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636A -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636A
KR20190026636A KR1020180158564A KR20180158564A KR20190026636A KR 20190026636 A KR20190026636 A KR 20190026636A KR 1020180158564 A KR1020180158564 A KR 1020180158564A KR 20180158564 A KR20180158564 A KR 20180158564A KR 20190026636 A KR20190026636 A KR 20190026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
terminal
unit
detect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원길
권도경
김나원
박진희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58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6636A/ko
Publication of KR2019002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04N5/23222
    • H04N5/2329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진 촬영시 가이드 사진을 반투명 상태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간단한 구도 설정 등이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장치에서 구현되는 사진 촬영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현재 촬영되는 영상을 검출하는 촬영영상 검출부와, 상기 단말기에 부착된 GPS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와, 단말기의 메모리 또는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사진 중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에서 찍은 사진을 검출하는 사진 검출부와, 상기 사진 검출부에서 검출된 사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반투명 처리하여 반투명한 사진으로 생성하는 반투명 처리부와, 상기 촬영영상 검출부에서 검출된 영상과 상기 반투명 처리부에서 생성된 반투명 사진을 서로 오버랩(Overlap)하여 서로 매칭시키는 사진 매칭부와, 상기 사진 매칭부에서 오버랩되어 매칭된 영상 및 사진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Image Support Technology Using OpenCV}
본 발명은 일정 위치에서의 사진촬영을 가이드 사진 샘플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진 촬영시 가이드 사진을 반투명 상태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간단한 구도 설정 등이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장치에서 구현되는 사진 촬영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특히 SNS 사용량이 증가하고, 여러 촬영 기기들이 발달하면서 사진 촬영은 일상적인 일이 되었다. 많은 사람들은 스쳐 지나가는 순간들을 사진으로라도 간직하고자 수없이 셔터를 누르게 된다. 또한 마음에 드는 사진을 찍을 때 까지 끊임없이 촬영을 하게 된다.
그러나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는 이러한 현대인들의 문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때, 사용자가 촬영 구도를 잡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미리보기 화면상에 십자선이나 격자선(grid) 등의 화면 분할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기존에 제작된 사진 촬영 보조/이미지 합성 어플리케이션들은 이미지의 색감을 조정하거나, 채도, 명도를 조정하는 필터 기능만을 제공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어, 좀 더 좋은 사진을 남기고자 하는 카메라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에 부족함이 많이 있다.
이에, 카메라 사용에 있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손쉽게 좋은 사진을 촬영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4794호 (공개일자 2012.02.20.)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1169호 (공개일자 2014.08.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사진 촬영시 가이드 사진을 반투명 상태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간단한 구도 설정 등이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장치에서 구현되는 사진 촬영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람들이 한 장소에서 어떤 방식으로 사진을 찍었는지 볼 수 있는 여행 전용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의 특징은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현재 촬영되는 영상을 검출하는 촬영영상 검출부와, 상기 단말기에 부착된 GPS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와, 단말기의 메모리 또는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사진 중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에서 찍은 사진을 검출하는 사진 검출부와, 상기 사진 검출부에서 검출된 사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반투명 처리하여 반투명한 사진으로 생성하는 반투명 처리부와, 상기 촬영영상 검출부에서 검출된 영상과 상기 반투명 처리부에서 생성된 반투명 사진을 서로 오버랩(Overlap)하여 서로 매칭시키는 사진 매칭부와, 상기 사진 매칭부에서 오버랩되어 매칭된 영상 및 사진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진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사진은 저작권 문제가 없는 타인/자신의 사진 감상 및 촬영이 가능한 SNS 및 단말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진 매칭부는 촬영영상 검출부에서 검출된 영상을 기반으로 반투명 처리부에서 생성된 반투명 사진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투명 사진의 크기 조절은 사용자의 축소/확대 조작 또는 OpenCV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상의 특징점 검출을 통한 좌표값 매칭을 이용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방법의 특징은 (A) 단말기에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단말기의 사진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B) 촬영영상 검출부를 통해 메인 카메라 화면을 통해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촬영 영상을 검출하는 단계와, (C) 위치 검출부를 통해 단말기에 부착된 GPS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D) 사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에서 찍은 단말기의 메모리 또는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사진을 검출하는 단계와, (E) 상기 검출된 사진들 중 선택된 사진을 반투명 처리부를 통해 반투명 처리하여 반투명한 사진으로 생성하는 단계와, (F) 사진 매칭부를 통해 상기 검출된 촬영 영상과 상기 생성된 반투명 사진을 서로 오버랩(Overlap)하여 서로 매칭시키는 단계와, (G) 상기 오버랩되어 매칭된 촬영 영상 및 사진을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에서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사진은 본인 또는 타 촬영자가 직접 촬영한 사진으로 SNS를 통해 공개된 저작권 문제가 해결된 사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E) 단계는 상기 검출된 사진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화면에 표시된 사진 중 촬영하고자 하는 장소에 해당되는 사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F) 단계는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반투명 사진의 크기가 조절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진 크기의 조절은 사용자의 축소/확대 조작 또는 OpenCV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상의 특징점 검출을 통한 좌표값 매칭을 이용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용 타 촬영 보조 애플리케이션들은 사진을 찍고자 하는 곳의 예시 사진을 장소에 맞추어 바로 확인해볼 수 없다. 즉, 타인의 사진 감상 및 촬영이 가능한 SNS가 있지만, 예시 사진의 반투명 처리로 구도를 인식하여 촬영 시 구도를 잡는 것을 도와주는 기술은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사진 촬영시 가이드 사진을 반투명 상태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간단한 구도 설정 등이 가능하게 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은 쉽게 안정적 구도를 잡고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의 기본 기능 및 다양한 필터 제공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구도를 추천하고, 예시 사진을 보여줌으로써 촬영자들로 하여금 기억하고 싶은 순간을 좀 더 만족스럽게 남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서 에플리케이션을 통해 전환되는 화면을 나타낸 실시예
도 4 는 도 2에서 메인 카메라 화면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사진 촬영 보조 장치는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현재 촬영되는 영상을 검출하는 촬영영상 검출부(100)와, 상기 단말기에 부착된 GPS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200)와, 단말기의 메모리 또는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사진 중 상기 위치 검출부(200)에서 검출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500m)에서 찍은 사진을 검출하는 사진 검출부(300)와, 상기 사진 검출부(300)에서 검출된 사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반투명 처리하여 반투명한 사진으로 생성하는 반투명 처리부(400)와, 상기 촬영영상 검출부(100)에서 검출된 영상과 상기 반투명 처리부(400)에서 생성된 반투명 사진을 서로 오버랩(Overlap)하여 서로 매칭시키는 사진 매칭부(500)와, 상기 사진 매칭부(500)에서 오버랩되어 매칭된 영상 및 사진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6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사진 검출부(300)에서 검출되는 사진은 저작권 문제가 없는 타인/자신의 사진 감상 및 촬영이 가능한 SNS 및 단말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사진 매칭부(500)는 촬영영상 검출부(100)에서 검출된 영상을 기반으로 반투명 처리부(400)에서 생성된 반투명 사진의 크기가 조절되게 되며, 이는 사용자의 축소/확대 조작을 통한 수작업 또는 OpenCV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상의 특징점 검출을 통한 좌표값 매칭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단말기에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단말기의 사진 촬영 모드를 설정한다(S10).
그러면, 도 3a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메인 카메라 화면을 통해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촬영 영상이 표시되고, 촬영영상 검출부(100)를 통해 상기 촬영 영상이 검출된다(S20). 이때, 상기 메인 카메라 화면에는 도 4(a)(b)(c)에서 각각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후레쉬(Flash) 기능, 타이머 기능 및 9분할선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버튼을 상단부에 배치된다.
이어, 위치 검출부(200)를 통해 단말기에 부착된 GPS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S30).
그리고 사진 검출부(300)를 통해 검출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500m)에서 찍은 단말기의 메모리 또는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사진을 검출한다(S40). 이때,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사진은 본인 또는 타 촬영자가 직접 촬영한 사진으로 저작권 문제가 해결된 샘플들로서, SNS를 통해 공개된 사진 등을 말한다.
이렇게 검출된 사진들은 도 3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이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사진 중 자신이 촬영하고자 하는 장소에 해당되는 사진을 선택하게 된다(S50).
사용자에 의해 사진이 선택되면(S50), 반투명 처리부(400)를 통해 상기 선택된 사진을 반투명 처리하여 반투명한 사진으로 생성한다(S60).
그리고 사진 매칭부(500)를 통해 도 3c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촬영영상 검출부(100)에서 검출된 촬영 영상과 반투명 처리부(400)에서 생성된 반투명 사진을 서로 오버랩(Overlap)하여 서로 매칭시킨다(S70). 이때,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반투명 사진의 크기가 조절되게 되며, 이는 사용자의 축소/확대 조작을 통한 수작업 또는 OpenCV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상의 특징점 검출을 통한 좌표값 매칭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된다.
이렇게 오버랩되어 매칭된 촬영 영상 및 사진은 단말기의 표시부(600)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S80).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진을 찍고자 하는 곳의 예시 사진을 장소에 맞추어 자신 또는 타인의 사진을 이용하여 바로 확인해볼 수 있으며, 특히 예시 사진의 반투명 처리로 촬영 영상에 오버랩되도록 촬영 시 구도를 잡는 것을 도와주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쉽게 안정적 구도를 잡고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현재 촬영되는 영상을 검출하는 촬영영상 검출부와,
    상기 단말기에 부착된 GPS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와,
    단말기의 메모리 또는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사진 중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에서 찍은 사진을 검출하는 사진 검출부와,
    상기 사진 검출부에서 검출된 사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반투명 처리하여 반투명한 사진으로 생성하는 반투명 처리부와,
    상기 촬영영상 검출부에서 검출된 영상과 상기 반투명 처리부에서 생성된 반투명 사진을 서로 오버랩(Overlap)하여 서로 매칭시키는 사진 매칭부와,
    상기 사진 매칭부에서 오버랩되어 매칭된 영상 및 사진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사진은 저작권 문제가 없는 타인/자신의 사진 감상 및 촬영이 가능한 SNS 및 단말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매칭부는 촬영영상 검출부에서 검출된 영상을 기반으로 반투명 처리부에서 생성된 반투명 사진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 사진의 크기 조절은 사용자의 축소/확대 조작 또는 OpenCV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상의 특징점 검출을 통한 좌표값 매칭을 이용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5. (A) 단말기에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단말기의 사진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B) 촬영영상 검출부를 통해 메인 카메라 화면을 통해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촬영 영상을 검출하는 단계와,
    (C) 위치 검출부를 통해 단말기에 부착된 GPS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D) 사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에서 찍은 단말기의 메모리 또는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사진을 검출하는 단계와,
    (E) 상기 검출된 사진들 중 선택된 사진을 반투명 처리부를 통해 반투명 처리하여 반투명한 사진으로 생성하는 단계와,
    (F) 사진 매칭부를 통해 상기 검출된 촬영 영상과 상기 생성된 반투명 사진을 서로 오버랩(Overlap)하여 서로 매칭시키는 단계와,
    (G) 상기 오버랩되어 매칭된 촬영 영상 및 사진을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사진은 본인 또는 타 촬영자가 직접 촬영한 사진으로 SNS를 통해 공개된 저작권 문제가 해결된 사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검출된 사진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화면에 표시된 사진 중 촬영하고자 하는 장소에 해당되는 사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반투명 사진의 크기가 조절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크기의 조절은 사용자의 축소/확대 조작 또는 OpenCV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상의 특징점 검출을 통한 좌표값 매칭을 이용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방법.
KR1020180158564A 2018-12-10 2018-12-10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및 방법 KR20190026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564A KR20190026636A (ko) 2018-12-10 2018-12-10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564A KR20190026636A (ko) 2018-12-10 2018-12-10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839A Division KR20190026286A (ko) 2017-09-04 2017-09-04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787A Division KR102216145B1 (ko) 2020-02-10 2020-02-10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636A true KR20190026636A (ko) 2019-03-13

Family

ID=6576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564A KR20190026636A (ko) 2018-12-10 2018-12-10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66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8379A (zh) * 2019-07-16 2019-09-2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拍照方法和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4794A (ko) 2010-08-10 2012-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사진 촬영 가이드 방법
KR20140101169A (ko) 2013-02-08 201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진 촬영 가이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4794A (ko) 2010-08-10 2012-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사진 촬영 가이드 방법
KR20140101169A (ko) 2013-02-08 201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진 촬영 가이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8379A (zh) * 2019-07-16 2019-09-2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拍照方法和系统
CN110278379B (zh) * 2019-07-16 2021-04-1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拍照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3022B (zh) 影像評估方法、影像擷取方法及其數位相機
US73490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composition template
CN106034206B (zh) 电子设备及图像显示方法
CN104284074B (zh) 成像方法和成像设备
JP2004343747A (ja) カメラ付移動通信端末機の撮影方法
JPH09181966A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WO2016107055A1 (zh) 拼图的处理方法及装置
JP2018503269A (ja) プレビューイメージの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2010268019A (ja) 撮影装置
US871748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portrait on display
KR20190026636A (ko)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및 방법
JP2008054031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表示制御方法
JP2010141609A (ja) 撮像装置
JP2006253805A (ja)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6115024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2653841B (zh) 拍摄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1502344B1 (ko)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위한 소프트웨어 방식에 의한 교환렌즈 구현 방법
JP5233726B2 (ja) 電子カメラ
WO2019061050A1 (zh) 一种滤镜效果显示方法、装置和移动终端
KR102216145B1 (ko)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및 방법
JP6242428B2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
KR20190026286A (ko) OpenCV를 이용한 사진 촬영 보조 장치 및 방법
JP2017041778A (ja) 撮像装置、動画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809119A (zh) 拍摄方法、拍摄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518587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