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336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336A
KR20200042336A KR1020180122805A KR20180122805A KR20200042336A KR 20200042336 A KR20200042336 A KR 20200042336A KR 1020180122805 A KR1020180122805 A KR 1020180122805A KR 20180122805 A KR20180122805 A KR 20180122805A KR 20200042336 A KR20200042336 A KR 20200042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vibration
display surfaces
vibration generating
partition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2979B1 (ko
Inventor
김세은
김태형
황학모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2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979B1/ko
Priority to US16/580,371 priority patent/US11460922B2/en
Priority to CN201910924823.6A priority patent/CN111050254B/zh
Priority to CN202210268795.9A priority patent/CN114531636A/zh
Publication of KR20200042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336A/ko
Priority to US17/894,985 priority patent/US11829533B2/en
Priority to US18/381,997 priority patent/US20240045506A1/en
Priority to KR1020240001620A priority patent/KR20240007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2Coo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Abstract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며, 폐루프 구조를 갖는 복수의 표시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복수의 표시면 각각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및 복수의 표시면으로 둘러싸이고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각각을 지지하는 진동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 장치, 전계방출 표시 장치, 유기발광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모두 화상을 표시하지만, 소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해야 한다. 표시 장치에 스피커를 설치할 경우,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소리의 진행 방향은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이 아닌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단 또는 상하단이 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 방향으로 소리가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TV 등과 같은 세트 장치에 포함되는 스피커를 구성할 경우, 스피커가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트 장치의 디자인 및 공간 배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영상을 시청할 시 소리의 진행방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이 될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는 여러 실험을 하게 되었다. 여러 실험을 거쳐 소리의 진행방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표시 장치를 구현하였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복수의 표시면 각각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를 지지하는 진동 지지 부재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음향 출력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일체화된 진동 지지 부재를 통해 방출함으로써, 방열 성능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복수의 표시면 각각에 대응되는 공간을 분리시킴으로써,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각각에서 발생되는 음향들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복수의 표시면 각각에 대응되는 공간 마다 배치된 음향 흡수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특정 주파수 영역의 음압 레벨을 제어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복수의 표시면 각각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및 복수의 표시면으로 둘러싸이고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각각을 지지하는 진동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복수의 표시면은 폐루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복수의 표시면 각각에 대응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분리부, 복수의 표시면 각각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및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각각과 분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각각을 지지하는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소리의 진행 방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표시 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표시 디스플레이 패널의 복수의 표시면 각각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를 지지하는 진동 지지 부재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음향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일체화된 진동 지지 부재를 통해 방출함으로써,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복수의 표시면 각각에 대응되는 공간을 분리시킴으로써,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각각에서 발생되는 음향들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복수의 표시면 각각에 대응되는 공간마다 배치된 음향 흡수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특정 주파수 영역의 음압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면을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음향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음향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표시 장치에서, 음향 흡수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표시 장치에서, 음향 흡수 부재의 흡음 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음향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예를 들면,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는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는 연관된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두 개 이상의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apparatus)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장치(equipment apparatus),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apparatus)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apparatus)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의 표시 장치는 LCM, OLED 모듈 등과 같은 협의의 표시 장치 자체, 및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응용제품 또는 최종소비자용 장치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몇몇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모듈을 "표시 장치"로 표현하고, LCM,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 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 발광(OLED)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 PCB를 포함하며, 세트 장치는 소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 PCB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전계 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의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예의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특정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태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 필터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 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상부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기 전계 발광(OLED)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은 무기발광층(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예를 들어 나노사이즈의 물질층(nano-sized material layer) 또는 양자점(quantum do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예를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면을 나타내는 후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하우징(200), 진동 발생 장치(300), 진동 지지 부재(400), 및 패널 지지 부재(5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전계 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을 표시하는 픽셀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어레이는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이 교차될 수 있고, 복수의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컬러 구현을 위하여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백색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표시면은 폐루프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표시 장치의 여러 방향으로 동일한 영상 또는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표시면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벤딩시켜 형성되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체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복수의 표시면을 갖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벤더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본 출원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공항 또는 기차역 등의 상업용(commercial) 표시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표시 장치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4개의 표시면(100a, 100b, 100c, 100d)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대한 실시예를 개시하나,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의 표시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표시 장치의 여러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4개의 표시면을 가질 수 있고, 4개의 표시면으로 둘러싸이는 내부 공간은 저주파수 영역에서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우퍼(woofe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별도의 우퍼를 포함하지 않고도 저주파수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일체로 형성된 후 벤딩됨으로써, 복수의 표시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을 갖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1 내지 제3 벤딩부(110a, 110b, 110c)와 연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벤딩부(110a)는 제1 및 제2 표시면(100a, 10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연결부(120)는 제1 및 제4 표시면(110a, 110d)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부(110)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인접한 2개의 표시면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구분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복수의 표시면과 함께 표시 장치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 각각이 표시 장치의 전방, 좌방, 후방, 우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경우, 하우징(200)은 표시 장치의 상하 방향 각각을 향하는 제1 및 제2 하우징(210, 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을 지지할 수 있고, 표시 장치의 내부 구성을 수용 및 보호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으로 음향(SW)을 출력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300)는 진동 지지 부재(400)를 지지대로 하여 영상과 관련된 음향 신호에 대응되는 진동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면으로 음향(SW)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음향 장치의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과 하방이 아닌 전방으로 음향(SW)을 출력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영상과 음향(SW)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표시 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복수의 표시면을 갖는 경우, 진동 발생 장치(300)는 복수의 표시면 각각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을 포함하는 경우, 진동 발생 장치(300)는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 각각을 진동시키는 제1 내지 제4 진동 발생 장치(300a, 300b, 300c, 300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진동 발생 장치(300a)는 제1 표시면(100a)을 진동시켜 표시 장치의 전방으로 음향(SW)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내지 제4 진동 발생 장치(300b, 300c, 300d) 각각은 제2 내지 제4 표시면(100b, 100c, 100d) 각각을 진동시켜 표시 장치의 좌방, 후방, 및 우방 각각으로 음향(SW)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2 및 도 3은 하나의 표시면(100a)마다 하나의 진동 발생 장치(300a)가 배치된 표시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표시면(100a)에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3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300)는 스피커(speaker)로서, 음향 액츄에이터(Sound Actuator), 음향 여진기(Sound Exciter), 또는 압전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기기일 수 있다.
진동 지지 부재(4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복수의 표시면으로 둘러싸이고,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300)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지지 부재(400)는 표시 장치의 주위의 모든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면 각각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3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지지 부재(400)는 일체로 형성된 폐루프 구조를 가짐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진동하는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300)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지지 부재(400)는 표시 장치 주위의 모든 방향으로 진동하는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300)를 지지함으로써, 하나의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진동을 분산시켜 전체적인 지지력을 보완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지지 부재(400)는 일부의 진동 발생 장치(300)에 대한 지지력을 이용하여 다른 일부의 진동 발생 장치(300)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진동 지지 부재(400)는 지지 프레임(410) 및 복수의 연결 브라켓(42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410)은 복수의 바가 일체로 형성된 폐루프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복수의 연결 브라켓(420) 각각은 복수의 바 각각과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각각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410)은 제1 내지 제4 바(410a, 410b, 410c, 410d)가 일체로 형성된 폐루프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1 내지 제4 바(410a, 410b, 410c, 410d) 각각은 제1 내지 제4 연결 브라켓(420a, 420b, 420c, 420d) 각각과 연결되어, 제1 내지 제4 진동 발생 장치(300a, 300b, 300c, 300d)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바(410a, 410b, 410c, 410d)는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전방, 좌방, 후방, 및 우방 각각을 향하여 진동하는 제1 내지 제4 진동 발생 장치(300a, 300b, 300c, 300d)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410a)는 제1 진동 발생 장치(300a)를 지지하면서 제1 진동 발생 장치(300a)에서 발생된 진동을 제2 내지 제4 바(410b, 410c, 410d)에 분산시킬 수 있다. 제2 바(410b)는 제2 진동 발생 장치(300b)를 지지하면서 제2 진동 발생 장치(300b)에서 발생된 진동을 제1, 제3 및 제4 바(410a, 410c, 410d)에 분산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바(410a)는 제2 및 제4 바(410b, 410d)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고, 제2 바(420b)는 제1 및 제3 바(410a, 410c)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바(410a, 410b, 410c, 410d) 각각은 인접한 바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진동을 인접한 바에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바(410a, 410b, 410c, 410d) 각각은 인접한 바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고, 표시 장치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진동하는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300)를 지지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진동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진동 발생 장치(300)의 전체적인 지지력을 보완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바(410a)는 제1 진동 발생 장치(300a)를 지지함과 동시에, 제2 내지 제4 바(410b, 410c, 410d)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바(410b)는 제2 진동 발생 장치(300b)를 지지함과 동시에, 제1, 제3 및 제4 바(410a, 410c, 410d)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바(410a)는 제2 내지 제4 바(410b, 410c, 410d)로부터 지지될 수 있고, 제2 바(410b)는 제1, 제3 및 제4 바(410a, 410c, 410d)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바(410a, 410b, 410c, 410d) 각각은 서로를 지지함으로써, 제1 내지 제4 진동 발생 장치(300a, 300b, 300c, 300d) 각각에 대한 지지력을 상호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바(410a, 410b, 410c, 410d) 각각은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300) 각각에 대한 지지력을 상호 보완함으로써, 진동 손실을 최소화하여 음향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진동 지지 부재(400)는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연결 브라켓(420a, 420b, 420c, 420d) 각각은 제1 내지 제4 진동 발생 장치(300a, 300b, 300c, 300d) 각각에서 발생된 열을 지지 프레임(4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연결 브라켓(420a, 420b, 420c, 420d) 각각은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열을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지지 프레임(410)에 전달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연결 브라켓(420)은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열을 지지 프레임(410)에 전달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열이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열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질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패널 지지 부재(500)는 복수의 표시면(100)으로 둘러싸이고 복수의 표시면(100)을 지지할 수 있다. 패널 지지 부재(500)는 복수의 보강 프레임(510)과 복수의 연결 프레임(5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보강 프레임(510)은 연결 부재(53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연결 프레임(520)과 상호 지지되어 복수의 표시면(100)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보강 프레임(510a, 510b, 510c, 510d) 각각은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강 프레임(510a)은 제1 표시면(100a)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 각각에 중첩되도록 제1 표시면(100a)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표시면(100a)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보강 프레임(510b)은 제2 표시면(100b)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 각각에 중첩되도록 제1 표시면(100a)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표시면(100b)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보강 프레임(510a, 510b)은 제1 연결 프레임(520a)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보강 프레임(5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강성을 보완하여, 진동 발생 장치(300)의 음향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보강 프레임(510a, 510b, 510c, 510d) 각각은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에 중첩되게 배치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300)의 전자기력(예를 들어, 로렌츠의 힘)을 향상시켜,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진동의 공진 주파수(f0)는 다음과 같은 식 1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k는 물체의 강성(Stiffness), m은 물체의 질량(Mass)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 장치(300)는 상기 공식에 따라, 물체의 강성(k)을 증가시키거나 질량(m)을 감소시킴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진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진동 발생 장치(300)는 물체의 질량(m)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물체의 강성(stiffiness, k)을 질량(m)의 증가 비율보다 더 증가시킴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진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가장자리에 패널 지지 부재(500)를 배치함으로써, 진동판으로 작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질량(m)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강성(k)을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작용하는 진동 발생 장치(300)의 전자기력을 향상시켜,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연결 프레임(520) 각각은 복수의 표시면(100)의 폐루프 구조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연결 프레임(520a, 520b, 520c, 520d) 각각은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의 폐루프 구조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프레임(520a)은 제1 및 제2 보강 프레임(510a, 510b)을 연결할 수 있고, 제2 연결 프레임(520b)은 제2 및 제3 보강 프레임(510b, 510c)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연결 프레임(520a, 520b, 520c, 520d) 각각은 제1 내지 제3 벤딩부(110a, 110b, 110c) 및 연결부(12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연결 프레임(520)은 복수의 보강 프레임(510)을 복수의 표시면(100)의 폐루프 구조에 대응되게 연결시킴으로써, 복수의 보강 프레임(51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복수의 보강 프레임(5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복수의 보강 프레임(510) 및 복수의 연결 프레임(520)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음향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음향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실선으로 도시된 제1 구조(Structure 1)는 진동 지지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표시 장치에 해당하고, 실선으로 도시된 제2 구조(Structure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구조는 진동 지지 부재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구조의 표시 장치는 400Hz 이하의 저주파 영역(또는 저음 영역)에서 음압 레벨(SPL)이 감소된다. 이는 복수의 표시면 각각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의 지지력이 부족하여, 복수의 표시면 각각에서 진동 손실이 발생하였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음압 레벨(Lp)은 하기의 식 2와 같이, 기준 음압(pref)에 대한 음압(prms)의 비율을 로그 규모로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식 2]
Figure pat00002
그리고, 음압(prms)은 실효값(Root mean square)을 의미하며, 기준 음압(pref)은 음향의 주파수가 1kHz 일 때의 최소 가정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준 음압(pref)은 공기 중의 음파일 경우, 20u Pa에 해당할 수 있다(pref = 20u Pa).
그리고,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인 제2 구조는 400Hz 이하의 저주파 영역(또는 저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이 제1 구조의 표시 장치에 비하여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진동 지지 부재(400)를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표시면 각각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300)에 대한 전체적인 지지력을 보강하였으며, 진동 손실이 작게 발생하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제2 구조의 표시 장치는 저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이 제1 구조의 표시 장치보다 뚜렷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장치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진동하는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300)를 지지함으로써, 전제적인 지지력을 보완할 수 있으며,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진동을 분산시켜 저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본 출원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진동 지지 부재(400) 및 패널 지지 부재(500)를 포함하지 않고, 분리부(600) 및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700)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하우징(200), 진동 발생 장치(300), 분리부(600), 및 진동 지지 부재(7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표시면은 폐루프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표시 장치의 여러 방향으로 동일한 영상 또는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표시면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벤딩시켜 형성되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체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복수의 표시면을 갖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벤더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본 출원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공항 또는 기차역 등의 상업용(commercial) 표시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표시 장치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4개의 표시면(100a, 100b, 100c, 100d)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1 내지 제3 벤딩부(110a, 110b, 110c)와 연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복수의 표시면과 함께 표시 장치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 각각이 표시 장치의 전방, 좌방, 후방, 우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경우, 하우징(200)은 표시 장치의 상하 방향 각각을 향하는 제1 및 제2 하우징(210, 2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복수의 표시면을 갖는 경우, 진동 발생 장치(300)는 복수의 표시면 각각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300)는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 각각을 진동시키는 제1 내지 제4 진동 발생 장치(300a, 300b, 300c, 300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진동 발생 장치(300a)는 제1 표시면(100a)을 진동시켜 표시 장치의 전방으로 음향(SW)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내지 제4 진동 발생 장치(300b, 300c, 300d) 각각은 제2 내지 제4 표시면(100b, 100c, 100d) 각각을 진동시켜 표시 장치의 좌방, 후방, 및 우방 각각으로 음향(SW)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6 및 도 7은 하나의 표시면(100a) 마다 하나의 진동 발생 장치(300a)가 배치된 표시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표시면(100a)에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3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300)는 스피커(speaker)로서, 음향 액츄에이터(Sound Actuator), 음향 여진기(Sound Exciter), 또는 압전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기기일 수 있다.
분리부(600)는 복수의 표시면(100)으로 둘러싸이고, 복수의 표시면(100) 각각에 대응되는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분리부(600)는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에어 공간(AS1, AS2, AS3, AS4) 각각을 분리시킬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 각각과 분리부(600)는 제1 내지 제4 에어 공간(AS1, AS2, AS3, AS4) 각각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진동 발생 장치(300a)에서 발생된 진동은 제1 에어 공간(AS1)에 전달될 수 있고, 제2 진동 발생 장치(300b)에서 발생된 진동은 제2 에어 공간(AS2)에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분리부(600)는 제1 에어 공간(AS1)의 진동이 제2 또는 제4 에어 공간(AS2, AS4)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부(600)는 제2 에어 공간(AS2)의 진동이 제1 또는 제3 에어 공간(AS1, AS3)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부(600)는 제1 에어 공간(AS1)의 진동을 제1 표시면(100a)에 집중시킬 수 있고, 제2 에어 공간(AS2)의 진동을 제2 표시면(100b)에 집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분리부(600)는 제1 내지 제4 진동 발생 장치(300a, 300b, 300c, 300d) 각각에서 발생된 진동의 손실과 음향의 간섭을 줄이거나 최소화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 각각의 음향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분리부(600)는 예를 들면, 배플(baffle) 또는 인클로저(enclosure)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리부(600)는 복수의 표시면(100) 각각의 진동이 인접한 표시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 각각의 진동은 분리부(600)에 의해 인접한 표시면에 전달되지 않고, 제1 내지 제4 진동 발생 장치(300a, 300b, 300c, 300d) 각각은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 각각을 독립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 각각을 독립적으로 진동시킴으로써, 복수의 표시면(100)의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영상의 현실감을 증대시키고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분리부(600)는 복수의 격벽(610) 및 복수의 지지 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격벽(610)은 복수의 표시면(100) 중 서로 인접한 표시면들 각각에 대응되는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고, 복수의 지지 부재(620)는 복수의 격벽(6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지지 부재(620) 각각은 복수의 표시면(100)의 폐루프 구조의 모서리들 각각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격벽(610) 각각은 복수의 표시면(100)의 폐루프 구조의 중앙으로부터 복수의 지지 부재(620) 각각을 향하여 연장됨으로써, 복수의 표시면(10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부(600)는 연결 부재(630) 및 중심축(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630)는 복수의 지지 부재(620) 각각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에 결합할 수 있고, 중심축(640)은 복수의 격벽(61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격벽(610) 각각은 복수의 지지 부재(620) 각각과 중심축(6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중심축(640)은 진동 발생 장치(300a, 300b, 300c, 300d )에 음향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을 인출할 수 있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분리부(600)는 제1 내지 제4 에어 공간(AS1, AS2, AS3, AS4)을 분리시키는 제1 내지 제4 격벽(610a, 610b, 610c, 610d)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지지 부재(620a, 620b, 620c, 620d) 각각은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의 폐루프 구조의 모서리들 각각에 배치될 수 있고, 중심축(640)은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의 폐루프 구조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격벽(610a, 610b, 610c, 610d) 각각은 제1 내지 제4 지지 부재(620a, 620b, 620c, 620d) 각각과 중심축(6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격벽(610a)은 제1 지지 부재(620a)와 중심축(64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에어 공간(AS1, AS2)을 분리시킬 수 있고, 제2 격벽(610b)은 제2 지지 부재(620b)와 중심축(640)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및 제3 에어 공간(AS2, AS3)을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에어 공간(AS1)은 제1 표시면(100a), 제1 및 제4 격벽(610a, 610d)으로 둘러싸이고, 제2 에어 공간(AS2)은 제2 표시면(100b), 제1 및 제2 격벽(610a, 610b)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부재(630)는 제1 지지 부재(620a)를 제1 및 제2 표시면(100a, 100b) 사이를 고정시킬 수 있고, 예를 들면, 1 및 제2 표시면(100a, 100b) 사이의 모서리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연결 부재630)는 제2 지지 부재(620b)를 제2 및 제3 표시면(100b, 100c) 사이를 고정시킬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 및 제2 표시면(100a, 100b) 사이의 모서리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격벽(610), 복수의 지지 부재(620), 연결 부재(630), 및 중심축(640)은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의 폐루프 구조 내에서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 내지 제4 에어 공간(AS1, AS2, AS3, AS4)을 분리시킬 수 있다.
복수의 지지 부재(620)는 복수의 표시면(100) 각각의 모서리들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4 지지 부재(620a, 620d)는 제1 표시면(100a)의 모서리들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지지 부재(620a, 620b)는 제2 표시면(100b)의 모서리들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부재(620)는 몰딩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리콘(silicon) 또는 고무(rubber)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복수의 지지 부재(620)는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 각각의 모서리들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격벽(610)과 상호 지지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진동 지지 부재(700)는 진동 발생 장치(300)와 분리부(600) 사이에 배치되어 진동 발생 장치(30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지지 부재(700)는 표시 장치의 주위의 모든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면(100) 각각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300)를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700) 각각은 복수의 격벽(600) 중 서로 인접한 격벽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700) 각각은 분리부(60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진동하는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300)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진동 지지 부재(700a, 700b, 700c, 700d) 각각은 분리부(6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진동 발생 장치(300a, 300b, 300c, 300d)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진동 지지 부재(700a, 700b, 700c, 700d) 각각은 복수의 격벽(600) 중 서로 인접한 격벽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진동 지지 부재(700a)는 제1 및 제4 격벽(610a, 610d) 사이에 고정되어 제1 진동 발생 장치(300a)를 지지할 수 있고, 제2 진동 지지 부재(700a)는 제1 및 제2 격벽(610a, 610b) 사이에 고정되어 제1 진동 발생 장치(300a)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진동 지지 부재(700a, 700b, 700c, 700d)는 분리부(600)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진동 지지 부재(700a)는 제1 격벽(610a)을 기준으로 제2 진동 지지 부재(700b)와 대칭되고, 중심축(640)을 기준으로 제3 진동 지지 부재(700c)와 대칭되며, 제4 격벽(610d)을 기준으로 제4 진동 지지 부재(700d)와 대칭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진동 지지 부재(700a, 700b, 700c, 700d)는 분리부(600)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됨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진동하는 제1 내지 제4 진동 발생 장치(300a, 300b, 300c, 300d)에 대한 지지력을 상호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진동 지지 부재(700a)는 제1 진동 발생 장치(300a)를 지지하면서 제1 진동 발생 장치(300a)에서 발생된 진동을 제2 내지 제4 진동 지지 부재(700b, 700c, 700d)에 분산시킬 수 있다. 제2 진동 지지 부재(700b)는 제2 진동 발생 장치(300b)를 지지하면서 제2 진동 발생 장치(300b)에서 발생된 진동을 제1, 제3, 및 제4 진동 지지 부재(700a, 700c, 700d)에 분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진동 지지 부재(700a)는 제1 진동 발생 장치(300a)를 지지함과 동시에, 제2 내지 제4 진동 지지 부재(700b, 700c, 700d)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진동 지지 부재(700b)는 제2 진동 발생 장치(300b)를 지지함과 동시에, 제1, 제3, 및 제4 진동 지지 부재(700a, 700c, 700d)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진동 지지 부재(700a, 700b, 700c, 700d) 각각은 분리부(600)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300) 각각에서 발생된 진동을 분산시킬 수 있고,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300) 각각에 대한 지지력을 상호 보완함으로써, 진동 손실을 최소화하여 음향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700) 각각은 대응되는 표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격벽(610) 각각은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700) 각각의 연장 방향과 어긋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진동 지지 부재(700a, 700b, 700c, 700d) 각각은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격벽(610a, 610b, 610c, 610d) 각각은 제1 내지 제4 표시면(100a, 100b, 100c, 100d)의 폐루프 구조의 중앙으로부터 제1 내지 제4 지지 부재(620a, 620b, 620c, 620d) 각각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격벽(610a, 610b, 610c, 610d) 각각은 제1 내지 제4 진동 지지 부재(700a, 700b, 700c, 700d) 각각의 연장 방향과 어긋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700)와 복수의 표시면(100)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700) 각각은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300) 각각에서 발생된 열을 분리부(60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진동 지지 부재(700a, 700b, 700c, 700d) 각각은 제1 내지 제4 진동 발생 장치(300a, 300b, 300c, 300d) 각각에서 발생된 열을 인접한 격벽들(61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진동 지지 부재(700a)는 제1 진동 발생 장치(300a)에서 발생된 열을 제1 및 제4 격벽(610a, 610d)에 전달할 수 있고, 제2 진동 지지 부재(700b)는 제2 진동 발생 장치(300b)에서 발생된 열을 제1 및 제2 격벽(610a, 610b)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진동 지지 부재(700a, 700b, 700c, 700d) 각각은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열을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복수의 격벽(610)에 전달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700)는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열을 분리부(600)에 전달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열이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음향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표시 장치에서, 음향 흡수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도 8의 표시 장치의 음향 흡수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음향 흡수 부재의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복수의 격벽(610) 각각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어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음향의 특정 주파수를 제어하는 음향 흡수 부재(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흡수 부재(800)는 제1 에어 공간(AS1)을 마주하는 제1 격벽(610a)의 일면과 제1 에어 공간(AS1)을 마주하는 제4 격벽(610d)의 일면에 배치됨으로써, 제1 진동 발생 장치(300a)에서 발생된 음향의 특정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흡수 부재(800)는 제2 에어 공간(AS2)을 마주하는 제1 격벽(610a)의 일면과 제2 에어 공간(AS2)을 마주하는 제2 격벽(610b)의 일면에 배치됨으로써, 제2 진동 발생 장치(300b)에서 발생된 음향의 특정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흡수 부재(800)는 복수의 격벽(610) 각각의 일면마다 하나씩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의 격벽(610) 각각의 일면마다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흡수 부재(800)는 플레이트(810) 및 흡수 패드(8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810)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복수의 격벽(610) 각각의 적어도 일면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플레이트(810)는 접착 부재(AD)를 통해 복수의 격벽(610) 각각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될 수 있고, 접착 부재(AD)는 플레이트(810)의 가장자리와 격벽(6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810)는 접착 부재(AD)의 두께(D)만큼 격벽(610)의 일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플레이트(810)의 복수의 홀 각각의 지름(d)은 음향 흡수 부재(800)에 의해 제어되는 음향의 특정 주파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흡수 부재(800)의 흡음 계수(SAC, Sound Absorption Coefficient)는 하기의 식 3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식 3]
Figure pat00003
여기에서, α는 흡음 계수(SAC), r은 비저항 계수(Relative resistance), w는 음향의 주파수(w=2πf), m은 공기의 음향학적 질량(Relative acoustic mass), D는 플레이트(810)와 격벽(610) 사이의 거리, c는 음속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음향 흡수 부재(800)의 흡음 계수(α)는 비저항 계수(r)에 반비례한다.
그리고, 비저항 계수(r)는 하기의 식 4에 따라 결정되고, 공기의 음향학적 질량(m)은 하기의 식 5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식 4]
Figure pat00004
[식 5]
Figure pat00005
여기에서, d는 플레이트(810)의 홀의 지름, p는 플레이트(810)의 천공률(Perforation rate), ρ는 공기의 밀도(Air density), c는 음속(Speed of sound), μ는 공기 점성 계수(Air viscosity coefficient), t는 플레이트(810)의 두께 또는 홀의 높이, k는 천공 상수(Perforation constant)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저항 계수(r)는 플레이트(810)의 두께(t)와 비례하고 플레이트(810)의 홀의 지름(d)과 반비례한다. 그리고, 공기의 음향학적 질량(m)은 플레이트(810)의 두께(t)와 비례한다.
일 예에 따르면, 플레이트(810)의 홀의 지름(d)이 증가하면 비저항 계수(r)가 감소할 수 있고, 비저항 계수(r)가 감소하면 흡음 계수(α)가 증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장치는 음향 흡수 부재(800)의 흡음 계수(α)가 높을수록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특정 주파수의 음향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표시 장치는 음향 흡수 부재(800)의 흡음 계수(α)가 높을수록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특정 주파수의 음압 레벨을 더 많이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레이트(810)의 복수의 홀 각각의 지름(d)을 증가시켜, 특정 주파수 영역의 음압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플레이트(810)의 천공률(p)이 증가하면 공기가 홀 플레이트(810)의 홀을 더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고, 플레이트(810)의 홀을 통과하는 공기의 음향학적 질량(m)이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의 음향학적 질량(m)이 감소하면 흡음 계수(α)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레이트(810)의 복수의 홀 각각의 지름(d)을 증가시켜, 특정 주파수 영역의 음압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플레이트(810)의 두께(t)가 감소하면 공기가 플레이트(810)의 홀을 더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고, 비저항 계수(r)가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비저항 계수(r)가 감소하면 흡음 계수(α)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레이트(810)의 두께(t) 또는 홀의 높이를 감소시켜, 특정 주파수 영역의 음압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천공 상수(k)는 하기의 식 6에 따라 결정되고, 플레이트(810)의 천공률(p)은 하기의 식 7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식 6]
Figure pat00006
[식 7]
Figure pat00007
여기에서, b는 플레이트(810)의 복수의 홀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천공 상수(k)는 플레이트(810)의 홀의 지름(d)과 비례하고, 플레이트(810)의 천공률(p)은 플레이트(810)의 홀의 지름(d)의 제곱에 비례하고, 복수의 홀 사이의 간격(b)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천공 상수(k)와 천공률(p)은 비저항 계수(r)와 공기의 음향학적 질량(m)을 결정하는 요인이 될 수 있고, 따라서 음향 흡수 부재(800)의 흡음 계수(α)를 결정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식 3 내지 7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음향의 주파수(w), 플레이트(810)와 격벽(610) 사이의 거리(D), 공기의 밀도(ρ), 및 공기 점성 계수(μ)도 음향 흡수 부재(800)의 흡음 계수(α)를 결정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레이트(810)의 복수의 홀 각각의 지름(d)을 조정하거나 플레이트(810)의 두께(t)를 조정함으로써, 특정 주파수 영역의 음압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흡수 패드(820)는 복수의 격벽(610)을 마주하는 플레이트(8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흡수 패드(820)는 플레이트(810)의 복수의 홀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특정 주파수의 음향은 플레이트(810)의 홀과 흡수 패드(8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음압 레벨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흡수 패드(820)는 플레이트(810)의 복수의 홀과 중첩되도록 플레이트(810)의 일면에 배치됨으로써, 음향 흡수 부재(800)의 흡음 계수(α)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 패드(820)는 아크릴 폼(Acrylic foam), 폴리올레핀 폼(Polyolefin foam), 및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도 8의 표시 장치에서, 음향 흡수 부재의 흡음 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도 10의 가로축은 주파수(Frequency, Hz)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흡음 계수(SAC, Sound Absorption Coefficient)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음향 흡수 부재(800)는 플레이트(810)의 홀의 지름(d)을 조정하여 특정 주파수의 음향을 흡수할 수 있으며, 아래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음향 흡수 부재(800)는 플레이트(810)의 홀의 지름(d)이 0mm인 경우(d1)(또는 플레이트(810)가 홀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100Hz의 음향과 1400Hz의 음향을 가장 많이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100Hz의 음향 또는 1400Hz의 음향을 흡수하기 위하여, 홀을 구비하지 않은 플레이트(8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음향 흡수 부재(800)는 플레이트(810)의 홀의 지름(d)이 1mm인 경우(d2), 220Hz의 음향을 가장 많이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220Hz 부근의 음향을 흡수하기 위하여, 1mm의 지름을 갖는 홀을 구비한 플레이트(8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810)의 홀의 지름(d)이 1mm인 경우, 플레이트(810)가 홀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보다 흡음 계수(SAC)가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음향 흡수 부재(800)는 플레이트(810)의 홀의 지름(d)이 1.5mm인 경우(d3), 370Hz의 음향을 가장 많이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370Hz 부근의 음향을 흡수하기 위하여, 1.5mm의 지름을 갖는 홀을 구비한 플레이트(8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810)의 홀의 지름(d)이 1.5mm인 경우, 플레이트(810)의 홀의 지름(d)이 1mm인 경우보다 흡음 계수(SAC)가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음향 흡수 부재(800)는 플레이트(810)의 홀의 지름(d)이 2mm인 경우(d4), 480Hz의 음향을 가장 많이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480Hz 부근의 음향을 흡수하기 위하여, 2mm의 지름을 갖는 홀을 구비한 플레이트(81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레이트(810)의 복수의 홀 각각의 지름(d)을 조정함으로써, 특정 주파수 영역의 음압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예에 따른 음향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복수의 격벽(610) 각각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어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음향의 특정 주파수를 제어하는 음향 흡수 부재(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흡수 부재(800)는 제1 에어 공간(AS1)을 마주하는 제1 격벽(610a)의 일면과 제1 에어 공간(AS1)을 마주하는 제4 격벽(610d)의 일면에 배치됨으로써, 제1 진동 발생 장치(300a)에서 발생된 음향의 특정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흡수 부재(800)는 제2 에어 공간(AS2)을 마주하는 제1 격벽(610a)의 일면과 제2 에어 공간(AS2)을 마주하는 제2 격벽(610b)의 일면에 배치됨으로써, 제2 진동 발생 장치(300b)에서 발생된 음향의 특정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음향 흡수 부재(800)는 복수의 격벽(610) 각각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구조물(8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물(830)은 돌출 패턴일 수 있다. 여기에서, 구조물(830)의 밑면적과 높이는 음향 흡수의 필요량에 따라 가변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구조물(830)은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음향의 특정 주파수를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 장치(30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진동하여 발생된 음파는 에어 공간(AS) 내에서 방사상으로 퍼지면서 진행할 수 있다. 에어 공간(AS) 내의 음파가 구조물(830)에 도달하는 경우, 음파는 구조물(830)의 구조부들 사이에서 반사되면서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물(830)로부터 나오는 음파는 특정 주파수의 음압 레벨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음압 레벨이 감소되는 특정 주파수는 구조물(830)의 밑면적과 높이, 구조물(830)의 구조물들의 간격과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격벽(610) 각각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구조물(830)을 포함함으로써, 특정 주파수 영역의 음압 레벨을 제어하거나 원하지 않는 주파수 영역을 흡수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 유기 전계 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양자점 디스플레이 패널(quantum dot display panel), 및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의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진동 발생 장치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특정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출원의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층, 양자점 발광층, 및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는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영상전화기,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apparatus), 폴더블 기기(foldable apparatus), 롤러블 기기(rollable apparatus), 벤더블 기기(bendable apparatus), 플렉서블 기기(flexible apparatus), 커브드 기기(curved apparatus),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데스크탑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컴퓨터(netbook computer), 포터블컴퓨터(portable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비게이션, 차량용 네비게이션, 차량용 표시장치, 텔레비전, 월페이퍼(wall paper),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샤이니지 기기(signage apparatus), 상업용 장치(commercial apparatus), 및 가전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며, 폐루프 구조를 갖는 복수의 표시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복수의 표시면 각각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및 복수의 표시면으로 둘러싸이고,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각각을 지지하는 진동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지지 부재는 복수의 바를 갖는 지지 프레임, 및 복수의 바 각각과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각각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바는 인접한 바들이 절곡되어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바에 전달되는 진동을 복수의 바 전체에 분산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연결 브라켓 각각은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각각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지지 프레임에 전달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복수의 표시면으로 둘러싸이고 복수의 표시면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 지지 부재는 복수의 표시면 각각을 지지하는 복수의 보강 프레임, 및 복수의 보강 프레임 중 서로 인접한 보강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보강 프레임 각각은 복수의 표시면 각각의 가장자리와 중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연결 프레임 각각은 복수의 표시면의 폐루프 구조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복수의 표시면 각각에 대응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분리부, 복수의 표시면 각각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및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각각과 분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각각을 지지하는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부는 복수의 표시면 중 서로 인접한 표시면들 각각에 대응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복수의 격벽, 및 복수의 격벽 각각과 복수의 표시면의 모서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격벽 각각은 복수의 표시면의 중앙으로부터 폐루프 구조의 모서리들 각각으로 연장됨으로써, 복수의 표시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지지 부재 각각은 복수의 표시면 각각의 모서리들에 배치되어 복수의 표시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는 분리부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 각각은 복수의 격벽 중 서로 인접한 격벽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 각각은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각각에서 발생된 열을 복수의 격벽 중 서로 인접한 격벽들에 전달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 각각은 대응되는 표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격벽 각각은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 각각의 연장 방향과 어긋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복수의 격벽 각각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음향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흡수 부재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복수의 격벽 각각의 적어도 일면과 이격되게 배치된 플레이트, 및 복수의 격벽을 마주하는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된 흡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홀 각각의 지름은 음향 흡수 부재에 의해 제어되는 음향의 특정 주파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흡수 부재는 복수의 격벽 각각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패널 200: 하우징
300: 진동 발생 장치 400: 진동 지지 부재
410: 지지 프레임 420: 연결 브라켓
500: 패널 지지 부재 510: 보강 프레임
520: 연결 프레임 530: 연결 부재
600: 분리부 610: 격벽
620: 지지 부재 630: 연결 부재
640: 중심축 700: 진동 지지 부재
800: 음향 흡수 부재 810: 플레이트
820: 흡수 패드 830: 구조물

Claims (20)

  1. 서로 다른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며, 폐루프 구조를 갖는 복수의 표시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복수의 표시면 각각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복수의 표시면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각각을 지지하는 진동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지지 부재는,
    복수의 바를 갖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바 각각과 상기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각각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는 인접한 바들이 절곡되어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바에 전달되는 진동을 복수의 바 전체에 분산시키는, 표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브라켓 각각은 상기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각각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전달하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면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복수의 표시면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 부재는,
    상기 복수의 표시면 각각을 지지하는 복수의 보강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보강 프레임 중 서로 인접한 보강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강 프레임 각각은 상기 복수의 표시면 각각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는,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프레임 각각은 상기 복수의 표시면의 폐루프 구조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9. 서로 다른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복수의 표시면 각각에 대응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분리부;
    상기 복수의 표시면 각각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각각과 상기 분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각각을 지지하는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복수의 표시면 중 서로 인접한 표시면들 각각에 대응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복수의 격벽; 및
    상기 복수의 격벽 각각과 상기 복수의 표시면의 모서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벽 각각은 상기 복수의 표시면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폐루프 구조의 모서리들 각각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표시면을 지지하는, 표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 각각은 상기 복수의 표시면 각각의 모서리들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표시면을 지지하는, 표시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는 상기 분리부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 각각은 상기 복수의 격벽 중 서로 인접한 격벽들 사이에 배치된, 표시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 각각은 상기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 각각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복수의 격벽 중 서로 인접한 격벽들에 전달하는, 표시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 각각은 대응되는 표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격벽 각각은 상기 복수의 진동 지지 부재 각각의 연장 방향과 어긋난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시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벽 각각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음향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흡수 부재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격벽 각각의 적어도 일면과 이격되게 배치된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격벽을 마주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된 흡수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의 지름은 상기 음향 흡수 부재에 의해 제어되는 음향의 특정 주파수에 따라 결정되는, 표시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흡수 부재는 상기 복수의 격벽 각각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구조물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80122805A 2018-10-15 2018-10-15 표시 장치 KR102622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805A KR102622979B1 (ko) 2018-10-15 2018-10-15 표시 장치
US16/580,371 US11460922B2 (en) 2018-10-15 2019-09-24 Display apparatus
CN201910924823.6A CN111050254B (zh) 2018-10-15 2019-09-27 显示设备
CN202210268795.9A CN114531636A (zh) 2018-10-15 2019-09-27 显示设备
US17/894,985 US11829533B2 (en) 2018-10-15 2022-08-24 Display apparatus
US18/381,997 US20240045506A1 (en) 2018-10-15 2023-10-19 Display apparatus
KR1020240001620A KR20240007309A (ko) 2018-10-15 2024-01-04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805A KR102622979B1 (ko) 2018-10-15 2018-10-15 표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1620A Division KR20240007309A (ko) 2018-10-15 2024-01-04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336A true KR20200042336A (ko) 2020-04-23
KR102622979B1 KR102622979B1 (ko) 2024-01-08

Family

ID=701619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805A KR102622979B1 (ko) 2018-10-15 2018-10-15 표시 장치
KR1020240001620A KR20240007309A (ko) 2018-10-15 2024-01-04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1620A KR20240007309A (ko) 2018-10-15 2024-01-0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1460922B2 (ko)
KR (2) KR102622979B1 (ko)
CN (2) CN11453163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6610A (ja) * 2013-03-25 2014-10-0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憶媒体
WO2017115303A1 (en) * 2015-12-31 2017-07-06 Vstream Digital Media, Ltd Display arrangement utilizing internal display screen tower surrounded by external display screen sides
KR20170115124A (ko) * 2016-04-04 2017-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양면 표시 장치
KR20170135673A (ko) * 2016-05-30 2017-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03372A (ko) * 2016-06-30 2018-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1243A (en) 1991-06-23 1993-06-22 Walker James J Para-peripheral sports training center
EP2178307B1 (en) * 1998-01-16 2013-11-27 Sony Corporation Speaker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speaker apparatus enclosed therein
CN101738814B (zh) 2009-11-11 2013-09-18 广州奥翼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泳显示液及其制备方法
CN101739914A (zh) * 2010-01-23 2010-06-16 史洪海 旋转式多面广告灯塔
US20130271355A1 (en) * 2012-04-13 2013-10-17 Nokia Corporation Multi-segment wearable accessory
US20140241558A1 (en) * 2013-02-27 2014-08-28 Nokia Corporation Multiple Audio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CN103176304B (zh) 2013-03-27 2015-1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多面显示器
CN203165456U (zh) 2013-04-03 2013-08-28 简兆佳 一种改进的吸音器
KR101704517B1 (ko) *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KR101817102B1 (ko) * 2016-11-30 2018-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KR102259805B1 (ko) * 2016-11-30 2021-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206921386U (zh) 2017-07-20 2018-01-23 广州市柯卓电子科技有限公司 多面屏
KR101919454B1 (ko) * 2017-07-31 2018-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6610A (ja) * 2013-03-25 2014-10-0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憶媒体
WO2017115303A1 (en) * 2015-12-31 2017-07-06 Vstream Digital Media, Ltd Display arrangement utilizing internal display screen tower surrounded by external display screen sides
KR20170115124A (ko) * 2016-04-04 2017-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양면 표시 장치
KR20170135673A (ko) * 2016-05-30 2017-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03372A (ko) * 2016-06-30 2018-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979B1 (ko) 2024-01-08
CN111050254A (zh) 2020-04-21
US11460922B2 (en) 2022-10-04
CN111050254B (zh) 2022-04-08
CN114531636A (zh) 2022-05-24
US20220413616A1 (en) 2022-12-29
US11829533B2 (en) 2023-11-28
KR20240007309A (ko) 2024-01-16
US20200117273A1 (en) 2020-04-16
US20240045506A1 (en)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83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312125B1 (ko) 표시장치
JP6318219B2 (ja) パネル振動型音響発生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含む両面表示装置
KR102434276B1 (ko) 표시장치
KR20210120954A (ko) 표시장치
KR102356795B1 (ko) 표시장치
KR102608137B1 (ko) 표시 장치
US11675561B2 (en) Display apparatus
JP6871322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0006766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080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68341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2288653B1 (ko) 표시 장치
KR102622979B1 (ko) 표시 장치
JP2022081476A (ja) 表示装置
KR1023701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