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1996A - 조명이 구비된 거울 - Google Patents

조명이 구비된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1996A
KR20200051996A KR1020180135005A KR20180135005A KR20200051996A KR 20200051996 A KR20200051996 A KR 20200051996A KR 1020180135005 A KR1020180135005 A KR 1020180135005A KR 20180135005 A KR20180135005 A KR 20180135005A KR 20200051996 A KR20200051996 A KR 20200051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lighting
ligh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1521B1 (ko
Inventor
손승희
Original Assignee
손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승희 filed Critical 손승희
Priority to KR1020180135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5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1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996A/ko
Priority to KR1020200074332A priority patent/KR102264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 A45D42/04Pocket or handbag mirr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이 구비된 거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체부의 상방 이동시 LED모듈이 본체부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제공됨으로써, 야간이나 조명이 어두운 장소에서도 거울을 통해 사용자의 용모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휴대가 용이하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조명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명이 구비된 거울{MIRROR HAVING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이 구비된 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울은 빛을 반사하여 자신의 얼굴, 몸의 일부 혹은 몸의 전신을 관찰하여 옷의 매무새 등의 정돈을 통해 용모를 정돈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거울은 외모에 민감한 여성들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며, 특히 거의 매일같이 화장을 하는 성인 여성들에게는 휴대용 핸드백에 메이크업 용품과 함께 소장되는 필수 구성품 중 하나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거울은 카페, 노래방 혹은 어두운 골목길처럼 조명이 약한 곳에서는 낮은 조도에 의해 거울에 반사된 용모를 제대로 관찰할 수 없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거울은 빛을 반사하여 자신의 용모를 체크하게 되므로 야간 또는 조명이 제대로 투입되지 않는 곳에서는 자신의 용모를 제대로 체크할 수 없으므로, 어두운 곳에서 자신의 모습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일정 밝기 이상의 조명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09652호(공개일: 2001. 02. 05일)에는 '투광튜브식 투광스트린'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공개특허의 경우 거울면의 투광튜브를 통과하면서 빛의 반사와 산란을 일으킴에 따라 광효율을 극대화 시켜 옥외에서도 밝은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접이 있으나, 상기 한국공개특허는 휴대가 불편하고 조작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부의 상방 이동시 LED모듈이 본체부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제공됨으로써, 야간이나 조명이 어두운 장소에서도 거울을 통해 사용자의 용모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휴대가 용이하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조명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조명이 구비된 거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면에 거울이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 이동시 LED모듈이 상기 본체부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 전원부와 상기 LED모듈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단자와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가 접점되어 상기 LED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부; 및 상기 조명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 이동되는 경우 자기력을 통해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를 사이 간극이 좁혀지도록 위치 가변시키면서 접점시키는 마그네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거울을 제공한다.
또한, 전면에 거울이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 이동시 LED모듈이 상기 본체부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되, 광을 출력하는 발광부와, 상기 광이 입력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 이동되는 경우 상기 광이 상기 수광부로 입력되어 전원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전원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LED모듈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거울을 제공한다.
아울러, 전면에 거울이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 이동시 LED모듈이 상기 본체부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 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 이동되는 높이에 따라 상기 LED모듈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조명의 조도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거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체부의 상방 이동시 LED모듈이 본체부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제공됨으로써, 야간이나 조명이 어두운 장소에서도 거울을 통해 사용자의 용모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휴대가 용이하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조명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이 구비된 거울의 조명부가 본체부로부터 상방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본체부의 후면 및 조명부의 전면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조명의 구비된 거울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조명이 구비된 거울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제3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의 본체부의 후면 및 조명부의 전면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본체부로부터 반사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의 조명이 구비된 거울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의 조명이 구비된 거울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이 구비된 거울의 조명부가 본체부로부터 상방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본체부의 후면 및 조명부의 전면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조명의 구비된 거울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조명이 구비된 거울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제3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의 본체부의 후면 및 조명부의 전면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본체부로부터 반사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의 조명이 구비된 거울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의 조명이 구비된 거울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10)은 전면에 거울(101)이 구비되는 본체부(103); 본체부(103)의 후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부(103)로부터 상방 이동시 LED모듈(201)이 본체부(103)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105); 전원(301)과 LED모듈(201)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단자(303)와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제2단자(305)를 포함하고, 제1단자(303)와 제2단자(305)가 접점되어 LED모듈(201)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부(307); 및 조명부(105)가 본체부(103)로부터 상방 이동되는 경우 자기력을 통해 제1단자(303)와 제2단자(305)를 사이 간극이 좁혀지도록 위치 가변시키면서 접점시키는 마그네틱부(30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부(103)는 전면에 거울이 구비되고 내측에 전원부(301)가 구비되는데, 여기서 전원부(301)는 제1단자(303) 또는 제2단자(3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단자(303)와 제2단자(305)의 접점시 LED모듈(201)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본체부(103)는 조명부(105)와 밀착되는 후면에 조명부(105)의 가이드돌기(31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홈(313)과 제1단자(303) 및 제2단자(305)가 구비되는 단자수용홈(315)이 함몰형성된다.
조명부(105)는 본체부(103)의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부(103)로부터 상방 이동시 본체부(103)의 전방으로 조명을 조사한다.
이러한 조명부(105)는 본체부(103)와 밀착되는 전면에 가이드홈(313)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311)가 돌출형성되고, 본체부(103)로부터 상방 이동되는 경우 본체부(103)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는 LED모듈(201)이 구비된다.
여기서, LED모듈(201)은 복수개의 LED전구(203)가 구비되어 본체부(103)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게 되는데, 이러한 LED모듈(201)은 조명부(105)가 본체부(103)로부터 일정높이로 이동되는 경우 조명을 조사하는 제1모듈(205); 및 제1모듈(205)의 하부에 위치하며 조명부(105)가 본체부(103)로부터 일정높를 초과하여 이동되는 경우 조명을 조사하는 제2모듈(20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조명부(105)는 본체부(103)로부터 상방 이동되는 높이에 따라 LED모듈(201)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의 조도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계속해서, 단자부(307)는 단자수용홈(315)에 구비되고, 전원부(301) 및 LED모듈(2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부(105)가 본체부(103)로부터 일정높이로 상방 이동되는 경우 LED모듈(201)이 작동되도록 LED모듈(201)로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이러한 단자부(307)는 전원부(301)와 LED모듈(201)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단자(303)와,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제2단자(305)를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1단자(303)가 LED모듈(2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305)가 전원부(3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단자(303)는 조명부(105)가 본체부(103)로부터 일정높이 이상으로 이동시 LED모듈(201)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2단자(305)와 접점되는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제1단자(303)는 본체부(103)에 힌지결합되며 조명부(105)가 본체부(103)로부터 상방 이동되는 경우 마그네틱부(309)의 자기력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2단자(305)와 접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단자(303)는 조명부(105)가 본체부(103)로부터 하방 이동되는 경우 마그네틱부(309)의 자기력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제2단자(305)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여 제2단자(305)와 접점해제되도록 하는 접점해제부(325,331)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단자(303)의 구조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단자(303)는 조명부(105)가 본체부(103)로부터 일정높이로 상방 이동되는 경우 마그네틱부(309)의 자기력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2단자(305)와 접점되는 메인단자부(317); 및 조명부(105)가 본체부(103)로부터 일정높이를 초과하여 상방 이동되는 경우 마그네틱부(309)의 자기력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2단자(305)와 접점되는 보조단자부(319);를 포함한다.
메인단자부(317)는 LED모듈(201)의 제1모듈(2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조명부(105)가 본체부(103)로부터 일정높이로 이동되어 마그네틱부(309)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는 경우, 마그네틱부(309)의 자기력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2단자(305)와 접점되어 제1모듈(205)로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이러한 메인단자부(317)의 구조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인단자부(317)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본체부(103)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제1연장바(321); 힌지(H)를 기준으로 제1연장바(321)의 상부에 구비되며, 조명부(105)가 상방이동되어 마그네틱부(309)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는 경우 마그네틱부(309)의 자기력에 의해 제2단자(305)와 접점되는 제1접점부(323); 및 힌지(H)를 기준으로 제1연장바(321)의 하부에 구비되며 조명부(105)가 하방 이동되어 마그네틱부(309)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는 경우 마그네틱부(309)의 자기력에 의해 마그네틱부(309)와 인접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접점부(323)가 제2단자(305)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게함에 따라 제1접점부(323)와 제2단자(305)를 접점해제시키는 제1접점해제부(325);를 포함한다.
보조단자부(319)는 LED모듈(201)의 제2모듈(20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조명부(105)가 본체부(103)로부터 일정높이 이상으로 이동되어 마그네틱부(309)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는 경우, 마그네틱부(309)의 자기력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2단자(305)와 접점되어 제2모듈(207)로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이러한 보조단자부(319)의 구조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조단자부(319)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연장바(321) 대비 길게 형성되고 제1연장바(321)와 함께 힌지결합되는 제2연장바(327); 제1접점부(323)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2연장바(327)의 상부에 구비되고 조명부(105)가 상방이동되어 마그네틱부(309)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는 경우 마그네틱부(309)의 자기력에 의해 제1접점부(323)와 함께 제2단자(305)와 접점되는 제2접점부(329); 및 힌지(H)를 기준으로 제2연장바(327)의 하부에 구비되며 조명부(105)가 하방 이동되어 마그네틱부(309)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는 경우 마그네틱부(309)의 자기력에 의해 마그네틱부(309)와 인접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접점부(329)가 제2단자(305)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게함에 따라 제2접점부(329)와 제2단자(305)를 접점해제시키는 제2접점해제부(331);를 포함한다.
계속해서, 제2단자(305)는 전원부(301)와 LED모듈(201)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2단자(305)가 전원부(3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어서, 마그네틱부(309)는 본체부(103)와 밀착되는 조명부(105)의 전면에 구비되어 조명부(105)를 따라 단자수용부(315)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마그네틱부(309)는 조명부(105)가 상방 이동되어 제1접점부(323)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는 경우 제1모듈(205)이 작동되도록 자기력을 통해 제1접점부(323)와 제2단자(305)를 접점시키고, 계속해서 상방으로 이동되어 제1접점부(323) 및 제2접점부(329)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는 경우 제1모듈(205) 및 제2모듈(207)이 동시에 작동되도록 자기력을 통해 제1접점부(323)와 제2접점부(329)를 동시에 제2단자(305)와 접점시킨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10)의 작동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조명부(105)를 본체부(103)를 기준으로 일정높이로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마그네틱부(309)가 제1접점부(323)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는 경우, 자기력에 의해 제1접점부(323)가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2단자(305)와 접점되어 제1모듈(205)로 전원이 공급되고, 제1모듈(205)은 본체부(103)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전원을 공급받아 본체부(103)의 전방으로 조명을 조사하게 된다.
계속해서, 조명부(105)와 마그네틱부(309)가 상방 이동되어 도 5의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마그네틱부(309)가 제1접점부(323) 및 제2접점부(329)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게되며, 자기력에 의해 제1접점부(323)와 제2접점부(329)가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2단자(305)와 접점됨에 따라 제1모듈(205) 및 제2모듈(209)로 전원이 공급되고, 제1모듈(205) 및 제2모듈(205)은 본체부(103)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전원을 공급받아 본체부(103)의 전방으로 조명을 조사하게 된다.
그리고, 조명부(105)를 본체부(103)를 기준으로 하방 이동시켜 마그네틱부(309)가 제1접점해제부(325) 및 제2접점해제부(331)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마그네틱부(309)의 자기력에 의해 제1접점해제부(325)와 제2접점해제부(331)가 회전되면서 마그네틱부(309)와 밀착됨에 따라, 제1접점부(323)와 제2접점부(329)는 제2단자(305)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단자(305)와 접점해제되고, 그에 따라 LED모듈(201)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10)은 본체부(103)로부터 조명부(105)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조명을 ON/OFF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의 조도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조명부(105)를 상방 이동시키는 경우 마그네틱부(309)가 자기력을 통해 제2단자(305) 및 제1,2접점부(323,329)와 결합되고, 조명부(105)를 하방 이동시키는 경우 마그네틱부(309)가 자기력을 통해 제1,2접점해제부(325,331)와 결합되므로, 별도의 위치고정부재 없이도 자기력을 통해 조명부(105)를 일정높이에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20)은 전면에 거울이 구비되는 본체부(701); 본체부(701)의 후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부(701)로부터 상방 이동시 LED모듈(703)이 본체부(701)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705); 조명부(705)에 구비되며 광(L)을 출력하는 발광부(707)와, 본체부(701)에 구비되며 광(L)이 입력되는 수광부(709)를 포함하고, 조명부(705)가 본체부(701)로부터 상방 이동되는 경우 광(L)이 수광부(709)로 입력되어 전원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801); 및 센서부(801)로부터 전원신호를 입력받아 LED모듈(703)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8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부(701)는 내측에 전원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전면에 거울이 구비된다.
이어서, 조명부(705)는 홈돌기 구조로 본체부(701)의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본체부(701)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는 LED모듈(703)이 구비된다.
계속해서, 센서부(801)는 조명부(705)에 구비되며 광(L)을 출력하는 발광부(707)와, 본체부(701)에 구비되며 광(L)이 입력되는 수광부(709)를 포함한다.
발광부(707)는 조명부(705)의 내측에 구비되어 조명부(705)와 함께 본체부(701)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수광부(707)의 제1수광부(711) 또는 제2수광부(713)를 향해 광(L)을 출력한다.
수광부(707)는 본체부(701)에 구비되며 발광부(707)로부터 출력된 광(L)이 입력되는데, 이러한 수광부(707)는 본체부(701)에 구비되며 조명부(705)가 본체부(701)로부터 일정높이로 상방 이동되어 발광부(707)가 횡방향으로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경우 발광부(707)로부터 광(L)이 입력되어 제1전원신호(s1)를 출력하는 제1수광부(711); 및 본체부(701)에 구비되며 제1수광부(711)의 상부에 배치되고 본체부(701)로부터 일정높이 이상으로 상방 이동되어 발광부(707)가 횡방향으로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경우 발광부(707)로부터 광(L)이 입력되어 제2전원신호(s2)를 출력하는 제2수광부(713);를 포함한다.
계속해서, 제어부(803)는 센서부(801)로부터 전원신호를 입력받아 LED모듈(703)로 전원을 공급하여 LED모듈(703)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제어부(803)는 조명부(705)가 본체부(701)로부터 일정높이로 상방 이동되어, 제1수광부(711)로부터 제1전원신호(s1)가 입력되는 경우 제1조명제어신호(s3)를 출력하여 LED모듈(703)의 조명이 일정조도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조명부(705)가 본체부(701)로부터 일정높이 이상으로 상방 이동되어 제2수광부(713)로부터 제2전원신호(s2)가 입력되는 경우 제2조명제어신호(s4)를 출력하여 LED모듈(703)의 조명이 일정조도 이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조명부(705)가 이동되는 높이에 따라 LED모듈(703)의 출력 조명의 조도가 달라지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30)은, 전면에 거울이 구비되는 본체부(901); 본체부(901)의 후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부(901)로부터 상방 이동시 LED모듈(903)이 본체부(901)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905); 본체부(901)에 구비되되, 광을 출력하는 발광부(907)와 광이 입력되는 수광부(909)를 포함하고, 조명부(905)가 본체부(901)로부터 상방 이동되는 경우 광이 수광부(909)로 입력되어 전원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1301); 및 센서부(1301)로부터 전원신호를 입력받아 LED모듈(903)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13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부(901)는 전면에 거울이 구비되고 내측에 전원부(911)가 구비되며, 조명부(905)와 밀착되는 후면에 홈(913)이 함몰형성되어 조명부(905)와 홈돌기 구조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본체부(901)는 조명부(905)와 밀착되는 후면에 센서부(1301) 및 후술할 반사부(917)이 구비되는 수용홈(919)이 함몰형성된다.
계속해서, 조명부(905)는 본체부(901)와 밀착되는 전면에 돌기(915)가 돌출형성되어 본체부(901)와 홈돌기 구조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본체부(901)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는 LED모듈(903)이 구비된다.
여기서, LED모듈(903)은 복수개의 LED전구가 구비되어 본체부(901)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게 되는데, 이러한 LED모듈(903)은 조명부(905)가 본체부(901)로부터 일정높이로 이동되는 경우 조명을 조사하는 제1모듈(921); 및 제1모듈(921)의 하부에 위치하며 조명부(905)가 본체부(901)로부터 일정높를 초과하여 이동되는 경우 조명을 조사하는 제2모듈(9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조명부(905)는 본체부(901)로부터 상방 이동되는 높이에 따라 LED모듈(903)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의 조도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계속해서, 센서부(1301)는 본체부(901)의 수용홈(919)에 구비되며, 광을 출력하는 발광부(907)와 발광부(907)로부터 출력된 광이 입력되는 수광부(909)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광부(907)는 제1광(1L)을 출력하는 제1발광부(925); 및 제1발광부(925)와 일정간격 이격되며 제2광(2L)을 출력하는 제2발광부(927)를 포함한다.
수광부(909)는 조명부(905)가 본체부(901)로부터 일정높이로 이동되는 경우 제1광(1L)이 입력되며 제1광(1L) 입력시 제1전원신호(1IS)를 출력하는 제1수광부(929); 및 조명부(905)가 본체부(901)로부터 일정높이를 초과하여 이동되는 경우 제2광(2L)이 입력되며 제2광(2L) 입력시 제2전원신호(2IS)를 출력하는 제2수광부(931);를 포함한다.
이어서, 제어부(1303)는 전원신호를 입력받아 LED모듈(903)이 작동되도록 조명제어신호를 출력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제어부(1303)는 제1수광부(929)로부터 제1전원신호(1IS)가 입력되는 경우 제1조명제어신호(3IS)를 출력하여 제1모듈(921)을 작동시키고, 제2수광부(931)로부터 제2전원신호(2IS)가 입력되는 경우 제2조명제어신호(4IS)를 출력하여 제2모듈(923)을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30)은 본체부(901)에 구비되고, 조명부(905)가 본체부(901)로부터 상방 이동되는 경우 발광부(1305)로부터 출력되는 광이 수광부(1307)로 입력되도록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9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반사부(917)는 조명부(905)가 본체부(901)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각도조절되도록 본체부(901)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반사부(917)의 구조를 좀더 구제적으로 설명하면, 반사부(917)는 발광부(1305)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미리 설정된 제1각도로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1001); 및 발광부(1305)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제1각도와 서로 다른 각도인 제2각도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1003);를 포함한다.
제1반사부(1001)는 각도조절되도록 본체부(901)의 수용홈(919)에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제1반사부(1001)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더 구제적으로 설명하면, 제1반사부(1001)는 수용홈(919)에 힌지결합되며, 조명부(905)가 본체부(901)로부터 일정높이로 이동되는 경우 각도조절되면서 제1발광부(925)로부터 출력된 제1광(1L)이 제1수광부(929)로 입력되도록 제1광(1L)을 제1각도로 반사시키는 제1반사판(1005); 제1반사판(1005)으로부터 일정반경을 갖도록 연장형성되어 외주면이 후술할 각도조절부(933)와 마찰 또는 치합되어 각도조절부(933)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제1반사판(1005)과 함께 각도조절되며, 내주면에 제1홈(1013) 및 제2홈(1015)이 형성되는 제1반원부(1009);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반원부(1009)는 본체부(901)와 조명부(905)의 높이가 일치되는 경우 제1홈(1013)이 수용홈(919)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011)에 걸림되고, 조명부(905)가 본체부(901)로부터 일정높이로 이동됨에 따라, 각도조절부(933)에 의해 제1반사판(1005)과 각도조절되어 제1반사판(1005)이 제1발광부(927)로부터 출력된 제1광(1L)을 제1각도로 반사시키는 경우 제1홈(1013)이 걸림돌기(1011)와 걸림해제되고 제2홈(1015)이 걸림돌기(1011)와 걸림되어 각도조절된다.
제2반사부(1003)는 각도조절되도록 본체부(901)의 수용홈(919)에 제1반사부(1003)와 함께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제2반사부(1003)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더 구제적으로 설명하면, 제2반사부(1003)는 수용홈(919)에 힌지결합되며, 조명부(905)가 본체부(901)로부터 일정높이를 초과하여 이동되는 경우 각도조절되면서 제2발광부(927)로부터 출력된 제2광(2L)이 제2수광부(931)로 입력되도록 제2광(2L)을 제2각도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판(1017); 제2반사판(1017)으로부터 일정반경을 갖도록 연장형성되어 외주면이 후술할 각도조절부(933)와 마찰 또는 치합되어 각도조절부(933)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제2반사판(1017)과 함께 각도조절되며, 내주면에 제3홈(1019), 제4홈(1021) 및 제5홈(1023)이 형성되는 제2반원부(10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반원부(1025)는 본체부(901)와 조명부(905)의 높이가 일치되는 경우 제3홈(1019)이 수용홈(919)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011)에 걸림되고, 조명부(905)가 본체부(901)로부터 일정높이로 이동됨에 따라, 각도조절부(933)에 의해 제2반사판(1017)과 각도조절되어 제1반사판(1005)이 제1발광부(927)로부터 출력된 제1광(1L)을 제1각도로 반사시키는 경우 제3홈(1019)이 걸림돌기(1011)와 걸림해제되고 제4홈(1021)이 걸림돌기(1011)와 걸림되고, 조명부(905)가 본체부(901)로부터 일정높이를 초과하여 이동되는 경우 각도조절됨에 따라 제2반사판(1017)이 제2발광부(927)로부터 출력된 제2광(2L)을 제2각도로 반사시키는 경우 제4홈(1021)이 걸림돌기(1011)와 걸림해제되고 제5홈(1023)이 걸림돌기(1011)와 걸림되어 각도조절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30)은 반사부(917)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조명부(905)가 본체부(901)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힌지(H)를 중심으로 반사부(917)가 각도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933);를 더 포함한다.
각도조절부(933)는 조명부(905)에 구비되어 조명부(905)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러한 각도조절부(933)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도조절부(933)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반원부(1009)의 외주면과 마찰 또는 치합되어 조명부(905)의 상하이동시 제1반사부(1001)가 각도 조절되도록 하는 제1조절부(935); 및 제1조절부(935)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조절부(935)의 종방향 길이 대비 길게 형성되고, 제2반원부(1025)의 외주면과 마찰 또는 치합되어 조명부(905)의 상하이동시 제2반사부(1003)가 각도 조절되도록 하는 제2조절부(937)를 포함한다.
한편,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30)의 작동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명부(905)가 본체부(901)로부터 일정높이로 이동되어 각도조절부(933)가 상방 이동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반사부(1001)는 제1조절부(935)에 의해 걸림돌기(1011)로부터 제1홈(1013)이 걸림해제되고 제2홈(1015)이 걸림되면서 동시에 일정각도로 회전되고, 제2반사부(1003)는 제2조절부(937)에 의해 걸림돌기(1011)로부터 제3홈(1019)이 걸림해제되고 제4홈(1021)이 걸림되면서 동시에 제1반사부(1001)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된다.
이때, 제1반사부(100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발광부(925)로부터 출력된 제1광(1L)을 제1각도로 반사시켜 제1수광부(929)로 입력시키며, 제1수광부(929)는 제1광(1L)을 통해 제1전원신호(1IS)를 출력하게 되고, 이때 제어부(1303)는 제1전원신호(1IS)를 통해 제1조명제어신호(3IS)를 출력하여 제1모듈(921)를 작동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명부(905)가 본체부(901)로부터 일정높이 이상으로 상방 이동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933) 또한 함께 상방 이동되나 제1조절부(935)는 제1반사부(1001)와 간섭되지 않으므로 각도고정되고, 제2반사부(1003)는 제1조절부(935) 대비 길게 형성되는 제2조절부(937)에 의해 걸림돌기(1011)로부터 제4홈(1021)이 걸림해제되고 제5홈(1023)이 걸림되면서 동시에 제1반사부(1001)와 상이한 각도로 회전된다.
이때, 제1반사부(1001)는 제1광(1L)을 계속해서 제1수광부(929)로 반사시키고, 제2반사부(1003) 또한 제2발광부(927)로부터 출력된 제2광(2L)을 제2각도로 반사시켜 제2수광부(931)로 입력시키므로, 제2수광부(931)는 제2전원신호(2IS)를 출력하게되고, 이때, 제어부(1303)는 제1전원신호(1IS)와 제2전원신호(2IS)를 통해 제1조명제어신호(3IS)와 제2조명제어신호(4IS)를 출력하여 제1모듈(921)과 제2모듈(923)을 동시에 작동시키게 된다.
즉, 제어부(130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905)가 본체부(901)로부터 일정높이로 상방 이동되는 경우 제1모듈(921)을 작동시키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905)가 본체부(901)로부터 일정높이를 초과하여 이동되는 경우 제1모듈(921) 및 제2모듈(923)을 동시에 작동시켜 조명부(905)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의 조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40)은, 전면에 거울이 구비되는 본체부(1401); 본체부(1401)의 후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부(1401)로부터 상방 이동시 LED모듈(1403)이 본체부(1401)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1405);를 포함하되, 조명부(1403)는, 본체부(1401)로부터 상방 이동되는 높이에 따라 LED모듈(1403)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의 조도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40)은 본체부(1401)에 구비되는 제1접점부(1407)와, 조명부(1405)에 구비되어 제1접점부(1407)와 접점됨에 따라 LED모듈(1403)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2접점부(1409)를 포함하되, 제1접점부(1407)와 제2접점부(1409)가 서로 밀착되는 면적에 따라 LED모듈(1403)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의 조도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접점부(1407)는 본체부(1401)의 내측에 구비되어 LED모듈(14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제1접점부(1407)는 LED모듈(1403)에 구비된 복수개의 LED전구(1411)와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접점(1413)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2접점부(1409)는 본체부(1401)의 내측에 구비된 전원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조명부(1405)에 구비되어 조명부(1405)와 함께 본체부(1401)로부터 높이조절된다.
이러한 제2접점부(1409)는 제1접점부(1407)와 접점되어 LED모듈(1403)이 작동되도록 LED모듈(1403)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조명부(1405)와 함께 높이조절됨에 따라 각각의 접점(1413)과 접점되어 각각의 LED전구(1411)를 작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40)은, 조명부(1405)가 본체부(1401)로부터 상방 이동되는 높이에 따라 제2접점부(1409) 또한 본체부(1401)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접점부(1409)와 접점되는 복수개의 접점(1413)의 개수가 달라지게 되므로, 조명부(1405)가 본체부(1401)로부터 이동되는 높이에 따라 작동되는 LED전구(1411) 수를 달리하여 조명제어를 할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50)은 전면에 거울이 구비되는 본체부(1501); 본체부(1501)의 후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부(1501)로부터 상방 이동시 LED모듈(1503)이 본체부(1501)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1505);를 포함하되, 조명부(1505)는, 본체부(1501)로부터 상방 이동되는 높이에 따라 LED모듈(1503)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의 조도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50)은 본체부(1501)에 구비되는 제1접점부(1507)와, 조명부(1505)에 구비되어 제1접점부(1507)와 접점됨에 따라 LED모듈(1503)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2접점부(1509)를 포함하되, 제1접점부(1407)와 제2접점부(1409)가 서로 밀착되는 위치에 따라 LED모듈(1403)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의 조도가 달라진다.
제1접점부(1507)는 본체부(1501)의 내측에 구비되어 LED모듈(15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2접점부(1509)는 조명부(1405)에 구비되어 조명부(1405)와 함께 본체부(1401)로부터 높이조절됨에 따라 제1접점부(1507)와 접점되어 LED모듈(1503)로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이러한, 제1접점부(1507)와 제2접점부(1509)는, 서로 밀착된 위치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50)은 본체부(1501)에 구비되며 제1접점부(1507)와 제2접점부(1509)가 밀착되는 위치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가변저항부(1511)를 더 포함한다.
가변저항부(1511)는 제1접점부(1507)와 제2접점부(1509)가 접점되어 LED모듈(1503)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저항값을 달리하여 LED모듈(1503)로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함에 따라 LED모듈(1503)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의 조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가변저항부(1511)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저항이 구비되며 전원부(미도시) 및 LED모듈(15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체(1513); 및
본체(1513)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2접점부(1509)와 간섭 또는 결합되어 제2접점부(1509)에 의해 높이조절되고 본체(1513)로부터 높이조절됨에 따라 본체(1513)의 저항을 가변시키는 가변스위치(1515);를 포함한다.
가변저항부(1511)는 일예로 가변스위치(1515)가 본체(1513)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고, 가변스위치가(1515)가 본체(1513)의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출력 저항값이 점진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조명이 구비된 거울은(50)은 조명부(1505)가 본체부(1501)로부터 상부로 이동할수록 저항값이 낮아지면서 LED모듈로(1503)부터 출력되는 조명의 조도가 점진적으로 커지게 되고, 반대로 조명부(1505)가 본체부(1501)로부터 하방 이동할수록 저항값이 커지면서 LED모듈(1503)로부터 출력되는 조명의 조도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구조에 의해 조명부(1505)의 높이를 조절하여 출력 조명의 조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부의 상방 이동시 LED모듈이 본체부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제공됨으로써, 야간이나 조명이 어두운 장소에서도 거울을 통해 사용자의 용모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휴대가 용이하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조명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20, 30, 40, 50 : 조명이 구비된 거울
101 : 거울 103 : 본체부
105 : 조명부 201 : LED모듈
203 : LED전구 205 : 제1모듈
207 : 제2모듈 301 : 전원부
303 : 제1단자 305 : 제2단자
307 : 단자부 309 : 마그네틱부
311 : 가이드돌기 313 : 가이드홈
315 : 단자수용홈 317 : 메인단자부
319 : 보조단자부 321 : 제1연장바
323 : 제1접점부 325 : 제1접점해제부
327 : 제2연장바 329 : 제2접점부
331 : 제2접접해제부 701 : 본체부
703 : LED모듈 705 : 조명부
707 : 발광부 709 : 수광부
711 : 제1수광부 713 : 제2수광부
801 : 센서부 803 : 제어부
901 : 본체부 903 : LED모듈
905 : 조명부 907 : 발광부
909 : 수광부 911 : 전원부
913 : 홈 915 : 돌기
917 : 반사부 919 : 수용홈
921 : 제1모듈 923 : 제2모듈
925 : 제1발광부 927 : 제2발광부
929 : 제1수광부 931 : 제2수광부
933 : 각도조절부 935 : 제1조절부
937 : 제2조절부 1001 : 제1반사부
1003 : 제2반사부 1005 : 제1반사판
1007 : 제1각도조절홈 1009 : 제1반원부
1011 : 걸림돌기 1013 : 제1홈
1015 : 제2홈 1017 : 제2반사판
1019 : 제3홈 1021 : 제4홈
1023 : 제5홈 1025 : 제2반원부
1301 : 센서부 1303 : 제어부
1401 : 본체부 1403 : LED모듈
1405 : 조명부 1407 : 제1접점부
1409 : 제2접점부 1411 : LED전구
1413 : 접점 1501 : 본체부
1503 : LED모듈 1505 : 조명부
1507 : 제1접점부 1509 : 제2접점부
1511 : 가변저항부 1513 : 본체
1515 : 가변스위치

Claims (13)

  1. 전면에 거울이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 이동시 LED모듈이 상기 본체부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
    전원부와 상기 LED모듈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단자와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가 접점되어 상기 LED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부; 및
    상기 조명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 이동되는 경우 자기력을 통해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를 사이 간극이 좁혀지도록 위치 가변시키면서 접점시키는 마그네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거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본체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조명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 이동되는 경우 상기 마그네틱부의 자기력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단자와 접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거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조명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일정높이로 상방 이동되는 경우 상기 마그네틱부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단자와 접점되는 메인단자부; 및
    상기 조명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일정높이를 초과하여 상방 이동되는 경우 상기 마그네틱부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단자와 접점되는 보조단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거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조명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하방 이동되는 경우 상기 마그네틱부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제2단자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여 상기 제2단자와 접점해제되로록 하는 접점해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거울.
  5. 전면에 거울이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 이동시 LED모듈이 상기 본체부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되, 광을 출력하는 발광부와, 상기 광이 입력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 이동되는 경우 상기 광이 상기 수광부로 입력되어 전원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전원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LED모듈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거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명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 이동되는 경우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광이 상기 수광부로 입력되도록 상기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거울.
  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조명부가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각도조절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거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광을 미리 설정된 제1각도로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 및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광을 상기 제1각도와 서로 다른 각도인 제2각도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거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조명부가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반사부가 각도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거울.
  10. 전면에 거울이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 이동시 LED모듈이 상기 본체부의 상부로 출현하면서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
    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 이동되는 높이에 따라 상기 LED모듈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조명의 조도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거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제1접점부와, 상기 조명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접점부와 접점됨에 따라 상기 LED모듈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2접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접점부와 상기 제2접점부가 서로 밀착되는 면적 또는 위치에 따라 상기 LED모듈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의 조도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거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부는,
    상기 LED모듈에 구비된 복수개의 LED전구와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접점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거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부와 상기 제2접점부는,
    서로 밀착된 위치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거울.
KR1020180135005A 2018-11-06 2018-11-06 조명이 구비된 거울 KR102131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005A KR102131521B1 (ko) 2018-11-06 2018-11-06 조명이 구비된 거울
KR1020200074332A KR102264372B1 (ko) 2018-11-06 2020-06-18 조명이 구비된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005A KR102131521B1 (ko) 2018-11-06 2018-11-06 조명이 구비된 거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332A Division KR102264372B1 (ko) 2018-11-06 2020-06-18 조명이 구비된 거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996A true KR20200051996A (ko) 2020-05-14
KR102131521B1 KR102131521B1 (ko) 2020-07-07

Family

ID=7073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005A KR102131521B1 (ko) 2018-11-06 2018-11-06 조명이 구비된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5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056B1 (ko) * 1997-11-29 2000-08-16 이광호 다색 변환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구
KR20150004144U (ko) * 2014-05-08 2015-11-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마트 슬라이드 커버 및 그를 갖는 단말기 시스템
CN205597490U (zh) * 2016-03-22 2016-09-28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带自动消毒功能和密码锁的工作桌
KR20160113793A (ko) * 2015-03-23 2016-10-04 손승희 조명장치가 구비된 거울
KR20170015710A (ko) * 2015-07-30 2017-02-09 주식회사 새한텅스텐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056B1 (ko) * 1997-11-29 2000-08-16 이광호 다색 변환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구
KR20150004144U (ko) * 2014-05-08 2015-11-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마트 슬라이드 커버 및 그를 갖는 단말기 시스템
KR20160113793A (ko) * 2015-03-23 2016-10-04 손승희 조명장치가 구비된 거울
KR20170015710A (ko) * 2015-07-30 2017-02-09 주식회사 새한텅스텐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CN205597490U (zh) * 2016-03-22 2016-09-28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带自动消毒功能和密码锁的工作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521B1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0918B2 (en) Toilet with lighted seat hinge
US20180045397A1 (en) Adjustable Focus Light
CN109394057B (zh) 马桶座圈照明装置
US9862303B2 (en) LED lamp with a brightness control device
KR20140092616A (ko) 조명 장치
US10681790B2 (en) Spotlight
KR20150007197A (ko) 머리 부분 전방 조명장치
RU2749315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светильник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геометрической формой светового поля
KR20200074080A (ko) 조명이 구비된 거울
JP2011015892A (ja) 照明付きミラーキャビネット
CN110006008B (zh) 发光装置,用于发光装置的控制单元以及用于运行发光装置的方法
KR102131521B1 (ko) 조명이 구비된 거울
US11619834B2 (en) Illuminated lens frame
JP2013255687A (ja) 照明付き鏡装置
KR102089160B1 (ko) 화장거울
JP5935002B2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
US7481548B2 (en) Portable case
CN207975526U (zh) 一种可调节光照面积的灯
KR101951287B1 (ko) 조명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CN210860891U (zh) 护眼灯具
KR20160123062A (ko) 밝기 및 색상 조절이 가능한 백라이트 방식의 화장거울을 갖는 화장대
KR200436298Y1 (ko) 차량용 화장거울
JP5691018B2 (ja) 照明付器具
KR102142007B1 (ko) 조명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JP6771738B2 (ja) トイレ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