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654A - 앱을 이용한 전원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앱을 이용한 전원제어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45654A KR20200045654A KR1020180126451A KR20180126451A KR20200045654A KR 20200045654 A KR20200045654 A KR 20200045654A KR 1020180126451 A KR1020180126451 A KR 1020180126451A KR 20180126451 A KR20180126451 A KR 20180126451A KR 20200045654 A KR20200045654 A KR 202000456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user terminal
- user
- information
- ap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 H04M1/72533—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이용하여 해당 매장에서 사용하는 제어대상물의 전원을 제어하되 무선통신망의 유실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앱에 의해 설정된 스케쥴의 실행정보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실행될 수 있는 전원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서버와, 상기 메인서버에서 공급되는 앱이 설치되되 음성정보와 터치정보에 의해 송수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및 공유기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연결되되 상기 공유기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의 연결이 유실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재접속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TSM부를 포함하되, 상기 TSM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음성정보와 터치정보를 포함하는 듀얼정보를 수신시에만 상기 TSM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대상물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앱은 상기 메인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앱을 실행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권한을 부여하는 유저확인부, 상기 제어대상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어화면부, 상기 메인서버에 등록된 다수의 사용자가 구비한 다수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타 유저저장부, 상기 공유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망을 선택할 수 있는 무선인터넷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화면부는 유저가 직접 상기 제어대상물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수동모드와 상기 제어대상물을 설정된 실행정보에 의해 제어하는 스케쥴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이용하여 해당 매장에서 사용하는 제어대상물의 전원을 제어하되 무선통신망의 유실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앱에 의해 설정된 스케쥴의 실행정보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실행될 수 있는 전원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생활가전 및 정보전자기기 또한 기술의 융복합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고루 갖춘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이러한 전기를 이용한 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기를 이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전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플러그가 꽂혀있는 상태로 전력이 낭비되는 대기전력이 발생하기도 한다.
종래에 홈 내 대기전력 관리 기술은 단순히 콘센트, 멀티 탭의 릴레이스위치 조작에 의해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단편적인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가 동작한 이후에 다시 구동을
하려면 홈 내에서 전용 리모컨 등으로 스위치를 다시 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전력 절감효과도 해당 콘센트, 멀티 탭에만 국한되어 실질적인 절감효과가 크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기술은 대기전력 못지않게 큰 전력 낭비 요인인 사용 중 낭비전력의 관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어 근래에는 범용성이 높은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기술들이 많이 안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소규모의 매장에서 사용하기에 그 가격이 너무 고가의 시스템으로 활용되고 있어,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매장에서는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무선통신망을 이용해 소규모의 매장에서도 전기를 소모하는 모든 전자제품의 전원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해당 무선통신망의 접속을 원활하게 하여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전원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전원제어시스템은 메인서버와, 상기 메인서버에서 공급되는 앱이 설치되되 음성정보와 터치정보에 의해 송수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및 공유기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연결되되 상기 공유기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의 연결이 유실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재접속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TSM부를 포함하되, 상기 TSM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음성정보와 터치정보를 포함하는 듀얼정보를 수신시에만 상기 TSM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대상물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앱은 상기 메인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앱을 실행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권한을 부여하는 유저확인부, 상기 제어대상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어화면부, 상기 메인서버에 등록된 다수의 사용자가 구비한 다수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타 유저저장부, 상기 공유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망을 선택할 수 있는 무선인터넷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화면부는 유저가 직접 상기 제어대상물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수동모드와 상기 제어대상물을 설정된 실행정보에 의해 제어하는 스케쥴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TSM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TSM부를 재 연결하는 무선통신발생부와, 상기 공유기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의 유실 여부를 확인하되 유실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통신발생부를 제어하는 마이컴부 및 상기 마이컴부와 연결되되 상기 스케쥴모드의 실행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무선통신발생부가 동작시에 상기 마이컴부에 의해 해당 실행정보가 유지되어 상기 스케쥴모드가 지속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TSM부는 회로적으로 양극차단방식을 사용하여 누설전류에 의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이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공유기기가 재 연결되면 상기 무선통신발생부의 동작을 차단하고, 상기 정보저장부에서 실행중인 실행정보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앱은 다수의 사용자가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을 시도시에 최초 접속이 이루어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상기 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다른 사용자는 해당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에 표시되는 상태정보를 통해 현재 진행중인 상기 스케쥴모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앱을 이용하여 소규모의 매장에서 사용가능한 원가를 제공하되 TSM부를 통해 공유기기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무선통신망이 유실되어도 상기 TSM부에 의해 재 연결이 가능하여 용이하게 제어대상물의 전원을 제어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되게 사용자 단말기와 공유기기 간의 무선통신망이 유실시에 앱에 의해 설정된 스케쥴모드가 TSM부에 의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전원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전원제어시스템의 앱과 TSM부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전원제어시스템의 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전원제어시스템의 앱과 TSM부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전원제어시스템의 앱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전원제어시스템(이하, 간략하게 '제어시스켐'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의 제어대상물(500)은 매장에 구비되되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동작하는 소방이나 안전관련 등의 전자제품이면 모두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예시적으로 전등을 기재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템(1)은 크게 메인서버(100), 사용자 단말기(2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TSM부(3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메인서버(100)는 후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제어대상물(500)인 전등 등을 수동 또는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의해 구동시킬 수 있는 앱(400)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메인서버(100)는 매장 내/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200)의 사용자정보가 개별 저장되어 각각의 단말기에 설치된 앱(400)을 통해 사용자의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메인서버(100)에 저장되는 사용자정보는 상기 메인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앱(400)을 통해서만 입력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운영자가 관리하는 매장의 관계자 이외에 다른 외부인의 접속을 허용하지 못하도록 하며, 이를 만족하기 위해 상기 메인서버(100)는 매장의 관계자 이외에 다른 외부인이 앱(400)을 통해 접속을 시도시에 해당 접속을 시도한 외부사용자의 접속을 차단할 수 있는 보안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예컨대 보안수단은 상술한 메인서버(100)에 저장된 사용자정보(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의한 로그인)에 의한 1차 보안단계와, 해당 1차 보안단계가 적용된 이후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접속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메인서버(100)의 프로토콜에 지속적으로 적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2차 보안단계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1차 또는 2차 보안단계에서 오류가 발생시에 그 오류를 유발하는 외부단말기(미도시)의 정보를 차단목록으로 메인서버(100)를 통해 저장하여 지속적으로 해당 외부단말기의 접속을 차단하는 과정을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술한 메인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앱(400)이 설치되어 제어대상물(500)이 해당 앱(400)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테블릿, 노트북 등과 같은 후술하는 공유기기나 TSM부(300)와 무선 연결이 가능하되 상기 앱(400)이 설치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종류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물론, 해당 앱(400)을 통해 직접적으로 사용자정보가 입력되어 메인서버(100)에 저장될 수 있는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앱(400)은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동적 또는 정적인 다수의 이미지가 단계별로 진행되어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되며, 본 발명에서의 상기 앱(400)은 유저확인부(410), 제어화면부(420), 타 유저저장부(430) 및 무선인터넷 설정부(440)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의 앱(400)은 사용자의 음성정보와 터치정보가 동반으로 이루어져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저확인부(410)는 메인서버(100)에 등록된 사용자정보를 통해 후술하는 TSM부(300)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 상기 메인서버(100)로부터 부여받기 위한 구성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앱(400)이 실행되면 그 메인화면 상으로 상기 앱(400)을 통해 권한을 부여받기 위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되며, 해당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 후에 로그인을 통해 상기 앱(400)을 실행할 수 있는 접속권한을 메인서버(100)에 요청한다.
메인화면에는 상술한 아이디와 패스워드 입력창 이외에 메인서버(100)에 접속하여 사용자 본인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찾기 입력창과 처음으로 앱(400)을 통해 메인서버(100)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회원가입을 위한 입력창이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회원가입을 위한 사용자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이름, 주민번호, 주소 등) 이외에 메인서버(100)를 운영하는 운영자 즉, 매장의 관리자에게 부여받은 사내코드정보를 추가적으로 상기 메인서버(100)에 입력하여 해당 매장의 관계자 이외에 다른 외부사용자의 접속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내코드정보는 문자, 숫자, 기호는 물론,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말기를 이용한 QR코드나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사용자가 본인의 아이디나 비밀번호를 분실시에는 메인서버(100)에 저장된 사용자정보를 찾아 다시 접속할 수 있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사용자 본인의 메일 주소 등을 힌트로 하는 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입력한 메일 주소가 상기 메인서버(100)에 입력된 메일주소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메일주소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제공하여 앱(400)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메인서버(100)는 해당 메일주소에 암호정보를 걸어 사용자가 입력한 메일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암호정보는 입력된 메일주소와 대응하는 사용자정보에 입력된 전화번호로 전송하여 사용자에 대한 확인 절차를 추가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회원가입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는 메인서버(100)에서 다른 사용자와 동일한 아이디가 있는지 확인하여 부여할 수 있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비밀번호 역시, 동일한 비밀번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유저확인부(410)는 본인이 소지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앱(400)을 통해 메인서버(100)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메인서버(100)에 최초 접속한 사용자에게 우선권을 부여하여 상기 앱(400)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하며,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사용자는 차후 접속된 이후에 상기 앱(40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정보를 통하여 어느 사용자가 접속하여 스케쥴모드(450) 또는 수동모드(460)로 제어대상물(500)을 제어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도 4 참조).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제어화면부(4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대상물(500)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 하는 구성이다.
제어화면부(4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제어대상물(500)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수동모드(460)와 설정된 스케쥴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제어대상물(500)을 제어하는 스케쥴모드(450)로 구분되며, 해당 수동모드(460)와 스케쥴모드(450)는 단말기 상에서 좌/우로 터치에 의한 드레그로 이동하여 선택하거나 또는 화면 상에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예컨대 수동모드(46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TSM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상에는 제어대상물(500)의 개수에 따라 컨텐츠에 의해 개별적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며, 다수의 제어대상물(500)이 하나의 화면에 표현된 경우에는 각각의 상기 제어대상물(500)을 확인할 수 있는 표시수단이 문자나 숫자 등으로 표시되어 제어하고자 하는 상기 제어대상물(500)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서 선택된 제어대상물(500)을 표시하는 콘텐츠는 클릭 후, 그 클릭정보가 메인서버(100)를 통해 TSM부(300)에서 인식될 수 있는 일정시간동안 또 다른 클릭이 안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클릭정보는 선택한 콘텐츠에 한정하여 적용한다.
한편, 해당 콘텐츠를 길게 클릭(LONG CLICK)하는 경우에는 또 다른 메뉴로 전환하여 앱(400)을 이용한 제어대상물(500)의 제어활용이 더욱 용이하도록 하며, 여기서 의미하는 또 다른 메뉴란 클릭된 제어대상물(500)의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대상물(500)을 표시하는 각각의 콘텐츠에는 상기 제어대상물(500)의 상태(도면상에서 온/오프를 나타내는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정보가 표시되며, 해당 상태정보는 연결이 차단된 제어대상물(500)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따로 또 다른 상태정보(도면상에서 '연결해제' 부분)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서는 표현된 제어대상물(500)의 콘텐츠가 어느 유저에 의해 제어된 것인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다수의 제어대상물(500)의 상태정보를 전부 표시하지 못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의 터치에 의한 드레그 방식으로 다수의 상기 제어대상물(500)의 상태정보를 확인 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스케쥴모드(45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메인화면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물(500)의 아이콘 및 해당 제어대상물(500)을 제어하기 위해 유저가 스케쥴을 변경할 수 있는 변경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도 6 참조).
여기서 변경아이콘을 클릭 한 사용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주일 또는 한달 단위로 요일이나 날짜로 표시되는 요일 메뉴 입력창, 현재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기 번호 등이 표시되는 접속자 확인창, 상기 요일 메뉴 입력창에 의해 선택된 날짜나 요일의 시간 대 별로 제어대상물(500)을 제어할 수 있는 시간입력창을 포함한다.
아울러 시간입력창 하부에는 또 다른 스케쥴로 변경시에 활용하기 위한 '스케쥴추가 입력창이 별도로 표시되며, 나아가서는 선택된 스케쥴을 해제하는 해제입력창이 표시될 수 있으며, '취소'나 '저장' 아이콘으로 이루어진 실행선택창을 통해 설정된 스케쥴의 실행이나 취소가 가능하도록 한다.
타 유저저장부(430) 매장 내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단말기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타 유저저장부(43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번호는 물론, 기관, 이름, 전화, 주소, 기타 등의 입력창이 표시될 수 있으며, 번호는 메인서버(100)에 등록된 타 유저의 단말기 고유의 시리얼번호이며, 기관은 매장의 정보를 의미하며, 이름은 상기 메인서버(100)에 등록된 번외단말기(200)를 사용하는 타 유저의 이름이며, 전화번호는 해당 타 유저가 소지한 번외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의미한다.
물론, 타 유저저장부(430)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창은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드레그 하여 다른 정보의 입력이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기관을 표시하는 입력창에는 메인서버(100)를 통해 해당 기고나의 중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아이콘이 표시되며, 모든 입력창의 입력정보가 완료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추가완료' 아이콘이나 '취소' 아이콘을 클릭하여 메인서버(100)에 저장 또는 수정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사용자 단말기(200)와 타 유저설정부(440)를 통해 메인서버(100)에 등록된 모든 유저들은 각각의 앱(400)을 통해 동시에 접속을 시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먼저 상기 앱(400)에 접속한 유저에게 기득권을 부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접속된 유저는 상태정보를 통해 단말기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앱(400)에 접속을 시도하기 위한 다른 유저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현재 접속중인 유저를 상태정보로 확인하고, 해당 접속된 유저가 실행 중인 내용을 호가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인터넷 설정부(44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앱(400)을 통해 현재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망의 종류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해당 무선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무선인터넷 설정부(44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접속하고자 하는 무선통신망의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해당 연결을 시도하는 무선통신망의 정보의 일치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동하는 메인서버(100)를 통해 자동으로 확인하여 연결되는 제1실시예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 접속하고자 하는 무선통신망의 정보를 입력하면 다수의 무선통신망 종류가 디스플레이되어 접속을 시도하는 제2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를 사용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무선인터넷 설정부(440)는 공유기기를 통해 발산되는 무선통신망 이외에 후술하는 TSM부(300)의 무선통신발생부(310)의 무선통신망의 정보로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TSM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유기기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되 연결된 무선통신망이 유실되면 그 유실정보를 판단하여 그 내부에 구비된 무선발신 구성에 의해 재 연결하여 앱(400)을 통해 실행되는 제어대상물(500)의 스케쥴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무선통신발생부(310), 마이컴부(320) 및 정보저장부(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TSM부(300)는 회로적으로 양극차단방식을 취하도록 하여 누설전류에 의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통신발생부(310)는 일정 영역대에 무선통신망을 발산하는 통상의 와이파이(Wi-Fi)와 동일한 것으로, 후술하는 마이컴부(320)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연결된 무선통신망이 유실되었음으로 판단되면 상기 마이컴부(320)의 제어를 통해 동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앱(400)을 통해 실행 중인 제어대상물(500)의 스케쥴모드(450)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마이컴부(320)는 공유기기와 사용자 단말기(200) 간에 무선통신망 접속 여부를 항시 확인하며, 유실되었다고 판단되면 상술한 무선통신발생부(310)를 제어하여 상기 공유기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간에 무선통신망을 재 연결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마이컴부(320)의 제어를 통해 무선통신발생부(310)가 동작하면 상기 마이컴부(320)는 정보저장부(330)에 입력된 스케쥴모드(450)의 정보를 읽어 내어 제어대상물(500)이 지속적으로 상기 스케쥴모드(450)의 실행정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유실되었던 무선통신망이 재 접속되면 상기 실행정보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통신발생부(310)는 차단하여 기존의 무선통신망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200)와 재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저장부(330)는 수동모드(460)를 제외한 스케쥴모드(450)의 실행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되 마이컴부(320)의 제어를 통해 무선통신발생부(310)가 동작시에 저장된 상기 스케쥴모드(450)의 정보를 상기 마이컴부(320)에 제공하여 설정된 상기 스케쥴모드(450)에 의해 제어대상물(500)의 전원제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템(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앱(400)을 이용하여 소규모의 매장에서 사용가능한 원가를 제공하되 TSM부(300)를 통해 공유기기와 사용자 단말기(200) 간의 무선통신망이 유실되어도 상기 TSM부(300)에 의해 재 연결이 가능하여 용이하게 제어대상물(500)의 전원을 제어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되게 사용자 단말기(200)와 공유기기 간의 무선통신망이 유실시에 앱(400)에 의해 설정된 스케쥴모드(450)가 TSM부(300)에 의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전원제어시스템
100: 메인서버
200: 사용자 단말기
300: TSM부
310: 무선통신발생부
320: 마이컴부
330: 정보저장부
400: 앱
410: 유저확인부
420: 제어화면부
430: 타 유저저장부
440: 무선인터넷 설정부
450: 스케쥴모드
460: 수동모드
500: 제어대상물
100: 메인서버
200: 사용자 단말기
300: TSM부
310: 무선통신발생부
320: 마이컴부
330: 정보저장부
400: 앱
410: 유저확인부
420: 제어화면부
430: 타 유저저장부
440: 무선인터넷 설정부
450: 스케쥴모드
460: 수동모드
500: 제어대상물
Claims (4)
- 메인서버(100);
상기 메인서버(100)에서 공급되는 앱(400)이 설치되되 음성정보와 터치정보에 의해 송수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200); 및
공유기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무선 연결되되 상기 공유기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간의 연결이 유실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무선으로 재접속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TSM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TSM부(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한 음성정보와 터치정보를 포함하는 듀얼정보를 수신시에만 상기 TSM부(300)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대상물(5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앱(400)은 상기 메인서버(100)에 등록된 사용자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앱(400)을 실행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권한을 부여하는 유저확인부(410), 상기 제어대상물(500)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어화면부(420), 상기 메인서버(100)에 등록된 다수의 사용자가 구비한 다수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타 유저저장부(430), 상기 공유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망을 선택할 수 있는 무선인터넷 설정부(44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화면부(420)는 유저가 직접 상기 제어대상물(500)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수동모드(460)와 상기 제어대상물(500)을 설정된 실행정보에 의해 제어하는 스케쥴모드(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전원제어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SM부(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상기 TSM부(300)를 재 연결하는 무선통신발생부(310);
상기 공유기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간의 유실 여부를 확인하되 유실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통신발생부(310)를 제어하는 마이컴부(320); 및
상기 마이컴부(320)와 연결되되 상기 스케쥴모드(450)의 실행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무선통신발생부(310)가 동작시에 상기 마이컴부(320)에 의해 해당 실행정보가 유지되어 상기 스케쥴모드(450)가 지속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저장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TSM부(300)는 회로적으로 양극차단방식을 사용하여 누설전류에 의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전원제어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부(3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상기 공유기기가 재 연결되면 상기 무선통신발ㅅ생(310)의 동작을 차단하고, 상기 정보저장부(330)에서 실행중인 실행정보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전원제어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400)은
다수의 사용자가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 상기 메인서버(100)에 접속을 시도시에 최초 접속이 이루어진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상기 앱(4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다른 사용자는 해당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 표시되는 상태정보를 통해 현재 진행중인 상기 스케쥴모드(450)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전원제어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6451A KR102225148B1 (ko) | 2018-10-23 | 2018-10-23 | 앱을 이용한 전원제어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6451A KR102225148B1 (ko) | 2018-10-23 | 2018-10-23 | 앱을 이용한 전원제어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5654A true KR20200045654A (ko) | 2020-05-06 |
KR102225148B1 KR102225148B1 (ko) | 2021-03-09 |
Family
ID=70737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6451A KR102225148B1 (ko) | 2018-10-23 | 2018-10-23 | 앱을 이용한 전원제어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5148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36909A (ko) * | 2005-09-30 | 2007-04-04 | 이경목 | 전력선 제어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를 사용하는 인터넷 홈네트워크 시스템 관리 방법 |
KR20090098154A (ko) * | 2008-03-13 | 2009-09-17 | 주식회사 세니온 | 무선통신 링크가 이중화된 배전자동화 제어시스템 및 그이중화 방법 |
KR20120041883A (ko) * | 2010-10-22 | 2012-05-03 | 주식회사 중원파워컨트롤스 | 전기기기 전원 무선제어시스템 |
KR20130013908A (ko) * | 2011-07-29 | 2013-02-06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대기 전력 무선 제어 시스템 |
KR101232276B1 (ko) | 2011-06-27 | 2013-02-12 | (주)이지정보기술 |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 |
KR20140068430A (ko) * | 2012-11-28 | 2014-06-09 |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진촬영 로봇의 원격 제어권 획득 및 이양방법 |
KR101749693B1 (ko) | 2015-11-11 | 2017-07-03 | 주식회사 비바엔에스 | 스마트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2018
- 2018-10-23 KR KR1020180126451A patent/KR1022251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36909A (ko) * | 2005-09-30 | 2007-04-04 | 이경목 | 전력선 제어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를 사용하는 인터넷 홈네트워크 시스템 관리 방법 |
KR20090098154A (ko) * | 2008-03-13 | 2009-09-17 | 주식회사 세니온 | 무선통신 링크가 이중화된 배전자동화 제어시스템 및 그이중화 방법 |
KR20120041883A (ko) * | 2010-10-22 | 2012-05-03 | 주식회사 중원파워컨트롤스 | 전기기기 전원 무선제어시스템 |
KR101232276B1 (ko) | 2011-06-27 | 2013-02-12 | (주)이지정보기술 |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 |
KR20130013908A (ko) * | 2011-07-29 | 2013-02-06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대기 전력 무선 제어 시스템 |
KR20140068430A (ko) * | 2012-11-28 | 2014-06-09 |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진촬영 로봇의 원격 제어권 획득 및 이양방법 |
KR101749693B1 (ko) | 2015-11-11 | 2017-07-03 | 주식회사 비바엔에스 | 스마트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5148B1 (ko) | 2021-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111697B (zh) | 对于所连接的消费者设备的基于角色的访问控制 | |
JP6891219B2 (ja) | 他のモバイル装置での集中を制限して動作を行なうためにモバイル装置を使用すること | |
US10273117B2 (en) | Controlling an elevator car to take a user to a destination floor based on calendar information from a mobile device | |
US8813194B2 (en) | Enabling access to a secured wireless local network without user input of a network password | |
US8588990B2 (en) | Communicating through a server between appliances and applications | |
EP3360347B1 (en) | Wireless provisioning and configuring of hardware elements of a home automation system | |
US9380055B2 (en) | Device control method,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in-house server apparatus connected to device management system | |
TWI578797B (zh) | A system and method for screening a screen projection electronic device | |
US1203819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handing off the configuration of a building device from a contractor to a customer using a hang tag or the like | |
CN107408188B (zh) | 网络连接设备的需求响应提供方控制的系统 | |
US10057956B1 (en) | Lighting control device, lighting control system, lighting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JP2019097090A (ja) | 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利用される中継装置 | |
CN103778379B (zh) | 管理设备上的应用执行和数据访问 | |
JP5496393B1 (ja) | 宅内機器及び遠隔制御システム | |
KR101797812B1 (ko) | 다수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실행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설정서버 | |
KR20200045654A (ko) | 앱을 이용한 전원제어시스템 | |
JP2001111704A (ja) | ビル群管理システム | |
JP2018026814A (ja) | 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 |
TW201817211A (zh) | 通過即時通訊系統進行遠端設備操控的方法與裝置架構 | |
JP6415865B2 (ja) |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装置 | |
KR20170002333A (ko) | 다수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실행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설정서버 | |
KR101269448B1 (ko) |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