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030A -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030A
KR20200043030A KR1020180123572A KR20180123572A KR20200043030A KR 20200043030 A KR20200043030 A KR 20200043030A KR 1020180123572 A KR1020180123572 A KR 1020180123572A KR 20180123572 A KR20180123572 A KR 20180123572A KR 20200043030 A KR20200043030 A KR 20200043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makeup cosmetic
talc
particle size
average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456B1 (ko
Inventor
서호중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123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4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3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한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이 가능하며, 떠짐성, 발림성 및 피부 밀착감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Makeup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크림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색상 표현력이 우수하고, 가루날림이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사용감이 무거운 오일 및 왁스 성분에 의한 번들거리며 뻑뻑한 사용감으로 인해 화장막을 무너뜨리는 단점이 있다.
압축 분말 화장료 조성물은 부드러운 사용감을 위하여 구상 파우더를 다량 배합하며, 이때 배합량을 많이 늘릴 경우 결합제로 사용되는 오일을 강하게 흡유하기 때문에 복합 안료 전체를 충분히 결합할 수 있는 능력 즉, 분체간 결합력을 저하시켜 압축 성형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다량 함유시 유분감이 감소되므로 화장시 가루가 날려 피부 밀착감이 떨어지고, 피부 건조함이 발생하여 품질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량의 오일을 함유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주로 탄화수소 오일과 실리콘계 겔, 저점도 실리콘계 오일 및 에스테르계 오일들을 함유한 오일상으로 이루어진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부드럽고 가벼운 사용감과 우수한 퍼짐성, 보습감 등 화장 메이크업 측면에서의 장점을 특징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제품 도포시 크리미(creamy)하고 번들거리는 현상의 개선은 여전히 미흡하며 또한 실리콘계 오일들의 낮은 계면장력과 낮은 상용성으로 인해 오일 누액에 의한 용기 주변으로 오일막을 형성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성형 안정성도 불안하여 제품 충진시 및 외부 충격으로 인한 내용물의 쏠림 현상이 나타나 제품으로써 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종래의 실리콘계 겔을 사용하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도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퍼짐성이 우수한 마이카(mica)를 주 체질안료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마이카는 입도의 크기가 매우 크며, 높은 종횡비(aspect ratio)로 인하여 윤기 또는 펄감이 매우 강하게 나타나 자연스러운 피부를 표현을 하기 위한 메이크업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에 상기 마이카를 탈크(talc)로 대체하여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시도가 이루어졌으나, 제형의 떠짐성 및 발림성이 저하되어 사용상의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나치게 번들거리지 않으면서 매트한 피부 표현을 할 수 있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번들거리지 않고, 매트한 피부 표현이 가능하며, 떠짐성, 발림성 및 피부 밀착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균 입도가 15 내지 40μm인 탈크 및 평균 입도가 3 내지 5μm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번들거리지 않고, 매트한 피부 표현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며, 떠짐성, 발림성 및 피부 밀착력이 우수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도 1은 백색 종이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윤기 정도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2는 검정색 가죽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 이를 플래시 촬영하여 윤기 정도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3은 퍼프로 실시예 1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3회 문지른 후의 조성물의 표면 사진으로, 실시예 1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퍼프에 균일하게 취해졌다.
도 4는 퍼프로 비교예 1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3회 문지른 후의 조성물의 표면 사진으로, 비교예 1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퍼프에 취해지지 않았다.
도 5는 퍼프로 비교예 3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3회 문지른 후의 조성물의 표면 사진으로, 비교예 3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퍼프에 불균일하게 취해졌다.
도 6은 퍼프로 비교예 3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3회 문지른 후의 조성물의 표면 사진으로, 비교예 3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찢어지거나 뜯기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도 7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발림성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8은 비교예 3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발림성을 평가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반고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계 겔을 이용한 파우더를 뭉치게하는 제형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퍼짐성이 우수한 마이카(mica)를 주 체질안료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마이카는 평균 입도가 약 10 내지 100μm이며, 높은 종횡비(aspect ratio)로 인하여 윤기 또는 펄감이 매우 강하게 나타나 매트(matt)한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을 하는 화장료 조성물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 마이카를 탈크(talc)로 대체하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나, 상기 조성물의 제형은 떠짐성 및 발림성이 불량하여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피부의 윤기 및 번들거림을 감소시켜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을 할 수 있으며, 제형의 떠짐성 및 발림성이 우수하고, 피부 밀착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평균 입도가 15 내지 40μm인 탈크(talc) 및 평균 입도가 3 내지 5μm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olymethylsilsesquioxane, PMSQ)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탈크는 안료이며, 본 발명에서는 평균 입도가 15 내지 40μm인 탈크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도가 15 내지 25μm인 탈크를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안료로 마이카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마이카의 윤기 또는 펄감이 매우 강하게 나타나는 특성으로 인하여 매트한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이 어려웠다.
본 발명에서는 평균 입도가 15μm 내지 40μm인 탈크를 사용함에 따라 매트하고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을 할 수 있으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떠짐성(pay-off) 및 발림성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탈크의 평균 입도가 15μm 미만이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밀도가 높아져 조성물의 떠짐성이 불량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탈크의 평균 입도가 40μm를 초과하면 탈크의 윤기가 증가하여 매트한 피부 표현을 나타내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조시 입자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가 매우 불량해지므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반고형 제형에서의 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탈크 표면이 코팅 물질로 코팅된 탈크를 주로 사용하였다. 상기 코팅 물질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실리콘계 화합물, 에스터계 화합물 및 알킬실란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표면이 코팅 물질로 코팅된 탈크는 피부 밀착감이 불량하여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떠짐성 및 발림성이 불량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평균 입도가 15 내지 40μm인 탈크는 상기의 평균 입도를 가짐으로써 표면을 코팅하지 않더라도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평균 입도가 15 내지 40μm인 탈크는 표면이 코팅 물질로 코팅되지 않은 탈크이며, 그에 따라 피부 밀착감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은 실리콘 파우더로, 본 발명에서는 평균 입도가 3 내지 5μm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평균 입도가 3 내지 5μm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을 사용함에 따라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우수한 떠짐성(pay-off) 및 발림성을 구현할 수 있다.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의 평균 입도를 3μm 미만으로 제조하기는 매우 어려워 상기 평균 입도의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은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의 평균 입도가 5μm를 초과하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제형 안정도 및 떠짐성이 불량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반고형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반고형 제형이란 반죽 또는 페이스트 형태의 조성물로, 제형의 흐름성이 없으며, 제형을 낙하시켰을 때 깨지거나 부서짐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볼 경도기 측정시 0.05 내지 0.8N의 경도를 갖는 반고형 제형일 수 있다. 상기 경도는 크림 투명 용기(백색 캡, 지름 4cm, 높이 2.5cm 원형용기, 하영상사)에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가득 담고, sun rheometer(SUN SCIENTIFIC Co.LTD, CR-500DX) 기기로 볼 타입 스핀들을 사용하여 볼 경도를 측정한 것으로, 측정 셋팅 MODE 20, MAX 10kg, R/H HOLD, 깊이 8.0mm, 속도 600mm/m의 측정 조건으로 측정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반고형 제형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추가로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및 실리콘계 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은 피토스쿠알란, 이소헥사데칸, 이소데칸, 운데칸, 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알파올레핀올리고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피토스쿠알란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페닐메치콘, 카프릴디메치콘, 카프릴릴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세테아릴메치콘, 헥사데실메치콘, 헥실메치콘, 라우릴메치콘, 미리스칠메치콘, 페닐메치콘, 스테아릴메치콘, 스테아릴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치콘, 세틸디메치콘, 폴리페닐메칠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트리실록산, 메틸크트리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및 페닐트리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디메티콘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겔은 실리콘 폴리머 단독 또는 둘 이상의 실리콘 폴리머를 용매에 분산시켜 겔 상태를 나타내는 혼합물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리콘 폴리머는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폴리실리콘-11, 폴리실리콘-15, 폴리실리콘-8 및 폴리실리콘-1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실리콘 폴리머를 용매에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 업계에서 사용되는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신에츠(Shinestu)사의 KSG-15. 16. 18. 41, 42, 43, 44, 210, 310, 320, 330, 340, 710, 830, 840, 다우코닝(Dow corning)사의 Dow Corning EL-8051IN Silicone Organic Elastomer Blend, Dow Corning EL-8052IH Silicone Organic Elastomer Blend, Dow Corning EL-8050ID Silicone Organic Elastomer Blend 등의 시판되는 원료를 사용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특별하게 제조된 실리콘계 겔 원료 등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원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가 디메치콘에 분산된 타입(KSG-16)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반고형 제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평균 입도가 15 내지 40μm인 탈크 및 평균 입도가 3 내지 5μm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과, 그 이외의 성분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그 이외의 성분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및 실리콘계 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고형 제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탈크 및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을 합한 중량은 4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4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오일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형의 밖으로 흘러나와 반고형으로 제조되지 않으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가 불량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함량이 8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뭉쳐지지 않아 반고형으로 제조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평균 입도가 15 내지 40μm인 탈크 및 평균 입도가 3 내지 5μm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은 4:1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2: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탈크가 상기 중량비를 초과하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떠짐성이 불량하고, 상기 탈크가 상기 중량비 미만이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흡유성이 증가하여 조성물이 반고형으로 제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탈크 및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을 제외한 그 이외의 성분은 본 발명의 반고형 제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뭉쳐지지 않아 반고형으로 제조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6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오일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형의 밖으로 흘러나와 반고형으로 제조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물성 향상 및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제가 포함되며, 첨가제는 색소, 방부제, 유화제, 분산제 또는 점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프라이머, 아이 메이크업 베이스, 아이 쉐도우, 블러셔, 하이라이터, 브론저, 메이크업 베이스 및 파운데이션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페이스 메이크업뿐만 아니라 헤어라인 및 바디 등의 매트한 피부 표현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 기재는 본 발명의 내용 및 효과에 관한 일 예에 해당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및 효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반고형 제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 중량%)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탈크 평균 입도 34 - - 34 -
18μm
평균 입도 - - - - 34
45μm
알킬 실레인으로 코팅된 탈크 평균 입도 - 34 - - -
9μm
마이카 - - 34 - -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평균 입도 17 17 17 - 17
4μm
평균 입도 - - - 17
10μm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1 1 1 1 1
TiO2 3 3 3 3 3
산화철 16 16 16 16 16
피토쿠스알란 3 3 3 3 3
디메치콘 24 24 24 24 24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2 2 2 2 2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모두 제형화되었으나, 비교예 4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탈크의 평균 입도가 40μm을 초과하여 입자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그로 인하여 안정한 제형이 제조되지 못하였다.
실험예 1.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윤기 평가
윤기가 있는 백색 종이 위에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균일하게 도포하여 BYK 社, micro-TRI-gloss를 사용하여 60°에서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단위 : Gloss Units)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5.3 5.2 8.1 측정 불가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평균 입도가 15 내지 40μm인 탈크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윤기가 높게 측정되지 않았다. 또한, 평균 입도가 15μm 미만이며, 표면이 알킬실란으로 코팅된 탈크를 사용한 비교예 1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윤기도 높게 측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탈크 대신에 마이카를 포함하는 비교예 2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윤기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대비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3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균일하지 않고, 떠짐성이 불량하여 균일한 도포가 어려워 윤기 측정이 불가하였다.
도 1에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외관 비교를 나타내었으며, 도 2에는 백색 종이 대신에 검정색 가죽에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 플래시 촬영을 한 것을 나타내었다. 도 1에서는 비교예 2의 반짝이는 펄감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비교예 2의 윤기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윤기 또는 펄감이 강한 특성을 갖는 마이카로 인한 것이며, 그로 인하여 마이카를 사용할 경우 윤기 및 펄감으로 인하여 매트한 피부 표현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평균 입도가 15 내지 40μm인 탈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매트하게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평가
2-1. 떠짐성(pay-off) 평가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3에서 제조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퍼프로 3회 문지른 후, 퍼프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결과를 도 3 내지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떠짐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반면, 비교예 1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표면이 알킬실란으로 코팅되었으며 평균 입도가 9μm인 탈크를 사용한 것으로, 화장료 조성물이 퍼프에 취해지지 않았다(도 4).
비교예 3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평균 입도가 10μm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을 사용한 것으로, 퍼프에 화장료 조성물이 불균일하게 취해졌으며(도 5), 제형이 찢어지거나 뜯기는 현상이 관찰되었다(도 6).
이로부터, 본 발명의 평균 입도가 15 내지 40μm인 탈크 및 평균 입도가 3 내지 5μm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떠짐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2-2. 발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3에서 제조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퍼프로 취한 후, 이를 동일 면에 한 방향으로 1회 밀어서 도포하였으며, 도포된 거리를 측정하여 발림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은 6.3cm, 비교예 1은 3.9cm, 비교예 3은 2cm 이내로 측정되었다(도 7 및 도 8).
특히, 상기 비교예 3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일부가 불균일하게 끌리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평균 입도가 15 내지 40μm인 탈크 및 평균 입도가 3 내지 5μm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발림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2-3. 피부 밀착감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피부 밀착감을 평가하였다.
소비자 패널 테스트에서 20~30대 여성 2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3일간 사용하게 한 후 피부 밀착감 비교 평가를 5점 척도로 실시하여 평균을 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4 2 4
<평가 기준>
5점 : 도포시 피부 밀착감이 매우 우수함
4점 : 도포시 피부 밀착감이 우수함
3점 : 도포시 피부 밀착감이 보통임
2점 : 도포시 피부 밀착감이 거의 없고, 겉도는 느낌이 조금 있음
1점 : 도포시 피부 밀착감이 없고, 겉도는 느낌이 있음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밀착감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탈크의 평균 입도가 9μm 미만이며, 탈크 표면이 알킬실란으로 코팅된 비교예 2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밀착감이 불량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탈크의 평균 입도가 15 내지 40μm이며, 탈크 표면에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은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밀착감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평균 입도가 15 내지 40μm인 탈크 및 평균 입도가 3 내지 5μm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윤기가 낮으며, 번들거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매트한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이 가능하며, 이와 더불어 조성물의 떠짐성, 발림성 및 피부 밀착감이 모두 우수한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평균 입도가 15 내지 40μm인 탈크 및 평균 입도가 3 내지 5μm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크의 표면이 코팅물질로 코팅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반고형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고형 제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탈크 및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을 합한 중량은 4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크 및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은 4:1 내지 1: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고형 제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및 실리콘 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고형 제형은 볼 경도기로 측정한 경도가 0.05 내지 0.8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23572A 2018-10-17 2018-10-17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86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572A KR102586456B1 (ko) 2018-10-17 2018-10-17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572A KR102586456B1 (ko) 2018-10-17 2018-10-17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030A true KR20200043030A (ko) 2020-04-27
KR102586456B1 KR102586456B1 (ko) 2023-10-10

Family

ID=7046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572A KR102586456B1 (ko) 2018-10-17 2018-10-17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4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811A (ko) * 2016-08-11 2018-02-21 (주)아모레퍼시픽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6264A (ko) * 2016-09-30 2018-04-09 (주)아모레퍼시픽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811A (ko) * 2016-08-11 2018-02-21 (주)아모레퍼시픽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6264A (ko) * 2016-09-30 2018-04-09 (주)아모레퍼시픽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456B1 (ko)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504B1 (ko) 반고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CN106999369B (zh) 唇用固体化妆品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8030765A1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WO2017135629A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1065A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1432795B (zh) 在涂敷于角蛋白材料后能够形成多层结构的化妆品组合物
KR20150099002A (ko) 휘발성 유기 겔을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WO2011122087A1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KR20140146375A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8048214A1 (ko) 고함량의 젤 및 오일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5427010A (zh) 化妆方法
JP2005314369A (ja) 固形油性化粧料
KR102586456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0849A (ko) 커버력 및 발림성이 우수한 스틱형 메이크업 조성물
WO2018048062A1 (ko) 밀착성 및 발림성이 동시에 향상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0854086B1 (ko) 실리콘 기가 부가된 왁스를 함유하는 눈화장용 조성물
KR20160070048A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2152038A (ja) 固形化粧料
KR100715611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17217A (ko) 실리콘 복합 오일을 포함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5539A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386102A (zh) 在施加到角蛋白材料上之后能够形成多层结构的化妆品组合物
JP2013043847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2428616B1 (ko) 고형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