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438A - 기능성 스타일러 - Google Patents

기능성 스타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438A
KR20200040438A KR1020180120350A KR20180120350A KR20200040438A KR 20200040438 A KR20200040438 A KR 20200040438A KR 1020180120350 A KR1020180120350 A KR 1020180120350A KR 20180120350 A KR20180120350 A KR 20180120350A KR 20200040438 A KR20200040438 A KR 20200040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styler
functional
body portion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락
김서영
이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스비
Priority to KR1020180120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0438A/ko
Publication of KR20200040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A47G25/50Hooks on hangers for supporting trousers or skir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기능성 스타일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스타일러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구동부, 일측에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구동부로부터 발생한 기류가 흐르는 몸체부, 사용자의 제1의류가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몸체부와 연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기류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통공들이 형성되는 제1옷걸이부, 상기 몸체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제2의류가 거치될 수 있는 제2옷걸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기류가 상기 제2옷걸이부를 향해 방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통공들을 통해 방출되는 기류에 의해 상기 제1의류의 스타일링이 수행되고, 상기 덕트로부터 방출되는 기류에 의해 상기 제2의류의 스타일링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스타일러{Functional styler}
본 발명은 기능성 스타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중에 판매되는 전용 기능성 스타일러와 같이 별도의 전용 케이스나 고가의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간단한 구조로 상의는 물론 바지, 치마 등과 같은 하의까지도 용이하게 스타일링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의류 기능성 스타일러(styler)의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기능성 스타일러는 사용자의 의류를 수납하여, 살균이나 탈취, 주름개선 등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특히 매일 세탁이 어려운 수트나 겨울철 외투 등의 의류를 항상 깔끔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시중에 이러한 전용 기능성 스타일러 제품의 판매가 늘어나고 있으나, 일반적인 전용 기능성 스타일러는 의류의 수납을 위한 전용 케이스와 함께, 기능 향상을 위한 복잡한 내부 구조를 가져 그 비용이 높고 고정적으로 설치될 공간 확보가 필요하여 사용자가 선뜻 구매하기에는 아직 부담이 높은 실정이다.
이러한 전용 기능성 스타일러의 비용이나 공간에 대한 부담을 해소하고, 전용 기능성 스타일러에 비해 그 효과는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으나 간단한 구조로 스타일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한국 공개특허(공개번호 10-2016-0146479, "송풍 장치가 부설된 접이식 옷걸이, 이와 일체형 탈취 포대를 이용한 휴대용 기능성 스타일러 및 이를 이용한 옷 탈취 방법",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공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접이식 옷걸이에 송풍 장치를 구비하여, 옷걸이에 거치된 의류에 송풍 장치에 의해 발생한 기류를 흘려 스타일링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사용자의 의류 중 상의에는 어느 정도 스타일링이 수행될 수 있지만, 하의에는 적용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여 사용자가 매일 착용하는 바지나 치마에 대한 스타일링은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기능성 스타일러가 단순히 기존의 옷걸이 형태를 가짐으로써, 상의라 할지라도 상의의 어깨, 목, 가슴 부위 외에 상의 하단부나 팔 부분에서는 스타일링 효과가 상당히 떨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전용 기능성 스타일러와 같이 별도의 케이스나 고가의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상의는 물론 하의까지 스타일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개번호 10-2016-0146479, "송풍 장치가 부설된 접이식 옷걸이, 이와 일체형 탈취 포대를 이용한 휴대용 기능성 스타일러 및 이를 이용한 옷 탈취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별도의 전용 케이스나 복잡한 구조물이 없이, 스탠드형 옷걸이 형태의 기능성 스타일러를 통해 상의는 물론 하의까지도 스타일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기능성 스타일러에 열전모듈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온풍 또는 냉풍을 선택적으로 의류에 공급하여 스타일링 효과나 의류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발향 캡슐 등을 이용한 향기를 의류에 간편하게 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스타일러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구동부, 일측에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구동부로부터 발생한 기류가 흐르는 몸체부, 사용자의 제1의류가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몸체부와 연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기류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통공들이 형성되는 제1옷걸이부, 상기 몸체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제2의류가 거치될 수 있는 제2옷걸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기류가 상기 제2옷걸이부를 향해 방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통공들을 통해 방출되는 기류에 의해 상기 제1의류의 스타일링이 수행되고, 상기 덕트로부터 방출되는 기류에 의해 상기 제2의류의 스타일링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수납 가능한 가변 덕트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 상기 복수 개의 통공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길이 조절부를 통해 상기 몸체부가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열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팬에 의해 생성된 기류가 상기 열전모듈을 통과하며 온풍 또는 냉풍이 상기 몸체부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2옷걸이부의 회전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옷걸이부는, 양 측단이 지면을 향해 소정의 각도만큼 구부러진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상기 제1옷걸이부에 거치된 상의의 팔 부분에 기류가 방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스타일러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는 발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향부는,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 캡슐, 및 상기 발향 캡슐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스타일러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구동부, 일측에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구동부로부터 발생한 기류가 흐르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의류가 거치될 수 있는 옷걸이부, 및 상기 몸체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기류가 상기 옷걸이부를 향해 방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로부터 방출되는 기류에 의해 상기 의류의 스타일링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따라 흐르는 기류가 복수 개의 통공들이 형성된 제1옷걸이부와 몸체부의 상부를 통해 방출되어 상의에 대한 스타일링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덕트를 통해 방출되는 기류를 통해 제2옷걸이부에 거치되는 하의까지 함께 스타일링이 수행될 수 있어 전용 기능성 스타일러에 비해 공간활용이 용이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의가 거치되지 않고 상의에 대한 스타일링만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덕트를 상기 몸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덕트 사용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전모듈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온풍 또는 냉풍을 이용한 스타일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타일링의 효율은 물론 기능성 스타일러를 사용한 의류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향기를 방출하는 발향 캡슐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의류에 향기를 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스타일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스타일러의 옷걸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덕트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스타일러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스타일러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능성 스타일러를 통한 의류의 '스타일링'은 의류에 기류를 공급하여 탈취효과나 다소의 주름개선 효과, 및/또는 의류의 일시적인 온도조절을 통한 착용감 향상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스타일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스타일러(100)는 내부에 기류가 흐를 수 있도록 빈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에 상기 몸체부(1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흐르는 기류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통공들(121)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제1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제1옷걸이부(120), 상기 몸체부(110) 상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제2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제2옷걸이부(130), 상기 몸체부(110) 상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팬을 포함하는 구동부(140), 및 상기 몸체부(110)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제2옷걸이부(130)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덕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기능성 스타일러(100)는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1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의류는 상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의류는 하의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제1옷걸이부(120)에 거치되는 상기 제1의류가 상의이며, 상기 제2옷걸이부(130)에 거치되는 상기 제2의류가 하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옷걸이부(120)에 하의가 거치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2옷걸이부(130)에 상의가 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옷걸이부(120) 외에도 상기 몸체부(110) 상의 소정의 위치에 복수 개의 통공들(121)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110)에는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부(112)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스타일러(100)는 상기 길이 조절부(112)를 통해 상기 몸체부(110)를 소정 길이로 나누어 분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두 개의 길이 조절부(112)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두 개의 길이 조절부(112) 사이의 몸체부를 분리해낸 후 결합되어 분리된 몸체부만큼의 길이가 짧아진 형태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길이 조절부(112)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스타일러(100)의 길이(몸체부(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반바지나 짧은 치마 등과 같이 일반적인 바지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하의에 상응하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짧은 길이의 하의에도 후술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용이하게 스타일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길이 조절부(112)는 나사 방식 또는 끼움 결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몸체부(110)가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140)에 의해 발생한 기류가 상기 몸체부(110) 내부 공간을 따라 흘러, 상기 제1옷걸이부(120) 및/또는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통공들(12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면서 상기 제1옷걸이부(120)에 거치된 제1의류(예컨대, 상의)의 스타일링이 수행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구동부(140)가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동부(140)는 필요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이나 상기 몸체부(110) 상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구동부(140)가 구동되면서 발생하는 기류가 상기 몸체부(110) 내부 공간을 따라 흐르면서, 상기 복수 개의 통공들(121) 및/또는 후술할 상기 덕트(15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되는 상기 덕트(150)에 의해, 동시에 두 가지 의류에 대한 스타일링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의류(예컨대, 상의)뿐 아니라 제2의류(예컨대, 하의)까지 동시에 용이하고 간편하게 스타일링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종래에는 전용 스타일러를 구비하지 않는 이상 상의 외에 하의에 대한 스타일링을 수행하기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고가의 전용 스타일러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상의는 물론 하의까지 간편하게 스타일링을 수행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기능성 스타일러(100)의 상세한 구성과 기능들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스타일러의 옷걸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옷걸이부(120)에는 복수 개의 통공들(121)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통공들(121)은 상기 제1옷걸이부(120)의 전면, 후면은 물론, 상면을 향해 상기 구동부(140)에 의해 생성된 기류가 방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옷걸이부(120)는 전후 폭은 일반적인 옷걸이에 비해 일정 수준 이상 넓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옷걸이부(120)의 전반적인 전후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옷걸이부(120)의 양 단부의 일부(상의 의 어깨 모서리 부분)의 전후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의가 거치되는 제1옷걸이부(120)의 전후 폭이 넓어지는 경우, 상기 제1옷걸이부(120)에 거치되는 상의의 내부에 공간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어 상기 복수 개의 통공들(121)을 통해 방출되는 기류가 원활히 공급되어 스타일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옷걸이부(120)의 양 측단에, 상기 제1옷걸이부(120)와 연통되며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지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22)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옷걸이부(120)의 측단에 형성된 상기 연장부(122)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는 상기 연장부(122)가 상기 제1옷걸이부(120)와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연장부(122)는 상기 제1옷걸이부(120)의 양 측단으로 부터 연장형성되도록 즉, 상기 제1옷걸이부(120)와 상기 연장부(122)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연장부(122)는 그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통공(122-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장부(122) 및 상기 통공(122-1)은, 상기 제1옷걸이부(120)에 상의가 거치되는 경우 거치된 상의의 팔 부분으로 기류를 방출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122)는 도면에서는 지면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방향에 비해 지면을 향하고 있으면 소정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각도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옷걸이부(130)는 사용자의 하의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집게가 구비된 옷걸이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옷걸이부(13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하의용 옷걸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옷걸이부(130)는 상기 몸체부(110) 상 소정의 위치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옷걸이부(130)의 거치를 위해, 상기 몸체부(110)에는 상기 제2옷걸이부(130)를 거치할 수 있는 소정의 걸림부(예컨대, 도면에 표시된 흑색 원)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제2옷걸이부(1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 및/또는 상기 제1옷걸이부(120)와 별개의 구성으로 상기 걸림부를 통해 거치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1옷걸이부(120)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와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옷걸이부(130)는 상기 몸체부(110) 상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제2의류(예컨대, 하의)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10)의 일부가 변형된 형태이거나, 상기 제2의류(예컨대, 하의)를 거치하기 위한 옷걸이가 상기 몸체부(110) 상에 고정결합된 상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걸림부에는 거치된 상기 제2옷걸이부(1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되는 상기 덕트(150)를 통해 상기 제2옷걸이부(130)에 거치된 하의로 기류가 방출되면서 하의에 대한 스타일링이 수행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덕트(150)를 통해 방출되는 기류로 인해 상기 제2옷걸이부(130)가 흔들리거나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의류(예컨대, 하의)에 대한 스타일링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에 거치된 상기 제2옷걸이부(1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수단(미도시)은 예컨대, 상기 제2옷걸이부(130)의 걸이부를 상기 몸체부(110) 방향으로 압박할 수 있는 소정의 압박수단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걸림부가 소정 간격 이내에서 복수 개 구비되어 회전방지수단(미도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회전방지수단(미도시)은 상기 몸체부(110)에 거치된 상기 제2옷걸이부(130)의 회전 및/또는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면 그 형태나 수단에 구애받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2옷걸이부(130)를 이용해 상기 제2의류(예컨대, 하의)를 길이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2의류(예컨대, 하의) 중 상대적으로 상기 제2의류(예컨대, 하의)의 내측면으로 통하는 입구가 큰 측(예컨대, 허리 부분)이 지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2옷걸이부(130)에 하의를 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 덕트(150)가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의류(예컨대, 하의)의 스타일링을 위한 상기 덕트(150)가, 상기 기능성 스타일러(100)의 상부를 향해 기류를 방출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하의의 내측면으로 기류를 용이하게 받아들여 스타일링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긴 바지의 경우, 하단부(사용자의 발(또는 발목) 측 끝단)보다는 상단부(허리부분)가 지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2옷걸이부(130)에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는, 치마의 경우에는 치마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겠지만 하단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덕트(150)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덕트(150)로부터 방출되는 기류가 지면 방향을 향해 방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40)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경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의류(예컨대, 하의)의 허리 부분이 위쪽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2옷걸이부(130)에 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옷걸이부(130)에 거치되는 상기 제2의류(예컨대, 하의)는 상기 덕트(150)를 통해 방출되는 기류에 의해 스타일링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덕트(150)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덕트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스타일러(100)의 하부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덕트(1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덕트(15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가 아닌,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덕트(150)의 형성 위치는 상기 구동부(140)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덕트(150)의 형성 위치에 따라, 상기 덕트(150)가 기류를 방출하는 방향은 위쪽 방향(상기 덕트(150)가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 위치한 경우)일 수도 있고, 기류를 방출하는 방향이 아래쪽(지면) 방향(상기 덕트(150)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 위치한 경우)일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덕트(150)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류를 방출할 수 있는 가변 덕트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스타일러(100)를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 또는 사용자가 상기 제2의류(예컨대, 하의)를 제외한 상기 제1의류(예컨대, 상의)에 대한 스타일링을 원하는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150)가 상기 몸체부(110)에 수납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옷걸이부(130)에 상기 제2의류(예컨대, 하의)가 거치되어 상기 제2의류(예컨대, 하의)에 대한 스타일링이 필요할 때나, 혹은 상기 제1옷걸이부(120)에 거치되는 상기 제1의류(예컨대, 상의)의 길이가 긴 경우(예컨대, 롱 코트, 롱 패딩 등)와 같이, 상기 제1옷걸이부(120) 및/또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통공들(121)을 통한 상단부에서의 기류 방출과 함께 상기 덕트(150)를 통해 하단부로부터 방출되는 기류를 더 이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몸체부(110)에 수납되어 있던 상기 덕트(150)를 열어 상기 덕트(150)로부터 기류가 방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덕트(150)는 이러한 가변 덕트가 아니라 상기 구동부(140)가 구동되는 경우 항시 기류를 방출할 수 있는 고정 형태의 덕트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덕트(15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덕트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덕트(150)에 대응되는 위치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150)의 하단부는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위치의 하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덕트(150)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상기 몸체부(110)의 외부를 향해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덕트(150)가 돌출되는 경우, 상기 덕트(150)의 상단부는 물론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 공간에서 흐르는 기류의 일부가 방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150)의 측면부는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 공간에 들어갈 수 있는 폭을 가지는 격벽을 통해 막혀있어, 상기 덕트(150)의 개방 시 방출되는 기류의 방향이 상기 몸체부(11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2옷걸이부(130)를 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이처럼 상기 덕트(150)가 가변 덕트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덕트(150)는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수납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소정의 홈이 형성되거나, 별도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덕트(150)의 결합 형태는 통상적인 볼펜과 같이 사용자가 누르는 압력에 의해 개방/수납이 번갈아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체(예컨대, 스프링 등)와 걸림수단을 구비한 스위치 형식의 결합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덕트(150)의 수납이나 개방 여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기능성 스타일러(100)는 열전모듈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기류의 온도를 조절, 필요에 따라 온풍 또는 냉풍을 이용한 스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스타일러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능성 스타일러(100)의 하단부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40)가 구비되어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부(140)는 팬(14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팬(141)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한 기류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흐르고, 상기 복수 개의 통공들(121) 및/또는 상기 덕트(15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141)의 앞에 열전모듈(142)이 구비될 수 있다.
열전모듈(142)은 제백(Seeback) 효과를 이용하거나 펠티어(Peltier) 효과를 이용하여 발전 또는 발열/냉각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열전모듈(142)은 제백 효과를 통해 양단의 온도차가 날 때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거나, 이와는 반대로 양단에 전류를 흘리면 전하를 따라 열이 이동하여 한쪽은 냉각이 되고 다른 쪽은 가열이 되는 펠티어 효과를 통해 전류를 이용한 냉각장치 또는 발열장치를 만드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모듈(142)과, 열전모듈(142)에 가해지는 전류의 흐름 등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등과 같은 기술적 사상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열전모듈(142) 중 가열되는 발열면으로 상기 팬(141)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가 통과하게 되면, 상기 발열면에 의해 기류의 온도가 상승하여 온풍이 생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열전모듈(142)의 냉각면을 상기 기류가 통과하는 경우에는 냉풍이 생성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열전모듈(142)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열전모듈(142)의 발열면과 냉각면은 달라질 수 있어, 이러한 열전모듈(142)의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기능성 스타일러(100)에서 온풍 또는 냉풍을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온풍의 경우 상대적으로 의류의 스타일링 예컨대, 탈취나 주름개선 등의 효과가 한층 향상될 수도 있으며, 추운 겨울철 의류를 따뜻하게 하여 의류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냉풍의 경우, 상대적으로 의류의 스타일링 효과는 떨어질 수 있으나, 더운 여름철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할 때 시원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열전모듈(142)을 이용하게 되는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전모듈(142)의 발열면과 냉각면이 나뉘는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팬(141)에서 발생하는 기류 중 상기 몸체부(110)로 공급될 기류 외에, 나머지는 외부로 그대로 방출되면서 상기 열전모듈(142)의 방열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열로(14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름철 의류를 시원하게 하기 위하여 냉풍을 이용한 스타일링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몸체부(110)와 연결되는 통로에 위치한 열전모듈(142)의 일면(도면에서 상면)이 냉각면이 되고, 반대로 열전모듈(142)의 하면은 발열면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141)이 구동되는 경우, 구분된 통로를 통해 상기 열전모듈(142)의 냉각면을 통과한 냉풍만이 상기 몸체부(110)로 공급되고, 상기 발열면을 통과하는 기류는 상기 방열로(143)를 통해 의류로 향하지 않고 그대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면을 통과하는 기류는 온도가 상승하는 발열면의 방열에도 기여할 수 있어 그 효율이 향상될 수도 있다.
한편, 팬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나 상기 기류가 상기 열전모듈(142)을 통과하며 생성되는 온풍/냉풍에 의해 상기 기능성 스타일러(100)를 통한 스타일링시 의류의 탈취효과가 어느 정도 발생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별도의 케이스를 통해 밀폐된 공간에서 스타일링이 수행되는 것이 아니므로 탈취효과가 사용자의 기대에 못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류가 지나는 통로 상에 별도의 발향 캡슐(향기 캡슐)과 같은 발향제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통공들(121)을 통해 방출되는 기류에 향기를 더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이 도 6에 도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스타일러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기능성 스타일러(100)는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는 발향 캡슐(172)과, 상기 발향 캡슐(172)을 수용하는 수용부(171)를 포함하는 발향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발향부(170)는 전술한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되어 몸체부(110)의 분리가 가능한 길이 조절부(112)를 통해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71)는 상기 발향 캡슐(172)을 수용하면서도 기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도록 망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71)는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 공간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발향부(170) 자체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 공간 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상단이 외부를 향해 꺾여 상기 몸체부(110)의 외주면에 걸쳐질 수 있도록 고정부(17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부(173)는 상기 몸체부(110)의 외주면에 걸쳐져 상기 발향부(170)의 낙하를 방지하지만, 상기 몸체부(110)가 상기 길이 조절부(112)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필요 이상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발향부(170)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발향부(170)를 사용하여 의류에 향기를 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발향 캡슐(172)의 교체나 자신이 원하는 향기를 골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기능성 스타일러(100)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의류가 거치되는 옷걸이부, 기류를 발생하는 구동부(140) 및 상기 몸체부(110) 상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옷걸이부를 향해 상기 구동부(140)로부터 발생하는 기류를 방출할 수 있는 덕트(150)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기능성 스타일러(100)는 상기 옷걸이부에 거치된 사용자의 의류에 상기 덕트(150)를 통해 방출되는 기류를 이용하여 스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덕트(150)는 전술한 가변 덕트로 구현되거나, 또는 가변 덕트가 아닌 고정형 덕트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에 전술한 바와 같은 길이 조절부(112)가 형성되어, 상기 옷걸이부에 거치되는 의류의 길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고가의 전용 기능성 스타일러를 구입하는 비용 부담과, 전용 기능성 스타일러를 위한 공간 확보에 대한 부담 없이 간편하게 의류의 스타일링을 수행할 수 있는 매우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일반적인 옷걸이에 단순히 통공을 형성하여 상의에만 적용이 가능한 종래의 기술들과 달리, 본 발명은 기류가 지나는 몸체부(110)에 형성된 덕트(150)와 제2옷걸이부(130)를 통해 하의에 대해서도 스타일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그 사용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구동부;
    일측에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구동부로부터 발생한 기류가 흐르는 몸체부;
    사용자의 제1의류가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몸체부와 연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기류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통공들이 형성되는 제1옷걸이부;
    상기 몸체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제2의류가 거치될 수 있는 제2옷걸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기류가 상기 제2옷걸이부를 향해 방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통공들을 통해 방출되는 기류에 의해 상기 제1의류의 스타일링이 수행되고,
    상기 덕트로부터 방출되는 기류에 의해 상기 제2의류의 스타일링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타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수납 가능한 가변 덕트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타일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 상기 복수 개의 통공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타일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길이 조절부를 통해 상기 몸체부가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타일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열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팬에 의해 생성된 기류가 상기 열전모듈을 통과하며 온풍 또는 냉풍이 상기 몸체부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타일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2옷걸이부의 회전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타일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옷걸이부는,
    양 측단이 지면을 향해 소정의 각도만큼 구부러진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상기 제1옷걸이부에 거치된 상기 제1의류의 팔 부분에 기류가 방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타일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스타일러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는 발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향부는,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 캡슐; 및
    상기 발향 캡슐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스타일러.
  9.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구동부;
    일측에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구동부로부터 발생한 기류가 흐르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의류가 거치될 수 있는 옷걸이부; 및
    상기 몸체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기류가 상기 옷걸이부를 향해 방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로부터 방출되는 기류에 의해 상기 의류의 스타일링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타일러.


KR1020180120350A 2018-10-10 2018-10-10 기능성 스타일러 KR20200040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350A KR20200040438A (ko) 2018-10-10 2018-10-10 기능성 스타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350A KR20200040438A (ko) 2018-10-10 2018-10-10 기능성 스타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438A true KR20200040438A (ko) 2020-04-20

Family

ID=70467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350A KR20200040438A (ko) 2018-10-10 2018-10-10 기능성 스타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04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919B1 (ko) 2020-07-16 2021-10-12 고창식 스타일러 옷걸이용 고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479A (ko) 2015-11-27 2016-12-21 주식회사 크린에이드 송풍 장치가 부설된 접이식 옷걸이, 이와 일체형 탈취 포대를 이용한 휴대용 스타일러 및 이를 이용한 옷 탈취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479A (ko) 2015-11-27 2016-12-21 주식회사 크린에이드 송풍 장치가 부설된 접이식 옷걸이, 이와 일체형 탈취 포대를 이용한 휴대용 스타일러 및 이를 이용한 옷 탈취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919B1 (ko) 2020-07-16 2021-10-12 고창식 스타일러 옷걸이용 고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2750A (en) Portable clothing and equipment drier
JP2005023506A (ja) 熱電モジュールを用いた機能性衣服
US7103989B2 (en) Sports equipment conditioning apparatus
US20110187165A1 (en) Vehicle seat
JP6411817B2 (ja) 布団乾燥機
US20110146098A1 (en) Collapsible drying bag
KR200486715Y1 (ko) 휴대형 소형 건조기
US20070164062A1 (en) Garment hanger incorporating garment drying system
ES2389511T3 (es) Percha de acondicionamiento de ropa y procedimiento de uso de la misma
KR20200040438A (ko) 기능성 스타일러
US200500977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gloves and boots
KR101824533B1 (ko) 헬멧형 헤어드라이어
EP3502579A1 (en) Cooling and ventilation device, cooling hat, cooling shoe and cooling backpack
MX2012009086A (es) Equipo para secado de cabellos con chorros de aire dirigidos obtenidos mediante el acoplamiento de un secador de cabellos electrico y un secador de cabellos con chorros de aire dirigidos.
US8367010B2 (en) Ozone device for deodorizing dresses
KR20150001907U (ko) 에어 상의
CN205821809U (zh) 烘干晾衣架
JP2012246591A (ja) 送風機能を備えた装着体
JP2005334130A (ja) ヘアドライヤー
CN105937152A (zh) 烘干晾衣架
CN205821808U (zh) 烘干晾衣架
KR20200012658A (ko) 다기능 빨래건조장치
US2633647A (en) Electric heater and fan
WO2023119817A1 (ja) 送風ユニット
JPH11158710A (ja) 発熱または冷却用小型熱源内蔵型暖房または冷房衣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