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769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769A
KR20200048769A KR1020180131218A KR20180131218A KR20200048769A KR 20200048769 A KR20200048769 A KR 20200048769A KR 1020180131218 A KR1020180131218 A KR 1020180131218A KR 20180131218 A KR20180131218 A KR 20180131218A KR 20200048769 A KR20200048769 A KR 20200048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abinet
processing apparatus
clothing processing
packag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청운
지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1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8769A/ko
Priority to PCT/KR2019/014411 priority patent/WO2020091399A1/en
Publication of KR20200048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1Arrangements for transporting, moving, or setting washing machines; Protective arrangements for use during transpor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중 외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이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안착부에 반사되는 빛을 분산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의 변형 또는 부식이 외부에서 식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가 보급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이나 탑 로드(top load)타입으로 나뉜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전방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일정 경사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말하며, 탑 로드(top load)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말한다.
근자에는, 아기옷 또는 속옷과 같이 소량으로 자주 세탁하는데 적합한 보조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보조의류처리장치는 기존의류처리장치와 함께 사용되어 양이 작은 의류는 상기 소형 의류처리장치로 세탁하고, 양이 많거나 부피가 큰 의류는 상기 대형 의류처리장치로 세탁할 수 있어 물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보조의류처리장치는 기존의류처리장치와 분리되어 독자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이러한, 보조의류처리장치는 터브의 너비가 높이보다 더 길게 구비되어 운송과정에서 복수의 의류처리장치를 적층하여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운송과정에서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보조의류처리장치의 표면에는 PET 필름 또는 비닐로 덮여지거나, 스티로폼과 같은 완충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보조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은 금속재질로 구비된 모재와, 광택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모재의 표면에 도포되는 도막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도막은 모재를 외부의 충격에 보호할 뿐만 아니라, 모재가 수분 등과 화학반응 하여 변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복수의 의류처리장치가 적층될 때와 같이, 상기 도막에 과도한 하중이 부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막이 상기 플라스틱 비닐 또는 상기 완충부재에 의해 변형되거나, 화학반응이 발생하여 부식되는 문재가 있었다.
따라서, 운송이 완료되어 플라스틱 필름이나 완충부재가 제거될 때 상기 캐비닛의 표면에 변형이나 부식이 외부에 노출되어 제품이 신뢰성을 하락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캐비닛의 표면이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되거나, 화학반응을 통해 영구적으로 오염되거나 녹이 슬더라도(이하, 부식이라 한다) 외부에서 식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캐비닛의 표면이 완충부재 또는 PET 필름, HDPE, 비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캐비닛이 완충부재 또는 PET 필름, HDPE, 비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부분의 강도를 강화하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캐비닛의 표면에 난반사를 발생시켜 부식이나 변형의 식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캐비닛이 표면의 부식이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이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나 마찰로 인한 흠집의 발생을 차단하는 포장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 반사되는 빛을 분산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의 변형 또는 부식이 외부에서 식별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산부를 더 포할 수 있다.
상기 분산부는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도 상기 완충부재 또는 상기 포장재와 이격되도록 상기 안착부에서 함몰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분산부로 조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분산하여 반사 시키도록 변곡점이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분산부로 조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분산하여 반사 시키도록 단면 전체가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산부는 상기 복수의 함몰부 사이 마다 연장되어 구비되어 상기 완충부재 또는 포장재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에 조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분산하여 반사시키도록 변곡점이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에 조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분산하여 반사시키도록 단면 전체가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변곡점이 상기 안착부와 동일한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변곡점이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보다 더 높게 돌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산부는 상기 안착부에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완충부재 또는 포장재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접촉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는 상단에 상기 완충부재 또는 포장재를 지지하는 지지면과, 측부에 상기 완충부재 또는 포장재와 이격되는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은 조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분산하여 반사 시키도록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면은 조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분산하여 반사 시키도록 외주면이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접촉돌기의 간격은 상기 접촉돌기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모재와, 상기 모재를 코팅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도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포장재가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완충부재와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분산부는 상기 포장재가 상기 도막을 부식시키거나 변형시키더라도 상기 도막의 변형 또는 부식이 외부에서 식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캐비닛의 표면이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되거나, 화학반응을 통해 영구적으로 오염되거나 녹이 슬더라도(이하, 부식이라 한다) 외부에서 식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캐비닛의 표면이 완충부재 또는 PET 필름, HDPE, 비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캐비닛이 완충부재 또는 PET 필름, HDPE, 비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부분의 강도를 강화하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캐비닛의 표면에 난반사를 발생시켜 부식이나 변형의 식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캐비닛이 표면의 부식이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운반을 위해 포장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표면이 부식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표면의 부식이나 변형을 방지하거나 최소화 할 수 있는 분산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상기 분산부의 기능과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상기 분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2),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3)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2)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단순히 상기 드로워(3)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캐비닛(2)의 전방면에는 드로워(3)가 삽입되는 개방면(21)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2)의 상부면(22)에는 별도의 의류처리장치를 지지하거나, 완충부재가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지지부(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21)는 상기 캐비닛(2)의 상부면(22)의 각 모서리마다 구비될 수 있고,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2)의 상부면(22)은 상기 지지부(221) 사이에 후술하는 완충부재가 안착되어 고정되거나, PET 필름 또는 HDPE 재질의 비닐이 부착될 수 있는 안착부(2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는 상기 개방면(21)을 통해 캐비닛(2)의 내부로 삽입되는 드로워 바디(31),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에 고정되어 상기 개방면(21)을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33),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드로워 커버(35)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은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드로워 바디(31)를 캐비닛(2)에서 인출하는 핸들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과 관련된 제어명령을 입력 및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컨트롤패널(3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31)는 상기 개방면(21)을 통해 캐비닛(2)에 삽입될 수 있는데, 도 1은 내부가 비어있는 육면체 형상의 드로워 바디(31)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로워 커버(35)에는 드로워 바디(3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관통부(351)이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바디(31) 내부에 후술할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관통부(351)은 의류의 출입을 위해 구비된다.
상기 제1관통부(351)은 상기 의류가 출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제1관통부(351)은 후술할 도어(45)가 개폐되는 구조이므로 배면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양단에 구비된 곡선부를 구비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제1관통부(351)은 반원형상으로 구비되거나, 반트랙(Half track)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부(351)은 상기 도어(45)에 의해 개패될 수 있다. 상기 도어(45)는 힌지(453)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451),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윈도우(455), 상기 프레임(451)을 상기 드로워커버(35) 또는 상기 드로워바디(31) 내부에 수용된 구성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도어 핸들(45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45)는 상기 힌지(453)를 통해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되며 상기 제1관통부(351)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45)는 상기 드로워 커버(35)를 기준으로 상부에서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45)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드로워(3) 내부에 수용된 구성 등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45)는 상기 드로워커버(35)의 상부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45)는 상기 힌지(453)를 기준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453)가 설치된 곳은 직선으로 구비되고, 상기 힌지(453)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은 의류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곡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곡선의 양단이 상기 직선의 양단과 결합된다면 상기 곡선은 어떠한 곡률을 구비하더라도 무방하다. 예를들어, 상기 도어(45)는 상기 재1관통부(351)과 같이 반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트랙(track)형상의 절반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통부(351)은 상기 도어(45)와 형상은 같되 그 배율이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핸들(457)은 상기 도어(45)가 균형있게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451)의 전방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457)은 상기 프레임(451)의 전방 중심부에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45)가 개폐될 때 상기 핸들(457)을 중심으로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도어(45)의 자중이 쏠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상기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된 경우, 사용자가 터브 바디(41)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윈도우(455)는 투명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드로워(3)에는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과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4, 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수용부(4,5)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4) 및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4)는 상기 드로워 바디(31) 내부에 위치하여 물이 저장되는 터브 바디(41), 상기 터브 바디(4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 커버(43)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 바디(41)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에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4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커버(43)는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를 상기 터브 바디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431),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공급구(4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431)는 드로워 커버에 구비된 제1관통홀(351)의 하부에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공급구(433)는 후술할 제2급수관(75)에 연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입구(431)는 터브 바디(41) 내부로 의류를 공급하거나 터브 바디(41) 내부의 의류를 터브 바디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투입구(431)는 상기 도어(45)에 의해 개폐된다. 이때, 상기 도어(45)는 상기 터브커버(43)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45)는 상기 투입구(431)의 상부 외주면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45)는 상기 투입구(431) 상부 영역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터브바디(41) 내부에 수용된 의류나 세척수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터브(4)는 터브지지부(47)를 통해 드로워 바디(31)에 결합하는데, 상기 터브지지부(47)는 드로워 바디(31)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471), 터브 바디(41)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473),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47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75)는 제1지지부(471)에 안착되는 제1연결부(475a), 제2지지부(473)를 지지하는 제2연결부(475b),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연결하는 바(bar, 475c)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475a)는 상기 제1지지부(471) 내부에 안착하되 제1지지부(471) 내부에서 운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부(475b)는 상기 제2지지부(473)를 지지하되 제2지지부(473) 내부에서 운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적어도 3개 이상의 터브지지부(47)가 터브 바디(41)를 드로워 바디(31)에 결합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475c)가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바(475c)가 드로워(3)의 높이방향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터브 커버(43)와 상기 드로워 커버(35)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상기 터브지지부(47)는 상기 터브 바디(41)가 드로워 바디(31) 내부에서 진동하더라도 상기 터브 커버(43)가 드로워 커버(35)에 충돌할 가능성을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터브(4)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5)은 상부에 개방면(53)이 구비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5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방면(53)은 상기 투입구(431)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투입구(431)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는 개방면(53)을 통해 드럼 바디(51)로 공급될 것이다.
한편, 상기 드럼 바디(51)의 바닥면과 원주면에는 드럼 바디(51) 내부를 터브 바디(41)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드럼관통홀(5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51)는 구동부에 의해 터브 바디(41) 내부에서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는 터브 바디(41)의 외부에 위치하되 터브 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스테이터(M1), 상기 스테이터가 제공하는 회전자계(rotating field)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M2), 상기 터브 바디(4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바닥면(57)과 로터(M2)를 연결하는 회전축(M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M3)은 터브 바디(41)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급수부(7)를 통해 터브(4)에 물을 공급하고, 배수부(8)를 통해 터브(4)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2)의 외부로 배출한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포장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운송과정에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부재(11)에 의해 포장(packing)될 수 있다.
완충부재(11)는 캐비닛(2)의 각 모서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캐비닛(2)의 모서리 마다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11)는 상기 캐비닛(2)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캐비닛(2)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하부완충부재(113)와, 상기 캐비닛(2)의 상부면 양측에 장착되는 상부완충부재(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완충부재(113)는 상기 캐비닛(2)의 하부면보다 더 면적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고, 내부에 상기 캐비닛(2)의 하부면이 수용될 수 있도록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하부완충부재(113)는 상기 캐비닛(2)의 외주면 모서리 뿐만 아니라 상기 캐비닛(2)의 하부면 전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운송과정에서 진동이 발생하여도 상기 하부완충부재(113)는 상기 캐비닛(2)과 결합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상부완충부재(111)는 상기 하부완충부재(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운송종료 후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2)의 일부 모서리에만 장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부완충부재(111)는 상기 캐비닛(2)에 장착된 위치가 유지되고, 최대한 많은 부분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2)의 4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완충부재(111)는 상기 캐비닛(2)의 안착부(222)에 면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완충부재(111)는 상기 캐비닛(2)의 상부면(22)의 일측에 안착되는 안착바디(111a)와, 상기 안착바디(111a)의 양단 및 일측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 및 후방면, 측면의 일부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접촉바디(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바디(111b)는 상기 안착바디(111a)의 3모서리에서 직각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접촉바디(111b)와 상기 안착바디(111a)가 이루는 공간은 상기 캐비닛(2)의 상부 일측면과 대응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상부완충부재(111)는 상기 캐비닛(2)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완충부재(111)는 상기 캐비닛(2)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111)는 추가적으로, 상기 상부완충부재(111) 사이 공간을 완충하도록, 상기 캐비닛(2)의 상부면과 일측면만을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보조완충부재(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완충부재(112)는 단면이 'L'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2)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2)의 상부면(22)은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으로서, 작은 흠집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돋보이게 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캐비닛(2)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는 별도의 포장재(10)로 더 보호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10)는 플라스틱 비닐 또는 폴리에틸렌(PE) 필름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3은 상기 포장재(10)가 플라스틱 비닐로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캐비닛(2)의 상부면(22)에 부착될 수 있는 HDPE 또는 PE-BAG과 같은 필름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포장재(10)는 상기 캐비닛(2)의 상부면이 완충부재(11)나 별도의 부품 등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여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재(10)는 투명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포장재(10)를 제거하지 않아도 상기 캐비닛(2)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포장재(10)는 상기 캐비닛(2)의 상부면(22)을 전부 커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도 있으나, 상기 완충부재(11)가 설치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4는 상기 포장재(10)와 상기 완충부재(11)로 인해 상기 캐비닛(2)이 부식될 수 있는 가능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4(a)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2)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이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11)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안착부(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22)에는 상기 상부완충부재(111) 또는 상기 보조완충부재(112)가 면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포장재(10)와 우선적으로 면접촉될 수도 있다.
도4(b)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2)은 외관을 형성하는 모재(22a)와, 상기 모재의 표면을 코팅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도막(2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재(22a)는 높은 강성과 강도를 위해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막(22b)은 상기 금속재질로 구비된 모재(22a)의 표면과 외부 환경이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모재(22a)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막(22b)은 광택을 낼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2)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막(22b)의 상부에는 상기 포장재(10)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재(10)가 상기 도막(22b)에 부착될 때, 상기 도막(22b) 사이에는 공기나 수분이 미량으로 남아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2) 고온 다습한 환경에 배치될 경우에는 상기 도막(22b)과 상기 포장재(10)가 화학반응을 일으켜 상기 도막(22b)이 영구적으로 부식되거나 오염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포장재(10)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 (-CH2-CH2)n 중합체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도막(22b)의 표면에는 OH-가 잔류하는 경우에, 상기 도막(22b)이 부식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상기 도막(22b)이 부식되는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상기 도막(22b)과 상기 포장재(10)가 다른 방식으로 부식될 수도 있고, 상기 완충부재(11)로 인해 부식될 수 도 있다.
도4(C)를 참조하면, 상기 포장재(10)와 상기 도막(22b)이 고온다습한 환경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캐비닛(2)의 상부에 별도의 보조의류처리장치가 적층되는 등 상당한 하중이 상기 캐비닛(2)의 상부면에 부가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상기 포장재(10)와 상기 도막(22b) 사이에는 수분이 증발되거나 투입되는 것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상기 도막(22b)도 열적 팽창과 수축이 반복되어 상기 도막(22b)은 연화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OH- 또는 포장재(10)의 CH2가 화학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도4(d)를 참조하면, 이렇게 발생한 화학물질은 상기 연화된 도막(22b)을 침투하여 상기 도막(22b)을 염색시키거나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상기 포장재(10)가 상기 도막(22b)에서 제거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화되거나 오염된 도막(22b)의 일부가 떨어져 나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도막(22b)의 광택이 저하되거나, 상기 도막(22b)의 성질이 영구적으로 변형되거나, 상기 도막(22b)의 표면이 물리적으로 손상되는 등의 부식(p)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도막(22b) 중에 부식된 부분(P)은 주위 도막(22b)들에 비해 돋보이기 때문에 심미감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신뢰성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222)의 도막(22b)의 부식을 방지하거나, 부식되더라도 이를 외부에서 식별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이는 상기 도막(22b)의 부식은 모재(22a)의 부식이 아니므로 제품의 신뢰성에는 지장가 없기 때문에, 외부에서 식별되지만 않으면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도5는 상기 안착부(222)의 변형 또는 부식을 방지하거나, 외부에서 식별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캐비닛(2)은 상기 안착부(222)에 반사되는 빛을 분산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의 변형 또는 부식이 외부에서 식별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산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부(24)는 상기 완충부재(1)가 상기 안착부(222)에 안착되어도 상기 완충부재(11)와 이격되도록 상기 안착부에서 함몰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함몰부(242)와, 상기 복수의 함몰부(242) 사이 마다 연장되어 구비되어 상기 완충부재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접촉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42)와 상기 접촉부(241)는 상기 안착부(222)를 프레스 성형하는 방식으로 상기 안착부(222)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42)와 상기 접촉부(241)는 변곡점(상단 또는 하단)이 곡면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전체가 곡면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242)와 상기 접촉부(241)는 상기 안착부(222)에서 상기 상부완충부재(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상부완충부재(111)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42)는 상기 안착부(222)의 하부로 오목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접촉부(241)는 상기 안착부(222)와 동일한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241)는 상기 안착부(222)와 함께 외부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상기 분산부(24)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접촉부(241)가 상기 안착부(222)의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함몰부(242)의 하단이 상기 안착부(222)와 나란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접촉부(241)가 상기 포장재(10) 또는 상기 완충부재(11)와 접촉하게 되어 안착부(222)의 오염이나 변형이 미연에 방지 될 수 있다.
도6은 상기 분산부(24)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6(a)와 도6(c)는 상기 안착부(222)에 분산부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6(b)와 도6(d)는 상기 안착부(222) 상기 분산부(24)가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a)를 참조하면, 상기 안착부(222)의 상부에 포장재(10) 또는 완충부재(11)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22)는 단면이 직선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안착부(222) 전체 면적(S1)에 상기 포장재(10) 또는 완충부재(11)가 안착될 수 있다.
도6(b)를 참조하면, 상기 안착부(222) 전체에 상기 포장재(10) 또는 완충부재(11)가 안착되므로 상기 안착부(222)의 표면전체에 부식된 영역(P)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222)가 평면으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안착부(222)에 조사된 빛이 균일하게 반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부(222)로 빛이 조사되면, 상기 부식된 영역(P)에 빛이 그대로 반사되어 외부에서 상기 안착부(222)의 부식된 영역(P)을 그대로 식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분산부(24)가 구비되지 않으면, 상기 안착부(222)에 부식된 영역(P)이 매우 과도할 뿐만 아니라, 상기 부식된 영역(P)도 외부에서 그대로 식별될 수 있다.
도6(b)를 참조하면, 상기 접촉부(241)의 상단의 면적(s2)만 상기 포장재(10) 또는 상기 완충부재(11)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함몰부(242)에 해당하는 영역은 상기 포장재(10)와 상기 완충부재(11)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안착부(222)가 상기 포장재(10)와 상기 완충부재(11)에 접촉되는 영역이 크게 감소되어, 부식된 영역(P)도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도6(d) 참조)
또한, 상기 접촉부(241)에 조사되는 빛은 접촉부(241) 접선의 수직선에 대칭으로 반사된다. 한편, 상기 접촉부(241)의 변곡점(상단)이 곡선으로 구비되면, 상가 접촉부(241)의 변곡점을 형성하는 각 지점의 접선각도가 다 다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241)의 변곡점이 부식(P)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역이므로, 상기 변곡점에 반사되는 빛의 방향(I)은 전부 다 다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접촉부(241)의 부식된 영역(P)에서 난반사가 발생하게 되어 한 곳으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부식된 영역(P)의 식별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241)의 변곡점 뿐만 아니라 단면 전체가 곡면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오염된 영역(P)과 오염되지 않는 영역 전체에서 빛이 난반사 되므로 더욱 오염된 영역(P)이 외부에서 식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몰부(242)도 변곡점(하단)도 단면이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242)의 변곡점에 조사되는 빛도 반사되는 방향(II)이 전부 다를 수 있다. 상기 함몰부(242)의 도막(22b)은 전혀 오염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함몰부(242)의 변곡점에서 반사되는 빛(II)은 정상상태의 도막(22b)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함몰부(242)의 변곡점에서 반사되는 빛(II)과 상기 부식영역(P)에서 반사되는 빛(I)이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식영역(P)에서 반사되는 빛(I)이 희석되거나 해상도가 감소하게 되어, 상기 부식영역(P)에 대한 식별력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함몰부(242)의 단면 전체가 곡면으로 구비되면, 상기 함몰부(242)에서 조사되는 빛이 다양한 방향으로 분산되어 반사되므로 거의 모든 영역에 정상상태의 도막(22b)의 시각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부식영역(P)이 존재하더라도 외부에서 식별되는 것이 거의 차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함몰부(242)는 변곡점 또는 전체가 곡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분산부(24)로 조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분산하여 다양한 방향(II)으로 반사시키므로, 상기 접촉부(241)의 부식영역(P)이 외부에서 식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몰부(242)의 너비는 상기 접촉부(241)의 너비(S2)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함몰부(22)는 더 많은 영역에 정상상태의 도막(22b)에서 반사된 빛을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촉부(241)도 변곡점 또는 전체 영역이 전부 곡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분산부(24)로 조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다양한 방향(I)으로 반사시키므로, 상기 접촉부(241)의 부식된 영역(P)의 식별력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도7은 상기 분산부(2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분산부(24)는 상기 안착부(222)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접촉돌기(2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244)는 상단에 상기 완충부재 또는 포장재를 지지하는 지지면(244a)과, 측부에 상기 완충부재 또는 포장재와 이격되는 반사면(24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224a)은 상기 완충부재 또는 포장재로 인해 부식된 영역(P)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면(224a)는 곡면으로 구비되어 조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분산하여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식된 영역(P)이 외부에서 식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면(224b)은 조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분산하여 반사시키도록 외주면이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접촉돌기(244)의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면(224b)으로 조사되는 빛은 사방으로 분산되므로 정상상태 도막(22b)에서 반사된 빛을 더 많은 영역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돌기(244)들의 간격(L)은 상기 접촉돌기(224)의 직경(D1)보다 작을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접촉돌기(244)가 상기 안착부(222)에서 돌출되어 구비되어도 상기 완충부재(11)나 상기 포장재(10)를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면(224b)에 조사되거나 상기 안착부(222)를 향하여 조사된 빛이 적어도 1회 이상 복잡하게 난반사 되므로 부식된 영역(p)이 외부에서 식별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0 포장재 11 완충부재
2 캐비닛 22 상부면 222 안착면
24 분산부 241 접촉부 242 함몰부
244 접촉돌기

Claims (15)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이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나 마찰로 인한 흠집의 발생을 차단하는 포장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 반사되는 빛을 분산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의 변형 또는 부식이 외부에서 식별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부는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도 상기 완충부재 또는 상기 포장재와 이격되도록 상기 안착부에서 함몰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분산부로 조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분산하여 반사 시키도록 변곡점이 곡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분산부로 조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분산하여 반사 시키도록 단면 전체가 곡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부는
    상기 복수의 함몰부 사이 마다 연장되어 구비되어 상기 완충부재 또는 포장재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에 조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분산하여 반사시키도록 변곡점이 곡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에 조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분산하여 반사시키도록 단면 전체가 곡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변곡점이 상기 안착부와 동일한 높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변곡점이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보다 더 높게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부는
    상기 안착부에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완충부재 또는 포장재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상단에 상기 완충부재 또는 포장재를 지지하는 지지면과,
    측부에 상기 완충부재 또는 포장재와 이격되는 반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조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분산하여 반사 시키도록 곡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조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분산하여 반사 시키도록 외주면이 곡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돌기의 간격은 상기 접촉돌기의 직경보다 작아 조사되는 빛이 복수의 상기 반사면에서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모재와,
    상기 모재를 코팅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도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포장재가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완충부재와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분산부는
    상기 포장재가 상기 도막을 부식시키거나 변형시키더라도 상기 도막의 변형 또는 부식이 외부에서 식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80131218A 2018-10-30 2018-10-30 의류처리장치 KR20200048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218A KR20200048769A (ko) 2018-10-30 2018-10-30 의류처리장치
PCT/KR2019/014411 WO2020091399A1 (en) 2018-10-30 2019-10-30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218A KR20200048769A (ko) 2018-10-30 2018-10-30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769A true KR20200048769A (ko) 2020-05-08

Family

ID=7046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218A KR20200048769A (ko) 2018-10-30 2018-10-30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48769A (ko)
WO (1) WO202009139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8874B2 (ja) * 1998-03-25 1999-11-15 アンリツ株式会社 電子機器用筐体
JP4684099B2 (ja) * 2005-12-22 2011-05-1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用ケース
JP4911769B2 (ja) * 2007-04-04 2012-04-04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CN108350598B (zh) * 2015-10-30 2021-03-30 苹果公司 具有增强特征的阳极膜
KR20180098015A (ko) * 2017-02-24 2018-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1399A1 (en)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3132B2 (en) Laundry machine
KR102583490B1 (ko) 의류처리장치
US20090211313A1 (en) Water-circulating household appliance with an embossed washing drum
EP2103732B1 (en) Tumble dryer
KR20170095656A (ko) 방열구조를 갖는 세탁기
KR10257062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AU2013245562B2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264982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48769A (ko) 의류처리장치
JP4535968B2 (ja) 洗濯機
US7810410B2 (en) Drum and washing machine or dryer using the same
US2023018390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427949B2 (en) Washing machine
CN101439192A (zh) 洗涤物处理装置
KR102148656B1 (ko) 의류처리장치
US20170145622A1 (en) Closure panel and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same
US20230183913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07098185A (ja) ドラム式洗濯機
US20190382938A1 (en)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KR20070078104A (ko) 드럼식 세탁기
KR102668745B1 (ko) 의류처리장치
WO2022029866A1 (ja) 洗浄システム
KR10245574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70096316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제함
KR102287102B1 (ko) 의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