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867A - System for Connection/Separation between Chemical Supply Hose and Plant-side Coupler Unit - Google Patents

System for Connection/Separation between Chemical Supply Hose and Plant-side Coupler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867A
KR20200043867A KR1020180124760A KR20180124760A KR20200043867A KR 20200043867 A KR20200043867 A KR 20200043867A KR 1020180124760 A KR1020180124760 A KR 1020180124760A KR 20180124760 A KR20180124760 A KR 20180124760A KR 20200043867 A KR20200043867 A KR 20200043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unit
coupler
sliding table
coup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7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1182B1 (en
Inventor
김기봉
Original Assignee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4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182B1/en
Publication of KR20200043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867A/en
Priority to KR1020200123035A priority patent/KR1022702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1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88Container conn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2Pip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separation system between a chemical supply hose and a building side coupler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which arranges a hose mounting/transferring device on a space and at least partially deviates from the space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an external wall of a building or of an external surface of a housing when the hose mounting/transferring device is maximally moved backwards from the coupler unit in the coupler unit arranged in the space formed by being recessed from the external wall of the factory building or the external surface of the housing or penetrating thereint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separation operation including alignment of the hose and the coupler unit can be easy and burdens to a body such as a waist of a worker can be reduced.

Description

케미컬 공급 호스와 건물측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System for Connection/Separation between Chemical Supply Hose and Plant-side Coupler Unit}System for connection / separation between chemical supply hose and plant-side coupler unit

본 발명은 반도체 공장이나 화학 공장에서 케미컬을 공급하는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 로리(tank lorry)와 같은 케미컬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케미컬을 호스를 통해 반도체 공장이나 화학 공장의 건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호스와 건물측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lity for supplying chemicals in a semiconductor factory or a chemical factory, and more specifically, a chemical supplied from a chemical supply source, such as a tank lorry, through a hose to the inside of a semiconductor factory or a chemical factory building. It relates to a connection / disconnection system between a hose and a building side coupler unit for supply.

반도체 공장이나 화학 공장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케미컬을 대량으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케미컬이라 함은, 불산, 황산, 염산, 암모니아, 과산화수소, 도금액, 포토레지스트, 현상액 등의 액상의 물질이나, 화학기계적 연마(CMP) 등에 사용되는 슬러리 등의 페이스트상의 물질을 포함한다.Various types of chemicals are used in large quantities in semiconductor factories and chemical factories. Here, the chemical includes liquid substances such as hydrofluoric acid, sulfuric acid, hydrochloric acid, ammonia, hydrogen peroxide, plating solution, photoresist, and developer, and paste-like substances such as slurry used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이러한 케미컬들은 인체나 환경에 유해한 독성이나 인화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고, 탱크나 드럼 등의 용기에 저장되어 탱크 로리나 트럭 등으로 운반되어 공장으로 공급된다. 한편, 이러한 공장 내부는 높은 청정도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These chemicals often have toxicity or flammability that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or the environment, and are stored in containers such as tanks or drums, transported to a tank lorry or truck, and supplied to a factory. On the other hand, high cleanliness is often required in such factories.

따라서, 이렇게 운반되어 온 케미컬을 반도체 공장이나 화학 공장에 공급할 때에는, 생산 설비와는 격리되어 공장내 케미컬 저장 탱크 등에 연결된 커플러 유닛을 갖추고, 이 커플러 유닛에 케미컬 공급 호스를 연결하여 케미컬을 케미컬 저장 탱크나 생산 설비로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상기 커플러 유닛은 케미컬 공급 호스(이하, 간단히 '호스'라고도 한다)와 케미컬 저장 탱크 사이의 케미컬 중계 수단이다.Therefore, when supplying the chemical transported in this way to a semiconductor factory or a chemical factory, a coupler unit is provided that is isolated from the production facility and connected to a chemical storage tank in the factory, and a chemical supply hose is connected to the coupler unit to supply the chemical to the chemical storage tank. B. It is common to supply it to production facilities. That is, the coupler unit is a chemical relay means between the chemical supply hose (hereinafter also simply referred to as a 'hose') and the chemical storage tank.

ACQC 유닛(Automatic Clean Quick Coupler Unit)이라고도 불리는 상기 커플러 유닛은, 캐비닛 또는 부스 형태로 공장 건물과 분리되어 설치되거나, 공장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다. 커플러 유닛은 캐비닛 형태의 하우징 외면 또는 건물의 외벽에 호스와 연결될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의 일단이 노출되고, 암 커넥터의 타단은 하우징 또는 건물 내부에서 케미컬 저장 탱크나 생산 설비와 배관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The coupler unit, also called an ACQC unit (Automatic Clean Quick Coupler Unit),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factory building in the form of a cabinet or a booth, or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factory building. In the coupler unit, one end of a female connector to be connected with a hose is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binet or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other end of the female connector is connected by a pipe to a chemical storage tank or a production facility inside the housing or building. It is composed.

한편, 호스는 그 단부에 상기 암 커넥터와 형합하는 수 커넥터(male connector)가 장착되어 있고, 암수 커넥터 각각의 단부는 암수 커넥터(즉, 호스와 커플러 유닛)가 서로 분리되었을 때 케미컬이 누출되지 않고, 공기나 이물질이 침투하지 않도록 캡(마개)이 씌워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se is equipped with a male connector that matches the female connector at its end, and each end of each male and female connector does not leak chemical when the male and female connectors (ie, hose and coupler uni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Caps (caps) are covered to prevent air or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이와 같이 구성된 커플러 유닛과 호스의 연결은, 작업자(전형적으로 탱크 로리의 운전자)가 암수 커넥터의 위치 정렬을 한 다음, 암수 커넥터의 캡을 벗기고, 암수 커넥터를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The connection of the coupler unit and the hose configured in this way is performed by an operator (typically an operator of the tank lorry) aligning the male and female connectors, then removing the male and female caps, and engaging the male and female connectors.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케미컬은 인체나 환경에 유해하기 때문에, 호스와 커플러 유닛의 연결/분리 작업시 케미컬이 누출되거나 작업자가 케미컬에 노출되는 등의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작업자는 반드시 내화복(耐化服)을 착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작업자(탱크 로리 운전자)가 내화복을 입고 벗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며, 그렇다고 내화복을 착용하고 있는 공장(클린룸) 내부의 작업자가 공장 바깥으로 나와서 호스와 커플러 유닛의 연결/분리 작업을 하는 것은 더욱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특히 기상상태에 따라서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할 수도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se chemicals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or the environment, care must be taken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chemical leakage or exposure of workers to chemicals when connecting / disconnecting hoses and coupler units. Must wear fire resistant clothing. However, it is very troublesome for the operator (tank lorry operator) to wear and take off the fire resistant clothing, but the worker inside the factory (clean room) wearing the fire resistant clothing comes out of the factory to connect / disconnect the hose and coupler unit. Not only is it more cumbersome, but it may be practically impossible, especially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s.

이와 같이 호스와 커플러 유닛의 연결/분리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위험한 작업이므로, 최근에는 그 자동화가 추진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케미컬 탱크로리와 ACQC 유닛간의 자동 체결 시스템은, 캐비닛 형태의 ACQC 유닛의 암 커넥터에 인접하여 별도의 클린 부스와 프레임을 마련하고, 이 클린 부스 안에(프레임에), 호스를 거치가능하고 ACQC 유닛(암 커넥터)을 향해 진퇴가능한 호스 거치대(가동유닛)와, 암수 커넥터 각각의 캡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캡제거수단과, 호스 거치대를 암 커넥터를 향해 진퇴 구동하는 이송유닛을 구비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nection / disconnection of the hose and the coupler unit is a very cumbersome and dangerous operation, the automation thereof has recently been promoted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The automatic tightening system between the chemical tank lorry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nd the ACQC unit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lean booth and frame adjacent to the female connector of the ACQC unit in the form of a cabinet, and a hose can be mounted in the clean booth (to the frame). It is equipped with a hose holder (movable unit) that can move back and forth toward the ACQC unit (female connector), a cap removal means that can automatically remove the cap of each male and female connector, and a transfer unit that drives the hose holder back and forth toward the female connector. do.

이러한 특허문헌 1의 체결 시스템에 의하면, 작업자(탱크로리 운전자)가 캡이 체결된 상태의 호스를 호스 거치대에 거치, 고정하기만 하면, 암수 커넥터의 캡 제거, 호스 거치대의 암 커넥터 쪽으로의 이동 및 암 커넥터에 호스(수 커넥터)의 체결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안전하게 호스와 ACQC 유닛 간의 연결이 가능하고, 작업자는 내화복을 입지 않아도 된다.According to the fastening system of Patent Document 1, if the operator (tankrori operator) simply mounts and fixes the hose in the state where the cap is fastened to the hose holder, the cap of the male and female connector is removed, and the female connector is moved to the female connector of the hose holder. Hose (male connector)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so it is possible to safely connect the hose and the ACQC unit, and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wear fire resistant clothing.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스(20a)는, 금속제의 플랜지(22a, 25a) 및 수 커넥터(21a)를 포함하므로 상당한 중량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커플러 유닛의 암 커넥터는, 건물의 외벽 또는 하우징 외면으로부터 리세스(recess)되거나 관통되어 형성된 공간의 안쪽 깊숙한 곳에 노출되는데, 이는 커플러 유닛의 암 커넥터가 건물 외부의 환경에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피하고, 암수 커넥터의 연결 작업 및 연결후 케미컬 공급 중에 호스를 안정적으로 거치 고정하는 호스 거치대 등의 배치 및 이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However, as shown in FIG. 4, the hose 20a has a considerable weight because it includes metal flanges 22a, 25a and a male connector 21a. In addition, the female connector of the coupler unit is exposed deep inside the space formed by being recessed or penetrat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r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which means that the female connector of the coupler unit is directly exposed to the environment outside the building. The purpose is to secure a space for placement and movement of a hose holder, etc., to stably mount and fix the hose during the chemical supply after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male and female connectors.

따라서, 작업자가 중량물인 호스를 들어올려 상기 공간 안쪽까지 밀어넣어 호스 거치대에 정확히 거치·고정하기가 불편하고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정렬의 가능성이 있고, 작업자의 허리 등 신체에 부담이 될 수 있다.Therefore, the worker lifts the heavy hose and pushes it to the inside of the space, so it is not easy and uncomfortable to mount and fix it accurately on the hose holder, there is a possibility of misalignment, and it can be a burden on the body such as the waist of the worker.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572537호Patent Document 1: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7253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호스와 커플러 유닛의 정렬을 포함한 연결/분리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작업자의 허리 등 신체에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는 호스와 커플러 유닛의 연결/분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technical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easy to connect / disconnect, including the alignment of the hose and the coupler unit, while connecting the hose and the coupler unit to reduce the burden on the body, such as the waist of an operator.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eparation syste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공장 건물의 외벽 또는 하우징 외면으로부터 리세스되거나 관통되어 형성된 공간의 안쪽에 배치되는 커플러 유닛에 대해, 상기 공간에 호스 거치/이송 장치를 배치하되, 호스 거치/이송 장치가 커플러 유닛에서 최대로 후퇴했을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간을 벗어나 건물 외벽 바깥 또는 하우징 외면 바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 coupler unit disposed inside of a space formed by being recessed or penetrated from an outer wall or a housing exterior of a factory building, a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is disposed in the space, When the mount / transfer device is retracted to the maximum in the coupler unit, at least a portion is configured to be exposed outside the space or outside the building exterior wall or outside the housing surface.

즉, 본 발명에 따른 케미컬 공급 호스와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이하, 간단히 '시스템'이라고도 한다)은, 건물 외부의 케미컬 공급원으로부터 케미컬 공급 호스를 통해 케미컬을 건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케미컬 공급 호스와 건물측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물의 외벽 또는 하우징 외면으로부터 리세스되거나 관통되어 형성된 공간의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건물 내부로 케미컬을 공급하는 상기 커플러 유닛; 및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를 거치 가능하고,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를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를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구성된 호스 거치/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유닛의 상기 공간 안쪽 단부에는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와 연결되는 커플러측 커넥터가 상기 공간을 향해 노출되어 있고,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의 선단부에는 상기 커플러측 커넥터와 연결/분리 가능한 호스측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러 유닛과 상기 호스 거치/이송 장치는,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가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전진했을 때 상기 호스측 커넥터와 상기 커플러측 커넥터가 연결 가능하도록 위치 정렬되어 배치되고, 상기 호스 거치/이송 장치는, 상기 커플러 유닛에서 최대로 후퇴했을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간을 벗어나 상기 건물 외벽 바깥 또는 상기 하우징 외면 바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connection / separation system between the chemical supply hose and the coupl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lso simply referred to as a 'system') is a chemical supply for supplying chemicals into the building through a chemical supply hose from a chemical supply outside the building. A connection / separation system between a hose and a building-side coupler unit, comprising: a coupler unit disposed inside the space formed by being recessed or penetrated from the exterior wall or housing exterior of the building to supply the chemical into the building; And a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disposed in the space and capable of mounting the chemical supply hose, and configured to retract the chemical supply hose toward the coupler unit in a state where the chemical supply hose is mounted. A coupler-side connector connected to the chemical supply hose is exposed toward the space at an inner end of the spacer of the coupler unit, and a hose-side connector connectable to / removable from the coupler-side connector is mounted at a front end of the chemical supply hose. , The coupler unit and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are arranged and arranged in a position so that the hose-side connector and the coupler-side connector can be connected when the chemical supply hose advances toward the coupler unit, and the hose mounting / transferring When the device is retracted to the maximum in the coupler unit, at least It is configured such that a part is exposed outside the space outside the building or outside the housing outside the space.

여기서, 상기 호스 거치/이송 장치는,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를 거치하여 클램핑하는 호스 클램핑 유닛과,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을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장착하는 호스 이송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may include a hose clamping unit for mounting and clamping the chemical supply hose, and a hose transport unit for reciprocally mounting the hose clamping unit toward the coupler unit.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스 이송 유닛은, 상기 공간 내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테이블과, 상기 베이스 테이블 상에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테이블 상에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배치된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ose transfer unit includes a base table disposed inside the space, and a sliding table disposed reciprocally toward the coupler unit on the base table, wherein the hose clamping unit comprises On the sliding table is disposed reciprocally towards the coupler unit.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 테이블 및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이 상기 커플러 유닛에서 최대로 후퇴했을 때, 상기 슬라이딩 테이블 및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간을 벗어나 상기 건물 외벽 바깥 또는 상기 하우징 외면 바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liding table and the hose clamping unit are retracted to the maximum in the coupler unit, at least a portion of the sliding table and the hose clamping unit escapes the space and is exposed outside the building outer wall or outside the housing surface. Can be configured.

또한, 상기 슬라이딩 테이블은, 상기 베이스 테이블 상에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배치되는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과, 상기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 상에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은 상기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 상에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table includes a lower sliding table disposed reciprocally toward the coupler unit on the base table, and an upper sliding table disposed reversibly toward the coupler unit on the lower sliding table, The hose clamping unit may be disposed reciprocally on the upper sliding table toward the coupler unit.

이 경우, 상기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 및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은. 상기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의 진퇴가능 범위를 넘어 더 진퇴 가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sliding table and the hose clamping unit. It may be possible to move back and forth beyond the reachable range of the lower sliding table.

또한, 이 경우, 상기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 상기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 및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은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연동하여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하고, 상기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 상기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 및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 중 적어도 어느 2개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동시에 함께 진퇴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case, the lower sliding table, the upper sliding table and the hose clamping unit can move back and forth toward the coupler unit independently or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mong the lower sliding table, the upper sliding table and the hose clamping unit At least any two may be configured to be retractable together at least in some sections at the same time.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과, 상기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 및/또는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 간에는, 서로 맞물려 동시에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한 상태와, 맞물림이 해제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연동하여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한 상태 사이에서 전환가능한 맞물림/해제 기구가 마련되어, 상기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과, 상기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 및/또는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이 선택적으로 동시에 함께 진퇴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lower sliding table and the upper sliding table and / or the hose clamping unit, the coupler unit is engaged with each other at the same time, and is retractable toward the coupler unit, and the engagement is released so as to be independent or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 engagement / release mechanism switchable between the retractable states toward is provided, so that the lower sliding table, the upper sliding table and / or the hose clamping unit can be configured to be retractable together at the same time, optionally.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스 이송 유닛은, 상기 호스측 커넥터 후방의 호스 부분을 받치는 호스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호스 가이드는 작업자가 끌어당겨 인출가능하고, 상기 호스 가이드가 최대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공간을 벗어나 상기 건물 외벽 바깥 또는 상기 하우징 외면 바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ose transfer unit is provided with a hose guide supporting the hose portion of the rear of the hose-side connector, the hose guide is pulled out by the operator, and when the hose guide is withdrawn to the maximum It is configured to be exposed outside the building exterior wall or outside the housing outside the space.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호스 이송 유닛은 동력을 사용하여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을 진퇴 이송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별도의 동력 없이 작업자가 수동으로 진퇴 이송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hose transfer unit may be configured to enable the forward and backward transfer of the hose clamping unit using power, or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operator to manually forward and backward without additional power.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와 건물측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은, 상기 건물 내부에서 상기 케미컬 공급원으로 불활성 기체 호스를 통해 불활성 기체를 불어넣어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로 케미컬이 나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커플러 유닛의 상기 공간 안쪽 단부에는, 상기 커플러측 커넥터에 더해, 상기 불활성 기체 호스와 연결되는 불활성 기체용 커플러측 커넥터가 상기 공간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불활성 기체 호스의 선단부에는 상기 불활성 기체용 커플러측 커넥터와 연결/분리 가능한 불활성 기체용 호스측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호스 거치/이송 장치는,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에 더해, 상기 불활성 기체 호스를 거치 가능하고, 상기 불활성 기체 호스를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불활성 기체 호스를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구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nection / separation system between the chemical supply hose and the building-side coupler unit, blows an inert gas through the inert gas hose to the chemical supply source inside the building so that the chemical comes out of the chemical supply hose. It is configured, and at the inner end of the space of the coupler unit, in addition to the coupler side connector, a coupler side connector for an inert gas connected to the inert gas hose is exposed in the space, and the distal end of the inert gas hose is A hose-side connector for inert gas that is connectable / detachable with a coupler-side connector for an inert gas is mounted, and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is capable of mounting the inert gas hose in addition to the chemical supply hose, and the inert gas hose. The inert gas hose in the state mounted Toward the plug unit is configured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본 발명에 의하면, 호스 거치/이송 장치가 커플러 유닛에서 최대로 후퇴했을 때, 적어도 일부가 호스 거치/이송 장치가 배치된 공간을 벗어나 건물 외벽 바깥 또는 하우징 외면 바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호스와 커플러 유닛의 정렬을 포함한 연결/분리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작업자의 허리 등 신체에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se mounting / transporting device is retracted to the maximum in the coupler unit, at least a portion is configured to be exposed outside the building outer wall or outside the housing outside the space in which the hose mounting / transporting device is disposed. Therefore, it is easy to connect / disconnect, including the alignment of the hose and the coupler unit, while reducing the burden on the body, such as the waist of the operator.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미컬 공급 호스와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의 배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해 커플러 유닛에 연결되는 호스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에 적용되는 호스 거치/이송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호스 거치/이송 장치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호스 거치/이송 장치의 호스 이송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호스 거치/이송 장치의 호스 이송 유닛이 건물 외벽 측으로(후방으로) 최대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호스 거치/이송 장치의 호스 클램핑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호스 클램핑 유닛을 도 9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로서, 키 코드 정렬 지그가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호스 클램핑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호스 클램핑 유닛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메인 클램프의 하측 몸체를 생략하여 메인 클램프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호스 클램핑 유닛의 유동 잠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is not limited to interpretation.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rrangement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 separation system between a chemical supply hose and a coupler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FIGS. 1 and 2.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ose connected to the coupler unit by the system shown in FIGS. 1 to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applied to the systems shown in FIGS. 1 to 3.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shown in FIG. 5 omitted.
7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hose transfer unit of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shown in FIG.
FIG. 8 is a side view of the syste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se transfer unit of the hose mounting / transfer apparatus shown in FIG. 5 is withdrawn to the exterior wall side (backward) as much as possible.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se clamping unit of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shown in FIG. 5.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se clamping unit shown in FIG. 9 viewed from a different direction from FIG. 9,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ey code alignment jig is pulled forward.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se clamping unit shown in FIGS. 9 and 10.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ose clamping unit shown in FIGS. 9 and 10 is opened.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ain clamp by omitting the lower body of the main clamp i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 lock of the hose clamping unit shown in FIGS. 9 to 1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lexical meanings,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explains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is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한편, 첨부 도면에서 각 요소의 크기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면에서의 X축을 좌우방향(+X축방향을 우측, -X축방향을 좌측), Y축을 전후방향(+Y축방향을 전방, -Y축방향을 후방), Z축을 상하방향(+Z축방향을 상방, -Z축방향을 하방)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방향은 관찰자의 위치와 시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each elemen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In the following, the X-axis in the drawing is the left-right direction (+ X-axis direction right, -X-axis direction left), the Y-axis forward-backward direction (+ Y-axis direction forward, -Y-axis direction backward), Z-axis Although it is described as the up-down direction (+ Z-axis direction upward and -Z-axis direction downward), the direction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observer's position and time.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미컬 공급 호스와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이하, 간단히 '시스템'이라고도 한다)의 배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4는 시스템에 의해 커플러 유닛에 연결되는 호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배치 구성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1 to 3 are plan views and side views, respectively, schematically showing an arrangement of a connection / separation system (hereinafter, also simply referred to as a 'system') between a chemical supply hose and a coupler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spective view,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se connected to the coupler unit by the system.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arrangement configura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rst.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커플러 유닛(10), 호스(20a, 20b),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a, 200b)를 포함한다.1 to 3, the system includes a coupler unit 10, hoses 20a, 20b, and hose mount / transfer devices 100, 200a, 200b.

한편, 시스템은 2개의 호스(20a, 20b)를 포함하고, 그에 맞추어, 커플러 유닛(10)도 2개의 호스(20a, 20b)에 각각 연결/분리되는 2개의 커플러측 커넥터(13a, 13b)를 구비하고,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a, 200b)도 2개의 호스(20a, 20b)를 각각의 커플러측 커넥터(13a, 13b)에 연결/분리할 수 있도록, 2개의 호스 클램핑 유닛(200a, 200b)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호스(20a) 및 제1 커플러측 커넥터(13a)는 케미컬을 탱크 로리 등 건물(공장) 외부의 케미컬 공급원으로부터 건물 내부의 케미컬 저장 탱크(미도시)나 생산 설비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고, 제2 호스(20b) 및 제2 커플러측 커넥터(13b)는 제1 호스(20a) 및 제1 커플러측 커넥터(13a)를 통한 케미컬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질소 등의 불활성 기체를 건물(공장) 내부로부터 건물 외부의 케미컬 공급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불활성 기체 호스인 제2 호스(20b)를 통해 불활성 기체를 케미컬 공급원으로 불어넣어 케미컬이 케미컬 공급 호스인 제1 호스(20a)로 원활하게 나오도록 한다.Meanwhile, the system includes two hoses 20a, 20b, and accordingly, the coupler unit 10 also includes two coupler-side connectors 13a, 13b that are connected / disconnected to the two hoses 20a, 20b, respectively. 2 hose clamping units 200a so that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s 100, 200a, 200b can also connect / disconnect two hoses 20a, 20b to respective coupler-side connectors 13a, 13b , 200b). Here, the first hose 20a and the first coupler-side connector 13a are configured for supplying chemicals from a chemical supply source outside a building (factory), such as a tank lorry, to a chemical storage tank (not shown) or a production facility inside the building. , And the second hose 20b and the second coupler-side connector 13b use an inert gas such as nitrogen so that the supply of chemicals through the first hose 20a and the first coupler-side connector 13a is smoothly performed. It is a structure to supply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factory) to the chemical supply outside the building. That is, the inert gas is blown into the chemical source through the second hose 20b which is the inert gas hose so that the chemical is smoothly discharged to the first hose 20a that is the chemical supply hose.

이러한 2개의 호스(20a, 20b), 2개의 커플러측 커넥터(13a, 13b) 및 2개의 호스 클램핑 유닛(200a, 200b)은 쌍을 이루는 요소끼리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주로 제1의 요소(참조부호에 'a'가 붙은 요소)에 대해서 설명하고 제2의 요소(참조부호에 'b'가 붙은 요소)에 대해서는 제1의 요소와 다른 점을 제외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제1의 요소와 제2의 요소를 구분할 필요가 없거나, 함께 지칭할 때에는, 참조부호에서 'a', 'b'를 생략하고 숫자만을 표기하기도 한다.These two hoses (20a, 20b), two coupler-side connectors (13a, 13b) and two hose clamping units (200a, 200b), the basic configuration between the elements of the pair are the same and similar, mainly in the following first The elements (elements with 'a' in the reference sign) are explained,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econd elements (elements with 'b' in the reference sign) are omitted except for differences from the first element. .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it is not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or when referring together, 'a', 'b' are omitted from the reference numeral and only numbers are indicat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2개의 호스(20a, 20b), 2개의 커플러측 커넥터(13a, 13b) 및 2개의 호스 클램핑 유닛(200a, 200b)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제2 호스(20b) 및 제2 커플러측 커넥터(13b)와 이들을 연결/분리하기 위한 제2 호스 클램핑 유닛(200b)은 생략될 수도 있다.Thus, in this embodiment, the system is described as having two hoses 20a, 20b, two coupler-side connectors 13a, 13b, and two hose clamping units 200a, 200b, but the second hose 20b ) And the second coupler side connector 13b and the second hose clamping unit 200b for connecting / disconnecting them may be omitted.

커플러 유닛(10)은, 건물의 외벽(1) 일부에 외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2)에 대향하여, 건물 내부에 건물 외벽(1)으로부터 소정 거리(L) 이격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플러 유닛(10)은 외부와 차단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부스(11) 형태로 구현된다. 커플러 유닛(10)에는 호스(20)가 연결되는 커플러측 커넥터(13)가 구비된다.The coupler unit 1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L) away from the building exterior wall 1 in the building, facing the opening 2 formed through the exterior wall on a part of the exterior wall 1 of the building. In this embodiment, the coupler unit 1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ooth 11 having an internal space blocked from the outside. The coupler unit 10 is provided with a coupler-side connector 13 to which the hose 20 is connected.

커플러측 커넥터(13)의 일단은 Y축 방향으로 리세스된 하우징(12)을 관통하여 부스(11) 외부 공간(S2)에 노출하여 호스(20)와 대향하고, 타단은 부스(11) 내부에서 배관, 밸브 등을 개재하여 케미컬 저장 탱크(미도시)나 생산 설비(미도시)와 연결된다. 부스(11) 외부로 노출된 커플러측 커넥터(13)의 일단에는 케미컬의 누출과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캡(마개)(14)이 씌워져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커플러측 커넥터(13)의 일단 주변에는, 후술하는 호스측 커넥터(21)가 커플러측 커넥터(13)에 연결되었을 때 이들을 붙잡아 의도치 않게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레버(15)가 마련되어 있다.One end of the coupler-side connector 13 penetrates the housing 12 recessed in the Y-axis direction to expose the outside space S2 of the booth 11 to face the hose 20, and the other end is inside the booth 11 Is connected to a chemical storage tank (not shown) or a production facility (not shown) through a pipe, a valve, and the like. One end of the coupler side connector 13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oth 11 is covered with a cap 14 to prevent chemical leakage and foreign matter inflow.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around one end of the exposed coupler-side connector 13, when the hose-side connector 2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coupler-side connector 13, the connection is unintentionally released by holding them. A lever 15 is provided to prevent this.

호스(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측 커넥터(13)와 연결/분리되는 호스측 커넥터(21)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호스(20)의 호스 부분 단부에는 호스측 플랜지(22)가 연결되고, 호스측 커넥터(21)는 호스측 플랜지(22)에 대응하는 커넥터측 플랜지(25)를 구비한다. 호스측 커넥터(21)는 두 플랜지(22, 25)와 그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미도시)을 개재하여, 볼트(27)/너트(28)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호스(20)에 장착된다.As shown in FIG. 4, the hose 20 is equipped with a hose-side connector 21 that is connected / disconnected from the coupler-side connector 13. Specifically, the hose-side flange 22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hose portion of the hose 20, and the hose-side connector 21 is provided with a connector-side flange 25 corresponding to the hose-side flange 22. The hose-side connector 21 is mounted to the hose 20 by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27 / nuts 28 via two flanges 22, 25 and a gasket (not shown) interposed therebetween. do.

호스측 커넥터(21a)에는, 호스(20a)와 커플러 유닛(10) 간의 잘못된 연결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호스(20a)에 의해 공급되는 케미컬의 종류에 따라 고유한 키 코드(key code)(23)가 형성되어 있다. 키 코드(23)는 호스측 커넥터(21a)의 외주면에 형성된 소정의 홈 또는 돌기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플러측 커넥터(13a)의 내주면에는 호스측 커넥터(21a)의 키 코드(23)에 대응되는 확인용 키 코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키 코드(23) 및 확인용 키 코드는 각각 호스측 커넥터(21a)의 외주면 및 커플러측 커넥터(13a)의 내주면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복수 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호스측 커넥터(21a)와 커플러측 커넥터(13a)는 각각에 형성된 키 코드(23)와 확인용 키 코드가 형합(일치)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양자가 대응하는 위치로 정렬되어야 상호 체결이 가능하다. 이러한 키 코드(23)의 구체적인 정렬 방법과 그를 위한 지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order to prevent incorrect connection between the hose 20a and the coupler unit 10, the hose side connector 21a has a unique key code 23 according to the type of chemical supplied by the hose 20a. ) Is formed. The key code 23 may be formed of a predetermined groove or protrusion patter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side connector 21a. In addition, a key cod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key code 23 of the hose-side connector 21a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er-side connector 13a. In addition, the key code 23 and the key code for confirmation may be form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with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side connector 21a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er-side connector 13a, respectively. Therefore, the hose-side connector 21a and the coupler-side connector 13a not only have to match (match) the key code 23 formed on each and the key code for confirmation, but also have to be align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both to achieve mutual fastening. It is possible. A detailed alignment method of the key code 23 and a jig therefor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도 1 내지 도 4에서는 호스측 커넥터(21) 선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호스측 커넥터(21) 선단부에는 커플러측 커넥터(13) 선단부와 마찬가지로 케미컬의 누출과 이물질의 유입을 막기 위한 캡(미도시)이 착탈 가능하게 씌워져 있다. 또한, 도 4에는 실제 케미컬을 공급하는 제1 호스(20a)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불활성 기체 호스인 제2 호스(20b)도 제1 호스(20a)와 기본적인 구조가 같다. 다만, 제2 호스(20b)는 제1 호스(20a)와 크기가 다르며, 키 코드가 다르거나 본 실시예처럼 키 코드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FIGS. 1 to 4, although the front end of the hose-side connector 21 is shown as open, the front end of the hose-side connector 21 is similar to the front end of the coupler-side connector 13 to prevent chemical leakage and foreign matter inflow. The cap (not shown) is detachably covered. In addition, although only the first hose 20a for supplying the actual chemical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FIG. 4, the second hose 20b, which is an inert gas hose, has the same basic structure as the first hose 20a. However, the second hose 20b has a different size from the first hose 20a, and the key code may be different or may not have a key cod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는, 건물 외벽(1)에 형성된 개구(2)를 포함하여 이 개구(2)와 커플러 유닛(10) 사이의 공간(S1)에 배치되고, 호스(20)를 거치·고정하여 커플러 유닛(10)을 향해 Y축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구성된다. 특히, 커플러 유닛(10)과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는, 호스(20)가 커플러 유닛(10)을 향해 전진했을 때 호스측 커넥터(21)와 커플러측 커넥터(13)가 연결 가능하도록 위치 정렬되어 배치된다.Referring again to FIGS. 1 to 3,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s 100 and 200 include an opening 2 formed in the building outer wall 1 and a space between the opening 2 and the coupler unit 10. It is arranged in (S1),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in the Y-axis direction toward the coupler unit 10 by mounting and fixing the hose 20. Particularly, the hose-side connector 21 and the coupler-side connector 13 are connected to the coupler unit 10 and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s 100 and 200 when the hose 20 is advanced toward the coupler unit 10. It is positioned and arranged to be possibl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러 유닛(10)이 건물 외벽(1) 일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2)에 대향하여 건물 외벽(1)에서 이격하여 건물 내부에 배치되고,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가 상기 개구(2) 및 개구와 커플러 유닛(10) 사이의 공간(S1)에 배치된다. 따라서, 건물 외부에서 제1 작업자(탱크 로리 운전자)가 개구(2)를 통해 호스(20)를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에 거치·고정하면, 건물 내부의 상기 공간(S1)에서 제2 작업자(공장 내부 작업자)가 커플러측 커넥터(13)와 호스측 커넥터(21) 각각의 캡(14, 미도시)을 제거하고 커플러측 커넥터(13)에 호스측 커넥터(21)를 연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coupler unit 10 is disposed inside the building spaced apart from the exterior wall 1 of the building facing the opening 2 formed through a part of the exterior wall 1 of the building, and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 100 and 200 are disposed in the opening 2 and the space S1 between the opening and the coupler unit 10. Therefore, when the first worker (tank lorry driver) is mounted and fixed to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s 100 and 200 through the opening 2 outside the building, in the space S1 inside the building. A second worker (worker inside the factory) can remove the cap 14 (not shown) of the coupler side connector 13 and the hose side connector 21 and connect the hose side connector 21 to the coupler side connector 13. have.

이때, 제1 작업자는 케미컬에 노출되지 않으므로(각 커넥터(13, 21)에 캡이 씌워져 있으므로) 번거로운 내화복을 입지 않아도 된다. 한편, 제2 작업자는 케미컬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각 커넥터의 캡을 착탈하므로) 내화복을 입어야 한다. 그렇지만, 제2 작업자는 내화복을 입고 건물 밖으로 나가는 것은 아니므로, 종래 대비 번거로움이 훨씬 덜하다. 특히, 제2 작업자가 건물 내부에서 이미 내화복을 입고 작업중인 경우라면, 건물 내부에서 단지 이동하는 것만으로 호스(20)를 커플링 유닛(10)에 연결/분리 작업을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worker is not exposed to the chemical (because the caps are covered on each connector 13 and 21), so there is no need to wear cumbersome fire resistant clothing.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cond worker is likely to be exposed to the chemical (removing and removing the cap of each connector), the second worker should wear a fire resistant suit. However, since the second worker does not go out of the building wearing a fire resistant suit, the hassle of the conventional method is much less. In particular, if the second worker is already wearing a fire resistant garment inside the building, the hose 20 can be connected / disconnected to the coupling unit 10 by simply moving inside the building.

이때, 제2 작업자가 평소 작업중인 내부 공간(S3)이 클린룸과 같이 고청정도가 요구되는 공간인 경우, 이 내부 공간(S3)과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가 배치되는 공간(S1)은 격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이 두 공간(S1, S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벽(3)과 도어(4) 등에 의해 격리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내부 공간(S3)을 양압으로 유지하여 도어(4)가 열렸을 때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가 배치되는 공간(S1)에서 내부 공간(S3)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이 두 공간(S1, S3) 사이에는 도어(4) 이외에 에어 커튼이나 에어 샤워실을 설치하여, 내화복을 입은 제2 작업자가 공간(S1)에서 부착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내부 공간(S3)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구(2)에는 도어(30)를 설치하여, 본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어(30)를 닫아 공간(S1)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econd worker is working inside the normal space (S3) is a space where high cleanliness is required, such as a clean room, this inner space (S3) and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100, 200) are arranged ( S1) is preferably isolated. To this end, these two spaces (S1, S2) are isolated by the building inner wall (3) and the door (4) as shown in Figure 1, more preferably, the interior space (S3) by maintaining a positive pressure door ( 4) When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s 100 and 200 are opened, air may not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space S3. Furthermore, by installing an air curtain or an air shower in addition to the door 4 between the two spaces S1 and S3, a second worker wearing a fire resistant garment remove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dhering from the space S1 and internally. It can be allowed to enter the space (S3). In addition, the door 30 is installed in the opening 2, and when the system is not in use, the door 30 can be closed to prevent outside air from entering the space S1.

한편, 본 실시예의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인체공학을 고려하여 배치된다. 호스(20), 특히 제1 호스(20a)는 금속제의 플랜지(22, 25) 및 커넥터(21)를 포함하므로 상당한 중량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이러한 중량물을 다루는 제1 또는 제2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거나 팔을 쳐들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가 설치되는 높이인 지면으로부터 개구(2) 하단면까지의 높이(H1)는 약 800~1000mm이고, 개구(2)의 높이(H2)는 약 400~600mm이며, 개구(2)의 폭(W)은 약 600~1000mm일 수 있다. 또한, 공간(S1)의 Y축방향 길이(L)는 제2 작업자가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에 접근하여 작업가능하도록 약 600~1000mm일 수 있다. 한편, 외벽(1)의 두께(t)는 건물의 설계 사양에 따라 정해지지만, 약 250~600mm일 수 있다. 또한, 이 외벽(1)의 두께(t)와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의 Y축방향 길이에 따라서 공간(S1)의 Y축방향 길이(L)가 조정될 수 있다.Meanwhile, each component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in consideration of ergonomics. The hose 20, in particular the first hose 20a, has a considerable weight since it comprises metal flanges 22, 25 and a connector 21. Accordingly, each component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or second operator handling this heavy weight can work without bending the waist or raising the arm.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eight (H1) from the groun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2), which is the height at which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s (100, 200) are installed, is about 800 to 1000 mm, The height H2 of the opening 2 is about 400 to 600 mm, and the width W of the opening 2 can be about 600 to 1000 mm. In addition, the length (L) of the space (S1) in the Y-axis direction may be about 600 to 1000 mm so that the second worker can work by approaching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s 100 and 200. 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t) of the outer wall 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sign specifications of the building, but may be about 250 to 600 mm. In addition, the length (L) of the space (S1) in the Y-axis direction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t) of the outer wall (1) and the length of the Y-axis of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s (100, 200).

한편, 도 2 및 도 3에 부호 40 및 41로 도시된 요소들은,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가 개구(2) 하단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받치는 받침대(40)와 높이 조절구(41)이다. 이때, 도 2에서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를 커플러 유닛(10)의 움푹 들어간 공간(S2)의 하단면과 개구(2)의 하단면에 걸치는 경우에는 받침대(40)를 생략할 수 있고, 나아가 공간(S2)의 하단면과 개구(2)의 하단면의 높이가 일치하고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를 공간(S2)의 하단면과 개구(2)의 하단면에 걸치는 경우에는 받침대(40)와 높이 조절구(41)를 모두 생략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elements shown by reference numerals 40 and 41 in FIGS. 2 and 3, the hose mounting / transporting devices 100 and 200 are s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2 to support the pedestal 40 so as to maintain the level. And height adjuster 41. In this case, when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s 100 and 200 in FIG. 2 are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ssed space S2 of the coupler unit 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2, the pedestal 40 may be omitted. The heigh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S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2) coincide, and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100, 200) is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S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2). In case of striking over, it is also possible to omit both the pedestal 40 and the height adjuster 41.

이어서, 도 5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Subsequently,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s 100 and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4.

먼저, 도 5는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의 사시도이고, 도 6는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호스 거치/이송 장치의 호스 이송 유닛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고, 도 8은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의 호스 이송 유닛(100)이 건물 외벽(1) 측으로(후방으로) 최대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6에서 도시 생략된 요소들은, 제2 호스(20b)의 거치와 이송을 위한 요소들(102b, 103b, 106b, 120b, 130b, 200b)과, 일부 커버들(111, 136, 137)이다.First,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se mounting / transporting devices 100 and 200,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components omitted, and FIG. 7 is a view of the hose transporting unit 100 of the hose mounting / transporting device. 8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FIG. 8 is a side view of a syste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se transfer unit 100 of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100, 200 is withdrawn to the exterior wall 1 side (backward) as much as possible. to be. The elements not shown in FIG. 6 are elements 102b, 103b, 106b, 120b, 130b, 200b for mounting and conveying the second hose 20b, and some covers 111, 136, and 137.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는 크게, 호스를 거치하여 클램핑하는 호스 클램핑 유닛(200)과, 호스 클램핑 유닛(200)을 커플러 유닛(10)을 향해 이송(진퇴)가능하게 장착하는 호스 이송 유닛(100)을 구비한다.5 and 6,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100, 200 is large, the hose clamping unit 200 for clamping by mounting the hose,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toward the coupler unit 10 It is equipped with a hose transfer unit 100 that is mounted to be able to transfer (retreat).

호스 이송 유닛(100)은, 베이스 테이블(101), 호스 가이드(106), 슬라이딩 구동부(110),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을 포함한다. 이중 베이스 테이블(101) 및 슬라이딩 구동부(110)는 제1 호스(20a) 및 제2 호스(20b)에 공통으로 하나가 구비되고,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 및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은 제1 호스(20a) 및 제2 호스(20b) 각각을 위해 슬라이딩 구동부(110)의 좌우에 하나씩 쌍으로 구비된다.The hose transfer unit 100 includes a base table 101, a hose guide 106, a sliding driving unit 110, a lower sliding table 120, and an upper sliding table 130. The double base table 101 and the sliding driving unit 110 are provided with one common to the first hose 20a and the second hose 20b, and the lower sliding table 120 and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re first For each of the hose 20a and the second hose 20b, one pair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iding drive unit 110.

베이스 테이블(101)은 전술한 개구(2)와 높이 조절구(41) 상에 안착되어, 그 위에 호스 이송 유닛(100)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테이블(101) 상에는, 중앙부에 Y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구동부(110)가 고정 배치되고, 슬라이딩 구동부(110)의 좌우에 쌍을 이루어, 가이드 수납부(105)와 가이드 레일(104)이 고정 배치된다. 가이드 수납부(105)에는, 호스 가이드(106)가 Y축방향으로 인출/인입 가능하게, 호스 가이드(106)에 연결된 인출 로드(rod)(107)가 수납된다(도 8 참조). 가이드 레일(104) 상에는,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 호스 클램핑 유닛(200)이 순차적으로, 각각 Y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 테이블(101)의 X축방향 양단에는 호스 이송 유닛(100)의 측면을 덮어 가리는 측면 커버(102)가 설치된다.The base table 101 is seated on the above-described opening 2 and the height adjusting device 41, on which all the components of the hose transfer unit 100 are installed. Specifically, on the base table 101, the sliding drive unit 110 is fixedly arranged along the Y-axis direction in the center portion, and is pair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iding drive unit 110 to guide the storage unit 105 and the guide rail 104 ) Is fixedly placed. In the guide storage section 105, a draw rod 107 connected to the hose guide 106 is accommodated so that the hose guide 106 can be drawn / drawn in the Y-axis direction (see FIG. 8). On the guide rail 104, the lower sliding table 120,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are sequentially and slidably installed in the Y-axis direc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a side cover 102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ase table 101 in the X-axis direction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hose transfer unit 100.

슬라이딩 구동부(110)는, 베이스 테이블(101) 상에 고정된 고정부(117)와, Y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가동부(112)와, 가동부(112)의 이동범위를 규정하는 스토퍼(114, 115)와, 이들을 덮어 가리는 구동부 커버(111, 도 5 참조)를 포함한다. 고정부(117) 내부에는 리니어 모터나 로드리스 실린더(rodless cylinder)와 같은 직선 구동 수단이 내장되어 가동부(112)를 슬라이딩 구동한다. 가동부(112)의 X축방향 양단에는 ㄷ자형의 걸림쇠(113)가 가동부(112)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The sliding drive unit 110 includes a fixed portion 117 fixed on the base table 101, a movable portion 112 sliding in the Y-axis direction, and stoppers 114, 115 that define a moving range of the movable portion 112. ), And a driving unit cover 111 covering them (see FIG. 5). A linear drive means such as a linear motor or a rodless cylinder is built in the fixed part 117 to slide the movable part 112. Both ends of the movable part 112 in the X-axis direction are formed with a U-shaped clasp 113 projecting outwardly from the movable part 112.

한편,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의 가동부(112)쪽 측면에는, 걸림쇠 (113)와 동일한 높이에서 걸림쇠(113) 쪽으로 돌출되어 걸림쇠(113)의 중앙 홈 부분에 삽입되는 1자형의 걸쇠(12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쇠(113)와 걸쇠(122)가 맞물림으로써,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은 가동부(112)의 Y축방향 움직임에 추종하여 Y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구동된다. On the other hand, on the side of the movable portion 112 of the lower sliding table 120, the one-shaped clasp 122 is protruded toward the clasp 113 at the same height as the clasp 113 and inserted into the central groove portion of the clasp 113 Is formed. Therefore, by engaging the latch 113 and the latch 122, the lower sliding table 120 is driven to slide in the Y-axis direction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112 in the Y-axis direction.

이때, 걸림쇠(113)는 스토퍼(114, 115)에 의해 이동범위가 규제되고, 그에 따라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의 슬라이딩(진퇴) 가능범위도 규제된다. 스토퍼(114, 115)는, 예컨대 리미트 스위치로 구현되어 걸림쇠(113)가 접촉하면 가동부(112)의 구동을 멈추게 할 수 있다. 도 6은 걸림쇠(113)가 전방 스토퍼(114)까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의 전방 단부가 베이스 테이블(101)의 전방 단부를 약간 초과한 위치까지 전진해 있음을 알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cking range of the stopper 113 is limited by the stoppers 114 and 115, and accordingly, the range of sliding (retreat) of the lower sliding table 120 is also restricted. The stoppers 114 and 115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limit switch to stop driving of the movable part 112 when the clasp 113 contacts. FIG. 6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latch 113 has moved to the front stopper 114, and the front end of the lower sliding table 120 is advanced to a position slightly exceeding the front end of the base table 101. Able to know.

도 8은 반대로 걸림쇠(113)가 후방 스토퍼(115)까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의 후방 단부가 베이스 테이블(101)의 후방 단부를 넘고, 개구(2)를 벗어나 건물 외벽(1)의 바깥까지 후퇴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은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보다 더 후퇴해 있고, 따라서 그 위의 호스 클램핑 유닛(200)도 개구(2) 밖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나아가 호스 가이드(106)도 개구(2) 밖으로 인출(후퇴)되어 있다. 호스 가이드(106)는 본 실시예에서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제1 작업자가 호스 가이드(106)를 자신 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과 호스 클램핑 유닛(200)의 진퇴 메커니즘은 후술한다. 다만, 도 8에서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과 호스 클램핑 유닛(200)이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보다 더 후퇴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도 6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과 호스 클램핑 유닛(200)은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보다 커플러 유닛(10) 쪽으로 더 전진할 수 있다,FIG. 8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stopper 113 has moved to the rear stopper 115, and the rear end of the lower sliding table 120 exceeds the rear end of the base table 101 and leaves the opening 2 It can be seen that it is retreating to the outside of the outer wall 1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upper sliding table 130 is retracted more than the lower sliding table 120, so the hose clamping unit 200 thereon is also exposed out of the opening 2, and furthermore, the hose guide 106 is also opened ( 2) It is withdrawn (retracted) out. The hose guide 106 can be pulled out by the first operator pulling the hose guide 106 toward itself without a separate driving means in this embodiment. Meanwhile, the forward and backward mechanisms of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later. However, as in FIG. 8,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may be retracted more than the lower sliding table 120, although not shown in FIG. 6,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hose clamping The unit 200 may be further advanced toward the coupler unit 10 than the lower sliding table 120,

이와 같이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 호스 클램핑 유닛(200) 및 호스 가이드(106)가 개구(2) 밖으로 인출(후퇴)되어 있으면, 제1 작업자가 호스(20)를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에 거치·고정하기가 수월해진다. 또한,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 호스 클램핑 유닛(200)이 베이스 테이블(101)의 전방 단부보다 더 전진해 있으면, 제2 작업자가 호스(20)를 커플러 유닛(10)에 연결/분리하기가 수월해진다.As such, when the lower sliding table 120, the upper sliding table 130, the hose clamping unit 200, and the hose guide 106 are drawn out (retracted) out of the opening 2, the first operator may disconnect the hose 20. It is easier to mount and fix on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s (100, 200). In addition, when the lower sliding table 120,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are more advanced than the front end of the base table 101, the second worker connects the hose 20 to the coupler unit 10 ) Makes it easier to connect / disconnect.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의 상면에는 가이드 레일(124)이 고정 배치되고, 이 가이드 레일(124) 상에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이 Y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의 상면에는 가이드 레일(134)이 고정 배치되고, 이 가이드 레일(134) 상에 호스 클램핑 유닛(200)이 고정된 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가 Y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 및 호스 클램핑 유닛(200)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연동하여 Y축방향으로 진퇴가능하고,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 및 호스 클램핑 유닛(200)은,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의 단부를 넘어서까지 진퇴가 가능하다.Referring back to FIG. 6, a guide rail 124 is fixedly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liding table 120, and the upper sliding table 130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guide rail 124 along the Y-axis direction. do. Similarly, a guide rail 134 is fixedly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clamp base plate 201 on which the hose clamping unit 200 is fixed on the guide rail 134 is along the Y-axis direction. It is slidably installed. Therefore, the lower sliding table 120,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can be moved back and forth in the Y-axis direction independently or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 It is possible to move back and forth beyond the end of the lower sliding table (120).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 및 호스 클램핑 유닛(200)은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연동하여 Y축방향으로 진퇴가능하지만, 일정한 구간(예컨대, 두 스토퍼(114, 115) 사이 구간)에서는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 및 호스 클램핑 유닛(200)이 함께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슬라이딩 구동부(110)의 걸림쇠(113)와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의 걸쇠(122)와 유사한 구성을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 및 호스 클램핑 유닛(200) 간에 적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sliding table 120,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can move back and forth in the Y-axis direction independently or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ut with a certain section (for example, two stoppers 114 , 115) section, it may be desirable that the lower sliding table 120,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move together. To this end, the lower sliding table 120,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have similar configurations to the latch 113 of the above-described sliding drive unit 110 and the latch 122 of the lower sliding table 120. ).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의 일측면에 한 쌍의 걸림쇠(125)를 마련하고, 그에 대응되는 높이의 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의 일측에 상기 한 쌍의 걸림쇠(125) 사이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쇠(205)를 마련한다. 따라서,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과 호스 클램핑 유닛(200)은 동시에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다만,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과 독립적으로 호스 클램핑 유닛(200)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한 쌍의 걸림쇠(125)와 걸쇠(205)의 맞물린 상태를 해제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걸림쇠(125)를 승강수단(126)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성하여, 한 쌍의 걸림쇠(125)가 상승하면 걸쇠(205)와 맞물려 슬라이딩 테이블(120)과 호스 클램핑 유닛(200)이 함께 움직이고, 한 쌍의 걸림쇠(125)가 하강하면 걸쇠(205)와 맞물리지 않게 되어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과 호스 클램핑 유닛(200)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승강수단(126)은,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 솔레노이드 플런저, 토글식 래치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a pair of fasteners 125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sliding table 120, and one side of the clamp base plate 201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hereto. In order to provide a latch 205 that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latches 125 is caught. Therefore, the lower sliding table 12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can move together at the same time. However, in order to move the hose clamping unit 200 independently of the lower sliding table 120, a means for releasing the engaged state of the pair of clasps 125 and clasps 205 is required. 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the pair of clasps 125 are configured to be elevated by the lifting means 126, and when the pair of clasps 125 rise, the clasp 205 engages with the sliding table 12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moves together, and when the pair of latches 125 descends, it does not engage with the latches 205 so that the lower sliding table 12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can move independently. Here, the lifting means 126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by a hydraulic cylinder, a solenoid plunger, a toggle latch, or the like.

한편, 승강수단(126)에 의해 한 쌍의 걸림쇠(125)를 상승시킬 때,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과 호스 클램핑 유닛(200)의 독립적인 이동의 결과 걸쇠(205)가 한 쌍의 걸림쇠(125) 사이에 맞물릴 수 없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면, 상승하는 걸림쇠(125)와 걸쇠(205)가 충돌하거나 서로 맞물리지 않아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과 호스 클램핑 유닛(200)을 함께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걸림쇠(125) 사이에 걸쇠 감지 센서(127)을 마련하여, 작업자가 승강수단(126)을 동작시키더라도 걸쇠 감지 센서(127)가 그 위에 걸쇠(205)가 위치한 것을 감지하지 못하면, 경고음 등을 통해 작업자에게 경고하고 승강수단(126)이 동작하지 않게 한다. 걸쇠 감지 센서(127)는 광센서나 접촉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ir of latches 125 are raised by the lifting means 126, as a result of the independent movement of the lower sliding table 12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the latch 205 is a pair of latches ( 125) If it is located in a position that cannot be engaged between, the rising clasp 125 and the clasp 205 do not collide or mesh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ower sliding table 12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cannot be moved together. . 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is embodiment, a latch detection sensor 127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latches 125, so that even if an operator operates the lift means 126, the latch detection sensor 127 has a latch 205 thereon. ) Is not detected, the operator is warned through a warning sound or the like and the lifting means 126 is not operated. The clasp detection sensor 127 may be implemented as an optical sensor or a contact sensor.

또한,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 및 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는 와이어(15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의 상면과 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의 하면에 각각 와이어(151)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구(153, 155)를 마련하고,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의 Y축방향 양단부에 형성된 와이어 홀(135)에 한 쌍의 롤러(152)를 설치하여, 한 쌍의 롤러(152)와 2개의 와이어 고정구(153, 155)를 잇는 와이어 루프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lower sliding table 120,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clamp base plate 20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 151. Specifically, as shown in (a) of FIG. 7, wire fixtures 153 and 155 to which the wires 151 are fixed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liding table 1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lamp base plate 201, respectively. And, by installing a pair of rollers 152 in the wire holes 135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sliding table 130 in the Y-axis direction, the pair of rollers 152 and the two wire fixtures (153, 155) The connecting wire forms a loop.

따라서, 도 7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전술한 한 쌍의 걸림쇠(125)와 걸쇠(205)가 맞물려 있으면 슬라이딩 구동부(110)에 의해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을 진퇴 구동하더라도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만이 아니라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과 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도 동시에 함께 진퇴하고, 한 쌍의 걸림쇠(125)와 걸쇠(205)가 맞물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호스 클램핑 유닛(200)(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을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과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면, 도 7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가 이동한 거리의 절반만큼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이 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를 추종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과 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를 부드럽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고, 호스 클램핑 유닛(200)의 진퇴가능한 범위를 안정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pair of latches 125 and the clasps 205 described above are engaged in the state shown in FIG. 7 (a), even if the lower sliding table 120 is driven back and forth by the sliding driving unit 110, the lower sliding table Not only the 120 but also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clamp base plate 201 are moved back and forth at the same time,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clamp in the state that the pair of latches 125 and the clasps 205 are not engaged) When the base plate 201) is moved independently from the lower sliding table 120, as shown in (b) and (c) of FIG. 7, the upper portion of the clamp base plate 201 is moved by half the distance traveled. The table 130 moves following the clamp base plate 201. By doing in this way,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clamp base plate 201 can be smoothly sliding, and the advanceable and retractable range of the hose clamping unit 200 can be stably extended.

또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고정구(153, 155)를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의 길이방향(Y축방향) 정중앙에서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게 함으로써,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과 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의 전진가능한 범위(a)와 후퇴가능한 범위(b)를 다르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a) of FIG. 7, by biasing the wire fixtures 153 and 155 from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lower sliding table 120 to one side,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advanceable range (a) and the retractable range (b) of the clamp base plate 201 may be different.

한편, 도 6 및 도 7과 이상의 설명에서 와이어(151)는 벨트나 체인으로 대체할 수 있고, 나아가 기어 전동기구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과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가 걸림쇠(125) 및 걸쇠(205)에 의해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어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과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 및 호스 클램핑 유닛(200)이 동시에 움직이거나 서로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게 구현하였지만, 이는 변경 가능하다. 즉, 예컨대,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과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 간에 맞물림/해제 가능한 기구를 구비하거나,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이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 및 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 모두와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맞물림/해제 가능한 기구를 마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이상에서는 와이어 루프와 같은 연동 기구를 이용하여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 및 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가 서로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지만, 연동 기구를 생략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descriptions of FIGS. 6 and 7 and above, the wire 151 may be replaced with a belt or a chain, and further, a gear transmission mechanism. In addition, in the above, the lower sliding table 120 and the clamp base plate 201 are engaged or disengaged by the clasp 125 and the clasp 205 so that the lower sliding table 120 and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hose Although the clamping unit 200 is implemented to move simultaneously or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his is changeable. That is, for example, a mechanism capable of engaging / disengaging between the lower sliding table 120 and the upper sliding table 130, or the lower sliding table 120 is simultaneously with both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clamp base plate 201 Alternatively, a mechanism capable of selectively engaging / disengaging may be provided. Furthermore, in the above, the lower sliding table 120,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clamp base plate 201 can be moved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by using an interlocking mechanism such as a wire loop, but the interlocking mechanism may be omitted.

한편, 도 6에서 생략된 주름 커버(136, 137)는 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의 전후에서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을 덮어, 케미컬 등으로부터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 및 그 아래의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 등을 보호한다. 이때,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 상에서의 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의 이동에 수반하여 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의 전후로 노출되는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의 상면의 면적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러한 노출면적의 변화에 대응하도록, 주름 커버(136, 137)는 Y축방향으로 신축가능한 구조를 가진다.On the other hand, the pleated cover (136, 137) omitted in FIG. 6 covers the upper sliding table (130) before and after the clamp base plate (201), so that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lower sliding table (from the chemical, etc.) 120) Protect your back. At this time, with the movement of the clamp base plate 201 on the upper sliding table 130,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liding table 130 exposed before and after the clamp base plate 201 is changed. To cope with the change, the wrinkle covers 136 and 137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stretched in the Y-axis direction.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테이블을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과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의 2단으로 구성했지만, 응용에 따라서는 상부 또는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 중 하나를 생략하여 1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응용에 따라서는 슬라이딩 테이블을 3단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sliding table is composed of two stages of the lower sliding table 120 and the upper sliding table 130. However,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ne of the upper or lower sliding tables can be omitted and configured as one stage. . In addition, on the contrary,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the sliding table may be configured in three or more stages.

또한, 슬라이딩 구동부(110)는 동력을 사용하여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을 자동으로 슬라이딩시켰으나, 슬라이딩 구동부(110)까지도 작업자가 수동으로 움직일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liding drive unit 110 automatically slides the lower sliding table 120 using power, even the sliding drive unit 110 may manually move the operator.

이어서,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호스 클램핑 유닛(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4, the hose clamp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9 및 도 10은 호스 클램핑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분해사시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호스 클램핑 유닛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한편, 도 9 내지 도 13에는 제1 호스(20a)를 위한 제1 호스 클램핑 유닛(200a)만을 도시하고, 이하에서는 제1 호스 클램핑 유닛(200a)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제2 호스 클램핑 유닛(200b)도 그 기본 구조가 제1 호스 클램핑 유닛(200a)과 동일하다. 다만, 제2 호스 클램핑 유닛(200b)에는 제1 호스 클램핑 유닛(200a)의 보조 클램프(260)와 키 코드 정렬 지그(243) 및 정렬 확인 센서(249)에 해당하는 구성이 생략된다.First, FIGS. 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hose clamping unit,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FIGS. 12 and 1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se clamping unit is opened. Meanwhile, in FIGS. 9 to 13, only the first hose clamping unit 200a for the first hose 20a is illustrated, and only the first hose clamping unit 200a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second hose clamping unit 200b ) Also has the same basic structure as the first hose clamping unit 200a. However,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clamp 260 of the first hose clamping unit 200a, the key code alignment jig 243, and the alignment confirmation sensor 249 is omitted in the second hose clamping unit 200b.

도 9 내지 도 13, 특히 도 11을 참조하면, 호스 클램핑 유닛(200)은 크게, 전술한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에 Y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와, 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 상에 고정되는 고정 지지부(210)와, 고정 지지부(210)에 어느 정도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 지지부(220)와, 유동 지지부(220)에 결합되는 메인 클램프(230) 및 보조 클램프(260)를 구비한다.9 to 13, particularly referring to FIG. 11, the hose clamping unit 200 is largely, a clamp base plate 201 and a clamp base that is slidably mounted in the Y-axis direction to the above-described upper sliding table 130, A fixed support 210 fixed on the plate 201, a flow support 220 coupled to the fixed support 210 to be flowable to some extent, a main clamp 230 coupled to the flow support 220, and an auxiliary A clamp 260 is provided.

고정 지지부(210)는,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고 세워져서 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211, 212)로 이루어진다. 대략 직사각형인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211, 212)에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 대략 반원형의 큰 개구(216)가 형성되어 있고, 큰 개구(216)에는 다시 대략 반원형의 작은 개구(213)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211, 212) 각각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는 움푹 들어간 복수 개의 홈(215)이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211, 212) 중 메인 클램프(230)쪽의 고정 플레이트(211)의 외면에는 고정핀 구멍(217)이 형성되어 있다. 큰 개구(216), 작은 개구(213), 홈(215) 및 고정핀 구멍(217)의 용도와 기능은 후술한다.The fixed support part 210 is made of a pair of fixed plates 211 and 212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re erected and fixed to the clamp base plate 201. A pair of approximately rectangular fixed plates 211 and 212 are formed with large semi-circular large openings 216, each of which has an open top, and a plurality of large semi-circular small openings 213 are again formed in the large opening 216. Is form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215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pair of fixing plates 211 and 212 facing each other. In addition, a fixing pin hole 217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11 on the main clamp 230 side of the pair of fixing plates 211 and 212. The use and function of the large opening 216, the small opening 213, the groove 215, and the fixing pin hole 217 will be described later.

유동 지지부(220)는 대략 아치 형태의 지지블록(221)과, 내면에 호스(20)를 수용하는 대략 반원통 형상의 호스 수용부(224)와, 호스 수용부(224)의 Y축방향 양단부에 고정되는 대략 아치 형태의 한 쌍의 측판(222)을 포함한다. 여기서, 호스 수용부(224)의 Y축방향 길이는 지지블록(221)의 Y축방향 길이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어, 지지블록(221)의 Y축방향 단부와 한 쌍의 측판(222)의 내면 사이는 약간 이격된다. 이렇게 이격된 지지블록(221)의 Y축방향 단부와 한 쌍의 측판(222)의 내면 사이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의 연결봉(223)에 의해 연결되고, 호스 수용부(224)의 외주면이 지지블록(221)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호스 수용부(224)가 지지블록(221)에 탑재된다. 따라서, 호스 수용부(224) 및 양 측판(222)은 지지블록(221)에 어느 정도 유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지지블록(221)의 Y축방향 외면에는 움푹 들어간 복수 개의 홈(225)이 형성된다.The flow support unit 220 includes an approximately arch-shaped support block 221, a substantially semi-cylindrical hose accommodating portion 224 accommodating the hose 20 on its inner surface, and Y-axis end portions of the hose accommodating portion 224. It includes a pair of side plates 222 in the form of a substantially arch fixed to. Here, the length of the Y-axis direction of the hose receiving portion 224 is slightly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Y-axis direction of the support block 221, so that the Y-axis end of the support block 22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side plates 222 The gaps are slightly spaced. The space between the Y-axis end of the spaced support block 22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side plates 222 is connected by a connecting rod 223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receiving portion 224 is supported. The hose receiving portion 224 is mounted on the support block 221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ck 221. Therefore, the hose receiving portion 224 and both side plates 222 are fixed to the support block 221 to be able to flow to some extent. Meanwhile, a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225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221 in the Y-axis direction.

이와 같이 호스 수용부(224) 및 양 측판(222)이 지지블록(221)에 어느 정도 유동가능하게 고정된 유동 지지부(220)는, 고정 지지부(210)의 큰 개구(216)에 삽입된다. 그러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록(221)과 한 쌍의 측판(222) 사이로 고정 지지부(210)의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211, 212)가 삽입되고, 고정 지지부(210)의 작은 개구(213)에 유동 지지부(220)의 연결봉(223)이 삽입되어, 고정 지지부(210)와 유동 지지부(220)가 결합된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고정 지지부(210)의 홈(215)과 유동 지지부(220)의 홈(225)은 서로 대향하게 되고, 양 홈(215, 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미도시)가 개재된다. 따라서, 양 홈(215, 225)에 개재된 탄성체(미도시)와 탄성 재질의 연결봉(223)에 의해, 유동 지지부(220)는 어느 정도 유동 가능하게 고정 지지부(210)에 고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low receiving portion 220 in which the hose receiving portion 224 and both side plates 222 are fixed to be able to flow to the support block 221 to some extent is inserted into the large opening 216 of the fixing support portion 210. Then, as shown in FIG. 9, a pair of fixing plates 211 and 212 of the fixing support 210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block 221 and the pair of side plates 222, and the fixing support 210 The connecting rod 223 of the flow support 220 is inserted into the small opening 213, so that the fixed support 210 and the flow support 220 are combined. At this time, the groove 215 of the fixed support 210 shown in FIG. 11 and the groove 225 of the flow support 220 face each other, and an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in a space formed by both grooves 215 and 225 (Not shown) is interposed. Accordingly, the flow support 220 is fixed to the fixed support 210 to be able to flow to some extent by the elastic rods (not shown) interposed in both grooves 215 and 225 and the connecting rod 223 made of an elastic material.

또한, 유동 지지부(220)의 양 측판(222)의 외면에는, 각각 메인 클램프(230)와 보조 클램프(260)의 하측 클램프(231, 261)가, 각각의 연결 부재(237, 267)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메인 클램프(230)와 보조 클램프(260)는 어느 정도 유동가능한 유동 지지부(220)와 함께, 고정 지지부(210) 및 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201)에 대해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 유동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on the outer surfaces of both side plates 222 of the flow support 220, the lower clamps 231 and 261 of the main clamp 230 and the secondary clamp 260 are respectivel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s 237 and 267. Is fixed. Accordingly, the main clamp 230 and the auxiliary clamp 260 are relatively movable relative to the fixed support 210 and the clamp base plate 201 together with the flow support 220 that is somewhat flowable.

이와 같이 메인 클램프(230)와 보조 클램프(260)를 유동가능하게 구성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호스(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당한 중량물이기 때문에, 호스 가이드(106)가 호스측 커넥터(21)의 후방 호스 부분을 받쳐주기는 하지만, 호스 클램핑 유닛(200)에 의해 받쳐지지 않는 호스측 커넥터(21)의 후방 호스 부분은 아래로 처질 수 있다. 또한, 탱크 로리에서부터 커플러 유닛(10)까지 호스(20)는 일직선을 이루지 못하고 구부러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호스(20)가 커플러 유닛(10)에 연결되어 케미컬이 공급되는 동안 케미컬의 공급 압력은 일정하지 못하고 요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호스(20)가 호스 클램핑 유닛(200)에 의해 클램핑되어 있더라도 호스측 커넥터(21)는 커플러측 커넥터(13)에 대해 편심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물론, 클램프(230, 260)나 커넥터(13, 21)에는 요동, 편심, 경사 등을 완충하고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패킹 등이 마련되어 있지만, 장기간 반복되는 충격, 편심, 경사 등에 패킹이 열화되어 케미컬이 누출되거나 커넥터(13, 21)의 연결이 해제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The reason for configuring the main clamp 230 and the auxiliary clamp 260 to be flowable as follows is as follows. First, since the hose 20 is a considerable weight as described above, the hose guide 106 supports the rear hose portion of the hose-side connector 21, but the hose is not supported by the hose clamping unit 200 The rear hose portion of the side connector 21 can be drooped down. In addition, the hose 20 from the tank lorry to the coupler unit 10 may not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may be bent and arranged. In addition, while the hose 20 is connected to the coupler unit 10 and the chemical is supplied, the supply pressure of the chemical is not constant and fluctuation may occur. Due to these various factors, even if the hose 20 is clamped by the hose clamping unit 200, the hose-side connector 21 may be eccentric or inclined relative to the coupler-side connector 13. Of course, the clamps 230 and 260 or the connectors 13 and 21 are provided with packings to cushion the shaking motion, eccentricity, inclination, etc., and maintain the sealing state, but the packing is deteriorated in shock, eccentricity, inclination, etc. that are repeated for a long time. An accident may occur in which the chemical leaks or the connectors 13 and 21 are disconnected.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클램프(230, 260)가 유동 지지부(220)에 의해 어느 정도 유동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므로, 클램프(230)에 클램핑된 호스측 커넥터(21)가 요동, 편심, 경사 등에 실시간 동적으로 적응하여 패킹 등에 누적될 수 있는 충격이나 비대칭적인 압력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lamps 230 and 260 are supported to a certain degree by a flowable support 220, the hose-side connector 21 clamped to the clamp 230 swings, eccentrics,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shock or asymmetric pressure that can accumulate in packings by adapting in real time to a slope or the like in real time.

한편, 클램프(결과적으로 호스측 커넥터(21))가 유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은 상기와 같이 케미컬이 누출되거나 커넥터(13, 21)의 연결이 해제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지만, 커넥터(13, 21)의 연결/분리시(특히 연결시)에는 호스측 커넥터(21)의 경사나 편심으로 인해 커넥터(13, 21)간의 정렬이 틀어져 오히려 작업을 불편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3, 21)의 연결/분리시에는 클램프(결과적으로 호스측 커넥터(21))가 유동하지 않도록 잠글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lamp (and consequently the hose-side connector 21) is flexibly supported has an effect of preventing an accident in which the chemical leaks or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ors 13 and 21 is released, as described above. When connecting / disconnecting (13, 21) (especially when connecting), the alignment between the connectors 13 and 21 is misaligned due to the inclination or eccentricity of the hose-side connector 21, which may be a factor that makes the work uncomfortab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ck the clamps (and consequently the hose-side connectors 21) so that the connectors 13 and 21 are not connected or disconnected.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호스 클램핑 유닛(200)이 유동 잠금부(25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유동 잠금부(250)는 메인 클램프(230)의 하측 클램프(231)에 고정된다. 유동 잠금부(25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 몸체(251)와, 잠금부 몸체(251)의 일측면에서 출몰가능한(화살표 C 참조) 플런저 형태의 고정핀(255)과, 이 고정핀(255)을 출몰시키는 손잡이(252)와 손잡이 고정구(254)를 포함한다.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the hose clamping unit 200 includes a flow lock 250. Specifically, the flow lock 250 is fixed to the lower clamp 231 of the main clamp 230. 14, the locking part 250 includes a locking part body 251 and a fixing pin 255 in the form of a plunger that can be retracted from one side of the locking part body 251 (see arrow C). , This handle includes a handle 252 and a handle fixture 254 to hung the fixing pin 255.

이렇게 구성되는 유동 잠금부(250)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손잡이(252)를 눌러 잠금부 몸체(251) 안으로 밀어넣으면(화살표 B 참조), 고정핀(255)이 잠금부 몸체(251)에서 돌출되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25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화살표 A 참조) 손잡이 축에 형성된 돌출부(253)가 손잡이 고정구(254)의 홈에 끼워져 손잡이(252)는 눌려진 상태가 유지되고, 고정핀(255)은 돌출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반대로 작동하면(즉, 손잡이(25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잡아당기면, 고정핀(255)은 잠금부 몸체(251) 안으로 들어간다.The flow lock 2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perates as follows, for example. When the handle 252 is pushed and pushed into the lock body 251 (see arrow B), the fixing pin 255 protrudes from the lock body 251, and when the handle 252 is rotated clockwise in this state, (See arrow A) The protrusion 253 formed on the handle shaf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handle fixture 254, so that the handle 252 is kept pressed, and the fixing pin 255 is kept protruded. On the contrary, if it is operated (ie, the handle 25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pulled, the fixing pin 255 enters the lock body 251).

한편, 유동 잠금부(250)는, 고정핀(255)이 돌출되었을 때 전술한 고정 지지부(210)의 고정 플레이트(211) 일측에 형성된 고정핀 구멍(217; 도 11 참조)에 삽입되도록 메인 클램프(230)의 하측 클램프(231)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핀(255)이 돌출되어 고정핀 구멍(217)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메인 클램프(230)와 이에 연결된 유동 지지부(220) 및 보조 클램프(260)가 고정 플레이트(211)에 고정되어 유동 불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low lock portion 250, the main clamp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hole 217 (see FIG. 11)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211 of the above-described fixing support 210 when the fixing pin 255 protrudes It is fixed to the lower clamp 231 of (230). Therefore, when the fixing pin 255 protrudes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hole 217, the main clamp 230 and the flow support 220 and the auxiliary clamp 260 connected thereto are fixed to the fixing plate 211 to flow. It becomes impossible.

메인 클램프(230)는 호스(20), 보다 정확히는 호스(20)에서 호스측 커넥터(21)와 호스 부분의 연결 부분인 두 플랜지(22, 25)를 감싸서 클램핑하는 부재로서, 크게 하측 클램프(231)와, 상측 클램프(232)와, 회동축(233)을 포함한다. The main clamp 230 is a member that wraps and clamps the two flanges 22 and 25, which are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hose-side connector 21 and the hose portion in the hose 20, more specifically, the hose 20, and largely lower clamp 231 ), An upper clamp 232, and a rotation shaft 233.

하측 클램프(231)와 상측 클램프(232)는 각각의 일단이 회동축(23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아치형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측 클램프(232)에 부착된 핸들(234)을 잡고 상측 클램프(232)를 벌리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230)가 개방되고, 노출된 하측 클램프(231) 몸체의 내주면과 양 측판(2311, 2312)에 의해 정의되는 안착 공간에 호스(20)의 두 플랜지(22, 25; 도 4 참조)를 안착하고, 다시 상측 클램프(232)를 닫으면, 메인 클램프(230)는 호스(20)의 두 플랜지(22, 25)의 외주면을 감싸서 클램핑할 수 있다.The lower clamp 231 and the upper clamp 232 have an arcuate structure,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by a rotation shaft 233. Thus, holding the handle 234 attached to the upper clamp 232 and spreading the upper clamp 232, as shown in Figure 12, the clamp 230 is opene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posed lower clamp 231 body When the two flanges 22 and 25 of the hose 20 are seated in the seating space defined by the both side plates 2311 and 2312, and the upper clamp 232 is closed again, the main clamp 230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wo flanges 22 and 25 of the hose 20 may be wrapped and clamped.

이때, 메인 클램프(230)에 의해 클램핑되는 호스(20)의 플랜지(22, 25)는 그 직경과 두께가 규격화되어 있지만, 두 플랜지(22, 25) 사이에 삽입되는 가스켓(미도시)의 두께에 따라서, 볼트(27)와 너트(28)의 조임 정도에 따라서, 혹은 비규격품(특히 호스측 플랜지(22))의 사용이나 공차에 의해, 두 플랜지(22, 25)의 합계 두께가 클램프(231, 232) 몸체의 내주면과 양 측판(2311, 2312; 2321, 2322)에 의해 정의되는 안착 공간의 폭(Y축방향 길이)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 공간은 어느 정도 여유를 가지고 동적으로 가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langes 22 and 25 of the hose 20 clamped by the main clamp 230 are standardized in diameter and thickness, but the thickness of the gasket (not shown) inserted between the two flanges 22 and 25 Depending on the degree of tightening of the bolt 27 and the nut 28, or by the use or tolerance of non-standard products (especially the hose-side flange 22), the total thickness of the two flanges 22, 25 is clamped ( 231, 232) It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the width (Y-axis length) of the seating space defin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nd both side plates 2311, 2312; 2321, 2322.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ing space has a structure that can be dynamically varied with a certain margin.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메인 클램프(23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 클램프(231, 232) 모두, 양 측판(2311, 2312; 2321, 2322) 간의 간격이 스프링(240)에 의해 두 플랜지(22, 25)의 합계 두께에 대응하여 가변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하측 클램프(231, 232) 몸체를 관통하여 양 측판(2311, 2312; 2321, 2322)을 연결하는 연결핀(241)은, 양 측판(2311, 2312; 2321, 2322)이 서로 비틀리지 않고 간격이 가변되도록 양 측판(2311, 2312; 2321, 2322)을 연결한다. 즉, 연결핀(241)의 양단 또는 어느 일단은 양 측판(2311, 2312; 2321, 2322)의 대향하는 내면에 형성된 구멍 안으로 진퇴함으로써, 양 측판(2311, 2312; 2321, 2322)이 서로 비틀리지 않고 Y축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To this end, the main clamp 230 of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13, both the upper and lower clamps (231, 232), the gap between the two side plates (2311, 2312; 2321, 2322) to the spring 240 Therefore, it has a variabl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two flanges 22 and 25.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pins 241 penetrating the body of the upper and lower clamps 231 and 232 to connect both side plates 2311, 2312; 2321, 2322, both side plates 2311, 2312; 2321, 2322 are distorted from each other The two side plates 2311, 2312; 2321, 2322 are connected so that the gap is variable. That is,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in 241 or both ends of the two side plates 2311, 2312; 2321, 2322 by advancing into the holes formed on the opposite inner surfaces of the two side plates, the two side plates 2311, 2312; 2321, 2322 are distorted from each other Instead, it can be moved only in the Y-axis direction.

또한, 호스(20)의 두 플랜지(22, 25)가 상기 안착 공간에 원활하게 삽입 안착할 수 있도록, 양 측판(2311, 2312; 2321, 2322)의 대향하는 내면에는 모서리가 모따기 또는 라운드 처리된 안착 가이드(239)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rners are chamfered or rounded on the opposite inner surfaces of both side plates 2311, 2312; 2321, 2322 so that the two flanges 22, 25 of the hose 20 can be smoothly inserted and seated in the seating space. A seating guide 239 is formed.

한편, 미설명 부호 238은, 호스(20)의 두 플랜지(22, 25)가 메인 클램프(230)의 몸체 내주면에서 미끌어지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붙잡아 주는 널링 패드(knurling pad)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하측 클램프(231, 232)에서 회동축(233)에 의해 연결되지 않은 단부에는, 상하측 클램프(231, 232)를 닫았을 때 상하측 클램프(231, 232)가 개방되지 않도록 잠그는 후크 클램프와 같은 체결수단이 부착된다. 이러한 체결수단은 후술하는 보조 클램프(260)에도 적용된다.Meanwhile, reference numeral 238 is a knurling pad that holds the two flanges 22 and 25 of the hose 20 so as not to slip or rotat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clamp 230.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upper and lower clamps 231 and 232 open when the upper and lower clamps 231 and 232 are closed at the ends that are not connected by the rotation shaft 233 in the upper and lower clamps 231 and 232. A fastening means such as a hook clamp to prevent locking is attached. This fastening means is also applied to the auxiliary clamp 26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메인 클램프(230)에는, 클램핑 기능과는 직접 관련되지 않으나, 호스(20)와 커플러 유닛(10) 간의 잘못된 연결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이 부가된다. Meanwhile, the main clamp 230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clamping function, but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s added to prevent an incorrect connection between the hose 20 and the coupler unit 10.

먼저, 호스 클램핑 유닛(200)에 호스(20)를 거치·고정하지 않은 채 후속 작업이 진행되지 않도록, 메인 클램프(230)에는 호스 안착 센서(242)가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호스 안착 센서(242)는, 도 1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클램프(231)의 일측 측판(2311)에 부착되어, 호스(20)를 상기 안착 공간에 안착하였을 때 호스측 커넥터(21)의 외주면이 접촉됨으로써 호스(20)가 안착되었음을 감지하는 접촉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호스 안착 센서(242)의 종류와 부착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광센서를 이용할 수 있고, 그 부착 위치도 하측 클램프(231)의 안착 공간 내부나 상측 클램프(232)가 될 수 있다.First, a hose seating sensor 242 is attached to the main clamp 230 so that subsequent work does not proceed without mounting and fixing the hose 20 to the hose clamping unit 200. Specifically, the hose seating sensor 242 is attached to one side plate 2311 of the lower clamp 231, as shown in FIG. 12 and the like, when the hose 20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the hose side connector ( 21) by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20 may be implemented as a contact sensor for sensing that the seat. Of course, the type of the hose seating sensor 242 and the attachment position are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 light sensor composed of a pair of light emitting elements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can be used, and the attachment position is also inside the seating space of the lower clamp 231 or It can be an upper clamp 232.

다음으로, 메인 클램프(230)에는 키 코드 정렬 지그(243)가 부착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호스측 커넥터(21a)에는 해당 호스(20a)에 의해 공급되는 케미컬의 종류에 따라 고유한 키 코드(key code)(23)가 형성되어 있고, 커플러측 커넥터(13a)에도 키 코드(23)에 대응되는 확인용 키 코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키 코드(23)와 확인용 키 코드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호스측 커넥터(21a)와 커플러측 커넥터(13a)가 체결되지 않게 함으로써, 잘못된 케미컬을 공급하는 사고를 막을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키 코드(23)와 확인용 키 코드는 서로 대응되는 정위치(통상적으로, Z축방향 최상부)로 정렬되어야 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클램프(230a)에 호스측 커넥터(21a)의 키 코드(23)를 정렬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해 두고, 키 코드가 정위치로 정렬되지 않으면 후속 작업, 즉 호스(20a)를 Y축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작업이 진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Next, a key code alignment jig 243 is attached to the main clamp 23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 unique key code 23 is formed in the hose-side connector 21a according to the type of chemical supplied by the hose 20a, and the coupler-side connector ( Also in 13a), a key code (not shown) for confirma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code 23 is formed. Therefore, if the key code 23 and the confirmation key code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hose side connector 21a and the coupler side connector 13a are prevented from being fastened,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of supplying an incorrect chemical. By the way, as described above, the key code 23 and the key code for confirmation should be aligned in the correct position (typically, the uppermost part in the Z-axis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a means for aligning the key code 23 of the hose-side connector 21a is provided in the main clamp 230a, and if the key code is not aligned in the correct position, subsequent work, that is, the hose 20a )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forward in the Y-axis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키 코드 정렬 수단은 키 코드 정렬 지그(243)와, 정렬 확인 센서(249)로 이루어진다. In this embodiment, the key code alignment means comprises a key code alignment jig 243 and an alignment confirmation sensor 249.

키 코드 정렬 지그(243)는,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에 수직한 평면(XZ평면)에 평행한 대략 평판 아치형의 지그 판(2431)으로 이루어진다. 이 지그 판(2431)의 일단에는 지그 판면에 수직하고 Y축 후방으로 연장되는 지그 봉(246)이 부착된다. 이 지그 봉(246)은 지그 브라켓(248)의 구멍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고, 지그 브라켓(248)은 메인 클램프(230a)의 회동축(233a) 근방에 고정됨으로써, 키 코드 정렬 지그(243)는 메인 클램프(230a)에 부착된다. 한편, 지그 봉(246)의 Y축 후방 단부에는 지그 봉(246)이 Y축 전방으로 전진하여 지그 브라켓(248)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딩 스토퍼(247)가 부착된다. The key code alignment jig 243 is composed of a substantially flat arcuate jig plate 2431 parallel 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Y axis (XZ plane), as shown in FIG. 10 and the like. At one end of the jig plate 2431, a jig rod 246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jig plate surface and extends behind the Y axis is attached. The jig rod 246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jig bracket 248, and the jig bracket 248 is fixed to the pivot shaft 233a of the main clamp 230a, thereby making the key code alignment jig 243 ) Is attached to the main clamp 230a. On the other hand, a sliding stopper 247 is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Y-axis of the jig rod 246 to prevent the jig rod 246 from advancing toward the Y-axis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jig bracket 248.

또한, 키 코드 정렬 지그(243)는 지그 봉(246)을 중심축으로 하여 XZ평면 내에서 회동이 가능한데(도 12 참조), 그 회동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회동 스토퍼(2432)가 구비된다. 즉, 회동 스토퍼(2432)는, 지그 판(2431)의 지그 봉(246)이 부착된 단부와 반대쪽 단부 근방에서 지그 봉(246)과 유사하게 지그 봉(246)과 유사한 길이로 Y축 후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키 코드 정렬 지그(243)가 지그 봉(246)을 중심으로 메인 클램프(230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회동 스토퍼(2432)가 상측 클램프(232a)의 상면에 걸려 더 이상 회동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키 코드 정렬 지그(243)의 회동 범위가 규제된다. 또한, 상측 클램프(232a)를 회동축(233a)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메인 클램프(230a)를 개방하면, 회동 스토퍼(2432)가 상측 클램프(232a)의 상면에 걸려서 키 코드 정렬 지그(243)도 상측 클램프(232a)와 함께 회동하여 개방된다.In addition, the key code alignment jig 243 can be rotated within the XZ plane with the jig rod 246 as a central axis (see FIG. 12), and a rotation stopper 2432 is provided to regulate the rotation range. That is, the rotation stopper 2432 is a length similar to the jig rod 246 in the vicinity of the end opposite the end to which the jig rod 246 of the jig plate 2441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Y axis, similar to the jig rod 246. Is extended. Therefore, when the key code alignment jig 243 rotates in the direction of being close to the main clamp 230a around the jig rod 246, the rotation stopper 2432 is caught by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lamp 232a and is no longer rotated. By making it impossible, the rotation range of the key code alignment jig 243 is regulated. In addition, when the main clamp 230a is opened by rotating the upper clamp 232a around the rotation shaft 233a, the rotation stopper 2432 is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lamp 232a, and the key code alignment jig 243 is also provided. It rotates with the upper clamp 232a to open.

또한, 지그 판(2431)의 지그 봉(246)이 부착된 단부와 반대쪽 단부 근방에서 아치 안쪽 방향 측면에는 호스측 커넥터(21a)에 형성된 키 코드(23)와 대응되는 정렬용 키 코드(244)가 형성되어 있다. 정렬용 키 코드(244)의 형성 위치는, 키 코드 정렬 지그(243)가 지그 봉(246)을 중심으로 메인 클램프(230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가능 범위 끝까지 회동한 상태에서 호스측 커넥터(21)의 최상부와 대향하게 되는 위치이다.In addition, the key code 244 for alignment corresponding to the key code 23 formed on the hose-side connector 21a on the inner side of the arch in the vicinity of the end opposite to the end to which the jig rod 246 of the jig plate 2431 is attached. Is formed.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alignment key code 244 is a hose-side connector (in the state where the key code alignment jig 243 rotates to the end of the rotatable range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the main clamp 230a around the jig rod 246 It is the position facing the top of 21).

한편, 상측 클램프(232a)의 상면에는 정렬 확인 센서(249)가 부착된다. 이 정렬 확인 센서(249)는 접촉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키 코드 정렬 지그(243)가 Y축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지그 판(2431)의 센서 대향부(245)가 정렬 확인 센서(249)에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 정렬되어 부착된다. 물론, 정렬 확인 센서(249)는, 전술한 호스 안착 센서(242)와 마찬가지로, 그 종류 및 부착 위치가 도시된 대로 한정되지는 않는다.On the other hand, an alignment confirmation sensor 249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lamp 232a. The alignment confirmation sensor 249 may be implemented as a contact sensor, and the key code alignment jig 243 slides toward the Y-axis rearward, so that the sensor opposite portion 245 of the jig plate 2431 is connected to the alignment confirmation sensor 249. It is aligned and attached to the contact position. Of course, the alignment confirmation sensor 249, like the hose seating sensor 242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in its kind and attachment position as shown.

이와 같이 구성되는 키 코드 정렬 수단에 의하면, 키 코드 정렬 지그(243)를 Y축 전방으로 전진시킨 상태에서, 호스측 커넥터(21a)의 키 코드(23)가 Z축 상방을 향하도록 메인 클램프(230a)에 호스(20a)를 안착, 클램핑한 다음, 키 코드 정렬 지그(243)를 지그 봉(246)을 중심으로 메인 클램프(230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가능 범위 끝까지 회동시키고, 키 코드 정렬 지그(243)를 Y축 후방으로 후퇴시키면, 키 코드 정렬 지그(243)의 정렬용 키 코드(244) 부분이 호스측 커넥터(21a)의 상면을 접촉하면서 호스측 커넥터(21a)의 키 코드(23)를 지나서 지그 판(2431)의 센서 대향부(245)가 정렬 확인 센서(249)에 접촉됨으로써, 키 코드 검증이 완료된다. 이때, 호스측 커넥터(21a)의 키 코드(23)가 최상부에 위치하도록 호스(20a)가 정렬되지 않거나, 호스측 커넥터(21a)의 키 코드(23)와 정렬용 키 코드(244)가 일치(형합)하지 않으면, 정렬용 키 코드(244)가 호스측 커넥터(21a)의 외주면에 걸리거나 호스측 커넥터(21a)의 키 코드(23)에 걸려 키 코드 정렬 지그(243)는 더 이상 후퇴하지 못하고, 따라서 센서 대향부(245)가 정렬 확인 센서(249)에 접촉하지 못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key code alignment means configured in this way, in a state in which the key code alignment jig 243 is advanced in the Y-axis forward direction, the main clamp (so that the key code 23 of the hose-side connector 21a faces the Z-axis upward) After mounting and clamping the hose 20a to 230a), the key code alignment jig 243 is rotated to the end of the rotatable range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the main clamp 230a around the jig rod 246, and the key code alignment When the jig 243 is retracted to the rear of the Y-axis, the key code 244 of the hose-side connector 21a while the key code 244 for alignment of the key-code alignment jig 243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hose-side connector 21a ( After 23), the sensor opposing portion 245 of the jig plate 2431 contacts the alignment confirmation sensor 249, whereby key code verification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hose 20a is not aligned so that the key code 23 of the hose-side connector 21a is located at the top, or the key code 23 of the hose-side connector 21a and the key code 244 for alignment are matched. If not, the key code alignment jig 243 is no longer retracted because the alignment key code 244 is caugh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side connector 21a or is caught by the key code 23 of the hose-side connector 21a. Therefore, the sensor opposing portion 245 cannot contact the alignment confirmation sensor 249.

보조 클램프(260)는, 호스(20a)의 호스측 플랜지(22a) 후방의 호스 부분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케미컬의 공급 중에 호스(20a)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호스 부분을 클램핑하는 것으로서, 메인 클램프(230)와 유사하게, 하측 클램프(261), 상측 클램프(262), 회동축(263), 핸들(264)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조 클램프(260)의 구체적인 구성과 동작은 메인 클램프(23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auxiliary clamp 260 clamps the hose portion to prevent the hose portion behind the hose-side flange 22a of the hose 20a from sagging down and to prevent the hose 20a from swinging during the supply of chemicals Similar to the main clamp 230, it consists of a lower clamp 261, an upper clamp 262, a rotating shaft 263, a handle 264, and the like. Since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uxiliary clamp 260 is similar to that of the main clamp 230,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가 배치되는 공간이, 상기 개구(2), 이 개구(2)와 이격하여 배치된 커플러 유닛(10) 사이의 공간(S1), 및 커플러 유닛 하우징(12)이 리세스되어 형성된 공간(S2)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가 배치되는 공간은, i) 커플러 유닛 하우징(12)이 리세스되지 않음(공간(S2)이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개구(2)와 공간(S1)으로 이루어지거나, ii) 커플러 유닛(10)이 외벽 내면에 밀착(도 2에서 L=0으로 공간(S1)이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개구(2)와 공간(S2)으로 이루어지거나, iii) 공간(S1)과 공간(S2)이 모두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개구(2)만으로 이루어지거나, 나아가 iv) 커플러 유닛(10)이 건물 외부에 배치됨(도 2에서 t=L=0으로 외벽(1)과 공간(S2)가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공간(S2)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상기 i) 내지 iv)의 어느 경우든,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가 배치되는 공간의 깊이(Y축방향 길이)는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가 배치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pace in which the hose mounting / transporting devices 100 and 200 are disposed, is a space S1 between the opening 2 and the coupler unit 10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2. ), And the coupler unit housing 12 is formed of a space S2 formed by being reces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the space in which the hose mounting / transporting devices 100 and 200 are disposed is: i) the opening 2 and the space (because the coupler unit housing 12 is not recessed (the space S2 does not exist)) S1), or ii) the coupler unit 10 is made of the opening 2 and the space S2 by closel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the space S1 is not present at L = 0 in FIG. 2), iii) Since both the space S1 and the space S2 do not exist, only the opening 2 is formed, or iv) the coupler unit 10 is disposed outside the building (in FIG. 2, the outer wall (t = L = 0) 1) and the space (S2 does not exist) may be made of only the space (S2). However, in any of the cases i) to iv), the depth (Y-axis length) of the space in which the hose mounting / transporting devices 100 and 200 are disposed may be arranged in the hose mounting / transporting devices 100 and 200. The size is set.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호스측 커넥터(21) 및 커플러측 커넥터(13)의 캡을 제거하고 호스측 커넥터(21)와 커플러측 커넥터(13)의 연결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행하도록 구성되었지만, 본 발명은 특허문헌 1과 같이 자동으로 캡을 제거하는 수단을 구비한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ps of the hose-side connector 21 and the coupler-side connector 13 are removed, and the hose-side connector 21 and the coupler-side connector 13 are manually connected by an operat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case in which a means for automatically removing a cap is provided as in Patent Document 1.

이어서,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활용하여 작업자가 호스(20)를 커플러 유닛(10)에 연결/분리하는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Subsequently,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n operation in which an operator connects / disconnects the hose 20 to the coupler unit 10 by utilizing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본 시스템을 활용하여 작업자가 수행하는 작업은 크게, (a) 건물 외부에서 제1 작업자가 호스(20)를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에 거치 및 고정하는 작업과, (b) 건물 내부의 상기 공간(S1)에서 제2 작업자가 호스측 커넥터(21)와 커플러측 커넥터(13) 각각의 캡을 제거하고 호스측 커넥터(21)와 커플러측 커넥터(13)를 연결하는 작업을 포함한다.The work performed by the operator using the present system is largely: (a) the first worker from outside the building mounts and fixes the hose 20 to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100, 200; and (b) the building. In the interior space (S1), the second operator removes the caps of the hose-side connector 21 and the coupler-side connector 13 and connects the hose-side connector 21 and the coupler-side connector 13 do.

구체적으로, 상기 (a)의 작업에서는, 건물 외부에서 제1 작업자(탱크 로리 운전자)가 호스 가이드(106)를 포함한 호스 이송 유닛(100) 및 호스 클램핑 유닛(200)을 자신 쪽으로 끌어당겨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를 호스(20)의 거치 및 고정에 편리한 상태로 만든다(도 8에서 호스(20)가 없는 상태). 이때, 전술한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의 한 쌍의 걸림쇠(125)는 승강수단(126)에 의해 하강된 상태로 하여,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과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 및 호스 클램핑 유닛(200)이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때 제1 작업자는 내화복을 입지 않은 상태로 작업을 해도 된다.Specifically, in the operation of (a), the first worker (tank lorry driver) outside the building pulls the hose conveying unit 10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including the hose guide 106 toward itself to mount the hose. / Make the transfer device (100, 200) in a convenient state for mounting and fixing the hose 20 (the state without the hose 20 in FIG. 8). At this time, the pair of latches 125 of the above-described lower sliding table 120 is lowered by the lifting means 126, the lower sliding table 120,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hose clamping unit ( 200) to be movabl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first worker may work without wearing a fire resistant garment.

이어서, 제1 작업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클램프(230)와 보조 클램프(260)의 각 상측 클램프(232, 262)를 열고, 호스(20)의 두 플랜지(22, 25)가 메인 클램프(230)의 하측 플랜지(231)의 몸체 내주면과 양 측판(2311, 2312)에 의해 정의되는 안착 공간에 안착하도록, 호스(20)를 메인 클램프(230)와 보조 클램프(260)의 각 하측 클램프(231, 261)와 유동 지지부(220)의 호스 수용부(224)와 호스 가이드(106) 상에 올려놓는다. 이때, 키 코드 정렬 지그(24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전방으로 전진시킨 상태로 해 둔다. 한편, 호스(20) 선단부의 호스측 커넥터(21)에는 캡(미도시)이 씌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호스측 커넥터(21a)의 외주면에 형성된 키 코드(23)가 Z축 상방을 향하도록 한다.Subsequently, the first operator opens the upper clamps 232 and 262 of the main clamp 230 and the auxiliary clamp 260 as shown in FIG. 12, and the two flanges 22 and 25 of the hose 20 are main Each lower side of the main clamp 230 and the secondary clamp 260 is connected to the hose 20 so as to settle in a seating space defined by the body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flange 231 of the clamp 230 and both side plates 2311, 2312. The clamps 231 and 261 are placed on the hose receiving portion 224 and the hose guide 106 of the flow support portion 220. At this time, the key code alignment jig 243 is left in a state of advancing forward of the Y axis as shown in FIG. 12. On the other hand, the hose side connector 21 of the front end of the hose 20 is maintained with a cap (not shown) covered, and the key cord 23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side connector 21a faces the Z axis upward. .

이어서, 제1 작업자는 메인 클램프(230)와 보조 클램프(260)의 각 상측 클램프(232, 262)를 닫는다. 또한, 키 코드 정렬 지그(243)도 각 상측 클램프(232, 26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시켜, 정렬용 키 코드(244)를 호스측 커넥터(21a)의 키 코드(23)와 정렬시킨다. 이어서, 제1 작업자는 키 코드 정렬 지그(243)를 Y축 후방으로 후퇴시킨다. 그러면, 호스측 커넥터(21a)의 키 코드(23)와 정렬용 키 코드(244)가 정렬되어 일치(형합)하는 경우, 센서 대향부(245)가 정렬 확인 센서(249)에 접촉함으로써 키 코드의 정렬이 확인된다. 한편, 호스측 커넥터(21a)의 키 코드(23)와 정렬용 키 코드(244)가 정렬되지 않았거나 일치(형합)하지 않는 경우, 정렬용 키 코드(244)가 호스측 커넥터(21a)의 외주면이나 키 코드(23)에 걸려 키 코드 정렬 지그(243)는 더 이상 후퇴하지 못하고, 따라서 센서 대향부(245)가 정렬 확인 센서(249)에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작업자는 키 코드 정렬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잘못된 호스(20a)가 거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Subsequently, the first operator closes the upper clamps 232 and 262 of the main clamp 230 and the auxiliary clamp 260. In addition, the key code alignment jig 243 is also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each of the upper clamps 232 and 262 to align the key code 244 for alignment with the key code 23 of the hose-side connector 21a. Subsequently, the first operator retracts the key code alignment jig 243 behind the Y axis. Then, when the key code 23 of the hose-side connector 21a and the key code 244 for alignment are aligned and matched (matched), the sensor opposing portion 245 contacts the alignment confirmation sensor 249 to obtain the key code. The alignment of is confirmed. On the other hand, if the key code 23 of the hose-side connector 21a and the key code 244 for alignment are not aligned or do not match (match), the key code for alignment 244 of the hose-side connector 21a The key code alignment jig 243 no longer retracts du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key code 23, so that the operator does not contact the alignment confirmation sensor 249 and thus the key code alignment is not performed. It can be seen that an incorrect or incorrect hose 20a is mounted.

이어서, 제1 작업자는 호스 가이드(106)를 포함한 호스 이송 유닛(100) 및 호스 클램핑 유닛(200)을 Y축 전방으로 전진시켜 원위치시킨 다음,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의 한 쌍의 걸림쇠(125)를 승강수단(126)에 의해 상승시켜 걸쇠(205)와 맞물리게 하여,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과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 및 호스 클램핑 유닛(200)이 동시에 커플러 유닛(10)을 향해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Subsequently, the first operator moves the hose conveying unit 10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including the hose guide 106 forward to the Y-axis, and then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n a pair of latches 125 of the lower sliding table 120 ) By the lifting means 126 to engage the clasp 205, the lower sliding table 120,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to advance toward the coupler unit 10 at the same time. Make it possible.

상기 (b)의 작업에서, 제2 작업자는 호스 거치/이송 장치(100, 200)에 올바른 호스(20)가 제대로 거치 및 고정되었는지 확인하고, 문제가 없으면 호스측 커넥터(21)와 커플러측 커넥터(13) 각각의 캡을 제거하고 호스측 커넥터(21)와 커플러측 커넥터(13)를 연결한다.In the operation of (b), the second worker checks whether the correct hose 20 is properly mounted and fixed to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100, 200, and if there is no problem, the hose-side connector 21 and the coupler-side connector (13) Remove each cap and connect the hose-side connector 21 and the coupler-side connector 13.

구체적으로, 제2 작업자는 구동 스위치(미도시)를 턴온하여 슬라이딩 구동부(110)를 동작시켜, 슬라이딩 테이블(120, 130)과 호스 클램핑 유닛(200)을 커플러 유닛(10) 쪽으로 전진시킨다. 이때, 전술한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의 한 쌍의 걸림쇠(125)는 승강수단(126)에 의해 상승된 상태이므로,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과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 및 호스 클램핑 유닛(200)이 동시에 커플러 유닛(10)을 향해 전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operator turns on the driving switch (not shown) to operate the sliding driving unit 110 to advance the sliding tables 120 and 13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toward the coupler unit 10. At this time, since the pair of latches 125 of the above-described lower sliding table 120 is raised by the lifting means 126, the lower sliding table 120,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 Can be advanced toward the coupler unit 10 at the same time.

한편, 이때 호스 안착 센서(242) 및 정렬 확인 센서(249)에 의해 호스(20)의 안착 또는 키 코드의 정렬이 감지되지 않았을 때는, 구동 스위치를 누르더라도 슬라이딩 구동부(110)가 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ating of the hose 20 or the alignment of the key code is not detected by the hose seating sensor 242 and the alignment confirmation sensor 249, the sliding driving unit 110 does not operate even when the driving switch is pressed. You can.

호스(20)의 안착 및 키 코드 정렬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슬라이딩 구동부(110)에 의해 슬라이딩 테이블(120, 130)과 호스 클램핑 유닛(200)이 최대로 전진하면(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의 걸림쇠(113)가 전방 스토퍼(114)까지 전진하면), 슬라이딩 구동부(110)는 동작을 멈춘다. When the seating and key code alignment of the hose 20 is normally performed, and when the sliding tables 120 and 13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are advanced to the maximum by the sliding driving unit 110 (the latch of the lower sliding table 120) If (113) is advanced to the front stopper 114), the sliding drive 110 stops the operation.

그러면, 제2 작업자는 호스측 커넥터(21)와 커플러측 커넥터(13) 각각의 캡을 제거하고,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의 한 쌍의 걸림쇠(125)를 승강수단(126)에 의해 하강시켜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120)과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130) 및 호스 클램핑 유닛(200)이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한 다음, 호스 클램핑 유닛(200)을 수동으로 더 전진시켜(도 7의 (b)의 상태) 호스측 커넥터(21)와 커플러측 커넥터(13)를 연결한다. 이때까지, 유동 잠금부(250)는 잠금 상태, 즉 고정핀(255)이 고정핀 구멍(217)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Then, the second operator removes the cap of each of the hose-side connector 21 and the coupler-side connector 13, and lowers the pair of latches 125 of the lower sliding table 120 by the lifting means 126 After the lower sliding table 120 and the upper sliding table 130 and the hose clamping unit 200 are movabl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hose clamping unit 200 is further advanced manually (of FIG. 7 (b)). State) Connect the hose-side connector 21 and the coupler-side connector 13. Until this time, the flow lock 250 maintains the locked state, that is, the fixed pin 255 is inserted into the fixed pin hole 217.

이후, 유동 잠금부(250)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고, 케미컬 공급을 개시한다.Thereafter, the flow lock unit 250 is switched to the unlocked state, and chemical supply is started.

케미컬 공급이 완료되면, 전술한 순서와 역순으로 호스(20)와 커플러 유닛(10)을 분리하고, 호스(20)를 시스템에서 제거한다.When the chemical supply is completed, the hose 20 and the coupler unit 10 are removed in the reverse order to the above-described order, and the hose 20 is removed from the system.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법에서는, 내화복을 입은 제2 작업자가 호스(20)와 커플러 유닛(10)의 연결/분리 공간(S1)에서 수동 내지 반자동으로 작업을 하므로, 각종 장치의 오차나 불량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시스템이 오작동하게 되더라도 즉각 대처할 수 있어 케미컬의 유출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econd worker wearing the fire resistant garment works manually or semi-automatically in the connection / separation space S1 of the hose 20 and the coupler unit 10, errors or defects of various devices Even if the system malfunctions for various reasons, etc., it can be dealt with immediately, thereby preventing chemical spills.

한편, 전술한 (a) 작업의 호스 거치 및 고정은 제1 작업자가 수행하고, (b)작업의 호스측 커넥터(21)와 커플러측 커넥터(13)의 연결은 제2 작업자가 수행하지만, (a), (b) 작업 사이의 작업인 키 코드 정렬 작업 및 호스 거치/이송 장치에 고정된 호스를 커플러 유닛 쪽으로 전진시키는 작업은, 제1 작업자가 수행해도, 제2 작업자가 수행해도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a) the hose mounting and fixing of the work is performed by the first operator, (b) the connection of the hose-side connector 21 and the coupler-side connector 13 of the work is performed by the second operator, ( The operation between the a) and (b) key code alignment operations and the operation of advancing the hose fixed to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toward the coupler unit may be performed by the first operator or the second operator.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and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he technical thou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equal scope of the claims.

1: 건물 외벽 2: 개구
3: 내벽 4: 도어
10: 커플러 유닛 11: 부스
12: 하우징 13: 커플러측 커넥터
14: 캡 15: 레버
20a: 제1 호스(케미컬 공급 호스) 20b: 제2 호스(불활성 기체 호스)
21: 호스측 커넥터 22: 호스측 플랜지
23: 키 코드 25: 커넥터측 플랜지
27: 볼트 28: 너트
100: 호스 이송 유닛 101: 베이스 테이블
102: 측면 커버 104: 가이드 레일
105: 가이드 수납부 106: 호스 가이드
107: 인출 로드 110: 슬라이딩 구동부
111: 구동부 커버 112: 가동부
113: 걸림쇠 114: 전방 스토퍼
115: 후방 스토퍼 117: 고정부
120: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 122: 걸쇠
124: 가이드 레일 125: 걸림쇠
126: 승강수단 127: 걸쇠 감지 센서
130: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 134: 가이드 레일
135: 와이어 홀 151: 와이어
152: 롤러 153: 와이어 고정구
155: 와이어 고정구 200: 호스 클램핑 유닛
201: 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 205: 걸쇠
210: 고정 지지부 211: 고정 플레이트
212: 고정 플레이트 213: 작은 개구
215: 홈 216: 큰 개구
217: 고정핀 구멍 220: 유동 지지부
221: 지지블록 222: 측판
223: 연결봉 224: 호스 수용부
225: 홈 230: 메인 클램프
231: 하측 클램프 232: 상측 클램프
233: 회동축 234: 핸들
237: 연결 부재 238: 널링 패드
239: 안착 가이드 240: 스프링
241: 연결핀 242: 안착 센서
243: 키 코드 정렬 지그 244: 정렬용 키 코드
245: 센서 대향부 246: 지그 봉
247: 슬라이딩 스토퍼 248: 지그 브라켓
249: 정렬 확인 센서 250: 유동 잠금부
251: 잠금부 몸체 252: 손잡이
253: 돌출부 254: 손잡이 고정구
255: 고정핀 260: 보조 클램프
261: 하측 클램프 262: 상측 클램프
263: 회동축 264: 핸들
1: building exterior wall 2: opening
3: Inner wall 4: Door
10: coupler unit 11: booth
12: housing 13: coupler-side connector
14: cap 15: lever
20a: first hose (chemical supply hose) 20b: second hose (inert gas hose)
21: Hose side connector 22: Hose side flange
23: key code 25: connector side flange
27: bolt 28: nut
100: hose transfer unit 101: base table
102: side cover 104: guide rail
105: guide storage 106: hose guide
107: withdrawal rod 110: sliding drive
111: drive unit cover 112: movable unit
113: Clamp 114: Front stopper
115: rear stopper 117: fixing part
120: lower sliding table 122: clasp
124: guide rail 125: brace
126: lifting means 127: latch detection sensor
130: upper sliding table 134: guide rail
135: wire hole 151: wire
152: roller 153: wire fixture
155: wire fixture 200: hose clamping unit
201: clamp base plate 205: clasp
210: fixed support 211: fixed plate
212: fixing plate 213: small opening
215: groove 216: large opening
217: fixing pin hole 220: flow support
221: support block 222: side plate
223: connecting rod 224: hose receiving section
225: groove 230: main clamp
231: lower clamp 232: upper clamp
233: rotating shaft 234: handle
237: connecting member 238: knurled pad
239: seating guide 240: spring
241: connecting pin 242: seating sensor
243: Key code alignment jig 244: Key code for alignment
245: opposite sensor 246: jig rod
247: sliding stopper 248: jig bracket
249: alignment check sensor 250: flow lock
251: lock body 252: handle
253: protrusion 254: handle fixture
255: fixing pin 260: auxiliary clamp
261: lower clamp 262: upper clamp
263: pivot shaft 264: handle

Claims (12)

건물 외부의 케미컬 공급원으로부터 케미컬 공급 호스를 통해 케미컬을 건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케미컬 공급 호스와 건물측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물의 외벽 또는 하우징 외면으로부터 리세스되거나 관통되어 형성된 공간의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건물 내부로 케미컬을 공급하는 상기 커플러 유닛; 및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를 거치 가능하고,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를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를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구성된 호스 거치/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유닛의 상기 공간 안쪽 단부에는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와 연결되는 커플러측 커넥터가 상기 공간을 향해 노출되어 있고,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의 선단부에는 상기 커플러측 커넥터와 연결/분리 가능한 호스측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러 유닛과 상기 호스 거치/이송 장치는,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가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전진했을 때 상기 호스측 커넥터와 상기 커플러측 커넥터가 연결 가능하도록 위치 정렬되어 배치되고,
상기 호스 거치/이송 장치는, 상기 커플러 유닛에서 최대로 후퇴했을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간을 벗어나 상기 건물 외벽 바깥 또는 상기 하우징 외면 바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와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
As a connection / separation system between the chemical supply hose and the building-side coupler unit for supplying chemicals from the chemical supply outside the building through the chemical supply hose into the building.
The coupler unit disposed inside the space formed by being recessed or penetrat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r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o supply the chemical into the building; And
Included in the space, the chemical supply hose is mountable, and the chemical supply hose is mounted on the hose supply / transfer device configured to retract the chemical supply hose toward the coupler unit.
A coupler-side connector connected to the chemical supply hose is exposed toward the space at the inner end of the space of the coupler unit, and a hose-side connector connectable to / removable from the coupler-side connector is mounted at a front end of the chemical supply hose. And
The coupler unit and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are arranged in a positional arrangement so that the hose-side connector and the coupler-side connector are connectable when the chemical supply hose advances toward the coupler unit,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is configured to connec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er unit to a chemical supply hos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er unit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outer wall or the outside of the housing when at least a part is retracted from the space. / Separ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거치/이송 장치는,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를 거치하여 클램핑하는 호스 클램핑 유닛과,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을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장착하는 호스 이송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와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comprises a hose clamping unit for clamping by mounting the chemical supply hose, and a hose supply unit for reciprocally mounting the hose clamping unit toward the coupler unit. / Disconnection system between the unit and the coupler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이송 유닛은, 상기 공간 내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테이블과, 상기 베이스 테이블 상에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테이블 상에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와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hose transfer unit includes a base table disposed inside the space and a sliding table disposed reciprocally toward the coupler unit on the base table,
The hose clamping unit is a connection / separation system between the chemical supply hose and the coupler unit,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sliding table reciprocally towards the coupler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테이블 및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이 상기 커플러 유닛에서 최대로 후퇴했을 때, 상기 슬라이딩 테이블 및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간을 벗어나 상기 건물 외벽 바깥 또는 상기 하우징 외면 바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와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And when the sliding table and the hose clamping unit are retracted to the maximum in the coupler unit, at least a portion of the sliding table and the hose clamping unit is configured to be exposed outside the building wall or outside the housing surface outside the space. Connection / disconnection system between the chemical supply hose and the coupler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테이블은, 상기 베이스 테이블 상에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배치되는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과, 상기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 상에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은 상기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 상에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와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sliding table includes a lower sliding table disposed reciprocally toward the coupler unit on the base table, and an upper sliding table disposed reversibly toward the coupler unit on the lower sliding table,
The hose clamping unit is a coupling / disconnecting system between a chemical supply hose and a couple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reciprocally toward the coupler unit on the upper sliding tab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 및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은. 상기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의 진퇴가능 범위를 넘어 더 진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와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sliding table and the hose clamping unit. Connection / disconnection system between the chemical supply hose and the couple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move back and forth beyond the reachable range of the lower sliding tab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 상기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 및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은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연동하여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하고,
상기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 상기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 및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은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동시에 함께 진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와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lower sliding table, the upper sliding table and the hose clamping unit can move back and forth toward the coupler unit independently of or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he lower sliding table, the upper sliding table and the hose clamping unit is a connection / separation system between the chemical supply hose and the coupler unit,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moved back and forth together at least in some section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과, 상기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 및/또는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 간에는, 서로 맞물려 동시에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한 상태와, 맞물림이 해제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연동하여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한 상태 사이에서 전환가능한 맞물림/해제 기구가 마련되어, 상기 하부 슬라이딩 테이블과, 상기 상부 슬라이딩 테이블 및/또는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이 선택적으로 동시에 함께 진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와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Between the lower sliding table and the upper sliding table and / or the hose clamping unit, a state in which they engage with each other and can move back and forth toward the coupler unit at the same time, and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is released and can move back and forth toward the coupler unit independently or interlocked with each other Engagement / disengagement mechanism switchable between, wherein the lower sliding table and the upper sliding table and / or the hose clamping unit are selectively retractable together at the same time.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이송 유닛은, 상기 호스측 커넥터 후방의 호스 부분을 받치는 호스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호스 가이드는 작업자가 끌어당겨 인출가능하고, 상기 호스 가이드가 최대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공간을 벗어나 상기 건물 외벽 바깥 또는 상기 하우징 외면 바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와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hose transfer unit is provided with a hose guide supporting a hose portion behind the hose-side connector, and the hose guide is pulled out by an operator and out of the space when the hose guide is pulled out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Connection or disconnection system between the chemical supply hose and the couple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r out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이송 유닛은 동력을 사용하여 상기 호스 클램핑 유닛을 진퇴 이송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와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hose transfer unit is a connection / separation system between a chemical supply hose and a coupler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hose clamping unit is configur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using pow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이송 유닛은 별도의 동력 없이 작업자가 수동으로 진퇴 이송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와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3. The connection / separation system between the chemical supply hose and the coupler uni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hose transfer un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operator to manually move back and forth without additional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와 건물측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은, 상기 건물 내부에서 상기 케미컬 공급원으로 불활성 기체 호스를 통해 불활성 기체를 불어넣어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로 케미컬이 나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커플러 유닛의 상기 공간 안쪽 단부에는, 상기 커플러측 커넥터에 더해, 상기 불활성 기체 호스와 연결되는 불활성 기체용 커플러측 커넥터가 상기 공간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불활성 기체 호스의 선단부에는 상기 불활성 기체용 커플러측 커넥터와 연결/분리 가능한 불활성 기체용 호스측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호스 거치/이송 장치는, 상기 케미컬 공급 호스에 더해, 상기 불활성 기체 호스를 거치 가능하고, 상기 불활성 기체 호스를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불활성 기체 호스를 상기 커플러 유닛을 향해 진퇴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와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 separation system between the chemical supply hose and the building-side coupler unit is configured to blow an inert gas through the inert gas hose to the chemical supply source inside the building, so that the chemical comes out of the chemical supply hose,
At the inner end of the space of the coupler unit, in addition to the coupler-side connector, a coupler-side connector for an inert gas connected to the inert gas hose is exposed in the space, and a coupler for the inert gas is connected to a tip of the inert gas hose. It is equipped with a hose-side connector for inert gas that can be connected / detached to the side connector.
The hose mounting / transfer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ddition to the chemical supply hose, the inert gas hose is mountable, and the inert gas hose is retractable toward the coupler unit while the inert gas hose is mounted. Connection / disconnection system between the chemical supply hose and the coupler unit.
KR1020180124760A 2018-10-18 2018-10-18 System for Connection/Separation between Chemical Supply Hose and Plant-side Coupler Unit KR1021611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760A KR102161182B1 (en) 2018-10-18 2018-10-18 System for Connection/Separation between Chemical Supply Hose and Plant-side Coupler Unit
KR1020200123035A KR102270237B1 (en) 2018-10-18 2020-09-23 System for Connection/Separation between Chemical Supply Hose and Plant-side Coupler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760A KR102161182B1 (en) 2018-10-18 2018-10-18 System for Connection/Separation between Chemical Supply Hose and Plant-side Coupler Uni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035A Division KR102270237B1 (en) 2018-10-18 2020-09-23 System for Connection/Separation between Chemical Supply Hose and Plant-side Coupler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867A true KR20200043867A (en) 2020-04-28
KR102161182B1 KR102161182B1 (en) 2020-09-29

Family

ID=7045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760A KR102161182B1 (en) 2018-10-18 2018-10-18 System for Connection/Separation between Chemical Supply Hose and Plant-side Coupler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18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537B1 (en) 2015-06-15 2015-11-27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티 Auto-connecting system between chemical tank lorry and acqc
KR101779493B1 (en) * 2016-12-06 2017-09-18 (주)에스티아이 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of chemical
KR101802900B1 (en) * 2016-12-29 2017-11-29 (주)에스티아이 Apparatus for assembling hose and connector of chemical 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KR101843383B1 (en) * 2016-12-07 2018-03-29 (주)에스티아이 Hose holding structure of chemical 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537B1 (en) 2015-06-15 2015-11-27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티 Auto-connecting system between chemical tank lorry and acqc
KR101779493B1 (en) * 2016-12-06 2017-09-18 (주)에스티아이 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of chemical
KR101843383B1 (en) * 2016-12-07 2018-03-29 (주)에스티아이 Hose holding structure of chemical 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KR101802900B1 (en) * 2016-12-29 2017-11-29 (주)에스티아이 Apparatus for assembling hose and connector of chemical 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182B1 (en)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372B1 (en) The male connector feed driving device for the automatic cleaning device connected to feed the chemical
KR101894482B1 (en) Automatic insertion system of the automatic clean quick coupler device for transporting the chemical
KR20190040922A (en) Automatic replacement system and method of high-pressure gas tank
KR20180002238A (en) The male connector of the automatic cleaning device connected with a support device for transporting the chemical
KR102161181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on/Separation between Chemical Supply Hose and Plant-side Coupler Unit
KR102161183B1 (en) Width-variable Clamp and Chemical Supply Hose Clamp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2198660B1 (en) Coupler aligning device and system for connecting hose used to supply chemical using same
KR102092609B1 (en) Coupling apparatus for drum container
CN109424857B (en) Mounting structure of automatic chemical supply device
KR102105505B1 (en) Chemical supply apparatus
KR102161182B1 (en) System for Connection/Separation between Chemical Supply Hose and Plant-side Coupler Unit
KR102127569B1 (en) Jig and Method for Aligning Key Code of Chemical Supply Hose
KR102270237B1 (en) System for Connection/Separation between Chemical Supply Hose and Plant-side Coupler Unit
KR102161184B1 (en) Flexible Chemical Supply Hose Clamping Device
KR20180002239A (en) Connector closing device for the automatic cleaning device connected for transferring the chemical
KR102067585B1 (en) Door device for chemical supply hose connecting system and chemical supply hose connecting system using same
KR102029634B1 (en) 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of chemical
JPH0787106B2 (en) Automatic connection device
CN113169100B (en) Locking device for supplying chemical agent and chemical agent automatic supply device with same
US11859744B2 (en) Automatic chemical supply apparatus having opening shutter unit
KR101461256B1 (en) Semi-automatic tool changer
KR102287974B1 (en) System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hose used to supply chemical
KR102056026B1 (en) Inspection machine for 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of chemical
KR102297463B1 (en) System for coupling chemical supply hose
KR102207227B1 (en) System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hose used to supply chemic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