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866A - 코 마스크 - Google Patents

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866A
KR20200048866A KR1020180131444A KR20180131444A KR20200048866A KR 20200048866 A KR20200048866 A KR 20200048866A KR 1020180131444 A KR1020180131444 A KR 1020180131444A KR 20180131444 A KR20180131444 A KR 20180131444A KR 20200048866 A KR20200048866 A KR 20200048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mask
nasal cavity
body portion
main body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준
이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80131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8866A/ko
Priority to PCT/KR2019/012971 priority patent/WO2020091243A1/ko
Publication of KR20200048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tolaryng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는, 사용자의 비강에 고정되는 형상을 이루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는 필터부; 및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비강의 비익연골 안쪽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 마스크{Nose mask}
본 발명은 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비강에 삽입이 용이하며 사용이 편리할 수 있는 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 및 세균을 포함하는 외부공기가 체내로 흡입되는 것을 막는 방법으로는 입과 코 주위를 덮는 섬유재질의 마스크(이하 '안면 마스크'로 명칭함)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안면 마스크는 날숨에 포함된 수증기와 외부공기와의 온도차에 의한 수분 발생, 착용 주변의 열 발생으로 인한 땀의 발생, 행동의 불편, 미관상 거부감 등의 불편함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보온/방한용이 아닌 방진을 위해 안면 마스크를 사용하더라도, 콧등과 볼 주변의 높이 차이로 인한 틈새를 통해 먼지가 유입될 우려가 있어 방진 효과가 저하되거나, 콧등 및 볼 주변 등을 과도하게 눌러 안면에 자국이 남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즉 더운 날씨와 같이 주변 환경 및 체내의 열 등에 관계없고, 방진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안면에 자국이 남지 않아 편리할 수 있는 마스크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중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강에 삽입이 용이하며 사용이 편리할 수 있는 코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는, 사용자의 비강에 고정되는 형상을 이루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는 필터부; 및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비강의 비익연골 안쪽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는, 사용자의 비강에 설치되는 프레임을 이루고, 테두리에 끼움홈을 가지는 본체부; 및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필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링 구조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비익연골을 향해 마련되어, 상기 비익연골의 반대편을 노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한 쌍의 코 각각에 마련되도록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으로 마련되는 상기 본체부 또는 한 쌍의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는, 중심영역이 코중격을 두르고, 양단이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되,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비강의 끝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부의 중심영역은 상기 비강의 하단높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부는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끼움홈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마련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끼움홈의 둘레를 따라 눌리면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 마스크는, 미세먼지를 거르는 필터부의 사용이 비강의 단면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어 종래의 안면 마스크에 대비하여 자재가 낭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필터부를 지지하는 본체부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비강에 설치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분리된 상태와 지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필터부가 지그에 의해 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필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으로, 보기 방향이 상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보기 방향이 상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으로, 보기 방향이 상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본체부와 지지부재를 수직 절단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의 코 마스크의 설명을 위한 코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으로, 보기 방향이 상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c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b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c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필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으로, 보기 방향이 상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연결부에 마련되는 턱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으로, 보기 방향이 상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보기 방향이 상이한 상태의 도면이 포함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보기 방향이 상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필터부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장식부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3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장착하기 위한 코 마스크 사용기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장착하기 위한 코 마스크 사용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장착하기 위한 코 마스크 사용기기를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장착하기 위한 코 마스크 사용기기의 작동 순서를 일렬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장착하기 위한 코 마스크 사용기기의 다른 형태로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장착하기 위한 코 마스크 사용기기의 다른 형태로서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며니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더불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실시예의 코 마스크의 설명을 위한 코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도 20 내지 22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으로, 보기 방향이 상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3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게다가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필터부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장식부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더욱이,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장착하기 위한 코 마스크 사용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100)는, 미세먼지 등의 해로운 물질이 숨을 쉬는 과정에서 체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들의 코 마스크(100)는, 날숨으로 인한 습기, 착용 주변의 열, 안면 눌림 등으로 인한 불편을 초래하는 안면 마스크를 개선하고자 사용자의 코 안(이하 비강으로 명칭 함)에 삽입/설치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 삽입용 마스크일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실시예들의 코 마스크(100)는, 본체부(110), 필터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130)가 포함되거나 생략될 수 있고, 실시예 들은 후술되는 바와 같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조합되거나 공지된 기술이 적용 및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본체부(110)는 비강에 설치되기 위한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연질의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져 비강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고정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단한 재질을 가질 수도 있고, 재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고, 팽창 가능한 재질(예를 들어, 압축된 상태로 저장된 후 압축이 해제되어 팽창이 이루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며, 후술되는 실시예에서 특정한 재질을 언급하더라도, 언급되는 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언급하여 둔다.
그리고 필터부(120)는, 기본적으로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 기능을 이루기 위한 구성이며, 실시예에 따라 제조 방식, 재질 등이 다르게 이루어질 수는 있으나, 실시예들의 조합이 가능함에 따라 각각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재질이 특정한 실시예 만의 재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언급하여 둔다.
더불어 연결부(130)는 한 쌍의 비강 내에 삽입되는 한 쌍의 본체부(11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부(110)가 코중격(코기둥의 하부, 비주)을 기준으로 양측의 비강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코중격으로부터 비강 내부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본체부(110)와 일체를 이루거나 분리/결합되는 구조를 이루거나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와 필터부(120)와 동일/유사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 언급되는 연결부(130)의 재질은 특정한 실시예 만의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부(130)가 코중격에 끼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언급하여 둔다.
게다가 후술되는 실시예들 각각은 미세먼지를 거르는 필터부(120)의 사용이 비강의 단면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어 종래의 안면 마스크에 대비하여 자재가 낭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필터부(120)를 지지하는 본체부(110)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비강에 설치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참고사항으로, 본 실시예들에 기술된 도면은, 일례로 도 9가 도 9a 및 도 9b와 같이 a, b, c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는 동일/유사한 실시예 들의 보기 방향 또는 동일/유사한 기능의 구성에 대한 다른 형상(예시)을 설명하기 위한 것임을 언급하여 둔다.
- 제1 실시예 : 도 1 내지 도 4 참조 -
제1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100)의 본체부(110)와 필터부(120)는 아래와 같으며, 착용감과 숨쉬기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한 것이다.
본체부(110)는, 비강에 설치되는 프레임을 이루는데, 예를 들어 내측 프레임(111)과 외측 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고, 본체부(110)의 테두리에 끼움홈(113)을 가질 수 있다.
내측 프레임(111)과 외측 프레임(112)은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구분한 것이며, 내측 프레임(111)과 외측 프레임(112)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이룰 수 있고, 다만 내측 프레임(111)과 외측 프레임(112) 사이에 필터부(120)가 끼워지기 위한 오목한 홈구조 즉 끼움홈(113)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프레임(111)과 외측 프레임(112) 각각은 사각 기둥, 원통, 등과 같이 상부와 하부 각각이 개구된 통의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비강에 삽입된 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성인/어린이와 같이 사용자의 비강 길이보다 길이가 짧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내측 프레임(111)의 외측에 외측 프레임(112)이 마련된 구조를 이루되, 내측 프레임(111)과 외측 프레임(112) 사이에는 둘레를 따라 폐곡선의 링 등과 같은 구조가 일체로 마련되어, 본체부(110)가 하나의 프레임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도 2 참조).
여기서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끼움홈(113)이, 본체부(11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마련되도록, 내측 프레임(111)과 외측 프레임(112)을 연결하는 부분은 내측 프레임(111)의 길이방향에서 중심에 마련될 수 있고, 필터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에만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변형예는 다양하다.
더불어 내측 프레임(111)은, 본체부(110)의 중심부를 향해 오므려진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이에 반해 외측 프레임(112)은 본체부(110)의 중심부를 향해 오므려지지 않고 일자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질 경우, 즉 내측 프레임(111)이 본체부(110)의 중심부를 향해 오므려진 구조를 가질 경우, 내측 프레임(111)과 외측 프레임(112) 사이의 끼움홈(113)의 입구(후술되는 지그(1), 핀 등이 삽입되는 초입)는, 내측 프레임(111)이 일자의 구조를 가지는 것에 대비하여, 내측 프레임(111)과 외측 프레임(112)의 초입 간격을 넓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지그(1)의 누름 동작으로 필터부(120)를 삽입/고정할 경우, 지그(1)의 삽입이 용이할 수 있다.
이는 본체부(110)에 필터부(120)를 고정시, 끼움홈(113)의 사방에 지그(1)를 대응시킬 필요없이 끼움홈(113)의 넓은 입구에 지그(1)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배치시킨 후(도 2 참조), 지그(1)를 본체부(110)를 향해 누르면(도 3 참조), 내측 프레임(111)의 오므러진 형상을 따라 지그(1)가 가이드 되면서 끼움홈(113)의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끼움홈(113)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는데, 본체부(110)의 테두리는 내측 프레임(111)과 외측 프레임(112)의 사이를 의미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에 따라 내측 프레임(111)과 외측 프레임(112)이 서로 연결되면서 필터부(12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10)는,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끼움홈(113)에 필터부(120)가 단순히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어, 필터부(120)가 고정되기 위한 별도의 사출물이 필터부(120)에 형성될 필요가 없으므로, 단순히 시트와 같은 필터(망)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구조가 더욱 단순화될 수 있다.
필터부(120)는,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로서의 기능을 이루는 시트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구조의 단순화 및 1회성으로 이용되는 필터부(120)의 구성에 대한 자재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120)는, 끼움홈(113)의 둘레를 따라 눌리면서 끼워져 끼움홈(113)에 결합될 수 있으며, 끼움홈(113)의 둘레면을 따라 삽입되어 본체부(110)에 결합될 때, 본체부(110)의 컴팩트한 사이즈 구현을 위해 필터부(120)가 본체부(110)의 상부 및/또는 하부의 개구부 전체를 커버하면서도 둘레면에 밀착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의 둘레면을 따라 필터부(120)가 접혀지는 부분이 발생되지 않거나 최소화되도록,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필터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부 형상의 전개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끼움홈(113)에 삽입되는 필터부(120)의 외측 영역(122)은, 본체부(110)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필터부(120)의 중심 영역(121)으로부터 연장되되, 끼움홈(113)의 내측 둘레면에 대응되는 면적 및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부(120)는 본체부(110)와 연결되기 위한 부가적인 구성없이, 본체부(110)의 끼움홈(113)에 단순히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널리 이용되고 있는 핀, 바늘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끼움홈(113)에 필터부(120)의 외측 영역(122)을 누르면서 끼울 수 있다.
한편, 핀과 같은 수단을 끼움홈(113)에 넣었다 빼면서 필터부(120)를 본체부(110)에 삽입하여 고정할 필요없이, 바람직하게는 1번 또는 2번의 누름 동작으로 필터부(120)를 본체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끼움홈(113)에 대응되는 구조를 이루는 지그(1)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그(1)는 끼움홈(113)에 대향하여 돌출되는 구조를 이루되, 본체부(110)에서 상부(또는 하부)로 노출되는 끼움홈(113)의 전체 둘레 또는 앞뒤/좌우를 따라 대응되는 구조를 이루어, 즉 끼움홈(113)의 오목한 영역 전체에 한 번에 삽입되거나 좌우/앞뒤에 한 번에 삽입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부(120)를 끼움홈(113)에 삽입시, 지그(1)와 본체부(110) 사이에 필터부(120)를 배치시킨 후 필터부(120)가 끼움홈(113)에 끼움되도록, 지그(1)를 본체부(110)의 끼움홈(113)을 향해 누르는 1 ~ 2회의 동작만으로 필터부(120)를 본체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물론 지그(1)는, 필터부(120)를 본체부(110)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이므로, 필터부(120)를 본체부(110)에 끼운 이후 지그(1)를 본체부(110)로부터 빼내어 분리시킨 다음, 지그(1)와 별도로 코 마스크(100)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100)는, 필터부(120)가 시트만으로 이루어져 필터부(120)를 이루는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고, 핀 또는 지그(1)와 같이 단순한 도구를 이용하여 필터부(120)를 본체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어, 원가절감 및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 제2 실시예 : 도 5 및 도 6 참조 -
제2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100)의 본체부(110)와 필터부(120)는 아래와 같으며, 착용감과 숨쉬기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한 것이며, 특히 본 실시예의 필터부(120)는 교체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본체부(110)는, 제1 실시예와 동일/유사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내측 프레임(111)이 생략되고 외측 프레임(112)만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체부(110)는, 상부에 턱 구조(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으며, 턱 구조는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둘레면으로부터 상단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이루거나,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둘레면으로부터 상단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부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절곡된 구조가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10)는, 필터부(120)의 외곽이 간섭되어 걸리도록 함으로써 필터부(120)의 고정이 용이할 수 있고, 분리시에는 필터부(120)의 외측을 늘려서 본체부(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는 사용되고 난 이후 버려지는 필터부(120)의 특성에 따라 본체부(110)의 중심부를 가로지는 부분 등을 가위 등을 이용해 찢어 내는 등 다양한 형태로 분리가 가능하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본체부(110)는, 연결부(130)에 의해 한 쌍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나, 연결부(130)가 생략되고 개별적으로 비강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130)가 생략됨에 따라 코 마스크(1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체부(110)를 비강으로부터 빼내는 것이 용이하도록,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하부가 내측으로 절곡 또는 구부러진 구조를 이루어, 집게 등을 이용하여 비강의 점막을 건드리지 않고 본체부(110)를 잡아서 꺼낼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120)는, 본체부(110)의 턱 구조에 걸리면서도 밀착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을 가져, 필터부(120)가 팽창/수축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탄성실과 같은 재질이 혼합되는 등 다양한 제조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외곽 둘레면에는 고무 재질 등이 마련되어 고정력이 향상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100)는, 사용 후 버려지는 필터부(120) 만을 교체할 때, 별도의 도구 없이 필터부(120)의 재질 특성을 이용해 분리/결합할 수 있으므로, 교체가 편리할 수 있다.
- 제3 실시예 : 도 7 및 도 8 참조 -
제3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100)의 본체부(110), 필터부(120), 연결부(130)는 아래와 같으며, 착용감과 숨쉬기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한 것이며, 특히 본 실시예의 본체부(110)는 필터부(120)를 고정 및 교체하기 용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본체부(11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유사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베이스체(114A)와 베이스체(114B)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베이스체(114A)는, 비강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비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나, 링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다만 베이스체(114A)의 길이 방향 연장이나 링 구조에 관계없이, 베이스체(114A)의 중심은 관통되는 구조를 가져 필터부(120)를 통해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고, 관통되는 구조를 가로질러 방사형, 십자, 일자 등의 보강 구조물이 마련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베이스체(114B)는, 베이스체(114A)와 동일/유사하게 중심부가 관통되고, 보강 구조물이 마련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베이스체(114B)의 일측은 베이스체(114A)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베이스체(114B)의 타측은 베이스체(114A)의 타측에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필터부(120)의 교체시 베이스체(114B)와 베이스체(114A) 사이를 노출시키거나 덮을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체(114B)가 베이스체(114A)에 결합시, 단순한 끼움 결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체(114B)는, 베이스체(114A)의 상단 둘레에 대응되는 턱을 이루어, 베이스체(114B)의 턱이 베이스체(114A)의 상단에 단순히 끼움되는 방식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비강 내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컴팩트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10)는, 필터부(120)가 교체될 때, 베이스체(114A)를 덮는 베이스체(114B)의 단순한 회전동작만으로 필터부(120)를 삽입/분리할 수 있으므로, 필터부(120)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필터부(120)는, 제1 실시예 동일/유사하게 시트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부(130)는, 한 쌍의 본체부(110)를 연결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탄성실, 고무줄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을 가져 사용자의 코 형태(코중격)에 관계없이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플라스틱,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안정적인 결합을 이루거나, 본체부(110)와 일체로 이루어져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100)는, 사용 후 버려지는 필터부(120) 만을 교체할 때, 별도의 도구 없이 본체부(110)의 구조를 통해 분리/결합할 수 있으므로, 교체가 편리할 수 있다.
- 제4 실시예 : 도 9 및 도 10 참조 -
제4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100)의 본체부(110), 필터부(120), 연결부(130)는 아래와 같으며, 착용감과 숨쉬기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한 것이며, 특히 본 실시예의 본체부(110)는 코 마스크(100)의 착용으로 코의 형상이 옆으로 퍼지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콧대를 높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지지부재(14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본체부(11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유사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강의 길이를 따라 본체부(110)의 길이가 연장되지 않고, 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링 구조는,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고, 홀을 가로질러 필터부(1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필터부(120)의 설치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접착제, 열압착, 양면 테입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30)는, 한 쌍의 링 구조를 가지는 본체부(11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코중격으로부터 비강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지지부재(140)는, 비강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본체부(110) 또는 연결부(130) 중 어느 하나에 비강의 점막에 맞닿게 이루어져,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때 본체부(110)와 연결부(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140)는 본체부(110)와 연결부(130) 사이에서 코의 점막 특히 코의 외측 연골 양측에 맞닿는 영역에 배치되게 마련되되, 본체부(110), 연결부(130), 지지부재(140)가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30), 지지부재(140), 본체부(110)는 하나의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지지부재(140)와 연결부(130)의 내측에는 판 스프링과 같은 지지체(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도 있다.
지지체는,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형상/사이즈를 가지는 외측 연골에 관계없이 자체적으로 외측 연골의 양측에 밀착되도록, 외측 연골의 양측으로부터 코의 중심을 향해 오므려지는 특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지지체는, 실리콘 내부에 내설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어, 비강의 점막에 직접 맞닿는 외면은 실리콘 재질로 인하여 이물감이 최소화될 수 있어, 즉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지지체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지 않아, 코 마스크(10)를 사용시 발생될 수 있는 금속 재질 등의 피부 접촉으로 인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140)는, 코 마스크(100)가 코 깊숙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비강의 길이에 대비하여 짧은 길이를 가지는 타원형의 형태를 가지되, 현대인의 미적 기준에 대응하여 콧대의 높이를 높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10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140)는 링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 것은 물론, 지지부재(140)가 맞닿는 비강 내의 위치에 따라 연결부(140)의 높이가 도 9의 예시들과 같이 짧거나 도 10의 예시들과 같이 도 9에 대비하여 길게 형성될 수 있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는, 도 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140)가 외측 연골의 양측에 맞닿을 경우, 비강 깊숙이 본체부(110)가 삽입되지 않도록, 연결부(130)는 코중격의 단부에 맞닿는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100)는, 지지부재(140)가 외측 연골의 양측에 밀착되되 비강 깊숙이 삽입되지 않는 길이를 가져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 제5 실시예 : 도 11 내지 도 14 참조 -
제5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100)의 본체부(110), 필터부(120), 연결부(130)는 아래와 같으며, 착용감과 숨쉬기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한 것이며, 특히 본 실시예의 코 마스크(100)는 비강에서의 이물감을 개선하도록 비익연골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본체부(110)/필터부(12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본체부(110)/필터부(120)와 동일/유사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본체부(110)가 사용자의 비강에 고정되는 형상을 이루면서 링 형태를 가지고, 본체부(110)의 내측 둘레면 또는 본체부(110)의 상단면을 따라 필터부(120)의 외곽 둘레면이 고정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필터부(120)는 하나의 시트로 이루어져 필터부(120)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으며, 이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효과와 동일/유사하고, 일례로 제1 실시예와 조합되어, 필터부(120)가 본체부(110)의 둘레면에 마련되는 끼움홈(113)의 둘레를 따라 눌리면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지지부재(140)는, 앞서 설명한 제4 실시예의 지지부재(140)와 동일/유사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4 실시예의 지지부재(140)가 비강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10)의 하부에서 비강의 둘레를 따라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는 것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40)는, 본체부(110)의 단부에 마련되며, 비강의 비익연골 안쪽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재(140)는, 본체부(110)의 하부에 마련되며, 비익연골을 향해 마련되어, 비익연골의 반대편(안면을 향하는 방향의 비강 내부)을 노출시킬 수 있어, 점막에 맞닿는 코 마스크(100)의 접척면을 최소화하면서 비강 내에 삽입된 코 마스크(100)로 인한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한 쌍으로 마련되는 본체부(110) 또는 한 쌍의 지지부재(140)를 연결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140)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는 본체부(110)의 하부에 마련되는 지지부재(140)에 연결부(130)가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연결부(130)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비강에 삽입되는 연결부(130)의 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특히 비강 끝에 코 마스크(100)를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점막에 닿는 이물감을 최소화하도록 하도록, 본 실시예의 코 마스크(100)가 비강 깊숙이 삽입되지 않도록 연결부(13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연결부(130)는, 중심영역이 코중격을 두르고, 양단이 지지부재(140)에 연결되되, 지지부재(140)가 비강의 끝에 위치되도록, 연결부(130)의 중심영역은 비강의 하단높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30)가 지지부재(140)의 하단에 일자로 연결되지 않고, 지지부재(140)의 중심으로부터 하측으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코중격의 형상에 대응하여 굴곡을 가지면서도, 비강 내부에 연결부(130)가 일부 유입되는 구조를 가져 안정적인 지지를 이루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100)는 비강의 비익연골 안쪽에 고정되어 접촉면을 최소화하고, 비강의 끝에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점막에서의 이물감을 개선할 수 있다.
- 제6 실시예 : 도 15 및 도 16 참조 -
제6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100)의 본체부(110), 필터부(120), 지지부재(140)는 아래와 같으며, 착용감과 숨쉬기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한 것이며, 특히 본 실시예의 코 마스크(100)는 비강 내측을 덜 자극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연결부(13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유사할 수 있고, 지지부재(140)의 단부에 마련되는 것에 차이가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본체부(110)는, 비강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본체부(110)가 비강 내에 직접 맞닿는 구조를 이루는 것임에 반해, 본 실시예의 본체부(110)는 점막으로부터 이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구된 통 구조를 이루면서, 외경이 비강의 단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본체부(110)는, 비강에 직접 고정되는 것이 아닌, 지지부재(140)의 고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체부(110)는 지지부재(140)의 내측에 마련되어, 본체부(110)가 지지부재(140)에 의해 커버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10)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필터부(120)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부(110)가 직접 점막에 닿지 않는 구조를 가지므로 필터부(120)가 점막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어, 점막 내의 이물질로 인한 필터부(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40)는, 본체부(110)를 커버하는 구조를 이루어 본체부(110)의 외측에서 상단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선형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비강의 내부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10)와 지지부재(140)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점막을 덜 자극할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필터부(1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점막으로부터 이격된 본체부(110)에 마련되어 점막의 이물질로부터 손상이 방지될 수 있고,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달리 후로킹 가공부가 형성된 후로킹 필터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후로킹 가공은, 연질의 재질이 후로킹 가공된 구조를 이룰 수 있어, 탈착식의 필터를 대체할 수 있다. 이때 후로킹 가공으로 연질의 재질을 가공하여 융털과 같은 미세모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므로, 필터부(120)를 개별로 제조할 필요없이, 본체부(110), 지지부재(140), 필터부(120)를 일체로 사출한 이후, 필터부(120)를 이루는 영역을 후로킹 가공으로 형성할 수 있어, 사출 공정이 단순화되고, 별도의 조립이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실시예는, 연질 재질의 코 마스크(100)를 이용하여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사출물로 이루어지는 필터부를 후로킹 가공으로 제조함으로써, 반영구적일 수 있다.
- 제7 실시예 : 도 17 참조 -
제7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100)의 본체부(110), 필터부(120)는 아래와 같으며, 착용감과 숨쉬기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한 것이며, 신축 가능한 코 마스크(100)를 적용하여 비강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게 비강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통 구조 또는 링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신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는, 링(115)과 신축부재(116)을 포함할 수 있다.
링(115)은 신축부재(116)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중심부가 관통되는 링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링에 대비하여 상하로 길이가 연장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신축부재(116)는, 비강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되 신축되는 소재를 이루는 관 또는 구/돔의 형태로 이루어져 다양한 형상의 비강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신축부재(116)는, 탄성실, 실리콘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양파망과 같이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하단이 개구된 형태를 이루지 않아도 무방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120)는 신축부재(116)의 형상에 대응되어 구/돔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링(115)과 신축부재(116) 사이를 가로지르는 시트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실시예는, 신축 가능한 코 마스크(100)를 이용하여 비강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 제8 실시예 : 도 18 참조 -
제8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100)의 본체부(110), 필터부(120)는 아래와 같으며, 착용감과 숨쉬기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한 것이며, 필터부(120)가 마스카라 용기의 브러쉬 필터 구조를 이루어 숨쉬기가 용이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게 비강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통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필터부(120)의 교체를 위해 분리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는, 상체부재(117)과 하체부재(1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체부재(117)는 본체부(110)의 상부를 이루고, 하체부재(118)는 본체부(110)의 하부를 이룰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부가 분리/결합되는 구조를 이룬다면 공지된 다양한 구조가 적용 가능하고, 상하 분리 외에 좌우 분리/결합되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음은 물론이나, 필터부(120)의 축(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본체부(110)의 중심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하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하부 분리되는 구조의 본체부(110)는, 도 18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체부재(117)와 하체부재(118) 각각이 서로 맞물리는 턱 구조(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10)와 필터부(120)의 결합시, 필터부(120)가 본체부(1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상체부재(117)의 상단 중심부에는 필터부(120)의 축이 결합될 수 있는 홈/홀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하체부재(118)는, 도 5 및 도 6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100)와 동일/유사하게 하단부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거나 구부러진 구조를 가져, 집게 등을 이용하여 코 마스크(100)를 빼낼 때 점막에 집게가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필터부(120)는 마스카라 용기의 브러쉬 필터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이는 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모가 서로 어긋나게 마련되어 공기가 유출입은 되면서도 이물질이 복수의 모 사이에 걸림으로써 이물질이 걸러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120)는, 서로 어긋나는 모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면서도, 비강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간의 위치가 어긋나므로, 공기의 유입은 자유롭되 이물질 또한 용이하게 걸러질 수 있는 것이므로,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시트가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미세홀이 형성되는 것에 대비하여, 공기의 유입이 자유로울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숨쉬기 원활할 수 있다.
- 제9 실시예 : 도 19 참조 -
제9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100)의 본체부(110), 필터부(120)는 아래와 같으며, 착용감과 숨쉬기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한 것이고, 팬부(150)가 더 마련되어 숨쉬기가 용이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게 비강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10)는, 둘레부재(110A)와 제1 지지프레임(110B)을 포함할 수 있다.
둘레부재(110A)는, 비강의 길이방향을 따라 둘레가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통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도 19에서는 일자형 통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비강에 대응하도록 상부와 하부의 직경이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고, 둘레면이 그물 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제1 지지프레임(110B)은, 둘레부재(110A)로부터 중심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둘레부재(110A)의 하단 즉 팬부(150)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비강에 설치된 코 마스크(100)를 인식하지 못하고 손가락을 비강에 삽입하더라도 팬부(150)에 손가락이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한 쌍의 본체부(110)가 연결부(130)로 연결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비강에 삽입될 경우, 집게를 이용하여 제1 지지프레임(110B)을 잡아서 빼낼 수 있으므로, 비강으로부터 코 마스크(100)를 분리하기 용이할 수 있다.
더불어 제1 지지프레임(110B)은, 둘레부재(110A)의 하부에서 반 구의 형태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프레임(110B)의 최대 직경이 둘레부재(110A)의 직경과 동일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고정력의 향상 및 착용감 등을 위해 제1 지지프레임(110B)의 직경이 둘레부재(110A)보다 크게 마련될 수도 있다.
게다가, 본체부(110)는 팬부(150)가 설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팬부(150)가 필터부(120)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본체부(110)에 팬부(150)가 설치되는 경우, 제1 지지프레임(110B)에는 팬부(150)의 축부재(150A)가 삽입되는 홈/홀이 형성되어, 제1 지지프레임(110B)에 팬부(150)가 고정될 수도 있다.
필터부(120)는, 팬부(150)가 본체부(110)에 설치되는 경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유사하게 하나의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팬부(150)를 필터부(120)에 설치할 수 있도록, 테두리부재(123), 제2 프레임(124), 시트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부재(123)는, 본체부(1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테두리부재(123)의 외경이 둘레부재(110A)의 내경에 대응되는 구조를 이루어 테두리부재(123)가 둘레부재(110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와 반대로 테두리부재(123)가 둘레부재(110A)의 상단을 커버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2 프레임(124)은, 제1 지지프레임(110B)과 동일 유사하에 테두리로부터 중심으로 연장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테두리부재(123)로부터 테두리부재(123)의 중심영역으로 연장되어 팬부(150)의 축부재(150A)가 삽입되는 홈/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프레임(124)은,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오리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제2 프레임(124)은 테두리부재(123)를 가로질러 팬부(150)의 축부재(150A)가 설치되기 위한 구성이므로, '+, ┬, -'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시트부재(125)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본체부(110)에 하나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필터부(120)가 설치되는 것과 동일/유사하게, 테두리부재(123) 상에 접착제, 양면 테입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120)는, 팬부(150)의 설치를 위해 테두리부재(123)와 제2 프레임(124)을 포함할 수 있으나, 팬부(150)가 본체부(110)에 설치되는 경우 테두리부재(123)와 제2 프레임(124)은 생략되고, 시트부재(125)가 둘레부재(110A)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팬부(150)는, 본체부(110) 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숨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부(150)는, 프로펠러(부호 도시하지 않음)와 축부재(150A)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펠러는, 제1 지지프레임(110B)/제2 프레임(124)으로부터 연장되어 본체부(110)/필터부(120)와 팬부(150)를 연결하는 축부재(150A)를 통해, 본체부(110) 또는 필터부(120)에서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실시예는, 팬부(150)를 마련하여, 전력을 이용한 구동 없이도 숨쉬기를 통한 공기의 흐름만으로 프로펠러가 돌아가고, 이러한 팬부(150)의 작용으로 공기 순환이 원활해져 사용자는 숨쉬기가 편할 수 있으므로, 호흡기 질환을 가진 사용자가 이용하더라도 미세먼지를 거르기 위한 코 마스크(100)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 제10 실시예 : 도 20 내지 도 22 참조 -
제10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100)의 본체부(110), 필터부(120), 연결부(130)는 아래와 같으며, 착용감과 숨쉬기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한 것이고, 필터부(120)가 점막에 직접 닿지 않아 필터부(120)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게 비강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1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둘레부재(110C), 돌기(110D), 중심체(110E)를 포함할 수 있다.
둘레부재(110C)는 앞서 설명한 제9 실시예의 둘레부재(110A)와 동일/유사하게 사용자의 비강에 고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강의 구조에 대응하여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며, 관통홀(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유선형의 통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돌기(110D)는, 둘레부재(110C)의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는 링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둘레부재(110C)에서 상하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110D)는, 하부방향(또는 상부방향)으로 퍼지는 스커트 형태를 가질 수 있어, 비강에 코 마스크(100)를 삽입시 비강의 내면을 따라 스커트 구조의 돌기(110D)가 오므려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따라 비강의 단면적이 상이하더라도 본체부(110)가 점막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중심체(110E)는, 연결부(130)가 결합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연결부(130) 및/또는 둘레부재(110C)에 대응하도록 비강의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연결부(130)의 단부(131)가 결합되도록 관통구조를 가지는 삽입홀(부호 도시하지 않음, 홈구조일 수도 있음)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0F)은, 중심체(110E)로부터 연장되어 둘레부재(110C)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9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의 제2 프레임(124)과 동일 유사하게, 회오리, +, ┬, -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10)의 둘레부재(110C), 중심체(110E), 지지프레임(110F)의 구조는, 제9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의 테두리부재(123), 제2 프레임(124)과 동일/유사할 수 있다. 다만 본체부(110)의 둘레부재(110C)는, 제9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의 테두리부재(123)와 달리 비강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것이 다를 수 있고, 비강의 점막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 다를 수 있다.
필터부(120)는, 비강의 점막으로부터 이격되어 본체부(110)의 관통홀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시트(120A)와 제2 시트(120B)를 구비할 수 있고, 제9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의 테두리부재(123), 제2 프레임(124), 시트부재(125)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필터부(120)의 테두리부재(123), 제2 프레임(124), 시트부재(125)는 본체부(110)의 둘레부재(110C), 중심체(110E), 지지프레임(110F)의 구조와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테두리부재(123), 제2 프레임(124)은 생략되고 시트부재(125)만 본체부(110)의 둘레부재(110C)에 결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여기서 제1 시트(120A)와 제2 시트(120B)는, 재질, 두께, 함유물질 중 어느 하나가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형태/기능을 가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연결부(13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본체부(110)를 연결하는 구성이며, 본 실시예의 연결부(130)는 연결부(130)에 대한 본체부(110)의 각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30)는, 연결부(130)에 대한 본체부(110)의 각도가 고정되도록 턱 구조(131A, 131B, 131C)를 가질 수 있으며, 턱 구조(131A, 131B, 131C)는 연결부(130)의 단부(131)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도 22a, 도 22b, 도 22c와 같이 곡면이 아닌 직선 구조를 통해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연결부(130)의 단부(121)는, 본체부(110)의 삽입홀을 관통한 후, 삽입홀의 단에 간섭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어 고정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실시예는, 연결부(130)에서의 본체부(110)의 각도가 고정되어 비강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시트(120A)와 제2 시트(120B)가 점막에 직접 맞닿지 않고 본체부(110)(또는 필터부(120)의 테두리부재(123))에 의해 보호될 수 있어, 제1 시트(120A)와 제2 시트(120B)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 제11 실시예 : 도 23 내지 도 28 참조 -
제11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100)의 본체부(110), 연결부(130)는 아래와 같으며, 착용감과 숨쉬기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본체부(110)는, 연결부(130)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예를 들어 연질의 본체부(110)가 단단한 재질의 연결부(130)와 결합/분리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연결부(130)로부터 본체부(110)를 분리시 본체부(110)의 형상을 변형시켜 분리할 수 있어 분리가 용이하고, 반대로 연결부(130)에 본체부(110)를 결합할 경우 본체부(110)를 찌그러트려 연결부(130)의 가이드부재(132)보다 단면적을 더욱 작게 형성한 후 연결부(130)에 맞닿는 위치에서 본체부(110)의 형상을 복원시켜 결합시킬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리/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더욱이 단단한 재질의 연결부(130)를 지지구조물로 하여 연질의 본체부(110)를 이용함으로써, 점막 내에 접촉되는 본체부(110)의 이물감 느낌을 최소화하면서도 단단한 재질의 이용에 따른 안정감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게 비강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며 하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통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사용자의 비강에 삽입되고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10)는, 고무, 실리콘 또는 이들이 조합되거나 이들 중 일부가 혼합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통 구조에 대비하여 형상 변형이 용이하며 비강내의 점막과의 접촉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그물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연결부(130)의 가이드부재(132)가 탈착될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연결부(130)를 이용하여 코 마스크(100)를 사용하거나 연결부(130)의 이용없이 코 마스크(100)를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본체부(110)와 연결부(130)의 탈착구조가 용이하도록, 본체부(110)는 끼움홈(1101)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1101)은, 본체부(110)의 하단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끼움홈(1101)에는 본체부(110)의 둘레면으로부터 하단부로 연결부(130)가 이어질 수 있게 절개홈(1102)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10)는,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그물 구조 이외에 변형이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7a 내지 도 27c 및 도 27e를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상단부재(119A), 하단부재(119B), 변형부재(119C)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부재(119A)는 하단부재(119B)와 상하 일렬로 마련될 수 있고, 하단부재(119B)는 연결부(13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7d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단부재(119A)는 비강의 단면에 대응되는 타원형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이에 반해 하단부재(119B)는 원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도 27e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단부재(119A)는 하단부재(119B)에 대비하여 기울어진 배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변형부재(119C)는, 하단부재(119B)와 상단부재(119A)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부로부터 하부로 경사를 이루어 마련될 수 있어, 수직으로 마련되는 구조에 대비하여 경사를 통해 비틀림이 용이할 수 있으므로, 비강에서 형상 변형이 이루어질 때 좌우 폭이 넓어지지 않으면서도 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경사면의 각도 변형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가감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도 27a 와 도 27b에 도시된 각각의 코 마스크(100)의 차이는, 도 27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하단부재(119B)와 상단부재(119A) 사이에 변형부재(119C)외에 본체부(110)의 둘레면을 이루는 보강면(119D)이 구비되는 것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7f를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통 구조를 구비하면서 절첩부재(1111)를 포함할 수 있고, 절첩부재(1111)는 통 구조의 본체부(110) 둘레면에서 비강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 또는 주름이 형성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는 도 27g 및 도 27h를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통 구조를 가지되 둘레면을 따라 복수의 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사방 둘레가 홀을 통해 개방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10)는, 도 27h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홀을 통한 개구부를 통해 트임 구조를 가짐으로써, 형상 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좌우/앞뒤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0)는 연질의 재질(실리콘 등)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연질의 재질 내측에 철사 등과 같은 지지체(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본체부(110)의 형상을 변형시킨 후 추가적인 조작이 없으면 본체부(110)의 형상이 복원되지 않고 유지될 수도 있어, 사용자의 비강 형태에 따라 본체부(110)의 폭을 조절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체부(110)에 삽입되는 필터부(120)는 주머니 구조를 이룰 수 있어, 본체부(110) 둘레면에 형성된 홀을 커버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예로, 도 28을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비강에 대응되는 폐 곡선 구조를 가지되, 본체부(110)의 둘레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거나 오목하여 둘레면에 대비하여 두께가 얇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절개홀(1112)/절개홈(1113)이 마련되어, 절개홀(1112)/절개홈(1113)을 통해 그 주변 영역이 서로 모일 수 있어 폭이 조절될 수도 있다.
연결부(13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유사하게 쌍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10)를 연결하고, 본체부(11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코중격에 대응되는 굴곡을 가지면서 코중격에 끼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연결부(130)는, 도 23, 도 24 및 도 2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32)는, 본체부(110)의 단부에 마련되어 본체부(110)를 지지하고 본체부(110)에 대비하여 단단한 물성(예를 들어 PP일 수 있음)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132)는, 본체부(110)의 끼움홈(1101)에 대응되는 링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끼움홈(1101)의 일부 형상에 대응되어 반원 구조를 이룰 수 있는 바와 같이 폐곡선 또는 개방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재(132)가, 폐곡선 구조를 가지는 경우, 도 2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10)가 가이드부재(132)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가이드부재(132)가, 개방형 구조를 가지는 경우, 개방된 단부가 벌려져 본체부(110)에 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으므로, 구조와 결합방식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본체부(110)가 그물 구조를 가지거나, 변형부재(119C), 절첩부재(1111)를 포함할 수 있어, 형상의 변형이 용이할 수 있으므로, 비강으로부터 코 마스크(100)를 용이하게 삽입/분리할 수 있다.
- 추가 사항 : 도 29 및 도 30 참조 -
본 실시예들의 필터부(120)는, 제10 실시예에 기술한 바와 같이, 제1 시트(120A)와 제2 시트(120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시트(120A)와 제2 시트(120B)는 수분, 아로마 등 다양한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도 2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 시트(120A)와 제2 시트(120B)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필터부(120)의 테두리부재(123)와 제2 프레임(124)을 통해 본체부(1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제2 프레임(124)은 물결, 하트 등의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시트(120A)와 제2 시트(120B) 사이에는, 제11 실시예에서 언급한 보강면(119D)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보강면(119D)에 브랜드 네임, 기능 설명 등을 음악/양각, 스티커 등의 방식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들의 연결부(130)에는 장식부(160)가 마련될 수 있는데, 장식부(160)는 연결부(130)와 개별로 마련되어 연결부(130)에 탈착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장식부(160)가 연결부(130)일 수 있어, 장식부(160)에 의해 한 쌍의 본체부(110)/지지부재(140)가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장식부(160)가 연결부(130)와 개별로 마련되는 경우, 연결부(130)와 색상, 디자인 중 어느 하나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장식부(160)는 여러 형태의 비쥬가 마련되거나 코 걸이를 연상할 수 있는 디자인을 구비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코 마스크(100)를 착용시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 코 마스크 사용기기 실시예 : 도 31 참조 -
본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 사용기기(200)는, 코 마스크(100), 수용부(201, 202), 토출부(203)를 포함하여, 코 마스크(100)를 손으로 직접 비강에 삽입하지 않고, 토출부(203)의 단순한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31a 내지 도 31d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코 마스크 사용기기(200)는 한 쌍의 비강 각각에 하나의 코 마스크(100)를 각각 삽입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며, 이는 코 마스크(100)가 연결부(130)에 의해 한 쌍의 본체부(110)가 연결되지 않고, 본체부(110)가 개별로 마련되는 경우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1e 및 도 31f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코 마스크 사용기기(200)는 한 쌍의 본체부(110)가 연결부(130)에 의해 연결된 코 마스크(100)를 한 쌍의 비강에 한 번의 작동으로 삽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서로 조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코 마스크(100)는, 사용자의 비강에 삽입되어 사용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필터부(120)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일 수 있어, 코 마스크(100)는 한 쌍의 비강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필터부(120)는, 앞서 설명한 코 마스크(100)의 본체부(110)에 설치되어 비강에 삽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코 마스크(100)의 재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코 마스크 사용기기(200)에 컴팩트한 저장이 가능하도록, 팽창 가능한 재질(예를 들어, 압축된 상태로 저장된 후 압축이 해제되어 팽창이 이루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체부(110)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제11 실시예와 같이 접히거나 눌려져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수용부(201, 202)는, 복수 개의 코 마스크(100)가 적층 수용되며 일측에 출구(부호 도시하지 않음, 도 31a 참조시 상단)가 마련될 수 있어,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201, 202)는, 하우징(201), 커버(20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1)은, 내부 공간에 코 마스크(100)가 적층될 수 있고 일측에 출구와 주둥이부(201A)를 가질 수 있으며, 내측에 내통(201B)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10)의 출구는 주둥이부(201A)가 인입되는 구성일 수 있으나, 주둥이부(201A)가 생략되는 경우 코 마스크(100)가 직접 배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주둥이부(201A)는, 출구가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의 비강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주둥이부(201A)의 출구는, 코 마스크(100)가 배출될 수 있으며, 개구부로서 하우징(201)의 출구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주둥이부(201A)는, 하우징(201)에 인입되게 하우징(201)의 내부에 마련되고, 하우징(201)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비강에 삽입될 수 있게 비강의 사이즈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5 실시예의 코 마스크(100)는 비강의 끝에 마련되므로, 주둥이부(201A)가 비강 내에 직접 삽입될 필요없이 비강의 외부에서 코 마스크(100)를 비강 방향으로 밀어넣을 수도 있으므로, 주둥이부(201A)의 사이즈가 비강의 사이즈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주둥이부(201A)는, 하우징(201)에 대한 커버(202)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201)의 일측인 출구로부터 인입 또는 돌출될 수 있고, 공지된 다양한 구조가 적용가능하여, 커버(202)의 회전으로 내통(201B)이 회전되면서 주둥이부(201A)가 돌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게다가 주둥이부(201A)는, 비강 내에 삽입된 코 마스크(100)를 제거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주둥이부(201A)의 모서리를 코 마스크(100)의 내측에 끼워 비강으로부터 빼낼 수 있으나, 코 마스크(100)와의 마찰력 또는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주둥이부(201A)의 외면에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주둥이부(201A)의 외면에 돌기가 마련되는 경우, 코 마스크(100)를 비강에 삽입하기 위해 주둥이부(201A)를 비강에 삽입시 주둥이부(201A) 외면의 돌기가 비강이 점막에 맞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주둥이부(201A)가 다단의 구조를 가지고, 다단의 주둥이부(201A) 중 1번째의 단 구조에서의 외면에 돌기가 마련되며, 2번째 단 구조가 커버(202)의 회전량에 따라 1번째 단 구조의 외면을 노출시키거나 커버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1a를 참조하면 내통(201B)은, 하우징(201)의 내부에 마련되되 하우징(201)의 하부로부터 노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둥이부(201A)의 인입 또는 돌출을 가이드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201)의 하부에서 노출된 내통(201B)은, 커버(202)가 분리된 경우 하부가 노출되어 코 마스크(100)가 리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1c 및 도 31d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주둥이부(201A)가 생략되는 경우, 주둥이부(201A)와 더불어 내통(201B)이 함께 생략되거나, 커버(202)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가 아닌 단순히 코 마스크(100)를 보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하우징(201) 내의 코 마스크(100)는 토출부(203)에 의한 작동만으로 배출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커버(202)는, 도 31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01)에서 출구의 반대편에 마련될 수 있으며, 하우징(201)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202)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통(201B)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단순히 하우징(201)의 하단을 커버하여 하우징(201)의 하부로 리필되는 코 마스크(100)의 노출을 커버할 수 있고, 도 31c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커버(202)가 하우징(201)에서 출구를 커버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게다가 커버(202)의 내측에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는 푸시부에 의해 배출되는 코 마스크(100)가 항시 푸시부에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록 하기 위한 것으로, 스프링이 코 마스크(100)를 하우징(201)의 출구 방향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하우징(201)의 출구 단부 또는 주둥이부(201A)의 출구 단부에는, 토출부(203)의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는 즉 강제적인 배출작동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코 마스크(100)가 하우징(20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코 마스크(100)의 직경보다 작은 턱/돌기 등의 구조가 마련될 수도 있다.
토출부(203)는, 출구가 비강에 인접한 상태에서 수용부(201, 202)에 수용된 코 마스크(100)를 출구 측으로 밀어내어 비강에 코 마스크(100)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부(203)는, 버튼부(203A), 푸시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질 수 있다.
버튼부(203A)는, 하우징(201)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누름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공지된 버튼 구성의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푸시부는, 버튼부(203A)와 연동하여 하우징(20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여 하우징(201) 내에 적층된 코 마스크(100)를 출구 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부의 단부는 코 마스크(100)의 측면에서 마찰을 통해 코 마스크(100)를 밀어낼 수 있다.
더불어, 코 마스크(100)가 연결부(130)를 포함하는 경우, 토출부(203)는 코 마스크(100)의 연결부(130)를 출구 측으로 밀어내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코 마스크(100)를 손으로 직접 비강에 삽입하지 않고, 토출부(203)의 단순한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것은 물론, 코 마스크(100)를 손으로 직접 빼내지 않고도 비강으로부터 코 마스크(100)를 빼낼 수 있으므로 점막에 묻은 이물질이 전이된 코 마스크(100)를 손으로 잡아야 하는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지그 100: 코 마스크
110: 본체부 110A: 둘레부재
110B: 제1 지지프레임 110C: 둘레부재
110D: 돌기 110E: 중심체
110F: 지지프레임 111: 내측 프레임
112: 외측 프레임 113: 끼움홈
114A: 베이스체 114B: 베이스체
115: 링 116: 신축부재
117: 상체부재 118: 하체부재
1111:절첩부재 1112: 절개홀
1113: 절개홈
120: 필터부 121: 필터부의 중심 영역
122: 필터부의 외측 영역 123: 테두리부재
124: 제2 프레임 125: 시트부재
130: 연결부 140: 지지부재
150: 팬부 150A: 축부재
160: 장식부
200: 코 마스크 사용기기 201: 하우징
202: 커버 201A: 주둥이부
201B: 내통 203: 토출부
203A: 버튼부

Claims (9)

  1. 사용자의 비강에 고정되는 형상을 이루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는 필터부; 및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비강의 비익연골 안쪽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링 구조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비익연골을 향해 마련되어, 상기 비익연골의 반대편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한 쌍의 코 각각에 마련되도록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으로 마련되는 상기 본체부 또는 한 쌍의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마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중심영역이 코중격을 두르고, 양단이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되,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비강의 끝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부의 중심영역은 상기 비강의 하단높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마스크.
  6. 사용자의 비강에 설치되는 프레임을 이루고, 테두리에 끼움홈을 가지는 본체부; 및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필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마스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마스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마련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마스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끼움홈의 둘레를 따라 눌리면서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마스크.
KR1020180131444A 2018-10-31 2018-10-31 코 마스크 KR20200048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444A KR20200048866A (ko) 2018-10-31 2018-10-31 코 마스크
PCT/KR2019/012971 WO2020091243A1 (ko) 2018-10-31 2019-10-02 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444A KR20200048866A (ko) 2018-10-31 2018-10-31 코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866A true KR20200048866A (ko) 2020-05-08

Family

ID=7067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444A KR20200048866A (ko) 2018-10-31 2018-10-31 코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88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113A (ko) 2021-05-14 2022-11-22 김회율 코받침형 마스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113A (ko) 2021-05-14 2022-11-22 김회율 코받침형 마스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6737B2 (en) Improved surgical mask with adhesive strip to improve breathing
CN103945890B (zh) 包括鼻部密封部分的接口
JP3649448B2 (ja) 異なる強さの接着係合の領域を有する鼻拡張器
CN103889492B (zh) 呼吸面具的实现更贴合的可自动调节垫
KR200427052Y1 (ko) 머플러겸용 마스크
HUE030987T2 (en) Respiratory Nasal Filter
KR20200048860A (ko) 코 마스크
KR101650167B1 (ko) 다기능 마스크
CN205730013U (zh) 面罩及用于面罩的净化组件
KR101171703B1 (ko) 코주머니형 마스크
KR20200048866A (ko) 코 마스크
JP3733451B2 (ja) 衛生マスク
KR20200048863A (ko) 코 마스크
KR20200048868A (ko) 코 마스크와 코 마스크 사용기기
US7530354B2 (en) Distending nasal air filter
JP2006217936A (ja) 二重構造マスク
KR200389342Y1 (ko) 코입분리마스크
KR102624660B1 (ko) 마스크
US20210346632A1 (en) Nose respirator device
KR200485587Y1 (ko) 비강 삽입형 마스크
KR20200001348U (ko) 기능 가변형 마스크
JP2005152030A (ja) 簡易マスク
KR100837382B1 (ko) 햇빛가리개
CN212880649U (zh) 可折叠可复用的呼吸器与可折叠可复用的防病毒呼吸器
US20230173311A1 (en) Nasal mask and associated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