기 냉각용 열전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068A KR20200052722A (ko) 2018-11-07 2018-11-07 전기, 전자 기기 냉각용 열전도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619A Division KR20200135241A (ko) 2020-10-16 2020-10-16 전기, 전자 기기 냉각용 열전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722A true KR20200052722A (ko) 2020-05-15

Family

ID=70612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068A KR20200052722A (ko) 2018-11-07 2018-11-07 전기, 전자 기기 냉각용 열전도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1512270A (ko)
KR (1) KR20200052722A (ko)
WO (1) WO202009632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524B1 (ko) 2014-04-25 2014-09-17 위너스라이팅(주) 히트파이프형 방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186A (ko) * 1999-11-11 2001-06-05 박종섭 무선 통신 시스템용 냉각 장치
JP4380209B2 (ja) * 2003-04-21 2009-12-09 ソニー株式会社 冷却装置の製造方法
JP5678662B2 (ja) * 2008-11-18 2015-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沸騰冷却装置
KR100905002B1 (ko) * 2009-01-23 2009-06-26 지에스제이주식회사 방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524B1 (ko) 2014-04-25 2014-09-17 위너스라이팅(주) 히트파이프형 방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6320A1 (ko) 2020-05-14
JP2021512270A (ja)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6096B2 (en) Loop heat pipe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US7980295B2 (en) Evaporator and circulation type cooling equipment using the evaporator
US7284389B2 (en) Two-fluid spray cooling system
JP5637216B2 (ja) ループ型ヒートパイプ及び電子機器
US20210022265A1 (en) Cooling device and cooling system using cooling device
JP4718350B2 (ja) 蒸発器及びこの蒸発器を使用したループ型ヒートパイプ
US20080043440A1 (en) Nano-patch thermal management devices, methods, & systems
TW201447199A (zh) 蒸發器、冷卻裝置及電子設備
KR20230026360A (ko) 침지 냉각식 서버 시스템을 위한 확장 가능한 열 라이드-스루
JP5589666B2 (ja) 半導体装置
JP4718349B2 (ja) 蒸発器及びこの蒸発器を使用したループ型ヒートパイプ
CN113133283B (zh) 一种散热器件及其制造方法
KR20200076212A (ko) 슬릿 구조를 이용한 발열 부품 냉각용 열전도 시스템
KR20190142955A (ko) 전기, 전자 기기 냉각용 열전도 시스템
KR20200052722A (ko) 전기, 전자 기기 냉각용 열전도 시스템
KR20200135241A (ko) 전기, 전자 기기 냉각용 열전도 시스템
KR20200076209A (ko) 전면 공기 공급 방식을 이용한 led 방열 장치
KR20200076213A (ko) 전기, 전자 기기 냉각용 열전도 시스템
KR20200076211A (ko) 공기 유동, 상변화 및 열전도를 이용한 방열 시스템
KR20200076210A (ko) 가로등 방열 구조
WO2016051569A1 (ja) 蒸発器、冷却装置及び電子装置
KR20220003419A (ko) 슬릿 구조를 이용한 발열부품 냉각용 열전도시스템
KR20220000247A (ko) 슬릿 구조를 이용한 발열부품 냉각용 열전도시스템
CN113891620B (zh) 一种散热装置及电子设备
CN216385225U (zh) 回路热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53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016

Effective date: 20210727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04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110

Effective date: 2022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