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717A - Gantry loader system for limited ceiling height - Google Patents

Gantry loader system for limited ceiling he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717A
KR20200043717A KR1020180124445A KR20180124445A KR20200043717A KR 20200043717 A KR20200043717 A KR 20200043717A KR 1020180124445 A KR1020180124445 A KR 1020180124445A KR 20180124445 A KR20180124445 A KR 20180124445A KR 20200043717 A KR20200043717 A KR 20200043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tage
unit
slider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4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2984B1 (en
Inventor
황병득
강대성
정재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80124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984B1/en
Publication of KR20200043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7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9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ntry loader system comprising a multi-step arm available in a limited space with a high space use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ntry loader system comprising the multi-step arm available in a limited space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large number of processing housings which have an access opening on an upper side and accommodate processing apparatuses inside to be successively arranged; the multi-step arm which includes horizontal guide rails arranged on an upper side of the processing housings in the direction of arrangement of the processing housings, an arm base, and a large number of arm sliders installed on the arm base, and which can be extended/contracted and elevated/lowered inside the processing housings through the access opening; a first multi-step pickup unit which includes a grip unit installed on a front end of the multi-step arm, and an elevation/lowering driving unit which drives the elevation/lowering of the multi-step arm; a trolley which includes a trolley main body which is able to slide/drive along the horizontal guide rails by supporting the first multi-step pickup unit, and a driving operation unit which drives the trolley main body;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elevation/lowering driving unit and the driving operation unit.

Description

제한된 공간에 사용가능한 다단아암을 포함한 갠트리로더 시스템{GANTRY LOADER SYSTEM FOR LIMITED CEILING HEIGHT}Gantry loader system including multi-stage arms that can be used in limited spaces {GANTRY LOADER SYSTEM FOR LIMITED CEILING HEIGHT}

본 발명은 제한된 공간에 사용가능한 다단아암을 포함한 갠트리로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ntry loader system including a multi-stage arm usable in a limited space.

최근 생산설비의 자동화의 일환으로, 기존의 제조설비의 상부에 갠트리로더를 설치하여 소재의 이송을 자동화하고 있다. 이러한 갠트리로더는 생산설비의 상부로 출입하며 소재를 파지 및 파지해제 한 후 승강 및 좌우 이동시키며 소재를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게 된다.Recently, as part of automation of production facilities, gantry loaders have been installed on top of existing manufacturing facilities to automate material transfer. The gantry loader enters and exits the upper part of the production facility, and after grasping and releasing the material, the gantry loader moves up and down and then moves to the next process.

그런데, 기존의 갠트리로더에서의 소재를 파지하고 승강하는 구조물은 상승된 상태에서 지지점으로부터 상부로 워크까지의 길이만큼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층고가 낮은 건물에서는 갠트리로더의 활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structure for holding and elevating the material in the existing gantry loader has a structure that protrudes as much as the length from the support point to the work in the elevated state,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 of the gantry loader is limited in buildings with low floor height. .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 사용효율이 높은 제한된 공간에 사용가능한 다단아암을 포함한 갠트리로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ntry loader system including a multi-stage arm usable in a limited space with high space use efficiency.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한된 공간에 사용가능한 다단아암을 포함한 갠트리로더 시스템에 있어서, 상부에 액세스개구를 가지고 내부에 가공장치를 수용하여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배열방향을 따라 배치된 수평가이드와, 아암베이스와 상기 아암베이스에 설치되는 다수의 아암슬라이더로 이루어져 상기 액세스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신축승강 가능한 다단아암과, 상기 다단아암의 선단에 설치된 파지부와, 상기 다단아암을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부를 가지는 제1다단픽업부와, 상기 제1다단픽업부를 지지하여 상기 수평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주행 가능한 트롤리본체와, 상기 트롤리본체를 주행시키는 주행구동부를 갖는 트롤리와, 상기 승강구동부와 상기 주행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된 공간에 사용가능한 다단아암을 포함한 갠트리로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in the gantry loader system including a multi-stage arm usable in a limited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usings arranged sequentially by receiving a processing device therein with an access opening on the top, and on the top of the housing A multi-stage arm that is horizontally arranged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housing, an arm base and a plurality of arm sliders installed on the arm base, and is expandable and elevable 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through the access opening, and a tip of the multi-stage arm A first multi-stage pick-up unit having a gripping portion installed on the multi-stage arm for lifting and lowering, and a trolley main body capable of sliding along the horizontal guide by supporting the first multi-stage pick-up unit and driving the trolley body A trolley having a driving driving unit, and the lifting driving unit and the driving driving unit are provided. This is achieved by a gantry loader system comprising a multi-stage arm usable in a limited space characterized by having a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트롤리에 지지되며 상기 제1다단픽업부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다단픽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다단픽업부는 미가공 소재를 픽업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장입하고, 상기 제2다단픽업부는 상기 하우징 내의 가공완료 소재를 인출하게 하는 것으로 트롤리의 이동을 최소화 하면서 소재를 공급 및 인출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multi-stage pickup unit is supported by the trolley and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multi-stage pickup unit, wherein the first multi-stage pickup unit picks up a raw material and inserts it into the housing, and the second multi-stage pickup unit By drawing the processed material in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supply and withdraw the material while minimizing the movement of the trolley.

그리고, 상기 아암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승력을 제공하는 승강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구동부를 통해 상기 다단아암을 승강시킬 때 상기 승강실린더를 구동시키게 하는 것으로 아암슬라이더를 보다 안정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And, further comprising a lifting cylinder that provides a lifting force to at least one of the arm slider, The control unit may raise the arm slider more stably by driving the elevating cylinder when elevating the multi-stage arm through the elevating driving unit.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액세스개구를 개폐하는 개구도어와, 상기 개구도어를 폐쇄방향으로 구동하는 폐쇄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롤리는 하방돌출 및 상향철회 가능한 도어개방연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롤리의 슬라이딩 이동 시 상기 도어개방연동부를 하방돌출시켜 목표로 하는 상기 개구도어를 개방시키게 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개구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n opening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ccess opening, and a closing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opening door in a closing direction, and the trolley further includes a door opening interlocking unit capable of downward protruding and upward retracting, and the control unit. In the case of sliding movement of the trolley, the door opening interlocking part is projected downward to open the target opening door to open the opening door only when necessary.

그리고, 상기 폐쇄구동부는 상기 개구도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스프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losing driving part has a tension spring that provides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to close the opening door.

본 발명에 따른 제한된 공간에 사용가능한 다단아암을 포함한 갠트리로더 시스템은 공간 사용효율이 높다.The gantry loader system including a multi-stage arm usable in a limited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high space use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로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 로더의 작업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와 (b)는 다단픽업부의 상승 및 하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승강구동부와 승강실린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단아암 및 연동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a)와 (b)는 다단아암의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7의 (a)와 (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픽업부의 상승 및 하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픽업부의 승강구동부와 승강실린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픽업부의 다단아암 및 연동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와 (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아암의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gantry load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 to 2 (d)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gantry 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diagrams showing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multi-stage pickup.
4 is a view showing the lifting driving unit and the lifting cylinder.
5 is a view showing a multi-stage arm and an interlocking drive.
6 (a) and (b) are perspective and plan views of a multi-stage arm.
7A and 7B are diagrams showing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multi-stage picku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is a view showing a lift driving unit and a lifting cylinder of a multi-stage pickup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9 is a view showing a multi-stage arm and an interlocking driving unit in a multi-stage pickup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A and 10B are perspective and plan views of a multi-stage a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한된 공간에 사용가능한 다단아암을 포함한 갠트리로더 시스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gantry loader system including a multi-stage arm usable in a limited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로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 로더의 작업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로더 시스템은 크게 일정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부에 배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는 수평가이드레일(110)과, 수평가이드레일(110)을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단픽업부(300)를 가지는 트롤리(200)로 이루어진다.1 is a view showing a gantry load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 to (d)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gantry 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gantry load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housings that are largely and regularly arranged, and a horizontal guide rail 110 that is installed to be extended and extended along an arrangement direc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The horizontal guide rail 110 is slidably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made of a trolley 200 having a multi-stage pick-up unit 300.

하우징은 공장에 설치되어 가공장치나 소재(10)를 수용하는 구조물을 총칭하며, 가공장치를 수용하는 가공하우징(500B)과 소재(10)를 수용하는 소재하우징(500A) 및 완성된 제품을 보관하는 완성품하우징(500C)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하우징은 공장에 주로 작업순서에 따라 일정하게 배열된다. 즉,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으로부터 소재하우징(500A), 가공하우징(500B), 완성품하우징(500C)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각의 하우징이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로더 시스템은, 기존에 하우징 간에 소재(10)를 수작업 또는 전면의 출입구를 통해 인출 및 장입시키던 것을 하우징의 상부를 이동하는 트롤리(200) 및 다단픽업부(300)를 통해 자동화하기 위한 것이다.The housing is installed in a factory and collectively refers to a structure that accommodates a processing device or material 10, and stores a processing housing 500B that accommodates a processing device, a material housing 500A that accommodates a material 10, and a finished product. It includes all of the finished product housings (500C). These housings are regularly arranged in the factory mainly according to the work order. 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material housing 500A, the processing housing 500B, and the finished product housing 500C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from one side, and a plurality of housings may be disposed as needed. have. The gantry load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ed through the trolley 200 and the multi-stage pick-up unit 300 that moves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to draw and load the material 10 between the housings manually or through the front entrance. It is to do.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은 내부에 다양한 형태의 가공장치들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부에 개구도어(520)에 의해 개폐가능한 액세스개구(510)와, 개구도어(520)를 폐쇄방향으로 구동하는 폐쇄구동부를 가진다. 이러한 폐쇄구동부는 개구도어(520)를 액세스개구(510)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스프링(530)으로 이루어져있고, 개구도어(520)는 상향 돌출되는 걸림턱(540)을 가진다. 개구도어(520)는 외력이 걸림턱(540)에 작용하여 액세스개구(51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밀어질 때 액세스개구(510)를 개방하며, 외력이 없어지면 인장스프링(530)에 의해 탄성복귀하며 액세스개구(510)를 차단한다. 본 발명에서 폐쇄구동부는 인장스프링(53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개구도어(520)에 외력이 작용하여 개방된 후 외력이 상실되었을 때 자동폐쇄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 중 선택 가능하다.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ommodate various types of processing devices therein, and an access opening 51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n opening door 520 on the top, and a closing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opening door 520 in the closing direction Have The closed driving part is made of a tension spring 530 that provides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blocking the access opening 510 to the opening door 520, and the opening door 520 has a locking jaw 540 protruding upward. The opening door 520 opens the access opening 510 when the external force acts on the locking jaw 540 and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access opening 510. When the external force disappears, the elastic spring returns by the tension spring 530 And blocks access opening 510.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closed driving unit is described as being composed of a tension spring 530,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opening door 520, and then, after opening, it can be selected from various configurations for automatically closing when the external force is lost.

가공하우징(500B) 내부의 가공장치는 가공에 따라 가스, 스파크, 열, 철가루 등의 유해요소를 발생시키는데, 개구도어(520)는 후술하게 될 다단픽업부(300)가 소재(10)를 액세스개구(510)를 통해 가공하우징(500B) 내로 장입 또는 인출할 때를 제외하고는 가공하우징(500B)의 내부의 유해요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The processing device inside the processing housing 500B generates harmful elements such as gas, spark, heat, iron powder, etc. according to the processing. The opening door 520 includes a multi-stage pick-up uni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the material 10. Except when charging or withdrawing into the processing housing 500B through the access opening 510, harmful elements inside the processing housing 500B are not leaked to the outside.

일정하게 배치되는 하우징의 상부에는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수평가이드레일(110)이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들은 각각의 액세스개구(510)가 일정한 축선을 따라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수평가이드레일(110)은 이러한 액세스개구(510)가 배열되는 축선을 따라 후술하게 될 다단픽업부(300)가 하강했을 때 끝단의 파지부(322)가 소재(10)를 파지하거나 파지해제할 수 있는 높이를 감안하여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평가이드레일(110)의 양단부에는 바닥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기둥이 설치된다. 수직기둥은 수평가이드레일(110)과 수평가이드레일(110)에 지지된 부재들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The horizontal guide rail 110 is dispos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using is regularly arranged. More specifically, the housings are arranged such that each access opening 510 is arranged along a constant axis, and the horizontal guide rail 110 is a multi-stage pickup 300 to be described later along the axis along which the access opening 510 is arranged. ), The gripping portion 322 at the end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housing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at which the material 10 can be gripped or releas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air of vertical pillars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bottom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guide rail 110. The vertical column has a structure capable of sufficiently supporting the members supported by the horizontal guide rail 110 and the horizontal guide rail 110.

수평가이드레일(1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단픽업부(300)를 가지는 트롤리(200)가 설치된다.The horizontal guide rail 110 is slidably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rolley 200 having a multi-stage pickup 300 is installed.

트롤리(200)는 수평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딩 주행 가능한 트롤리본체(210)와 트롤리본체(210)를 주행시키는 주행구동부(220)를 가진다. 수평가이드레일(110)과 트롤리본체(210) 간에는 트롤리본체(210)가 수평가이드레일(110)에 고정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가 설치된다. 또한, 수평가이드레일(1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랙이 설치되고 주행구동부(220)는 주행피니언을 가진다. 이러한 주행피니언은 주행랙에 맞물려 주행구동부(220)에 의해 회전 또는 역회전 하며 트롤리본체(210)가 수평가이드를 따라 좌우방향 슬라이딩 이동하게 한다.The trolley 200 has a trolley body 210 that is capable of sliding along the horizontal guide rail 110 and a travel driving unit 220 for driving the trolley body 210. A guide is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guide rail 110 and the trolley body 210 so that the trolley body 210 is fixed to the horizontal guide rail 110 to be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a driving rack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guide rail 110 and the driving driving unit 220 has a driving pinion. The driving pinion is engaged with the driving rack, rotated or reversed by the driving driving unit 220, and causes the trolley body 210 to slide left and right along the horizontal guide.

트롤리(200)에는 트롤리위치확인센서가 설치된다. 트롤리위치확인센서는 트롤리(200)의 초기위치값이 항상 정확한 자리에 왔는지를 확인하는 초기위치확인센서(841), 트롤리(200)가 좌우방향 슬라이딩 이동할 때 트롤리(200)의 위치값을 파악하는 이동확인센서(842), 트롤리(200)가 수평가이드레일(110)의 양 끝단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리미트확인센서(84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트롤리위치확인센서는 트롤리본체(210)의 좌우 양단에 한 쌍으로 각각 설치된다.The trolley 200 is equipped with a trolley positioning sensor. The trolley positioning sensor detects the initial position of the trolley 200 when the initial positioning sensor 841, the trolley 200 slidingly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check whether the initial position value of the trolley 200 is always in the correct position. It consists of a movement confirmation sensor 842, a limit confirmation sensor 843 that prevents the trolley 200 from falling off both ends of the horizontal guide rail 110. These trolley positioning sensor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pairs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trolley body 210.

트롤리(200)에는 하방돌출 및 상향철회 가능한 도어개방연동부(230)가 설치된다. 도어개방연동부(230)는 트롤리(200)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끝단이 개구도어(520)의 걸림턱(540)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개방연동부(230)는 하방돌출된 상태에서 트롤리(200)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 트롤리(20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힘을 이용하여 개구도어(520)를 개방하며, 상향철회될 때 걸림턱(540)과의 연동이 차단되어 개구도어(520)가 폐쇄구동부에 의해 액세스개구(510)를 자동 폐쇄하도록 한다. 도어개방연동부(230)는 트롤리(200)가 목표로 하는 가공하우징(500B)에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으로 개구도어(520)를 개방하며, 후술하게 될 다단픽업부(300)가 소정의 동작을 모두 완료하는 동안 개구도어(520)에 작용하여 액세스개구(510)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trolley 200 is provided with a door opening interlocking unit 230 capable of protruding downward and retracting upwards. The door opening interlocking portion 230 protrudes downward from the trolley 200 and is formed so that the end is caught by the locking jaw 540 of the opening door 520. When the trolley 200 slides in the downwardly protruding state, the door opening interlocking unit 230 opens the opening door 520 by using the force of the sliding movement of the trolley 200, and when the upward retract is withdrawn, the locking jaw ( Interlocking with 540) is blocked so that the opening door 520 automatically closes the access opening 510 by the closing driving unit. The door opening interlocking unit 230 opens the opening door 520 by sliding to the processing housing 500B targeted by the trolley 200, and the multi-stage pick-up uni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erforms all predetermined operations. During the completion, it acts on the opening door 520 so that the access opening 510 can be opened.

트롤리(200)에는 다단픽업부(300)가 설치된다. 다단픽업부(300)는 트롤리(200)에 다수 개 설치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제1다단픽업부(300)와, 제1다단픽업부(30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2다단픽업부(400)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한다.The multi-stage pick-up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trolley 200. A plurality of multi-stage pickup units 300 can be installed on the trolley 200,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ulti-stage pickup unit 300 and the second multi-stage pickup unit 300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multi-stage pickup unit 300 ).

다단픽업부(300)는 트롤리본체(210)에 설치되는 아암베이스(310)와, 아암베이스(310)에 설치되는 다수의 아암슬라이더로 이루어져 액세스개구(510)를 통해 가공하우징(500B)의 내부로 신축승강 가능한 다단아암(320)과, 다단아암(320)의 선단에 설치된 파지부(322)와, 다단아암(320)을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부를 가진다. 다단픽업부(300)는 트롤리(200)에 설치되는 다단아암(320)이 승강구동부에 의해 하방으로 텔레스코픽하며 다단아암(320) 중 가장 마지막에 배치되는 아암슬라이더에 설치된 파지부(322)가 소재(10)를 파지 및 파지해제하여 가공하우징(500B)에 장입 또는 인출하게 된다. The multi-stage pick-up unit 300 is composed of an arm base 310 installed on the trolley body 210 and a plurality of arm sliders installed on the arm base 310, and the inside of the processing housing 500B through the access opening 510 It has a multi-stage arm 320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a gripping portion 322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multi-stage arm 320, and an elevation driving unit for elevating and driving the multi-stage arm 320. Multi-stage pick-up unit 300 is a multi-stage arm 320 is installed on the trolley 200 is telescopic downward by the lift driving unit, the gripping portion 322 installed on the arm slider disposed at the end of the multi-stage arm 320 (10) is gripped and released by gripping to be charged or withdrawn to the processing housing 500B.

파지부(322)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구조의 그립퍼와 파지제어부를 가지며, 소재(10)를 파지 또는 파지해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들 중에서 선택가능하다. 또한, 가공하우징(500B)의 가공장치는 소재(10)를 파지 또는 파지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파지장치 및 파지장치제어부를 가진다. 파지부(322)는 소재(10)를 가공하우징(500B)의 내부로 이송하여 소재(10)가 가공장치의 파지장치가 파지할 수 있는 구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소재(10)를 파지장치에 장입하고, 파지장치가 장입된 소재(10)를 파지하면 그립퍼는 소재(10)를 파지해제한다. 또한, 가공장치의 파지장치가 가공된 소재(20)를 파지해제하면 그립퍼는 가공된 소재(20)를 파지하여 가공하우징(500B)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gripping portion 322 has a gripper and a gripping control portion having a structure generally used, and is selectable from various configurations capable of gripping or releasing the material 10. In addition, the processing device of the processing housing 500B has a separate gripping device and a gripping device control unit for gripping or releasing the material 10. The gripping part 322 transfers the material 10 to the inside of the processing housing 500B so that the material 10 is located in a section capable of being gripped by the gripping device of the processing device so that the material 10 is loaded into the gripping device. When the gripping device grips the loaded material 10, the gripper releases the gripping material 10. In addition, when the gripping device of the processing device releases the processed material 20, the gripper grips the processed material 20 so that it can b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processing housing 500B.

또한, 파지부(322)에는 개구도어(520)가 액세스개구(510)를 폐쇄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도어확인센서(830)가 설치된다. 도어확인센서(830)는 그립퍼의 측단에 하방을 향해 설치되어 개구도어(520)의 폐쇄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도어확인센서(830)가 개구도어(520)를 검출하게 되면 다단픽업부(300)의 하강이 중단된다.In addition, a door confirmation sensor 830 is installed in the gripping portion 322 to check whether the opening door 520 is closing the access opening 510. The door confirmation sensor 830 is installed downward at the side end of the gripper to check whether the opening door 520 is closed. If the door confirmation sensor 830 detects the opening door 520, the descent of the multi-stage pickup 300 is stopped.

다단픽업부(300)는 파지부(322)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 랙을 가진다. 케이블 랙은 다단아암(320)이 텔레스코픽할 때 케이블을 유연하게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The multi-stage pick-up unit 300 has a separate cable rack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power to the gripping unit 322. The cable rack has a structure capable of flexibly supplying cables when the multi-stage arm 320 is telescopic.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다단픽업부(300)는 다단아암(320)의 텔레스코픽을 이용하여 소재(10)를 장입 또는 인출하게 되므로 텔레스코픽 되지 않은 초기상태일 때에는 다단픽업부(300)의 최상단 높이 이상으로는 별도의 부재가 상향돌출 되지 않는다. 즉, 건축물에서 가공하우징(500B)의 상부의 높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도 다단픽업부(300)의 높이만큼의 여유만 있어도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로더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ulti-stage pick-up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ges or withdraws the material 10 by using the telescopic of the multi-stage arm 320, so that it is at the top of the multi-stage pick-up unit 300 when it is not telescopic. Above the height, a separate member does not protrude upward. That is, even if the heigh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rocessing housing 500B in the building is not sufficient, the gantry load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if there is a margin as high as the height of the multi-stage pickup unit 300.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로더 시스템은 승강구동부와 주행구동부(220) 및 파지부(322)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갖는다. 제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동부와 파지부(322)를 제어하여 소재(10)를 장입 또는 인출한다.The gantry load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ft driving unit, the driving driving unit 220, the gripping unit 322,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unit controls each driving unit and the gripping unit 322 to charge or withdraw the material 10.

도 2의 (a)는 가공 전 소재(10)를 소재하우징(500A)에서 가공하우징(500B)에 공급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내며, (b)는 가공된 소재(20)를 파지하여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c)는 가공 전 소재(10)를 가공하우징(500B)에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d)는 가공된 소재(20)를 완성품하우징(500C)에 공급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다.FIG. 2 (a) shows a state for supplying the material 10 before processing from the material housing 500A to the processing housing 500B, and (b)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processed material 20 is gripped and withdrawn.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material 10 is supplied to the processing housing 500B before processing, and (d) indicates a state for supplying the processed material 20 to the finished product housing 500C.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로더가 제1다단픽업부(300)와 제2다단픽업부(400)를 가지고, 소재하우징(500A)과 가공하우징(500B) 및 완성품하우징(500C)을 가지는 상태에서 제어부가 소재(10)를 장입 또는 인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1 and 2, the gantry 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multi-stage pickup unit 300 and a second multi-stage pickup unit 400, a material housing 500A, a processing housing 500B, and a finished product housing The operation in which the control unit charges or withdraws the material 10 in the state having 500C will be described.

모든 동작에서 주행구동부(220)는 트롤리(200)를 수평가이드레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승강구동부는 다단픽업부(300)를 승강시키며, 파지제어부는 그립퍼를 파지 또는 파지해제시키며, 파지장치제어부는 파지장치를 파지 또는 파지해제시킨다. 이러한 주행구동부(220), 승강구동부, 파지제어부 및 파지장치제어부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각각의 동작은 구동센서(810), 정위치확인센서(820), 도어확인센서(830) 및 트롤리위치확인센서들에 의해 검출 및 관리된다.In all operations, the driving driving unit 220 slides the trolley 200 in the left-right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guide rail 110, the lifting driving unit elevates the multi-stage pickup unit 300, and the grip control unit grips the gripper. Gripping or holding is released, and the gripping device control unit grips or releases the gripping device. The driving driving unit 220, the lifting driving unit, the gripping control unit and the gripping device control unit ar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and each operation is a driving sensor 810, a positioning sensor 820, a door confirmation sensor 830, and a trolley position It is detected and managed by confirmation sensors.

우선, 트롤리(200)를 초기위치확인센서(841)를 이용하여 초기위치에 고정 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200)를 이동시켜 제1다단픽업부(300)와 제2다단픽업부(400) 중 어느 하나가 소재하우징(500A)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만약 소재(10)의 상부에 제2다단픽업부(400)가 위치한다면, 제2다단픽업부(400)가 승강 및 파지동작을 실시하도록 한다. 여기서 승강동작은 승강구동부가 다단아암(320)을 신축승강시키는 동작을 의미하며 파지동작 및 파지해제동작은 파지제어부가 그립퍼를 파지 또는 파지해제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제2다단픽업부(400)가 소재(10)를 파지하면 트롤리(200)를 목표로 하는 가공하우징(500B)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트롤리(200)가 가공하우징(500B)으로 접근하는 동안 도어개방연동부(230)가 하방돌출하여 목표로하는 가공하우징(500B)의 개구도어(520)를 개방하여 액세스개구(510)를 확보한다. 제2다단픽업부(400)를 승강 및 파지해제시키고, 파지장치가 소재(10)를 파지하도록 한다.First, the trolley 200 is fixed to the initial position using the initial positioning sensor 841. As illustrated in FIG. 1, one of the first multi-stage pickup unit 300 and the second multi-stage pickup unit 4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terial housing 500A by moving the trolley 200. If the second multi-stage pick-up unit 400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terial 10, the second multi-stage pick-up unit 400 performs an elevating and gripping operation. Here, the elevating operation refers to an operation in which the elevating driving unit extends and lowers the multi-stage arm 320, and the gripping operation and the gripping release operation refers to an operation in which the gripping control unit grips or releases the gripper. When the second multi-stage pick-up unit 400 grips the material 10, it mov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rocessing housing 500B targeting the trolley 200. At this time, while the trolley 200 approaches the processing housing 500B, the door opening interlocking unit 230 protrudes downward to open the target opening of the processing housing 500B, thereby opening the access opening 510. Secure. The second multi-stage pickup 400 lifts and releases the grip, and the gripping device grips the material 10.

위와 같은 동작을 통해 소재(10)를 가공하우징(500B)에 공급하게 되며, 가공하우징(500B)이 많을 경우 반복을 통해 각각의 가공하우징(500B)에 소재(10)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트롤리(200)가 특정 가공하우징(500B)에서 작업 완료하면 도어개방연동부(230)는 상향철회하여 개구도어(520)가 폐쇄구동부에 의해 액세스개구(510)를 폐쇄하여 가공장치가 소재(10)를 가공하도록 한다.Through the above operation, the material 10 is supplied to the processing housing 500B, and when there are many processing housings 500B, the material 10 is supplied to each processing housing 500B through repetition. In addition, when the trolley 200 completes the work in the specific processing housing 500B, the door opening interlocking unit 230 retracts upward, and the opening door 520 closes the access opening 510 by the closing driving unit, thereby processing the material. (10) to be processed.

특정 가공하우징(500B)에서 소재(10)의 가공이 완료되면, 트롤리(200)의 제2다단픽업부(40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하우징(500A)에서 소재(10)를 파지하여 가공하우징(500B)의 상부로 이동한다. 그 후 도어개방연동부(23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돌출하여 개구도어(520)를 개방한다. 그리고 제1다단픽업부(300)는 하강하여 파지부(322)가 가공이 완료된 소재(20)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파지장치는 파지장치제어부에 의해 파지해제하여 가공된 소재(20)를 파지해제한다. 제1다단픽업부(300)가 가공된 소재(20)를 파지하여 상승한 후 트롤리(200)는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 이동하여 제2다단픽업부(400)가 파지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 후 제2다단픽업부(400)를 하강시켜 파지한 소재(10)를 파지장치에 공급하여 파지장치가 소재(10)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개구도어(520)는 도어개방연동부(230)에 의해 액세스개구(510)를 지속적으로 개방하고 있다. 그 후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200)는 제1다단픽업부(300)가 가공된 소재(20)를 파지한 채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어개방연동부(230)는 상향철회 하여 개구도어(520)가 액세스개구(510)를 차단하여 가공하우징(500B) 내에서 가공장치가 소재(10)를 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가공된 소재(20)를 파지하고 있는 트롤리(200)는 도 1에 도시된 완성품하우징(500C)으로 이동하여 가공된 소재(20)를 완성품하우징(500C)에 보관하게 하거나, 후속가공이 필요할 경우 후속가공이 가능한 다른 가공하우징(500B)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processing of the material 10 in the specific processing housing 500B is completed, the second multi-stage pick-up unit 400 of the trolley 200, as shown in Figure 2 (a), the material in the material housing 500A (10) is gripped and moved to the top of the processing housing (500B). Thereafter, as shown in FIG. 2B, the door opening interlocking unit 230 protrudes downward to open the opening door 520. In addition, the first multi-stage pickup unit 300 descends to allow the gripping unit 322 to grip the finished material 20. At this time, the gripping device releases gripping by the gripping device control unit to release the processed material 20. After the first multi-stage pick-up unit 300 grips the processed material 20 and rises, the trolley 200 mov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s shown in FIG. 2 (c), so that the second multi-stage pickup unit 400 After being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ripping device, the second multi-stage pickup unit 400 is lowered to supply the gripped material 10 to the gripping device so that the gripping device can grip the material 10. At this time, the opening door 520 continues to open the access opening 510 by the door opening interlocking unit 230. Thereafter, as shown in FIG. 2 (d), the trolley 200 moves while the first multi-stage pick-up unit 300 grips the processed material 20. At this time, the door opening interlocking unit 230 is retracted upward so that the opening door 520 blocks the access opening 510 so that the processing device can process the material 10 within the processing housing 500B. The trolley 200 holding the processed material 20 moves to the finished product housing 500C shown in FIG. 1 to store the processed material 20 in the finished product housing 500C, or requires subsequent processing. In this case, it can be moved to another processing housing 500B capable of subsequent processing.

위와 같은, 동작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제한된 공간에 사용가능한 다단아암(320)을 포함한 갠트리로더 시스템은 제1다단픽업부(300)와 제2다단픽업부(400)를 이용하여 트롤리(200)가 소재(10, 20)를 공급하거나 인출하는 이동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트롤리(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개구도어(52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개구도어(520)를 개폐시키는데 필요한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antry loader system including the multi-stage arm 320 usable in a limited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operation is the trolley 200 using the first multi-stage pickup unit 300 and the second multi-stage pickup unit 40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oving distance to supply or withdraw the material (10, 20), and simply operate the opening door 520 through sliding movement of the trolley 200 to simplify the structure requir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door 520. can do.

또한, 트롤리(200)가 이동하고 다단픽업부(300)가 승강하는 동안 도어확인센서(830)와 트롤리위치확인센서를 통해 정확하고 안전한 구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urate and safe driving is possible through the door confirmation sensor 830 and the trolley positioning sensor while the trolley 200 moves and the multi-stage pickup 300 moves up and down.

도 3의 (a)와 (b)는 다단픽업부의 상승 및 하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승강구동부와 승강실린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다단아암 및 연동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a)와 (b)는 다단아암의 사시도와 평면도이고, 도 7의 (a)와 (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픽업부의 상승 및 하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픽업부의 승강구동부와 승강실린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픽업부의 다단아암 및 연동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의 (a)와 (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아암의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사항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한된 공간에 사용가능한 다단아암을 포함한 갠트리로더 시스템에 사용되는 다단픽업부에 관해 설명한다.3 (a) and (b) is a diagram showing the rise and fall of the multi-stage pick-up part, FIG. 4 is a view showing the lift driving unit and the lifting cylinder, FIG. 5 is a view showing the multi-stage arm and the interlocking driving unit, and FIG. 6 Silver (a) and (b)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a multi-stage arm, Figure 7 (a) and (b) is a view showing the rise and fall of the multi-stage picku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8 is another embodiment FIG. 9 is a view showing a lift driving unit and a lifting cylinder according to a multi-stage pickup unit. FIG. 9 is a view showing a multi-stage arm and an interlocking driving unit of a multi-stage pickup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the multi-stage arm according to the. Hereinafter, a multi-stage pickup unit used in a gantry loader system including a multi-stage arm usable in a limited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items illustrated in FIGS. 3 to 10.

다단픽업부(300)는 다단신축 가능한 승강픽업장치를 의미하며, 트롤리본체(210)에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다단픽업부(300)는 아암베이스(310)와, 아암베이스(310)에 신축승강 가능한 다수의 아암슬라이더로 이루어지는 다단아암(320)과, 트롤리본체(210)에 설치되어 다단아암(320)을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부와, 아암슬라이더들 중 어느 하나에 상승력을 제공하는 승강실린더로 이루어져있다. 이때, 가장 마지막에 적층되는 아암슬라이더에는 파지부(322)가 형성된다. The multi-stage pick-up unit 300 refers to a multi-stage telescopic lift pick-up device, and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trolley bodies 210. The multi-stage pick-up unit 300 is installed on the arm base 310 and a plurality of arm sliders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on the arm base 310 and the multi-stage arm 320 installed on the trolley body 210. It consists of an elevator driving unit for driving and an elevator cylinder that provides an upward force to any of the arm sliders. At this time, the gripping portion 322 is formed on the arm slider stacked last.

아암베이스(310)는 트롤리본체(210)에 설치되며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아암베이스(310)는 아암슬라이더보다 길이가 짧으며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다.The arm base 310 is installed on the trolley body 210 and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arm base 310 is shorter than the arm slider and is fixed without sliding.

아암슬라이더들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아암베이스(310)와 평행이 되도록 아암베이스(310)의 판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어 다수 개 설치된다. 아암베이스(310)와 아암슬라이더 또는 아암슬라이더들은 서로 평행하게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아암슬라이더는 각각의 아암슬라이더가 동일한 간격만큼 상대이동하게 되며 모든 아암슬라이더들의 이동거리의 합이 트롤리(200)로부터 파지부(322)가 소재(10)를 파지하기 위한 거리이다. 즉, 각각의 아암슬라이더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만큼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후술하게 될 연동구동부에 의해 실시된다.The arm sliders have the same length and are stacked and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arm base 310 so as to be parallel to the arm base 310. The arm base 310 and the arm slider or arm sliders are slidably movabl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each of these arm sliders, each arm slider is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by the same distance, and the sum of the moving distances of all arm sliders is the distance for the gripping part 322 to grip the material 10 from the trolley 200. That is, each of the arm sliders is moved at the same distance from each other. This movement is carried out by an interlocking driv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아암베이스(310)로부터 가장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1아암슬라이더(321a)의 일측 영역에는 아암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승강랙(333)이 설치되고, 트롤리본체(210)에는 승강랙(333)과 맞물리며 회전가능하게 위치고정되어 있는 승강피니언(332)과 승강피니언(332)을 회전구동시키는 승강모터(331)를 가지는 승강구동부가 설치된다.An elevating rack 333 is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 slider in one region of the first arm slider 321a, which is installed closest to the arm base 310, and the elevating rack 333 is installed on the trolley body 210. A lifting driving unit having a lifting pinion 332 engaged with and rotatably fixed and a lifting motor 331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lifting pinion 332 is installed.

다단아암(320)이 상승된 상태에서 승강피니언(332)은 승강랙(333)의 하부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승강모터(331)가 승강피니언(33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피니언(332)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랙(333)과 결합된 제1아암슬라이더(321a)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하방 이동되었을 때, 승강피니언(332)은 승강랙(333)의 상부와 맞물려 있을 것이다. 그리고 승강피니언(332)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아암슬라이더(321a)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승강피니언(332)은 다시 승강랙(333)의 하부에 위치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승강구동부는 제1아암슬라이드를 승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후술하게 될 다른 아암슬라이더들은 연동구동부에 의해 제1아암슬라이더(321a)가 이동하는 간격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결국, 승강구동부가 제1아암슬라이더(321a)를 이동시키는 거리를 제1아암슬라이더(321a)로부터 적층되어 배치되는 아암슬라이더들의 숫자와 곱하면 가장 마지막에 배치되는 아암슬라이더가 이동하는 전체 거리가 계산되며 이 거리를 이용하여 파지부(322)가 소재(10)를 파지할 수 있는 높이까지 승강하도록 하게 된다. The lifting pinion 332 is 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rack 333 while the multi-stage arm 320 is raised. Accordingly, when the elevating motor 331 rotates the elevating pinion 332 in one direction, the elevating pinion 332 is fixed in position, so that the first arm slider 321a coupled with the elevating rack 333 moves downward. do. When moved downward like this, the lifting pinion 332 will be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rack 333. And when the lifting pinion 332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the first arm slider 321a moves upward. At this time, the lifting pinion 332 will again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lifting rack 333. With this structure, the elevating driving unit elevates the first arm slide. In addition, the other arm slider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moved by a distance equal to an interval at which the first arm slider 321a moves by the interlocking driving unit. After all, multiplying the distance by which the elevation driving unit moves the first arm slider 321a by the number of arm sliders stacked and disposed from the first arm slider 321a calculates the total distance that the last arm slider moves. And the gripping part 322 is lifted up to a height capable of gripping the material 10 using this distance.

이러한 다단픽업부(300)는 아암슬라이더의 숫자가 많고, 소재(10)의 무게가 클수록 승강구동부의 승강모터(331)가 받게 되는 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이는 다단아암(320)이 하강할 때는 중력에 의해 큰 힘이 필요하지 않지만, 상승할 때는 중력과 아암슬라이더들의 무게 및 소재(10)의 무게를 모두 감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암슬라이더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승력을 제공하는 승강실린더를 가질 수 있다.The multi-stage pick-up unit 300 has a large number of arm sliders, and the larger the weight of the material 10, the greater the load that the lifting motor 331 of the lifting driving unit receives. This is because, when the multi-stage arm 320 descends, a large force is not required by gravity, but when rising, both the gravity and the weight of the arm sliders and the weight of the material 10 must be handl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elevating cylinder that provides an ascending force to at least one of the arm sliders.

승강실린더는 실린더본체(341)와 승강로드(342) 및 로드브라켓(343)으로 구성된다. 실린더본체(341)는 트롤리본체(210)에 설치되고, 승강로드(342)는 로드브라켓(343)에 설치된다. 여기서 로드브라켓(343)은 아암슬라이더의 측면 하측에 설치되어 아암슬라이더와 승강실린더를 연결하는 일종의 연결브라켓이다. 로드브라켓(343)은 아암슬라이더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지만, 제1아암슬라이더(321a)에 설치되는 것이 제1아암슬라이더(321a)가 가장 많은 하중을 받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The lifting cylinder is composed of a cylinder body 341, a lifting rod 342, and a rod bracket 343. The cylinder body 341 is installed on the trolley body 210, and the lifting rod 342 is installed on the rod bracket 343. Here, the rod bracket 343 is a type of connection bracket tha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arm slider to connect the arm slider and the lifting cylinder. The rod bracket 343 may be installed on any one of the arm sliders, but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first arm slider 321a because the first arm slider 321a receives the most load.

승강실린더는 다단아암(320)이 승강할 때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로드브라켓(343)이 결합된 아암슬라이더를 승강구동부와 승강시킨다. 이때, 승강실린더는 다단아암(320)이 하강할 때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승강로드(342)가 자연스럽게 하강하도록 하고, 다단아암(320)이 상승할 때만 실린더본체(341)의 하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승강로드(342)가 로드브라켓(343)이 설치된 아암슬라이더를 승강구동부와 함께 상승하도록 하여 보다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The elevating cylinder elevates the arm slider coupled with the rod bracket 343 with the elevating driving unit using compressed air when the multi-stage arm 320 elevates. At this time, when the multi-stage arm 320 descends, the lifting cylinder allows the outside air to flow in, so that the elevating rod 342 naturally descends, and the compressed air at the bottom of the cylinder body 341 only when the multi-stage arm 320 rises. By injecting, the lifting rod 342 can raise the arm slider in which the rod bracket 343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lifting driving unit, there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즉, 제어부는 승강구동부가 아암슬라이더를 상승시킬 때만 승강실린더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아암슬라이더를 승강구동부와 승강실린더로 상승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can supply the compressed air to the elevating cylinder only when the elevating driving unit raises the arm slider so that the arm slider can be raised to the elevating driving unit and the elevating cylinder.

이러한 승강실린더로 인해 승강구동부의 부하가 줄며, 보다 안정적인 승강이 가능해진다. 또한, 작은 용량의 승강모터(331)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어 전체적으로 트롤리(200)의 무게를 작게 하고 사용 에너지를 절감시킨다.Due to the lifting cylinder, the load of the lifting driving unit is reduced, and a more stable lifting is possib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a small-capacity lifting motor 331,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trolley 200 as a whole and reducing the energy used.

한편, 로드브라켓(343)은 가장 말단에 배치되는 아암슬라이더에 설치될 수 있고, 승강실린더는 텔레스코픽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소재(10)가 큰 중량을 가질 경우 다단아암(320)의 구조상 가장 큰 하중이 걸리는 아암베이스(310)와 제1아암슬라이더(321a) 사이에 큰 모멘트가 발생하여 다단아암(320)이 펼쳐졌을 때 아암슬라이더가 휘거나 아암슬라이더들 간에 결합을 유지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로드브라켓(343)을 가장 말단의 아암슬라이더에 설치하고 텔레스코픽 가능한 승강실린더를 결합하면, 승강실린더를 통해 소재(10)의 중량을 감당할 수 있게 되므로 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d bracket 343 may be installed on the arm slider disposed at the most distal end, the lifting cylinder may be installed telescopically. If the material 10 has a large weight, a large moment occurs between the arm base 310 and the first arm slider 321a, which is the largest loa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multi-stage arm 320, so that the multi-stage arm 320 is generated. When unfolded, the arm slider may bend or a phenomenon in which it is impossible to maintain bonding between the arm sliders may occur. At this time, if the rod bracket 343 is installed on the arm slider at the most distal end and a telescopic capable lifting cylinder is combined, the weight of the material 10 can be handled through the lifting cylinder, thereby reducing warpage.

트롤리본체(210)에는 제1아암슬라이더(321a)가 올바르게 작동하는지를 파악하는 구동센서(810)와, 가장 말단의 아암슬라이더가 정확한 초기위치 까지 복귀했는지를 파악하는 정위치확인센서(820)를 가지며, 제1아암슬라이더(321a)와 말단의 아암슬라이더는 측면에 구동센서(810)와 정위치확인센서(820)에 대응하는 센서확인브라켓을 가진다. 만약, 정위치확인센서(820)가 가장 말단의 아암슬라이더에 설치된 센서확인브라켓을 검출하지 못하면 잦은 구동에 의한 마모나 연동구동부의 이상을 의심할 수 있게 된다.The trolley main body 210 has a driving sensor 810 that checks whether the first arm slider 321a is operating correctly, and a positioning sensor 820 that checks whether the most distal arm slider has returned to the correct initial position. , The first arm slider (321a) and the end of the arm slider has a sensor confirmation bracket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sensor 810 and the positioning sensor 820 on the side. If the positioning sensor 820 does not detect the sensor confirmation bracket installed on the most distal arm slider, it is possible to suspect wear caused by frequent driving or abnormality of the interlocking drive.

다음은 연동구동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랙앤피니언 방식의 연동구동부를 적용한 다단픽업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체인과 스프로켓 방식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픽업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interlocking driving unit. 3 to 6 are views showing a multi-stage pickup unit to which a rack-and-pinion type interlocking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S. 7 to 10 are views illustrating a multi-stage pickup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 chain and sprocket method.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사항을 바탕으로 연동구동부에 관해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동구동부는 도 3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아암(320)의 아암슬라이더들이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다단아암(320)이 텔레스코픽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아암슬라이더들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딩가이드(631)와 슬라이딩돌기(632)와 아암베이스(310)와 다단아암(320)들 사이에 설치되며, 선순위슬라이더와 후순위슬라이더를 향해 노출된 연동피니언(610)과, 선순위슬라이더와 후순위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연동피니언(610)에 맞물리는 연동랙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interlocking drive unit based on the items shown in Figures 3 to 6, the interlocking driv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3, the arm slider of the multi-stage arm 320 These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o allow the multi-stage arm 320 to be telescopic, and the sliding guide 631, the sliding protrusion 632, the arm base 310, and the multi-stage arm 320 for allowing the arm sliders to slide. It is installed between them, and consists of an interlocking pinion 610 exposed toward the senior and subordinate sliders, and an interlocking rack installed on the senior and subordinate sliders to mesh with the interlocking pinion 610.

슬라이딩가이드(631, 741)와 슬라이딩돌기(632, 742)는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구동부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아암슬라이더는 중심축선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양측에 한쪽 면으로는 한 쌍의 슬라이딩가이드(631, 741)를, 다른 면으로는 한 쌍의 슬라이딩돌기(632, 742)를 가진다. 이러한 슬라이딩가이드(631, 741)와 슬라이딩돌기(632, 742)는 각각이 맞물리며 아암슬라이더는 이들의 결합으로 인해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아암베이스(310)에 슬라이딩가이드(631, 741)가 설치되고, 제1아암슬라이더(321a)의 판면 중 아암베이스를 향하는 쪽에 슬라이딩돌기(632, 742)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들의 설치위치는 서로 반대방향일 수 있다. 가장 마지막의 아암슬라이더에는 한쪽면에만 슬라이딩가이드(631, 741) 또는 슬라이딩돌기(632, 742)가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The sliding guides 631 and 741 and the sliding protrusions 632 and 742 are commonly applied to the interlocking driving portion, as shown in FIGS. 3 to 10, and the arm slider has one side on both side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ral axis. A pair of sliding guides (631, 741) and a pair of sliding projections (632, 742) on the other side. The sliding guides 631 and 741 and the sliding protrusions 632 and 74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arm sliders are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ue to their coupling, and are slid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sliding guides 631 and 741 are installed on the arm base 310, the sliding projections 632 and 742 ar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arm slider 321a toward the arm base. Their installation positions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It is natural that the sliding guides 631 and 741 or the sliding protrusions 632 and 742 are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last arm slider.

이러한 슬라이딩가이드(631, 741)와 슬라이딩돌기(632, 742)는 무게 저감을 위해 슬라이딩돌기(632, 742)는 아암슬라이더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나, 슬라이딩 가이드는 간헐적으로 배치된다. The sliding guides 631 and 741 and the sliding protrusions 632 and 742 are formed with the sliding protrusions 632 and 742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 slider to reduce weight, but the sliding guides are intermittently arranged.

연동피니언(610)과 연동랙은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되며, 연동피니언(610)은 하나의 아암슬라이더에 설치되고, 연동랙은 지지연동랙(621)과 가동연동랙(622)의 한 쌍으로 준비되어 연동피니언(610)이 설치된 아암슬라이더와 인접한 한 쌍의 아암슬라이더들에 설치된다.The interlocking pinion 610 and the interlocking rack are composed of one unit, and the interlocking pinion 610 is installed on one arm slider, and the interlocking rack is a pair of the support interlocking rack 621 and the movable interlocking rack 622. It is prepared and installed on a pair of arm sliders adjacent to the arm slider in which the interlocking pinion 610 is installed.

아암슬라이더는 중간위치에 길이방향 중심축선으로부터 한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피니언설치부를 가지고, 피니언설치부에는 피니언축핀과 연동피니언(610)이 설치된다. 피니언축핀은 아암슬라이더의 판면방향으로 설치되고, 연동피니언(610)은 피니언축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연동피니언(610)은 치형이 아암슬라이더의 앞뒤 판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The arm slider has a pinion installation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at an intermediate position, and a pinion shaft pin and an interlocking pinion 610 are installed at the pinion installation portion. The pinion shaft pin is installed in the plate direction of the arm slider, and the interlocking pinion 61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pinion shaft pin. The interlocking pinion 610 is installed such that the teeth are expos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arm slider.

연동랙은 지지연동랙(621)과 가동연동랙(622)의 한 쌍으로 준비되어 연동피니언(610)의 노출된 앞뒤 치형에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지지연동랙(621)은 연동피니언(610)이 설치된 아암슬라이더의 선순위에 위치하는 아암베이스(310) 또는 선순위아암슬라이더에 설치되고, 가동연동랙(622)은 후순위아암슬라이더에 설치된다. 지지연동랙(621)은 연동피니언(610)과 맞물리도록 아암슬라이더의 중심축선으로부터 한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중심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가동연동랙(622)은 중심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또한, 아암베이스(310)가 노출되는 판면방향이나 아암슬라이더가 적층되는 판면방향을 전면, 그와 반대방향을 후면이라고 정의할 때, 지지연동랙(621)은 아암베이스(310)와 아암슬라이더의 전면에 설치되고, 가동연동랙(622)은 후면에 설치된다.The interlocking rack is prepared as a pair of the support interlocking rack 621 and the movable interlocking rack 622 and is installed to mesh with the exposed front and rear teeth of the interlocking pinion 610. The supporting interlocking rack 621 is installed on the arm base 310 or the senior arm slider positioned at the priority of the arm slider where the interlocking pinion 610 is installed, and the movable interlocking rack 622 is installed on the subordinate arm slider. Support interlocking rack 621 is installe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arm slider so as to mesh with the interlocking pinion 610, the movable interlocking rack 622 is installed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do. In addition, when defining the plane direction in which the arm base 310 is exposed or the plane direction in which the arm slider is stacked is the front side and the opposite direction as the rear side, the supporting interlocking rack 621 includes the arm base 310 and the arm slider. It 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the movable interlocking rack 622 is installed on the rear.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연동피니언(610)과 연동랙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오른쪽, 왼쪽은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제1아암슬라이더(321a)는 중심 축선으로부터 오른쪽에 연동피니언(610)이 설치된다. 제1아암슬라이더(321a)의 선순위슬라이더에 해당하는 아암베이스(310)의 전면의 중심축선의 오른쪽에 지지연동랙(621)이 설치되고, 제1아암슬라이더(321a)의 후순위슬라이더인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후면의 중심축선의 오른쪽에 가동연동랙(622)이 설치된다. 지지연동랙(621)과 가동연동랙(622)은 각각 제1아암슬라이더(321a)의 연동피니언(610)과 맞물려있다. 그리고, 제1아암슬라이더(321a)는 측방에 승강구동부의 승강피니언(332)과 맞물려 있는 승강랙(333)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승강모터(331)가 작동하여 승강피니언(332)을 회전시키면 승강랙(333)이 설치된 제1아암슬라이더(321a)는 하강하게 되고, 이때 연동피니언(610)은 지지연동랙(621)과 가동연동랙(622)에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연동피니언(610)과 연동랙들의 작동은, 도 5에 도시된 기준으로 살펴볼 때, 연동피니언(610)은 도면에 배치된 내용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연동피니언(610)은 지지연동랙(621)의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연동피니언(610)과 가동연동랙(622)으로 인해 하방이동하게 된다. 이때, 연동피니언(610)은 가동연동랙(622)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Based on the contents shown in FIGS. 4 to 6, the interlocking pinion 610 and the interlocking rac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 the right and left sides are based on the illustrated state. The first arm slider 321a is provided with an interlocking pinion 610 on the right side from the central axis. A support interlocking rack 621 is installed to the right of the central axi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arm base 310 corresponding to the senior slider of the first arm slider 321a, and the second arm that is the subordinate slider of the first arm slider 321a A movable interlocking rack 622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ral axis of the rear side of the slider 321b. The support interlocking rack 621 and the movable interlocking rack 622 are engaged with the interlocking pinion 610 of the first arm slider 321a,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st arm slider 321a is provided with an elevating rack 333 engaged with the elevating pinion 332 of the elevating driving unit on the side. Due to this structure, when the elevating motor 331 is operated to rotate the elevating pinion 332, the first arm slider 321a in which the elevating rack 333 is installed is lowered, and the interlocking pinion 610 is a supporting interlocking rack. 621 and the movable interlocking rack 622 is rotated.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ing pinion 610 and the interlocking racks, when looking at the reference shown in FIG. 5, the interlocking pinion 610 rotates clockwise according to the contents arranged in the drawing and moves downward. At this time, the interlocking pinion 610 mov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interlocking rack 621, and moves downward due to the interlocking pinion 610 and the movable interlocking rack 622 of the second arm slider 321b. At this time, the interlocking pinion 610 mov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interlocking rack 622.

한편,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연동피니언(610)은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왼쪽에 배치된다.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연동피니언(610)에 맞물리는 지지연동랙(621)은 제1아암슬라이더(321a)의 전면에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왼쪽에 설치되고, 가동연동랙(622)은 제3아암슬라이더(321c)의 후면에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왼쪽에 설치된다. 제1아암슬라이더(321a)의 하방이동에 의해 제1아암슬라이더(321a)의 연동피니언(610)에 맞물리는 가동연동랙(622)을 가지는 제2아암슬라이더(321b)는 제1아암슬라이더(321a)와 동일한 간격으로 하방이동하게 되며,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하방 이동에 따라 제2아암슬라이더(321b)에 설치된 연동피니언(610)에 맞물리는 가동연동랙(622)을 가진 제3아암슬라이더(321c) 또한 제2아암슬라이더(321b)가 하방이동하는 간격과 동일하게 하방이동하게 된다. Meanwhile, the interlocking pinion 610 of the second arm slider 321b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arm slider 321b. The support interlocking rack 621 engaged with the interlocking pinion 610 of the second arm slider 321b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arm slider 321a relative to the central axis, and the movable interlocking rack 622 is It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third arm slider 321c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The second arm slider 321b having a movable interlocking rack 622 engaged with the interlocking pinion 610 of the first arm slider 321a b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irst arm slider 321a is the first arm slider 321a ), The third arm having a movable interlocking rack 622 engaged with the interlocking pinion 610 installed in the second arm slider 321b according to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second arm slider 321b. The slider 321c is also moved downwardly at the same interval as the second arm slider 321b moves downward.

그리고, 제3아암슬라이더(321c)의 연동피니언(610)은 제1아암슬라이더(321a)와 마찬가지로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배치되며, 제3아암슬라이더(321c)의 연동피니언(610)에 맞물리는 지지연동랙(621)은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전면 우측에, 가동연동랙(622)은 제4아암슬라이더(321d)에 후면 우측에 설치된다. 제3아암슬라이더(321c) 또한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하방 이동과 동일한 간격으로 하방 이동한다.And, the interlocking pinion 610 of the third arm slider 321c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like the first arm slider 321a, and fits the interlocking pinion 610 of the third arm slider 321c. The supporting support interlocking rack 621 is installed on the front right of the second arm slider 321b, and the movable interlocking rack 622 is installed on the rear right of the fourth arm slider 321d. The third arm slider 321c also moves downward at the same interval as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second arm slider 321b.

제4아암슬라이더(321d)는 제2아암슬라이더(321b)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제5아암슬라이더(321e)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말단에 적층되어 하단에 파지부(322)를 갖는다고 할 때, 제5아암슬라이더(321e)에는 연동피니언(610)이 없으며, 후면의 좌측에 제4아암슬라이더(321d)의 연동피니언(610)에 맞물리는 가동연동랙(622)을 갖는다.The fourth arm slider 321d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arm slider 321b, and when the fifth arm slider 321e is stacked at the most distal end as shown and has a gripping portion 322 at the bottom, , The fifth arm slider 321e does not have an interlocking pinion 610, and has a movable interlocking rack 622 that meshes with the interlocking pinion 610 of the fourth arm slider 321d on the rear left side.

위에서 설명한 연동피니언(610)과 연동랙은, 연동피니언(610)이 지지연동랙(621)의 상부에, 가동연동랙(622)의 하부에 위치할 때가 다단아암(320)이 텔레스코픽하기 전의 상태이고, 연동피니언(610)이 지지연동랙(621)의 하부에 위치하고, 가동연동랙(622)의 상부에 위치할 때가 다단아암(320)이 텔레스코픽한 상태이다.The interlocking pinion 610 and the interlocking rack described above are in a state before the multi-stage arm 320 is telescopic when the interlocking pinion 610 is positioned above the support interlocking rack 621 and below the movable interlocking rack 622. And, when the interlocking pinion 610 is located below the supporting interlocking rack 621, and when it is located above the movable interlocking rack 622, the multi-stage arm 320 is in a telescopic state.

이러한 연동피니언(610)과 연동랙의 배치 및 구조로 인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연동피니언(610)과 연동랙을 구성하는 유니트는 다른 유니트와 서로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반대방향에 설치되어 각각의 연동피니언(610)과 연동랙은 서로 간섭 없이 아암슬라이더들을 텔레스코픽 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연동피니언(610)과 연동랙의 크기를 통일시켜 각각의 아암슬라이더들이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Due to the arrangement and structure of the interlocking pinion 610 and the interlocking rack, as shown in (b) of FIG. 6, a unit constituting one interlocking pinion 610 and the interlocking rack has a central axis with each other. Each interlocking pinion 610 and interlocking rack can be telescopically installed without being interfering with each other, and each interlocking pinion 610 and interlocking rack are unified to allow each arm slider to cross each other. It can be moved at equal intervals.

본 발명에 따른 랙앤피니언 방식의 연동구동부를 갖는 다단픽업부는 아암슬라이더의 상향 높이를 제한하고, 아암슬라이더가 이탈되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더고정브라켓(640)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고정브라켓(640)은 아암슬라이더의 상측면에서 판면의 가로방향으로 소정 폭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슬라이더고정브라켓(640)은 지지연동랙(621)의 상면과 접촉가능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며, 아암슬라이더가 하향 이동하여 연동피니언(610)이 지지연동랙(621)의 하단에 위치했을 때 지지연동랙(621)의 상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슬라이더고정브라켓(640)으로 인해 연동피니언(610)이 지지연동랙(621)의 하단보다 더 아래로의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연동피니언(610)과 지지연동랙(621)의 맞물림이 풀려 아암슬라이더가 하향 낙하하려 할 때 슬라이더고정브라켓(640)은 지지연동랙(621)의 상면와 접촉하여 아암슬라이더의 낙하를 방지하게 된다.The multi-stage pick-up unit having a rack-and-pinion type interlocking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lider fixing bracket 640 that limits the upward height of the arm slider and prevents the arm slider from falling off and falling. The slider fixing bracket 640 is installed to have a shape that extends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late surface from the upper side of the arm slider. The slider fixing bracket 640 is formed to be exten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interlocking rack 621, and when the arm slider moves downward, the interlocking pinion 610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interlocking rack 621. It contacts the top surface of the rack 621. Therefore, the slider pinning bracket 640 prevents the interlocking pinion 610 from moving downward furt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interlocking rack 621. That is, when the interlocking pinion 610 and the support interlocking rack 621 are disengaged and the arm slider tries to fall downward, the slider fixing bracket 640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interlocking rack 621 to prevent the arm slider from falling. do.

위와 같은 랙앤피니언 방식의 본 발명에 따른 연동구동부를 갖는 다단픽업부는 구조가 컴팩트하고, 각각의 아암슬라이더들에 설치되는 연동피니언(610)과 연동랙의 크기와 치형을 동일하게 형성하여 다단아암(320)의 텔레스코픽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The multi-stage pick-up unit having an interlocking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rack-and-pin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a compact structure, and the multi-stage arm ( The telescopic distance of 320) can be easily adjusted.

다음은,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동구동부에 관해 설명한다.Next, a linkage driv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동구동부는 체인과 스프로켓 방식을 따르며, 도 7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아암(320)의 아암슬라이더들이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다단아암(320)이 텔레스코픽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terlocking dri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ollows the chain and sprocket method, as shown in Figure 7 (a) and (b), the arm sliders of the multi-stage arm 320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respectively, and the multi-stage arm 320 ) To be telescopic.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동구동부를 갖는 다단아암(320)은 선순위슬라이더와 후순위슬라이더를 향해 노출되며 아암슬라이더의 상하 측 양 단부에 설치되는 상부스프로켓(711)과 하부스프로켓(712)을 포함하는 스프로켓부와, 스프로켓부와 맞물려 일단이 선순위슬라이더에 고정되고 타단이 후순위슬라이더에 고정되는 체인부와, 체인부가 고정되는 상부체인고정부(731)와 하부체인고정부(732)를 갖는다. 이러한 한 쌍의 상부스프로켓(711)과 하부스프로켓(712)을 갖는 스프로켓부와 이와 맞물리는 체인부 및 상부체인고정부(731)와 하부체인고정부(732)는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되며, 스프로켓부는 아암슬라이더의 상하측 단부에 설치되고 체인부는 스프로켓부와 맞물리며 일단이 선순위아암슬라이더에 설치된 하부체인고정부(732)에 고정되고 타단이 후순위아암슬라이더에 설치된 상부체인고정부(731)에 고정된다.The multi-stage arm 320 having an interlocking driv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exposed toward the senior and subordinate sliders, and the sprocket portion including the upper sprocket 711 and the lower sprocket 712 install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rm slider. Wow, it has an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and a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to which the chain portion is fixed, and a chain portion to which the one end is fixed to the priority slider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ubordinate slider in engagement with the sprocket portion. The sprocket portion having a pair of the upper sprocket 711 and the lower sprocket 712, and the chain portion and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and the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meshing with the sprocket portion are composed of one unit, and the sprocket The part is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rm slider, and the chain part is engaged with the sprocket part, one end being fixed to the lower chain fixing part 732 installed on the senior arm slider, and the other end being fixed to the upper chain fixing part 731 installed on the lower arm slider. .

아암슬라이더는 상하측 양단에 내측으로 절취되어 형성된 스프로켓설치부를 가지고, 스프로켓들은 스프로켓설치부에 아암슬라이더의 판면방향으로 설치된 스프로켓축핀에 고정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스프로켓부의 상부스프로켓(711)과 하부스프로켓(712)은 치형이 아암슬라이더의 앞뒤판면과 양단부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The arm slider has sprocket installation portions formed by cutting inwards at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sprockets are fixed to the sprocket shaft pins installed in the plate surface direction of the arm sliders and rotatably installed. The upper sprocket 711 and the lower sprocket 712 of the sprocket portion are installed so that the teeth are exposed in the direction of both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arm slider.

아암베이스(310)의 노출되는 면의 방향이나 아암슬라이더들이 적층되는 방향을 전면으로 하고 반대 방향을 후면으로 정의할 때, 스프로켓부를 가지는 아암슬라이더를 기준으로 선순위에 해당하는 베이스아암이나 선순위슬라이더의 하부에는 하부체인고정부(732)가 설치되고 후순위슬라이더의 상부에는 상부체인고정부(731)가 설치된다.  When the direction of the exposed surface of the arm base 310 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arm sliders are stacked is defined as the front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defined as the rear,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arm or the priority slider corresponding to the priority based on the arm slider having the sprocket portion The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ubordinate slider.

스프로켓부와 체인부 및 상부체인고정부(731)와 하부체인고정부(732)는 아암슬라이더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한쪽방향으로 하나의 유니트로 설치된다.The sprocket portion, the chain portion, and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and the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are installed as one unit in one direction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arm slider.

체인부는 상측체인(721)과 하측체인(722)으로 이루어진다.The chain portion consists of an upper chain 721 and a lower chain 722.

상측체인(721)은 일단이 아암베이스(310)나 선순위슬라이더의 전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체인고정부(732)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부스프로켓(711)과 맞물리며 타단이 후순위슬라이더의 후면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체인고정부(731)의 상부에 고정된다. 하측체인(722)은 일단이 아암베이스(310)나 선순위슬라이더의 전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체인고정부(732)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부스프로켓(712)과 맞물리며 타단이 후순위슬라이더의 후면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체인고정부(731)의 하부에 고정된다.The upper chain 721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rm base 310 or the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senior slider, meshes with the upper sprocket 711, and the other e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of the subordinate slider. It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ormed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The lower chain 722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rm base 310 or the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senior slider, meshes with the lower sprocket 712, and the other e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side of the subordinated slider. It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formed.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스프로켓부와 체인부 및 상부체인고정부(731)와 하부체인고정부(732)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면, 제1아암슬라이더(321a)는 중심축선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격된 상하방향 단부에 각각 상부스프로켓(711)과 하부스프로켓(712)을 가진다. 제1아암슬라이더(321a)의 선순위슬라이더에 해당하는 아암베이스(310)의 전면의 중심축선의 오른쪽 하측에는 하부체인고정부(732)가 형성되고, 제1아암슬라이더(321a)의 후순위슬라이더에 해당하는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후면의 중심축선 오른쪽 상측에는 상부체인고정부(731)가 형성된다. 상측체인(721)은 아암베이스(310)의 하부체인고정부(732)의 상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부스프로켓(711)을 거쳐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상부체인고정부(731)의 상부에 타측이 고정된다. 하측체인(722)은 아암베이스(310)의 하부체인고정부(732)의 하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하부스프로켓(712)을 거쳐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상부체인고정부(731)의 하부에 타측이 고정된다. 그리고 제1아암슬라이더(321a)는 측방에 승강구동부의 승강피니언(332)과 맞물리는 승강랙(333)이 설치된다.Based on the contents shown in FIGS. 8 to 10, the sprocket portion, the chain portion, and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and the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irst arm slider 321a is a central axis. The upper and lower sprockets 712 and the upper and lower sprockets 712, respectivel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lower chain fixing part 732 is form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center axi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arm base 310 corresponding to the seniority slider of the first arm slider 321a, and corresponds to the lower ranking slider of the first arm slider 321a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is form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central axis of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arm slider 321b. The upper chain 721 has one sid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of the arm base 3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of the second arm slider 321b through the upper sprocket 711. On the other side is fixed. The lower chain 722 has one side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of the arm base 310, and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of the second arm slider 321b through the lower sprocket 712. On the other side is fixed. And the first arm slider 321a is provided with a lifting rack 333 that meshes with the lifting pinion 332 of the lifting driving unit on the side.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승강모터(331)가 작동하여 승강피니언(332)을 회전시키면 승강랙(333)이 설치된 제1아암슬라이더(321a)는 하강하게 되고, 이때 상부스프로켓(711)과 하부스프로켓(712)은 체인부와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스프로켓부는 도면에 배치된 내용 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하방이동하게 된다. 이때, 다단아암(320)이 텔레스코픽을 하지 않은 정상상태와 대비하여, 상측체인(721)은 선순위슬라이더에 형성된 하부체인고정부(732)와 상부스프로켓(711) 간의 길이가 짧아지고, 반대로 상부스프로켓(711)과 후순위슬라이더에 형성된 상부체인고정부(731) 간의 길이는 길어진다. 하측체인(722)은 이와 반대로, 선순위슬라이더에 형성된 하부체인고정부(732)와 하부스프로켓(712) 간의 길이가 길어지고, 하부스프로켓(712)과 후순위슬라이더에 형성된 상부체인고정부(731) 간의 길이는 짧아진다. 이러한 체인부와 스프로켓부의 맞물림으로 인해 제1아암슬라이더(321a)가 하방이동하면 제2아암슬라이더(321b)는 제1아암슬라이더(321a)가 하방 이동하는 간격만큼 제1아암슬라이더(321a)로부터 하방 이동하게 된다.Due to this structure, when the elevating motor 331 is operated to rotate the elevating pinion 332, the first arm slider 321a in which the elevating rack 333 is installed descends, and at this time, the upper sprocket 711 and the lower sprocket 712 is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chain portion. The sprocket part rotates clockwise and moves downwar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drawings. At this time, in contrast to the normal state in which the multi-stage arm 320 is not telescopic, the upper chain 721 has a shorter length between the lower chain fastener 732 and the upper sprocket 711 formed on the senior slider, and, conversely, the upper sprocket. The length between 711 and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formed in the subordinate slider becomes longer. On the contrary, the lower chain 722 has a longer length between the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and the lower sprocket 712 formed on the senior slider, and between the lower sprocket 712 and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formed on the lower ranking slider. The length becomes shorter. When the first arm slider 321a moves downward due to the engagement of the chain portion and the sprocket portion, the second arm slider 321b moves downward from the first arm slider 321a by an interval at which the first arm slider 321a moves downward. Will move.

이렇게 하방 이동시에는 하측체인(722)은 아암슬라이더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반대로 상방 이동시의 상측체인(721)은 후순위슬라이더를 상방으로 끌어당겨 상방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moving downward, the lower chain 722 serves to block the arm slider from falling downwards. On the contrary, when moving upward, the upper chain 721 serves to pull the subordinate slider upwards to move upward.

한편,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상부스프로켓(711)과 하부스프로켓(712)을 포함하는 스프로켓부는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왼쪽의 상하방향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상부스프로켓(711)과 맞물리는 상측체인(721)은 일단이 제1아암슬라이더(321a)의 전면 왼쪽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체인고정부(732)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3아암슬라이더(321c)의 후면 왼쪽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체인고정부(731)의 상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하부스프로켓(712)과 맞물리는 하측체인(722)은 일단이 제1아암슬라이더(321a)에 설치되는 하부체인고정부(732)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3아암슬라이더(321c)의 상부체인고정부(731)의 하부에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sprocket portions including the upper sprocket 711 and the lower sprocket 712 of the second arm slider 321b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left,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arm slider 321b. The upper chain 721 meshing with the upper sprocket 711 of the second arm slider 321b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hain fastener 732, one end of which is installed on the lower left front side of the first arm slider 321a. ,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left upper side of the third arm slider 321c. And the lower chain 722 that meshes with the lower sprocket 712 of the second arm slider 321b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one end of which is installed in the first arm slider 321a, and the other end It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of the third arm slider (321c).

따라서, 제1아암슬라이더(321a)의 하방이동으로 인해 아암베이스(310)의 하부체인고정부(732)와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상부체인고정부(731) 및 제1아암슬라이더(321a)의 하부스프로켓(712)과 연결된 하측체인(722)은 하방이동 전 보다 하부스프로켓(712)과 아암베이스(310)의 하부체인고정부(732)와의 거리가 길게 되며 제2아암슬라이더(321b)를 하향 이동시키고,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하부스프로켓(712)과 연결된 하측체인(722) 또한 마찬가지로 제1아암슬라이더(321a)의 하부체인고정부(732)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며 제3아암슬라이더(321c)를 하향 이동시키게 되어 결국 제1아암슬라이더(321a)를 하향 이동시킨 거리만큼 제2아암슬라이더(321b)와 제3아암슬라이더(321c)는 하향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due to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irst arm slider 321a, the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of the arm base 310 and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and the first arm slider 321a of the second arm slider 321b. ), The lower chain 722 connected to the lower sprocket 712 has a longer distance between the lower sprocket 712 and the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of the arm base 310 than before the downward movement, and the second arm slider 321b. The lower chain 722 connected to the lower sprocket 712 of the second arm slider 321b is also relatively long, and the distance from the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of the first arm slider 321a is relatively long. Since the 3 arm slider 321c is moved downward, the 2nd arm slider 321b and the 3rd arm slider 321c are moved downward by the distance that the 1st arm slider 321a is moved downward.

반대로, 하향 이동된 제1아암슬라이더(321a)를 승강구동부를 이용하여 상향 이동시키면 제1아암슬라이더(321a)의 상부스프로켓(711)과 맞물리고 일단이 아암베이스(310)의 하부체인고정부(732)의 상부와, 타단이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상부체인고정부(731)의 상부에 맞물린 상측체인(721)은, 상부체인고정부(731)와 하부체인고정부(732)와의 상대적인 길이가 상부스프로켓(711)을 기준으로 하부체인고정부(732)와의 상대적인 길이가 길어지며 제2아암슬라이더(321b)를 상향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측체인(721)이 제2아암슬라이더(321b)를 상방향으로 끌어올리게 된다. 이때,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상부스프로켓(711)과 맞물리는 상측체인(721) 또한 제3아암슬라이더(321c)를 상방향으로 끌어올리게 된다. Conversely, when the downwardly moved first arm slider 321a is moved upward by using the lift driving unit, it is engaged with the upper sprocket 711 of the first arm slider 321a, and one end is fixed to the lower chain of the arm base 310 ( 732), the upper chain 721, the other end of which is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of the second arm slider 321b,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and the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The relative length of the lower chain fixing part 732 is increased based on the upper sprocket 711, and the second arm slider 321b is moved upward. That is, the upper chain 721 pulls the second arm slider 321b upward. At this time, the upper chain 721 engaged with the upper sprocket 711 of the second arm slider 321b also pulls the third arm slider 321c upward.

제3아암슬라이더(321c)의 스프로켓부는 제1아암슬라이더(321a)와 마찬가지로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배치되며, 제3아암슬라이더(321c)의 스프로켓부와 맞물리는 체인부와, 체인부가 고정되는 제2아암슬라이더(321b)의 하부체인고정부(732) 및 제4아암슬라이더(321d)의 상부체인고정부(731) 또한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배치된다. 제5아암슬라이더(321e)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말단에 적층되어 하단에 파지부(322)를 갖는다고 할 때, 제 5아암슬라이더는 스프로켓부를 가지지 않으며 후면의 좌측 상부에 제4아암슬라이더(321d)의 스프로켓부와 맞물리는 체인부를 고정하는 상부체인고정부(731)를 가진다.The sprocket portion of the third arm slider 321c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like the first arm slider 321a, and the chain portion and the chain portion engaged with the sprocket portion of the third arm slider 321c are fixed. The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of the second arm slider 321b and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of the fourth arm slider 321d are also dispos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When the fifth arm slider 321e is shown and is stacked at the most distal end and has a gripping portion 322 at the bottom, the fifth arm slider does not have a sprocket portion and does not have a sprocket portion, and a fourth arm slider ( 321d) has an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that secures the chain portion engaged with the sprocket portion.

위에서 설명한 상측체인(721)은 상부스프로켓(711)을 기준으로 하부체인고정부(732)와의 길이가 상부체인고정부(731)와의 길이보다 길고, 하측체인(722)은 하부스프로켓(712)을 기준으로 하부체인고정부(732)와의 길이가 상부체인고정부(731)와의 길이보다 짧을 때가 상승한 상태이고, 반대로, 상측체인(721)이 상부스프로켓(711)을 기준으로 하부체인고정부(732)와의 길이가 상부체인고정부(731)와의 길이보다 짧고, 하측체인(722)은 하부스프로켓(712)을 기준으로 하부체인고정부(732)와의 길이가 상부체인고정부(731)와의 길이보다 길 때가 하강한 상태이다.The upper chain 721 described above has a longer length with the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based on the upper sprocket 711 than the length with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and the lower chain 722 has a lower sprocket 712. As a standard, when the length with the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is shorter than the length with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the upper chain 721 is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based on the upper sprocket 711. ) Is shorter than the length with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and the lower chain 722 has a lower length with the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based on the lower sprocket 712 than the length with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The long time has descended.

이러한 스프로켓부와 체인부 및 상부체인고정부(731)와 하부체인고정부(732)의 배치 및 구조로 인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로켓부와 체인부 및 상부체인고정부(731)와 하부체인고정부(732)를 가지는 하나의 유니트는 다른 유니트와 서로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반대방향으로 교차하며 설치되어 각각의 유니트는 서로 간섭없이 아암슬라이더들을 텔레스코픽 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스프로켓부와 체인부의 사이즈를 통일시켜 각각의 아암슬라이더들이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Due to the arrangement and structure of the sprocket portion and the chain portion, and the upper chain fixing portion 731 and the lower chain fixing portion 732, as shown in (b) of FIG. 10, the sprocket portion and the chain portion and the upper chain height One unit having the government 731 and the lower chain fastening 732 is installed to intersect the other units in opposite directions based on the central axis, so that each unit can telescopic arm sliders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The size of the sprocket portion and the chain portion of can be unified so that the respective arm sliders move at the same distance from each other.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인과 스프로켓 방식의 연동구동부를 갖는 다단픽업부는 아암슬라이더의 하방 이동시에는 하측체인(722)이 아암슬라이더의 하중을 감당하고, 상방 이동시에는 상측체인(721)이 아암슬라이더를 끌어올려 상방 또는 하방 이동에 따른 부하를 분리할 수 있어 내구성이 좋다. 또한, 잦은 구동에 따른 마모가 발생하여도 해당하는 체인과 스프로켓만을 따로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메인터넌스가 간편하다.The multi-stage pick-up unit having a chain and a sprocket-type interlocking dri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rm slider moves downward, the lower chain 722 bears the load of the arm slider, and when moving upward, the upper chain 721 This arm slider can be pulled up to separate the load due to the upward or downward movement, so durability is good. In addition, even if wear occurs due to frequent driving, only the corresponding chain and sprocket can be replaced or repaired separately, making maintenance relatively easy.

다음은 추가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further embodiments.

본 발명에 따른 아암슬라이더들은 베이스아암으로부터 적층되어 배치되고 각각의 아암슬라이더들은 슬라이딩가이드(631, 741)와 슬라이딩돌기(632, 742) 및 연동구동부로 인해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적층되는 아암슬라이더의 숫자가 많아지고 말단의 파지부(322)가 파지하는 소재(10)의 중량이 높을수록 베이스아암과 제1아암슬라이드의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큰 모멘트가 발생하여 제1아암슬라이드가 베이스아암으로부터 분리되거나 각각의 아암슬라이더들이 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아암슬라이더들의 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휨방지부(360)를 가질 수 있다.The arm sli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tacked and arranged from the base arm, and each of the arm sliders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due to the sliding guides 631, 741, the sliding projections 632, 742, and the interlocking driving portion, thereby stacking the arm sliders. The larger the number of and the higher the weight of the material 10 held by the distal grip portion 322, the greater the moment arou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ase arm and the first arm slide, resulting in the first arm slide from the base arm. Separation or bending of each arm slider may occur.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bending preventing portion 360 to prevent the bending phenomenon of the arm sliders.

휨방지부(360)는 아암슬라이더의 양단에 판면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휨방지부(360)와 아암슬라이더의 단면형상은 도 6의 (b)와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H'의 형상을 가진다. 휨방지부(360)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적층되는 아암슬라이더의 숫자가 많고, 파지해야 할 소재(10)가 무거울수록 두께가 증가 되도록 준비된다.The bending prevention portion 360 is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to the plate surface at both ends of the arm slider,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ending prevention portion 360 and the arm slider is shown in FIGS. 6 (b) and 10 (b). It has the shape of 'H'. The bending preventing portion 360 is formed in a pair and has a large number of stacked arm sliders, and is prepared to increase in thickness as the material 10 to be gripped is heav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휨방지부(360)는 일측에 아암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조슬라이딩가이드(361)를 가지고, 타측에는 보조슬라이딩가이드(361)에 삽입되어 아암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보조슬라이딩돌기(362)를 가질 수 있다. 보조슬라이딩가이드(361)와 보조슬라이딩돌기(362)는 도 6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휨방지부(360)들 끼리 서로 결합되어 아암슬라이더가 텔레스코픽 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보조슬라이딩가이드(361)와 보조슬라이딩돌기(362)를 가지는 휨방지부(360)는 다단아암(320)이 보다 유연하게 텔레스코픽 가능하게 하며, 상대적으로 슬라이딩가이드(631, 741)와 슬라이딩돌기(632, 742)의 사이즈를 줄여도 보조슬라이딩가이드(361)와 보조슬라이딩돌기(362)로 아암슬라이더들 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힘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으므로 아암슬라이더들 간에 슬라이딩가이드(631, 741)와 슬라이딩돌기(632, 742)의 배치로 인한 이격 간격을 줄일 수 있어 전체적인 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ending prevention part 3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uxiliary sliding guide 361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 slider on one side, and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sliding guide 361 on the other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 slider. It may have a sliding auxiliary sliding projection (362). The auxiliary sliding guide 361 and the auxiliary sliding protrusion 362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deflection preventing parts 360 as shown in FIGS. 6 and 10, so that the arm slider can slide in the telescopic direction. The bending preventing part 360 having the auxiliary sliding guide 361 and the auxiliary sliding protrusion 362 allows the multi-stage arm 320 to be telescopically more flexible, and the sliding guides 631 and 741 and the sliding protrusions ( 632, 742), even if the size of the auxiliary sliding guide 361 and the auxiliary sliding protrusion 362 can be distributed to support the force that is slidably coupled between the arm sliders, so sliding guides between the arm sliders (631, 741) And the spacing between the sliding protrusions 632 and 742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moment.

10 소재 20 가공된 소재
110 수평가이드레일 200 트롤리
210 트롤리본체 220 주행구동부
230 도어개방연동부 300 다단픽업부, 제1다단픽업부
310 아암베이스 320 다단아암
321a 제1아암슬라이더 321b 제2아암슬라이더
321c 제3아암슬라이더 321d 제4아암슬라이더
321e 제5아암슬라이더 322 파지부
331 승강모터 332 승강피니언
333 승강랙 341 실린더본체
342 승강로드 343 로드브라켓
360 휨방지부 361 보조슬라이딩가이드
362 보조슬라이딩돌기 400 제2다단픽업부
500A 소재하우징 500B 가공하우징
500C 완성품하우징 510 액세스개구
520 개구도어 530 인장스프링
540 걸림턱 610 연동피니언
621 지지연동랙 622 가동연동랙
631, 741 슬라이딩가이드 632, 742 슬라이딩돌기
640 슬라이더고정브라켓 711 상부스프로켓
712 하부스프로켓 721 상측체인
722 하측체인 731 상부체인고정부
732 하부체인고정부 810 구동센서
820 정위치확인센서 830 도어확인센서
841 초기위치확인센서 842 이동확인센서
843 리미트확인센서
10 material 20 processed material
110 Horizontal guide rail 200 Trolley
210 Trolley body 220 Travel drive
230 Door open interlocking section 300 multi-stage pick-up section, first multi-stage pick-up section
310 arm base 320 multi-stage arm
321a 1st arm slider 321b 2nd arm slider
321c 3rd arm slider 321d 4th arm slider
321e Fifth arm slider 322 Grip
331 elevating motor 332 elevating pinion
333 Lift Rack 341 Cylinder Body
342 Lift Rod 343 Rod Bracket
360 Bending Prevention 361 Auxiliary Sliding Guide
362 Secondary sliding projection 400 Second multi-stage pickup
500A material housing 500B processing housing
500C finished product housing 510 access opening
520 Opening door 530 Tensile spring
540 Hanging jaw 610 Interlocking pinion
621 Support interlocking rack 622 Operation interlocking rack
631, 741 Sliding guide 632, 742 Sliding projection
640 Slider fixing bracket 711 Upper sprocket
712 Lower sprocket 721 Upper chain
722 Lower chain 731 Upper chain fixing
732 Lower Chain Fixation 810 Driving Sensor
820 Precise Positioning Sensor 830 Door Checking Sensor
841 Initial Positioning Sensor 842 Movement Checking Sensor
843 Limit confirmation sensor

Claims (5)

제한된 공간에 사용가능한 다단아암을 포함한 갠트리로더 시스템에 있어서,
상부에 액세스개구를 가지고 내부에 가공장치를 수용하여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배열방향을 따라 배치된 수평가이드레일과,
아암베이스와 상기 아암베이스에 설치되는 다수의 아암슬라이더로 이루어져 상기 액세스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신축승강 가능한 다단아암과, 상기 다단아암의 선단에 설치된 파지부와, 상기 다단아암을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부를 가지는 제1다단픽업부와,
상기 제1다단픽업부를 지지하여 상기 수평가이드레일를 따라 슬라이딩 주행 가능한 트롤리본체와, 상기 트롤리본체를 주행시키는 주행구동부를 갖는 트롤리와,
상기 승강구동부와 상기 주행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된 공간에 사용가능한 다단아암을 포함한 갠트리로더 시스템.
In the gantry loader system including a multi-stage arm usable in a limited space,
A plurality of housings sequentially arranged by accommodating a processing device therein with an access opening at the top,
A horizontal guide rail disposed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housing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 multi-stage arm which is made up of an arm base and a plurality of arm sliders installed on the arm base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hrough the access opening; A first multi-stage pick-up unit having a lift driving unit,
A trolley body supporting the first multi-stage pickup and sliding along the horizontal guide rail, and a trolley having a driving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trolley body,
Gantry loader system including a multi-stage arm that can be used in a limited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fting driving unit and the driving driv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에 지지되며 상기 제1다단픽업부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다단픽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다단픽업부는 미가공 소재를 픽업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장입하고,
상기 제2다단픽업부는 상기 하우징 내의 가공완료 소재를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된 공간에 사용가능한 다단아암을 포함한 갠트리로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t is supported on the trolley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multi-stage pickup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multi-stage pickup,
The first multi-stage pick-up unit picks up the raw material and charges it in the housing,
The second multi-stage pick-up unit gantry loader system including a multi-stage arm usable in a limited space, characterized in that withdraw the finished material in the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승력을 제공하는 승강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구동부를 통해 상기 다단아암을 승강시킬 때 상기 승강실린더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된 공간에 사용가능한 다단아암을 포함한 갠트리로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fting cylinder that provides a lifting force to at least one of the arm slider, the control unit can be used in a limited space characterized in driving the lifting cylinder when lifting the multi-stage arm through the lifting driving unit Gantry loader system with arm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액세스개구를 개폐하는 개구도어와, 상기 개구도어를 폐쇄방향으로 구동하는 폐쇄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롤리는 하방돌출 및 상향철회 가능한 도어개방연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롤리의 슬라이딩 이동 시 상기 도어개방연동부를 하방돌출시켜 목표로 하는 상기 개구도어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된 공간에 사용가능한 다단아암을 포함한 갠트리로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n opening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ccess opening, and a closing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opening door in the closing direction,
The trolley further includes a door opening interlocking unit capable of protruding downward and upwardly retracting,
The control unit is a gantry loader system including a multi-stage arm usable in a limited spa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sliding the trolley, the door opening interlocking portion is projected downward to open the target opening doo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구동부는 상기 개구도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스프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된 공간에 사용가능한 다단아암을 포함한 갠트리로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closed driving unit gantry loader system including a multi-stage arm usable in a limited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ension spring that provides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opening door.
KR1020180124445A 2018-10-18 2018-10-18 Gantry loader system for limited ceiling height KR1021429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445A KR102142984B1 (en) 2018-10-18 2018-10-18 Gantry loader system for limited ceiling he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445A KR102142984B1 (en) 2018-10-18 2018-10-18 Gantry loader system for limited ceiling heigh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717A true KR20200043717A (en) 2020-04-28
KR102142984B1 KR102142984B1 (en) 2020-08-21

Family

ID=70456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445A KR102142984B1 (en) 2018-10-18 2018-10-18 Gantry loader system for limited ceiling he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98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702B1 (en) 2022-03-04 2024-01-16 (주)코막스 Safety accident prevention using human recognition ai 3-axis gantry loader for machine tool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3936A (en) * 1991-11-01 1993-05-21 Kiriyuu Kikai Kk Workpiece transfer device in machine tool and method thereof
JP2001170847A (en) * 1999-12-20 2001-06-26 Mitsubishi Motors Corp Work grinding device and work grinding method
JP2010029949A (en) * 2008-07-25 2010-02-12 Murata Machinery Ltd Elevator device and gantry load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3936A (en) * 1991-11-01 1993-05-21 Kiriyuu Kikai Kk Workpiece transfer device in machine tool and method thereof
JP2001170847A (en) * 1999-12-20 2001-06-26 Mitsubishi Motors Corp Work grinding device and work grinding method
JP2010029949A (en) * 2008-07-25 2010-02-12 Murata Machinery Ltd Elevator device and gantry loa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984B1 (en) 202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8970B2 (en) Unlocking device, locking device, battery replacement mobile platform and high speed battery replacement system
CN109230321B (en) Material conveying system, conveying method and storage device
WO2023231984A1 (en) Goods storage and retrieval apparatus and transport robot
CN211003004U (en) Annular stereoscopic warehouse
KR102142984B1 (en) Gantry loader system for limited ceiling height
JP4970162B2 (en) Engagement chain type lifting device
CN207361167U (en) A kind of batch feeding device
CN112814565A (en) Automatic rod-adding drilling machine
KR102168016B1 (en) Gantry loader
CN108545016A (en) A kind of industrial intelligent robot carried for workshop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09573431B (en) Automatic access elevator and automatic access lifting system
CN115451697A (en) Automatic online trolley replacing system and method
US20230406630A1 (en) An access station for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KR20200061114A (en) Carrying Robot Having Elevating Means
CN215152348U (en) Mechanical hand-mounted ribbon buckle box equipment
CN112729026B (en) Automatic material supplementing device for cylindrical bar
CN212173760U (en)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glue injection hardening of adjuster
US4911313A (en) Linkage lifting apparatus
CN110015575B (en) Automatic loading device for anchor cable wire
JP5635062B2 (en) Pallet feeder
CN211768055U (en) Motor goods shelf matched with assembly line
JPWO2019163683A1 (en) Chemicals dispenser
US20230313622A1 (en) Platform for the storage, transport and handling of drilling or prospection rods of different lengths and diameters
JPH086150Y2 (en) Pipe storage equipment
JP2021134021A (en) Elevator for construction and tread plate driving method for elevator for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