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133A - 촬영 가이드 제공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촬영 가이드 제공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133A
KR20200041133A KR1020180121211A KR20180121211A KR20200041133A KR 20200041133 A KR20200041133 A KR 20200041133A KR 1020180121211 A KR1020180121211 A KR 1020180121211A KR 20180121211 A KR20180121211 A KR 20180121211A KR 20200041133 A KR20200041133 A KR 20200041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user
shooting
live view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9803B1 (ko
Inventor
강산
Original Assignee
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산 filed Critical 강산
Priority to KR102018012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803B1/ko
Priority to PCT/KR2019/012252 priority patent/WO2020075985A1/ko
Publication of KR20200041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04N5/23293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04N5/2257
    • H04N5/232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촬영 가이드 제공 장치에서 실행되는 촬영 가이드 프로그램은 촬영을 위한 라이브 뷰 화면에 피사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표시하는 피사체 가이드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촬영 가이드 프로그램{Program for guiding composition of picture}
본 발명은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촬영을 보조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가 탑재된 휴대폰이 등장하면서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휴대폰 카메라는 조작이 간단하여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사진 구도 테크닉이 부족한 초보자의 경우에는 사진 촬영을 하더라도 만족할만한 사진을 얻기가 어렵다. 또한, 타인이 사진 촬영을 해주는 경우에도 본인이 원하는 위치나 구도로 촬영하기가 어렵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53041호 (2016년 08월 31일 공고)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구도가 잡힌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촬영 가이드 프로그램은 촬영을 위한 라이브 뷰 화면에 피사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표시하는 피사체 가이드 기능을 컴퓨팅 기기에 실행시킬 수 있다.
촬영 가이드 프로그램은 라이브 뷰 화면의 사물 또는 배경을 인식하며, 인식된 사물 또는 배경에 매핑된 구도 가이드 정보를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하되, 구도 가이드 정보에는 사물 또는 배경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인물의 위치 및 자세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포함된 자동 인식 가이드 기능을 컴퓨팅 기기에 더 실행시킬 수 있다.
자동 인식 가이드 기능은 사물 또는 배경에 매핑된 복수의 구도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구도 가이드 정보를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컴퓨터에 실행시킬 수 있다.
촬영 가이드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위치한 포토존에 매핑된 구도 가이드 정보를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하되, 구도 가이드 정보에는 사물 또는 배경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인물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포함된 위치 기반 가이드 기능을 컴퓨팅 기기에 더 실행시킬 수 있다.
위치 기반 가이드 기능은 사용자 위치 주변의 포토존을 알림하며, 사용자의 포토존 선택이 있으면 그 선택된 포토존으로 경로 안내하는 것을 컴퓨팅 기기에 실행시킬 수 있다.
촬영 가이드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진을 촬영 가이드로 이용하기 위해 소정의 투명도를 적용하여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하는 사진 가이드 기능을 컴퓨팅 기기에 더 실행시킬 수 있다.
피사체 가이드 기능은 피사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외에 그 가이드라인에 매핑된 촬영 앵글 정보를 사용자에게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바에 따르면, 촬영에 서툰 사용자라 하더라도 구도 잡힌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창출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가이드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피사체 가이드 기능을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3은 자동 인식 가이드 기능을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위치 기반 가이드 기능을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사진 가이드 기능을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은 촬영 앵글 정보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가이드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식 가이드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가이드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가이드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가이드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촬영 가이드 제공 장치는 촬영 기능을 갖는 컴퓨팅 기기이다. 컴퓨팅 기기는 촬영 기능 외에 통신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고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컴퓨팅 기기는 촬영 전용의 디지털 카메라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 컴퓨팅 기기로는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예로 들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1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로는 터치 패널과 버튼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로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FT-LCD(Thin Film Transistor - Liquid Crystal Disaply) 등의 디스플레이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는 일체로 결합되어 터치스크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저장부(200)는 명령어, 데이터 및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 매체로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같은 저장부(200)에는 촬영 가이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300)는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통신부(300)는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데, 예를 들어 TCP/IP, IPX, SPX, NetBIOS, 이더넷, ARCNET, Fiber Distributed Date Interface(FDDI), IEEE 802.11, IEEE 802.11a 및 직접 동기화 연결 등의 통신 프로토콜들 중 적어도 일부를 지원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촬영 가이드 제공 장치는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수신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와 운영체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제어부(400)는 촬영 가이드부(5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 가이드부(500)는 저장부(200)에 저장된 촬영 가이드 프로그램이며, 제어부(400)에 의해 로딩되어 실행된다. 촬영 가이드부(500)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앱 스토어 등에서 다운로드되어 저장부(200)에 저장될 수 있다. 촬영 가이드부(500)는 피사체 가이드 제공부(510)와 자동 인식 가이드 제공부(520)와 위치 기반 가이드 제공부(530) 및 사진 가이드 제공부(54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들은 모두 소프트웨어적인 기능 모듈로서, 각각이 정해진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원하는 가이드 기능을 선택할 수 있으며, 촬영 가이드부(500)는 사용자가 선택한 가이드 기능을 제공한다.
피사체 가이드 제공부(510)는 촬영을 위한 라이브 뷰(live view) 화면에 피사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표시하는 피사체 가이드 기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피사체 가이드 제공부(510)는 복수의 피사체 구도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피사체 구도 가이드 정보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피사체 구도 가이드 정보에 따른 가이드라인을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한다. 피사체는 사람일 수도 있고 사물일 수도 있다. 그리고 가이드라인의 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두 사람을 촬영하고자 할 경우에는 복수의 피사체 구도 가이드 정보 중에서 2인용 구도 가이드 정보를 선택하면 된다.
이 같은 피사체 가이드 기능에 대한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도 2의 (a)와 같은 인물 피사체 구도 가이드 정보를 선택하면, 라이브 뷰 화면에 해당 가이드라인이 표시된다. 이에 인물 피사체는 인물 가이드라인과 같은 자세를 취하며, 사용자는 인물 가이드라인에 맞춰 도 2의 (b)와 같이 구도를 잡은 후 촬영함으로써 도 2의 (c)와 같은 촬영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자동 인식 가이드 제공부(520)는 라이브 뷰 영상에서 사물이나 배경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물 또는 배경과 인물의 구도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하는 자동 인식 가이드 기능을 제공한다. 자동 인식 대상이 되는 사물과 배경은 사전에 등록되어 있을 수 있는데, 자동 인식 대상 사물로는 자동차, 의자, 침대, 소파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자동 인식 가능한 배경으로는 하늘과 바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 가이드부(500)는 라이브 뷰 영상을 분석하여 사물 또는 배경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물 또는 배경에 매핑된 복수의 구도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구도 가이드 정보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구도 가이드 정보에 속한 사물 또는 배경 가이드라인과 인물 가이드라인을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사물 또는 배경에 매핑된 구도 가이드 정보가 하나일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은 생략될 수 있다.
자동 인식 가이드 기능용 구도 가이드 정보를 이용한 촬영이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라이브 뷰 영상에서 자동차가 인식되면 자동 인식 가이드 제공부(520)는 자동차에 매핑된 복수의 구도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며, 사용자가 도 3의 (a)와 같은 구도 가이드 정보를 선택하면, 선택된 구도 가이드 정보에 속한 자동차 가이드라인과 인물 가이드라인이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된다. 이에 사용자는 도 3의 (b)와 같이 구도를 잡은 후 촬영함으로써 도 3의 (c)와 같은 촬영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늘과 바다 배경이 인식된 경우에는 수평선을 가이드하기 위한 배경 가이드라인과 인물 가이드라인이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된다.
위치 기반 가이드 제공부(530)는 사용자가 포토존에 위치하였을 경우에 그 포토존에서 사용 가능한 가이드라인을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하는 위치 기반 가이드 기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기반 가이드 제공부(530)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가 기등록된 포토존일 경우에 그 포토존에 매핑된 구도 가이드 정보에 따른 사물 또는 배경 가이드라인과 인물 가이드라인을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한다. 포토존은 복수 개가 등록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 위치에 따라 해당되는 포토존에 매핑된 구도 가이드 정보를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포토존에 매핑된 구도 가이드 정보가 복수일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관광지나 명소 등에 지정된 포토존에서 구도 잡힌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기반 가이드 제공부(530)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에 포토존이 존재할 경우에 팝업을 통해 포토존을 알림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포토존으로 경로를 안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포토존을 찾아가 평생 간직할만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위치 기반 가이드 기능용 구도 가이드 정보를 이용한 촬영이 도 4에 예시되어 있다. 사용자 위치 주변에 포토존이 있을 경우, 위치 기반 가이드 제공부(530)는 도 4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주변에 포토존이 있음을 알림한다. 이에 사용자는 해당 포토존으로 찾아갈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포토존에 도착하여 위치 기반 가이드를 이용한 촬영을 하고자 한다면, 위치 기반 가이드 제공부(530)는 사용자 위치의 포토존에 매핑된 복수의 구도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며, 사용자가 도 4의 (b)와 같은 구도 가이드 정보를 선택하면, 선택된 구도 가이드 정보에 속한 에펠탑 가이드라인과 인물 가이드라인이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된다. 이에 사용자는 도 4의 (c)와 같이 구도를 잡은 후 촬영함으로써 도 4의 (d)와 같은 촬영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사진 가이드 제공부(540)는 사진에 소정의 투명도를 적용하여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하는 사진 가이드 기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진 가이드 제공부(540)는 사용자로 하여금 가이드로 사용할 사진을 선택하도록 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진을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하되, 사진에 디폴트 투명도를 반영하여 표시한다. 선택되는 사진은 인물 사진일 수 있으며, 디폴트 투명도는 50%일 수 있다. 그리고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된 사진의 투명도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추가로, 사진 가이드 제공부(540)는 선택된 사진을 흑백 처리하여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진 가이드 기능에 대한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장치 내에 저장된 사진들 중에서 가이드로 사용할 사진을 선택할 수 있으며, 아니면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공유된 사진 선택할 수도 있다. 선택된 사진은 디폴트 투명도가 반영되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아니면 추가로 흑백 처리도 되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에 사용자는 인물 피사체로 하여금 사진 상의 인물과 같은 자세를 취하도록 하여 촬영함으로써 도 5의 (d)와 같은 촬영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피사체 가이드 제공부(510)는 피사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외에 촬영 앵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촬영 앵글 정보는 가이드라인에 매핑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 앵글 정보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각적 정보로서, 가이드라인과 함께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실제 촬영 앵글이 촬영 앵글 정보에 따른 촬영 앵글 범위에 속하는지를 촬영 앵글 정보에 반영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촬영 앵글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는 촬영 앵글 정보를 통해 적절한 촬영 앵글로 촬영할 수 있다. 참고로, 실제 촬영 앵글은 촬영 가이드 제공 장치에 마련된 다양한 센서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통해 감지됨은 잘 알려진 바와 같다.
촬영 앵글에 대해 부연 설명한다. 하이 앵글의 경우 피사체를 라이브 뷰 화면 상단에 위치시켜야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카메라를 피사체 기준 상단에 위치하고 각도를 위에서 아래로 주는 것이 좋다. 220도 ~ 230도 또는 320도 ~330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로우 앵글의 경우 피사체를 라이브 뷰 화면 화단에 위치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카메라를 피사체 기준 하단에 위치하고 각도를 아래에서 위로 주는 것이 좋다. 60도 ~ 70도 또는 110도 ~ 120도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초보자의 경우 이와 같이 촬영 앵글까지 고려하면서 촬영하기는 매우 어렵다. 이를 위해, 촬영 앵글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다.
이 같은 촬영 앵글 정보에 대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a)에서와 같이 가이드라인 외에 촬영 앵글 정보(10)가 라이브 뷰 화면에 함께 표시된다. 이에 사용자는 실제 촬영 앵글을 조정하여 촬영 앵글 범위(11)에 맞출 수 있다. 도 6의 (b)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제 촬영 앵글이 촬영 앵글 범위에 들어가게 되면 사진 촬영을 하면 되며, 이에 따라 도 6의 (c)와 같은 촬영 결과물이 얻어진다. 그리고 도 7은 촬영 앵글 기능(각도 기능)을 적용하기 전과 적용한 후를 비교한 것으로, 적용 전보다 하반신 비율이 더 길어진 결과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6은 로우 앵글일 경우이며, 하이 앵글이 필요한 경우에도 도 8과 같이 촬영 앵글 정보가 제공되어 사용자는 촬영 앵글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촬영 앵글 정보는 피사체 가이드 제공부(510)에 의해서만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자동 인식 가이드 제공부(520)와 위치 기반 가이드 제공부(530) 및 사진 가이드 제공부(540)에 의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도 9은 촬영 가이드 제공 방법 중에서 피사체 가이드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피사체용 구도 가이드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시한다(S100). 구도 가이드 리스트에는 복수의 구도 가이드 정보가 포함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구도 가이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도 가이드 정보에 따른 피사체 가이드라인을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한다(S110).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피사체를 가이드라인에 맞춘 후에 촬영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는 촬영이 이루어지면 라이브 뷰 화면에서 가이드라인 표시를 해제한다(S120)(S130).
도 10은 촬영 가이드 제공 방법 중에서 자동 인식 가이드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서는 라이브 뷰 영상에서 사물이나 배경을 인식한다(S200). 인식에 성공하면, 프로세서는 인식된 사물 또는 배경에 매핑된 구도 가이드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시한다(S210). 구도 가이드 리스트에는 복수의 구도 가이드 정보가 포함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구도 가이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도 가이드 정보에 따른 가이드라인을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의 구도 가이드 정보에는 사물 또는 배경 가이드라인과 인물 가이드라인이 포함되며, 인물 가이드라인은 둘 이상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도 가이드 정보에 따른 사물/배경 가이드라인과 인물 가이드라인을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한다(S220). 이후, 프로세서는 촬영이 이루어지면 라이브 뷰 화면에서 가이드라인 표시를 해제한다(S230)(S240).
도 11은 촬영 가이드 제공 방법 중에서 위치 기반 가이드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서는 사용자 위치를 확인하며, 확인된 위치가 포토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0)(S310). 포토존이 아닐 경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포토존에 도달하도록 경로를 안내한다(S320). 이때, 사용자 위치 주변에 포토존이 있을 경우에 한하여 경로를 안내하며, 그 전에 사용자 위치 주변에 포토존이 존재함을 알림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포토존에 도달하거나 포토존에 위치해 있을 경우, 프로세서는 포토존에 매핑된 구도 가이드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시한다(S330)(S340) . 구도 가이드 리스트에는 복수의 구도 가이드 정보가 포함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구도 가이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도 가이드 정보에 따른 가이드라인을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의 구도 가이드 정보에는 사물 또는 배경 가이드라인과 인물 가이드라인이 포함되며, 인물 가이드라인은 둘 이상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도 가이드 정보에 따른 사물/배경 가이드라인과 인물 가이드라인을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한다(S350). 이후, 프로세서는 촬영이 이루어지면 라이브 뷰 화면에서 가이드라인 표시를 해제한다(S360)(S370).
도 12는 촬영 가이드 제공 방법 중에서 사진 가이드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서는 사용자에게 사진 가이드로 사용할 사진 선택을 요청한다(S400). 사용자가 사진을 선택하면, 프로세서는 선택된 사진에 디폴트 투명도를 적용하여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한다(S410). 이후, 프로세서는 촬영이 이루어지면 라이브 뷰 화면에서 가이드라인 표시를 해제한다(S430)(S440). 이상의 도 9 내지 도 12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가이드 기능을 선택하여 촬영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술한 촬영 앵글 정보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촬영 가이드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이 같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 같은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PC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촬영 가이드 제공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이 같은 기록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근접 시청 방지부인 아이 근접 시청 방지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술한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입출력부 200 : 저장부
300 : 통신부 400 : 제어부
500 : 촬영 가이드부 510 : 피사체 가이드 제공부
520 : 자동 인식 가이드 제공부 530 : 위치 기반 가이드 제공부
540 : 사진 가이드 제공부

Claims (7)

  1. 촬영을 위한 라이브 뷰 화면에 피사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표시하는 피사체 가이드 기능;
    을 컴퓨팅 기기에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팅 기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촬영 가이드 프로그램.
  2. 제 1 항에 있어서,
    라이브 뷰 화면의 사물 또는 배경을 인식하며, 인식된 사물 또는 배경에 매핑된 구도 가이드 정보를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하되, 구도 가이드 정보에는 사물 또는 배경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인물의 위치 및 자세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포함된 자동 인식 가이드 기능;
    을 컴퓨팅 기기에 더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팅 기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촬영 가이드 프로그램.
  3. 제 2 항에 있어서,
    자동 인식 가이드 기능은 사물 또는 배경에 매핑된 복수의 구도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구도 가이드 정보를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촬영 가이드 프로그램.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위치한 포토존에 매핑된 구도 가이드 정보를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하되, 구도 가이드 정보에는 사물 또는 배경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인물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포함된 위치 기반 가이드 기능;
    을 컴퓨팅 기기에 더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촬영 가이드 프로그램.
  5. 제 4 항에 있어서,
    위치 기반 가이드 기능은 사용자 위치 주변의 포토존을 알림하며, 사용자의 포토존 선택이 있으면 그 선택된 포토존으로 경로 안내하는 것을 컴퓨팅 기기에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촬영 가이드 프로그램.
  6.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진을 촬영 가이드로 이용하기 위해 소정의 투명도를 적용하여 라이브 뷰 화면에 표시하는 사진 가이드 기능;
    을 컴퓨팅 기기에 더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촬영 가이드 프로그램.
  7. 제 1 항에 있어서,
    피사체 가이드 기능은 피사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외에 그 가이드라인에 매핑된 촬영 앵글 정보를 사용자에게 함께 제공하는 촬영 가이드 프로그램.
KR1020180121211A 2018-10-11 2018-10-11 촬영 가이드 제공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159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211A KR102159803B1 (ko) 2018-10-11 2018-10-11 촬영 가이드 제공 장치 및 프로그램
PCT/KR2019/012252 WO2020075985A1 (ko) 2018-10-11 2019-09-20 촬영 가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211A KR102159803B1 (ko) 2018-10-11 2018-10-11 촬영 가이드 제공 장치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133A true KR20200041133A (ko) 2020-04-21
KR102159803B1 KR102159803B1 (ko) 2020-09-24

Family

ID=70164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211A KR102159803B1 (ko) 2018-10-11 2018-10-11 촬영 가이드 제공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9803B1 (ko)
WO (1) WO202007598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633A1 (ko) * 2020-10-30 2022-05-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촬영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230052806A (ko) * 2021-10-13 2023-04-20 호전실업 주식회사 가상 의류시스템의 활용을 위한 인체 이미지 획득 방법 및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1246A (ja) * 2008-09-25 2010-04-08 Casio Computer Co Ltd 構図選択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3232861A (ja) * 2012-05-02 2013-11-14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653041B1 (ko) 2014-05-23 2016-08-31 주식회사 카카오 촬영 구도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170013062A (ko) * 2015-07-27 2017-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92127A (ko) * 2016-02-02 2017-08-10 가부시키가이샤 모르포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화상처리프로그램과 촬영보조기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647B1 (ko) * 2013-02-22 2020-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이미지 촬영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1246A (ja) * 2008-09-25 2010-04-08 Casio Computer Co Ltd 構図選択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3232861A (ja) * 2012-05-02 2013-11-14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653041B1 (ko) 2014-05-23 2016-08-31 주식회사 카카오 촬영 구도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170013062A (ko) * 2015-07-27 2017-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92127A (ko) * 2016-02-02 2017-08-10 가부시키가이샤 모르포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화상처리프로그램과 촬영보조기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633A1 (ko) * 2020-10-30 2022-05-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촬영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230052806A (ko) * 2021-10-13 2023-04-20 호전실업 주식회사 가상 의류시스템의 활용을 위한 인체 이미지 획득 방법 및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5985A9 (ko) 2020-08-27
WO2020075985A1 (ko) 2020-04-16
KR102159803B1 (ko)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186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nd storing in a camera a user controllable setting that is used to control composite image generation performed after image capture
US73490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composition template
US9438806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for displaying combined avatar and map information related to a subject
US1037961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653041B1 (ko) 촬영 구도 추천 방법, 및 장치
US10389934B2 (en) Mobile device and photographing method thereof with first and second displays and cameras and displaying information based on a target camera
EP30766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framing information
CN112738420B (zh) 特效实现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2040126A (zh) 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159803B1 (ko) 촬영 가이드 제공 장치 및 프로그램
WO2016155227A1 (zh) 显示取景信息的方法及装置
WO2019026919A1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069208A1 (en) Methods, Systems ,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ssuring Horizontal Image Capture
JP2013131905A (ja) 撮像装置
KR102497526B1 (ko) 검출 장치, 검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80300918A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vacuation instruction
US2015027900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KR20190026636A (ko)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및 방법
KR102216145B1 (ko)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및 방법
US11831976B2 (en) Display apparatus
WO2023130435A1 (zh) 交互方法、头戴式显示设备、系统及存储介质
WO2023029991A1 (zh) 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17112442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600196A (zh) 图像处理方法和装置
JP6197849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