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188A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188A
KR20200041188A KR1020180121313A KR20180121313A KR20200041188A KR 20200041188 A KR20200041188 A KR 20200041188A KR 1020180121313 A KR1020180121313 A KR 1020180121313A KR 20180121313 A KR20180121313 A KR 20180121313A KR 20200041188 A KR20200041188 A KR 20200041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wer
axis direction
ground
mou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9847B1 (ko
Inventor
이현우
박수환
장현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1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847B1/ko
Priority to PCT/KR2019/013155 priority patent/WO2020076040A1/ko
Publication of KR20200041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컨택트부, 플러그 커넥터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컨택트부, 및 상기 제1컨택트부와 상기 제2컨택트부가 결합되는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컨택트부는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 및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부에는 상기 제1전원컨택트 및 상기 제1접지컨택트가 제1축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전원컨택트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전원접속부재, 및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전원실장부재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ntor}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tor)는 이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와의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에 결합된다. 이러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유에스비(USB, Universal Serial Bus) 규격을 만족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최근에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에 대해 고성능 및 소형화 구현을 갖출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적용 전자기기에 따라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고전류 인가를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고전류 인가에 따라 전류가 증대되면 온도 상승으로 인해 발열문제를 초래하게 되므로, 고전류 인가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컨택트부, 플러그 커넥터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컨택트부, 및 상기 제1컨택트부와 상기 제2컨택트부가 결합되는 절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부는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 및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에는 상기 제1전원컨택트 및 상기 제1접지컨택트가 제1축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전원컨택트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전원접속부재, 및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전원실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항의 크기를 낮추어서 허용전류를 증대시킨 컨택트를 포함하도록 구현됨으로써,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전류 인가를 통해 전자기기에 대해 급속 충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에 있어서 제1전원컨택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제1전원컨택트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6은 제1전원실장부재들 및 제1접지실장부재들이 동일높이에 배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도 7은 제1전원실장부재들 및 제1접지실장부재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8은 제1전원컨택트 및 제1전송컨택트의 두께와 길이를 비교한 평면도
도 9는 제1컨택트부가 갖는 컨택트들에서 기판에 실장된 부분이 동일높이에 배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도 10은 제1컨택트부가 갖는 컨택트들에서 기판에 실장된 부분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제2컨택트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제2전원컨택트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13은 제1전원실장부재 및 제2전원실장부재가 동일높이에 배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도 14는 제1전원실장부재 및 제2전원실장부재가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5는 제1전원실장부재 및 제2전원실장부재가 동일높이에 배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
도 16은 제1전원실장부재 및 제2전원실장부재가 동일높이에 배치되되,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방수부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I-I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9는 제1전원통과홈, 제1접지통과홈, 제2전원통과홈, 및 제2접지통과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0은 제1전원통과홈이 형성된 제1전원컨택트 및 제2전원통과홈이 형성된 제2전원컨택트가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중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1(a)는 도 19의 Ⅱ-Ⅱ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측단면도
도 21(b)는 도 19의 Ⅲ-Ⅲ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측단면도
도 22는 제1전원통과공, 제1접지통과공, 제2전원통과공, 및 제2접지통과공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3은 제1전원통과공이 형성된 제1전원컨택트 및 제2전원통과공이 형성된 제2전원컨택트가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중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4는 방수액이 제1전원통과공을 통과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8핀으로 구현되는 실시예에 대한 핀맵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8핀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1컨택트부 및 제2컨택트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8핀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1컨택트부 및 제2컨택트부가 갖는 각각의 실장부재들이 동일 높이에 배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적인 배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10핀으로 구현되는 실시예에 대한 핀맵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10핀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1컨택트부 및 제2컨택트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10핀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1컨택트부 및 제2컨택트부가 갖는 각각의 실장부재들이 동일 높이에 배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적인 배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14핀으로 구현되는 실시예에 대한 핀맵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14핀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1컨택트부 및 제2컨택트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14핀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1컨택트부 및 제2컨택트부가 갖는 각각의 실장부재들이 동일 높이에 배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적인 배면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16핀으로 구현되는 실시예에 대한 핀맵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16핀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1컨택트부 및 제2컨택트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16핀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1컨택트부 및 제2컨택트부가 갖는 각각의 실장부재들이 동일 높이에 배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적인 배면도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24핀으로 구현되는 실시예에 대한 핀맵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24핀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1컨택트부 및 제2컨택트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24핀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1컨택트부 및 제2컨택트부가 갖는 각각의 실장부재들이 동일 높이에 배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적인 배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 및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설치된다. 기판은 상기 전자기기에 설치된 것으로, 예컨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제1컨택트부(2), 제2컨택트부(3), 및 절연부(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컨택트부(2)는 플러그 커넥터 및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부(2)는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부(2)는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부(2)는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된 상태로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부(2)는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된 상태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부(2)는 복수개의 컨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부(2)는 컨택트들을 통해 기판과 플러그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부(2)는 상기 컨택트들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컨택트부(2)는 상기 컨택트들을 통해 전원공급, 접지, 데이터전송, 및 데이터인식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공급, 접지, 데이터전송, 및 데이터인식 등의 기능은 각각 상기 제1컨택트부(2)의 컨택트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부(2)의 컨택트들은 각각 전도성(傳導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부(2)의 컨택트들은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부(2)의 컨택트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부(2)는 제1전원컨택트(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는 전원공급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는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는 제1전원접속부재(211) 및 제1전원실장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는 상기 제1전원컨택트(21)의 일부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는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가 상기 절연부(4)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는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는 상기 제1전원컨택트(21)의 일부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에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를 통해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하나의 평면 상에서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축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는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가 상기 절연부(4)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는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가 기판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의 폭(212H)은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의 폭(211H)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폭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가 제1전원접속부재(211)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형성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가 갖는 저항의 크기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에 대한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를 전원(Power)을 인가하는데 사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휴대폰, 휴대용 단말기 등의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를 이용하여 해당 전자기기에 대해 급속 충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전자기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의 두께(212T)는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의 두께(211T)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두께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는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가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와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가 서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는 하나의 판재에 대한 한번의 가공공정을 통해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와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가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와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가 서로 간에 폭과 두께 모두가 상이한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를 제조하기 위한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를 제조하기 위한 가공공정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는 하나의 판재에 대한 한번의 프레스(Press) 가공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는 제1전원연결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연결부재(213)는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 및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전원연결부재(21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 및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연결부재(213)는 일측이 상기 제1접속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연결부재(213),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 및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연결부재(213)는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와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 및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와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전원연결부재(213)에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경사진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연결부재(213)는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와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 및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를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은 높이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와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전원연결부재(213)에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절곡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부(2)는 제1접지컨택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2)는 접지공급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2)는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2)는 제1접지접속부재(221) 및 제1접지실장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는 상기 제1접지컨택트(22)의 일부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2)는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가 상기 절연부(4)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는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는 상기 제1접지컨택트(22)의 일부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에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를 통해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2)는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가 상기 절연부(4)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2)는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가 기판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는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가 제1접지접속부재(221)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형성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가 갖는 저항의 크기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에 대한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는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지컨택트(22)는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가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와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가 서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22)는 하나의 판재에 대한 한번의 가공공정을 통해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와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가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와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가 서로 간에 폭과 두께 모두가 상이한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제1접지컨택트(22)를 제조하기 위한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접지컨택트(22)를 제조하기 위한 가공공정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접지컨택트(22)는 하나의 판재에 대한 한번의 프레스(Press) 가공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접지컨택트(22)는 제1접지연결부재(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223)는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22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223)는 일측이 상기 제1접속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223),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 및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223)는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와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와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223)에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경사진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223)는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와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를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은 높이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와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223)에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절곡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1전원컨택트(21) 및 상기 제1접지컨택트(22)는 각각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1, 21')들 및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2, 22')은 각각 상기 제1전원연결부재(213, 213')들 및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223, 22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 212')들 및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 222')들은 상기 제1전원연결부재(213, 213')들 및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223, 223')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 212')들 및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 222')들이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상태로 기판에 결합되므로, 기판에 결합된 후에도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 212')들 및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 222')들이 서로를 가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기판에 결합된 후에도,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 212')들 및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 222')들 모두에 대해 검사, 유지보수 등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제1컨택트부(2)는 제1전송컨택트(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송컨택트(23)는 데이터전송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전송컨택트(23)는 제1전송접속부재(231), 및 제1전송실장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송접속부재(231)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전송접속부재(231)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3)의 일부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제1전송접속부재(231)는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와 대략 일치하게 구현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는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3)의 일부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는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와 대략 일치하게 구현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의 폭(232H)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의 폭(212H)에 비해 더 얇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가 요구되는 상기 제1전원컨택트(21)와 고전류 인가가 요구되지 않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3)가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가 요구되지 않는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의 폭(232H)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가 기판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기판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 및 상기 제1전송접속부재(231)는 서로 간에 두께와 폭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는 상기 제1전송접속부재(231)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전송컨택트(23)는 하나의 판재에 대한 한번의 가공공정을 통해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와 상기 제1전송접속부재(231)가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와 상기 제1전송접속부재(231)가 서로 간에 폭과 두께 모두가 상이한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제1전송컨택트(23)를 제조하기 위한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전송컨택트(23)를 제조하기 위한 가공공정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전송컨택트(23)는 하나의 판재에 대한 한번의 프레스(Press) 가공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송컨택트(23)는 상기 제1전송연결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송연결부재(233)는 상기 제1전송접속부재(231) 및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1전송연결부재(233)는 상기 제1전원연결부재(213)와 대략 일치하게 구현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전송컨택트(23)의 길이(23L)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원컨택트(21)의 길이(21L)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송컨택트(23)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전원컨택트(21)가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접속면적을 상기 제1전송컨택트(23)가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접속면적에 비해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를 통한 고전류 인가 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3)에 비해 플러그 커넥터 쪽으로 더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전원컨택트(21)의 제1전원실장부재(212) 및 상기 제1전송컨택트(23)의 제1전송실장부재(23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부(2)는 제1인식컨택트(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인식컨택트(24)는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인식컨택트(24)는 제1인식접속부재(241), 제1인식실장부재(242), 및 제1인식연결부재(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인식접속부재(241), 상기 제1인식실장부재(242), 및 상기 제1인식연결부재(243)는 각각 상기 제1전송접속부재(231),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 및 상기 제1전송연결부재(233)와 대략 일치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1인식실장부재(242),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 및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 및 상기 제1인식실장부재(242)가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상태로 기판에 결합되므로, 기판에 결합된 후에도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 및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 및 상기 제1인식실장부재(242)가 서로를 가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기판에 결합된 후에도,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 및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 및 상기 제1인식실장부재(242) 모두에 대해 검사, 유지보수 등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인식실장부재(242),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 및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식실장부재(242),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 및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부(3)는 플러그 커넥터 및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부(3)는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된 상태로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된 상태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부(3)는 복수개의 컨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컨택트들을 통해 기판과 플러그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상기 컨택트들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상기 컨택트들을 통해 전원공급, 접지, 데이터전송, 및 데이터인식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공급, 접지, 데이터전송, 및 데이터인식 등의 기능은 각각 상기 제2컨택트부(3)의 컨택트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부(3)의 컨택트들은 각각 전도성(傳導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부(3)의 컨택트들은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부(3)의 컨택트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제2전원컨택트(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전원공급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제2전원접속부재(311) 및 제2전원실장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는 상기 제2전원컨택트(31)의 일부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가 상기 절연부(4)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는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는 상기 제2전원컨택트(31)의 일부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에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를 통해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가 상기 절연부(4)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가 기판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의 폭(312H)은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의 폭(311H)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가 제2전원접속부재(311)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형성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가 갖는 저항의 크기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에 대한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를 전원(Power)을 인가하는데 사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휴대폰, 휴대용 단말기 등의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를 이용하여 해당 전자기기에 대해 급속 충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전자기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의 두께(312T)는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의 두께(311T)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가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와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가 서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하나의 판재에 대한 한번의 가공공정을 통해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와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가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와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가 서로 간에 폭과 두께 모두가 상이한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를 제조하기 위한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를 제조하기 위한 가공공정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하나의 판재에 대한 한번의 프레스(Press) 가공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제2전원연결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연결부재(313)는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 및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전원연결부재(31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 및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연결부재(313)는 일측이 상기 제1접속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연결부재(313),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 및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연결부재(313)는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와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 및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와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2전원연결부재(313)에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경사진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연결부재(313)는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와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 및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를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은 높이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와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2전원연결부재(313)에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절곡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 및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가 서로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 및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가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상태로 기판에 결합되므로, 기판에 결합된 후에도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 및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가 서로를 가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기판에 결합된 후에도,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 및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 모두에 대해 검사, 유지보수 등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 및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가 서로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 경우, 상기 제2전원연결부재(313) 및 상기 제1전원연결부재(213)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가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에 비해 더 낮은 높이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2전원연결부재(313)는 상기 제1전원연결부재(213)에 비해 더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전원연결부재(313) 및 상기 제1전원연결부재(21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 및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높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기판에서 상기 제1컨택트부(2)와 상기 제2컨택트부(3)가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기판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 및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2전원연결부재(313) 및 상기 제1전원연결부재(21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전원컨택트(31)가 상기 제1전원컨택트(21)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전원연결부재(313)는 상기 제1전원연결부재(213)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 및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전원연결부재(313) 및 상기 제1전원연결부재(21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전원연결부재(313) 및 상기 제1전원연결부재(21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6를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제2접지컨택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2)는 접지공급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2)는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2)는 제2접지접속부재(321) 및 제2접지실장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는 상기 제2접지컨택트(32)의 일부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2)는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가 상기 절연부(4)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는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는 상기 제2접지컨택트(32)의 일부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에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를 통해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2)는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가 상기 절연부(4)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2)는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가 기판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는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가 제2접지접속부재(321)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형성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가 갖는 저항의 크기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에 대한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는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접지컨택트(32)는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가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와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가 서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32)는 하나의 판재에 대한 한번의 가공공정을 통해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와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가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와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가 서로 간에 폭과 두께 모두가 상이한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제2접지컨택트(32)를 제조하기 위한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접지컨택트(32)를 제조하기 위한 가공공정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접지컨택트(32)는 하나의 판재에 대한 한번의 프레스(Press) 가공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2)는 제2접지연결부재(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연결부재(323)는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 및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접지연결부재(32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 및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연결부재(323)는 일측이 상기 제1접속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연결부재(323),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 및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연결부재(323)는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와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 및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와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2접지연결부재(323)에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경사진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연결부재(323)는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와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 및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를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은 높이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와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2접지연결부재(323)에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절곡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 및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는 상기 제2접지연결부재(323) 및 상기 제2전원연결부재(313)를 이용하여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 및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가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상태로 기판에 결합되므로, 기판에 결합된 후에도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 및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가 서로를 가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기판에 결합된 후에도,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 및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모두에 대해 검사, 유지보수 등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제2컨택트부(3)는 제2전송컨택트(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송컨택트(33)는 데이터전송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전송컨택트(33)는 제2전송접속부재(331), 및 제2전송실장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송접속부재(331)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2전송접속부재(331)는 상기 제2전송컨택트(33)의 일부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제2전송접속부재(331)는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와 대략 일치하게 구현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전송실장부재(332)는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2전송실장부재(332)는 상기 제2전송컨택트(33)의 일부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제2전송실장부재(332)는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와 대략 일치하게 구현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상기 제2전송실장부재(33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에 비해 더 얇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가 요구되는 제2전원컨택트(31)와 고전류 인가가 요구되지 않는 제2전송컨택트(33)가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가 요구되지 않는 제2전송실장부재(332)의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2전송실장부재(332)가 기판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기판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전송실장부재(332) 및 상기 제2전송접속부재(331)는 서로 간에 두께와 폭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송실장부재(332)는 상기 제2전송접속부재(331)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전송컨택트(33)는 하나의 판재에 대한 한번의 가공공정을 통해 상기 제2전송실장부재(332)와 상기 제2전송접속부재(331)가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전송실장부재(332)와 상기 제2전송접속부재(331)가 서로 간에 폭과 두께 모두가 상이한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제2전송컨택트(33)를 제조하기 위한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전송컨택트(33)를 제조하기 위한 가공공정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전송컨택트(33)는 하나의 판재에 대한 한번의 프레스(Press) 가공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송컨택트(33)는 상기 제2전송연결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송연결부재(333)는 상기 제2전송접속부재(331) 및 상기 제2전송실장부재(33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2전송연결부재(333)는 상기 제2전원연결부재(313)와 대략 일치하게 구현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전송컨택트(3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전원컨택트(31)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전송컨택트(33)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전원컨택트(31)가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접속면적을 상기 제2전송컨택트(33)가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접속면적에 비해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를 통한 고전류 인가 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상기 제2전송컨택트(33)에 비해 플러그 커넥터 쪽으로 더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전원컨택트(31)의 제1전원실장부재(212)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33)의 제1전송실장부재(23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제2인식컨택트(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인식컨택트(34)는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인식컨택트(34)는 제2인식접속부재(341), 제2인식실장부재(342), 및 제2인식연결부재(3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인식접속부재(341), 상기 제2인식실장부재(342), 및 상기 제2인식연결부재(343)는 각각 상기 제1전송접속부재(231),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 및 상기 제1전송연결부재(233)와 대략 일치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인식실장부재(342), 상기 제2전송실장부재(332),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 및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 상기 제2전송실장부재(332), 및 상기 제2인식실장부재(342)가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상태로 기판에 결합되므로, 기판에 결합된 후에도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 및 상기 제2전송실장부재(332), 및 상기 제2인식실장부재(342)가 서로를 가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기판에 결합된 후에도,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 및 상기 제2전송실장부재(332), 및 상기 제2인식실장부재(342) 모두에 대해 검사, 유지보수 등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인식실장부재(342), 상기 제2전송실장부재(332),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 및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인식실장부재(342), 상기 제2전송실장부재(332),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 및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절연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절연부(4)는 쉘(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각각에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분이 상기 쉘(5)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5)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각각에서 기판에 실장된 부분이 상기 쉘(5)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5)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각각에서 기판에 실장된 부분이 상기 쉘(5)의 외측에서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각각에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분이 상기 쉘(5)의 내측에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 및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제1절연부재(41) 및 제2절연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재(41)와 상기 제2절연부재(4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재(41)는 상기 제2절연부재(42)에 대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재(41)는 상기 쉘(5)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5)에 결합된다.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상기 제1절연부재(41)에 결합된다. 상기 제1절연부재(41)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가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에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분은 상기 제1절연부재(4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에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분은 상기 제1절연부재(4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재(42)는 상기 제1절연부재(41)에 결합된다. 상기 제2절연부재(42)는 상기 쉘(5)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부(2)는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에서 기판에 실장된 부분이 상기 제2절연부재(4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절연부재(42)에 결합된다.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에서 기판에 실장된 부분이 상기 제2절연부재(4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절연부재(42)에 결합된다. 상기 제2절연부재(42)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가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재(42)는 상기 제1절연부재(41)에 대해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쉘(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5)은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에 접속되는 접속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쉘(5)은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는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도 2에 도시됨)으로 이동하여 상기 쉘(5)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USB Type-C 규격에 해당하는 경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중에서 일부 및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중에서 일부에 접속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는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도 2에 도시됨)으로 이동하여 상기 쉘(5)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쉘(5)은 상기 절연부(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쉘(5)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각각에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분이 상기 쉘(5)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각각에서 기판에 실장된 부분이 상기 쉘(5)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쉘(5)의 내부에 위치한 결합부재가 용접 등을 통해 상기 쉘(5)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쉘(5)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쉘(5)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쉘(5)은 상기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기판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및 상기 쉘(5)은 부분적으로 용접이 수행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방수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6)는 방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수부(6)는 상기 절연부(4)의 외면 및 상기 쉘(5)의 내면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써,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6)는 상기 제1절연부재(41) 및 상기 제2절연부재(42) 사이의 이격된 이격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수부(6)는 상기 이격공간(S)에 위치한 상기 제1컨택트부(2)의 외면 및 상기 제2컨택트부(3)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수부(6)는 상기 절연부(4)가 상기 쉘(5)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쉘(5)의 내측에 방수액이 도포된 후에 경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부(6)는 상기 쉘(5)의 내부에서 상기 제1절연부재(41)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절연부재(41) 및 상기 방수부(6)를 이용하여 상기 쉘(5)의 내부에 대해 이중으로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전자기기에 대한 종합적인 방수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6)는 다음과 같은 공정들을 통해 상기 쉘(5)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우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4)가 상기 쉘(5)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방수부(6)를 형성하기 위한 방수액을 상기 쉘(5)의 내부로 도포한다.
다음, 상기 쉘(5)의 내부에 도포된 방수액은, 상기 쉘(5)의 내부에서 유동하면서 상기 쉘(5)의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 방수액은 상기 제1절연부재(41)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한 부분에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쉘(5)의 내부에 방수액을 도포하는 공정은, 상기 쉘(5)의 내부로 방수액이 유입되는 부분이 상측을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수액은 중력에 의해 상기 쉘(5)의 내부에 채워지도록 유동할 수 있다.
다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액이 상기 쉘(5)의 내부에 채워지면, 방수액을 경화시킨다. 방수액이 경화됨에 따라, 방수액은 상기 방수부(6)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들을 거쳐, 상기 방수부(6)는 상기 쉘(5)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쉘(5)의 내면 및 상기 절연부(4)의 외면에 대한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9을 참고하면, 방수액이 상기 제1절연부재(41) 및 상기 제2절연부재(42) 사이의 이격공간(S)을 이동하는 유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는 제1전원통과홈(2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통과홈(21a)은 상기 방수부(6)를 형성하기 위한 방수액을 통과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전원통과홈(21a)은 방수액을 통과시킴으로써, 방수액이 상기 이격공간(S) 전부에 채워지도록 방수액의 유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원컨택트(21)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전원컨택트(21)에 비해 더 낮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원컨택트(21)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31)가 중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원통과홈(21a)이 없는 경우, 방수액이 상기 제1전원컨택트(21)에서 상기 제2전원컨택트(31) 쪽으로 유동하는데 상기 제1전원컨택트(21)가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격공간(S)에는 방수액이 채워지지 않은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원컨택트(21)에 상기 제1전원통과홈(21a)이 형성된 경우, 방수액은 상기 제1전원통과홈(21a)을 통해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를 통과하여 상기 제2전원컨택트(31) 쪽으로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이격공간(S)에서 방수액이 채워지지 않은 부분의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이격공간(S)에서 방수액이 채워진 부분의 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6)를 이용한 방수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전원통과홈(21a)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원컨택트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에는 상기 제1전원통과홈(21a)이 사각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전원통과홈(21a)은 방수액을 통과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반원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전원컨택트(21)가 제1전원통과홈(21a)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제2전원통과홈(3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통과홈(31a)은 방수액을 통과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액이 상기 제2전원통과홈(31a)을 통해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를 통과하여 상기 제1전원컨택트(21) 쪽으로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이격공간(S)에서 방수액이 채워진 부분의 체적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전원통과홈(31a) 및 상기 제1전원통과홈(21a)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전원통과홈(31a) 및 상기 제1전원통과홈(21a)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방수액의 유동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이격공간(S)에서 방수액이 채워진 부분의 체적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6)를 이용한 방수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22)는 제1접지통과홈(2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통과홈(22a)은 상기 방수부(6)를 형성하기 위한 방수액을 통과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접지통과홈(22a)은 방수액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제1전원통과홈(21a)에 더하여 방수액이 상기 이격공간(S) 전부에 채워지도록 방수액의 유동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접지통과홈(22a)은 상기 제1전원통과홈(21a)과 대략 일치되게 구현됨으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2)가 제1접지통과홈(22a)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접지컨택트(32)는 제2접지통과홈(3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통과홈(32a)은 상기 제2전원통과홈(31a)과 대략 일치되게 구현됨으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를 참고하면, 방수액이 상기 제1절연부재(41) 및 상기 제2절연부재(42) 사이의 이격공간(S)을 이동하는 유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는 제1전원통과공(2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통과공(21b)은 상기 방수부(6)를 형성하기 위한 방수액을 통과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전원통과공(21b)은 방수액을 통과시킴으로써, 방수액이 상기 이격공간(S) 전부에 채워지도록 방수액의 유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원컨택트(21)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전원컨택트(21)에 비해 더 낮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원컨택트(21)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31)가 중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원통과공(21b)이 없는 경우, 방수액이 상기 제1전원컨택트(21)에서 상기 제2전원컨택트(31) 쪽으로 유동하는데 상기 제1전원컨택트(21)가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격공간(S)에는 방수액이 채워지지 않은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원컨택트(21)에 상기 제1전원통과공(21b)이 형성된 경우, 방수액은 상기 제1전원통과공(21b)을 통해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를 통과하여 상기 제2전원컨택트(31) 쪽으로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이격공간(S)에서 방수액이 채워지지 않은 부분의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이격공간(S)에서 방수액이 채워진 부분의 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6)를 이용한 방수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전원통과공(21b)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원컨택트(21)의 일면과 타면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전원통과공(21b)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전원컨택트(21)의 일면과 타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전원통과공(21b)을 통과한 방수액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균일하게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이격공간(S)에 방수액이 채워진 부분의 체적이 증가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방수부(6)를 이용한 방수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전원통과공(21b)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2 내지 24에는 상기 제1전원통과공(21b)이 “ㅁ”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전원통과공(21b)은 방수액을 통과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원형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전원컨택트(21)가 제1전원통과공(21b)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제2전원통과공(3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통과공(31b)은 방수액을 통과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방수액이 상기 제2전원통과공(31b)을 통해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를 통과하여 상기 제1전원컨택트(21) 쪽으로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이격공간(S)에서 방수액이 채워진 부분의 체적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전원통과공(31b) 및 상기 제1전원통과공(21b)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전원통과공(31b) 및 상기 제1전원통과공(21b)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방수액의 유동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이격공간(S)에서 방수액이 채워진 부분의 체적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6)를 이용한 방수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22)는 제1접지통과공(2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통과공(22b)은 상기 방수부(6)를 형성하기 위한 방수액을 통과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접지통과공(22b)은 방수액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제1전원통과공(21b)에 더하여 방수액이 상기 이격공간(S) 전부에 채워지도록 방수액의 유동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접지통과공(22b)은 상기 제1전원통과공(21b)과 대략 일치되게 구현됨으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2)가 제1접지통과공(22b)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접지컨택트(32)는 제2접지통과공(3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통과공(32b)은 상기 제2전원통과공(31b)과 대략 일치되게 구현됨으로 이에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의 개수 및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의 개수에 따라 여러 가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핀(Pin)의 개수에 따라 여러 가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5 내지 도 27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8핀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8핀으로 구현되 경우를 예시하여 나타낸 핀맵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8핀으로 구현된 경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경우뿐만 아니라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서도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는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가 반전(反戰)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8핀으로 구현된 경우,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에는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의 구별을 위해, 상기 제2컨택트부(3)에 해칭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제1컨택트부(2)는, 도 25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22)(GND),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21)(VBUS),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21')(VBUS), 및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22')(GN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부(3)는, 도 25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32)(GND),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31)(VBUS),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31')(VBUS), 및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32')(GN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모두에 대한 접속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공용컨택트만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각각에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은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분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더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은 모두 고전류 인가에 사용되는 고전류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각각에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10핀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10핀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여 나타낸 핀맵이다.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핀맵을 함께 표시한 것이다. 도 28에서 문자에 병기된 숫자 1과 숫자 2는 방향성을 표시한 것이다. 숫자 1이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관계된 것이고, 숫자 2가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관계된 것이다. 숫자가 병기되지 않고, 문자만 표시된 것은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10핀으로 구현된 경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경우 뿐만 아니라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서도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10핀으로 구현된 경우,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에는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의 구별을 위해, 상기 제2컨택트부(3)에 해칭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제1컨택트부(2)는, 도 28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22)(GND),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제1인식컨택트(24) (CC1), 데이터 전송을 위한 2개의 제1전송컨택트(23, 23')(D1+, D1-),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21)(VBU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부(3)는, 도 28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31)(VBUS), 데이터 전송을 위한 2개의 제2전송컨택트(33, 33')(D2-, D2+),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제2인식컨택트(34)(CC2),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32)(GN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모두에 대한 접속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공용컨택트,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접속에만 사용되는 제1컨택트어레이,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접속에만 사용되는 제2컨택트어레이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공용컨택트에는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22)(GND) 및 상기 제1전원컨택트(21)(VBUS)가 속하고,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32)(GND)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31)(VBUS)가 속한다.
상기 제1컨택트어레이에는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중에서 상기 제1인식컨택트(24)(CC1) 및 상기 제1전송컨택트(23)(D1+, D1-)가 속한다. 이에 따라,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제1컨택트부(2)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22)(GND), 상기 제1인식컨택트(24)(CC1), 상기 제1전송컨택트(23, 23')(D1+, D1-), 및 상기 제1전원컨택트(21)(VBUS)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중에서 상기 제2전원컨택트(31)(VBUS), 상기 제2접지컨택트(32)(GND)에 접속됨으로써,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어레이에는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중에서 상기 제2전송컨택트(33, 33')(D2-, D2+), 및 상기 제2인식컨택트(34)(CC2)가 속한다. 이에 따라,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제1컨택트부(2)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22)(GND), 상기 제1전원컨택트(21)(VBUS) 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중에서 상기 제2전원컨택트(31)(VBUS), 상기 제2전송컨택트(33)(D2-, D2+), 제2인식컨택트(34)(CC2), 및 상기 제2접지컨택트(32)(GND)에 접속됨으로써,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중에서 상기 공용컨택트에 속하는 컨택트들은 고전류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중에서 상기 제1컨택트어레이 및 상기 제2컨택트어레이에 속하는 컨택트들은 모두 고전류 인가에 사용되지 않는 일반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일반핀에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은 상기 고전류핀에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에 비해 얇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일반핀은 상기 고전류핀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각각에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3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14핀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14핀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여 나타낸 핀맵이다.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핀맵을 함께 표시한 것이다. 도 31에서 문자에 병기된 숫자 1과 숫자 2는 방향성을 표시한 것이다. 숫자 1이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관계되는 것이고, 숫자 2가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관계되는 것이다. 숫자가 병기되지 않고, 문자만 표시된 것은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14핀으로 구현된 경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경우 뿐만 아니라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서도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14핀으로 구현된 경우,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에는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의 구별을 위해, 상기 제2컨택트부(3)에 해칭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제1컨택트부(2)는, 도 31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22)(GND),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21)(VBUS),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제1인식컨택트(24)(CC1), 데이터 전송을 위한 2개의 제1전송컨택트(23)(D1+, D1-),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21'), 및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부(3)는, 도 31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32)(GND),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31)(VBUS), 데이터 전송을 위한 2개의 제2전송컨택트(33)(D2-, D2+),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제2인식컨택트(34)(CC2),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31')(VBUS), 및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32')(GN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모두에 대한 접속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공용컨택트,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접속에만 사용되는 제1컨택트어레이,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접속에만 사용되는 제2컨택트어레이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공용컨택트에는 상기 제1컨택트부(2)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2, 22')(GND), 및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1, 21')(VBUS)이 속하고, 상기 제2컨택트부(3)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32, 32')(GND),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31, 31')(VBUS)이 속한다.
상기 제1컨택트어레이에는 상기 제1컨택트부(2) 중에서 상기 제1인식컨택트(24)(CC1) 및 상기 제1전송컨택트(23)(D1+, D1-)가 속한다. 이에 따라,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제1컨택트부(2)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2, 22')(GND),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1, 21')(VBUS), 상기 제1인식컨택트(24)(CC1), 및 상기 제1전송컨택트(23)(D1+, D1-)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2컨택트부(3)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32, 32')(GND)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31, 31')(VBUS)에 접속됨으로써,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어레이에는 상기 제2컨택트부(3) 중에서 상기 제2전송컨택트(33)(D2-, D2+) 및 상기 제2인식컨택트(34)(CC2)가 속한다. 이에 따라,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제1컨택트부(2)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2, 22')(GND) 및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1, 21')(VBUS)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2컨택트부(3)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32, 32')(GND),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31, 31')(VBUS), 상기 제2전송컨택트(33)(D2-, D2+), 및 상기 제2인식컨택트(34)(CC2)에 접속됨으로써,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중에서 상기 공용컨택트에 속하는 컨택트들은 고전류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일반핀은 상기 고전류핀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전류핀에는 통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각각에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각각에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각각에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되, 동일높이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4 내지 도 3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16핀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16핀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여 나타낸 핀맵이다.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핀맵을 함께 표시한 것이다. 도 34에서 문자에 병기된 숫자 1과 숫자 2는 방향성을 표시한 것이다. 숫자 1이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관계되는 것이고, 숫자 2가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관계되는 것이다. 숫자가 병기되지 않고, 문자만 표시된 것은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16핀으로 구현된 경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경우 뿐만 아니라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서도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16핀으로 구현된 경우,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에는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의 구별을 위해, 상기 제2컨택트부(3)에 해칭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제1컨택트부(2)는, 도 34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22)(GND),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21)(VBUS),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제1인식컨택트(24)(CC1), 데이터 전송을 위한 2개의 제1전송컨택트(23)(D1+, D1-), 제1보조컨택트(25)(SBU1),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21'), 및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컨택트(25)(SBU1)는 Sideband Use용 컨택트이다.
상기 제2컨택트부(3)는, 도 34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32)(GND),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31)(VBUS), 제2보조컨택트(35)(SBU2), 데이터 전송을 위한 2개의 제2전송컨택트(33)(D2-, D2+),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제2인식컨택트(34)(CC2),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31')(VBUS), 및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32')(GN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보조컨택트(35)(SBU2)는 Sideband Use용 컨택트이다.
이러한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모두에 대한 접속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공용컨택트,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접속에만 사용되는 제1컨택트어레이,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접속에만 사용되는 제2컨택트어레이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공용컨택트에는 상기 제1컨택트부(2)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2, 22')(GND), 및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1, 21')(VBUS)이 속하고, 상기 제2컨택트부(3)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32, 32')(GND),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31, 31')(VBUS)이 속한다. 도 27에 사선으로 해칭된 컨택트들이 상기 공용컨택트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어레이에는 상기 제1컨택트부(2) 중에서 상기 제1인식컨택트(24)(CC1), 상기 제1전송컨택트(23)(D1+, D1-), 상기 제1보조컨택트(25)(SBU1)가 속한다. 이에 따라,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제1컨택트부(2)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2, 22')(GND),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1, 21')(VBUS), 상기 제1인식컨택트(24)(CC1), 상기 제1전송컨택트(23)(D1+, D1-), 및 상기 제1보조컨택트(25)(SBU1)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2컨택트부(3)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32, 32')(GND),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31, 31')(VBUS)에 접속됨으로써,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어레이에는 상기 제2컨택트부(3) 중에서 상기 제2보조컨택트(35)(SBU2), 상기 제2전송컨택트(33)(D2-, D2+), 상기 제2인식컨택트(34)(CC2)가 속한다. 이에 따라,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제1컨택트부(2)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2, 22')(GND),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1, 21')(VBUS)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2컨택트부(3)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32, 32')(GND),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31, 31')(VBUS), 상기 제2보조컨택트(35)(SBU2), 상기 제2전송컨택트(33)(D2-, D2+), 및 상기 제2인식컨택트(34)(CC2)에 접속됨으로써,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중에서 상기 공용컨택트에 속하는 컨택트들은 고전류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일반핀은 상기 고전류핀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용컨택트에 속하는 컨택트에는 통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각각에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각각에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각각에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높이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7 내지 도 39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24핀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24핀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여 나타낸 핀맵이다.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핀맵을 함께 표시한 것이다. 도 37에서 문자에 병기된 숫자 1과 숫자 2는 방향성을 표시한 것이다. 숫자 1이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관계되는 것이고, 숫자 2가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관계되는 것이다. 숫자가 병기되지 않고, 문자만 표시된 것은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24핀으로 구현된 경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경우 뿐만 아니라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서도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24핀으로 구현된 경우,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38 및 도 39에는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의 구별을 위해, 상기 제2컨택트부(3)에 해칭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제1컨택트부(2)는, 도 37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22)(GND), 고속신호전송을 위한 2개의 제1고속컨택트(26)(TX1+, TX1-),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21)(VBUS),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제1인식컨택트(24)(CC1), 데이터 전송을 위한 2개의 제1전송컨택트(23)(D1+, D1-), 제1보조컨택트(25)(SBU1),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21'), 고속신호전송을 위한 2개의 제1고속컨택트(26')(RX2-, RX2+), 및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컨택트(25)(SBU1)는 Sideband Use용 컨택트이다.
상기 제2컨택트부(3)는, 도 37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32)(GND), 고속신호전송을 위한 2개의 제2고속컨택트(36)(RX1+, RX1-),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31)(VBUS), 제2보조컨택트(35)(SBU2), 데이터 전송을 위한 2개의 제2전송컨택트(33)(D2-, D2+),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제2인식컨택트(34)(CC2),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31')(VBUS), 고속신호전송을 위한 2개의 제2고속컨택트(36')(TX2-, TX2+), 및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32')(GN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보조컨택트(35)(SBU2)는 Sideband Use용 컨택트이다.
이러한 상기 제1컨택트부(2) 및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모두에 대한 접속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공용컨택트,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접속에만 사용되는 제1컨택트어레이,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접속에만 사용되는 제2컨택트어레이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공용컨택트에는 상기 제1컨택트부(2)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22)들(22, 22')(GND), 및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1, 21')(VBUS)이 속하고, 상기 제2컨택트부(3)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32, 32')(GND),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31, 31')(VBUS)이 속한다. 도 29에 사선으로 해칭된 컨택트들이 상기 공용컨택트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어레이에는 상기 제1컨택트부(2) 중에서 상기 제1고속컨택트(26)(TX1+, TX1-), 상기 제1인식컨택트(24)(CC1), 상기 제1전송컨택트(23)(D1+, D1-), 상기 제1보조컨택트(25)(SBU1)가 속하고, 상기 제2컨택트부(3) 중에서 상기 제2고속컨택트(36)(RX1+, RX1-)가 속한다. 이에 따라,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제1컨택트부(2)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2, 22')(GND), 상기 제1고속컨택트(26)(TX1+, TX1-),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1, 21')(VBUS), 상기 제1인식컨택트(24)(CC1), 상기 제1전송컨택트(23)(D1+, D1-), 및 상기 제1보조컨택트(25)(SBU1)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2컨택트부(3)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32, 32')(GND), 상기 제2고속컨택트(36)(RX1+, RX1-),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31, 31')(VBUS)에 접속됨으로써,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어레이에는 상기 제1컨택트부(2) 중에서 상기 제1고속컨택트(26')(RX2-, RX2+)가 속하고, 상기 제2컨택트부(3) 중에서 상기 제2보조컨택트(35)(SBU2), 상기 제2전송컨택트(33)(D2-, D2+), 상기 제2인식컨택트(34)(CC2), 상기 제2고속컨택트(36')(TX2-, TX2+)가 속한다. 이에 따라,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제1컨택트부(2)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2, 22')(GND),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1, 21')(VBUS), 상기 제1고속컨택트(26')(RX2-, RX2+)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2컨택트부(3)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32, 32')(GND),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31, 31')(VBUS), 상기 제2보조컨택트(35)(SBU2), 상기 제2전송컨택트(33)(D2-, D2+), 상기 제2인식컨택트(34)(CC2), 및 상기 제2고속컨택트(36')(TX2-, TX2+)에 접속됨으로써,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중에서 상기 공용컨택트에 속하는 컨택트들은 고전류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일반핀은 상기 고전류핀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용컨택트에 속하는 컨택트에는 통과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에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부(2)가 갖는 컨택트들에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갖는 컨택트들에서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높이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리셉터클 커넥터 2 : 제1컨택트부
3 : 제2컨택트부 4 : 절연부
5 : 쉘 6 : 방수부
21 : 제1전원컨택트 22 : 제1접지컨택트
23 : 제1전송컨택트 24 : 제1인식컨택트
31 : 제2전원컨택트 32 : 제2접지컨택트
33 : 제2전송컨택트 34 : 제2인식컨택트
41 : 제1절연부재 42 : 제2절연부재

Claims (13)

  1. 플러그 커넥터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컨택트부(2);
    플러그 커넥터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컨택트부(3); 및
    상기 제1컨택트부(2)와 상기 제2컨택트부(3)가 결합되는 절연부(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컨택트부(2)는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21), 및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22)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부(4)에는 상기 제1전원컨택트(21) 및 상기 제1접지컨택트(22)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전원접속부재(211), 및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전원실장부재(2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31), 및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3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2전원접속부재(311), 및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2전원실장부재(3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31), 및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지컨택트(22), 상기 제1전원컨택트(21), 상기 제2접지컨택트(32),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플러그 커넥터가 제1상태인 경우와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제1상태에서 반전(反戰)된 제2상태인 경우 모두에 접속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4)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지컨택트(22)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지접속부재(221), 및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접지실장부재(22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접지컨택트(32)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2접지접속부재(321), 및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2접지실장부재(3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2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21)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2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21)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31)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2전원접속부재(311), 및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2전원실장부재(3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는 상기 절연부(4)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는 상기 절연부(4)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 및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31)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2전원접속부재(311), 및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2전원실장부재(3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원접속부재(211)는 상기 절연부(4)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전원접속부재(311)는 상기 절연부(4)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 및 상기 제2전원실장부재(312)는 서로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부(2)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컨택트(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송컨택트(23)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전송접속부재(231), 및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전송실장부재(23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송실장부재(23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원실장부재(212)에 비해 더 얇은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부(2)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컨택트(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송컨택트(2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원컨택트(21)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4)가 결합된 쉘(5);
    상기 쉘(5)의 내면 및 상기 절연부(4)의 외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방수부(6)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절연부재(41)와 제2절연부재(42)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부(6)는 상기 제1절연부재(41)와 상기 제2절연부재(42)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한 제1컨택트부(2)의 외면과 제2컨택트부(3)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는 상기 방수부(6)를 형성하기 위한 방수액을 통과시키는 제1전원통과홈(2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원컨택트에 대해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2전원컨택트(31)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방수액을 통과시키는 제2전원통과홈(31a)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전원통과홈(31a) 및 상기 제1전원통과홈(21a)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4)가 결합된 쉘(5);
    상기 쉘(5)의 내면 및 상기 절연부(4)의 외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방수부(6)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절연부재(41)와 제2절연부재(42)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부(6)는 상기 제1절연부재(41)와 상기 제2절연부재(42)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한 제1컨택트부(2)의 외면과 제2컨택트부(3)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전원컨택트(21)는 상기 방수부(6)를 형성하기 위한 방수액을 통과시키는 제1전원통과공(2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택트부(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원컨택트에 대해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2전원컨택트(31)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원컨택트(31)는 방수액을 통과시키는 제2전원통과공(31b)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전원통과공(31b) 및 상기 제1전원통과공(21b)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80121313A 2018-10-11 2018-10-11 리셉터클 커넥터 KR102229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313A KR102229847B1 (ko) 2018-10-11 2018-10-11 리셉터클 커넥터
PCT/KR2019/013155 WO2020076040A1 (ko) 2018-10-11 2019-10-08 리셉터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313A KR102229847B1 (ko) 2018-10-11 2018-10-11 리셉터클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188A true KR20200041188A (ko) 2020-04-21
KR102229847B1 KR102229847B1 (ko) 2021-03-18

Family

ID=7016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313A KR102229847B1 (ko) 2018-10-11 2018-10-11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29847B1 (ko)
WO (1) WO20200760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603A1 (ko) * 2020-08-28 2022-03-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20962B (zh) * 2022-10-12 2023-11-0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CN117913555A (zh) * 2022-10-12 2024-04-19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835A (ko) * 2001-02-19 2002-08-24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JP2010084832A (ja) * 2008-09-30 2010-04-15 Nok Corp 密封装置および密封構造
KR20170000454A (ko) * 2015-06-23 2017-01-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US20170207570A1 (en) * 2016-01-14 2017-07-20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170100393A (ko) * 2016-02-25 2017-09-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835A (ko) * 2001-02-19 2002-08-24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JP2010084832A (ja) * 2008-09-30 2010-04-15 Nok Corp 密封装置および密封構造
KR20170000454A (ko) * 2015-06-23 2017-01-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US20170207570A1 (en) * 2016-01-14 2017-07-20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170100393A (ko) * 2016-02-25 2017-09-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603A1 (ko) * 2020-08-28 2022-03-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6040A1 (ko) 2020-04-16
KR102229847B1 (ko)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99690B (zh) 一种转接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CN204243365U (zh) 电连接器
CN104600454B (zh) 插座电连接器
TWM537745U (zh) 插座電連接器
TWM531676U (zh) 插座電連接器
CN106684595A (zh) 电连接器组件及使用该电连接器组件的电连接系统
CN204905477U (zh) 电子设备
TWM537735U (zh) 插座電連接器
KR20200041188A (ko) 리셉터클 커넥터
CN105098529B (zh) 插座电连接器
TWM537740U (zh) 直立型插座電連接器
US11146027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CN106410516A (zh) 插座电连接器
CN104779497A (zh) 软排线、电连接器及其组合
US900493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036327B1 (ko) 접지 pin을 구비한 전기적 커넥터
CN113224597A (zh) 电缆连接器和电子设备
CN206962049U (zh) 适用四排端子的电连接器结构
WO2021083056A1 (zh) 电路板装置及电子设备
KR101324656B1 (ko) 쉘의 구조가 개선된 인터페이스 커넥터
TW202240982A (zh) 線纜組件
KR20170030186A (ko) 리셉터클 커넥터용 미드플레이트 및 리셉터클 커넥터
CN203166210U (zh) 防水连接器及控制装置
US9263832B2 (en) Male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function
KR20170000454A (ko) 리셉터클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