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763B1 -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5763B1 KR101575763B1 KR1020140107129A KR20140107129A KR101575763B1 KR 101575763 B1 KR101575763 B1 KR 101575763B1 KR 1020140107129 A KR1020140107129 A KR 1020140107129A KR 20140107129 A KR20140107129 A KR 20140107129A KR 101575763 B1 KR101575763 B1 KR 1015757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server
- electronic key
- access
- mobil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다수의 단말들의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하여 접근할 때, 이동단말이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한하여 종속 단말들이 서버의 데이터에 접근하도록 통제하는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이동단말을 전자키 역할을 하는 전자키 단말로 등록하는 단계; (b) 각 단말기에 대한 접근 허용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이동단말 외의 단말기(이하 종속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받는 단계; (d) 상기 종속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 및 단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종속 단말에 대한 인증이 성공하면, 전자키 단말의 전자키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f) 전자키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상기 이동단말의 로그인 상태에 따라, 상기 종속 단말의 상기 서버에 대한 접속 허용 여부, 또는, 상기 사용자의 다른 단말기(이하 타 단말)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에 의하여, 이동단말에서 로그인 만으로 종속 단말들의 접근을 허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추가 인증을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서버 내 데이터에 대한 단말기의 접근 통제를 보다 강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에 의하여, 이동단말에서 로그인 만으로 종속 단말들의 접근을 허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추가 인증을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서버 내 데이터에 대한 단말기의 접근 통제를 보다 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다수의 단말기 데이터들을 콘텐츠 관리(ECM, Enterprise Content Management) 서버 또는 파일 서버 등에 저장하여 접근할 때, 이동단말이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한하여 종속 단말들이 서버의 데이터에 접근하도록 통제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단말로 종속 단말에 대한 서버의 접속 또는 접근을 통제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접근 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인 ECM(Enterprise Content Management) 시스템 또는 파일서버 시스템은 일반 문서, 멀티미디어 자료 등 각종 콘텐츠를 중앙 집중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최근 ECM은 기업 내부의 콘텐츠의 양과 종류가 급격한 속도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기업 경쟁력 강화 및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즉, 전 산업에 걸쳐서 정보 기술화가 진행되면서, 기업들은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파일 시스템, DM/XML, 문서, 미디어,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출력물, 메일 문서 등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다. 특히 e-비즈니스 도입으로 발생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환경에서 효율적인 콘텐츠의 관리 여부가 비즈니스 성패를 가늠하는 중요한 잣대가 되고 있으며, 기업들이 효율적인 콘텐츠 관리를 통하여 자사가 보유하는 정보를 구성원들이 쉽게 공유하고, 경영진의 의사 결정이 적절히 활용될 수 있는 방향으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측면에서, ECM의 중요성이 더욱 더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는 조직 내의 모든 문서(또는 콘텐츠)를 수집하여 중앙 서버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컴퓨터 하드 디스크, 이동식 저장매체 등 로컬 디스크에는 가급적이면 저장을 금지하는 방식으로 문서 중앙화를 구현하고 있다. 문서 중앙화를 통해, 조직 내 사용자(또는 직원)들이 생성하거나 수정하는 문서들은 모두 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직원들이 퇴사하거나 부서 이동이 되더라도 문서의 누락이나 분실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서버나 스토리지가 많거나 공간적으로 산재되어 있으면, ECM 시스템은 가상화 솔루션을 통해 사용자가 하나의 중앙 스토리지 서버(또는 문서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게 구현되고 있다[특허문헌 1]. 또한, ECM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문서를 공유하여 공동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ECM 시스템은 문서를 버전으로 관리하여, 수정된 문서의 히스토리를 관리한다.
한편, 최근 데스크탑 PC, 노트북, 태블릿 PC 그리고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가 많아지면서, 한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단말기가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회사에서는 사내 PC를, 출장 중에는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을, 귀가 후에는 집에 있는 PC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복수 단말 환경에 놓이게 되었다.
이와 같은 복수 단말 환경에서 ECM 시스템 또는 파일 서버 등을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각 단말마다 ECM 시스템에 접속하고 각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를 ECM 시스템의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회사 PC의 데이터를 ECM 시스템 서버에 등록하여 저장하고,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각각의 단말에 대해서도 해당 단말 내 저장된 데이터들을 서버에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렇게 각 단말의 데이터들을 서버에 등록하여 저장하면, 어느 단말에서 접속하더라도 등록하여 저장된 데이터들을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반 개인 사용자나 중소 기업의 사용자를 위해서는 요즘 많이 기술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활용한 클라우드 스토리지서비스 시스템( 구글의 G드라이버, 네이버의 N 드라이버 등...)등에서도 자신의 다양한 디바이스(집 PC, 회사 PC , 스마트폰, 스마트페드 등...)에서 생성되는 문서나 사진 , 동영상, 음악파일등을 실시간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클라우드 서버에 upload하여 언제 어디서든 내 디바이스에서 서버에 접속하여 다른 디바이스에서 upload된 파일도 손쉽게 사용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회사 PC는 자신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동료나 상사, 또는, 팀 내 팀원들 간에 공유되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경우, 자신이 원하지 않은 시간에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회사 PC를 통해 ECM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고, 회사 PC 외의 다른 단말의 데이터까지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단말 환경에서 ECM 시스템 또는 파일서버 등을 사용하는 경우, 단순한 서버 시스템의 접속 인증 외에도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보다 강력한 접근 통제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복수 단말의 인증을 위하여 사용자의 이동단말을 이용한 인증방법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2,3,4,5]. 그러나 이러한 이동단말에 의한 인증방법들은 인증정보를 이동단말로 전송해야 하는 등 복잡한 통신 장치 및 방법들을 필요하므로, 구축 비용이 많이 들고 사용상에도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접속통제를 위한 인증을 강화하면서 사용자가 손쉽고 편한 접근 통제 방법이 절실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다수의 단말기 데이터들을 서버에 저장하여 접근할 때, 이동단말이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한하여 종속 단말들이 서버의 데이터에 접근하도록 통제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단말로 종속 단말에 대한 서버의 접속 또는 접근을 통제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접근 통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단말을 포함하며 한 사용자에 속하는 다수의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단말을 전자키 역할을 하는 전자키 단말로 등록하는 단계; (b) 각 단말기에 대한 접근 허용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이동단말 외의 단말기(이하 종속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받는 단계; (d) 상기 종속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 및 단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종속 단말에 대한 인증이 성공하면, 전자키 단말의 전자키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f) 전자키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상기 이동단말의 로그인 상태에 따라, 상기 종속 단말의 상기 서버에 대한 접속 허용 여부, 또는, 상기 사용자의 다른 단말기(이하 타 단말)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b) 상기 (c)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단계로서, 각 단말기 별로 접근 허용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 및, (g) 전자키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b)단계에서 설정된 각 단말기별 접근 허용 여부에 따라, 상기 종속 단말의 단말기별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이동단말을 포함하는 다수의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이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종속 단말이 자신의 서버 저장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전자키 단말이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면, 모든 타 단말에 대한 서버 저장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종속 단말의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이 로그인 상태에서 로그아웃 상태로 변화되면, 전자키 단말이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스마트폰이면 자동으로 전자키 단말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에 있어서, 전자키 단말로 등록된 이동단말이 2 이상이면, 적어도 하나의 이동단말이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면 전자키 단말이 로그인 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단말기별 접근 허용 여부는 전자키 단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에 의하면, 이동단말에서 로그인 만으로 종속 단말들의 접근을 허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추가 인증을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서버 내 데이터에 대한 단말기의 접근 통제를 실시간으로 보다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서버에서 한 사용자의 다수 단말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상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서버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의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에서 단말기의 서버 데이터 접근을 제어하는 화면 구성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이 로그아웃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의 종속단말 차단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서버에서 한 사용자의 다수 단말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상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서버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의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에서 단말기의 서버 데이터 접근을 제어하는 화면 구성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이 로그아웃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의 종속단말 차단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단말(11) 및, 적어도 1개의 종속단말(12), 그리고 서버(30)로 구성된다.
이동단말(11)은 사용자의 이동단말로서, 스마트폰 등 컴퓨팅 기능을 가지는 이동단말을 말한다. 이동단말(11)은 전자키 단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동단말(11)은 전자키 단말로 서버(30)에 등록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동단말(11)이 스마트폰인 경우, 자동으로 전자키 단말로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이 2 이상인 경우, 각자의 이동단말(11)이 전자키 단말로 등록될 수 있다.
즉, 이동단말(11)의 로그인 상태 또는 로그아웃 상태에 따라 종속단말(12)의 서버 접속 또는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서버 저장 데이터)의 접근의 허용이 결정될 수 있다.
종속단말(12)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넷북, PDA, 모바일 등의 통상의 컴퓨팅 단말기이다. 즉, 종속단말(12)은 이동단말(11)과 같은 스마트폰 등 컴퓨팅 기능을 가진 이동단말도 포함할 수 있다. 종속단말(12)은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 명령 등을 입력받는 입력 수단 등을 구비한다.
종속단말(12)은 1개 이상이다. 따라서 한 사용자는 이동단말(11)과 적어도 1개의 종속단말(12)을 모두 사용하여, 다수의 단말을 이용한다. 이동단말(11) 및 종속단말(12)은 모두 하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들이다. 다른 사용자들도 각자 이동단말(11)을 포함하는 다수의 단말들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을 서버(30)에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단말(11) 또는 종속단말(12)들을 단말기(10)라 부르기로 한다. 즉, 단말기(10)는 이동단말(11)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단말로 구성된다.
한편, 종속단말(12)은 하드 디스크, SSD 디스크 등 저장매체를 구비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서버(30)에 동기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종속단말(12)은 자신의 저장 시스템에서 특정 폴더를 정하여, 해당 폴더 또는 그 이하 폴더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를 서버(30)에 동기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11) 또는 종속단말(12)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20)를 거쳐 서버(30)에 접근한다. 이들 단말기(11,12)들은 서버(30)에 접근시, 사용자 인증, 예를들어, 로그인 인증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11) 또는 종속단말(12)은 자신의 고유 식별정보, 예를 들어, 고유ID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에 대한 인증을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이동단말(11) 또는 종속단말(12) 등 단말기(10)에는 서버(30)에 접속하여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등을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모듈(미도시)이 설치된다. 단말기(1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모듈은 서버(30)에 접속하거나 인증하는 등의 기능, 사용자 및 단말기에 대한 인증, 동기화 할 대상 자료에 선정 기능, 자료를 자동으로 업로드 하는 기능, 단말기의 파일 위치 경로와 서버상의 탐색기 위치 경로를 실시간으로 동기화 기능, 또는, 서버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통상의 ECM 서버 또는 파일 서버, 클라우드 서버 등을 이용하기 위해 단말기에 설치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도 제공한다.
다음으로, 서버(30)는 통상의 콘텐츠 관리(Enterprise Content Management) 또는 파일 서버나, 클라우드 서버로서, 단말기(10) 내에 저장된 각종 자료 및 콘텐츠들을 수집하여 저장한다.
서버(30)는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구비하여, 각 단말기(10) 마다 저장공간을 마련하여, 각 단말기(10)의 전체 데이터 또는 일부 데이터를 마련된 저장공간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서버(30)는 각 단말기(10)의 데이터와 동기화하여 저장한다.
서버(30)에 마련된 각 단말기(10), 즉, 하나의 단말에 대한 저장공간은 개인 영역과 공유 영역으로 구분된다. 개인 영역은 해당 단말과 서버 간에만 동기화되어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공유 영역은 해당 단말과 서버 외에도 다른 단말과도 공유되는 영역을 말한다.
한편, 서버(30)는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다수의 단말기(11,12)들의 접근 요청에 대하여, 사용자 인증 및 단말기 인증을 모두 수행하여 접속 및 접근을 허용한다. 사용자 인증은 사용자에 대한 인증으로서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인증정보로서 인증을 수행한다. 예를들어,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 인증서 및 비밀번호 등을 통해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기 인증은 단말의 식별정보로 인증된다. 단말의 식별정보는 사전에 서버에 등록된 단말ID나, 맥어드레스 등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포함한다.
단말기 인증은 접속시 자동으로 인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가 직접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사전에 이들 정보를 기억하여 자동으로 접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전자키 단말의 로그인 상태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서버 접속 또는 서버 저장 데이터의 접근을 통제한다. 예를 들어, 전자키 단말로 등록된 이동단말(11)이 먼저 로그인되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상태인 경우에 한하여, 다른 종속단말(12)들의 접속을 허용한다. 즉, 종속단말(12)이 접속하여 인증을 요청할 때, 서버(30)는 해당 종속단말(12)의 사용자가 등록한 이동단말(11)을 확인하고, 확인된 이동단말(11)이 로그인 접속되어 로그인 상태를 유지 중인지를 판단한다. 그래서 서버(30)는 해당 사용자의 이동단말(11)이 로그인 상태를 유지한 경우에 한하여, 해당 사용자의 종속단말(12)에 대한 접속 인증을 허용한다. 또한, 종속단말(12)이 사용중에 인증 이동단말이 로그아웃하거나 끊겨서 로그인 상태를 중지하게 되면 종속단말(12)에 사용 중지 메시지를 전달한 후 접속을 중단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서버에서 한 사용자의 다수 단말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사용자, 즉, "개인 1"은 다수의 단말기을 보유한다. 사용자 개인 1은 단말기로서, 오피스 PC(office PC1), 홈 PC(Home PC1), 태블릿PC(Tab1), 그리고 이동단말(HP1) 등을 보유한다.
각 단말기(10)는 전체 또는 일부의 데이터 또는 저장 공간을 서버와 동기화하여 저장된다. 사용자는 어느 데이터 공간 또는 폴더를 서버에 저장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서버와 동기화되어 저장되는 공간은, 해당 단말기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개인 공간이다. 사용자가 개인공간의 파일이나 폴더를 공유하고자 할 경우에는 서버에서 파일 또는 폴더를 공유 공간으로 이동하여 공유할 수 있다. 단, 이러한 서버의 이동 행위가 불편할 경우, 단말기의 특정 폴더를 서버의 공유공간에 링크를 시켜 바로 공유하게 할 수도 있다.
즉, 도 2에서, 서버(30)에 공유함1, 공유함2, 공유함3 등을 만들어서, 공유함에 개인 공간에 저장된 파일을 이동하거나 링크시키면, 다른 사용자, 즉, 개인 2, 또는 개인 N이 공유함을 통해,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가 서버(30)에 등록하는 저장 공간(개인 공간)은 단말기(10)와 동일한 파일 시스템 구조, 즉, 동일한 폴더 구조를 가진다. 즉, 단말기(10)와 서버(30) 사이에 저장 공간에 대하여 동기화(sync)가 이루어진다.
한편, 동일한 사용자에 속하는 다수의 단말기들 사이에는 개인함을 공유할 수 있다. 앞서 도 2의 예에서, 사용자 개인 1은 단말기로서, 오피스 PC(office PC1), 홈 PC(Home PC1), 태블릿PC(Tab1), 그리고 이동단말(HP1)을 보유한다. 이들 4대의 단말기들은 서로 개인함을 공유하여 다른 단말기(동일한 사용자의 다른 단말, 이하 타 단말이라 함)의 개인함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피스 PC는 홈 PC, 태블릿PC, 또는 이동단말의 개인공간(또는 개인함)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사용자의 단말 간의 데이터 공유 또는 타 단말의 개인공간의 접근 통제는 통제 정책으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PC나 이동단말의 개인함에 대해 접근 차단으로 설정하면, 다른 단말기에서 해당 홈 PC나 이동단말의 개인함을 접근하지 못한다. 또한, 전자키 단말로 등록된 이동단말의 로그인 상태에 따라 접근 통제 방식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공유(또는 폴더 공유)와 같이, 파일의 읽기 쓰기 등의 접근 정책도 설정될 수 있다. 즉, 서버(30)에 저장된 저장 공간의 읽기, 쓰기 등에 대한 접근 권한들이 설정되어 접근 통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 서버에 접속하면, 자신의 개인함만 쓰기가 가능하고, 타 단말의 개인함은 쓰기할 수 없도록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서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말기(10)가 서버(30)에 접속하면, 도 3과 같이 파일 시스템, 또는 폴더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일 시스템(또는 폴더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는 각 단말기(10)의 운영체제(예를 들어 윈도우즈 등)에서 사용하는 탐색기와 같은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단말기(1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단말기(10)에 설치되어 서버(3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에게 서버의 저장 공간을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단말기(10)에 저장된 데이터와 서버(30)에 저장된 데이터의 동기화도 자동으로 수행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사용자가 다수의 단말기(10)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PC의 환경과 동일하게 각 단말기 별로 하위 폴더 및 드라이버를 포함한 폴더 구조로 표시된다. 각 단말기 별 폴더는 단말기(10)이 서버(30)에 자동으로 동기화 되면서 등록한 데이터(또는 폴더)의 폴더 구조를 갖는다. 이때의 폴더 구조는 각 단말기의 탐색기와 동일한 형태의 구조로 표시된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폴더는, 왼쪽에 위치한 폴더 구조 창에 각 단말 별로 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다수의 단말의 각각에 해당하는 탭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탭의 단말기(10)가 서버(30)에 등록한 데이터(또는 폴더)의 폴더 구조가 나타난다. 탭의 위치는 왼쪽 폴더 구조 창의 상단이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공유 공간에 대한 탭도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앞서 도 2의 예에서, 홈 PC에서 서버(30)에 접속하면, 자신의 단말기들에 의한 개인함 창과 자신이 권한을 갖은 공유함 창(폴더)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자신의 홈 PC, 오피스 PC, 태블릿 PC, 및 이동단말(핸드폰) 데이터들이 있는 개인함만이 나타난다. 그리고 별도의 창에 공유함이 나타난다. 즉, 사용자 B가 서버(30)에 자기 인증절차를 통해 접속을 해도 다른 사용자 A의 개인함에는 접근이 금지되어 있다, 다만, 공유를 원할 경우, 사용자 A가 자신의 개인함 내의 단말기 데이터를 공유함의 폴더에 이관하고 다른 사용자 B에게 권한을 부여했을 때에만, 다른 사용자가 자기 인증절차를 통해서 접속 후 자료를 공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은 이동단말의 전자키 단말 설정 단계(S10), 각 단말기별 접근 허용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S20), 종속단말의 접속 요청 단계(S30), 종속단말에 대한 인증단계(S40), 전자키 기능의 활성화 판단 단계(S50), 및, 전자키 단말의 로그인 상태에 따라 종속단말의 접속/접근 허용단계(S60)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전자키 활성화가 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각 단말기별 접근 허용에 따라 종속 단말의 접근을 허용하는 단계(S70), 또는, 인증에 실패하면, 인증 실패를 안내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서버(30)는 전자키 단말로 수행할 이동단말(10)을 등록한다(S10). 전자키 단말은 자신의 로그인 상태에 따라 다른 단말기(또는 종속 단말)들의 서버 데이터의 사용 권한을 제한하는 이동단말을 말한다. 또한, 종속 단말은 전자키 단말의 로그인 상태에 따라 접속 권한이 달라지는 단말기를 말한다. 즉, 전자키 단말의 로그인 인증에 따라 권한이 변한다는 의미에서 종속 단말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동단말(10)은 사용자가 항시 소지하는 단말로서, 전자키 단말로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개 이상의 이동단말(10)이 모두 전자키 단말로 등록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클라이언트 모듈이 설치된 스마트폰인 이동단말이 등록되면, 서버(30)는 자동으로 해당 이동단말을 전자키 단말로 등록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 등 이동단말은 모두 전자키 단말로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단말기에 대한 접근 허용 여부를 설정한다(S20). 각 단말기별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 허용 여부를 사전에 설정해둔다. 즉, 각 단말기의 개인 공간(또는 서버에 저장 또는 동기화하는 데이터 또는 폴더)을 접근할 수 있는지를 여부를 설정하는 것이며, "차단(close)"과 "허용(open)"으로 구분된다.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피스 PC(PC1), 홈 PC(PC2), 이동단말(스마트폰1), 태블릿PC(패드1) 등 각 단말기(10) 별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는 여부를 설정한다.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서버 저장 데이터는, 각 단말기(10)의 데이터가 서버(30)의 저장 공간에 동기화 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를 말한다. 이때의 데이터가 앞서 설명한 개인 공간(또는 개인함)의 데이터를 말한다.
각 단말기별 접근 허용 여부는 각 단말기(10)에서 서버(30)에 접속하여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자키 단말로 등록된 이동단말(11)에서도 각 단말기별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30)는 종속 단말(12)의 접속 요청을 받는다(S30). 즉, 서버(30)는 종속 단말(12)로부터 로그인 요청을 받으면, 먼저 종속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S30). 인증은 사용자 인증, 또는 사용자 인증과 단말 인증을 모두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인증은 사용자 ID와 비밀번호에 의해 수행되고, 단말 인증은 단말의 식별정보로서 수행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전에 등록된 단말ID나, 맥어드레스 등 단말기의 고유 정보가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종속 단말(12)이 접속 요청시, 사용자 인증 및 단말 인증 정보를 서버(30)에 전송하고, 서버(30)는 이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만약, 종속 단말에 대한 인증이 실패하면, 서버(30)는 단말기(10)에 해당 인증 실패에 대한 안내를 하고 종료한다(S80).
서버(30)는 종속 단말의 인증을 성공하면, 전자키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50). 전자키 기능이란 전자키 단말의 로그인 상태에 따라 단말기의 서버 접속 허용 여부 또는 서버 데이터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서버 접속 허용 여부는 종속 단말(12)이 서버(30)로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를 설정하는 것이며, "차단"과 "허용"으로 구분된다. 서버 데이터 접근 허용 여부는 종속 단말(12)이 자신 외의 다른 단말기, 즉, 타 단말의 개인 공간(또는 타 단말이 서버에 저장 또는 동기화하는 데이터 또는 폴더)을 접근할 수 있는지를 여부를 설정하는 것이며, 역시 "차단"과 "허용"으로 구분된다. 한편, 접속이 차단되면, 당연히,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접근도 차단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자키 단말로 등록된 이동단말(11)에서 전자키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30)는 전자키 기능이 활성화 되면, 접속 요청한 종속 단말(12)의 접속 허용 여부 및 서버 저장 데이터의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S50).
이를 위해, 먼저, 서버(10)는 이동단말이 로그인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이동단말(11)이 로그인 상태가 아니면, 로그인 상태가 유지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자키 단말로 등록된 이동단말이 2개 이상이면, 적어도 1개가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면 이동단말이 로그인 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서버(30)는 전자키 단말인 이동단말의 로그인 상태가 확인되면, 접속 요청한 종속 단말(12)의 서버 접속을 허용하거나, 서버 저장 데이터의 접근을 허용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해당 종속 단말 외의 단말기(또는 타 단말)들의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들에 접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자키 기능이 활성화 되면, 전자키 단말의 로그인 상태에 따라 단말기의 서버 접속 허용 여부 또는 서버 데이터 접근 허용 여부를 일괄적으로 결정한다. 즉, 전자키 단말의 로그인 상태가 유지되면, 종속 단말은 모든 타 단말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전자키 단말의 로그인 상태가 유지되지 않으면, 종속 단말은 서버에 아예 접속하지 못하거나, 모든 타 단말의 서버 저장 데이터로부터 차단된다. 즉, 종속 단말은 타 단말의 서버 저장 데이터로부터 차단된다. 이때, 서버 저장 데이터가 차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종속 단말에 전송하고 차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만약, 종속 단말이 서버에 접속 중이거나, 타 단말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접근 중인 상태이더라도, 차단 안내 메시지를 종속 단말로 전송한 후, 종속 단말을 차단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버(30)는 전자키 단말이 로그오프 되는지 여부를 상시 체크한다. 만약, 전자키 단말이 로그오프 되면(S70), 서버(30)는 전자키 단말과 종속 관계를 가지는 종속 단말들에 대하여, 해당 종속단말의 접속 또는 접근 연결을 차단한다(S80). 즉, 서버(30)는 전자키 단말이 로그오프 되었음을 알리고 종속단말의 접속 연결을 차단한다.
한편, 전자키 단말의 로그인 인증이 실패하면, 종속단말의 서버 접속 자체를 차단하는 경우와, 종속단말의 서버 접속은 허용하되 타 단말의 서버 저장 데이터의 접근을 차단하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전자의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종속단말은 서버 접속이 되지 않기 때문에, 서버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를 아예 접근하지 못한다. 심지어, 종속단말이 자신의 데이터(또는 자신의 개인 공간)에도 접근하지 못한다.
반면, 후자의 경우, 종속단말은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즉, 전자키 단말의 로그인 인증이 실패하더라도, 종속단말 자체의 접속은 허용된다. 이때, 종속단말(12)은 자신의 개인함 중 자신의 종속단말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종속단말(12)은 다른 단말기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접근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예에서, 홈 PC로 서버(30)에 로그인 하였는데, 전자키 단말인 이동단말이 로그인 상태가 아니면, 자신의 개인함 내에 홈 PC 데이터만을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단말기, 즉, 오피스 PC나, 태블릿 PC, 및 이동단말의 개인함 등을 전혀 조회할 수 없다.
또한, 전자키 단말이 로그인 상태에서 종속단말(12)이 다른 단말기의 데이터를 접근하다가, 전자키 단말이 로그 아웃 상태가 되면 종속단말(12)은 다른 단말기의 데이터 접근이 차단된다. 다만, 전자키 단말이 로그 아웃되더라도, 종속 단말(12)은 자신의 개인함과 공유함을 접근할 수 있다. 또는, 설정에 따라 공유함의 접근도 차단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화면에서 단말기의 서버 데이터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스마트폰 등 이동단말에는 로그인/로그아웃 상태에 의해 사용자의 종속 단말들의 서버 접속 또는 접근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또는 어플)이 설치된다. 이동단말에 설치된 어플은 도 5와 같은 화면을 표시한다.
먼저, 이동단말에 설치된 어플에서, 도 5(a)와 같은 화면이 초기에 표시된다. 도 5(a)의 초기 시작 버튼을 누르면, 이동단말의 전자키 기능이 활성화되어, 도 5(b)와 같이, 종속 단말들의 접속 또는 접근을 제어할 수 있는 버튼들이 표시된다.
도 5(b)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열기 버튼을 선택하면, 이동단말은 서버에 로그인을 시도한다. 이때 로그인 아이디 및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로그인 인증을 수행한다. 로그인 인증이 성공하면 전체 열기(또는 전체 종속단말의 접속/접근 허용)가 승인된다. 한편, 자동 로그인으로 사전에 설정되면 사용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미리 저장된 인증정보로 로그인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도 5(b)의 닫기 버튼을 누르면, 이동단말은 서버로부터 로그아웃이 되고, 도 5(a)의 화면으로 복귀한다. 이때,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 닫기(또는 전체 종속단말의 접속/접근 차단)가 처리된다.
또한, 사용자가 도 5(b)의 구분 버튼을 누르면, 각 종속 단말의 접근 허용을 개별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c)와 같은 각 단말기 별 접근 통제를 제어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난다. 도 5(c)에서는, PC1, PC2, 패드1 등 4대의 단말기가 나타나고, 각 단말기가 서버에 저장(또는 동기화)하는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는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1의 버튼을 "열기(open)"으로 올리면, PC1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타 단말에 허용되고, PC2의 버튼을 "닫기(close)"로 내리면 PC2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타 단말로부터 차단된다.
한편, 도 5(c)와 같은 화면에서, 각 단말기의 열기 닫기를 설정하면, 각 단말별 설정 내용이 이동단말의 전체 닫기 열기 설정에 우선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a)에서 "전체 잠금" 버튼을 선택하면, 모든 단말기의 서버 접근을 중단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의 일례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A의 디바이스로서 PC1, PC2, 스마트패드1, PC3가 있다. 그리고 이동단말이 전자키 단말로서 역할을 한다.
PC1이 로그인 하였으나, 전자키 단말이 로그인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로그인에 실패하고, 이동단말이 로그인 상태이면 로그인이 성공한다. 또한, 이동단말이 로그인 상태에서 PC2가 로그인하면 해당 로그인은 성공한다. 그러나 이동단말이 로그아웃 상태가 되면, PC2는 연결이 차단된다. 스마트패드1도 이동단말이 로그인 상태이어야 로그인이 성공한다. PC3도 이동단말이 로그인 상태에서 로그인이 성공하고, 이동단말이 로그아웃하면 연결이 차단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단말기 11 : 이동단말
12 : 종속단말 20 : 네트워크
30 : 서버
12 : 종속단말 20 : 네트워크
30 : 서버
Claims (8)
- 한 사용자에 속하는 다수의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다수의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단말기의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단말을 전자키 역할을 하는 전자키 단말로 등록하는 단계;
(b) 각 단말기에 대한 접근 허용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
(c) 전자키 단말로 등록된 이동단말이 아닌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이하 종속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받는 단계;
(d) 상기 종속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 및 단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종속 단말에 대한 인증이 성공하면, 전자키 단말의 전자키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f) 전자키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상기 전자키 단말의 로그인 상태에 따라, 상기 종속 단말의 상기 서버에 대한 접속 허용 여부, 또는, 상기 종속 단말이 아닌 단말기(이하 타 단말)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g) 전자키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b)단계에서 설정된 각 단말기별 접근 허용 여부에 따라, 상기 종속 단말의 단말기별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전자키 단말이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종속 단말이 자신의 서버 저장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상기 전자키 단말이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타 단말에 대한 서버 저장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종속 단말의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키 단말로 등록된 이동단말이 로그인 상태에서 로그아웃 상태로 변화되면, 전자키 단말이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스마트폰이면 자동으로 전자키 단말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키 단말로 등록된 이동단말이 2 이상이면, 전자키 단말로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단말이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면 전자키 단말이 로그인 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말기별 접근 허용 여부는 전자키 단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7129A KR101575763B1 (ko) | 2014-08-18 | 2014-08-18 |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7129A KR101575763B1 (ko) | 2014-08-18 | 2014-08-18 |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5763B1 true KR101575763B1 (ko) | 2015-12-09 |
Family
ID=5487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7129A KR101575763B1 (ko) | 2014-08-18 | 2014-08-18 |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576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6059B1 (ko) * | 2017-03-17 | 2017-07-10 | 이진혁 | 가변적 생체정보 기반의 복합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인증 방법 |
-
2014
- 2014-08-18 KR KR1020140107129A patent/KR101575763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6059B1 (ko) * | 2017-03-17 | 2017-07-10 | 이진혁 | 가변적 생체정보 기반의 복합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인증 방법 |
WO2018169160A1 (ko) * | 2017-03-17 | 2018-09-20 | 이진혁 | 가변적 생체정보 기반의 복합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인증 방법 |
US10769257B2 (en) | 2017-03-17 | 2020-09-08 | Jin Hyuk Lee | Variable biometric information-based complex authentication system and complex authent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35964B2 (en) | Associating services to perimeters | |
US10116583B2 (en) | Controlling resources used by computing devices | |
US9553758B2 (en) | Sandboxing individual applications to specific user folders in a cloud-based service | |
US9054919B2 (en) | Device pinning capability for enterprise cloud service and storage accounts | |
US10129242B2 (en) | Multi-persona devices and management | |
US9015858B2 (en) |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amless secure private collaboration | |
US9426182B1 (en) | Context-based authentication of mobile devices | |
US9053342B2 (en) | Multi-identity for secure file sharing | |
US20140123240A1 (en) |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 |
US20170317879A1 (en) | Cart Mode Provisioning Of Shared Computing Devices | |
US20180359252A1 (en) | Integrated hosted directory | |
US11778539B2 (en) | Role-based access control system | |
KR101575763B1 (ko) |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 | |
US20240223553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storage | |
KR101269448B1 (ko) | 가상룸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
JP2018005592A (ja) | 文書閲覧制御装置、文書閲覧制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KR101607755B1 (ko) | Usb 메모리 접근에 따른 클라우딩 시스템 | |
WO202414556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storage | |
TW201531055A (zh) | 行動辦公裝置及其方法暨行動辦公系統與其方法 | |
JP2015130132A (ja) |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認証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 |
GB2501005A (en) | Limiting the number of devices with which a user can synchronise data in a cloud storage accou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