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226A -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226A
KR20200048226A KR1020180130068A KR20180130068A KR20200048226A KR 20200048226 A KR20200048226 A KR 20200048226A KR 1020180130068 A KR1020180130068 A KR 1020180130068A KR 20180130068 A KR20180130068 A KR 20180130068A KR 20200048226 A KR20200048226 A KR 20200048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oil
thickener
total amount
pear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27071B1 (ko
Inventor
노영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130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7071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3006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727071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7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7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6Interference pigments, e.g. Iridescent, Pearlesc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오일 점증제; 오일 겔링제; 및 폴리올, 지방알코올,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에스터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기재 및 색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는 분광 측색계로 측정 시 L*값이 40 미만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본 기재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색조 화장품은 피부의 결점을 보정하거나 은폐시키기 위한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익, 컨실러와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품과 피부의 생기와 활력을 불어 넣어 주기 위한 아이섀도, 블러셔, 하이라이터, 마스카라, 립스틱 등과 같은 포인트 메이크업용 화장품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색조 화장품의 제형은 액상, 크림상, 케익상, 분상, 및 스틱형으로 다양하다. 이 중 스틱형은 브러시나 퍼프를 이용하지 않고도 손쉽게 도포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가 간편하여 최근 소비자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틱 타입의 화장품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은 제품의 경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조성물 내에 왁스를 포함한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48967호는 왁스, 오일 및 분체를 10~25:30~45:5~15의 비율로 포함하는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한다.
그러나 이 경우 왁스로 인하여 조성물은 불투명한 외관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펄 및 색소와 같은 색재(Colorants)를 분산시키면 그 본연의 색깔이 나타나지 않아 외관에서 보여지는 색상과 도포 시의 색상에 있어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왁스 특유의 뭉개지듯 발리는 뻑뻑한 발림감으로 인해 사용감이 떨어지며, 도포량 조절이 어렵고, 왁스 자체의 백탁 현상으로 인해 색재 본연의 색이 깨끗하게 표현되지 않는다.
따라서, 목적하는 형태로 성형 또는 유지될 수 있도록 적정한 경도를 나타내면서도, 왁스를 포함하지 않아 투명도가 높고 부드럽고 얇게 발리는, 색조 화장품에 적용되기에 적합한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일 구현예는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스웨팅(sweat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펄 분산성이 우수해 펄감이 풍부하게 표현될 뿐만 아니라, 균일하게 도포가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오일 점증제; 오일 겔링제; 및 폴리올, 지방알코올,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에스터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기재 및 색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는 분광 측색계로 측정 시 L*값이 40 미만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오일 겔링제는 폴리우레탄계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오일 겔링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1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 점증제는 120℃ 이상의 녹는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오일 점증제는 120℃ 내지 150℃의 녹는점을 가지는 아미노산계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오일 점증제는 디부틸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 디부틸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점증제는 디부틸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 및 디부틸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가 1:0.3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오일 점증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일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20 중량% 내지 9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색재는 염료; 탈크, 마이카, 카올린, 탄산칼슘, 운모, 활석, 카올린, 알루미나, 규산바륨, 제올라이트, 백운모, 탄산마그네슘, 및 황산바륨을 포함하는 체질안료; 황산화철, 흑산화철, 적산화철, 산화크롬,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착색안료; 이산화티탄,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백색안료; 타르색소를 포함하는 유기안료; 레이크; 이산화티탄, 운모티탄, 티탄산철 및 산화티탄 피복운모, 보로실리케이트, 실리카, 틴옥사이트, 및 페릭 페로시아니드를 포함하는 펄 안료; 및 베타카로틴, 카르타민, 및 코치닐을 포함하는 천연색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재는 300㎛ 이하의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색재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피브이피/헥사데센 공중합체, 폴리하이드록시 스테아릭애시드/레시틴/에틸헥실팔미테이트/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이소스테아릭애시드/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방향제, 방부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펄 스틱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는 오일 점증제, 오일 겔링제, 오일 및 색재를 혼합하는 원료 혼합 단계; 상기 원료 혼합물을 칩, 구 또는 비즈 형태로 고화하는 단계; 및 상기 고화된 원료 혼합물을 목적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서,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스웨팅(sweat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펄 분산성이 우수해 펄감이 풍부하게 표현될 뿐만 아니라, 균일하게 도포가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스틱 제형을 45℃의 항온조에 24시간 동안 보관 후 꺼내어 실온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표면 외관(측면)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스틱 제형을 45℃의 항온조에 24시간 동안 보관 후 꺼내어 실온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표면 외관(측면)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스틱 제형을 45℃의 항온조에 24시간 동안 보관 후 꺼내어 실온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표면 외관(측면)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스틱 제형을 45℃의 항온조에 24시간 동안 보관 후 꺼내어 실온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표면 외관(측면) 사진이다.
도 5는 비교예 3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스틱 제형을 45℃의 항온조에 24시간 동안 보관 후 꺼내어 실온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표면 외관(측면)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내 펄 분산정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비교예 3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내 펄 분산정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스틱 제형의 표면 외관(평면) 사진이다.
도 9는 비교예 3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스틱 제형의 표면 외관(평면)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조합"이란 혼합 또는 공중합을 의미한다. 또한 "공중합"이란 블록 공중합 내지 랜덤 공중합을 의미하고, "공중합체"란 블록 공중합체 내지 랜덤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이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점증제; 오일 겔링제; 및 폴리올, 지방알코올,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에스터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기재 및 색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는 분광 측색계로 측정 시 L*값이 40 미만이다.
통상적으로 유성 고체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은 성형된 제품의 외관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조성물에 경도를 부여하는 성분으로서 왁스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왁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뭉개지듯 발려 사용감이 좋지 않고 도포량의 조절이 어려우며, 투명한 제형으로 제조되기 어려워 색재(Colorants)를 분산시킬 경우 색재 고유의 색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형에 구현된 외관상 색상과 피부 도포 시의 색상에 차이가 발생하며, 소비자가 제형에 구현된 색상으로부터 원하는 색상을 선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를 사용하지 않고 오일 겔링제, 오일 점증제 및 특정 성분의 오일을 포함하는 기재를 사용하여, 스틱형과 같은 고체 형태의 화장품으로 제조될 수 있을 정도의 경도를 나타내며 발림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기재는 높은 투명도를 가지므로 색재 고유의 색이 우수하게 발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컬러 스틱 제형은 색소나 펄을 오일 및 왁스와 혼합하여 스틱화한 제형으로 개발되어 왔는데 이런한 제형은 왁스로 인해 외관이 불투명해져 특히 펄감이 왁스나 파우더에 묻혀 펄감이 살아나지 않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왁스를 대신하여 오일과 오일점증제를 사용하여 스틱제형을 만드는데, 이 때 펄이나 색소를 사용하게 되면 분산제 및 겔링제 역할을 하는 성분이 없어 색소나 펄이 가라앉아 펄이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실리콘 왁스 사용하는 예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투명한 외관이 불투명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외관이 투명한 종래의 겔스틱은 실리콘계의 엘라스토머와 안료를 함유하고 있으나, 오일 점증제의 용해성이 좋지 않아 온도에 따라 스웨팅(Sweating, 스틱표면에 오일 맺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 구현예는 경도, 발림성 및 투명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오일 점증제, 오일 겔링제, 오일을 사용함으로써 펄이 가라앉지 않고 균일하게 도표되는 펄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동시에 상기 스웨팅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기재의 투명도는 분광 측색계로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분광 측색계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기로 코니카 미놀타(Konica Minolta) 사의 스펙트로포토미터 CM-5(spectrophotometer CM-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기재의 투명도는 L*로 표시되며, 이는 검정색 테이프로 옆면과 바닥을 모두 감싼 투명 페트리디쉬에 상기 조성물을 5 mm두께로 채운 다음, 광원 세기 D65(6500k)에서 상기 분광 측색계로 한 부분을 반복 측정하여 얻은 평균값일 수 있다.
이때 L*값은 투명할수록 낮은 값을 나타내며 40 이하이면 투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기로 기재의 L*값이 40 미만이며, 보다 바람직하기로 0 초과 30 미만이다.
예컨대, 상기 오일 겔링제는 폴리우레탄계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오일 겔링제로 폴리우레탄계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 펄의 분산 안정도가 매우 우수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투명 스틱용 화장품에서는 별도의 펄 분산제나 안료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고, 실리콘 왁스 또는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는데, 이 경우 외관을 불토명하게 하거나 온도에 따른 안정도가 좋지 않다. 그러나, 일 구현예에서와 같이 폴리우레탄계 화합물을 오일 겔링제로서 사용할 경우, 상기 폴리우레탄계 화합물이 비교적 짧은 폴리머 사슬 간에 만들어진 수소결합에 의해 오일을 겔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오일 겔링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1 중량% 내지 20 중량%, 예컨대 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 겔링제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오일의 겔화가 일어나지 않으며, 상기 오일 겔링제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20 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 스틱 표면에 끈적임이 생겨 피부에 도포가 용이하지 않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오일 점증제는 녹는점이 120℃ 이상인 오일 점증제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 점증제는 녹는점이 120℃ 내지 150℃ 일 수 있다.
이러한 오일 점증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아미노산계 화합물일 수 있고, 예컨대 디부틸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 디부틸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오일 점증제는 디부틸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 및 디부틸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가 1:0.3 내지 1:3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 예컨대, 1:0.5 내지 1:1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 예컨대 1:0.5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오일 점증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1 중량% 내지 10 중량%, 예컨대 3 중량% 내지 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오일 점증제의 함량이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1 중량% 미만이면 조성물의 경도가 낮아져 스틱형 화장품으로 제조되기에 적합하지 않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10 중량%를 초과하면 지나치게 경도가 높아져 도포 시 부드러운 발림감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기재는 오일을 포함하며, 이 때 상기 오일은 제품 외관의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오일 점증제와의 상용성(용해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점증제와의 상용성이 좋지 않은 오일을 사용할 경우, 고체 파우더상의 겔화제가 용해되지 않고 침전되거나, 용해되더라도 조성물의 투명도가 떨어져 반투명의 외관을 형성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은 폴리올, 지방알코올,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에스터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알코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옥틸 도데칸올, 도데카놀, 데카놀,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미네랄 오일, 이소헥사데칸, 이소데칸, 운데칸, 스쿠알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폴리부텐, 스쿠알란, 세레신 등을 들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메도우폼씨오일, 해바라기씨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호호바씨오일, 녹차씨오일, 생강 오일, 인삼 오일,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동백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터계 오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메칠헵틸이소스테아레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20 중량% 내지 9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2종 이상의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보다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단독 사용되는 오일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일 수 있다. 상기 오일로 2종 이상의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오일 점증제가 용해되지 않아 기재가 불투명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색재가 가라앉지 않고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점증제의 녹는점을 고려할 때, 제조 중 오일이 휘발되지 않도록 제조 시 밀폐된 기계에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색조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색재를 포함하며, 상기 색재는 화장료 조성물에 색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염료; 탈크, 마이카, 카올린, 탄산칼슘, 운모, 활석, 카올린, 알루미나, 규산바륨, 제올라이트, 백운모, 탄산마그네슘, 및 황산바륨을 포함하는 체질안료; 황산화철, 흑산화철, 적산화철, 산화크롬,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착색안료; 이산화티탄,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백색안료; 타르색소를 포함하는 유기안료; 레이크; 이산화티탄, 운모티탄, 티탄산철 및 산화티탄 피복운모, 보로실리케이트, 실리카, 틴옥사이트, 및 페릭 페로시아니드를 포함하는 펄 안료; 및 베타카로틴, 카르타민, 및 코치닐을 포함하는 천연색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재는, 예컨대 펄 안료로서 상기 펄 안료는 300㎛ 이하의 입경, 예컨대 10㎛ 내지 150㎛의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펄 안료가 상기 범위의 입경을 가질 경우, 분산성 뿐만 아니라 얼굴에 도포 시 이물질감이 느껴지지 않아 사용감이 매우 우수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펄 안료가 10㎛ 미만의 입경을 가질 경우 펄감이 잘 표현되지 않고, 피부에 도포 시 펄 안료가 피부결이나 주름에 끼어 화장 효과가 좋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펄 안료가 300㎛ 초과의 입경을 가질 경우 피부에 도포 시 펄 안료의 입자가 커서 이물질이 느껴져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펄 안료는 마이카 기재, 보로실리케이트 기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재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20 중량%, 예컨대 10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오일 기반의 조성물 내에 용해되기 쉽도록 오일상의 분산제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피브이피/헥사데센 공중합체, 폴리하이드록시 스테아릭애시드/레시틴/에틸헥실팔미테이트/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이소스테아릭애시드/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분산제로 사용하는 물질들은 친유기 체인이 길어 입체장애 효과를 나타내며, 이에 입자들이 서로 뭉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산제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나, 색재가 조성물 내에서 가라앉거나 뭉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방향제, 방부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방향제, 방부제 등은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고체 형태로 존재하며,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펜슬형, 스틱형, 접시에 충진되는 밤 형태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펄 스틱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점증제, 오일 겔링제, 오일 및 색재를 포함하여 혼합하는 원료 혼합 단계; 상기 원료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예컨대 80℃ 내지 110℃, 예컨대 90℃ 내지 100℃까지 냉각하여 칩, 구 또는 비즈 형태로 고화하는 단계; 및 상기 고화된 원료 혼합물을 목적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원료 혼합 단계는 원료가 균일하게 섞일 수 있도록 교반 하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온도 조절 및 교반이 가능한 진공 유화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원료 혼합 단계에서 가열 온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나, 상기 오일 점증제가 충분히 용융될 수 있도록 120℃ 내지 140℃의 범위로 가열하며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가 모두 균일하게 용해되어 액상의 혼합물이 얻어진 다음, 상기 원료 혼합물을 칩, 구 또는 비즈 형태로 고화시킨다.
상기 고화 단계는 원료 혼합물의 온도가 100℃에 도달하여 고체화될 때까지 냉각시키는 단계로서, 이때 색재 등의 성분이 가라앉거나 층 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교반하며 수행한다.
상기 고화 단계는 회전 운동을 하는 혼합기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운동을 하는 혼합기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페달 믹서, 핸슬 믹서, 아지 믹서, 호모 믹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혼합 속도는 500 rpm 내지 1200 rpm 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화 단계는 페달 믹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고화 단계에 의하여 액상의 원료 혼합물은 색재가 골고루 분산된 상태로 고화되며, 칩, 구, 또는 비즈 형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고화된 원료 혼합물은 다시 용융 및 냉각시키는 경우에도 색재가 고루 분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품의 품질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의 고화된 원료 혼합물을 목적 형상으로 성형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성형은 고화된 원료 혼합물을 재 용융시켜 성형 틀에 주입하고 냉각시키는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형 단계에서 냉각은 별도의 교반 과정없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원료를 용기에 투입하고 교반 하에 120℃ 내지 140℃에서 용융시켜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100℃에 도달할 때까지 800 rpm으로 페달 믹싱하며 냉각시켜 칩 형태로 고화된 원료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고화된 칩 형태의 원료 혼합물을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이를 성형 틀에 충진 및 냉각시켜 펄 스틱형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오일 Hydrogenated polyisobutene 70.5 70.5 - - 77.5
Caprylic/capric triglyceride - - 10 67.5 -
Cyclopentasiloxane/dimethicone - - 67.5 10 -
오일 점증제 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 5 5 5 5 5
Dibutyl lauroyl glutamide 2.5 2.5 2.5 2.5 2.5
오일 겔링제 Polyurethane-77 7 - - - -
Polyamide-8 - 7 - - -
Cloisonne gold 222c (BASF) 15 15 15 15 15
시험예 1: 투명도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 방법으로 투명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옆면과 바닥 모두를 검정 테이프로 감싼 1회용 투명 페트리디쉬(지름 60mm)를 준비하였다.
2) 측정하고자 하는 조성물을 녹여 1)에서 준비한 1회용 페트리디쉬에 5mm 두께로 채웠다.
3) 내용물이 굳으면 분광측색계(Konica Minolta 社, spectrophotometer CM-5)를 이용하여 L*값을 측정하였다. 이때, 광원 세기는 D65, 즉 6500k에서 측정하였으며, 한 부분을 3번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4) L*값이 40 이하이면 투명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70 이상이면 화이트값이 높아 불투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L* 20.5 21.4 30 34 25.0
투명도 측정 결과, 색재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스틱형 화장품은 모두 L*값이 40 이하로 투명도가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스웨팅 발생 여부
스웨팅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외관의 변화를 보아야 하므로, 펄을 넣지 않은 조성물을 스틱을 성형한 후 상기 성형물을 30℃, 45℃의 항온조에 24시간 동안 보관 후 꺼내어 실온에서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스웨팅 발생 여부 평가기준)
◎ : 안정함 (외관 변화 없음)
△: 보통 (스틱 표면에 오일방울 1~2개 있음)
X: 나쁨 (스틱 표면에 스웨팅 현상 심함. 표면에 올라온 오일 많음)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30℃ (24시간 후) X X
45℃ (24시간 후) X X
도 1 내지 도 5는 각각 색재가 포함되지 않은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스틱형 화장품을 45℃의 항온조에서 24시간 동안 보관 후 꺼내어 촬영한 외관 사진이다. 실시예 1의 경우 스웨팅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데 비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경우 스웨팅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펄 분산 안정도
온도별 안정도가 양호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3에 따른 조성물(색제 제외)에 펄(CLOISONNE GOLD 222C, 15 중량%)을 넣어 펄 분산정도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은 펄이 가라앉지 앉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고형의 펄 스틱 제품에서도 펄이 육안으로 보이나, 비교예 3에 따른 조성물은 고온(120℃)에서 펄을 투입하자 마자 바로 펄이 가라 앉아서 펄 스틱 제형 시 펄이 밑으로 다 가라앉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관능(사용감)
25세 내지 3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제조예에서 제조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화장품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관능 평가기준)
◎ : 우수함
△: 보통
X: 나쁨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균일 도포
펄감 표현 X X X
실시예 1에 따른 화장품은 관능이 매우 우수하나,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른 화장품은 펄감이 전혀 표현되지 않아 관능이 매우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8)

  1. 오일 점증제; 오일 겔링제; 및 폴리올, 지방알코올,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에스터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기재 및
    색재
    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는 분광 측색계로 측정 시 L*값이 40 미만인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오일 겔링제는 폴리우레탄계 화합물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서,
    상기 오일 겔링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1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120℃ 이상의 녹는점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120℃ 내지 150℃의 녹는점을 가지는 아미노산계 화합물인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디부틸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 디부틸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디부틸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 및 디부틸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가 1:0.3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인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서,
    상기 오일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서,
    상기 오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20 중량% 내지 95 중량%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서,
    상기 색재는 염료; 탈크, 마이카, 카올린, 탄산칼슘, 운모, 활석, 카올린, 알루미나, 규산바륨, 제올라이트, 백운모, 탄산마그네슘, 및 황산바륨을 포함하는 체질안료; 황산화철, 흑산화철, 적산화철, 산화크롬,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착색안료; 이산화티탄,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백색안료; 타르색소를 포함하는 유기안료; 레이크; 이산화티탄, 운모티탄, 티탄산철 및 산화티탄 피복운모, 보로실리케이트, 실리카, 틴옥사이트, 및 페릭 페로시아니드를 포함하는 펄 안료; 및 베타카로틴, 카르타민, 및 코치닐을 포함하는 천연색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서,
    상기 색재는 300㎛ 이하의 입경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서,
    상기 색재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5. 제14항에서,
    상기 분산제는 상기 분산제는 피브이피/헥사데센 공중합체,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시드/레시틴/에틸헥실팔미테이트/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이소스테아릭애시드/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6. 제14항에서,
    상기 분산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펄 스틱 형태인 화장료 조성물.
  18. 오일 점증제, 오일 겔링제, 오일 및 색재를 혼합하는 원료 혼합 단계;
    상기 원료 혼합물을 칩, 구 또는 비즈 형태로 고화하는 단계; 및
    상기 고화된 원료 혼합물을 목적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130068A 2018-10-29 화장료 조성물 KR102727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068A KR102727071B1 (ko) 2018-10-29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068A KR102727071B1 (ko) 2018-10-29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226A true KR20200048226A (ko) 2020-05-08
KR102727071B1 KR102727071B1 (ko) 2024-11-06

Family

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69204A (zh) * 2022-12-19 2023-03-31 上海臻臣化妆品有限公司 腮红粉制品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69204A (zh) * 2022-12-19 2023-03-31 上海臻臣化妆品有限公司 腮红粉制品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0444B1 (ko)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657455B2 (ja) 油性化粧料基剤および油性化粧料
TWI734790B (zh) 彈性體
EP2340806B1 (en) Oily solid cosmetic
KR102586449B1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102692678B1 (ko)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8258B1 (ko) 수분방출 스틱형 화장료
CN102740823A (zh) 透明或半透明组合物
KR20150099002A (ko) 휘발성 유기 겔을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US20220142876A1 (en) Oil-based cosmetic product having decorative layer
KR101841554B1 (ko) 고융점 및 고광택 성능을 갖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TWI643634B (zh) Makeup cosmetics
US10258545B2 (en) Oily cosmetics
KR20180029480A (ko) 고함량의 젤 및 오일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727071B1 (ko)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8226A (ko) 화장료 조성물
KR101443181B1 (ko) 수분 공급용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스틱형 화장품
JP2019119716A (ja) 固形粉末化粧料及び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JP2001019613A (ja) ペンシル状又はスティック状固形化粧料
CN115551465B (zh) 用于护理和/或化妆角蛋白材料的组合物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703187B1 (ko)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565163B2 (ja) 多色固形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