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346B1 - 애벌레 사육 장치 - Google Patents

애벌레 사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346B1
KR101753346B1 KR1020140167004A KR20140167004A KR101753346B1 KR 101753346 B1 KR101753346 B1 KR 101753346B1 KR 1020140167004 A KR1020140167004 A KR 1020140167004A KR 20140167004 A KR20140167004 A KR 20140167004A KR 101753346 B1 KR101753346 B1 KR 101753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le
air inflow
inflow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3587A (ko
Inventor
박기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충북곤충자원연구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충북곤충자원연구소(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충북곤충자원연구소(주)
Priority to KR1020140167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3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3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01K67/0331Sn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01K67/0332Earthworms

Abstract

본 발명은 사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사육통에서 먹이 활동이 끝난 유충을 남김없이 한 곳에 일괄적으로 모아주되, 수집된 유충의 탈출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육 장치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육 장치 전 면적에 걸쳐서 고른 공기 유입 및 순환의 유도를 통한 최적의 생육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애벌레 사육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구가 마련되고, 내부에 다단으로 유충이 사육되는 사육통이 배치되며, 내부 좌측 내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1공기유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내부 우측 내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2공기유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 사육통에서 탈출하는 유충을 수집하는 수집통이 구비된 본체와, 본체 내부의 수집통 상부에서 사육통의 둘레보다 넓은 넓이로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의 둘레에는 사육통에서 탈출하여 낙하하는 유충의 충격을 완화해주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공간부의 하부에는 경사면과 인접하는 위치에 유충이 수집통으로 낙하하도록 해주는 낙하공이 관통 형성된 수집 공간과, 상부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유입된 공기를 제1공기유입공과 제2공기유입공에 공급해주는 유입로가 형성되어 본체의 양측 중 어느 한 측에 결합되는 공기 유입 몸체플 포함한다.

Description

애벌레 사육 장치 {Larva Breeding Equipment}
본 발명은 사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사육통에서 먹이 활동이 끝난 유충을 남김없이 한 곳에 일괄적으로 모아주되, 수집된 유충의 탈출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육 장치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육 장치 전 면적에 걸쳐서 고른 공기 유입 및 순환의 유도를 통한 최적의 생육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애벌레 사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곤충은 연구, 애완 용도나, 치료제 또는 천적자원, 환경정화 및 환경지표 등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한다.
애벌레는 곤충이 알에서 부화한 뒤 어른 벌레가 되기 전까지의 단계를 말하는 것으로, 애벌레는 시체나 배설물처럼 썩은 물질을 먹고 분해해준다. 최근에는 애벌레가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로 만들어주는데 유익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환경정화곤충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애벌레를 대량으로 사육하기 위하여 수납공간을 마련하고, 수납공간에 애벌레 생육 조건을 조성해주는 애벌레 사육 장치가 다수 공지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1774호(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에서는 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유충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 본체와, 경사면을 통해 이동한 유충이 수집되도록 한 수집부 및 본체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는 용기 덮개를 포함하고, 이러한 용기 본체를 여러 개 구비하고 각각의 수집부와 연결되는 수집통을 구비하여 대량으로 유충을 사육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유충이 수집부에 모이도록 하는 이동 통로가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충이 수집통에 모이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유충의 이동 통로의 방향이 일정치 아니하여 이동 통로 사이사이에 유충이 잔존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각각의 용기 본체가 용기 덮개로 덮여져 있기 때문에 유충을 사육하기 위한 최적의 생육 조건(공기의 순환, 온도 및 습도 조건)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KR 10-2009-0121774 A KR 20-2013-0001306 U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사육통에서 먹이 활동이 끝난 유충을 남김없이 한 곳에 일괄적으로 모아주되, 수집된 유충이 수집통에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애벌레 사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육 장치 내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육 장치 내로 유입된 공기를 사육 장치 내부 전 면적에 걸쳐서 고르게 유입 및 순환하도록 하여, 애벌레가 생육할 수 있는 최적의 온도 및 습도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애벌레 사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에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구(110)가 마련되고, 내부에 다단으로 유충이 사육되는 사육통(120)이 배치되며, 내부 좌측 내면(130)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1공기유입공(132)이 관통 형성되고, 내부 우측 내면(140)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2공기유입공(142)이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사육통(120)에서 탈출하는 유충을 수집하는 수집통(150)이 구비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 내부의 상기 수집통(150) 상부에서 상기 사육통(120)의 둘레보다 넓은 넓이로 공간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10)의 둘레에는 상기 사육통(120)에서 탈출하여 낙하하는 유충의 충격을 완화해주는 경사면(220)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10)의 하부에는 상기 경사면(220)과 인접하는 위치에 유충이 상기 수집통(150)으로 낙하하도록 해주는 낙하공(230)이 관통 형성된 수집 공간(200); 및 상부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10)가 형성되고, 내측에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공기유입공(132)과 상기 제2공기유입공(142)에 공급해주는 유입로(320)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양측 중 어느 한 측에 결합되는 공기 유입 몸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집통(150)의 테두리는 상기 수집 공간(200)의 낙하공(230)을 둘러싸도록 넓게 형성되며, 상기 수집 공간(200)의 공간부(210) 하부에는 상기 낙하공(230)의 내측으로 유충의 탈출 방지를 위한 탈출 방지 단턱(240)이 형성되되, 상기 수집통(150)에 수집된 유충이 상기 수집통(150)을 탈출하기 위해 상기 낙하공(230)으로 올라가는 중에 상기 탈출 방지 단턱(240)을 지나가면서 유충이 180도 뒤집히도록 하여, 유충을 상기 수집통(150)으로 다시 낙하시켜 상기 수집통(150)에 수집된 유충의 탈출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유입구(310)에는, 상기 유입구(310)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덮어주는 개폐 덮개(410)와, 상기 개폐 덮개(410)의 개폐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유입구(310)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해주는 개폐 레버(420)를 포함하는 유입 공기 조절부(40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100) 내측에는, 상기 유입로(320)와 상기 본체(100) 내측 하단에서부터 상기 좌측 내면(130)의 상단에 걸쳐 상기 유입로(320)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1공기유입로(160)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로(320)와 상기 본체(100) 내측에서 상기 우측 내면(140)의 하단에서부터 상단에 걸쳐 상기 유입로(320)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2공기유입로(170)가 형성되되, 상기 제1공기유입로(160)로 유입된 공기는 제1공기유입공(132)으로 유입되며, 상기 제2공기유입로(170)로 유입된 공기는 제2공기유입공(142)로 유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제1공기유입공(132)과 상기 제2공기유입공(142)은 상기 사육통(120)과 대응되는 개수로 다수의 군집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공기유입공(132)과 상기 제2공기유입공(142)은 작은 크기의 구멍 군집과 큰 크기의 구멍 군집이 상기 좌측 내면(130)과 상기 우측 내면(140)에서 각각 대향되도록 번갈아 가면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경사면(22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공기 유입 몸체(300)에는, 상기 유입로(32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로(320)에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1공기유입로(160)와 상기 제2공기유입로(170)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해주는 곡면(350)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제1공기유입로(160)의 입구는 상기 제2공기유입로(170)의 입구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제1공기유입로(160)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상기 제2공기유입로(170) 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제2공기유입로(170)의 상부 끝단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유입로(320)와 연통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상기 유입로(320)로 순환시켜주는 공기순환공(17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제1공기유입공(132)과 상기 제2공기유입공(142)은 상기 본체(100)의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사육통(120)을 향할수록 그 직경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단으로 배치된 사육통(120)에서 유기성폐기물을 먹고 자란 유충이 사육통(120)의 외부로 탈출하여, 본체(100)의 하부에 위치한 수집 공간(200)에 낙하하여 한 곳에 일괄적으로 모이게 하되, 수집 공간(200)의 공간부(210) 둘레에 형성된 경사면(210)에 먼저 닿도록 하여 낙하하는 유충이 받는 충격을 최소화하였으며, 경사면(210)의 하부에 형성된 낙하공(230)을 통해 유충을 본체(100)의 하부에 위치한 수집통(150)으로 모아주도록 하여, 수집된 유충이 수집통(150)의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집통(150)의 테두리가 수집 공간(200)의 낙하공(230)을 둘러싸도록 넓게 형성하여, 수집통(150)에 수집된 유충의 탈출 경로를 낙하공(130)으로 한정되고, 수집 공간(200)의 공간부(210) 하부에 낙하공(230)의 내측으로 탈출 방지 단턱(240)을 형성해서, 수집통(150)에 수집된 유충이 수집통(150)을 탈출하기 위해 낙하공(130)으로 지나가는 중 탈출 방지 단턱(240)을 지나가면서 유충이 180도 뒤집혀 제대로 이동할 수 없게 하여, 유충이 수집통(150)으로 다시 낙하하도록 함으로써, 수집통(150)에 수집된 유충의 탈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공기 유입 몸체(300)의 유입구(310)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유입로(320)를 지나 히터(340)에 의해 데워져 본체(100) 내부로 공급하여 애벌레 생육 온도 조건에 맞춰주며, 공기가 유입로(320)의 하부에 형성된 곡면(350)을 통해 입구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 제1공기유입로(160)와 제2공기유입로(170)로 들어가되, 제1공기유입로(160)의 입구가 제2공기유입로(170)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공기유입로(160)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제2공기유입로(170)보다 많게 되고, 제1공기유입로(160)로 들어간 공기는 좌측 내면(130)에 형성된 제1공기유입공(132)을 통해 본체(100) 내부로 들어가며, 제2공기유입로(170)로 들어간 공기는 우측 내면(140)에 형성된 제2공기유입공(142)을 통해 본체(100) 내부로 들어가고, 제1공기유입공(132)과 제2공기유입공(142)은 작은 구멍을 가지는 군집과 큰 구멍을 가지는 군집이 좌측 내면(130)과 우측 내면(140)에 번갈아가면서 대향되게 사육통(120)의 개수와 대응되게 수직으로 다수 형성되되, 제1공기유입공(132)과 제2공기유입공(142)은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하여 본체(100)의 하부에 공급되는 공기량이 많고, 본체(100)의 상부에 공급되는 공기량이 본체(100)의 하부보다 상대적으로 적게하여 사육 장치 내부 전 면적에 걸쳐서 고르게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한편, 제2공기유입로(170)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순환공(172)을 통해 본체(1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로(320)로 다시 순환되게 하여, 애벌레가 생육할 수 있는 최적의 온도와 습도 조건을 맞춰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공기 유입 몸체(300)의 유입구(310)에 설치된 유입 공기 조절부(400)의 개폐 덮개(410)을 개폐 레버(420)로 조작하여, 개폐 덮개(410)가 유입구(310)를 덮어주는 각도를 조절하여 외부로부터 유입구(3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 사육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 사육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 사육 장치에서 본체(100)와 수집 공간(200)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 사육 장치에서 사육통(120), 지지대(122) 및 수집통(150)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 사육 장치에서 공기 유입 몸체(300), 유입 공기 조절부(400), 디스플레이부(500) 및 컨트롤부(600) 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 사육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 사육 장치에서 상부 도어(180)와 하부 도어(190)를 제외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 사육 장치에서 수집 공간(200)과 수집통(150)에서 유충의 이동 경로(30)를 상세히 나타낸 정면도 및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 사육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 사육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 사육 장치에서 본체(100)와 수집 공간(200)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 사육 장치에서 사육통(120), 지지대(122) 및 수집통(150)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 사육 장치에서 공기 유입 몸체(300), 유입 공기 조절부(400), 디스플레이부(500) 및 컨트롤부(600) 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 사육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 사육장치는, 상부에 환기구(110)가 마련되고, 내부에 다단으로 사육통(120)이 배치되며, 내부 좌측 내면(130)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1공기유입공(132)이 형성되고, 내부 우측 내면(140)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2공기유입공(142)이 형성되며, 하부에 사육통(120)에서 탈출하는 유충을 수집하는 수집통(150)이 구비된 본체(100)와, 본체(100) 내부에서 사육통(120)의 둘레보다 넓은 넓이로 공간부(210)가 형성되고, 공간부(210)의 둘레에는 사육통(120)에서 탈출하여 낙하하는 유충의 충격을 완화해주는 경사면(220)이 형성되고, 공간부(210)의 하부에는 경사면(220)과 인접하는 위치에 유충이 수집통(150)으로 낙하하도록 해주는 낙하공(230)이 관통 형성된 수집 공간(200)과, 상부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10)가 형성되고, 내측에 유입된 공기를 제1공기유입공(132)과 제2공기유입공(142)에 공급해주는 유입로(320)가 형성되어 본체(100)의 양측 중 어느 한 측에 결합되는 공기 유입 몸체(3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다수의 사육통(120)을 다단으로 수용하는 보관함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길이가 긴 박스형상을 이룬다. 본체(100)의 상단에는 환기구(110)가 원기둥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환기구(110)는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환기구 덮개(112)가 덮여져 있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다수의 사육통(120)이 수직 방향으로 균등하게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본체(100) 내부에는 사육통(120)의 설치를 위하여, 사육통(120)에 대응되는 위치만큼 다수의 지지대(122)가 본체(100)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대(122)에 각각의 사육통(120)이 올려져 지지된다. 이때 지지대(122)는 본체(100) 내부 양단을 축으로 회전되는 롤러 역할을 하여 사육통(120)을 편리하게 집어넣거나 뺄 수 있다.
또한 지지대(122)는 서로 이격된 3 내지 5개의 긴 막대로 이루어져 사육통(120)의 하부를 지지해준다. 지지대(122)의 사이사이 공간이 비어 있기 때문에 유충이 사육통(120)을 탈출할 때, 유충이 지지대(12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해준다.
한편 사육통(120)은 윗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내부에 사육하고자 하는 애벌레가 수용된다. 이때 쇠똥구리, 연두금파리, 파리, 동애등에 등의 다양한 곤충의 애벌레를 사육할 수 있으나, 썩은 동물질과 식물질, 동물의 배설물 등의 부식물을 먹이로 이용하여, 썩은 물질들을 분해하는 곤충군의 애벌레라면 다양한 종류의 애벌레를 사육할 수 있다.
아울러 사육통(120)에는 애벌레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 부패한 과일과 야채 또는 식품가공물의 남은 잔여물 및 가축배설물 등의 유기성폐기물이 같이 투입된다. 애벌레는 사육통(120) 안에서 이러한 유기성폐기물을 먹고 자란다. 2 내지 3일 후에 유기성폐기물의 80%이상을 분해하게 되며, 부피는 약 58%, 무게는 약 30%로 감소하게 되며, 염도 또한 1ppt 이하로 감소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애벌레가 유충으로 변하게 되며, 애벌레의 특성상 유충이 되면 번데기로 변하기 위하여 사육통(120) 밖으로 탈출하게 된다.
한편 이렇게 애벌레에 의해 분해된 유기성 폐기물은 고급퇴비로 활용할 수 있으며, 유충 및 번데기는 낚시 미끼, 항균물질, 고화력 기름, 사료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0)는 사방이 막혀있는 형상인데, 좌측에는 좌측 외벽(102)으로 막혀 있으며, 우측에는 우측 외벽(104)으로 막혀 있다. 본체(100) 내측에는 좌측 외벽(102)과 이격되어 좌측 내면(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 외벽(104)과 이격되어 우측 내면(140)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 내면(130)에는 다수의 제1공기유입공(132)이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외부의 공기를 본체(100) 내부로 유입시켜준다. 제1공기유입공(132)은 본체(100) 내부에서 사육통(120)과 대응되도록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여러 개의 구멍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공기유입공(132)은 다수의 구멍이 좌측 내면(130)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질러 서로 이격 형성되어 하나의 군집을 이룬다. 아울러 하나의 군집이 사육통(120)과 대응되도록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되되 수직 방향으로 여러 개소가 형성된다.
또한 우측 내면(140)에도 다수의 제2공기유입공(142)이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외부의 공기를 본체(100) 내부로 유입시켜준다. 제2공기유입공(132)도 본체(100) 내부에서 사육통(120)과 대응되도록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여러 개의 구멍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2공기유입공(142)은 다수의 구멍이 우측 내면(140)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질러 서로 이격 형성되어 하나의 군집을 이룬다. 아울러 하나의 군집이 사육통(120)과 대응되도록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되되 수직 방향으로 여러 개소가 형성된다.
한편 제1공기유입공(132)과 제2공기유입공(142)은 좌측 내면(130)과 우측 내면(140)에서 직경이 작은 크기와 직경이 큰 크기의 군집이 서로 번갈아 가면서 형성된다. 즉 좌측 내면(130)의 최하단 군집을 이루는 제1공기유입공(132)의 직경이 큰 크기였다면, 우측 내면(140)의 최하단 군집을 이루는 제2공기유입공(142)의 직경은 제1공기유입공(132) 보다 작게 형성된다.
아울러 제1공기유입공(132)과 제2공기유입공(142)는 최하단 군집에서 최상단 군집으로 올라갈수록 그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해준다. 이는 본체(100) 내부 전체 면적에 걸쳐서 고른 공기의 순환을 유도해주기 위함이다.
수집통(150)은 본체(100) 내부에서 최하단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되는 윗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사육통(120)에서 탈출한 유충이 모이는 곳이다. 수집통(150)의 전면에는 수집통 손잡이(152)이가 형성되어, 이를 파지한 채 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한편 수집통(150)의 테두리는 수집 공간(200)의 낙하공(230)을 둘러싸도록 넓게 형성된다. 즉 수집통(150)의 테두리가 낙하공(230) 보다 외측에 있어서 낙하공(130)으로 낙하는 유충이 수집통(150)으로 수집될 수 있다.
제1공기유입로(160)는 본체(100)의 좌측 외벽(102)과 좌측 내면(130) 사이의 빈 공간과 수집통(150)의 하부 빈 공간이 하나로 이어진 것으로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유입된 공기를 제1공기유입공(132)으로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2공기유입로(170)는 본체(100)의 우측 외벽(104)과 우측 내면(140) 사이의 빈 공간으로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유입된 공기를 제2공기유입공(142)으로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2공기유입로(170)의 상부 끝단에는 상단 일부가 절개되어 공기순환공(172)이 형성된다. 공기순환공(172)을 통해 본체(100) 내부의 공기가 공기 유입 몸체(300)의 유입로(320)로 순환되게 해준다.
한편 본체(100)의 전면 상부에는 상부 도어(18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육통(120)이 있는 공간을 열고 닫을 수 있다. 상부 도어(180)에는 상부 손잡이(182)가 위치하여, 이를 파지한 채 상부 도어(180)를 열고 닫을 수 있으며, 상부 도어(180)는 상부 경첩(184)을 통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본체(100)의 전면 하부에는 하부 도어(19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집통(150)이 있는 공간을 열고 닫을 수 있다. 하부 도어(190)에는 하부 손잡이(192)가 위치하여, 이를 파지한 채 하부 도어(190)를 열고 닫을 수 있다. 하부 도어(180)는 하부 경첩(194)을 통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수집 공간(200)은 본체(100)의 내부에서 최하단에 위치한 사육통(120)과 수집통(150)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으로써 사육통(120)에서 낙하하는 유충을 임시로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수집 공간(200)은 전후좌우 둘레가 사육통(120)보다 넓게 형성되어 내부에 유충이 수용되는 공간부(210)가 형성되고, 공간부(210)의 둘레에는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20)이 형성된다.
경사면(220)이 상부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수집 공간(200)의 사육통(120) 보다 둘레가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육통(120)에서 낙하하는 유충은 경사면(220)으로 먼저 닿게 된다. 이때 유충은 평지에 떨어지는 것보다 경사면(220)에 먼저 닿게 되기 때문에 낙하로 인한 충격을 덜 받게 된다.
수집 공간(200)의 공간부(210) 하부의 각 모서리에는 경사면(220)의 하단과 인접하도록 낙하공(230)이 관통형성된다. 즉 낙하공(230)은 경사면(220)의 하부 끝단 각 모서리에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집통(150)과 연통된다. 수집 공간(200)으로 낙하한 유충은 다시 낙하공(230)을 통해 수집통(150)으로 모이게 된다.
아울러 수집 공간(200)의 공간부(210) 하부에는 낙하공(230)의 내측으로 탈출 방지 단턱(240)이 형성된다. 탈출 방지 단턱(240)은 공간부(210) 하부에서 낙하공(230) 사이 공간면이다. 즉 경사면(220)이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낙하공(230)이 경사면(220)의 하부 끝단에서 시작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공간부(210) 하부에서 낙하공(230) 사이에 공간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탈출 방지 단턱(240)은 유충이 수집통(150)에서 탈출하기 위하여 낙하공(230)으로 올라갈 때 지나가는 통로이다. 유충은 탈출 방지 단턱(240)을 지나갈 때 몸이 180도 뒤집힌 상태가 되어 자중 및 중력에 의해 탈출 방지 단턱(240)에 제대로 접지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유충은 탈출 방지 단턱(240)을 지나가다가 다시 수집통(150)으로 낙하하게 된다.
공기 유입 몸체(300)는 본체(100)의 좌측면이나 우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예시로써 우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공기 유입 몸체(300)는 본체(10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10)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일자형으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들어가는 유입로(320)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유입 몸체(300)의 내부 중앙부에는 공기를 흡입해주기 위한 팬(330)이 설치되어 있다. 팬(330)은 하부의 받침대(332)로 설치된다. 팬(330)의 하부에는 공기를 데워주는 히터(340)가 설치된다. 히터(340)로 외부에서 들어온 공기를 애벌레 최적의 생육 조건인 25도 내지 35도를 맞춰주게 된다.
나아가 공기 유입 몸체(300)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만곡진 곡면(350)이 설치된다. 곡면(350)을 통해 제1공기유입로(160)와 제2공기유입로(170)로 공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해준다.
한편 유입구(310)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입 공기 조절부(400)가 설치된다. 유입 공기 조절부(400)는 판 형상으로 유입구(310)를 덮어주는 면적을 조절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양을 조절하는 개폐 덮개(410)와, 공기 유입 몸체(300)의 전면 상단에서 개폐 덮개(410)의 개폐 각도를 조절하는 개폐 레버(420)가 포함된다. 이때 개폐 레버(420)와 개폐 덮개(410)의 좌측 측면이 막대 형상의 연결부(412)로 연결된다. 개폐 레버(420)의 상부에는 개폐 덮개(410)가 어느 정도 개폐되었는지를 가늠할 수 있도록 눈금으로 표시해주는 표시부(430)가 형성된다.
또한 공기 유입 몸체(300)의 전면 상부에는 본체(100) 내부의 온도와 습도 상황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500)가 설치된다. 본체(10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체(100) 내부에 센서(10)가 설치된다.
컨트롤부(600)는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어 팬(330), 히터(34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팬(330)의 회전 속도의 높낮이 조절 및 히터(340)의 온도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에는 공기(20)의 흐름을 함께 도시하였다.
최초 공기(20)는 공기 유입 몸체(300)의 유입구(310)를 통해 유입로(320) 내부로 들어온다. 이때 유입 공기 조절부(400)의 개폐 덮개(410)의 개폐 각도와, 유입로(320)에 위치한 팬(330)의 회전 속도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달라진다.
공기(20)는 팬(330) 하부에 위치한 히터(340)를 지나면서 데워진다. 히터(340)를 통해 애벌레 생육 조건에 필요한 온도 조건인 25도 내지 35도를 맞춰 줄 수 있다.
아울러 공기(20)는 히터(340)를 지나 곡면(350)에 다다르게 된다. 곡면(350)이 제1공기유입로(160) 및 제2공기유입로(170)를 향해 굴곡져 있기 때문에 공기(20)가 제1공기유입로(160) 및 제2공기유입로(170)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해준다.
공기(20)는 제1공기유입로(160)와 제2공기유입로(170)의 두 방향으로 나뉘어 들어가게 된다. 이때 제1공기유입로(160)의 입구가 제2공기유입로(170)의 입구가 2배 정도 넓게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제1공기유입로(160)에는 유입로(320)에서 이동된 공기(20)의 약 3/2가 유입되며, 제2공기유입로(170)에는 약 3/1이 유입된다.
제1공기유입로(160)로 유입된 공기는 본체(100)의 하부를 지나 좌측 내면(130)에 형성된 제1공기유입공(132)에 다다르며, 제1공기유입공(132)을 통해 본체(100) 내부로 들어간다.
제2공기유입로(170)로 유입된 공기는 본체(100)의 우측 내면(140)에 형성된 제2공기유입공(142)에 다다르며, 제2공기유입공(142)을 통해 본체(100) 내부로 들어간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공기유입공(132)과 제2공기유입공(142)은 직경이 큰 군집과 작은 군집이 좌측 내면(130)과 우측 내면(140)을 번갈아가면서 형성되며, 본체(10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제1공기유입공(132) 및 제2공기유입공(142)의 직경을 점점 작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본체(100) 내부에서 하부에는 많은 공기(20)가 유입되고, 상부에서는 하부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기(20)가 유입되면서 본체(100) 내부 전면적에 걸쳐서 공기(20)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제2공기유입로(170)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순환공(172)을 통해 본체(100) 내부의 공기(20) 일부가 공기 유입 몸체(300)의 유입로(320)로 다시 유입되어 순환하게 된다. 이를 통해 데워진 공기(20)가 다시 유입로(320)로 들어오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새롭게 들어온 공기(20)와 만나, 이 공기(20)를 데워주는 역할을 한다.
공기순환공(172)에는 본체(100) 내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로(320)로 들어오거나, 유입로(320)에서 본체(100)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걸러주는 메쉬망(17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체(100) 내부에서 상단으로 이동한 공기(20)는 본체(100) 상부에 형성된 환기구(11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 과정에서 본체(100) 내부에 위치한 센서(10)는 본체(10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체크하여 컨트롤부(600)에 전달해준다. 컨트롤부(600)는 애벌레에게 최적의 생육 조건을 제공하기 위하여 온도는 25도 내지 35도로 맞춰주며, 습도는 60 내지 70%로 맞춰준다. 이를 위해 컨트롤부(600)는 팬(330)의 회전 속도와 히터(340)의 온도를 제어해준다. 아울러 수동으로 유입 공기 조절부(400)를 통해 유입구(310)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 사육 장치에서 상부 도어(180)와 하부 도어(190)를 제외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8에는 유충의 이동 경로(30)를 함께 도시하였다.
본체(100) 내부에 위치한 각각의 사육통(120)에서는 애벌레가 유기성 폐기물을 먹고 자라면서, 유충으로 변하게 된다. 유충은 번데기로 변하기 위하여 사육통(120)에서 이동 경로(30)와 같이 탈출하게 된다.
이동 경로(30)와 같이 사육통(120)의 외부로 탈출한 유충은 수집 공간(200)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수집 공간(200)의 바닥이 아닌 공간부(210) 둘레에 형성된 경사면(220)에 먼저 닿으면서 낙하하게 된다. 경사면(220)이 윗 방향으로 경사진 모양이기 때문에 유충이 낙하할 때 받는 충격이 덜하게 된다.
이때 수집 공간(200)은 사육통(120)의 크기보다 둘레 전체가 크게 형성되므로, 유충이 낙하하면 경사면(220)에 먼저 닿게 된다.
한편 경사면(220)은 유충의 충격을 더욱 흡수하기 위하여 고무, 실리콘, 라텍스 등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표면에 덮개가 씌워진다.
아울러 유충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사육통(120)을 지지하고 있는 사육통 지지대(122)에 걸릴 수 있는데, 사육통 지지대(122)는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 여러개 설치될 뿐만 아니라, 단면이 둥근 막대형상으로 유충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걸리지 않는다.
유충은 경사면(220)에 닿은 후 공간부(210)에 모이게 된다. 이후 수집 공간(200) 바닥에 형성된 낙하공(230)을 통해 수집통(150)으로 들어가게 된다. 낙하공(230)은 경사면(220)과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충은 경사면(220)에 닿은 후 낙하공(230)으로 떨어져서 수집통(150)에 모이게 된다.
이후 수집통(150)을 꺼내서 수집된 유충을 회수하여, 유충을 활용하면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 사육 장치에서 수집 공간(200)과 수집통(150)에서 유충의 이동 경로(30)를 상세히 나타낸 정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9에서는 이동 경로(30)와 이동 경로(30)에 표시한 알파벳(a~g)으로 수집 공간의 탈출 방지 단턱(240)에 의해 유충의 탈출이 방지되는 것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a) 유충은 사육통(120)에서 낙하한 후 경사면(220)에 먼저 닿아 충격이 흡수된다.
(b) 유충은 경사면(220)에서 떨어져 공간부(210)로 모이게 된다.
(c) 유충은 공간부(210)에서 낙하공(230)으로 이동한다.
(d) 유충은 낙하공(230)에서 낙하하여 수집통(150)에 모이게 된다.
(e) 유충은 수집통(150)을 탈출하기 위해 측면으로 기어올라간다.
(f) 유충은 수집 공간(200)의 공간부(210)와 이어진 경로가 낙하공(230) 밖에 없기 때문에 낙하공(230)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유충은 탈출 방지 단턱(240)을 지나게 된다. 탈출 방지 단턱(240)을 지나면서 유충의 몸은 180도 뒤집힌 상태가 된다. 그러면 유충은 자중과 중력에 의해 접지를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g) 유충은 탈출 방지 단턱(240)에 접지를 제대로 할 수 없게 됨으로써, 수집통(150)에 다시 낙하하게 된다. 이로써 유충이 탈출을 시도하더라도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유충의 탈출을 방지하게 된다.
10 : 센서 20 : 공기 30 : 이동 경로
100 : 본체
102 : 좌측 외벽 104 : 우측 외벽
110 : 환기구 112 : 환기구 덮개
120 : 사육통 122 : 지지대
130 : 좌측 내면 132 : 제1공기유입공
140 : 우측 내면 142 : 제2공기유입공
150 : 수집통 152 : 수집통 손잡이
160 : 제1공기유입로
170 : 제2공기유입로 172 : 공기순환공 174 : 메쉬망
180 : 상부 도어 182 : 상부 손잡이 184 : 상부 경첩
190 : 하부 도어 192 : 하부 손잡이 194 : 하부 경첩
200 : 수집 공간
210 : 공간부 220 : 경사면 230 : 낙하공
240 : 탈출 방지 단턱
300 : 공기 유입 몸체
310 : 유입구 320 : 유입로 330 : 팬 332 : 받침대
340 : 히터 350 : 곡면
400 : 유입 공기 조절부
410 : 개폐 덮개 412 : 연결부 420 : 개폐 레버
430 : 표시부
500 : 디스플레이부
600 : 컨트롤부

Claims (10)

  1. 상부에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구(110)가 마련되고, 내부에 다단으로 유충이 사육되는 사육통(120)이 배치되며, 내부 좌측 내면(130)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1공기유입공(132)이 관통 형성되고, 내부 우측 내면(140)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2공기유입공(142)이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사육통(120)에서 탈출하는 유충을 수집하는 수집통(150)이 구비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 내부의 상기 수집통(150) 상부에서 상기 사육통(120)의 테두리보다 넓게 공간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10)의 둘레에는 상기 사육통(120)에서 탈출하여 낙하하는 유충의 충격을 완화해주는 경사면(220)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10)의 하부에는 상기 경사면(220)의 하부 끝단과 인접하는 위치에 유충이 상기 수집통(150)으로 낙하하도록 해주는 낙하공(230)이 관통 형성된 수집 공간(200); 및
    상부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10)가 형성되고, 내측에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공기유입공(132)과 상기 제2공기유입공(142)에 공급해주는 유입로(320)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양측 중 어느 한 측에 결합되는 공기 유입 몸체(3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공기유입공(132)과 상기 제2공기유입공(142)은 상기 사육통(120)과 대응되는 개수로 다수의 군집으로 형성되며, 작은 크기의 구멍 군집과 큰 크기의 구멍 군집이 상기 좌측 내면(130)과 상기 우측 내면(140)에서 각각 대향되도록 번갈아 가면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레 사육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통(150)의 테두리는 상기 수집 공간(200)의 낙하공(230)을 둘러싸도록 넓게 형성되며, 상기 수집 공간(200)의 공간부(210) 하부에는 상기 낙하공(230)의 내측으로 유충의 탈출 방지를 위한 탈출 방지 단턱(240)이 형성되되,
    상기 수집통(150)에 수집된 유충이 상기 수집통(150)을 탈출하기 위해 상기 낙하공(230)으로 올라가는 중에 상기 탈출 방지 단턱(240)을 지나가면서 유충이 180도 뒤집히도록 하여, 유충을 상기 수집통(150)으로 다시 낙하시켜 상기 수집통(150)에 수집된 유충의 탈출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레 사육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310)에는,
    상기 유입구(310)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덮어주는 개폐 덮개(410)와, 상기 개폐 덮개(410)의 개폐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유입구(310)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해주는 개폐 레버(420)를 포함하는 유입 공기 조절부(40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레 사육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내측에는,
    상기 유입로(320)와 상기 본체(100) 내측 하단에서부터 상기 좌측 내면(130)의 상단에 걸쳐 상기 유입로(320)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1공기유입로(160)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로(320)와 상기 본체(100) 내측에서 상기 우측 내면(140)의 하단에서부터 상단에 걸쳐 상기 유입로(320)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2공기유입로(170)가 형성되되,

    상기 제1공기유입로(160)로 유입된 공기는 제1공기유입공(132)으로 유입되며, 상기 제2공기유입로(170)로 유입된 공기는 제2공기유입공(142)로 유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레 사육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22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레 사육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 몸체(300)에는,
    상기 유입로(32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로(320)에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1공기유입로(160)와 상기 제2공기유입로(170)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해주는 곡면(350)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레 사육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유입로(160)의 입구는 상기 제2공기유입로(170)의 입구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제1공기유입로(160)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상기 제2공기유입로(170) 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레 사육 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유입로(170)의 상부 끝단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유입로(320)와 연통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상기 유입로(320)로 순환시켜주는 공기순환공(17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레 사육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유입공(132)과 상기 제2공기유입공(142)은 상기 본체(100)의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사육통(120)을 향할수록 그 직경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레 사육 장치.
KR1020140167004A 2014-11-27 2014-11-27 애벌레 사육 장치 KR101753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004A KR101753346B1 (ko) 2014-11-27 2014-11-27 애벌레 사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004A KR101753346B1 (ko) 2014-11-27 2014-11-27 애벌레 사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587A KR20160063587A (ko) 2016-06-07
KR101753346B1 true KR101753346B1 (ko) 2017-07-04

Family

ID=5619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004A KR101753346B1 (ko) 2014-11-27 2014-11-27 애벌레 사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3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6700A (zh) * 2016-08-29 2017-02-15 山东胜伟园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盐碱地土壤生物生态改良的蚯蚓养殖箱
NL2019344B1 (en) * 2017-07-25 2019-02-18 Proti Farm R & D B V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climate of an insect rearing climate area.
KR102509410B1 (ko) * 2020-06-26 2023-03-13 주식회사 숲속의작은친구들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
KR200497280Y1 (ko) * 2020-09-28 2023-09-20 이상철 동애등에 사육용 박스
KR102446652B1 (ko) * 2021-11-10 2022-09-23 주식회사 에이지엣랩스 환경친화적인 방목형 달팽이 사육장치
KR102618162B1 (ko) * 2023-05-08 2023-12-27 설재호 밀웜 사육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9761A (ja) * 2002-03-12 2003-09-16 Akoreedo:Kk 飼育装置
KR100815854B1 (ko) * 2007-08-07 2008-03-24 신한수 농수산물 건조기 겸 저장고
KR101053217B1 (ko) * 2008-11-28 2011-08-02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지중해가루명나방의 알을 이용한 무궁화관총채벌레의 대량사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궁화관총채벌레 대량사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316B1 (ko) 2008-05-23 2011-01-25 그린테코 주식회사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200467563Y1 (ko) 2011-08-18 2013-06-24 정기호 애벌레 사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9761A (ja) * 2002-03-12 2003-09-16 Akoreedo:Kk 飼育装置
KR100815854B1 (ko) * 2007-08-07 2008-03-24 신한수 농수산물 건조기 겸 저장고
KR101053217B1 (ko) * 2008-11-28 2011-08-02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지중해가루명나방의 알을 이용한 무궁화관총채벌레의 대량사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궁화관총채벌레 대량사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587A (ko)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352B1 (ko) 애벌레 대량 사육 장치
KR101753346B1 (ko) 애벌레 사육 장치
JP5582560B2 (ja) 昆虫育成堆肥床
US100100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breeding and harvesting insects
RU2556059C2 (ru) Система производства органического удобрения
KR101422532B1 (ko) 학습 체험용 곤충 대벌레 사육키트
NL2014513B1 (en) Method and facility for breeding insects.
US20200288685A1 (en) Insect breeding
CN113939190B (zh) 自动昆虫饲养系统和容器
KR101729167B1 (ko) 동애등에 사육 장치
US20180242563A1 (en) Method and facility for breeding insects
EP3273777A1 (en) Method and facility for breeding insects
KR102024635B1 (ko) 곤충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946833B1 (ko) 유용곤충 산란 시스템
KR20130001836U (ko) 지렁이 사육상
KR101396182B1 (ko) 파리목 곤충을 이용한 유기물 처리장치
KR20060082344A (ko) 사료공급용 파리애벌레 사육통
CN206791431U (zh) 一种具有自动清洁功能的黑水虻养殖设备
KR101762186B1 (ko) 동애등에 유충 사육 장치
JP2002020190A (ja) 有機肥料製造装置
KR102142926B1 (ko) 곤충 사육 장치 및 방법
KR20220037893A (ko) 곤충 사육 설비
CN208800532U (zh) 废弃物处理装置
TWM551534U (zh) 便於收集蟲體及飼養黑水虻之廢料處理裝置
EP4228401A1 (en) Method and assembly for harvesting insect eggs and for farming ins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