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303A - 2개의 우산 구조부를 포함하는 절첩가능 텐트 - Google Patents

2개의 우산 구조부를 포함하는 절첩가능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303A
KR20200043303A KR1020190129049A KR20190129049A KR20200043303A KR 20200043303 A KR20200043303 A KR 20200043303A KR 1020190129049 A KR1020190129049 A KR 1020190129049A KR 20190129049 A KR20190129049 A KR 20190129049A KR 20200043303 A KR20200043303 A KR 20200043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tent
umbrella structure
umbrella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7295B1 (ko
Inventor
라푸 벵자멩
제네로 알렉상드르
Original Assignee
데카쓰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카쓰롱 filed Critical 데카쓰롱
Publication of KR20200043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8Umbrella type 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18Tents having plural sectional covers, e.g. pavilions, vaulted tents, marquees, circus tents; Plural tents, e.g. mod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4Tents or canopies, in general cone shaped, e.g. teepe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2019/005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out 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절첩가능 텐트는, 텐트 천(14), 기둥이 없는 제1 우산 구조부(16), 기둥이 없는 제2 우산 구조부(16'), 및 상기 제1 우산 구조부의 제1 리브(21)의 말단부(21a)와 상기 제2 우산 구조부의 제1 리브(21')의 말단부(21'a)를 힌지 방식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합부를 갖는 지붕(12)을 포함하며, 상기 절첩가능 텐트는 상기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가 개방 자세에 있는 전개 자세와 상기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가 폐쇄 자세에 있는 절첩 자세를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2개의 우산 구조부를 포함하는 절첩가능 텐트 {FOLDABLE TENT COMPRISING TWO UMBRELLA STRUCTURES}
본 발명은, 캠핑 장비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보관 자세에 상응하는 절첩 자세와 사용 자세에 상응하는 전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절첩가능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텐트는 여행자 및 캠핑자에게 흔히 사용된다. 사실, 절첩가능 텐트는 신속하게 전개 또는 절첩될 수 있어, 야영지의 설치 또는 신속한 보관을 허용한다.
문헌 US 3,941,140호에 설명된 것과 같은 절첩가능 텐트가 공지되어 있다. 이 텐트는 제1 서브-프레임 및 제2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며,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허브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로드를 포함한다. 2개의 서브-프레임은 텐트의 내부공간을 규정하기 위해서 서로를 향하여 경사지는 2개의 직사각형을 형성한다.
이러한 텐트의 단점은 특히 작은 내부공간을 가져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편안함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절첩가능 텐트 내에 누워있는 사용자의 머리와 발은 특히 텐트 천에 닿을 수 있으며, 이는 특히 불쾌하고 사용자의 수면에 악영향을 미친다.
게다가, 이 텐트가 전개 자세를 취하도록, 2개의 서브-프레임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상응하는 허브에 대해 각각의 로드를 수동으로 선회시킬 필요가 있다. 이들 로드는 하나씩 수동으로 선회되어야만 한다. 이 텐트는 8개의 로드를 포함하기 때문에, 텐트의 설치에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복잡하다. 게다가, 이미 선회되어 있는 로드 상의 텐트 천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 때문에, 상기 로드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발휘되어야 하는 힘은 특히 커지게 된다.
유사하게, 이 텐트를 보관하기 위해, 각각의 서브-프레임이 절첩 자세를 취하도록 하기 위해서, 제2 방향으로 로드를 다시 선회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또 다시, 로드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발휘되어야 하는 힘은 상당히 클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는 각각의 로드에 접근하기 위해서 텐트 주위 전체를 조금씩 이동해야만 하며, 이는 번거롭고 텐트를 신속하게 접을 수 없게 한다. 그러므로 텐트의 보관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복잡하며, 직관적이지 않고 사용자를 피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절첩가능 텐트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붕(12)을 포함하는 절첩가능 텐트(10)로서, 상기 지붕은:
- 텐트 천과;
- 제1 상부 허브, 제1 하부 허브, 상기 제1 상부 허브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텐트 천과 상호작용하는 복수의 리브, 및 복수의 역-리브를 포함하는, 기둥이 없는 제1 우산 구조부로서, 상기 제1 우산 구조부의 역-리브 각각은 상기 제1 우산 구조부의 리브 중 하나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하부 허브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우산 구조부의 상기 리브 및 상기 역-리브는 상기 제1 하부 허브가 제1 이동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상부 허브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1 우산 구조부는 개방 자세와 폐쇄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것과;
- 제2 상부 허브, 제2 하부 허브, 상기 제2 상부 허브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텐트 천과 상호작용하는 복수의 리브, 및 복수의 역-리브를 포함하는, 기둥이 없는 제2 우산 구조부로서, 상기 제2 우산 구조부의 역-리브 각각은 상기 제2 우산 구조부의 리브 중 하나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2 하부 허브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우산 구조부의 상기 리브 및 상기 역-리브는 상기 제2 하부 허브가 제2 이동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2 상부 허브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2 우산 구조부는 개방 자세와 폐쇄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것과;
- 상기 제1 우산 구조부의 제1 리브의 말단부와 상기 제2 우산 구조부의 제1 리브의 말단부를 힌지 방식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절첩가능 텐트는 상기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가 개방 자세에 있는 전개 자세와 상기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가 폐쇄 자세에 있는 절첩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절첩가능 텐트를 제공한다.
리브의 말단부란, 리브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상부 허브와는 반대편의 리브의 타단부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는 동일하다.
텐트 천은 출입구와 환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텐트 천은 제1 우산 구조부 및 제2 우산 구조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텐트 천은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의 리브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텐트 천은 제1 상부 허브에, 제1 하부 허브에, 및/또는 제1 우산 구조부의 리브에 고정될 수 있다.
절첩 자세에 있어서, 텐트의 모든 리브 및 역-리브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므로, 텐트는 한 묶음(bundle)을 형성한다. 이 때 텐트는 원통-형상 보관 가방에 보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역-리브는 조인트에 의해서 대응하는 리브에 연결되어, 상기 역-리브가 상기 리브에 대해 선회할 수 있도록 한다.
비-제한적인 방식에 있어서,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의 제1 리브의 말단부를 연결하는 제1 접합부는, 힌지와 같은 피봇 연결부, 또는 볼-조인트 연결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제1 리브의 선회를 허용하므로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는 서로에 대해 선회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합부는 텐트가 절첩 자세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를 연결한다. 이는 우산 구조부 중 하나를 분실하는 것을 방지한다.
텐트의 전개는 2개의 우산 구조부를 연속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2개의 우산 구조부는 동시에 개방될 수 있다.
제1 우산 구조부가 개방 자세를 취하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제1 하부 허브를 제1 상부 허브 쪽으로 변위시킨다. 이러한 이동은 제1 하부 허브를 절첩가능 텐트의 내부로부터 제1 상부 허브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은 절첩가능 텐트의 외부에서 제1 하부 허브를 제1 상부 허브 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제1 하부 허브를 제1 상부 허브에 접근시키는 이러한 이동은 제1 상부 허브에 대해 제1 우산 구조부의 리브를 선회시켜, 제1 이동방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제1 이동 방향에 수직이고 제1 우산 구조부의 리브와 역-리브 사이의 조인트를 지나는 평면을 넘어서 제1 하부 허브가 통과하는 것은, 제1 우산 구조부가 개방 자세로 고정되도록 야기시킨다. 이 평면의 통과는 하드 포인트 통과(hard point passage)라고도 한다. 이는 제1 우산 구조부의 역-리브와 제1 하부 허브 사이에서의 경사각도의 역전에 의해, 그리고 상기 역-리브의 신장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 하부 허브가 이 평면과 제1 상부 허브 사이에 있을 때, 역-리브는 확장되어 제1 하부 허브를 가압하며, 자동적으로 제1 상부 허브 쪽으로 이동한다.
바람직하게, 개방 자세에 있어서, 제1 하부 허브는 제1 상부 허브에 대항하여 가압된다. 그러므로 제1 우산 구조부의 개방 자세는 고정 자세이다.
제2 우산 구조부가 개방 자세를 취하도록 하는 동작 모드는 제1 우산 구조부가 개방 자세를 취하도록 하는 것과 유사하다. 우산 구조부는 각각의 리브가 동시에 전개되도록 하므로, 신속하게 개방될 수 있고 수고를 아낄 수 있다.
절첩가능 텐트의 전개시, 제1 접합부는 특히 상기 우산 구조부의 선회를 허용하므로, 서로에 대한 우산 구조부의 위치결정을 허용한다. 2개의 우산 구조부 중 하나가 개방 자세를 취하면, 제1 접합부는 다른 우산 구조부의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상기 제1 리브들 사이의 간격은 2개의 우산 구조부의 서로에 대한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하고, 다른 우산 구조부가 전개될 때 절첩가능 텐트의 지붕을 손상시킬 수 있는 힘을 제한한다.
특히, 2개의 우산 구조부의 연속적인 개방은 텐트의 지붕을 자동적으로 형성하도록 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으로 인하여, 절첩가능 텐트는, 제1 및 제2 하부 허브의 이동에 의해, 최소한의 노력으로 매우 신속하게 전개될 수 있다.
2개의 우산 구조부는 텐트의 틀을 형성한다. 제1 접합부는 유리하게 텐트 천이 놓이는 절첩가능 텐트의 상단을 형성한다. 유리하게는, 수직으로 볼 때, 제1 및 제2 상부 및 하부 허브는 제1 접합부 아래에서 연장되고 따라서 절첩가능 텐트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된다.
텐트의 내측에서 고려하면, 우산 구조부는 오목한 형태를 가지며, 그 결과 텐트의 내부공간을 증가시켜 사용자의 편안함이 향상된다.
텐트 천은 유리하게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에 장력을 가하여 절첩가능 텐트가 지면 상에 놓일 때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가 서로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절첩가능 텐트는 적어도 3개, 바람직하게는 4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리브의 말단부는 텐트가 전개될 때 지면 상에 놓이도록 구성되어, 상기 텐트는 충분히 안정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절첩가능 텐트는 텐트 천 아래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에 장착되는 내부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내부 챔버는 사용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텐트를 접기 위해서, 2개의 우산 구조부가 연속적으로 폐쇄 자세를 취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대안적으로, 2개의 우산 구조부는 동시에 폐쇄 자세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우산 구조부가 절첩 자세를 취하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제1 하부 허브가 전술한 평면을 즉 하드 포인트를 다시 통과하도록, 예를 들어 텐트의 내부로부터 제1 하부 허브를 잡아당김으로써 또는 텐트의 외부에서 제 하부 허브를 밀어내림으로써 제1 하부 허브를 제1 상부 허브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켜야만 한다.
제2 우산 구조부가 폐쇄 자세를 취하도록 하는 작동 모드는 제1 우산 구조부가 폐쇄 자세를 취하도록 하는 것과 유사하다.
절첩가능 텐트가 절첩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 2개의 우산 구조부는 지면 상에 놓인다. 이 때 사용자는 이것들이 한 묶음을 형성하도록 모아 보관 가방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리브는 끈에 의해 모아져서 유지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제2 이동방향은, 상기 절첩가능 텐트가 전개 자세를 취할 때, 상기 제1 이동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이동방향과 제2 이동방향 사이의 각도는 70도 내지 100도를 이루며, 더욱 상세하게는 대략 90도이다.
상기 이동방향은 바람직하게, 절첩가능 텐트가 지면 상에 놓일 때, 지면에 대해 경사져 있다. 또한, 제1 우산 구조부의 리브와 역-리브 사이의 조인트를 통과하는 평면도 지면에 대해 경사져 있다. 또, 텐트의 지붕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돔을 형성한다.
유리하게는, 2개의 우산 구조부 중 하나가 개방 자세를 취하는 것은, 다른 우산 구조부의 지면에 대한 선회를 야기시키고, 그로 인해 지면에 대한 상기 다른 우산 구조부의 기울어짐을 자동적으로 안내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우산 구조부는 상기 다른 우산 구조부를 지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유지하도록 서포트를 형성한다.
전개 자세에 있어서, 이동방향은 유리하게 우산 구조부의 볼록한 쪽에 가깝게 서있는 사용자의 상체 쪽을 향한다. 또한, 제1 및 제2 상부 및 하부 허브는 유리하게 사용자의 허리에서 연장된다. 그러므로 상기 허브는 특히 접근이 용이하고, 이는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가 개방 및 폐쇄 자세를 취하도록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것은 텐트의 전개를 용이하게 하고 피로 및 가능한 물리적 외상을 감소시킨다.
절첩가능 텐트의 절첩 자세에 있어서, 제1 및 제2 이동방향은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식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우산 구조부 및 상기 제2 우산 구조부는, 상기 절첩가능 텐트가 전개 자세를 취하여 지면 상에 놓일 때, 상기 제1 접합부를 통과하는 수직 평면의 양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수직 평면은 유리하게는 절첩가능 텐트의 지붕에 대하여 대칭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형태는 지면 상에서의 텐트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의 제1 리브의 말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피복부를 포함한다. 텐트의 전개시 이들 제1 리브를 서로에 대해 선회 및 위치결정하기에 충분한 자유도를 제공하면서 상기 제1 리브를 연결 및 안내하는 것에 주목하라. 그러므로 텐트를 전개시키기 위하여 드는 노력이 감소된다. 제1 피복부는 유리하게는 상기 제1 리브들 사이에 볼-조인트 연결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1 피복부는 바람직하게는 텐트 천에 고정, 예를 들어 재봉되어, 제1 리브가 텐트 천과 상호작용하여 절첩가능 텐트가 전개될 때 텐트 천을 지지하여 잡아당기도록 한다.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상기 제1 피복부는, 제1 우산 구조부의 제1 리브의 말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피복 부분과, 제2 우산 구조부의 제1 리브의 말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2 피복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특정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우산 구조부의 제1 리브는 제1 리브 부분, 제2 리브 부분,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리브 부분에 대해 횡방향인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상기 제1 및 제2 리브 부분을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우산 구조부는, 상기 제1 우산 구조부가 전개 자세를 취할 때 상기 제2 리브 부분이 비절첩 자세를 취하고, 상기 제1 우산 구조부가 절첩 자세를 취할 때 상기 제2 리브 부분이 절첩 자세를 취하도록 구성된다.
제1 리브와 관련된 역-리브는 유리하게는 상기 제1 리브의 제1 리브 부분과 상호작용한다.
제1 우산 구조부의 개방 자세에 있어서, 제1 및 제2 리브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연속적으로 정렬되어 연장된다. 절첩 자세에 있어서, 제1 및 제2 리브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해 각도를 형성한다. 힌지부는 제1 및 제2 리브 부분 사이에서 선회 연결부를 형성한다.
제2 리브 부분은, 절첩가능 텐트가 전개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 절첩가능 텐트의 내부공간을 증가시키는 장점을 가져,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안락함을 향상시킨다. 절첩될 수 있는 이러한 제2 리브 부분은 일단 절첩된 절첩가능 텐트의 소형화를 더욱 가능하게 한다. 실제로, 절첩 자세에 있어서, 제2 리브 부분은 제1 리브 부분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때 제1 및 제2 리브 부분은 서로 옆에서 연장되며, 이는 감소된 크기의 보관 가방 내에 이것들을 보관할 수 있게 한다.
제1 우산 구조부의 개방은 제2 리브 부분이 비절첩 자세를 자동적으로 취하게 한다. 유사하게, 제1 우산 구조부의 폐쇄는 제2 리브 부분이 절첩 자세를 자동적으로 취하게 한다. 사용자는 제1 리브 부분을 수동으로 펼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텐트의 전개가 여전히 용이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절첩가능 텐트의 몇몇 리브는 그러한 제1 및 제2 리브 부분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우산 구조부는 그러한 제1 및 제2 리브 부분을 갖는 4개의 리브를 포함한다. 이는 전개된 텐트의 내부공간을 더욱 증가시키고 절첩가능 텐트의 소형화를 더욱 향상시킨다. 유리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각각의 제2 리브 부분은 우산 구조부의 개방시 동시에 펼쳐진다.
유리하게는, 제1 상부 허브는 후크와 같은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우산 구조부의 제1 리브의 말단부는, 절첩 자세에서 제1 리브의 상기 제2 리브 부분을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부착부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탄성부와 같은 고정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2 리브 부분이 비절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리브 부분에 대한 상기 제2 리브 부분의 선회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리브 부분이 서로의 연장(extension) 내에서 연장될 때 제2 리브 부분의 선회는 차단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텐트 천에 의해 제1 리브에 가해지는 장력은 유리하게는 제2 리브 부분을 비절첩 자세로 유지하게 한다.
절첩 자세와 비절첩 자세 사이에서의 제2 리브 부분의 각도 변위는 바람직하게는 170도 내지 190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180도이다. 비절첩 자세에 있어서, 제2 리브 부분은 제1 리브 부분에 연속되어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첩가능 텐트는 전개 자세에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우산 구조부가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이행할 때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제2 리브 부분은 제1 우산 구조부가 폐쇄될 때 내부공간의 외측으로 선회한다.
힌지부의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중력에 의해, 자중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이동은 제1 리브의 말단부와 제1 상부 허브를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가 제1 및 제2 리브 부분을 손쉽게 모아 한 묶음을 형성하게 하며, 그에 따라 절첩가능 텐트의 보관을 용이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텐트 천은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우산 구조부가 절첩 자세를 취할 때 제1 및 제2 리브 부분들 사이에서 텐트 천을 안내하여, 폐쇄된 제1 우산 구조부 내에 실질적으로 수용한다는 것에 주목하라. 절첩가능 텐트의 소형화가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붕은 상기 제1 우산 구조부의 제2 리브의 말단부와 상기 제2 우산 구조부의 제2 리브의 말단부를 힌지 방식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접합부를 포함한다.
제2 접합부는 바람직하게는 제1 접합부와 동일하다. 텐트는 유리하게는 길이방향 수직 대칭면을 가지며, 제1 및 제2 접합부는 상기 길이방향 수직 대칭면의 양쪽에서 연장된다. 제1 및 제2 접합부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높이에서 연장되고 텐트의 상부를 함께 형성한다.
제2 접합부는 바람직하게는 제2 피복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는, 상기 절첩가능 텐트가 전개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 지면에 놓이도록 구성되는 말단부를 각각 가지는 제3 리브 및 제4 리브를 각각 포함한다. 그에 따라 제1 및 제2 리브는 우산 구조부들 사이의 연결을 허용하는 한편, 제3 및 제4 리브는 절첩가능 텐트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개방된 우산 구조부의 제1 및 제2 리브의 말단부들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산 구조부의 제3 및 제4 리브의 말단부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거나 같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우산 구조부는 단지 하나의 리브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그 말단부는 절첩가능 텐트가 전개될 때 지면 상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변형예에 있어서는, 절첩가능 텐트의 단지 2개의 리브만이 지면에 접촉한다. 이 때 절첩가능 텐트는 텐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안정부재, 예를 들어 거이 로프(guy rope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거이 로프는 절첩가능 텐트의 지붕과 상호작용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쪽에서, 지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우산 구조부는 상기 텐트 천의 상호작용부와 상호작용하는 말단부를 가지는 제5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5 리브는 상기 제1 우산 구조부의 제3 및 제4 리브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3 리브와 상기 제4 리브 사이에서 연장된다.
텐트 천은 제5 리브의 말단부와 상호작용한다. 제3 리브, 제4 리브 및 제5 리브의 말단부 사이에서 텐트 천에는 장력 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제3 리브와 제4 리브 사이에서 연장되는 수직 평면을 형성하는 삼각형 텐트 천 부분을 잡아당기게 한다. 그러므로 텐트 천은 이 위치에서 기울어지지 않으며, 이는 이 절첩가능 텐트 내에 누워있는 사용자의 머리나 발이 텐트 천에 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안락함이 향상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제1 우산 구조부의 리브는 말단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텐트 천은 상기 말단부와 상호작용한다. 상기 말단부는 바람직하게는 텐트 천에 고정된다. 장력 라인은 유리하게는 제1 우산 구조부의 리브의 말단부들 사이에서 텐트 천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이 부는 경우에 텐트 천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텐트 천을 잡아당기는 것에 주목하라. 이것은 특히 텐트의 사용자에게 소음공해를 감소시킨다. 또한, 텐트 천은 볼록한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리브를 팽팽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텐트 천은 또한 제2 우산 구조부의 리브의 말단부들과 상호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텐트 천은 또한 제1 상부 허브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상부 허브와 상기 제1 우산 구조부의 리브의 말단부와의 사이에서 텐트 천에는 장력 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우산 구조부의 하나 이상의 리브가 힌지식으로 함께 연결된 제1 및 제2 리브 부분을 포함하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장력은, 제1 우산 구조물의 개방시, 상기 제2 리브 부분이 비절첩 자세를 자동적으로 취하게 한다. 제2 우산 구조부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텐트 천은 주변 가장자리부를 가지며, 상기 주변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1 우산 구조부의 상기 제3 및 제4 리브의 말단부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주변 가장자리부는 지면에 대해 부분적으로 가깝게 연장되며 텐트 천은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를 거의 완벽하게 덮는다.
제1 우산 구조부가 제5 리브를 포함하고 있을 때, 텐트 천의 주변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5 리브에 연결될 수 있어, 지면으로부터 주변 가장자리부가 이격되도록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환기구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텐트 천과 제5 리브의 상호작용부는 주변 가장자리부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상부 허브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1 우산 구조부는 상기 제1 하부 허브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작동 요소를 더 포함하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우산 구조부는, 리브의 전개를 야기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하부 허브를 상기 제1 상부 허브에 가깝게 이동시키도록 상기 절첩가능 텐트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작동 요소에 견인력을 작용함으로써, 개방 자세를 취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요소는 제1 하부 허브에 고정된 코드(cord)이다. 절첩가능 텐트가 전개 자세를 취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리브의 전개를 야기시키는 코드를 잡아당긴다.
바람직하게는, 제2 하부 허브는 제1 상부 허브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제1 우산 구조부의 리브를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제1 상부 허브에 대해 제1 하부 허브를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에 주목하라.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우산 구조부의 제1 리브는 제1 리브 부분, 제2 리브 부분,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리브 부분을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첩가능 텐트의 지붕은, 상기 제1 우산 구조부가 개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우산 구조부의 제3 리브의 말단부와 상기 힌지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텐트 천에 장력 라인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단지 이것 하나만이 개방될 때 제1 우산 구조부의 제1 리브의 말단부를 지면 상에 유지시키는 것에 주목하라. 다시 말해서, 이 장력 라인은 단지 이것 하나만이 개방될 때 제1 우산 구조부를 지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러한 기울어짐으로, 제2 우산 구조물은 개방시 제1 우산 구조부를 용이하게 위쪽으로 밀고, 지면에 대한 제1 우산 구조부의 최종 경사 상태로의 선회를 야기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절첩가능 텐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를 들어 주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읽을 때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절첩 자세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 텐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2 리브 부분이 절첩되지 않은, 도 1의 절첩가능 텐트의 측면도;
도 3은, 제1 우산 구조부가 중간 자세에 있는 상태의, 도 2의 절첩가능 텐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1 우산 구조부가 개방 자세에 있는 상태의, 도 3의 절첩가능 텐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전개 자세에 있어서의 도 4의 절첩가능 텐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전개된 절첩가능 텐트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절첩가능 텐트의 평면도; 그리고
도 8은, 텐트 천이 도시되어 있는, 도 5의 절첩가능 텐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2개의 우산 구조부(umbrella structures)를 포함하며, 보관 자세(storage position)에 상응하는 절첩 자세(folded position)와 사용 자세(use position)에 상응하는 전개 자세(deployed position)를 취할 수 있는 절첩가능 텐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절첩 자세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 텐트(10)를 나타낸다.
절첩가능 텐트(10)는, 제1 우산 구조부(16) 및 제2 우산 구조부(16')의, 텐트 천(14)으로 이루어지는 지붕(12)을 포함한다. 도시의 편의상, 도 1에는 텐트 천(14)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도 8에는 도시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우산 구조부(16)는 제1 상부 허브(18), 제1 하부 허브(20), 및 제1 상부 허브(18)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리브(ribs)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우산 구조부(16)는 제1 리브(21), 제2 리브(22), 제3 리브(23), 제4 리브(24), 및 제5 리브(25)를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리브는 제1 상부 허브(18)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우산 구조부(16)는 제1 역-리브(counter-rib)(26), 제2 역-리브(27), 제3 역-리브(28), 제4 역-리브(29), 및 제5 역-리브(30)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역-리브는 제1 단부(26a, 27a, 28a, 29a, 30a)와, 이 제1 단부의 반대편의 제2 단부(26b, 27b, 28b, 29b, 30b)를 포함한다. 제1 역-리브(26), 제2 역-리브(27), 제3 역-리브(28), 제4 역-리브(29), 및 제5 역-리브(30)의 제1 단부는 조인트(32)에 의해서 제1 리브(21), 제2 리브(22), 제3 리브(23), 제4 리브(24), 및 제5 리브(25)에 대해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역-리브, 제2 역-리브, 제3 역-리브, 제4 역-리브, 및 제5 역-리브의 제2 단부는 제1 하부 허브(20)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비-제한적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내지 제5 역-리브(26, 27, 28, 29, 30)는 제1 하부 허브(20) 및 제1 내지 제5 리브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우산 구조부의 리브 및 역-리브는, 제1 이동방향(Y1)으로 제1 상부 허브(18)에 대해 제1 하부 허브(20)가 병진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1 우산 구조부(16)는 기둥이 없는(mastless) 우산 구조를 형성한다.
제1 우산 구조부(16)의 제1 리브(21), 제2 리브(22), 제3 리브(23), 및 제4 리브(24)는, 제1 리브 부분(34)과, 제2 리브 부분(36)과, 상기 제1 및 제2 리브 부분들을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38)를 각각 포함한다. 힌지부(38)는, 제2 리브 부분(36)이 제1 리브 부분(34)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리브 부분들에 횡방향인 축선을 따라서 선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리브 부분(3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되지 않은 자세를 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리브 부분은 제1 리브 부분(34)과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2 리브 부분(3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된 자세를 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리브 부분은 제1 리브 부분(34)과 각도를 이룬다.
상기 힌지부(38)는, 상기 제2 리브 부분이 비절첩 자세에 있을 때, 제1 리브 부분(34)에 대한 제2 리브 부분(36)의 선회를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절첩 자세와 비절첩 자세 사이에서 제2 리브 부분(36)의 각도 변위는 대략 180도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절첩가능 텐트의 절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제2 리브 부분(36)은 절첩된 자세에 있다.
제1 우산 구조부의 제5 리브(25)는 제1 리브 부분(34)을 포함하지만 제2 리브 부분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5 리브(25)는 나머지 리브(21, 22, 23, 24)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제5 리브(25)는 제1 우산 구조부(16)의 제3 리브(23)와 제4 리브(24)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2에서, 제1 상부 허브(18)는 제1 하부 허브(20)의 직경(D2)보다 큰 직경(D1)을 가지며 제1 상부 허브(18)와 제1 하부 허브(20)는 동축임을 알 수 있다.
제2 리브 부분(36)이 절첩되지 않는 도 2에 있어서, 제1 하부 허브(20)가 연장부(40)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제1 하부 허브(20)는 연장부(40)의 상단에 배치되는 베어링부(42)를 형성하는 단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 상부 허브(18)는, 이 제1 상부 허브(18)의 양쪽에 축선방향으로 개구되는 관통구멍(44)을 포함한다.
개방을 허용하기 위해서, 제1 우산 구조부(16)는 작동 요소(actuating element)를 형성하는 코드(cord)(46)를 더 포함하며, 이 코드는 제1 하부 허브(20)에 고정되고 관통구멍(44)을 통과한다. 코드(46)는, 제1 하부 허브(20)의 베어링부(42)에 고정되고, 제1 상부 허브의 관통구멍(44)을 통과하고, 제1 파지 링(48)을 구비하는 단부를 갖는다.
제1 우산 구조부(16)는 개방 자세와 폐쇄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텐트의 절첩 자세에 있어서, 제1 우산 구조부(16)는 폐쇄 자세를 취한다.
제2 우산 구조부(16')는 제1 우산 구조부(16)와 동일해서, 제2 하부 허브(20')와, 제2 상부 허브(18')와, 복수의 리브 및 역-리브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2 우산 구조부(16')는 제1 리브(21'), 제2 리브(22'), 제3 리브(23'), 제4 리브(24'), 및 제5 리브(25'), 그리고 제1 역-리브(26'), 제2 역-리브(27'), 제3 역-리브(28'), 제4 역-리브(29'), 및 제5 역-리브(30')를 포함한다. 역-리브는 제2 하부 허브(20')에 연결되어 있고 조인트(32')에 의해서 리브에 연결된다. 제2 하부 허브(20')는 제2 이동방향(Y2)을 따라서 제2 상부 허브(18')에 대해 병진이동 가능하다. 제2 우산 구조부(16')의 제1 리브, 제2 리브, 제3 리브, 및 제4 리브는, 힌지부(38')에 의해서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 리브 부분(34')과 제2 리브 부분(36')을 각각 포함한다. 제2 하부 허브는 베어링부(42')를 포함한다. 제2 우산 구조부(16')는 제2 파지 링(48')을 구비하며 제2 하부 허브(20')에 연결되는 제2 코드(46')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2 우산 구조부(16')는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도 1에서, 절첩가능 텐트(10)는 절첩 자세에 있어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16, 16')가 폐쇄 자세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2개의 우산 구조부(16, 16')의 제2 리브 부분(36, 36')은 절첩 자세를 취하고 있어서, 제1 리브 부분(34, 34') 및 제2 리브 부분(36, 36')의 세트가 실질적으로 함께 연장되어 제1 및 제2 이동방향(Y1, Y2)에 평행하다.
제1 우산 구조부(16)의 제1 리브(21)는 제1 상부 허브(20)에 대해 반대편에 말단부(21a)를 갖는다. 유사하게, 제2 우산 구조부(16')의 제1 리브(21')는 제2 상부 허브(20')에 대해 반대편에 말단부(21'a)를 갖는다.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16, 16')의 제1 리브(21, 21')의 상기 말단부(21a, 21'a)는 텐트 천(12)에 재봉된 제1 피복부(sheath)(50) 내에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제1 피복부(50)는 상기 제1 리브(21, 21')를 함께 힌지식으로 연결하도록 하여, 특히 이들 제1 리브가 서로에 대해 선회하도록 허용한다. 게다가, 이러한 제1 피복부(50) 덕분에, 상기 제1 리브(21, 21')는 텐트 천(14)을 지지(carry)한다.
유사하게,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16, 16')의 제2 리브(22, 22')는 말단부(22a, 22'a)를 각각 갖는다. 이들 말단부(22a, 22'a)는 제2 피복부(52) 내에서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2 리브는,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고 텐트 천(14)을 또한 지지할 수 있어서, 텐트 천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된다. 제2 피복부(52)는 제2 접합부(53)를 형성한다.
텐트 천(14)은, 2개의 우산 구조부(16, 16') 각각의 제1 리브(21, 21'), 제2 리브(22, 22'), 제3 리브(23, 23'), 및 제4 리브(24, 24')의 말단부와, 조인트(32, 32')와, 제1 및 제2 상부 허브(18, 18')에서,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16, 16')에 연결되어 있다.
도 3 내지 5는 전개 자세에 있어서의 절첩가능 텐트(10)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16, 16')는 폐쇄 자세로부터 개방 자세로 연속적으로 움직인다.
비-제한적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우산 구조부(16)가 개방 자세를 취하고 난 후 제2 우산 구조부(16')가 개방 자세를 취한다. 우선, 사용자는 절첩 자세를 취하고 있는 절첩가능 텐트(10) 옆에 서서, 제1 파지 링(48)을 이용하여, 자신을 향하여 제1 코드(46)를 잡아당긴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 허브(20)가 제1 이동방향(Y1)을 따라서 이동되어 제1 상부 허브(18)에 가까워지도록 한다.
제1 우산 구조부(16)의 역-리브(26, 27, 28, 29, 30)들은 제1 하부 허브(20)의 이동을 안내한다. 제1 하부 허브(20)의 이동과 평행하게, 역-리브는 제1 우산 구조부(16)의 리브(21, 22, 23, 24, 25)의 제1 리브 부분(34)에 힘을 가해서, 리브가 서로 멀어지게 이동시킨다. 제1 리브 부분을 제2 리브 부분(36)에 연결시키는 힌지부(38)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리브 부분(34)은 서로 멀어지게 이동하여 제1 우산 구조부(16)를 외측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제1 상부 허브(18)의 직경(D1)이 제1 하부 허브(20)의 직경(D2)보다 크다면, 리브를 서로 멀어지게 이동시키고 제1 상부 허브를 향하여 제1 하부 허브를 이동시키는 것은 용이하다.
도 3으로부터 도 4로 이어지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역-리브는, 리브와 역-리브 사이의 조인트(32)를 통과하고 제1 이동방향(Y1)에 수직인 평면(P)을 함께 지나간다(jointly cross). 역-리브에 의한 평면(P)의 교차는 하드 포인트(hard point)의 교차라고도 한다. 제1 하부 허브(20)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노력 없이 평면(P)을 교차할 수 없는 한, 제1 하부 허브(20)는 고정 자세(stable position)에 있어서 제1 상부 허브(18)와 접촉하게 된다. 제1 하부 허브(20)의 연장부(40)는 제1 상부 허브(18)의 관통구멍(44)을 통과하여, 제1 하부 허브(20)의 베어링부(42)는 절첩가능 텐트(10)의 외부로 돌출한다.
제1 상부 허브(18)와, 각각의 힌지(38)와, 제1 리브(21), 제2 리브(22), 제3 리브(23) 및 제4 리브(24)에 텐트 천(12)이 연결되어 있는 한, 텐트 천은 제1 우산 구조부(16)의 개방 동안에 신장되어 있다. 또한, 텐트 천은 제1 상부 허브(18)와 각각의 리브의 상기 말단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리브에 장력을 가한다.
결과적으로, 제2 리브 부분(36)은 비절첩 자세를 향하여 자동적으로 선회된다. 힌지부(38)는, 도 3으로부터 도 4로 이어지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리브 부분(36)이 제1 리브 부분(34)에 일직선으로 연속하여 위치될 때 선회를 제한한다. 또한, 텐트 천(14)은 제2 리브 부분(36)에 힘을 가하여 제2 리브 부분이 유리하지 않게 절첩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제2 리브 부분(36)은, 제1 우산 구조부(16)의 개방 동안에 자동적으로 비절첩 자세를 취하고, 텐트 천(14)에 의해 리브 상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이러한 비절첩 자세를 유지한다.
또한, 텐트 천(14)의 신장은 제1 우산 구조부(16)의 리브가 만곡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전개된 제1 우산 구조부(16)는 절첩가능 텐트(10)의 내부에서 볼 때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그 다음, 제1 우산 구조부(16)는 리브가 완전히 서로 멀어지게 이동한 개방 자세를 취한다. 그러므로, 절첩가능 텐트(10)는 도 4에 도시된 중간 자세를 취하게 되며, 여기서 제1 우산 구조부(16)는 개방되어 있는 한편 제2 우산 구조부(16')는 폐쇄되어 있다.
그 다음, 조작자는 제2 우산 구조부(16')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상부 허브(18')를 마주하는 절첩가능 텐트(10)의 다른 쪽에 서서, 제2 우산 구조부의 제2 코드(46')를 잡아당기는 것이 적절하다.
제2 우산 구조부(16')의 개방은 제1 우산 구조부(16)의 개방과 유사하다. 특히, 제1 리브(21, 21')와 제2 리브(22, 22')를 힌지 방식으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피복부(50, 52)는, 제2 우산 구조부(16')의 제1 리브(21') 및 제2 리브(22')에 대하여, 제1 우산 구조부(16)의 제1 리브(21) 및 제2 리브(22)의 상대적인 선회를 허용한다. 이는, 절첩가능 텐트(10)의 모양을 잡기 위해서, 서로에 대한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의 위치결정을 허용한다.
나아가서, 텐트 천(14)은 제2 상부 허브(18')뿐만 아니라 제2 우산 구조부(16')의 리브의 말단부와 힌지부(32')에도 연결되어 있다. 또한 텐트 천(14)은, 제1 우산 구조부(16)의 제3 및 제4 리브(23, 24)의 말단부(23a, 24a)와 제2 우산 구조부(16')의 제1 및 제2 리브(21', 22')의 힌지부(38')와의 사이에서 텐트 천 상에 장력 라인(56)이 각각 형성되도록, 유리하게 형성된다. 이들 장력 라인은, 절첩가능 텐트(10)의 중간 자세에 있어서, 제1 우산 구조부 및 평면(P)이 지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우산 구조부의 제3 및 제4 리브(23, 24)는 지면 상에 놓여지는 한편, 제1 우산 구조부의 제1 및 제2 리브(21, 22)는 지면에 닿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도 4로부터 도 5로 이어지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우산 구조부(16')를 개방 자세로 가져갈 때, 제2 우산 구조부(16')의 제1 및 제2 리브(21', 22')는 제1 우산 구조부(16)의 제1 및 제2 리브(21, 22)에 대해 위쪽을 향하는 가압력을 가한다. 이러한 힘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제1 우산 구조부가 최종 경사를 취하여 절첩가능 텐트(10)의 자동적인 모양잡기(shaping)를 허용하도록 하기 위해서, 제1 우산 구조부를 더욱 선회시킨다. 또한, 제1 우산 구조부(16)는 제2 우산 구조부(16')를 지지하며, 반대로 제2 우산 구조부가 제1 우산 구조부를 지지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절첩가능 텐트(10)는 전개된다.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 없이, 제2 우산 구조부(16')는 제1 우산 구조부(16)가 개방되기 전에 개방될 수 있다.
절첩가능 텐트(10)의 전개 자세에서, 텐트 천(14)은 내부공간(V)을 규정한다. 제1 우산 구조부의 조인트를 통과하는 평면(P)은 대략 45도의 각도만큼 지면에 대해 경사져 있다. 제1 및 제2 이동방향(Y1, Y2)은 대략 45도의 각도만큼 지면에 대해 경사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 이동방향은 대략 90도의 각도(α)만큼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절첩가능 텐트(10)는 야영객을 수용할 수 있는 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절첩가능 텐트는 텐트 천 아래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16, 16')에 장착되는 내부 챔버(도시생략)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챔버는 사용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 텐트(10)의 측면도이며, 여기서는 텐트 천(14)이 도시되어 있다. 텐트 천은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16, 16')의 제3 리브(23, 23') 및 제4 리브(24, 24')의 말단부(23a, 23'a, 24a, 24'a)와 함께 동작하는 주변 가장자리부(14a)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16, 16')의 제5 리브(25, 25')의 말단부(25a, 25'a)는, 상기 텐트 천의 상기 주변 가장자리부(14a)와는 별개로, 텐트 천(14)의 상호작용부(15, 15')와 각각 상호작용한다. 또한, 제5 리브는 상기 텐트 천을 밀어내어 내부공간(V)을 증가시킨다. 제5 리브(25, 25')는 텐트 천이 텐트 내에 누워있는 사용자의 머리나 발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락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첩가능 텐트(10)는 단지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를 개방시키는 것만으로, 매우 신속하게 전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우산 구조부(16)의 제3 리브(23)의 말단부(23a)와 제2 우산 구조부(16')의 제1 리브(21')의 힌지부(38') 사이에서, 텐트 천(14) 상에 형성되는 장력 라인(56)은 별개의 제1 부분(56a), 제2 부분(56b) 및 제3 부분(56c)을 포함한다. 이들 3개의 부분은, 예를 들어 출입구를 형성하기 위한 개구부가, 장력 라인(56)이 상기 출입구를 가로지르는 일 없이, 텐트 천(14) 내에 형성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부분(56a) 및 제3 부분(56c)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반면 제2 부분(56b)은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또 다른 장력 라인이 제1 우산 구조부(16')의 제3 리브(23')의 말단부(23a')와 제1 우산 구조부(16)의 제1 리브(21)의 힌지부(38)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도 7은 절첩가능 텐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전개 자세에 있어서의 절첩가능 텐트(10)를 나타내며, 텐트 천(14)이 도시되어 있다.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의 제3 리브(23, 23') 및 제4 리브(24, 24')는 지면에 놓인다.
절첩가능 텐트(10)를 접기 위해서, 사용자는 제1 우산 구조부(16)와 제2 우산 구조부(16')가 연속적으로 폐쇄 자세를 취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하부 허브(20, 20')의 베어링부(42, 42')를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베어링부(42, 42')는 텐트 천(14)을 관통하고 있어서 절첩가능 텐트(10)의 외측으로부터 접근 가능하다.
사용자가 절첩가능 텐트(10)의 외측으로부터 제1 하부 허브(20)의 베어링부(42) 상에 압력을 가하면, 이 압력은 제1 이동방향(Y1)으로 향한다. 이 때 제1 하부 허브(20)는 제1 상부 허브(18)로부터 떨어지게 이동하여 평면(P)을 넘어 지나간다. 제1 우산 구조부(16)의 리브(21, 22, 23, 24, 25)는 함께 서로에 대해 가까워진다. 자중으로 인하여, 그리고 제1 우산 구조부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제1 우산 구조부의 리브의 힌지부(38)는 절첩가능 텐트의 내부공간(V)을 향하여 이동하는 한편, 제2 리브 부분(36)은 절첩가능 텐트의 외측으로 그리고 제1 상부 허브(18)를 향하여 선회한다. 그러므로 제2 리브 부분(36)은 제1 우산 구조부의 폐쇄시 자동적으로 접힌다. 제1 우산 구조부(16)는 폐쇄 자세를 취한다.
동시에, 제2 우산 구조부(16')는 제1 리브(21') 및 제2 리브(22')의 말단부가 지면과 가까워지도록 선회한다.
제2 우산 구조부(16')에 대하여 동일한 동작이 반복되어 제2 우산 구조부도 폐쇄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 때 절첩가능 텐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 자세를 취하여 한 묶음(bundle)을 형성한다. 이 때 절첩가능 텐트는 보관 가방 내에 용이하게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 없이, 제2 우산 구조부(16')는 제1 우산 구조부(16)가 폐쇄되기 전에 폐쇄될 수 있다.
10: 절첩가능 텐트, 12: 지붕, 14: 텐트 천, 16, 16': 우산 구조부(umbrella structure), 18, 18': 상부 허브(hub), 20, 20': 하부 허브, 21, 21', 22, 22', 23, 23', 24, 24', 25, 25': 리브(rib), 21a, 21'a: 말단부, 26, 26', 27, 27', 28, 28', 29, 29', 30, 30': 역-리브(counter-rib), 51: 접합부, Y1, Y2: 이동방향.

Claims (16)

  1. 지붕(12)을 포함하는 절첩가능 텐트(10)로서, 상기 지붕은:
    - 텐트 천(14)과;
    - 제1 상부 허브(18), 제1 하부 허브(20), 상기 제1 상부 허브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텐트 천과 상호작용하는 복수의 리브(21, 22, 23, 24, 25), 및 복수의 역-리브(26, 27, 28, 29, 30)를 포함하는, 기둥이 없는 제1 우산 구조부(16)로서, 상기 제1 우산 구조부의 역-리브 각각은 상기 제1 우산 구조부의 리브 중 하나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하부 허브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우산 구조부의 상기 리브 및 상기 역-리브는 상기 제1 하부 허브가 제1 이동방향(Y1)을 따라서 상기 제1 상부 허브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1 우산 구조부는 개방 자세와 폐쇄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것과;
    - 제2 상부 허브(18'), 제2 하부 허브(20'), 상기 제2 상부 허브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텐트 천과 상호작용하는 복수의 리브(21', 22', 23', 24', 25'), 및 복수의 역-리브(26', 27', 28', 29', 30')를 포함하는, 기둥이 없는 제2 우산 구조부(16')로서, 상기 제2 우산 구조부의 역-리브 각각은 상기 제2 우산 구조부의 리브 중 하나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2 하부 허브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우산 구조부의 상기 리브 및 상기 역-리브는 상기 제2 하부 허브가 제2 이동방향(Y2)을 따라서 상기 제2 상부 허브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2 우산 구조부는 개방 자세와 폐쇄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것과;
    - 상기 제1 우산 구조부의 제1 리브(21)의 말단부(21a)와 상기 제2 우산 구조부의 제1 리브(21')의 말단부(21'a)를 힌지 방식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합부(51);
    를 포함하며,
    상기 절첩가능 텐트는 상기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가 개방 자세에 있는 전개 자세와 상기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가 폐쇄 자세에 있는 절첩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절첩가능 텐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방향(Y2)은, 상기 절첩가능 텐트가 전개 자세를 취할 때, 상기 제1 이동방향(Y1)에 대해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 텐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우산 구조부(16) 및 상기 제2 우산 구조부(16')는, 상기 절첩가능 텐트가 전개 자세를 취하여 지면 상에 놓일 때, 상기 제1 접합부(51)를 통과하는 수직 평면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 텐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51)는 상기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16, 16')의 제1 리브(21, 21')의 말단부(21a, 21'a)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피복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 텐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우산 구조부(16)의 제1 리브는 제1 리브 부분(34), 제2 리브 부분(36),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리브 부분에 대해 횡방향인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상기 제1 및 제2 리브 부분을 연결하는 힌지부(38)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우산 구조부는, 상기 제1 우산 구조부가 전개 자세를 취할 때 상기 제2 리브 부분이 비절첩 자세를 취하고, 상기 제1 우산 구조부가 절첩 자세를 취할 때 상기 제2 리브 부분이 절첩 자세를 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 텐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38)는, 상기 제2 리브 부분이 비절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리브 부분(34)에 대한 상기 제2 리브 부분(36)의 선회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 텐트.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절첩가능 텐트는 전개 자세에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16, 16')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공간(V)을 가지며,
    상기 힌지부(38)는 상기 제1 우산 구조부(16)가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이행할 때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 텐트.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텐트 천(14)은 상기 힌지부(38)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 텐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붕(12)은 상기 제1 우산 구조부(16)의 제2 리브의 말단부와 상기 제2 우산 구조부(16')의 제2 리브의 말단부를 힌지 방식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접합부(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 텐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16, 16')는, 상기 절첩가능 텐트가 전개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 지면에 놓이도록 구성되는 말단부(23a, 23'a, 24a, 24'a)를 각각 가지는 제3 리브(23, 23') 및 제4 리브(24, 24')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 텐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우산 구조부(16)는 상기 텐트 천(14)의 상호작용부와 상호작용하는 말단부(25a)를 가지는 제5 리브(25)를 포함하며,
    상기 제5 리브는 상기 제1 우산 구조부의 제3 및 제4 리브(23, 24)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3 리브와 상기 제4 리브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 텐트.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우산 구조부(16)의 리브(21, 22, 23, 24, 25)는 말단부(21a, 22a, 23a, 24a, 25a)를 각각 가지며,
    상기 텐트 천(14)은 상기 말단부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 텐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16, 16')는, 상기 절첩가능 텐트가 전개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 지면에 놓이도록 구성되는 말단부(23a, 23'a, 24a, 24'a)를 각각 가지며,
    상기 텐트 천(14)은 주변 가장자리부(14a)를 가지며,
    상기 주변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1 우산 구조부(16)의 상기 제3 및 제4 리브(23, 24)의 말단부(23a, 24a)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 텐트.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허브(20)는 상기 제1 상부 허브(18)의 직경(D1)보다 작은 직경(D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 텐트.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허브(18)는 관통구멍(44)을 가지며,
    상기 제1 우산 구조부(16)는 상기 제1 하부 허브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작동 요소(46)를 더 포함하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우산 구조부(16)는, 리브의 전개를 야기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하부 허브(20)를 상기 제1 상부 허브에 가깝게 이동시키도록 상기 절첩가능 텐트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작동 요소에 견인력을 작용함으로써, 개방 자세를 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 텐트.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우산 구조부(16)의 제1 리브는 제1 리브 부분(34), 제2 리브 부분(36),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리브 부분에 대해 횡방향인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상기 제1 및 제2 리브 부분을 연결하는 힌지부(38)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우산 구조부는, 상기 제1 우산 구조부가 전개 자세를 취할 때 상기 제2 리브 부분이 비절첩 자세를 취하고, 상기 제1 우산 구조부가 절첩 자세를 취할 때 상기 제2 리브 부분이 절첩 자세를 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우산 구조부(16')의 제1 리브는 제1 리브 부분(34'), 제2 리브 부분(36'),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리브 부분을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38')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우산 구조부(16, 16')는, 상기 절첩가능 텐트가 전개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 지면에 놓이도록 구성되는 말단부(23a, 23'a, 24a, 24'a)를 각각 가지는 제3 리브(23, 23') 및 제4 리브(24, 24')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절첩가능 텐트(10)의 지붕(12)은, 상기 제1 우산 구조부가 개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우산 구조부의 제3 리브의 말단부와 상기 힌지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텐트 천에 장력 라인(56)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 텐트.
KR1020190129049A 2018-10-17 2019-10-17 2개의 우산 구조부를 포함하는 절첩가능 텐트 KR102517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9616 2018-10-17
FR1859616A FR3087466B1 (fr) 2018-10-17 2018-10-17 Tente pliable comprenant deux structures paraplu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303A true KR20200043303A (ko) 2020-04-27
KR102517295B1 KR102517295B1 (ko) 2023-04-03

Family

ID=65244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049A KR102517295B1 (ko) 2018-10-17 2019-10-17 2개의 우산 구조부를 포함하는 절첩가능 텐트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11060315B2 (ko)
EP (1) EP3640414B1 (ko)
JP (1) JP7166236B2 (ko)
KR (1) KR102517295B1 (ko)
CN (1) CN111058679B (ko)
AU (1) AU2019246877B2 (ko)
BR (1) BR102019021696A2 (ko)
CA (1) CA3058103C (ko)
DK (1) DK3640414T3 (ko)
ES (1) ES2898319T3 (ko)
FR (1) FR3087466B1 (ko)
HU (1) HUE056869T2 (ko)
NZ (1) NZ758101A (ko)
PL (1) PL3640414T3 (ko)
PT (1) PT3640414T (ko)
RU (1) RU2754657C2 (ko)
SG (1) SG10201909489RA (ko)
ZA (1) ZA20190664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423U (ko) 2022-08-24 2024-03-05 김상근 사계절 접이식 그늘막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8443B (zh) * 2021-06-21 2022-03-01 重庆大学 一种快速装配的蜂巢建筑
US11834859B2 (en) 2021-08-12 2023-12-05 Shawn P. Reynolds Modular and portable shelter with integrated hub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4282A1 (en) * 2008-12-19 2010-06-24 Chi Hung Fermi Lau Collapsible hunting blind
KR101111991B1 (ko) * 2011-05-26 2012-02-13 이판암 로프작동형 접이식 텐트
WO2014128382A1 (fr) * 2013-02-20 2014-08-28 Decathlon Abri pliant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632A (en) * 1907-06-28 1911-04-25 Charles F Burton Umbrella.
US2864389A (en) * 1956-04-09 1958-12-16 Hettrick Mfg Co Umbrella tent
US3464431A (en) * 1968-02-16 1969-09-02 Ruth F Nathans Umbrella
JPS5256652Y2 (ko) * 1973-06-27 1977-12-21
US4026312A (en) * 1974-10-31 1977-05-31 T.A. Pelsue Company Subframe for a foldable free-standing tent
US3941140A (en) 1974-10-31 1976-03-02 T. A. Pelsue Company Foldable free-standing tent, frame and subframe therefor
US4077417A (en) * 1976-06-03 1978-03-07 T. A. Pelsue Company Combination tent and frame therefor
US4144900A (en) * 1976-08-20 1979-03-20 Ernst Kinski Umbrella
FR2582339B1 (fr) * 1985-05-21 1987-08-21 Schaff Alfred Structures modulaires multidimensionnelles pour habitat leger et procede d'implantation desdites structures.
US4941499A (en) * 1989-04-03 1990-07-17 T. A. Pelsue Company Ground tent with external frame and improved subframe therefor
EP0819809A1 (en) * 1996-07-18 1998-01-21 Purssord, Reginald george Portable structure
AU7028398A (en) * 1997-02-26 1998-09-18 Ernst Muhl Light supporting framework
ATE318975T1 (de) * 2003-07-01 2006-03-15 Utilis S A Schnell aufbaubare, modulare und faltbare struktur für zelte oder dergleichen
US20090084420A1 (en) * 2007-10-01 2009-04-02 Pelsue Bradley A Shelter for protecting installers of fiber optic cable
US7793674B2 (en) * 2008-06-09 2010-09-14 James Christopher Elder Portable sun and weather shelter
CN201474365U (zh) 2009-06-04 2010-05-19 秋野地(厦门)露营用品有限公司 一种折叠帐篷结构
CN201915685U (zh) * 2010-11-11 2011-08-03 金祚献 一种便捷式伞型帐篷
US20130008478A1 (en) * 2011-07-07 2013-01-10 Eolo Sport Industrias, S.A. Framework for camping tents and parasols with an oscillating secure locking system
CN103195291B (zh) * 2012-01-05 2015-09-23 培珍产业株式会社 用于圆顶型帐篷的多级帐篷框架
WO2014189874A1 (en) * 2013-05-20 2014-11-27 Breegi Wisam K Deployable compact surgical and biological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CN204024197U (zh) * 2014-08-21 2014-12-17 翟云 一种折叠方便的伞形帐篷支架
RU2620111C1 (ru) * 2015-12-24 2017-05-23 Дмит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Копытов Каркас палатки
WO2019164714A1 (en) * 2018-02-23 2019-08-29 Lso, Lp Tent or shade providing structure
US20200048925A1 (en) * 2018-08-08 2020-02-13 Daniel Earl Cooper Hunting blinds and accessories for mounting hunting blinds
USD866948S1 (en) * 2018-09-07 2019-11-19 Zhejiang Hengfeng Top Leisure Co., Ltd. Umbrella
US10767387B2 (en) * 2018-09-12 2020-09-08 Jason Bird Foldable ground blin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4282A1 (en) * 2008-12-19 2010-06-24 Chi Hung Fermi Lau Collapsible hunting blind
KR101111991B1 (ko) * 2011-05-26 2012-02-13 이판암 로프작동형 접이식 텐트
WO2014128382A1 (fr) * 2013-02-20 2014-08-28 Decathlon Abri plia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423U (ko) 2022-08-24 2024-03-05 김상근 사계절 접이식 그늘막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246877B2 (en) 2021-12-09
CN111058679B (zh) 2022-05-31
DK3640414T3 (da) 2021-11-15
FR3087466A1 (fr) 2020-04-24
AU2019246877A1 (en) 2020-05-07
JP2020076301A (ja) 2020-05-21
PT3640414T (pt) 2021-11-03
RU2019132818A (ru) 2021-04-16
ES2898319T3 (es) 2022-03-07
NZ758101A (en) 2022-10-28
KR102517295B1 (ko) 2023-04-03
US20200123802A1 (en) 2020-04-23
RU2019132818A3 (ko) 2021-04-16
FR3087466B1 (fr) 2020-11-13
US11060315B2 (en) 2021-07-13
JP7166236B2 (ja) 2022-11-07
PL3640414T3 (pl) 2022-01-24
HUE056869T2 (hu) 2022-03-28
RU2754657C2 (ru) 2021-09-06
EP3640414B1 (fr) 2021-09-15
CA3058103A1 (en) 2020-04-17
EP3640414A1 (fr) 2020-04-22
CA3058103C (en) 2023-03-14
CN111058679A (zh) 2020-04-24
SG10201909489RA (en) 2020-05-28
BR102019021696A2 (pt) 2020-04-28
ZA201906645B (en)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7295B1 (ko) 2개의 우산 구조부를 포함하는 절첩가능 텐트
US8056573B2 (en) Freestanding collapsible shelter
JP4417436B2 (ja) 補強されたリブ構造を有する折り畳み傘
US20090218856A1 (en) Folding canopy chair
CN112922440B (zh) 一种具有分层篷顶的折叠帐篷
US4674524A (en) Folding umbrella
US20120180832A1 (en) Umbrella with offset shaft
PT96188B (pt) Guarda-chuva de abertura automatica
US4934395A (en) Short fold rib linkage for an umbrella
CN209908071U (zh) 一种具有自动挑檐结构的折叠帐篷
CN112704311A (zh) 一种直骨型自动开收伞骨结构
US20230371664A1 (en) Portable shelter
US20230058654A1 (en) Portable shelter
US20240183186A9 (en) Portable shelter
CN214047839U (zh) 一种折式伞具伸缩开收伞骨
CN214283680U (zh) 一种多折伞骨伸缩开收伞具
JPH0722335Y2 (ja) 自動車用折り畳み傘
AU2022215254A1 (en) A portable shelter
JPH04174180A (ja) 折り畳み式覆い装置
NL1019677C2 (nl) Samenstel van een gestel en daardoor op te spannen doek.
KR20230057568A (ko) 루프탑 텐트
AU2021221687A1 (en) A portable shelter
JP2023550670A (ja) ルーフトップテント{roof-top tent}
JP2003027683A (ja) オーニング
US20110290289A1 (en) Dual-crown umbrel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