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301A -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301A
KR20200044301A KR1020180124857A KR20180124857A KR20200044301A KR 20200044301 A KR20200044301 A KR 20200044301A KR 1020180124857 A KR1020180124857 A KR 1020180124857A KR 20180124857 A KR20180124857 A KR 20180124857A KR 20200044301 A KR20200044301 A KR 20200044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ar device
radar
cover
vehic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124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4301A/ko
Publication of KR20200044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48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obstacle sensors of electric or electron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50Magnetic or electromagnetic sensors
    • B60W2420/506Inductive sensors, i.e. passive wheel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27Sensor installation details

Abstract

본 실시예들에 의한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는, 차량에 결합되며 중공형상의 장착부가 구비되는 제 1 커버, 장착부에 삽입되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레이더 장치, 레이더 장치를 덮으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제 2 커버를 포함하여, 차량에 결합하는 조립공정이 간단해지고 결합에 필요한 부품 수가 줄어들어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Radar System Mounting Assembly and Radar Sens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실시예들은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결합하는 조립공정이 간단해지고 결합에 필요한 부품 수가 줄어들어 원가가 절감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각종 장치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ECU, Electric Control Unit)가 구비되어, 차량에 설치된 센서 또는 스위치 등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정보를 처리하여 차량의 안전성 및 조향감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어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특히 레이더 장치는 전자파를 방출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전자파를 수신함으로써 차량과 주위 물체 사이의 거리 등을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레이더 장치는 차량의 그릴 또는 범퍼 등의 내측에 구비되는데, 종래에는 레이더 장치를 차량에 고정하도록 브라켓이 구비되었고, 레이더 장치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노이즈를 감소시켜 성능을 개선하고 또한 레이더 장치가 차량의 외측으로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앱소버가 브라켓이 결합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브라켓은 차종에 따라 그릴, 범퍼 등의 형상이 다르므로 차종 별로 다르게 제작되어야 하며 또한 그에 따라 앱소버 역시 다르게 제작되어야 하여 조립공정이 복잡해지고 부품 수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차량에 결합하는 조립공정이 간단해지고 결합에 필요한 부품 수가 줄어들어 원가가 절감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차량에 결합되며 중공형상의 장착부가 구비되는 제 1 커버, 장착부에 삽입되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레이더 장치, 레이더 장치를 덮으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제 2 커버를 포함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외부영역을 센싱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결합되며 중공형상의 장착부가 구비되는 제 1 커버, 장착부에 삽입되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레이더 장치, 레이더 장치를 덮으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제 2 커버를 포함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차량에 결합하는 조립공정이 간단해지고 결합에 필요한 부품 수가 줄어들어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가 차량에 설치되는 일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도 2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도 2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2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도 2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1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들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가 차량에 설치되는 일례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레이더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도 2의 일부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도 2의 일부의 측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의 일부의 사시도, 도 11은 도 2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6은 도 2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17은 도 11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차량 센싱 시스템(Vehicle Sensing System), 운전자 보조 시스템(Driver Sensing System), 물체 감지 시스템(Object Detection System), 경보 시스템(Alert System) 등은 차량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집, 센싱하여 차량 주위의 혹은 차량 예상 주행 경로 상의 물체를 감지함으로써, 운전자 혹은 차량의 자율 주행 시스템이 차량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주행할 때 이를 보조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가 수집, 센싱한 데이터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차량의 경보 신호 또는 제어 신호 등을 발생시키는 프로세서 내지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실시예들에 의한 레이더 센싱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더 장치(103)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차량의 정면에 장착되는 정면 감지 레이더 장치,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 레이더 장치 및 차량의 각 측방에 장착되는 측방향 또는 측후방 감지 레이더 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이더 센싱 장치(101)는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며, 그에 따라 객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전자 또는 제어 유닛(ECU)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 장치(103)로부터 ECU로의 데이터 전송 또는 신호 통신은 적절한 차량 네트워크 버스 등과 같은 통신 링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이더 장치(103)는 레이더 신호를 송신하는 1 이상의 송신안테나와 객체로부터 수신된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1 이상의 수신안테나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레이더 장치(103)는 실제 안테나 개구(Aperture)보다 큰 가상 안테나 개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차원 안테나 배열 및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의 신호 송수신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평 및 수직의 각도 정밀도 및 해상도를 달성하기 위해, 2 차원 안테나 어레이가 사용된다. 2차원 레이더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하면 수평 및 수직으로 개별적으로 (시간 다중화 된) 2회의 스캔에 의해 신호를 송수신하며, 2차원 레이더 수평 및 수직 스캔(시간 다중화)과 별도로 MIMO가 이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레이더 장치(103)에서는, 총 12개의 송신안테나(Tx)를 포함하는 송신안테나부와 16개의 수신안테나(Rx)를 포함하는 수신안테나부로 구성된 2차원 안테나 어레이 구성을 채택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총 192개의 가상 수신 안테나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송신안테나부는 4개의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송신안테나 그룹을 3개 구비하되, 제 1 송신안테나 그룹은 제 2 송신안테나 그룹과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고, 제 1 또는 제 2 송신안테나 그룹은 제 3 송신안테나 그룹과 수평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수신안테나부는 4개의 수신안테나를 포함하는 4개의 수신안테나 그룹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수신안테나 그룹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이러한 수신안테나부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제 1 송신안테나 그룹 및 제3송신 안테나 그룹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레이더 센서의 안테나가 2차원 안테나 어레이로 배치되며, 그 예로서 각 안테나 패치가 롬버스 격자(Rhombus) 배치를 가짐으로써 불필요한 사이드 로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2차원 안테나 배열이 다수의 방사 패치가 V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V-shape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2개의 V자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에는, 각 V자 안테나 어레이의 꼭지점(Apex)으로 단일 피드(Single Feed)가 이루어진다.
또는, 2차원 안테나 배열이 다수의 방사 패치가 X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X-shape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2개의 X자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에는, 각 X자 안테나 어레이의 중심으로 단일 피드(Single Feed)가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레이더 센서는 수직 및 수평방향의 감지 정확도 또는 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MIMO 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MIMO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송신안테나는 서로 구분되는 독립적인 파형을 가지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각 송신안테나는 다른 송신 안테나들과 구분되는 독립적인 파형의 신호를 송신하고, 각각의 수신 안테나는 이 신호들의 상이한 파형으로 인해 객체에서 반사된 반사 신호가 어떠한 송신 안테나에서 송신된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레이더 장치(103)는 송신안테나 및 수신안테나를 포함하는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외관을 구성하는 레이돔(Radome)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레이돔은 송수신되는 레이더 신호의 감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며, 레이돔은 차량의 전후방 범퍼, 그릴이나, 측면 차체 또는 차량 구성요소의 외부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레이더 장치(103)의 레이돔은 차량 그릴, 범퍼, 차체 등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차량 그릴, 범퍼, 차체 일부와 같이 차량의 외부 표면을 구성하는 부품의 일부분으로 배치됨으로써, 차량 미감을 좋게 하면서도 레이더 장치(103) 장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차량(100)에 결합되며 중공형상의 장착부(210)가 구비되는 제 1 커버(201), 장착부(210)에 삽입되며 제 1 커버(201)에 결합되는 레이더 장치(203), 레이더 장치(203)를 덮으며 제 1 커버(201)에 결합되는 제 2 커버(205)를 포함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103)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차량(100)에 설치되어 차량(100)의 외부영역을 센싱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101)에 있어서, 차량(100)에 결합되며 중공형상의 장착부(210)가 구비되는 제 1 커버(201), 장착부(210)에 삽입되며 제 1 커버(201)에 결합되는 레이더 장치(203), 레이더 장치(203)를 덮으며 제 1 커버(201)에 결합되는 제 2 커버(205)를 포함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101)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들에 의한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101)는, 레이더 장치(203)를 차량(100) 내부에 결합하기 위해 제 1 커버(201)와 제 2 커버(205)를 포함하는데, 차량(100)에 결합되는 제 1 커버(201)에 레이더 장치(203)가 삽입되어 지지되고 제 2 커버(205)가 레이더 장치(203)를 덮으며 제 1 커버(201)에 탄성구조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레이더 장치(203)가 차량(100)에 결합되는 조립공정이 간단해지고 결합에 필요한 부품 수가 줄어들어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레이더 장치(203)는 차량(100)의 그릴, 전방범퍼, 후방범퍼 또는 측후방범퍼의 내측에 구비되어 차량(100)의 외부영역을 센싱한다.
레이더 장치(203)에는 레이돔(231)이 구비되어 차량(100)의 외부 물체를 인식하기 위한 전자파가 송수신되는데, 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를 기준으로 레이돔(231)이 향하는 방향을 전방,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커버(201)에는 중공형상의 장착부(210)가 구비되는데, 장착부(210)는 레이더 장치(203)의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착부(210)에 삽입된 레이더 장치(203)는 측면이 장착부(210)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더 장치(203)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장착부(210)는 사각틀형상으로 형성되게 되며, 다만 반드시 사각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레이더 장치(203)가 갖는 형상에 따라 장착부(210)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레이더 장치(203)는 내부에 안테나 등이 구비되는 하우징(232)과 레이돔(231)을 포함하여 레이돔(231)이 차량 외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는데, 장착부(210)가 중공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레이돔(231)이 제 1 커버(201)에 의해 가려지지 않아 레이더 장치(203)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제 1 커버(201)에는 제 1 돌출부(211)와 제 2 돌출부(212)가 구비되어 레이더 장치(203)가 장착부(210)에 장착되어 고정되게 되는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또한, 제 1 커버(201)와 제 2 커버(205)는 측면부(250)가 장착부(210)에 결합되어, 다시 말해 탄성부(251)의 걸림돌기(254)가 홈(213)에 삽입되며 결합되는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또한, 제 2 커버(205)에는 벤딩형성되는 지지부(242)가 구비되어 장착부(210)에 장착된 레이더 장치(203)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되는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이어서, 제 1 커버(201)가 차량(100)의 그릴 또는 범퍼 등에 결합되도록 제 1 커버(201)에는 결합부(220)가 구비되는데, 결합부(220)는 장착부(2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210)의 전단에서 외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20)는 판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차량(100)의 그릴 또는 범퍼 등에 지지되는 면적이 넓어져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210)의 외측면에서 넓게 연장되며 형성되어, 제 1 커버(201)가 차량(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결합부(220)는 차량(100)에 융착되어 결합되거나 나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딩, 몰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릴 또는 범퍼 등의 내측에 제 1 커버(201)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결합부(220)에 열이 가해지며 제 1 커버(201)가 차량(100)의 그릴 또는 범퍼 등에 융착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결합부(220)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차량(100)의 그릴 또는 범퍼 등에 나사(60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커버(201)는 다양한 방법으로 차량(100)에 결합될 수 있으나, 나사결합되는 경우보다 융착 등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가 부품 수가 적고 공정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제 1 커버(201)가 융착에 의해 차량(100)에 결합됨으로써, 레이더 장치(103)를 장착부(210)에 장착하고 제 2 커버(205)가 레이더 장치(203)를 덮으며 제 1 커버(210)에 결합되며 본 실시예들에 의한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103)가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장착부(210)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레이더 장치(203)의 정면에 지지되는 제 1 돌출부(2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돌출부(211)는 장착부(210)의 전단에 구비될 수 있는데, 제 1 돌출부(211)가 구비됨으로써 레이더 장치(203)가 장착부(210)에 삽입되어 결합되었을 때 정면이 지지되게 되며, 후술할 지지부(242)에 의해 레이더 장치(203)의 배면이 탄성지지될 때 제 1 돌출부(211)가 스토핑 역할을 할 수 있다.
레이더 장치(203)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제 1 돌출부(21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되고 또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장착부(210)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레이더 장치(203)의 정면 테두리에 지지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장착부(210)의 내측면에는 지지돌기(215)가 돌출형성될 수 있는데, 지지돌기(215)는 레이더 장치(203)의 측면에 지지되며 제 1 커버(201)와 레이더 장치(203)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즉, 지지돌기(215)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레이더 장치(203)가 장착부(210)에 삽입되었을 때 제 1 커버(201)의 강성에 의해 레이더 장치(203)의 측면이 가압됨으로써 제 1 커버(201)와 레이더 장치(203)의 결합이 견고해질 수 있다.
또한, 장착부(210)에는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돌기(214)가 구비되어 제 1 커버(201)와 제 2 커버(205)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어서,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장착부(210)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레이더 장치(203)의 배면에 지지되는 제 2 돌출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돌출부(211)와 제 2 돌출부(212)가 구비됨으로써, 레이더 장치(203)가 장착부(210)에 삽입되었을 때 정면과 배면이 각각 제 1 돌출부(211)와 제 2 돌출부(212)에 의해 지지되며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제 2 돌출부(212)는 장착부(210)의 후단에 구비될 수 있는데, 다만, 레이더 장치(203)가 장착부(2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 2 돌출부(212)는 장착부(2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돌출부(212)는 장착부(210)의 일측에 형성되고 레이더 장치(203)는 장착부(210)의 타측에서 측방향으로 삽입되며 제 1 커버(20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제 2 돌출부(212)는 장착부(210)의 우측부위에 형성되어, 레이더 장치(203)는 장착부(210)의 좌측에서 측방향으로 장착부(21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돌출부(212)는 "ㄷ"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제 2 커버(205)에는 레이더 장치(203)의 배면을 덮는 배면부(240)와 배면부(240)의 테두리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장착부(210)에 결합되는 측면부(250)가 구비된다.
즉, 레이더 장치(203)는 레이돔(231)이 구비되어 차량(100) 외측을 향하는 정면을 제외한 배면과 측면이 각각 배면부(240)와 측면부(250)과 대향되게 되는데, 이러한 제 2 커버(205)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차폐재질로 형성되어 레이더 장치(203)의 성능을 개선한다.
즉, 레이더 장치(203)가 차량(100)의 외부 물체 등을 인식하기 위해 레이돔(231)이 구비되는 전방으로만 전자파를 송신하고 또한 전방으로부터만 전자파를 수신할 필요가 있으므로, 차폐재질로 이루어지는 제 2 커버(205)가 레이더 장치(203)의 배면과 측면을 덮으며 제 1 커버(201)에 결합됨으로써 레이더 장치(203)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커버(205)는 전자파를 반사하거나 흡수할 수 있도록, 금속(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재질(예를 들면, 카본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부(210)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214)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가이드돌기(214)는 장착부(210)가 측면부(25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결합될 때 제 1 커버(201)와 제 2 커버(205)의 상대적인 위치를 잡아주며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가이드돌기(214)는 둘 이상 구비되되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으며, 장착부(210)의 각 변에 구비될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가이드돌기(214)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장착부(210)가 측면부(250)의 내측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배면부(240)에는 전방으로 벤딩형성되는 지지부(242)가 구비되어, 제 1 커버(201)와 제 2 커버(205)가 결합되었을 때 지지부(242)가 레이더 장치(203)의 배면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42)는 레이더 장치(203)의 배면을 전방으로 가압하며 탄성지지되는데, 레이더 장치(203)의 정면은 전술한 제 1 돌출부(211)에 의해 지지되므로 레이더 장치(203)는 지지부(242)와 제 1 돌출부(211)의 사이에서 고정되어 노면충격 등으로 인해 차량(100)이 흔들리는 경우 레이더 장치(203)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소음을 줄이고 레이더 장치(203)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42)는 둘 이상 구비되되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레이더 장치(203)의 배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도 11 참조),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돌출부(211)와 대향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레이더 장치(203)에는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커넥터(233)가 구비되고, 제 2 커버(205)에는 커넥터(233)가 삽입되는 삽입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이더 장치(203)에는 커넥터(233)가 돌출형성되어 외부장치의 와이어 등과 연결되는데, 이러한 커넥터(233)는 레이돔(231)이 구비된 정면을 제외한 배면 또는 측면 등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레이더 장치(203)는 차량(100)의 그릴 또는 범퍼 등의 내측면에 구비되므로, 외부장치의 와이어 등이 쉽게 연결되도록 커넥터(233)가 레이더 장치(203)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삽입홀(241)이 배면부(240)에 형성되어 커넥터(233)가 외부로 노출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측면부(250)가 장착부(210)에 결합되기 위해, 장착부(210)에는 홈(213)이 형성되고 측면부(250)에는 홈(213)에 삽입되는 걸림돌기(25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홈(213)은 장착부(210)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254)는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홈(213)에 삽입되게 된다.
이러한 홈(213)은 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254)는 홈(213)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서로 결합되는 홈(213)과 걸림돌기(254)의 개수가 증가하여 제 1 커버(201)와 제 2 커버(205)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홈(213)은 장착부(210)에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걸림돌기(254) 역시 홈(213)과 결합되도록 측면부(250)에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됨으로써, 제 1 커버(201)와 제 2 커버(205)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도 3,4 참조).
도 14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걸림돌기(254)는 탄성부(251)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는데, 탄성부(251)는 측면부(250)에서 걸림돌기(254)의 폭방향 양측에 제 1 절개부(252)가 구비되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절개부(252)는 한 쌍씩 구비되어, 탄성부(251)는 제 1 절개부(252)의 사이에 위치하여 내측 또는 외측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절개부(252)는 측면부(250)의 끝단에서 측면부(250)와 배면부(240) 사이의 절곡된 부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걸림돌기(254)가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장착부(210)가 측면부(250)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걸림돌기(254)의 테이퍼진 면이 장착부(210)에 지지되며 탄성부(251)가 외측으로 자연스럽게 벌어지게 되고, 걸림돌기(254)가 홈(213)에 삽입되며 탄성부(251)가 내측으로 복원되며 제 1 커버(201)가 제 2 커버(205)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251)에는 탄성부(251)와 배면부(240)에 걸쳐 형성되는 제 2 절개부(253)가 구비되어 탄성부(251)의 강성을 낮춰 제 1 커버(201)와 제 2 커버(205)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절개부(253)는 걸림돌기(254)와 인접한 위치에서 측면부(250)와 배면부(240) 사이의 절곡된 부위에 걸쳐 형성됨으로써, 탄성부(251)의 강성을 낮춰 장착부(210)가 측면부(250)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탄성부(251)가 쉽게 외측으로 벌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에 의하면, 차량에 결합되는 제 1 커버에 레이더 장치가 장착되고 제 2 커버가 레이더 장치를 덮으며 제 1 커버에 결합됨으로써, 차량에 결합하는 조립공정이 간단해지고 결합에 필요한 부품 수가 줄어들어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제 1 커버가 차량에 융착되어 결합됨으로써, 결합에 필요한 부품 수가 줄어들고 조립공정이 단축되게 된다.
또한, 제 1 커버에 레이더 장치의 정면과 배면에 지지되는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가 구비됨으로써, 레이더 장치가 제 1 커버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전자파를 반사하거나 흡수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제 2 커버의 배면부와 측면부가 레이더 장치의 배면과 측면을 덮으며 제 1 커버에 결합됨으로써, 레이더 장치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가 레이더 장치의 배면에 구비되고 제 2 커버의 배면부에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구비됨으로써, 레이더 장치가 외부장치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장착부에 홈이 형성되고 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탄성부가 구비됨으로써, 제 1 커버와 제 2 커버가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들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레이더 센싱 장치 103: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201: 제 1 커버 203: 레이더 장치
205: 제 2 커버 210: 장착부
211: 제 1 돌출부 212: 제 2 돌출부
213: 홈 220: 결합부
231: 레이돔 233: 커넥터
240: 배면부 241: 삽입홀
242: 지지부 250: 측면부
251: 탄성부 252: 제 1 절개부
253: 제 2 절개부 254: 걸림돌기

Claims (36)

  1. 차량에 결합되되, 중공형상의 장착부가 구비되는 제 1 커버;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레이더 장치;
    상기 레이더 장치를 덮으며 상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제 2 커버;
    를 포함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에는 상기 장착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차량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열이 가해지며 상기 제 1 커버가 차량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차량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이더 장치의 정면에 지지되는 제 1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이더 장치의 배면에 지지되는 제 2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레이더 장치는 상기 장착부의 타측에서 측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에는 상기 레이더 장치의 배면을 덮는 배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테두리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측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에는 전방으로 벤딩형성되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가 상기 레이더 장치의 배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장치에는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커버에는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레이더 장치의 배면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홀은 상기 배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둘 이상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는 내측면에 상기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탄성부가 구비되되, 상기 탄성부는 상기 측면부에서 상기 걸림돌기의 폭방향 양측에 제 1 절개부가 구비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에는 상기 탄성부와 배면부에 걸쳐 형성되는 제 2 절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19.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외부영역을 센싱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결합되되, 중공형상의 장착부가 구비되는 제 1 커버;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레이더 장치;
    상기 레이더 장치를 덮으며 상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제 2 커버;
    를 포함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에는 상기 장착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차량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열이 가해지며 상기 제 1 커버가 차량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차량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이더 장치의 정면에 지지되는 제 1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이더 장치의 배면에 지지되는 제 2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레이더 장치는 상기 장착부의 타측에서 측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27.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에는 상기 레이더 장치의 배면을 덮는 배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테두리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측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에는 전방으로 벤딩형성되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가 상기 레이더 장치의 배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장치에는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커버에는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레이더 장치의 배면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홀은 상기 배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둘 이상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는 내측면에 상기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탄성부가 구비되되, 상기 탄성부는 상기 측면부에서 상기 걸림돌기의 폭방향 양측에 제 1 절개부가 구비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에는 상기 탄성부와 배면부에 걸쳐 형성되는 제 2 절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KR1020180124857A 2018-10-19 2018-10-19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KR20200044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857A KR20200044301A (ko) 2018-10-19 2018-10-19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857A KR20200044301A (ko) 2018-10-19 2018-10-19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301A true KR20200044301A (ko) 2020-04-29

Family

ID=70466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857A KR20200044301A (ko) 2018-10-19 2018-10-19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43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986B1 (ko) * 2020-07-22 2020-12-28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차량 실내 감지 센서 조립체
CN115258012A (zh) * 2021-04-30 2022-11-01 罗伯特·博世有限公司 适配器、雷达单元及跨乘型车辆
WO2023242493A1 (fr) * 2022-06-16 2023-12-21 Stellantis Auto Sas Dispositif de fixation d'un radar sur un pare-chocs supprimant les perturbations des ondes rada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986B1 (ko) * 2020-07-22 2020-12-28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차량 실내 감지 센서 조립체
CN115258012A (zh) * 2021-04-30 2022-11-01 罗伯特·博世有限公司 适配器、雷达单元及跨乘型车辆
WO2023242493A1 (fr) * 2022-06-16 2023-12-21 Stellantis Auto Sas Dispositif de fixation d'un radar sur un pare-chocs supprimant les perturbations des ondes radar
FR3136717A1 (fr) * 2022-06-16 2023-12-22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 radar sur un pare-chocs supprimant les perturbations des ondes rad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0413B1 (ko) 레이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KR20200044301A (ko)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US9964641B2 (en) Object detection device
US9618615B2 (en) Obstacle detection device for vehicle
JP6986718B2 (ja) アンテナ装置
US20150171511A1 (en) Structure and Technique For Antenna Decoupling In A Vehicle Mounted Sensor
EP0881624B1 (en) Ultrasonic sensor and its ultrasonic resonator
WO2009144545A1 (en) Modular device for joining a transducer to a bumper
KR102242930B1 (ko)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CN211014645U (zh) 装配结构、红外传感器模块及清洁机器人
JP5938673B2 (ja) 超音波センサ
CN106405554B (zh) 用于机动车的传感器装置
KR101700232B1 (ko) 스위치용 커버 및 조작 단말기
EP3010770B1 (en) Appliance with volumetric detector, usable in particular in anti-break-in systems for vehicles
CN111196238B (zh) 传感器搭载构造
US20160291139A1 (en) Ultrasonic sensor
US20220294936A1 (en) Camera module for vehicles
CN110596730A (zh) 一种装配结构、红外传感器模块及清洁机器人
CN215894947U (zh) 车载雷达传感器
EP1878624B1 (en) Device for detecting objects near vehicles
KR20150107611A (ko) 스위치용 커버 및 조작 단말기
KR20190136145A (ko) 초음파 센서 모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센서 장치
KR102209813B1 (ko)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KR20200058661A (ko) 레이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더 센싱 장치
KR101899840B1 (ko) 센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