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710A -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710A
KR20170015710A KR1020150108190A KR20150108190A KR20170015710A KR 20170015710 A KR20170015710 A KR 20170015710A KR 1020150108190 A KR1020150108190 A KR 1020150108190A KR 20150108190 A KR20150108190 A KR 20150108190A KR 20170015710 A KR20170015710 A KR 20170015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witch
lighting
lid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한텅스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한텅스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한텅스텐
Priority to KR1020150108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5710A/ko
Publication of KR20170015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3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도구가 구비되도록 오목한 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로 이루어져 개폐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조명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명기구는 전원과, 조명부과, 상기 전원과 조명부를 연결하는 전선과, 상기 전선에 설치되어 전기를 단속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의 회전에 의하여 스위치가 작동되어 조명부가 온-오프되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A Cosmetic Case Having Lighting Unit}
본 발명은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 여는 각도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두운 곳에서 화장을 하거나 거울을 보고자 할 경우 밝은 장소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조명기구가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조명 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는 화장품 케이스는 몸체(100), 광원(110), 전원 공급부(112), 광원 스위치(114)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0)는 2개로 이루어져 각각의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호 개폐관계를 갖는다. 몸체(100)는 제1 케이스(10), 제2 케이스(12)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10)는 내측 일면에 커넥팅 돌기(102)를 갖는다. 제2 케이스(12)는 커넥팅 돌기(102)와 대응되는 위치에 커넥팅 돌기(102)가 삽입되는 커넥팅홈(122)을 갖고, 제1 케이스(10)와 개폐된다. 제1 케이스(10)와 제2 케이스(12)의 일측은 힌지 연결된다. 제1 케이스(10)에는 거울(200)이 장착되며, 제2 케이스(12)에는 화장품과 화장 도구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120)이 형성된다. 거울(200)은 제2 케이스(12)와 대향되는 제1 케이스(10)의 내측면에 장착된다.
광원(110)은 어두운 곳에서 화장에 필요한 조명을 발생하는 등을 말한다. 광원(110)은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1 케이스(10)에 장착된다. 광원(110)은 제1 케이스(10) 내부에 수납되어 거울(200)의 주위에 장착된다. 광원(110)은 거울(200)을 둘러싸는 위치에 장착된다. 제1 케이스(10)는 광원(110)을 덮는 투광창(104)을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12)는 몸체(100)에 구비되어 광원(110)에 전류를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12)로서 리튬전지를 사용된다. 전원 공급부(112)는 수납공간(120) 주변 또는 수납공간(120) 밑면에 구비될 수 있다. 광원 스위치(114)는 스위칭 부재(1142, 1143, 1144), 완충 부재(116)를 포함하며 광원(110)과 전원 공급부(11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광원 스위치(114)는 몸체(100)에 내장되어 몸체(100)의 개폐 동작에 따라 전원 공급부(112)로부터 광원(110)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흐름을 단속한다.
스위칭 부재(1142, 1143, 1144)는 몸체(100)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스위치 접점(1122)에 접하는 면이 간격을 두고 몸체(100)의 일측에 형성한다. 스위칭 부재(1142, 1143, 1144)는 제1 부재(1142), 제2 부재(1144), 제3 부재(1143)를 포함한다. 제1 부재(1142), 제2 부재(1144) 및 제3 부재(1143)는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부재(1142)는 스위치 접점(1122)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스위치 접점(1122)의 상측에 위치된다. 제1 부재(1142)는 비도전체로 형성한다. 제2 부재(1144)는 스위치 접점(1122)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스위치 접점(1122)의 하측에 위치된다. 제2 부재(1144)는 도전체로 형성한다. 제2 부재(1144)는 스위치 접점(1122)과 접하는 표면 위에 도전막(1146)이 위치한다. 도전막(1146)은 금, 은, 백금 및 구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한다. 제2 부재(1144)를 도전체로 형성하거나 도전막(1146)을 제2 부재(1144)에만 구비하여 광원 스위치(114)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부재(1143)는 스위치 접점(1122)의 사이에서 제1 부재(1142)[0034] 와 제2 부재(1144)를 연결한다. 완충부재는 스위칭 부재(1142, 1143, 1144)와 몸체(100)의 일측 사이에 장착한다. 완충 부재(116)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원 스위치(114)는 완충 부재(116)의 복원력으로 스위칭 온(ON)/오프(OFF)되며, 몸체(100)가 열린 상태에서 스위치 접점(1122)과 제2 부재(1144)의 도전막(1146)이 접한다. 그리고 몸체(1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스위치 접점(1122)과 제2 부재(1144)의 도전막(1146)이 이격되고, 스위치 접점(1122)과 제1 부재(1142)가 접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 케이스는 광원의 밝기가 일정하며, 광원이 분산 조사되므로, 필요 이상으로 밝게 하여야 하며, 필요없는 부분까지 조사되므로 전기 소모량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8-0093752호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덮개의 열림 정도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며, 광원이 집중되는 구조이므로 전기 소모량이 절감되는 한편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로 사용할 수 있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장도구가 구비되도록 오목한 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로 이루어져 개폐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조명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명기구는 전원과, 조명부과, 상기 전원과 조명부를 연결하는 전선과, 상기 전선에 설치되어 전기를 단속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의 회전에 의하여 스위치가 작동되어 조명부가 온-오프되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몸체에는 일측방에는 오목한 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에는 힌지에 의하여 상기 힌지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돌기가 구비되어, 덮개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몸체에는 일부가 힌지홈으로 출몰되는 작동부재가 구비되고, 조명기구를 이루는 상기 스위치는 몸체 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힌지돌기의 회전에 의하여 작동부재가 가압되거나 가압 해제되고, 스위치가 작동부재에 의하여 가압되거나 가압 해제되어 조명부가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조명기구는 병렬로 설치된 복수의 저항을 구비하고, 스위치가 복수로 구비되어 병렬로 각 저항에 이웃하게 병렬로 설치되며; 덮개의 회전에 따라 작동부재의 작동에 의하여 스위치가 차례로 가압되거나 가압해제되면서 연결되어, 조명부의 밝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작동부재는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힌지돌기에는 가압돌기부가 복수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가압돌기부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작동부재와 마주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돌기부는 서로 위상차를 가져, 힌지돌기의 회전에 따라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작동부재는 시간차를 가지고 가압되거나 가압해제되며; 복수의 스위치는 각각 작동부재의 내측에 위치하여 작동부재의 운동에 따라 시간차를 가지고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힌지돌기는 단부에 작동부재의 단부와 접촉하는 접촉부가 구비되며, 상기 접촉부는 힌지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지름이 증가하는 부분을 가져, 힌지돌기의 회전에 따라 작동부재의 이동량이 변하며, 복수의 스위치는 본체의 내측에 작동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재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각 스위치에 이웃하는 복수의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가압부의 단부는 스위치와 간격이 다르게 위치하여, 작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시간차를 가지고 각 스위치가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조명기구를 이루는 조명부는 덮개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에는 조명부를 덮는 투과 또는 반투과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는 내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조명기구를 이루는 조명부는 덮개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부는 양면 발광 면광원이며, 조명부의 광은 덮개는 양면으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화장품 케이스는 조명기구가 구비되므로 조명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환경에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덮개의 여는 정도에 따라서 조명 밝기가 조절되며, 집광되는 구조이므로 메이크업 부위의 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조명 회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의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힌지부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의 조명기구 온-오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본체의 일부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에 구비되는 조명기구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9는 도 4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의 다른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덮개 및 본체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의 또 다른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덮개 및 본체의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의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힌지부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의 조명기구 온-오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본체의 일부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에 구비되는 조명기구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9는 도 4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의 다른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덮개 및 본체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의 또 다른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덮개 및 본체의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5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인 힌지의 회전축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고, 도 5의 가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300)는 화장도구(C)가 구비되도록 오목한 홈이 형성된 몸체(320)와 상기 몸체(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310)로 이루어져 개폐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조명기구(350)로 이루어진다. 도 4에서 도면부호 C1은 양측이 결합되어 화장도구(C) 사용시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구비된 파지안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몸체(320)에는 일측방에 오목한 힌지홈(323)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310)에는 힌지(301)에 의하여 상기 힌지홈(323)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돌기(313)가 구비된다. 상기 덮개(310)가 몸체(320)와 마주하여 덮힌 상태로 되고, 덮개(310)의 힌지돌기가 힌지홈(323) 내에서 회전하면서 덮개(310)가 열리게 된다. 몸체(320)와 마주하는 면(이하에서 '정면'이라고 한다)으로 덮개(310)에는 거울(312)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320)에는 화장도구(C)를 사이에 두고 힌지홈(323) 의 반대편에 덮개(310)를 향하여 후크홈(321)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후크홈(321)에 삽입되는 후크(311)를 가압하는 누름버튼(325)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덮개(310)에는 거울(312)을 사이에 두고 힌지돌기(313)의 반대쪽으로 덮힌 상태에서 본체(320)를 향하여 돌출되어 후크홈(321)에 삽입되어 걸리는 후크(311)가 구비된다. 후크(311)의 걸림과 해제 동작은 등록 실용신안 20-0319262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덮개(310)에는 정면에 거울(313) 주위로 거울(313)을 둘러싸도록 커버(354)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354)는 광확산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354)는 거울을 향하여 내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354)가 환형인 경우 거울(313)의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354)의 경사각(θ)은 덮개(310)의 정면에 대하여 예를 들면 5∼20°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354)가 거울(312)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커버(354) 내측으로 덮개(310)에 구비되는 조명부(352)에서 조사된 빛이 집광될 수 있어 메이크업 부위의 조도가 집중적으로 밝게 된다.
상기 본체부에 조명기구(350)가 구비된다. 상기 조명기구(350)는 배터리인 전원(359)과, 복수의 LED램프 등으로 이루어진 조명부(352)과, 상기 전원(359)과 조명부(352)를 연결하는 전선(353)과, 상기 전선(353)에 설치되어 전원으로부터 조명부(352)로 공급되는 전기를 단속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명기구에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저항(355)이 더 구비된다. 스위치(351-1, 351-2)는 복수개 구비되어 각 저항(355)에 이웃하여 병렬로 설치된다.
각 저항(355)의 저항값이 같다고 할 때, 스위치(351-1, 351-2)가 모두 연결되면 전류는 병렬 회로를 흐르게 되어 복합 저항이 감소하여 조명부(352)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가 밝아지게 되고, 스위치(351-1, 351-2)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면 병렬 회로 중 어느 한 회로로만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저항이 커지게 되어 조명부(352)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가 어두워지게 된다.
상기에서 배터리인 전원(359)은 본체(320) 내에 구비되고, 상기 조명부(352)는 덮개(310)에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351-1, 351-2)는 힌지홈(323)에 인접하여 본체(320) 내에 구비된다. 상기 조명부(352)는 직렬 연결된 복수의 LED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OLED나 LED로 이루어진 양면발광 면광원일 수 있다. 상기 조명부(352)는 거울(312) 주위를 따라 덮개(310)에 구비되며, 조명부(312)의 외측으로 커버(354)가 덮개(310)에 구비된다.
상기 본체(320)에는 힌지홈(323)으로 출몰되는 작동부재(331)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재(331)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본체(3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재(331)는 봉 형태로 구비된다. 작동부재(331)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320)에는 이격된 하나 이상의 안내공(3271)이 형성된다. 도 7에서 도면부호 327은 작동부재(331)나 스위치(351-1, 351-2)와 접점되는 전선(353)이 지지되도록 본체(320)에 구비되는 브라켓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작동부재(331)는 힌지돌기(313)가 회전할 때 힌지돌기(313)에 의하여 가압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돌기(313)의 단부에 작동부재(331)와 접촉하여 작동부재(331)를 가압하는 접촉부(3131)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3131)는 반지름이 증가하는 부분을 가진다. 접촉부(3131)는 힌지돌기(313)의 회전 각도가 증가할수록 힌지접촉부(301)의 회전축에 대하여 반지름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20)를 열기 위하여 회전시키면 힌지돌기(313)가 회전하면서 힌지돌기(313)의 단부에 구비된 접촉부(3131)가 작동부재(331)와 접하며(A) 계속 회전시키면 작동부재(331)를 본체(320)의 내측으로 가압하여 작동부재(331)가 내측으로 이동된다. 접촉부(3131)가 반지름이 증가하는 부분을 가짐으로써 힌지돌기(313)의 회전 각도가 커지면 증가된 반지름을 가지는 도 5의 힌지돌기(313) B점에 접하여 작동부재(331)가 가압되어 본체 내측으로 이동되며, 힌지돌기(313)가 더 회전되면 더 증가된 반지름을 가지는 도 5의 힌지돌기(313) C점에서 접하여 작동부재(331)가 더 가압되면서 본체(320) 내측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20) 내측에는 상기 작동부재(331)와 이웃하여 조명기구(350)를 이루는 스위치(351-1, 351-2)가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하여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재(331)는 스위치를 향하여 돌출되어 단부가 스위치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가압부(331-1)를 구비한다. 스위치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가압부(331-1)도 복수로 구비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와 가압부(331-1) 사이의 간격은 서로 다르게 되도록 구비된다.
힌지돌기(313)가 회전하면서 접촉부(3131)가 작동부재(331)를 가압할 때, 작동부재(331)의 가압부(331-1)가 스위치를 가압하여 스위치가 연결되도록 한다. 가압부(331-1)와 스위치 사이의 간격이 작은 스위치(351-1)부터 가압되어 연결되며(도 5 및 도 6의 'B'점에서 접촉), 힌지돌기(313)가 계속 회전하면서 작동부재(313)가 더 가압되면 가압부(331-1)와 스위치 사이의 간격이 큰 스위치(351-2)도 가압되어 연결된다(도 5 및 도 6의 'C'점에서 접촉). 따라서 덮개(310)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조명부(352)의 밝기가 조절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덮개(310)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조명부(352) 밝기가 조절되는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331)는 복수로 구비되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본체(320)에 힌지홈(323)으로 출몰되도록 구비된다.
조명기구(350)를 이루는 복수의 스위치는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본체(320) 내에 구비된다. 각 작동부재(331)의 내측 단부와 마주하여 구비된다. 스위치는 작동부재(331)에 접하여 구비될 수도 있고, 스위치가 작동부재(331)의 단부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덮개(310)의 힌지돌기(313)의 외면에는 복수의 가압부(3133-1, 3133-2)가 외향 돌출 구비된다. 덮개(310)가 닫힌 상태에서 가압부(3133-1, 3133-2)는 작동부재(331)에 접하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구비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압부(3133-1, 3133-2)의 길이 방향 내측 단부의 위치는 위상차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힌지돌기(313)가 회전하면 가압부(3133-1, 3133-2)가 차례로 각 작동부재(331)를 가압하게 된다.
예를 들면, 어느 한 가압부(3133-2)의 단부는 다른 가압부(3133-1)의 단부보다 30° 늦게 시작된다. 따라서 힌지돌기(313)가 회전하면 가압부(3133-1)가 먼저 작동부재(331)를 가압하고, 가압된 작동부재(331)가 내측 단부에 마주한 스위치(351-1)를 가압하여 스위치(351-1)가 연결되어 조명부(352)가 점등된다. 그리고 힌지돌기(313)가 30°더 회전하면, 다른 가압부(3133-2)가 다른 작동부재(331)를 가압하고, 가압된 다른 작동부재(331)가 내측 단부에 마주한 스위치(352-2)를 가압하여 스위치(352-2)연결되어 병렬 회로 전류가 흘러 이미 점등된 조명부(352)의 밝기가 밝아지게 된다.
도 10에서 도면부호 333은 일단은 스위치에 접하고 타단은 본체(320)에 접하여 스위치를 작동부재(331) 쪽으로 가압하여 접점이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작동하는 스프링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프링(333)의 길이 방향 외측에 스위치가 위치하고, 스위치의 길이 방향 외측에 작동부재(331)가 위치한다. 작동부재(331)의 외측 단부는 힌지홈(323)으로 돌출된다. 돌출된 작동부재(331)가 가압부에 의하여 가압되어 내측으로 이동하여 내측 단부에 마주한 스위치를 가압하여 접점이 연결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331)는 복수로 구비되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본체(320)에 힌지홈(323)으로 출몰되도록 구비된다.
조명기구(350)를 이루는 복수의 스위치는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본체(320) 내에 구비된다. 각 작동부재(331)의 내측 단부와 마주하여 구비된다. 스위치는 작동부재(331)에 접하여 구비될 수도 있고, 스위치가 작동부재(331)의 단부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덮개(310)의 힌지돌기(313)에는 복수의 가압부(3133-1, 3133-2)가 외향 돌출 구비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압부(3133-1, 3133-2)의 길이 방향 외측 단부인 가압부(3133-1, 3133-2)의 돌출이 끝나는 위치는 위상차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힌지돌기(313)가 회전하면 가압부(3133-1, 3133-2)로부터 각 작동부재(331)가 차례로 가압 해제된다.
덮개(310)가 닫힌 상태에서 가압부(3133-1, 3133-2)는 작동부재(331)를 가압한 상태가 되도록 구비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압부(3133-1, 3133-2)의 길이 방향 외측 단부인 돌출이 끝나는 위치는 위상차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힌지돌기(313)가 회전하면 가압부(3133-1, 3133-2)에 의한 각 작동부재(331)의 가압이 차례대로 해제된다.
예를 들면, 어느 한 가압부(3133-2)의 외측 단부인 끝나는 위치는 다른 가압부(3133-1)의 외측 단부인 끝나는 위치보다 30° 더 연장된다. 따라서 힌지돌기(313)가 회전하면 가압부(3133-1)에 의한 작동부재(331)의 가압이 먼저 해제되고, 가압 해제된 작동부재(331)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내측 단부에 마주한 스위치(351-1)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스위치(351-1)가 연결되어 조명부(352)가 점등된다. 그리고 힌지돌기(313)가 30°더 회전하면, 다른 가압부(3133-2)에 의한 다른 작동부재(331)의 가압이 해제되고, 가압된 다른 작동부재(331)가 내측 단부에 마주한 스위치(352-2)의 가압이 해제되어 스위치(352-2)가 연결되고 병렬 회로 전류가 흘러 이미 점등된 조명부(352)의 밝기가 밝아지게 된다.
도 12에서 도면부호 333은 일단은 스위치에 접하고 타단은 본체(320)에 접하여 스위치를 작동부재(331) 쪽으로 가압하여 접점이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작동하는 스프링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프링(333)의 길이 방향 외측에 스위치가 위치하고, 스위치의 길이 방향 외측에 작동부재(331)가 위치한다. 작동부재(331)의 외측 단부는 가압부에 의하여 내측으로 가압된 상태이며(스프링이 압축된 상태), 스위치는 작동부재(331) 내측 단부에 의하여 가압되어 내향 이동되어 스위치의 접점이 분리된 상태로 구비된다. 가압된 작동부재(331)에 대한 가압부의 가압이 해제되면, 스프링(333)의 복원력에 의하여 스프링이 외측으로 이동되어 스위치의 접점이 연결된다.
300: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310: 덮개
320: 본체 350: 조명기구

Claims (7)

  1. 화장도구가 구비되도록 오목한 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로 이루어져 개폐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조명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명기구는 전원과, 조명부과, 상기 전원과 조명부를 연결하는 전선과, 상기 전선에 설치되어 전기를 단속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의 회전에 의하여 스위치가 작동되어 조명부가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일측방에는 오목한 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에는 힌지에 의하여 상기 힌지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돌기가 구비되어, 덮개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몸체에는 일부가 힌지홈으로 출몰되는 작동부재가 구비되고, 조명기구를 이루는 상기 스위치는 몸체 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힌지돌기의 회전에 의하여 작동부재가 가압되거나 가압 해제되고, 스위치가 작동부재에 의하여 가압되거나 가압 해제되어 조명부가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는 병렬로 설치된 복수의 저항을 구비하고, 스위치가 복수로 구비되어 병렬로 각 저항에 이웃하게 병렬로 설치되며; 덮개의 회전에 따라 작동부재의 작동에 의하여 스위치가 차례로 가압되거나 가압해제되면서 연결되어, 조명부의 밝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힌지돌기에는 가압돌기부가 복수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가압돌기부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작동부재와 마주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돌기부는 서로 위상차를 가져, 힌지돌기의 회전에 따라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작동부재는 시간차를 가지고 가압되거나 가압해제되며; 복수의 스위치는 각각 작동부재의 내측에 위치하여 작동부재의 운동에 따라 시간차를 가지고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돌기는 단부에 작동부재의 단부와 접촉하는 접촉부가 구비되며, 상기 접촉부는 힌지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지름이 증가하는 부분을 가져, 힌지돌기의 회전에 따라 작동부재의 이동량이 변하며, 복수의 스위치는 본체의 내측에 작동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재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각 스위치에 이웃하는 복수의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접촉부의 단부는 스위치와 간격이 다르게 위치하여, 작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시간차를 가지고 각 스위치가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를 이루는 조명부는 덮개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에는 조명부를 덮는 투과 또는 반투과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는 내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7.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를 이루는 조명부는 덮개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부는 양면 발광 면광원이며, 조명부의 광은 덮개는 양면으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KR1020150108190A 2015-07-30 2015-07-30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KR20170015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190A KR20170015710A (ko) 2015-07-30 2015-07-30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190A KR20170015710A (ko) 2015-07-30 2015-07-30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710A true KR20170015710A (ko) 2017-02-09

Family

ID=58154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190A KR20170015710A (ko) 2015-07-30 2015-07-30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57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996A (ko) * 2018-11-06 2020-05-14 손승희 조명이 구비된 거울
KR20200074080A (ko) * 2018-11-06 2020-06-24 손승희 조명이 구비된 거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3752A (ko) 2007-04-18 2008-10-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3752A (ko) 2007-04-18 2008-10-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996A (ko) * 2018-11-06 2020-05-14 손승희 조명이 구비된 거울
KR20200074080A (ko) * 2018-11-06 2020-06-24 손승희 조명이 구비된 거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1358B2 (en) Wall switch with nightlight
KR101903005B1 (ko) 조명레일용 라인 타입 조명장치
JP2006306305A (ja) 車両用室内灯
US10652968B2 (en) Light adjusting device
US8833963B2 (en) Flashlight with a battery cartridge
US8882343B1 (en) Timer assembly with lighting features
US6971762B2 (en) Dual mode switch mechanism for flashlights
US20160018070A1 (en) Compact lighting device
US6984054B2 (en) Articulated portable lamp fixture
KR20170015710A (ko) 조명기구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KR101322612B1 (ko) 화장품 케이스
US10357096B2 (en) Pocket mirror
JP2007055551A (ja) 車両用室内灯
CN108202662A (zh) 用于机动车的发光杆
KR20170088593A (ko) 승강기용 버튼구조체
US7481548B2 (en) Portable case
US20090080183A1 (en) Flashlight switch
US8376571B2 (en) Emergency switch for a flashlight
US20070091593A1 (en) Positionable flashlight with dual light sources
KR200175446Y1 (ko) 발광장치가 구비된 화장품케이스
NL8304203A (nl) Handbedieningselement voor een regeldrijving aan een motorvoertuig.
CN102927533A (zh) 无影灯
KR101611940B1 (ko) 전등
US20080121505A1 (en) Switch apparatus
KR101547274B1 (ko) Led 토치라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