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808A - 주사기 몸체 - Google Patents

주사기 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808A
KR20200041808A KR1020190126358A KR20190126358A KR20200041808A KR 20200041808 A KR20200041808 A KR 20200041808A KR 1020190126358 A KR1020190126358 A KR 1020190126358A KR 20190126358 A KR20190126358 A KR 20190126358A KR 20200041808 A KR20200041808 A KR 20200041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syringe body
fluid
finger flange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스타파 쿠에추에크
Original Assignee
쇼트 슈바이츠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트 슈바이츠 아게 filed Critical 쇼트 슈바이츠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041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61J7/0053Syringes, pipettes or oral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7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for contrast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5Syringe barre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proximal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7Specially designed finger grip means, e.g. for easy manipulation of the syringe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7Specially designed finger grip means, e.g. for easy manipulation of the syringe rod
    • A61M2005/3139Finger grips not integrally formed with the syringe barrel, e.g. using adapter with finger gr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뿔부를 갖는 제1 끝단면, 피스톤을 삽입하기 위한 개방된 제2 끝단면, 및 개방된 끝단면의 외주부 둘레에 배열되는 핑거 플랜지를 구비하는, 원통형 캐비티로서, 상기 핑거 플랜지는, 주사 프로세스 도중에 손가락이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원뿔부를 지향하는 표면 상의 미끄럼-방지 요소를 구비하는 것인, 원통형 캐비티를 포함하는, 투약용 또는 미용 주사기를 위한 주사기 몸체에, 그리고 투약용 또는 미용을 위한 적용 또는 투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사기 몸체{SYRINGE BODY}
본 발명은, 원뿔부를 갖는 제1 끝단면, 피스톤을 삽입하기 위한 개방된 제2 끝단면, 및 개방된 끝단면의 외주부 둘레에 배열되는 핑거 플랜지를 구비하는, 원통형 캐비티로서, 상기 핑거 플랜지는, 주사 프로세스 도중에 손가락이 미끄러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원뿔부를 지향하는 표면 상의 미끄럼-방지 요소를 구비하는 것인, 원통형 캐비티를 포함하는, 투약용 또는 미용 주사기를 위한 주사기 몸체에, 그리고 투약용 또는 미용을 위한 적용 또는 투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사기는, (본 개시의 범위 이내의, 일반적으로 줄여서 유체로도 또한 지칭되는, 주사제로 공지되는) 액체 또는 유체 약물 또는 화장품을 투여(주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 도구를 지칭한다. 주사기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캐비티를 갖는 주사기 몸체 및 그 내부에서 이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자체에 배출관(cannula) 또는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스크루 나사를 선택적으로 갖는, 원뿔부가, 실린더의 하나의 끝단면 상에 제공된다. 반대 측부, 즉 실린더의 다른 끝단면 상에서, 실린더는, 개방되며, 따라서 피스톤이 이러한 측부에서 도입되고, 이러한 피스톤은, 주사기를 로딩하기 위해, 즉 피스톤을 당겨 냄에 의해 원뿔부를 통해 유체 약제 또는 화장품을 흡입하기 위해, 뿐만 아니라 약제 또는 화장품을 투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주사기는, 생산자에 의해, 미리 약제 또는 화장품으로 충전될 수 있으며, 특히, 적용 이전에 약제 또는 화장품으로 충전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도록, 멸균 상태에서 충전된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주사기 몸체들 및 이러한 몸체들을 포함하는 주사기들은, 인간 의학 분야에서뿐만 아니라 수의학 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원통형 중공 몸체로부터 유체 약제 또는 화장품을 투여하기 위해, 피스톤은, 내부로 압박되고, 따라서 내용물이 원뿔부를 통해 압박된다. 이러한 작업이 하나의 손으로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핑거 플랜지(finger flange)가 통상적으로, 개방된 끝단면 둘레에, 즉 피스톤이 그 내부로 도입되는 개구부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핑거 플랜지는, 피스톤 상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항하여 주사기 몸체를 유지하기 위한, 파지 옵션(gripping option)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주사기 몸체는, 핑거 플랜지 상에서 검지 손가락 및 중지 손가락에 의해 유지되며, 그리고 엄지 손가락은, 피스톤을 주사기 몸체 내로 압박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사 프로세스 도중에 손가락이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히 약 20 ml 초과의 더 큰 주사기는 종종, 손가락 안착부(finger rest) 상에, 즉 원뿔부를 지향하는 핑거 플랜지의 표면 상에, 배열되는, 미끄럼-방지 요소를 구비한다. 종종, 접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정렬되는, 융기된 횡방향 웨브들(raised transverse webs)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문헌 US 4 994 012 B는, 방사선 차폐를 위해 텅스텐을 구비하는 상응하는 주사기 몸체, 및 그러한 몸체를 구비하는 주사기를 보여준다.
US 6 004 299 B에서, 종방향 리브들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이는 측방 손가락 지지 표면들을 한정하는, 유리로 구성되는 주사기 몸체를 갖는 주사기가, 개시된다.
US 2012/0041388 A는, 주사기 몸체를 위한 파지 장치를 보여주고, 그러한 장치는,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하나의 손의 손가락으로 거의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주사기 몸체가 그 내부로 삽입되어야만 하는, 그의 기능적 원리에 내재된, 파지 장치의 사이즈로 인해, 특정 주사기 몸체는, 주사기를 작동하는 특정 손가락들의 민감한 움직임이 더 이용 가능하지 않은 대신, 단지 전체 손의 움직임만이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취급하기 어려워진다. 더불어, 이후에 주사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사기 몸체에 파지 장치를 먼저 장착하는 것이, 번거로워 보인다.
또한, 문헌 US 2013/0178737 A는, 주사기 몸체를 위한 파지 장치를 도시하고, 그러한 장치와 더불어, 이후에 주사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사기 몸체에 파지 장치를 먼저 장착하는 것이, 번거로워 보인다.
예를 들어 종방향 리브들을 구비하는 설계들은, 주사기 몸체들이 내려 놓일 때 문제점들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즉 이상에 설명된 원리에 따라 주조된 주사기 몸체들이, 평면형 지지 표면 상에 플랜지 표면에 의해 놓일 때, 기울어지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안정적으로 기립하는, 이상에 언급된 일반적인 유형의 주사기 몸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0.8 ㎛ 내지 150 ㎛ 사이의 산술 평균 거칠기 값을 나타내는 표면을 갖는, 미끄럼-방지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특히 안정적인 기립이 플랜지 상에 놓일 때 주사기 몸체의 기울어짐을 방지함에 의해 달성될 것이라는, 고려에 기초하게 된다. 기울어짐은, 플랜지의 주조 도중에 뚜렷하게 생성되는, 불규칙적인 표면으로 인해 야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싱크 마크들(sink marks)이, 위에서 설명된 횡방향 웨브들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일종의 처짐(sagging)으로서 생성된다는 것이, 인지되었다. 따라서, 파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융기된 특징부들은, 반대 측면 상의 싱크 마크들로 그리고 그에 따라 불규칙적 표면으로 이어진다. 그러한 싱크 마크들이, 횡방향 웨브들의 형상으로 인한 소재의 국부적 축적에 의해 야기된다는 추가적인 발견에 기초하면, 그러한 소재 축적은, 회피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파지 및 미끄럼-방지 거동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 미끄럼-방지 요소의 국부적 소재 축적으로 이어지지 않는, 대안적인 설계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재료의 국부적 축적을 회피하는, 균일하게 거친 표면이,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파지를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정도의 표면 거칠기가, 보장되어야 한다. 0.8 ㎛ 초과의 평균 거칠기 값이 요구되는 미끄럼 저항을 보장하기에 적당하다는 것이,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바람직하게, 미끄럼-방지 요소는, 5 ㎛ 내지 100 ㎛ 사이의, 더욱 더 바람직하게, 10 ㎛ 내지 50 ㎛ 사이의, 산술 평균 거칠기 값을 나타내는, 표면의 형태로 제공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핑거 플랜지는, 개방된 끝단면과 함께, 평면을 한정하고, 즉 주사기의 피스톤을 도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평면형 핑거 플랜지의 평면 내에 놓인다.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기울어짐의 문제점은, 정확하게, 플랜지의 평면 상에 놓일 때 그러한 주사기 몸체들과 함께하는 문제점이고, 따라서 이상에 설명된 실시예의 미끄럼-방지 요소가, 특별한 이점을 제공한다.
더불어, 플랜지는 유리하게, 원통형 캐비티의 축을 포함하는 표면에 대한 거울 대칭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그러한 플랜지는, 피스톤을 위한 개구부의 양 측부 상에 2개의 대칭적인 연장부를 구비하고, 따라서 검지 손가락 및 중지 손가락을 위한, 적당한 접촉 표면이, 제공된다. 따라서, 미끄럼-방지 요소가, 양자 모두의 접촉 표면들 상에 제공된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라벨링 표면(labeling surface)이, 원뿔부로부터 멀어지게 지향하는 핑거 플랜지의 표면 상에 제공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이상에 설명된 실시예의 미끄럼-방지 요소가, 부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주사기 몸체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미끄럼-방지 요소는, 라벨링 표면의 후방면 상에서 빛을 발한다. 이상에 설명된 횡방향 웨브들은, 굴절 및 반사 효과로 인해 라벨링 표면의 가독성을 손상시킨다. 대조적으로, 이상에 설명된 거친 표면이, 라벨링의 가독성을 상당히 개선한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끄럼-방지 요소는, 60 % 초과의, 바람직하게 80 % 초과의, 핑거 플랜지의 표면을 커버한다. 결과적으로, 충분한 또는 특히 우수한 미끄럼 저항이, 보장된다.
더불어, 표면은 유리하게, 규칙적인 기하학적 텍스처(texture), 즉 반복적 패턴을, 또는 불규칙적인 무작위적 텍스처, 즉 무작위적 분초의 융기되고 함몰되는 지점들을 구비한다.
나아가, 미끄럼-방지 요소는 유리하게, 원통형 캐비티의 측방 표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달리 표현하면, 미끄럼-방지 요소의 거친 표면은, 주사기 몸체의 원통형 부분까지 연장되지 않는 대신, 원통형 부분의 바로 전방(예를 들어 1 mm 초과)에서 종결되며 그리고, 그 다음에 원통형 부분까지 연장되며 그리고 원통형 부분과 인접하는, 부드러운 표면으로 병합된다. 이는, 네스트(nest)가 주조 프로세스에서 부드러움 표면과 접촉하고, 따라서 입자 형성이 방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유리하게, 주사기 몸체, 즉 캐비티를 둘러싸는 벽, 원뿔부, 및 핑거 플랜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즉 이들은, 예를 들어, 직접적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생성된다. 특히, 사출 성형에 의해 생성되는 그러한 주사기 몸체들의 경우에, 도입부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싱크 마크들의 문제점은, 특히 명백해진다. 다른 한편, 유리 주사기들의 경우에, 유리로 이루어지는 비-원통형으로 대칭적인 핑거 플랜지들이 생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벽 둘레에 끼워지는 부착 가능한 별개의 핑거 플랜지들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을 것이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주사기 몸체는, 플라스틱 소재, 특히 사이클릭 올레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특히 그러한 주사기 몸체들은 유리하게, 일체형으로, 즉 하나의 부재로, 형성된다.
투약용 주사기가 유리하게,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은 주사기 몸체 및 원통형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이동 가능한 피스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이점들은 특히, 주사기의 핑거 플랜지 상의 미끄럼-방지 요소로서 0.8 ㎛ 초과의 산술 평균 거칠기 값을 갖는 거친 표면을 사용함에 의해, 한편으로 특히 양호한 파지가 달성되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반대편 측부에서 플랜지의 특히 부드러운 표면이 달성되어, 직립 상태로 놓일 때, 기울어짐이 방지된다는 점을 포함한다. 더불어, 그러한 표면은,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라벨링의 가독성을 개선한다.
실험실의 의학적 도는 임상적 일상에서, 상응하는 제제를 준비하고 적용할 때, 특히 이들을 주사할 때, 특정 사용자에게 그리고 또한 환자에게 높은 오염 위험을 갖는, 물질들이, 사용된다.
이들은 예를 들어, 특히 예를 들어, 주사기 몸체가 그의 취급 도중에 정확하게 위치설정되지 않거나, 또는 주사기 몸체가, 예를 들어 높은 점성의 유체를 적용할 때와 같이, 증가된 노력을 요구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것인, 예를 들어 주사기 몸체가 적절하게 취급되지 않을 때의 시점에, 의료진에게도 또한, 높은 손상 위험을 보유하는, 적용될 제제의 이온화 방사선 또는 생물학적 활성 물질을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주사기를 취급할 때, 주사기 몸체의 미끄럼 이탈이 발생하면, 그러한 물질이, 빠져나올 수 있으며 그리고, 원치 않는 방식으로, 환자뿐만 아니라 의료진과도 접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또한, 예를 들어 근육 내 저장소 전달의 경우에, 혈액 운반 혈관 또는 림프 운반 혈관과 같은 혈관에, 전달될 물질이 공급되면, 덜 정확하게 위치 설정된 주입이, 특정 환자에게 해로울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상황은, 예를 들어 보호 장갑이 앞서 언급된 취급 도중에 착용되는 경우에, 부가적으로 복잡해진다.
여기서, 0.8 ㎛ 내지 150 ㎛ 사이의 산술 중간 표면 파라미터를 갖도록 형성되는 자체의 표면을 갖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미끄럼-방지 요소로 인해, 이러한 취급이, 현저하게 개선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주사기 몸체를 갖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주사기는, 극도로 도움이 되는 것으로 입증된다.
한편으로, 미끄럼 이탈의 가능성이 크게 감소되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더욱 정확한 취급이, 예를 들어 실행될 주입을 위치 설정할 때, 상당히 개선된다.
이러한 이점들은 특히, 뒤따르는 것을 포함하는, 의학적 또는 미용적 방법에서, 본 발명의 주사기 몸체를 갖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사기를 사용할 때, 드러난다:
구강 수술에서 의약 제제를 주사 또는 투여하는 것, 특히 환자의 입 내부에 마취제를 주사하는 것, 및/또는
특히 눈꺼풀의 깜박거림 반사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또는 환자의 동공을 확대시키기 위해, 안과에서 의약 제제를 주사 또는 투여하는 것, 및/또는
특히 유체 역학적 프로세스를 추적하기 위한 마커 물질을 투여하기 위한, 신장학(nephrology)에서 의약 제제를 주사 또는 투여하는 것, 및/또는
바람직하게 종양 치료를 위한, 방사성 방출 동위원소를 투여하기 위해, 핵 의학에서 의약 제제를 주사 또는 투여하는 것, 및/또는
히알루론산 또는 보톡스계 제제와 같은 미용 제제를 주사 또는 투여하는 것.
이러한 이점들은, 예를 들어, 보호 장갑을 동반하는 가운데, 특히 DIN EN 455 "단 한번의 사용을 위한 의료용 장갑"에 따른 단 한번의 사용을 위한 보호 장갑을 동반하는 가운데, 투여되는 것인, 유체가, 주사 또는 투여되는 경우에, 더욱 더 두드러진다.
여기서, 유체가, 예를 들어,
유전자 변형 물질을 함유하는 환자-개인별 맞춤 제제를 포함하고; 및/또는
생물학적으로 또는 미생물학적으로 생성되거나 증강된 제제를 포함하며; 및/또는
환자-개인별 맞춤 종양 특정 마커 물질을 포함하는,
유체가, 주사 또는 투여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주사기 몸체를 갖는 주사기의 더욱 유리한 사용이, 보호 장갑을 동반하는 가운데, 특히 이온화 방사선 및 방사성 오염에 대한 보호 장갑을 동반하는 가운데, 특히 DIN EN 421 보호 장갑을 동반하는 가운데, 투여되는 것인, 유체가 주사 또는 투여되는 방법과 더불어 존재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유체가 이온화 방사선을 생성하는 것인, 유체가 특히 방사성의 환자-개인별 맞춤 종양 마커 물질 및/또는 방사성의 환자-개인별 맞춤 유전자 서열을 함유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것인, 유체가, 현저하게 증가된 보안성을 동반하는 가운데, 주사 또는 투여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상업적 측면이 추구되는 개선에 관해 우선시되는 것은 아니지만, 완전성을 위해, 앞서 언급된 제제들, 특히 환자-개인별 맞춤 제제들이, 제조 시, 매우 상당한 비용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용은 특히, 부정확하게 이루어진 적용이 제제에 대한 적어도 부분적인 손실로 이어지는 경우, 발생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그러한 경우들의 빈도 및 가능성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방법과 더불어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투약용 주사기의 개략적 도면이고;
도 2는 주사기의 핑거 플랜지 상의 미끄럼-방지 요소를 3-차원 도면으로 도시하며; 그리고
도 3은, 상이한 거친 표면들의 모습들을 보여주는, 개선된 미끄럼-방지 요소를 예시한다.
도면들에서, 유사한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에 의해 지시된다.
도 1은, 함께 투약용 주사기(4)를 한정하는, 피스톤(2)과 함께 주사기 몸체(1)의 개략적 도면을 도시한다. 주사기 몸체(1)는, 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이클릭 올레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주사기 몸체는, 원형 원통형 벽을 갖는 캐비티(6)를 구비한다. 캐비티는 본질적으로, 제1 끝단면(8)에서 폐쇄되지만, 캐비티(6) 내에 수용되는 액체는, 그곳에서 원뿔부(10)를 통해 밖으로 밀릴 수 있다. 이는, 피스톤(2)을 캐비티 내로 압박함에 의해 실행되고, 따라서, 원형이며 그리고 캐비티(6)의 벽 상에 맞물리는 피스톤 헤드(12)는, 액체에 압력을 가한다.
피스톤(2)을 캐비티(6) 내로 도입하기 위해, 캐비티는, 원통의 제2 끝단면 상에서 개방된다. 피스톤(2)을 압박하기 위해, 피스톤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해 작동되는, 피스톤 헤드(12) 반대편 측부 상의 압력 표면(14)을 구비한다. 반대-압력을 가하기 위해, 칼라 형상 핑거 플랜지(16)가, 원통형 캐비티(6)의 축과 수직인 표면을 갖는 개구부 둘레의 평면형 표면을 형성하도록 주조함에 의해, 캐비티(6)의 원형 개구부 둘레에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캐비티(6)의 벽, 원뿔부(10), 및 핑거 플랜지(16)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주사기 몸체(1)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사기 몸체(1)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벽 및 원뿔부(10)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핑거 플랜지(16)는, 별개의 부착 가능한 부품의 형태로 제공된다.
핑거 플랜지(16)의 설계는,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핑거 플랜지(16)의 구역에서의, 종래기술에 따른 주사기 몸체(1)의 3-차원 부분 절개도를 도시한다. 핑거 플랜지(16)는, 원통형 캐비티(6)의 축을 통과하는 평면에 대한 거울 대칭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각각의 대칭 측부들 상에서 사다리꼴 외부 윤곽을 갖는 가운데, 사다리꼴 형상의 긴 베이스부가 원통의 외경보다 단지 약간 더 크다.
결과적으로, 핑거 플랜지(16)의 2개의 날개가 한정되고, 그 중 하나는, 엄지 손가락이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피스톤(2)을 하방으로 압박하는 가운데,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에 의해 파지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중지 손가락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검지 손가락 및 중지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방지 요소들(18)이, 원뿔부(10)를 지향하는 핑거 플랜지(16)의 각 날개의 표면 상에 제공된다. 도 2에 따른 종래기술에서, 이러한 미끄럼-방지 요소들은, 날개의 사다리꼴의 베이스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3개의 명확하게 융기된 횡방향 웨브들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위치에서, 말하자면 주사기 몸체(1)가 핑거 플랜지(16)에 의해 기립할 때, 주사기 몸체가 안정적이지 않은 대신,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는, 핑거 플랜지의 횡방향 웨브들 반대편 측부 상에서의 처짐에 의해 야기된다. 부가적으로, 횡방향 웨브들은, 핑거 플랜지(16)의 반대편 측부 상에 배열되는 라벨링의 판독을 손상시킨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미끄럼-방지 요소들(1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고, 이는 도 2와 비교하여 그의 차이점들만을 단지 언급함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도면의 좌측 절반부에서, 도 3은 핑거 플랜지(16)를 평면도로 도시한다. 미끄럼-방지 요소들(18)의 횡방향 웨브들은, 제거되었다. 대신에, 표면은, 핑거 플랜지(16)의 80 %를 초과하여 차지하는, 해칭 영역에서 거칠어진다.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서, 10 내지 50 ㎛ 사이의 산술 평균 거칠기 값이, 여기에서, 제공된다. 이러한 측정 값을 결정하기 위해, 표면은, 규정된 측정 경로를 따라 스캔되며, 그리고 거친 표면의 모든 높이 및 깊이 차이가, 기록된다. 측정 경로를 따르는 이러한 거칠기 곡선의 정적분(definite integral)을 계산한 이후에, 그의 결과는 마지막으로, 산술 평균 거칠기 값을 획득하기 위해 측정 경로의 길이에 의해 나눗셈 된다.
거칠어진 표면은, 주조 금형의 적절한 설계에 의해 생성된다. 도면의 우측 절반부에서, 도 3은, 예를 들어, 표면의 혼란스러운 무작위적 거칠기(왼쪽)에 의한, 또는 규칙적인 기하학적 패턴(오른쪽)에 의한, 미끄럼-방지 요소의 거친 표면을 설계하는 예시적인 옵션들을 도시한다.
더불어, 도 3의 도면의 좌측 절반부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 요소(18)의 해칭된 끝단면이, 캐비티(6)의 외경에 도달하지 않는 대신, 부드러운 전이 영역이, 미끄럼-방지 요소(18)와 캐비티(6)의 측방 표면 사이에 남는다는 것이, 확인될 수 있다.
1: 주사기 몸체 2: 피스톤
4: 주사기 6: 캐비티
8: 끝단면 10: 원뿔부
12: 피스톤 헤드 14: 압력 표면
16: 핑거 플랜지 18: 미끄럼-방지 요소

Claims (16)

  1. 투약용 주사기(4)를 위한 주사기 몸체(1)로서,
    원통형 캐비티(6)로서,
    원뿔부(10)를 갖는 제1 끝단면(8);
    피스톤(2)을 삽입하기 위한 개방된 제2 끝단면; 및
    상기 개방된 끝단면의 외주부 둘레에 배열되는 핑거 플랜지(16)
    를 구비하는 것인, 원통형 캐비티(6)를 포함하고,
    상기 핑거 플랜지(16)는, 주사 프로세스 도중에 손가락이 미끄러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원뿔부(10)를 지향하는 표면 상의 미끄럼-방지 요소(18)를 구비하며;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18)는, 0.8 ㎛ 내지 150 ㎛ 사이의 산술 평균 거칠기 값을 나타내는, 표면의 형태인 것인, 주사기 몸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18)는, 5 ㎛ 내지 100 ㎛ 사이의, 바람직하게 10 ㎛ 내지 50 ㎛ 사이의, 산술 평균 거칠기 값을 나타내는, 표면의 형태인 것인, 주사기 몸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플랜지(16)는, 상기 개방된 끝단면과 함께 평면을 한정하는 것인, 주사기 몸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플랜지(16)는, 상기 원통형 캐비티의 축을 포함하는 표면에 대한 거울 대칭 형상을 갖는 것인, 주사기 몸체.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벨링 표면이, 상기 원뿔부(10)로부터 멀어지게 지향하는 상기 핑거 플랜지의 표면 상에 제공되는 것인, 주사기 몸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18)는, 상기 핑거 플랜지(16)의 표면을, 60 %를 초과하여, 바람직하게 80 %를 초과하여, 커버하는 것인, 주사기 몸체.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은, 규칙적인 기하학적 텍스처, 또는 불규칙적인 무작위적 텍스처를 구비하는 것인, 주사기 몸체.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18)는, 상기 원통형 캐비티(6)의 측방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인, 주사기 몸체.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인, 주사기 몸체.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소재로, 특히 사이클릭 올레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인, 주사기 몸체.
  11. 투약용 또는 미용 주사기(4)로서,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주사기 몸체(1) 및 원통형 캐비티(6) 내에 배치되는 이동 가능한 피스톤(2)을 포함하는 것인, 투약용 또는 미용 주사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구강 수술에서 의약 제제를 주사 또는 투여하는 것, 특히 환자의 입 내부에 마취제를 주사하는 것, 및/또는
    특히 눈꺼풀의 깜박거림 반사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또는 환자의 동공을 확대시키기 위해, 안과에서 의약 제제를 주사 또는 투여하는 것, 및/또는
    특히 유체 역학적 프로세스를 추적하기 위한 마커 물질을 투여하기 위한, 신장학(nephrology)에서 의약 제제를 주사 또는 투여하는 것, 및/또는
    바람직하게 종양 치료를 위한, 방사성 방출 동위원소를 투여하기 위해, 핵 의학에서 의약 제제를 주사 또는 투여하는 것, 및/또는
    히알루론산 또는 보톡스계 제제와 같은 미용 제제를 주사 또는 투여하는 것
    을 포함하는, 의학적 또는 미용적 방법에서의 사용을 위한 것인, 주사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특히 제 12항의 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상기 방법에 의해 유체가 주사 또는 투여되고, 유체는, 보호 장갑을 동반하는 가운데, 특히 DIN EN 455 "단 한번의 사용을 위한 의료용 장갑"에 따른 단 한번의 사용을 위한 보호 장갑을 동반하는 가운데, 투여되는 것인, 주사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특히 제 13항의 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상기 방법에 의해 유체가 주사 또는 투여되고,
    유체는,
    유전자 변형 물질을 함유하는 환자-개인별 맞춤 제제를 포함하고, 및/또는
    생물학적으로 또는 미생물학적으로 생성되거나 증강된 제제를 포함하며, 및/또는
    환자-개인별 맞춤 종양 특정 마커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주사기.
  15. 제 11항에 있어서,
    특히 제 12항의 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상기 방법에 의해 유체가 주사 또는 투여되고, 유체는, 보호 장갑을 동반하는 가운데, 특히 이온화 방사선 및 방사성 오염에 대한 보호 장갑을 동반하는 가운데, 특히 DIN EN 421에 따른 보호 장갑을 동반하는 가운데, 투여되는 것인, 주사기.
  16. 제 11항에 있어서,
    특히 제 15항의 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상기 방법에 의해 유체가 주사 또는 투여되고, 유체는, 이온화 방사선을 생성하며, 유체는 특히, 방사성의 환자-개인별 맞춤 종양 마커 물질 및/또는 방사성의 환자-개인별 맞춤 유전자 서열을 함유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것인, 주사기.
KR1020190126358A 2018-10-11 2019-10-11 주사기 몸체 KR202000418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8105835.5 2018-10-11
DE202018105835.5U DE202018105835U1 (de) 2018-10-11 2018-10-11 Spritzenkör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808A true KR20200041808A (ko) 2020-04-22

Family

ID=6445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358A KR20200041808A (ko) 2018-10-11 2019-10-11 주사기 몸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114084A1 (ko)
EP (1) EP3636302A1 (ko)
JP (1) JP2020058805A (ko)
KR (1) KR20200041808A (ko)
CN (1) CN111035832B (ko)
DE (1) DE202018105835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0052A1 (en) * 2019-06-28 2022-05-04 Becton Dickinson France A plastic flange for a medical container, medical container including this plastic flang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is medical container
WO2021214193A1 (de) * 2020-04-24 2021-10-28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Spritze, spritzenkörper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20240013150A (ko) * 2021-05-26 2024-01-30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개통성을 갖는 카테터 연장 세트 또는 모니터링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003Y2 (ja) 1988-05-09 1994-03-23 日本メジフィジックス株式会社 放射性物質注射装置
US4909788A (en) * 1988-12-14 1990-03-20 Georges Egolf Syringe with adjustable winged collar
JP3208525B2 (ja) * 1995-01-05 2001-09-17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ナトリウム溶液注射剤および注射用容器
US6966897B2 (en) * 2000-09-22 2005-11-22 Arte Corporation Combined container-syringe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HU0004635D0 (ko) * 2000-11-21 2001-02-28 Id Mandzsu Jozsef
US20040034323A1 (en) * 2002-08-19 2004-02-19 Wilfried Manthey Device for retaining a syringe and needle guard for same
DE102007056240A1 (de) * 2007-11-22 2009-05-28 Henke-Sass, Wolf Gmbh Spritze
SI2240222T1 (en) * 2008-01-11 2018-08-31 Ucb Biopharma Sprl SYSTEMS FOR MEDICATION OF PATIENTS WITH REVOMATOID ARTS
US20120041388A1 (en) 2010-08-11 2012-02-16 Farnam Companies, Inc. Syringe handle device
CA2813060C (en) 2010-10-01 2017-02-21 Bracco Imaging S.P.A. Finger-grip device for medical syringe or cartridge
CA2908822C (en) * 2013-03-07 2019-05-07 David B. Brothers Low waste syringe and needle assemblage
DE102014116396A1 (de) * 2014-11-11 2016-05-12 Schott Schweiz Ag Spritze mit Fingerflansch sowie Fingerflansch
CN108290012B (zh) * 2015-12-08 2022-04-08 贝克顿迪金森法国公司 用于医疗注射器的t形帽
KR101841557B1 (ko) * 2017-08-21 2018-03-23 (주)풍림파마텍 슬립방지구조를 갖는 주사기용 핑거그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35832A (zh) 2020-04-21
JP2020058805A (ja) 2020-04-16
US20200114084A1 (en) 2020-04-16
CN111035832B (zh) 2023-09-15
DE202018105835U1 (de) 2018-11-09
EP3636302A1 (de) 202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1808A (ko) 주사기 몸체
KR102557768B1 (ko) 재구성 가능 작용제로 미리 충진된 일회용 전달 장치
US20090124966A1 (en) Ampoule usable as a syringe and a syringe unit comprising the ampoule
BR112013027428B1 (pt) sistema guia de distribuição de dose e carregamento de dose duplo para seringa de injeção, kit que compreende tal sistema, e método para uso do sistema de distribuição de dose e carregamento de dose duplo
BR112014029795B1 (pt) Seringa oftálmica, pré-preenchida, terminalmente esterilizada e embalagem de seringa
MX2007000145A (es) Jeringa de reconstitucion sin penetracion en la piel.
JP7155003B2 (ja) シリンジ用バレル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DK2331045T3 (en) A device for administering drug
RU2721656C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шприца
RU2698216C2 (ru) Шток поршня шприца
US11878141B2 (en) Masking package for blind testing of materials stored in a syringe
JP2023071654A (ja) 医療用注射デバイスのパッケージング
KR20220043926A (ko) 의료 디바이스 패키징 및 관련 방법
KR20180072658A (ko) 일회용 전달 장치
US20180369485A1 (en) Carpule/Cartridge and Syringe Holder Device and System
US20220054764A1 (en) Medical Syringe
US20230364349A1 (en) Dose Setting Assembly for a Medical Injection Device
JP2022540205A (ja) 注射器先端キャップ
EP3723829A1 (en) Device for the application of injections
CZ33333U1 (cs) Oboustranné zařízení k aplikaci injekcí
Ghazilla et al. The hypodermic syringe performance based on the ISO 7886-1: 2017: A narrative review
JP4324287B2 (ja) トランスファーニードル
KR20180054114A (ko) 재사용이 불가능한 스마트 주사기
Krisdiyanto et al. The hypodermic syringe performance based on the ISO 7886-1: 2017
WO2022132111A1 (en) Pediatric oral in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