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117A - 차량용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117A
KR20200040117A KR1020180120000A KR20180120000A KR20200040117A KR 20200040117 A KR20200040117 A KR 20200040117A KR 1020180120000 A KR1020180120000 A KR 1020180120000A KR 20180120000 A KR20180120000 A KR 20180120000A KR 20200040117 A KR20200040117 A KR 20200040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radiation plate
vehicle
bellows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8955B1 (ko
Inventor
황용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0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9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0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1Noise generation, e.g. drive noise to warn pedestrians that an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는, 수용공간을 가진 인클로저; 상기 인클로저의 일단에 배치되고, 일정한 진동방향을 따라 진동하는 방사판; 상기 방사판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인클러저의 일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벨로우즈; 상기 방사판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한 보빈; 상기 보빈의 외면에 감겨진 보이스코일; 및 상기 인클로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보이스코일에 대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VIRTUAL ENGINE SOUND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커 및 인클로저(enclosure)가 일체화된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음파의 전파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제조비용 및 중량 등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저주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자동차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전기모터 및 엔진의 동력으로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비롯하여, 전기모터의 동력만으로 주행하는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의 발전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료전지 차량 등 친환경 차량(environmentally friendly vehicle)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차량의 EV주행 모드 즉, 전기모터의 동력에 의해 차량이 주행하는 운전조건에서는 주행 소음이 매우 낮은 저소음 상태가 됨에 따라, 차량 주변의 보행자(특히, 시각 장애인)들이 차량 접근을 미처 인지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가상 엔진음을 스피커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전달함으로써, 보행자들이 차량 접근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VESS: Virtual Engine Sound System)가 친환경 차량에 탑재되고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는 가상 엔진음을 발생하는 스피커(1) 및 스피커(1)를 감싸는 인클로저(2, enclosure)를 포함한다.
스피커(1)는 전기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진동판(3, diaphragm)과, 진동판(3)을 지지하는 프레임(4)과,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모듈(5)과, 진동판(3)에 연결된 보빈(6)과, 보빈(6)의 외면에 감겨진 보이스코일(8)과, 진동판(3) 또는 보빈(6)을 지지하는 댐퍼(7)와, 진동판(3)의 중심부에 위치한 더스트 캡(3b)과, 진동판(3)의 가장자리 및 프레임(4)을 연결하는 에지(3c)를 포함한다.
프레임(4) 및 에지(3c)는 인클로저(2)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자기모듈(5)은 보이스코일(8)의 중심에 배치된 폴 피스(5a)와, 폴 피스(5a)의 외경방향에 배치된 마그네트(5b)와, 마그네트(5b)의 상면에 적층된 탑 플레이트(5c), 마그네트(5b)의 저면에 적층된 바텀 플레이트(5d)를 포함한다.
폴 피스(5a)와 탑 플레이트(5c)가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됨에 따라 자기 갭(magnetic gap)이 형성되고, 이에 보이스코일(8)이 자기갭 내에서 왕복이동함으로써 진동한다.
이에 의해, 보이스코일(8)에 전류가 인가되면 보이스코일(8)에는 전기장이 형성되고, 자기모듈(5)에 의해 자기장이 형성되며, 전기장과 자기장이 상호작용함에 따라 전자기력이 발생하며, 이러한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판(3)이 진동하고, 이러한 진동판(3)의 진동에 의해 음파가 발생한다.
인클로저(2)는 스피커(1) 내로 외부 먼지, 수분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도록 스피커(1)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되고, 이에 스피커(1)는 인클로저(2)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인클로저(2)는 스피커(1)를 외부에 대해 밀폐하는 수밀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인클로저(2)는 스피커(1)의 진동판(3)에 의해 생성된 음파를 투과하는 투과판(2a)과, 투과판(2a)의 맞은편에 배치된 바닥판(2b)과, 투과벽(2a)과 바닥판(2b) 사이의 측면을 둘러싸는 측벽(2c)을 포함한다.
또한, 인클로저(2)의 내부에는 스피커(1)를 제어하는 컨트롤러(9)가 내장될 수 있다.
스피커(1)에서 생성된 음파가 인클로저(2)의 투과판(2a)을 통해 외부로 투과되고, 이때 스피커(1)의 진동판(3)과 인클로저(2)의 투과판(2a) 사이에는 음파의 투과 및 반사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인클로저(2)는 경질 재질(예컨대, PA66 및 GF30 등이 혼합된 플라스틱 계열 재료)로 이루어짐에 따라 음파의 투과량이 매우 협소해진다. 음파의 투과량은 재질의 임피던스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예컨대, 공기의 임피던스가 415rays, 플라스틱 계열 재료의 임피던스가 약 1.8Mrays이다. 이로 인해 공기의 임피던스와 약 4300배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음파의 반사현상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음향에너지가 인클로저(2)의 내부에 머물러 있으므로 음파의 투과율이 매우 저하된다.
종래의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는 스피커(1) 및 인클로저(2)로 2원화된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재료비 등의 상승으로 인한 제조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중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상 엔진 발생장치는 스피커(1) 및 인클로저(2)가 개별적으로 제조되고 조립됨에 따라 그 제작공수 및 조립공수 등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가상 엔진 발생장치의 여러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클로저의 투과판에 보빈 및 보이스코일을 직접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인클로저의 투과판과 스피커의 진동판을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이를 통해 음파의 투과율을 개선한 개선된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개선된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는 인클로저의 투과판이 기존 스피커의 진동판 재질에 비해 강성이 큰 재질(예컨대, 플라스틱 계열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에 강성의 증가에 해당하는 만큼으로 최저 공진주파수가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최저 공진주파수의 상승에 의해 저주파 성능이 하락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종래 스피커의 진동판 및 종래 인클로저(enclosure)의 투과판을 '방사판'으로 일원화함으로써 스피커 및 인클로저를 일체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음파의 전파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 및 중량 등을 절감할 수 있고, 저주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는,
수용공간을 가진 인클로저;
상기 인클로저의 일단에 배치되고, 일정한 진동방향을 따라 진동하는 방사판;
상기 방사판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인클러저의 일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벨로우즈;
상기 방사판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한 보빈;
상기 보빈의 외면에 감겨진 보이스코일; 및
상기 인클로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보이스코일에 대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로우즈가 상기 방사판의 진동방향을 따라 주름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사판은 그 중심부로부터 외측 가장자리 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사판의 중심부에는 더스트 캡이 연결되고, 상기 방사판의 두께는 상기 더스트 캡으로부터 상기 벨로우즈 측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사판은 콘 형상으로 테이퍼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클로저는 바닥벽 및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바닥벽 및 측벽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상기 인클로저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인클로저 및 제2인클로저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판, 상기 벨로우즈, 상기 보빈, 및 상기 보이스코일이 상기 제1인클로저에 연결되며, 상기 자기모듈이 상기 제2인클로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인클로저는 상기 벨로우즈의 하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제1측벽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인클로저는 상기 자기모듈이 부착되는 바닥벽 및 상기 자기모듈을 포위하는 제2측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측벽의 하단 및 상기 제2측벽의 상단에는 끼움돌기 및 끼움홈이 상호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빈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방사판의 외측 가장자리가 벨로우즈(bellows)를 통해 인클로저의 일단 가장자리에 연결됨으로써 종래 스피커의 진동판과 종래 인클로저의 투과판이 본 발명의 '방사판'으로 일원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피커 및 인클로저의 일체화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방사판이 벨로우즈에 의해 원활하게 진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음향 임피던스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음파(엔진 가상음)가 외부로 직접적으로 전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스피커의 진동판 및 종래 인클로저의 투과판이 본 발명의 방사판으로 일원화됨으로써 제조비용 및 중량 등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방사판의 강성이 종래 스피커의 진동판의 강성 보다 커지더라도 방사판의 외측 가장자리가 벨로우즈를 통해 인클로저의 일단 가장자리에 연결됨에 따라 주파수 성능의 평탄화를 구현함으로써 최저 공진주파수를 낮출 수 있으므로 저주파 성능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가상음 발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상음 발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상음 발생장치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상음 발생장치의 주파수 해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조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시뮬레이션 조건에 의한 주파수 대 음압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상음 발생장치의 벨로우즈의 주름갯수를 다양하게 변경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벨로우즈의 주름갯수의 변화에 따라 최저 공진주파수의 변화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벨로우즈의 주름갯수에 따른 최저 공진주파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상음 발생장치(10)는 인클로저(20, enclosure)와, 인클로저(20)의 일단에 배치된 방사판(11)과, 방사판(11)의 외측 가장자리와 인클로저(20)의 일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벨로우즈(12)와, 방사판(11)에 연결된 보빈(13)과, 보빈(13)의 외면에 감겨진 보이스코일(14)과, 보이스코일(14)에 대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모듈(15)을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20)는 원통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인클로저(20)는 보빈(13), 보이스코일(14), 및 자기모듈(15) 등을 수용하는 수용공간(23)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빈(13), 보이스코일(14), 및 자기모듈(15) 등이 인클로저(20) 내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므로, 수분 및 먼지 등이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하는 수밀형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인클로저(20)는 바닥벽(25)과, 측벽(26)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수용공간(23)은 바닥벽(25) 및 측벽(26)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방사판(11)은 인클로저(20)의 바닥벽(25)의 맞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방사판(11)은 콘 형상으로 테이퍼진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방사판(11)의 중심부에는 더스트 캡(19)이 연결될 수 있다. 즉, 방사판(11)의 내측 가장자리가 더스트 캡(19)에 연결될 수 있고, 더스트 캡(19)은 인클로저(20)의 수용공간(23)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방사판(11)은 자기장 및 전기장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한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음파(엔진 가상음)를 발생할 수 있다.
벨로우즈(12)는 인클로저(20)에 대응한 원통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벨로우즈(12)은 방사판(11)의 진동방향을 따라 주름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방사판(11)은 수직방향을 따라 진동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을 따라 주름지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벨로우즈(12)의 주름방향과 방사판(11)의 진동방향이 동일할 수 있고, 이에 방사판(11)의 진동방향을 따라 벨로우즈(12)가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방사판(11)이 종래 스피커의 진동판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가진 재질(예컨대, 플라스틱 계열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벨로우즈(12)에 의해 방사판(11)의 움직임(진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방사판(11)의 진동에 의해 생성된 음파(엔진 가상음)가 외부로 직접적으로 전파됨으로써 음파의 전파성능이 대폭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판(11)의 두께는 방사판(11)의 중심부로부터 방사판(11)의 외측 가장자리 측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판(11)의 두께는 더스트 캡(19)으로부터 벨로우즈(12) 측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벨로우즈(12)와 연결된 방사판(11)의 외측가장자리의 두께가 더스트 캡(19)과 연결된 방사판(11)의 내측가장자리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방사판(11)의 진동에 따른 벨로우즈(12)의 접힘 내지 펼침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방사판(11)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때 벨로우즈(12)는 방사판(11)의 상부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펼쳐질 수 있고, 방사판(11)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때 벨로우즈(12)는 방사판(11)의 하부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접혀질 수 있다.
보빈(13)은 방사판(11)의 이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보빈(13)은 인클로저(20)의 수용공간(23)에 위치할 수 있다.
보이스코일(14)은 보빈(13)의 외면에 감겨져 고정되고, 이를 통해 보이스코일(14)은 인클로저(20)의 수용공간(23)에 위치할 수 있다.
자기모듈(15)은 인클로저(20)의 수용공간(23)에 위치할 수 있고, 보이스코일(14)에 대해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기모듈(15)은 보이스코일(14)의 중심에 배치된 폴 피스(15a)와, 폴 피스(15a)의 외경방향에 배치된 마그네트(15b)와, 마그네트(15b)의 상면에 적층된 탑 플레이트(15c), 마그네트(15b)의 저면에 적층된 바텀 플레이트(15d)를 포함한다. 폴 피스(15a)와 탑 플레이트(15c)가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됨에 따라 자기 갭(magnetic gap)이 형성되고, 이에 보이스코일(14)이 자기갭 내에서 왕복이동함으로써 진동한다.
소리정보를 가진 전류가 보이스코일(14)에 인가되면 보이스코일(14)에는 전기장이 형성되고, 자기모듈(15)에 의해 자기장이 형성되며, 전기장과 자기장이 상호작용함에 따라 전자기력이 발생하며, 이러한 전자기력에 의해 보이스코일(14)이 자기갭 내에서 왕복이동하고, 이에 방사판(11)이 보이스코일(14) 및 보빈(13)과 함께 진동함에 따라 소리정보에 상응한 음파(엔진 가상음)가 발생한다. 그리고, 보이스코일(14) 및 자기모듈(15)에 의해 발생한 전자기력에 의해 방사판(11)이 일정한 진동방향(수직방향)을 따라 진동할 때 벨로우즈(12)는 방사판(11)의 진동방향(수직방향)을 따라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또한, 인클로저(20)의 수용공간(23)에는 보이스코일(14)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수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인클로저(20)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인클로저(21) 및 제2인클로저(22)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판(11), 벨로우즈(12), 보빈(13), 및 보이스코일(14)은 제1인클로저(21)에 장착될 수 있고, 제1인클로저(21)는 벨로우즈(12)의 하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제1측벽(26a)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모듈(15)의 폴 피스(15a), 마그네트(15b), 탑 플레이트(15c), 바텀 플레이트(15d)는 제2인클로저(22)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인클로저(22)는 자기모듈(15)이 부착되는 바닥벽(25) 및 자기모듈(15)을 포위하는 제2측벽(26b)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모듈(15)의 바텀 플레이트(15d)가 제2인클로저(22)의 바닥벽(25)에 고정됨으로써 자기모듈(15)은 제2인클로저(22)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제1측벽(26a)의 하단 및 제2측벽(26b)의 상단에는 끼움돌기(31) 및 끼움홈(32)가 마련될 수 있고, 끼움돌기(31)가 끼움홈(32)에 끼워지거나 분리됨에 따라 제1인클로저(21)의 제1측벽(26a)과 제2인클로저(22)의 제2측벽(26b)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끼움돌기(31) 및 끼움홈(32) 사이에는 밀봉재(미도시)가 개재됨으로써 제1인클로저(21) 및 제2인클로저(22)의 수밀 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인클로저(21) 및 제2인클로저(22)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자기모듈(15), 보빈(13) 및 보이스코일(14)을 인클로저(20)에 보다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10)의 인클로저(20), 방사판(11), 벨로우즈(12), 및 보빈(13)을 2D symmetrical model(2D 축대칭 모델)를 이용하여 해석하는 시뮬레이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자기모듈(15) 및 보이스코일(14)을 생략한 상태에서 보빈(13)에 수직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함으로써 방사판(11) 및 보빈(13)이 수직방향을 따라 진동하는 시뮬레이션 조건을 적용한다. 그리고, 벨로우즈(12)의 주름갯수가 4개이고,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10)가 반사파를 제거한 무한공간에 놓여 있는 perfect matching layer를 가정한다.
도 5는 도 4의 시뮬레이션에 의한 주파수 대 음압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벨로우즈(12)에 의해 주파수 평탄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최저 공진주파수가 대략 106Hz로서 100Hz에 근접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저주파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벨로우즈(12)의 주름갯수를 변경하면서 도 4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최저 공진주파수가 변화하는 지를 해석하였다.
도 6(a)는 벨로우즈(12)의 주름갯수(N)가 1개(N=1)인 경우를 예시하고, 도 6(b)는 벨로우즈(12)의 주름갯수(N)가 2개(N=2)인 경우를 예시하며, 도 6(c)는 벨로우즈(12)의 주름갯수(N)가 5개(N=5)인 경우를 예시한다.
도 7 및 도 8은 벨로우즈(12)의 주름갯수(N)에 따른 최저 공진주파수의 변화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로우즈(12)의 주름갯수(N)가 증가함에 따라(N=1, 2, 3, 4, 5) 최저 공진주파수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벨로우즈(12)의 주름갯수(N)가 증가함에 따라 저주파 성능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도 7 및 도 8에 따르면, 벨로우즈(12)의 주름갯수(N)은 4개 이상인 경우에 최저 공진주파수가 100Hz에 근접해질 수 있으므로, 벨로우즈(12)의 주름갯수(N)를 4개 이상으로 설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차량용 가상음 발생장치 11: 방사판
12: 벨로우즈 13: 보빈
14: 보이스코일 15: 자기모듈
15a: 폴 피스 15b: 마그네트
15c: 탑 플레이트 15d: 바텀 플레이트
20: 인클로저 23: 수용공간
25: 바닥벽 26: 측벽

Claims (9)

  1. 수용공간을 가진 인클로저;
    상기 인클로저의 일단에 배치되고, 일정한 진동방향을 따라 진동하는 방사판;
    상기 방사판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인클러저의 일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벨로우즈;
    상기 방사판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한 보빈;
    상기 보빈의 외면에 감겨진 보이스코일; 및
    상기 인클로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보이스코일에 대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가상음 발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가 상기 방사판의 진동방향을 따라 주름진 구조로 구성되는 차량용 가상음 발생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사판은 그 중심부로부터 외측 가장자리 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차량용 가상음 발생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사판의 중심부에는 더스트 캡이 연결되고, 상기 방사판의 두께는 상기 더스트 캡으로부터 상기 벨로우즈 측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가상음 발생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사판은 콘 형상으로 테이퍼진 구조로 구성되는 차량용 가상음 발생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는 바닥벽 및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바닥벽 및 측벽에 의해 한정되는 차량용 가상음 발생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인클로저 및 제2인클로저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판, 상기 벨로우즈, 상기 보빈, 및 상기 보이스코일이 상기 제1인클로저에 연결되며,
    상기 자기모듈이 상기 제2인클로저에 장착되는 차량용 가상음 발생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인클로저는 상기 벨로우즈의 하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제1측벽을 가지고,
    상기 제2인클로저는 상기 자기모듈이 부착되는 바닥벽 및 상기 자기모듈을 포위하는 제2측벽을 가지는 차량용 가상음 발생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의 하단 및 상기 제2측벽의 상단에는 끼움돌기 및 끼움홈이 상호 대응되게 마련되는 차량용 가상음 발생장치.
KR1020180120000A 2018-10-08 2018-10-08 차량용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 KR102598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000A KR102598955B1 (ko) 2018-10-08 2018-10-08 차량용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000A KR102598955B1 (ko) 2018-10-08 2018-10-08 차량용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117A true KR20200040117A (ko) 2020-04-17
KR102598955B1 KR102598955B1 (ko) 2023-11-06

Family

ID=70460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000A KR102598955B1 (ko) 2018-10-08 2018-10-08 차량용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9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185A (ko) * 1997-11-04 1999-06-05 전주범 슬림형 스피커
KR20110022203A (ko) * 2009-08-27 2011-03-07 신정열 슬림형 스피커
KR20110037483A (ko) * 2009-10-07 2011-04-13 주식회사 뉴지로 마스토이드에 합성수지 재질의 음향 진동판이 일체로 형성된 골전도 진동장치
KR101560363B1 (ko) * 2015-02-23 2015-10-19 주식회사 슬리비스 스피커 장치
KR101633306B1 (ko) * 2015-01-19 2016-07-08 이남규 보이스 코일기능을 이용한 자석 진동형 엑츄에이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185A (ko) * 1997-11-04 1999-06-05 전주범 슬림형 스피커
KR20110022203A (ko) * 2009-08-27 2011-03-07 신정열 슬림형 스피커
KR20110037483A (ko) * 2009-10-07 2011-04-13 주식회사 뉴지로 마스토이드에 합성수지 재질의 음향 진동판이 일체로 형성된 골전도 진동장치
KR101633306B1 (ko) * 2015-01-19 2016-07-08 이남규 보이스 코일기능을 이용한 자석 진동형 엑츄에이터
KR101560363B1 (ko) * 2015-02-23 2015-10-19 주식회사 슬리비스 스피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955B1 (ko) 202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669B1 (ko) 스피커 모듈
KR101840735B1 (ko) 스피커 모듈 및 해당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JP6960189B2 (ja) 発声装置
CN106851504A (zh) 电声组件、电声装置及移动终端
EP1962552A1 (en) Ultrasonic transducer
US5875252A (en) Loudspeaker for high frequencies
JP2019511014A (ja) 吸音器、防音壁ならびに設計および製造のための方法
WO2019137192A1 (zh) 发声装置
KR20170019438A (ko) 스피커 모듈
US20160105749A1 (en) Speaker with embedded piezoelectric transducer
KR20170019436A (ko) 스피커 모듈
US9949018B2 (en) Distributed mode louspeaker damping oscillations within exciter feet
EP1585363A2 (en) Improved audio frequency speaker
US20230319481A1 (en) Sound generating device module
KR20140116947A (ko) 스피커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US20140233768A1 (en) Acoustic generator, acoustic genera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2598955B1 (ko) 차량용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
WO2020218038A1 (ja) 超音波センサ
CN107683611B (zh) 电声转换器、具有电声转换器的组装体以及具有该组装体的电声转换装置
JP7226154B2 (ja) 超音波センサ
US20230328425A1 (en) Sound generating device module
CN109982222B (zh) 一种微型受话器
JP5825522B2 (ja) スピーカ装置
JP5185782B2 (ja) 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の振動雑音調整方法
CN212344039U (zh) 扬声器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