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658A -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48658A KR20200048658A KR1020180130960A KR20180130960A KR20200048658A KR 20200048658 A KR20200048658 A KR 20200048658A KR 1020180130960 A KR1020180130960 A KR 1020180130960A KR 20180130960 A KR20180130960 A KR 20180130960A KR 20200048658 A KR20200048658 A KR 202000486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dental
- connecting arm
- surgical instrument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17—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having means for manually controlling the supply of two or more fluids, e.g. water and 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4—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with or without rinsing means therefor, e.g. dental basins, spittoons, cuspid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는, 본체부;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고 양 단부 간의 거리가 조절 가능한 제1 연결암부; 일 단부가 상기 제1 연결암부의 상기 일 단부의 반대 측 단부와 결합되는 제2 연결암부; 상기 제2 연결암부의 일 지점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치과용 시술기구를 거치 가능한 시술기구 거치부; 상기 본체부의 일 면에서 뻗어 나오고, 끝단이 상기 제1 연결암부의 일 지점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케이블부; 및 상기 제1 케이블부의 상기 끝단 및 상기 치과용 시술기구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케이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체어 유니트는 치과에서 수진자를 수용하는 체어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이외에 각종 치과용 시술기구를 거치할 수 있는 구성 및 치과 진료에 필요한 진료수를 공급하는 구성 등을 포함하여, 의료진이 수진자에게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주는 장비이다.
상기 진료수를 공급하는 구성은 일반적으로 타구대에 포함된다. 타구대는 기본적으로 수진자가 양치한 물이나 침을 뱉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공급된 진료수를 분배하여 양치를 위한 급수구나 핸드피스와 같은 치과용 시술기구에 제공하는 배관을 내부에 포함한다.
치과용 시술기구에 진료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배관과 상기 치과용 시술기구는 연질의 튜브로 연결된다. 이러한 튜브는 상기 배관에서 출발하여, 치과용 시술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시술기구 거치대에 거치된 치과용 시술기구 사이에서 늘어 뜨려져 있게 된다.
상기 시술기구 거치대는 암(arm)을 통해 지지된다. 상기 암(arm)은 자세 조절이 용이한 것이 치과 진료에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암 그 자체의 길이가 조절될 경우,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암의 길이를 조절하는 설계는 상기 튜브의 길이에 제한을 받게 된다. 암의 길이가 길어질 때에 대응하여 튜브의 길이를 설계할 경우에 암의 길이가 짧아질 때에는 튜브가 바닥면에 끌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튜브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복수의 튜브 간에 꼬임이 발생하거나, 상기 암의 관절 등에 끼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도 생긴다. 따라서, 치과 진료의 편의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한 암의 길이 조절 구성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암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치과 진료 시 작업 공간을 편리하게 조정 가능한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료수 공급 튜브를 포함하는 케이블이 바닥면에 닿거나 꼬이는 현상이 없는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는, 본체부;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고 양 단부 간의 거리가 조절 가능한 제1 연결암부; 일 단부가 상기 제1 연결암부의 상기 일 단부의 반대 측 단부와 결합되는 제2 연결암부; 상기 제2 연결암부의 일 지점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치과용 시술기구를 거치 가능한 시술기구 거치부; 상기 본체부의 일 면에서 뻗어 나오고, 끝단이 상기 제1 연결암부의 일 지점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케이블부; 및 상기 제1 케이블부의 상기 끝단 및 상기 치과용 시술기구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케이블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암부의 일 지점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케이블부의 상기 끝단과 상기 제2 케이블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는, 엘보 파이프 및 상기 제1 연결암부에 체결되어 상기 파이프를 상기 제1 연결암부에 매다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암부는 상기 본체부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수평하고, 상기 제2 연결암부는 상기 바닥면에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연결암부는 상기 본체부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수평하고, 상기 제2 연결암부는 상기 제1 연결암부와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암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일 측면에 인출입 가능한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에 인출입 가능한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부의 상기 끝단은,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상시 노출되는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케이블부의 중간의 일 지점이, 상기 제2 연결암부의 상기 일 단부의 반대측 단부 또는 상기 시술기구 거치부에 부착 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블부는 하나의 제1 진료수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블부는 복수의 제2 진료수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제1 진료수 공급관의 끝단에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 공급관이 연결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기구를 포함하는 커넥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료수 공급관의 상기 끝단과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 공급관은 상기 분기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 공급관으로 인입되는 진료수의 유량을 조절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치과용 체어 유니트의 타구대 및 체어 지지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는 암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치과 진료 시 편리하게 조정 가능한 작업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는 진료수 공급 튜브를 포함하는 케이블이 바닥면에 닿거나 꼬이는 현상이 없어 안전하고 위생적인 진료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기존 치과용 체어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의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기존 치과용 체어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외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체어 유니트(10)는 수진자를 수용하는 체어(16), 핸드피스, 스케일러와 같은 시술기구나 진료 차트 등을 거치하는 테이블(17), 수진자가 양치한 후 뱉어내는 진료수나 침을 수용하여 배출하는 타구대(11)를 포함한다.
상기 타구대(11)의 내부에는 일반적으로는 진료수의 급수가 가능한 배관 구성이 포함된다. 상기 진료수는 펌프 등을 통해 가압이 된 상태로 타구대(11)에 설치된 급수구 및 상기 치과용 시술기구에 공급되어, 수진자의 양치용이나, 치과용 시술기구의 구동용으로 사용된다.
치과용 체어 유니트(10)는 이외에도 수진자의 구강을 비추는 조명(19), 엑스선 영상이나 진료기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18)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100)는, 본체부(200), 제1 연결암부(300), 제2 연결암부(400), 시술기구 거치부(500), 제1 케이블부(600) 및 제2 케이블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200)는, 치과용 체어 유니트(10)의 타구대(11) 및 체어 지지부(1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연결암부(300)는 타구대(11)의 일측면에 연결되거나, 상기 체어 지지부(15)의 일 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블부(600) 또한 타구대(11)의 일측면에 연결되거나, 상기 체어 지지부(15)의 일 면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케이블부(600)는 연질의 튜브로 이루어진 제1 진료수 공급관(6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진료수 공급관(610)은 상기 타구대(11) 내부 또는 체어 지지부(15)의 내부에 구성된 진료수 공급 배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의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암부(300)는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200)와 결합되고 양 단부 간의 거리가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도 3 (a)는 상기 제1 연결암부(300)의 길이가 줄어든 상태를 나타내며, 도 3 (b)는 상기 제1 연결암부(300)의 길이가 길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에서는 상기 제1 연결암부(300)가 파이프(310) 및 상기 파이프(310)의 내부로 슬라이딩하여 인출될 수 있는 막대(320)의 구성을 포함하여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310)는 상기 본체부(200)에 내입(도 3 (a))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제1 연결암부(300)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부(200)가 상기 본체부(200)가 설치된 바닥면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여, 상기 시술기구 거치부(500)의 위치할 수 있는 자유도를 늘리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본체부(200)와 제1 연결암부(300)의 연결은 힌지 결합, 즉 1축, 2축 또는 3축 회전 가능한 관절에 의한 결합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암부(300)는 하나 이상의 회전 관절(미도시)을 중간에 포함하는 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연결암부(300)의 양 단부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연결암부(400)는, 그 일 단부가 상기 제1 연결암부(300)의 상기 일 단부의 반대 측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암부(400)는 시술기구 거치부(50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시술기구 거치부(500)가 치과 의료진이 원하는 적정한 높이에 있도록 상기 본체부(200)가 설치된 바닥면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 즉 위 방향으로 솟아 오르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암부(400)와 상기 제1 연결암부(300)의 결합은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연결암부(400)는 상기 시술기구 거치부(5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복잡한 결합 장치의 부가를 배제할 수 있게 되므로 경량화 및 원가 절감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처럼 제2 연결암부(400)와 상기 제1 연결암부(300)가 고정 결합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연결암부(300)의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치과 진료에 큰 어려움이 없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연결암부(400)와 상기 제1 연결암부(300)의 결합은 힌지 결합, 즉 1축, 2축 또는 3축 회전 가능한 관절에 의한 결합일 수 있다. 이 경우, 의료진이 원하는 높이나 위치로 상기 시술기구 거치부(500)를 가져오는 것이 더욱 용이하게 되므로 치과 진료에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시술기구 거치부(500)는, 핸드피스, 스케일러와 같은 치과용 시술기구를 거치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2 연결암부(400)의 일 지점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치과용 시술기구(710)를 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치과용 시술기구(710)는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연결암부(400)와 상기 제1 연결암부(300)가 고정 결합되는 실시 예의 경우, 이러한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다.
제1 케이블부(600)는, 상기 본체부(200)의 일 면에서 뻗어 나오고, 상기 제1 케이블부(600)의 끝단이 상기 제1 연결암부(300)의 일 지점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된다는 것은 직접 또는 별도의 구성을 매개로 하여 물리적인 체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케이블부(60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케이블부(600)의 상기 끝단은, 상기 제1 연결암부(300)가 상기의 실시 예(도 3)에서 살핀 바와 같이, 슬라이딩 타입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본체부(200)에 연결되는 파이프(310)의 양 단부 중에 막대(320)가 연결되는 단부 측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관절에 늘어 뜨려진 제1 케이블부(600)가 파이프(310)와 막대(320) 사이의 틈과 간섭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암부(300)가 상기의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살핀 바와 같이, 관절을 포함하는 링크 구성(미도시)인 경우에 상기 관절 또는 상기 관절에 가까운 일 지점에 상기 제1 케이블부(600)의 끝단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관절에 늘어 뜨려진 제1 케이블부(600)가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케이블부(700)는, 상기 제1 케이블부(600)의 상기 끝단 및 상기 치과용 시술기구(710)를 연결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케이블부(600) 및 제2 케이블부(700)는 일체로 연결된 것일 수 있으며, 별도의 부품에 체결되어 상기 부품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블부(600) 및 제2 케이블부(700) 각각은 한 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진료수를 공급하는 관(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치과용 시술기구(710)에 전력이나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달 받는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100)는, 상기 제1 연결암부(300)의 일 지점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케이블부(600)의 상기 끝단과 상기 제2 케이블부(70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800)는, 엘보 파이프(810) 및 상기 제1 연결암부(300)에 체결되어 상기 파이프를 상기 제1 연결암부(300)에 매다는 체결구(8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보 파이프(810)는 중간에 'V'자 또는 'U'의 굴곡을 지닌 파이프 구성이다. 양 단에 상기 제1 케이블부(600) 및 상기 제2 케이블부(700)가 각각 체결될 수 있도록 피팅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굴곡 형상을 통해, 제1 케이블부(600) 및 제2 케이블부(700)의 늘어 뜨려진 형상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엘보 파이프(810)는 소정의 각도를 지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케이블부(600)와 제2 케이블부(700)가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럽게 늘어 뜨려진 형상을 취할 수 있도록 상기 각도가 선정될 수 있다.
상기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60도 내지 120도로 선정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도로 선정된다.
또한 상기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엘보 파이프(81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명 '코브라 수전'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굴곡 조절이 가능한 관을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케이블부(600) 또는 제2 케이블부(700)의 길이 또는 재질이 변하는 경우에도 대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엘보 파이프(810)는 복수의 제1 케이블부(600) 및 제2 케이블부(70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암부(300)는 상기 본체부(200)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수평하고, 상기 제2 연결암부(400)는 상기 바닥면에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제2 연결암부(400)는 상기 바닥면에 수직인 상태로 상기 상기 제1 연결암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으로 고정된 구조를 통해 상기 시술기구 거치부(500)를 구조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복잡한 장치를 배제한 경량의 구조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암부(300)의 양 단부 사이의 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상기 제2 연결암부(400)의 수직 고정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의료진이 원하는 위치로 상기 시술기구 거치부(500)를 가져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수직" 또는 "수평"이라 함은 기하학적으로 완전한 수직 또는 수평을 의미하는 바가 아니며, 당업자에게 이해되고 제품에서 기능 발현이 가능한 수준의 실질적인 의미에서의 수직 또는 수평을 의미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암부는, 상기 본체부(200)의 상기 일 측면에 인출입(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파이프(310) 및 상기 파이프(310)에 인출입(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막대(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부(600)의 상기 끝단은, 상기 본체부(200)의 외부에 상시 노출되는 상기 파이프(31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310)는 원,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대(320)는 상기 파이프(310)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310)가 원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막대(320)가 상기 파이프(310) 내에서 회전을 일으키지 않도록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레일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케이블부(700)의 중간의 일 지점은, 상기 제2 연결암부(400)의 상기 일 단부의 반대측 단부 또는 상기 시술기구 거치부(500)에 부착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케이블부(700)의 중간의 일 지점이 상기 시술기구 거치부(500)또는 이에 가까운 위치에 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진료 중에 상기 제2 케이블부(700)가 치과용 체어 유니트(10)의 다른 구성에 간섭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의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암부(300)는 상기 본체부(200)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수평하고, 상기 제2 연결암부(400)는 상기 제1 연결암부(30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1축, 2축 또는 3축 회전 가능한 관절에 의한 결합을 통해 상기 제2 연결암부(400)와 상기 제1 연결암부(300)를 연결함으로써, 의료진이 원하는 높이나 위치로 상기 시술기구 거치부(500)를 가져오는 것이 더욱 용이해 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의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블부(600)는 하나의 제1 진료수 공급관(61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블부(700)는 복수의 제2 진료수 공급관(620)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제1 진료수 공급관(610)의 끝단에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 공급관이 연결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진료수 공급관(610) 및 복수의 제2 진료수 공급관(620)은 연질의 튜브로 형성되어 진료수를 상기 치과용 시술기구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10)는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기구(830)를 포함하는 커넥터부(800)를 더 포함할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진료수 공급관(610)의 상기 끝단과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 공급관은 상기 분기구(830)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800)는,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 공급관(620)으로 인입되는 진료수의 유량을 조절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밸브(8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2 케이블 공급관(620)으로 인입되는 진료수의 유량을 각각 조절함으로써, 치과용 시술기구(710) 각각에 공급되는 수압을 필요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한편,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 "아래"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 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치과용 체어 유니트
11: 타구대
15: 체어 지지부 16: 체어
17: 테이블 18: 모니터
19: 조명 100: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
200: 본체부 300: 제1 연결암부
310: 파이프 320: 막대
400: 제2 연결암부 500: 시술기구 거치부
600: 제1 케이블부 610: 제1 진료수 공급관
620: 제2 진료수 공급관 700: 제2 케이블부
710: 치과용 시술기구 800: 커넥터부
810: 엘보 파이프 820: 체결구
830: 분기구 840: 밸브
15: 체어 지지부 16: 체어
17: 테이블 18: 모니터
19: 조명 100: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
200: 본체부 300: 제1 연결암부
310: 파이프 320: 막대
400: 제2 연결암부 500: 시술기구 거치부
600: 제1 케이블부 610: 제1 진료수 공급관
620: 제2 진료수 공급관 700: 제2 케이블부
710: 치과용 시술기구 800: 커넥터부
810: 엘보 파이프 820: 체결구
830: 분기구 840: 밸브
Claims (11)
- 본체부;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고 양 단부 간의 거리가 조절 가능한 제1 연결암부;
일 단부가 상기 제1 연결암부의 상기 일 단부의 반대 측 단부와 결합되는 제2 연결암부;
상기 제2 연결암부의 일 지점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치과용 시술기구를 거치 가능한 시술기구 거치부;
상기 본체부의 일 면에서 뻗어 나오고, 끝단이 상기 제1 연결암부의 일 지점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케이블부; 및
상기 제1 케이블부의 상기 끝단 및 상기 치과용 시술기구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케이블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암부의 일 지점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케이블부의 상기 끝단과 상기 제2 케이블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엘보 파이프 및 상기 제1 연결암부에 체결되어 상기 파이프를 상기 제1 연결암부에 매다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암부는 상기 본체부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수평하고,
상기 제2 연결암부는 상기 바닥면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암부는 상기 본체부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수평하고,
상기 제2 연결암부는 상기 제1 연결암부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암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일 측면에 인출입 가능한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에 인출입 가능한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부의 상기 끝단은,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상시 노출되는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블부의 중간의 일 지점이, 상기 제2 연결암부의 상기 일 단부의 반대측 단부 또는 상기 시술기구 거치부에 부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부는 하나의 제1 진료수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블부는 복수의 제2 진료수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제1 진료수 공급관의 끝단에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 공급관이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분기구를 포함하는 커넥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료수 공급관의 상기 끝단과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 공급관은 상기 분기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 공급관으로 인입되는 진료수의 유량을 조절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치과용 체어 유니트의 타구대 및 체어 지지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0960A KR102203585B1 (ko) | 2018-10-30 | 2018-10-30 |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0960A KR102203585B1 (ko) | 2018-10-30 | 2018-10-30 |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8658A true KR20200048658A (ko) | 2020-05-08 |
KR102203585B1 KR102203585B1 (ko) | 2021-01-15 |
Family
ID=7067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0960A KR102203585B1 (ko) | 2018-10-30 | 2018-10-30 |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358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03471A (ja) * | 1994-10-04 | 1996-04-23 | Osada Res Inst Ltd | 歯科治療ユニット |
JP2013128561A (ja) * | 2011-12-20 | 2013-07-04 | Osada Res Inst Ltd | 歯科衛生士用ポータブルユニット |
JP5420316B2 (ja) * | 2009-05-29 | 2014-02-19 |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 歯科診療装置 |
-
2018
- 2018-10-30 KR KR1020180130960A patent/KR1022035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03471A (ja) * | 1994-10-04 | 1996-04-23 | Osada Res Inst Ltd | 歯科治療ユニット |
JP5420316B2 (ja) * | 2009-05-29 | 2014-02-19 |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 歯科診療装置 |
JP2013128561A (ja) * | 2011-12-20 | 2013-07-04 | Osada Res Inst Ltd | 歯科衛生士用ポータブルユニット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 Y2*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3585B1 (ko) | 2021-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95219B2 (en) | Modular dental chair equipment mounting system | |
US20070129634A1 (en) | Biomedical positioning and stabilization system | |
BRPI0913631B1 (pt) | Aparelho para cuidado dental | |
US20150238377A1 (en) | Patient Bedside System Support Device | |
CN110786966A (zh) | 一种人造瓣膜输送系统 | |
JP5357765B2 (ja) | 統合歯科治療装置 | |
KR101907176B1 (ko) | 석션 보조 장비 | |
KR20200048658A (ko) | 치과용 시술기구 거치 장치 | |
US20220142846A1 (en) | Suction aid equipment | |
US3386766A (en) | Dentist chair combination with utility supporting attachment | |
CN113727690A (zh) | 用于牙科病人椅的纵列式枢轴安装件 | |
CN210019404U (zh) | 一种超声诊断仪及超声诊断仪手臂助力装置 | |
CN118648998A (zh) | 一种口腔吸唾管万向支架 | |
US11602477B2 (en) | Instrument hose support device and dental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CN114191243B (zh) | 一种牙科治疗仪 | |
CN211460138U (zh) | 一种麻醉科节能纤维支气管镜结构 | |
CN214048739U (zh) | 一种可调节的消化内镜支架 | |
CN211460425U (zh) | 一种心内科偏心双通道腔镜穿刺器 | |
CN218045043U (zh) | 一种消化内科临床用胃镜防护支撑结构 | |
CN219126252U (zh) | 一种ube内镜辅助装置 | |
CN110946613A (zh) | 一种超声诊断仪及超声诊断仪手臂助力装置 | |
RU200069U1 (ru) |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ое кресло | |
CN215459826U (zh) | 一种牙科椅的箱体连接结构 | |
CN216439223U (zh) | 一种具有消毒功能的超声检查用探头 | |
CN215081273U (zh) | 介入术后病人下肢固定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