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114A - 동애등에 사육 장치 - Google Patents

동애등에 사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114A
KR20200045114A KR1020180125728A KR20180125728A KR20200045114A KR 20200045114 A KR20200045114 A KR 20200045114A KR 1020180125728 A KR1020180125728 A KR 1020180125728A KR 20180125728 A KR20180125728 A KR 20180125728A KR 20200045114 A KR20200045114 A KR 20200045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eding
larva
tube
larval
dong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180125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5114A/ko
Publication of KR20200045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육 장치는, 유충 사육통, 뚜껑부, 유충 사육통의 상부에 형성된 유도 구멍, 유충을 유도 구멍까지 안내하는 이동경로부, 유충 사육통의 바닥에 형성된 수분배출구멍, 수분배출구멍을 개폐하는 수분조절부, 유충 사육통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유충 사육통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유충 수집통, 및 유도 구멍을 통해 나가는 유충이 유충 수집통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유도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이동경로부는 유연한 재질의 부재를 유충 사육통의 내부 측벽에 부착하여 구성되거나, 유충 사육통의 내부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유충의 이동 경로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으며, 유충 사육통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저렴하고 간편하게 동애등에 유충을 사육할 수 있게 되므로, 음식물 쓰레기 등 각종 유기성 페기물을 처리하여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동애등에 사육 장치{ Apparatus for Breeding Soldier Fly }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등 각종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동애등에 유충을 사육함과 아울러 편리하게 분리 수집할 수 있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농가나 가정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등 각종 유기성 폐기물을 토양에 매립하거나 퇴비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는 염도가 높아서 토양과 지하수, 수질 등이 오염될 수 있으며, 환경을 해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동애등에 유충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동애등에는 알에서 성충까지 크는 기간이 37∼41일이며, 분해자 역할을 하는 유충 기간은 14일 정도이다. 동애등에 유충이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이 지렁이나 집파리 보다 길기 때문에 동애등에를 사육해서 활용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다.
그런데,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이 지나면, 번데기가 되기 위해 건조한 장소를 찾으러 바깥으로 기어나오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노숙유충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20540호는, 사육실에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투입된 유충이 음식물 쓰레기를 먹고 노숙 유충이 되어 번데기실에서 번데기 및 우화하여 성충이 되고, 교미산란실에서 교미를 하며, 경사면에 형성된 산란공에 산란을 하고, 성충의 알이 사육실로 낙하되어, 다시 이 성충의 알이 부화되어 위 과정을 반복하게 함으로써 유충의 추가적인 투입 없이 연속하여 동애등에를 사육할 수 있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간편하게 동애등에 유충을 사육하는 장치로는 너무 복잡하고, 대용량화가 어려우며, 노숙 유충이 모이는 장소가 장치의 내부에 구현되어 있어 노숙 유충을 수거하기가 불편하다.
또한, 노숙유충이 기어 나오는 경로가 경사면 구조로 되어 있어서, 장치의 내부에 여러 경로를 설치하기가 어렵고, 경사면의 구조상 사육 장치의 내부 공간을 너무 많이 점유하여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20540호(공개일: 2016.10.1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동애등에 유충을 더욱 간편하게 사육하고 수집할 수 있고, 동애등에 유충의 이동 경로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으며, 사육통의 내부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는, 동애등에 유충과 유기성 폐기물이 수납되는 유충 사육통; 상기 유충 사육통을 덮는 뚜껑부; 상기 유충 사육통의 상부에 형성된 유도 구멍; 상기 동애등에 유충을 상기 유도 구멍까지 안내하는 이동경로부; 상기 유충 사육통의 바닥에 형성된 수분배출구멍; 상기 수분배출구멍을 개폐하는 수분조절부; 상기 유충 사육통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상기 유충 사육통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유충 수집통; 및 상기 유도 구멍을 통해 나가는 유충이 상기 유충 수집통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유도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경로부는 유연한 재질의 부재를 상기 유충 사육통의 내부 측벽에 부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경로부는 상기 유충 사육통의 내부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유충 사육통의 내부 측벽에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는 유충 사육통의 외부에 유충 수집통이 설치되므로, 간편하게 동애등에 유충을 수집할 수 있다.
온도 조절과 수분 조절이 가능하여, 사육 장치의 내부를 동애등에 사육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유연한 재질의 부재를 유충 사육통의 내부 측벽을 따라 부착하거나, 내부 측벽에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형태로 이동 경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유충의 이동 경로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으며, 유충 사육통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저렴하고 간편하게 동애등에 유충을 사육할 수 있게 되므로, 음식물 쓰레기 등 각종 유기성 페기물을 처리하여 환경 오염을 줄이고, 퇴비 자원 생산 등 자원의 선순환 구조를 확립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일 실시예,
도 2와 도 3은 유연한 재질의 부재를 유충 사육통의 내부 측벽을 따라 부착하여 이동경로부를 구성하는 예,
도 4는 내부 측벽에서 돌출된 형태로 이동경로부를 형성하는 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100)의 일 실시예로서, 음식물 쓰레기 등의 처리 대상 유기성 폐기물과 동애등에 유충(31)이 수납되는 유충 사육통(110), 및 유충 사육통(110)을 기어 나오는 동애등에 유충(노숙유충)이 수집되는 유충 수집통(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유충 사육통(110)과 유충 수집통(20)은 다양한 크기, 재질, 형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유충 수집통(120)은 유충 사육통(110)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유충 사육통(110)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유충 사육통(110)의 바닥에는 수분배출구멍(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분조절부(116)는 수분배출구멍(113)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수분배출구멍(113)은 유충 사육통(110)의 바닥에 고이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여 유충 사육통(110)의 내부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수분조절부(116)가 수분배출구멍(113)을 개폐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간단하게 고무 마개를 이용하여 수분배출구멍(116)을 막거나 열도록 할 수도 있고, 수도꼭지 방식으로 수분배출구멍(1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뚜껑부(111)는 유충 사육통(110)을 덮는 역할을 수행하며, 온도조절부(117)는 유충 사육통(11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여, 동애등에 유충의 최적 사육 온도(예: 24℃)가 유지되도록 한다.
온도조절부(117)가 유충사육통(11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방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난방 기능과 냉방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난방 기능의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유충 사육통(110)의 케이스에 열선(미도시)을 구비하도록 하고, 유충 사육통(110)의 외부에 구비되는 온도조절부(117)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열선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방 기능의 구체적인 예로서 단순한 환기창을 둘 수 있다. 또는 유충 사육통(110)에 팬(미도시)을 구비하고, 유충 사육통(110)의 외부에 구비되는 온도조절부(117)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팬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유충 사육통(110)의 상부에는 유도 구멍(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충 사육통(110)의 내부에는 유도 구멍(112)까지 이어지는 이동경로부(114)가 구비되어 있다. 유도 구멍(112)은 유충 사육통(11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구멍으로서, 유도 구멍(112)에는 기어 나가는 유충이 유충 수집통(120)의 상단에서 자유 낙하하여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유도관(115)이 연결된다.
즉,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이 지나면, 번데기가 되기 위해 건조한 장소를 찾으러 바깥으로 기어나오는 습성이 있는데, 이동경로부(114)는 이 유충들이 유도 구멍(112)까지 오도록 유도하는 통로이다.
이동경로부(114)를 따라 유도 구멍(112)까지 온 유충들은 유도관(115)을 통해 더 전진하여 유도관(115)의 말단에서 밑으로 낙하하며, 그 곳에는 유충 수집통(120)이 구비되어 있어서 유충들이 수집된다.
이동경로부(114)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며, 유충 사육통(110)의 크기와 사육 규모 등에 제한되지 않고 유충들이 유충 수집통(120)을 향해 잘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유충 사육통(110)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경로부(114)의 일 실시예로서, 이동경로부(114)는 유연한 재질의 부재를 유충 사육통(110)의 내부 측벽에 부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원통형의 유충 사육통(110)에서 가로로 주름이 있고 잘 휘어지는 재질의 부재(세탁기의 배수관과 유사한 형태)를 '∩' 형태로 구부려 그 양단을 바닥의 양 측면에 배치하고, 그 가운데 부분이 유도 구멍(112)이 있는 곳에 있도록 유충 사육통(110)의 내부 측벽을 따라 배치한 예를 보인 것이다.
이때 이동경로부(114)를 구성하는 부재는 실리콘이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유충 사육통(110)의 측벽에 장착할 수 있다.
동애등에 유충은 이 부재를 타고 기어 올라 유도 구멍(112)에 다다르고,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유도 구멍(112)에 연결된 유도관(115)을 따라 이동하여 유충 수집통(120)의 상단에서 떨어져 수집된다.
도 2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이동경로부(114)를 구성하는 유연한 재질의 부재는 다양한 소재와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유충 사육통(110)의 내부에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이동경로부(114)를 구성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경로부(114)는 유충 사육통(110)의 내부 측벽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충 사육통(110)의 내부 측벽에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자면, 사각통 형태의 유충 사육통(110)에 측벽을 따라 수직하게 일정 길이만큼 이동경로부(114)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동경로부(114)는 유충 사육통(110)의 측벽을 형성하는 제조 공정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동애등에 유충은 이 돌출 부분을 타고 기어 올라 유도 구멍(112)에 다다르고, 유도 구멍(112)에 연결된 유도관을 따라 이동하여 유충 수집통(120)의 상단에서 떨어져 유충 수집통(120)으로 모이게 된다.
도 4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이동경로부(114)의 형태와 배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충 사육통(110)에는 유도 구멍(112)이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충 사육통(110)을 동애등에 유충의 대량 사육을 위해 크게 구성한다면, 다수의 유충들이 원활하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도 구멍(112)을 둘 이상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유도 구멍(112)에 대응하여 유도관(115)과 유충 수집통(120)이 각각 구비된다.
이와 같이 유충을 2곳 이상에서 수집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종래 경사면 구조의 사육통에서는 사육통의 내부 공간을 얼마나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될 것인지가 명백하게 나타난다. 또한, 종래의 경사면 구조로는 다양한 이동 통로의 구축이 매우 어려워질 수 밖에 없다. 경사면 구조의 이동 통로 자체가 사육통 내부를 공간적으로 너무 많이 점유하기 때문이다.
도 5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유충 사육통(110)의 바닥은 경사면(11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분배출구멍(113)은 이 경사면(118)의 일단에 유충 사육통(110)의 바닥 부분을 향해 구비될 수 있으며, 수분배출구멍(113)에는 수분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메쉬망(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면 수분이 경사면(118)을 따라 한쪽으로 모이고, 그 부분에 수분배출구멍(113)이 구비되어 있어서, 수분 배출이 용이해진다.
난방을 위한 열선(119)은 유충 사육통(110)의 내측면, 바닥부, 외측면 등에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유충 수집통(120)은 유충 사육통(110)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유충 사육통(110)의 유도 구멍(112) 주위에 걸림 턱을 형성하고, 유충 수집통(120)에는 이 걸림 턱을 통해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 구조가 형성된 예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유충 수집통(120)과 유충 사육통(110)이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충 사육통(110)과 유충 수집통(120)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00: 동애등에 사육 장치
110: 유충 사육통
111: 뚜껑
112: 유도 구멍
113: 수분배출구멍
114: 이동경로부
115: 유도관
116: 수분조절부
117: 온도조절부
120: 유충 수집통

Claims (3)

  1. 동애등에 사육 장치에 있어서,
    동애등에 유충과 유기성 폐기물이 수납되는 유충 사육통;
    상기 유충 사육통을 덮는 뚜껑부;
    상기 유충 사육통의 상부에 형성된 유도 구멍;
    상기 동애등에 유충을 상기 유도 구멍까지 안내하는 이동경로부;
    상기 유충 사육통의 바닥에 형성된 수분배출구멍;
    상기 수분배출구멍을 개폐하는 수분조절부;
    상기 유충 사육통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상기 유충 사육통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유충 수집통; 및
    상기 유도 구멍을 통해 나가는 유충이 상기 유충 수집통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유도관을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부는 유연한 재질의 부재를 상기 유충 사육통의 내부 측벽에 부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부는 상기 유충 사육통의 내부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유충 사육통의 내부 측벽에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KR1020180125728A 2018-10-22 2018-10-22 동애등에 사육 장치 KR20200045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728A KR20200045114A (ko) 2018-10-22 2018-10-22 동애등에 사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728A KR20200045114A (ko) 2018-10-22 2018-10-22 동애등에 사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114A true KR20200045114A (ko) 2020-05-04

Family

ID=7073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728A KR20200045114A (ko) 2018-10-22 2018-10-22 동애등에 사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511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540A (ko) 2015-04-08 2016-10-18 (주)충북곤충자원연구소 동애등에 사육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540A (ko) 2015-04-08 2016-10-18 (주)충북곤충자원연구소 동애등에 사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06381B (zh) 一种黑水虻养殖、收集装置
CN105850896B (zh) 一种黑水虻养殖一体化装置和养殖方法
KR101044636B1 (ko) 파리 애벌레 사육장치
CN205695098U (zh) 一种黑水虻养殖一体化装置
KR20130141681A (ko) 유기 비료 제조 시스템
KR102099630B1 (ko) 동애등에 산란시설물
CN111713462B (zh) 一种黑水虻幼虫养殖装置
CN211881805U (zh) 一种自动分级的黑水虻养殖设备
KR20160126529A (ko) 애벌레 대량 사육 장치
KR101753346B1 (ko) 애벌레 사육 장치
WO20160052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breeding and harvesting insects
KR101396182B1 (ko) 파리목 곤충을 이용한 유기물 처리장치
KR20110015340A (ko) 동애등에 사육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20060082344A (ko) 사료공급용 파리애벌레 사육통
KR20160137275A (ko) 곤충 유충 사육 장치 및 방법
KR20200045114A (ko) 동애등에 사육 장치
CN105766817A (zh) 一种分区式水虻养殖成虫笼
KR20120000771U (ko) 곤충 사육통
US5544621A (en) Method and device for feeding live insects to fish
KR100701485B1 (ko) 실내 배치가능한 애완동물용 사육장
CN210168817U (zh) 一种昆虫采集设备及蛙类养殖装置
KR20220075818A (ko)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우화 및 산란장
KR200443429Y1 (ko) 곤충 사육통
CN211793735U (zh) 一种畜牧业用便于清洗的孵化机
KR200166659Y1 (ko) 가정용 닭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