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619A - 소화용 파이프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소화용 파이프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619A
KR20200042619A KR1020180122948A KR20180122948A KR20200042619A KR 20200042619 A KR20200042619 A KR 20200042619A KR 1020180122948 A KR1020180122948 A KR 1020180122948A KR 20180122948 A KR20180122948 A KR 20180122948A KR 20200042619 A KR20200042619 A KR 20200042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pipe
fire
hollow body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2477B1 (ko
Inventor
고광욱
Original Assignee
고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광욱 filed Critical 고광욱
Priority to KR1020180122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4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iercing walls, heaped materia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2001/949Construction elements filled with liquid, e.g. water, either permanently or only in case of fi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을 포함하여, 화재 발생시에 외부로부터 소화 물질을 공급받아 다수의 홀을 통해 배출함으로써 화재를 조기 진압할 수 있고, 인입부를 포함하여 기존에 설치된 보온재의 내부로 삽입이 용이한 소화용 파이프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화 물질을 이송시키는 중공 몸체부와, 중공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소화 물질이 배출되는 다수의 홀을 포함하며, 중공 몸체부는 일단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타단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소화용 파이프가 서로 중공 몸체부의 암나사 혹은 수나사와 체결된다.

Description

소화용 파이프 및 이의 시공 방법{Fire-extinguishing pip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소화용 파이프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공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을 포함하여, 화재 발생시에 외부로부터 소화 물질을 공급받아 다수의 홀을 통해 배출함으로써 화재를 조기 진압할 수 있고, 인입부를 포함하여 기존에 설치된 보온재의 내부로 삽입이 용이한 소화용 파이프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주택이나 창고 또는 공장 같이 건축 패널의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는 가건물에는 일명 '샌드위치 패널'이라 호칭되는 건축 패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은, 외부판재 및 내부판재 사이에 단열재가 구비되어 있고, 외부판재 및 내부판재와 단열재는 서로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거나, 혹은 압착에 의해 밀착되어 있으며, 위와 같은 샌드위치 패널은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 건축물의 벽체나 지붕재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샌드위치패널에 사용되는 단열재로는 스티로폼(styroform)이나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상기 폴리우레탄에 난연성을 강화한 PIR(polysocyanurate),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글라스울(glass wool) 또는 미네랄울(mineral wool)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레탄이나 글라스울 또는 미네랄울로 이루어진 단열재는 난연성이나 불연성이라는 점에서 장점이 있는 반면, 고가이고, 특히 글라스울로 이루어진 단열재는 발암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인체에 유해한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가격이 저렴하고 단열성이 뛰어나며 패널의 제작 및 해체가 용이한 스티로폼이 샌드위치 패널의 단열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티로폼을 단열재로 사용한 건축 패널으로 조립된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발화점이 낮은 스티로폼에 쉽게 불이 붙어 연소되게 되며,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단열재는 조립식 건물을 구성하는 건축 패널 전체에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가 순식간에 건물 전체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샌드위치 패널의 단열재로 사용되는 스티로폼은, 외부판재 및 내부판재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어 있으므로, 발화지점을 찾기가 힘들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아울러, 이러한 스티로폼은 연소 시에 유독 가스를 다량으로 발생시키기 때문에 1차적으로 스티로폼이 연소되는 것을 막지 못하게 되면, 유독 가스에 의한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진화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5806호
본 발명은 앞서 살펴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공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을 포함하여, 화재 발생시에 외부로부터 소화 물질을 공급받아 다수의 홀을 통해 배출함으로써 화재를 조기 진압할 수 있는 소화용 파이프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입부를 포함하여 기존에 설치된 샌드위치 판넬, 드라이비트 구조체의 보온재 내부로 삽입이 용이한 소화용 파이프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소화용 파이프는, 소화 물질을 이송시키는 중공 몸체부(100); 및 중공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소화 물질이 배출되는 다수의 홀(2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중공 몸체부(100)는 일단에 암나사(110)가 형성되고, 타단에 수나사(120)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소화용 파이프가 서로 중공 몸체부(100)의 암나사(110) 혹은 수나사(120)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소화 물질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이송되도록, 상기 홀(200)은 중공 몸체부(100)의 단면 중심을 기준으로 120도의 각도가 유지되도록 형성되고, 중공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약 100 mm ~ 150 mm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형성되며, 약 1.1 mm ~ 1.3 mm 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소화용 파이프는 말단이 폐쇄된 원뿔 형상을 갖고, 타단이 중공 몸체부(100)의 단부와 착탈 결합 구조를 갖는 인입부(300)를 더 포함하여 기존에 설치된 샌드위치 판넬, 드라이비트 구조체의 보온재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인 소화용 파이프 시공 방법은, 보온재의 내부로 인입부가 결합된 제1 소화용 파이프를 삽입하는 단계; 제2 소화용 파이프의 일단과 제3 소화용 파이프의 타단을 체결한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를 연속하여 형성하는 단계; 삽입된 제1 소화용 파이프의 일단에 상기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의 타단을 체결하는 단계; 체결된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를 보온재의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의 일단과 소화 물질 공급 수단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는 보온재의 내부에 복수로 설치되되,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들은 서로 약 400 mm ~ 500 mm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용 파이프 시공 방법은, 상기 인입부가 보온재의 외부로 돌출되면, 인입부를 제1 소화용 파이프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본 발명의 소화용 파이프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판넬 혹은 본 발명의 소화용 파이프를 포함하는 드라이비트 구조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 파이프 및 이의 시공 방법은 중공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을 포함하여, 화재 발생시에 외부로부터 소화 물질을 공급받아 다수의 홀을 통해 배출함으로써 화재를 초기에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다. 특히 보온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보온재의 내부에 발생한 화재를 조기 진압함으로써 화재의 확대를 막아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온재의 내부가 연소함에 따라 발생하는 유독가스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활한 진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인입부를 포함하여 기존에 설치된 샌드위치 판넬, 드라이비트 구조체의 보온재 내부로 삽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 파이프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판넬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 파이프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 파이프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 파이프가 건물 상부면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소화용 파이프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 파이프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판넬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 파이프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 파이프(10)는 중공 몸체부(100) 및 다수의 홀(200)을 포함하며, 샌드위치 판넬(20) 또는 드라이비트 구조체(도면 미도시)에 내장된 보온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건물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중공 몸체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홀(20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화재 발생시에 외부로부터 소화 물질을 공급받아 소화 물질을 이송시킨다.
여기서, 상기 소화 물질은 물, 이산화탄소 등의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중공 몸체부(100)는 소화 물질이 원활히 이송될 수 있도록 약 10 mm ~ 15 mm 범위의 직경을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중공 몸체부(100)는 일단에 암나사(110)가 형성되고, 타단에 수나사(120)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소화용 파이프(10)가 서로 중공 몸체부(100)의 암나사(110) 혹은 수나사(120)와 체결될 수 있으며, 샌드위치 판넬(20) 또는 드라이비트 구조체의 길이에 따라 여러 개의 소화용 파이프(10)를 연속하여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공 몸체부(100)는 끝단이 연결관(130)을 통해 직수관, 물탱크 또는 소화전 등의 소화 물질 공급 수단과 연결되며, 화재가 발생하지 않을 때에는 개폐 밸브(140)가 폐쇄되어 중공 몸체부(100)가 건조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 발생시에 개폐 밸브(140)를 개방시켜 소화 물질이 중공 몸체부(100)로 공급되게 된다.
일 예로, 화재 발생시에 화재감지장치의 신호(예를 들어, 신호음, 전광판 등)를 사용자가 인지하여 개폐 밸브(140)를 수동으로 개방시킴으로써 소화 물질이 중공 몸체부(100)로 공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화재감지장치의 신호가 개폐 밸브(140)로 전송됨에 따라, 개폐 밸브(140)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소화 물질이 중공 몸체부(100)로 공급될 수 있다.
다수의 홀(200)은 중공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화재 발생시에 중공 몸체부(100)에서 이송되는 소화 물질을 화재 발생 부위로 배출시켜 화재를 진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200)은 중공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약 100 mm ~ 150 mm의 간격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간격이 100 mm 미만인 경우, 중공 몸체부(100)에 형성되는 홀(200)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되어 소화 물질이 이송되기 위한 압력이 유지되지 않게 되며, 간격이 150 mm 초과인 경우, 중공 몸체부(100)에 형성되는 홀(200)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어져 소화용 파이프(10)의 화재 진압 효과가 미미해진다.
따라서 홀(200)은 중공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약 100 mm ~ 150 mm의 간격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소화 물질이 압력을 유지하며 원활히 이송되도록 중공 몸체부(100)의 단면 중심을 기준으로 120도의 각도가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홀(200)이 중공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약 100 mm ~ 150 mm의 간격이 유지되는 동시에, 중공 몸체부(100)의 단면 중심을 기준으로 120도의 각도가 유지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소화 물질이 압력을 유지하며 이송되어 화재가 발생한 부위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홀(200)은 소화 물질이 화재 발생 부위로 배출될 때 일정한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약 1.1mm ~ 1.3 mm 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 파이프(10)는 보온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가 발생하지 않을 때에는 건조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 발생시에 외부로부터 소화 물질을 공급 받아 화재 발생 부위로 이송시키며, 홀(200)을 통해 화재 발생에 의해 녹은 보온재 공간에 소화 물질을 배출함으로써 화재를 조기 진압할 수 있다.
한편, 소화용 파이프(10)는 인입부(300)를 더 포함하여 보온재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인입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이 폐쇄된 원뿔 형상을 가지며, 타단이 중공 몸체부(100)의 단부와 착탈 결합 구조를 갖는다.
상기 인입부(300)의 착탈 결합 구조는, 예를 들어, 타단에 암나사 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중공 몸체부(100)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 혹은 암나사와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인입부(300)의 착탈 결합 구조는 인입부(300)의 타단에 자석이 내장되어, 스틸 재질의 중공 몸체부(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공 몸체부(100)의 단부와 인입부(300)의 타단을 결합한 후, 인입부(300)를 보온재의 내부에 삽입시키면, 인입부(300)의 압력에 의해 기존의 보온재가 밀려나면서 소화용 파이프(10)가 보온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화용 파이프(10)는 특히 샌드위치 판넬(20), 드라이비트 구조체에 내장된 보온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건물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소화용 파이프(10)는 샌드위치 판넬(20), 드라이비트 구조체에 내장된 보온재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기존에 설치된 샌드위치 판넬(20), 드라이비트 구조체의 보온재 내부로 삽입 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소화용 파이프(10)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온재의 내부로 인입부가 결합된 제1 소화용 파이프를 삽입하는 단계(S100)가 진행된다.
상세하게는, 인입부가 결합된 제1 소화용 파이프에 압력을 가하여 기존의 보온재를 밀어내면서 제1 소화용 파이프를 보온재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소화용 파이프의 일단과 제3 소화용 파이프의 타단을 체결한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를 연속하여 형성하는 단계(S20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제2 소화용 파이프의 일단과 제3 소화용 파이프의 타단에는 각각 암나사와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와 수나사를 체결하여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는 보온재의 길이에 따라 연속하여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삽입된 제1 소화용 파이프의 일단에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의 타단을 체결하는 단계(S300)가 진행된다.
이때, 제1 소화용 파이프의 일단과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의 타단에는 각각 암나사와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와 수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서로 체결되게 된다.
다음으로, 체결된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를 보온재의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S400)가 진행되며,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에 압력을 가하여 보온재의 내부로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를 삽입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삽입하는 단계(S400) 후에,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의 일단과 소화 물질 공급 수단을 연결하는 단계(S50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의 일단을 연결관을 통해 직수관, 물탱크 또는 소화전 등의 소화 물질 공급 수단과 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하지 않을 때에는 개폐 밸브가 폐쇄되어 소화용 파이프가 건조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 발생시에 개폐 밸브가 개방되어 소화 물질 공급 수단으로부터 소화용 파이프로 소화 물질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는 보온재의 내부에 복수로 설치되되,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들은 서로 약 400mm ~ 500 mm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보온재의 보온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넓은 범위에 소화 물질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드라이비트 구조체에 내장된 보온재에 삽입되는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는 바닥으로부터 약 500mm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건물 외벽에 시공된 드라이비트 구조체의 경우, 외부의 담배 꽁초 등으로 인해 바닥으로부터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삽입하는 단계(S400) 후에, 상기 인입부가 보온재의 외부로 돌출되면, 인입부를 제1 소화용 파이프로부터 분리하는 단계(S600)가 더 진행될 수 있으며, 분리된 인입부는 다른 소화용 파이프와 결합하여 재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 파이프(10)는, 앞서 언급한 샌드위치 판넬(20), 드라이비트 구조체 뿐만 아니라 보온재가 내장된 모든 구조물에 삽입 시공될 수 있으며, 소화 물질을 배출함으로써 보온재의 내부에 발생한 화재를 조기 진압할 수 있고, 화재의 확대를 막아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보온재의 내부가 연소함에 따라 발생하는 유독가스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활한 진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용 파이프(10)는 건물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에 소화 물질을 배출함으로써 스프링 쿨러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10 : 소화용 파이프 20 : 샌드위치 판넬
100 : 중공 몸체부 110 : 암나사
120 : 수나사 130 : 연결관
140 : 개폐 밸브 200 : 홀
300 : 인입부

Claims (8)

  1. 소화 물질을 이송시키는 중공 몸체부(100); 및
    상기 중공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소화 물질이 배출되는 다수의 홀(200);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 몸체부(100)는 일단에 암나사(110)가 형성되고, 타단에 수나사(120)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소화용 파이프가 서로 중공 몸체부(100)의 암나사(110) 혹은 수나사(120)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200)은 중공 몸체부(100)의 단면 중심을 기준으로 120도의 각도가 유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홀(200)은 중공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약 100 mm ~ 150 mm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홀(200)은 약 1.1 mm ~ 1.3 mm 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말단이 폐쇄된 원뿔 형상을 갖고, 타단이 상기 중공 몸체부(100)의 단부와 착탈 결합 구조를 갖는 인입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파이프.
  4. 보온재의 내부로 인입부가 결합된 제1 소화용 파이프를 삽입하는 단계;
    제2 소화용 파이프의 일단과 제3 소화용 파이프의 타단을 체결한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를 연속하여 형성하는 단계;
    삽입된 제1 소화용 파이프의 일단에 상기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의 타단을 체결하는 단계;
    체결된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를 보온재의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의 일단과 소화 물질 공급 수단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화용 파이프 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는, 보온재의 내부에 복수로 설치되되,
    상기 소화용 파이프 조립체들은 서로 약 400 mm ~ 500 mm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소화용 파이프 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가 보온재의 외부로 돌출되면, 인입부를 제1 소화용 파이프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화용 파이프 시공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화용 파이프; 혹은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시공된 소화용 파이프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판넬.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화용 파이프; 혹은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시공된 소화용 파이프를 포함하는, 드라이비트 구조체.
KR1020180122948A 2018-10-16 2018-10-16 소화용 파이프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32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948A KR102132477B1 (ko) 2018-10-16 2018-10-16 소화용 파이프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948A KR102132477B1 (ko) 2018-10-16 2018-10-16 소화용 파이프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619A true KR20200042619A (ko) 2020-04-24
KR102132477B1 KR102132477B1 (ko) 2020-07-09

Family

ID=7046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948A KR102132477B1 (ko) 2018-10-16 2018-10-16 소화용 파이프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4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7538A (zh) * 2020-07-28 2020-11-03 深圳市邑筑建筑设计有限公司 防火建筑结构及其施工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852Y1 (ko) * 1996-06-12 1999-06-01 김기표 산불진화용 물분사 소방호스
KR200374529Y1 (ko) * 2004-10-26 2005-01-29 박희옥 물튜브를 내장한 판넬
KR20100065806A (ko) 2008-12-09 2010-06-17 이한종 투수 샌드위치 판넬
KR101356018B1 (ko) * 2013-10-08 2014-01-28 (주)대창엔지니어링 샌드위치판넬 화재 진압용 살수대
KR20160088198A (ko) * 2015-01-15 2016-07-25 정윤진 스티로폼 단열재의 화재에 대비한 소화 장치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852Y1 (ko) * 1996-06-12 1999-06-01 김기표 산불진화용 물분사 소방호스
KR200374529Y1 (ko) * 2004-10-26 2005-01-29 박희옥 물튜브를 내장한 판넬
KR20100065806A (ko) 2008-12-09 2010-06-17 이한종 투수 샌드위치 판넬
KR101356018B1 (ko) * 2013-10-08 2014-01-28 (주)대창엔지니어링 샌드위치판넬 화재 진압용 살수대
KR20160088198A (ko) * 2015-01-15 2016-07-25 정윤진 스티로폼 단열재의 화재에 대비한 소화 장치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477B1 (ko)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756B1 (ko) 자체 화재 진압 기능을 구비한 건축 패널
WO2006058330A3 (en) Dry sprinkler installation and sealing device
KR102132477B1 (ko) 소화용 파이프 및 이의 시공 방법
US20160256717A1 (en) Sandwich panel having fire-extinguishing function and construction wall using the same
KR101995447B1 (ko) 알루미늄 박판층과 유리섬유 망층을 이용하여 무기질 평탄층이 고도의 일체성을 가지는 건축용 조립식 복합 외장구조체
KR100757575B1 (ko) 창호용 화재 확산방지장치
KR20200005311A (ko) 샌드위치 판넬 소화 장치
KR102003327B1 (ko) 습식 불연 외장 단열 마감 공법
KR20170022370A (ko) 샌드위치 패널용 소화장치
KR101930909B1 (ko) 발포 불연재가 구비된 댐퍼
KR101618593B1 (ko) 패널연결재를 이용한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
KR20110123451A (ko) 조립식 패널 방화시스템 및 소화캡
KR20160053606A (ko) 방화용 조립식 패널
KR20210156496A (ko) 방화문의 소화장치
KR101711039B1 (ko)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이 용이한 소방장치
KR101650267B1 (ko) 자체 소화구조를 가지는 샌드위치패널 및 이를 이용하는 자체 소화기능을 가지는 샌드위치패널 구조물
JP2000282623A (ja) 建造物の柱材及びこの柱材を使用した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20180025553A (ko) 화재 확산 방지용 수공압 분사장치
KR20120065977A (ko) 화재 확산 방지시스템을 가진 건축용 조립판넬
TWM450591U (zh) 預埋式截火管套阻火延燒裝置系統
KR20210035400A (ko)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이 있는 샌드위치 패널 벽체
KR102019691B1 (ko) 샌드위치 패널의 자동분출형 소화장치
KR100642243B1 (ko) 방화보드
US20220403956A1 (en) Chained fireproof sealing system
KR20170015416A (ko) 건축물의 단열재 화재 진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