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148A - 스터디 공유 플랫폼 및 이와 연동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터디 공유 플랫폼 및 이와 연동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148A
KR20200048148A KR1020180129892A KR20180129892A KR20200048148A KR 20200048148 A KR20200048148 A KR 20200048148A KR 1020180129892 A KR1020180129892 A KR 1020180129892A KR 20180129892 A KR20180129892 A KR 20180129892A KR 20200048148 A KR20200048148 A KR 20200048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y
group
information
study group
sh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1345B1 (ko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이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민 filed Critical 이상민
Priority to KR1020180129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3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은 스터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여 참여하고자 하는 스터디 그룹의 검색, 예약, 스터디 그룹 내에서 진행하는 스터디 계획정보, 스터디 교육내용에 대한 자료를 검색, 요청 및 제공받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스터디 공유 플랫폼에서 입력된 질의어 및 입력정보에 상응하는 스터디 그룹생성, 스터디 그룹 참여, 스터디 교육자료와 스터디 시간, 장소를 표시하는 스터디 스케줄러를 포함하는 스터디 공유정보를 제공하는 스터디 공유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터디 공유 플랫폼 및 이와 연동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PLATFORM FOR SHARING STUDY INFORMATION AND SYSTEM FOR INTERLOCK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터디 공유 플랫폼 및 이와 연동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에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커뮤니티들이 생성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커뮤니티들은 구인정보, 공채일정, 토론, 정보공유를 위한 채팅 등 학업 또는 취업준비에 필요한 모든 정보들을 게시판 형식을 통해 통합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학업 또는 취업목적의 스터디 그룹 모집은 게시판 하나에 불과하며 정보들이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어 정보를 얻고자 하는 개인에게 필요한 스터디 그룹을 찾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학업 또는 취업대비 온라인 커뮤니티들은 복수로 존재하기 때문에 개인에게 적합한 스터디 그룹을 찾기 위해서는 상당한 수의 커뮤니티 사이트 조회가 필요하며 시간소요가 상당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간을 들여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게시판을 통해 제공하는 스터디 그룹원을 모집하더라도 스터디 그룹원의 검증 확인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스터디의 수준이 본인이 생각한 수준과 맞지 않아 스터디를 후회하거나 또는 중도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4974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및 이와 연동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은 스터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여 참여하고자 하는 스터디 그룹의 검색, 예약, 스터디 그룹 내에서 진행하는 스터디 계획정보, 스터디 교육내용에 대한 자료를 검색, 요청 및 제공받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스터디 공유 플랫폼에서 입력된 질의어 및 입력정보에 상응하는 스터디 그룹생성, 스터디 그룹 참여, 스터디 교육자료, 스터디 시간, 장소를 포함하는 스터디 공유 서버를 제공하는 스터디 공유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디 공유 서버는 학습목적이 동일한 적어도 2인 이상이 포함된 스터디 그룹을 생성하는 스터디 그룹 개설부; 스터디 그룹의 스터디 활동내용을 이미지 캡쳐, 텍스트 기록 및 녹음하여 다중모드 스케줄러를 통해 관리하는 스터디 자료관리부; 스터디 그룹, 스터디 그룹의 모임장소, 모임시간, 요일별 스터디 내용을 검색하는 검색부; 스터디 그룹원들에게 스터디 그룹에서 진행하는 스터디 내용, 스터디 그룹원들의 역량, 스터디 그룹원들의 참여도 등을 다면평가 방식으로 진행하여, 해당 스터디 그룹의 역량을 평가하고, 스터디 그룹원이 해당 스터디 그룹에 가입시 제공한 검증정보 및 스터디 그룹에 활동한 활동정보(출력률, 기여도, 참여도, 성취도, 학업능력)를 기초로 그룹원의 역량 검증을 수행하는 스터디 그룹원 관리부; 스터디 공유 플랫폼의 스터디 자료 도구를 이용하여 기록한 정보, 수신한 정보, 저장한 정보를 관리하는 스터디 자료관리부; 제휴 업체의 등록정보(위치, 수용가능인원 등), 스터디 그룹원들의 위치정보 및 검출된 가능시간대를 기초로 스터디 공간 이용 또는 임대 여부의 검색 및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부; 스터디 시간표 및 스케줄 일정을 표시하는 스터디 스케줄러를 제공하는 스터디 스케줄러부; 및 개설된 스터디 그룹들의 활동내용 및 스터디 그룹원의 참여상태를 관리하는 스터디 그룹 관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디 그룹 개설부는 학습과목, 지역, 성별, 인원, 연령, 주기, 시간, 기간, 장소, 전화번호 공개 여부, 제한요건 중 적어도 하나 항목이 설정된 스터디 게시방을 개설하는 스터디 게시방 개설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디 그룹 관리부는 평가 참여수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스터디 그룹의 평가점수를 보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디 그룹 관리부는 스터디 활동정보(출석률, 기여도, 참여도, 성취도, 학업능력)를 점수화한 이미지 정보(그래프)를 스터디 그룹원에게 제공하고, 스터디 그룹원들은 스터디 회차 별 스터디 결과점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디 스케줄러는 스터디 그룹원들 간에 연동되고, 스터디 그룹원의 스터디 참여등록이 입력되면, 자동으로 해당 스터디 그룹원의 참여정보가 타 스터디 그룹원의 스케줄러에 자동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디 스케줄러는 스터디 그룹원의 아이콘을 터치한 터치시간 또는 드래그 방향 따라 해당 스터디 그룹원에게 전화 걸기 또는 특정 메시지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부는 지정된 일자에 스터디 참여가능 인원 수 및 참여가능 인원의 위치정보의 중간지역을 산출하고, 산출된 중간지역 내에 상기 참여인원이 수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를 선별한 후, 선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의 공간 부대 시설 정보 및 임대비용 또는 최소 입장비용을 금액 순으로 제시하고, 상기 공간 부대 시설 정보는 스터디 룸 또는 카페의 구조도, 콘센트 위치, LAN선 포트 위치,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타 장비의 보유 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디 공유 플랫폼은 지역, 구, 시, 동 단위로 등록된 스터디 그룹의 활동지역을 검색 및 스터디 종류를 검색하기 위한 스터디 그룹 검색 인터페이스; 스터디 종류, 스터디 지역, 구성원 성별, 스터디 연령 제한, 스터디 모임 횟수, 스터디 시간, 스터디 장소 등을 설정하여 스터디 그룹을 생성하는 스터디 그룹 생성 인터페이스; 사용자가 참여하고 있는 해당 스터디 그룹을 평가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스터디 그룹 평가 인터페이스; 스터디 녹음, 자료 캡쳐, 자료 공유, 그룹 연락처, 스터디 기록실, 자료 다운, 스케줄러, 자료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스터디 자료 도구 인터페이스; 스터디 그룹원의 출석률, 스터디 자료 준비, 학업 능력, 참여도, 성취도에 대한 복합적인 다면평가 기능을 제공하는 스터디 그룹원 평가 인터페이스; 스터디 시간표 및 스케줄 일정을 동시에 제공하는 스터디 스케줄러 인터페이스; 스터디 그룹원들 간에 자료를 가상 폴더를 생성하여 공유하기 위한 자료 공유 인터페이스; 스터디 공유 플랫폼과 제휴된 제휴 업체의 등록정보(위치, 수용가능인원 등)를 기초로 지정된 일자에 스터디 참여가능 인원 수 및 참여가능 인원의 위치정보의 중간지역을 산출하고, 산출된 중간지역 내에 상기 참여인원이 수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를 선별한 후, 선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의 공간 부대 시설 정보 및 임대비용 또는 최소 입장비용을 금액 순으로 검색, 등록, 관리하는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부대 시설 정보는 스터디 룸 또는 카페의 구조도, 콘센트 위치, LAN선 포트 위치,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타 장비의 보유 수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해당 업계 종사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공유 플랫폼 및 이와 연동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하면, 누구나 자유롭게 자신이 원하는 과목, 위치, 시간에 부합하는 사람들과 스터디를 공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터디 그룹을 개설한 개설자의 일방적인 권한으로 스터디 시간, 장소가 개설되는 것이 아니라, 스터디 그룹원들 각각이 가능한 시간대, 위치, 장소 등을 자동으로 필터링하여 누구나 부담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스터디 모임을 공유하는 것 뿐만 아니라, 플랫폼(앱)에서 지원하는 스터디 학습내용 녹음, 기록, 스터디 자료의 이미지 저장기능 등을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앱으로 스터디에 관한 모든 내용을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인 목적과 수준에 맞는 스터디 그룹을 결성하거나 또는 본인이 원하는 수준의 스터디 참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터디 공유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스터디 공유 플랫폼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 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공유 플랫폼 및 이와 연동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터디 공유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스터디 공유 플랫폼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스터디 공유 플랫폼(20) 및 스터디 공유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1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각각은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스터디 공유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각각은 스터디 공유 서버(3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1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시간표와 캘린더를 통합한 다중모드 스케줄러를 제공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스터디 그룹 개설, 개설된 스터디 그룹의 검색, 참여예약, 스터디 그룹원들 간의 다면평가, 스터디 학습계획 열람, 스터디 과제 열람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20)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스터디 그룹원들 각각의 개인 스케줄을 분석한 후, 스터디 그룹원들 간에 가장 적합한 스터디 모임장소, 위치, 시간을 선정하여 제공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어플리케이션)(20)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스터디 공유 플랫폼(20)을 통해 스터디 그룹에 대한 다면평가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1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스터디 공유 플랫폼(20)을 통해 스터디 공유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스터디 공유 플랫폼(20)은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 또는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터디 공유 플랫폼(20)은 사용자가 원하는 스터디 그룹 검색, 생성, 해당 스터디 그룹의 스케줄을 계획/확인, 스터디 그룹 평가, 스터디 그룹의 자료저장, 공지확인, 연락처 실행/확인, 단말강제제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UI(User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터디 공유 플랫폼(20)은 ①스터디 그룹 검색 인터페이스(21), ②스터디 그룹 생성 인터페이스(22), ③스터디 그룹 평가 인터페이스(23), ④스터디 자료 도구 인터페이스(24), ⑤ 스터디 그룹원 평가 인터페이스(25) 및 ⑥ 스케줄러 인터페이스(26), ⑦ 자료 공유 인터페이스(27) 및 ⑧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①스터디 그룹 검색 인터페이스(21)는 도 4를 참조, 지역, 구, 시, 동등에 대한 지역검색기능과 도 5를 참조, 스터디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스터디 종류 선택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 지역 및 스터디 종류가 선택되면, 화면창이 전환되어, 세부 검색 설정기능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세부 검색 설정기능에서 제공하는 검색항목을 입력하면, 스터디 공유 플랫폼을 통해 등록된 스터디 그룹의 결과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도 7a 참조). 또한, 스터디 그룹의 결과정보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을 선택하면, 해당 스터디 그룹의 커리큘럼(회차에 따른 공지 내용 등)을 확인할 수 있다(도 7b, 도 7c 참조).
사용자가 검색한 스터디 그룹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가입할 경우, 사용자는 스터디 그룹 내에 원활한 활동 및 적합성을 스터디 그룹원 또는 그룹장이 검증할 수 있도록 검증에 필요한 정보(스터디 경험, 어학성적, 스터디 관련 자격증, 스터디 참여동기 등)를 제공할 수 있다(도 9 참조).
다음으로, 도 8을 참조, ②스터디 그룹 생성 인터페이스(22)는 스터디 종류, 스터디 지역, 구성원 성별, 스터디 연령 제한, 스터디 모임 횟수, 스터디 시간, 스터디 장소 등을 설정하여 스터디 그룹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 ③스터디 그룹 평가 인터페이스(23)는 사용자가 참여하고 있는 해당 스터디 그룹을 평가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터디 그룹 평가 인터페이스는 학습 분위기, 스터디 자료, 참여도, 학습 진도에 관한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평가기능을 지원한다.
평가정보는 후술하는 스터디 공유 서버(300)에 제공되어, 해당 스터디 그룹의 대외적인 지원 또는 해당 스터디의 강제폐쇄 등을 선정하는 자료로 사용된다.
상기 그룹 평가는 기간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간별로 누적된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평가점수가 높은 스터디 그룹은 본 발명의 스터디 공유 서버(300)와 제휴된 장소 업체, 서점 업체 등과 같은 후원(협력) 업체에서 지원하는 할인혜택정보(쿠폰, 마일리지, 이용권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평가정보는 다면평가정보로서, 스터디 그룹의 그룹원들 각각에서 평가한 평가점수를 합산한 후, 합산 점수에 평가인원 수에 비례하는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산출된다.
다음으로, ④ 스터디 자료 도구 인터페이스(24)는 도 13을 참조, 스터디 참여시에 활용가능한 도구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스터디 자료 도구 인터페이스(24)는 스터디 녹음, 자료 캡쳐, 자료 공유, 그룹 연락처, 스터디 기록실, 자료 다운, 스케줄러, 자료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스터디 녹음은 스터디의 내용을 녹음하기 위한 도구이고, 자료 캡쳐는 스터디 자료 및 활동을 이미지로 캡쳐하기 위한 도구이고, 자료 공유는 그룹원과 그룹원 간의 자료를 공유(미러링)기능을 제공하고, 그룹 연락처는 도 13을 참조, 그룹원들 간의 연락처를 기록 및 저장하는 도구이고, 스터디 기록실은 스터디 일자에 있었던 자료, 내용 등을 저장, 기록 및 보관하는 도구이고, 스케줄러는 스터디 모임에 대한 스케줄을 기록 및 관리하는 도구이고, 자료 편집은 스터디 녹음, 자료 공유, 자료 캡쳐를 통해 입력된 정보들을 편집하는 기능을 위한 도구일 수 있다.
다음으로, ⑤ 스터디 그룹원 평가 인터페이스(25)는 도 11을 참조, 스터디 그룹원에 대한 다면평가를 위한 기능으로, 그룹원의 출석률, 스터디 자료 준비, 학업 능력, 참여도, 성취도에 대한 복합적인 평가를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다음으로, ⑥ 스터디 스케줄러 인터페이스(26)는 도 14 및 도 15를 참조, 다중모드 스케줄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서, 스터디 시간표 및 스케줄 일정을 동시에 제공한다. 스터디 스케줄러는 그룹원들 간이 연동되며, 그룹 개설자가 스터디 일정을 입력하면, 스터디 그룹원들의 스케줄러에 스터디 일정이 자동으로 기록된다. 또한, 각 그룹원들은 해당 스케줄에 잡힌 스터디 참여를 승인하면, 각 그룹원들 스케줄러에 참석하는 그룹원들이 스케줄러에 자동 표시된다. 이후, 지정된 날짜에 참여가능한 스터디 그룹원들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해당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스터디 장소가 표시된다. 스터디 장소는 참여가능한 그룹원들의 위치정보의 중간지점에 분포한 장소를 우선적으로 선별하게 되고, 중간지점에 원하는 장소가 없을 경우, 일정 거리 간격으로 추천 장소를 선별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스터디 장소를 선별하는 내용은 후술하는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부(370)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⑦ 자료 공유 인터페이스(27)는 그룹원들 간에 자료를 가상 폴더를 생성하여 공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⑧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 인터페이스(28)는 도 16 참조, 스터디 공유 플랫폼과 제휴된 제휴 업체의 등록정보(위치, 수용가능인원 등)를 기초로 스터디 공간 이용 또는 임대 여부, 비용 등을 검색, 등록,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상기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 인터페이스(28)는 후술하는 스터디 공유 서버(300)의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부(370)와 연동된다.
다음으로, 도 2 참조, 상기 스터디 공유 서버(300)는 스터디 공유 서비스 웹 페이지,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앱 페이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스터디 공유 서버(300)는 메신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고, 메신저 서비스에 스터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스터디 공유 서버(300)는 상기 스터디 공유 플랫폼에서 입력된 질의어 및 입력정보에 상응하는 스터디 그룹생성, 스터디 그룹 참여, 스터디 교육자료, 스터디 시간 및 장소를 표시하는 스터디 스케줄러를 포함하는 스터디 공유정보를 스터디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200)로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스터디 공유 서버(300)는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터디 공유 서버(300)는 회원관리부(310), 스터디 그룹 개설부(320), 스터디 그룹 관리부(330), 스터디 그룹 검색부(340), 스터디 자료관리부(350),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부(360), 스터디 스케줄러부(370) 및 플랫폼 제공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원관리부(310)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앱)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인적정보 및 인적정보에 기초하여 회원가입 및 가입승인을 위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회원관리부(310)는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회원정보를 난수로 변환하여 난수코드 정보로 회원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회원관리부(310)는 각 회원들에게 난수코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난수코드에 기초하여 회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원관리부(310)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앱)를 이용하고자 하는 회원이 필수로 입력하는 스터디 참여이력, 스터디(전공)과 관련된 취득(자격증)정보, 스터디 목적, 스터디 참여동기 등에 대한 가입정보를 회원별로 등록한 후, 가입된 스터디 그룹의 그룹원들에게 공개 또는 그룹장에게만 공개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스터디 그룹 개설부(320)는 사용자가 입력한 개설정보에 기초하여 학습목적이 동일한 적어도 2인 이상이 포함된 스터디 그룹을 생성한다.
상기 스터디 그룹 개설부(32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터디 그룹을 1개의 스터디 그룹으로 통합거나 또는 1개의 스터디 그룹을 2개 이상의 스터디 그룹으로 분리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스터디 그룹의 통합 또는 분리는 스터디 그룹의 인원들의 승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터디 그룹 관리부(330)는 개설된 스터디 그룹들의 활동내용 및 스터디 그룹원의 참여상태를 관리한다.
상기 스터디 그룹 관리부(330)는 개설된 스터디 그룹의 모임 횟수, 스터디 자료 갱신, 스터디 그룹원의 이탈여부 등이 반영된 스터디 그룹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해당 스터디 그룹의 강제폐쇄를 스터디 그룹 개설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상기 스터디 그룹 관리부(330)는 운영되지 않는 스터디 그룹을 강제폐쇄함으로써, 신규 또는 기존회원들에게 무분별한 검색결과 제공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검색에 따른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터디 그룹 관리부(330)는 스터디 그룹의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스터디 그룹에 제휴업체에서 지원하는 혜택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휴업체는 스터디 장소를 임대 및 대여하는 업체, 스터디 자료를 파는 업체 등일 수 있다.
따라서, 혜택정보는 스터디 장소의 임대료 할인쿠폰, 스터디 장소에서 판매하는 음식정보(음료, 커피, 케익 등) 무료쿠폰, 스터디 자료와 관련된 책 할인 쿠폰 등일 수 있다.
또한, 스터디 그룹 관리부(330)는 스터디 그룹 평가부(331) 및 스터디 그룹원 평가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터디 그룹 평가부(331)는 스터디 그룹원들에게 스터디 그룹에서 진행하는 스터디 내용, 스터디 그룹원들의 역량, 스터디 그룹원들의 참여도 등을 다면평가 방식으로 진행하여, 해당 스터디 그룹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스터디 그룹 관리부(330)는 평가 참여수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스터디 그룹의 평가점수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스터디 그룹 평가점수의 합산값은 인원수에 비례하여 책정됨으로, 적은 인원이 속하는 스터디 그룹의 경우, 평가점수가 낮게 반영될 수 있다. 따라서 공평성을 위해 스터디 그룹인원 수를 기준값으로 환산한 후, 평가점수를 재산출한다.
가령, 스터디 그룹원이 5명인 스터디 그룹 A의 평가점수가 70점(최고)이고, 스터디 그룹원이 30명인 스터디 그룹 B에 평가점수가 360점일 경우, 그룹 A의 70점은 그룹원들 모두 4개의 평가항목에 최고점인 4점을 부여한 최고점수이고, 그룹B의 360점은 그룹원들 모두 4개의 평가항목에 3점을 부여한 점수일 경우, 그룹 A가 그룹 B가 더 낳은 평가를 받는 그룹이나, 평가점수의 총합으로 판단하면, 그룹 A가 그룹 B보다 평가절하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스터디 그룹 관리부(330)는 스터디 참여인원 수, 스터디 참여인원의 평가항목들 각각의 만족도 개수에 따라 가중치를 서로 다른게 두어 평가점수를 보정하여 재산출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터디 그룹원 관리부(350)는 스터디 그룹원이 해당 스터디 그룹에 가입시 제공한 검증정보 및 스터디 그룹에 활동한 활동정보(출력률, 기여도, 참여도, 성취도, 학업능력)를 기초로 그룹원의 역량 검증을 수행한다.
상기 스터디 그룹원 관리부(350)는 도 11 및 도 12 참조, 스터디 활동정보(출석률, 기여도, 참여도, 성취도, 학업능력)를 점수화한 이미지 정보(그래프)를 스터디 그룹원에게 제공하고, 스터디 그룹원들은 스터디 회차 별 스터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터디 그룹원 관리부(350)는 스터디 그룹 개설자에게 신규 스터디 그룹원의 참여승인 및 기존 스터디 그룹원의 참여를 제한(참여박탈)시킬 수 있는 권한 및 신규 스터디 그룹원 참여승인에 필요한 스터디 그룹원의 검증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검증권한은 스터디 그룹에 참여를 원하는 회원이 제공한 개인정보, 예컨대, 스터디 참여이력, 스터디(전공)과 관련된 취득정보, 스터디 관련 과목의 레벨 을 테스트 하기 위한 테스트 권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스터디 그룹 검색부(340)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질의)정보에 부합하는 스터디 그룹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스터디 그룹 검색부(340)는 사용자에게 원하는 스터디 그룹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질의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터디 자료관리부(350)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20)의 스터디 자료 도구를 이용하여 기록한 정보, 수신한 정보, 저장한 정보 등을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가령, 스터디 녹음, 자료 캡쳐, 자료 공유, 자료 다운, 그룹 연락처, 스터디 기록실, 스케줄러, 자료 편집 정보를 스터디 그룹별, 스터디 그룹원 별로 관리한다.
예컨대, 스터디 녹음정보는 스터디의 내용을 녹음한 정보이고, 자료 캡쳐 정보는 스터디 자료 및 활동을 이미지로 캡쳐한 정보이고, 자료 다운 정보는 스터디 플랫폼에 저장된 스터디 자료를 단말에 저장한 정보이고, 자료 공유 정보는 그룹원과 그룹원 간의 자료를 공유(미러링)된 정보이고, 그룹 연락처 정보는그룹원들 간의 연락처를 기록 및 저장한 정보이고, 스터디 기록실 정보는 스터디 일자에 있었던 자료, 내용 등을 히스토리로 기록저장한 정보이고, 스케줄러 정보는 스터디 모임에 대한 스케줄을 기록 및 관리한 정보이고, 자료 편집 정보는 스터디 녹음, 자료 공유, 자료 캡쳐에서 입력된 정보들을 편집한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부(360)는 스터디 그룹원의 참여수, 그룹원들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스터디 모임 장소를 선정 또는 추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부(360)는 스터디 참여를 등록한 그룹원들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후, 그룹원들의 위치 정보의 중간지역에 해당 참여인원수를 수용할 수 있는 장소를 검색한 후, 검색된 검색결과를 제공한다.
만약, 검색결과가 없을 경우, 검색 범위를 확장시켜 스터디 모임 장소를 검색한다.
상기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부(360)는 도 16을 참조, 스터디 공유 플랫폼(20)과 제휴된 제휴 업체의 등록정보(위치, 수용가능인원 등) 및 스터디 그룹원들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스터디 공간 이용 또는 임대 여부, 스터디 장소의 구조도, 공간 부대 시설 정보를 검색 및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부대 시설 정보는 스터디 룸 또는 카페의 구조도, 콘센트 위치, LAN선 포트 위치,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타 장비의 보유 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부(360)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의 장소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장소의 업체에게 스터디 날짜, 시간, 특정 스터디 룸의 이용예약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부(360)는 해당 날짜에 참여가능한 스터디 그룹원들 각각의 위치정보(회원가입시 등록한 주소)를 분석한 후, 분석된 위치 정보의 중간 영역을 추출한다.
여기서, 추출한 중간 영역의 반경은 기 설정된 반경거리로 설정된 값으로, 가령, 중간 영역의 반경이 3Km 이면, 반경 3Km 내에 등록된 제휴 업체 중 참여가능한 스터디 그룹원들의 인원수를 수용할 수 있는 제휴업체를 필터링한 후, 필터링된 제휴업체의 특성정보를 제공한다.
만약, 추출한 중간 영역의 반경 내에 참여 가능한 스터디 그룹원들의 인원수를 수용할 수 제휴업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 설정된 반경 거리를 증가시켜 제휴업체를 필터링하여, 매칭가능한 제휴업체를 탐색한다.
참고로, 제휴 업체의 경우, 업체의 위치정보, 수용가능정보, 스터디 임대가능시간, 판매물품, 정기 이용에 따른 할인혜택 등에 관한 이용정보 제공 후 스터디 공유 서버와 제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부(360)는 후술하는 스터디 스케줄러부(370)에서 추출된 스터디 그룹원들의 스터디 가능 시간대에 이용가능한 스터디 장소를 검색 및 예약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터디 스케줄러부(370)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20)의 스터디 스케줄러 인터페이스(26)와 연동되며, 스터디 시간표 및 스케줄 일정이 포함된 정보를 동시에 제공한다.
여기서, 스터디 스케줄러는 도 14 및 도 15 참조, 스터디 그룹원들 간에 연동되고, 그룹 개설자가 스터디 일정을 입력하면, 스터디 그룹원들의 스케줄러에 스터디 일정이 자동으로 기록된다.
또한, 각 그룹원들은 해당 스케줄에 잡힌 스터디 참여를 승인하면, 각 그룹원들 스케줄러에 참석하는 그룹원들이 스케줄러에 자동 표시된다. 이후, 지정된 날짜에 참여가능한 스터디 그룹원들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해당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스터디 장소가 표시된다.
스터디 장소는 참여가능한 그룹원들의 위치정보의 중간지점에 분포한 장소를 우선적으로 선별하게 되고, 중간지점에 원하는 장소가 없을 경우, 일정 거리 간격으로 추천 장소를 선별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스터디 장소를 선별하는 내용은 상술한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부(360)의 기능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터디 스케줄러부(370)는 스터디 그룹원들의 스터디 가능 시간을 검출한 후, 스터디 그룹원 전체가 참여 가능한 스터디 시간대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스터디 그룹원들 모두에게 가능한 시간이 추출되지 않을 경우, 스터디 그룹 개설자에게 스터디 시간을 설정할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랫폼 제공부(380)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을 제공 및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을 참조, 상기 스터디 공유 플랫폼(20)은 사용자가 원하는 스터디 그룹을 검색, 생성, 스터디 그룹의 스케줄을 계획/확인, 그룹 평가, 스터디 그룹의 자료저장, 공지확인, 연락처 실행/확인, 단말강제제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UI(User Interface)를 포함하고, ①스터디 그룹 검색 인터페이스(21), ②스터디 그룹 생성 인터페이스(22), ③스터디 그룹 평가 인터페이스(23), ④스터디 자료 도구 인터페이스(24), ⑤ 스터디 그룹원 평가 인터페이스(25), ⑥ 기능설정 인터페이스(26), ⑦ 자료공유 인터페이스(27) 및 ⑧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인터페이스의 기능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공유 플랫폼 및 이와 연동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하면, 누구나 자유롭게 자신이 원하는 과목, 위치, 시간에 부합하는 사람들과 스터디를 공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터디 그룹을 개설한 개설자의 일 방적인 권한으로 스터디 시간, 장소가 개설되는 것이 아니라, 스터디 그룹원들 각각이 가능한 시간대, 위치, 장소 등을 자동으로 필터링하여 누구나 부담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스터디 모임을 공유하는 것 뿐만 아니라, 플랫폼(앱)에서 지원하는 스터디 학습내용 녹음, 기록, 스터디 자료의 이미지 저장기능 등을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앱으로 스터디에 관한 모든 내용을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회원의 스터디 목적과 수준에 맞는 스터디 그룹을 결성하거나 또는 본인이 원하는 수준의 스터디 참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제공한 스터디 공유 서버(300)는 빅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하여,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마이닝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수집 및 저장되는 빅데이터의 종류나 이후에 요청될 질의(Query)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마이닝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축된 빅데이터는, 인공신경망 딥러닝이나 기계학습 등으로 검증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이때, 인공 신경망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구조가 이용될 수 있는데, CNN은 컨볼루션 층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조로 이미지 처리에 적합하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이미지 내의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은 비/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어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텍스트 뭉치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고, 다른 정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며, 텍스트가 가진 카테고리를 찾아내거나 단순한 정보 검색 그 이상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거래 서비스에서는, 질의로 입력되는 식별자나 자연어를 분석하고, 그 안에 숨겨진 정보를 발굴해 내기 위해 대용량 언어자원과 통계적, 규칙적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터디 공유 서버(300)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람이 사용하는 스터디 검색조건을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시맨틱 검색기반의 검색엔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누구나 자유롭게 자신이 원하는 과목, 위치, 시간에 부합하는 사람들과 스터디를 공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터디 그룹을 개설한 개설자의 일 방적인 권한으로 스터디 시간, 장소가 개설되는 것이 아니라, 스터디 그룹원들 각각이 가능한 시간대, 위치, 장소 등을 자동으로 필터링하여 누구나 부담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스터디 모임을 공유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앱에서 지원하는 다중 모드 스케줄러를 통해 스터디의 내용을 녹음, 기록, 스터디 자료의 이미지 저장기능 등을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앱으로 스터디에 관한 모든 내용을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8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 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다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
200: 사용자 단말
300; 스터디 공유 서버
310: 회원관리부
320: 스터디 그룹 개설부
330: 스터디 그룹 관리부
331: 스터디 그룹 평가부
332: 스터디 그룹원 평가부
340: 스터디 그룹 검색부
350: 스터디 자료관리부
360: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부
370: 스터디 스케줄러부
380: 플랫폼 제공부
10: 네트워크
20: 스터디 공유 플랫폼
21: 스터디 그룹 검색 인터페이스
22: 스터디 그룹 생성 인터페이스
23: 스터디 그룹 평가 인터페이스
24: 스터디 자료 도구 인터페이스
25: 스터디 그룹원 평가 인터페이스
26: 스터디 스케줄러 인터페이스
27: 자료 공유 인터페이스
28: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 인터페이스

Claims (9)

  1. 스터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여 참여하고자 하는 스터디 그룹의 검색, 예약, 스터디 그룹 내에서 진행하는 스터디 계획정보, 스터디 교육내용에 대한 자료를 검색, 요청 및 제공받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스터디 공유 플랫폼에서 입력된 질의어 및 입력정보에 상응하는 스터디 그룹생성, 스터디 그룹 참여, 스터디 교육자료, 스터디 시간, 장소가 표시된 스터디 스케줄러를 포함하는 스터디 공유 정보를 제공하는 스터디 공유 서버를 포함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디 공유 서버는
    학습목적이 동일한 적어도 2인 이상이 포함된 스터디 그룹을 생성하는 스터디 그룹 개설부;
    스터디 그룹의 스터디 활동내용을 이미지 캡쳐, 텍스트 기록 및 녹음하여 다중모드 스케줄러를 통해 관리하는 스터디 자료관리부;
    스터디 그룹, 스터디 그룹의 모임장소, 모임시간, 요일별 스터디 내용을 검색하는 검색부;
    스터디 그룹원들에게 스터디 그룹에서 진행하는 스터디 내용, 스터디 그룹원들의 역량, 스터디 그룹원들의 참여도 등을 다면평가 방식으로 진행하여, 해당 스터디 그룹의 역량을 평가하고, 스터디 그룹원이 해당 스터디 그룹에 가입시 제공한 검증정보 및 스터디 그룹에 활동한 활동정보(출력률, 기여도, 참여도, 성취도, 학업능력)를 기초로 그룹원의 역량 검증을 수행하는 스터디 그룹원 관리부;
    스터디 공유 플랫폼의 스터디 자료 도구를 이용하여 기록한 정보, 수신한 정보, 저장한 정보를 관리하는 스터디 자료관리부;
    제휴 업체의 등록정보(위치, 수용가능인원 등), 스터디 그룹원들의 위치정보 및 검출된 가능시간대를 기초로 스터디 공간 이용 또는 임대 여부의 검색 및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부;
    스터디 시간표 및 스케줄 일정을 표시하는 스터디 스케줄러를 제공하는 스터디 스케줄러부; 및
    개설된 스터디 그룹들의 활동내용 및 스터디 그룹원의 참여상태를 관리하는 스터디 그룹 관리부를 포함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디 그룹 개설부는
    학습과목, 지역, 성별, 인원, 연령, 주기, 시간, 기간, 장소, 전화번호 공개 여부, 제한요건 중 적어도 하나 항목이 설정된 스터디 게시방을 개설하는 스터디 게시방 개설부를 포함하는 스터디 공유 어플리케이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디 그룹 관리부는
    평가 참여수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스터디 그룹의 평가점수를 보정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디 그룹 관리부는
    스터디 활동정보(출석률, 기여도, 참여도, 성취도, 학업능력)를 점수화한 이미지 정보(그래프)를 스터디 그룹원에게 제공하고, 스터디 그룹원들은 스터디 회차 별 스터디 결과점수를 제공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디 스케줄러는
    스터디 그룹원들 간에 연동되고, 스터디 그룹원의 스터디 참여등록이 입력되면, 자동으로 해당 스터디 그룹원의 참여정보가 타 스터디 그룹원의 스케줄러에 자동표시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디 스케줄러는
    스터디 그룹원의 아이콘을 터치한 터치시간 또는 드래그 방향 따라 해당 스터디 그룹원에게 전화 걸기 또는 특정 메시지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부는
    지정된 일자에 스터디 참여가능 인원 수 및 참여가능 인원의 위치정보의 중간지역을 산출하고, 산출된 중간지역 내에 상기 참여인원이 수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를 선별한 후, 선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의 공간 부대 시설 정보 및 임대비용 또는 최소 입장비용을 금액 순으로 제시하고,
    상기 공간 부대 시설 정보는
    스터디 룸 또는 카페의 구조도, 콘센트 위치, LAN선 포트 위치,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타 장비의 보유 수를 포함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디 공유 플랫폼은
    지역, 구, 시, 동 단위로 등록된 스터디 그룹의 활동지역을 검색 및 스터디 종류를 검색하기 위한 스터디 그룹 검색 인터페이스;
    스터디 종류, 스터디 지역, 구성원 성별, 스터디 연령 제한, 스터디 모임 횟수, 스터디 시간, 스터디 장소 등을 설정하여 스터디 그룹을 생성하는 스터디 그룹 생성 인터페이스;
    사용자가 참여하고 있는 해당 스터디 그룹을 평가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스터디 그룹 평가 인터페이스;
    스터디 녹음, 자료 캡쳐, 자료 공유, 그룹 연락처, 스터디 기록실, 자료 다운, 스케줄러, 자료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스터디 자료 도구 인터페이스;
    스터디 그룹원의 출석률, 스터디 자료 준비, 학업 능력, 참여도, 성취도에 대한 복합적인 다면평가 기능을 제공하는 스터디 그룹원 평가 인터페이스;
    스터디 시간표 및 스케줄 일정을 동시에 제공하는 스터디 스케줄러 인터페이스;
    스터디 그룹원들 간에 자료를 가상 폴더를 생성하여 공유하기 위한 자료 공유 인터페이스;
    스터디 공유 플랫폼과 제휴된 제휴 업체의 등록정보(위치, 수용가능인원 등)를 기초로 지정된 일자에 스터디 참여가능 인원 수 및 참여가능 인원의 위치정보의 중간지역을 산출하고, 산출된 중간지역 내에 상기 참여인원이 수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를 선별한 후, 선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의 공간 부대 시설 정보 및 임대비용 또는 최소 입장비용을 금액 순으로 검색, 등록, 관리하는 스터디 장소 검색/관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부대 시설 정보는
    스터디 룸 또는 카페의 구조도, 콘센트 위치, LAN선 포트 위치,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타 장비의 보유 수를 포함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
KR1020180129892A 2018-10-29 2018-10-29 스터디 공유 플랫폼 및 이와 연동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 KR102171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892A KR102171345B1 (ko) 2018-10-29 2018-10-29 스터디 공유 플랫폼 및 이와 연동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892A KR102171345B1 (ko) 2018-10-29 2018-10-29 스터디 공유 플랫폼 및 이와 연동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148A true KR20200048148A (ko) 2020-05-08
KR102171345B1 KR102171345B1 (ko) 2020-10-28

Family

ID=7067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892A KR102171345B1 (ko) 2018-10-29 2018-10-29 스터디 공유 플랫폼 및 이와 연동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3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512B1 (ko) * 2021-12-31 2022-12-02 주식회사 빛나는별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33133B1 (ko) * 2022-10-18 2023-05-17 주식회사 썸즈 인공지능 기반 모임 매칭 장치 및 방법
KR102533132B1 (ko) * 2022-10-18 2023-05-17 주식회사 썸즈 룰베이스 모임 매칭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012A (ko) 2021-02-24 2022-08-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페널티 규칙을 갖는 그룹 스터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9956A (ko) * 2007-08-22 2009-0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스터디 그룹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49744A (ko) 2007-11-14 2009-05-19 (주)아윌패스 학습 스케줄 관리방법
KR20160081681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테라클 협력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0444A (ko) * 2016-06-23 2018-01-03 황재민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오투오(On-line to Off-line) 직업영어교육 서비스
KR20180037079A (ko) * 2016-10-01 2018-04-11 허동훈 온라인 취업 스터디 그룹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8448A (ko) * 2016-12-14 2018-06-22 주식회사 위밋 모임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모임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9956A (ko) * 2007-08-22 2009-0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스터디 그룹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49744A (ko) 2007-11-14 2009-05-19 (주)아윌패스 학습 스케줄 관리방법
KR20160081681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테라클 협력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0444A (ko) * 2016-06-23 2018-01-03 황재민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오투오(On-line to Off-line) 직업영어교육 서비스
KR20180037079A (ko) * 2016-10-01 2018-04-11 허동훈 온라인 취업 스터디 그룹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8448A (ko) * 2016-12-14 2018-06-22 주식회사 위밋 모임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모임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512B1 (ko) * 2021-12-31 2022-12-02 주식회사 빛나는별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33133B1 (ko) * 2022-10-18 2023-05-17 주식회사 썸즈 인공지능 기반 모임 매칭 장치 및 방법
KR102533132B1 (ko) * 2022-10-18 2023-05-17 주식회사 썸즈 룰베이스 모임 매칭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345B1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zahrani et al. How ready is higher education for quality 4.0 transformation according to the LNS research framework?
do Vale et al. Project managers’ competences: what do job advertisements and the academic literature say?
Seddon A respecification and extension of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S success
Gerlitz et al. The like economy: Social buttons and the data-intensive web
Kalampokis et al. Open government data: A stage model
Kusumasondjaja et al. Credibility of online reviews and initial trust: The roles of reviewer’s identity and review valence
McKinney et al. The measurement of web-customer satisfaction: An expectation and disconfirmation approach
US8639650B1 (en) Profile-responsive system for information exchange in human- and device-adaptive query-response networks for task and crowd management, distributed collaboration and data integration
Riggs et al. How is mobile technology changing city planning? Developing a taxonomy for the future
KR102171345B1 (ko) 스터디 공유 플랫폼 및 이와 연동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
Belton Multi-criteria problem structuring and analysis in a value theory framework
Larrán Jorge et al. Factors influencing the presence of ethics and CSR stand-alone courses in the accounting masters curricula: An international study
KR102186582B1 (ko) O2o 공간 공유 및 모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Gruszka et al. Out of sight, out of mind?(In) visibility of/in platform-mediated work
KR102297192B1 (ko) 위치 기반 일자리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im et al. User‐centric service map for identifying new service opportunities from potential needs: A case of app store applications
Rehman et al. Internet tradition and tourism development: A causality analysis on BRI listed economies
Yao et al. Service value co-creation in digital platform business: A case of xianyu idle trading platform
Okano et al. The digital platform as digital innovation: A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dynamic capabilities
Moss et al. Using market-research panels for behavioral science: An overview and tutorial
Hai-Jew Online Survey Design and Data Analytics: Emerging Research and Opportunities: Emerging Research and Opportunities
Amaratunga et al. Post-disaster housing reconstruction in Sri Lanka: what methodology?
Raza A paradigm shift to ethical decision-making—Incorporating systemic epistemology into complex socio-technical decision support systems research
Yamagata et al. A “Smart Lifestyle” for the re-design of the “After Corona” urban form
Dickinger et al. “This city is absolutely fun and trendy” a destination brand personality analysis in a web 2.0 se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