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145A -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 Google Patents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145A
KR20200041145A KR1020180121230A KR20180121230A KR20200041145A KR 20200041145 A KR20200041145 A KR 20200041145A KR 1020180121230 A KR1020180121230 A KR 1020180121230A KR 20180121230 A KR20180121230 A KR 20180121230A KR 20200041145 A KR20200041145 A KR 20200041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blower motor
slot
air condition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4193B1 (ko
Inventor
강인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1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193B1/ko
Priority to PCT/KR2019/012457 priority patent/WO2020075993A1/ko
Publication of KR20200041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6Ro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02K1/265Shape, form or location of the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6Ro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06Structural associations of commu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6/00Machines with more than one rotor or stator
    • H02K16/04Machines with one rotor and two s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arranged in slo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48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in slo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주요 설계인자를 개선함으로써, 우수한 코깅토크, 리플전류, 철손, 불평형 전자기력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우수한 모터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 하우징과, 모터 하우징의 내주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스테이터들과, 스테이터들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와, 로터의 회전중심축에 설치되는 복수의 정류자들 및, 각 정류자에 전기를 인가하는 복수의 브러시들을 구비하며, 로터는,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슬롯들과, 각 슬롯에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스테이터들이 4개이고, 로터의 각 정류자에 전기를 인가하는 브러시가 2개이며; 4개의 스테이터들과 각각 인력 및 척력작용을 하면서 회전토크를 발생시키는 로터의 슬롯과, 슬롯에 권선되는 코일부분이 18개이고; 블로어 모터의 스펙(Spec)들 중 특정 스펙이 특정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블로어 모터의 설계인자들 중 하나 이상의 설계인자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극 18슬롯(Slot) 2브러시(Brush) 구조이다.

Description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BLOWER MOTOR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요 설계인자를 개선함으로써, 우수한 코깅토크, 리플전류, 철손, 불평형 전자기력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우수한 모터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차실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각종 액츄에이터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일례로서, 블로어 모터(Blower Motor)가 있다.
블로어 모터는,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블로어 팬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극 12슬롯(Slot) 2브러시(Brush)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블로어 모터는, 브러시(1)들을 통해 정류자(3)들에 전기가 인가되면, 인가된 전기에 의해 슬롯(5)의 코일(6)부분에 자기장이 발생되고, 발생된 자기장이 둘레의 스테이터(Stator)(7)들과 인력과 척력작용을 하면서 회전토크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회전토크로 인해 로터(Rotor)(8)가 회전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블로어 모터는, 2극 12슬롯 타입의 구조이므로, 출력에 비해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2극 12슬롯 타입의 구조이므로, 회전 시에, 로터(8)의 코일(6)부분과 스테이터(7)들 사이의 인력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코깅토크(Cogging Torque)"가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로터(8)에 진동이 발생되고, 로터(8)의 회전속도에 변화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로터(8)의 코일(6)에 전기를 인가하는 과정에서, 코일(6)부분과 스테이터(7)들 간의 주기적인 인력변화와 그로 인한 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리플전류(맥동전류: Ripple Current)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리플전류가 2극 12슬롯 타입의 구조 때문에 매우 크게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무게와 크기를 줄여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고, 로터의 코일과 스테이터들 사이에서의 코깅토크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로터 코일의 전기인가과정에서 발생되는 리플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한 국내특허출원 제2017-0012631호의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가 있다.
이 기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7)들을 4개로 구성하고, 브러시(1)들을 2개로 구성하며, 로터(8)의 슬롯(5)과 코일(6)을 24개로 구성하는 것으로, 4극 24슬롯(Slot) 2브러시(Brush)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블로어 모터는, 4극 24슬롯 2브러시 구조이므로, 로터(8)의 코일(6)과 스테이터(7)들의 크기를 줄이고서도 종래의 2극 12슬롯 2브러시 구조의 블로어 모터와 동등한 출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4극 24슬롯 2브러시의 구조를 가지므로, 로터(8)의 회전토크 손실없이 로터(8)의 코일(6)부분과 스테이터(7)들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로터(8)의 코일(6)부분과 스테이터(7)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코깅토크"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코깅토크"로 인한 로터(8)의 진동과, 로터(8)의 회전속도에 변화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4극 24슬롯 2브러시의 구조를 가지므로, 로터(8)의 회전토크 손실없이 로터(8)의 코일(6)부분과 스테이터(7)들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코일(6)부분과 스테이터(7)들 간의 자기장 변화로 인한 "리플전류"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4극 24슬롯 2브러시 구조의 블로어 모터는,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고, 코깅토크와 리플전류를 저감시킬 수 있지만, 로터(8)의 슬롯(5)에 대한 코일(6)의 권선 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생산성에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로터(8)의 슬롯(5)을 24개로 설계 및 제조하는 과정에서, 슬롯(5)의 폭과 개방부가 매우 좁게 구성되는데, 이렇게 좁고 협소한 구조 때문에 슬롯(5)에 일정 굵기의 코일(6)을 권선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슬롯(5)에 대한 코일(6)의 권선작업은 대부분 자동 권선설비를 통해 이루어지고, 이러한 자동 권선설비는 좁고 협소한 슬롯(5)에 출입하면서 코일(6)을 권선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이, 좁고 협소한 슬롯(5)에 자동 권선설비가 출입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로터(8)의 슬롯(5)에 대한 코일(6)의 권선 작업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결과, 블로어 모터의 양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결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4극 24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는, 2극 12슬롯 2브러시 구조에 비해 코깅토크와 리플전류를 저감시키기는 하지만, 여전히 만족할만한 수준의 코깅토크와 리플전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여전히 코깅토크와 리플전류로 인한 로터(8)의 진동과 회전속도 변화 및 소음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로터의 슬롯에 대한 코일의 권선작업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4극 24슬롯 2브러시 구조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가질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일의 권선작업이 용이하면서도 4극 24슬롯 2브러시 구조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높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터의 설계인자를 개선함으로써, 만족할만한 수준의 코깅토크와 리플전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계인자의 개선을 통해, 만족할만한 수준의 코깅토크와 리플전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로터의 회전 시에 발생되는 진동과 회전속도 변화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회전성능이 개선되는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는, 모터 하우징과,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주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스테이터들과, 상기 스테이터들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축에 설치되는 복수의 정류자들 및, 상기 각 정류자에 전기를 인가하는 복수의 브러시들을 구비하며, 상기 로터는,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슬롯들과, 상기 각 슬롯에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상기 스테이터들이 4개이고, 상기 로터의 각 정류자에 전기를 인가하는 상기 브러시가 2개이며; 상기 4개의 스테이터들과 각각 인력 및 척력작용을 하면서 회전토크를 발생시키는 상기 로터의 슬롯과, 상기 슬롯에 권선되는 코일부분이 18개이고; 상기 블로어 모터의 스펙들 중 특정 스펙이 특정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로어 모터의 설계인자들 중 하나 이상의 설계인자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극 18슬롯(Slot) 2브러시(Brush) 구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로어 모터의 설계인자 중, 상기 로터의 슬롯 길이와, 슬롯의 폭, 권선 코일의 굵기 및, 스테이터의 편심량들 중, 하나 이상의 설계인자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로터의 슬롯이, 상기 로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23.5 ∼ 25.5㎜ 범위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로터의 슬롯이, 상기 스테이터측을 향하는 반경방향 외측의 개방부를 가지며, 상기 슬롯의 개방부는, 3 ∼ 5㎜범위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스테이터는, 상기 로터와의 사이에 폭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공극이 발생될 수 있도록 일정량의 편심을 가지며, 상기 각 스테이터의 편심량은 15 ∼ 19㎜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로터의 슬롯에 권선되는 코일이, 0.65 ∼ 0.8㎜ 범위의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에 의하면, 4극 18슬롯 2브러시의 구조로 개선되므로, 로터의 슬롯 사이즈를 크게 하여, 슬롯에 대한 코일의 권선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4극 24슬롯 2브러시 구조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모터성능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일의 권선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4극 24슬롯 2브러시 구조에 비해 우수한 회전성능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우수한 모터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의 설계인자인, 로터의 슬롯 길이와 폭, 권선 코일의 굵기 및, 스테이터의 편심량 등을 개선함으로써, 4극 24슬롯 2브러시 구조의 모터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회전속도와 토크를 유지하면서도, 만족할만한 수준의 "코깅토크"와 "리플전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설계인자의 개선을 통해, 만족할만한 수준의 코깅토크와 리플전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로터의 회전 시에 발생되는 진동과 회전속도 변화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회전성능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2극 12슬롯 2브러시 구조의 블로어 모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4극 24슬롯 2브러시 구조의 블로어 모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전기의 인가에 따른 모터의 리플전류 변화를 종래의 4극 24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전기의 인가에 따른 모터의 철손 변화를 종래의 4극 24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부하 및 무부하별 불평형 전자기력 분포를 종래의 4극 24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로터의 코일과 스테이터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코깅토크를 종래의 4극 24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는, 모터하우징(10)을 구비한다. 모터하우징(10)의 내주면에는 스테이터(20)들이 일정한 간격(20a)을 두고 설치되며, 스테이터(20)들의 내측에는, 로터(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로터(30)는,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슬롯(32)들과, 회전중심축(30a)의 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정류자(34)들을 갖추고 있다. 특히, 슬롯(32)들은, 로터(30)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으로, 코일(36)이 권선된다.
그리고 블로어 모터는, 모터하우징(10)으로부터 로터(30)의 정류자(34)를 향해 설치되는 한 쌍의 브러시(40)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 한 쌍의 브러시(40)들은 로터(30)의 정류자(34)들과 마찰접촉하면서 상기 로터(30)의 각 정류자(34)에 전기를 단속적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블로어 모터는, 브러시(40)를 통해 정류자(34)에 전기가 인가되면, 인가된 전기에 의해 로터(30)의 코일(36)들이 여자(勵磁) 및 소자(消磁)되면서 외측의 스테이터(20)들과 인력과 척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스테이터(20)들과의 인력과 척력에 의해 회전토크가 발생하면서 로터(30)가 회전운동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의 특징부를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로어 모터는, 모터하우징(1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스테이터(20)들을 구비하되, 상기 스테이터(20)들이, 4개인 구조를 갖는다.
4개의 스테이터(20)들은, 모터하우징(10)의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20a)을 두고 설치되어 있되, S극과 N극이 번갈아가며 배열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4개의 스테이터(20)들은, 로터(30)에 권선된 코일(36)이 여자 및 소자될 시에, 상기 코일(36)들과 인력 및 척력작용을 하면서 회전토크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발생된 회전토크로 인해 로터(30)가 회전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블로어 모터는, 로터(30)에 형성되는 슬롯(32)과, 로터(30)의 회전중심축(30a)에 설치되는 정류자(34)가 각각 18개로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의 로터(30)는, 정류자(34) 및 슬롯(32)이 18개이므로, 슬롯(32)에 권선되는 코일(36)도 18개인 구조를 갖는다. 이로써, 본 발명의 블로어 모터가, 4개의 스테이터(20)와 18개의 슬롯(32)을 갖는 4극 18슬롯(Slot) 2브러시(Brush)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4극 18슬롯 2브러시 구조의 블로어 모터는, 로터(30)의 슬롯(32)과 코일(36)이 18개 이므로, 상기 슬롯(32)과 코일(36)들의 개수가, 종래의 4극 24슬롯 2브러시 모터에 비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로터(30)의 크기가 동일한 조건에서, 로터(30)의 슬롯(32) 사이즈를, 4극 24슬롯 2브러시 모터의 슬롯(32)(도 2참조)에 비해 크게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슬롯(32)의 폭과 개방부(32a)를 크게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로터(30)의 슬롯(32)에 대한 코일(36)의 권선 작업 시에, 상기 코일(36)의 권선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특히, 로터(30)의 슬롯(32)이 충분한 크기의 폭과 개방부(32a)를 가지므로, 코일(36)의 권선을 위한 자동 권선설비가 상기 로터(30)의 슬롯(32)에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 덕분에 코일(36)의 권선작업을 어려움 없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블로어 모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블로어 모터의 생산성과 양산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킨다.
다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로어 모터는, 모터의 스펙(Spec)들 중 특정 스펙이 특정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모터 설계인자들 중 하나 이상의 설계인자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설계하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면, 모터의 설계인자 중, 로터(30)의 슬롯(32) 길이(L)와, 슬롯(32)의 폭(W), 권선 코일(36)의 굵기 및, 스테이터(20)의 편심량(E)들 중, 하나 이상의 설계인자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설계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로어 모터는, 로터(30)의 슬롯(32)이, 상기 로터(30)의 길이방향을 따라 23.5 ∼ 25.5㎜ 범위의 길이(L)를 갖는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로터(30)의 슬롯(32) 길이(L)가, 23.5㎜ 미만일 경우에는, 슬롯(32)측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이 너무 약화되어 모터의 회전성능이 저하되고, 25.5㎜를 초과할 시에는 모터의 크기가 너무 커져서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로터(30)의 슬롯(32) 길이(L)가, 24.5㎜ 인 것이 좋다. 이는, 모터의 크기를 크게 설계하지 않고서도 슬롯(32)의 자기장을 최대로 하여 최적의 회전성능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로터(30)의 슬롯(32)은, 개방부(32a)의 폭(W)이 상기 로터(30)의 원주방향을 따라 3 ∼ 5㎜ 범위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슬롯(32)의 개방부(32a) 폭(W)이, 3㎜ 미만일 경우에는, 슬롯(32)에 대한 코일(36)의 권선 작업이 매우 어렵고, 5㎜를 초과할 시에는 슬롯(32)측에 형성된 전자기력이 약화됨과 아울러 슬롯(32)에 권선된 코일(36)의 이탈우려가 매우 많기 때문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슬롯(32)의 개방부(32a) 폭(W)이, 3㎜인 것이 좋다. 이는, 슬롯(32)에 대한 코일(36)의 권선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하면서도 슬롯(32)측의 전자기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고, 슬롯(32)에 권선된 코일(36)의 이탈우려를 방지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로어 모터는, 로터(30)의 둘레에 설치되는 스테이터(20)들을 구비하되, 상기 각 스테이터(20)는, 로터(30)와의 사이에 폭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공극이 발생될 수 있도록 일정량의 편심을 갖게 되는데, 이때의 편심량(E)이 15 ∼ 19㎜ 범위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스테이터(20)의 편심량(E)이, 15㎜ 미만일 경우에는, 스테이터(20)의 폭방향 가운데부분에 대한 양쪽 가장자리부분의 두께 비율이 너무 커서, 스테이터(20)의 양쪽 가장자리부분 자력이 과도하게 증가되고, 그 결과, 로터(30)의 코일(36)부분과 스테이터(20)들 경계부 간의 인력과 자기장 변화로 인한 "코깅토크"와 "리플전류"가 과도하게 발생되기 때문이다.
또한, 19㎜를 초과할 경우에는, 스테이터(20)의 폭방향 가운데부분에 대한 양쪽 가장자리부분의 두께 비율이 너무 작아서, 스테이터(20)의 양쪽 가장자리부분 자력이 과도하게 감소되고, 그 결과, 로터(30)의 코일(36)부분과 스테이터(20) 사이의 인력과 척력이 줄어들어 로터(30)의 회전토크를 손실시키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이터(20)의 편심량(E)이, 15㎜인 것이 가장 좋다. 이는, 스테이터(20)의 가운데부분에 대한 양쪽 가장자리부분의 두께 비율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여, 스테이터(20)의 양쪽 가장자리부분 자력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로터(30)의 코일(36)부분과 스테이터(20)들 경계부 간의 인력과 자기장 변화로 인한 "코깅토크"와 "리플전류"는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로터(30)의 코일(36)부분과 스테이터(20) 사이의 인력과 척력에 의한 로터(30)의 회전토크는 손실시키지 않는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로어 모터는, 로터(30)의 슬롯(32)에 권선되는 코일(36)을 구비하되, 상기 코일(36)의 외경굵기(D)가 0.65 ∼ 0.8㎜ 범위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코일(36)의 외경굵기(D)가, 0.65㎜ 미만일 경우에는, 슬롯(32)측의 전류 흐름량이 적어 로터(30)의 회전속도(RPM)를 과도하게 저하시키고, 0.8㎜를 초과할 경우에는, 슬롯(32)측의 전류 흐름량이 과다하여 로터(30)의 회전속도(RPM)를 과도하게 증가시킴과 아울러 배터리 소모량을 과도하게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코일(36)의 외경굵기(D)가, 0.7㎜인 것이 가장 좋다. 이는, 전류의 흐름량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켜 로터(30)의 회전속도(RPM)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면서도, 배터리 소모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블로어 모터에 의하면, 4극 18슬롯 2브러시의 구조로 개선되므로, 로터(30)의 슬롯(32) 사이즈를 크게 하여, 슬롯(32)에 대한 코일(36)의 권선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4극 24슬롯 2브러시 구조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모터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코일(36)의 권선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4극 24슬롯 2브러시 구조에 비해 우수한 회전성능을 가질 수 있는 구조이므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우수한 모터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설계인자인, 로터(30)의 슬롯(32) 길이(L)와 폭(W), 권선 코일(36)의 굵기 및, 스테이터(20)의 편심량(E) 등을 개선함으로써, 4극 24슬롯 2브러시 구조의 모터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회전속도와 토크를 유지하면서도, 만족할만한 수준의 "코깅토크"와 "리플전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설계인자의 개선을 통해, 만족할만한 수준의 코깅토크와 리플전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로터(30)의 회전 시에 발생되는 진동과 회전속도 변화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회전성능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블로어 모터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본 발명의 4극 18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와, 종래의 4극 24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를 몇 가지 항목으로 비교 시험해 보았다.
[리플전류]
도 6의 시험 결과에 의하면, 모터의 인가전압을 증가시킬 시에, 종래의 4극 24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의 "리플전류"의 진폭에 비해, 본 발명의 4극 18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의 "리플전류"의 진폭이 현저하게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4극 18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는, 종래의 4극 24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에 비해, "리플전류"로 인한 소음과 진동 및, 배터리와 각종 전기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철손]
도 7의 시험 결과에 의하면, 모터의 인가전압을 증가시킬 시에, 종래의 4극 24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는, "철손전류"가 평균 2.62W인 것으로 나타났고, 본 발명의 4극 18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는 "철손전류"가 평균 2.31W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4극 18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는, 종래의 4극 24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에 비해, "철손"이 현저하게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결과, 본 발명의 4극 18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는, 4극 24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가지면서도 최적의 에너지 효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불평형 전자기력]
도 8의 시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4극 18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와, 종래의 4극 24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의 "불평형 전자기력 분포"를 비교한 결과, "무부하 조건"과 "부하 조건" 모두에서 본 발명의 4극 18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가, 종래의 4극 24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에 비해, "불평형 전자기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불평형 전자기력 분포"는, "중앙 집중도"가 높고, 마주보며 대응되는 것들 간의 "대칭률"이 높을수록 좋은데, 본 발명의 4극 18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는, "무부하 조건"과 "부하 조건" 모두에서 "불평형 전자기력 분포"의 "중앙 집중도"와 "대칭률"이 종래의 4극 24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깅토크]
도 9의 시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4극 18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와, 종래의 4극 24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의 "코깅토크"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4극 18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가, 종래의 4극 24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에 비해, "코깅토크"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깅토크"는, 상,하 "진폭"이 적을수록 좋은데, 본 발명의 4극 18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는, "코깅토크"는, 상,하 "진폭"이 종래의 4극 24슬롯 2브러시 블로어 모터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4극 18슬롯 2브러시 구조를 갖고, 주요 설계인자가 개선된 본 발명의 블로어 모터는, 로터(30)의 슬롯(32)과 코일(36)이 18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로터(30)와 스테이터(20)들 간의 "리플전류", "철손", "코깅토크", "불평형 전자기력 특성" 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로터(30)의 슬롯(32) 사이즈를 크게 하여, 슬롯(32)에 대한 코일(36)의 권선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코깅토크"와 "리플전류"를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4극 24슬롯 2브러시 구조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모터성능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모터하우징(Motor Housing) 20: 스테이터(Stator)
30: 로터(Rotor) 30a: 회전중심축
32: 슬롯(Slot) 32a: 개방부
34: 정류자 36: 코일(Coil)
40: 브러시(Brush) D: 코일의 외경
E: 스테이터의 편심량 L: 슬롯의 길이
W: 슬롯의 개방부 폭

Claims (10)

  1. 모터 하우징(10)과, 상기 모터 하우징(10)의 내주면에 간격(20a)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스테이터(20)들과, 상기 스테이터(20)들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30)와, 상기 로터(30)의 회전중심축(30a)에 설치되는 복수의 정류자(34)들 및, 상기 각 정류자(34)에 전기를 인가하는 복수의 브러시(40)들을 구비하며, 상기 로터(30)는,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슬롯(32)들과, 상기 각 슬롯(32)에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36)을 포함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1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상기 스테이터(20)들이 4개이고, 상기 로터(30)의 각 정류자(34)에 전기를 인가하는 상기 브러시(40)가 2개이며;
    상기 4개의 스테이터(20)들과 각각 인력 및 척력작용을 하면서 회전토크를 발생시키는 상기 로터(30)의 슬롯(32)과, 상기 슬롯(32)에 권선되는 코일(36)부분이 18개이고;
    상기 블로어 모터의 스펙(Spec)들 중 특정 스펙이 특정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로어 모터의 설계인자들 중 하나 이상의 설계인자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극 18슬롯(Slot) 2브러시(Brush) 구조의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모터의 설계인자 중, 상기 로터(30)의 슬롯(32) 길이(L)와, 슬롯(32)의 폭(W), 권선 코일(36)의 굵기 및, 스테이터(20)의 편심량(E)들 중, 하나 이상의 설계인자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30)의 슬롯(32)이, 상기 로터(30)의 길이방향을 따라 23.5 ∼ 25.5㎜ 범위의 길이(L)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30)의 슬롯(32) 길이(L)가, 24.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30)의 슬롯(32)이,
    상기 스테이터(20)측을 향하는 반경방향 외측의 개방부(32a)를 가지며, 상기 슬롯(32)의 개방부(32a)는, 3 ∼ 5㎜범위의 폭(W)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32)의 개방부(32a) 폭(W)이,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테이터(20)는,
    상기 로터(30)와의 사이에 폭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공극이 발생될 수 있도록 일정량의 편심을 가지며, 상기 각 스테이터(20)의 편심량(E)은 15 ∼ 19㎜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테이터(20)의 편심량(E)이,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30)의 슬롯(32)에 권선되는 코일(36)이, 0.65 ∼ 0.8㎜ 범위의 외경(D)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36)의 외경(D)은, 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KR1020180121230A 2018-10-11 2018-10-11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KR102564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230A KR102564193B1 (ko) 2018-10-11 2018-10-11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PCT/KR2019/012457 WO2020075993A1 (ko) 2018-10-11 2019-09-25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230A KR102564193B1 (ko) 2018-10-11 2018-10-11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145A true KR20200041145A (ko) 2020-04-21
KR102564193B1 KR102564193B1 (ko) 2023-08-07

Family

ID=7016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230A KR102564193B1 (ko) 2018-10-11 2018-10-11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4193B1 (ko)
WO (1) WO2020075993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3939A (ja) * 2008-10-07 2010-04-22 Mitsuba Corp 電動モータ
JP2011061940A (ja) * 2009-09-09 2011-03-24 Hitachi Appliances Inc 電機子ならびに電動機
JP2014150724A (ja) * 2008-10-07 2014-08-21 Mitsuba Corp 電動モータ、および減速機付モータ
JP2014183721A (ja) * 2013-03-21 2014-09-29 Asmo Co Ltd 回転電機
JP2017225335A (ja) * 2016-05-26 2017-12-21 ジョン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永久磁石モータ及びこれを有する家庭電化製品
KR20180088555A (ko) * 2017-01-26 2018-08-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3434B2 (en) * 2014-06-30 2019-03-26 Nidec Motor Corporation Stator with overmolded core and mold for producing same
ITUA20163891A1 (it) * 2016-05-27 2017-11-27 Ducati Energia S P A Dispositivo generatore di energia elettrica a magneti permanenti, particolarmente per l’alimentazione di carichi elettrici e/o batterie di veicoli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3939A (ja) * 2008-10-07 2010-04-22 Mitsuba Corp 電動モータ
JP2014150724A (ja) * 2008-10-07 2014-08-21 Mitsuba Corp 電動モータ、および減速機付モータ
JP2011061940A (ja) * 2009-09-09 2011-03-24 Hitachi Appliances Inc 電機子ならびに電動機
JP2014183721A (ja) * 2013-03-21 2014-09-29 Asmo Co Ltd 回転電機
JP2017225335A (ja) * 2016-05-26 2017-12-21 ジョン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永久磁石モータ及びこれを有する家庭電化製品
KR20180088555A (ko) * 2017-01-26 2018-08-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5993A1 (ko) 2020-04-16
KR102564193B1 (ko) 202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29809B (zh) 永磁式旋转电机
US7511395B2 (en) Hybrid induction motor
EP1542335A1 (en) Ro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KR20160131946A (ko) 단상 외부-회전자 모터 및 이를 갖는 전기 장치
US20040004407A1 (en) Electrical machine having a rotor specially adapted to high speeds
US5929547A (en) Rotor core having slots for receiving permanent magnets
US6903485B2 (en) Claw-pole alternator with non-uniform air gap
EP1734643A2 (en) Induction motor
EP1628380A1 (en) Stator slot openings of a permanent magnet motor
EP3001549B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JPH09331663A (ja) スイッチドリラクタンスモータ
US6936945B2 (en)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US20190372445A1 (en) Brush motor
KR102168628B1 (ko) 전동식 압축기 모터
KR102633359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EP1122858A3 (en) Alternating current generator for vehicle
KR20180113296A (ko) 브러시 모터
JP4212982B2 (ja) 回転電機
JP4740480B2 (ja) 回転電機
KR20200041145A (ko)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KR102599289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CN110912297B (zh) 电机和压缩机
KR20180078166A (ko) 전기 모터 및 그의 자기 코어
JP3679624B2 (ja) 永久磁石式回転電機
US11770035B2 (en) Laminated core for an electric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