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448B1 -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448B1
KR101269448B1 KR1020120118873A KR20120118873A KR101269448B1 KR 101269448 B1 KR101269448 B1 KR 101269448B1 KR 1020120118873 A KR1020120118873 A KR 1020120118873A KR 20120118873 A KR20120118873 A KR 20120118873A KR 101269448 B1 KR101269448 B1 KR 101269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virtual room
guest
administrator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치영
차형건
Original Assignee
(주)지란지교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란지교소프트 filed Critical (주)지란지교소프트
Priority to KR1020120118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6Support for shared access to files; File sharing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통신망과 결합된 서비스 장치에서 수행되는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은, 식별정보를 갖는 가상룸에 연계되는 파일을 설정하는 단계; 가상룸으로 진입하는 사용자가 파일을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관리자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관리자가 파일을 공유시키는 경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가상룸에 진입한 게스트에게 파일에 따른 공유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의 룸(room)에 파일들을 연계시킴으로써, 해당 가상룸의 진입만으로 파일들을 쉽게 이용하고 다른 사용자(게스트)들과 특정 파일에 대해 쉽게 공유할 수 있어, 마치 오프라인 상의 회의실을 이용하듯 가상의 공간을 이용하여 특정 파일에 대한 공유를 통해 회의 또는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Method for sharing file using virtual-room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파일 공유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가상의 룸에 설정된 파일을 공유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즘에는 일반 휴대폰뿐 아니라, 애플사에서 제공되는 아이폰(i-phone), 삼성전자에서 제공되는 갤럭시S 등의 스마트폰(smart-phone)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전화 기능뿐 아니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컴퓨팅 기능이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이다. 스마트폰은 일반 이동통신망뿐 아니라, 와이파이(wifi) 등의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일반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어, 사용자들은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폰을 통신 장치로써 이용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작은 디스플레이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보다 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애플사의 아이패드(i-pad), 삼성전자의 갤럭시 탭 등의 태블릿PC가 인기를 누리고 있다.
기존에는 업무 또는 비업무 용으로 일반 개인용 컴퓨터인 데스크탑(desk top) 컴퓨터 또는 노트북만을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 기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언제 어디서든 휴대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통신 기술 및 단말의 발전에 따라, 많은 기업들에서는 각자의 단말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회의 또는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하고자 하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원격 프리젠테이션의 경우, 발표자가 각 참석자에게 파일을 제공하고 그 파일을 이용하여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하게 되는데, 참석자를 선정하고 그 참석자들에게 해당 파일을 쉽게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일이 연계되는 가상의 룸을 이용하여 프리젠테이션 등을 위해 여러 사용자에게 특정 파일 또는 그 파일 내용을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과 결합된 서비스 장치에서 수행되는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에 있어서, 식별정보를 갖는 가상룸에 연계되는 파일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룸으로 진입하는 사용자가 상기 파일을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관리자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가 상기 파일을 공유시키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룸에 진입한 게스트에게 상기 파일에 따른 공유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는 복수이며, 상기 가상룸에 설정된 파일들 중 각 관리자마다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 것들이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인증절차는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각 관리자에게는 서로 다른 비밀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스트가 상기 관리자보다 먼저 상기 가상룸에 진입하면, 미리 설정된 콘텐츠 또는 예약파일이 상기 게스트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스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유데이터에 따른 파일에 대한 정보를 히스토리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히스토리정보를 이용하여 차후 상기 게스트가 상기 가상룸에 다시 진입하는 경우 상기 공유데이터를 다시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의 승인여부에 따라, 신규파일을 상기 가상룸에 등록한 게스트에게 상기 신규파일에 대한 조작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룸에는 설정되는 파일들의 가용용량 및 상기 게스트의 가용인원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식별정보를 갖는 가상룸 및 상기 가상룸의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룸정보 저장부; 상기 가상룸에 연계되며, 상기 관리자에게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파일 저장부; 상기 가상룸으로 진입하는 사용자가 상기 관리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관리자가 상기 파일을 공유시키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룸에 진입한 게스트에게 상기 파일에 따른 공유데이터를 제공하는 공유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룸정보 저장부에는 상기 게스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유데이터에 따른 파일에 대한 정보가 히스토리정보로서 더 저장되되, 상기 히스토리정보를 이용하여 차후 상기 게스트가 상기 가상룸에 다시 진입하는 경우 상기 공유데이터를 다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룸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룸에 상기 관리자가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게스트가 상기 가상룸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관리자가 설정한 관리자단말로 상기 게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의 룸(room)에 파일들을 연계시킴으로써, 해당 가상룸의 진입만으로 파일들을 쉽게 이용하고 다른 사용자(게스트)들과 특정 파일에 대해 쉽게 공유할 수 있어, 마치 오프라인 상의 회의실을 이용하듯 가상의 공간을 이용하여 특정 파일에 대한 공유를 통해 회의 또는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를 위한 전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룸에 진입한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룸에 진입한 게스트 단말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룸정보를 도시한 테이블.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이 연계되는 가상룸의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를 위한 전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관리자 단말(10), 게스트 단말(20-1, 20-2, ..., 20-n, 이하 20으로 통칭) 및 서비스 장치(30)를 포함한다.
서비스 장치(30)는 설정된 가상룸(virtual-room, 40)을 관리 및 운영하는데, 가상룸(40)에는 하나 이상의 관리자가 설정되며, 관리자는 자신만이 이용 권한을 갖는 파일을 가상룸(40)에 연계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자신의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통신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인 관리자 단말(10)을 이용하여 서비스 장치(30)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며, 자신의 가상룸(40)에 진입하여 연계되어 있는 파일들을 이용할 수 있다. 관리자가 가상룸(40)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로그인 과정과 같은 인증절차가 필요한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게스트 단말(20)은 가상룸(40)에 진입하는 게스트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로서, 마찬가지로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게스트는 가상룸(40)에 진입하더라도 가상룸(40)에 연계된 파일(이하, 연계 파일이라 칭함)을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 다만, 가상룸(40)에 진입한 관리자가 연계 파일에 대한 공유를 요청하면, 게스트 단말(20)들은 서비스 장치(30)로부터 해당 파일에 따른 데이터를 공유데이터로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룸에 진입한 관리자 단말(10)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룸에 진입한 게스트 단말(20)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관리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관리자가 가상룸에 진입한 경우, 연계 파일(220)에 대한 목록이 제공되며, 현재 해당 가상룸에 진입한 게스트에 대한 게스트정보(230)도 일측에 표시될 수 있다.
관리자는 연계 파일 중 공유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220)를 선택하면, 해당 공유 파일의 실행화면(240)이 일측에 표시되며,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그 실행화면이 게스트 단말(20)에서도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 및 게스트들은 동일한 파일에 대한 실행화면을 각자의 단말장치로 확인하면서 회의 또는 프리젠테이션 등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즉, 관리자 단말(10)의 화면과 게스트 단말(20)이 동기화되는 경우, 서비스 장치(30)에 의해 싱크(sync)가 맞혀져서 동일한 화면이 양 단말장치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자와 게스트가 동일한 실행화면을 확인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관리자 및 게스트는 동일한 파일을 공유하지만 각자의 조작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을 확인할 수도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따른 UI는 일례일 뿐이며, 임의의 연계 파일에 대한 공유가 개시되면 관리자 단말(10) 및 게스트 단말(20)의 화면 전체에 실행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는 등, 각각의 단말에는 공유 파일에 따른 실행화면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스트의 UI화면에는 해당 가상룸의 관리자에 대한 정보(310)가 일측에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상룸은 고유의 식별정보(210)가 부여됨으로써, 관리자뿐 아니라 게스트는 그 식별정보(210)를 이용하여 가상룸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30)에서 관리되는 가상룸은 다수가 존재할 수도 있으므로, 관리자 또는 게스트들은 원하는 가상룸을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하여 진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상룸을 관리 및 운영하는 서비스 장치(30)의 구성과, 서비스 장치(30)에서의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3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룸정보를 도시한 테이블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30)는 통신부(410), 저장부(430) 및 제어부(450)를 포함하되, 저장부(430)는 룸정보 저장부(431) 및 파일 저장부(432)를 포함하고, 제어부(450)는 그 기능에 따라 가상룸관리부(451), 인증부(452), 공유처리부(453), 메시지 전송부(454) 및 메인 제어부(4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50)의 각 기능부는 반드시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프로그램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자명해질 것이다.
서비스 장치(30)의 통신부(410)는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10) 및 게스트 단말(20)과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신망을 통한 통신 기능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통신부(410)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저장부(430)의 룸정보 저장부(431)에는 생성된 가상룸에 관련된 정보들이 저장되는데, 이러한 룸정보를 예시한 도 4를 참조하면, 룸번호, 관리자정보, 가용용량, 가용인원수, 연계파일에 대한 정보들이 룸정보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가상룸은 저마다의 고유 식별정보인 룸번호가 부여되며, 연계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갖는 관리자가 설정된다. 가용용량은 연계 파일로서 설정될 수 있는 파일들의 총량의 한계용량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가용용량이 5기가바이트(5GByte)인 경우 연계 파일들의 용량을 합한 총용량이 5기가바이트 이내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도록 가용인원수는 가상룸에 진입할 수 있는 게스트의 총 인원수를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가상룸을 생성하고 그에 따른 관리권한을 부여받는 회원(이하 주인회원)과 관리자는 서로 같은 사람일 수 있으며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인회원과 관리회원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인회원에게는 가용용량 또는 가용인원수의 증가 또는 감소, 관리자의 설정 등 가상룸의 전반적인 관리 권한이 부여되고, 관리자에게는 연계 파일의 등록, 수정, 갱신 등의 권한만이 부여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룸에 진입하는 사용자가 관리자인지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가 각 관리자마다 부여될 수 있다. 관리자를 인증하는 방식으로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이용한 로그인(login) 절차와 같은 일반적인 사용자 인증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으나, 다른 일례에 따르면 각 관리자는 자신만의 비밀번호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는 마치 오프라인 상의 어떠한 집 또는 방에 설치된 비밀번호 입력 방식의 도어락(door lock) 장치와 같이 숫자, 알파벳, 기호 등의 문자를 이용한 비밀번호의 입력만으로 관리자인지 여부뿐 아니라 어떠한 관리자인지까지 인증처리될 수 있다. 즉, 각 가상룸에는 소수의 관리자가 할당되므로, 각각의 관리자는 비밀번호만으로 쉽게 인증처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술한 아이디는 서비스 장치(30)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유니크(unique)한 정보로써, 예를 들어 숫자, 기호 및/또는 문자가 조합된 정보이거나 이메일(email) 주소 등일 수 있다.
그리고, 가상룸의 관리자가 복수인 경우, 일례에 따르면 각 관리자는 모든 연계 파일에 대한 권한을 가질 수 있으며, 다른 일례에 따르면 각 관리자 마다 자신만이 이용할 수 있는 파일들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상룸 VR0001의 연계 파일이 [파일1, 파일2, 파일3, 파일4]인 경우, 관리자 유저(User )A는 [파일1, 파일2, 파일3]에 대한 이용 권한이 있으며, 관리자 유저B는 [파일2, 파일3, 파일4]에 대한 이용 권한이 부여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룸정보 저장부(431)에는 가상룸에 방문했던 게스트에 대한 게스트정보(아이피주소, 단말의 맥주소 또는 아이디 등의 게스트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 게스트가 공유받았던 파일에 대한 정보 등에 따른 히스토리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차후 히스토리정보는 게스트가 다시 가상룸에 진입하게 되면, 공유받았던 파일에 대한 이용권한을 다시 부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저장부(430)의 파일 저장부(43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룸에 연계된 연계 파일들이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장치(30) 자체에 상술한 연계 파일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이 구비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연계 파일들이 저장 및 관리될 수도 있다.
제어부(450)의 가상룸관리부(451)는 가상룸을 생성하고 그에 따른 정보(예를 들어, 관리자 정보, 연계 파일 정보 등)를 관리하여 저장부(430)에 관련 정보를 저장, 삭제 또는 갱신하는 기능을 위한 것이다. 또한, 가상룸관리부(451)는 상술한 바와 같은 히스토리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430)에 저장한다.
인증부(452)는 가상룸에 진입하는 사용자에 대한 관리자 인증을 처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 인증은 아이디/비밀번호와 같은 일반적인 로그인 방식뿐 아니라, 비밀번호만을 이용한 인증도 수행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가상룸에 관리자가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상룸에 진입하고자 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관리자 인증 여부가 문의될 수 있고, 만일 가상룸에 관리자가 진입된 상태라면 다음 사용자는 모두 게스트로 인지하여 관리자 인증 여부를 문의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관리자 인증은 진입한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진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공유처리부(453)는 가상룸의 연계 파일들 중 관리자에 의해 공유 요청된 파일(이하 공유 파일이라 칭함)에 대해 가상룸에 진입된 게스트들에게 해당 공유 파일에 따른 공유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공유데이터는 공유 파일 자체일 수 있으며, 또는 공유 파일을 실행한 실행화면에 따른 이미지파일일 수도 있다. 후자를 예로 들자면, 공유처리부(453)는 공유 파일을 먼저 관리자 단말(10)로 제공하고, 관리자 단말(10)에서의 실행화면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이를 공유데이터로서 게스트 단말(20)들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와 같이, 공유처리부(453)가 직접 공유 파일의 실행을 처리하고, 그 실행화면을 실시간으로 관리자 단말(10) 및 게스트 단말(20)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공유처리부(453)는 공유 파일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실행 결과에 따른 출력 정보를 각 단말(즉, 관리자 단말(10) 및 게스트 단말(20))로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예를 들면, 공유 파일이 문서 파일인 경우, 공유처리부(453)는 해당 문서파일을 열수 있는 뷰어(viewer)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실행된 뷰어 프로그램에 따른 결과 화면 정보를 가상룸에 진입한 각 단말장치(10, 20)로 제공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동영상의 경우 해당 동영상을 재생하는 플레이어의 실행 결과 화면 및 음원 정보가 가상룸의 단말장치들(10, 20)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상룸에 진입한 관리자 단말(10) 또는 게스트 단말(20)은 공유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서비스 장치(30)를 통해 그 실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 단말(10) 및 게스트 단말(20) 각각에게 파일 자체로 제공되는 경우, 서비스 장치(30)는 주기적으로 관리자 단말(10)에서 실행되는 공유 파일의 실행정보(문서파일을 예로 들면, 페이지 번호 등)를 취득하고 이를 게스트 단말(20)로 제공함으로써, 게스트가 관리자와 동일한 실행화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한 예들을 실시예일뿐이며, 복수의 단말간에 파일을 공유하는 모든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메시지 전송부(454)는 가상룸에 관리자가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게스트가 해당 가상룸에 진입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관리자의 단말장치(예를 들어 관리자의 휴대폰 등)로 가상룸에 게스트가 방문했음을 알리는 알림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알림메시지에는 해당 게스트에 대한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메인 제어부(455)는 제어부(450)의 각 기능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다음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일례에 따르면, 관리자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상룸에 게스트가 진입되면, 메인 제어부(455)는 해당 게스트에게 미리 설정된 콘텐츠(이하, 기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스트는 도 3에 도시된 게스트 UI화면에서의 파일의 실행화면(240)에 동영상과 같은 기본 콘텐츠의 실행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기본 콘텐츠는 디폴트된 콘텐츠일 수 있으며, 또는 각 가상룸의 관리자 또는 주인회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455)는 가상룸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예약 파일에 대한 공유서비스를 게스트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관리자가 특정 파일에 대해 예약 파일로 설정해 놓으면, 관리자가 가상룸에 진입하지 않더라도 게스트가 가상룸에 진입하게 되면 예약 파일에 대한 공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약 파일에 대해서는 공유 서비스의 개시 날자, 시간에 대한 일정정보가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몇 명 이상의 게스트가 진입된 상태에서만 공유가 개시되도록 하거나 특정 게스트에게만 제공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이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상기한 기본 콘텐츠 및 예약 파일은 해당 관리자가 가상룸에 진입하게 되면, 게스트로의 제공은 중단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이 연계되는 가상룸의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30)는 주인회원의 요청에 따라 가상룸을 생성하면(S610), 해당 가상룸의 관리자를 설정한다(S620). 관리자 설정 시에는 해당 관리자를 식별하고 인증할 수 있는 인증정보가 설정된다(도 5참조).
주인회원 또는 관리자에 의해 가상룸에는 하나 이상의 연계 파일이 설정된다(S630). 하나의 예를 들즈면, 관리자는 서비스 장치(30)에 파일을 업로드하고 이를 가상룸에 연계 파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차후 서비스 장치(30)는 가상룸에 진입하는 사용자가 인식되면(S640), 그 사용자가 관리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50).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30)는 진입을 요청한 사용자에게 관리자 인증정보를 입력하는 창과 게스트임을 선택하는 창이 표시되는 UI화면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자인지 게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30)는 진입하는 사용자가 관리자인 경우 해당 가상룸의 연계 파일을 확인할 수 있는 UI(도 2 참조)를 제공한다(S660).
만일 가상룸에 진입된 사용자가 게스트인 경우, 관리자 단말(10)로 게스트의 진입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가 전송된다(S670). 여기서, 모든 사용자가 가상룸에 진입될 수도 있으나, 일례에 따르면 관리자의 설정여부에 의해 특정 사용자(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한 사용자)만 게스트의 권한으로 가상룸에 진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게스트에게는 기본 콘텐츠 또는 예약 파일 등이 제공될 수 있으며, 히스토리정보에 기반하여 특정한 연계 파일도 게스트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게스트에게 공유 파일에 대한 제공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 7을 참조하면, 가상룸에 진입한 관리자에게 연계 파일 목록이 제공되고(S710), 관리자로부터 임의의 연계 파일에 대한 공유 서비스가 요청됨을 인식하면(S720), 서비스 장치(30)는 해당 가상룸에 진입한 게스트에게 공유 파일에 따른 공유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공유 서비스를 처리한다(S730).
차후, 관리자가 가상룸에서 나가면(즉, 로그아웃을 수행하면), 서비스 장치(30)는 이를 인식하고(S740), 공유 서비스된 파일 및 공유서비스를 제공받았던 게스트정보(해당 게스트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가 포함된 히스토리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750).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례에 따르면 가상룸에 진입한 게스트는 자신이 보유한 파일에 대해 해당 가상룸의 연계파일로서 등록할 수도 있다. 물론, 게스트의 연계파일 등록은 관리자의 허락이 동반되어야만 할 수도 있으며, 게스트에 의해 등록된 연계 파일은 해당 게스트와 관리자만이 확인 및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례에 따르면, 가상룸에서의 프리젠테이션의 다양화를 위해, 관리자는 게스트에게 프리젠테이션 권한을 이양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게스트는 공유 파일에 대한 조작 권한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곧 게스트가 프리젠터가 되어 파일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이다. 공유파일로서 문서파일을 예로 든다면, 페이지의 변경, 페이지로의 글쓰기 등의 조작을 조작권한을 이양 받은 게스트가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게스트가 연계 파일로서 임의의 파일(이하 신규파일)을 가상룸에 등록하고자 하면, 관리자가 해당 게스트 및 신규파일을 확인하고 [승인]하면, 해당 파일에 따른 공유 서비스가 개시되고, 그 파일에 대한 프리젠테이션 권한(즉 조작 권한)이 해당 게스트에게 자동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룸에 진입한 게스트도 자신의 파일을 가상룸에 연계되도록 등록하면 그 파일에 대한 조작권한을 가지고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8을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10)이 서비스 장치(30)에 진입하고(S810), 임의의 게스트 단말(20)도 서비스 장치(30)에 진입한 상태에서(S815), 서비스 장치(30)는 게스트 단말(20)로부터 파일 등록을 요청 받으면(S820), 이에 대해 관리자 단말(10)로 파일 및 해당 게스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파일 등록에 대해 문의한다(S825).
서비스 장치(30)는 관리자 단말(1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S830), 수신된 응답이 게스트의 파일 등록에 대한 승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35).
만일, 관리자 단말(10)로부터의 응답이 승인 거부인 경우, 해당 게스트 단말(20)로 파일 등록이 거부되어 실패 처리되었음을 알리고(S840).
이와 달리 응답이 승인인 경우, 관리자 단말(10)은 해당 파일에 대해 가상룸과 연계되도록 등록처리하고(S845), 해당 파일에 대한 조작권한을 게스트 단말(20)에게 제공한다(S850). 이에 따라 해당 게스트는 자신이 등록한 파일에 대한 조작권한을 가지고, 다른 사용자(즉, 관리자 및 다른 게스트)들과 해당 파일에 따른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관리자 단말
20-1, 20-2, ..., 20-n : 관리자 단말
30 : 서비스 장치
40 : 가상룸
200 : 관리자 UI
300 : 게스트 UI

Claims (10)

  1. 통신망과 결합된 서비스 장치에서 수행되는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에 있어서,
    식별정보를 갖는 가상룸에 대한 하나 이상의 관리자 및 상기 관리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 상기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는 연계 파일들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룸으로 진입하는 사용자가 상기 관리자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관리자인 것으로 인증된 경우, 인증된 관리자에 설정된 연계 파일들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룸에 진입한 게스트에게, 상기 연계 파일들 중 상기 관리자에 의해 공유 요청된 파일에 따른 실행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가 복수인 경우 각 관리자는 서로 다른 인증정보 및 연계 파일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스트가 상기 관리자보다 먼저 상기 가상룸에 진입하면, 미리 설정된 콘텐츠 또는 예약파일이 상기 게스트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스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유 요청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히스토리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히스토리정보를 이용하여 차후 상기 게스트가 상기 가상룸에 다시 진입하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된 파일을 다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의 승인여부에 따라, 신규파일을 상기 연계파일로서 상기 가상룸에 등록한 게스트에게 상기 신규파일에 대한 조작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118873A 2012-10-25 2012-10-25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1269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873A KR101269448B1 (ko) 2012-10-25 2012-10-25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873A KR101269448B1 (ko) 2012-10-25 2012-10-25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448B1 true KR101269448B1 (ko) 2013-05-30

Family

ID=48667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873A KR101269448B1 (ko) 2012-10-25 2012-10-25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4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122B1 (ko) 2009-06-16 2010-10-20 알서포트 주식회사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가상 협업 서비스 방법
KR101044343B1 (ko) 2011-03-08 2011-06-29 주식회사 쓰리에스플래너 클라우드 디스크 공유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122B1 (ko) 2009-06-16 2010-10-20 알서포트 주식회사 원격제어를 통한 온라인 가상 협업 서비스 방법
KR101044343B1 (ko) 2011-03-08 2011-06-29 주식회사 쓰리에스플래너 클라우드 디스크 공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2789B2 (en) Attendance tracking via device presence
US9853963B2 (en) Authorization server, authentication cooper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CN105378768B (zh) 企业系统中的接近度和环境感知的移动工作空间
JP6001816B1 (ja) 無線ネットワークログインパスワードの共有の管理
JP7091785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
CN109565640B (zh) 安全的基于私有位置的服务
US10142841B2 (en) Configuration for multi-factor event authorization
JP2017520865A (ja) 他のモバイル装置での集中を制限して動作を行なうためにモバイル装置を使用すること
US97750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authenticating individuals, in connection with providing access to the individuals
KR20150021237A (ko) 전자장치 공유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10205717B1 (en) Virtual machine logon federation
WO2019085184A1 (zh) 会议板书文件的管理方法、装置、显示装置及存储介质
US20220385697A1 (en) Generating contextual compliance policies
US118248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login access
KR20150049242A (ko) 클라우드 서비스 연동 장치 및 방법
CN112286632A (zh) 云平台、云平台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储存介质
US10182084B2 (en) Cloud-based conferencing system
JP2014153741A (ja) 情報管理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50373147A1 (en) Sampling for Content Selection
KR101269448B1 (ko)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1575763B1 (ko)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
US20240020369A1 (en) Speech control system and method, apparatus, device, medium, and program product
US9245105B1 (en) Verification of remote job state for access control
CN112840339B (zh) 对数据和设备功能性的渐进访问
US20210377280A1 (en) System for providing a secured connection during an online mee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