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589A - 한방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방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589A
KR20200042589A KR1020180122860A KR20180122860A KR20200042589A KR 20200042589 A KR20200042589 A KR 20200042589A KR 1020180122860 A KR1020180122860 A KR 1020180122860A KR 20180122860 A KR20180122860 A KR 20180122860A KR 20200042589 A KR20200042589 A KR 20200042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thanol
green tea
sanjoin
saff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센 팡린
Original Assignee
광저우 바이윈 시징 싱첸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저우 바이윈 시징 싱첸 엘티디 filed Critical 광저우 바이윈 시징 싱첸 엘티디
Priority to KR1020180122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2589A/ko
Publication of KR20200042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58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조인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 화장품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한방 화장품 조성물은 과학적이면서 합리적인 조제 조성물로서, 기를 강화하고, 음을 돋우어 주며, 혈행을 촉진하고, 울혈을 없애주며, 보습 및 미백 기능을 가지고, 강장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한방 화장품 조성물{A CHINESE MEDICAL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화장품 및 의학 분야, 구체적으로 한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누구나 건강하고 깨끗한 피부를 가지기를 원한다.
색소침착을 방지하기 위한 미백 화장품의 기본 원리는 주로 다음의 양태들에서 구현된다: 1. 멜라닌 생성의 억제[멜라닌 생성은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거나, 멜라닌 생성 중간체의 생성을 방해함으로써 방지됨]; 2. 멜라닌 감소 및 광 산화 방지[멜라닌 감소는 각질 세포에 의해 촉진되고, 그 결과 이미 생성된 멜라닌이 제거됨]; 3. 피부 대사 동안 색소침착의 감소[멜라닌은, 피부의 대사작용을 개선함으로써 피부로부터 신속하게 배출됨]; 그리고 4. UV 광선 침투의 방지[UV선에 의해 생성된 과량의 멜라닌은 자외선 차단 제제에 의해 UV선을 물리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감소됨].
현재의 미백 제품은 주로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 다수의 헬스케어 화장품이 존재하긴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말미암아 그 활용도는 만족스럽지 못하며, 실제 적용을 만족시키고 있지 못하다. 그러므로 화장품의 개선과 혁신이 절실하다.
피부는 인간의 몸에서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외부 노출 장기이고, 피부의 세포와 매트릭스에 존재하는 수분은 손실되기 쉽다. 피부의 상피에는 혈관이 존재하지 않고, 수분은 오로지 침투를 통해 진피까지 도달함으로써 공급될 수 있으므로, 상피는 인간 몸에 있어서 탈수가 가장 쉽게 일어나는 부분이다. 수분 손실은 피부의 세포 분열 및 분비 능에 영향을 미치고, 색소 대사를 떨어뜨리며, 피부에 대한 보습 효과를 나쁘게 만들 것이다. 수분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보충하고 유지하는 것은 피부의 색소 침착을 감소시킴에 있어 중요하고도 무시할 수 없는 양태이다. 그러므로 피부를 보습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은 주근깨 제거와 미백의 기초가 된다.
전술된 바가 고려되었을 때, 선행 기술의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근깨 제거, 보습 및 미백에 사용되는 화장품의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한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상의 해결책은 다음과 같다:
한방 화장품 조성물은, 하기 원재료들, 즉 산조인(Spina Date) 추출물 5% ~ 10%, 황백(Cortex Phellodendri) 추출물 0.1% ~ 1%, 녹차(Green tea) 추출물 5% ~ 10%, 홍화(Safflower) 추출물 5% ~ 20%,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2% ~ 3%, 올리브유 12% ~ 17%, 팔미트산이소프로필 4% ~ 6%,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놀 에테르 0.4% ~ 0.6%, 글리세롤 4% ~ 6%, p-하이드록시벤조산 메틸 0.08% ~ 0.12%, 에탄올 6% ~ 8%, 그리고 나머지 탈이온수(즉 탈이온수는 총 %가 100%가 될 때까지 첨가)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데(다만, 상기 함량 단위는 중량%임),
상기 산조인 추출물은 하기 단계들, 즉 산조인과 에탄올(용매) 50 질량%를 1 시간 동안 2회 가열 환류하여(다만 각 회차당 에탄올/산조인의 중량 비는 6 ~ 8 : 1임), 2개의 에탄올 추출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이 2개의 에탄올 추출 용액을 합한 다음, 이로부터 얻어진 결과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하여 농축함으로써 상대 밀도 1.2 ~ 1.4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그리고 이 추출물을 -80℃에서 24 시간 동안 동결시키고 나서 진공 건조하여, 동결 건조 분말, 즉 산조인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황백 추출물은 하기 단계들, 즉 황백과 에탄올(용매) 70 질량%를 1 시간 동안 2회 가열 환류하여(다만 각 회차당 에탄올/황백의 중량 비는 6 ~ 8 : 1임), 2개의 에탄올 추출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이 2개의 에탄올 추출 용액을 합한 다음, 이로부터 얻어진 결과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하여 농축함으로써 상대 밀도 1.2 ~ 1.4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그리고 이 추출물을 -80℃에서 24 시간 동안 동결시키고 나서 진공 건조하여, 동결 건조 분말, 즉 황백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녹차 추출물은 하기 단계들, 즉 녹차와 에탄올(용매) 50 질량%를 1 시간 동안 2회 가열 환류하여(다만 각 회차당 에탄올/녹차의 중량 비는 6 ~ 8 : 1임), 2개의 에탄올 추출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이 2개의 에탄올 추출 용액을 합한 다음, 이로부터 얻어진 결과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하여 농축함으로써 상대 밀도 1.2 ~ 1.4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그리고 이 추출물을 -80℃에서 24 시간 동안 동결시키고 나서 진공 건조하여, 동결 건조 분말, 즉 녹차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고;
그리고
상기 홍화 추출물은 하기 단계들, 즉 홍화와 에탄올(용매) 90 질량%를 1 시간 동안 2회 가열 환류하여(다만 각 회차당 에탄올/홍화의 중량 비는 6 ~ 8 : 1임), 2개의 에탄올 추출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이 2개의 에탄올 추출 용액을 합한 다음, 이로부터 얻어진 결과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하여 농축함으로써 상대 밀도 1.2 ~ 1.4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그리고 이 추출물을 -80℃에서 24 시간 동안 동결시키고 나서 진공 건조하여, 동결 건조 분말, 즉 홍화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한방 화장품 조성물은 과학적이면서 합리적인 조제 조성물로서, 기를 강화하고, 음을 돋우어 주며, 혈행을 촉진하고, 울혈을 없애주며, 보습 및 미백 기능을 가지고, 강장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자유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피부 대사작용을 개선할 수 있고, UV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줄여줄 수 있는, 완전한 피부 미백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천연의 무자극성 조성물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들이 실시예들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본 한방 화장품 조성물은 하기 원재료들, 즉 산조인 추출물 7% ~ 8%, 황백 추출물 0.4% ~ 0.6%, 녹차 추출물 7% ~ 8%, 홍화 추출물 10% ~ 15%, 아스코르브산 2.3% ~ 2.6%, 올리브유 13% ~ 16%, 팔미트산이소프로필 4.5% ~ 5.5%,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놀 에테르 0.45% ~ 0.55%, 글리세롤 4.5% ~ 5.5%, p-하이드록시벤조산 메틸 0.09% ~ 0.11%, 에탄올 6.5% ~ 7.5%, 그리고 나머지 탈이온수(다만, 상기 함량 단위는 중량%임)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본 한방 화장품 조성물은 하기 원재료들, 즉 산조인 추출물 5%, 황백 추출물 0.5%, 녹차 추출물 5%, 홍화 추출물 8%, 아스코르브산 2%, 올리브유 15%, 팔미트산이소프로필 5%,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놀 에테르 0.5%, 글리세롤 5%, p-하이드록시벤조산 메틸 0.1%, 에탄올 7%, 그리고 나머지 탈이온수(다만, 상기 함량 단위는 중량%임)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본 한방 화장품 조성물은 하기 원재료들, 즉 산조인 추출물 9%, 황백 추출물 0.7%, 녹차 추출물 7%, 홍화 추출물 15%, 아스코르브산 2%, 올리브유 15%, 팔미트산이소프로필 5%,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놀 에테르 0.5%, 글리세롤 4%, p-하이드록시벤조산 메틸 0.1%, 에탄올 8%, 그리고 나머지 탈이온수(다만, 상기 함량 단위는 중량%임)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본 한방 화장품 조성물은 하기 원재료들, 즉 산조인 추출물 10%, 황백 추출물 1%, 녹차 추출물 10%, 홍화 추출물 18%,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2.5%, 올리브유 16%, 팔미트산이소프로필 6%,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놀 에테르 0.4%, 글리세롤 6%, p-하이드록시벤조산 메틸 0.11%, 에탄올 8%, 그리고 나머지 탈이온수(다만, 상기 함량 단위는 중량%임)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한방 성분들은 다른 성분들과 협동하여 상승적 상호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기를 강화하고, 음을 돋우어 주며, 혈행을 촉진하고, 울혈을 없애주며, 보습 및 미백 기능을 가지고, 강장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자유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피부 대사작용을 개선할 수 있고,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줄여줄 수 있는, 완전한 피부 미백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천연의 무자극성이다. 본 발명의 한방 화장품 조성물은 유리한 기술 효과를 만족스러운 정도로 달성하는지 테스트되었고, 테스트 데이터는 다음과 같았다:
1. 멜라닌 색소포 분열 억제
마우스 B16의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합성 기능은 정상 인간 피부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합성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멜라닌 세포를 1Х104 세포/웰(웰당 100 μL)로 96-웰 평판에 접종한 다음, 5% CO2 항온처리기(37℃) 내에서 2일 동안 배양한 후; 원래 배양 용액을 따라 버리고 나서, 완전 배양 용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테스트될 한방 추출물 4 가지를 안분 비례로 혼합한 다음, 희석하여, 최종 한방 용액 농도가 500 mg/L, 250 mg/L, 125 mg/L, 62.5 mg/L 및 31.25 mg/L로 상이한 용액 5 가지를 수득하였다. 5개의 평행 웰을 각각의 최종 농도를 가지는 용액들로 채웠으며, 대조군에는 한방 용액은 첨가하지 않되, 다만 동량의 완전 배지를 첨가하였고, 상기와 같이 얻어진 테스트 시료 모두를 항온처리기에서 3일 더 배양하였다. 배양 상청액을 버리고 나서, 각 웰에 0.5 mg.L-1 MTT를 100 μL씩 첨가한 다음, 4 시간 더 배양한 후; 이로부터 얻어진 보라색 침전물을, DMSO 150 μL를 첨가하여 용해하고 나서, 흡광도(A)를 미세평판 판독기로 측정하였다(파장 570 nm(/630 nm)). 각 웰의 흡광도 값을 대조군 웰의 평균 흡광도 값으로 나눈 후, 이를 100%로 곱하여, 각 웰의 생존율을 구하였으며, 1에서 이 생존율을 공제하여 억제율을 구하였고; 얻어진 억제율 곡선에 따라, 테스트 시료의 치사 농도 범위와 IC50 중앙 치사 농도를 산정하였는데, 이때의 산정 결과는 한방 미백 성분의 독성 지수를 나타내는 것이었다(표 1 참조).
Figure pat00001
한방 미백 성분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멜라닌세포 억제율은 상응하여 증가하였고, 독성 지수는 250 mg/ml였다(즉 피부 미백 크림 중 한방 미백 성분의 농도는 이 농도 250 mg/ml를 초과하지 못하였다).
2.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억제
3일 동안 (상기 농도의) 한방 미백 성분들의 기능을 발휘시킨 후, 상청액을 버리고 나서, 각 웰을 pH6.8의 PBS로 2회 세척한 다음, 여기에 Triton X-100 1%(부피%)를 함유하는 PBS 90 μL를 첨가하였다. 얼음 조에서 각 웰을 대상으로 초음파 파쇄를 실시한 다음, 여기에 1Х10- 2 mol/L L-도파 10 uL를 첨가하고 나서, 이를 37℃에서 60분 동안 항온처리하였으며; UV 분광분석계(490 nm)를 사용하여 비색측정을 실시하여(이때, 블랭크 웰(blank well)을 0으로 설정함), 각 웰의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표 2 참조).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율 = (1 - 각 농도에서의 평균 흡광도 값 / 대조군의 평균 흡광도 값) * 100%.
Figure pat00002
한방 미백 성분의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도 또한 감소하였음, 즉 한방 미백 성분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의 억제 효과도 또한 개선되었음을 표 2에서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이로써 티로시나아제 활성에 대한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3. 피부 미백 크림의 자외선 차단 효과
(체중 400 g ~ 450 g인) 래트 5 마리를 테스트용으로 취하였다. 각각의 래트를 디에틸 에테르로 마취시킨 후, 래트의 등쪽을 대칭으로 2등분한 부위의 털을 3cmХ3cm 크기로 조심스럽게 잘라낸 후, 래트를 래트 케이지 안에 넣어 UV 멸균등들(멸균등 하나당 25W, 멸균등 간 거리 = 100cm) 아래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허용한 상태에서, 래트 등 우측 피부에는 적당량의 피부 미백 크림을 균일하게 도포하였고, 래트 등 좌측 피부에는 오로지 한방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크림만을 도포한 다음; 각 래트에 매일 8 시간씩 UV 멸균등을 쬐어 주어 피부를 자극시킨 후(12 시간 경과시에는 각 래트를 다시 마취시키고, 피부 미백 크림을 1회 더 도포함); 래트를 꺼내어 7일 더 사육하고 나서 죽였다. 래트 피부 표면을 면 볼로 가만히 닦아내고 물과 에탄올로 침지하는 과정을 교번적으로 반복하여, 잔류 크림을 제거하고 나서, 래트 피부 두께를 버니어 눈금 단위로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3
UV 손상은 상피층 세포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UV선은 피부 세포의 가장 바깥 층을 손상시킬뿐만 아니라, 상피를 관통하여 진피 세포에 도달할 수 있어서, 진피 세포 다수의 괴사와 대사 장애가 일어나도록 만들고, 세포 내 불순물은 대사될 수 없는 관계로, 세포는 탄력을 잃게 되고, 빨리 노화되며, 민감성이 되어, 주름이 생기게 되고, 그 두께도 증가하게 될 것이다. 표 3의 데이터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측 피부는 좌측 피부보다 더 얇았는데, 이는, 래트 등 우측 피부(즉 피부 미백 크림이 도포된 피부)가 어느 정도 보호되었음을 말해준다.
4. 피부 미백 크림의 보습성 테스트
(Liu Wei 및 Zhang Huailiang에 의해 편찬된 "피부 과학 및 화장품 효능 평가(Skin science and cosmetic efficacy evaluation)"에 사용된 계량 방법을 참조하여) 시험관 내 계량 방법을 실시하였다. 피부 미백 크림 5 g과 매트릭스 5 g을 배양 접시 병마개 2개 각각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나서, 배양 접시 병마개를 8 시간 동안 방치하였는데, 이때 이 병마개의 수분 감소량을 1 시간 마다 계량하여 구하였고, 수분 보유능을 "잔류 수분 질량/시료 질량"에 의해 산정하였다.
Figure pat00004
표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잔류 수분의 양은 점차 감소하였다. 8 시간 후 수분 보유능은 절반 넘게 유지되었는데, 이는 우수한 보습 효과가 달성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한방 화장품 조성물은 주근깨 제거 효과, 보습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고, 인간 피부 보호 및 헬스케어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상기 테스트들로부터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하기 원재료들, 즉 산조인 추출물 5% ~ 10%, 황백 추출물 0.1% ~ 1%, 녹차 추출물 5% ~ 10%, 홍화 추출물 5% ~ 20%, 아스코르브산 2% ~ 3%, 올리브유 12% ~ 17%, 팔미트산이소프로필 4% ~ 6%,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놀 에테르 0.4% ~ 0.6%, 글리세롤 4% ~ 6%, p-하이드록시벤조산 메틸 0.08% ~ 0.12%, 에탄올 6% ~ 8%, 그리고 나머지 탈이온수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 한방 화장품 조성물(다만, 상기 함량 단위는 중량%임)로서,
    상기 산조인 추출물은 하기 단계들, 즉 산조인과 에탄올(용매) 50 질량%를 1 시간 동안 2회 가열 환류하여(다만 각 회차당 에탄올/산조인의 중량 비는 6 ~ 8 : 1임), 2개의 에탄올 추출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이 2개의 에탄올 추출 용액을 합한 다음, 이로부터 얻어진 결과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하여 농축함으로써 상대 밀도 1.2 ~ 1.4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그리고 이 추출물을 -80℃에서 24 시간 동안 동결시키고 나서 진공 건조하여, 동결 건조 분말, 즉 산조인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황백 추출물은 하기 단계들, 즉 황백과 에탄올(용매) 70 질량%를 1 시간 동안 2회 가열 환류하여(다만 각 회차당 에탄올/황백의 중량 비는 6 ~ 8 : 1임), 2개의 에탄올 추출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이 2개의 에탄올 추출 용액을 합한 다음, 이로부터 얻어진 결과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하여 농축함으로써 상대 밀도 1.2 ~ 1.4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그리고 이 추출물을 -80℃에서 24 시간 동안 동결시키고 나서 진공 건조하여, 동결 건조 분말, 즉 황백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녹차 추출물은 하기 단계들, 즉 녹차와 에탄올(용매) 50 질량%를 1 시간 동안 2회 가열 환류하여(다만 각 회차당 에탄올/녹차의 중량 비는 6 ~ 8 : 1임), 2개의 에탄올 추출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이 2개의 에탄올 추출 용액을 합한 다음, 이로부터 얻어진 결과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하여 농축함으로써 상대 밀도 1.2 ~ 1.4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그리고 이 추출물을 -80℃에서 24 시간 동안 동결시키고 나서 진공 건조하여, 동결 건조 분말, 즉 녹차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고;
    그리고
    상기 홍화 추출물은 하기 단계들, 즉 홍화와 에탄올(용매) 90 질량%를 1 시간 동안 2회 가열 환류하여(다만 각 회차당 에탄올/홍화의 중량 비는 6 ~ 8 : 1임), 2개의 에탄올 추출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이 2개의 에탄올 추출 용액을 합한 다음, 이로부터 얻어진 결과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하여 농축함으로써 상대 밀도 1.2 ~ 1.4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그리고 이 추출물을 -80℃에서 24 시간 동안 동결시키고 나서 진공 건조하여, 동결 건조 분말, 즉 홍화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한방 화장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원재료들, 즉 산조인 추출물 7% ~ 8%, 황백 추출물 0.4% ~ 0.6%, 녹차 추출물 7% ~ 8%, 홍화 추출물 10% ~ 15%, 아스코르브산 2.3% ~ 2.6%, 올리브유 13% ~ 16%, 팔미트산이소프로필 4.5% ~ 5.5%,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놀 에테르 0.45% ~ 0.55%, 글리세롤 4.5% ~ 5.5%, p-하이드록시벤조산 메틸 0.09% ~ 0.11%, 에탄올 6.5% ~ 7.5%, 그리고 나머지 탈이온수(다만, 상기 함량 단위는 중량%임)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 한방 화장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원재료들, 즉 산조인 추출물 5%, 황백 추출물 0.5%, 녹차 추출물 5%, 홍화 추출물 8%, 아스코르브산 2%, 올리브유 15%, 팔미트산이소프로필 5%,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놀 에테르 0.5%, 글리세롤 5%, p-하이드록시벤조산 메틸 0.1%, 에탄올 7%, 그리고 나머지 탈이온수(다만, 상기 함량 단위는 중량%임)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 한방 화장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원재료들, 즉 산조인 추출물 9%, 황백 추출물 0.7%, 녹차 추출물 7%, 홍화 추출물 15%, 아스코르브산 2%, 올리브유 15%, 팔미트산이소프로필 5%,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놀 에테르 0.5%, 글리세롤 4%, p-하이드록시벤조산 메틸 0.1%, 에탄올 8%, 그리고 나머지 탈이온수(다만, 상기 함량 단위는 중량%임)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 한방 화장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원재료들, 즉 산조인 추출물 10%, 황백 추출물 1%, 녹차 추출물 10%, 홍화 추출물 18%, 아스코르브산 2.5%, 올리브유 16%, 팔미트산이소프로필 6%,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놀 에테르 0.4%, 글리세롤 6%, p-하이드록시벤조산 메틸 0.11%, 에탄올 8%, 그리고 나머지 탈이온수(다만, 상기 함량 단위는 중량%임)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 한방 화장품 조성물.
KR1020180122860A 2018-10-15 2018-10-15 한방 화장품 조성물 KR20200042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860A KR20200042589A (ko) 2018-10-15 2018-10-15 한방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860A KR20200042589A (ko) 2018-10-15 2018-10-15 한방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589A true KR20200042589A (ko) 2020-04-24

Family

ID=7046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860A KR20200042589A (ko) 2018-10-15 2018-10-15 한방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25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60114A1 (e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Rose Extrac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KR101402550B1 (ko) 황칠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품
KR101824770B1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783063B1 (ko)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1676A (ko) 노근, 함초 및,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098400B1 (ko)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93544B1 (ko) 호장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Tseng et al. Coffee pulp supplement affects antioxidant status and favors anti‐aging of skin in healthy subjects
KR10242934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9290A (ko)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0859A (ko)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04546621A (zh) 一种护肤抗衰老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100166683A1 (en) Composition of external preparation for uv-protection comprising rehmannia glutinosa extracts
CN112245348A (zh) 一种护肤面霜及其制备方法
KR10218941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CN110664671B (zh) 一种植物提取物组合物及其在防晒、晒后修复、防光老化和美白化妆品中的应用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475898B1 (ko) 그라비올라 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42589A (ko) 한방 화장품 조성물
KR20140126891A (ko) 진세노사이드 Rf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Song et al. Lactobacillus plantarum fermented Laminaria japonica alleviates UVB-induced epidermal photoinflammation via the Keap-1/Nrf2 pathway
US20200129418A1 (en) Chinese Medical Cosmetic Composition
KR101909533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47062B1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37960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