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043A -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043A
KR20200042043A KR1020180121743A KR20180121743A KR20200042043A KR 20200042043 A KR20200042043 A KR 20200042043A KR 1020180121743 A KR1020180121743 A KR 1020180121743A KR 20180121743 A KR20180121743 A KR 20180121743A KR 20200042043 A KR20200042043 A KR 20200042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tograph
unit
abnormality
monitoring syst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9434B1 (ko
Inventor
박철민
박영
이기원
신승권
이재범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21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4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1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bow-type collector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22Supporting means for the contact bow
    • B60L5/24Pantograp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12Recording operating variables ; Monitoring of operating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기철도 차량이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하부로 진입하는지 검출하는 차량 진입 검출부; 상기 전기철도 차량의 팬터그래프를 향하여 조명하는 조명부;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팬터그래프의 형상 및 집전판의 형상에 대한 이상을 검출하는 제1 이상 검출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캔 센서를 이용하여 팬터그래프의 형상을 스캔하는 제2 이상 검출부; 및 상기 전기철도 차량의 진입 시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여 조명하고, 상기 제1 이상 검출부에서 촬영된 영상과 형상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팬터그래프 형상을 비교하여 이상을 검출하며, 또한 상기 제2 이상 검출부에서 스캔한 스캔정보와 상기 형상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팬터그래프의 형상에 대응한 스캔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SYSTEM FOR MONITORING ABNORMAL STATE OF PANTOGRAPH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철도 차량의 고속 운행 속도에서도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터그래프(pantograph)는 전기철도 차량의 지붕에 장치한 마름모꼴로 접을 수 있게 짠 틀 위에 가선(架線)과 접촉하는 집전부를 갖춘 것인데 스프링 또는 압축공기의 힘으로 가선이 밀착하도록 밀어 올리고 있다.
상기 팬터그래프는 각종 집전기중에서 고속차량에 적합하다.
예컨대 싱글암 팬터그래프는 더블암 팬터그래프 마름모꼴 틀의 반쪽 부분만 있는 것을 의미하고, 더블암 팬터그래프보다 가볍고 공기 저항이 작아 일본, 유럽 등지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팬터그래프는 전기철도의 급전시스템에서 전기철도 차량에 필요한 전기를 전차선과의 접촉을 통해 차량에 전달하는 중요한 설비이다.
이러한 팬터그래프는 철도차량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차선과의 이선이 증가하여 아크와 충격으로 인한 집전판과 팬터그래프의 파손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동일한 전차선로 상에서 다양한 종류의 전기차량이 운행하고 있고, 특히 유럽의 경우 다른 나라의 철도차량이 운행함에 따라 팬터그래프의 이상으로 인한 전차선로의 사고 예방과 원인규명에 있어서,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를 판단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도 광역철도 일부구간에서는 운행사가 다른 복수의 전기철도 차량이 운행 중이며, 따라서 팬터그래프 이상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여 이에 따른 복구 및 원인 규명에 많은 어려움을 겪은 사례가 있다.
따라서 전기철도 차량의 고속 운행 중에도 이러한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41296호(2014.04.04. 공개, 팬터그래프 집전판의 손상위치 검측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전기철도 차량의 고속 운행 속도에서도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기철도 차량이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하부로 진입하는지 검출하는 차량 진입 검출부; 상기 전기철도 차량의 팬터그래프를 향하여 조명하는 조명부;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팬터그래프의 형상 및 집전판의 형상에 대한 이상을 검출하는 제1 이상 검출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캔 센서를 이용하여 팬터그래프의 형상을 스캔하는 제2 이상 검출부; 및 상기 전기철도 차량의 진입 시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여 조명하고, 상기 제1 이상 검출부에서 촬영된 영상과 형상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팬터그래프 형상을 비교하여 이상을 검출하며, 또한 상기 제2 이상 검출부에서 스캔한 스캔정보와 상기 형상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팬터그래프의 형상에 대응한 스캔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하부로 진입하는 전기철도 차량의 종류는, 상기 제어부가 통신부를 통해 관제센터의 서버로부터 해당 시간대에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하부로 진입하는 전기철도 차량의 종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기철도 차량의 팬터그래프 정보를 인지하며, 상기 전기철도 차량의 팬터그래프 정보는, 차량별 팬터그래프 형상 및 차량별 팬터그래프의 설치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상 검출부에서 촬영된 영상은 3차원(3D)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형상 데이터베이스부는, 차량별 팬터그래프 형상 및 차량별 팬터그래프의 설치 각도에 대한 정보로서, 영상 정보, 3차원 영상 정보, 스캔 정보, 및 기준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패턴 정보는, 상기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자체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별 팬터그래프의 이상이 검출될 경우, 이때 검출된 영상 정보와 스캔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관제센터의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팬터그래프에 대한 이력을 누적 저장하고, 이 누적 저장된 이력 정보를 바탕으로 레포트(report)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조명부, 제1 이상 검출부, 및 제2 이상 검출부에 대한 자체적인 고장을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진단하는 자체 고장 진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체 고장 진단부는, 조명부를 제어하여 정상적인 온오프가 되는지 체크하고, 상기 제1, 제2 이상 검출부를 통해 상기 기준 패턴에서 검출한 정보와 형상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기준 패턴 정보를 바탕으로 자체 고장을 진단하며, 또한 상기 제1 이상 검출부가 설치된 기구 각도를 지정된 각도로 조정한 후, 상기 제1 이상 검출부와 연동하여, 상기 기구 각도를 조정 후 촬영된 기준 패턴 영상을 상기 형상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기준 패턴 정보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여 자체 고장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자체적인 고장이 진단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관제센터의 서버에 고장 상태를 전송하고, 또한 경보부를 통해 외부에서 고장 상태나 고장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소리나 빛을 이용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이상 검출부가 설치되는 기구 부분의 각도를, 상기 전기철도 차량의 팬터그래프의 형상이나 설치 각도에 대응하여, 전동 모터 방식이나 유압 방식을 이용하여 조정하는 기구 각도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전기철도 차량이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하부로 진입하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전기철도 차량이 진입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조명부를 제어하여 진입 상태에 있는 차량의 팬터그래프에 조명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1 이상 검출부에 의해 상기 팬터그래프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1 이상 검출부에서 촬영된 상기 팬터그래프의 영상과 형상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팬터그래프 형상을 비교하여 이상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제2 이상 검출부에서 스캔한 상기 팬터그래프의 스캔정보와 상기 형상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팬터그래프의 형상에 대응한 스캔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철도 차량이 진입하는지 체크한 결과, 전기철도 차량이 진입 전 상태일 경우, 상기 제어부가 진입할 차량의 팬터그래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진입할 차량의 팬터그래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이상 검출부가 상기 팬터그래프의 형상과 설치 각도에 대응하여 이상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촬영 각도로 상기 제1 이상 검출부가 설치된 기구 각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전기철도 차량의 주행 시간대가 아닌 경우,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부가 조명부의 온오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1 이상 검출부가 설치된 기구 각도를 미리 지정된 각도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이상 검출부에 의해 획득한 기준 패턴의 영상이 정상인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2 이상 검출부에 의해 획득한 기준 패턴의 스캔 정보가 정상인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제2 이상 검출부를 통해 상기 기준 패턴에서 검출한 정보와 형상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기준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자체적인 고장을 진단하는 단계; 및 자체적인 고장을 진단한 결과를 자체 고장이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경보부를 통해 외부에서 고장 상태나 고장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소리나 빛을 이용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준 패턴 정보는, 상기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자체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하부의 레일, 지면, 지지물, 및 시설물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1, 제2 이상 검출부의 촬영 각도나 스캔 각도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되거나 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기철도 차량의 고속 운행 속도에서도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형상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자체 고장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기철도 차량이 운행하는 선로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하부에 전기철도 차량이 진입하면, 이 전기철도 차량의 팬터그래프에 대한 이상 상태를 분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차량 진입 검출부(110), 제1 이상 검출부(120), 제2 이상 검출부(130), 제어부(140), 조명부(150), 자체 고장 진단부(160), 통신부(170), 경보부(180), 및 형상 데이터베이스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진입 검출부(110)는, 전기철도 차량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하부로 진입하는지 검출한다.
이때 상기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하부로 진입하는 전기철도 차량의 종류는,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통신부(170)를 통해 관제센터의 서버(미도시)로부터 해당 시간대에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하부로 진입하는 전기철도 차량의 종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기철도 차량의 팬터그래프 정보(예 : 차량별 팬터그래프 형상 및 차량별 팬터그래프의 설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 수 있다.
상기 조명부(150)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하부로 진입하는 전기철도 차량의 팬터그래프를 향하여 조명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150)는 상기 전기철도 차량의 팬터그래프 전방이나 후방에서 조명을 실시하며, 차량의 전방 운전석을 향하여 조명되지 않도록 조명 온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상 검출부(12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팬터그래프의 형상 및 집전판 등의 형상에 대한 이상을 검출한다.
예컨대 상기 제1 이상 검출부(12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팬터그래프의 형상(예 : 구조물) 및 집전판 등을 집중 촬영한다. 상기 제1 이상 검출부(120)에서 촬영한 영상은 상기 제어부(140)에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 이상 검출부(120)에서 촬영된 영상과 상기 형상 데이터베이스부(190)에 저장된 팬터그래프 형상을 비교하여 이상을 검출한다.
또한 상기 제1 이상 검출부(120)에서 촬영한 영상은 3차원(3D) 영상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이상 검출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캔 센서를 이용하여 팬터그래프의 형상을 스캔한다.
예컨대 상기 제2 이상 검출부(130)는 빛을 이용하여 팬터그래프의 형상을 스캔하는 레이저(또는 라이다 등) 센서를 이용하여 팬터그래프의 이상 부분(예 : 깨짐, 비틀어짐, 마모, 부착 각도 등)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 이상 검출부(130)에서 스캔한 스캔정보는 상기 제어부(140)에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2 이상 검출부(130)에서 스캔한 스캔정보와 상기 형상 데이터베이스부(190)에 저장된 팬터그래프의 형상에 대응한 스캔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을 검출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상기 카메라는 적어도 2048*1088 의 해상도를 가지며, 상기 레이저는 200mW, 830nm, IR 타입이며, 상기 제어부는 8G 메모리, 512G SSD의 스펙을 가짐으로써 원활하게 시스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형상 데이터베이스부(190)는, 차량별 팬터그래프 형상 및 차량별 팬터그래프의 설치 각도에 대한 정보(예 : 영상 정보, 스캔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형상 데이터베이스부(190)에 저장되는 정보(예 : 영상 정보, 스캔 정보)는 3차원(3D)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전기철도 차량이 진입할 경우, 상기 조명부(150) 및 제1, 제2 이상 검출부(120, 130)를 제어하여 상기 전기철도 차량의 팬터그래프 정보(예 : 영상 정보, 스캔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팬터그래프 정보(예 : 영상 정보, 스캔 정보)와 상기 형상 데이터베이스부(190)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별 팬터그래프의 이상을 검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차량별 팬터그래프의 이상을 검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동일한 팬터그래프에 대한 이력을 누적 저장하고, 이 누적 저장된 이력 정보를 바탕으로 레포트(report)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차량별 팬터그래프의 이상이 검출될 경우, 이때 검출된 정보(예 : 영상 정보, 스캔 정보 등)를 상기 통신부(170)를 통해 관제센터의 서버(미도시)에 전송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40)는, 자체 고장 진단부(160)를 운영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자체적인 고장을 수시로(또는 주기적으로) 검출한다.
예컨대 상기 자체 고장 진단부(160)는 차량이 주행하지 않는 시간대를 이용하여, 조명부(150)를 제어하여 정상적인 온오프가 되는지 체크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하부(예 : 레일, 지면, 지지물, 시설물 등)의 상기 제1, 제2 이상 검출부(120, 130)의 검출 각도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준 패턴(미도시)을 부착(또는 도시)하고, 상기 제1, 제2 이상 검출부(120, 130)를 통해 상기 기준 패턴(미도시)에서 검출한 정보(예 : 영상 정보, 스캔 정보 등)와 상기 형상 데이터베이스부(190)에 저장된 정보(즉, 기준 정보)를 바탕으로 자체 고장을 검출한다.
상기 자체 고장 진단부(16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자체적인 고장이 검출될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통신부(170)를 통해 관제센터의 서버(미도시)에 고장 상태를 전송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경보부(180)를 통해 외부에서 고장 상태나 고장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소리나 빛을 이용하여 경보를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방수 및 방진 기능이 적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형상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2의 (a)와 (b)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형상을 촬영한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하부에는 전기철도 차량 상부에 부착된 팬터그래프 형상이 도시되어 있고, 그 상부에 설치된 본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하측으로 약간 꺾인 양측 날개 부분에 설치된 제1 이상 검출부(120)를 통해 팬터그래프의 좌우측을 촬영하고, 중심부에 설치된 제2 이상 검출부(130)를 통해서 하부로 레이저(예 : 라인 레이저)를 방사하여 팬터그래프의 집전판의 형상에 대한 이상 상태를 감지한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중심부의 양측으로는 적어도 둘 이상의 카메라가 장착되어 상기 제2 이상 검출부(130)의 레이저의 기능을 보완하거나, 상기 제1 이상 검출부(120) 이외에 추가적으로 팬터그래프의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상기 제어부(140)가 보다 상세한 영상을 이용해 팬터그래프의 이상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차량 진입 검출부(110)를 통해 전기철도 차량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하부로 진입하는지 체크한다(S101).
상기 체크(S101) 결과, 전기철도 차량이 진입 전 상태이면(S101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40)는 진입할 차량의 팬터그래프 정보(예 : 차량별 팬터그래프 형상 및 차량별 팬터그래프의 설치 각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102).
상기 팬터그래프 정보는,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통신부(170)를 통해 관제센터의 서버(미도시)로부터 해당 시간대에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진입할 차량의 팬터그래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이상 검출부(120)가 상기 팬터그래프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는 기구 각도로 조정한다(S103)(도 4의 200 참조).
상기와 같이 전기철도 차량이 진입하기 전, 상기 제1 이상 검출부(120)가 설치된 기구 각도를 상기 진입할 차량의 팬터그래프의 이상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기구 각도로 조정한다.
상기와 같이 차량별 팬터그래프에 대응하는 기구 각도로 조정된 상태에서 전기철도 차량이 진입할 경우(S101의 예), 상기 제어부(140)는 조명부(150)를 제어하여 진입 상태에 있는 차량의 팬터그래프에 조명한다(S104).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 이상 검출부(120)에 의해 팬터그래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부(140)에 전달한다(S105).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상 검출부(12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팬터그래프의 형상(예 : 구조물) 및 집전판 등을 집중 촬영하고, 상기 제1 이상 검출부(120)에서 촬영한 영상은 상기 제어부(140)에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 이상 검출부(120)에서 촬영된 영상과 형상 데이터베이스부(190)에 저장된 팬터그래프 형상을 비교하여 이상을 검출한다(S107).
이때 상기 제1 이상 검출부(120)에서 촬영한 영상은 3차원(3D) 영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제2 이상 검출부(130)에 의해 팬터그래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부(140)에 전달한다(S106).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이상 검출부(130)는 빛을 이용하여 팬터그래프의 형상을 스캔하는 레이저(또는 라이다 등) 센서를 이용하여 팬터그래프의 이상 부분(예 : 깨짐, 비틀어짐, 마모, 부착 각도 등)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2 이상 검출부(130)에서 스캔한 스캔정보와 상기 형상 데이터베이스부(190)에 저장된 팬터그래프의 형상에 대응한 스캔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을 검출한다(S107).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동일한 팬터그래프에 대한 이력을 누적 저장하고, 이 누적 저장된 이력 정보를 바탕으로 레포트(report)를 출력하며, 차량별 팬터그래프의 이상이 검출될 경우, 상기 팬터그래프의 이상 분석 결과(예 : 영상 정보, 스캔 정보 등)를 통신부(170)를 통해 관제센터의 서버(미도시)에 전송한다(S108).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기구 각도 조정부(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구 각도 조정부(200)는 상기 제1 이상 검출부(120)가 설치되는 기구 부분(일명 날개 부분)의 각도를 전동 모터(미도시) 방식이나 유압 방식을 이용하여 조정한다. 왜냐하면 팬터그래프의 형상은 차량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팬터그래프의 정확한 형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차량별 팬터그래프의 형상에 따라 상기 제1 이상 검출부(120)가 설치된 기구 부분(일명 날개 부분)의 각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때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하부로 진입하는 전기철도 차량의 종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기철도 차량의 팬터그래프 정보(예 : 차량별 팬터그래프 형상 및 차량별 팬터그래프의 설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차량별 팬터그래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차량이 진입하기 전에 미리 상기 기구 각도 조정부(200)를 조정하고, 상기 기구 각도(즉, 제1 이상 검출부가 설치된 기구 부분의 각도)가 조정된 상태에서 차량이 진입하면 이상을 검출한다.
한편 상기 자체 고장 진단부(160)는 차량이 주행하지 않는 시간대를 이용하여, 기구 각도 조정부(200)를 제어하여 원하는 각도로 조정되는지 체크한다.
이때 기구 각도가 원하는 각도로 조정되었는지 체크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 이상 검출부(120)와 연동하여, 기구 각도를 조정 후 촬영된 기준 패턴 영상을 분석하여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패턴은 상기 기구 각도에 대응하는 맞은 편 위치(예 : 레일, 지면, 지지물, 시설물 등)에 부착(또는 도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자체 고장 진단부(160)의 기능을 통합하여 기능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자체 고장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전기철도 차량의 주행 시간대를 체크하여, 현재 시간이 전기철도 차량의 주행 시간대가 아니면(S201의 아니오), 우선 조명부(150)의 온오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체크한다(S202).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제1 이상 검출부(120)가 설치된 기구 각도를 기구 각도 조정부(200)를 통해 미리 지정된 각도로 제어하고(S203), 상기 제1 이상 검출부(120)에 의해 획득한 기준 패턴의 영상이 정상인지 체크한다(S204).
이때 상기 기준 패턴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하부(예 : 레일, 지면, 지지물, 시설물 등)에 상기 제1, 제2 이상 검출부(120, 130)의 검출 각도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또는 도시)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제2 이상 검출부(130)에 의해 획득한 기준 패턴의 스캔 정보가 정상인지 체크한다(S205)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 제2 이상 검출부(120, 130)를 통해 상기 기준 패턴(미도시)에서 검출한 정보(예 : 영상 정보, 스캔 정보 등)와 형상 데이터베이스부(190)에 저장된 정보(즉, 기준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자체 고장을 진단한다(S206).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자체적인 고장 여부를 진단한 결과를 관제센터의 서버(미도시)에 전송하고(S207), 만약 자체 고장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경보부(180)를 통해 외부에서 고장 상태나 고장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소리나 빛을 이용하여 경보를 출력한다(S208).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기철도 차량의 고속 운행 속도에서도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차량 진입 검출부 120 : 제1 이상 검출부
130 : 제2 이상 검출부 140 : 제어부
150 : 조명부 160 : 자체 고장 진단부
170 : 통신부 180 : 경보부
190 : 형상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15)

  1. 전기철도 차량이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하부로 진입하는지 검출하는 차량 진입 검출부;
    상기 전기철도 차량의 팬터그래프를 향하여 조명하는 조명부;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팬터그래프의 형상 및 집전판의 형상에 대한 이상을 검출하는 제1 이상 검출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캔 센서를 이용하여 팬터그래프의 형상을 스캔하는 제2 이상 검출부; 및
    상기 전기철도 차량의 진입 시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여 조명하고, 상기 제1 이상 검출부에서 촬영된 영상과 형상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팬터그래프 형상을 비교하여 이상을 검출하며, 또한 상기 제2 이상 검출부에서 스캔한 스캔정보와 상기 형상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팬터그래프의 형상에 대응한 스캔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하부로 진입하는 전기철도 차량의 종류는,
    상기 제어부가 통신부를 통해 관제센터의 서버로부터 해당 시간대에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하부로 진입하는 전기철도 차량의 종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기철도 차량의 팬터그래프 정보를 인지하며,
    상기 전기철도 차량의 팬터그래프 정보는, 차량별 팬터그래프 형상 및 차량별 팬터그래프의 설치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상 검출부에서 촬영된 영상은 3차원(3D)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데이터베이스부는,
    차량별 팬터그래프 형상 및 차량별 팬터그래프의 설치 각도에 대한 정보로서, 영상 정보, 3차원 영상 정보, 스캔 정보, 및 기준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패턴 정보는,
    상기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자체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별 팬터그래프의 이상이 검출될 경우, 이때 검출된 영상 정보와 스캔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관제센터의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팬터그래프에 대한 이력을 누적 저장하고, 이 누적 저장된 이력 정보를 바탕으로 레포트(report)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조명부, 제1 이상 검출부, 및 제2 이상 검출부에 대한 자체적인 고장을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진단하는 자체 고장 진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고장 진단부는,
    조명부를 제어하여 정상적인 온오프가 되는지 체크하고,
    상기 제1, 제2 이상 검출부를 통해 상기 기준 패턴에서 검출한 정보와 형상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기준 패턴 정보를 바탕으로 자체 고장을 진단하며, 또한
    상기 제1 이상 검출부가 설치된 기구 각도를 지정된 각도로 조정한 후, 상기 제1 이상 검출부와 연동하여, 상기 기구 각도를 조정 후 촬영된 기준 패턴 영상을 상기 형상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기준 패턴 정보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여 자체 고장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자체적인 고장이 진단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관제센터의 서버에 고장 상태를 전송하고,
    또한 경보부를 통해 외부에서 고장 상태나 고장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소리나 빛을 이용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상 검출부가 설치되는 기구 부분의 각도를,
    상기 전기철도 차량의 팬터그래프의 형상이나 설치 각도에 대응하여,
    전동 모터 방식이나 유압 방식을 이용하여 조정하는 기구 각도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어부가 전기철도 차량이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하부로 진입하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전기철도 차량이 진입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조명부를 제어하여 진입 상태에 있는 차량의 팬터그래프에 조명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1 이상 검출부에 의해 상기 팬터그래프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1 이상 검출부에서 촬영된 상기 팬터그래프의 영상과 형상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팬터그래프 형상을 비교하여 이상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제2 이상 검출부에서 스캔한 상기 팬터그래프의 스캔정보와 상기 형상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팬터그래프의 형상에 대응한 스캔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철도 차량이 진입하는지 체크한 결과,
    전기철도 차량이 진입 전 상태일 경우,
    상기 제어부가 진입할 차량의 팬터그래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진입할 차량의 팬터그래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이상 검출부가 상기 팬터그래프의 형상과 설치 각도에 대응하여 이상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촬영 각도로 상기 제1 이상 검출부가 설치된 기구 각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전기철도 차량의 주행 시간대가 아닌 경우,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부가 조명부의 온오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1 이상 검출부가 설치된 기구 각도를 미리 지정된 각도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이상 검출부에 의해 획득한 기준 패턴의 영상이 정상인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2 이상 검출부에 의해 획득한 기준 패턴의 스캔 정보가 정상인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제2 이상 검출부를 통해 상기 기준 패턴에서 검출한 정보와 형상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기준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자체적인 고장을 진단하는 단계; 및
    자체적인 고장을 진단한 결과를 자체 고장이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경보부를 통해 외부에서 고장 상태나 고장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소리나 빛을 이용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패턴 정보는,
    상기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자체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팬터그래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하부의 레일, 지면, 지지물, 및 시설물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1, 제2 이상 검출부의 촬영 각도나 스캔 각도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되거나 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80121743A 2018-10-12 2018-10-12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9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743A KR102119434B1 (ko) 2018-10-12 2018-10-12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743A KR102119434B1 (ko) 2018-10-12 2018-10-12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043A true KR20200042043A (ko) 2020-04-23
KR102119434B1 KR102119434B1 (ko) 2020-06-09

Family

ID=70472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743A KR102119434B1 (ko) 2018-10-12 2018-10-12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4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459B1 (ko) * 2020-06-24 2021-04-20 윤대원 전차선 및 팬타그래프 스마트 고장 예측 시스템
KR20220113855A (ko) * 2021-02-05 2022-08-17 한국자동차연구원 판토그라프의 이상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3011902A1 (de) * 2021-08-03 2023-02-09 Siemens Mobility GmbH System zur erfassung eines verschleisszustandes eines stromabnehmers, stromabnehmer mit einem solchen system, und triebfahrzeug mit einem solchen stromabnehm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946B1 (ko) * 2021-03-26 2021-08-05 금양테크 주식회사 전기철도 차량 집전장치의 접촉력 측정 센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498Y1 (ko) * 2003-01-02 2003-04-21 (주)엔텍엔지니어링 3차원 영상을 이용한 열차 팬터그래프 습판 자동측정시스템
KR100694309B1 (ko) * 2006-06-28 2007-03-14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팬터그래프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058179B1 (ko) * 2011-04-05 2011-08-22 투아이시스(주) 팬터그래프 결함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498Y1 (ko) * 2003-01-02 2003-04-21 (주)엔텍엔지니어링 3차원 영상을 이용한 열차 팬터그래프 습판 자동측정시스템
KR100694309B1 (ko) * 2006-06-28 2007-03-14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팬터그래프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058179B1 (ko) * 2011-04-05 2011-08-22 투아이시스(주) 팬터그래프 결함 감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459B1 (ko) * 2020-06-24 2021-04-20 윤대원 전차선 및 팬타그래프 스마트 고장 예측 시스템
KR20220113855A (ko) * 2021-02-05 2022-08-17 한국자동차연구원 판토그라프의 이상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3011902A1 (de) * 2021-08-03 2023-02-09 Siemens Mobility GmbH System zur erfassung eines verschleisszustandes eines stromabnehmers, stromabnehmer mit einem solchen system, und triebfahrzeug mit einem solchen stromabneh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434B1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434B1 (ko) 팬터그래프의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93089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on of wayside rail equipment
EP3295158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video inspection of a pantograph along an overhead contact line
US7328871B2 (en) Railroad car coupler gap analyzer
CN111448472B (zh) 用于识别机动车的至少一个环境传感器的功能故障的方法和控制装置
KR100695348B1 (ko) 비매설형 레이저 센서 차량번호 자동인식장치 및 레이저 센서와 cctv를 이용한 터널 방재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766241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US20160198151A1 (en) Device for monitoring the proper functioning of a transmission path, particularly of a camera
KR100797932B1 (ko) 지하철출입문의 안전관리시스템
US112004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or error detection
CN104210500A (zh) 接触网悬挂状态检测监测装置及其工作方法
KR20190061348A (ko) 차량의 안전운전방법
EP2312269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inspecting a pantograph
JP2020082993A (ja) 車両用戸閉装置の異常検出方法
KR102136676B1 (ko) 철도역사 승강장 감시 및 경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319181A (zh) 用于铁路桥涵的防撞多级预警系统
KR102276634B1 (ko) 차상 설치식 전동차 팬터그래프 이상 검지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266015B1 (ko) 승강장 안전선 및 선로 감시 시스템
WO2018025329A1 (ja) 集電装置監視システム
CA2980808C (en) Stationary automated signaling equipment inspection system using lidar
KR20140133635A (ko) 철도 차량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944068B1 (ko) 승강장안전문 이중화 동작감시시스템
KR101784629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의 램프 고장진단방법
KR101762749B1 (ko)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
CN110849588B (zh) 自动检测车灯劣化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