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444A -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오투오(On-line to Off-line) 직업영어교육 서비스 - Google Patents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오투오(On-line to Off-line) 직업영어교육 서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444A
KR20180000444A KR1020160078418A KR20160078418A KR20180000444A KR 20180000444 A KR20180000444 A KR 20180000444A KR 1020160078418 A KR1020160078418 A KR 1020160078418A KR 20160078418 A KR20160078418 A KR 20160078418A KR 20180000444 A KR20180000444 A KR 20180000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er
lecturer
information
learning
engl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민
Original Assignee
황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민 filed Critical 황재민
Priority to KR1020160078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444A/ko
Publication of KR20180000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직업 영어 혹은 실무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을 개시한다. 실무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실무 분야, 영어 실력 테스트 결과, 공인 영어시험 점수 및 희망 진로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자 정보를 통해, 학습자 개개인을 분석하여 분석결과에 따라 학습자 별 맞춤형 강의 컨텐츠, 스터디 장소,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정보를 추천하는 학습자 관리 모듈; 강사 별 강의 동영상, 실무 영어 이북 자료를 포함하는 영어 학습 컨텐츠를 수집하여, 직무 영역 및 레벨 별로 분류하고, 강사 특성과 수업 일정을 고려하여 학습자를 매칭하고, 학습자의 학습현황 및 강사 별 평가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학습자와 강사를 관리하는 모니터링 모듈; 학습 컨텐츠 레벨, 일정, 실무 분야에 따라 강사를 분류하고, 강사 별 강의 컨텐츠의 추천수, 재생횟수 및 강의 평가 의견에 따른 강사 피드백 자료를 생성하는 강사 관리 모듈;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오투오(On-line to Off-line) 직업영어교육 서비스 {BUSINESS ENGLISH TRAINING SERVICES FOR DEVELOPING VOCATIONAL ABILITY}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실무 영어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초외국어능력은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직무와 관련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요구되기 마련이지만, 대부분의 직업인들은 탁월한 업무능력에도 불구하고 기초외국어를 하지 못해 업무를 제대로 추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서 요구하는 직업능력에는 직무수행능력과 직업기초능력이 있고, 이 직업기초능력 중에 하나인 기초외국어능력은 모든 직업인이 공통으로 갖추어야 할 핵심적인 능력이며, 대부분의 직종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공통적인 능력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국내 영어교육시장은 입시, 공인어학시험, 일반영어회화, 단순 비즈니스 영어 시장으로 모두 형성이 되어있으며, 실제 근로자의 업무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직무 별 영어교육을 제공하는 교육훈련과정은 현재까지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결과적으로 근로자의 직무수행능력과 기초외국어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이 필요한 상황이며, 이와 더불어 해외 취업 및 기술 이민에 관심이 큰 직업인들이 동종업계 관계자들과 취업 및 진로 관련 정보를 교류하고 인맥을 형성할 수 있는 소셜 커뮤니티 서비스(Social Community Service) 또한 필요한 실정이다.
1. 한국 특허공개 제10-2008-0019733호(2009.09.08) 2. 한국 특허공개 제10-2003-0055452호(2005.02.23)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직업영어교육서비스 제공과 학습자, 강사 및 관리자에게 맞춤형 직업영어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서버 및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활용한 직무 별 직업영어교육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실무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실무 분야, 영어 실력 테스트 결과, 공인 영어시험 점수 및 희망 진로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자 정보를 통해, 학습자 개개인을 분석 하여 분석결과에 따라 학습자 별 맞춤형 강의 컨텐츠, 스터디 장소,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정보를 추천하는 학습자 관리 모듈; 강사 별 강의 동영상, 실무 영어 이북 자료를 포함하는 영어 학습 컨텐츠를 수집하여, 실무 영역 및 레벨 별로 분류하고, 강사 특성과 수업 일정에 따라 학습자를 매칭하고, 학습자의 학습현황 및 강사 별 평가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학습자와 강사를 관리하는 모니터링 모듈; 학습 컨텐츠 레벨, 일정, 실무 분야에 따라 강사를 분류하고, 강사 별 강의 컨텐츠의 추천수, 재생횟수 및 강의 평가 의견에 따른 강사 피드백 자료를 생성하는 강사 관리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실무 영어 학습 제공 방법은 학습자 모드, 관리자 모드, 강사 모드를 포함하는 접속 모드를 인식하는 단계; 학습자 모드로 인식되는 경우, 입력된 학습자 세부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학습자 맞춤형 컨텐츠를 매칭하는 단계; 강사 모드로 인식되는 경우, 입력된 강사 세부정보를 분석하여 분석결과에 따라 강사에게 추천학생 정보 및 수업 정보를 매칭하고, 강의 평가를 기반으로 강의 피드백을 생성하는 단계; 및 관리자 모드로 인식되는 경우, 학습자 및 강사의 학습현황, 강의 컨텐츠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여 학습자 및 강사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영어 학습자는 의료, 금융, 서비스 등 직업분야별로 구분된 현장 실무 중심의 직업영어교육을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 학습할 수가 있고, 기술이민 및 해외취업을 희망하는 근로자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와 관련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강사와 학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학습 시스템을 통해 학습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실무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실무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학습자에게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실시 예
도 5는 실무영어 강사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디스플레이 실시 예
도 6은 실무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서버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실시 예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모듈(100)에서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실무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다.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 제 2 장치(200) 및 제 3 장치(300) 또는 통신경로(104)를 통한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 제 2 장치(100), 제 3장치(300) 또는 이들의 조합의 사용자들은 텍스트, 사진, 심볼들, 위치 정보, 오디오 등을 포함한 정보를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에 접근하거나 또는 그것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개인이거나 기업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정보들은 사용자로부터 직접 생성될 수 있으며, 더 많은 또는 다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제 2장치 (200) 또는 제 3 장치(300)은 학습자 또는 강사가 휴대하는 휴대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지능형 텔레비전, 스마트 폰, 게임 콘솔, 또는 기타 다기능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 또는 엔터테인먼트 장치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 2 장치(100), 제 3 장치(300), 다른 장치들, 또는 이들의 조합과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통신 경로(104)와 직간접적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학습자 관리 모듈(110), 모니터링 모듈(120) 및 강사관리 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학습자 관리 모듈(110)은 학습자의 세부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결과에 따라 학습자에게 맞춤형 학습 정보를 추천한다. 예컨대, 학습자 관리 모듈(110)은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실무 분야, 영어 실력 테스트 결과, 공인 영어시험 점수 및 희망 진로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자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학습자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자 개개인을 분석한다. 이후, 분석 결과에 따라 학습자 맞춤형 강의 컨텐츠, 스터디 장소, 스터디 그룹 정보 등을 제공한다.
모니터링 모듈(120)은 영어 학습 컨텐츠를 수집하여 직무와 난이도 별로 구분하고, 강사 정보를 수집하여 강사의 특성과 강의 난이도 및 직무 별로 분류한다. 이후, 학습자의 학습 목적과 영어 실력을 고려하여 강사와 학습자를 매칭한다. 또한, 학습자 및 강사를 모니터링 하여 출석률이 저조한 학생 또는 평가가 좋지 않은 강사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등, 학습자와 강사를 관리한다.
강사관리 모듈(130)은 학습 컨텐츠 레벨, 강사 일정, 실무 분야에 따라 강사를 분류하고, 강사 별 강의 컨텐츠의 추천수, 재생횟수 및 강의 평가 의견에 따른 강사 피드백 자료를 생성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실무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학습자 관리 모듈(110)은 학습자 정보 수집부(111), 분석부(113), 매칭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모니터링 모듈(120)은 컨텐츠 수집부(121), 분류부(123), 생성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강사 관리 모듈(130)은 강사 정보 수집부(131), 매칭부(133) 및 피드백 생성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학습자 관리모듈(110)의 학습자 정보 수집부(111)는 학습자 세부 정보를 수집한다. 학습자 세부정보는 학습자의 공인영어 점수, 레벨 테스트 결과를 포함하는 영어 실력 정보, 학습 희망 실무 분야, 해외취업, 기술 이민과 같은 학습 목적, 학습 스타일 등 맞춤형 컨텐츠 추천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학습자 정보를 수집한다. 분석부(113)는 수집된 학습자 정보와 학생의 강의 수강률, 출석률, 그룹 활동 참여율, 레벨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학습진행 상황 및 실력 변화 정보를 피드백 한다. 매칭부(115)는 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학습자 개개인에게 필요한 맞춤형 학습 컨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개개인에게 제공한다. 예컨대, 매칭부(115)는 학습자가 입력한 실무 분야와 학습목적에 대응하는 강의 컨텐츠 및 스터디 그룹, 학습자료 등을 추출하여 제공하거나, 학습자의 취약 분야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제공 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120)의 컨텐츠 수집부(121)는 강의 컨텐츠, 교재 파일, 오디오 파일 등 영어 학습과 관련된 여러 학습 컨텐츠를 수집한다. 또한 컨텐츠 수집부(121)는 수집된 컨텐츠에 관련 직무 분야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태그 등으로 이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분류부(123)는 의료, 회계, 서비스, 마케팅, 프로그램 개발, 교육, 법무를 포함하는 직무 별 필수 어휘를 분류하고, 입력되는 영어 학습 컨텐츠에 포함된 어휘를 직무 별 필수 어휘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되는 영어 학습 컨텐츠를 직무에 따라 분류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직무는 경영·회계·사무, 금융·보험·법률, 교육·자연·과학, 보건·의료·간호, 문화·예술·디자인, 숙박·여행·오락, 미용·음식·스포츠, 건설·건축·기계, 전기·전자·정보통신, 화학·환경·에너지, 농업·임업·수산, 경찰·경비·국방 분야로 중분류 되고, 각각의 중분류 직무 분야는 소분류 직무분야를 포함한다. 중분류에 포함되는 직무분야의 예는 다음과 같다.
경영, 회계, 사무 분야는 경영·기획(Management), 일반 사무 (Office Work), 마케팅 (Marketing), 인사·조직 (Human Resource), 유통관리 (Logistics), 재무(Finance), 회계 (Accounting), 비서 (Secretarial), 고객 관리 (Call Center)의 직무 분야로 분류되고, 금융·보험·법률 분야는 은행 (Banking), 보험 (Insurance), 법률 (Law) 분야로 분류되고, 교육·자연·과학분야는 유아 교육 (Kindergarten Teacher), 오페어 (Au Pair), 기초 과학 (Basic Science English), 원자력 공학 (Nuclear Engineering), 유전 공학 (Genetic Engineering) 분야로 분류되고, 보건·의료·간호 분야는 기초 의학 (Basic Medical English), 간호사 (Nursing), 의사 보조사 (Physician’s Assistant), 치과 치료 (Dental Treatment), 치과 위생 (Dental Hygiene), 임상 심리 (Clinical Psychology), 물리 치료 (Physical Therapist), 의용 공학 (Biomedical Engineering) 분야로 분류되고, 문화·예술·디자인 분야는 디자인 (Art and Design) , 큐레이터 (Curator), 영화 제작 (Movie production) 저널리즘 (Journalism) 분야로 분류되고, 숙박·여행·오락 분야는 호텔 ·레스토랑 서비스 (Hotels and Catering), 항공 운항·관리 (Civil Aviation), 항공 객실 서비스 (Flight Attendant), 크루즈 운영·관리 (Merchant Navy), 여행 서비스 (Tourism), 택시 운전 (Taxi Driver) 분야로 분야로 분류되고, 미용·음식·스포츠 분야는 미용 서비스 (Hair and Beauty), 음식 조리 (Food Cooking Service), 외식 경영 (Food Service Industry), 건강 운동 관리 (Fitness Trainer), 스포츠 경기 지도 (Sports Training) 분야로 분류되고, 건설·건축·기계는 건설 (Construction and Building), 건축 (Architecture), 도로 공사 (Road Construction), 철도 산업 (Railroad Industry), 토목 공학 (Civil Engineering), 기계 공학 (Mechanical Engineering), 자동차 정비·관리 (Car Mechanic), 자동차 산업 (Automotive Industry), 배관 설비 (Plumbing), 전기 기사 (Electrician) 분야로 분류되고, 전기·전자·정보통신 분야는 전기 기사 (Electrician), 전기 공학 (Electrical Engineering), 전자 공학 (Electronic Engineering), 기초 공학 (Basic Engineering English), 기초 컴퓨터 (Basic Computing English), 컴퓨터 공학 (Computer Engineering), 소프트웨어 공학 (Software Engineering), 정보통신기술(IT) (Information Technology) 분야로 분류되고, 화학·환경·에너지는 화학 공학 (Chemical Engineering), 석유 산업 (Petroleum Industry), 가스 산업 (Gas Industry), 환경 과학 (Environmental Science), 환경 공학 (Environmental Engineering), 광산업 (Mining Industry), 산업 공학 (Industrial Engineering), 산업 안전 (Industrial Safety) 분야로 분류되고, 농업·임업·수산분야는 농업 (Agricultural Industry), 농업 공학 (Agricultural Engineering), 임업 (Forestry Industry), 수산업 (Fishing and Seafood Industry) 분야로 분류되고. 경찰·경비·국방 분야는 경찰 (Police), 보안 요원 (Security Personnel), 육군 (Army), 공군 (Air Force), 해군 (Navy) 분야로 분류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직무 분야를 중분류 하고, 다시 세부 직군 으로 나누어 세부 직군 별 영어 컨텐츠를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직무에 맞춤화된 영어 컨텐츠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생성부(125)는 학습자 정보 중 희망 진로 정보를 기반으로 기술이민, 해외취업을 포함하는 진로 정보에 따라 학습자 개별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그룹 각각의 속성에 따라 이민정보, 해외 취업 정보, 해외 구직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출석률이 저조하거나 악성 댓글을 입력하는 학습자 및 강사에게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달하고, 강사의 강의 피드백 자료, 학습자의 평가 자료 등 서버의 원활한 운용 및 관리를 위한 메시지, 피드백 데이터 등을 생성한다.
강사 관리모듈(300)의 강사 정보 수집부(131)는 강사 수업 일정, 강의 난이도, 강의 컨텐츠, 강사 개인정보 등을 수집한다. 매칭부(133)는 강사 정보와 학습자 정보를 고려하여 학습자와 강사를 매칭한다. 구체적으로, 강사의 강의 일정, 강의 난이도 및 강의 컨텐츠를 기반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학생, 및 스터디 그룹을 추천하여 강사와 학습자를 매칭할 수 있다. 피드백 생성부(135)는 강사 별 강의 컨텐츠의 추천수, 재생횟수에 따라 강사의 인기 정도를 분석하고, 학습자들의 강의 평가 의견을 분석하여 강사 피드백 자료를 생성한다.
도 4 내지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강사, 관리자의 학습 서비스 제공 디스플레이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라 학습자에게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는 법무, 서비스, 금융, 의료 등 다양한 직군 중 자신이 관심을 가지는 직무(예컨대, 금융, 은행)와 학습 목적(예컨대, 해외취업)을 선택할 수 있다. 학습자가 직무와 학습목적을 선택하고, 관심국가, 학습 레벨 등 세부적인 학습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반영한 추천 스터디 그룹, 학습 테스트 결과, 추천강의, 학습 현황 및 사용자 현재 위치 기반 공부하기 좋은 장소 추천 정보 등을 제공 받을 수 있다. 학습자는 실시예에 따른 실무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서버를 이용하여 자신이 선택한 실무관련 영어 학습 컨텐츠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고, 기술 이민 또는 해외 취업과 같은 유사한 학습 목적을 가진 학습자들과 커뮤니티를 형성 할 수 있기 때문에 관련 정보를 보다 쉽게 제공 받을 수 있다. 아울러, 현재 학습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스터디 하기 좋은 곳을 추천 받는 등, 학습을 위한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5는 실무영어 강사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디스플레이의 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사는 최근 업로드 한 강의에 대한 반응, 학습자들로부터의 강의 피드백, 질문 등 강의 평가 정보, 관리자 메시지 및 학습자와의 의사소통 데이터를 편리하게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강사 일정과 강의 특성을 고려하여 매칭된 강의 요청정보와 추천학생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어, 강의 기회를 손쉽게 확대 할 수 있다.
도 6은 실무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서버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관리자는 서버상태, 신규 가입 인원 및 탈퇴 인원 새로 등록한 강사 정보, 최근 업로드 강의, 학습자의 출석률 현황 등 서버의 효율적 운용 및 관리를 위한 각종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서버 관리자는 학습자의 학습현황과 접속 빈도, 댓글 등을 모니터링 하여, 학습자들에게 경고 메시지, 격려 메시지 등을 보낼 수 있고, 강사의 강의 컨텐츠를 분석하여 피드백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무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실무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의 작용(기능)은 서버 및 시스템상의 기능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므로 도 1 내지 도 6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모듈(100)에서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710 단계에서는 서버 접속자가 관리자 또는 강사 모드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만약, 관리자 또는 강사모드가 아닌 경우, 학습자 모드로 S720 단계에 진입하여 서버에 접속된다.
S720 단계에서는 학습자로부터 학습을 원하는 실무 분야, 현재 공인영어 점수, 기술이민, 해외 취업, 어학연수, 학위 취득과 같은 학습 목적, 관심 국가 등 학습자의 영어 학습에 대한 세부 정보를 입력 받는다.
S730 단계에서는 입력된 학습자 세부정보를 분석하여, S740 단계에서는 분석 결과에 따라 학습자 맞춤형 강의 컨텐츠 및 스터디 그룹 등을 추출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학습자의 현재 위치 정보가 파악 되는 경우, 현재 위치 기반 스터디 장소 추천 등, 학습자의 개인정보를 고려하여 학습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 컨텐츠를 추천할 수도 있다.
만일, S710 단계에서 관리자 또는 강사 모드 중 하나인 경우, S750 단계에서 접속 모드를 다시 한번 확인한다. 강사 모드로 서버에 접속한 경우, S760 단계에서 강사로부터 수업일정, 수업 컨텐츠 난이도, 강사 개인 특성 및 강점, 수업자료 등을 입력 받는다. S770 단계에서는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강사에게 알맞은 수업 및 스터디 그룹을 매칭한다. S780 단계에서는 업로드 된 강사의 강의 영상과 학습 컨텐츠에 대한 조회수, 댓글, 질의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강의 피드백을 생성하고 강사에게 전달한다.
S750 단계에서 서버 접속자가 관리자로 인식되는 경우에는, S790 단계로 진입하여 학습자와 강사 정보를 모니터링 한다. S800 단계에서는 강사 정보와 학습자 정보를 고려하여 학습자와 강사를 매칭하거나 출석률 저조, 악성 댓글 상업성 글 등을 입력하는 학습자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아울러 강사에 대해서도 컨텐츠 업로드가 저조하거나, 강의 컨텐츠 품질이 일정 수준 미만인 경우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S810 단계에서는 학습목적과 레벨에 따른 스터디 그룹을 생성하거나 기존에 생성된 스터디 그룹의 활동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은 실무 중심의 영어 학습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는 자신의 실무 분야와 관련 높은 영어학습을 통해, 실무 능력과 영어 실력을 동시에 향상 시킬 수 있고, 이민, 해외취업에 대한 각종 정보를 스터디 그룹을 통해 손쉽게 얻을 수 있다. 또한, 강사는 학생 및 스터디 그룹을 추천 받아 적극적인 강의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고, 강의 컨텐츠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 강의실력 향상 및 커리어 개발에 도움을 준다. 아울러 관리자는 강사 및 학습자를 편리하게 관리 감독 할 수 있어 서버 관리 및 발전에 효율적이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실무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
110: 학습자 관리 모듈
120: 모니터링 모듈
130: 강사 관리 모듈

Claims (9)

  1. 실무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실무 분야, 영어 실력 테스트 결과, 공인 영어시험 점수 및 희망 진로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자 정보를 통해, 학습자 개개인을 분석 하여 분석결과에 따라 학습자 별 맞춤형 강의 컨텐츠, 스터디 장소,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정보를 추천하는 학습자 관리 모듈;
    강사 별 강의 동영상, 실무 영어 이북 자료를 포함하는 영어 학습 컨텐츠를 수집하여, 직무 영역 및 레벨 별로 분류하고, 강사 특성과 수업 일정을 고려하여 학습자를 매칭하고, 학습자의 학습현황 및 강사 별 평가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학습자와 강사를 관리하는 모니터링 모듈;
    학습 컨텐츠 레벨, 일정, 실무 분야에 따라 강사를 분류하고, 강사 별 강의 컨텐츠의 추천수, 재생횟수 및 강의 평가 의견에 따른 강사 피드백 자료를 생성하는 강사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실무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관리 모듈; 은
    학습자의 강의 수강률, 출석률, 그룹 활동 참여율, 레벨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학습진행 상황 및 실력 변화 정보를 피드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무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모듈; 은
    의료, 회계, 서비스, 마케팅, 전산, 교육, 법무를 포함하는 직무 별 필수 어휘를 분류하고, 입력되는 영어 학습 컨텐츠에 포함된 어휘를 직무 별 필수 어휘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되는 영어 학습 컨텐츠를 직무 별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무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관리 모듈; 은
    상기 학습자 정보 중 이민, 해외취업을 포함하는 학습 목적 정보에 따라 학습자 개별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그룹 각각의 속성에 따라 이민정보, 해외 취업 정보, 해외 구직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무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모듈; 은
    학습자의 출석률 또는 평가 결과가 일정 수준 미만 이거나 악성댓글 또는 홍보성 글이 모니터링 된 경우, 상기 학습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무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
  6. 실무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학습자 모드, 관리자 모드, 강사 모드를 포함하는 접속 모드를 인식하는 단계;
    학습자 모드로 인식되는 경우, 입력된 학습자 세부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학습자 맞춤형 컨텐츠를 매칭하는 단계;
    강사 모드로 인식되는 경우, 입력된 강사 세부정보를 분석하여 분석결과에 따라 강사와 추천학생 및 강의 요청 정보를 매칭하고, 강의 평가를 기반으로 강의 피드백을 생성하는 단계; 및
    관리자 모드로 인식되는 경우, 학습자 및 강사의 학습현황, 강의 컨텐츠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여 학습자 및 강사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무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맞춤형 컨텐츠를 매칭하는 단계; 는
    학습자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등록된 스터디 장소를 추출하고, 추출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무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피드백을 생성하는 단계; 는
    강의 영상의 재생 수, 추천수, 댓글 수를 고려하여 강의 영상을 평가하고 평과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무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여 학습자 및 강사에게 전송하는 단계; 는
    출석률 또는 평가 결과가 일정 수준 미만인 이거나 악성댓글 또는 홍보성 글이 모니터링 된 경우, 학습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무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60078418A 2016-06-23 2016-06-23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오투오(On-line to Off-line) 직업영어교육 서비스 KR201800004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418A KR20180000444A (ko) 2016-06-23 2016-06-23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오투오(On-line to Off-line) 직업영어교육 서비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418A KR20180000444A (ko) 2016-06-23 2016-06-23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오투오(On-line to Off-line) 직업영어교육 서비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44A true KR20180000444A (ko) 2018-01-03

Family

ID=61002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418A KR20180000444A (ko) 2016-06-23 2016-06-23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오투오(On-line to Off-line) 직업영어교육 서비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444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8058A (zh) * 2019-03-22 2019-06-28 上海乂学教育科技有限公司 基于学生能力水平定位的自适应学习方法及计算机系统
KR20190143792A (ko) * 2019-03-19 2019-12-31 (주)인더스트리미디어 학습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2102193B1 (ko) * 2019-01-30 2020-04-22 (주)인더스트리미디어 준거집단 내 영향력 증대를 위한 학습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00045863A (ko) * 2018-10-23 2020-05-06 조윤성 하브루타 학습시스템 및 하브루타 학습플랫폼
KR20200048148A (ko) * 2018-10-29 2020-05-08 이상민 스터디 공유 플랫폼 및 이와 연동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
KR102130006B1 (ko) * 2019-06-24 2020-07-03 경기도 오산시 학습자 유형별 맞춤형 강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92771A (ko) * 2019-01-25 2020-08-04 주식회사 안다잉글리시 합성된 영상을 통해 외국어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102141135B1 (ko) * 2019-08-09 2020-08-04 경기도 오산시 강좌 유형별 맞춤형 학습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21716A (ko) * 2020-03-31 2021-10-08 이다커뮤니케이션즈(주) 성향-학습스타일 기반 퍼소나 모델을 이용한 아동-교사간 매칭을 이용한 비대면 방식 맞춤 교수법 및 교안 제공 솔루션
KR20220075490A (ko) 2020-11-30 2022-06-08 허현범 학습 콘텐츠 추천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863A (ko) * 2018-10-23 2020-05-06 조윤성 하브루타 학습시스템 및 하브루타 학습플랫폼
KR20200048148A (ko) * 2018-10-29 2020-05-08 이상민 스터디 공유 플랫폼 및 이와 연동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
KR20200092771A (ko) * 2019-01-25 2020-08-04 주식회사 안다잉글리시 합성된 영상을 통해 외국어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102102193B1 (ko) * 2019-01-30 2020-04-22 (주)인더스트리미디어 준거집단 내 영향력 증대를 위한 학습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90143792A (ko) * 2019-03-19 2019-12-31 (주)인더스트리미디어 학습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CN109948058A (zh) * 2019-03-22 2019-06-28 上海乂学教育科技有限公司 基于学生能力水平定位的自适应学习方法及计算机系统
KR102130006B1 (ko) * 2019-06-24 2020-07-03 경기도 오산시 학습자 유형별 맞춤형 강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1135B1 (ko) * 2019-08-09 2020-08-04 경기도 오산시 강좌 유형별 맞춤형 학습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21716A (ko) * 2020-03-31 2021-10-08 이다커뮤니케이션즈(주) 성향-학습스타일 기반 퍼소나 모델을 이용한 아동-교사간 매칭을 이용한 비대면 방식 맞춤 교수법 및 교안 제공 솔루션
KR20220075490A (ko) 2020-11-30 2022-06-08 허현범 학습 콘텐츠 추천 방법
KR20230169907A (ko) 2020-11-30 2023-12-18 허현범 학습 콘텐츠 추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0444A (ko)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오투오(On-line to Off-line) 직업영어교육 서비스
Tully et al. News media literacy, perceptions of bias, and interpretation of news
US107896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gathering, identifying and analyzing learning patterns
Cahill et al. Pilot work related stress (WRS), effects on wellbeing and mental health, and coping methods
Chen et al. A multilevel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collective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case of Taiwanese police duty-executing organizations
Garzón-Díaz From cultural awareness to scientific citizenship: Implementing content and language integrated learning projects to connect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lish in a state school in Colombia
Alison et al. Immersive simulated learning environments for researching critical incidents: A knowledge synthesis of the literature and experiences of studying high-risk strategic decision making
Potter et al. Translating sexual assault prevention from a college campus to a United States military installation: piloting the know-your-power bystander social marketing campaign
Quraishi et al. An investigation of authentic leadership and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secondary schools of Pakistan
Vernon-Dotson et al. Course delivery: Keystones of eff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 preparation
Carter et al. What are the risks of virtual reality data? Learning analytics, algorithmic bias and a fantasy of perfect data
Songsom et al. System architecture of a student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s to collect Digital Footprint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irsch et al. A survey of educators serving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Kafonek et al. An examination of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of gender-based violence at four-year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Valant Better Data, Better Decisions: Informing School Choosers to Improve Education Markets.
Norshita et al. Public user assessment of Malaysia's e-government applications
Haddad et al. Empowering youth to build BRIDGES: youth leadership in suicide prevention
Wardman ‘Productive’and ‘disciplined’students for the ‘common good’: Globalised discourses of neoliberal and neoconservative responsibility in Australian education policy
Šerić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non-verbal communication and student behavior: A cross-national perspective
Bondy et al. Racial politics, Latin@ youth, and teacher education
Farris et al. Measures of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for the Marine Corps' Sexual Assault Prevention Programs
Hoyt A research study in ethics education and training: Predicting ethical behavior
Castillo et al. Macro practice supervision by social work field instructors
Pino et al. Using movies to illustrate ethical dilemmas in undergraduate criminal justice classes
Crockett Adaptive Psychological Profiling from Nonverbal Behavior–Why Are Ethics Just Not Enough to Build Tru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