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867A -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화소 유닛 - Google Patents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화소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867A
KR20200049867A KR1020207010907A KR20207010907A KR20200049867A KR 20200049867 A KR20200049867 A KR 20200049867A KR 1020207010907 A KR1020207010907 A KR 1020207010907A KR 20207010907 A KR20207010907 A KR 20207010907A KR 20200049867 A KR20200049867 A KR 20200049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main electrode
pixel
hol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0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5737B1 (ko
Inventor
옌시 예
Original Assignee
선전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세미컨덕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세미컨덕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세미컨덕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49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45Subdivided pixels, e.g. for grey scale or redundanc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9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e.g.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switching element
    • G02F2001/13434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Abstract

화소 유닛으로서, 외주변 프레임(101), 주 전극(120) 및 분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변 프레임(101)은 화소 전극을 둘러싸고, 상기 주 전극(120)은 상기 외주변 프레임(101)에 연결되고, 또한 십자형의 횡방향 주 전극(102) 및 종방향 주 전극(103)을 포함하고, 상기 분기 전극은 상기 외주변 프레임(101) 및 상기 주 전극(120)에 연결되고, 상기 횡방향 주 전극(102)에 제 1 관통공(108)이 설치되고, 상기 종방향 주 전극(103)에 제 2 관통공(109)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관통공(108)과 상기 제 2 관통공(109)이 연통하면서 상기 주 전극(120)이 십자 고리 형상을 나타내도록 한다.

Description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화소 유닛
본 발명은 표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화소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기술에서는 HVA(PSVA) 모드는 많은 VA 모드 중의 일종이다. HVA 모드의 화소 구조는 돌기가 불필요하고, PVA 및 MVA보다 뛰어난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돌기의 제조 공정을 감소시키는 것, 돌기에 의한 형상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 돌기에 의한 입자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인 HVA 화소 설계는 VA 모드의 시야각의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 VA 외의 모드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화소 도메인을 복수 개의 서브 화소 도메인(Domain)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4개의 도메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HVA 화소 구조의 모식도이며, 화소 전극의 중앙부에 있는 십자형 주 전극(401)은 도메인 간의 경계선이며, 어두운 줄무늬가 발생하는 부위이기도 하다. 액정의 경사 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에 도메인 간에 어두운 줄무늬가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어두운 줄무늬는 액정의 경사 방향의 중복으로 인한 것이며, 또한 액정의 경사가 형상의 영향도 받기 때문에 어두운 줄무늬의 형태는 불규칙적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 기술의 화소 구조에서는 십자형 주 전극에 대응하는 도메인의 액정의 경사 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에 어두운 줄무늬가 불가피하게 생기고, 나아가 표시장치의 성능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화소 전극의 십자형 주 전극에서 발생하는 어두운 줄무늬를 경감시키고, 나아가 표시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화소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수단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화소 유닛을 제공하고, 외주변 프레임, 주 전극 및 분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변 프레임은 화소 전극을 둘러싸고,
상기 주 전극은, 상기 외주변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주 전극은 십자형을 나타내고, 상기 주 전극은 서로 수직인 횡방향 주 전극 및 종방향 주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주 전극 및 상기 종방향 주 전극은 상기 화소 전극을 4개의 도메인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기 전극은 일단이 상기 외주변 프레임에 연결되고, 서로 대향하는 타단이 상기 횡방향 주 전극/상기 종방향 주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화소 전극의 하나의 상기 도메인 내에 상기 분기 전극이 서로 평행하면서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또한 상기 횡방향 주 전극/상기 종방향 주 전극과 제 1 소정 각도를 이루며 연결되고,
제 1 분기 전극이 제 4 분기 전극에 평행하고, 제 2 분기 전극이 제 3 분기 전극에 평행하며, 상기 제 1 분기 전극과 상기 제 3 분기 전극이 제 2 소정 각도를 이루고,
상기 횡방향 주 전극에 제 1 관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종방향 주 전극에 제 2 관통공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관통공과 상기 제 2 관통공이 연통하고, 또 상기 주 전극이 십자 고리 형상을 나타내도록 하며, 상기 횡방향 주 전극과 상기 종방향 주 전극 교차점의 중심이 중공의 구조이며, 상기 제 1 서브 화소 전극, 상기 제 2 서브 화소 전극, 상기 제 3 서브 화소 전극 및 상기 제 4 서브 화소 전극이 상기 외주변 프레임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소 유닛은 차광 금속층 및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 금속층에 차광 전극이 설치되고, 횡방향 차광 전극이 상기 횡방향 주 전극에 대응하고, 종방향 차광 전극이 상기 종방향 주 전극에 대응하며, 상기 횡방향 차광 전극 및 상기 종방향 차광 전극이 모두 상기 공통 전극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소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횡방향 차광 전극의 투영이 상기 제 1 관통공을 커버하고, 상기 화소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종방향 차광 전극의 투영이 상기 제 2 관통공을 커버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횡방향 차광 전극과 상기 종방향 차광 전극의 폭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관통공은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일단에서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타단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2 관통공은 상기 종방향 주 전극의 일단에서 상기 종방향 주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타단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1 관통공 및 상기 제 2 관통공은 상기 화소 전극을 제 1 서브 화소 전극, 제 2 서브 화소 전극, 제 3 서브 화소 전극 및 제 4 서브 화소 전극으로 분할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 1 서브 주 전극은 상기 분기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상기 제 1 관통공의 영역에서 합류할 때까지 연장하고, 제 2 서브 주 전극은 상기 분기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종방향 주 전극의 상기 제 2 관통공의 영역에서 합류할 때까지 연장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횡방향 주 전극과 상기 종방향 주 전극과의 교차 지점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주 전극과 상기 제 2 서브 주 전극이 겹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일단에서 상기 외주변 프레임 밖에 제 5 서브 화소 전극이 연장하고, 상기 제 5 서브 화소 전극은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대응하는 도메인에 대응하고, 제 3 관통공에 의해 상기 화소 전극을 스위치 유닛에 연결한다.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제공하고,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화소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화소 유닛을 더 제공하고, 외주변 프레임, 주 전극 및 분기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외주변 프레임은 화소 전극을 감싸고,
상기 주 전극은 상기 외주변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주 전극은 십자형을 나타내며, 상기 주 전극은 서로 수직인 횡방향 주 전극 및 종방향 주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주 전극 및 상기 종방향 주 전극은 상기 화소 전극을 4개의 도메인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기 전극은 일단이 상기 외주변 프레임에 연결되고, 서로 대향하는 타단이 상기 횡방향 주 전극/상기 종방향 주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화소 전극의 하나의 상기 도메인 내에 상기 분기 전극이 서로 평행하면서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또한 상기 횡방향 주 전극/상기 종방향 주 전극과 제 1 소정 각도를 이루며 연결되고,
제 1 분기 전극이 제 4 분기 전극에 평행하고, 제 2 분기 전극이 제 3 분기 전극에 평행하며, 상기 제 1 분기 전극과 상기 제 3 분기 전극이 제 2 소정 각도를 이루고,
상기 횡방향 주 전극에 제 1 관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종방향 주 전극에 제 2 관통공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관통공과 상기 제 2 관통공이 연통하고, 또 상기 주 전극을 십자 고리 형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소 유닛은 차광 금속층 및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 금속층에 차광 전극이 설치되고, 횡방향 차광 전극이 상기 횡방향 주 전극에 대응하고, 종방향 차광 전극이 상기 종방향 주 전극에 대응하고, 상기 횡방향 차광 전극 및 상기 종방향 차광 전극이 모두 상기 공통 전극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소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횡방향 차광 전극의 투영이 상기 제 1 관통공을 커버하고, 상기 화소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종방향 차광 전극의 투영이 상기 제 2 관통공을 커버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횡방향 차광 전극과 상기 종방향 차광 전극의 폭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관통공은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일단에서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타단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2 관통공은 상기 종방향 주 전극의 일단에서 상기 종방향 주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타단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1 관통공 및 상기 제 2 관통공은 상기 화소 전극을 제 1 서브 화소 전극, 제 2 서브 화소 전극, 제 3 서브 화소 전극 및 제 4 서브 화소 전극으로 분할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 1 서브 주 전극은 상기 분기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상기 제 1 관통공의 영역에서 합류할 때까지 연장하고, 제 2 서브 주 전극은 상기 분기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종방향 주 전극의 상기 제 2 관통공의 영역에서 합류할 때까지 연장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횡방향 주 전극과 상기 종방향 주 전극과의 교차 지점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주 전극과 상기 제 2 서브 주 전극이 겹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일단에서 상기 외주변 프레임 밖에 제 5 서브 화소 전극이 연장하고, 상기 제 5 서브 화소 전극은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대응하는 도메인에 대응하고, 제 3 관통공에 의해 상기 화소 전극을 스위치 장치에 연결한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의 화소 유닛에 비해, 본 발명의 화소 유닛은 화소 전극의 십자형 주 전극에 대응하는 중공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주 전극이 중공의 십자 고리 형상의 구조가 되도록 하고, 주 전극의 중공화된 대응하는 도메인에 홈의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액정에 일정한 방향을 배향시키고, 이에 의해 해당 부분에서 다른 경사 방향으로 인한 액정의 상호 영향 때문에 불규칙적인 어두운 줄무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또 화소 전극의 십자형 주 전극의 대응하는 도메인이 중공화됨으로써, 해당 부분에서의 전계 강도가 약해지고, 이에 의해 전계에 의한 액정으로의 작용도 약해지므로 주 전극에서 분할된 다른 서브 화소 전극 간의 해당 부분에서의 액정 경사 중복도 약해지고, 나아가 어두운 줄무늬의 영향을 크게 감소시킨다.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기술적 수단을 보다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사용될 필요가 있는 도면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고, 분명한 것은 이하에 설명되는 도면은 단순히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창조적인 노력없이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소 유닛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소 전극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소 유닛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의 화소 구조의 구조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화소 구조에서는 십자형 주 전극의 대응하는 도메인의 액정의 경사 방향이 반대인 것에 의해, 어두운 줄무늬가 불가피하게 발생하고, 나아가 장치의 성능에 악영향을 주는 기술적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실시예는 상기 결함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화소 유닛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 1에 따른 화소 유닛의 구조 모식도이다. 상기 화소 유닛은 외주변 프레임(101), 주 전극(120) 및 분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변 프레임(101)은 화소 전극을 둘러싼다. 상기 주 전극(120)은 상기 외주변 프레임(101)에 연결되고, 상기 주 전극(120)은 십자형을 나타내며, 상기 주 전극(120)은 서로 수직인 횡방향 주 전극(102) 및 종방향 주 전극(103)을 포함한다. 상기 횡방향 주 전극(102) 및 상기 종방향 주 전극(103)는 상기 화소 전극을 4개의 도메인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기 전극은 일단이 상기 외주변 프레임(101)에 연결되고, 서로 대향하는 타단이 상기 횡방향 주 전극(102)/상기 종방향 주 전극(103)에 연결된다. 상기 화소 전극의 하나의 상기 도메인 내에 상기 분기 전극이 서로 평행하면서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한편 상기 횡방향 주 전극(102)/상기 종방향 주 전극(103)과 제 1 소정 각도를 이루며 연결된다. 상기 제 1 소정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10도 ~ 80 도의 범위이다. 제 1 분기 전극(104)이 제 4 분기 전극(107)에 평행하고, 제 2 분기 전극(105)이 제 3 분기 전극(106)에 평행하며, 상기 제 1 분기 전극(104)과 상기 제 3 분기 전극(106)이 제 2 소정 각도를 이루며, 상기 제 2 소정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60도 ~ 120도의 범위이다. 여기서, 상기 횡방향 주 전극(102)에 제 1 관통공(108)이 설치되고, 상기 종방향 주 전극(103)에 제 2 관통공(109)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관통공(108)과 상기 제 2 관통공(109)이 연통하고, 또 상기 주 전극(120)이 십자 고리 형상을 나타내도록 한다.
상기 화소 유닛은 차광 금속층 및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 금속층에 차광 전극이 설치된다. 횡방향 차광 전극(도시하지 않음)이 상기 횡방향 주 전극(102)에 대응하고, 종방향 차광 전극(110)이 상기 종방향 주 전극(103)에 대응하며, 상기 횡방향 차광 전극 및 상기 종방향 차광 전극(110)이 모두 상기 공통 전극에 연결된다. 상기 화소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횡방향 차광 전극의 투영이 상기 제 1 관통공(108)을 커버하고, 상기 화소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종방향 차광 전극(110)의 투영이 상기 제 2 관통공(109)을 커버한다. 상기 횡방향 차광 전극 및 상기 종방향 차광 전극(110)의 폭은 동일하다.
상기 제 1 관통공(108)은 상기 횡방향 주 전극(102)의 일단에서 상기 횡방향 주 전극(102)의 연장 방향을 따라 타단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2 관통공(109)은 상기 종방향 주 전극(103)의 일단에서 상기 종방향 주 전극(103)의 연장 방향을 따라 타단으로 연장한다. 상기 제 1 관통공(108) 및 상기 제 2 관통공(109)은 상기 화소 전극을 제 1 서브 화소 전극, 제 2 서브 화소 전극, 제 3 서브 화소 전극 및 제 4 서브 화소 전극으로 분할한다. 상기 횡방향 주 전극(102)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외주변 프레임(101) 밖으로 제 5 서브 화소 전극(111)이 연장한다. 상기 제 5 서브 화소 전극(111)은 상기 횡방향 주 전극(102)의 대응하는 도메인에 대응하고, 제 3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화소 전극을 스위치 유닛(112)에 연결한다. 상기 차광 금속층은 금속 차광층(1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차광 층(113)의 면적은 상기 제 5 서브 화소 전극(111)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금속 차광층(113)은 상기 제 5 서브 화소 전극(111) 및 상기 스위치 유닛(112)에 가까운 쪽의 상기 외주변 프레임(101)을 커버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 1 관통공(108) 및 상기 제 2 관통공(109)의 대응하는 위치에 홈의 형상이 형성됨으로써, 액정을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시키고, 그 부분에서 다른 경사 방향으로 인한 액정의 상호 영향 때문에 불규칙적인 어두운 줄무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상기 화소 전극의 상기 주 전극(120)은 중공의 십자 고리 형상의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주 전극(120)에서의 전계 강도가 약해지고, 그로 인하여 전계에 의한 액정으로의 작용도 약해지고, 다른 서브 화소 간의 상기 주 전극(120)에서의 액정 경사 중복도 약해지므로 어두운 줄무늬의 영향을 경감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관통공(108) 및 상기 제 2 관통공(109)은 더 간격을 두고 분포하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관통공(108)은 적어도 2개이고, 상기 횡방향 주 전극(102)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병렬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횡방향 주 전극(102)에 직교하여 병렬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거나, 또는 복수 조를 이루면서 병렬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제 2 관통공(109)은 상기 제 1 관통공(108)의 분포 방식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소 전극의 구조 모식도이다. 외주변 프레임(201)은 상기 화소 전극을 둘러싸고, 상기 화소 전극은 서로 수직인 십자형의 횡방향 주 전극(202) 및 종방향 주 전극(204)을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주 전극(202)은 제 1 관통공(203)을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주 전극(204)은 제 2 관통공(205)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관통공(203) 및 상기 제 2 관통공(205)은 상기 화소 전극을 제 1 서브 화소 전극(206), 제 2 서브 화소 전극(207), 제 3 서브 화소 전극(208) 및 제 4 서브 화소 전극(209)으로 분할한다. 상기 횡방향 주 전극(202)과 상기 종방향 주 전극(204)과의 교차점의 중심은 중공 구조이며, 상기 제 1 서브 화소 전극(206), 상기 제 2 서브 화소 전극(207), 상기 제 3 서브 화소 전극(208) 및 상기 제 4 서브 화소 전극(209)은 상기 외주변 프레임(20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소 유닛 구조의 모식도이다. 상기 화소 유닛은 외주변 프레임(301), 주 전극(320) 및 분기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외주변 프레임(301)은 화소 전극을 둘러싸고, 상기 주 전극(320)은 상기 외주변 프레임(301)에 연결되며, 상기 주 전극(320)은 십자형을 나타내고, 상기 주 전극(320)은 서로 수직인 횡방향 주 전극(302) 및 종방향 주 전극(303)을 포함한다. 상기 횡방향 주 전극(302) 및 상기 종방향 주 전극(303)은 상기 화소 전극을 4개의 도메인으로 분할한다. 상기 화소 전극의 하나의 상기 도메인 내에 상기 분기 전극이 서로 평행하면서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또 상기 횡방향 주 전극(302)/상기 종방향 주 전극(303)과 제 3 소정 각도를 이루며 연결되고, 상기 제 3 소정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10도 ~ 80도의 범위이며, 제 1 분기 전극(304)이 제 4 분기 전극(307)에 평행하고, 제 2 분기 전극(305)이 제 3 분기 전극(306)에 평행하며, 상기 제 1 분기 전극(304)과 상기 제 3 분기 전극(306)이 제 2 소정 각도를 이루고, 상기 제 2 소정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60도 ~ 120도의 범위이다.
여기서, 상기 횡방향 주 전극(302)은 제 1 서브 주 전극(3021)을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주 전극(303)은 제 2 서브 주 전극(3031)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브 주 전극(3021)은 상기 횡방향 주 전극(302)이 상기 분기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제 1 관통공(도 1의 108 참조)의 영역으로 연장되어 합류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2 서브 주 전극(3031)은 상기 종방향 주 전극(303)이 상기 분기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제 2 관통공(도 1의 109 참조)의 영역으로 연장되어 합류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1 서브 주 전극(3021)에 의해 상기 횡방향 주 전극(302)에 상기 종방향 주 전극(303)을 경상(鏡像)으로 하는 제 1 슬릿(308) 및 제 2 슬릿(309)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서브 주 전극(3031)에 의해 상기 종방향 주 전극(303)에 상기 횡방향 주 전극(302)을 경상으로 하는 제 3 슬릿(310) 및 제 4 슬릿(311)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슬릿(308), 상기 제 2 슬릿(309), 상기 제 3 슬릿(310), 상기 제 4 슬릿(311)이 모두 간격을 두고 분포하고 있다. 상기 횡방향 주 전극(302)과 상기 종방향 주 전극(303)과의 교차 부분에 상기 제 1 서브 주 전극(3021)과 상기 제 2 서브 주 전극(3031)이 겹친다.
상기 제 1 슬릿(308), 상기 제 2 슬릿(309), 상기 제 3 슬릿(310) 및 상기 제 4 슬릿(311)이 홈의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액정을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시키고, 그 부분에서 다른 경사 방향으로 인한 액정의 상호 영향 때문에 불규칙적인 어두운 줄무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상기 횡방향 주 전극(302) 및 상기 종방향 주 전극(303)의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전계 강도가 약해지고, 그로 인하여 전계에 의한 액정으로의 작용도 약해지고, 다른 서브 화소 간의 상기 주 전극(320)에서의 액정 경사 중복도 약해지므로 어두운 줄무늬의 영향을 경감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 서브 주 전극(3021) 및 상기 제 2 서브 주 전극(3031)은 상기 분기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하지 않도록 해도 좋으며, 예를 들어 수직으로 연장하여 합류하거나 또는 호선 형상으로 연장하여 합류하는 등에 의해 대응하는 슬릿을 형성하여도 좋으며, 홈 형상을 구성할 수 있으면 된다. 여기서는, 상기 제 1 서브 주 전극(3021) 및 상기 제 2 서브 주 전극(3031)의 구체적인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제공하고,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화소 유닛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의 화소 유닛에 비해, 본 발명의 화소 유닛은 화소 전극의 십자형 주 전극에 대응하는 중공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주 전극이 중공의 십자 고리 형상 구조가 되도록 하고, 주 전극의 중공화된 대응하는 도메인에 홈의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액정에 일정한 방향을 배향시키고, 이에 의해 해당 부분에서 다른 경사 방향으로 인한 액정의 상호 영향 때문에 불규칙적인 어두운 줄무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화소 전극의 십자형 주 전극의 대응하는 도메인이 중공화됨으로써, 해당 부분에서의 전계 강도가 약해지고, 그로 인하여 전계에 의한 액정으로의 작용도 약해지므로 주 전극에서 분할된 다른 서브 화소 전극 간의 해당 부분에서의 액정 경사 중복도 약해지고, 나아가 어두운 줄무늬의 영향을 크게 감소시킨다.
이상과 같이,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시했지만,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 범위에 정해진 범위에 준한다.
101 외주변 프레임
102 횡방향 주 전극
103 종방향 주 전극
104 제 1 분기 전극
105 제 2 분기 전극
106 제 3 분기 전극
107 제 4 분기 전극
108 제 1 관통공
109 제 2 관통공
110 종방향 차광 전극
111 제 5 서브 화소 전극
112 스위치 유닛
113 금속 차광층
120 주 전극
201 외주변 프레임
202 횡방향 주 전극
203 제 1 관통공
204 종방향 주 전극
205 제 2 관통공
206 제 1 서브 화소 전극
207 제 2 서브 화소 전극
208 제 3 서브 화소 전극
209 제 4 서브 화소 전극
301 외주변 프레임
302 횡방향 주 전극
303 종방향 주 전극
304 제 1 분기 전극
305 제 2 분기 전극
306 제 3 분기 전극
307 제 4 분기 전극
308 제 1 슬릿
309 제 2 슬릿
310 제 3 슬릿
311 제 4 슬릿
320 주 전극
401 십자형 주 전극
3021 제 1 서브 주 전극
3031 제 2 서브 주 전극

Claims (17)

  1. 화소 유닛으로서, 외주변 프레임, 주 전극 및 분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변 프레임은 화소 전극을 둘러싸고,
    상기 주 전극은, 상기 외주변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주 전극은 십자형을 나타내고, 상기 주 전극은 서로 수직인 횡방향 주 전극 및 종방향 주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주 전극 및 상기 종방향 주 전극은 상기 화소 전극을 4개의 도메인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기 전극은 일단이 상기 외주변 프레임에 연결되고, 서로 대향하는 타단이 상기 횡방향 주 전극/상기 종방향 주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화소 전극의 하나의 상기 도메인 내에 상기 분기 전극이 서로 평행하면서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또한 상기 횡방향 주 전극/상기 종방향 주 전극과 제 1 소정 각도를 이루며 연결되고,
    제 1 분기 전극이 제 4 분기 전극에 평행하고, 제 2 분기 전극이 제 3 분기 전극에 평행하며, 상기 제 1 분기 전극과 상기 제 3 분기 전극이 제 2 소정 각도를 이루고,
    상기 횡방향 주 전극에 제 1 관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종방향 주 전극에 제 2 관통공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관통공과 상기 제 2 관통공이 연통하고, 또 상기 주 전극이 십자 고리 형상을 나타내도록 하며, 상기 횡방향 주 전극과 상기 종방향 주 전극 교차점의 중심이 중공의 구조이며, 제 1 서브 화소 전극, 제 2 서브 화소 전극, 제 3 서브 화소 전극 및 제 4 서브 화소 전극이 상기 외주변 프레임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화소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유닛은 차광 금속층 및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 금속층에 차광 전극이 설치되고, 횡방향 차광 전극이 상기 횡방향 주 전극에 대응하고, 종방향 차광 전극이 상기 종방향 주 전극에 대응하며, 상기 횡방향 차광 전극 및 상기 종방향 차광 전극이 모두 상기 공통 전극에 연결되는 화소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횡방향 차광 전극의 투영이 상기 제 1 관통공을 커버하고, 상기 화소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종방향 차광 전극의 투영이 상기 제 2 관통공을 커버하는 화소 유닛.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차광 전극과 상기 종방향 차광 전극의 폭은 동일한 화소 유닛.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공은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일단에서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타단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2 관통공은 상기 종방향 주 전극의 일단에서 상기 종방향 주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타단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 1 관통공 및 상기 제 2 관통공은 상기 화소 전극을 상기 제 1 서브 화소 전극, 상기 제 2 서브 화소 전극, 상기 제 3 서브 화소 전극 및 상기 제 4 서브 화소 전극으로 분할하는 화소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서브 주 전극은 상기 분기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상기 제 1 관통공의 영역에서 합류할 때까지 연장하고, 제 2 서브 주 전극은 상기 분기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종방향 주 전극의 상기 제 2 관통공의 영역에서 합류할 때까지 연장하는 화소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주 전극과 상기 종방향 주 전극과의 교차 지점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주 전극과 상기 제 2 서브 주 전극이 겹치는 화소 유닛.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일단에서 상기 외주변 프레임 밖에 제 5 서브 화소 전극이 연장하고, 상기 제 5 서브 화소 전극은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대응하는 도메인에 대응하고, 제 3 관통공에 의해 상기 화소 전극을 스위치 유닛에 연결하는 화소 유닛.
  9. 청구항 1 기재의 화소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10. 화소 유닛으로서, 외주변 프레임, 주 전극 및 분기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외주변 프레임은 화소 전극을 감싸고,
    상기 주 전극은 상기 외주변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주 전극은 십자형을 나타내며, 상기 주 전극은 서로 수직인 횡방향 주 전극 및 종방향 주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주 전극 및 상기 종방향 주 전극은 상기 화소 전극을 4개의 도메인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기 전극은 일단이 상기 외주변 프레임에 연결되고, 서로 대향하는 타단이 상기 횡방향 주 전극/상기 종방향 주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화소 전극의 하나의 상기 도메인 내에 상기 분기 전극이 서로 평행하면서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또한 상기 횡방향 주 전극/상기 종방향 주 전극과 제 1 소정 각도를 이루며 연결되고,
    제 1 분기 전극이 제 4 분기 전극에 평행하고, 제 2 분기 전극이 제 3 분기 전극에 평행하며, 상기 제 1 분기 전극과 상기 제 3 분기 전극이 제 2 소정 각도를 이루고,
    상기 횡방향 주 전극에 제 1 관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종방향 주 전극에 제 2 관통공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관통공과 상기 제 2 관통공이 연통하고, 또 상기 주 전극을 십자 고리 형상으로 하는 화소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유닛은 차광 금속층 및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 금속층에 차광 전극이 설치되고, 횡방향 차광 전극이 상기 횡방향 주 전극에 대응하고, 종방향 차광 전극이 상기 종방향 주 전극에 대응하고, 상기 횡방향 차광 전극 및 상기 종방향 차광 전극이 모두 상기 공통 전극에 연결되는 화소 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횡방향 차광 전극의 투영이 상기 제 1 관통공을 커버하고, 상기 화소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종방향 차광 전극의 투영이 상기 제 2 관통공을 커버하는 화소 유닛.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차광 전극과 상기 종방향 차광 전극의 폭은 동일한 화소 유닛.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공은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일단에서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타단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2 관통공은 상기 종방향 주 전극의 일단에서 상기 종방향 주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타단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1 관통공 및 상기 제 2 관통공은 상기 화소 전극을 제 1 서브 화소 전극, 제 2 서브 화소 전극, 제 3 서브 화소 전극 및 제 4 서브 화소 전극으로 분할하는 화소 유닛.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 1 서브 주 전극은 상기 분기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상기 제 1 관통공의 영역에서 합류할 때까지 연장하고, 제 2 서브 주 전극은 상기 분기 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종방향 주 전극의 상기 제 2 관통공의 영역에서 합류할 때까지 연장하는 화소 유닛.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주 전극과 상기 종방향 주 전극과의 교차 지점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주 전극과 상기 제 2 서브 주 전극이 겹치는 화소 유닛.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일단에서 상기 외주변 프레임 밖에 제 5 서브 화소 전극이 연장하고, 상기 제 5 서브 화소 전극은 상기 횡방향 주 전극의 대응하는 도메인에 대응하고, 제 3 관통공에 의해 상기 화소 전극을 스위치 장치에 연결하는 화소 유닛.
KR1020207010907A 2017-09-15 2017-11-02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화소 유닛 KR102315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831086.6 2017-09-15
CN201710831086.6A CN107367873B (zh) 2017-09-15 2017-09-15 一种液晶显示面板及其像素单元
PCT/CN2017/109108 WO2019051958A1 (zh) 2017-09-15 2017-11-02 一种液晶显示面板及其像素单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867A true KR20200049867A (ko) 2020-05-08
KR102315737B1 KR102315737B1 (ko) 2021-10-21

Family

ID=6030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0907A KR102315737B1 (ko) 2017-09-15 2017-11-02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화소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683622A4 (ko)
JP (1) JP7007465B2 (ko)
KR (1) KR102315737B1 (ko)
CN (1) CN107367873B (ko)
WO (1) WO20190519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8566A (zh) * 2017-12-07 2018-05-0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
CN109188796B (zh) * 2018-10-29 2020-01-07 惠科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以及显示面板
CN109375433A (zh) * 2018-10-30 2019-02-22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像素电极及显示面板、显示装置
CN109239970A (zh) * 2018-11-12 2019-01-18 成都中电熊猫显示科技有限公司 阵列基板、液晶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917592B (zh) * 2019-03-11 2021-04-23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像素电极及液晶显示面板
CN111399288B (zh) 2020-04-14 2021-07-06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像素电极及具有该像素电极的液晶显示面板
CN111812895A (zh) * 2020-07-01 2020-10-23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像素电极和液晶显示面板
CN111983854A (zh) 2020-08-07 2020-11-2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像素电极、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16699909B (zh) * 2023-08-07 2023-10-31 苏州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和显示面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40581A (zh) * 2008-11-26 2010-06-16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薄膜晶体管阵列基板及其应用与制造方法
KR20150017041A (ko) * 2013-08-05 2015-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0906B2 (en) * 2008-04-25 2012-12-11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1963712B (zh) * 2009-07-21 2013-07-17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和像素结构
CN101699340B (zh) * 2009-11-04 2013-03-20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像素结构及具有此像素结构的显示面板
CN102759826B (zh) * 2012-07-16 2016-06-0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像素电极结构及液晶显示装置
CN102854673A (zh) 2012-09-03 2013-01-0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
JP2014081559A (ja) * 2012-10-18 2014-05-08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TWI564638B (zh) 2014-07-18 2017-0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之畫素結構
TWI550320B (zh) * 2014-12-31 2016-09-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畫素結構
KR102498604B1 (ko) * 2015-07-22 2023-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093719B (zh) * 2015-07-28 2018-01-1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像素单元
CN106526986A (zh) * 2015-09-09 2017-03-2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像素结构
CN105301825B (zh) * 2015-10-10 2017-09-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曲面液晶显示面板
KR102456693B1 (ko) * 2015-12-18 2022-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05487300B (zh) * 2016-01-27 2017-12-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单元、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
CN105572983A (zh) * 2016-03-11 2016-05-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像素电极结构及液晶显示面板
CN106847836B (zh) * 2017-04-10 2019-11-0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Tft基板及其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40581A (zh) * 2008-11-26 2010-06-16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薄膜晶体管阵列基板及其应用与制造方法
KR20150017041A (ko) * 2013-08-05 2015-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67873B (zh) 2020-09-08
EP3683622A4 (en) 2021-04-21
JP7007465B2 (ja) 2022-01-24
WO2019051958A1 (zh) 2019-03-21
CN107367873A (zh) 2017-11-21
JP2020533645A (ja) 2020-11-19
EP3683622A1 (en) 2020-07-22
KR102315737B1 (ko)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9867A (ko)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화소 유닛
KR101006202B1 (ko) 수평 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용 픽셀 구조체
CN103760724B (zh) 有源元件阵列基板
WO2017071016A1 (zh) 像素电极及阵列基板
KR102128970B1 (ko) 액정 표시 장치
US20020001058A1 (en)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liquid crystal display with wide viewing angle
JP2008268944A (ja) 液晶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10816860B2 (en) Non-rectangular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5388672A (zh) 显示装置
JP6386081B2 (ja) 液晶表示パネルの配向方法及び対応する液晶表示装置
US9857926B2 (en) Matrix switching type touch panel comprising unit electrodes connected by bridges
WO2016138721A1 (zh) 液晶屏及显示装置
CN103543563A (zh) 一种高开口光配向像素结构
CN111221194A (zh) 阵列基板及显示面板
US853731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lignment areas and electrode areas with particular boundaries and openings
KR20190016590A (ko) 액정 디스플레이 픽셀 구조 및 액정 디스플레이 기기
US1038668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pixel unit thereof
KR20150140500A (ko) 액정 디스플레이
CN114089567A (zh) 阵列基板、包含其的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0877323B2 (en) Pixel electrode
KR20150103792A (ko) 액정 표시 장치
US20210356818A1 (en) Pixel electrode structure
CN109298570B (zh) 一种薄膜晶体管阵列基板及液晶显示器
TWI493266B (zh) 畫素結構
CN105652494A (zh)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