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910A - 추출 셀 - Google Patents

추출 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910A
KR20200042910A KR1020207007464A KR20207007464A KR20200042910A KR 20200042910 A KR20200042910 A KR 20200042910A KR 1020207007464 A KR1020207007464 A KR 1020207007464A KR 20207007464 A KR20207007464 A KR 20207007464A KR 20200042910 A KR20200042910 A KR 20200042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extract
cell
extraction cell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어런 에이 머피
첼시 엘 로젠크란스
Original Assignee
스타벅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벅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스타벅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42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43Liquid, semi-liquid or non-dried semi-soli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Coffee gels; Liquid coffee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23F5/262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the extraction liquid flows through a stationary bed of solid substances, e.g. in percolation colum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23F5/265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the solid substances are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during the extraction cycl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23F5/48Isolation or recuperation of coffee flavour or coffee oil
    • A23F5/483Isolation or recuperation of coffee flavour or coffee oil by solvent extraction of the beans, ground or n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2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llowing a specific operational sequence, e.g. for improving the taste of the extraction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3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to be used with loose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1Loose coffee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0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ea And Coffee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배향 유동 추출 방법, 장치 및 추출물이 개시되어 있다. 배향 유동 추출 방법(oriented flow extraction method)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가지는 추출 셀 속에 추출 재료를 장전하는 단계; 추출 셀의 제 1 부분을 통해 추출 매체의 제 1 분취물을 도입하는 단계; 추출 셀의 제 2 부분을 통해 추출 셀로부터 가스를 방출하는 단계; 추출 셀의 제 2 부분을 폐쇄하고 나서, 추출 매체가 추출 셀의 제 1 부분 속으로 유동함에 따라 추출 셀 안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추출 셀 속으로의 추출 매체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추출물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압력 하에서 추출 매체 안에 추출 재료를 침지하는 단계; 및 추출 셀의 제 2 부분을 통해 추출물을 밀어내기 위해서 추출 셀의 제 1 부분을 통해 추출 매체의 제 2 분취물을 도입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부분은 바닥 부분이고, 제 2 부분은 추출 셀의 정상 부분이다.

Description

추출 셀
본 발명은 압력 하에서 저온 또는 주변 용매로부터 식용 추출물을 준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같은, 식용 추출물을 준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다.
특정한 브루잉된 음료는 적합한 용매 안에 원하는 풍미, 향미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씨앗, 잎, 열매 또는 다른 식물 소재를 추출함으로써 준비된다. 그러나, 식물 소재로부터 원하는 구성요소들을 추출하는 과정은 시간 소모가 많을 수 있고, 최종 추출의 진하기는 용매에 의해 추출되는 총 용존 고형물(total dissolved solids; TDS)의 비율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높은 온도는 추출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높은 TDS를 획득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종종 채택된다. 예컨대, 에스프레소는 보통 끓는 물에서 로스팅되고 그라인딩된 커피를 높은 압력에서 추출함으로써 준비된다. 다른 기법들은 추출 과정의 수득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여러 횟수의 추출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높은 온도와 반복되는 추출은 때때로 산 및 탄닌과 같이 식물 소재로부터 추출되는 원치않는 화합물이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최종 음료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낮은 온도들에서 수행되는 추출들은 종종 더 낮은 TDS 함량을 보여주는 그 높은 온도 반대급부의 진하기가 결여되어 있다. 이러한 추출은 "묽은(weak)" 것으로 인식될 수 있고, 또는 풍미가 결여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높은 온도들에서 달성되는 추출들의 짙은 특성들을 재현하는데 실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실시예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개시되어 있는 상이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특징들은 본 발명의 일부인 추가적인 실시예들을 형성하도록 조합될 수 있다.
도 1에는 추출 셀의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2e에는 추출 셀 안에 추출물을 준비하는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1에 있는 추출 셀의 필터와 제 2 부분의 내부 도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추출 셀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시스템이다.
개관
다양한 추출 시스템 및 방법은 하나 이상의 원하는 개선점들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예시들을 설명하기 위해서 아래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예시들은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어떤 의미로든 제시되어 있는 전체적인 발명 및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과 양태들을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전체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것들 이외의 적용처들과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이 도시되어 있는 특정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대신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거나 제안되어 있는 원리들 및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의 범위에 따르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다수의 실시예들은 커피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서 커피 빈(coffee bean)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서 "추출 재료(extraction material)"로도 지칭되는 추출될 재료는 커피일 수 있다. 사용되는 커피는 세계 도처로부터의 임의의 품종이나 종일 수 있다. 예컨대, (브라질, 인도네이사, 중앙 아메리카, 아프리카 등과 같은) 세계 도처로부터의 아라비카 및 아라비카로 이루어진 임의의 블렌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출 재료는 식용 물질일 수 있고,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녹색 커피 열매(green coffee cherry), 적색 커피 열매(red coffee cherry), 커피 꽃(coffee flower), 커피 열매 과육(coffee cherry pulp), 커피 열매 줄기(coffee cherry stalk), 커피 열매 외과피(coffee cherry exocarp) 또는 커피 열매 중과피(coffee cherry mesocarp) 중 적어도 한가지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의 특정한 특징들과 양태들은 커피 추출물 뿐만 아니라 차 또는 다른 유사한 침출물(infusion)과 같은 다른 음료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추출 재료는 녹차 잎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수분제거된 차 잎일 수 있다. 더욱 추가 실시예들에서, 추출 재료는 과일류, 견과류 또는 유사한 식물 소재를 구비할 수 있는데, 유사한 식물 소재는 그 중에서도 바닐라 빈, 초코렛 빈, 헤이즐넛, 아몬드, 마카다미아, 땅콩, 계피, 민트, 사과, 살구, 아로마틱 비터, 바나나, 블랙베리, 블루베리, 셀러리, 체리, 크랜베리, 스트로베리, 라즈베리, 주니퍼 베리, 브랜디, 카샤사, 당근, 감귤, 레몬, 라임, 오렌지, 그레이프프루트, 탠저린, 코코넛, 멘톨, 생강, 감초, 우유, 피칸, 피스타치오, 호두, 복숭아, 배, 후추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발명의 설명이 에스프레소, 커피, 커피 제품, 차 또는 차 제품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시스템, 방법 및 화합물의 특정한 구현예들은 저온 추출물(cold extract)에 관한 것이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저온 추출물은 그 중에서도 커피 추출물, 차 추출물 및 허브 추출물일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용어는 100℃를 초과하지 않는 추출 매체(본 명세서에서는 용매로도 지칭됨)의 사용으로 준비되는 추출을 지칭하도록 폭넓게 적용된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저온 추출물은 16 바(g)를 초과하는 압력을 이용하지 않는 과정 동안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 매체는 약 0℃ 내지 약 100℃ 사이에 있을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추출 매체의 온도는 약 10℃ 내지 약 30℃ 사이에 있을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들에서, 추출 매체는 물과 같은 액체일 수 있지만, 특정한 구현예들에서는 추출 매체는 다른 액체일 수 있다. 추가적인 구성들에서, 특정한 불활성 기체는 추출 매체를 변위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특정한 구현예들에서, 추출 매체는 아래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추출 셀에 추가되는 경우 주변 온도에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저온 추출물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은 약 0 바(게이지) 내지 16 바(게이지) 사이에 있을 수 있는 압력에서 행해질 수 있고, 특정한 구성들에서 압력은 약 0.8 바(게이지) 내지 3 바(게이지) 사이에 있을 수 있고,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압력 범위들은 위에 기술되어 있는 온도 범위들과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특정한 양태들, 이점들 및 특징들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지만, 임의의 특정 실시예가 이러한 양태들, 이점들 및 특징들 중 일부나 모두를 포함하거나 달성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이점들을 달성하지 않을 수 있지만, 그 대신 다른 이점들을 달성할 수 있다. 임의의 실시예들에서의 임의의 구조, 부재 또는 단계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임의의 구조, 부재 또는 단계를 대신하거나 이에 추가하여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의 특징들의 모든 조합들이 고려되어 있다. 어떠한 부재, 구조 또는 단계도 필수적이거나 불가결한 것은 아니다.
예시 실시예 추출 셀
도 1에는 추출 셀(100)의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시를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추출 셀(100)은 물인 추출 매체로 차 또는 커피 추출물을 브루잉하기 위해서 차 잎이나 그라인딩된 커피 빈의 형태로 되어 있는 추출 재료의 맥락에서 자주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특징과 양태는 다른 맥락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 셀(100)은 차 추출물, 또는 다른 유사한 침출물 또는 다른 추출 재료를 브루잉하도록 차 잎들을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추출 매체는 특정한 배열로 사용될 수 있다.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1의 추출 셀(100)은 제 1 부분(103)과 제 2 부분(106)을 포함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제 1 부분(103)과 제 2 부분(106) 양자 모두는 원통형이다. 제 1 부분(103)을 제 2 부분(106)에 연결하는 것은 측벽(104)이어서, 추출 셀(100)은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부분(103), 제 2 부분(106) 및 측벽(104)은 추출 셀(100)의 내부(109)와 추출 셀(100)의 외부(110) 사이에 경계를 획정하는데 활용되며, 이로써 추출 슬러리(extraction slurry)를 형성하도록 원하는 추출 재료와 적합한 추출 매체로 채워질 수 있는 대체로 액체 밀폐구성(liquid tight enclosure)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제 1 부분(103)은 추출 셀(100)의 하부 또는 바닥 부분에 대응하는 한편, 제 2 부분(106)은 추출 셀(100)의 상부 또는 정상 부분에 대응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발명의 설명에서, 제 1 부분(103)은 바닥 부분 또는 하부 부분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 2 부분(106)은 정상 부분 또는 상부 부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시된 배열은 특정한 이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일부 구성들에서,제 2 부분(106)은 원하는 추출 재료의 도입을 수월하게 하도록 부분적으로 제거되거나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제 2 부분(106)은 제거가능한 커버(removable cover),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또는 플립 탑 리드(flip top lid)로서 구현될 수 있지만, 다양한 다른 구현예들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특정한 배열들에서, 추출 셀(100)의 배향은 수정될 수 있어서, 제 1 부분(103)과 제 2 부분(106)의 배향은 제 1 부분(103)과 제 2 부분(106)이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그 측면 상에 추출 셀(100)을 포지셔닝하는 것과 같이 다른 포지션들로 위치되거나 반전된다. 그러므로, 특정한 구성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부분(103) 또는 측벽(104)은 제거가능한 커버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이를 통해 추출 재료가 추출 셀(100)의 내부(109) 속에 장전될 수 있는 개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메커니즘이 설비될 수 있다.
추출 셀(100)의 내부(109)는 길이(L) 및 길이(L)를 따르는 평균 너비(W)에 의해 특징될 수 있다. 추출 셀의 길이(L)와 평균 너비(W)는 추출 셀(100)의 내부 종횡비(aspect ratio; AR = L/W)를 정의한다. 추출 셀의 내부 종횡비(AR)는 사용자가 추출 매체에 대한 관계에서 추출 재료의 접촉비를 제어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추출 매체에 대한 추출 재료의 접촉비는 추출 특징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즉 증가된 접촉비는 더 진한 추출을 만들어낼 뿐만 아니라 더욱 단축된 추출 시간이라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추출 셀(100)의 전체적인 크기는 추출 셀의 내부 종횡비(AR)가 합리적으로 유지되는 한 추출 특성에 현저하게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증가되거나 감소되거나 또는 이와 달리 특정 생산 요구를 맞추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내부 종횡비(AR)는 약 1:1 내지 약 10:1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내부 종횡비(AR)는 약 2:1 내지 약 4:1, 또는 전술한 범위들 정도나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추출 셀(100)은 플러그 플로를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 플로(plug flow)라는 용어는 그 평이한 통상의 의미에 따라 유체 운반 모델(fluid transport model)을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여기에서 일정한 유동 속도는 챔버의 방사상 축을 가로질러 유지되어 있다. 유동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 때문에, 인접한 유체 레이어들 사이에서의 혼합은 실질적으로 회피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출 매체의 제 1 분취물(aliquot)은 실질적인 혼합없이 액체의 제 2 분취물에 의해 챔버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추출 셀(100)의 내용물은 제 1 부분(103)을 통한 추출 매체의 유동을 개시함으로써 방출된다. 추출 매체가 추출 셀(100)의 내부의 너비에 걸쳐 일정한 속도를 달성하는 경우, 플러그 플로가 유도될 수 있고, 추출 셀(100)의 내용물(즉 준비된 추출물)이 추출 셀(100)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추출 매체가 추출 셀(100)의 너비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를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추출 매체의 유동 사이에서의 원치않는 혼합 및 추출 셀(100)의 준비된 추출물은 회피될 수 있고, 준비된 추출물은 추출 매체의 제 2 유동에 의해 희석되지 않을 것이다.
추출 셀(100)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부분(103), 제 2 부분(106) 및 측벽(104)은 금속, 세라믹, 플라스틱, 유리 또는 다른 실질적으로 고형 화합물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성들에서, 제 1 부분(103), 제 2 부분(106) 및 측벽(104)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금속성 화합물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추가적인 구성들에서, 적어도 측벽(104)은 유리나 플라스틱과 같은 실질적으로 투명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한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리하게도, 이러한 구성들에서, 사용자가 추출 셀(100)의 내용물을 관찰하는 것과, 그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내용물의 외관에 기초하여 추출의 진행을 판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부분(103)은, 추출 매체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바닥 부분(103)일 수 있는) 제 1 부분(103)을 통해 추출 셀(100) 속으로 도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유입구(102)를 포함한다. 유입구(102)는 제 1 부분(103) 안에 개구를 만들어내는데 활용하도록 파이프연결(piping)하거나 튜브연결(tubing)하는 대체로 중공형 구간(hollow section)일 수 있다. 유입구(102)는 차례로 유입구 도관(101)과 유체가 통하게 되어 있을 수 있다. 유입구 도관(101)은 유사하게도 임의의 적합한 공급원으로부터 유입구(102)를 향하여 (물이나 가스와 같은) 추출 매체의 유동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데 활용하도록 파이프연결하거나 튜브연결하는 대체로 기다란 중공형 구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입구 도관(101)은 유입구(102)를 통해 추출 셀(100)의 내부(109)와 유체가 통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물 또는 임의의 다른 추출 매체의 공급은 제 1 부분(103)을 통해 추출 셀(100)의 내부(109) 속으로 도입될 수 있다. 하나의 유입구가 도시되어 있지만,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유입구가 하위-유입구(sub-inlet)들로 분할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유입구 밸브(11)들은 유입구 도관(101) 및/또는 유입구(102)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출 셀(100)의 내부(109) 속으로의 추출 매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합한 밸브들은 예를 들어 우산형상 밸브, 오리주둥이형상 밸브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임시 폐쇄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밸브(111)들을 조정함으로써, 추출 셀(100)의 내부(109) 속으로의 물의 유동은 원하는 추출 특성들에 따라 개시되거나 정지되거나 조절되거나 또는 이와 달리 제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부 구성들에서, 유입구 도관(101)은 역류 억제수단으로서 활용하도록 적합한 밸브나 필터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식물 재료, 용매 또는 심지어 추출물 그 자체가 유입구 도관(101)을 향하여 유입구(102)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추출 셀의 내용물이 실질적인 배압을 받고 있는 경우일지라도 그러하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유입구(102)는 조립질 필터(coarse filter)(15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출 재료는 유입구 도관(101)을 향하여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조립질 필터(150)는 약 0.3 mm 내지 약 1 mm의 범위를 가지는 평균 구멍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부분(106)은 또한 유출구(107)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되어 있는 유입구(102)에서와 같이, 유출구(107)는 추출물 유출구 도관(108)과 유체가 통하게 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유출구(107)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기 유출구 도관(113)과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출물 유출구 도관(108)과 공기 유출구 도관(113) 양자 모두는 추출 셀(100)의 내부(109)와 유체가 통하게 되어 있고, 이로써 추출 셀(100)의 제 2 부분(106)을 통해 추출 셀(100)의 내부(109)로부터 변위되거나 이와 달리 제거되도록 추출 셀(100)의 내부(109) 내에 존재하고 있는 공기와 추출물 양자 모두를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한 배열들에서, 별개의 도관들과 유출구들은 추출 셀(100)의 내부(109) 내에 존재하고 있는 공기와 추출물 양자 모두를 위한 경로를 제공하도록 제 2 부분(106) 상에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유출구가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유출구가 하위 유출구들로 분할될 수 있다. 추출 셀(100)의 내부(109)로부터 공기나 추출물의 분출을 제어하거나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유출구 밸브(112)들은 유출구(107), 추출물 유출구(108) 또는 공기 유출구(11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출구 밸브(112)들은 또한 추출 셀(100)의 내부(109)로부터의 공기의 분출을 제어하거나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유출구 밸브(112)들은 우산형상 밸브, 오리주둥이형상 밸브 또는 다른 적합한 임시 폐쇄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출 셀(100)의 내부(109)로부터의 공기 및/또는 추출물의 유동은 원하는 추출 특성들에 따라 개시되거나 정지되거나 조절되거나 또는 이와 달리 제어될 수 있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 밸브(111)들과 유출구 밸브(112)들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와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조작될 수 있고, 또는 컨트롤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출 셀(100)의 제어 시스템 및/또는 사용자는 특정한 추출 특성들을 조정해주기 위해서 유입구 밸브(111)들이나 유출구 밸브(112)들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출 셀(100)의 제어 시스템 및/또는 사용자는 용매의 유동이 지속하는 동안 유출 밸브(112)들을 폐쇄할 수 있고, 이로써 추출 셀(100)의 내부(109) 내의 압력이 생기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추출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2 부분(106)은 필터(105)를 구비할 수 있다. 필터(105)는 실질적으로 균질한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서 불균질한 추출 슬러리를 그 구성상 구성요소들로 분리시킬 수 있다. 필터(105)는 유출구(107)에 인접하거나 그 근처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필터(105)는 유출구(107)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와 기하구성을 공유한다. 결과생성 추출물은 이후 추가 가공, 포장 또는 소비를 위하여 격리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저장될 수 있다. 필터(105)는 임의의 적합한 여과 제작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필터(105)는 미세 필터, 메쉬 필터, 멤브레인 필터 또는 다른 적합한 여과 장치일 수 있다. 나아가, 특정한 구성들에서, 필터(105)는, 혼합물이 물 유출구 도관(108)을 향하여 유동함에 따라 구멍 크기나 포어 사이즈가 추출물의 유동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추출 재료를 포착할 수 있도록 선정될 수 있다. 이를 대신하여, 필터(105)의 구멍 크기는, 추출 셀(100) 밖으로의 추출물의 유동이 현저하게 방해받지 않도록 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출구(107)와 추출물 도관(108)이 개방되거나 이와 달리 추출물의 유동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추출 매체의 추가적인 분취물이 유입구(102)를 통해 추출 셀(100)의 내부(109) 속으로 유동됨에 따라 상당한 배압이 추출 셀(100)의 내부(109) 내에 생기게 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필터(105)는 약 0.01 mm 내지 약 1 mm의 범위를 가지는 평균 구멍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필터(105)는 약 0.05 mm 내지 약 0.35 mm의 범위를 가지는 평균 구멍 직경을 가진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필터(105)는 약 0.10 mm의 평균 구멍 직경을 가진다.
도 3에는 추출 셀(100)의 제 2 부분(106)의 실시예의 내부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필터(105)가 유출구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커버하도록, 필터(105)는 유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균질한 추출물만 필터(105)를 통해 유출구 속으로 그리고 추출물 유출구 도관을 향하여 유동하는 것이 허락되도록, 다쓴 커피 분말(coffee grounds)은 추출 슬러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필터(105)는 추출 셀(100)의 내부(109) 너비(W)의 대략 20%인 직경(D)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필터의 직경(D)은 유출구의 직경(D)과 실질적으로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터(105)의 직경(D)은 원하는 추출 특성들을 감당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 셀의 내용물에 가해지는 배압을 줄이기 위해서 필터(105)의 직경은 증가될 수 있다. 이를 대신하여,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물이 추출 셀(100)의 내부(109)로부터 변위될 수 있는 속도를 늦추기 위해서 필터(105)의 직경(D)은 감소될 수 있다. 필터(105)의 직경은 격리상태에서 수정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한 구성들에서, 필터(105)의 직경은 대응하는 수정예들과 연계하여 유출구의 직경으로 수정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한 구성들에서, 필터(105)와 유출구의 직경(D)은 추출 셀(100)의 내부(109)의 직경과 같거나 실질적으로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셀 직경에 대한 필터 직경의 비율과 유출구의 직경(D)의 비율은 양자 모두 약 1:1일 수 있다. 그러나, 수정된 구성들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필터 직경과 유출구의 직경(D)은 양자 모두 셀 내경의 약 10% 내지 약 100%일 수 있고, 특정한 구성들에서는 셀 내경의 약 10% 내지 약 30%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부분(106)에 대한 필터(105)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105)는 제 2 부분(106) 상에서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필터(105)는 필터의 외주가 제 2 부분(106)의 중심과 교차하도록 오프셋되어 있을 수 있다.
추가로, 추출 셀(100)의 내부(109)는 추출 셀(10)의 내부 특성들을 모니터링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 셀(100)의 내부(109)는 사용자가 추출 셀(100)의 내부(109) 내에 존재하고 있는 내용물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허용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특정한 구성들에서, 내부 압력이 모니터링될 수 있도록 여러 압력 센서들을 추출 셀(100)의 내부(109) 내에 배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은 추출의 특정한 양태들을 자동화하기 위해서 컨트롤러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성들에서, 압력 센서는 추출 셀(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컨트롤러와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셀이 추출 매체로 채워짐에 따라, 추출 셀(100) 내부의 압력은 모니터링될 수 있다. 원하는 압력이 추출 셀(100) 내부에 생기게 되었다면, 컨트롤러는 추출 셀(100)의 내부(109) 속으로의 추출 매체의 유동을 정지시키도록 유입구 밸브(111)들을 폐쇄시킬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특정한 실시예에서, 추출 셀(100) 속으로의 유동과 밖으로의 유동은 수동식으로 그리고/또는 반-수동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추출 슬러리는 추출 셀(100)의 내부(109) 내에 침지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출 재료로부터 추출될 재료의 원하는 화합물들은 추출 매체 속에서 뽑아내어질 수 있고, 추출물을 형성하도록 용존될 수 있다. 침지가 완료된 경우, 유입구 밸브(111)들은 추출 셀(100)의 내부(109) 속으로의 추출 매체의 제 2 유동을 개시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출구 밸브(112)들이 추출 셀 내부(109)로부터의 추출물의 유동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작동되는 경우, 추출 매체의 제 2 유동은 유출구(107)를 통한 추출물을 변위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 및/또는 구성요소들에서, 추출 셀(100)은, 예컨대 도 2a 내지 도 2e에 대하여 아래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과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실시예들 및/또는 구성요소들에서, 추출 셀(100)은 아래에 기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따라 저온 추출물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시 추출 방법
도 2a 내지 도 2e에는 위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추출 셀 안에서의 사용을 위한 상향 유동 여과 과정의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추출 셀은 본 명세서에서 위에 기술되어 있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e에 있는 추출 셀(200)의 구성요소들은 위에 기술되어 있는 추출 셀(100)과 유사한 주어진 참조 번호들을 가지고 있으며, 유사한 구성요소들은 위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1" 대신 "2"가 앞에 온다. 예를 들어, 내부(209)는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위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있는 내부(109)에 대응할 수 있다. 유사한 참조 번호들이 있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추가적인 세부사항과 실시예들은 위 설명을 참조하여 알 수 있다. 제시를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아래의 방법들은 포장된 차 덩이(packed tea pellet)인 루즈 리프 티(loose leaf tea) 및 로스팅되고 그라인딩된 커피 빈으로부터의 커피 또는 차의 저온 추출물을 준비하는 맥락에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차 및 다양한 다른 침출물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상이한 브루잉을 준비하는 방법들이 채택될 수 있다는 점은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위에서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과정은, 수십 기압을 초과하는 압력들을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100℃를 초과하지 않는 추출 매체(본 명세서에서 용매로도 지칭됨)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에 기술되어 있는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 매체는 약 0℃ 내지 약 100℃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출 매체의 온도는 약 10℃ 내지 약 30℃ 사이에 있을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추출 챔버 내부의 압력은 약 0 바(g) 내지 16 바(g) 사이에 있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압력은 약 0.8 바(g) 내지 3 바(g) 사이에 있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위에서 언급된 범위를 가지는 온도와 압력은 조합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들에서, 추출 매체는 물과 같은 액체일 수 있지만, 특정한 구현예들에서 추출 매체는 다른 액체일 수 있다. 추가적인 구성들에서, 특정한 불활성 기체들은 마찬가지로 추출 매체를 변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들에서, 추출 매체는 아래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추출 셀에 추가되는 경우 주변 온도에 있다.
도 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로스팅되고 그라인딩된 커피 빈일 수 있는 추출 재료(221)는 추출 셀(200)의 내부(209) 속에 장전될 수 있다. 추출 재료(221)는, 추출 셀(200)의 내부(209)가 부분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채워질 때까지 추가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추출 재료(221)는 본 발명의 맥락 범위 내에서 폭넓게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 재료(221)는 로스팅되고 그라인딩된 커피 빈과 같은 커피 빈을 구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라인딩의 수준은 또한 추출 특성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은 미세하게 그라인딩된 커피 빈이 사용되는 경우 더욱 신속하게 진행된다. 이를 대신하여, 추출의 속도는 더욱 조립질인 그라인딩이 채택되는 경우 느려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커피 빈은 약 0.5 mm 내지 약 3 mm의 평균 입자 직경으로 그라인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커피 빈은 약 1 mm 내지 약 2 mm의 평균 입자 직경으로 그라인딩될 수 있다. 또 다른 추가 실시예들에서, 그라인딩된 커피 빈은 약 1.2 mm 내지 약 1.7 mm의 평균 입자 직경으로 그라인딩될 수 있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빈은 약 1.3 mm의 평균 입자 직경으로 그라인딩될 수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또는 대체 추출 재료들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다른 식물들과 허브들의 과일, 잎, 뿌리 및/또는 수피(bark)가 추출될 수 있다.
도 2b에는 추출 재료(221)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채워진 예시적인 추출 셀(100)이 도시되어 있다. 추출 재료(221)가 추출 셀(200) 속에 장전된 후, 추출 매체의 제 1 분취물(231)은 도 2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입될 수 있다. 추출 재료(221)에서와 같이, 광범위한 여러 가지 잠재적 추출 매체들이 채택될 수 있다. 제시를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추출 매체로서의 물의 사용을 자주 언급하고 있지만, 가스와 같은 추가적인 추출 매체 또는 대체 추출 매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은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2c에는 제 1 부분(203)을 통해 추출 셀(200)의 내부(209) 속으로 유동하는 추출 매체의 제 1 분취물(231)이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출 매체는 물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물일 수 있는 추출 매체는 100℃를 초과하지 않고,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 매체는 약 0℃ 내지 약 100℃ 사이에 있을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출 매체의 온도는 약 10℃ 내지 약 30℃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도 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추출 매체의 제 1 분취물(231)은 유입구 도관(201)으로부터 유입구(202)를 통해 추출 셀(200)의 내부(209) 속으로 유동한다. 도시되어 있는 배열에서, 추출 매체의 제 1 분취물(231)은 추출 셀(200)의 내부(209) 속으로 대체로 상향식으로 유동하는데, 추출 셀(200) 전체에 걸쳐 연직방향으로 진행하기 전에 추출 재료(221)의 가장 낮은 레이어에 우선 침투한다.
추출 매체의 제 1 분취물(231)이 추출 셀(200)의 내부(209) 속으로 유동함에 따라, 추출 셀(200)의 추출 재료(221)는 제 2 부분(206)을 향하여 압착될 수 있다. 이는 추출될 추출 재료뿐만 아니라, 추출 셀(200)의 내부(209)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가스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출 매체의 상향 유동이 제 2 부분(206)을 통해 그리고 유출구(207)를 통해 그리고 공기 도관(213)을 향하여 추출 셀(200) 안에 존재하는 (공기와 같은) 가스들을 방출하도록, 유출구(207)는 개방될 수 있다. 충분한 공기가 추출 셀(200)로부터 방출되었다면, 유출구(207)는 폐쇄될 수 있다.
유출구(207)가 폐쇄되어 있다면, 유출 매체의 유동은 정지될 수 있고, 또는 일정 기간 동안 지속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추출 셀(200)의 내부(209) 내의 압력은, 유출구(207)가 폐쇄된 후 추출 매체의 유동이 지속하도록 허용되는 시간의 양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지속하는 것이 허용되는 유출 매체의 유동이 길어질 수록, 추출 셀(200)의 내부(209) 내의 압력은 더욱 커질 것이며, 더욱 빠르게 추출이 진행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더욱 맛좋은 추출을 달성하기 위하여, 추출 셀(200)의 내용물이 대략 대기 압력으로 유지되어 있도록 물의 유동이 정지됨에 따라, 유출구(207)는 폐쇄될 수 있다.
존재하는 공기를 변위시키는 것에 추가하여, 추출 매체의 상향 유동은 특정한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첫번째로, 추출 매체의 상향 유동은 추출 셀(200) 내부의 추출 재료(221)를 더욱 고르게 적실 수 있다. 추출 재료(221)의 적시기(wetting)가 고른 추출을 수월하게 할 수 있더라도, 다른 구역들이 추출 중인 상태(under-extracted 또는 under-extraction; 이하 명세서 전체로 동일함)로 남아있는 동안 추출 재료(221)가 있는 구역들이 추출 종료 상태(over-extracting 또는 over-extraction; 이하 명세서 전체로 동일함)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두번째로, 추출 재료(221)의 상향 유동은 추출 셀(200)의 내부(209)의 제 2 부분(206)에 대하여 추출 재료(221)를 다져넣기(tamp)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가적인 다져넣기 구성요소나 사용자 개입의 필요를 없앰으로써 효율적이면서 자동적인 추출이 수월하게 된다. 추출 재료(221)의 상향 유동이 필요한 다져넣기 힘을 제공하기 때문에, 커피 분말이 추출 셀 안에 장전된 후 또는 추출 용매가 도입된 후 사용자가 서 있거나 커피 분말을 다져넣기할 필요없이 추출 과정이 개시될 수 있고 사람이 없어도 되는 상태(unattended)로 남겨질 수 있다. 나아가, 분말이 다져넣기되는 정도는 추출 셀 속으로 도입되는 용매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고, 그 결과 내부 압력이 용매에 의해 유도된다.
세번째로, 제 2 부분(206)에 대한 추출 재료(221)의 다져넣기는 고른 추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추출 재료(221)가 추출 셀(200)의 제 2 부분(206)에 대하여 다져넣기되고 나서 꽉 채워지게 되기 때문에, 채널링의 위험은 줄어든다. 채널링(channeling)은 추출 재료(221) 사이의 틈새 공간들이 불규칙적인 경우 발생할 수 있고, 즉 추출 매체가 커피 추출 재료(221)를 통해 유동함에 따라 추출 매체는 더 큰 틈새 공간들을 향하여 전향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더 큰 틈새 공간들에 인접하여 추출 재료(221)의 추출 종료 상태를 초래할 수 있고, 더 작은 틈새 공간들에 인접하여 추출 재료(221)의 추출 중인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채널링은, 추출 매체의 유동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를 달성하거나 유지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킴으로써 플러그 플로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추출 매체의 고른 상향 유동이 채택되는 경우, 추출 재료(221)는 분말을 덩어리(cake)로 압축하도록 추출 셀(200)의 제 2 부분(206)에 대하여 다져넣기될 수 있다. 압축된 추출 재료(221)는 더욱 균일한 틈새 공간형성을 보여주며, 균일한 추출을 수월하게 할 수 있고, 더욱 정제된 풍미 특성들을 가지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실시예에 맞추도록 유량을 조절해줌으로써 추출 과정에 관한 많은 양태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압력, 및 추출 재료(221)가 제 2 부분(206)에 대하여 다져넣기되는 정도는 추출 매체가 추출 셀(200)의 내부(209) 속으로 도입되는 비율에 좌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유량은 플러그 플로를 달성하도록 세팅되어 있다. 주어진 유량이 너무 많은 경우, 추출 용매는 덩어리를 통해 채널들을 형성하기 위해서 커피 분말의 틈새 공간들 내부의 불규칙성을 이용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채널들은 고르지 않은 추출과 연관될 수 있다. 유사하게도, 유량이 너무 적은 경우, 용매의 속도는 플러그 플로를 유도하기에 불충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원하는 유량은 추출 셀의 기하구성 및 그 안에 존재하고 있는 내용물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기술되어 있는 장치들과 방법들에 관한 다양한 구성들에서, 유량은 추출 셀의 내부 내에 존재하고 있는 추출 매체의 제 1 분취물의 부피에 대한 관계에서 계측된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유량은 3 분 내지 30 분의 범위를 가지는 기간에 걸쳐 추출 셀의 이용가능한 부피를 채우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량은 약 3 분 내지 30 분의 범위를 가지는 기간에 걸쳐 제 1 분취물의 약 30% 내지 90%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체 구성들에서, 유량은 5 분의 기간에 걸쳐 제 1 분취물의 부피의 약 90%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유량은 약 5 분 내지 약 30 분의 기간에 걸쳐 제 1 분취물의 부피의 약 30% 내지 약 90%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다른 유량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유량은, 추출 매체의 제 1 분취물의 부피의 약 60% 내지 약 80%가 약 15 분 내지 약 20 분의 범위를 가지는 일정 기간에 걸쳐 변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로 이루어진 제 1 분취물(231)이 추출 셀(200)의 내부(209) 속으로 유동함에 따라, 추출 슬러리(235)는 형성된다. 도 2d에는 추출 셀(200)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추출 슬러리(235)가 도시되어 있다. 추출 슬러리(235)는 통상적으로 추출 매체와 용액상태로 추출될 추출 재료를 구비하는 불균질한 혼합물이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 슬러리는 물과 용액상태로 로스팅되고 그라인딩된 커피 빈을 구비할 수 있다. 결과생성 추출물의 진하기는 추출 슬러리(235)의 특정한 특성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물에 대한 로스팅되고 그라인딩된 커피 빈의 비율은 브루잉된 추출물의 최종 진하기에 대해 영향을 미친다. 이와 유사하게, 추출 슬러리(235)의 온도뿐만 아니라 유지되어 있는 압력은 모두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궁극의 음료 특성들에 대해 유사한 영향을 미친다.
도 2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추출 슬러리(235)는 침지할 추출 셀(200)의 내부(209) 내에 유지되어 있을 수 있다. 추출 슬러리(235)는 약 1 분 내지 약 2 시간의 범위를 가지는 일정 기간 동안 침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 슬러리(235)는 약 30 분 내지 1 시간 동안 침지하는 것이 허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출 슬러리(235)는 약 45 분 동안 침지된다. 그러나, 침지 시간은 획득될 추출물의 원하는 특성 및 추출되는 재료의 성질에 따라 폭넓게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더 짧은 침지 시간은 허브 차와 같은 더욱 맛좋은 침출물을 준비하기 위해서 채택될 수 있다. 추가로, 더 긴 침지 시간은 더 깊고 더 풍부한 풍미를 가지는 음료를 준비하기 위해서 채택될 수 있고, 또는 원하는 화합물이 부족한 용해성을 가지는 경우나 이와 달리 추출하기 어려운 경우 채택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위에 기술되어 있는 침지 기간 동안 추출 챔버 내부의 압력은 약 0 바(g) 내지 16 바(g) 사이에 있을 수 있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위에 기술되어 있는 침지 기간 동안의 압력은 약 0.8(g) 내지 3 바(g) 사이에 있을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내부 압력을 주변 아래로 감소시키기 위해서 진공상태가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침지 기간 동안의 압력은 약 -3 바(g) 내지 약 3 바(g)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추가로,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위에 기술되어 있는 침지 기간 동안, 추출 슬러리(235)는 100℃를 초과하지 않고,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 슬러리(235)는 약 0℃ 내지 약 100℃ 사이에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출 슬러리(235)의 온도는 약 10℃ 내지 약 30℃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놀랍게도,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상향 유동 여과 과정과 추출 셀의 기하구성 때문에, 추출 재료 내부에 있는 높은 비율의 원하는 용해성 화합물들은 추출 매체 속으로 당겨지고, 이는 약 30 분과 같은 더 짧은 추출 시간이 채택되는 경우라도 수득율의 희생없이 높은 TDS 추출물의 생산을 궁극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일부 변형예들이 고려되어 있지만, 추출 슬러리(235)는 통상적으로 과정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한 온도와 압력으로 유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제 1 분취물(231)은 주변 온도 아래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에서, 추출 셀은 낮은 온도로 유지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제 1 분취물의 온도는 추출 셀 내부에 침지됨에 따라 상승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추출 슬러리의 온도는 혼합물이 침지됨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더욱 추가 실시예들에서, 추출 슬러리의 온도는 혼합물이 침지됨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제 1 분취물(231)의 온도는 약 0℃ 내지 약 100℃일 수 있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제 1 분취물(231)의 온도는 약 10℃ 내지 약 30℃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추출 슬러리(235)가 침지됨에 따라, 추출 셀 내부의 압력은 통상적으로 침지 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유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물로 이루어진 제 1 분취물은, 내부 압력이 1 기압을 초과할 때까지 추출 셀(200)의 내부(209) 속으로 유동될 수 있다. 원하는 압력이 생기게 되면, 유입구 밸브들은 폐쇄될 수 있고, 제 1 유동은 정지될 수 있다. 추출 챔버 내부의 압력은 이때, 추출 슬러리가 침지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어 있을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추출 챔버 내부의 압력은 약 0 바(g) 내지 16 바(g) 사이에 있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압력은 약 0.8 바(g) 내지 3 바(g) 사이에 있다.
추출 슬러리가 침지된 후, 추출물(241)은 추출 셀(200)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도 2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추출물(241)은 추출 셀(200)의 내부(209) 속으로 (추출 단계 동안 사용되는 동일한 타입의 매체일 수도 있고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추출 매체의 제 2 분취물(232)을 유동시킴으로써 변위될 수 있다. 추출 매체의 제 2 분취물(232)은 제 1 부분(203)으로부터 상향으로 유동하고, 이는 추출 셀(200)의 내용물들을 필터(205)를 향하여 상향으로 변위시킨다. 필터(205)는 불균질한 추출 슬러리(235)를 그 구성물질들, 즉 침지되는 추출물(241)과 다쓴 추출 재료(221)로 분리시키는데 활용된다. 특히, 유입구 밸브(211)는 개방될 수 있고, 추출 슬러리(235)의 제 2 분취물(232)은 유입구(202)를 통해서 추출 셀(200)의 내부(209) 속으로 유입구 도관(201)을 통해 유동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장치들과 방법들의 다양한 구성들에서, 제 2 분취물의 유량은 추출 셀의 내부 내에 존재하고 있는 추출 매체의 제 1 분취물의 부피에 대한 관계에서 계측된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구성들에서, 주어진 유량은 추출 셀의 크기, 추출될 재료의 입자 크기, 필터의 직경 및 필터의 구멍 크기에 좌우될 것이다. 따라서, 특정한 구성들에서, 제 2 분취물의 유량은 30 분 기간에 걸쳐 제 1 분취물의 약 30%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체 구성들에서, 유량은 5 분 기간에 걸쳐 제 1 분취물의 부피의 약 90%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제 2 분취물의 유량은 약 5 분 내지 약 30 분 기간에 걸쳐 제 1 분취물의 약 30% 내지 약 90%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다른 유량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유량은, 추출 매체의 제 1 분취물의 부피의 약 60% 내지 약 80%가 약 15 분 내지 약 20 분의 범위를 가지는 일정 기간에 걸쳐 변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량, 추출 셀(200)의 도시된 실시예의 원통형 성질, 및 필터(205)와 유출구 밸브(212)들에 의해 유도되는 배압 때문에, 추출 매체의 제 2 분취물(232)이 추출 셀(200)의 내부(209) 속으로 도입됨에 따라 플러그 플로는 유도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플로는 추출 셀(200)의 방사상 프로파일을 가로지르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를 특징으로 한다. 추출 셀의 방사상 프로파일을 가로지르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는 인접하는 레이어들 사이에서의 혼합, 특히 침지되는 추출물(241)과 추출 매체의 제 2 분취물(235) 사이에서의 혼합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출물(241)을 변위시키는 것은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는 추출 셀(200)의 내부로부터 추출물을 제거하는데 추가적인 설비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며, 추출물을 변위시키는 것은 추출 매체를 미리 도입하는데 사용되는 유출구들과 유입구들로 된 네크워크를 간단히 이용한다. 따라서, 침지되는 추출물(241)은, 추가적인 회수 절차나 구성요소들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부적절한 희석없이도 추출 셀(200)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과도한 회수 도관이나 메커니즘이 결여되어 있으면, 중대한 전달 손실이 감소되므로, 높은 추출 수득율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추출 사이클은 추출물(241)의 원하는 부피가 수집되면 완료된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사이클은 물로 이루어진 제 2 분취물 안에 추출 재료를 침지함으로써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이클이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추출 재료는 버려지고 추출 셀(200)은 비워진다. 추출물(241)은 소비를 위하여 소비자에게 보내질 수 있는 완성된 제품일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추출물(241)의 적어도 일 부분은, 일회분만이 추출 재료(221)를 통과한 후 소비를 위하여 소비자에게 보내진다. 위에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추출 방법들의 실시예들은 도 1과 도 3에 대하여 상술되어 있는 추출 셀(100)과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위에서 도 2a 내지 도 2e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는 추출 방법의 실시예들은 아래에 기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따라 저온 추출물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특정한 배열들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위에 개시되어 있는 많은 실시예들이 추출 용매의 상향 유동의 관점에서 설명되어 있지만, 추출 셀(100, 200)의 배향이 수정될 수 있어서, 제 1 부분(103, 203)과 제 2 부분(106)의 배향은 제 1 부분(103, 203)이 제 2 부분(106, 206) 위에 포지셔닝되도록 뒤집히거나 반전되고, 또는 제 1 부분(103, 203)과 제 2 부분(106, 206)이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그 측면 상에 추출 셀(100)을 포지셔닝하는 것과 같이 다른 포지션들로 위치된다.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추출 셀(200)은 역전되거나 뒤집힐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제 2 부분(206) 및 제 2 부분(206)과 관련된 구성요소들은 제 1 부분(203) 및 제 1 부분(203)과 관련된 구성요소들 아래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출 매체는 추출 재료(221)를 통해 하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추출 매체의 내려가는 유동은,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203) 아래에 포지셔닝될 수 있는 추출 셀의 제 2 부분(206)에 대하여 추출 재료(221)를 다져넣기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에서, 추출 매체의 실질적으로 측방 유동은, 추출 매체의 실질적으로 측방 유동이 추출 셀(200)과 발생하도록 제 1 부분(203)과 제 2 부분(206)을 동일한 높이로 배열함으로써 채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추출 재료(221)의 실질적으로 제 2 측방 유동은, 필터(205)와 유출구(207)를 통해 추출 셀(200)의 내부로부터 준비된 추출물을 방출하도록 추출 셀(200)의 내부 속에서 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추출 매체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임의의 개수의 배향들로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식용 추출물을 준비하는 것은 시간 소모가 많은 과정일 수 있다. 추출의 과정은, 추출 매체 속에서 관심있는 재료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원하는 화합물들을 뽑아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출물은 종종 TDS(총 용존 고형물)로서 측정되는 추출 매체 내부의 용존 화합물들의 농도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원하는 화합물들의 용해성에 따라, 추출의 과정은 종종 수 시간 또는 심지어 수 일이 걸릴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방법들은, 브루잉된 음료를 준비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 및 추출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위해서 높은 온도를 채택한다. 그러나, 높은 온도는 원치않는 화합물들이 식물 재료로부터 추출되는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는 이취(off-flavor) 또는 다른 원치않는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추출이 더 낮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지만, 이러한 노력들은 종종 더 낮은 TDS 함량과 침지되지 않는 물의 과다한 존재 때문에 종래의 방법들에 따라 준비되는 브루잉의 풍미와 향미가 결여되어 있는 물기많은 묽은 추출이라는 결과를 초래하고, 부족한 수득율이라는 결과를 초래하는 많은 양의 추출 재료를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예시로써, 높은 온도와 압력에서 준비되는 종래의 고온 에스프레소는 약 20-40 g/L의 TDS 함량을 가지는 저온 브루잉(또는 콜드 브루(cold brew)) 준비와 대비하여 약 50-70 g/L의 TDS 함량을 보여준다.
TDS 함량이나 수득율을 증가시키려는 시도에서 재료가 여러 횟수의 추출을 받게 하는 것은 유사하게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고, 또는 원치않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수도 있다. 수득율은 대체로 식 1에 따라 TDS와 관련되어 있다.
Figure pct00001
주어진 위 관계에서, 제조자들은 추출되는 재료의 질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총 추출 부피는 증가시키도록 동일한 질량의 커피 빈을 반복적으로 추출함으로써 그 수득율을 증가시키려고 시도할 것이다. 따라서, 총 수득율은 인위적으로 부풀려진다.
이와 반대로, 기술되어 있는 특정한 실시예들에 따라 만들어지는 추출물은 원치않는 화합물들을 과도하게 추출하기 쉬운 높은 온도와 극심한 압력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높은 TDS 함량과 높은 수득율을 보여줄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저온 추출 준비는 전체적인 수득율을 희생하지 않으면서 높은 TDS 함량을 보여주도록 놀랍게 집중되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라 준비되는 저온 추출물의 높은 TDS 함량은 수득율을 희생하지 않고, 이취와 원치않는 특성이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여러 횟수의 추출이나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예시로써,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상향 유동은 추출 매체의 제 1 분취물이 추출 재료와 실질적으로 완전한 접촉상태로 남아있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므로, 추출은 침지되지 않는 상태로 남아있는 나머지 추출 재료를 위한 작은 공간구성이 있는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결과생성 추출물은 더 많은 용존 고형물 및 더 적은 미침지 추출 매체를 최종 제품 안에 포함한다. 미침지 추출 매체의 부재는 종래의 저온 준비와 비교하여 더 진하고 더 풍부한 풍미라는 결과를 초래한다. 중요하게도, 추출물 안에 있는 제한된 양의 미침지 추출 매체 때문에, 그리고 더 짙은 커피 풍미 때문에, 고 농도 저온 추출식 커피 및 차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상향 여과 저온 추출 과정을 통해 준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향 유동 여과 및 플러그 플로 변위 과정 때문에, 전체적인 수득율을 희생하지 않으면서도 고 농도가 달성될 수 있다. 놀랍게도, 저온 추출물의 높은 TDS 함량 때문에,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추출물은 광범위한 여러 가지 음료에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기법들과 방법들은 그 자체로 소비될 수 있는, 또는 콜드 브루 아메리카노, 모카, 라떼, 카푸치노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준비하기 위해서 우유, 물 또는 주스와 같은 추가적인 음료 구성요소들과 연계하여 소비될 수 있는 음료를 준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기법들과 방법들은 저온 추출물을 준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들에서, 추출 재료는 약 1 mm 내지 약 2 mm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그라인딩되고 로스팅된 커피이다. 그러나, 루즈 리프 티와 같은 대체 추출 재료들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콜드 브루 추출물은 약 40 g/L 내지 약 200 g/L의 TDS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그라인딩되고 로스팅된 커피를 추출 재료로서 활용하면, 압착된 커피 추출물은 약 60 g/L 내지 약 120 g/L의 TDS를 가지는 한편,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압착된 커피 추출물은 약 80 g/L 내지 약 120 g/L의 TDS를 가진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위 범위들 안에 있는 TDS를 가지는 저온 추출물은 저온 추출 과정 동안 달성될 수 있고, 루즈 리프 티와 같은 다른 추출 재료들 및 본 명세서에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은 다른 추출 재료들로 달성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위 범위들 안에 있는 TDS를 가지는 저온 추출물은 1 mm 내지 2 mm 사이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그라인딩된 커피 빈을 활용하여 추출 과정 동안 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위 범위들 내에 있는 TDS를 가지는 추출은 추출 재료를 통과하는 일회분을 포함하는 과정에서 달성될 수 있다. 놀랍게도, 이러한 제 1 통과 추출들은 높은 TDS를 보여주고, 우수한 수득율을 달성한다. 예를 들어, 위 범위들 내에 있는 TDS를 가지는 추출은 약 8% 내지 약 14%의 범위를 가지는 수득율을 보여주는 저온 추출 과정 동안 추출 재료를 통과하는 일회분을 포함하는 과정에서 달성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수득율은 약 10% 내지 약 12%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더욱 추가 실시예들에서, 준비되는 추출들은 100 ℃를 초과하지 않는 추출 매체의 사용으로 준비될 수 있고,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 매체는 0 ℃ 내지 100 ℃ 사이에 있을 수 있고,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 매체는 10 ℃ 내지 30 ℃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앞서 언급된 구성들에서, 추출 과정은 약 0 바(g) 내지 약 16 바(g) 사이의 압력에서 행해질 수 있고, 특정한 구성들에서 압력은 약 0.8 바(g) 내지 3 바(g)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추출물을 만들어내는데 사용되는 커피는, 추출물이 추출 셀로부터 변위될 때까지 로스팅 후 50 ℃ 미만의 온도로 유지되어 있다. 더욱 추가 실시예들에서, 추출물을 만들어내는데 사용되는 추출 매체는, 추출물이 추출 셀로부터 변위될 때까지 커피가 추출 셀 속으로 도입된 후 약 0 바(g) 내지 16 바(g) 사이의 압력으로 유지되어 있다. 위 구성들에서, 커피는 약 1 분 내지 약 2 시간의 기간 동안에 그리고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30 분 내지 1 시간의 기간 동안에 추출 매체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준비되는 저온 추출물들은 종래의 고온 추출물들과 비교하여 더 달고 더 부드러운 풍미를 위하여 더 낮은 산도(acidity)를 보여줄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추출물들은 광범위한 여러 가지 음료 기반(beverage base)들에서 혼합하기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본 발명에 따라 준비되는 저온 추출물들은 단독으로 소비될 수 있고, 또는 우유, 감귤, 차 및 탄산 음료와 같은 추가적인 음료들이나 함유물들과 혼합될 수 있다. 추가적인 구성들에서, 저온 추출물은 격리될 수 있고, 더욱 가공되거나 보관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구성들에서, 저온 추출물은 보관이나 숙성을 위하여 통(barrel) 속으로 보내질 수 있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위스키 통은 오크(oak)로 만들어지고, 또는 보관 및 숙성을 위하여 다른 적합한 목재가 사용될 수 있다.
TDS는 여러 가지 방식들로 측정될 수 있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측정의 방법은 주어진 추출물의 목표로 삼는 TDS 함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한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TDS는 주어진 부피의 추출물 내부에 용존되어 있는 고형물의 비율을 지칭하므로, 질량/부피, 통상적으로는 g/L로 표현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간 상이한 결과들을 수득할 수 있는 방법론적으로 약간의 변형예들이 고려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TDS는 총 추출물 내부에서의 용존 고형물의 비율을 나타내는 퍼센트로서 용존 고형물의 비율을 어림하는 굴절계를 사용하여 추출물의 굴절율을 측정함으로써 어림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남아있다. 위에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 2a 내지 도 2e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는 추출 방법들의 실시예들은 위에 기술되어 있는 추출물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위에 기술되어 있는 추출 셀(200)의 실시예들은 위에 기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따라 저온 추출물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도 2a 내지 도 2e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는 방법들과 추출 셀(200)의 실시예들은 위에 기술되어 있는 추출물들을 생성하기 위해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 셀 제어 시스템
특정한 구성들에서, 위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추출물의 준비는 자동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또는 실질적으로 수동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구성들에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은 추출 과정의 다양한 특성들을 탐지하기 위해서 추출 셀에 인접하여 또는 그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센서들은 추출 셀 내부의 온도, 추출 셀 그 자체의 온도, 추출 셀 내부의 압력, 추출 셀 내부에 있는 추출 재료의 부피, 추출 셀 내부에 있는 용매의 부피, 추출의 지속시간, 유입구를 통해 용매가 도입되는 속도, 유출구를 통해 추출물이 회수되는 속도, 또는 다양한 다른 특성들과 같은 다양한 특성들을 탐지할 수 있다.
도 4에는 여러 센서들; 압력 센서(181) 및 온도 센서(182)가 설비되어 있는 추출 셀의 개략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압력 센서(181)와 온도 센서(182)는 컨트롤러(191)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유입구 밸브(111)들과 유출구 밸브(112)들 또한 컨트롤러(191)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압력센서(181), 온도 센서(191), 유입구 밸브(111)들 및 유출구 밸브(112)들은 컨트롤러(191)에 정보를 보낼 수 있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191)의 특정한 실시예들은 스크린(192)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192)은 압력 센서(181), 온도 센서(182), 유입구 밸브(111)들 및 유출구 밸브(112)들로부터 모아진 앞서 언급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컨트롤러는 추출 셀 내부의 압력과 같은 압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위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입구 밸브(111)와 유출구 밸브(112)는 또한 스크린(192) 상에 도시되도록 적절한 정보를 컨트롤러(191)에 보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퍼레이터는 다양한 추출 특성들을 관찰할 수 있다. 도 4에는 스크린이 도시되어 있지만, 아날로그 게이지(analog gauge) 또는 대체 디지털 판독장치(digital read out)와 같은 추가적인 또는 대체 디스플레이 구성들이 채택될 수 있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컨트롤러는 하나 이상의 다이얼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퍼레이터는 다양한 추출 특성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91)는 제 1 다이얼(193)과 제 2 다이얼(194)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이얼들은 여러 가지의 갯수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컨트롤러(191)는 앞서 언급된 다이얼들을 대신하여 하나 이상의 버튼들 또는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다이얼(193)은, 예컨대 유출구 밸브(112)들을 제어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 2 다이얼(194)은, 예컨대 유입구 밸브(111)들을 제어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출 셀(100)의 오퍼레이터는 유출구 밸브(112)들을 개방하도록 제 1 다이얼(193)을 조작할 수 있고, 용매의 유동이 추출 셀(100)의 내부(109)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 2 다이얼(194)을 추가로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매가 챔버를 채우기 시작함에 따라, 추출 셀 안에 존재하는 공기나 다른 기체들은 추출 셀(100)의 내부(109)를 빠져나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다이얼(193)은, 용매가 추출 셀(100)의 내부(109) 속으로 도입됨에 따라 유출구 밸브(112)들이 폐쇄되도록 조작될 수 있고, 이는 챔버 내부에 압력이 생기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컨트롤러(191)는 특정한 추출 파라미터들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컨트롤러(191)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181)와 압력 센서(182)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나서 추출 셀(100)의 내부(109) 내의 온도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서 유입구 밸브(111)나 유출구 밸브(112)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출 과정은 실질적으로 자동화될 수 있다.
특정한 용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음료(beverage)"라는 용어는 그 보통의 통상적인 의미를 가지고, 다른 것들 중에서도 임의의 식용 액체 또는 실질적으로 액체 물질 또는 유동 속성을 가지는 제품(예컨대 주스, 커피 음료, 차, 우유, 맥주, 와인, 칵테일, 리큐어, 알콜, 사이더, 무알콜 음료, 착향수, 에너지 드링크, 스프, 국,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의 조합들)을 포함한다.
"~할 수 있다", "~할 수도 있다", "~일 수도 있다", "~일 수 있다"와 같은 가정법적 표현은, 특별히 이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사용되어 있는 바와 같은 문맥 범위 내에서 이와 달리 이해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이 포함하지는 않지만 특정한 실시예들이 특정한 부재들, 요소들 및/또는 단계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전달하도록 대체로 의도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정법적 표현은 일반적으로 부재들, 요소들 및/또는 단계들이 임의의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위하여 요구된다는 것을 암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또는 이러한 부재들, 요소들 및/또는 단계들이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서 수행되도록 되어 있는지 여부나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 입력 또는 프롬프팅이 있거나 없는 상태에서 결정하기 위한 논리를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반드시 포함한다는 것을 암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X, Y 및 Z 중 적어도 한가지"라는 구절과 같은 접속법적 표현은, 특별히 이와 달리 언급되어 있지 않는 한, 아이템, 용어 등이 X일 수도 있고 Y일 수도 있고 또는 Z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전달하도록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있는 바와 같은 문맥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이러한 접속법적 표현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실시예들이 적어도 하나의 X, 적어도 하나의 Y,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Z의 존재를 필요로 하는 것을 암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와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는 한, "한(a)" 또는 "하나의(an)"와 같은 관사들은 대체로 하나 이상의 기술되어 있는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와 같은 구절은 하나 이상의 인용된 장치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인용된 장치는 언급된 인용사항들을 실행하도록 집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용사항들(A, B, C)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서"는 인용사항들(B, C)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2 프로세서와 연계하여 작업하는, 인용사항(A)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1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을 구비하는", "~을 포함하는", "~을 가지는"이라는 용어들 및 이와 유사한 것은 유의어 관계에 있고, 포괄적으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방식으로 사용되며, 추가적인 요소들, 부재들, 동작들, 조작들 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일부", "특정한" 및 이와 유사한 것은 유의어 관계에 있고,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방식으로 사용된다. 또한, "또는"이라는 용어는 그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어서(그 배타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 아님), 예컨대 리스트를 이루는 요소들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또는"이라는 용어는 리스트에서 요소들 중 하나, 그 중 일부 또는 그들 모두를 의미한다.
"대략", "약" 및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여전히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거나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언급된 양에 가까운 양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맥락이 말하고자 하는 바와 같이, "대략", "약" 및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들은 언급된 양의 10%와 같거나 그보다 적은 범위 내에 있는 양을 지칭할 수 있다. "약" 또는 "대략"과 같은 용어가 앞에 오는 숫자들은 인용된 숫자들을 포함하고, (예컨대 상황들 하에서 합리적으로 가능성 있을 만큼 정확한) 상황들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약 1 그램"이라는 용어는 "1 그램"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 기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에서, 값들이나 범위들이 앞에 오는 청구항과 명세서 범위 내에 있는 "약" 또는 "대략"과 같은 용어들은 생략될 수 있어서, 이러한 값들과 범위들이 개시된 범위에 앞서 "약" 또는 "대략"이라는 용어가 없는 상태에서도 권리주장될 수도 있도록, 본 출원은 이러한 값들과 범위들로부터 생략된 "약" 또는 "대략"이라는 용어들이 있는 인용된 값들과 범위들에 관한 실시예들을 특별히 포함한다. 즉. 본 출원은 개시된 값들과 범위들과 관련된 "약" 또는 "대략"이 있는 상태에서 또는 개시된 값들과 범위들과 관련된 "약" 또는 "대략"이 없는 상태에서, 예컨대 TDS, 추출 매체 온도, 침지 압력, 침지 시간, 직경, 수득율 및 유량과 관련된 값들과 범위들에 관한 실시예들을 특별히 포함한다. 따라서, 예컨대 약 0℃ 내지 약 100℃ 사이에 있는 개시된 범위는 "0℃ 내지 100℃" 사이에 있는 것으로 권리주장될 수 있는 "0℃ 내지 100℃" 사이에 있는 개시된 범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체로"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특정 값, 양 또는 특성을 주로 포함하거나 이를 지향하는 값, 양 또는 특성을 나타낸다. 예시로서,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맥락이 말하고자 하는 바와 같이, "대체로 평행한"이라는 용어는 20 도와 같거나 이보다 적은 각도만큼 정확하게 평행한 상태로부터 벗어나 있는 무언가를 지칭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대체로 수직인"이라는 용어는 20 도와 같거나 이보다 적은 각도 만큼 정확하게 수직인 상태로부터 벗어나 있는 무언가를 지칭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청구항에 있는 표현들은 청구항에서 채택되는 표현들에 기초하여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청구항에 있는 표현은 본 출원의 절차과정 동안 설명되어 있거나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는 비배타적인 실시예들과 예시들로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다음에 오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특징들의 조합들에 관한 일부 가능성 있는 치환들을 확인하지만, 특징들의 조합들에 관한 다른 치환 또한 가능성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추출물을 준비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고, 방법은: 정상 부분과 바닥 부분을 가지는 추출 셀 속에 추출 재료를 장전하는 단계(loading); 추출 셀의 바닥 부분을 통해 추출 매체의 제 1 분취물을 도입하는 단계(introducing); 추출 셀의 정상 부분을 통해 추출 셀로부터 가스를 방출하는 단계(expelling); 추출 셀의 정상 부분을 폐쇄하고(closing) 나서, 추출 매체가 추출 셀의 바닥 부분 속으로 유동함에 따라 추출 셀 안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단계(increasing); 추출 셀 속으로의 추출 매체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단계(stopping); 추출물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압력 하에서 추출 매체 안에 추출 재료를 침지하는 단계(steeping); 및 추출 셀의 정상 부분을 통해 추출물을 밀어내기 위해서 추출 셀의 바닥 부분을 통해 추출 매체의 제 2 분취물을 도입하는 단계(introducing);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추출물을 준비하기 위한 추출 셀이 기술되어 있고, 추출 셀은: 바닥 부분; 단면 영역을 가지는 정상 부분; 바닥 부분과 바닥 부분 사이에 뻗어 있는 측면 벽; 추출 매체를 도입하기 위한 바닥 부분 상의 유입구; 추출 셀로부터 추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상 부분 상에 배치되어 있는 유출구로서, 유출구는 추출 셀의 정상 부분의 단면 영역의 약 10% 내지 약 100% 사이에 있는 영역을 가지는, 유출구; 및 약 0.05 mm 내지 약 0.35 mm 사이의 평균 구멍 직경을 가지는 유출구에 포지셔닝되어 있는 필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약 60 g/L 내지 약 120 g/L의 TDS를 구비하는 저온 추출식 커피 및/또는 차 추출물이 기술되어 있고, 여기에서 추출물을 만들어내는데 사용되는 추출 매체는, 추출물이 추출 셀로부터 변위될 때까지 약 30 ℃ 미만의 온도로 유지되어 있다.
선행하는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또는 제 3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는 단독으로 실시될 수 있고, 또는 서로 조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전술한 것에 관한 약간의 변형예들 또한 고려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선행하는 실시예들과 연계하여, 또는 더욱 추가 실시예들에서, 추출 재료는 그라인딩되고 로스팅된 커피 빈 또는 루즈 리프 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라인딩된 커피 빈은 약 1 mm 내지 2 mm의 평균 직경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선행하는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또는 제 3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에 따라, 추출물은 약 40 g/L 내지 약 140 g/L의 범위를 가지는 TDS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물은 약 80 g/L 내지 약 120 g/L의 TDS를 가진다. 동일하거나 상이한 실시예들이나 구성들에서, 추출물은 약 8% 내지 약 16% 사이의 수득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TDS와 수득율은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성들에서, 추출물은 약 80 g/L 내지 약 10 g/L 사이의 TDS, 및 약 8% 내지 약 14% 사이의 수득율을 가진다.
선행하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 따라, 추출 매체는 100℃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를 더 가질 수 있고,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 매체는 0℃ 내지 100℃ 사이에 있을 수 있고,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 매체는 10℃ 내지 30℃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선행하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 따라, 추출 재료는 압력 하에서 추출 매체 안에 침지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고, 추출 셀 내부의 압력은 약 0 바(게이지) 내지 약 16 바(게이지) 사이에 유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선행하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 따라, 추출물을 만들어내는데 사용되는 커피 또는 차는 추출물이 추출 셀로부터 변위될 때까지 추출 매체가 추출 셀 속으로 도입된 후 약 0 바(g) 내지 약 16 바(g) 사이의 압력으로 유지되어 있고,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압력은 약 0.8 바(게이지) 내지 3 바(게이지)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동일하거나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추출 재료는 약 30 분 내지 90 분 사이와 같이 약 30 분 내지 약 20 시간 사이 동안 침지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커피는 약 45 분 내지 20 시간 사이 동안 추출 매체에 노출되어 있다.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추출 매체는 플러그 플로를 달성하는 유량으로 도입하고 있는 추출 매체를 구비하는 추출 셀의 바닥 부분을 통해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 매체의 제 2 분취물은 제 1 분취물의 약 30% 내지 90%가 약 5 분 내지 30 분의 기간에 걸쳐 변위되는 속도로 도입된다.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추출 매체는 추출 셀의 정상 부분을 통해 도입될 수 있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 매체는 플러그 플로를 달성하는 유량으로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 매체의 제 2 분취물은 제 1 분취물의 약 30% 내지 90%가 약 5 분 내지 30 분의 기간에 걸쳐 변위되는 속도로 도입된다.
이와 유사하게, 다양한 구성들에서, 추출 셀은 추출 매체의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의 유동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추출 매체의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의 유동은 플러그 플로를 달성하는 유량으로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들에서, 추출 매체의 제 2 분취물은 제 1 분취물의 약 30% 내지 90%가 약 5 분 내지 약 30 분의 기간에 걸쳐 변위되는 속도로 도입된다.
동일하거나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또는 위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추출물의 일부는 추출물의 일부가 추가 추출 과정을 받게 하지 않는 상태로 소비자에게 보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추출 재료는 사전 추출들을 받지 않았다.
선행하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 따라, 추출 셀의 필터는 약 0.15 mm 내지 약 0.35 mm의 평균 구멍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미세 필터의 직경은 추출 셀의 상부 부분 내경의 직경의 약 15% 내지 40%이다.
요약
본 명세서에는 음료 시스템 및 방법의 특정한 실시예들과 예시들이 기술되어 있지만, 상술되어 있는 시스템과 방법의 많은 양태들은 더욱 추가 실시예들 또는 용인가능한 예시들을 형성하도록 상이하게 조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수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수정예들과 변형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다.
또한, 분명하게 위에서 인용되어 있지 않거나 본 명세서에서 어디에도 인용되어 있지 않은 일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지만,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나타나 있고 기술되어 있는 것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실시예들을 고려하고 있으면서 포함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어딘가에 개시되어 있는 임의의 다른 구조, 재료, 단계 또는 다른 부재의 임의의 조합을 구비하는 실시예들을 고려하고 있으면서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별개의 구현예들의 맥락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특정한 부재들 또한 단일의 구현예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단일의 구현예의 맥락에서 기술되어 있는 다양한 부재들 또한 임의의 적합한 하위조합으로 또는 별개로 여러 구현예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부재들이 특정한 조합들로 동작하는 것으로 위에 기술되어 있을 수 있지만, 권리주장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부재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조합으로부터 제외될 수 있고, 이러한 조합은 하위조합 또는 하위조합에 관한 변형예로서 권리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특정한 양태들, 이점들 및 신규성있는 부재들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반드시 그런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모든 이점들은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서 교시되거나 제안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이점들을 반드시 달성하지 않으면서도 본 명세서에 교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한가지 이점 또는 그룹을 이루는 이점들을 달성하는 방식으로 실행되거나 구체화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은 첨부의 도면들과 관련하여 기술되어 있다. 도면들은 일정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비율이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거리, 각도 등은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시되어 있는 장치들의 실제 치수와 레이아웃에 대한 정확한 관계를 반드시 내포하는 것은 아니다. 구성요소들은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재배열될 수 있다. 더욱이, 다양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임의의 특정 특징, 양태, 방법, 특질, 특성, 성질, 속성, 요소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관한 본 명세서에 있는 개시사항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모든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임의의 방법은 인용된 단계들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나아가, 구성요소들과 조작들이 특정 배열이나 순서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거나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과 조작들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나타나 있는 특정 배열이나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배열되거나 수행될 필요가 없고, 구성요소들과 조작들 모두를 포함할 필요도 없다. 기술되어 있지 않거나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들과 조작들은 실시예들과 예시들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조작들은 임의의 기술되어 있는 조작들과 동시에, 또는 그 사이에, 또는 그 이전에, 또는 그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조작들은 다른 구현예들에서 재배열되거나 다시 순서결정될 수 있다. 또한, 위에 기술되어 있는 구현예들에서의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분리는 모든 구현예들에서 이러한 분리를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고, 기술되어 있는 구성요소들과 시스템들이 대체로 단일의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여러 제품들로 패키지화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요약하자면, 음료 분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다양한 설명적인 실시예들과 예시들이 개시되어 있다. 시스템 및 방법이 이러한 실시예들과 예시들의 맥락에서 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개시사항은 특별히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넘어 다른 대체 실시예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다른 사용예 뿐만 아니라 그 특정한 수정예들과 균등물까지 확장된다. 이러한 개시사항은,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의 다양한 특징들과 양태들이 서로 조합되거나 서로 대체될 수 있다는 점이 분명하게 고려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에 기술되어 있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로 제한되어서는 안되지만, 다음에 오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그 균등물들의 전체 범위를 잘 읽어보는 것에 의해서만 판정되어야 한다.
특정한 실시예들
특정한 실시예들은 아래에 열거되어 있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오로지 설명하면서 도시하기 위하여 존재하고 있다. 전술한 내용들이 다음의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추출물을 준비하는 방법으로서, 방법은:
정상 부분과 바닥 부분을 가지는 추출 셀 속에 추출 재료를 장전하는 단계;
추출 셀의 바닥 부분을 통해 추출 매체의 제 1 분취물을 도입하는 단계;
추출 셀의 정상 부분을 통해 추출 셀로부터 가스를 방출하는 단계;
추출 셀의 정상 부분을 폐쇄하고 나서, 추출 매체가 추출 셀의 바닥 부분 속으로 유동함에 따라 추출 셀 안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추출 셀 속으로의 추출 매체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추출물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압력 하에서 추출 매체 안에 추출 재료를 침지하는 단계; 및
추출 셀의 정상 부분을 통해 추출물을 밀어내기 위해서 추출 셀의 바닥 부분을 통해 추출 매체의 제 2 분취물을 도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실시예 2: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 재료는 그라인딩되고 로스팅된 커피 빈 또는 루즈 리프 티를 구비하는 방법.
실시예 3: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그리인딩된 커피 빈은 1 mm 내지 2 mm 사이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방법.
실시예 4: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물은 약 40 g/L 내지 약 140 g/L의 TDS를 가지는 방법.
실시예 5: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물은 약 80 g/L 내지 약 120 g/L의 TDS, 및 약 8% 내지 약 16% 사이의 수득율을 가지는 방법.
실시예 6: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 매체는 약 10 ℃ 내지 약 30 ℃ 사이의 온도를 가지는 물인 방법.
실시예 7: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하에서 추출 매체 안에 추출 재료를 침지하는 단계는, 추출 셀 내부의 압력을 약 0 바(게이지) 내지 약 16 바(게이지) 사이로 유지하는 방법.
실시예 8: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하에서 추출 매체 안에 추출 재료를 침지하는 단계는, 약 30 분 내지 약 20 시간 사이에 침지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실시예 9: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하에서 추출 매체 안에 추출 재료를 침지하는 단계는, 약 30 분 내지 약 90 분 사이에 침지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실시예 10: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 셀의 바닥 부분을 통해 추출 매체를 도입하는 단계는, 플러그 플로를 달성하는 유량으로 추출 매체를 도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실시예 11: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 매체의 제 2 분취물은 제 1 분취물의 약 30% 내지 90%가 약 5 분 내지 30 분의 기간에 걸쳐 변위되는 속도로 도입되는 방법.
실시예 12: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물의 일부가 추가 추출 과정을 받게 하지 않는 상태로 추출물의 일부를 소비자에게 보내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실시예 13: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 재료는 사전 추출들을 받지 않은 방법.
실시예 14: 추출물을 준비하기 위한 추출 셀로서, 추출 셀은:
바닥 부분:
단면 영역을 가지는 정상 부분;
바닥 부분과 바닥 부분 사이에 뻗어 있는 측면 벽;
추출 매체를 도입하기 위한 바닥 부분 상의 유입구;
추출 셀로부터 추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상 부분 상에 배치되어 있는 유출구로서, 유출구는 추출 셀의 정상 부분의 단면 영역의 약 10% 내지 약 100% 사이에 있는 영역을 가지는, 유출구; 및
약 0.05 mm 내지 약 0.35 mm 사이의 평균 구멍 직경을 가지는 유출구에 포지셔닝되어 있는 필터;를 구비하는 추출 셀.
실시예 15: 제 9 실시예에 있어서, 필터는 약 0.15 mm 내지 약 0.35 mm의 평균 구멍 직경을 가지는 추출 셀.
실시예 16: 제 15 실시예에 있어서, 미세 필터의 직경은 추출 셀의 상부 부분 내경의 직경의 약 15% 내지 100%인 필터.
실시예 17: 약 60 g/L 내지 약 120 g/L의 TDS를 구비하는 저온 추출식 커피 및/또는 차 추출물로서, 추출물을 만들어내는데 사용되는 추출 매체는, 추출물이 추출 셀로부터 변위될 때까지 약 30 ℃ 미만의 온도로 유지되어 있는 저온 추출식 커피 및/또는 차 추출물.
실시예 18: 제 17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물은 약 100 g/L 내지 약 120 g/L 사이의 TDS, 및 약 8% 내지 약 14% 사이의 수득율을 가지는 저온 추출식 커피 및/또는 차 추출물.
실시예 19: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물을 만들어내는데 사용되는 커피 또는 차는, 추출물이 추출 셀로부터 변위될 때까지 커피가 추출 셀 속으로 도입된 후 약 0 바(g) 내지 약 16 바(g) 사이의 압력으로 유지되어 있는 추출물.
실시예 20: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 커피는 약 45 분 내지 20 시간 사이 동안 추출 매체에 노출되어 있는 추출물.
실시예 21: 추출물을 준비하는 방법으로서, 방법은:
정상 부분과 바닥 부분을 가지는 추출 셀 속에 추출 재료를 장전하는 단계;
추출 셀의 정상 부분을 통해 추출 매체의 제 1 분취물을 도입하는 단계;
추출 셀의 바닥 부분을 통해 추출 셀로부터 가스를 방출하는 단계;
추출 셀의 바닥 부분을 폐쇄하고 나서, 추출 매체가 추출 셀의 정상 부분으로부터 추출 셀의 바닥 부분 속으로 유동함에 따라 추출 셀 안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추출 셀 속으로의 추출 매체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추출물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압력 하에서 추출 매체 안에 추출 재료를 침지하는 단계; 및
추출 셀의 바닥 부분을 통해 추출물을 밀어내기 위해서 추출 셀의 정상 부분을 통해 추출 매체의 제 2 분취물을 도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실시예 21: 추출물을 준비하는 방법으로서, 방법은:
제 1 측방 부분과 제 2 측방 부분을 가지는 추출 셀 속에 추출 재료를 장전하는 단계;
추출 셀의 제 1 측방 부분을 통해 추출 매체의 제 1 분취물을 도입하는 단계;
추출 셀의 제 2 측방 부분을 통해 추출 셀로부터 가스를 방출하는 단계;
추출 셀의 제 2 측방 부분을 폐쇄하고 나서, 추출 매체가 추출 셀의 제 1 측방 부분으로부터 추출 셀 속으로 유동함에 따라 추출 셀 안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추출 셀 속으로의 추출 매체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추출물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압력 하에서 추출 매체 안에 추출 재료를 침지하는 단계; 및
추출 셀의 제 2 측방 부분을 통해 추출물을 밀어내기 위해서 추출 셀의 제 1 측방 부분을 통해 추출 매체의 제 2 분취물을 도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Claims (15)

  1. 추출물을 준비하는 방법으로서, 방법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가지는 추출 셀 속에 추출 재료를 장전하는 단계;
    추출 셀의 제 1 부분을 통해 추출 매체의 제 1 분취물을 도입하는 단계;
    추출 셀의 제 2 부분을 통해 추출 셀로부터 가스를 방출하는 단계;
    추출 셀의 제 2 부분을 폐쇄하고 나서, 추출 매체가 추출 셀의 제 1 부분 속으로 유동함에 따라 추출 셀 안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추출 셀 속으로의 추출 매체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추출물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압력 하에서 추출 매체 안에 추출 재료를 침지하는 단계; 및
    추출 셀의 제 2 부분을 통해 추출물을 밀어내기 위해서 추출 셀의 제 1 부분을 통해 추출 매체의 제 2 분취물을 도입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 재료는 그라인딩되고 로스팅된 커피 빈 또는 루즈 리프 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부분은 추출 셀의 바닥 부분이고, 제 2 부분은 추출 셀의 정상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물은 약 40 g/L 내지 약 140 g/L의 TDS, 및 약 8% 내지 약 16% 사이의 수득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 매체는 약 10 ℃ 내지 약 30 ℃ 사이의 온도를 가지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압력 하에서 추출 매체 안에 추출 재료를 침지하는 단계는, 추출 셀 내부의 압력을 약 0 바(게이지) 내지 약 16 바(게이지) 사이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압력 하에서 추출 매체 안에 추출 재료를 침지하는 단계는, 약 30 분 내지 약 20 시간 사이 동안 추출 매체 안에 추출 재료를 침지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 매체의 제 2 분취물은 제 1 분취물의 약 30% 내지 90%가 약 5 분 내지 30 분의 기간에 걸쳐 변위되는 속도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추출물을 준비하기 위한 추출 셀로서, 추출 셀은:
    제 1 부분:
    단면 영역을 가지는 제 2 부분;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뻗어 있는 측면 벽;
    추출 매체를 도입하기 위한 제 1 부분 상의 유입구;
    추출 셀로부터 추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 2 부분 상에 배치되어 있는 유출구로서, 유출구는 추출 셀의 제 2 부분의 단면 영역의 약 10% 내지 약 100% 사이에 있는 영역을 가지는, 유출구; 및
    약 0.05 mm 내지 약 0.35 mm 사이의 평균 구멍 직경을 가지는 유출구에 포지셔닝되어 있는 필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셀.
  10. 제 9 항에 있어서,
    필터는 약 0.15 mm 내지 약 0.35 mm의 평균 구멍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셀.
  11. 제 9 항에 있어서,
    필터의 직경은 추출 셀의 상부 부분의 내경의 약 15%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셀.
  12. 약 60 g/L 내지 약 120 g/L의 TDS를 구비하는 저온 추출식 커피 및/또는 차 추출물로서,
    추출물을 만들어내는데 사용되는 추출 매체는, 추출물이 추출 셀로부터 변위될 때까지 약 30 ℃ 미만의 온도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추출식 커피 및/또는 차 추출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추출물은 약 100 g/L 내지 약 120 g/L 사이의 TDS, 및 약 8% 내지 약 14% 사이의 수득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추출식 커피 및/또는 차 추출물.
  14. 제 12 항에 있어서,
    추출물을 만들어내는데 사용되는 커피 및/또는 차는, 추출물이 추출 셀로부터 변위될 때까지 커피 및/또는 차가 추출 셀 속으로 도입된 후 약 0 바(g) 내지 약 16 바(g) 사이의 압력으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추출식 커피 및/또는 차 추출물.
  15. 제 12 항에 있어서,
    추출물을 만들어 내는데 사용되는 커피 및/또는 차는 약 45 분 내지 20 시간 사이 동안 추출 매체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추출식 커피 및/또는 차 추출물.
KR1020207007464A 2017-08-18 2018-08-14 추출 셀 KR202000429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81,228 US11154157B2 (en) 2017-08-18 2017-08-18 Extraction cell
US15/681,228 2017-08-18
PCT/US2018/046738 WO2019036486A1 (en) 2017-08-18 2018-08-14 EXTRACTION CE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910A true KR20200042910A (ko) 2020-04-24

Family

ID=6340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464A KR20200042910A (ko) 2017-08-18 2018-08-14 추출 셀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4) US11154157B2 (ko)
EP (1) EP3668325A1 (ko)
JP (1) JP2020531106A (ko)
KR (1) KR20200042910A (ko)
CN (1) CN111278291A (ko)
AU (2) AU2018318126B2 (ko)
CA (1) CA3072959A1 (ko)
CO (1) CO2020003046A2 (ko)
MX (1) MX2020001845A (ko)
TW (1) TWI761577B (ko)
WO (1) WO20190364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3030535U (zh) 2019-03-08 2021-04-23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食品处理系统及与其一起使用的附件、附接组件
WO2020185691A1 (en) 2019-03-08 2020-09-17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food processing system
CN212939453U (zh) 2019-03-08 2021-04-13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食品处理系统、用于其的容器组合件及与其一起使用的附件
USD927256S1 (en) 2019-06-06 2021-08-10 Sharkninja Operating Llc Blender
USD925270S1 (en) 2019-06-06 2021-07-20 Sharkninja Operating Llc Blender
USD940500S1 (en) 2019-06-06 2022-01-11 Sharkninja Operating Llc Lid
USD924007S1 (en) 2019-06-06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Strainer blender accessory
US11533930B2 (en) 2020-02-18 2022-12-27 S&D Coffee, Inc. Method of producing a flash brewed coffee concentrate
US20220125068A1 (en) * 2020-10-26 2022-04-28 Starbucks Corporation Extraction cell
US11865474B2 (en) * 2021-03-24 2024-01-09 Gene Pool Technologies , Inc. Residual solvent recovery apparatuses and methods
WO2023211748A1 (en) * 2022-04-27 2023-11-02 Starbucks Corporation Extraction cell

Family Cites Families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6059A (en) * 1939-01-07 1941-03-25 Heuser Herman Method of making commercial coffee extract
US2888349A (en) * 1954-05-03 1959-05-26 Albert P Morrow Soluble coffee and process of extracting the same
US3224880A (en) * 1963-04-29 1965-12-21 Clayton Van Ike Process of producing an extract of coffee, tea or the like
SE306922B (ko) * 1965-05-05 1968-12-16 L Hellman
US3607280A (en) * 1969-10-01 1971-09-21 Procter & Gamble A single column circulatory coffee extraction process
US3620758A (en) * 1970-01-20 1971-11-16 Gen Foods Corp Process for obtaining an aromatized coffee extract
US3661774A (en) * 1970-10-28 1972-05-09 Atlantic Richfield Co Separation of solids from a liquid
US3700466A (en) * 1971-03-15 1972-10-24 Procter & Gamble Method of making coffee extract
US3830940A (en) * 1972-06-07 1974-08-20 M Sivetz Preparation of aqueous beverage concentrate of coffee
US3928636A (en) * 1973-04-30 1975-12-23 Gen Foods Corp Coffee extraction process
US4088794A (en) * 1973-10-10 1978-05-09 General Foods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coffee extract
US4397100A (en) * 1981-12-04 1983-08-09 Internorth, Inc. Organic solid substrate dewatering process based on plug flow contact by an extractive fluid
DE4208854C2 (de) * 1992-03-19 1994-06-30 Cosmec Sr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Zubereitung von Kaffeegetränken
US6062127A (en) 1999-08-13 2000-05-16 Klosinski; Boguslaw Portable espresso maker
KR100882405B1 (ko) * 1999-10-28 2009-02-05 엑스 카페 엘엘씨 농축 커피 추출물 형성 방법, 수성 커피 추출물, 배합된 원두 커피 추출물 제조 방법 및 농축 소모성 추출물 형성 방법
US6761918B2 (en) 2002-07-18 2004-07-13 Tata Tea Ltd. Method of processing green tea leaves to produce black tea that can be brewed in cold water
CZ20031568A3 (cs) * 2003-06-05 2005-01-12 Miroslav Hubáček Způsob přípravy kávového nápoje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způsobu
TWI334766B (en) * 2003-09-12 2010-12-21 Kao Corp Peiparation process of tea extract and packaged tea beverage
US7013933B2 (en) * 2003-10-30 2006-03-21 Nestec S.A. Method and device for dispensing from liquid concentrates beverages having multi-layer visual appearance
US7849784B2 (en) * 2005-05-18 2010-12-14 Adler Alan J Coffee or tea filtering press
ITTO20070556A1 (it) 2007-07-27 2009-01-28 Sgl Italia S R L Con Unico Soc Gruppo percolatore per la produzione di una bevanda
ITFI20070188A1 (it) 2007-08-10 2009-02-11 Saeco Ipr Ltd "gruppo di infusio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e macchina comprendente detto gruppo di infusione"
DK2036466T3 (da) 2007-09-12 2010-10-11 Schaerer Ag Brygindretning til en kaffemaskine
EP2244617A1 (de) * 2008-02-17 2010-11-03 Egro Coffee Systems AG Brühgruppe für eine kaffeemaschine
CA2723250A1 (en) * 2008-05-01 2009-11-05 Bunn-O-Matic Corporation Air pressure controllable beverage mak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5564732B2 (ja) * 2009-03-13 2014-08-06 福岡県 材料内エキス抽出装置
ATE535176T1 (de) 2009-04-17 2011-12-15 N&W Global Vending Spa Brühvorrichtung für automaten zur herstellung von brühgetränken
JP2011160800A (ja) 2010-01-15 2011-08-25 Suntory Holdings Ltd コーヒー抽出液の製造方法
RU2434679C1 (ru) * 2010-06-03 2011-11-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Компания "Новая Химия" Способ проведения массообменных сорбционных процессов, аппарат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промышлен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разделения компонентов водных растворов неорганических веществ и аппарат для отделения органических жидких веществ от водных растворов
WO2012012589A1 (en) 2010-07-20 2012-01-26 Procreate Brands LLC Cold brew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cold brew coffee or tea extract
KR101970614B1 (ko) 2010-12-16 2019-04-19 브리고,엘엘씨 끓인 에스프레소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ITTO20110619A1 (it) 2011-07-14 2013-01-15 N&W Global Vending Spa Unita' di infusione per macchine automatiche per la produzione di bevande infuse
GB2493211B (en) * 2011-07-29 2014-01-22 Kraft Foods R & D Inc A method and a system for making a beverage, and a beverage cartridge
US20130177672A1 (en) * 2012-01-05 2013-07-11 Starbucks Corporation D/B/A Starbucks Coffee Company Beverages and extracts with enhancements
ITVR20120043A1 (it) 2012-03-14 2013-09-15 Coffee Star S A Sistema per la produzione di bevande
US9179798B2 (en) 2013-01-24 2015-11-10 Alexander Elijah Albanese Method and apparatus for brewing coffee and the like
US20160271531A1 (en) * 2013-07-11 2016-09-22 Prime Services Trustee Limited Process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Valuable or Harmful Non-Aqueous Liquids from Slurries
WO2015056241A1 (en) * 2013-10-18 2015-04-23 Carimali S.P.A. Device and process for a controlled beverage dispensing
CH709458B1 (de) 2014-04-01 2018-06-29 Schaerer Ag Kaffeemaschine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Kaffeemaschine.
US20150282664A1 (en) * 2014-04-07 2015-10-08 Michael C. Savage Beverage pod press
JP2017522014A (ja) 2014-07-03 2017-08-10 クラフト・フーズ・グループ・ブランズ・エルエルシー 低含水コーヒーおよび茶飲料濃縮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345359B2 (en) * 2014-07-14 2016-05-24 La Colombe Torrefaction, Inc. Coffee brewing device with manual siphon and method of brewing with same
GB201416209D0 (en) * 2014-09-13 2014-10-29 Fearn Michael J Improved coffee brewing process
RU2731281C2 (ru) * 2015-01-02 2020-09-01 Конинклейке Дауве Егбертс Б.В. Жидкий концентрат эспрессо
JP2018507086A (ja) * 2015-02-19 2018-03-15 ロバート アルムラッドALMBLAD, Robert 自動のコーヒー及び紅茶メーカー並びに自動加圧ブリューワ
US20160270421A1 (en) 2015-03-16 2016-09-22 Jeremy L. Gamble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ffee Extract and Coffee
US10399006B2 (en) * 2015-03-17 2019-09-03 California Extraction Ventures, Inc. Catalyzing pressure wave extrac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60270587A1 (en) 2015-03-17 2016-09-22 Winnie Yu Dynamic Cold Brew Methods and Apparatus
EP3280302A4 (en) * 2015-04-08 2019-01-02 Bunn-O-Matic Corporation Cold brew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10463054B2 (en) * 2015-05-20 2019-11-05 Teaspressa Llc Methods of tea extraction
US10104900B2 (en) 2015-06-05 2018-10-23 Candice S Paul Cold brew espresso manufacturing process
WO2016207846A1 (en) 2015-06-24 2016-12-29 Illycaffe' S.P.A. Brew and dispenser device of a drink and brew method
US9480359B1 (en) * 2015-07-30 2016-11-01 Meltz, LLC Semi-continuous processes for creating an extract from coffee or other extractable materials
US10646066B2 (en) * 2015-08-26 2020-05-12 Maeil Dairies Co., Ltd. Coffee extraction system and coffee extraction method using same
US10226058B2 (en) 2015-09-24 2019-03-12 Jared L. Ingold Cold brew coffee maker
WO2018071495A1 (en) 2016-10-11 2018-04-19 The Wayward Studio, Llc Brew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use
US10306904B1 (en) * 2016-12-12 2019-06-04 Carlos De Aldecoa Bueno System and process for producing cold brew coffee
DE102017213602A1 (de) 2017-08-04 2019-02-07 BSH Hausgeräte GmbH Zubereit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Getränke nach dem "Cold-Brew"-Prinzip
US11730306B2 (en) 2018-10-17 2023-08-22 Sung Oh Controlling brewing parameters of single-serve beverage system
CN109528005A (zh) 2018-12-19 2019-03-29 中山市领先电器有限公司 一种咖啡冷萃装置及冷萃咖啡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408963A1 (en) 2022-12-29
US20220053966A1 (en) 2022-02-24
US11154157B2 (en) 2021-10-26
US20220007880A1 (en) 2022-01-13
WO2019036486A1 (en) 2019-02-21
AU2021206854A1 (en) 2021-08-12
AU2018318126A1 (en) 2020-03-12
EP3668325A1 (en) 2020-06-24
CA3072959A1 (en) 2019-02-21
JP2020531106A (ja) 2020-11-05
US20190053657A1 (en) 2019-02-21
CN111278291A (zh) 2020-06-12
MX2020001845A (es) 2020-07-13
TWI761577B (zh) 2022-04-21
CO2020003046A2 (es) 2020-04-13
AU2018318126B2 (en) 2021-04-29
TW201919524A (zh) 201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18126B2 (en) Extraction cell
KR102188854B1 (ko) 진공 브루잉 방법
KR20190095262A (ko) 로스팅 및 분쇄된 커피 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
US9155319B1 (en) Truncated gaussian distribution of coffee particles, cartridge assemblies, and uses thereof
US20160007795A1 (en) 3 in 1 mini coffee tube as a container, a filter, and a stirring tool
WO2016038479A1 (en) Process for making coffee beverages with less bitterness, and apparatus for making caffè depurato
CN205994299U (zh) 一种具有烘焙功能的酵素咖啡机
US20220125068A1 (en) Extraction cell
CN111418690A (zh) 一种咖啡原液浓缩装置及闪溶还原咖啡的生产方法
KR20150086594A (ko) 콜드브류 커피 또는 차 추출방법
KR101606524B1 (ko) 콜드브류 커피 또는 차 추출장치
AU2023200816A1 (en) Beverage composition useful in beverage capsules
US20240130391A1 (en) Extraction cell
US20230345961A1 (en) Extraction cell
KR102530326B1 (ko) 추출 성분 및 농도의 제어가 가능한 추출장치 및 그 추출방법
KR20230148411A (ko) 아로마-인퓨징된 커피 콩
KR20220115111A (ko) 커피 제조 방법 및 장치 및 장치
KR20140024097A (ko) 상온 추출 커피의 대량 생산 공정
CN107487552A (zh) 一种用于制造茶饮料的饮料材料及分配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