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1304A - 나노 다이아몬드의 리포좀 제형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노 다이아몬드의 리포좀 제형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1304A
KR20200051304A KR1020180134504A KR20180134504A KR20200051304A KR 20200051304 A KR20200051304 A KR 20200051304A KR 1020180134504 A KR1020180134504 A KR 1020180134504A KR 20180134504 A KR20180134504 A KR 20180134504A KR 20200051304 A KR20200051304 A KR 20200051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hair loss
hair growt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665B1 (ko
Inventor
이강현
이기학
Original Assignee
이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현 filed Critical 이강현
Priority to KR1020180134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6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5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7Compounds covalently linked to a(n inert) carrier molecule, e.g. conjugates, pro-fragrances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실험에서 발모 촉진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된 다이아몬드 나노 분말이 첨가된 리포좀 제형에 함유된 한련초의 마유에 의한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나노 다이아몬드의 리포좀 제형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Hair Growth Stimulation or Hair Loss Prevention Using Liposome Formulation of Nano Diamond}
본 발명은 나노 다이아몬드의 리포좀 제형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모낭(hair follicles)에서 형성되는데 성인의 모낭은 약 5백만 개로 사람의 피부 중 손바닥과 바다박을 제외한 전신에 걸쳐 분포하여 있고, 두부에 1백만 개가 존재하며, 이 중 십만 개가 두피에 존재한다(Bulletin of Food Technology 2009, 22(4):651-663). 두피 모발은 인체 모발의 약 20%를 차지하는데, 땀의 증발과 체온 조절 등의 모발의 생리적 기능과 함께 두부의 완충작용으로 두부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며, 외모를 중시하는 현대인의 경향에 의하여 개인의 개성과 이미지 연출에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아울러 가진다(Clin Dermatol 2001, 19(2):161-166).
개개의 모발은 모낭에 기원을 두어 성장하는데, 모낭은 매우 복잡한 기관으로 내모근초, 외모근초, 모간, 모기질세포 등으로 구성되며, 모낭을 형성하는 다양한 종류의 세포들 중 모유두세포(Hair dermal papilla cell)는 모발 성장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모구(Hair bulb) 내에서 특화된 섬유아세포(Dermal fibroblast)의 일종인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는 정상 모발 주기뿐만 아니라 남성형 탈모인 안드로겐(Androgen)성 탈모와 같은 증상에서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통하여 모발 성장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모발 탈락에서 모유두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탈모를 개선시키기 위한 중요한 표적이 된다.
모발은 생장기, 퇴행기 및 휴지기의 성장 주기를 반복하는데, 성인의 경우 두피 모발의 생장기는 약 2 ∼ 6년, 퇴행기는 2~3주, 휴지기는 2~3개월이다. 정상적인 두피에서 90~95%는 생장기에 있고 1% 미만은 퇴화기에 있으며 5~10%는 휴지기에 있는데, 매일 100개 이상의 모발이 휴지기에 접어들고 같은 수의 모낭은 다시 생장기로 들어간다(N Engl J Med 1999, 341(13):964-973).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의 모발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가 길어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이 탈락하는 숫자가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Differentiation, 2004, 72(9-10):489; Dev Cell., 2001, 1(1):13; J. Invest. Dermatol., 2005, 125(1):42).
발모 및 탈모의 정확한 기전은 현재까지 완전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탈모유발 원인으로 남성호르몬 관여에 의한 모포 기능의 저하, 모포 및 모구부의 신진대사기능의 저하, 두피 긴장에 의한 국소 혈류 장해, 영양 불량, 스트레스, 약물에 의한 부작용, 유전적 요인, 자가 면역, 국소감염, 화학물질, 백혈병, 결핵 등의 질병과 모발 제품의 남용 등 매우 다양하다. 탈모의 가장 전형적인 형태인 남성형 탈모증(androgen alopecia)의 경우 유전적으로 안드로겐(androgen) 호르몬에 의존적으로 발생하는데 포유류의 대표적인 안드로겐 호르몬에는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이 있는데 탈모 증상을 지니는 사람에게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이 생체내에서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음이 보고 되어 있고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과다 생성이 탈모의 주요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Biol. Pharm. Bull., 2006 29(2):392).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은 제2형 5α-리덕타아제에 의해 테스토스테론이라는 남성 호르몬으로부터 생겨나는 또 다른 남성 호르몬이다.
종래의 탈모증 치료방법으로는, 이러한 호르몬설과 관련하여 여성 호르몬을 주재로 한 제제가 있었으나 효과뿐 아니라 피부 염증 발생, 호르몬 투여에 의한 부작용 발생 등의 보고가 있어 현재는 사용이 중단되어 있다. 현재 탈모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물로는 제2형 5α-리덕타제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물질로 미녹시딜(Minoxidil) 제제(미국특허 제4,139,619호 및 제4,596,812호 참조)과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미국 특허 제5547957호, 제5760046호 또는 대한민국 특허 제375083호)를 들 수 있다. 미녹시딜 제제는 탈모증이 있는 남성에게서 10%까지 탈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가마 부위 이외 부위의 탈모에 대해서는 그다지 좋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고 또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피나스테라이드 역시 일부 환자들에 대해서는 성욕 감퇴, 발기 부전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최근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에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 활성을 갖는 물질을 찾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한련초(Eclipta prostrata)의 마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활용하되, 나노 다이아몬드의 리포좀 제형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련초(Eclipta prostrata)의 마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활용하되, 나노 다이아몬드의 리포좀 제형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한련초의 마유에 의한 추출물을, 다이아몬드 분말이 첨가된 리포좀 제형으로 제작하고 이를 시료로 사용한 동물실험에서 발모 촉진 효과를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은 다이몬드 분말이 첨가된 리포좀 제형에 한련초의 마유에 의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한련초의 마유에 의한 추출물"은 추출 대상인 한련초를 추출 용매인 마유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말한다. 이때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아래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저온 진공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탈모"란 그 발생의 직·간접적인 원인을 불문하고 당업계에서 탈모로서 분류되는 모든 증상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혈액 순환 불량,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과다 생성 등에 따른 피지 과잉 분비, 과산화물 또는 세균 등에 의한 두피 기능 저하, 노화, 유전적 요인, 스트레스, 이들의 복합적인 작용 등에 의한 탈모 증상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리포좀 제형은 물이 포함된 수상부와, 유성성분, 인지질 및 보조 유화제가 포함된 유상부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상부는 상기 리포좀을 만드는 데 있어 연속상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물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메틸파라벤(methylparaben)과 같은 방부제도 상기 수상부에 포함되어질 수 있다. 이때 물은 리포좀 조성물(즉 수상부와 유상부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해 30~8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물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 유화가 잘 되지 않을 수 있고, 80 중량% 초과시에는 입자 밀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서처럼, 상기 수상부는 다이아몬드 나노 분말을 리포좀 조성물(즉 수상부와 유상부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0.5 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는 한련초에 의한 마유 추출물 자체를 실험동물에 도포하거나 다이아몬드 나노 분말이 함유되지 아니한 리포좀 제형으로 도포할 경우 발모 촉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다이아몬드 나노 분말이 함유된 리포좀 제형으로 도포할 경우 발모 촉진 효과를 보였다.
수상부는 아래의 실시예에처럼 피부 보습 효과를 위해서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유상부는 오일 성분과 인지질 그리고 보조 유화제로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리포좀 제형에서 오일 성분은 한련초에 의한 마유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이 한련초의 마유에 의한 추출물은 한련초 전초 건조 분말에 마유를 5배 중량 가하고 저온 진공 조건에서 방치하여 한련초 성분을 추출한 후 고형분을 제거하여 얻어진 것이다. 이 한련초의 마유에 의한 추출물은 리포좀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중량% 내지 30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유상부에서 인지질은 난황 레시틴, 대두 레시틴, 스핑고마이엘린과 같은 천연 인지질이나, 디팔미토일포스타티딜콜린, 수첨 레시틴과 같은 합성 인지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대두 레시틴이 바람직하다. 레시틴의 친양쪽성 분자구조로 인해 유화제로서 지용성인 활성 성분을 유화시킬 수 있다. 특히, 불포화 레시틴은 피부 친화력과 침투력이 우수하고, 상대적으로 더 유연하고 변형이 용이하므로, 본 발명의 인지질로서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지질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해 1~20 중량%임이 바람직하다.
또 유상부는 보조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유화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알킬아실글루타메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알킬락틸레이트, 디알킬포스페이트 및 트리알킬포스페이트 등을 포함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알콕시레이티드알킬에테르, 알콕시레이티드알킬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에스테르 및 슈가에스테르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아래의 실시예에처럼 천연 유화제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 유화제는 아래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OLIVOIL AVENATE EMULSIFIER®(Kalichem)를 포함하여 다양한 것이 시중에 시판되고 있으나 시판되는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조 유화제는 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1-5 중량%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리포좀의 제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고압유화기에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고압유화기에 의한 리포좀의 제조는 원하는 입자 크기에 따라 다양한 조건(예: 압력, 횟수 등)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0-25,000bar 압력 하에서 1-5회 고압유화기를 통과하도록 하여 나노리포좀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성상,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발모 촉진 활성, 탈모 방지 활성 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1 중량 % 내지 15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그 적용 대상인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사람에게 의료 전문가 등의 제언에 의한 투여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될 때, 의도한 발모 촉진 효과나 탈모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법률상·기능상의 구분에 있어서 제조·유통 시점의 관련 시행 법규에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다. 예컨대 약사법에 따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품이거나 의약품일 경우 일반의약품 또는 전문의약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 비강 흡입제 및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할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멸균수, 에탄올, 글리세롤이나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좌제로 제제화할 경우 그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화와 관련하여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 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환자의 중증도, 투여 경로에 따라 1일 0.001mg/kg ~ 10g/kg 범위, 바람직하게는 0.001mg/kg ~ 1g/kg 범위일 수 있다. 투여는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모발 또는 두피에 외용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모발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에도 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샴푸,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등의 제품 형태를 띨 수 있다. 구체적인 제품 형태에 있어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계면활성제, 비타민, 색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는데,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이아몬드 나노 분말이 첨가되어 리포좀 제형으로 제조된 한련초의 마유에 의한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품, 모발 화장품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도 1은 실험동물의 각 군별 체중 변화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험동물의 각 군별 모발 score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험동물의 각 군별 모발 면적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시료의 준비
(1) 한련초의 마유에 의한 추출물
한련초(Eclipta prostrata) 전초 건조 분말에 5배 중량의 제주산 마유를 첨가하고 저온 진공 건조기를 이용하여 40℃에서 40torr의 압력으로 4시간 추출하고 고형분을 제거하여 시료("한련초 마유 인퓨즈드 오일")를 준비하였다.
(2) 리포좀 제형의 제조
상기 추출물을 리포좀 제형으로 제조하였다.
리포좀 제형의 제조는 90℃까지 가온된 아래 표 1의 수상 성분의 혼합물에, 마찬가지로 90℃까지 가온된 아래 표 1의 유상 성분의 혼합물을 혼합하고 3,000rpm에서 20분간 교반한 후 고압유화기(microfluidizer)로 25,000 bar에서 연속 3회 통과시킨 후 냉각, 탈포시켜 한련초의 마유에 의한 추출물이 함유된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리포좀 성분 및 함량(중량%)
구분 성분명 리포좀 A 리포좀 B
수상
정제수 잔량 잔량
1,3 부틸렌 글리콜 20.0 20.0
유상


한련초의 마유 추출물 25.0 25.0
대두 레시틴 2.5 2.5
천연 보조 유화제 1.5 1.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3.0
첨가제 다이아몬드 나노 분말 - 0.2
* 천연 유화제는 OLIVOIL AVENATE EMULSIFIER®(Kalichem)
* 다이아몬드 나노 분말은 입자 크기가 100nm 이하의 것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정제수에 넣어 사용하였음.
* 토코페릴아세테이트는 항산화제로서 사용되었음.
<실험예>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 효과 동물실험
< 실험예 1 > 실험방법
1. 시험계
(1) 동물정보
실험동물의 구체적 정보는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2) 검역 및 순화
동물은 입수 후 6 일간 시험을 실시하는 동물실내에서 순화하였고, 매일 1 회 이상 일반증상을 관찰하였다. 동물 공급처에서 제공한 시험계의 병원체 검사 성적서를 검토한 결과, 시험에 영향을 줄만한 요인은 없었다.
(3) 식별
동물은 순화기간에는 적색 유성 매직을 이용한 미부표식법을 사용하여 식별하였고, 투여 및 관찰기간에는 흑색 유성매직을 사용하여 식별하였다. 사육상자에는 색으로 용량을 구별하는 개체식별카드를 부착하였고, 사육상자대는 고유번호를 부여하였다. 사육실 입구에는 동물실 사용기록지를 부착하였다.
(4) 실험동물 윤리규정
경기바이오센터의 실험동물운영위원회에 의해 승인되었다(일련번호: 2016-08-0008).
2. 사육환경
(1) 환경조건 및 측정
동물은 온도 23 ± 3 ℃, 상대습도 55 ± 15 %, 환기횟수 10-20 회/hr, 조명시간 12 시간(오전 8 시 점등-오후 8 시 소등) 및 조도 150-300 Lux로 유지되는 경기바이오센터 동물사육구역 3 호실에서 사육하였다. 온도와 상대습도는 매시간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환기횟수 및 조도는 정기적으로 측정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시험 결과에 영향을 줄만한 이상은 없었다.
(2) 사료, 물 및 오염물질 검사
사료는 순화기간 동안에 Teklad certified irradiated global 18 % protein rodent diet (2918C, ENVIGO, UK)를 ㈜두열바이오텍(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천로 17 길 14 두열빌딩)에서 납품 받아 자유섭취 하도록 하였다.
물은 자외선 살균기 및 미세여과장치로 소독한 상수도수를 폴리카보네이트제 음수병에 넣고 자유섭취 하도록 하였다. 수질검사는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파장천로 95)에서 수행하였고, 먹는물 수질기준에 적합하였다.
(3) 사육상자 및 사육밀도
스테인레스망 사육상자(W 165 x L 240 x H 145 mm)에서 검역,순화, 투여 및 관찰기간에 1마리/사육상자로 수용하였다.
(4) 사육관리
사육상자 및 물병은 주 1 회 이상 교환하였다.
3. 시험군 구성, 투여량 설정, 군분리 및 투여
(1) 시료 및 시험군 구성
동물실험 시료는 상기 한련초의 마유에 의한 추출물의 리포좀 제형을 이용하였다.
시험군의 구성을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2) 군 분리
동물의 군분리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제모하여 제모부위가 선홍색이며 상처가 없는 동물을 선별하여 체중을 측정하였다. 평균체중에 가까운 동물들을 필요한 수만큼 선택하였다. 선택한 동물들은 순위화한 체중에 따라 각 군의 평균체중이 최대한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무작위법으로 분배하였다.
(3) 투여
투여 경로, 투여 횟수 등을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4. 관찰 및 검사
(1) 일반증상
투여 및 관찰기간 동안 사망여부, 일반증상의 종류, 발현일 및 증상의 정도를 1 일 1 회 관찰하고, 개체별로 기록하였다. 일반증상이 악화된 개체는 격리하고, 빈사동물 및 사망동물은 계획부검 동물에 준하여 처리하였다. 투여개시일은 Day 1으로 하였다.
(2) 체중
입수 시, 군분리 시, 투여개시 시, 그 이후에는 주 1 회 측정하였다.
(3) 제모
1) 동물입수 후 동물을 졸레틸 1 mg/kg과 럼푼을 4:1 (v/v) 비율로 섞어 1 mL/kg으로 복강투여하여 마취하였다.
2) 제모할 동물의 등부위를 제모기를 이용하여 1 차적으로 제모한 다음 제모제를 등부위에 골고루 도포하였다.
3) 대략 5 분 경과 후 도포부위를 멸균주사용수를 묻힌 거즈를 이용하여 깨끗이 닦아내었다.
4) 털이 제거된 동물의 등부위 피부색깔이 선홍색인 동물만을 군분리에 이용하였다.
(4) 모발 scoring, 모발면적 측정 및 사진촬영
모발 scoring, 모발면적 측정 및 사진촬영은 제모당일 및 시험물질 투여 후 3, 7, 10, 12, 13 및 부검일에 (총 7 회) 측정하였다. 모발이 자라나는 면적(%)을 측정하여 판정하며, 촬영된 사진은 Image 분석프로그램(Image pro. 6.3)을 이용하여 모발이 자라난 면적을 산출하였다.
발모 Scoring은 아래 표 5에 의해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4
4. 통계 분석
측정결과는 SPSS statistics 22 for medical science를 사용하여, 모수적인 비교는 Student't-test 및 LSD test를 무처치군과 시험물질투여군간의 비교 및 무처치군과 대조물질투여군간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비모수적인 다중비교(nonparametric multiple comparison procedures)는 Kruskal-wallis test를 이용하여 그룹간 차이의 유무를 확인하였고, 무처치군과 시험물질투여군과의 비교 및 무처치군과 대조물질투여군과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통계의 유의성은 P<0.05인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3> 실험 결과
1. 사망동물
시험기간 동안 사망은 관찰되지 않았다.
2. 일반증상
실험기간 동안 시험물질에 의한 이상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3. 체중변화
체중변화에 대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체중변화에서 시험물질 투여와 관련한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양성대조물질 마이녹실 3% 투여군(G5)은 무처치군(G1)에 비해 Day 8 및 15 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체중증가가 관찰되었다(P<0.01).
4. 모발 Score
모발 score 측정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무처치군(G1)과 비교하였을 때 Day 13 이후 시험물질인 리포좀 B 제형 투여군(G4)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P<0.05). 양성대조물질 마이녹실 3% 투여군(G5)도 Day 13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P<0.01).
5. 모발면적 측정
모발면적 측정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무처치군(G1)과 비교하였을 때 Day 12 및13에 시험물질인 리포좀 B 제형 투여군(G4)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P<0.05). 양성대조물질 마이녹실 3% 투여군(G5)도 Day 12 및 13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P<0.01).

Claims (4)

  1. 다이아몬드 나노 분말이 첨가된 리포좀 제형에 함유된 한련초의 마유에 의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 제형은, 다이아몬드 나노 분말이 포함된 수상부와, 한련초의 마유에 의한 추출물과 인지질 그리고 보조 유화제가 포함된 혼합물을 유화시켜 제조된 것으로서, 상기 다이아몬드 나노 분말은 상기 혼합물 총 중량 기준 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KR1020180134504A 2018-11-05 2018-11-05 나노 다이아몬드의 리포좀 제형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KR102188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504A KR102188665B1 (ko) 2018-11-05 2018-11-05 나노 다이아몬드의 리포좀 제형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504A KR102188665B1 (ko) 2018-11-05 2018-11-05 나노 다이아몬드의 리포좀 제형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304A true KR20200051304A (ko) 2020-05-13
KR102188665B1 KR102188665B1 (ko) 2020-12-08

Family

ID=70730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504A KR102188665B1 (ko) 2018-11-05 2018-11-05 나노 다이아몬드의 리포좀 제형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6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461B1 (ko) 2023-08-01 2024-03-12 (주)지에프씨생명과학 경피흡수율이 우수한 모발 성장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417A (ko) * 2015-02-12 2016-08-2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운반체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132295A (ko) * 2015-05-08 2016-11-17 나노리소스 주식회사 생리활성물질-나노다이아몬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21435A (ko) * 2016-08-22 2018-03-05 이강현 한련초의 마유에 의한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417A (ko) * 2015-02-12 2016-08-2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운반체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132295A (ko) * 2015-05-08 2016-11-17 나노리소스 주식회사 생리활성물질-나노다이아몬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21435A (ko) * 2016-08-22 2018-03-05 이강현 한련초의 마유에 의한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665B1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9370B2 (en) Use of composition comprising stem cell-derived exosome as effective ingredient in strengthening skin barrier and improving skin barrier function
EP3662891A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US11612629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diseases,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889793B1 (ko) 수산동물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733065B1 (ko) 데칸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88665B1 (ko) 나노 다이아몬드의 리포좀 제형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WO2016056781A1 (ko) 알파인 웜우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JP5819209B2 (ja) 幹細胞から褐色脂肪細胞への分化促進剤
KR101541470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WO201605678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551891B1 (ko) 섬오가피 및 문주란의 혼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EP4112037A1 (en) Oxygen gas sustained released nano-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80094820A (ko)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49957B1 (ko) 진토닌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0077093A2 (ko) 에리스로포이에틴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0788608B1 (ko)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273027B1 (ko)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및항비만용 조성물
US20120034260A1 (en) Elastase inhibitor
KR101997336B1 (ko) 에틸바닐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력강화, 근육증강, 근육분화, 근육재생 또는 근감소증 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0928378B1 (ko) 노랑하늘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102591604B1 (ko) 코나루스 세미데칸드러스 잭.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20539A (ko) 밤송이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용 조성물
JP2019094357A (ja) 時計遺伝子発現促進用組成物
GB2572322A (en) A hair treatment composition
KR20120075766A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