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086A -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086A
KR20200050086A KR1020180132484A KR20180132484A KR20200050086A KR 20200050086 A KR20200050086 A KR 20200050086A KR 1020180132484 A KR1020180132484 A KR 1020180132484A KR 20180132484 A KR20180132484 A KR 20180132484A KR 20200050086 A KR20200050086 A KR 20200050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battery
discharge
value
battery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2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0086A/ko
Publication of KR20200050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진 복수의 배터리 랙; 복수의 배터리 랙에 각각 연결되고, 전력 계통에 연결된 전력 변환 시스템과 연결된 복수의 연결 스위치; 및 전력 변환 시스템 및 복수의 연결 스위치와 연결되고, 전력 계통의 충방전 전력 요구량에 대응하여 충방전시키기 위한 충방전 전류량을 산출하며,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을 기초로 복수의 배터리 랙과 복수의 연결 스위치중 수명 향상 조건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을 선택적으로 충방전시키기 위한 해당 연결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Battery rack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전력 계통의 잉여 전력을 배터리 랙에 저장하거나, 전력 계통의 부족 전력을 배터리 랙에서 공급하였다.
일예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KR 2017-0036330(2017.04.0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잦은 충방전 횟수를 줄여 배터리 랙의 장수명을 달성하고, 충전 상태를 소정의 충전 대역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제어하여 배터리 랙의 방치 수명을 관리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그런데, 종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배터리 랙의 수명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KR 2017-0036330(2017.04.03)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배터리 랙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진 복수의 배터리 랙; 복수의 배터리 랙에 각각 연결되고, 전력 계통에 연결된 전력 변환 시스템과 연결된 복수의 연결 스위치; 및 전력 변환 시스템 및 복수의 연결 스위치와 연결되고, 전력 계통의 충방전 전력 요구량에 대응하여 충방전시키기 위한 충방전 전류량을 산출하며,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을 기초로 복수의 배터리 랙과 복수의 연결 스위치중 수명 향상 조건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을 선택적으로 충방전시키기 위한 해당 연결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명 향상 조건은,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을 복수의 배터리 랙의 총용량대비 1시간 동안 수행시키기 위한 속도값을 포함하고; 제어부는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복수의 배터리 랙의 총용량대비 1시간 동안 수행시키기 위한 속도값보다 낮은 상태에서 출력되면,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복수의 배터리 랙의 총용량대비 1시간 동안 수행시키기 위한 속도값에 가까운 상태에서 출력되도록 복수의 배터리 랙의 총용량대비 1시간 동안 수행시키기 위한 속도값에 가까운 상태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과 대응하는 해당 연결 스위치를 결정하고;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복수의 배터리 랙의 총용량대비 1시간 동안 수행시키기 위한 속도값보다 높은 상태에서 출력되면, 복수의 배터리 랙에 대응하는 복수의 연결 스위치를 모두 결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명 향상 조건은 충방전 구간을 포함하고; 제어부는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충방전 구간중 충방전 100% ~ 50% 구간보다 낮은 구간에서 출력되도록 충방전 100% ~ 50% 구간보다 낮은 구간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과 대응하는 해당 연결 스위치를 결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충방전 100% ~ 50% 구간보다 낮은 구간은 충방전 75% ~ 25% 구간과, 충방전 50% ~ 0% 구간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명 향상 조건은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범위값을 포함하고; 제어부는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범위값중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100%값보다 낮은 값에서 출력되도록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100%값보다 낮은 값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과 대응하는 해당 연결 스위치를 결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100%값보다 낮은 값은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50%값과,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20%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 랙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어부의 수명 향상 조건중 1C-rate값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의 수명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어부의 수명 향상 조건중 충방전 구간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의 수명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어부의 수명 향상 조건중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범위값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의 수명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의 배터리 랙 관리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의 배터리 랙 관리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어부의 수명 향상 조건중 1C-rate값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의 수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어부의 수명 향상 조건중 충방전 구간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의 수명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어부의 수명 향상 조건중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범위값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의 수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배터리 랙(rack)(B1, B2, B3, …, BN)과 전력 변환 시스템(Power Conversion system)(102) 및 복수의 연결 스위치(SW1, SW2, SW3, …, SWN)와 제어부(104)를 포함한다.
복수의 배터리 랙(B1, B2, B3, …, BN)은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고, 전력 변환 시스템(102)은 전력 계통(A)에 연결된다.
여기서, 복수의 배터리 랙(B1, B2, B3, …, BN)은 리튬 이온 배터리 랙일 수가 있다.
이때, 전력 변환 시스템(102)은 전력 계통(A)의 교류 전압을 정류하고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인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복수의 연결 스위치(SW1, SW2, SW3, …, SWN)는 복수의 배터리 랙(B1, B2, B3, …, BN)에 각각 연결되고, 전력 계통(A)에 연결된 전력 변환 시스템(102)과 연결된다.
이때, 복수의 연결 스위치(SW1, SW2, SW3, …, SWN)는 스위칭 손실율과 소비 전력을 고려하여 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GTO(Gate Turn-Off) thyristor, MCT(MOS Controlled Thyristor), SCR Thyristo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Thyristor), 기계식 릴레이 스위치, 전자식 릴레이 스위치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어부(104)는 전력 변환 시스템(102) 및 복수의 연결 스위치(SW1, SW2, SW3, …, SWN)와 연결되고, 전력 계통(A)의 충방전 전력 요구량에 대응하여 충방전시키기 위한 충방전 전류량을 산출한다.
이때, 제어부(1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력 센서(미도시)에서 감지한 전력 계통(A)의 충방전 전력 요구량을 공급받을 수가 있다.
또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106)은 전력 계통(A)의 충방전 전력 요구량을 더 출력할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104)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106)으로부터 전력 계통(A)의 충방전 전력 요구량에 대응하는 지령을 공급받을 수가 있다.
여기서, 에너지 관리 시스템(106)은 에너지원을 통신망과 연계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분석하고, 전력 계통(A)의 충방전 전력 요구량에 대응하는 지령을 출력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04)는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을 기초로 복수의 배터리 랙(B1, B2, B3, …, BN)과 복수의 연결 스위치(SW1, SW2, SW3, …, SWN)중 수명 향상 조건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B1, B2, B3, …, BN중 적어도 하나)을 선택적으로 충방전시키기 위한 해당 연결 스위치(SW1, SW2, SW3, …, SWN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결정한다.
일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명 향상 조건은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을 복수의 배터리 랙(B1, B2, B3, …, BN)의 총용량대비 1시간 동안 수행시키기 위한 속도값인 1C-rate값(C)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4)는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복수의 배터리 랙(B1, B2, B3, …, BN)의 총용량대비 1시간 동안 수행시키기 위한 속도값인 1C-rate값(C)보다 낮은 상태에서 출력되면,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복수의 배터리 랙(B1, B2, B3, …, BN)의 총용량대비 1시간 동안 수행시키기 위한 속도값인 1C-rate값(C)에 가까운 상태에서 출력되도록 복수의 배터리 랙(B1, B2, B3, …, BN)의 총용량대비 1시간 동안 수행시키기 위한 속도값인 1C-rate값(C)에 가까운 상태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B1, B2, B3, …, BN중 적어도 하나)과 대응하는 해당 연결 스위치(SW1, SW2, SW3, …, SWN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가 있다.
이러한, 1C-rate값(C)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터리 랙(B1, B2, B3, …, BN)의 총용량대비 0.1시간 동안 수행시키기 위한 속도값인 0.1C-rate값(C1)과 복수의 배터리 랙(B1, B2, B3, …, BN)의 총용량대비 0.33시간 동안 수행시키기 위한 속도값인 0.33C-rate값(C2) 및 복수의 배터리 랙(B1, B2, B3, …, BN)의 총용량대비 0.5시간 동안 수행시키기 위한 속도값인 0.5C-rate값(C3)보다 배터리 랙의 수명에 해당하는 싸이클(cycles)이 향상됨을 알 수가 있다.
반면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4)는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복수의 배터리 랙(B1, B2, B3, …, BN)의 총용량대비 1시간 동안 수행시키기 위한 속도값인 1C-rate값(C)보다 높은 상태에서 출력되면, 복수의 배터리 랙(B1, B2, B3, …, BN)에 대응하는 복수의 연결 스위치(SW1, SW2, SW3, …, SWN)를 모두 결정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명 향상 조건은 충방전 구간(D1, D21, D22)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4)는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충방전 구간(D1, D21, D22)중 충방전 100% ~ 50% 구간(D1)보다 낮은 구간(D21, D22)에서 출력되도록 충방전 100% ~ 50% 구간(D1)보다 낮은 구간(D21, D22)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B1, B2, B3, …, BN중 적어도 하나)과 대응하는 해당 연결 스위치(SW1, SW2, SW3, …, SWN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가 있다.
여기서, 충방전 100% ~ 50% 구간(D1)보다 낮은 구간(D21, D22)은 충방전 75% ~ 25% 구간(D21)과, 충방전 50% ~ 0% 구간(D22)일 수가 있다.
이러한, 충방전 75% ~ 25% 구간(D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방전 100% ~ 50% 구간(D1)보다 배터리 랙의 수명에 해당하는 싸이클(cycles)이 향상됨을 알 수가 있고, 충방전 50% ~ 0% 구간(D22)은 충방전 75% ~ 25% 구간(D21)보다 배터리 랙의 수명에 해당하는 싸이클(cycles)이 향상됨을 알 수가 있다.
또 다른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명 향상 조건은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범위값(E1, E21, E22)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4)는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범위값(E1, E21, E22)중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100%값(E1)보다 낮은 값(E21, E22)에서 출력되도록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100%값(E1)보다 낮은 값(E21, E22)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B1, B2, B3, …, BN중 적어도 하나)과 대응하는 해당 연결 스위치(SW1, SW2, SW3, …, SWN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가 있다.
여기서,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100%값(E1)보다 낮은 값(E21, E22)은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50%값(E21)과,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20%값(E22)일 수가 있다.
이러한,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50%값(E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100%값(E1)보다 배터리 랙의 수명에 해당하는 싸이클(CYCLE)이 향상됨을 알 수가 있고,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20%값(E22)은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50%값(E21)보다 배터리 랙의 수명에 해당하는 싸이클(CYCLE)이 향상됨을 알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의 배터리 랙 관리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의 배터리 랙 관리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100)의 배터리 랙 관리 방법(500, 600)은 산출 단계(S502, S602)와 결정 단계(S504, S604a 내지 S604e) 및 충방전 단계(S506, S606)를 포함한다.
산출 단계(S502, S602)는 전력 계통(도1의 A)의 충방전 전력 요구량에 대응하여 충방전시키기 위한 충방전 전류량을 제어부(도1의 104)에서 산출한다.
결정 단계(S504)는 제어부(도1의 104)에 의해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을 기초로 복수의 배터리 랙(도1의 B1, B2, B3, …, BN)과 복수의 연결 스위치(도1의 SW1, SW2, SW3, …, SWN)중 수명 향상 조건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도1의 B1, B2, B3, …, BN중 적어도 하나)을 선택적으로 충방전시키기 위한 해당 연결 스위치(도1의 SW1, SW2, SW3, …, SWN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선택적으로 결정한다.
일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 단계(S604b)는 제어부(도1의 104)에 의해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수명 향상 조건의 1C-rate값(도2의 C)보다 낮은 상태에서 출력되면(S604a), 제어부(도1의 104)에 의해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1C-rate값(도2의 C)에 가까운 상태에서 출력되도록 제어부(도1의 104)에서 1C-rate값(도2의 C)에 가까운 상태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도1의 B1, B2, B3, …, BN중 적어도 하나)과 대응하는 해당 연결 스위치(도1의 SW1, SW2, SW3, …, SWN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가 있다.
이 후, 결정 단계(S604c)는 제어부(도1의 104)에 의해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충방전 구간(도3의 D1, D21, D22)중 충방전 100% ~ 50% 구간(도3의 D1)보다 낮은 구간(도3의 D21, D22)에서 출력되도록 제어부(도1의 104)에서 충방전 100% ~ 50% 구간(도3의 D1)보다 낮은 구간(도3의 D21, D22)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도1의 B1, B2, B3, …, BN중 적어도 하나)과 대응하는 해당 연결 스위치(도1의 SW1, SW2, SW3, …, SWN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가 있다.
여기서, 충방전 100% ~ 50% 구간(도3의 D1)보다 낮은 구간(도3의 D21, D22)은 충방전 75% ~ 25% 구간(도3의 D21)과, 충방전 50% ~ 0% 구간(도3의 D22)일 수가 있다.
이 후, 결정 단계(S604d)는 제어부(도1의 104)에 의해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범위값(도4의 E1, E21, E22)중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100%값(도4의 E1)보다 낮은 값(도4의 E21, E22)에서 출력되도록 제어부(도1의 104)에서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100%값(도4의 E1)보다 낮은 값(도4의 E21, E22)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도1의 B1, B2, B3, …, BN중 적어도 하나)과 대응하는 해당 연결 스위치(도1의 SW1, SW2, SW3, …, SWN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가 있다.
여기서,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100%값(도4의 E1)보다 낮은 값(도4의 E21, E22)은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50%값(도4의 E21)과,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20%값(도4의 E22)일 수가 있다.
반면에, 결정 단계(S604e)는 제어부(도1의 104)에 의해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1C-rate값(도2의 C)보다 높은 상태에서 출력되면(S604a), 제어부(도1의 104)에서 복수의 배터리 랙(도1의 B1, B2, B3, …, BN)에 대응하는 복수의 연결 스위치(도1의 SW1, SW2, SW3, …, SWN)를 모두 결정할 수가 있다.
충방전 단계(S506, S606)는 제어부(도1의 104)에 의해 결정된 해당 연결 스위치(도1의 SW1, SW2, SW3, …, SWN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해당 배터리 랙(도1의 B1, B2, B3, …, BN중 적어도 하나)을 충방전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100) 및 배터리 랙 관리 방법(500, 600)은 제어부(104)에 의해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을 기초로 복수의 배터리 랙(B1, B2, B3, …, BN)과 복수의 연결 스위치(SW1, SW2, SW3, …, SWN)중 수명 향상 조건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B1, B2, B3, …, BN중 적어도 하나)을 선택적으로 충방전시키기 위한 해당 연결 스위치(SW1, SW2, SW3, …, SWN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100) 및 배터리 랙 관리 방법(500, 600)은 제어부(104)에 의해 결정된 해당 연결 스위치(SW1, SW2, SW3, …, SWN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해당 배터리 랙(B1, B2, B3, …, BN중 적어도 하나)을 충방전시킬 수가 있으므로, 배터리 랙(B1, B2, B3, …, BN)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Claims (6)

  1.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진 복수의 배터리 랙;
    상기 복수의 배터리 랙에 각각 연결되고, 전력 계통에 연결된 전력 변환 시스템과 연결된 복수의 연결 스위치; 및
    상기 전력 변환 시스템 및 상기 복수의 연결 스위치와 연결되고, 상기 전력 계통의 충방전 전력 요구량에 대응하여 충방전시키기 위한 충방전 전류량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배터리 랙과 상기 복수의 연결 스위치중 수명 향상 조건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을 선택적으로 충방전시키기 위한 해당 연결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명 향상 조건은,
    상기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을 상기 복수의 배터리 랙의 총용량대비 1시간 동안 수행시키기 위한 속도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상기 복수의 배터리 랙의 총용량대비 1시간 동안 수행시키기 위한 속도값보다 낮은 상태에서 출력되면, 상기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상기 복수의 배터리 랙의 총용량대비 1시간 동안 수행시키기 위한 속도값에 가까운 상태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복수의 배터리 랙의 총용량대비 1시간 동안 수행시키기 위한 속도값에 가까운 상태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과 대응하는 해당 연결 스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상기 복수의 배터리 랙의 총용량대비 1시간 동안 수행시키기 위한 속도값보다 높은 상태에서 출력되면, 상기 복수의 배터리 랙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연결 스위치를 모두 결정하는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명 향상 조건은 충방전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상기 충방전 구간중 충방전 100% ~ 50% 구간보다 낮은 구간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충방전 100% ~ 50% 구간보다 낮은 구간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과 대응하는 해당 연결 스위치를 결정하는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100% ~ 50% 구간보다 낮은 구간은 충방전 75% ~ 25% 구간과, 충방전 50% ~ 0% 구간인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명 향상 조건은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범위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충방전 전류량이 상기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범위값중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100%값보다 낮은 값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100%값보다 낮은 값에 해당하는 배터리 랙과 대응하는 해당 연결 스위치를 결정하는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100%값보다 낮은 값은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50%값과, 충방전율이 변화하는 20%값인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
KR1020180132484A 2018-10-31 2018-10-31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 KR20200050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484A KR20200050086A (ko) 2018-10-31 2018-10-31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484A KR20200050086A (ko) 2018-10-31 2018-10-31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086A true KR20200050086A (ko) 2020-05-11

Family

ID=70729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484A KR20200050086A (ko) 2018-10-31 2018-10-31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00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5843A1 (ko) 2020-04-24 2021-10-28 주식회사 디오 구강 영상의 마커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강 영상 정합 장치 및 방법
WO2023080580A1 (ko) * 2021-11-03 2023-05-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랙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30089338A (ko) * 2021-12-13 2023-06-20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이종 배터리의 연계를 위한 전력 변환 시스템 기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운용하는 전력 운용 장치에서 수행되는 전력 운용 방법 및 전력 운용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330A (ko) 2015-09-24 2017-04-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330A (ko) 2015-09-24 2017-04-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5843A1 (ko) 2020-04-24 2021-10-28 주식회사 디오 구강 영상의 마커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강 영상 정합 장치 및 방법
WO2023080580A1 (ko) * 2021-11-03 2023-05-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랙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30089338A (ko) * 2021-12-13 2023-06-20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이종 배터리의 연계를 위한 전력 변환 시스템 기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운용하는 전력 운용 장치에서 수행되는 전력 운용 방법 및 전력 운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1974B2 (en) Controlling a dispatch operation of an energy storage system
US20210359348A1 (en) Switch control device and method, motor controller, and battery pack heating control system
US10833513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balancing individual electric energy storage cells
CN105846001B (zh) 用于与温度相关地限制电能储能器的电流的方法和设备
US10063058B2 (en) Power converter
JP4535153B2 (ja) 電力変換回路の制御装置、及び電力変換システム
US8386102B2 (en) Discrete voltage level controller
KR20200050086A (ko) 배터리 랙 관리 시스템
JP6729985B2 (ja) 蓄電池システム充電制御装置、蓄電池システム及び蓄電池充電制御方法
JPWO2017033399A1 (ja) 管理装置、充放電制御装置、蓄電システム、及び充放電制御方法
US102702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nergy storage systems having multiple battery types
JP6228620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WO2022062731A1 (zh) 一种混合动力机车的多支路动力电池系统控制方法
CN104600731A (zh) 一种用于光储系统削峰填谷的储能系统控制方法
US20170054184A1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system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system operation method
US20220320894A1 (en) Energy storag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ower busses
CN110635519A (zh) 一种主动配电网分布式新能源日前有功调度计划生成方法
JP2005057846A (ja) モータ駆動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駆動システム
JP2014128047A (ja) 蓄電池用変換装置、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電力供給制御方法
US10547181B2 (en) 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device, 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system, 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with 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program recorded therein
US8855953B2 (en) Electrical power control device and electrical power calculation method in electrical power control device
JP2020022304A (ja) 蓄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WO2007059985A1 (en) Method for operating a power converter
US8853518B2 (en) System employing a thermoelectric device to power an electronic circuit from heat generated by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 of powering a system
CN104362717A (zh) 一种蓄电池充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