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214A - 3D printer HAVING SYSTEM a plurality of nozzle assembly replacement - Google Patents

3D printer HAVING SYSTEM a plurality of nozzle assembly replac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214A
KR20200044214A KR1020180121259A KR20180121259A KR20200044214A KR 20200044214 A KR20200044214 A KR 20200044214A KR 1020180121259 A KR1020180121259 A KR 1020180121259A KR 20180121259 A KR20180121259 A KR 20180121259A KR 20200044214 A KR20200044214 A KR 20200044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ortion
nozzle
printer
connection
nozz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2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선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디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디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디박스
Priority to KR1020180121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4214A/en
Publication of KR20200044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2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filamentary material being melted, e.g. fused deposition modelling [FD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print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multi-nozzle replacement type 3D printer in which a plurality of replaceable nozzle assemblies are provided. A nozzle replacement system has a technical difficulty in that the position of a nozzle must be precisely matched every time the nozzle is replaced, but the 3D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capable of precise connection.

Description

복수의 노즐 조립체 교체 방식의 3D 프린터{3D printer HAVING SYSTEM a plurality of nozzle assembly replacement}3D printer HAVING SYSTEM a plurality of nozzle assembly replacement}

본 발명은 3D 프린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노즐 조립체 교체를 통해 다양한 색체 또는 재료를 출력할 수 있는 3D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pri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3D printer capable of outputting various colors or materials through replacement of a plurality of nozzle assemblies.

3D 프린터 공정의 발전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3D 프린터를 이용한 제작이 이루어지고 있다. 3차원 프린터는 캐드시스템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모델링된 3차원 형상을 복수의 얇은 단면 층으로 분할한 슬라이스 데이터로 변경한 후에 이를 사용하여 판형 시트를 조형하고, 이를 적층하여 조형물을 완성한다. 이렇게 판 형태의 시트를 조형하는 방법으로 쾌속조형 방식이 개발되어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3D printer process, production using a 3D printer is being performed in various fields. The 3D printer converts a 3D shape modeled through software such as a CAD system into slice dat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hin cross-section layers, and then uses it to form a plate-like sheet and stacks it to complete the sculpture. A rapid prototyping method has been developed as a method for molding a sheet in the form of a plate.

쾌속조형 방식에는 석고나 나일론 등의 가루를 사용하는 파우더를 이용한 쾌속조형 방식, 광경화성 플라스틱을 녹인 액체(레진)를 사용하는 플라스틱 액체를 이용한 쾌속조형 방식, 플라스틱을 실처럼 자아낸 고체를 이용한 조형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처럼 3D 프린터의 제작방식은 매우 다양하나 대부분 FDM(Fused Deposition Method), 즉 고체상태인 필라멘트(열가소성 소재, 예: 플라스틱)를 가열하여 용융한 후 액체상태로 압축되어 층층이 쌓아 형태를 만들어 가는 방식이 대중적으로 채택된다.The rapid prototyping method includes the rapid prototyping method using powders using powders such as gypsum or nylon, the rapid prototyping method using plastic liquid using a liquid (resin) in which a photo-curable plastic is melted, and the molding method using solids made of plastic thread. Can be divided into: As described above, the production method of 3D printers is very diverse, but most of them are FDM (Fused Deposition Method), that is, a solid filament (thermoplastic material, such as plastic) is heated and melted, then compressed in a liquid state to form a layer by layering It is popularly adopted.

도 1은 FDM-3D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간략한 도면이다.1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FDM-3D printer.

필라멘트는 모터(Feeding Motor)에 의해 노즐로 주입되기 전에 열원(Heat Block)에서 열을 전달받아 용융된다. 그리고 용융된 필라멘트는 노즐을 통해 사출되어 베드 상에 적층되는 방식으로 프린팅 된다. 이러한 FDM-3D 프린터는 가격이 저렴하고 제작속도가 다른 방식에 비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The filament is melted by receiving heat from a heat block before being injected into the nozzle by a motor. Then, the molten filament is injected through a nozzle and printed in a layered manner. These FDM-3D printer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inexpensive and producing faster than other methods.

하지만, 종래 FDM방식 3차원 프린터의 압출기는 하나의 공급기에 하나의 노즐로 구성되어 다양한 재료의 사용, 다양한 색 변경하는 것이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extruder of the conventional FDM 3D printer has a problem in that it consists of one nozzle in one feeder,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using various materials and changing various color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멀티 노즐을 갖춘 3D 프린터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멀티 노즐이 연동되어 동일평면상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프린트 중에 작동하지 않는 노즐이 조형물과 접촉하여 조형물이 베드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즐이 이동경로가 바뀌는 지점에서 정지한 후 다음 압출 구간으로 이동할 때 과다 압출이나 미달 압출이 발생되어 동일평면상 보다 높은 구간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3차원 프린터 장치의 구동 시 필라멘트를 녹이기 위하여 노즐을 가열하는데 가열된 상태로 장시간 유지됨에 따라, 멀티 노즐의 사용하지 않는 노즐에서 잔류물이 흘러나와 조형물에 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고, 설계되지 않은 구간에 압출되어 단차가 발생하거나 노즐 입구에 잔류물이 경화되어 노즐과 조형물의 접촉이 발생하며 불량 조형물이 생성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3D printer with a multi-nozzle has been proposed. However, when the multi-nozzles are interlocked and located on the same plane, there is a problem that a nozzle that does not operate during printing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culpture and the sculpture may fall off the bed. In addition, when the nozzle stops at the point where the movement path changes and then moves to the next extrusion s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over-extrusion or under-extrusion may occur, resulting in a higher section on the same plane. In addition, when the 3D printer device is driven, the nozzle is heated to melt the filament and is kept in a heated state for a long time, so that residues may flow out of the unused nozzle of the multi-nozzle and cause contamination of the moldings. There is a problem that a step is generated by being extruded in a section, or a residue is hardened at the nozzle inlet, so that the nozzle and the molded object are contacted and a bad molded object may be generat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일 노즐 내에 다중 필라멘트를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즉, 서로 다른 재료의 필라멘트나 서로 다른 색깔의 필라멘트라 하여도 제어를 통해 하나의 노즐을 통해서만 사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역시 재료 또는 색깔 교체시 직전 필라멘트의 잔여물이 노즐 내부에 남는 문제점이 있어서 출력물의 표면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technique capable of supplying multiple filaments within a single nozzle has been proposed. That is, even if the filaments of different materials or filaments of different colors are controlled, only one nozzle is injected through the control. However, this method also has a problem in that the residue of the filament immediately before replacement of the material or color remains inside the nozzle, thereby deteriorating the surface quality of the output.

등록특허공보 제10-1641709호, 2016.07.15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41709, 2016.07.15

본 명세서는 멀티 노즐 교체형 3D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specification aims to provide a multi-nozzle replaceable 3D printer.

본 명세서는 상기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3D 프린터는, 복수의 노즐 조립체; 상기 복수의 노즐 조립체 중 어느 하나의 노즐 조립체와 결합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된 노즐 조립체를 제어 신호에 의해 이동시키는 이동 조립체; 및 상기 복수의 노즐 조립체, 제1 연결부 및 이동 조립체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3D 프린터로서, 각 노즐 조립체는 필라멘트 공급부; 상기 필라멘트 공급부에서 공급된 필라멘트가 용융되도록 열을 가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에 결합되어 용융상태의 필라멘트를 사출하는 노즐;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A 3D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cludes a plurality of nozzle assemblies; A first connection unit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nozzle assemblies; A moving assembly that moves a nozzle assem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by a control signal; And a control unit outputting signals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nozzle assemblies,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moving assembly, wherein each nozzle assembly includes a filament supply unit; A heating unit that applies heat to melt the filament supplied from the filament supply unit; A nozzle coupled to the heating unit to eject the filament in a molten state;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자력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는 전자석 또는 영전자석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may be connected by magnetic force.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r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may be an electromagnet or a zero electromagne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연결될 때 접하는 각 연결부의 표면 중 어느 한 연결부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및 다른 한 연결부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와 홈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연결될 때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re connected, at least one protrusion formed on the surface of any one of the surfaces of each connection portion and at least one groov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ther connection portion This is formed, and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re connecte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중 어느 한 연결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바; 및 다른 한 연결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연결될 때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t least one guide bar formed on any on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at least one or more guide grooves formed in the other connecting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the guide bar and the guide groov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re connecte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는 중심에 영전자석이 위치하고, 상기 영전자석을 중심으로 표면에 3개의 돌기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영전자석보다 위쪽에 2개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중심에 자성체가 위치하고, 상기 3개의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3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2개의 가이드 바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electromagnet, three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surface around the electromagnet, and two guide grooves are formed above the electromagnet. , I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 magnetic body is positioned at the center, three groove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hree protrusions, and two guide bar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wo guide groove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노즐 조립체를 교체할 때 교체 대상 노즐 조립체가 미리 설정된 양의 용융된 필라멘트를 사출하도록 제어 신호를 상기 교체 대상 노즐 조립체에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he nozzle assembly is replaced, the control unit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the nozzle assembly to be replaced so that the nozzle assembly to be replaced ejects a predetermined amount of molten filament.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멀티 노즐을 통해 다양한 재료 또는 다양한 색상의 3D 출력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3D output of various materials or various colors is possible through a multi-nozzle.

본 명세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각 재료에 따라 독립된 노즐을 사용하여 출력물의 품질이 우수하며, 관리가 용이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quality of the output is excellent and management is easy using an independent nozzle for each material.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FDM-3D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간략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의 제1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의 제2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연결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따른 돌기 및 홈의 참고도이다.
1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FDM-3D printer.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3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3 is a first perspective view of a 3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 is a second perspective view of a 3D pri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5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6 is a reference diagram of the projection and groov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하 '당업자')에게 본 명세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by referring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o be complete, and are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specifica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describe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o a technical person (hereinafter 'the person'), and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mention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and “and / 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compon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are as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rrelation between a component and other components. The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a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is flipped over, the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the other component will lie "above" the other component. You can.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the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명세서에 따른 3D 프린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복수의 노즐 조립체가 구비되어 노즐 조립체가 교체 가능한 이른바, 멀티 노즐 교체형 3D 프린터이다. 노즐 교체 방식의 경우 노즐이 교체될 때마다 노즐의 위치가 아주 정밀하게 맞아야 하는 기술적 어려움이 있으나, 본 명세서에 따른 3D 프린터는 정밀한 연결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3D 프린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Briefly, a 3D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so-called multi-nozzle replaceable 3D printer in which a plurality of nozzle assemblies are provided and the nozzle assembly is replaceable. In the case of the nozzle replacement method, there is a technical difficulty in that the position of the nozzle must be precisely matched every time the nozzle is replaced, but the 3D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capable of precise connection. Hereinafter, a 3D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3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의 제1 사시도이다.3 is a first perspective view of a 3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의 제2 사시도이다.4 is a second perspective view of a 3D pri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3D 프린터(100)는 복수의 노즐 조립체(110), 제1 연결부(120), 이동 조립체(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2 to 4, the 3D prin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zzle assemblies 110, a first connection unit 120, a moving assembly 130, and a control unit 140.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4개의 노즐 조립체(110-1~100-4)가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각 노즐 조립체(110)는 필라멘트 공급부(111), 가열부(112), 노즐(113) 및 제2 연결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4, it can be seen that four nozzle assemblies 110-1 to 100-4 are provided. Each nozzle assembly 110 may include a filament supply unit 111, a heating unit 112, a nozzle 113,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114.

상기 필라멘트 공급부(111)는 고체 상태의 필라멘트를 상기 가열부(112)에게 미리 설정된 속도 및 양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filament supply unit 111 may supply the solid state filament to the heating unit 112 at a preset speed and amount.

상기 가열부(112)는 상기 필라멘트 공급부(111)에서 공급된 필라멘트가 용융되도록 열을 가할 수 있다.The heating unit 112 may apply heat so that the filament supplied from the filament supply unit 111 is melted.

상기 노즐(113)은 상기 가열부(112)에 결합되어 용융상태의 필라멘트를 사출할 수 있다.The nozzle 113 may be coupled to the heating unit 112 to eject the filament in a molten state.

상기 제1 연결부(120)는 상기 복수의 노즐 조립체 중 어느 하나의 노즐 조립체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114)는 상기 제1 연결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연결부(120)는 각 노즐 조립체(110)에 포함된 제2 연결부(114)를 통해서 노즐 조립체(11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3D 프린터(100)는 멀티 노즐 교체형 3D 프린터로서 일반적인 3D 프린터와 달리 노즐 교체를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상기 제1 연결부(120) 및 상기 제2 연결부(114)는 노즐 교체시 결합 및 분리를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1 연결부(120) 및 제2 연결부(114)의 결합 방식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may be combined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nozzle assemblies.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nozzle assembly 110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4 included in each nozzle assembly 110. The 3D prin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multi-nozzle replacement type 3D printer and requires a configuration for nozzle replacement unlike a general 3D printer.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4 are configured for coupling and separation when the nozzle is replaced. The coupling metho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상기 이동 조립체(130)는 상기 제1 연결부(120)를 통해 연결된 노즐 조립체(110)를 제어 신호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 조립체(130)는 3방향(X축, Y축, Z축) 이동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20)에 연결된 노즐 조립체가 X축가이드와 Y축가이드를 따라 이동하고, 베드가 Z축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운동하게 할 수도 있고, 노즐 조립체가 X축과 Z축 방향으로 운동하고, 베드가 Y축 방향으로 운동하게 할 수도 있다.The moving assembly 130 may move the nozzle assembly 110 connect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by a control signal. The moving assembly 130 may include three-way (X-axis, Y-axis, Z-axis) moving means. The nozzle assem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may move along the X-axis guide and the Y-axis guide, and the bed may move up and down along the Z-axis guide, and the nozzle assembly moves in the X-axis and Z-axis directions. You can also make the bed move in the Y-axis direction.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복수의 노즐 조립체(110), 제1 연결부(120) 및 이동 조립체(130)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output signals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nozzle assemblies 110,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and the moving assembly 130.

상기 필라멘트 공급부(111), 가열부(112), 노즐(113) 및 이동 조립체(130)는 FDM(Fused Deposition Method)방식의 3D 프린터에는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구성요소로서 각 구성의 기능 및 역할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FDM 방식으로 물체를 출력하기 위해 상술된 구성 요소들에게 출력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역시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filament supply unit 111, the heating unit 112, the nozzle 113, and the moving assembly 130 are components that are basically included in a FDM (Fused Deposition Method) 3D printer. Since it is widely known to,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necessary for output to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to output an object in an FDM manner. Since this is also a technical content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120)와 상기 제2 연결부(114)는 자력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연결부(120) 또는 상기 제2 연결부(114)는 전자석 또는 영전자석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부(120)는 전자석 또는 영전자석이고, 제2 연결부(114)는 철 재질일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부(120)는 철 재질이고, 제2 연결부(114)는 전자석 또는 영전자석일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부(120) 및 제2 연결부는 모두 전자석 또는 영전자석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20)는 제2 연결부(114)는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자력이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20)와 제2 연결부(114)를 결합할 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 연결부(120)와 제2 연결부(114)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20)와 제2 연결부(114)를 분리할 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 연결부(120)와 제2 연결부(114)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영전자석을 사용할 경우, 비상 정지 또는 공급전력차단과 같은 전력 공급이 없는 상황에서 상기 노즐 조립체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4 may be connected by magnetic force.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or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4 may be an electromagnet or a zero electromagn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may be an electromagnet or an electromagnet,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4 may be made of ir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is made of ir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4 may be an electromagnet or an electromagne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bot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may be electromagnets or zero electromagnets.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second connection unit 114 may or may not have magnetic force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40. When combining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14, the control unit 14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apply an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14. You can. When separat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4, the control unit 140 outputs a control signal so that a repulsive force acts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4. You can.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electromagne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ozzle assembly from falling in a situation in which there is no power supply, such as an emergency stop or power supply shutdown.

도 5는 제1 연결부의 정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도 6은 본 명세서에 따른 돌기 및 홈의 참고도이다.6 is a reference diagram of the projection and groov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120) 및 제2 연결부(114) 표면이 확대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it can be seen that the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4 are enlarge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120)와 상기 제2 연결부(114)가 연결될 때 접하는 각 연결부의 표면 중 어느 한 연결부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151) 및 다른 한 연결부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152)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기(151)는 볼형 마운트이고, 상기 홈(152)은 브이-그루브(V-groove)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4 are connected, at least one or more protrusions 151 and the other formed on the surface of one connection portion of the surface of each connection port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least one groove 152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formed. Preferably, the projection 151 is a ball-shaped mount, the groove 152 may be a V-groove (V-groove).

상기 돌기(151)와 홈(152)은 상기 제1 연결부(120)와 상기 제2 연결부(114)가 연결될 때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돌기와 홈이 연결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정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는 위치 또는 각 변의 중심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151)와 홈(152)은 상기 제1 연결부(120) 및 제2 연결부(114)기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protrusion 151 and the groove 152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4 are connected. Preferably, as shown in Fig. 5 (b), three protrusions and grooves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orming a vertex of an equilateral triangle based o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or at a central position of each side. The protrusion 151 and the groove 152 may serve to assis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4 to be combined at the correct posi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120)와 상기 제2 연결부(114) 중 어느 한 연결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바(153) 및 다른 한 연결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1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t least one guide bar 153 formed on any on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4 and at least one guide groove formed on the other connection portion ( 154) may be further included.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2 연결부(114)에 가이드 바(1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연결부(120)에 가이드 홈(154)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153)와 상기 가이드 홈(154)은 상기 제1 연결부(120)와 상기 제2 연결부(114)가 연결될 때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부(120) 및 제2 연결부(114)가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ogether, it can be seen that the guide bar 153 is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4 and the guide groove 154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The guide bar 153 and the guide groove 154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4 are connected,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nd the second It may serve to assist the connection portion 114 to be coupled at the correct position.

한편, 본 명세서에 따른 상기 제어부(140)는 노즐 조립체(110)를 교체할 때 교체 대상 노즐 조립체가 미리 설정된 양의 용융된 필라멘트를 사출하도록 제어 신호를 상기 교체 대상 노즐 조립체에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nozzle assembly 110 is replaced,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the replacement target nozzle assembly such that the replacement target nozzle assembly ejects a preset amount of molten filament.

상기 노즐 조립체(110)는 빠른 출력을 위해 미리 예열이 될 필요가 있다. 즉, 사출에 사용되지 않고 대기중인 노즐 조립체 역시 필라멘트를 용융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가열부(112)의 가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때, 상기 가열부(112)에 남아있는 용융상태의 필라멘트가 열팽창에 의해 천천히 노즐 밖으로 나오면서 속이 노즐의 끝 부분이 비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바로 출력에 들어가면 일정구간에서 필라멘트 출력이 안된다. 따라서, 교체 대상 노즐 조립체는 교체 직전에 상기 가열부(112) 내 빈 공간에 해당하는 만큼 강제로 사출 시켜 노즐 속 빈공간을 채워주는 것이다.The nozzle assembly 110 needs to be preheated in advance for quick output. That is, the nozzle assembly, which is not used for injection, is also kept in the heating state of the heating unit 112 in order to keep the filament in a molten state. At this time, as the filament in the molten state remaining in the heating part 112 slowly comes out of the nozzle due to thermal expansion, the tip of the hollow nozzle becomes empty. In this state, if you enter the output immediately, the filament will not be output in a certain section. Therefore, the nozzle assembly to be replaced is to fill the empty space in the nozzle by forcing injection as much as it corresponds to the empty space in the heating part 112 immediately before the replacement.

한편, 도 4에서 상기 제어부(140)는 컴퓨터로 표현되어 있으나, 상기 제어부(140)는 컴퓨터 또는 컴퓨터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C++, C#, JAVA, Python,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FIG. 4, the control unit 140 is represented by a computer, but the control unit 140 may be a computer or a program driven by the computer. The computer program is a C / C ++, C #, JAVA, Python that the computer's processor (CPU) can read through the device interface of the computer in order for the computer to read the program and execute the methods implemented as a program. , Code coded in a computer language such as a machine language. Such code may include functional code related to a function defining functions required to execute the above methods, and control code related to an execution procedure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can do. In addition, the code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reference related code to which location (address address) of the internal or external memory of the computer should be referred to additional information or media necessary for the computer's processor to perform the functions. have. Also, when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needs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in the remote to execute the functions, the code can be used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in the remote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puter.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related code for whether to communicate, what information or media to transmit and receive during communication, and the like.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rather than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registers, caches, and memory. Specifically, examples of the storage medium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That is,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various servers that the computer can access or various recording media on the user's computer.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o store computer-readable codes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specification pertains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3D 프린터
110 : 노즐 조립체
111 : 필라멘트 공급부
112 : 가열부
113 : 노즐
114 : 제2 연결부
120 : 제1 연결부
130 : 이동 조립체
140 : 제어부
151 : 돌기
152 : 홈
153 : 가이드 바
154 : 가이드 홈
100: 3D printer
110: nozzle assembly
111: filament supply unit
112: heating unit
113: nozzle
114: second connection
120: first connection
130: moving assembly
140: control unit
151: projection
152: home
153: Guide bar
154: guide home

Claims (7)

복수의 노즐 조립체;
상기 복수의 노즐 조립체 중 어느 하나의 노즐 조립체와 결합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된 노즐 조립체를 제어 신호에 의해 이동시키는 이동 조립체; 및
상기 복수의 노즐 조립체, 제1 연결부 및 이동 조립체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3D 프린터로서,
각 노즐 조립체는,
필라멘트 공급부;
상기 필라멘트 공급부에서 공급된 필라멘트가 용융되도록 열을 가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에 결합되어 용융상태의 필라멘트를 사출하는 노즐;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3D 프린터.
A plurality of nozzle assemblies;
A first connection unit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nozzle assemblies;
A moving assembly that moves a nozzle assem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by a control signal; And
3D print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nozzle assembly, the first connection and the moving assembly;
Each nozzle assembly,
Filament supply;
A heating unit that applies heat to melt the filament supplied from the filament supply unit;
A nozzle coupled to the heating unit to eject the filament in a molten state; And
A 3D printer comprising;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자력에 의해 연결되는 3D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re connected by magnetic force 3D print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는, 전자석 또는 영전자석인 3D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r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a 3D printer that is an electromagnet or an electromagne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연결될 때 접하는 각 연결부의 표면 중 어느 한 연결부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및 다른 한 연결부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와 홈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연결될 때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3D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re connected, at least one protrusion formed on the surface of one connection portion of the surface of each connection portion and at least one groov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ther connection portion are formed,
The projection and the groove 3D printer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re connect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중 어느 한 연결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바; 및 다른 한 연결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연결될 때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3D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t least one guide bar formed on any on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at least one guide groove formed in the other connection portion.
The guide bar and the guide groove are 3D printer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re connect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중심에 영전자석이 위치하고, 상기 영전자석을 중심으로 표면에 3개의 돌기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영전자석보다 위쪽에 2개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중심에 자성체가 위치하고, 상기 3개의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3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2개의 가이드 바가 형성된 3D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he electromagnet is located in the center, and three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surface around the electromagnet, and two guide grooves are formed above the electromagnet,
The second connection part
A 3D printer in which a magnetic body is located at the center, three groove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hree protrusions, and two guide bar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wo guide groov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노즐 조립체를 교체할 때 교체 대상 노즐 조립체가 미리 설정된 양의 용융된 필라멘트를 사출하도록 제어 신호를 상기 교체 대상 노즐 조립체에 출력하는 3D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nozzle assembly is replaced, the control unit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nozzle assembly to be replaced so that the nozzle assembly to be replaced ejects a predetermined amount of molten filament.
KR1020180121259A 2018-10-11 2018-10-11 3D printer HAVING SYSTEM a plurality of nozzle assembly replacement KR202000442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259A KR20200044214A (en) 2018-10-11 2018-10-11 3D printer HAVING SYSTEM a plurality of nozzle assembly replac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259A KR20200044214A (en) 2018-10-11 2018-10-11 3D printer HAVING SYSTEM a plurality of nozzle assembly replac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214A true KR20200044214A (en) 2020-04-29

Family

ID=70466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259A KR20200044214A (en) 2018-10-11 2018-10-11 3D printer HAVING SYSTEM a plurality of nozzle assembly replac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4214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6720A (en) * 2020-06-29 2020-09-29 哈尔滨坤程科技有限公司 Carbon fiber 3D printing consumable and preparation syste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381744B1 (en) * 2021-08-04 2022-04-01 최준휘 3d food printer
WO2022118311A1 (en) * 2020-12-03 2022-06-09 A.M.M - Next Dimension Manufacturing Ltd Equipment and methods for fused deposition modeeing 3d print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709B1 (en) 2016-01-21 2016-07-29 김현철 multi color 3D prin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709B1 (en) 2016-01-21 2016-07-29 김현철 multi color 3D prin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6720A (en) * 2020-06-29 2020-09-29 哈尔滨坤程科技有限公司 Carbon fiber 3D printing consumable and preparation syste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22118311A1 (en) * 2020-12-03 2022-06-09 A.M.M - Next Dimension Manufacturing Ltd Equipment and methods for fused deposition modeeing 3d printing
KR102381744B1 (en) * 2021-08-04 2022-04-01 최준휘 3d food prin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4214A (en) 3D printer HAVING SYSTEM a plurality of nozzle assembly replacement
US10286601B2 (en) Color or multi-material three-dimensional (3D) printing
JP69770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multi-nozzle extrusion printing heads in 3D object printers
EP3345735B1 (en) Method of printing on a 3d jet printer
US202002826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speed of a multi-nozzle extruder during additive manufacturing with reference to an angular orientation of the extruder
US20160325498A1 (en) 3D Printer Based on a Staggered Nozzle Array
KR102536436B1 (en) Optimized nozzle arrangement for an extruder head used in an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KR101849592B1 (en) Three dimensional printer material with replacable nozzles
US9446558B2 (en)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head module
US20210387410A1 (en) Multi-nozzle extrud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multi-nozzle extruder during additive manufacturing
KR102339070B1 (en) Method for the further processing of a prefabricated product, and associated prefabricated product
CN110891787B (en) FDM printer and method for printing non-uniform filaments using force feedback
GB2297516A (en) Production of 3-D prototypes from computer generated models
US20240051229A1 (en) Three-dimensional imag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passive nozzles for modeling a multi material three-dimensional object
KR20170056836A (en) Extruder for 3d printer and multicolor 3d printer with the same
CN106696253B (en) Color FDM-3D printer with multi-path friction feeding system
KR101802193B1 (en) Nozzle structure for three dimensional printer
KR201701107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of filament feeding in 3D printer
KR101802201B1 (en) Three dimensional printer using loaded-unloaded nozzle preventing short
KR20200046920A (en) Method for controlling plural projector type 3D(three dimensional) printer
KR20170031888A (en) Apparatus for sensing 3dimensional printer material and 3dimensional printer using the apparatus
KR20200071855A (en)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80091781A (en) Three dimensional printer and xyz-axis driving apparatus
KR102269505B1 (en) 3D Printing Apparatus
CN213919598U (en) 3D print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