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7189A - 용기 및 이것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용기 및 이것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7189A
KR20200047189A KR1020180129325A KR20180129325A KR20200047189A KR 20200047189 A KR20200047189 A KR 20200047189A KR 1020180129325 A KR1020180129325 A KR 1020180129325A KR 20180129325 A KR20180129325 A KR 20180129325A KR 20200047189 A KR20200047189 A KR 20200047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ontainer
pouch
container
unit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002B1 (ko
Inventor
오세일
Original Assignee
(주)이너보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너보틀 filed Critical (주)이너보틀
Priority to KR1020180129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002B1/ko
Priority to PCT/KR2019/014144 priority patent/WO2020085840A1/ko
Publication of KR20200047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12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movable towards or away from container or wrapper during filling or deposi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97Means for filling or refilling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6Membrane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045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for filling flexible containers having a filling and dispensing spout, e.g. containers of the "bag-in-box"-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4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having air-escape, or air-withdrawal,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6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 B65D11/18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two mating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65D83/006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the contents of a flexible bag being expelled by the contracting forces inherent in the bag or a sleeve fitting snugly around the b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 및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외부 용기와 결합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액체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 공간이 형성되는 파우치;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용기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용기에는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파우치가 삽입되는 외부 용기측 개구부와, 상기 외부 용기측 개구부와 이격되며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는, 내부에 상기 충진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충진 공간과 연통되는 파우치측 개구부가 형성되며 타측은 밀폐되는 파우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몸체의 일측은 상기 외부 용기측 개구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파우치 몸체의 일측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용기 및 이것의 제조 방법{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내용물을 남김없이 전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 및 이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점성을 가진 액상 내용물의 저장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샴푸, 로션 등의 액체는 상대적으로 점성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점성이 큰 내용물(200)은 용기(100)에 담기는 경우 내용물이 가지는 점성에 의해 용기의 내벽에 달라붙는 성질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류는 미관, 사용편리성 등의 이유에 따라 일반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개구부를 가지는 경질의 용기(100)에 담겨 판매된다. 즉, 소비자 감성이나 사용의 편리성 등을 이유로 대부분 도 1a에 도시된 형태의 경질 용기에 담겨 생산 되는데, 내용물을 토출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사용의 편리성을 위하여 토출부(300)에 펌프가 부착되어 공기압에 의한 펌프작용으로 토출관(310)으로 내용물을 흡입하여 토출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용기(100)의 저장공간 내에 내용물(200)이 충분하여 토출관(310)을 통해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는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용기(100) 내에 내용물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에는 잔존 내용물이 용기 내벽에 달라붙어 잘 떨어지지 않아 잔존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을 야기하며, 이는 샴푸, 로션 등의 내용물을 깔끔하게 사용하는 것에 큰 장애요소로 작용한다.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점성을 가진 액상 내용물의 저장용기에 있어 잔존 내용물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 용기 내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존 내용물(210)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잔존 내용물(210)이 용기(100)의 내벽에 부착되어 용기(100)로부터 잘 떨어지지 않을뿐더러 펌프에 부착된 토출관(310)이 흡입할 수 있는 영역이 한정되어 있다 보니 용기 내 잔존 내용물(210)을 효과적으로 토출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용기 내벽에 붙어있는 상당량의 내용물을 제대로 토출시키지 못해 사용하기 어렵게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중대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첫째, 경질 용기 내 손이 닿지 않는 부분에 내용물이 남아 있게 되어 내용물을 완전하게 사용하지 못하고 버리게 됨으로써 과소비를 조장하게 된다.
둘째, 로션, 샴푸, 세제 등 내용물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용기가 버려지는 경우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셋째, 토출기로 토출되지 않는 용기 내 잔존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펌프 등 토출기를 용기와 분리하여 토출구를 개방하는 경우 이물질의 유입 등으로 인해 내용물이 오염될 수 있다.
넷째, 용기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하여 용기와 토출기를 분리하고 뒤집어 털어내어 토출을 시도하는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양을 정확히 토출시키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용기의 밑판이 상승하여 체적을 줄여주는 에어리스 용기가 소개된 바 있으나 이와 같은 용기의 경우 내용물의 압력감소를 통해 용기 밑판을 끌어올리다 보니 대용량 용기에 부적합하고, 무엇보다 실린더 형태의 용기 구현만이 가능하여 용기 디자인 자유도 큰 제약으로 작용하며, 용기 제조에 있어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경질의 용기를 사용하여 미관 및 편의성을 유지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점성이 있는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주입하고, 토출 시킬 수 있는 용기 및 방법에 대한 소개가 요구된다.
1.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0289892 호 (고안의 명칭 : 고무풍선을 이용한 용기)
본 발명의 발명자는 개구부가 좁은 경질의 용기 내에 액체, 특히 점성이 높은 액체가 담기는 경우 액체 내용물이 가지는 점성과 표면 장력에 의해 액체 내용물이 용기의 내벽에 붙어 잔존 내용물이 얼마 되지 않는 경우 펌프 등을 사용하여 토출이 어려워 실용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을 인식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질 용기는 미관상 제품을 고급스럽게 보이게 만든다는 이유와,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펌프 등을 토출부에 부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이유 등에 따라 경질 용기에 사용될 수 밖에 없다는 관련 산업분야의 목소리를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경질의 용기 내에 탄성의 파우치(탄성파우치)를 넣고 액체 내용물을 탄성파우치에 저장함으로써 경질 용기를 사용하면서도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새롭고 혁신적인 방법을 통해, 편리하고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용기 및 장치를 고안하게 되었다.
관련하여, 상기 소개한 바와 같이, 경질의 용기 내에 탄성파우치를 구비하여 내용물의 잔량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에도 손쉽게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제조 단계에서 탄성파우치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도 2a와 도 2b는 샴푸, 로션 등의 일반적인 제조공정에 있어 액체류를 경질용기에 충진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샴푸나 로션과 같이 액체류를 경질의 용기에 담아 판매되는 제품의 경우 이송장치(500) 상에 경질용기가 일렬로 배치되어 내용물 충진장비로 이송된다(510). 내용물 충진장비는 설계에 따라 한 개에서 다수의 노즐(600)을 가질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의 개수에 맞게 경질용기가 노즐의 아래에 위치하게 되면 노즐이 각각의 경질용기 개구부 위로 내려가 노즐을 통해 내용물을 충진한다(610). 이때 내용물 충진을 위해 노즐이 움직이는 시간, 노즐의 단위시간 당 충진량은 제품의 생산효율성과 직결되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노즐은 경질용기 안으로 내용물이 정확히 담길 수 있도록 설계방식에 따라 최소한의 거리만큼만 수직 이동하거나, 움직이지 않고 그 자리에서 내용물을 분사하며, 이 때문에 생산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노즐과 경질용기의 개구부는 대부분 서로 이격된 채 충진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는 해당 방법을 통해 내용물을 탄성파우치에 충진할 때, 탄성파우치가 가지는 탄성 때문에 경질용기의 개구부를 통해 주입되는 내용물의 주입압력이 탄성파우치가 가지는 탄성을 극복할 수 있을 만큼 크지 않고, 내용물 주입노즐이 경질용기와 밀착된 상태에서 내용물의 주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탄성파우치를 부풀려 내용물을 경질용기의 체적만큼 담을 수 없다는 문제점 또한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경제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내용물 충진설비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탄성파우치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용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에 점성이 있는 액체를 담을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을 남김없이 전부 사용할 수 있는 장치, 용기 및 이에 대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경질의 용기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탄성파우치를 구비함으로써 탄성파우치의 수축에 따른 표면적 감소효과 및 탄성파우치가 가지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파우치가 개구부를 향해 내용물을 밀어내는 압력과 토출장치의 토출압력을 활용하여 잔존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탄성파우치가 가지는 탄성에 기인하여 탄성파우치가 부풀었을 때, 경질의 용기가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함으로써 경질용기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용기를 디자인할 수 있는 장치, 용기 및 이에 대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탄성파우치가 구비된 경질용기에 내용물을 충진함에 있어 종래의 방법과 같이 충진노즐이 경질용기의 개구부 위에서 내용물을 분사 또는 흘려주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탄성파우치가 미리 확장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파우치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 경질용기의 체적만큼 내용물을 주입할 수 없는바, 탄성파우치를 구비하면서도 종래의 내용물 충진방법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주입할 수 있는 장치, 용기 및 이에 대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일 측면에 따른 용기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외부 용기와 결합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액체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 공간이 형성되는 파우치;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용기에는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파우치가 삽입되는 외부 용기측 개구부와, 상기 외부 용기측 개구부와 이격되며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는, 내부에 상기 충진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충진 공간과 연통되는 파우치측 개구부가 형성되며 타측은 밀폐되는 파우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몸체의 일측은 상기 외부 용기측 개구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파우치 몸체의 일측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외부 용기는, 수분이 상기 외부 용기의 외면에서 상기 외부 용기의 내면측 또는 외부 용기의 내면에서 상기 외부용기의 외면측으로 침투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용기는, 상기 수용 공간 중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제1 외부 용기 유닛과, 상기 수용 공간 중 나머지 영역을 둘러싸는 제2 외부 용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외부 용기측 개구부 및 상기 관통홀을 제외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에 대해서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의 일측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 용기측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외부 용기측 개구부 및 제2 외부 용기측 개구부가 형성되며, 제1 외부 용기측 개구부 및 제2 외부 용기측 개구부는 상호 대칭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의 타측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의 타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에는,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의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제1 접합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에는,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의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제1 접합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접합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접합면 및 상기 제2 접합면이 맞닿아,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이 상호 결합되면, 상기 외부 용기 몸체의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외부 용기측 개구부 및 상기 관통홀을 제외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에 대해서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합면에는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의 외면에 인접되며 상기 제2 접합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출면과,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의 내면에 인접되며 상기 제1 돌출면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 함몰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합면에는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의 내면에 인접되며 상기 제2 접합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돌출면과,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의 외면에 인접되며 상기 제2 돌출면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2 함몰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면은 상기 제2 함몰면과 치합되며, 상기 제2 돌출면은 상기 제1 함몰면과 치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합면에는 상기 외부 용기의 길이 방향 또는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톱니 유닛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접합면에는 상기 외부 용기의 길이 방향 또는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제1 톱니 유닛들과 치합되는 복수의 제2 톱니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용기는,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 및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수용 공간을 둘러싸며,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보다 큰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에는,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의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제1 접합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에는,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의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제1 접합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접합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접합면에는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의 외면에 인접되며 상기 제2 접합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출면과,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의 내면에 인접되며 상기 제1 돌출면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 함몰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합면에는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의 외면에 인접되며 상기 제2 접합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돌출면과,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의 내면에 인접되며 상기 제2 돌출면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2 함몰면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제1 함몰면 및 상기 제2 함몰면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제1 돌출면 및 상기 제2 돌출면은 상호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의 접합면은 상기 외부 용기의 상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제1 외부 용기 유닛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은 상호 대칭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용기측 개구부는 상기 외부 용기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외부 용기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 용기에는 상기 외부 용기의 일측에서 상기 외부 용기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보강 리브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외부 용기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가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외부용기측 개구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외부 용기측 개구부에 대하여 폐쇄되며, 상기 파우치 몸체의 상기 충진 공간은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에서 확장되고, 상기 충진 공간이 상기 수용 공간에서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 공간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과 동일하며, 상기 충진 공간과 상기 외부 용기 내면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수용 공간의 압력은 상기 충진 공간의 내부 압력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외부 용기의 외면에는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 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 몸체는, 상기 외부용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파우치의 확장 상태에 따라서 형상이 변형 가능한 파우치 확장 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체크부의 두께는, 상기 확장 체크부가 형성되는 부분과 인접되는 상기 외부용기 몸체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 체크부는 동심원 형태의 홈 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를 기준으로 상기 확장 체크부의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외부 용기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상기 파우치와 상기 외부 용기 사이의 갑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외부용기 외부에서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파우치의 상기 외부용기측 개구부를 통해 상기 충진 공간으로 내용물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파우치의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파우치의 상기 충진 공간의 압력은 상기 파우치의 복원력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의 상기 충진 공간의 상기 압력에 의하여 상기 파우치의 내면에 작용되는 힘과 상기 파우치 및 상기 외부 용기 사이의 공간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파우치의 외면에 작용되는 힘은, 상기 파우치의 상기 복원력과 평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측 개구부에 설치되며, 상기 파우치 몸체의 상기 일측이 지지되고, 상기 외부 용기의 재질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형성되는 커플링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유닛은, 상기 외부용기측 개구부를 둘러싸는 상기 외부 용기에 끼워지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커플링 유닛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몸체는 상기 커플링 유닛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커플링 유닛측 홀을 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 유닛 몸체는, 중앙에 상기 커플링 유닛측 홀이 형성되는 도넛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용기는, 내부에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타측의 바닥면을 포함하는 외부 용기 몸체와,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 용기측 개구부가 위치되는 넥 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용기 몸체의 내경은 상기 넥 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커플링 유닛은 상기 넥 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용기는, 상기 넥 부와 상기 외부 용기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의 직경은 상기 넥 부에서 상기 연결부를 거쳐 상기 외부 용기 몸체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넥 부와 연결되며 상기 외부 용기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커플링 유닛의 외경은 상기 지지면에 지지되고, 상기 파우치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파우치에 수용된 내용물에 대한 배출 압력을 제공하며, 일부가 상기 지지면에 지지되는 펌핑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단면 두께는, 상기 외부 용기 몸체의 단면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용기 제조 방법은, 외부용기측 개구부 및 상기 외부용기측 개구부와 연통되는 수용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수분이 외면에서 상기 수용 공간과 접하는 내면 측으로 침투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외부 용기와 결합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액체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 공간이 형성되는 파우치;를 포함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외부 용기 및 상기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에 충진 공간이 위치되도록 상기 외부 용기에 결합된 파우치를 포함하는 용기를 준비하는 용기 준비 단계; 상기 파우치의 상기 충진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파우치의 상기 충진 공간이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확장되도록 하는 파우치 확장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파우치 확장 단계에서, 상기 파우치가 상기 수용 공간에서 확장되어 상기 외부용기측 개구부에서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 측으로 돌출된 확장 체크부와 접촉되면, 상기 확장 체크부는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외면 측으로 변형되며, 상기 확장 체크부의 두께는, 상기 확장 체크부가 형성되는 부분과 인접되는 상기 외부 용기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 확장 단계는, 상기 파우치가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우치를 상기 외부 용기의 외부 용기측 개구부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며, 상기 파우치의 상기 충진 공간에는 용기 제조 장치의 공기 가압/감압 유닛이 삽입되며, 상기 공기 가압/감암 유닛이 상기 용기의 개구부 측에서 상기 용기의 단부 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파우치를 탄성 변형시키는 파우치 스트레칭 단계; 상기 공기 가압/감압 유닛이, 탄성 변형된 상기 파우치의 상기 충진 공간을 대기압 이하인 제1 기준 감압 압력으로 감압하는 파우치 감압 단계; 상기 용기에 관통 형성된 공기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을 대기압 이하로 감압시키는 외부 용기 감압 단계; 및 탄성 변형된 상기 파우치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파우치의 상기 충진 공간을 확장시키는 파우치 가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가압 단계에서,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의 압력이 제2 기준 감압 압력과 동일해지거나 상기 제2 기준 감압 압력 이하로 감소되면, 상기 파우치의 상기 충진 공간에 대기압과 같거나 대기압 보다 큰 가압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파우치의 상기 충진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장치는 점성이 있는 액체를 담을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을 남김없이 전부 사용할 수 있는 장치, 용기 및 이에 대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용기 및 이에 대한 제조방법은 경질의 용기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탄성파우치를 구비함으로써 탄성파우치의 수축에 따른 표면적 감소효과 및 탄성파우치가 가지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파우치가 개구부를 향해 내용물을 밀어내는 압력과 토출장치의 토출압력을 활용하여 잔존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탄성파우치가 가지는 탄성에 기인하여 탄성파우치가 부풀었을 때, 경질의 용기가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함으로써 경질용기의 형태에 구애 받지 않고 용기를 디자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용기 및 이에 대한 제조방법은 탄성파우치가 구비된 경질용기에 내용물을 충진함에 있어 종래의 방법과 같이 충진노즐이 경질용기의 개구부 위에서 내용물을 분사 또는 흘려주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탄성파우치가 미리 확장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파우치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 경질용기의 체적만큼 내용물을 주입할 수 없는 바, 탄성파우치를 구비하면서도 종래의 내용물 충진방법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주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점성을 가진 액상 내용물의 저장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점성을 가진 액상 내용물의 저장용기에 있어 잔존 내용물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 용기 내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샴푸, 로션 등의 일반적인 제조공정에 있어 액체류를 경질용기에 충진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샴푸, 로션 등의 일반적인 제조공정에 있어 액체류를 경질용기에 충진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용기의 구성들이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용기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내지 도 9는 도 3의 용기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용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 선도에 따른 용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용기가 분해된 상태에서 용기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될 수 있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되며,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인바, 도면에 도시된 내용은 실제 발명의 구현모습에 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기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액체란 고체 또는 기체의 상태가 아닌 광범위한 액상의 상태를 총칭한다. 즉, 분자간 거리가 짧고 운동에너지가 낮지만 고체 상태의 분자들처럼 강하게 붙어있지는 않은 모든 상태를 의미하며, 물과 같이 점성이 없는 액체부터 젤과 같은 점성이 강한 액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파우치란 연질의 주머니로서 고정된 외관을 가지거나 고정된 외관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으며, 파우치는 외력에 의해 모양이 변하면서 탄성을 가져 늘어나거나 팽창하는 경우 본래 모양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복원력을 가지는 주머니와 단순 연질주머니로서 고정된 외관을 가지지 않아 외력에 의해 모양이 변하는 주머니를 통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기란, 플라스틱, 유리, 금속, 지류박스나 지류관 등 일정한 외형을 가지는 경질의 재질을 가지는 모든 종류의 용기를 의미하며, '경질용기'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커플링 유닛이란, 파우치의 개구부와 결합하여 외부 용기의 용기결합부(외부 용기의 외부 용기측 개구부)와 결합함으로써 파우치가 용기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파우치와 용기를 결합시켜주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커플링 유닛은 용기와 파우치 사이의 공간이 외부와 완전히 차단될 수 있도록 고정부 또는 공기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용기의 구성들이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용기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1)는 외부 용기(100)의 내부에 파우치(300)가 배치되며, 파우치(300)의 충진 공간(311)에는 액체류 화장품, 액체류 식품 등과 같은 액체 내용물(l)이 수용된다.
용기(1)의 상부에 배치되는 펌핑 유닛(400)에서 충진 공간(311)에 대하여 배출 압력을 가하면(펌핑 유닛(400)의 펌핑 수단을 가압하면), 충진 공간(311)에 충진된 액체 내용물(l)이 펌핑 유닛(40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파우치(300)의 충진 공간(311)은 액체 내용물(l)이 외부로 배출된 부피만큼 감소하게 되며, 액체 내용물(l)은 외부 용기(100)의 내면과 완전하게 분리된 상태로 보관 및 토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최대한 낭비없이 액체 내용물(l)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는, 외부용기(100)와, 커플링 유닛(200)과, 파우치(300)와, 펌핑 유닛(40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외부 용기(100)는, 수분이 상기 외부 용기의 외면에서 상기 외부 용기의 내면측으로 침투 가능한 재질, 예시적으로 종이, 펄프 또는 섬유재질로 형성된다. 즉, 외부 용기(100)는 ABS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과 같이 화학 고분자 물질로 형성되지 않고, 종이, 펄프 또는 섬유재질과 같은 생분해성 물질로 형성됨으로써, 용기(1)의 폐기시 미세 플라스틱에 의한 오염, 플라스틱 소각에 따른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생분해성 물질로 제작된 액체 수용 용기의 경우, 수분이 용기의 외면에서 내면측으로 또는 용기의 내면에서 외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의 외면 또는 내면에 고분자 방수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고분자 방수층을 상기 용기의 외면 또는 내면에 형성하는 경우, 생분해성 물질로 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상기 고분자 방수층에 의한 분해가 어려우며, 상기 용기의 재활용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의 외부 용기(100)는 별도의 방수층이 형성되지 않고 생분해성 물질로 제작되더라도, 액체 내용물(l)이 파우치(300)에 충진됨에 따라, 액체 내용물(l)이 외부 용기(100)와 직접 접촉되는 것이 차단되어, 액체 내용물(l)의 외부 용기(100)에 대한 침투 및 이에 따른 액체 내용물(l)의 오염 및 외부 용기(10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외부 용기(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형성되며, 외부 용기(100)에는 수용 공간(111)과 연통되며 파우치(300)가 삽입되는 외부 용기측 개구부(121)와, 외부 용기측 개구부(121)와 이격되며 수용 공간(111)과 연통되는 관통홀(112)이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의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111)은 외부 용기(1)의 일측에 형성되는 외부 용기측 개구부(121) 및 외부 용기(1)의 타측에 형성되는 관통홀(112)을 제외하고, 수용 공간(111)의 외부에 대하여 폐쇄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용기(100)가 종이, 펄프 또는 패브릭 재질과 같은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외부 용기(100)의 외부 용기 몸체(110)에 형성되는 미세한 공극을 통하여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111) 및 외부 용기(100)의 외부 환경 간에 공기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용기측 개구부(121) 및 외부 용기(1)의 타측에 형성되는 관통홀(112)을 제외하고, 수용 공간(111)의 외부에 대하여 폐쇄되는 상태는, 예시적으로 외부 용기측 개구부(121) 및 관통홀(112)은 공기가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으며, 외부 용기(100)의 외부 용기 몸체(110)에 형성되는 미세한 공극을 통하여 일부 유동되는 말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개구부(121) 및 관통홀(112)을 통한 공기의 시간에 따른 유동량은 외부 용기 몸체(110)에 형성되는 미세한 공극을 통한 공기의 시간에 따른 유동량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용기(100)의 외면 또는 내면에 수분의 침투를 억제하기 위한 별도의 차폐층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외부 용기(100)의 미세한 공극을 통하여 공기가 외부 용기(10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즉 공기에 대한 수용 공간(111)의 차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외부 용기(100)의 상기 내면 및/또는 상기 외면에 액체 또는 분말 코팅층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 분말 코팅층은 예시적으로 HIFLOT® 과 같은 미세 공극 폐쇄 물질 또는 제품일 수 있다.
또한, 공기에 대한 수용 공간(111)의 차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외부 용기(100)의 조직을 조밀하게 하거나, 외부 용기(100)의 제작에 상기 미세 공극을 감소시키기 위한 첨가물을 첨가하거나, 외부 용기(10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외부 용기(100)는 수용 공간(111)이 내부에 배치되는 외부 용기 몸체(110)와, 외부 용기(100)의 상기 타측의 바닥면(117)을 포함하는 외부 용기 몸체(110)와, 외부 용기(100)의 상기 일측에 형성되며 외부 용기측 개구부(121)가 위치되는 넥 부(120)와, 넥 부(120)와 외부 용기 몸체(11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외부 용기 몸체(110)는, 예시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바닥면(117)에는 관통홀(112)이 관통 형성된다. 관통홀(112)은 바닥면(117)의 중앙에서 편심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넥 부(120)는, 외부 용기측 개구부(121)를 둘러싸며, 넥 부(120)의 내경은 외부 용기 몸체(110)의 내경, 즉 개구부(121)의 단면 크기는 수용 공간(110)의 단면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넥 부(120)는 중앙에 외부 용기측 개구부(121)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넥 부(120)의 단면 두께는 외부 용기 몸체(110)의 단면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30)는 넥 부(120)와 외부 용기 몸체(110)를 연결하며, 연결부(130)에는 넥 부(120)와 연결되며 외부 용기(1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면(131)이 형성된다.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111)의 직경은 넥 부(120)에서 연결부(130)를 거쳐 외부 용기 몸체(110) 측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용기(100)는 넥 부(120)와 연결부(130)가 연결된 지점부터, 연결부(130)와 외부 용기 몸체(110)가 연결된 지점까지 수용 공간(111)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수용 공간(111)의 직경이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이때, 외부 용기 몸체(110)에 위치되는 수용 공간(111)의 직경은 외부 용기 몸체(110)의 일측에서 타측(바닥면(117))측까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300)는, 액체 내용물이 수용 가능하며, 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300)는 예시적으로 고무, 실리콘, 라텍스 등과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300)는 내부에 충진 공간(311)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충진 공간(311)과 연통되는 파우치측 개구부(312)가 형성되며 타측은 밀폐되는 파우치 몸체(310)와, 파우치 몸체(310)의 일측에는 파우치 몸체(310)의 파우치측 개구부(312)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도넛 형상의 파우치 날개부(320)가 형성된다. 파우치 날개부(320)는, 충진 공간(311)이 형성되는 파우치 몸체(3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파우치 몸체(310)의 상기 일측, 즉 파우치 날개부(320는 외부 용기측 개구부(121)의 외측에 배치되고, 파우치 몸체(310)의 상기 일측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111)에 배치된다.
커플링 유닛(200)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파우치(300)를 외부 용기(100)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며, 커플링 유닛(200)에 의하여 파우치(300)가 외부 용기(100)에 결합되면 외부 용기(100)이 외부용기측 개구부(121)는 폐쇄된다.
커플링 유닛(200)은, 외부용기측 개구부(121)에 설치되며, 파우치 몸체(310)의 상기 일측, 즉 파우치 날개부(320)가 지지된다. 커플링 유닛(200)은 외부 용기(100)의 재질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ABS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 금속 재질, 또는 강성을 가진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플링 유닛(200)은, 외부용기측 개구부(121)를 둘러싸는 외부 용기(100)의 넥 부(120)에 끼워지는 결합홈(211)이 형성되는 커플링 유닛 몸체(210)를 포함한다. 커플링 유닛 몸체(210)의 중앙에는 커플링 유닛측 홀(212)이 관통 형성되며, 커플링 유닛 몸체(210)는 예시적으로 커플링 유닛측 홀(212)이 중앙에 배치되는 도넛 형태로 형성된다. 커플링 유닛(200)이 외부 용기(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커풀링 유닛측 홀(212)은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111)과 연통되며, 파우치 몸체(210)은 커플링 유닛측 홀(212)을 통하여 수용 공간 측(111)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플링 유닛 몸체(210)의 결합홈(211)은, 커플링 유닛 몸체(210)의 하면에 상방을 향하여 함몰 형성되며, 결합홈(2111)에는 넥 북(120)가 수직한 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커플링 유닛 몸체(210)의 하면 중, 결합홈(211)의 바깥쪽 영역, 즉 커플링 유닛 몸체(210)의 외경 중 일부는 외부 용기(100)의 지지면(131)에 지지된다.
한편, 펌핑 유닛(400)은, 파우치(300)의 상방에 배치되어, 파우치(300)에 수용된 내용물(l)에 대한 배출 압력을 제공하며, 일부가 연결부(130)의 지지면(131)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링 유닛(200)이 외부 용기(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플링 유닛(200)에 파우치(300)가 설치되어, 외부 용기(100) 및 파우치(3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외부 용기(100)에 파우치(300)가 직접 결합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외부 용기(100)의 외부용기측 개구부(121)에 파우치(300)가 직접 결합되는 경우, 파우치 몸체(310)의 외면이 외부용기측 개구부(121)가 형성되는 넥 부(120)의 내면에 밀착되어, 외부용기측 개구부(12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제조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내지 도 9는 도 3의 용기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커플링 유닛(200)이 외부 용기(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111)에 파우치(300)의 충진 공간(311)이 위치되도록, 파우치(300)를 외부 용기(100)에 설치하여 용기(1)를 준비한다.
이때, 용기(1)에는 펌프 유닛(400)이 배치되지 않은 상태로, 용기(1)가 준비된다.
그 다음, 도 7을 참조하면, 용기 제조 장치(500, 600)을 이용하여, 탄성 파우치(300)를 확장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제조 장치(500, 600)는, 탄성 재질의 파우치(300)를 포함하여 사용과정에서 충진된 내용물의 잔여를 억제하기 위한 용기(1)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화장품 또는 세제 등과 같은 액체 내용물의 충진 시, 별도로 상기 액체 내용물에 압력을 가하지 않고, 단순히 외부 용기(100)에 파우치(300)를 결합시킨 용기(1)에 상기 액체 내용물을 단순히 흘려 충진하는 기존의 충진 설비를 이용할 경우, 파우치(300)가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111) 내에서 충분히 확장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상기 기존 충진 설비를 이용할 경우, 수축된 상태의 파우치(300)의 충진 공간(311)에 수용되는 상기 액체 내용물의 무게가 파우치(300)의 탄성력, 즉 복원력보다 작아, 파우치(300)가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원하는 양만큼의 상기 액체 내용물이 파우치(300)에 충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용기 제조 장치(500, 600)는, 외부 용기(100)와 파우치(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파우치(300)를 기설정된 크기만큼 확장시켜, 충분한 충진 공간(311)을 확보하고, 파우치(300)가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기존 충진 설비를 이용하였을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제조 장치(500, 600)는, 스테이지 유닛(600)과, 공기 가압/감압 유닛(500)을 포함한다.
스테이지 유닛(600)은 외부 용기(100)가 안착되며 외부용기(100)의 바닥면(117)이 접하는 스테이지 유닛 몸체(610)를 포함하고, 스테이지 유닛 몸체(610)에는 외부의 펌프(700)와 연결되며 외부 용기(100)의 관통홀(112)과 연통되는 공기 흡입홀(620)이 형성된다.
공기 가압/감압 유닛(50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외부 용기(10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공기 가압/감압 유닛 몸체(510)를 포함하고, 공기 가압/감압 유닛 몸체(510)이 중앙에는 공기 유로(520)가 형성되며 공기 가압/감압 유닛 몸체(510)의 상기 단부에는 공기 유로(520)와 연통되는 공기 유동홀(511)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용기 제조 장치(500, 600)를 이용하여 용기(1)의 탄성 파우치(300)를 확장시키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준비된 용기(1)를 스테이지 유닛(600)에 안착시키며, 이때, 외부 용기(100)의 관통홀(112)과 스테이지 유닛(600)의 공기 흡입홀(620)이 서로 연통되도록 용기(1)를 정렬시킨다.
그 다음, 외부 용기(100)에 설치된 파우치(300)의 파우치측 개구부(321)를 통하여 충진 공간(311) 측으로 공기 가압/감압 유닛 몸체(510)을 이동시켜, 파우치(300)가 탄성 변형되도록 한다(파우치 스트레칭 단계). 이때, 파우치(300)의 단부가 외부 용기(100)의 내면과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공기 가압/감압 유닛 몸체(510)을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공기 가압/감압 유닛 몸체(510)의 상기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공기 가압/감압 유닛 몸체(510)의 상기 단부와 접촉되는 파우치(300)의 내면이 마찰 또는 과도한 접촉 압력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 다음, 파우치(300)의 충진 공간(311)이 기설정된 크기만큼 하방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공기 가압/감압 유닛(500)은, 탄성 변형된 파우치(300)의 충진 공간(311)을 대기압 이하인 제1 기준 감압 압력(PNR1)으로 감압한다. 즉, 공기 가압/감압 유닛(500)의 공기 유로(520)에 음압이 제공되어, 공기 유동홀(511)을 통하여 충진 공간(311)의 공기를 흡입한다.
충진 공간(311)이 제1 기준 감압 압력(PNR1)으로 감압되면, 파우치(120)의 내면 일부는 공기 가압/감압 유닛(500)에 흡착 및 고정된다(파우치 감압 단계).
그리고, 충진 공간(311)이 제1 기준 감압 압력(PNR1)으로 감압된 상태에서, 스테이지 유닛(600)의 공기 흡입홀(620)를 통하여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111)이 대기압 이하로 감압된다(외부 용기 감압 단계). 이때, 파우치(300)의 내면 일부가 공기 가압/감암 유닛(500)에 흡착 및 고정됨에 따라서, 수용 공간(111)의 감압 시, 파우치(300)가 의도되지 않는 형상으로 탄성 변형, 즉 파우치(300)의 일부가 외부 용기(100)의 관통홀(112) 측으로 빨려 들어가는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충진 공간(311)의 감압이 이루어진 다음, 수용 공간(111)의 감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해당 감압 과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기준 감압 압력(PNR1)은 제2 기준 감압 압력(PNR2)과 동일하거나, 더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111)은 관통홀(217)을 통하여만, 수용 공간(111)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8을 참조하면, 수용 공간(111)의 내부 압력이 제2 기준 감압 암력(PNR2) 또는 그 이하로 감소되면, 공기 가압/감압 유닛(500)은 충진 공간(311)에 대하여 대기압과 같거나 대기압보다 큰 기준 가압 압력(PPR)을 제공한다. 수용 공간(111)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작은 제2 기준 감압 압력(PNR2)인 상태에서, 충진 공간(311)에 대기압보다 큰 기준 가압 압력(PPR)이 인가되면, 파우치(300)의 파우치 몸체(221)는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111) 내에서 순간적으로 확장하게 된다(파우치 가압 단계).
이때, 파우치(210)의 충진 공간(216)은 외부 용기(100)의 개구부(215)와 먼 부분, 즉 외부 용기(100)의 타측(212)과 인접한 부분,과 개구부(215)와 가까운 부분, 즉 외부 용기(100)의 일측(2123)과 인접한 부분이 동시에 확장된다.
즉,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111)에 대한 감압 과정 없이, 공기 가압/감압 유닛(500)이 충진 공간(311)에 기준 가압 압력(PPR)을 제공하는 경우, 공기 가압/감압 유닛(500)의 공기 유동홀(511)이 상대적으로 인접되어 위치되는 파우치(210)의 단부(123) 측부터 팽창됨에 따라서, 파우치(300)가 불균일하게 팽창될 수 있다. 파우치(300)가 불균일하게 팽창되면, 파우치 몸체(310) 중 먼저 팽창된 부분이 외부 용기(100)의 내벽 측에 닿아, 파우치(300)의 팽창에 따라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111) 내의 공기가 관통홀(112)을 통하여 빠져가는 유로를 폐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파우치(300)의 팽창이 원하는 크기만큼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파우치(300)가 수용공간(111) 내에서 균일하게 팽창되도록 함으로써, 파우치(300)의 원활한 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가압/감압 유닛(500)은 충진 공간(311) 내부를 감압 또는 가압만을 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충진 공간(311)에 액체 내용물(l)을 공급하기 위한 액체 내용물 공급홀을 포함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즉, 충진 공간(311)이 제1 기준 감압 압력(PNR1)으로 감압되고, 수용 공간(111)이 제2 기준 감압 압력(PNR2)로 감압된 상태에서, 상기 액체 내용물 공급홀에서 액체 내용물(l)을 공급하면, 상기 액체 내용물의 공급시 대기압 또는 대기압에 근접한 압력으로, 파우치(300)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내용물을 대기압 이상의 압력으로 제공하여, 파우치(300)를 확장시키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한편, 수용 공간(111)의 감압 과정에서, 외부 용기(100)의 미세한 공극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수용 공간(111)으로 일부 유입될 수 있으나, 스테이지 유닛(600)을 통한 수용 공간(111)으로부터 공기가 수용 공간(111)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시간당 배출량이 상기 공극을 통하여 수용 공간(111)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시간당 유입량보다 커, 수용 공간(111)의 내부 압력은 점차 감소하게 된다.
그 다음, 도 9를 참조하면, 파우치(300)의 충진 공간(311)이 원하는 크기로 확장된 상태에서, 충진 공간(311)의 확장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 용기(100)의 관통홀(112)에 차단부재(S)를 설치한다.
차단부재(S)는, 외부 용기(100)에 형성된 관통홀(112)을 통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파우치(300)와 외부 용기(100) 사이의 갑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외부용기(100)의 외부에서 관통홀(112)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파우치(300)의 외부용기측 개구부(121)를 통해 충진 공간(111)으로 액체 내용물(l)이 유입되는 경우 파우치(300)의 확장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파우치(300)가 외부 용기(100)의 외부용기측 개구부(121)에 배치된 상태에서, 수용 공간(111)은 외부 용기측 개구부(121)에 대하여 폐쇄되며, 파우치 몸체(300)의 충진 공간(311)은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111)에서 확장된다. 이때, 확장된 충진 공간(311)의 부피는 수용 공간(111)의 부피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우치(300)가 기설정된 부피로 확장된 상태에서, 파우치(300)의 충진 공간(311)이 수용 공간(111)을 완전하게 채우지 않고, 수용 공간(111)의 일부가 잔여될 수 있다. 따라서, 파우치 몸체(310)의 외면 중 일부는 외부 용기(100)의 내면과 접촉되며, 다른 일부는 외부 용기(100)의 내면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파우치 몸체(310)의 모든 외면이 외부 용기(100)의 내면과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외부 용기(100)의 내면과 파우치 몸체(310)의 외면의 접촉 마찰에 따른 파우치 몸체(310)의 손상이 억제될 수 있다.
충진 공간(311)이 수용 공간(111)에서 확장된 상태에서, 충진 공간(311)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과 동일하며, 충진 공간(311)과 외부 용기(100) 내면 사이에 위치되는 수용 공간(111)의 압력은 충진 공간(311)의 내부 압력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차단부재(S)가 외부 용기(100)의 외면에 설치됨으로써, 외부 용기(100)의 관통홀(112)을 통하여 수용 공간(111) 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때, 파우치(300)의 충진 공간(311)의 압력은 파우치(300)의 복원력보다 작게 형성되고, 파우치(300)의 충진 공간(311)의 상기 압력에 의하여 파우치(300)의 내면에 작용되는 힘과 파우치(300) 및 외부 용기(100) 사이의 공간의 압력에 의하여 파우치(300)의 외면에 작용되는 힘은, 파우치(300)의 상기 복원력과 평형을 이루게 된다.
공기 가압/감압 유닛(500)에 의한 공기의 가압 동작 및 스테이지 유닛(600)에 의한 공기의 감압 동작이 종료된 상태에서, 충진 공간(311)이 수용 공간(111)에서 확장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차단부재(S)과 관통홀(112) 측에 배치되면, 용기(1)의 파우치(300)는 확장된 상태가 유지된다. 확장된 상태가 유지되는 파우치(300)의 파우치측 개구부(321)를 통하여, 파우치(300)의 충진공간(311) 측으로 액체 내용물(l)을 흘려 넣음으로써, 액체 충진 시 고압의 공급 압력을 제공하지 않는 기존 충진 설비를 이용하여 액체 내용물(l)을 용기(1)에 충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제조 방법의 차단부재(S)는 공기가 관통홀(112)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스티커 등과 같은 접착부재일 수 있다. 다만, 차단부재(S)는 공기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체크 밸브와 같은 밸브 수단일 수도 있으며, 차단부재(S)가 상기 체크 밸브로 형성되는 경우, 용기(200)의 준비 단계에서, 차단부재(S)가 외부 용기(100)에 설치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가압/감압 유닛(500)이 파우치(300)의 충진 공간(311)에 공기를 충진하는 구성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공기 가압/감압 유닛(500)이 직접 액체 내용물을 파우치(300)의 충진 공간(311)에 충진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112)은 외부 용기(100)의 바닥면(117)에 공기가 유동가능한 관통홀(112)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관통홀(112)이 외부 용기(100)의 넥 부(120) 등 다른 위치 또는 커플링 유닛(200) 또는 펌프 유닛(400)과 외부 용기(100) 사이에 위치하는 부재에 형성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1)의 용기 제조 방법에 의할 경우, 차단부재(S)를 관통홀(112) 측에 설치하여,용기(1)의 파우치(300)의 확장된 충진 공간이 다시 감소되는 것을 방지한 다음, 용기(1)에 액체 내용물(l)을 충진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공기 가압/감압 유닛(500)의 충진 공간(311)에 대한 가압 동작은 종료되지만 스테이지 유닛(600)의 수용 공간(111)에 대한 감압 동작은 계속 유지된 상태에서, 충진 공간(311)에 액체 내용물(l)을 충진하는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액체 내용물 이동 유로가 형성되는 공기 가압/감압 유닛(500)에서 액체 내용물(l)을 직접 충진 공간(311)에 충진하거나, 공기 가압/감압 유닛(500)가 제거된 상태에서 액체 내용물 공급 유닛이 충진 공간(311) 측에 대하여 액체 내용물(l)을 충진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액체 내용물의 잔여물 발생을 최소화하며, 플라스틱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재활용이 원활하거나 생분해성능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충진 설비를 이용하여, 탄성 재질의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가 설치된 외부 용기를 포함하는 용기에, 액체 내용물을 충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외부 용기(100) 내에서 파우치(300)가 확장되기 전 상태를 도시하며, 도 11은 외부 용기(100) 내에서 파우치(300)가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외부 용기(100)가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 외부 용기(100)의 내부에서 파우치(300)가 원하는 부피만큼 확장되었는 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으 해결하기 위하여 파우치 확장 체크부를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9의 용기(1) 및 용기(1)의 제조 방법과 동일함으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의 외부용기(100)의 외부용기 몸체(110)는, 외부용기 몸체(110)의 타측, 즉 바닥면(117)에 형성되며, 파우치(300)의 확장 상태에 따라서 형상이 변형 가능한 파우치 확장 체크부(113)를 포함한다.
파우치 확장 체크부(113)의 두께는, 파우치 확장 체크부(113)가 형성되는 부분과 인접되는 외부용기 몸체(110)의 다른 부분, 즉 바닥면(117)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파우치 확장 체크부(113)의 두께는 파우치(300)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파우치(300)로부터 인가 받는 가압력에 의하여, 파우치 확장 체크부(113)가 탄성 변형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파우치 확장 체크부(113)는 동심원 형태의 홈 부(114) 및 홈 부(114) 및 바닥면(117)을 연결시키는 체크부측 연결부(115)를 포함하고, 홈 부(114)를 기준으로 상기 확장 체크부(117)의 모양이 변형된다.
즉, 파우치(300)가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110) 내에서 확장되기 전의 경우, 파우치 확장 체크부(113)는 바닥면(117)을 기준으로 수용 공간(110) 측으로 함몰된 상태로 형성된다.
파우치(300)가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110)에서 확장되는 경우, 파우치(300)의 단부는 파우치 확장 체크부(113)의 홈 부(114)와 접촉되며, 홈 부(114)를 수용 공간(110)의 바깥 측으로 가압한다.
파우치(300)가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110)에서 완전하게 확장된 경우, 파우치(300) 단부의 가압력에 의하여 홈 부(114)는 바닥면(117)을 기준으로 바닥면(117)과 동일한 높이 또는 바닥면(117) 보다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변형하게 된다. 즉, 파우치(300)가 수용 공간(100)에서 확장되는 과정 중, 확장 체크부(113)는 외부 용기(300)의 외면 측으로 변형되며, 확장 체크부(113)의 변형 여부는 외부 용기(300)의 외부에서 확인될 수 있다.
즉, 파우치 확장 체크부(113)의 홈 부(114)의 변형 정도를 식별함으로써, 파우치(300)가 원하는 만큼 완전하게 확장되었는 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파우치(300)의 단부 측에는 다른 부분보다 파우치 확장 체크부(113) 측으로 더 확장되는 초과 확장 공간(3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 용기(100)가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파우치(300)가 원하는 만큼 확장되었는지 여부를 외부 용기(100)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용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외부 용기(100)의 연결부(13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9의 용기(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의 외부 용기(100)의 연결부(130)의 단면 두께는, 외부 용기 몸체(110)의 단면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넥 부(120)에 설치되는 커플링 유닛(200)의 일부 및 외부 용기(100) 상부 측에 설치되는 펌핑 유닛(400)의 일부는 연결부(130) 측, 특히 지지면(131)에 지지된다.
용기(1)의 펌핑 유닛(400)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파우치(300)의 충진 공간(311)에 충진된 액체 내용물(l)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경우, 상기 가압력의 전부 또는 일부가 외부 용기(100)의 연결부(130) 측으로 작용된다. 또한, 파우치(300)의 충진 공간(311)에 충진되는 액체 내용물(l)의 자중도 외부 용기(100)의 넥 부(120)를 거쳐 연결부(130) 측으로 작용된다.
이때, 연결부(130)의 단면이 외부 용기(100)의 다른 부분, 즉 외부 용기 몸체(110)의 단면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서, 수용 공간(111)의 감소는 최소화하면서 상기 가압력에 의하여 외부 용기(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넥 부(130)의 외주면에는 넥 부(120)에 설치되는 커플링 유닛(200)이 탈거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돌기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외부 용기(100)에 보강 리브가 형성되는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9의 용기(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의 외부 용기(100)는, 외부 용기(100)의 내면에 형성되며 외부 용기(100)의 일측, 즉 상측에서 외부 용기(100)의 타측, 즉 바닥면(117)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 리브(150)를 더 포함한다.
보강 리브(150)는 보강 리브(150)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펌핑 유닛(400)으로부터 제공되는 가압력 및 파우치(300)에 수용되는 액체 내용물(l)의 자중은 하방, 즉 외부 용기(100)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며, 상기 가압력 및 상기 자중이 작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 리브(150)가 외부 용기(100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력 및 상기 자중 등 외부 용기(100)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하여 외부 용기(10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5는 도 14의 XV-XV 선도에 따른 용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외부 용기(100)가 두 개의 부재로 형성되는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9의 용기(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의 외부 용기(100)는, 수용 공간(111) 중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과, 수용 공간(111) 중 나머지 영역을 둘러싸는 제2 외부 용기 유닛(110B)을 포함하며,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은 상호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는 제1 외부 용기 몸체(110A)와, 제1 넥 부(120A)와, 제1 연결부(130A)를 포함하고, 제2 외부 용기 유닛(100A)는 제2 외부 용기 몸체(110B)와, 제2 넥 부(120B)와, 제2 연결부(130B)를 포함한다.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의 일측, 즉 제1 넥 부(12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의 일측, 즉 제2 넥 부(120B)에는 외부 용기측 개구부(121)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외부 용기측 개구부(121A) 및 제2 외부 용기측 개구부(121B)가 형성되며, 제1 외부 용기측 개구부(121A) 및 제2 외부 용기측 개구부(121B)는 상호 대칭된다.
이때, 외부 용기(100)의 관통홀(112)은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의 타측, 즉 바닥면측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의 타측, 즉 바닥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외부 용기 유닛에 관통홀(112)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개구부(121)와 마찬가지로 관통홀(112)의 일부가 어느 하나의 외부 용기 유닛에 형성되고 관통홀(112)의 다른 일부가 다른 하나의 외부 용기 유닛에 형성되어, 외부 용기 유닛들(100A, 100B)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관통홀(112)을 형성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에는,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의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제1 접합면(160A)이 형성되며,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에는,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의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며, 제1 접합면(160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접합면(160B)이 형성된다.
제1 접합면(160A) 및 제2 접합면(160B)이 맞닿아,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이 상호 결합되면, 외부 용기 몸체(110)의 수용 공간(111)은 외부 용기측 개구부(121) 및 관통홀(112)을 제외하고 수용 공간(111)의 외부에 대해서 폐쇄된다. 이때, 제1 접합면(160A) 및 제2 접합면(160B)은 예시적으로 접착제 또는 접착시트 등에 의하여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제1 접합면(160A) 및 제2 접합면(160B)은, 제1 접합면(160A) 및 제2 접합면(160B)을 제외한 다른 외부 용기 유닛 몸체(110A, 110B)의 단면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안정적인 접착력 확보를 위한 크기의 접합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 접합면(160A)에는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의 외면에 인접되며 제2 접합면(160B)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출면(161A)과,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의 내면에 인접되며 제1 돌출면(161A)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 함몰면(16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접합면(160B)에는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의 내면에 인접되며 제2 접합면(160B)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돌출면(161B)과,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의 외면에 인접되며 제2 돌출면(161B)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2 함몰면(162B)이 형성된다.
제1 접합면(160A) 및 제2 접합면(160B)이 상호 접합되면, 제1 돌출면(161A)은 상기 제2 함몰면(162B)과 치합되며, 제2 돌출면(161B)은 제1 함몰면(162A)과 치합되어, 제1 접합면(160A) 및 제2 접합면(160B) 간의 접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몰드에 의하여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을 형성하고,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을 조립하여 외부 용기(100)를 제작함으로써, 외부 용기(100)의 제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을 조립 과정에서,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의 제1 접합면(160A)과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의 제2 접합면(160B)간의 기설정된 크기의 접합면을 확보함으로써,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간의 접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용기측 개구부(121) 및 관통홀(112)를 제외한 수용 공간(111)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7은 도 16의 용기가 분해된 상태에서 용기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 사이에 프레임 유닛이 구비되는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4 및 도 15에서 도시되는 용기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1)의 외부 용기(100)는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 유닛(170)을 더 포함한다.
프레임 유닛(170)은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보다 큰 강성을 갖는 재질, 예시적으로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유닛(170)은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의 제1 접합면(18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의 제2 접합면(180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프레임 유닛(170)은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의 제1 외부 용기 몸체(11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의 제2 외부 용기 몸체(110B) 사이에 위치되는 프레임 유닛 몸체(171)와, 제1 넥 부(120A) 및 제2 넥 부(120B) 사이에 위치되는 프레임 유닛측 넥 부(173)와, 제1 연결부(130A) 및 제2 연결부(130B) 사이에 위치되는 프레임 유닛측 연결부(172)를 포함한다.
한편, 제1 접합면(180A)에는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의 외면에 인접되며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의 제2 접합면(180B)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출면(181A)과,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의 내면에 인접되며 제1 돌출면(181A)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 함몰면(182A)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접합면(180B)에는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의 외면에 인접되며 제2 접합면(180B)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돌출면(181B)과,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의 내면에 인접되며 제2 돌출면(181B)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2 함몰면(182B)을 포함한다.
이때, 프레임 유닛(170)은 제1 함몰면(181A) 및 상기 제2 함몰면(181B) 사이에 끼워지며, 제1 돌출면(182A) 및 제2 돌출면(182B)은 상호 접촉된다.
따라서,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 및 프레임 유닛(170)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 및 프레임 유닛(170)은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111)을 둘러싸며, 외부 용기(100)의 외부에서는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만이 노출되며 프레임 유닛(170)은 보여지지 않는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수용 공간(111)을 일부를 둘러싸며,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의 접합면(180A, 180B)들을 따라서 둘러지고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보다 큰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프레임 유닛(170)이 배치됨에 따라서, 용기(1)의 파손 및 변형이 억제되고 수용공간(111)의 기밀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4 및 도 15의 용기(1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1)의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의 제1 접합면(190A)에는 외부 용기(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톱니 유닛(191)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의 제2 접합면(190B)에는 제1 접합면(190A)의 제1 톱니 유닛(191)들이 연장 형성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톱니 유닛(191)들과 치합되는 복수의 제2 톱니 유닛(192)들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들의 접합면(190A, 190B)들 간의 접합이, 톱니 유닛(191, 192)들 간의 치합으로 수행됨에 따라, 접합면(190A, 190B)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접합면적이 증가되어, 보다 안정적인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톱니 유닛(191) 및 제2 톱니 유닛(192)들이 외부 용기(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제1 톱니 유닛(191) 및 제2 톱니 유닛(192)들이 외부 용기(10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 예시적으로 상기 길이 방항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사선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도 14 및 도 15의 용기(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용기(100)는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은 외부 용기(100)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제1 외부 용기유닛(100A)의 접합면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의 접합면은, 외부 용기(100)의 상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즉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는 외부 용기측 개구부(121)를 포함하는 넥 부(120) 및 연결부(130)와 외부 용기 몸체의 일부를 포함하며,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은 상기 외부 용기 몸체의 다른 일부를 포함하며,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의 바닥면에는 관통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은 상호 대칭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의 내부에는 제1 수용 공간(111A)이 형성되며,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의 내부에는 제2 수용 공간(111B)이 형성되며, 제1 외부 용기 유닛(100A) 및 제2 외부 용기 유닛(100B)이 접합된 상태에서 제1 수용 공간(111A) 및 제2 수용 공간(111B)은 상호 연통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26)

  1.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외부 용기와 결합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액체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 공간이 형성되는 파우치;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용기에는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파우치가 삽입되는 외부 용기측 개구부와, 상기 외부 용기측 개구부와 이격되며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는, 내부에 상기 충진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충진 공간과 연통되는 파우치측 개구부가 형성되며 타측은 밀폐되는 파우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몸체의 일측은 상기 외부 용기측 개구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파우치 몸체의 일측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는, 수분이 상기 외부 용기의 외면에서 상기 외부 용기의 내면측으로 또는 상기 외부 용기의 내면에서 상기 외부 용기의 내면 측으로 침투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는,
    상기 수용 공간 중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제1 외부 용기 유닛과, 상기 수용 공간 중 나머지 영역을 둘러싸는 제2 외부 용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은 상호 결합되는 용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외부 용기측 개구부 및 상기 관통홀을 제외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에 대해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의 일측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 용기측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외부 용기측 개구부 및 제2 외부 용기측 개구부가 형성되며, 제1 외부 용기측 개구부 및 제2 외부 용기측 개구부는 상호 대칭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의 타측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의 타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에는,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의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제1 접합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에는,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의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제1 접합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접합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접합면 및 상기 제2 접합면이 맞닿아,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이 상호 결합되면, 상기 외부 용기 몸체의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외부 용기측 개구부 및 상기 관통홀을 제외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에 대해서 폐쇄되는 용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면에는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의 외면에 인접되며 상기 제2 접합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출면과,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의 내면에 인접되며 상기 제1 돌출면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 함몰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합면에는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의 내면에 인접되며 상기 제2 접합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돌출면과,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의 외면에 인접되며 상기 제2 돌출면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2 함몰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면은 상기 제2 함몰면과 치합되며, 상기 제2 돌출면은 상기 제1 함몰면과 치합되는 용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면에는 상기 외부 용기의 길이 방향 또는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톱니 유닛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접합면에는 상기 외부 용기의 길이 방향 또는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제1 톱니 유닛들과 치합되는 복수의 제2 톱니 유닛들을 포함하는 용기.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는,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 및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수용 공간을 둘러싸며,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보다 큰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용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에는,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의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제1 접합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에는,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의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제1 접합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접합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접합면에는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의 외면에 인접되며 상기 제2 접합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출면과,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의 내면에 인접되며 상기 제1 돌출면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 함몰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합면에는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의 외면에 인접되며 상기 제2 접합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돌출면과,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의 내면에 인접되며 상기 제2 돌출면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2 함몰면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제1 함몰면 및 상기 제2 함몰면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제1 돌출면 및 상기 제2 돌출면은 상호 접촉되는 용기.
  11.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용기 유닛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의 접합면은 상기 외부 용기의 상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외부 용기 유닛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 유닛은 상호 대칭되지 않는 용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측 개구부는 상기 외부 용기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외부 용기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 용기에는 상기 외부 용기의 일측에서 상기 외부 용기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보강 리브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용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외부 용기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용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가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외부용기측 개구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외부 용기측 개구부에 대하여 폐쇄되며, 상기 파우치 몸체의 상기 충진 공간은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에서 확장되고,
    상기 충진 공간이 상기 수용 공간에서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 공간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과 동일하며, 상기 충진 공간과 상기 외부 용기 내면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수용 공간의 압력은 상기 충진 공간의 내부 압력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외부 용기의 외면에는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 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가 배치되는 용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 몸체는, 상기 외부용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파우치의 확장 상태에 따라서 형상이 변형 가능한 파우치 확장 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체크부의 두께는, 상기 확장 체크부가 형성되는 부분과 인접되는 상기 외부용기 몸체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체크부는 동심원 형태의 홈 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를 기준으로 상기 확장 체크부의 모양이 변형되는 용기.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외부 용기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상기 파우치와 상기 외부 용기 사이의 갑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외부용기 외부에서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파우치의 상기 외부용기측 개구부를 통해 상기 충진 공간으로 내용물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파우치의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파우치의 상기 충진 공간의 압력은 상기 파우치의 복원력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의 상기 충진 공간의 상기 압력에 의하여 상기 파우치의 내면에 작용되는 힘과 상기 파우치 및 상기 외부 용기 사이의 공간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파우치의 외면에 작용되는 힘은, 상기 파우치의 상기 복원력과 평형을 이루는 용기.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측 개구부에 설치되며, 상기 파우치 몸체의 상기 일측이 지지되고, 상기 외부 용기의 재질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형성되는 커플링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유닛은, 상기 외부용기측 개구부를 둘러싸는 상기 외부 용기에 끼워지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커플링 유닛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몸체는 상기 커플링 유닛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커플링 유닛측 홀을 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 측에 배치되는 용기.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유닛 몸체는, 중앙에 상기 커플링 유닛측 홀이 형성되는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는 용기.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는, 내부에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타측의 바닥면을 포함하는 외부 용기 몸체와,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 용기측 개구부가 위치되는 넥 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용기 몸체의 내경은 상기 넥 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커플링 유닛은 상기 넥 부에 설치되는 용기.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는, 상기 넥 부와 상기 외부 용기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의 직경은 상기 넥 부에서 상기 연결부를 거쳐 상기 외부 용기 몸체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되는 용기.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넥 부와 연결되며 상기 외부 용기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커플링 유닛의 외경은 상기 지지면에 지지되고,
    상기 파우치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파우치에 수용된 내용물에 대한 배출 압력을 제공하며, 일부가 상기 지지면에 지지되는 펌핑 유닛;을 더 포함하는 용기.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단면 두께는, 상기 외부 용기 몸체의 단면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4. 외부용기측 개구부 및 상기 외부용기측 개구부와 연통되는 수용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수분이 외면에서 상기 수용 공간과 접하는 내면 측으로 침투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외부 용기와 결합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액체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 공간이 형성되는 파우치;를 포함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외부 용기 및 상기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에 충진 공간이 위치되도록 상기 외부 용기에 결합된 파우치를 포함하는 용기를 준비하는 용기 준비 단계;
    상기 파우치의 상기 충진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파우치의 상기 충진 공간이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확장되도록 하는 파우치 확장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제조 방법.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확장 단계에서,
    상기 파우치가 상기 수용 공간에서 확장되어 상기 외부용기측 개구부에서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 측으로 돌출된 확장 체크부와 접촉되면, 상기 확장 체크부는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외면 측으로 변형되며,
    상기 확장 체크부의 두께는, 상기 확장 체크부가 형성되는 부분과 인접되는 상기 외부 용기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제조 방법.
  26.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확장 단계는,
    상기 파우치가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우치를 상기 외부 용기의 외부 용기측 개구부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며, 상기 파우치의 상기 충진 공간에는 용기 제조 장치의 공기 가압/감압 유닛이 삽입되며, 상기 공기 가압/감암 유닛이 상기 용기의 개구부 측에서 상기 용기의 단부 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파우치를 탄성 변형시키는 파우치 스트레칭 단계;
    상기 공기 가압/감압 유닛이, 탄성 변형된 상기 파우치의 상기 충진 공간을 대기압 이하인 제1 기준 감압 압력으로 감압하는 파우치 감압 단계;
    상기 용기에 관통 형성된 공기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을 대기압 이하로 감압시키는 외부 용기 감압 단계; 및
    탄성 변형된 상기 파우치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파우치의 상기 충진 공간을 확장시키는 파우치 가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가압 단계에서,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의 압력이 제2 기준 감압 압력과 동일해지거나 상기 제2 기준 감압 압력 이하로 감소되면, 상기 파우치의 상기 충진 공간에 대기압과 같거나 대기압 보다 큰 가압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파우치의 상기 충진 공간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방법.
KR1020180129325A 2018-10-26 2018-10-26 용기 및 이것의 제조 방법 KR102149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325A KR102149002B1 (ko) 2018-10-26 2018-10-26 용기 및 이것의 제조 방법
PCT/KR2019/014144 WO2020085840A1 (ko) 2018-10-26 2019-10-25 용기 및 이것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325A KR102149002B1 (ko) 2018-10-26 2018-10-26 용기 및 이것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189A true KR20200047189A (ko) 2020-05-07
KR102149002B1 KR102149002B1 (ko) 2020-08-28

Family

ID=70331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325A KR102149002B1 (ko) 2018-10-26 2018-10-26 용기 및 이것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9002B1 (ko)
WO (1) WO2020085840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273U (ja) * 1992-05-01 1994-03-15 ニチアス株式会社 薬液用容器
JPH06100057A (ja) * 1992-09-10 1994-04-12 Procter & Gamble Co:The 積層型容器及びその製法
JP2001097448A (ja) * 1999-09-30 2001-04-10 Nissei Asb Mach Co Ltd バッグ・イン・ボックス
KR100289892B1 (ko) 1998-09-08 2001-05-15 강영철 칼라슬라이드파스너제조장치
KR20080084951A (ko) * 2005-12-05 2008-09-22 그린보틀 리미티드 내부 백을 구비한 용기
JP2013233954A (ja) * 2012-05-08 2013-11-21 Easlogic Kk 袋収容容器
US20170029191A1 (en) * 2008-09-12 2017-02-02 Eco.Logic Brands Inc. Containers for Holding Materials
KR20170078312A (ko) * 2015-12-29 2017-07-0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용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273U (ja) * 1992-05-01 1994-03-15 ニチアス株式会社 薬液用容器
JPH06100057A (ja) * 1992-09-10 1994-04-12 Procter & Gamble Co:The 積層型容器及びその製法
KR100289892B1 (ko) 1998-09-08 2001-05-15 강영철 칼라슬라이드파스너제조장치
JP2001097448A (ja) * 1999-09-30 2001-04-10 Nissei Asb Mach Co Ltd バッグ・イン・ボックス
KR20080084951A (ko) * 2005-12-05 2008-09-22 그린보틀 리미티드 내부 백을 구비한 용기
US20170029191A1 (en) * 2008-09-12 2017-02-02 Eco.Logic Brands Inc. Containers for Holding Materials
JP2013233954A (ja) * 2012-05-08 2013-11-21 Easlogic Kk 袋収容容器
KR20170078312A (ko) * 2015-12-29 2017-07-0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002B1 (ko) 2020-08-28
WO2020085840A1 (ko)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4619B1 (en) Spray nozzle
US7025233B2 (en) Fluid discharge pump for discharging fluid stored inside fluid storing portion
US7059501B2 (en)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KR102290185B1 (ko)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KR20100075754A (ko) 거품 토출용 어댑터 및 거품 토출 장치
WO2017169099A1 (ja) 積層剥離容器及びプリフォーム
JP2021518264A (ja) スプレー容器用のスプレーキャップ
JP2009149323A (ja) 二重容器
KR20190075829A (ko)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KR20200047189A (ko) 용기 및 이것의 제조 방법
JP5077553B2 (ja) スクイズ容器
KR102131932B1 (ko) 파우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장치
KR101703704B1 (ko) 이동배출판과 이중용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90131764A (ko) 파우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KR102164809B1 (ko) 용기 제조 방법 및 용기 제조 장치
KR20200124982A (ko)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CA2496019A1 (en) Outlet device for a container or vessel
JP5504701B2 (ja) 泡吐出容器
KR20200091364A (ko) 파우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장치
KR102426228B1 (ko) 용기 제조 방법 및 용기 제조 장치
JPH0811961A (ja) 泡噴出容器
KR20190056757A (ko)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및 제조방법
JP5688642B2 (ja) 注出容器
KR102622766B1 (ko) 내용물 토출용기
KR101612951B1 (ko) 다공질 포상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