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660A - 복사본 식별 장치 및 이 장치가 적용된 물건 - Google Patents

복사본 식별 장치 및 이 장치가 적용된 물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660A
KR20200052660A KR1020180135890A KR20180135890A KR20200052660A KR 20200052660 A KR20200052660 A KR 20200052660A KR 1020180135890 A KR1020180135890 A KR 1020180135890A KR 20180135890 A KR20180135890 A KR 20180135890A KR 20200052660 A KR20200052660 A KR 20200052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y
line
original
lines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7107B1 (ko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문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문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문사
Priority to KR1020180135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1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2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41M3/146Security printing using a non human-readable pattern which becomes visible on reproduction, e.g. a void ma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종래의 단순한 형태가 아니라 원본 자체의 위조가 어려우면서도 원본에서 육안으로는 식별되지 않고 복사시에만 나타나도록 하는 복사본 식별 수단에 관련된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사본 식별 수단은 복사시에 사라지는 소실부와 복사시에 나타나는 현출부를 포함한다. 원본에 적용되는 현출부와 소실부는 육안으로 볼 때 모두 동일하게 보이며 식별이 어려운 정도로 그 크기가 작고 구성이 복잡하다. 본 발명의 복사본 식별 수단이 적용된 원본을 육안으로 관찰해도 이러한 현출부와 소실부는 인지할 수 없고 원본을 복사할 경우에만 현출부가 나타나고 소실부는 사라져 복사본임을 식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사본 식별 수단 및 이 수단이 적용된 물건 {A device for identifying duplicated copy and an object adopting the device}
본 발명은 원본에서는 안 보이지만 원본을 복사할 때에 나타나게 되어 복사본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복사본 식별 수단, 그리고 이 복사본 식별 수단이 적용된 물건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의 성능 향상으로 인해 화폐, 공공문서 등을 복사기로 복사하여 위조하기가 용이해졌다. 종래에 이러한 복사기 이용 위조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원본을 복사하면 원본에 잘 안 보이게 인쇄되어 있던 내용이 나타나도록 하는 위조방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대한민국특허등록 10-0788877 참조).
이 기술의 대략적 원리는 원본 인쇄시에 육안으로 보기 힘들 정도의 가는 선으로 배경패턴과 잠상패턴을 인쇄해 놓는다. 이 원본을 복사기로 복사하면 복사기의 성능(감광도, 분해능 등)에 의해 잠상패턴을 이루는 가는 선이 제대로 재현되지 못함에 따라 잠상패턴 부분은 사라지고 배경패턴 부분만 남게되어, 원본에서 안 보이던 잠상이 복사본에서 나타나게 된다. 즉, 배경패턴만 제대로 복사된다.
그러나 이 기술의 경우에는 배경패턴과 잠상패턴의 구성이 단순하여, 원본에서도 잠상이 육안으로 식별되기도 하고 반대로 복사본에서 잠상패턴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복사본에서 나타나는 잠상패턴을 단순한 도형이나 문자로 구성할 수 밖에 없어 사용할 수 있는 잠상패턴의 종류가 너무 제한적이며 유치하였다.
또한, 원본의 배경패턴과 잠상패턴의 형태가 단순하여 원본을 무단 인쇄하는 원본 위조에 대해서는 대응할 수 없다. 이러한 방식은, 상기 선행특허에서 선폭 0.0001인치 이하의 선으로 원본에 잠상패턴을 인쇄해야 하므로 상기 선행특허의 출원시점인 2007년 6월에는 의미가 있는 기술이었지만, 현재는 인쇄기술 및 인쇄장치의 발달로 이 정도 선폭의 잠상패턴 인쇄는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용지의 제조 자체에 별 곤란성이 없게 되어서, 원본의 위조 자체를 방지하지는 못하게 되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10-0788877 (공고일자 2007년 12월 27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단순한 형태가 아니라 원본 자체의 위조가 어려우면서도 원본에서 육안으로는 식별되지 않고 복사시에만 나타나도록 하는 복사본 식별 수단 및 이 수단이 적용된 물건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사본 식별 수단은 복사(예를 들어, 광복사기에 의한 복사) 시에 사라지는 소실부와 복사 시에 나타나는 현출부를 포함한다. 원본(예를 들어, 용지)에 적용(예를 들어, 인쇄)되는 현출부와 소실부는 육안으로 볼 때 모두 동일해 보여 식별이 어려운 정도로(예를 들어, 명도 또는 채도 또는 색상의 관점에서) 그 크기가 작고 구성이 복잡하다. 본 발명의 복사본 식별 수단이 적용된 원본을 육안으로 관찰해도 이러한 현출부와 소실부는 인지할 수 없고 원본을 복사할 경우에만 현출부가 나타나고 소실부는 사라져 복사본임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원본 제조시에 현출부를 특정 문자나 도형(가령, 'No Copy', '복사본', '×' 등)의 형태로 구성해 놓으면, 복사본에는 이러한 현출부가 문자, 도형 형태의 잠상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고(이른바, 포지티브 방식), 원본 제조시에 현출부 영역의 내부에 특정 문자나 도형의 형태로 소실부를 구성해 놓으면, 복사시에, 현출부 바탕에 소실부가 소실되어서 음각 형태의 잠상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이른바, 네거티브 방식).
현출부는 평행으로 배열된 다수의 굵은선과, 2차원으로 종,횡방향 배열된 다수의 큰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소실부는 상기 굵은선보다 가는 선으로서 평행 배열된 다수의 가는선과, 상기 큰점보다 작은 직경이며 종,횡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작은점으로 구성할 수 있다.
현출부를 이루는 굵은선과 큰점은 소실부를 이루는 가는선과 작은점보다 각각 굵고 직경이 크므로 복사시에 현출되며, 가는선과 작은점은 복사시에 재현되지 못하고 소실된다. 단, 원본에서 육안으로 상기 굵은선과 큰점도 역시 명확하게 인식되지 않도록 상기 굵은선, 큰점, 가는선, 작은점의 크기와 배열 방향ㆍ각도 등이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이에 대해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후술함).
이상에서 소개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이후에 도면과 함께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출부와 소실부의 조합에 의해서 복사본 식별 수단의 구성이 복잡해지므로, 원본에서의 복사본 식별 수단을 위조하는 것이 곤란해지며, 복사본에서 현출되는 잠상의 형태를 다양하고 복잡하게 디자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특유한 현출부 및 소실부의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배열각도에 의하여, 원본에서의 현출부와 소실부가 접하는 영역에서의 형태적 이질감이 크게 감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사본 식별 수단의 한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복사본 식별 수단의 다른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복사본 식별 수단을 원본에 적용한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급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복사본 식별 수단의 대표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현출부(10)와 소실부(20)가 포함된 복사본 식별 수단의 한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의 현출부(10)와 소실부(2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확대해서 표현한 것으로, 실제로는 매우 미세하여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렵다.
도 1의 실시예에서 현출부(10)의 굵은선(110)은 다수가 수평 방향으로 평행 배열되고 소실부(20)의 가는선(210)은 굵은선(110)과 달리 2가닥을 1조로 하여 다수의 조가 수평 방향으로 평행 배열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가는선(210)은 각 굵은선(110)과 연결되어 2가닥으로 분기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가는선(210)은 2가닥 이상을 1조로 하여 배열될 수도 있다.
여기서, 수평 방향의 의미는 상대적인 것으로, 기준선을 횡방향으로 설정할 때에 이 기준선과 동일한 방향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서는 수평 방향이 가로 방향을 의미하고 있지만, 만일 기준을 종방향으로 설정한다면 수평 방향은 세로 방향이 될 것이다.
각 가는선(210)의 굵기는 굵은선(110)의 굵기의 약 1/2배 이하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 1에서와 같이 비록 굵은선(110)은 한 가닥이 1조이고 가는선(210)은 두 가닥이 1조이지만, 원본에서 육안으로 보면 전체적으로 거의 동일한 명도(또는 채도 또는 색상)로 보인다. 그러나 복사를 하게 되면 굵은선(110)만 현출되고 가는선(210)은 복사기의 분해능의 한계로 복사되지 않고 사라진다. 더욱이, 복사기의 특성상 복사된 굵은선(110)은 토너가 고온 고압으로 종이 위에서 녹으며 정착되므로 더 굵게 표현된다. 따라서 가는선(210)이 있는 부분은 복사시에 사라지게 되고 굵은선(110)이 있는 부분은 더 진하게 나타나므로, 복사시 전체적으로 현출부(10)의 문자나 도형이 양각 잠상으로 또는 소실부(20)의 문자나 도형이 음각 잠상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는 현출부(10)의 큰점(120)들이 배열된 영역과 소실부(20)의 작은점(220)들이 배열된 영역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각 영역을 이루는 큰점(120)과 작은점(220)의 밀도를 보면, 작은점(220)의 밀도가 큰점(120)의 밀도보다 높다. 따라서 큰점(120)들로 이루어진 영역 내에 또는 인접하여, 작은점(220)들로 문자나 도형을 이루도록 원본에 인쇄를 하면 작은점(220)의 밀도가 큰점(120)의 밀도보다 높기 때문에 비록 큰점(120)의 지름(직경)이 더 크다고 하더라도 육안으로는 큰점(120) 영역과 작은점(220) 영역의 명도(또는 채도 또는 색상)가 동일해 보인다. 그러나 복사를 하게 되면 큰점(120)만 복사되어 현출되고 작은점(220)은 복사기의 분해능의 한계로 복사되지 않고 소실된다. 따라서 작은점(220) 영역은 복사시에 사라지게 되고 큰점(120) 영역은 더 진하게 나타나므로, 복사시 전체적으로 문자나 도형이 잠상으로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그 반대의 경우, 즉, 큰점(120)들로 문자나 도형을 이루도록 원본에 인쇄를 한 경우도 마찬가지임.)
도 1에 나타낸 현출부(10)의 굵은선(110)과 소실부(20)의 가는선(210)의 굵기 및 선 간격, 그리고 현출부(10)의 큰점(120)과 소실부(20)의 작은점(220)의 직경, 간격, 배열 방향 등의 치수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굵은선(110), 가는선(210), 큰점(120), 작은점(220)으로 일정한 형태 내지는 패턴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의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현출부(10)와 소실부(20)를 원본에 인쇄하는 공정은 원본 제조 과정 중의 후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선 패턴과 점 패턴을 포함한 현출부와 소실부를 함께 원본에 인쇄할 때에는 선 패턴과 점 패턴의, 특히, 선 패턴과 점 패턴의 인접 영역(가령, 도 1의 130, 230 표시 부분)의 이질적인 패턴 형태로 인해서 원본에서 이러한 이질적 형태가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도록 패턴의 구성 및 치수를 고려해야 한다.
이상의 사항을 고려하여 다수의 원본 제작 및 복사본 비교를 통한 테스트를 수행하여,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패턴 구성 및 수치를 결정하였다.
도 1에서, 현출부(10)의 굵은선(110)의 굵기는 약 0.055mm로 정했고 굵은선(110) 간의 간격은 약 0.5mm, 소실부(20)의 가는선(210)의 굵기는 약 0.022mm, 가는선(210) 간의 간격은 약 0.0825mm로 정하였다.
또한, 현출부(10)의 큰점(120)의 직경은 약 1.6mm, 소실부(20)의 작은점(220)의 직경은 약 0.4mm로 정하였다. 큰점(120)과 작은점(220)은 종방향 및 횡방향 배열 간격이 동일하게 배열되는데, 큰점(120) 간의 간격은 종,횡방향 각각 약 2.7mm, 작은점(220) 간 간격은 종,횡방향 각각 약 0.8mm로 정하였다. 중요한 것은, 현출부(10)의 큰점(120)의 배열각도와 소실부(20)의 작은점(220)의 배열각도가 다르다는 것이다. 도 1에서 보듯이, 큰점(120)은 횡방향으로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15°의 사선 방향으로(즉, 수평선을 기준으로 15°만큼 비스듬히 위로), 종방향으로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75°의 사선 방향으로(즉, 수평선을 기준으로 75°만큼 비스듬히 아래로) 배열된다. 따라서 "큰점(120)의 횡방향 배열각도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15°이다"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종방향과 횡방향의 배열 간격이 동일하므로 종방향 배열각도를 정의에 포함시킬 필요는 없음). 한편, 작은점(220)의 배열각도는 큰점(120)의 배열각도와 반대이다. 즉, 작은점(220)은 횡방향으로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15°의 사선 방향으로(즉, 수평선을 기준으로 15°만큼 비스듬히 아래로), 종방향으로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75°의 사선 방향으로(즉, 수평선을 기준으로 75°만큼 비스듬히 위로) 배열된다. 따라서 "작은점(220)의 배열각도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15°이다"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복사본 식별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에서와 같이 현출부(10')와 소실부(20')가 각각 굵은선(110')과 큰점(120'), 가는선(210')과 작은점(220')으로 구성되는 것은 유사하지만, 현출부(10')의 굵은선(110')이 수평으로 평행 배열되지 않고 사선 방향으로 평행 배열된다. 현출부(10')의 큰점(120')은 도 1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소실부(20')의 가는선(210')들은 각 두 가닥이 수평으로 평행 배열되어 있다. 소실부(20')의 작은점(220')은 도 1의 경우와 동일하다.
여기서, 사선 방향의 의미는 기준선을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설정할 때에 이 기준선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로 비스듬한 방향이라는 의미이다. 도 1의 경우와 비교바람.
도 2에서 현출부(10')의 굵은선(110')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15°의 각도로 비스듬히 사선 방향으로 배열된다. 굵은선(110') 간의 간격은 약 0.5mm, 굵은선(110')의 굵기는 약 0.055mm로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러한 배열 방향 및 수치는 도 2의 실시예에서 현출부(10')의 굵은선(110') 및 큰점(120')이 접하여 위치하는 영역(15)과 소실부(20')의 작은점(220') 및 가는선(210')이 접하여 위치하는 영역(25)에서의 점 패턴과 선 패턴이 접하고 있으므로 원본 및 복사본에서의 이질감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현출부(10')의 사선배열 굵은선(110')들과 소실부(20')의 작은점(220')들이 협동하여 잠상을 나타내게 되고, 현출부(10')의 큰점(120')들과 소실부(20')의 평행배열 가는선(210')들이 협동하여 잠상을 나타내는 점에서, 도 1의 실시예와 다르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현출부(10)의 평행배열 굵은선(110)들과 소실부(20)의 평행배열 가는선(210)들이 협동하여 잠상을 나타내게 되고, 현출부(10)의 큰점(120)들과 소실부(20)의 작은점(220)들이 협동하여 잠상을 나타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현출부(10, 10')와 소실부(20, 20')의 조합에 의해서 복사본 식별 수단의 구성이 복잡해지게 되므로, 원본에서 복사본 식별 수단을 위조하는 것이 곤란해지며, 복사본에서 현출되는 잠상의 형태를 다양하고 복잡하게 디자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특유한 현출부 및 소실부의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배열각도에 의하여, 원본에서의 현출부와 소실부가 접하는 영역에서의 형태적 이질감이 크게 감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복사본 식별 수단을 원본에 인쇄하는 방식의 한 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는 원본인 용지(30)를 여러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분할 영역(40a~f)에 도 1의 실시예 또는 도 2의 실시예의 현출부(10)와 소실부(20)를 포함한 복사본 식별 수단을 인쇄하는 예를 나타낸다. 각 분할 영역(40a~f)에 상술한 복사본 식별 수단의 현출부(10)와 소실부(20)가 모두 포함되도록 인쇄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분할 영역에 현출부(10)만, 다른 분할 영역에는 소실부(20)만 인쇄하여 둘 이상의 분할 영역이 모여서 복사본 식별 수단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현출부(10)와 소실부(20)를 원본에 인쇄하는 공정은 원본 제조 과정 중의 후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원본에서는 육안으로 현출부(10)와 소실부(20)의 식별이 어려워야 하므로 고해상도 출력판이 필요하며 현재 가능한 최소의 해상도인 4,800 dpi(dot per inch) 출력기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도 3에서는 원본을 6개 영역으로 분할한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낼 뿐,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용지(30)의 전면에 걸쳐서 무작위적으로 현출부(10)와 소실부(20)를 포함한 복사본 식별 수단을 인쇄할 수도 있고, 특정 위치(가령, 중앙이나 제 곳의 귀퉁이)에만 작은 규모의 복사본 식별 수단을 인쇄할 수 있다. 또한, 복사본 식별 수단이 적용되는 원본에는 일반적인 사무용, 복사용의 보통 용지 이외에 엽서, 스티커, 색지, 판지 등 다양한 종이 제품, 그리고 다양한 물체(가령, 금속, 합성수지, 목재, 유리, 전자기판, 반도체 웨이퍼 등)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원본에 복사본 식별 수단을 인쇄하는 방식 이외에 다른 방식의 적용(예를 들어, 부착, 부식, 조각, 몰딩, 증착 등)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과는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현출부(10), 소실부(20), 현출부(10'), 소실부(20'), 굵은선(110), 가는선(210), 큰점(120), 작은점(220), 선 패턴과 점 패턴의 인접 영역(130, 230), 굵은선(110'), 큰점(120'), 가는선(210'), 작은점(220'), 현출부의 굵은선 및 큰점이 접하는 영역(15), 소실부의 작은점 및 가는선이 접하는 영역

Claims (8)

  1. 원본에 적용되어 복사시에 사라지는 소실부와 복사시에 나타나는 현출부를 포함하여, 원본을 복사할 경우에 상기 현출부가 나타나고 상기 소실부는 사라져 복사본임을 식별할 수 있는 복사본 식별 수단으로서,
    상기 현출부는 평행 배열된 다수의 굵은선과, 종,횡방향으로 제1밀도로 배열된 다수의 큰점을 포함하고,
    상기 소실부는 상기 현출부의 상기 굵은선보다 가는 선으로서 평행 배열된 다수의 가는선과, 상기 현출부의 큰점보다 작은 직경이며 상기 제1밀도보다 큰 제2밀도로 종,횡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작은점을 포함하는 복사본 식별 수단.
  2. 원본에 적용되어 복사시에 사라지는 소실부와 복사시에 나타나는 현출부를 포함하여, 원본을 복사할 경우에 상기 현출부가 나타나고 상기 소실부는 사라져 복사본임을 식별할 수 있는 복사본 식별 수단으로서,
    상기 현출부는 사선 방향으로 평행 배열된 다수의 굵은선과, 종,횡방향으로 제1밀도로 배열된 다수의 큰점을 포함하고,
    상기 소실부는 상기 현출부의 상기 굵은선보다 가는 선으로서 평행 배열된 다수의 가는선과, 상기 현출부의 큰점보다 작은 직경이며 상기 제1밀도보다 큰 제2밀도로 종,횡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작은점을 포함하는 복사본 식별 수단.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현출부의 굵은선은 1가닥을 1조로 하여 다수의 조가 평행 배열되고, 상기 소실부의 가는선은 적어도 2가닥 이상을 1조로 하여 다수의 조가 평행 배열되는 복사본 식별 수단.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현출부의 상기 굵은선의 굵기는 실질적으로 0.055mm, 상기 굵은선들 간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0.5mm, 상기 큰점의 직경은 실질적으로 1.6mm, 상기 큰점들 간의 간격은 종,횡방향 각각 실질적으로 2.7mm이고,
    상기 소실부의 상기 가는선의 굵기는 실질적으로 0.022mm, 상기 가는선들 간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0.0825mm, 상기 작은점의 직경은 실질적으로 0.4mm, 상기 작은점들 간의 간격은 종,횡방향 각각 실질적으로 0.8mm인 복사본 식별 수단.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현출부의 상기 큰점의 배열각도와 상기 소실부의 상기 작은점의 배열각도가 상이한데,
    상기 큰점의 횡방향 배열각도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15°이고,
    상기 작은점의 횡방향 배열각도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15°인 복사본 식별 수단.
  6. 제2항에서,
    상기 현출부의 상기 굵은선들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15°의 각도로 사선 방향으로 평행 배열되고,
    상기 소실부의 상기 가는선들은 수평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 배열되는 복사본 식별 수단.
  7.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의 복사본 식별 수단이 적용된 물건.
  8.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의 복사본 식별 수단이 인쇄된 용지.
KR1020180135890A 2018-11-07 2018-11-07 복사본 식별 장치 및 이 장치가 적용된 물건 KR102167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890A KR102167107B1 (ko) 2018-11-07 2018-11-07 복사본 식별 장치 및 이 장치가 적용된 물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890A KR102167107B1 (ko) 2018-11-07 2018-11-07 복사본 식별 장치 및 이 장치가 적용된 물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660A true KR20200052660A (ko) 2020-05-15
KR102167107B1 KR102167107B1 (ko) 2020-10-19

Family

ID=7067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890A KR102167107B1 (ko) 2018-11-07 2018-11-07 복사본 식별 장치 및 이 장치가 적용된 물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1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877B1 (ko) 2007-06-14 2007-12-27 (주)광인사 위조방지용지
WO2010038824A1 (ja) * 2008-10-03 2010-04-08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偽造防止印刷物
KR101390942B1 (ko) * 2013-06-26 2014-05-02 주춘호 교차되는 복수선을 이용한 복사방해 및 위조방지용 인쇄물
KR20170128891A (ko) * 2016-05-16 2017-11-24 한국조폐공사 위조 방지용 인쇄물 및 그에 대한 위조 여부 확인 방법
KR101815830B1 (ko) * 2016-11-01 2018-01-31 장찬호 복사방지 기능을 가진 보안용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877B1 (ko) 2007-06-14 2007-12-27 (주)광인사 위조방지용지
WO2010038824A1 (ja) * 2008-10-03 2010-04-08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偽造防止印刷物
KR101390942B1 (ko) * 2013-06-26 2014-05-02 주춘호 교차되는 복수선을 이용한 복사방해 및 위조방지용 인쇄물
KR20170128891A (ko) * 2016-05-16 2017-11-24 한국조폐공사 위조 방지용 인쇄물 및 그에 대한 위조 여부 확인 방법
KR101815830B1 (ko) * 2016-11-01 2018-01-31 장찬호 복사방지 기능을 가진 보안용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107B1 (ko) 202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2346A (en) Document security system
WO1993024334A1 (en) Printed matter and printing method
JP2015515388A (ja) セキュリティ要素、及び印書の真正性を検査する方法
JP2016172340A (ja) 偽造防止用印刷物
KR20090053563A (ko) 컬러 출력기에 의한 위조방지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585915B2 (ja) 真偽判別可能な印刷物及びその該印刷物の認証方法
KR20200052660A (ko) 복사본 식별 장치 및 이 장치가 적용된 물건
JP2007015320A (ja) 彩紋の一部に文字を有する印刷物
JP4832333B2 (ja) 偽造防止媒体
JP2001130125A (ja) 偽造防止構造を有する凹版印刷物、判別方法及び判別具
JP4082448B2 (ja) 真偽判別可能な印刷物及びその作成方法
JP4595068B2 (ja) 真偽判別可能な印刷物
KR101470619B1 (ko) 복사 위조방지용 잠상원도 제조방법
JP6403014B2 (ja) 真偽判別可能な印刷物
KR100587621B1 (ko) 시변각 복합 잠상을 갖는 위·변조방지용 인쇄물 및 이의제조 방법
JPH11291610A (ja) 凹版潜像及び該潜像の作成方法
JP3470312B2 (ja) ハーフトーンスクリーン作成法及びその印刷物
JP5692672B1 (ja) 偽造防止用印刷物
JP2006205625A (ja) コピー牽制印刷物
JP5692673B1 (ja) 偽造防止用印刷物
GB2411862A (en) Printed security information using numismatics
KR102402655B1 (ko) 위조방지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262167A (ja) 偽造防止帳票
JP7352232B2 (ja) 複写牽制画線印刷物及び複写牽制画線印刷物の作成方法
JP5652787B2 (ja) 真偽判別可能な印刷物及びその該印刷物の認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