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002A - 테아시넨신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테아시넨신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002A
KR20200052002A KR1020180135031A KR20180135031A KR20200052002A KR 20200052002 A KR20200052002 A KR 20200052002A KR 1020180135031 A KR1020180135031 A KR 1020180135031A KR 20180135031 A KR20180135031 A KR 20180135031A KR 20200052002 A KR20200052002 A KR 20200052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acincin
composition
acid
weight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미
황경환
김동현
김병기
최진경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135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2002A/ko
Priority to PCT/KR2019/014980 priority patent/WO2020096348A1/ko
Priority to US17/289,105 priority patent/US20220000742A1/en
Priority to CN201980070536.1A priority patent/CN112912057B/zh
Publication of KR20200052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테아시넨신 A,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며, 테아시넨신 A,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피부 주름 또는 탄력 개선효능, 미백효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테아시넨신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asinensin A}
본 명세서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기술한다.
녹차에는 다량의 카테킨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중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이 가장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GCG의 강력한 항산화 효능과 이외 항암작용, 자외선에 대한 피부 손상 방지 등의 여러 효능이 알려지면서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분야에서 이를 응용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EGCG는 물에 잘 녹지 않고, 산소와 열, 빛 등의 외부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산화에 의해 쉽게 분해되므로, 불안정하고 생체이용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제품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7802호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는 EGCG 이량체인 테아시넨신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테아시넨신 A(theasinensin A),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이량체인 테아시넨신 A,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보다 현저히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아시넨신 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주름 또는 탄력 개선효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와 달리 우수한 미백효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테아시넨신 A(TSA)와 비교예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의 가용화 제형내 안정도를 비교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인 비타민 C(Vit.C)의 농도별 DPPH 활성 억제율을 측정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테아시넨신 A(TSA)의 농도별 DPPH 활성 억제율을 측정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테아시넨신 A(TSA)의 MMP-1 발현율을 측정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테아시넨신 A(TSA)의 세포내 멜라닌 함량 억제정도를 측정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비교예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의 세포내 멜라닌 함량 억제정도를 측정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테아시넨신 A(TSA)의 세포외 멜라닌 함량 억제정도를 측정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비교예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의 세포외 멜라닌 함량 억제정도를 측정한 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테아시넨신 A(theasinensin A, TSA),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이란 통상의 의약적 복용량(medicinal dosage)으로 이용할 때 상당한 독성 효과를 피함으로써, 동물, 더 구체적으로는 인간에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정부 또는 이에 준하는 규제 기관의 승인을 받을 수 있거나 승인받거나, 또는 약전에 열거되거나 기타 일반적인 약전에 기재된 것으로 인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하고 모 화합물(parent compound)의 바람직한 약리 활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염을 의미한다. 상기 염은 (1)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아세트산, 프로파이온산, 헥사노산, 시클로펜테인프로피온산, 글라이콜산, 피루브산, 락트산, 말론산, 숙신산, 말산, 말레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3-(4-히드록시벤조일)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테인설폰산, 에테인설폰산, 1,2-에테인-디설폰산, 2-히드록시에테인설폰산, 벤젠설폰산, 4-클로로벤젠설폰산, 2-나프탈렌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캄퍼설폰산, 4-메틸바이시클로 [2,2,2]-oct-2-엔-1-카르복실산, 글루코헵톤산, 3-페닐프로파이온산, 트리메틸아세트산, tert-부틸아세트산, 라우릴 황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히드록시나프토산, 살리실산, 스테아르산, 뮤콘산과 같은 유기산으로 형성되는 산 부가염(acid addition salt); 또는 (2) 모 화합물에 존재하는 산성 프로톤이 치환될 때 형성되는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화물(hydrate)"은 물이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물과 화합물 사이에 화학적인 결합력이 없는 내포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매화물"은 용질의 분자나 이온과 용매의 분자나 이온 사이에 생긴 고차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테아시넨신 A는 분자식은 C44H34O22이며, 다음과 같은 화학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테아시넨신 A는 다음과 같은 화학구조식을 갖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의 이량체의 일종으로, 녹차 또는 녹차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진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와는 달리 녹차 또는 녹차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는 열, 빛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쉽게 산화되는 불안정성을 갖는데 반해, 상기 테아시넨신 A는 이미 산화가 진행된 형태의 분자이므로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어,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서 안정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테아시넨신 A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보다 우수한 안정성을 가짐으로써 조성물에 보다 고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효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이상, 0.002 중량% 이상, 0.003 중량% 이상, 0.004 중량% 이상, 0.005 중량% 이상, 0.006 중량% 이상, 0.007 중량% 이상, 0.008 중량% 이상, 0.009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0.02 중량% 이상, 0.03 중량% 이상, 0.04 중량% 이상, 0.05 중량% 이상, 0.06 중량% 이상, 0.07 중량% 이상, 0.08 중량% 이상, 0.09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0.9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범위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는, 상기 조성물은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효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하, 0.9 중량% 이하, 0.8 중량% 이하, 0.7 중량% 이하, 0.6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0.4 중량% 이하, 0.3 중량% 이하, 0.2 중량% 이하, 0.1 중량% 이하, 0.09 중량% 이하, 0.08 중량% 이하, 0.07 중량% 이하, 0.06 중량% 이하, 0.05 중량% 이하, 0.04 중량% 이하, 0.03 중량% 이하, 0.02 중량% 이하, 0.01 중량% 이하, 0.009 중량% 이하, 0.008 중량% 이하, 0.007 중량% 이하, 0.006 중량% 이하, 0.005 중량% 이하, 0.004 중량% 이하, 0.003 중량% 이하, 0.002 중량% 이하 또는 0.001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범위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테아시넨신 A,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탄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주름 또는 피부 탄력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피부"라 함은,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두피, 몸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모두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테아시넨신 A,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여 미백 효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에서 나타나지 않는 신규한 효능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테아시넨신 A,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활성을 억제하여 항산화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테아시넨신 A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것이거나, 제조된 것 모두 제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테아시넨신 A는 라카아제(laccase)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를 라카아제(laccase)와 pH 4.5 내지 5.5의 조건에서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물을 열처리하여 테아시넨신 A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테아시넨신 A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면 상기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라카아제는 구름 버섯(Tramates versicolor) 유래 라카아제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열처리 온도는 75 내지 95℃, 구체적으로는 80 내지 90℃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아시넨신 A는 시트릭 아세테이트 완충액(citric acetate buffer)에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라카아제를 넣고 약산성 조건에서 약 30분 내지 90분간 반응하여 중간 생성물 이합체인 데하이드로테아시넨신 A(Dehydrotheasinsensin A)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 생성물 이합체를 열처리하여 테아시넨신 A로 전환하고, 이를 분리 및 정제하여 테아시넨신 A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과 더불어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유효 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을 기타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발효유, 치즈, 요구르트, 주스, 생균제제 및 건강식품 등과 같은 기능성 식품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조성물은 건강 식품용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건강 식품용 조성물은 환제, 캅셀제, 정제, 과립제, 캬라멜제 또는 드링크제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액제, 분말, 과립, 정제 또는 티백 등의 형태로 가공될 수도 있다. 상기 조성물은 단순 음용, 주사 투여, 스프레이 방식 또는 스퀴즈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의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해초 엑기스 등의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당업자가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중량% 내지 99.9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제일 수 있으며, 상기 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분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펠렛제 등이 있다. 이들 제형은 유효 성분 이외에 계면 활성제,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제일 수 있으며, 상기 비경구 투여제는 직장, 국소, 피하,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등의 제형일 수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여량은 1 mg/kg/일 내지 10 g/kg/일 또는 5 mg/kg/일 내지 100 mg/kg/일 범위일 수 있으나,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은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유효성분에 포함되는 EGCG 이량체인 테아시넨신 A (Theasinensin A, TSA)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먼저, 총 100mL가 되도록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CAS Number 989-51-5, 제품명: Sigma Product No. E4143) 10mM, 구름 버섯 유래 라카아제(laccase from Tramates versicolor, CAS Number 80498-15-3,   Enzyme Commission (EC) Number 1.10.3.2, 제품명: Sigma Product No. 38429) 1 유닛(Unit)을 50 mM의 pH5.0 시트릭 아세테이트 완충액(citric acetate buffer)에 넣었다. 이를 150rpm 교반하며 1시간동안 반응시켜 중간 생성물 이합체 데하이드로테아시넨신 A(Dehydrotheasinsensin A)를 제조한 후, 85℃에서 열처리하여 상기 중간 생성물 이합체를 테아시넨신 A 로 전환하였다. 그리고 이를 세파덱스(Sephadex) LH-20와 C18 컬럼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였다. 테아시넨신 A 전환율은 약 67 %, 컬럼을 이용한 분리정제시 최종 수율은 16.6 (wt/wt%) 였다.
[시험예 1] 안정성 평가
테아시넨신 A의 유효성분으로서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테아시넨신 A가 포함된 가용화 제형의 조성물(실시예 1)과 EGCG가 포함된 가용화 제형의 조성물(비교예 1)을 각각 다음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테아시넨신 A 0.02 0
EGCG 0 0.02
글리세린(Glycerin) 15 15
정제수(D.I. Water) 79.86 79.86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0.02 0.02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5 5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05 0.05
Sensiva SC50 0.05 0.05
합계(중량%) 100 100
그 다음, 각각 1주일 간격으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제형 내 잔류하는 테아시넨신 A 또는 EGCG를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그 역가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각 조성물을 10 ml씩 분주하여 25℃에서 보관 후, 일주일마다 메탄올로 10배 희석 후 초음파 처리한 다음, 이를 여과하여 HPLC 로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약 4주 후 실시예 1의 경우 사용된 테아시넨신 A 총 중량의 약 87 중량% 이상이 가용화 제형 내에 남아있는 반면, EGCG가 유효성분으로 사용된 비교예 1은 제형이 매우 불안정하여 1주 후부터 가용화 제형 내에 남아있는 EGCG의 함량이 사용된 EGCG 총 중량의 80 중량% 미만으로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4주 후에는 40 중량% 미만으로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화된 형태인 테아시넨신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므로, 산화에 의한 불안정성을 갖는 EGCG를 포함하는 조성물보다 매우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시험예 2] 항산화 효능 평가
테아시넨신 A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억제 효능 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유기 용매에 녹인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sigma D9132) 라디칼은 515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지게 되는데, 항산화 물질은 DPPH 라디칼을 소거하여 고유의 색을 잃고 투명하게 변화시키므로, DPPH assay를 통해 테아시넨신 A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을 비교함으로써 항산화 효능을 비교할 수 있다.
먼저, 그 다음, 테아시넨신 A(TSA)을 에탄올에 녹여, 테아시넨신 A(TSA)의 농도가 각각 0.3125, 0.625, 1.25, 2.5, 5, 10 ppm이 되도록 준비하였다. 상기 각 농도별 용액들을 10μL씩 96 웰 플레이트에 넣었다. 그 다음, 에탄올에 완전히 녹인 100 μM DPPH 를 상기 각 용액에 190 μL씩 넣어 37℃에서 30분간 보관한 다음, 515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양성 대조군으로 0.625, 1.25, 2.5, 5, 10 ppm의 비타민 C(Vit.C), 테아시넨신 A(TSA) 또는 비타민 C(Vit.C)을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N.T.)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DPPH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 2 및 도 3에 양성 대조군인 비타민 C와 테아시넨신 A의 항산화 효능 평가 결과를 각각 나타내었다. 테아시넨신 A는 항산화 효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양성 대조군인 비타민 C 와 거의 동등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테아시넨신 A는 IC50=5.9 ppm 으로 항산화 효능이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나타났으며, 0.3 ppm (0.0003 중량%) 이상에서 DPPH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시험예 3]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 효능 평가
테아시넨신 A의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체내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 억제 효능 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UVB가 조사된 HS68 세포(ATCC, Cat No CRL-1635)에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테아시넨신 A 2.5, 5, 10ppm을 각각 처리한 배양액을 준비하였다. 별도의 배지에서 HS68 세포(ATCC, Cat No CRL-1635)를 배양한 후, 상기 세포의 배양액을 제거하고 여기에 PBS(phosphate buffer saline) 용액을 넣은 다음, UVB 30 mJ/cm2 세기로 자극을 주었다. 상기 UVB로 자극된 세포에 미리 준비해놓은 상기 테아시넨신 A가 처리된 배양액을 처리하고, 48 시간 동안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수거하여 MMP-1 ELISA 키트(Amersham, RPN2610)를 이용하여 MMP-1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테아시넨신 A가 UVB에 자극된 HS68 세포에서 MMP-1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으며, 억제율이 약 50%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2.5 ppm (0.0025 중량%)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MMP-1 발현량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테아시넨신 A가 피부내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하여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효과를 제공함을 의미한다.
[시험예 4] 미백 효능 평가
테아시넨신 A의 미백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내/외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 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B16 세포(ATCC, Cat No CRL-6475)에 α-MSH(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자극원 200nM과 본 발명의 실시예인 테아시넨신 A, 비교예인 EGCG를 각각 B16 세포에서 독성이 없는 10 ppm 미만 농도(2.5, 5, 10 ppm)로 72시간 처리 후 세포 내(intracellular)와 세포외(Extracellular)의 멜라닌 함량을 단백질 양으로 보정하여 측정한 후, 테아시넨신 A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멜라닌 함량%로 나타내었다.
이때, 세포 내 멜라닌 함량은 도 5(TSA) 및 도 6(EGCG), 세포 외 멜라닌 함량은 도 7(TSA) 및 도 8(EGCG)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6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EGCG의 경우 세포 내/외 모두에서 오직 α-MSH만 처리한 대조군과 대비하여 멜라닌 함량이 증가하였으므로, 미백효능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5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인 테아시넨신 A는 오직 α-MSH만 처리한 대조군과 대비하여 멜라닌 함량이 감소하였으므로 미백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세포내 멜라닌 억제율이 10 ppm (0.01 중량%) 에서 30% 정도로 우수한 미백효과가 나타났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명세서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테아시넨신 A 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테아시넨신 A 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마사지 크림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테아시넨신 A 0.1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바세린 3.0
파라핀 1.5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정제
테아시넨신 A 100mg, 락토오스 400mg, 옥수수 전분 400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5] 캡슐제
테아시넨신 A 100mg, 락토오스 400mg, 옥수수 전분 400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6] 과립제
테아시넨신 A 50mg, 무수결정 포도당 250mg 및 전분 550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형예 7] 드링크제
테아시넨신 A 50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ml를 가하여 각 병에 200ml씩 충진한다. 병에 충진한 후 130? 에서 4~5 초간 살균하여 드링크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8] 캬라멜 제형
테아시넨신 A 50mg, 옥수수 시럽(corn syrup) 1.8g, 탈지우유 0.5g, 대두 레시틴 0.5g, 버터 0.6g, 식물성 경화유 0.4g, 설탕 1.4g, 마가린 0.58g, 및 식염 20mg을 혼합하여 캬라멜 성형 하였다.
[제형예 9] 건강 식품
성분 함량
테아시넨신 A 100 ㎎
비타민 혼합물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 비타민 및 무기질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형예 10] 건강 음료
성분 함량
테아시넨신 A 1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 잔량
총 부피 900 ㎖
상기 표와 같이 총 부피 900㎖가 되도록 잔량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형예 11] 주사제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테아시넨신 A 10-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상기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개시되었으며,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미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변형, 및 대체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서 발생될 수 있다.

Claims (8)

  1. 테아시넨신 A(theasinensin A),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아시넨신 A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것인,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아시넨신 A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의 이량체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개선용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미백용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항산화용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 중량%로 포함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아시넨신 A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를 라카아제(laccase)와 pH 4.5 내지 5.5의 조건에서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물을 열처리하여 테아시넨신 A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인, 조성물.
KR1020180135031A 2018-11-06 2018-11-06 테아시넨신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2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031A KR20200052002A (ko) 2018-11-06 2018-11-06 테아시넨신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CT/KR2019/014980 WO2020096348A1 (ko) 2018-11-06 2019-11-06 테아시넨신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7/289,105 US20220000742A1 (en) 2018-11-06 2019-11-06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asinensin a
CN201980070536.1A CN112912057B (zh) 2018-11-06 2019-11-06 含有聚酯型儿茶素a的化妆料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031A KR20200052002A (ko) 2018-11-06 2018-11-06 테아시넨신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002A true KR20200052002A (ko) 2020-05-14

Family

ID=7061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031A KR20200052002A (ko) 2018-11-06 2018-11-06 테아시넨신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00742A1 (ko)
KR (1) KR20200052002A (ko)
CN (1) CN112912057B (ko)
WO (1) WO202009634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802B1 (ko) 2004-05-27 2011-10-28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리파아제 저해 활성 및/또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에피갈로카테킨 이량체 및 삼량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7027B2 (ja) * 1998-12-04 2010-07-21 明治乳業株式会社 Mmp阻害剤
KR101134716B1 (ko) * 2005-02-03 2012-05-24 (주)아모레퍼시픽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5555166B2 (ja) * 2008-08-29 2014-07-2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新規エピガロカテキンガレート3量体、およびエピガロカテキンガレート重合体を含む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
WO2013184884A1 (en) * 2012-06-06 2013-12-12 Basf Corporation Improved methods for botanical and/or algae extraction
WO2014136681A1 (ja) * 2013-03-08 2014-09-12 長崎県 水溶性フラボノイド組成物、これを含有する飲料、食品、医薬品、化粧品及び水溶性フラボノイド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40048177A (ko) * 2014-03-31 2014-04-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Μμρ―1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억제용 조성물
EP3225238B1 (en) * 2014-11-28 2021-12-29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inducing facilitation of cell rejuvenation comprising genistein or epigallocatechin gall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802B1 (ko) 2004-05-27 2011-10-28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리파아제 저해 활성 및/또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에피갈로카테킨 이량체 및 삼량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00742A1 (en) 2022-01-06
CN112912057A (zh) 2021-06-04
WO2020096348A1 (ko) 2020-05-14
CN112912057B (zh) 202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071B1 (ko) 리그난계 화합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육두구 추출물 또는 육두구 가종피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WO2012099449A2 (ko) 플라본계 화합물의 신규한 용도
US20160271028A1 (en) Novel use of panduratin derivatives or extract of kaempferia pandurata comprising the same
KR101419464B1 (ko)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10913833B (zh) 包含槲皮素类化合物的美白组合物
KR102610930B1 (ko) 3-클로로-N-[트랜스-4-(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실]-N-[[3-(4-피리디닐)페닐]메틸]벤조[b]티오펜-2-카복사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600091B1 (ko) 사이토칼라신 d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76933B1 (ko) 카르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76932B1 (ko) 옥타데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00052002A (ko) 테아시넨신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5190B1 (ko) 3-O-갈로일-3,3',5,5',7-펜타하이드록시플라반(3-O-galloyl-3,3',5,5',7- pentahydroxyflavan)을 포함하는 보습용 조성물
KR102564361B1 (ko) 진세노사이드 f5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CN110740722B (zh) 包含后发酵茶来源的山柰酚类化合物的美白组合物
KR101965590B1 (ko)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80135304A (ko) 후발효차 유래의 신규한 캄페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CN110944644B (zh) 包含新槲皮素类化合物的抗炎组合物
KR20220107503A (ko) 7-메틸잔틴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10115745A (ko) 이소린들레인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20112397A (ko) 산시올을 포함하는 베타-엔도르핀의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240061413A (ko) 석시닉 애씨드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08930A (ko) 바닐라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20230030256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10115315A (ko) 갈라세토페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80025700A (ko) 2,4-디클로로-a-(3,4-디하이드로-4-옥소-2(1H)-퀴나졸리닐리덴)-β-옥소-벤젠프로판니트릴을 포함하는 멜라닌 증진용 조성물
KR101936689B1 (ko) Arp101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