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653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653B1
KR102288653B1 KR1020170096040A KR20170096040A KR102288653B1 KR 102288653 B1 KR102288653 B1 KR 102288653B1 KR 1020170096040 A KR1020170096040 A KR 1020170096040A KR 20170096040 A KR20170096040 A KR 20170096040A KR 102288653 B1 KR102288653 B1 KR 102288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display panel
vibration
sound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2680A (ko
Inventor
임동균
김기덕
윤승환
강정구
김선만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6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653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음향을 제1 방향으로 출력하고, 나머지 적어도 하나는 제2 음향을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출력함으로써, 지향성을 갖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현실감 및 몰입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 장치(Display Device)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전계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액정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과 상부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소 영역에 있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 상태가 조절되고 배열 상태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유기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소자로서 다른 표시 장치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 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으므로 널리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모두 화상을 표시하지만, 소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해야 한다. 표시 장치에 스피커를 설치할 경우,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소리의 진행 방향은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이 아닌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단 또는 상하단이 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 방향으로 소리가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소리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면으로 진행하므로, 벽 또는 바닥에서 반사되는 소리와의 간섭으로 인해서 음질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TV 등과 같은 세트 장치에 포함되는 스피커를 구성할 경우, 스피커가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트 장치의 디자인 및 공간 배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영상을 시청할 시 소리의 진행방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이 될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는 여러 실험을 하게 되었다. 여러 실험을 거쳐 소리의 진행방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표시 장치를 구현하였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방향으로 음향이 출력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을 제어하여 음향의 방향성을 제어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음향의 방향성을 제어하여 음향을 한 곳에 집중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현실감 및 몰입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역 외에 스피커가 별도로 배치되는 공간을 생략하여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음향을 제1 방향으로 출력하고, 나머지 적어도 하나는 제2 음향을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및 사운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각각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하여,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각각의 진동을 제어함으로써 음향의 출력 방향을 제어하는 진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기타 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소리의 진행방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표시 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을 제어함으로써 음향의 방향성을 제어하여 음향을 한 곳에 집중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는 음향 출력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별도로 스피커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스피커의 배치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세트 장치의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각각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하는 진동 제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방향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 간에 배치되는 파티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되는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사운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원 진동 및 파생 진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되는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사운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상쇄 진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되는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사운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보강 진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되는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사운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파생 진동과 상쇄 진동의 간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되는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사운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파생 진동 및 보강 진동의 간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되는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사운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파생 진동과 상쇄 진동, 파생 진동과 보강 진동의 간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협의의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display)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장치(equipment display),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device)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device)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의 표시 장치는 LCM, OLED 모듈 등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 및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응용제품 또는 최종소비자용 장치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모듈을 협의의 "표시 장치"로 표현하고, LCM,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 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협의의 표시 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발광(OLED)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 PCB를 포함하며, 세트 장치는 소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 PCB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예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의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예의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특정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태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기전계발광(OLED)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은 무기발광층(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예를 들어 나노사이즈의 물질층(nano-sized material layer) 또는 양자점(quantum do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금속판(metal plate)과 같은 후면(back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도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자동차(automobile)에서의 중앙통제패널(central control panel)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user interface module)로 차량(vehicle)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이 차량의 내부를 향하여 전파되도록 두 개의 앞좌석들의 탑승자들(occupants) 사이에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내에서의 오디오 경험은 차량 내부의 측면(interior sides)에서만 스피커를 갖는 것에 비하여 개선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예를 통해 본 출원의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음향 출력부(2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을 포함한다.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켜 제1 음향을 제1 방향으로 출력하고, 나머지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켜 제2 음향을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 각각은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 각각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의 진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은 제1 및 제2 음향 출력 모듈들(201, 2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출력 모듈(20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에 배치되고, 제2 음향 출력 모듈(20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 모듈(20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을 진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좌측 방향으로 제1 음향을 출력하고, 제2 음향 출력 모듈(20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을 진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우측 방향으로 제2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출력 모듈(20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좌측에 위치한 시청자에게만 제1 음향을 제공하고, 제2 음향 출력 모듈(20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우측에 위치한 시청자에게만 제2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음향 및 제2 음향을 동일한 음향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음향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은 차량의 네비게이션 사운드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음향은 차량의 엔터테인먼트 사운드, 뮤직 사운드 또는 DMB 사운드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부(200)는 4개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을 포함하고, 4개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부 좌측, 상부 우측, 하부 좌측 및 하부 우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부 좌측 영역에 배치된 음향 출력 모듈(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상에서 음원(예를 들어, 사람, 동물, 스피커를 포함하는 기계 또는 그 밖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물체)이 상부 좌측에 위치한 경우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부 우측 영역에 배치된 음향 출력 모듈(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상에서 음원이 상부 우측에 위치한 경우 구동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 좌측 또는 하부 우측에 배치된 음향 출력 모듈(200)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상의 음원의 위치와 대응하여 구동될 수 있다.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을 포함한다. 음향 출력 유닛(2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rear surface)의 일부에 배치된다. 음향 출력 유닛(210)은 사운드 신호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음향 출력 유닛(210)의 진동에 따라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유닛(210)은 전기 신호를 입력 받아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키는 액추에이터(Actuator), 익사이터(Exciter) 또는 가진기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은 서로 이격되며,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에 따라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상과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시키기 위하여 사운드 신호를 제공받거나 제공받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상과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시킬 음향 출력 유닛(210)을 선택하여, 해당 음향 출력 유닛(210)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의 음원에 대응하여 음향 출력 유닛(210)이 구동될 수 있으므로, 영상과 대응하는 음향 출력의 현실감이 향상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음향의 위치는 음향 출력 유닛(210)이 많이 배치될수록 디스플레이 패널(100) 영상의 음원과의 위치와 더 일치될 수 있고,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가 느끼는 현실감도 더 증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음향 출력 유닛(210)의 개수, 크기, 위치 등은 음향 특성을 최대한 향상시키면서 과도한 비용을 요구하지 않을 정도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 각각은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을 이격되게 둘러싸는 복수의 인클로저들(2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인클로저들(220) 각각은 그에 대응하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을 이격되게 둘러싸면서,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으로부터 진동을 제공받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인클로저(220)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은 하나의 인클로저(220)에 대응하는 하나의 음향 출력 유닛(210)의 진동을 전달 받아 진동함으로써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인클로저(220)는 음향 출력 유닛(210)의 진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된 복수의 인클로즈들(220) 각각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복수의 인클로저들(220) 각각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을 이격되게 둘러쌈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유닛(2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만을 독립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한 세트로 구성된 음향 출력 유닛(210) 및 인클로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만을 진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상과 음향 출력 유닛(210)를 통한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영상의 현실감을 증대시키고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부착되는 음향 출력 유닛(210)을 구성함으로써, 별도로 스피커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스피커의 배치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세트 장치의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각각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하는 진동 제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 각각이 제1 음향 또는 제2 음향을 출력하도록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 각각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하는 진동 제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제어부(300)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과 연결되어, 음향 출력이 필요한 음향 출력 유닛(210)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될 영상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복수의 영역들 각각에 배치된 음향 출력 유닛(210)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진동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상과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시킬 음향 출력 유닛(210)을 선택하고, 선택된 음향 출력 유닛(210)에서 영상과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사운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진동 제어부(300)는 사운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하여,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의 진동을 제어함으로써 음향의 출력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제어부(300)는 제어부 및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운드 데이터와 음향 위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운드 데이터는 음향의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하고, 음향 위치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상에서 음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사운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중 음향 위치 데이터에 해당되는 음향 출력 유닛(210)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상에서의 음원(예를 들어, 사람 또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기계)의 위치 정보(또는 음향 위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진동 제어부(300)는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구동이 필요한 음향 출력 유닛(210)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상에서 음원이 좌측에 위치한 경우, 진동 제어부(300)는 음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좌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유닛(210)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제어부(300)는 좌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유닛(210)에 주파수 입력을 제공하고, 우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유닛(210)에는 주파수 입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좌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유닛(2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을 진동시키고, 우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유닛(2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을 진동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영상에서의 음원이 직접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현실감을 느낄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방향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은 제1 및 제2 음향 출력 모듈들(201, 2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출력 모듈(20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에 배치되고, 제2 음향 출력 모듈(20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 모듈(20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을 진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좌측 방향으로 제1 음향을 출력하고, 제2 음향 출력 모듈(20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을 진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우측 방향으로 제2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출력 모듈(20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좌측에 위치한 시청자에게만 제1 음향을 제공하고, 제2 음향 출력 모듈(20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우측에 위치한 시청자에게만 제2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음향 및 제2 음향을 동일한 음향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음향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은 차량의 네비게이션 사운드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음향은 차량의 엔터테인먼트 사운드, 뮤직 사운드 또는 DMB 사운드에 해당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의 진동을 통해 주파수를 갖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향의 주파수는 음향 출력 유닛(210)의 단위 시간당 진동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각각의 영역으로부터 출력된 음향 주파수들은 서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에서 출력된 음향 주파수는 제2 영역에서 출력된 음향 주파수와 합성되어 보강 간섭 또는 상쇄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한 세트로 구성된 음향 출력 유닛(210) 및 인클로저(220)를 통해 구획될 수 있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에서 출력된 음향 주파수들 간에 보강 간섭이 발생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에서 출력된 음향 주파수들을 합한 주파수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에서 출력된 음향 주파수들 간에 상쇄 간섭이 발생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에서 출력된 음향 주파수들의 차이만큼의 주파수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음향 출력 유닛(210)의 진동을 전달받아 출력된 음향 주파수의 합성을 통해 가청 주파수 영역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청 주파수 영역은 20Hz ~ 20kHz일 수 있으나, 이는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값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가청 주파수 영역이 20Hz ~ 20kHz에 해당함을 전제로 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이 100kHz의 주파수를 갖는 음향을 출력하고, 제2 영역이 101kH의 주파수를 갖는 음향을 출력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음향 주파수들이 합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들 간에 보강 간섭이 발생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의 음향 주파수를 합한 주파수, 즉, 201kHz의 주파수를 갖는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들 간에 상쇄 간섭이 발생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들 각각의 음향 주파수의 차이만큼의 주파수, 즉, 1kHz의 주파수를 갖는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은 가청 주파수 영역 밖의 음향(100kHz, 101kHz)을 출력하고, 제1 및 제2 돌출부들(231, 232) 간에 보강 간섭이 발생할 때도 가청 주파수 영역 밖의 음향(201kHz)이 출력되지만, 제1 및 제2 돌출부들(231, 232) 간에 상쇄 간섭이 발생할 때는 가청 주파수 영역 내의 음향(1kHz)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을 통해 가청 주파수 영역 밖의 음향을 출력하더라도, 주파수 합성을 통해 가청 주파수 영역 내의 음향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출력되는 음향 주파수의 합성을 통해 지향성을 갖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제어부(300)는 표시 장치의 일 측에 위치한 시청자들에 가청 주파수 영역의 음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중 일부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진동 제어부(300)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중 일부만을 독립적으로 제공하여, 원하는 영역에 위치한 시청자들에게만 가청 주파수 영역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고, 그 밖의 영역에 위치한 시청자들에게는 가청 주파수 영역 밖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진동 제어부(300)를 통해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적어도 일부에서 출력되는 음향 주파수의 합성을 통해 지향성을 갖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음향을 제공하고, 음향의 방향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 간에 배치되는 파티션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 각각을 분리시키는 파티션(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티션(400)은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 각각을 분리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파티션(400)은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 각각이 진동할 때 발생되는 음향을 흡수하는 에어 갭(Air Gap) 또는 공간(Space)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파티션(400)은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배플(Baffle)에 해당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파티션(400)은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 각각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분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은 제1 및 제2 음향 출력 모듈들(201, 2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출력 모듈(20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에 배치되고, 제2 음향 출력 모듈(20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파티션(400)은 제1 및 제2 음향 출력 모듈들(201, 202) 각각의 진동을 감쇄 또는 흡수하므로, 제1 및 제2 음향 출력 모듈들(201, 202) 각각에서 발생된 음향이 서로의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400)은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200) 각각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음향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파티션(400)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파티션(400)은 일면테이프 또는 양면테이프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일정 정도 압축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되는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의 사운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원 진동 및 파생 진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진동 제어부(300)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과 연결되어, 음향 출력이 필요한 음향 출력 유닛(210)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될 영상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복수의 영역들 각각에 배치된 음향 출력 유닛(210)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진동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상과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시킬 음향 출력 유닛(210)을 선택하고, 선택된 음향 출력 유닛(210)에서 영상과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사운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한 세트로 구성된 음향 출력 유닛(210) 및 인클로저(220)를 통해 구획된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은 제1 음향 출력 유닛(211), 제2 음향 출력 유닛(213) 및 제3 음향 출력 유닛(215)을 포함하고, 복수의 인클로저들(220)은 제1 인클로저(221), 제2 인클로저(223) 및 제3 인클로저(22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은 제1 음향 출력 유닛(211) 및 제1 인클로저(221)가 부착되고, 제2 영역은 제2 음향 출력 유닛(213) 및 제2 인클로저(223)가 부착되며, 제3 영역은 제3 음향 출력 유닛(215) 및 제3 인클로저(225)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제2 및 제3 영역들(A1, A2, A3) 각각은 한 세트로 구성된 음향 출력 유닛(210) 및 인클로저(220)를 통해 구획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제어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운드 신호는 제1 신호(S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S1)는 제1 진폭과 제1 위상을 가질 수 있다. 진동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에 부착된 제1 음향 출력 유닛(211)에 제1 신호(S1)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S1)는 10[V]의 진폭을 갖는 사인파(Sine wave)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신호(S1)의 진폭은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고, 반드시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음향 출력 유닛(211)은 제1 신호(S1)를 제공 받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을 진동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에서 발생한 진동(V1)은 10의 크기(Amplitude)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진동의 크기(Amplitude)의 단위는 원 진동, 파생 진동, 상쇄 진동 및 보강 진동들 간의 비교를 위한 상대적인 것으로서, 절대적인 단위로 표현된 것이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에 부착되어 제1 신호(S1)를 수신한 제1 음향 출력 유닛(21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에 원 진동(Original Vibr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원 진동(Original Vibration)은 음향 출력 유닛(210)의 진동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직접 전달되는 진동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원 진동의 크기(Amplitude)는 사운드 신호의 진폭에 비례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에 원 진동이 발생하면, 제1 영역(A1)과 인접한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에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원 진동이 발생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따라 그와 인접한 영역에 전달되는 진동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파생 진동의 크기(Amplitude)는 원 진동의 크기(Amplitude)보다 작고, 원 진동이 발생한 영역과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인클로저(220)는 원 진동이 발생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발생하는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된 복수의 인클로즈들(220) 각각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복수의 인클로저들(220) 각각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을 이격되게 둘러쌈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유닛(2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만을 독립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출력 유닛(211)이 제1 신호(S1)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을 진동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에 전달되는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의 크기는 제1 내지 제3 인클로저들(221, 223, 235)에 의하여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인클로저(2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서 발생한 진동이 인접한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되는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사운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상쇄 진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진동 제어부(300)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과 연결되어, 음향 출력이 필요한 음향 출력 유닛(210)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한 세트로 구성된 음향 출력 유닛(210) 및 인클로저(220)를 통해 구획된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은 제1 음향 출력 유닛(211), 제2 음향 출력 유닛(213) 및 제3 음향 출력 유닛(215)을 포함하고, 복수의 인클로저들(220)은 제1 인클로저(221), 제2 인클로저(223) 및 제3 인클로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제어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운드 신호는 제2 신호(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신호(S2)는 제1 신호(S1)의 제1 진폭보다 작은 제2 진폭과 제1 신호(S1)의 제1 위상과 상이한 제2 위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신호(S2)는 3[V]의 진폭을 갖고, 제1 신호(S1)의 위상과 180도 차이나는 제2 위상을 갖는 사인파(Sine wave)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신호(S2)의 진폭은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고, 반드시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음향 출력 유닛(213)은 제2 신호(S2)를 제공 받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영역(A2)을 진동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영역(A2)에서 발생한 진동(V2)은 -3의 크기(Amplitude)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진동의 크기(Amplitude)의 단위는 원 진동, 파생 진동, 상쇄 진동 및 보강 진동들 간의 비교를 위한 상대적인 것으로서, 절대적인 단위로 표현된 것이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영역(A2)에 부착되어 제2 신호(S2)를 수신한 제2 음향 출력 유닛(213)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영역(A2)에 상쇄 진동(Offset Vibr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쇄 진동(Offset Vibration)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발생한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을 소멸시키기 위한 진동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신호(S2)의 진폭은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고, 반드시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동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발생한 파생 진동을 소멸시키기 위하여, 파생 진동이 발생한 영역에 제2 신호(S2)를 제공하여 상쇄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쇄 진동의 크기의 절대값은 파생 진동의 크기의 절대값과 같고, 상쇄 진동의 방향은 파생 진동의 방향과 반대될 수 있다. 또한, 상쇄 진동의 크기(Amplitude)는 제2 신호(S2)의 진폭에 비례할 수 있다.
도 7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되는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사운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보강 진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진동 제어부(300)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과 연결되어, 음향 출력이 필요한 음향 출력 유닛(210)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한 세트로 구성된 음향 출력 유닛(210) 및 인클로저(220)를 통해 구획된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은 제1 음향 출력 유닛(211), 제2 음향 출력 유닛(213) 및 제3 음향 출력 유닛(215)을 포함하고, 복수의 인클로저들(220)은 제1 인클로저(221), 제2 인클로저(223) 및 제3 인클로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제어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운드 신호는 제3 신호(S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신호(S3)는 제1 신호(S1)의 제1 진폭보다 작은 제3 진폭과 제1 신호(S1)의 제1 위상과 동일한 제3 위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신호(S3)는 7[V]의 진폭을 갖고, 제1 신호(S1)의 위상과 동일한 제3 위상을 갖는 사인파(Sine wave)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 신호(S3)의 진폭은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고, 반드시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음향 출력 유닛(215)은 제3 신호(S3)를 제공 받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3 영역(A3)을 진동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3 영역(A3)에서 발생한 진동(V3)은 7의 크기(Amplitude)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진동의 크기(Amplitude)의 단위는 원 진동, 파생 진동, 상쇄 진동 및 보강 진동들 간의 비교를 위한 상대적인 것으로서, 절대적인 단위로 표현된 것이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3 영역(A3)에 부착되어 제3 신호(S3)를 수신한 제3 음향 출력 유닛(215)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3 영역(A3)에 보강 진동(Reinforce Vibr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보강 진동(Reinforce Vibration)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발생한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과의 보강 간섭을 통해 원 진동(Original Vibration)과 동일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보강 진동의 크기(Amplitude)는 원 진동의 크기와 파생 진동의 크기의 차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발생한 파생 진동을 보강하기 위하여, 파생 진동이 발생한 영역에 제3 신호(S3)를 제공하여 보강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강 진동의 크기는 원 진동의 크기와 파생 진동의 크기의 차와 같고, 보강 진동의 방향은 파생 진동의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보강 진동의 크기(Amplitude)는 제3 신호(S3)의 진폭에 비례할 수 있다.
도 8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되는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사운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파생 진동과 상쇄 진동의 간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진동 제어부(300)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과 연결되어, 음향 출력이 필요한 음향 출력 유닛(210)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한 세트로 구성된 음향 출력 유닛(210) 및 인클로저(220)를 통해 구획된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은 제1 음향 출력 유닛(211), 제2 음향 출력 유닛(213) 및 제3 음향 출력 유닛(215)을 포함하고, 복수의 인클로저들(220)은 제1 인클로저(221), 제2 인클로저(223) 및 제3 인클로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제어부(300)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신호(S1)를 제공하고, 나머지 적어도 하나에 제2 신호(S2)를 제공할 수 있다. 진동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제1 신호(S1)를 제공하여 원 진동(Original Vibr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원 진동이 발생하면, 일부 영역과 인접한 다른 영역에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진동 제어부(300)는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이 발생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역에 제2 신호(S2)를 제공하여 상쇄 진동(Offset Vibr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쇄 진동(Offset Vibration)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발생한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을 소멸시키기 위한 진동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신호(S2)의 진폭은 파생 진동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고, 반드시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진동 제어부(300)는 제1 음향 출력 유닛(211)에 제1 신호(S1)를 제공하고, 제2 음향 출력 유닛(213)에 제2 신호(S2)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 유닛(211)이 제1 신호(S1)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 유닛(211)이 제1 신호(S1)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에 원 진동(Original Vibration)이 발생하고,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에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진동 제어부(300)는 제2 영역(A2)에 발생된 파생 진동을 소멸시키기 위하여 제2 음향 출력 유닛(213)에 제2 신호(S2)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 유닛(213)이 제2 신호(S2)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영역(A2)에 상쇄 진동(Offset Vibr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영역(A2)은 제1 신호(S1)로부터 발생한 파생 진동과 제2 신호(S2)로부터 발생한 상쇄 진동의 상쇄 간섭이 발생하여, 진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진동 제어부(300)는 제1 음향 출력 유닛(211)에 제1 신호(S1)를 제공하고, 제2 음향 출력 유닛(213)에 제2 신호(S2)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만을 진동시키고, 제2 영역(A2)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제어부(300)가 제1 음향 출력 유닛(211)에 제1 신호(S1)를 제공하고, 제2 음향 출력 유닛(213)에 제2 신호(S2)를 제공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3 영역(A3)은 파생 진동이 남아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3 영역(A3)의 진동을 소멸시키기 위하여 제3 음향 출력 유닛(215)에 제2 신호(S2)를 제공하거나, 제3 영역(A3)에 원 진동의 크기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제3 음향 출력 유닛(215)에 제3 신호(S3)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복수의 제1 영역들(A1)에서 원 진동을 기초로 발생된 음향의 주파수 합성을 통해 지향성을 갖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제어부(300)는 원 진동을 발생시키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배치된 음향 출력 유닛(210)에 제1 신호(S1)를 제공하고, 진동을 소멸시키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다른 영역에 배치된 음향 출력 유닛(210)에 제2 신호(S2)를 제공함으로써, 지향성을 갖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9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되는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b는 도 9a의 사운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파생 진동 및 보강 진동의 간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진동 제어부(300)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과 연결되어, 음향 출력이 필요한 음향 출력 유닛(210)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한 세트로 구성된 음향 출력 유닛(210) 및 인클로저(220)를 통해 구획된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은 제1 음향 출력 유닛(211), 제2 음향 출력 유닛(213) 및 제3 음향 출력 유닛(215)을 포함하고, 복수의 인클로저들(220)은 제1 인클로저(221), 제2 인클로저(223) 및 제3 인클로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제어부(300)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신호(S1)를 제공하고, 나머지 적어도 하나에 제3 신호(S3)를 제공할 수 있다. 진동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제1 신호(S1)를 제공하여 원 진동(Original Vibr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원 진동이 발생하면, 일부 영역과 인접한 다른 영역에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진동 제어부(300)는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이 발생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역에 제3 신호(S3)를 제공하여 보강 진동(Reinforce Vibr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보강 진동(Reinforce Vibration)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발생한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과의 보강 간섭을 통해 원 진동(Original Vibration)과 동일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발생한 파생 진동을 보강하기 위하여, 파생 진동이 발생한 영역에 제3 신호(S3)를 제공하여 보강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제어부(300)는 제1 음향 출력 유닛(211)에 제1 신호(S1)를 제공하고, 제3 음향 출력 유닛(215)에 제3 신호(S3)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 유닛(211)이 제1 신호(S1)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 유닛(211)이 제1 신호(S1)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에 원 진동(Original Vibration)이 발생하고,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에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진동 제어부(300)는 제3 영역(A3)에 발생된 파생 진동을 보강하기 위하여 제3 음향 출력 유닛(215)에 제3 신호(S3)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음향 출력 유닛(215)이 제3 신호(S3)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3 영역(A3)에 보강 진동(Reinforce Vibr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3 영역(A3)은 제1 신호(S1)로부터 발생한 파생 진동과 제3 신호(S3)로부터 발생한 상쇄 진동의 보강 간섭이 발생하여, 원 진동과 동일한 크기의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진동 제어부(300)는 제1 음향 출력 유닛(211)에 제1 신호(S1)를 제공하고, 제3 음향 출력 유닛(215)에 제3 신호(S3)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제3 영역(A3)을 진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진동 제어부(300)가 제1 음향 출력 유닛(211)에 제1 신호(S1)를 제공하고, 제3 음향 출력 유닛(215)에 제3 신호(S3)를 제공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영역(A2)은 파생 진동이 남아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영역(A2)의 진동을 소멸시키기 위하여 제2 음향 출력 유닛(213)에 제2 신호(S2)를 제공하거나, 제2 영역(A2)에 원 진동의 크기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제2 음향 출력 유닛(213)에 제3 신호(S3)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되는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b는 도 10a의 사운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파생 진동과 상쇄 진동, 파생 진동과 보강 진동의 간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진동 제어부(300)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과 연결되어, 음향 출력이 필요한 음향 출력 유닛(210)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한 세트로 구성된 음향 출력 유닛(210) 및 인클로저(220)를 통해 구획된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은 제1 음향 출력 유닛(211), 제2 음향 출력 유닛(213) 및 제3 음향 출력 유닛(215)을 포함하고, 복수의 인클로저들(220)은 제1 인클로저(221), 제2 인클로저(223) 및 제3 인클로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제어부(300)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신호(S1)를 제공하고, 다른 적어도 하나에 제2 신호(S2)를 제공하며, 나머지 적어도 하나에 제3 신호(S3)를 제공할 수 있다. 진동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제1 신호(S1)를 제공하여 원 진동(Original Vibr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원 진동이 발생하면, 일부 영역과 인접한 다른 영역에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진동 제어부(300)는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이 발생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역에 제2 신호(S2)를 제공하여 상쇄 진동(Offset Vibration)을 발생시키거나, 제3 신호(S3)를 제공하여 보강 진동(Reinforce Vibr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제어부(300)는 제1 음향 출력 유닛(211)에 제1 신호(S1)를 제공하고, 제2 음향 출력 유닛(213)에 제2 신호(S2)를 제공하며, 제3 음향 출력 유닛(215)에 제3 신호(S3)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 유닛(211)이 제1 신호(S1)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 유닛(211)이 제1 신호(S1)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에 원 진동(Original Vibration)이 발생하고,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에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진동 제어부(300)는 제2 영역(A2)에 발생된 파생 진동을 소멸시키기 위하여 제2 음향 출력 유닛(213)에 제2 신호(S2)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 유닛(213)이 제2 신호(S2)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영역(A2)에 상쇄 진동(Offset Vibr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영역(A2)은 제1 신호(S1)로부터 발생한 파생 진동과 제2 신호(S2)로부터 발생한 상쇄 진동의 상쇄 간섭이 발생하여, 진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진동 제어부(300)는 제3 영역(A3)에 발생된 파생 진동을 보강하기 위하여 제3 음향 출력 유닛(215)에 제3 신호(S3)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음향 출력 유닛(215)이 제3 신호(S3)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3 영역(A3)에 보강 진동(Reinforce Vibr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3 영역(A3)은 제1 신호(S1)로부터 발생한 파생 진동과 제3 신호(S3)로부터 발생한 상쇄 진동의 보강 간섭이 발생하여, 원 진동과 동일한 크기의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진동 제어부(300)는 제1 음향 출력 유닛(211)에 제1 신호(S1)를 제공하고, 제2 음향 출력 유닛(213)에 제2 신호(S2)를 제공하며, 제3 음향 출력 유닛(215)에 제3 신호(S3)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제3 영역(A3)만을 진동시키고, 제2 영역(A2)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복수의 제1 영역들(A1)에서 원 진동을 기초로 발생된 음향과 복수의 제3 영역들(A3)에서 파생 진동 및 보강 진동을 기초로 발생된 음향의 주파수 합성을 통해 지향성을 갖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제어부(300)는 원 진동을 발생시키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배치된 음향 출력 유닛(210)에 제1 신호(S1)를 제공하고, 진동을 소멸시키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다른 영역에 배치된 음향 출력 유닛(210)에 제2 신호(S2)를 제공하며, 진동을 보강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나머지 영역에 배치된 음향 출력 유닛(210)에 제3 신호(S3)를 제공함으로써, 지향성을 갖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발생하는 파생 진동을 상쇄하거나 보강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복수의 영역들 각각의 진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지향성을 갖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면을 기준으로 60도 내지 80도의 각도의 방향에 가청 영역의 음향을 출력하고, 0도 내지 60도, 80도 내지 180도의 각도의 방향에 비가청 영역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을 기준으로 60도 내지 80도의 각도의 방향에 가청 영역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에 제1 신호(S1), 제2 신호(S2) 또는 제3 신호(S3)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는 원 진동을 발생시키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배치된 음향 출력 유닛(210)에 제1 신호(S1)를 제공하고, 진동을 소멸시키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다른 영역에 배치된 음향 출력 유닛(210)에 제2 신호(S2)를 제공하며, 진동을 보강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나머지 영역에 배치된 음향 출력 유닛(210)에 제3 신호(S3)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복수의 제1 영역들(A1)에서 원 진동을 기초로 발생된 음향과 복수의 제3 영역들(A3)에서 파생 진동 및 보강 진동을 기초로 발생된 음향의 주파수 합성을 통해 지향성을 갖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면을 기준으로 100도 내지 120도의 각도의 방향에 가청 영역의 음향을 출력하고, 0도 내지 100도, 120도 내지 180도의 각도의 방향에 비가청 영역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을 기준으로 100도 내지 120도의 각도의 방향에 가청 영역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210) 각각에 제1 신호(S1), 제2 신호(S2) 또는 제3 신호(S3)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는 원 진동을 발생시키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 영역에 배치된 음향 출력 유닛(210)에 제1 신호(S1)를 제공하고, 진동을 소멸시키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다른 영역에 배치된 음향 출력 유닛(210)에 제2 신호(S2)를 제공하며, 진동을 보강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나머지 영역에 배치된 음향 출력 유닛(210)에 제3 신호(S3)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복수의 제1 영역들(A1)에서 원 진동을 기초로 발생된 음향과 복수의 제3 영역들(A3)에서 파생 진동 및 보강 진동을 기초로 발생된 음향의 주파수 합성을 통해 지향성을 갖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면을 기준으로 60도 내지 80도의 방향으로 제1 음향을 제공하고, 나머지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면을 기준으로 100도 내지 120도의 방향으로 제2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음향 및 제2 음향을 동일한 음향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음향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은 차량의 네비게이션 사운드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음향은 차량의 엔터테인먼트 사운드, 뮤직 사운드 또는 DMB 사운드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는 소리의 진행방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켜 표시 장치의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킴으로써, 표시 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을 제어함으로써 음향의 방향성을 제어하여 음향을 한 곳에 집중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는 음향 출력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별도로 스피커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스피커의 배치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세트 장치의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 장치,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 커브드(curved) 표시 장치, 웨어러블(wearable) 표시 장치, 벤더블(bendable) 표시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음향을 제1 방향으로 출력하고, 나머지 적어도 하나는 제2 음향을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복수의 음향 모듈들 각각이 제1 음향 또는 제2 음향을 출력하도록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 각각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하는 진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면을 기준으로 60도 내지 80도의 방향으로 제1 음향을 제공하고, 나머지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면을 기준으로 100도 내지 120도의 방향으로 제2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 각각은 사운드 신호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및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각각을 이격되게 둘러싸는 복수의 인클로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 각각을 분리시키는 파티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및 사운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각각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하여,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각각의 진동을 제어함으로써 음향의 출력 방향을 제어하는 진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운드 신호는 제1 진폭과 제1 위상을 갖는 제1 신호 및 제1 진폭보다 작은 제2 진폭과 제1 위상과 상이한 제2 위상을 갖는 제2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제어부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신호를 제공하고, 나머지 적어도 하나에 제2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 부착되어 제1 신호를 수신한 제1 음향 출력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 원 진동(Original Vibration)을 발생시키고,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에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영역에 부착되어 제2 신호를 수신한 제2 음향 출력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영역에 상쇄 진동(Offset Vibr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영역은 파생 진동 및 상쇄 진동의 상쇄 간섭을 통해 진동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제1 영역들에서의 원 진동을 기초로 발생된 음향의 주파수 합성을 통해 지향성을 갖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운드 신호는 제1 진폭보다 작은 제3 진폭과 제1 위상과 동일한 제3 위상을 갖는 제3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제어부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신호를 제공하고, 다른 적어도 하나에 제2 신호를 제공하며, 나머지 적어도 하나에 제3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 부착되어 제1 신호를 수신한 제1 음향 출력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 원 진동(Original Vibration)을 발생시키고,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 부착되어 제1 신호를 수신한 제1 음향 출력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 원 진동(Original Vibration)을 발생시키고,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영역은 파생 진동 및 상쇄 진동의 상쇄 간섭을 통해 진동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3 영역에 부착되어 제3 신호를 수신한 제3 음향 출력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3 영역에 보강 진동(Reinforce Vibr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3 영역은 파생 진동과 보강 진동의 보강 간섭을 통해 원 진동과 동일한 크기의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제1 영역들에서의 원 진동을 기초로 발생된 음향과 복수의 제3 영역들에서의 파생 진동 및 보강 진동을 기초로 발생된 음향의 주파수 합성을 통해 지향성을 갖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각각을 이격되게 둘러싸는 복수의 인클로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을 분리시키는 파티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패널
200: 음향 출력부, 음향 출력 모듈
210: 음향 출력 유닛
220: 인클로저
300: 진동 제어부
400: 파티션

Claims (23)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음향을 제1 방향으로 출력하고, 나머지 적어도 하나는 제2 음향을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 각각은,
    사운드 신호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및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각각을 이격되게 둘러싸는 복수의 인클로저들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복수의 인클로저들 각각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각각은 대응하는 인클로저에 의해 구획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 영역을 독립적으로 진동시키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향 모듈들 각각이 상기 제1 음향 또는 상기 제2 음향을 출력하도록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 각각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하는 진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면을 기준으로 60도 내지 80도의 방향으로 상기 제1 음향을 제공하고, 상기 나머지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면을 기준으로 100도 내지 120도의 방향으로 상기 제2 음향을 제공하는, 표시 장치.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모듈들 각각을 분리시키는 파티션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및
    사운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각각에 상기 사운드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각각의 진동을 제어함으로써 음향의 출력 방향을 제어하는 진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신호는,
    제1 진폭과 제1 위상을 갖는 제1 신호; 및
    상기 제1 진폭보다 작은 제2 진폭과 상기 제1 위상과 상이한 제2 위상을 갖는 제2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제1 음향 출력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 원 진동(Original Vibration)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에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을 발생시키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제2 음향 출력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영역에 상쇄 진동(Offset Vibration)을 발생시키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영역은 상기 파생 진동 및 상기 상쇄 진동의 상쇄 간섭을 통해 진동이 발생되지 않는, 표시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제1 영역들에서의 원 진동을 기초로 발생된 음향의 주파수 합성을 통해 지향성을 갖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음향을 출력하는, 표시 장치.
  13.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및
    사운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각각에 상기 사운드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각각의 진동을 제어함으로써 음향의 출력 방향을 제어하는 진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신호는,
    제1 진폭과 제1 위상을 갖는 제1 신호;
    상기 제1 진폭보다 작은 제2 진폭과 상기 제1 위상과 상이한 제2 위상을 갖는 제2 신호; 및
    상기 제1 진폭보다 작은 제3 진폭과 상기 제1 위상과 동일한 제3 위상을 갖는 제3 신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1 신호를 제공하고, 다른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2 신호를 제공하며, 나머지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3 신호를 제공하는, 표시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제1 음향 출력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 원 진동(Original Vibration)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 파생 진동(Derivative Vibration)을 발생시키는,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제2 음향 출력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영역에 상쇄 진동(Offset Vibration)을 발생시키는,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영역은 상기 파생 진동 및 상기 상쇄 진동의 상쇄 간섭을 통해 진동이 발생되지 않는, 표시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3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제3 신호를 수신한 제3 음향 출력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3 영역에 보강 진동(Reinforce Vibration)을 발생시키는,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3 영역은 상기 파생 진동과 상기 보강 진동의 보강 간섭을 통해 상기 원 진동과 동일한 크기의 진동이 발생되는, 표시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제1 영역들에서의 원 진동을 기초로 발생된 음향과 복수의 제3 영역들에서의 파생 진동 및 보강 진동을 기초로 발생된 음향의 주파수 합성을 통해 지향성을 갖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음향을 출력하는, 표시 장치.
  21. 제 9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각각을 이격되게 둘러싸는 복수의 인클로저들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2. 제 9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을 분리시키는 파티션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1 신호를 제공하고, 나머지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2 신호를 제공하는, 표시 장치.
KR1020170096040A 2017-07-28 2017-07-28 표시 장치 KR102288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040A KR102288653B1 (ko) 2017-07-28 2017-07-28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040A KR102288653B1 (ko) 2017-07-28 2017-07-28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680A KR20190012680A (ko) 2019-02-11
KR102288653B1 true KR102288653B1 (ko) 2021-08-10

Family

ID=6537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040A KR102288653B1 (ko) 2017-07-28 2017-07-2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051B1 (ko) * 2019-12-27 2022-02-17 한국광기술원 영상과의 몰입감을 증대시킨 음향 시스템
CN111583821B (zh) * 2020-05-18 2022-04-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装置
JP2023098116A (ja) * 2021-12-28 2023-07-10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496B1 (ko) 2016-11-04 2017-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914B1 (ko) * 2004-10-22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음향 출력장치과 영상/음향 출력장치
US20070202917A1 (en) * 2006-02-27 2007-08-30 Andrew Phelps Display and speaker module
KR101547639B1 (ko) * 2009-05-22 2015-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운드 포커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496B1 (ko) 2016-11-04 2017-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680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0360B1 (ko) 표시 장치
JP7304908B2 (ja) 装置
KR1025906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7241675B (zh) 面板振动型发声显示装置
KR102312125B1 (ko) 표시장치
KR102434276B1 (ko) 표시장치
KR102356795B1 (ko) 표시장치
KR102636676B1 (ko) 표시장치
KR102288653B1 (ko) 표시 장치
JP7104104B2 (ja) 表示装置
KR2024005571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5160B1 (ko) 표시장치
KR102310176B1 (ko) 표시 장치
KR20200068341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2622979B1 (ko) 표시 장치
KR102663221B1 (ko) 표시장치
KR1023701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