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579A -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579A
KR20200052579A KR1020180135683A KR20180135683A KR20200052579A KR 20200052579 A KR20200052579 A KR 20200052579A KR 1020180135683 A KR1020180135683 A KR 1020180135683A KR 20180135683 A KR20180135683 A KR 20180135683A KR 20200052579 A KR20200052579 A KR 20200052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lete
support device
distribution line
insulator
re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35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2579A/ko
Priority to PCT/KR2019/015042 priority patent/WO2020096362A2/ko
Publication of KR20200052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Landscapes

  • Insulator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는: 전주에 구비되며 한 쌍의 제 1완금본체와 제 2완금본체를 갖는 완금유닛을 포함하고, 제 1완금본체는 상기 전주의 둘레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제 1요입홈을 일측에 함몰 형성하며, 제 2완금본체는 제 1완금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주의 나머지 둘레면을 감싸도록 제 2요입홈을 타측에 함몰 형성하며, 제 1완금본체와 제 2완금본체에 돌출 형태로 자체 완금부를 배치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애자를 조립 설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INSULATOR UNIT FOR DISTRIBUTION}
본 발명은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완금본체를 한 쌍씩 구비하여 전주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완금본체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완금본체 각각에 절연애자를 일체로 구비하며, 완금본체 각각에 일체형 절연애자를 축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 후 전선을 대응되는 절연애자에 삽입하여 정렬 지지하고, 각 절연애자의 둘레면에 요철부를 형성함에 따라 각 전선 간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고압 배전선로에 있어서 장주설비는 전선을 전주 상에 고정하기 위하여 필요하며 전선(2선 또는 3선) 간에는 절연이 확보되어야 한다.
종래의 경우에는, 전주 상부에 가로로 설치하는 철재완금에 전선을 직접 고정하지 못하고 특고압 전선 간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서 철재완금과 각 전선 사이에 절연용 애자를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된다.
이 경우, 철재완금과 각 전선의 사이에 절연용 애자를 추가로 설치하는 과정이 필요하여 시공과정이 복잡해지고 전주 상에서 장시간의 작업이 필요하게 되면서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까치 등 조류 및 비닐 등 이물질에 의한 전선과 철제완금이 접속시, 고장 사고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완금 자체가 절연성 소재로 제작되면서 절연애자 등의 설비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는 전선 삽입식 절연완금에 관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이, 전선이 전주를 기준으로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는 절연완금에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유격되게 배치된 삽입홈에 삽입시, 전선과 전선간의 절연 거리가 부족하여 절연성 확보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고, 전선은 절연완금의 삽입홈에서 접촉 마찰이 발생되어 피복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연완금이 전주에 축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끼움 결합됨으로써, 전주의 최상부에 결합된 절연완금 이외의 절연완금은 단독으로 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3392호(전주의 완철 지지용 L형 각암타이구조, 출원인: 한국전력공사, 출원일: 2002년 10월 30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완금본체를 한 쌍씩 구비하여 전주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완금본체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완금본체 각각에 일체형의 절연애자를 축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 형성 후 전선을 대응되는 절연애자에 삽입하여 정렬 지지하며 각 절연애자의 둘레면에 요철부를 형성함에 따라 각 전선 간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는: 전주에 구비되며, 한 쌍의 제 1완금본체와 제 2완금본체를 갖는 완금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완금본체는 상기 전주의 둘레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제 1요입홈을 일측에 함몰 형성하며, 상기 제 2완금본체는 상기 제 1완금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주의 나머지 둘레면을 감싸도록 제 2요입홈을 타측에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금유닛은 상기 전주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완금본체는 제 1플랜지를 상기 제 1요입홈의 가장자리에 형성하고, 상기 제 2완금본체는 제 2플랜지를 상기 제 1플랜지와 면접되도록 상기 제 2요입홈의 가장자리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완금본체와 상기 제 2완금본체는 축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만큼 유격되는 절연애자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애자는 각각 전선을 삽입 지지할 수 있도록 전선삽입홈을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애자는 상기 제 1완금본체와 상기 제 2완금본체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애자 각각은 전선 간의 절연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둘레면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완금본체와 상기 제 2완금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는, 완금본체를 한 쌍씩 구비하여 전주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완금본체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완금본체 각각에 절연애자를 축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 후 전선을 대응되는 절연애자에 삽입하여 정렬 지지하며 각 절연애자의 둘레면에 요철부를 형성함에 따라 각 전선 간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100)는 완금유닛(200) 및 절연애자(300)를 포함한다.
완금유닛(200)은 전주(10)에 축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구비되며, 각각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편의상, 완금유닛(200)이 전주(10)에 한 쌍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즉, 한 쌍의 완금유닛(200)은 제 1완금본체(210)와 제 2완금본체(220)를 포함한다.
제 1완금본체(210)는 전주(10)의 둘레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제 1요입홈(212)을 일측에 함몰 형성하고, 제 2완금본체(220)는 제 1완금본체(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주(10)의 나머지 둘레면을 감싸도록 제 2요입홈(222)을 타측에 함몰 형성한다.
그래서, 전주(10)는 둘레면이 제 1요입홈(212)과 제 2요입홈(222)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완전히 감싸지게 되고, 한 쌍을 이루는 제 1완금본체(210)와 제 2완금본체(220)는 전주(10)에 대해 동일 높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제 1완금본체(210)와 제 2완금본체(220)는 절연 재질로 제작되고,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전주(10)는 한 쌍씩의 완금유닛(200)을 축 방향으로 다단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을 이루는 제 1완금본체(210)와 제 2완금본체(220)는 전주(10)를 감싼 채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 1완금본체(210)는 제 1요입홈(212)의 양측으로 제 1플랜지(214)를 연장 형성하고, 제 2완금본체(220)는 제 2요입홈(222)의 양측으로 제 2플랜지(224)를 연장 형성한다.
제 1요입홈(212)이 전주(10)의 둘레면 일부를 감싸고, 제 2요입홈(222)이 전주(10)의 나머지 둘레면을 감싸게 되면, 제 1플랜지(214)와 제 2플랜지(224)는 자연적으로 면접된다.
그리고, 면접된 제 1플랜지(214)와 제 2플랜지(224)는 체결부재(230)에 의해 결속된다. 이에 따라, 모든 완금유닛(200)은 개별적으로 전주(10)로부터 분리 가능함에 따라, 특정한 제 1완금본체(210)와 제 2완금본체(220)가 용이하게 교체나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제 1플랜지(214)와 제 2플랜지(224)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며, 1~2개의 체결부재(230)로 전주(10)에 압착되도록 한다.
한편, 절연애자(300)는 제 1완금본체(210)와 제 2완금본체(220) 각각에 축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만큼 유격되게 구비되고, 전선(20)을 지지 정렬함에 따라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절연애자(300)는 최소한 배선되는 전선(20)의 가닥수만큼 제 1완금본체(210)와 제 2완금본체(220)에 구비되는데, 해당되는 제 1완금본체(210)와 제 2완금본체(220)에 일체로 제작된다. 그래서, 절연애자(300)는 대응되는 제 1완금본체(210)와 제 2완금본체(220)에 별도로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방지된다.
아울러, 절연애자(300)는 각각 전선(20)을 삽입 지지할 수 있도록 전선입홈을 함몰 형성한다. 이때, 각 절연애자(300)의 전선삽입홈(310)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물론, 전선삽입홈(310)은 형상 및 깊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전선(20)은 전선삽입홈(310)에 삽입된 후 바인드선(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절연애자(3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전선삽입홈(310)은 전선(20)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전선(20)을 억지 삽입하는 크기로 이루어지거나, 내측면에 돌기(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거나, 별도의 클립(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전선(20)을 지지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절연애자(300)는 강화플라스틱 등의 충분한 강도를 갖는 절연 재질로 제작되고, 굵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절연애자(300)는 전류가 코너 부분에 집중됨에 따라 절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절연애자(300)가 제 1완금본체(210)와 제 2완금본체(220)에서 돌출된 채 전선(20)을 삽입 지지함에 따라, 전선(20) 간의 거리가 이웃한 절연애자(300)의 높이, 및 이웃한 절연애자(300) 사이의 제 1완금본체(210) 또는 제 2완금본체(220)의 거리만큼 길어지기 때문에, 전선(20) 간의 절연성이 충분히 확보된다.
또한, 절연애자(300) 각각은 전선(20) 간의 절연 거리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둘레면에 요철부(320)를 형성한다. 요철부(320)로 인해, 절연애자(300)의 상부에서 제 1완금본체(210) 또는 제 2완금본체(220)의 표면까지의 표면거리가 증가함으로써, 전선(20) 간의 절연성이 더욱 확보된다. 물론, 요철부(320)의 형상은 변형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100)는 완금유닛(200) 및 절연애자(300)를 포함한다.
완금유닛(200)은 전주(10)에 축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구비되며, 각각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편의상, 완금유닛(200)이 전주(10)에 한 쌍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즉, 한 쌍의 완금유닛(200)은 제 1완금본체(210)와 제 2완금본체(220)를 포함한다.
이때, 작업자가 비교적 부피가 큰(길이가 긴) 제 1완금본체(210)와 제 2완금본체(220)를 들고 고공 작업을 할 경우, 낙하 등 안전사고가 우려되고, 들고 조립하기 위해 큰 힘이 소요됨에 따라, 설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1완금본체(210)는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완금본체(220)는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제 1완금본체(210)는 제 1조립부재(216) 및 제 1연장부재(218)로 나뉘어진다. 아울러, 제 2완금본체(220)는 제 2조립부재(226) 및 제 2연장부재(228)로 나뉘어진다.
제 1조립부재(216)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제 1요입홈(212)과 제 1플랜지(214)를 형성하여 전주(10)의 일부를 감싸고, 제 2조립부재(216)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제 2요입홈(222)과 제 2플랜지(224)를 형성하여 전주(10)의 나머지를 감싼 후, 제 1플랜지(214)와 제 2플랜지(224)는 체결부재(23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 1연장부재(218)와 제 2연장부재(228)는 각각 하나 이상의 절연애자(300)를 일체로 구비한다.
그리고, 제 1연장부재(218)가 제 1결합부재(219)에 의해 제 1조립부재(21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연장부재(228)가 제 2결합부재(229)에 의해 제 2조립부재(22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제 1연장부재(218)와 제 1조립부재(216)는 결합되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면접되고, 제 2연장부재(228)와 제 2조립부재(226)는 결합되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면접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전주 20: 전선
100: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 200: 완금유닛
210: 제 1완금본체 212: 제 1요입홈
214: 제 1플랜지 220: 제 2완금본체
222: 제 2요입홈 224: 제 2플랜지
230: 체결부재 300: 절연애자
310: 전선삽입홈 320: 요철부

Claims (7)

  1. 전주에 구비되며, 한 쌍의 제 1완금본체와 제 2완금본체를 갖는 완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완금본체는 상기 전주의 둘레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제 1요입홈을 일측에 함몰 형성하며,
    상기 제 2완금본체는 상기 제 1완금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주의 나머지 둘레면을 감싸도록 제 2요입홈을 타측에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금유닛은 상기 전주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완금본체는 제 1플랜지를 상기 제 1요입홈의 가장자리에 형성하고,
    상기 제 2완금본체는 제 2플랜지를 상기 제 1플랜지와 면접되도록 상기 제 2요입홈의 가장자리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완금본체와 상기 제 2완금본체는 축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만큼 유격되는 절연애자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애자는 각각 전선을 삽입 지지할 수 있도록 전선삽입홈을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애자는 상기 제 1완금본체와 상기 제 2완금본체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애자 각각은 전선 간의 절연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둘레면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완금본체와 상기 제 2완금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
KR1020180135683A 2018-11-07 2018-11-07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 KR20200052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683A KR20200052579A (ko) 2018-11-07 2018-11-07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
PCT/KR2019/015042 WO2020096362A2 (ko) 2018-11-07 2019-11-07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683A KR20200052579A (ko) 2018-11-07 2018-11-07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579A true KR20200052579A (ko) 2020-05-15

Family

ID=70612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683A KR20200052579A (ko) 2018-11-07 2018-11-07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52579A (ko)
WO (1) WO202009636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365B1 (ko) 2020-08-27 2021-05-07 주식회사 현신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0904B2 (ja) * 1995-09-14 1998-12-02 大同電機工業株式会社 配電線の引通し線用絶縁腕金
JP5268778B2 (ja) * 2009-05-20 2013-08-21 中国電力株式会社 腕金交換装置
JP2013158189A (ja) * 2012-01-31 2013-08-15 Sanwa Koki Kk 腕金
KR101194831B1 (ko) * 2012-06-25 2012-10-25 주식회사 수창텍크 가공 전선 고정과 배전용 애자를 갖춘 전주
KR20180002053U (ko) * 2016-12-28 2018-07-06 김문성 전주용 경완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365B1 (ko) 2020-08-27 2021-05-07 주식회사 현신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6362A2 (ko) 2020-05-14
WO2020096362A3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3422B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4934273A (zh) 高电压增强同轴熔断器组件、系统及制造方法
KR101166307B1 (ko)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KR20180129622A (ko) 바인드리스 커버
KR101472035B1 (ko) 공동주택단지내의 전주에 설치되는 가공지선지지대 볼 커버
KR20200052579A (ko) 배전선로용 절연지지장치
CN106486958A (zh) 绝缘终端组件
KR20110110410A (ko)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US20070216233A1 (en) Long- Stator Comprising A Ground Conductor And Maglev Railway That Is Equipped With Said Stator
KR101324735B1 (ko) 전주 상부 지지대
KR101174358B1 (ko) 설치가 용이한 송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
KR20110091249A (ko) 스토퍼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 접속부
CN109314382B (zh) 用于支撑线缆的耐张结构
JP2012157113A (ja) バスダクト接続構造
KR101573004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AU2023201739A1 (en) Cross arm assembly
KR101815683B1 (ko) 저압인류애자 인류 바인드레스 체결장치
KR20150054277A (ko) 원터치 애자용 바인더
JP7387997B2 (ja) 電柱絶縁処理方法および電柱用絶縁装置
KR20080034266A (ko)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JP5547314B1 (ja) 引込線線間絶縁パーティション
KR200462217Y1 (ko) 방폭용 절연 유니온
KR101684313B1 (ko) 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KR20170008965A (ko)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및 전력 기기용 부싱
AU2019229408B2 (en) Contact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