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309A -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309A
KR20200045309A KR1020180126199A KR20180126199A KR20200045309A KR 20200045309 A KR20200045309 A KR 20200045309A KR 1020180126199 A KR1020180126199 A KR 1020180126199A KR 20180126199 A KR20180126199 A KR 20180126199A KR 20200045309 A KR20200045309 A KR 20200045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r
color
prosthesis
bur
l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9624B1 (ko
Inventor
유근찬
한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디에스
Priority to KR1020180126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6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5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 B23Q17/095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during machining
    • B23Q17/0957Detection of tool br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 B23Q17/0995Tool lif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제어방법은, 버의 외형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버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보철물 가공에 따라서 변화된 상기 버의 외형의 변화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버의 외형의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버의 수명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버의 수명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및 그 제어방법{DENTAL PROSTHESIS MILLING MACHINE USING BUR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를 이용해 버의 상태를 파악하여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Milling machine)는, 의료용 소재를 가공 및 제조하거나, 결손된 치아를 대체하기 위해 치과용 보철물과 같은 모재를 3차원 형상의 견본치아의 정보에 따라 가공하여 제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는, 밀링기 중앙부에 형성되어 버(bur)를 이용해 치과용 보철물과 같은 모재를 가공하여 모재에 이동 및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인 워크피스(Workpiece)를 포함한다.
여기서, 치과용 보철물은, 의치 또는 인공치아라고도 하며 자연치아와 그에 연관된 조직이 결손 되었을 때 인공적으로 대치하는 보철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보철물의 유형으로는, 인레이(Inlay), 온레이(Onlay), 크라운(Crown), 라미네이트(Laminate), 브릿지(Bridge), 코핑(Coping), 임플란트(Implant), 덴쳐(Denture) 또는 서지컬가이드(Surgical guid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전까지의 보철물은, 전적으로 치과 기공사의 수작업에 의해 제작되었으나, 오늘날에는 보철물 제작 작업을 더욱 효율적이고 정밀하게 수행하기 위해 인공치아 가공 장치인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인공치아의 저작 기능뿐만 아니라 심미적 기능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수요자가 요구하는 정밀도가 우수한 인공치아의 가공 장치 및 가공방법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는, 밀링 작업에 이용되는 버(bur)의 손상 여부를 사용자의 육안으로 직접 파악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는, 밀링 작업을 위해 이용 중인 버의 남은 기대 수명을 파악하기 어려워서, 사용자가 버의 사용 횟수를 카운팅하는 등의 방법으로 임의의 교환 주기를 결정하여 버를 교체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위한 해결책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를 이용하여 밀링 작업을 수행할 때에 사용되는 버의 손상 여부와 남은 기대 수명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센서를 탑재하여 자동으로 버의 손상 여부와 남은 기대 수명을 파악함으로써 가공된 보철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밀링기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하는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제어방법은, 버의 외형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버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보철물 가공에 따라서 변화된 상기 버의 외형의 변화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버의 외형의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버의 수명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버의 수명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버의 외형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버의 길이를 센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버의 외형의 변화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버의 길이의 변화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산출된 버의 수명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버의 길이가 소정의 길이 이하일 경우에 상기 버를 이용한 보철물의 가공을 중단하고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버의 외형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버의 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철물 가공에 따라서 변화된 상기 버의 외형의 변화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버의 색 변화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센싱된 버의 색 변화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철물 가공에 따른 마찰에 의해 변화된 상기 버의 코팅부의 색 변화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버의 수명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버의 코팅부의 색 변화량에 반비례하여 상기 버의 수명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싱된 버의 색 변화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버의 코팅부가 손상되어 노출된 상기 버의 바디부의 영역을 상기 코팅부와 상기 바디부의 색 차이를 기초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버의 수명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버의 바디부의 노출영역이 상기 코팅부 전체 영역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비율에 반비례하여 상기 버의 잔여수명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싱된 버의 색 변화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바디부의 색상과 상기 코팅부의 색상을 기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 저장된 바디부의 색상과 상기 코팅부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는 유채색이다.
더하여, 상기 버의 수명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잔여수명을 잔여 가공시간으로 환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된 버의 수명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잔여 가공시간을 바 형식의 디지털 이미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제어방법은, 보철물에 직접 접촉하여 가공을 수행하는 버; 상기 버의 외형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버의 수명을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센싱된 버의 외형을 기초로 상기 버의 수명을 산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된 버의 길이가 소정의 길이 이하일 경우에 상기 버를 이용한 보철물의 가공을 중단하고 알람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가공을 제어하고, 상기 보철물 가공에 따라서 변화된 상기 버의 외형의 변화량을 결정하며, 상기 버의 외형의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버의 수명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제어방법은, 각종 센서를 탑재하여 자동으로 버의 손상 여부와 남은 기대 수명을 명확하게 파악함으로써, 별도의 노력이 없어도 부러지거나 일정 수명이 다하면 교환이 필수적인 버의 적절한 교환 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제어방법은, 버의 손상 정도를 명확하게 파악하여 버가 가지는 수명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제어방법은, 버의 손상 정도를 명확하게 파악하여 모재의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제어방법은,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의 구성요소의 손상이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장치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제어방법은, 확실한 판단 근거에 기반하여 버의 손상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의 외형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링기의 투명 사시도와 밀링기 투명 사시도의 일부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링기의 워크피스, 제 1 가공장치 및 제 2 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링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의 외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의 바디부의 색 변환이 가해지는 부분을 표시하여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의 코팅부의 색 변환이 가해지는 부분을 표시하여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의 길이를 센싱하여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러진 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의 바디부와 코팅부의 색상 차이를 통해 버의 남은 기대 수명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측된 버의 남은 기대 수명을 잔여 가공시간으로 환산하여 출력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 밀링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의 외형을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링기의 투명 사시도와 밀링기 투명 사시도의 일부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링기의 워크피스, 제 1 가공장치 및 제 2 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100: 이하, 밀링기)는, 버(200: Bur), 클램프(210: clamp), 워크피스(220: Workpiece), 제 1 가공장치(230) 및 제 2 가공장치(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공장치를 제 1 가공장치(230)와 제 2 가공장치(240)에 한정하여 설명하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3 가공장치, 제 4 가공장치, …, 제 n 가공장치가 존재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먼저, 버(200)는, 공기나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동작하는 치과용 의료기구인 핸드피스에 장착되어 딱딱한 물질(예를 들면, 치과용 보철물)을 섬세하게 삭제하고 다듬는 절삭에 이용되는 기구이다.
다이아몬드로 코팅된 다이아몬드 버(Diamond bur), 텅스텐으로 코팅된 카바이드 버(Carbide bur) 또는 실리콘 버(Silicon bur) 등이 있다.
다음으로, 워크피스 클램핑부(220)는, 일단에 모재(예를 들면, 치과용 보철물)를 결합 가능하고 모재관련센서가 내장된 클램프(210), 상기 모재관련센서가 내장된 클램프(210)에 결합되는 클램핑 바디 및 상기 모재관련센서가 내장된 클램프(210) 및 클램핑 바디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 1 서보모터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제 1 가공장치(230)는, 워크피스 클램핑부(2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워크피스 클램핑부(220)에 결합된 모재를 가공하기 위한 장치로, 상기 제 1 가공장치(23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모재를 가공하는 제 1 버와, 제 1 버를 장착시키는 제 1 버 클램프와, 상기 제 1 버 클램프를 지지하며 상기 제 1 버 클램프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스핀들과, 상기 제 1 스핀들에 동력을 제공하고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제 2 서보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가공장치(240)는, 워크피스 클램핑부(2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워크피스 클램핑부(220)에 결합된 모재를 가공하기 위한 장치로, 상기 제 2 가공장치(24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모재를 가공하는 제 2 버와, 제 2 버를 장착시키는 제 2 버 클램프와, 상기 제 2 버 클램프를 지지하며 상기 제 2 버 클램프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2 스핀들과, 상기 제 2 스핀들에 동력을 제공하고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제 3 서보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클램프(210)가 모재를 잡아 고정시키고, 클램프(210) 내의 모재관련센서가 고정된 모재의 위치, 모양 및 크기 등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밀링기(100)의 제 1 가공장치(230)는, 클램프(210)에 고정된 모재를 제 1 버를 통해 가공할 수 있다. 자세히, 제 1 버가 모재를 접촉하고 밀링시키기 위해, 제 2 서보모터는 제 1 스핀들을 통해 제 1 버의 위치를 X, Y 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서보모터는 제 1 버를 고속 회전시켜 접촉된 모재를 절삭하여, 모재의 적어도 일면을 원하고자 하는 보철물의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다.
즉, 제 1 가공장치는, 제 2 서보모터가 제 1 스핀들을 모재 방향으로 접근하도록 하여, 제 1 스핀들에 장착된 제 1 버가 모재에 접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밀링기(100)는, 제 2 가공장치(240)도 제 1 가공장치(230)와 동일한 방식에 의해 작동하여 모재의 타면을 가공하기 위해, 제 2 가공장치(240)의 제 2 버도 모재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밀링기(100)의 워크피스 클램핑부(220)는, 모재관련센서가 내장된 클램프(210)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모재관련센서는 제 1 버와 제 2 버가 모재와 접촉하는 순간 발생되는 특성 주파수와 공진 현상을 기반으로 모재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링기(100)는, 버(200)가 회전하며 모재에 맞닿았을 시 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모재 혹은 얇게 다이아몬드 코팅된 버(200) 등에 손상이 발생하는 현상에 대한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버(200)를 이용하여 치과용 보철물을 가공하는 밀링기(100)의 내부적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밀링기(100)는, 내부적 구성요소로 디스플레이부(110), 센서부(120), 인터페이스부(130), 전원부(140), 메모리(15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디스플레이부(110)는, 밀링기(100)의 외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버(200)를 이용한 밀링 작업과 관련된 그래픽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10)는, 버(200)의 수명을 잔여 가공시간으로 표시하는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센서부(120)는, 버(200)의 상태를 이미지로 센싱하는 이미지 센서 및/또는 버(200)의 상태를 레이저로 센싱하는 레이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20)는, 다양한 형태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제 1 버와 제 2 버를 전반적으로 모두 센싱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된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센서부(120)는, 밀링기(100) 내의 버(200)를 센싱할 수 있는 위치라면 밀링기(100)의 어느 위치에든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인터페이스부(130)는, 밀링기(100)와 관련된 주변기기들과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부(130)는, 보철물 디자인 컴퓨팅 장치로부터 보철물 형상이나, 가공 프로세스와 같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3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0)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전원부(140)는, 프로세서(160)의 컨트롤에 의하여 외부의 전원 및/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밀링기(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에게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모리(150)는, 버(200)를 이용하여 치과용 보철물을 가공하는 밀링기(100) 제어방법과 관련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50)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160)는, 버(200)를 이용하여 치과용 보철물을 가공하는 밀링기(100)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6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제어방법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200)를 이용한 밀링기(100) 제어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주요 구성요소인 버(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버(200)는, 바디부(210)와 코팅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바디부(210)는, 버(200)를 이루는 몸체이며, 제 1 가공장치(230) 또는 제 2 가공장치(240)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제 1 몸체와, 제 1 몸체와 연결되며 코팅부(220)가 코팅된 제 2 몸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는, 역할 상 명칭을 구분하여 기술한 것으로, 모재를 가공함에 있어서 높은 강도의 힘을 견디기 위해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는 일체형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코팅부(220)란, 모재(예를 들면, 치과용 보철물)에 접촉하여 모재를 직접적으로 절삭하는 유닛으로, 바디부(210)의 제 2 몸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부(220)는, 제 2 몸체에 다이아몬드나 텅스텐 등을 씌워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코팅부(220)를 이루는 코팅제는 바디부(210) 보다 경도가 높은 금속/비금속 입자들과, 입자들 사이와 입자들과 바디부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버(200)는, 가장 경도가 높은 다이아몬드로 코팅된 다이아몬드 버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카바이드 버 또는 실리콘 버 등의 통상의 기술자가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코팅부(220)는, 몸체와 이종 소재이므로, 바디부(210)와는 구분되는 색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서, 버(200)의 수명 측정은, 이미시 센싱에 따른 버(200) 이미지의 모양의 변화로 판단할 수 있다.
자세히, 다이아몬드 코팅부(220)와 금속의 바디부(210)는 모두 무채색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버(200)는 가공에 따라 색의 명도가 변하며, 명도에 변화에 따른 색 변화량에 기초하여 버(200)의 수명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가공에 따라 코팅부(220)가 손상되어 버(200)의 바디부(210)가 노출되었을 때 버(200)의 수명이 다한 것이므로, 실시예는 바디부(210)의 색을 센싱함으로써, 버(200)의 수명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가공에 따른 버(200)의 색의 변화량을 일 파라미터로 하여, 버(200)의 수명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런데 실시예에서 코팅부(200)와 바디부(210)의 색이 모두 무채색일 경우, 색의 차이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으므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색의 변화량을 좀더 정확하고 정밀하게 판단하기 위해 바디부(210)와 코팅부(220)의 색을 변경할 수 있다.
자세히,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제 3 버(201)의 바디부(211)는, 채도가 있는 색을 가질 수 있다. 자세히, 채도를 가지는 소재(예컨대, 구리, 금)를 사용하거나 합금으로 포함시켜 바디부(211)의 색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211)를 특정 색으로 착색시키거나 또는 바디부(211)에 특정 색을 코팅하여, 바디부(211)를 채도를 가지는 색으로 변색시킬 수 있다.
즉, 바디부(211)를 형성하는 재료의 본연의 색에 코팅이나 착색을 가하여 바디부(211)의 색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201)는, 코팅부(220)가 손상되어 바디부(21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었을 때, 코팅부(220)와 명확히 대조되는 바디부(211)의 색을 노출시킴으로써, 수명을 좀더 정확하고 정밀하게 측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4 버(202)의 코팅부(221)는, 채도가 있는 색을 가질 수 있다.
자세히, 코팅부(221)는, 채도를 가지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거나, 채도를 가지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소재가 나타내는 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코팅부(221)의 다이아몬드 입자를특정 채도를 가지도록 색을 착색, 변색 또는 코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버(200)는, 코팅부(221)를 형성하는 재료의 본연의 색에 코팅이나 착색을 가하여 코팅부(221)의 색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코팅부(221)의 두께 별로 색의 변화를 주어, 코팅부(221)의 손상 정도에 따라서 색 변화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자세히, 코팅부(221)를 외부로 노출된 외면과 바디부(210)와 접하는 내면으로 구분하였을 때, 코팅부(221)는, 외면에서 내면으로 갈수록 채도, 명도 또는/및 색상을 변경하여, 색 변화량에 따른 코팅부(221)의 손상정도를 명확히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200)를 이용한 밀링기(100)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200)의 길이를 센싱하여 버(200)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100)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밀링기(100)는, 전원부(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여 보철물 가공을 시작할 수 있다. (S101)
자세히, 밀링기(100)는, 워크피스 클램핑부(220), 제 1 가공장치(230), 제 2 가공장치(240)를 기반으로 워크피스 클램핑부(220) 일단에 결합된 모재인 보철물을 목적에 부합하게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링기(100)는, 워크피스 클램핑부(220) 일단에 결합된 치과용 보철물을 사용자의 잇몸상태에 적합하도록 제 1 가공장치(230)와 제 2 가공장치(240)에 결합된 버(200)를 통해 절삭하여 가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밀링기(100)는, 보철물을 가공하는 버(200)의 외형을 센서부(120)를 통해 센싱할 수 있다. (S103)
자세히, 밀링기(100)는, 밀링기(100)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가공하는 버(200)의 외형을 센싱하고, 센싱한 버(200)의 외형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지털 이미지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버(200)의 외형을 센싱한 밀링기(100)는, 센싱된 버(200)의 길이가 소정의 길이 이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S105)
여기서 밀링기(100)는, 보철물을 가공하는 버(200)가 부러짐으로써 발생하는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버(200)의 길이를 센싱하며, 센싱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밀링기(100)는, 센싱된 버(200)의 길이가 소정의 길이 이하로 판단된 경우, 보철물 가공을 중단하고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S107)
자세히, 도 9를 참조하면, 밀링기(100)는,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센싱되는 버(200)가 부러짐으로써 소정의 길이 이하의 버(200)로 감지된 경우, 해당 버(200)를 사용하는 보철물 가공을 중단하고, 사용자에게 부러진 버(200)의 상황을 알리기 위한 알람을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센싱된 버(200)의 길이가 소정의 길이 이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밀링기(100)는, 수행 중인 보철물 가공을 계속해서 지속할 수 있다. (S109)
즉, 밀링기(100)는, 보철물 가공을 수행 중인 버(200)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원활한 가공작업이 계속될 수 있도록 관리하며, 센싱된 버(200)에 대한 손상이 감지되면 별도의 사용자의 조치가 없어도 자동으로 가공을 중단하여, 손상된 버(200)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고, 감지된 버(200)의 손상에 대한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밀링기(100)를 유지보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밀링기(100)는, 다른 실시예에서 가공에 따라 버(200)의 색 변화를 통해 버(200)의 남은 기대 수명을 정확히 예측하여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도 10을 참조하면, 밀링기(100)는, 보철물 가공을 시작하고, 보철물을 가공하는 버(200)의 외형을 이미지 센싱할 수 있다. (S201, S203)
그리고 밀링기(100)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버(200)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버(200)의 형상, 크기, 색과 같은 외형적 요소를 수명 판단의 기초가 되는 파라미터로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밀링기(100)의 프로세서(160)는, 센서부(120)의 이미지 센서에서 센싱된 버의 이미지를 이미지 처리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버를 추출하고, 버의 형상, 색 등을 판단하여 수명 판단의 기초가 되는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60)는, 영상 전처리(preprocessing)를 수행할 수 있으며, 세그먼트(segment) 및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수행하여, 배경(background)과 전경(foreground)을 분리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60)는, 이미지 세그먼트에 의해 분리된 전경으로부터 오브젝트(예컨대, 버)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60)는, 분리된 오브젝트를 분류하고(classify), 확인할 수 있다(verify).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이용한 식별법,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법, Haar-like 특징을 이용한 AdaBoost에 의해 식별하는 기법, 또는 HOG(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기법 등을 사용하여, 상기 수명 판단의 기초가 되는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상기와 같은 이미지 처리 등을 통해, 밀링기(100)는, 센싱된 이미지에서의 버(200)의 색 변화량을 판단할 수 있다. (S205)
자세히, 실시예에서 밀링기(100)는, 마찰에 의한 버(200)의 코팅부(220) 색 변화량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밀링기(100)는, 버(200)의 코팅부(220)가 보철물을 가공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점차 다이아몬드 코팅이 삭제되거나 변색되어 색이 변화하는 정도를 센싱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획득할 수 있다.
그리하여 밀링기(100)는, 코팅부(220)에 입혀진 코팅이 삭제되거나 변색됨에 따른 코팅부(220)의 색 변화량에 기초하여 버(200)의 수명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밀링기(100)는, 버(200)의 바디부(210)와 코팅부(220) 간의 색 차이를 기반으로 색 변화량을 판단할 수 있다.
자세히, 밀링기(100)는, 버(200)의 바디부(210)와 다이아몬드 코팅된 코팅부(220) 간의 색 차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링기(100)는, 코팅부(220)와 바디부(210)의 명도의 차이를 검출하여 버의 수명을 판단할 수 있다.
자세히, 밀링기(100)는, 바디부(210)와 코팅부(220)를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한 후, 바디부(210)의 제 1 밝기와, 코팅부(220)의 제 2 밝기를 검출함으로써, 노출된 바디부(210)의 면적을 판단하여 버(200)의 수명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링기(100)는, 버(200)의 바디부(210) 색으로 은색을 검출하고, 버(200)의 코팅부(220) 색으로 회색을 검출하여 바디부(210)와 코팅부(220)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밀링기(100)는, 코팅부(220)와 바디부(210)의 색상의 차이를 검출하여, 버의 수명을 판단할 수 있다.
자세히, 코팅부(220)가 손상되어 노출된 바디부(210)의 영역을 파악한 후, 밀링기(100)는, 코팅부(220) 전체 영역에서 노출된 바디부(210)의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한 후, 상기 비율에 반비례하여 버(200)의 수명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출된 바디부(210) 영역의 비율이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이되면, 상기 버(200)의 잔여수명이 0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밀링기(100)는, 추후에 보철물 가공에 따라 코팅부(220)의 다이아몬드 코팅이 삭제됨으로써 바디부(210)와 코팅부(220) 색 간의 면적에 대한 비율 값이 변화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링기(100)는, 버(200)의 바디부(210)의 색을 은색으로, 버(200)의 코팅부(220)의 색을 회색으로 검출하고 은색과 회색이 차지하는 면적에 대한 비율값을 측정하여 버(200)의 초기 색 비율값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밀링기(100)는, 보철물 가공을 수행할수록 다이아몬드 코팅이 삭제됨으로써 코팅부(220) 색인 회색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바디부(210) 색인 은색이 점진적으로 증가함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밀링기(100)는, 버(200)의 바디부(210) 색의 점차적 증가로 인한 변화된 색 비율값을 도출할 수 있으며, 도출된 색 비율값을 기반으로 코팅부(220)의 마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버(200)의 색 변화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밀링기(100)는, 도출된 색 비율값의 변화 정도가 클수록 버(200)의 색 변화량이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버(200)의 색 변화량을 판단함에 있어서, 버(200)의 바디부(210)와 코팅부(220)의 색상이 유사할 경우, 바디부(210)와 코팅부(220) 간의 색 차이를 기반으로 색 변화량을 정밀하게 판단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다른 실시예에서 밀링기(100)는, 버(200)의 바디부(210)와 코팅부(220) 간의 색을 보다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버(200)의 바디부(210) 및 코팅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색을 기 색에서 다른 색으로 변색한 버(200)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밀링기(100)의 버(200)는, 바디부(210)의 색이 무채색인 은색에서 채도가 있는 특정 유채색으로 변색될 수 있다.
자세히, 버(200)는, 채도를 가지는 소재(예컨대 구리, 금 등)로 생성되거나 합금으로 포함시켜 바디부(210)를 형성함으로써, 코팅부(220)와는 명확하게 구분되는 색을 가지는 바디부(2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버(200)의 바디부(210)는, 채도를 가지는 코팅제로 코팅되어, 코팅부(220)와 대조되는 색을 가질수도 있다.
그리하여 밀링기(100)는, 바디부(210)의 변색된 색상과 코팅부(220)의 색상을 저장해두고, 기 저장된 색상의 차이를 기초로 이미지 센싱을 통해 획득되는 버(200)의 바디부(210)와 코팅부(220)를 보다 명확한 색 차이를 기반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밀링기(100)는, 밀링 작업이 진행될수록 코팅부(220)가 점차 삭제되며 바디부(210)의 일부가 노출되는 경우에 코팅부(220)와 명확히 대조되는 바디부(210)의 색을 감지함으로써, 버(200)의 수명을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밀링기(100)의 버(200)는, 코팅부(220)의 색이 무채색인 회색에서 채도가 있는 특정 유채색으로 변색될 수도 있다.
자세히, 버(200)는, 채도를 가지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거나, 채도를 가지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코팅부(220)를 변색할 수 있다.
또한, 버(200)는, 코팅부(220)의 다이아몬드 입자를 특정 채도를 가지도록 착색, 변색 또는 코팅하여 코팅부(2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버(200)는, 코팅부(220)를 형성하는 재료의 본연의 색에 변색, 착색 또는 코팅을 가함으로써 바디부(210)와는 명확하게 구분되는 색을 가지는 코팅부(220)를 제공할 수 있고, 밀링기(100)가 이미지 센싱을 통해 버(200)의 바디부(210)와 코팅부(220)를 감지함에 있어서 보다 명확한 색 차이를 기반으로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밀링기(100)는, 상기와 같이 변색된 코팅부(220)의 색상과 바디부(210)의 색상을 저장하고, 기 저장된 색상의 차이를 기초로 바디부(210)와 코팅부(220)를 구분해 감지함으로써 버(200)의 수명을 보다 소상하게 측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바디부(210)와 코팅부(220)의 색이 서로 상이한 버(200)에 대하여 바디부(210)와 코팅부(220) 간의 색 차이를 감지한 밀링기(100)는, 감지된 바디부(210)와 코팅부(220) 각각의 색이 차지하는 면적에 대한 비율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밀링기(100)는, 보철물을 가공함에 따라 달라지는 버(200)의 바디부(210)와 코팅부(220)에 대한 색 비율값의 변화를 도출할 수 있으며, 도출된 색 비율값을 기반으로 코팅부(220)의 마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버(200)의 색 변화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링기(100)는, 버(200)의 바디부(210)와 코팅부(220)의 색을 보다 확실하게 구분하여 판단함으로써 더욱 명확한 색 비율값과 색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센싱된 이미지에서 버(200)의 색 변화량을 판단한 밀링기(100)는, 판단된 색 변화량에 기초하여 버(200)의 수명을 도출할 수 있다. (S207)
자세히, 밀링기(100)는, 버(200)의 색 변화량을 기반으로 버(200)의 코팅부(220)의 마모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버(200)의 남은 기대 수명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링기(100)는, 먼저 바디부(210)와 코팅부(220) 색이 차지하는 면적에 대한 비율인 색 비율값이 [바디부:코팅부 = 6:4]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밀링기(100)는, 색 비율값이 [바디부:코팅부 = 6:4]에서 [바디부:코팅부 = 8:2]와 같이 변화했을 경우에, 변화한 색 비율값을 기반으로 색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밀링기(100)는, 버(200)의 색 비율값의 변화 정도가 클수록 색 변화량이 커진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색 변화량이 커질수록 버(200)의 수명은 감소한다고 파악할 수 있다. 왜냐하면, 버(200)의 색 변화는 코팅부(220)가 밀링 작업을 수행함으로 인해 삭제됨으로써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밀링기(100)는, 버(200)의 색 변화량과 버(200)의 수명을 반비례 관계로 설정하여 버(200)의 색 변화량에 따른 남은 기대 수명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버(200)의 남은 기대 수명을 도출한 밀링기(100)는, 도출된 버(200)의 남은 기대 수명을 잔여 가공시간으로 환산할 수 있다. (S209)
자세히, 밀링기(100)는, 버(200)의 색 변화량을 산출하면, 색 변화량에 반비례하여 버(200)의 수명을 산출할 수 있고, 이때, 버(200)의 수명을 나타내는 기준은 잔여가공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링기(100)는, 전체 가공가능량이 100시간인 버(200)에 대하여 색 변화량을 도출할 수 있고, 도출된 색 변화량이 10일 경우에 버(200)의 남은 기대 수명은 1/10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밀링기(100)는, 1/10로 판단된 버(200)의 남은 기대 수명을 기반으로 버(200)의 잔여 가공시간을 환산하여 버(200)의 잔여 가공시간을 10시간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버(200)의 잔여 가공시간을 환산한 밀링기(100)는, 환산된 잔여 가공시간을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수 있다. (S211)
자세히, 도 11을 참조하면, 밀링기(100)는, 환산된 버(200)의 잔여 가공시간을 바(bar) 형식의 디지털 이미지로 생성하여 밀링기(100) 외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밀링기(100)는,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화면에 환산된 버(200)의 잔여 가공시간을 숫자 형식으로 표시하는 화면 및 진행중인 밀링 작업을 중지할 수 있는 정지 어포던스(Affordanc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링기(100)는, 측정된 버(200)의 잔여 가공시간을 바 형식의 이미지로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버(200)의 잔여 가공시간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버(200)의 잔여 가공시간을 소상한 숫자 형식으로도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잔여 가공시간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밀링기(100)는, 버(200)의 잔여 가공시간에 대한 정보와 함께 진행 중인 밀링 작업을 중지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버(200)의 잔여 가공시간을 확인한 사용자의 인지적 판단을 버(200)를 이용한 밀링 작업에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버(200)를 이용한 밀링기(100)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8과 관련된 실시예와 도 10과 관련된 실시예는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200)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100) 제어방법은, 각종 센서를 탑재하여 자동으로 버(200)의 손상 여부와 남은 기대 수명을 명확하게 파악함으로써, 별도의 노력이 없어도 부러지거나 일정 수명이 다하면 교환이 필수적인 버(200)의 적절한 교환 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200)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100) 제어방법은, 버(200)의 손상 정도를 명확하게 파악하여 버(200)가 가지는 수명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200)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100) 제어방법은, 버(200)의 손상 정도를 명확하게 파악하여 모재의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200)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100) 제어방법은,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100)의 구성요소의 손상이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장치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200)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100) 제어방법은, 확실한 판단 근거에 기반하여 버(200)의 손상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버(2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150)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0)

  1. 버의 외형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버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보철물 가공에 따라서 변화된 상기 버의 외형의 변화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버의 외형의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버의 수명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버의 수명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의 외형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버의 길이를 센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버의 외형의 변화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버의 길이의 변화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버의 수명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버의 길이가 소정의 길이 이하일 경우에 상기 버를 이용한 보철물의 가공을 중단하고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의 외형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버의 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철물 가공에 따라서 변화된 상기 버의 외형의 변화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버의 색 변화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된 버의 색 변화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철물 가공에 따른 마찰에 의해 변화된 상기 버의 코팅부의 색 변화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버의 수명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버의 코팅부의 색 변화량에 반비례하여 상기 버의 수명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제어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된 버의 색 변화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버의 코팅부가 손상되어 노출된 상기 버의 바디부의 영역을 상기 코팅부와 상기 바디부의 색 차이를 기초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의 수명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버의 바디부의 노출영역이 상기 코팅부 전체 영역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비율에 반비례하여 상기 버의 잔여수명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된 버의 색 변화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바디부의 색상과 상기 코팅부의 색상을 기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 저장된 바디부의 색상과 상기 코팅부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는 유채색인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제어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의 수명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잔여수명을 잔여 가공시간으로 환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된 버의 수명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잔여 가공시간을 바 형식의 디지털 이미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제어방법.
  10. 보철물에 직접 접촉하여 가공을 수행하는 버;
    상기 버의 외형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버의 수명을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센싱된 버의 외형을 기초로 상기 버의 수명을 산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된 버의 길이가 소정의 길이 이하일 경우에 상기 버를 이용한 보철물의 가공을 중단하고 알람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가공을 제어하고,
    상기 보철물 가공에 따라서 변화된 상기 버의 외형의 변화량을 결정하며,
    상기 버의 외형의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버의 수명을 산출하는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KR1020180126199A 2018-10-22 2018-10-22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19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99A KR102119624B1 (ko) 2018-10-22 2018-10-22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99A KR102119624B1 (ko) 2018-10-22 2018-10-22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309A true KR20200045309A (ko) 2020-05-04
KR102119624B1 KR102119624B1 (ko) 2020-06-05

Family

ID=7073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199A KR102119624B1 (ko) 2018-10-22 2018-10-22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6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267B1 (ko) * 2020-12-29 2021-09-16 (주)하늬테크 절삭 가공 결과물 측정 장치 및 시스템
EP4162897A1 (de) * 2021-10-07 2023-04-12 Ivoclar Vivadent AG Dentalfräsmaschine und dentalfräs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entalobjekt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2371B2 (ja) * 2004-08-12 2012-07-25 ディーフォーディー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改良型フライス盤
JP2015131357A (ja) * 2014-01-10 2015-07-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工作機械の工具折損検知装置
JP2016218550A (ja) * 2015-05-15 2016-12-2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加工に使用する工具の取付け状態を確認する数値制御装置
JP2017064190A (ja) * 2015-09-30 2017-04-06 株式会社ジーシー 歯科補綴物加工用演算装置
KR101764177B1 (ko) 2016-06-24 2017-08-02 주식회사 디디에스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가공소재 위치 검출 및 보정 방법
KR20170104200A (ko) * 2016-03-07 2017-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구 잔여수명 예측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2371B2 (ja) * 2004-08-12 2012-07-25 ディーフォーディー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改良型フライス盤
JP2015131357A (ja) * 2014-01-10 2015-07-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工作機械の工具折損検知装置
JP2016218550A (ja) * 2015-05-15 2016-12-2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加工に使用する工具の取付け状態を確認する数値制御装置
JP2017064190A (ja) * 2015-09-30 2017-04-06 株式会社ジーシー 歯科補綴物加工用演算装置
KR20170104200A (ko) * 2016-03-07 2017-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구 잔여수명 예측시스템
KR101764177B1 (ko) 2016-06-24 2017-08-02 주식회사 디디에스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가공소재 위치 검출 및 보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267B1 (ko) * 2020-12-29 2021-09-16 (주)하늬테크 절삭 가공 결과물 측정 장치 및 시스템
EP4162897A1 (de) * 2021-10-07 2023-04-12 Ivoclar Vivadent AG Dentalfräsmaschine und dentalfräs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entalobjek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624B1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624B1 (ko) 버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밀링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20000585A1 (en) Dental appliance compliance monitoring
US112107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quality control
EP2529692B1 (en) Dental abutment and ceramic block or ceramic dental prosthesis
US8920166B2 (en) Root canal length measuring apparatus and root canal therapy apparatus
US802115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al prostheses, method for creating a data recor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20200000562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restoration
CN104470463B (zh) 用于制造制品的方法
US20030163286A1 (en) Tool abnormality detecting device
JP2011509776A (ja) 個々の義歯の模型作成方法
US20090129882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onitoring Tools in a Dental Milling Machine
US20220331079A1 (en) Electric toothbrush system with pressure detection
CN208156648U (zh) 延时测量仪器
KR20190043232A (ko) 공작 기계용 공구수명 관리시스템 및 공구수명 관리방법
EP1866694B1 (fr) Methode de centrage d'une lentille ophtalmique sur une monture sans cercles
CN105988417A (zh) 进行螺纹孔检查的数值控制装置
JP2017035331A (ja) 根管から歯根膜腔に伸びた側枝の位置とその開口方向を検出する方法、装置及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可読記録媒体
CA2694249A1 (en) A method of designing a tooth replacement part, a method of processing a designed tooth replacement part, a tooth replacement part,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KR101799428B1 (ko) 의료용 실습 장치, 치아 모형 및 그 제어 방법
SE448598B (sv)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att ersetta forlorad tandsubstans
EP1734891B1 (en) Endodontic device for detecting the root canal morphology
KR102112852B1 (ko) 치과용 시술기구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US20150320524A1 (en) Cnc machine calibration
ES2465747A1 (es)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la monitorización en tiempo real de una operación de mecanizado.
US20240017366A1 (en) Manufacturing device for a dental rest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