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955A - 습식필터유닛을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습식필터유닛을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955A
KR20200039955A KR1020180119580A KR20180119580A KR20200039955A KR 20200039955 A KR20200039955 A KR 20200039955A KR 1020180119580 A KR1020180119580 A KR 1020180119580A KR 20180119580 A KR20180119580 A KR 20180119580A KR 20200039955 A KR20200039955 A KR 20200039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iquid
wet filter
support plate
plate
cleaning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룡
이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뱅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뱅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뱅크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119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9955A/ko
Publication of KR20200039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3/1603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42Treatment of used liquid, e.g. cleaning for recyc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5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active carbon
    • F24F2003/1614
    • F24F2003/1617
    • F24F2003/16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액 저장부; 상기 세정액 저장부의 세정액을 펌프로 이송하여 하기 지지판의 상면 상부에 흘려보내는 세정액 토출부; 상기 세정액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액이 상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1개 이상이 배치되며 외부의 공기가 세정액을 통과하는 습식필터유닛; 상기 습식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강제로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습식필터유닛은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서 연장되어 배치되며 세정액을 임시로 수용할 수 있는 세정액 수용부;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습식필터 경사판 상측 말단 모두는 상기 세정액 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습식필터 경사판 상측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습식필터 경사판 하측 말단의 모두가 상기 세정액 수용부에 임시로 수용된 세정액에 잠기며, 하향 경사진 습식필터 경사판상면을 따라서 상기 세정액이 흘러내리는 습식필터 경사판; 상기 세정액 수용부에 임시로 수용된 세정액을 통과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의 일부를 천공한 공기관통부; 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습식필터유닛을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Humidifying Air Cleaner with wet filter unit}
본원 발명은 습식필터유닛을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습식필터유닛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가습 기능을 갖는 가습공기청정기에 대한 것이다.
공기정화기 또는 공기청정기는 공기를 빨아들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 또는 세균 등을 걸러내고, 깨끗해진 공기를 기기 밖으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장치마다 정화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으나, 물에 먼지 등을 흡착시키는 방식, 다양한 필터를 조합하여 먼지를 걸러내는 방식, 대전된 음이온 입자 등의 전기적 성질을 이용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방식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계절의 특성상 공기청정기는 건조한 봄, 가을 또는 겨울에 주로 사용된다.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가습기가 사용될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등에 의해서 나빠진 실내 공기를 개선하기 위한 공기청정기도 같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최근에 이러한 문제를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가습기능을 겸비한 습식공기청정기가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습식공기청정기는 물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실내에 있는 먼지나 분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여기서 사용한 물을 이용하여 가습기능도 동시에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특허문헌 1은 하부 내측의 저수조를 형성하는 본체하우징과, 실내 공기를 본체하우징 내부를 통과하도록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기와, 하부가 저수조 내부에 잠긴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마련된 디스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크는 저수조의 물을 계속적으로 퍼 올리면서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실내공기가 송풍기에 의해 본체하우징 내부를 통과하게 될 때,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은 이러한 수막에 흡착되고, 이물질을 흡착된 부위의 디스크가 다시 저수조의 물 속으로 들어감에 따라 저수조 내부 물 속으로 분리되어 침전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공기청정기의 경우 디스크의 회전운동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디스크 표면에 수막이 얇고 불안정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 같이 불안정한 상태의 수막은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실내공기가 다소 강하게 송풍될 경우 바로 없어질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른 습식공기청정기의 경우 수막을 보존하기 위해서 매우 풍속이 낮아야 하며 이에 따른 처리량이 매우 작은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2는 공기 유입수단으로부터 계단 형태로 일정한 간격으로 적층되며, 표면을 따라 물이 흐르는 다수의 슬라이드에 실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 정화기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기는 공기정화필터를 구비하여 1차로 공기정화 후 2차로 상기 슬라이드로 공기를 유입시켜 공기를 정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허문헌 2의 구조는 공기정화기능이 주로 1차 이루어지는 것이며, 물과 공기가 접촉하는 경로가 단순하기 때문에 충분한 집진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0947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91805호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빠른 풍속에도 대응하여 작은 부피에도 처리량이 크고, 가습 기능을 가지면서도 미세먼지 등의 제거 효율이 매우 높은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는 필터를 거의 교체할 필요가 없이 미세먼지를 계속 제거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습식필터유닛을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는,
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액 저장부;
상기 세정액 저장부의 세정액을 펌프로 이송하여 하기 지지판의 상면 상부에 흘려보내는 세정액 토출부;
상기 세정액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액이 상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1개 이상이 배치되며 외부의 공기가 세정액을 통과하는 습식필터유닛;
상기 습식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강제로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습식필터유닛은,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서 연장되어 배치되며 세정액을 임시로 수용할 수 있는 세정액 수용부;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습식필터 경사판 상측 말단 모두는 상기 세정액 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습식필터 경사판 상측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습식필터 경사판 하측 말단의 모두가 상기 세정액 수용부에 임시로 수용된 세정액에 잠기며, 하향 경사진 습식필터 경사판상면을 따라서 상기 세정액이 흘러내리는 습식필터 경사판;
상기 세정액 수용부에 임시로 수용된 세정액을 통과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의 일부를 천공한 공기관통부;
를 포함한다.
상기 가습공기청정기는 상기 습식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하는 건식필터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건식필터유닛은 적어도 두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카본필터, 상기 카본필터의 각 층을 대전할 수 있는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포집판상측 말단 모두가 상기 공기관통부 하단과 상기 세정액 수용부에 임시로 수용된 세정액 수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포집판상측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연장되는 부분의 제1포집판하측 말단은 상기 세정액 수용부에 임시로 수용된 세정액 수면보다는 높고, 상기 제1포집판하측 말단과 상기 습식필터 경사판 내면 사이는 좁은 통로를 형성하는 제1포집판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의 상면 또는 상기 습식필터 경사판의 내면에 결합되는 제2포집판상측 말단 모두가 상기 공기관통부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포집판상측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연장되는 부분의 제2포집판하측 말단은 상기 제1포집판보다 높고, 상기 제2포집판하측 말단과 상기 제1포집판 사이는 좁은 통로를 형성하는 제2포집판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은 수직을 이루며,
상기 1개 이상의 습식필터유닛은 상기 지지판에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의 최하부에 배치된 습식필터유닛은 상기 지지판의 최상부에 배치된 습식필터유닛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1개 이상의 습식필터유닛은 상기 지지판에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수용부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습식필터 경사판 하측 말단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세정액 저장부는 세정액 정화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필터유닛을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는, 가습기능과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기기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실내 공간에서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습식필터유닛을 포함하여 물을 집진 필터로 이용하는 바, 필터 교체에 필요한 별도의 비용이 없고 친환경적이다.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1차적으로 습식필터유닛에 통과시켜 비교적 입자의 크기가 큰 먼지를 먼저 제거한 후, 2차적으로 건식필터유닛에 통과시켜 공기를 정화하기 때문에 집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건식필터유닛과 공기 토출부의 수명 및 동작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정액 수용부, 습식필터 경사판, 공기관통부, 제1포집판, 및 제2포집판을 포함하는 습식필터유닛의 구조에 의해 먼지를 포함한 공기의 이동 경로를 다양화할 수 있어 공기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필터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필터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에 다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공기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발명에서 먼지는, 대기 중에 섞여 있는 미립자를 총칭하는 것으로, 보통0.1㎛~10mm의 입경을 가진 부유물질을 의미한다. 특히, 입경이 10㎛이하인 경우 미세먼지, 2.5㎛ 이하인 경우 초미세먼지라고도 한다. 여기서 입경은, 미세먼지 각 입자 지름의 평균값을 의미할 수 있다. 먼지는, 모래, 흙 및 꽃가루와 같은 자연에서 유래한 물질 또는 탄소, 탄소 연소물, 금속염 및 중금속과 같은 산업공정으로부터 유래한 물질 등을 포함하는 물질이다. 먼지의 존재 형태는 흄(fume), 미스트(mist), 연기, 증기 또는 연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먼지, 특히 미세먼지의 제타전위 값은 음수이다.
본원 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습공기청정기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0)는, 세정액 저장부(110), 세정액 토출부(120), 상기 세정액 토출부(120)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액이 상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지지판(130), 습식필터유닛(140), 건식필터유닛(150) 및 공기 토출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세정액 저장부(110)의 형상은 원통형, 정육면체형, 직육면체형, 다각기둥형, 항아리 형상 등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물이라면 그 형상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또한, 세정액 저장부의 재질은 플라스틱, 세라믹, 금속 등 그 종류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또한, 세정액 저장부의 내측은 세정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방수가 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세정액 저장부(110)는 세정액 정화유닛(도면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토출부(120)는 상기 습식필터유닛(140)에 세정액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세정액이 지지판(130) 표면의 일부 영역으로만 흐르는 채널링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지판의 상면에 균등하게 토출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정액 토출부(120)는 여러 개의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을 통해 세정액을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습식필터유닛(140)은 세정액 수용부(141), 습식필터 경사판(142), 제1포집판(143), 제2포집판(144) 및 공기관통부(145)을 포함한다.
상기 세정액 수용부(141)는 세정액을 임시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상기 지지판(130)의 상면에서 연장되어 상향 절곡되어 오목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오목한 구조에 의해 세정액은 임시적으로 저장되며, 수용량을 초과하여 세정액이 넘치게 되면, 상기 세정액은 하부에 위치하는 습식필터유닛(140)으로 낙하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가습공기청정기(100)의 최하부에 위치한 세정액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이때,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이물질 등이 상기 세정액에 흡수되고, 먼지가 포함된 세정액은 세정액 정화유닛(미도시)에 의해 정화된 후 펌프를 통해 다시 상부의 세정액 토출부(120)로 공급함으로써 정화된 세정액을 순환 및 재이용 할 수 있다. 일부 오염 물질은 상기 세정액 내부에서 응집되어 상기 세정액 수용부(141)의 내부에 쌓일 수도 있는바, 어느 정도 주기에 따라 상기 세정액 저장부(110) 또한 세척이 필요할수 있다.
상기 습식필터 경사판(142)은 상측 말단 모두가 상기 세정액 수용부(141)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판(130)의 상면에서 연장된다. 상기 습식필터 경사판(142) 상측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상기 세정액을 반드시 통과할 수 있도록 습식필터 경사판(142) 하측 말단의 모두는 상기 세정액 수용부(141)에 임시로 수용된 세정액에 잠긴다. 하향 경사진 습식필터 경사판(142) 상면을 따라서 상기 세정액이 흐른다.
상기 공기관통부(145)는 상기 세정액 수용부(141)에 임시로 수용된 세정액을 통과한 공기가 건식필터유닛(150)으로 이동하는 통로이다.
상기 공기관통부(145)는 지지판(130)의 일부를 천공한 형태로, 상기 세정액 수용부(141)와 상기 습식필터 경사판(142) 사이에 형성된다.
제1포집판(143) 및 제2포집판(144)은 세정액을 통과하여 먼지 등을 머금은 공기를 한번 더 포집판에 충돌시켜 다시 세정액으로 흘려 내려오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제1포집판(143) 말단 모두는 상기 공기관통부(145) 하단과 상기 세정액 수용부(141)에 임시로 수용된 세정액 수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포집판(143) 상측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연장되는 부분의 제1포집판(143) 하측 말단은 상기 세정액 수용부에 임시로 수용된 세정액 수면보다는 높은 위치에 있다. 상기 제1포집판(143) 하측 말단과 상기 습식필터 경사판(142) 내면 사이는 좁은 제1통로(146)를 형성한다. 상기 제1포집판(143) 내면과 상기 세정액 수용부에 임시로 수용된 세정액 수면 사이에는 제1공간(148)이 형성된다.
제2포집판(144) 상측 말단 모두는 상기 공기관통부(145)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2포집판(144)은 상기 지지판(130) 또는 상기 습식필터 경사판(142)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도 2에는 상기 제2포집판(144)은 상기 습식필터 경사판(142)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었다.
상기 제2포집판(144) 하측 말단은 상기 제1포집판(143)보다 높고, 상기 제2포집판(144) 하측 말단과 상기 제1포집판(143) 사이는 제2통로(147)를 형성한다. 상기 제2포집판(144)과 상기 습식필터 경사판(142)의 내면 사이에는 제2공간(149)이 형성된다.
상기 습식필터유닛(140)의 후면에는 상기 습식필터유닛(140)을 통과한 공기를 한번 더 필터링하는 건식필터유닛(150)이 배치된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필터유닛(150)은 적어도 두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카본필터이다.
상기 카본필터에 전류를 공급하여 한 개의 층은 (-)전하, 또다른 한 개의 층은 (+)전하를 띠게 한다. 먼지, 특히 미세먼지의 제타전위 값은 음수이기 때문에, (+)전하를 띤 카본필터에 먼지가 흡착된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필터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필터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판(130)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습식필터유닛(140)은 복수개가 상기 지지판(130)에 상하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습식필터유닛(140)은 크기가 일정하거나 최하부에 배치된 습식필터유닛(140)의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판(230)은 수직을 이루며, 상기 1개 이상의 습식필터유닛(240)은 상기 지지판(230)에 상하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230)의 최하부에 배치된 습식필터유닛(240)은 상기 지지판의 최상부에 배치된 습식필터유닛(240)보다 크기가 크다.
도 5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1차적으로 습식필터유닛(140)을 통과 후, 2차적으로 건식필터유닛(150)을 통과하여 공기 토출구(160)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상기 세정액 수용부(110)에 임시적으로 수용된 세정액을 통과하며 먼지는 물에 흡수되고, 수분을 머금은 공기는 하기 3가지 경로 중 하나 이상의 경로를 거쳐 건식필터유닛(15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1) 경로 a: 제1포집판 내면과 상기 세정액 수용부(141)에 임시로 수용된 세정액 수면 사이의 제1공간(148)
2) 경로 b: 상기 제2포집판(144) 하측 말단과 상기 제1포집판(143) 사이의 제2통로(147)
3) 경로 c: 상기 제2포집판(144)과 상기 습식필터 경사판(142)의 내면 사이의 제2공간(149)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가습공기청정기
110: 세정액 저장부
120: 세정액 토출부
130, 230: 지지판
140, 240: 습식필터유닛
141, 241: 세정액 수용부
142, 242: 습식필터 경사판
143, 243: 제1포집판
144, 244: 제2포집판
145, 245: 공기관통부
146: 제1통로
147: 제2통로
148: 제1공간
149: 제2공간
150: 건식필터유닛
160: 공기 토출부

Claims (10)

  1. 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액 저장부;
    상기 세정액 저장부의 세정액을 펌프로 이송하여 하기 지지판의 상면 상부에 흘려보내는 세정액 토출부;
    상기 세정액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액이 상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1개 이상이 배치되며 외부의 공기가 세정액을 통과하는 습식필터유닛; 및
    상기 습식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강제로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
    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습식필터유닛은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서 연장되어 배치되며 세정액을 임시로 수용할 수 있는 세정액 수용부;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습식필터 경사판 상측 말단 모두는 상기 세정액 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습식필터 경사판 상측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습식필터 경사판 하측 말단의 모두가 상기 세정액 수용부에 임시로 수용된 세정액에 잠기며, 하향 경사진 습식필터 경사판 상면을 따라서 상기 세정액이 흘러내리는 습식필터 경사판;
    상기 세정액 수용부에 임시로 수용된 세정액을 통과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의 일부를 천공한 공기관통부;
    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공기청정기는 상기 습식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하는 건식필터유닛을 더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필터유닛은 적어도 두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카본필터, 상기 카본필터의 각 층을 대전할 수 있는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포집판상측 말단 모두가 상기 공기관통부 하단과 상기 세정액 수용부에 임시로 수용된 세정액 수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포집판상측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연장되는 부분의 제1포집판하측 말단은 상기 세정액 수용부에 임시로 수용된 세정액 수면보다는 높고, 상기 제1포집판하측 말단과 상기 습식필터 경사판 내면 사이는 좁은 통로를 형성하는 제1포집판을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상면 또는 상기 습식필터 경사판의 내면에 결합되는 제2포집판상측 말단 모두가 상기 공기관통부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포집판상측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연장되는 부분의 제2포집판하측 말단은 상기 제1포집판보다 높고, 상기 제2포집판하측 말단과 상기 제1포집판 사이는 좁은 통로를 형성하는 제2포집판을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수직을 이루며,
    상기 1개 이상의 습식필터유닛은 상기 지지판에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의 최하부에 배치된 습식필터유닛은 상기 지지판의 최상부에 배치된 습식필터유닛보다 크기가 큰 가습공기청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1개 이상의 습식필터유닛은 상기 지지판에 상하로 배치되는 가습공기청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수용부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가습공기청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필터 경사판 하측 말단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가습공기청정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저장부는 세정액 정화유닛을 더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KR1020180119580A 2018-10-08 2018-10-08 습식필터유닛을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KR20200039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580A KR20200039955A (ko) 2018-10-08 2018-10-08 습식필터유닛을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580A KR20200039955A (ko) 2018-10-08 2018-10-08 습식필터유닛을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955A true KR20200039955A (ko) 2020-04-17

Family

ID=7046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580A KR20200039955A (ko) 2018-10-08 2018-10-08 습식필터유닛을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99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8921A (zh) * 2020-12-21 2021-04-09 阳江职业技术学院 一种环境污染防治用空气净化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471B1 (ko) 2006-12-29 2008-03-0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
KR100991805B1 (ko) 2008-10-07 2010-11-04 조규호 공기 정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471B1 (ko) 2006-12-29 2008-03-0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
KR100991805B1 (ko) 2008-10-07 2010-11-04 조규호 공기 정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8921A (zh) * 2020-12-21 2021-04-09 阳江职业技术学院 一种环境污染防治用空气净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02000A1 (en) Wet type air cleaner
KR101791677B1 (ko) 습식 공기세척기
KR101594340B1 (ko) 가습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1601246B1 (ko) 공기 정화장치
US7387664B2 (en) Wet type air cleaner
EP2433698A1 (en) Wet air cleaner
US20110139005A1 (en) Air Purifier Employing A Water Jet-Type Fan System, and Purification Method Thereof
US20060102001A1 (en) Wet type air cleaner
US7513939B2 (en) Wet type air cleaner
KR101152015B1 (ko) 팬을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100863307B1 (ko) 공기청정가습기
KR101028519B1 (ko)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20180107656A (ko) 공기 청정기
JP2011226670A (ja) 加湿機能付空気清浄装置
CN206281058U (zh) 一种新风净化调湿装置
KR20200039955A (ko) 습식필터유닛을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KR102003062B1 (ko) 무필터 방식 습식 공기청정기
KR101565094B1 (ko) 공기정화기
KR20050101512A (ko) 공기정화기
JP3125905U (ja) 空気清浄器
JP2011099647A (ja) 空気清浄装置
CN107108286A (zh) 水处理装置
KR20040078740A (ko) 워터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20200050066A (ko) 공기청정기
KR102242149B1 (ko) 실내공기 관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